KR20230037223A - 표면적을 증가시킨 접착형 소화모듈 - Google Patents

표면적을 증가시킨 접착형 소화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7223A
KR20230037223A KR1020210120257A KR20210120257A KR20230037223A KR 20230037223 A KR20230037223 A KR 20230037223A KR 1020210120257 A KR1020210120257 A KR 1020210120257A KR 20210120257 A KR20210120257 A KR 20210120257A KR 20230037223 A KR20230037223 A KR 202300372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extinguishing
fire
unit
extinguishing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02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펙스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펙스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펙스테크
Priority to KR10202101202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37223A/ko
Publication of KR202300372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72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02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 A62C35/10Containers destroyed or opened by flames or heat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DCHEMICAL MEANS FOR EXTINGUISHING FIRES OR FOR COMBATING OR PROTECTING AGAINST HARMFUL CHEMICAL AGENTS; CHEMICAL MATERIALS FOR USE IN BREATHING APPARATUS
    • A62D1/00Fire-extinguish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in extinguishing fires
    • A62D1/0007Solid extinguishing substances
    • A62D1/0021Microcapsul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DCHEMICAL MEANS FOR EXTINGUISHING FIRES OR FOR COMBATING OR PROTECTING AGAINST HARMFUL CHEMICAL AGENTS; CHEMICAL MATERIALS FOR USE IN BREATHING APPARATUS
    • A62D1/00Fire-extinguish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in extinguishing fires
    • A62D1/0064Gels; Film-forming compositio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재 위험영역에 인접한 설치면에 부착되어 화재발생 시 소화하는 소화모듈에 있어서, 일정 두께를 가지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설치면에 고정되고, 기 설정된 온도 이상 열이 가해지는 경우 소화물질이 상기 위험영역으로 전달되는 소화유닛을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소화유닛이 상기 위험영역의 상부 또는 측부에 배치되는 소화모듈이 개시된다.

Description

표면적을 증가시킨 접착형 소화모듈{Adhesive fire extinguishing module with increased surface area}
본 발명은 표면적을 증가시킨 접착형 소화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케이블뭉치 등과 같은 화재 위험영역에 설치되어 화재 발생 시 빠르게 소화할 수 있는 표면적을 증가시킨 접착형 소화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리 실생활에서 전기와 불은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분리가 불가능한 자원이다. 이러한 전기와 불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케이블과 같은 설비나, 불을 발생시킬 수 있는 발화 시설들이 필요한데 이들 설비에서 의도하지 않게 화재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특히, 대형 건물이나 고층건물의 경우 많은 양의 전기 및 전자기기를 사용할 뿐만 아니라, 이에 따라 필요한 케이블의 필요량이 증가하기 때문에 건물 내부에서는 케이블이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그만큼 화재의 위험도 역시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재산뿐만 아니라 인적 피해가 발생할 수 있으며, 자주 발생하는 것이 아니지만 한번 발생하더라도 돌이킬 수 없는 피해를 입힐 수 있기 때문에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빠른 소화가 가능함과 동시에 확산을 방지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소화모듈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화재발생 위험영역에 별도의 소화모듈을 부착하여 화재 발생 시 빠르게 화재를 진화할 뿐만 아니라, 설치 위치에 따라 소화모듈의 배치형태다 배치 밀도를 조절하여 자체적으로 소화가 가능한 표면적을 증가시킨 접착형 소화모듈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측면에 따르면, 화재 위험영역에 인접한 설치면에 부착되어 화재발생 시 소화하는 소화모듈에 관한 것으로, 일정 두께를 가지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설치면에 고정되고, 기 설정된 온도 이상 열이 가해지는 경우 소화물질이 상기 위험영역으로 전달되는 소화유닛을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소화유닛이 상기 위험영역의 상부 또는 측부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소화유닛은 일정 면적을 가지며 원형 또는 다각 형태의 둘레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화유닛은 둘레에 따른 중앙부의 두께가 상대적으로 두껍게 형성되며, 가장자리로 갈수록 두께가 감소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화유닛은 반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화유닛은 상기 소화물질을 감싸며 기 설정된 온도에서 열에 의해 용융되어 파손되도록 구성된 복수 개의 미세캡슐을 포함하는 소화부 및 상기 소화부의 일면에 도포되어 상기 소화부를 보호하는 코팅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팅부는 상기 소화부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에서 용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화유닛과 상기 설치면 사이에 구비되어 상호 접착시키며, 복수 개의 소화유닛의 착탈을 동시에 가능하도록 하는 별도의 지지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유닛은 일정면적을 가지며 일면에 복수 개의 소화유닛이 상호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고, 배면이 상기 설치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표면적을 증가시킨 접착형 소화모듈은 일정면적을 가지며 돌출된 형태의 소화유닛을 구비하여 화재발생 시 소화유닛이 용융되며 소화물질의 전달을 통해 빠르게 소화할 수 있다.
둘째, 소화유닛이 접착면적 대비, 외부로 돌출되어 외부의 표면적이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며, 이에 따라 화재발생 시 화재에 노출되는 영역이 증가하고, 화재발생 시 열의 흡수면적 증가에 따라 빠르게 소화유닛의 온도가 상승해 소화물질의 배출 까지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표면적을 증가시킨 접착형 소화모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소화모듈의 측면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의 표면적을 증가시킨 접착형 소화모듈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1의 표면적을 증가시킨 접착형 소화모듈에서 소화유닛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1의 소화모듈의 변형된 형태에 대해 나타낸 도면; 및
도 6은 도 1의 소화모듈에서 지지유닛에 복수 개의 소화모듈이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부호를 사용할 뿐 실질적으론 종래기술의 구성요소와 완전히 동일하지 않음을 미리 밝힌다.
또한,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표면적을 증가시킨 접착형 소화모듈은 발열로 인해 화재가 발생하더라도 자체적으로 발화점을 소화하여 화재가 번지는 것을 방지하는 장치이다.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재산뿐만 아니라 인적 피해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초기진화가 가능하도록 화재의 발생 위험이 높은 부분에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소화모듈을 부착 한다.
먼저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표면적을 증가시킨 접착형 소화모듈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소화모듈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화유닛(200) 및 상기 소화유닛(200)을 설치면에 부착 시키는 지지유닛(100)을 포함하며, 상기 소화유닛(200)은 일반적인 시트 형태로 다양한 형상을 가지며 사용자가 직접 원하는 곳에 부착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소화유닛(200)은 화재 위험영역에 인접한 설치면에 부착되어 화재발생 시 소화물질을 상기 위험영역으로 전달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소화유닛(200)은 일정 두께를 가지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설치면에 고정되고, 기 설정된 온도 이상 열이 가해지는 경우 소화물질이 상기 위험영역으로 전달된다.
여기서, 상기 소화유닛(200)은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상기 위험영역의 상부 또는 측부에 배치되어 화재발생 시 일부가 용융되며 내포된 상기 소화물질이 상기 위험영역으로 전달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소화유닛(200)은 발명에 따른 상기 소화유닛(200)은 크게 소화부(210) 및 코팅부(220)를 포함한다. 상기 소화부(210)는 상기 소화물질을 감싸며 기 설정된 온도에서 열에 의해 용융되며 파손되도록 구성된 복수 개의 미세캡슐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소화부(210)는 상기 미세캡슐에 의해 감싸지며 복수 개로 구성된 소화캡술(212) 및 상기 소화캡술(212)과 혼합되는 바인더(214)를 포함한다.
상기 소화캡술(212)은 미세캡슐 내부에 별도의 소화물질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소화캡술(212)이 일정 수준 이상의 온도에서 파손됨에 따라 내부의 상기 소화물질이 외부로 노출된다. 이때, 상기 소화캡술(212) 내부에서 화재를 소화할 수 있는 상기 소화물질은 분말 형태의 물질이거나 또는 가스계 소화약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소화캡술(212)은 상기 접속부(20)에서 화재가 발생되는 경우 상기 접속부(20)를 향해 상기 소화물질이 공급되며, 이에 따라 상기 소화부(210)에서 자체적으로 상기 접속부(20)의 화재가 발생하더라도 빠르게 소화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소화물질은 대기를 이루는 물질보다 상대적으로 무겁게 형성되고, 상기 소화부(210)는 상기 위험영역의 인접한 위치에서 중력방향에 따른 상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본 실시예와 같이 특정 케이블(20)이나, 접속부 등 화재발생 위험영역의 상부에 별도의 커버가 구비되는 경우 커버상에 상기 설치면에 형성되어 상기 소화부(210)가 배치된다.
한편, 상기 바인더(214)는 상기 소화캡술(212)을 포함한 상태로 외형을 이루며 상기 수용공간(130) 내부에 구비될 수 있도록 하는 소재로써 상기 소화캡술(212)이 고르게 교반된 상태로 시트형태의 외형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바인더(214) 상기 소화캡술(212)과 혼합된 상태로 일정 수준 이상의 두께를 가지며 시트형태로 후술하는 상기 지지유닛(100)에 결합되거나 도포된다. 여기서, 상기 바인더(214)는 열발포성 수지로 이루어지며, 소화부(210)에 열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바인더(214)가 연소 및 팽창함과 동시에 상기 소화캡술(212)이 터지며 소화물질이 하부방향으로 향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소화부(210)는 상기 지지유닛(100)의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위험영역을 향하도록 인접하게 배치되며, 열에 의해 상기 바인더(214)가 용융되어 상기 소화캡슐(212)이 외부로 노출됨에 따라 상기 소화물질이 상기 위험영역으로 전달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소화부(210)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케이블(20)이 고정되는 고정부(22)와 인접하게 배치되어 케이블(20)의 화재발생 시 빠르게 소화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코팅부(220)는 상기 소화부(210)의 일면에 도포되어 상기 소화부(210)를 보호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코팅부(220)는 상기 소화부(210)가 외부로부터 간섭에 의해 파손되거나, 의도하지 않는 상태에서 용융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코팅부(220)는 상기 소화부(210)의 일면에 형성되어 상기 소화부(210)를 보호하며, 상기 소화부(210)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용도에서 용융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코팅부(220)는 상기 소화부(210)가 기 설정된 온도 이하에서 의도하지 않게 용융되는 것을 차단하며, 외력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여 화재 발생시 정확하게 상기 소화부(210)가 동작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케이블(20)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코팅부(220)가 먼저 용융되며, 상기 코팅부(220)가 용융된 후 자연스럽게 상기 소화부(210)가 용융 및 팽창되어 상기 소화캡술(212)이 상기 케이블(20)로 제공된다.
이와 같이 상기 소화유닛(200)은 상기 코팅부(220) 및 상기 소화부(210)를 포함하며, 기 설정된 온도 이상으로 가열되는 경우 용융되어 상기 소화물질이 발화지점으로 전달되도록 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소화물질은 대기보다 무거운 비중을 가지며, 상기 소화캡술(212)이 파손되어 상기 소화물질이 외부로 노출되는 경우 자연스럽게 하부로 향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소화유닛(200)은 시트형태로 구성되어 독립적으로 제작되며 상기 수용공간(130) 내부에 결합되는 상태로 구성되지만, 이와 달리 페이스트 상태에서 상기 커버유닛(100)의 내면에 직접 도포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화재 발생 시 상기 소화유닛(200)의 하부에 배치되는 상기 접속부(20)로 상기 소화캡술(212)이 공급되어 소화물질에 의해 화재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소화유닛(200)은 상술한 상기 지지유닛(100)과 결합되거나 상기 설치면에 직접 결합될 수 있으며, 결합 시 별도의 결합부(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결합부(230)는 상기 소화부(210)와 상기 지지유닛(100) 사이에서 상고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일정 두께의 접작제 형태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결합부(230)는 시트형태로 구성되거나 또는 액상으로 도포되어 상기 소화부(210)와 상기 지지유닛(100)을 결합시키거나 또는 상기 소화부(210)가 직접 상기 설치면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소화모듈이 상기 지지유닛(100)을 포함하며 이에 따라 상기 결합부(230)는 상기 지지유닛(100)과 상기 소화부(210) 사이에 배치되어서 상호 결합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소화유닛(200)은 상기 소화부(210) 상기 코팅부(220) 및 상기 결합부(230)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유닛(100) 또는 상기 설치면에 직접 결합되어 상기 위험영역을 향하도록 배치됨으로써 화재발생 시 상기 소화물질을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지지유닛(100)은 상기 소화유닛(200)이 상기 설치면에 결합되며 배치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복수 개의 상기 소화유닛(200)이 기 설정된 간격을 가지며 상호 이격 배치되어 상기 지지유닛(100)에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유닛(100)은 얇은 시트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소화유닛(200)과 상기 설치면 사이에 구비되며, 복수 개의 소화유닛(200)의 착탈을 동시에 가능함과 동시에 상기 소화유닛(200)의 배치상태를 미리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지지유닛(100)은 열전달이 용이한 금속성 소재로 구성되어 상기 소화유닛(200)간 열 전달이 용이하도록 구성되며, 일정면적을 가지는 시트 또는 은박 등의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일면에 복수 개의 소화유닛(200)이 상호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고, 배면이 상기 설치면에 부착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소화유닛(200)은 상기 지지유닛(100)에 배치 시 상 복수 개가 상호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며 상기 설치면의 위치에 따라 상기 소화유닛(200)의 배치 밀도가 상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히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A영역의 경우 상기 소화유닛(200)의 배치 밀도가 낮은 상태이며, B영역의 경우 상기 소화유닛(200)의 배치 밀도가 높은 상태이다.
여기서, 상기 설치면이 구비되는 위험영역이 화재발생 시 소화가 어려운 지점인 경우 B영역과 같이 소화유닛(200)의 배치밀도가 높은 부분을 따로 분리하여 상기 설치면에 설치할 수 있으며, 이와 반대로 화재가 발생하더라도 화력이 상대적으로 낮거나 화재위험도가 낮은 지점인 경우 A영역과 같이 상기 소화유닛(200)의 배치밀도가 낮은 부분을 분리하여 상기 설치면에 부착할 수 있다.
즉, 상기 소화유닛(200)이 상기 지지유닛(100)상에 구비될 때 상기 소화유닛(200)의 배치밀도가 상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설치위치에 따라 적절히 상기 지지유닛(100)을 절단하여 원하는 분량을 사용할 수도 있다.
물론, 본 실시예에서 도시된 바와 달리 하나의 지지유닛(100)에 모두 동일한 밀도로 상기 소화유닛(200)이 배치될 수도 있으며, 이와 같은 경우 지지유닛(100) 별로 소화유닛(200)의 배치밀도가 상이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지지유닛(100)은 금속성 소재로 이루어져 일면에 복수 개의 상기 소화유닛(200)이 구비되며, 화재발생 시 금속성 소재로 인해 빠른 열전달이 가능해 복수 개의 상기 소화유닛(200)이 빠르게 용융되어 상기 소화물질을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설지 지점에 따라 적절히 상기 지지유닛(100)을 분리하여 사용 함으로써 설치 위치나 화재 위험도에 따라 상기 소화유닛(200)의 배치 개수를 조절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상기 소화유닛(200)의 변형된 형태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소화유닛(200)의 다양한 형태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소화유닛(200)은 일정 면적을 가지며, 원형 또는 다각형태의 둘레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와 함께 상기 소화유닛(200)은 둘레에 따른 중앙부의 두께가 상대적으로 두껍게 형성되며, 가장자리로 갈수록 두께가 감소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를 살펴보면, 상기 소화유닛(200)의 다양한 형태를 나타낸 것으로, 단순한 시트형태, 반구형태, 다각뿔 또는 원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원뿔이나 다각뿔 또는 반구형태의 경우, 상기 설치면 또는 상기 지지유닛(100)에 접착되는 상기 소화유닛(200)의 접착면적 대비, 외부로 돌출되어 외부의 표면적이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며, 이에 따라 화재발생 시 화재에 노출되는 영역이 증가하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상기 소화유닛(200)이 화재에 노출되는 영역이 증가하는 경우 빠르게 온도가 상승하여 용융이 가능하며, 이에 따라 소화물질의 배출 까지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소화유닛(200)이 접착면적 대비 표면적을 증가시켜 상대적으로 많은 소화물질을 포함할 뿐만 아니라 소화성능까지 증가시킬 수 있다.
반면, 단순 시트형태의 경우 상기 소화유닛(200)이 도출되는 외면의 면적이 다른 형상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기는 하지만 돌출되는 정도가 적어 설치 지점이 협소한 경우에도 설치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소화유닛(200)은 다양한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설치 지점이나 소화성능 등을 고려하여 알맞은 형태로 적용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소화모듈은 소화유닛(200)이 기 설정된 두께를 가지며 고르게 분산된 소화캡술(212)을 포함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초기 화재의 진압뿐만 아니라 발화지점에서 재점화에 의해 발생하는 화재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유닛(100)을 통해 원하는 크기로 절개하여 상기 소화유닛(200)을 부착 함과 동시에 소화유닛(200)간 열전달이 빠르게 진행될 수 있도록 하여 소화성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20: 케이블
100: 지지유닛
200: 소화유닛
210: 소화부
220: 코팅부
230: 결합부

Claims (8)

  1. 화재 위험영역에 인접한 설치면에 부착되어 화재발생 시 소화하는 소화모듈에 있어서,
    일정 두께를 가지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설치면에 고정되고, 기 설정된 온도 이상 열이 가해지는 경우 소화물질이 상기 위험영역으로 전달되는 소화유닛을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소화유닛이 상기 위험영역의 상부 또는 측부에 배치되는 소화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유닛은,
    일정 면적을 가지며 원형 또는 다각 형태의 둘레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유닛은,
    둘레에 따른 중앙부의 두께가 상대적으로 두껍게 형성되며, 가장자리로 갈수록 두께가 감소하는 형태로 형성되는 소화모듈.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유닛은,
    반구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모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유닛은,
    상기 소화물질을 감싸며 기 설정된 온도에서 열에 의해 용융되어 파손되도록 구성된 복수 개의 미세캡슐을 포함하는 소화부; 및
    상기 소화부의 일면에 도포되어 상기 소화부를 보호하는 코팅부;
    를 포함하는 소화모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부는,
    상기 소화부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에서 용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모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유닛과 상기 설치면 사이에 구비되어 상호 접착시키며, 복수 개의 소화유닛의 착탈을 동시에 가능하도록 하는 별도의 지지유닛을 더 포함하는 소화모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유닛은,
    일정면적을 가지며 일면에 복수 개의 소화유닛이 상호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고, 배면이 상기 설치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모듈.
KR1020210120257A 2021-09-09 2021-09-09 표면적을 증가시킨 접착형 소화모듈 KR202300372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0257A KR20230037223A (ko) 2021-09-09 2021-09-09 표면적을 증가시킨 접착형 소화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0257A KR20230037223A (ko) 2021-09-09 2021-09-09 표면적을 증가시킨 접착형 소화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7223A true KR20230037223A (ko) 2023-03-16

Family

ID=85985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0257A KR20230037223A (ko) 2021-09-09 2021-09-09 표면적을 증가시킨 접착형 소화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3722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8708B1 (ko) 캡슐 소화 장치
US3833063A (en) Nonfragmenting pyrotechnic fire extinguisher
KR101184790B1 (ko) 자립형 소화장치
KR102118661B1 (ko) 화재방지용 케이블 트레이 보호장치
CA2799780C (en) Method of protecting battery cells and batteries which contain battery cells and protected battery cells and batteries which contain battery cells
KR102152823B1 (ko) 소화용 마이크로캡슐을 활용한 소화제품 기반 소화 제어 시스템
KR101944942B1 (ko) 연성이 우수하며 자기 소화기능을 갖는 소방용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KR20230037223A (ko) 표면적을 증가시킨 접착형 소화모듈
US4232742A (en) Flame-guard for electrical installations
KR101945476B1 (ko) 발열 소화캡슐 및 이를 구비하는 캡슐형 소화장치
KR20170132457A (ko) 온도센서를 이용한 캡슐형 소화장치
CN1997428A (zh) 自动的炉灶顶部灭火模块
KR102402409B1 (ko) 케이블 접속부 소화커버모듈
CN106362331A (zh) 电缆灭火套
RU196602U1 (ru) Микроогнетушитель
KR101915298B1 (ko) 파우치형 소화장치
KR102043318B1 (ko) 소화모듈을 구비하는 케이블 트레이 및 그 시공방법
JP6241535B1 (ja) 消火チューブ敷設方法及び固定具
KR20160010304A (ko) 히팅 유닛
KR102136262B1 (ko) 자동 확산형 소화장치
KR20230093771A (ko) Iot기능을 겸비한 자기 소화 마이크로캡슐 패드
KR20230009107A (ko) 전기케이블의 접속부용 안전커버
KR102148496B1 (ko) 소화용 마이크로캡슐을 활용한 소화탄
US1736256A (en) Sprinkler head
CN212593633U (zh) 灭火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