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5159Y1 - 인출입 케이싱부에 자동소화기능을 구비한 가스절연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인출입 케이싱부에 자동소화기능을 구비한 가스절연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5159Y1
KR200495159Y1 KR2020210003294U KR20210003294U KR200495159Y1 KR 200495159 Y1 KR200495159 Y1 KR 200495159Y1 KR 2020210003294 U KR2020210003294 U KR 2020210003294U KR 20210003294 U KR20210003294 U KR 20210003294U KR 200495159 Y1 KR200495159 Y1 KR 2004951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fire extinguishing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ca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32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낙경
김평래
이상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투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투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투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20202100032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515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51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515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35Gas-insulated switchgear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16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electrical installations, e.g. cableway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25Safety arrangements, e.g. in case of excessive pressure or fire due to electrical defe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인출입 케이싱부에 자동소화기능을 구비한 가스절연개폐장치는, 전력을 수전하여 모선을 통해 공급하는 메인 베이; 및 AF측 모선에 연결되는 AF측부와, TF측 모선에 연결되는 TF측부를 포함하고, 모선을 통해 전력을 수전하여 부하측으로 전력 공급을 수행하는 피더 베이를 포함하고, AF측부 및 TF측부 각각은, 절연물에 의하여 격리되고, 절연기체에 의하여 충전된 다수의 탱크들로 이루어지고, 상측으로부터 모선이 수납되는 모선부 탱크; 모선부 탱크의 수직 하부에 위치되고 가동부가 수납되는 차단기부 탱크; 차단기부 탱크의 수직 하부에 위치하며 3상 스위치가 수납되는 하부 단로부 탱크; 하부 단로부 탱크의 측부에 연결되는 계기용 변압기 하부 탱크; 계기용 변압기 하부 탱크의 수직 상부에 위치하여 연결되며 계기용 변압기(PT)가 수납되는 계기용 변압기부 탱크; 하부 단로부 탱크의 수직 하부에 위치하고, 케이블 플러그-인 시스템을 수직 방향으로 인출입하는 전력케이블부가 위치하는 인출입 케이싱부; 마이크로 소화 캡슐들을 포함하고, 인출입 케이싱부 내에서 전력케이블부 인근에 부착되어 화염과 온도에 스스로 반응해 초기 화재를 진압하는 자동소화부재; 및 인출입 케이싱부에 체결되어, 자동소화부재를 밀폐시키는 소화용 밀폐 커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인출입 케이싱부에 자동소화기능을 구비한 가스절연개폐장치{GAS-INSULATED SWITCH GEAR HAVING AN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FUNCTION IN AN EXTRY-EXIT CASING PART}
본 고안은 인출입 케이싱부에 자동소화기능을 구비한 가스절연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재로 인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인출입 케이싱부에 자동소화기능을 구비한 가스절연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스절연 개폐장치(gas-insulated switch gear, GIS)는 발전소나 변전소에 설치되는 전력 설비의 사고전류 발생시 전류를 차단하는 개폐 임무를 수행하는 기구로써, 개폐장치와, 변성기와, 피뢰기 등으로 구성된다.
가스절연 개폐장치는 공기 중에 설치된 기기들은 절연내력이 우수한 SF6가스 또는 절연압축공기(Dry-Air)와 같은 친환경 절연가스로 충전된 금속탱크 내에 일괄 수용하고 송전선로 및 변전기기 내에서 발생되는 사고나 고장의 확산을 차단하여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수변전설비의 일종이다.
가스절연 개폐장치의 하단에 구비되는 전력케이블부는 육안으로 확인되지 않는 이상에 의한 손상 및 열화가 발생하고, 아크에 의한 손상 및 과열로 인한 화재발생시 소손의 우려가 있으며 대형 화재로 파급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596389호(2016. 02. 16. 등록)(가스절연 개폐장치) 한국등록특허 제10-1271146호(2013. 05. 29. 등록)(기체절연 개폐장치) 한국등록특허 제10-2122585호(2020. 06. 08. 등록)(소염배기장치가 구비되는 가스절연 개폐장치)
이에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 착안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화재에 취약한 하단의 전력케이블부 인근에 자동소화부재를 배치하여 화재로 인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인출입 케이싱부에 자동소화기능을 구비한 가스절연개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일실시예에 따른 인출입 케이싱부에 자동소화기능을 구비한 가스절연개폐장치는, 전력을 수전하여 모선을 통해 공급하는 메인 베이; 및 AF측 모선에 연결되는 AF측부와, TF측 모선에 연결되는 TF측부를 포함하고, 상기 모선을 통해 전력을 수전하여 부하측으로 전력 공급을 수행하는 피더 베이를 포함하고, 상기 AF측부 및 상기 TF측부 각각은, 절연물에 의하여 격리되고, 절연기체에 의하여 충전된 다수의 탱크들로 이루어지고, 상측으로부터 모선이 수납되는 모선부 탱크; 상기 모선부 탱크의 수직 하부에 위치되고 가동부가 수납되는 차단기부 탱크; 상기 차단기부 탱크의 수직 하부에 위치하며 3상 스위치가 수납되는 하부 단로부 탱크; 상기 하부 단로부 탱크의 측부에 연결되는 계기용 변압기 하부 탱크; 상기 계기용 변압기 하부 탱크의 수직 상부에 위치하여 연결되며 계기용 변압기(Potential Transformer; PT)가 수납되는 계기용 변압기부 탱크; 상기 하부 단로부 탱크의 수직 하부에 위치하고, 케이블 플러그-인 시스템을 수직 방향으로 인출입하는 전력케이블부가 위치하는 인출입 케이싱부; 마이크로 소화 캡슐들을 포함하고, 상기 인출입 케이싱부 내에서 상기 전력케이블부 인근에 부착되어 화염과 온도에 스스로 반응해 초기 화재를 진압하는 자동소화부재; 및 상기 인출입 케이싱부에 체결되어, 상기 자동소화부재를 밀폐시키는 소화용 밀폐 커버를 포함한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자동소화부재는 패드 타입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소화용 밀폐 커버는, 상하부가 개통된 실린더 형상을 갖는 커버 탱크; 및 전력케이블부의 관통을 위한 복수의 관통홀들이 형성된 원반 형상을 갖고서 상기 커버 탱크의 하부에 체결되는 케이블 고정판을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소화용 밀폐 커버는, 링 형상을 갖고서 상기 커버 탱크의 상부 테두리 영역에 용접 처리되고, 복수의 제1 연결홀들이 형성된 제1 링부재; 링 형상을 갖고서 상기 커버 탱크의 하부 테두리 영역에 용접 처리되고, 복수의 제2 연결홀들이 형성된 제2 링부재; 상기 제1 연결홀들을 관통하여 상기 인출입 케이싱부에 체결되는 복수의 제1 스크류들; 및 상기 케이블 고정판에 형성된 홀과 상기 제2 연결홀들을 관통하여 상기 케이블 고정판과 상기 제2 링부재를 체결하는 복수의 제2 스크류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인출입 케이싱부에 자동소화기능을 구비한 가스절연개폐장치에 의하면, 가스절연 개폐장치의 하단에 구비되는 전력케이블부에 화재발생시 온도상승으로 인하여 자동소화부재가 반응하고 자동소화부재 내 마이크로캡슐 속의 소화약재를 방출하여 초기에 화재를 진압하여 대형화재를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스절연 개폐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가스절연 개폐장치의 영역 A를 확대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소화용 밀폐 커버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소화용 밀폐 커버를 설명하기 위한 배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소화용 밀폐 커버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고안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들어, 본 고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스절연 개폐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스절연 개폐장치는, 메인 베이 및 피더 베이를 포함한다. 상기 메인 베이는 한국 전력공사 변전소로부터 예컨대 교류 3상 170kV 등 초고압 전력을 수전하여 모선을 통해 공급한다. 상기 피더 베이는 급전선(Auto transformer Feeder: AF)측 모선에 연결되는 AF측부와, 전차선(Trolley Feeder: TF)측 모선에 연결되는 TF측부를 포함하고, 상기 모선을 통해 전력을 수전하여 부하측으로 전력 공급을 수행한다. AF측부 및 상기 TF측부 각각은, 절연물에 의하여 격리되고, 절연기체에 의하여 충전된 다수의 탱크들로 이루어진다.
AF측부 및 TF측부 각각은, 모선부 탱크(110), 차단기부 탱크(120), 하부 단로부 탱크(130), 계기용 변압기 하부 탱크(140), 계기용 변압기부 탱크(150), 피뢰기(160), 인출입 케이싱부(170), 자동소화부재(180) 및 소화용 밀폐 커버(190)를 포함한다.
모선부 탱크(110)에는 상측으로부터 모선이 수납된다.
차단기부 탱크(120)는 상기 모선부 탱크(110)의 수직 하부에 위치되고 내부에는 가동부가 수납된다.
하부 단로부 탱크(130)는 차단기부 탱크(120)의 수직 하부에 위치하며 내부에는 3상 스위치가 수납된다.
계기용 변압기 하부 탱크(140)는 하부 단로부 탱크(130)의 측부에 연결된다.
계기용 변압기부 탱크(150)는 계기용 변압기 하부 탱크(140)의 수직 상부에 위치하여 연결되며 내부에는 계기용 변압기(Potential Transformer; PT)가 수납된다.
피뢰기(160)는 계기용 변압기부 탱크(150)의 하부에서 계기용 변압기 하부 탱크(140)에 체결된다.
인출입 케이싱부(170)는 하부 단로부 탱크(130)의 수직 하부에 위치한다. 인출입 케이싱부에는 케이블 플러그-인 시스템(cable plug-in system)을 적용하여 수직 방향으로 인출입이 가능한 전력케이블부(172)가 위치한다.
자동소화부재(180)는 마이크로 소화 캡슐들을 포함하고, 인출입 케이싱부(170) 내에서 전력케이블부(172) 인근에 부착되어 화염과 온도에 스스로 반응해 초기 화재를 진압한다. 마이크로 소화 캡슐이 특정 온도 및 화염에 반응하여 자동으로 소화약제가 분사되므로 화재 발생시 즉각 반응하여 초기 화재 진압에 용이하다.
본 실시예에서, 자동소화부재(180)는 접착패드, 소화패드, 마이크로 소화 캡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착패드는 원형, 사각형 또는 다각형으로 이루어진 형상으로 상/하면에 접착물질이 도포되어 있는 것으로, MMA수지, 착색제, 탄산칼슘의 혼합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접착패드는 상/하면 양면이 탈착 가능한 보호필름으로 덮여져, 접착물질이 보호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소화패드는 접착패드의 상/하면 중 어느 일면의 보호필름이 제거되고 부착되며, 접착패드와 동일한 형태와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소화패드는 100 ~ 120도의 고온에서 소화물질이 분사되는 마이크로 소화 캡슐들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마이크로 소화 캡슐은 노벡(Novec-1230)이 캡슐형태로 제조된 것이 바람직하다.
소화용 밀폐 커버(190)는 인출입 케이싱부(170)에 체결되어, 자동소화부재(180)를 밀폐시킨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영역 A를 확대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소화용 밀폐 커버(190)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소화용 밀폐 커버(190)를 설명하기 위한 배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소화용 밀폐 커버(190)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도 2, 도 3,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소화용 밀폐 커버(190)는 커버 탱크(192) 및 케이블 고정판(194)을 포함하고, 인출입 케이싱부(170)의 하부에 체결되어 자동소화부재(180)를 밀폐시킨다.
커버 탱크(192)는 상하부가 개통된 실린더 형상을 갖는다.
케이블 고정판(194)은 전력케이블부(172)의 관통을 위한 복수의 관통홀들이 형성된 원반 형상을 갖고서 커버 탱크(192)의 하부에 체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케이블 고정판(194)을 커버 탱크(192)에서 분리 가능하게 구성한 것은 인출입 케이싱부(170)에 전력케이블부(172)가 용이하게 케이블 플러그-인 시스템 방식으로 체결하거나 분리하기 위함이다.
소화용 밀폐 커버(190)는 제1 링부재(196), 복수의 제1 스크류들(197), 제2 링부재(198) 및 복수의 제2 스크류들(19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링부재(196)는 링 형상을 갖고서 커버 탱크(192)의 상부 테두리 영역에 용접 처리되고, 복수의 제1 연결홀들이 형성된다.
제1 스크류들(197)은 상기 제1 연결홀들을 관통하여 인출입 케이싱부(170)에 체결된다. 이에 따라, 커버 탱크(192)는 인출입 케이싱부(170)에 체결된다.
제2 링부재(198)는 링 형상을 갖고서 커버 탱크(192)의 하부 테두리 영역에 용접 처리되고, 복수의 제2 연결홀들이 형성된다.
제2 스크류들(199)은 케이블 고정판(194)에 형성된 홀과 상기 제2 연결홀들을 관통하여 케이블 고정판(194)과 제2 링부재(198)를 체결한다.
일예에서, 소화용 밀폐 커버(190)의 체결시, 자동소화부재(180)를 인출입 케이싱부(170)의 하부에 먼저 부착하고 제1 스크류들(197)을 통해 커버 탱크(192)를 인출입 케이싱부(170)에 체결한다. 이어, 전력케이블부(172)를 케이블 고정판(194)에 관통시킨 후 제2 스크류들(199)을 통해 케이블 고정판(194)을 커버 탱크(192)에 체결하는 방식으로 소화용 밀폐 커버(190)를 인출입 케이싱부(170)에 체결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소화용 밀폐 커버(190)의 체결시, 제1 스크류들(197)을 통해 커버 탱크(192)를 인출입 케이싱부(170)에 체결한 후 자동소화부재(180)를 인출입 케이싱부(170)의 하부에 부착한다. 이어, 전력케이블부(172)를 케이블 고정판(194)에 관통시킨 후 제2 스크류들(199)을 통해 케이블 고정판(194)을 커버 탱크(192)에 체결하는 방식으로 소화용 밀폐 커버(190)를 인출입 케이싱부(170)에 체결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접착면으로 화재 발생에 취약한 전력케이블부 인근에 부착이 용이하고, 화재 발생시, 섭씨 100 ~ 120 도의 고온에서만 캡슐 형태로 제조된 마이크로 소화 캡슐 내부의 소화물질이 분사되어 화재를 인지하지 않아도 초기에 화재를 진압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소화용 밀폐 커버가 인출입 케이싱부에 체결되어 자동소화부재를 밀폐시키므로, 화재 진압후 소화물질이 소화용 밀폐 커버에 의해 외부로 유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화재 진압후 소화물질이 기체절연 개폐장치의 하부로 낙하되어 청소에 소요되는 번거로움을 제거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실용신안등록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 모선부 탱크 120 : 차단기부 탱크
130 : 하부 단로부 탱크 140 : 계기용 변압기 하부 탱크
150 : 계기용 변압기부 탱크 160 : 피뢰기
170 : 인출입 케이싱부 172 : 전력케이블부
180 : 자동소화부재 190 : 소화용 밀폐 커버
192 : 커버 탱크 194 : 케이블 고정판
196 : 제1 링부재 197 : 제1 스크류들
198 : 제2 링부재 199 : 제2 스크류들

Claims (4)

  1. 전력을 수전하여 모선을 통해 공급하는 메인 베이; 및
    AF측 모선에 연결되는 AF측부와, TF측 모선에 연결되는 TF측부를 포함하고, 상기 모선을 통해 전력을 수전하여 부하측으로 전력 공급을 수행하는 피더 베이를 포함하고, 상기 AF측부 및 상기 TF측부 각각은, 절연물에 의하여 격리되고, 절연기체에 의하여 충전된 다수의 탱크들로 이루어지되,
    상측으로부터 모선이 수납되는 모선부 탱크;
    상기 모선부 탱크의 수직 하부에 위치되고 가동부가 수납되는 차단기부 탱크;
    상기 차단기부 탱크의 수직 하부에 위치하며 3상 스위치가 수납되는 하부 단로부 탱크;
    상기 하부 단로부 탱크의 측부에 연결되는 계기용 변압기 하부 탱크;
    상기 계기용 변압기 하부 탱크의 수직 상부에 위치하여 연결되며 계기용 변압기(Potential Transformer; PT)가 수납되는 계기용 변압기부 탱크;
    상기 하부 단로부 탱크의 수직 하부에 위치하는 인출입 케이싱부;
    마이크로 소화 캡슐들을 포함하고 상기 인출입 케이싱부의 하부 인근에 부착되어 화염과 온도에 스스로 반응해 초기 화재를 진압하는 자동소화부재; 및
    상기 인출입 케이싱부에 체결되어, 상기 자동소화부재를 밀폐시키는 소화용 밀폐 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소화용 밀폐 커버는,
    상하부가 개통된 실린더 형상을 갖는 커버 탱크;
    전력케이블부의 관통을 위한 복수의 관통홀들이 형성된 원반 형상을 갖고서 상기 커버 탱크의 하부에 체결되는 케이블 고정판;
    링 형상을 갖고서 상기 커버 탱크의 상부 테두리 영역에 용접 처리되고, 복수의 제1 연결홀들이 형성된 제1 링부재;
    링 형상을 갖고서 상기 커버 탱크의 하부 테두리 영역에 용접 처리되고, 복수의 제2 연결홀들이 형성된 제2 링부재;
    상기 제1 연결홀들을 관통하여 상기 인출입 케이싱부에 체결되는 복수의 제1 스크류들; 및
    상기 케이블 고정판에 형성된 홀과 상기 제2 연결홀들을 관통하여 상기 케이블 고정판과 상기 제2 링부재를 체결하는 복수의 제2 스크류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입 케이싱부에 자동소화기능을 구비한 가스절연개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소화부재는 패드 타입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입 케이싱부에 자동소화기능을 구비한 가스절연개폐장치.

  3. 삭제
  4. 삭제
KR2020210003294U 2021-10-28 2021-10-28 인출입 케이싱부에 자동소화기능을 구비한 가스절연개폐장치 KR2004951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3294U KR200495159Y1 (ko) 2021-10-28 2021-10-28 인출입 케이싱부에 자동소화기능을 구비한 가스절연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3294U KR200495159Y1 (ko) 2021-10-28 2021-10-28 인출입 케이싱부에 자동소화기능을 구비한 가스절연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5159Y1 true KR200495159Y1 (ko) 2022-03-18

Family

ID=80936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3294U KR200495159Y1 (ko) 2021-10-28 2021-10-28 인출입 케이싱부에 자동소화기능을 구비한 가스절연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5159Y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1146B1 (ko) 2012-12-13 2013-06-05 주식회사 광명전기 기체절연 개폐장치
KR101596389B1 (ko) 2015-08-27 2016-02-22 선도전기주식회사 가스절연 개폐장치
KR102122585B1 (ko) 2020-03-24 2020-06-15 제룡전기 주식회사 소염배기장치가 구비되는 가스절연 개폐장치
KR20200131493A (ko) * 2019-05-14 2020-11-24 한국전력공사 케이블용 소화장치
KR102318163B1 (ko) * 2021-05-10 2021-10-27 백종운 단자대용 소화커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1146B1 (ko) 2012-12-13 2013-06-05 주식회사 광명전기 기체절연 개폐장치
KR101596389B1 (ko) 2015-08-27 2016-02-22 선도전기주식회사 가스절연 개폐장치
KR20200131493A (ko) * 2019-05-14 2020-11-24 한국전력공사 케이블용 소화장치
KR102122585B1 (ko) 2020-03-24 2020-06-15 제룡전기 주식회사 소염배기장치가 구비되는 가스절연 개폐장치
KR102318163B1 (ko) * 2021-05-10 2021-10-27 백종운 단자대용 소화커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0040091U (zh) 一种固定式断路器
US9064648B2 (en) Valve system for an arc extinguishing chamber and circuit breaker comprising same
CN106368489B (zh) 一种主变压器爆炸火灾防护墙
KR101229746B1 (ko) 아크 에너지 흡수형 안전 지킴이 배전반
US20100110616A1 (en) Disconnect switch with overcurrent device and enclosure for reduced hazard
KR101577969B1 (ko) 다기능 아크 보호용 분전반 및 그 운전방법
CN108598885A (zh) 插接系统
KR102030659B1 (ko) 지중배전선로의 접속인자 배전반구조
KR200495159Y1 (ko) 인출입 케이싱부에 자동소화기능을 구비한 가스절연개폐장치
CN105374591A (zh) 熔断器式隔离开关
KR101252626B1 (ko) 아크소호 방출구를 형성한 아크차단 보호구조를 갖는 고·저압 배전반, 전동기 제어반, 분전반
KR101100710B1 (ko) 지중배전 선로용 차단기
KR100842413B1 (ko) 변압변류기 분리형 전절연 수변전 장치
KR102160052B1 (ko) 배전반의 아크 배출 시스템
KR200465241Y1 (ko) 안전커버가 구비된 차단기
CN207719624U (zh) 一种铠装封闭开关柜
Hazel Never take safety for granted: Safety as main design criteria for all electric power distribution systems
KR102624477B1 (ko) 자체 화재 소화기능을 갖춘 제어함
Schwarz The design and performance of high-and low-voltage terminal boxes
KR100573023B1 (ko) 배전반의 콘트롤 엔클로저
CN207338958U (zh) 一种开关柜
CN214069223U (zh) 一种设有隔离网的高压柜
CN210984603U (zh) 一种具有合分闸防护装置的高压真空断路器
CN208834941U (zh) 电弧保护装置及电柜
CN107968348B (zh) 气体绝缘开关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