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1200B1 - 건축물 케이블 덕트의 화재방지구조 - Google Patents

건축물 케이블 덕트의 화재방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1200B1
KR102121200B1 KR1020190175252A KR20190175252A KR102121200B1 KR 102121200 B1 KR102121200 B1 KR 102121200B1 KR 1020190175252 A KR1020190175252 A KR 1020190175252A KR 20190175252 A KR20190175252 A KR 20190175252A KR 102121200 B1 KR102121200 B1 KR 1021212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case
fixture
cable
protective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52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진탑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진탑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진탑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901752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12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12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12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06Details thereof
    • H02G3/0412Heat or fire protective mea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31Wall trun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 케이블 덕트의 화재방지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의 고정구 장착공간에 케이블이 수용되고, 반원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양측 끝단에는 고정 및 결합을 위해 결합홈과 결합돌기가 각각 형성되는 한 쌍의 케이블 고정구; 내부의 케이스 장착공간에 케이블 고정구가 배치되며, 중공의 구 형상으로 4등분으로 분리형성되고, 내주면에는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간격유지돌기가 형성되며, 맞닿는 끝단에는 고정구를 통해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공이 형성된 케이스 결합부가 직선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고정구 케이스; 내부를 향해 소정구간 돌출형성되는 내부 결합부가 상기 고정구 케이스의 케이스 결합부와 결합되고, 외부에는 결합수단과 결합되는 구 형상의 고정 장착홈과 상기 고정 장착홈의 상하부 또는 양측에 형성되는 유동 장착홈이 형성되는 외부 결합부가 구비된 내부 결합부재가 사각형 형상으로 배치되는 내부 보호 케이스; 상기 내부 보호 케이스와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내면에는 결합수단과 결합을 위한 구 형상의 고정 장착홈과 상기 고정 장착홈의 상하부 또는 양측에 형성되는 유동 장착홈이 형성되는 외부 보호 결합부가 형성되며, 외면에는 난연성 재질로 제작된 케이스 커버가 장착되는 외부 보호 케이스; 및 상기 내부 보호 케이스와 외부 보호 케이스의 사이에 배치되고, 양단이 고정 장착홈에 결합되는 연결 고정구와, 양단이 유동 장착홈에 결합되는 이중 스프링 고정구로 구성되는 결합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건축물 케이블 덕트의 화재방지구조{Fire prevention structure of building cable duct}
본 발명은 건축물 케이블 덕트의 화재방지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케이블 덕트에 설치된 케이블(전력케이블 또는 통신 케이블)을 화재의 열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한 건축물 케이블 덕트의 화재방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에 설치된 케이블 덕트에는 전력공급을 위한 전력케이블, 유선인터넷, 유선전화, 인터폰, 비디오폰 등의 연결을 위한 통신케이블을 포설해서 각 층으로 전력을 공급하거나 통신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 케이블 덕트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ㄷ"자 모양으로 성형된 얇은 두께의 상부덕트(12)와 하부덕트(14)를 서로 결합해서 케이블(10)을 설치하기 위한 공간을 내부에 형성하도록 되어 있었다.
그러나 종래 케이블 덕트는 화재로 인한 화염을 장시간 차단하거나 열전도시간을 지연시킬 수 있는 장치를 갖추고 있지 않기 때문에, 상부덕트(12)와 하부덕트(14)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케이블(10)의 절연 피복이 고열에 의해 쉽게 녹으면서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케이블(10)이 하부덕트(14)의 바닥면에 직접 접촉된 상태로 설치되기 때문에 하부덕트(14)에 가해지는 고열이 빠르게 케이블(10)로 전달되면서 화재를 진압하기도 전에 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68351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3001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화재발생시 케이블로 전달되는 열을 차단하거나 열전도속도를 지연시킴으로써 케이블의 절연피복을 보호할 수 있는 건축물 케이블 덕트의 화재방지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건축물 케이블 덕트의 화재방지구조는 내부의 고정구 장착공간에 케이블이 수용되고, 반원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양측 끝단에는 고정 및 결합을 위해 결합홈과 결합돌기가 각각 형성되는 한 쌍의 케이블 고정구; 내부의 케이스 장착공간에 케이블 고정구가 배치되며, 중공의 구 형상으로 4등분으로 분리형성되고, 내주면에는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간격유지돌기가 형성되며, 맞닿는 끝단에는 고정구를 통해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공이 형성된 케이스 결합부가 직선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고정구 케이스; 내부를 향해 소정구간 돌출형성되는 내부 결합부가 상기 고정구 케이스의 케이스 결합부와 결합되고, 외부에는 결합수단과 결합되는 구 형상의 고정 장착홈과 상기 고정 장착홈의 상하부 또는 양측에 형성되는 유동 장착홈이 형성되는 외부 결합부가 구비된 내부 결합부재가 사각형 형상으로 배치되는 내부 보호 케이스; 상기 내부 보호 케이스와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내면에는 결합수단과 결합을 위한 구 형상의 고정 장착홈과 상기 고정 장착홈의 상하부 또는 양측에 형성되는 유동 장착홈이 형성되는 외부 보호 결합부가 형성되며, 외면에는 난연성 재질로 제작된 케이스 커버가 장착되는 외부 보호 케이스; 및 상기 내부 보호 케이스와 외부 보호 케이스의 사이에 배치되고, 양단이 고정 장착홈에 결합되는 연결 고정구와, 양단이 유동 장착홈에 결합되는 이중 스프링 고정구로 구성되는 결합수단;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구 케이스의 케이스 결합부는 맞닿는 면으로 위치 안내 및 고정을 위해 위치 고정돌기와 위치 고정홈이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 보호 케이스를 구성하는 내부 결합부재의 내부에 소화액이 수용되는 장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 결합부와 외부 결합부에는 장착공간과 외부를 연통하는 연통공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며, 상기 연통공에는 합성수지로 제조된 마개가 장착되고, 상기 외부 케이스에는 상부에 위치한 내부 결합부재의 연통공에서 배출되는 소화액을 고정구 케이스의 외면에 도포할 수 있도록 수평 지지봉과 상기 수평 지지봉의 끝단에 장착되는 경사가이드로 구성되는 소화액 도포수단이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케이블 덕트의 화재방지구조는 화재발생시 케이블로 전달되는 열을 차단하거나 열전도속도를 지연시킴으로써 케이블의 절연피복을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케이블에 의한 2차 화재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케이블 덕트는 화재발생에 따른 화염전달시 내부 결합부재에 수용되는 소화액을 고정구 케이스의 외부에 도포하여 화재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종래 케이블 덕트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케이블 덕트의 화재방지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케이블 덕트의 화재방지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케이블 덕트의 화재방지구조를 구성하는 케이블 고정구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케이블 덕트의 화재방지구조를 구성하는 고정구 케이스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케이블 덕트의 화재방지구조를 구성하는 내부 보호 케이스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케이블 덕트의 화재방지구조를 구성하는 외부 보호 케이스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케이블 덕트의 화재방지구조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단면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기재에 의해 정의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케이블 덕트의 화재방지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케이블 덕트의 화재방지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케이블 덕트의 화재방지구조를 구성하는 케이블 고정구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케이블 덕트의 화재방지구조를 구성하는 고정구 케이스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케이블 덕트의 화재방지구조를 구성하는 내부 보호 케이스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케이블 덕트의 화재방지구조를 구성하는 외부 보호 케이스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원발명인 건축물 케이블 덕트의 화재방지구조(100)는 케이블 고정구(200), 고정구 케이스(300), 내부 보호 케이스(400), 외부 보호 케이스(500), 결합수단(6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건축물 케이블 덕트의 화재방지구조(100)를 구성하는 케이블 고정구(200), 고정구 케이스(300), 내부 보호 케이스(400), 외부 보호 케이스(500)는 필요한 길이만큼 절단하여 형성되고, 연결부분은 공지된 금속 브라켓을 택일하여 결합된다.
상기 케이블 고정구(200)는 내부의 고정구 장착공간(210)에 케이블(C)을 수용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블 고정구(200)는 내부의 고정구 장착공간(210)에 케이블(C)을 수용할 수 있도록 반원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양측 끝단에는 고정 및 결합을 위해 결합홈(220)과 결합돌기(230)가 각각 형성된다.
즉, 상기 케이블 고정구(200)는 케이블(C)이 설치된 상태에서도 용이하게 분리 또는 결합될 수 있도록 반원형 형상으로 형성하고, 결합부분에 고정을 위해 결합홈(220)과 결합돌기(230)를 형성한 것이다.
상기 고정구 케이스(300)는 내부에 케이블 고정구(200)가 배치될 수 있도록 케이스 장착공간(310)이 형성된다.
즉, 상기 고정구 케이스(300)는 케이블 고정구(200)를 일정간격을 두고 고정하여 화염이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구 케이스(300)는 중공의 구 형상으로 4등분으로 분리형성되고, 내주면에는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간격유지돌기(320)가 형성되며, 맞닿는 끝단에는 고정구를 통해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공(340)이 형성된 케이스 결합부(330)가 직선방향으로 돌출형성된다.
즉, 상기 고정구 케이스(300)는 복수개수로 분리구성하여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고, 내주면에 형성되는 간격유지돌기(320)를 통해 케이블 고정구(200)와 고착되는 것을 방지하며, 돌출형성되는 케이스 결합부(330)를 통해 내부 보호 케이스(400)와 간격을 두고 배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케이스 결합부(330)는 고정구 케이스(300)의 외면에 길이방향으로 연속형성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환경 및 목적 등에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음을 밝힌다.
또한, 상기 고정구 케이스(300)는 케이스 결합부(330)가 맞닿는 면으로 위치 안내 및 고정을 위해 위치 고정돌기(350)와 위치 고정홈(360)이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고정구 케이스(300)는 결합공(340)에 결합되는 고정구와 별도로 위치 고정돌기(350)와 위치 고정홈(360)을 통해 누구나 손쉽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내부 보호 케이스(400)는 고정구 케이스(300)의 외부에 사각형 형상으로 배치되면서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내부 보호 케이스(400)는 내부를 향해 소정구간 돌출형성되는 내부 결합부(420)가 상기 고정구 케이스(300)의 케이스 결합부(330)와 결합되고, 외부에는 결합수단(600)과 결합되는 구 형상의 고정 장착홈(432)과 상기 고정 장착홈(432)의 상하부 또는 양측에 형성되는 유동 장착홈(434)이 형성되는 외부 결합부(430)가 구비된 내부 결합부재(410)가 사각형 형상으로 배치된다.
즉, 상기 내부 보호 케이스(400)는 내부 결합부(420)와 외부 결합부(430)가 구비된 내부 결합부재(410)를 정면상 " T "자 형성한 후 상기 내부 결합부재(410)를 사각형 형상으로 배치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내부 결합부재(410)는 사각형 형상으로 배치되고, 내부 결합부(420)는 고정구 케이스(300)의 케이스 결합부(330)와 공지된 고정구를 통해 고정결합하고, 외부 결합부(430)는 결합수단(600)과 결합되는 고정 장착홈(432)과 유동 장착홈(434)을 통해 외부 보호 케이스(500)와 결합하게 된다.
상기 외부 보호 케이스(500)는 상기 내부 보호 케이스(400)와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즉, 상기 외부 보호 케이스(500)는 내부 보호 케이스(400)와 간격을 두고 건축물에 배치 및 고정되어 외부의 영향으로 부터 케이블 고정구(200), 고정구 케이스(300), 내부 보호 케이스(400), 결합수단(600) 등을 보호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외부 보호 케이스(500)는 내면에 결합수단(600)과 결합을 위한 구 형상의 고정 장착홈(512)과 상기 고정 장착홈(512)의 상하부 또는 양측에 형성되는 유동 장착홈(514)이 형성되는 외부 보호 결합부(510)가 형성되며, 외면에는 난연성 재질로 제작된 케이스 커버(520)가 장착된다.
즉, 상기 외부 보호 케이스(500)는 내부 보호 케이스(400)의 외부와 간격을 두고 배치되면서 결합수단(600)을 통해 내부 보호 케이스(400)와 결합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외부 보호 케이스(500)는 단일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지만 결합 또는 분리를 위해 복수의 케이스 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케이스 부재는 환경 및 목적 등에 따라 끼움 결합구조, 볼팅 결합구조 등의 공지된 결합구조로 결합되며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외부 보호 케이스(500)는 난연성 재질로 형성되는 케이스 커버(520)을 통해 내부로 화염이 전달되는 것을 지지하게 된다.
상기 결합수단(600)은 내부 보호 케이스(400)와 외부 보호 케이스(500)의 사이에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수단(600)은 양단이 고정 장착홈(432, 512)에 결합되는 연결 고정구(610)와, 양단이 유동 장착홈(434, 514)에 결합되는 이중 스프링 고정구(620)로 구성된다.
즉, 상기 결합수단(600)은 중앙에 위치하는 연결 고정구(610)를 기준으로 상하 또는 양측에 위치하는 이중 스프링 고정구(620)를 통해 고정 및 진동을 완화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연결 고정구(610)는 목적 및 환경 등에 따라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연결 고정구(610)는 볼팅 및 너트 구조 형성될 수 있음을 밝힌다.
다음으로, 상기 내부 보호 케이스(400)는 도시된 도 8과 같이 내부 결합부재(410)의 내부에 소화액(450)이 수용되는 장착공간(442)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 결합부(420)와 외부 결합부(430)에는 장착공간(442)과 외부를 연통하는 연통공(444)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며, 상기 연통공(444)에는 합성수지로 제조된 마개(446)가 장착될 수 있다.
즉, 상기 내부 보호 케이스(440)는 화재로 인한 화염 전달시 상기 연통공(444)을 차단하는 마개(446)가 녹으면서 상기 연통공(444)을 통해 소화액(450)이 외부로 배출되어, 상기 고정구 케이스(300)나 내부 구성에 소화액(450)을 도포하여 화재를 예방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연통공(444)에 장착되는 마개(446)는 공지된 실링구조로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외부 케이스(500)에는 상부에 위치한 내부 결합부재(410)에 배출되는 소화액(450)을 고정구 케이스(300)의 외면에 도포할 수 있도록 수평 지지봉(532)과 상기 수평 지지봉(532)의 끝단에 장착되는 경사가이드(534)로 구성되는 소화액 도포수단(530)이 장착될 수 있다.
즉, 상기 외부 케이스(500)는 내부 결합부재(410)에서 도포되는 소화액(450)이 고정구 케이스(300)의 외면에 도포될 수 있도록 양측에 수평 지지봉(532)과 경사가이드(534)로 구성되는 소화액 도포수단(530)을 장착하여, 화염이 내부로 전달되는 것을 지연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건축물 케이블 덕트의 화재방지구조의 실시 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케이블(C)의 외면 길이방향으로 반원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양측 끝단에는 고정 및 결합을 위해 결합홈(220)과 결합돌기(230)가 각각 형성되는 한 쌍의 케이블 고정구(200)를 장착한다.
그리고 상기 케이블 고정구(200)의 외면으로 내부에 케이블 고정구(200)가 배치될 수 있도록 케이스 장착공간(310)이 형성되며, 중공의 구 형상으로 4등분으로 분리형성되고, 내주면에는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간격유지돌기(320)가 형성되며, 맞닿는 끝단에는 고정구를 통해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공(340)이 형성된 케이스 결합부(330)가 직선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고정구 케이스(300)를 장착한다.
다음으로, 상기 고정구 케이스(300)의 외측으로 내부를 향해 소정구간 돌출형성되는 내부 결합부(420)가 상기 고정구 케이스(300)의 케이스 결합부(330)와 결합되고, 외부에는 결합수단(600)과 결합되는 구 형상의 고정 장착홈(432)과 상기 고정 장착홈(432)의 상하부 또는 양측에 형성되는 유동 장착홈(434)이 형성되는 외부 결합부(430)가 구비된 내부 결합부재(410)가 사각형 형상으로 배치되는 내부 보호 케이스(400)를 장착한다.
그리고 상기 내부 보호 케이스(400)와 간격을 두고 내면에는 결합수단(600)과 결합을 위한 구 형상의 고정 장착홈(512)과 상기 고정 장착홈(512)의 상하부 또는 양측에 형성되는 유동 장착홈(514)이 형성되는 외부 보호 결합부(510)가 형성되며, 외면에는 난연성 재질로 제작된 케이스 커버(520)가 장착되는 외부 보호 케이스(500)를 배치한다.
다음으로, 상기 내부 보호 케이스(400)와 외부 보호 케이스(500)의 사이에 양단이 고정 장착홈(432, 512)에 결합되는 연결 고정구(610)와, 양단이 유동 장착홈(434, 514)에 결합되는 이중 스프링 고정구(620)로 구성되는 결합수단(600)을 장착하면 건축물 케이블 덕트의 화재방지구조(100)의 조립은 완료된다.
여기서, 상기 건축물 케이블 덕트의 화재방지구조의 조립순서는 상기와 다르게 이루어질 수 있음을 밝힌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건축물 케이블 덕트의 화재방지구조(100)는 외부 보호 케이스(500)는 고정구 케이스(300), 내부 보호 케이스(400), 결합수단(600) 등을 외부로부터 보호하게 된다.
또한, 상기 외부 보호 케이스(500)와 내부 보호 케이스(400)의 사이에 장착되는 결합수단(600)는 이중 스프링 고정구(620)를 통해 외부의 진동과 충격이 내부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건축물 케이블 덕트의 화재방지구조(100)로 화재발생에 따른 화염이 전달되면, 상기 건축물 케이블 덕트의 화재방지구조(100)는 일차적으로 외부 보호 케이스(500) 및 케이스 커버(520)를 통해 최소화하고, 열기는 결합수단(600)을 최소로만 내부 보호 케이스(400)에 전달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내부 보호 케이스(400)에 전달된 열은 고정구 케이스(300)를 거쳐 케이블 고정구(200)에 전달되는 과정으로 통하게 됨으로, 상기 게이블 고정구(200)의 내부레 전달되는 열을 최소화하면서도 전달되는 열의 속도도 지연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표현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고, 그와 동등하거나,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건축물 케이블 덕트의 화재방지구조
200 : 케이블 고정구 210 : 고정구 장착공간
220 : 결합홈 230 : 결합돌기
300 : 고정구 케이스 310 : 케이스 장착공간
320 : 간격유지돌기 330 : 케이스 결합부
340 : 결합공 350 : 위치 고정돌기
360 : 위치 고정홈 400 : 내부 보호 케이스
410 : 내부 결합부재 420 : 내부 결합부
430 : 외부 결합부 432 : 고정 장착홈
434 : 유동 장착홈 500 : 외부 보호 케이스
510 : 외부 보호 결합부 512 : 고정 장착홈
514 : 유동 장착홈 520 : 케이스 커버
600 : 결합수단 610 : 연결 고정구
620 : 이중 스프링 고정구

Claims (3)

  1. 내부의 고정구 장착공간(210)에 케이블(C)이 수용되고, 반원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양측 끝단에는 고정 및 결합을 위해 결합홈(220)과 결합돌기(230)가 각각 형성되는 한 쌍의 케이블 고정구(200);
    내부의 케이스 장착공간(310)에 케이블 고정구(200)가 배치되며, 중공의 구 형상으로 4등분으로 분리형성되고, 내주면에는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간격유지돌기(320)가 형성되며, 맞닿는 끝단에는 고정구를 통해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공(340)이 형성된 케이스 결합부(330)가 직선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고정구 케이스(300);
    내부를 향해 소정구간 돌출형성되는 내부 결합부(420)가 상기 고정구 케이스(300)의 케이스 결합부(330)와 결합되고, 외부에는 결합수단(600)과 결합되는 구 형상의 고정 장착홈(432)과 상기 고정 장착홈(432)의 상하부 또는 양측에 형성되는 유동 장착홈(434)이 형성되는 외부 결합부(430)가 구비된 내부 결합부재(410)가 사각형 형상으로 배치되는 내부 보호 케이스(400);
    상기 내부 보호 케이스(400)와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내면에는 결합수단(600)과 결합을 위한 구 형상의 고정 장착홈(512)과 상기 고정 장착홈(512)의 상하부 또는 양측에 형성되는 유동 장착홈(514)이 형성되는 외부 보호 결합부(510)가 형성되며, 외면에는 난연성 재질로 제작된 케이스 커버(520)가 장착되는 외부 보호 케이스(500); 및
    상기 내부 보호 케이스(400)와 외부 보호 케이스(500)의 사이에 배치되고, 양단이 고정 장착홈(432, 512)에 결합되는 연결 고정구(610)와, 양단이 유동 장착홈(434, 514)에 결합되는 이중 스프링 고정구(620)로 구성되는 결합수단(600);을 포함하는 건축물 케이블 덕트의 화재방지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 케이스(300)의 케이스 결합부(330)는 맞닿는 면으로 위치 안내 및 고정을 위해 위치 고정돌기(350)와 위치 고정홈(360)이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케이블 덕트의 화재방지구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부 보호 케이스(400)를 구성하는 내부 결합부재(410)의 내부에 소화액(450)이 수용되는 장착공간(442)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 결합부(420)와 외부 결합부(430)에는 장착공간(442)과 외부를 연통하는 연통공(444)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며, 상기 연통공(444)에는 합성수지로 제조된 마개(446)가 장착되고,
    상기 외부 보호 케이스(500)에는 상부에 위치한 내부 결합부재(410)의 연통공(444)에서 배출되는 소화액(450)을 고정구 케이스(300)의 외면에 도포할 수 있도록 수평 지지봉(532)과 상기 수평 지지봉(532)의 끝단에 장착되는 경사가이드(534)로 구성되는 소화액 도포수단(530)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케이블 덕트의 화재방지구조.
KR1020190175252A 2019-12-26 2019-12-26 건축물 케이블 덕트의 화재방지구조 KR1021212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5252A KR102121200B1 (ko) 2019-12-26 2019-12-26 건축물 케이블 덕트의 화재방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5252A KR102121200B1 (ko) 2019-12-26 2019-12-26 건축물 케이블 덕트의 화재방지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1200B1 true KR102121200B1 (ko) 2020-06-26

Family

ID=71136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5252A KR102121200B1 (ko) 2019-12-26 2019-12-26 건축물 케이블 덕트의 화재방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120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0420B1 (ko) * 2020-03-31 2020-09-28 (주)나이스에너지엔지니어링 통신기기 설치용 가변형 다중 정보통신기기 수납함
KR102229240B1 (ko) * 2020-08-21 2021-03-19 (주)신화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 외벽설치용 utp 케이블 배선용 덕트 구조
KR102248432B1 (ko) * 2020-12-16 2021-05-06 주식회사 성우이엠이 건축물 케이블 덕트의 내화구조
CN113572102A (zh) * 2021-09-28 2021-10-29 江苏翌强能源设备有限公司 一种自落板隔热型电缆桥架
KR102594767B1 (ko) * 2022-11-03 2023-10-30 주식회사 동진 건축물 통신설비 고정랙 장치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61939A (ja) * 1989-04-03 1990-10-24 Mitsubishi Electric Corp 制振装置
KR100706694B1 (ko) * 2006-12-28 2007-04-13 주식회사 선진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 사무소 건축물내에 설치되는 케이블 지지트레이의 화재 확산방지장치
KR101016053B1 (ko) * 2010-11-30 2011-02-23 (유)전일기술단 지중 송전케이블 보호시설
KR101530014B1 (ko) 2014-07-22 2015-07-2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케이블 선로 보호용 내화구조체
KR101652713B1 (ko) * 2016-03-11 2016-08-31 (주)세정이에프씨 건축물용 통신케이블보호설비
KR101668351B1 (ko) 2016-05-31 2016-10-21 주식회사 광운기술 전선 배관 및 케이블의 화재 보호용 돌기형 내화구조체
KR101776685B1 (ko) * 2017-03-02 2017-09-08 (주)삼진탑테크엔지니어링 건축물 케이블 덕트의 내화구조
KR20190021944A (ko) * 2017-08-24 2019-03-06 주식회사 스펙스테크 화재방지용 케이블 트레이 보호장치
KR102015851B1 (ko) * 2019-02-18 2019-08-29 (주)하나종합테크 공동주택용 천장 케이블 트레이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61939A (ja) * 1989-04-03 1990-10-24 Mitsubishi Electric Corp 制振装置
KR100706694B1 (ko) * 2006-12-28 2007-04-13 주식회사 선진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 사무소 건축물내에 설치되는 케이블 지지트레이의 화재 확산방지장치
KR101016053B1 (ko) * 2010-11-30 2011-02-23 (유)전일기술단 지중 송전케이블 보호시설
KR101530014B1 (ko) 2014-07-22 2015-07-2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케이블 선로 보호용 내화구조체
KR101652713B1 (ko) * 2016-03-11 2016-08-31 (주)세정이에프씨 건축물용 통신케이블보호설비
KR101668351B1 (ko) 2016-05-31 2016-10-21 주식회사 광운기술 전선 배관 및 케이블의 화재 보호용 돌기형 내화구조체
KR101776685B1 (ko) * 2017-03-02 2017-09-08 (주)삼진탑테크엔지니어링 건축물 케이블 덕트의 내화구조
KR20190021944A (ko) * 2017-08-24 2019-03-06 주식회사 스펙스테크 화재방지용 케이블 트레이 보호장치
KR102015851B1 (ko) * 2019-02-18 2019-08-29 (주)하나종합테크 공동주택용 천장 케이블 트레이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0420B1 (ko) * 2020-03-31 2020-09-28 (주)나이스에너지엔지니어링 통신기기 설치용 가변형 다중 정보통신기기 수납함
KR102229240B1 (ko) * 2020-08-21 2021-03-19 (주)신화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 외벽설치용 utp 케이블 배선용 덕트 구조
KR102248432B1 (ko) * 2020-12-16 2021-05-06 주식회사 성우이엠이 건축물 케이블 덕트의 내화구조
CN113572102A (zh) * 2021-09-28 2021-10-29 江苏翌强能源设备有限公司 一种自落板隔热型电缆桥架
CN113572102B (zh) * 2021-09-28 2021-11-30 江苏翌强能源设备有限公司 一种自落板隔热型电缆桥架
KR102594767B1 (ko) * 2022-11-03 2023-10-30 주식회사 동진 건축물 통신설비 고정랙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1200B1 (ko) 건축물 케이블 덕트의 화재방지구조
KR20160125660A (ko)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구조
KR102118661B1 (ko) 화재방지용 케이블 트레이 보호장치
CA2792382C (en) Modular frame for fastening a conduit at a construction part
US20170354836A1 (en) Cable firestopping apparatus
US20150048202A1 (en) Firewall, pylon of aircraft, and aircraft
KR20150119226A (ko) 개구를 통하여 연장하는 케이블을 밀봉 고정하기 위한 시스템
KR200484284Y1 (ko) 내진용 스프링 행거
US10566778B2 (en) Line feedthrough for feeding lines through a component
KR20180126817A (ko) 스프링클러 헤드용 보호장치
US10619766B2 (en) Line feedthrough for feeding lines through a component
KR101702354B1 (ko) 입상배관 고정용 내화 충전재 슬리브 고정장치
KR100725869B1 (ko) 칸막이 방화벽을 가진 송전 케이블 선로.
US11231129B2 (en) Fire protection device and fire protection assembly
KR200421610Y1 (ko) 케이블 보호관
KR20130070833A (ko) 체결상태 확인이 용이한 부스덕트 조인트 키트
KR101844986B1 (ko) 케이블 지지모듈의 내진기능을 제한하는 제한모듈
KR101964662B1 (ko) 부스덕트용 내진장치
EP3575681B1 (en) Light signaler
KR20170004372A (ko) 조립식 방화 구조체 및 그 조립방법
KR102028898B1 (ko) 공동주택용 전기단자함 고정구조
JP2008510943A (ja) 隔壁の設置構造用の火災保護構造
KR20150100233A (ko) 멀티 케이블 트랜시트와 그 멀티 케이블 트랜시트의 시공방법
KR101977790B1 (ko) 케이블 트레이의 연결장치, 접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케이블 트레이
KR102248432B1 (ko) 건축물 케이블 덕트의 내화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