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5660A -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구조 - Google Patents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5660A
KR20160125660A KR1020150056367A KR20150056367A KR20160125660A KR 20160125660 A KR20160125660 A KR 20160125660A KR 1020150056367 A KR1020150056367 A KR 1020150056367A KR 20150056367 A KR20150056367 A KR 20150056367A KR 20160125660 A KR20160125660 A KR 201601256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chor
heat insulating
fixture
bracket
n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63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41427B1 (ko
Inventor
강재식
최현중
이호열
남동균
김진우
김혁
박민진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현대건설주식회사
주식회사 이비엠리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현대건설주식회사, 주식회사 이비엠리더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500563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1427B1/ko
Publication of KR201601256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56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14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14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62Exterior insulation of exterior walls
    • E04B1/7629Details of the mechanical connection of the insulation to the wall
    • E04B1/7633Dowels with enlarged insulation retaining hea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41Connec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embedding in concrete or masonry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90Passive houses; Double facade technolo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80/00Architectural or constructional elements improving the thermal performance of buildings
    • Y02B80/10Insulation, e.g. vacuum or aerogel ins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Finishing Walls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구조는 건축물 구조체에 일단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앵커와, 상기 건축물 구조체와 맞대어져 구비되고 상기 앵커가 관통되는 단열재와, 상기 앵커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상기 단열재의 내부에 형성되는 절개면에 삽입되고 상기 앵커와 결합하여 상기 앵커에 고정되는 고정구와, 상기 앵커 또는 상기 고정구와 결합하여 건축물 외장재를 지지하는 브래킷을 구비할 수 있다.

Description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구조{FIXING STRUCTURE FOR A OUTSIDE PANEL OF BUILDING}
본 발명은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열교를 차단하여 건축물의 에너지 손실을 줄일 수 있고, 결로를 방지하며, 패시브 하우스(passive house)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석재와 같은 건축물 외장재를 건축물 구조체에 고정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셋트앵커(set anchor)와 같은 앵커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상기 셋트앵커는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035976호(2012. 04.17)"와 같이 일측 단부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타측 단부가 원추형상으로 확경된 머리부를 갖는 앵커볼트와, 원통형상으로 말린 일측면에 절개선이 구비되면서 상기 앵커볼트가 끼움 결합되는 앵커캡과, 상기 앵커볼트의 나사산에 체결되어 조임작용에 따라 상기 앵커볼트를 나선 이송시켜 머리부의 가압작용을 통해 앵커캡의 일단이 절개선을 기점으로 반경방향으로 벌어지도록 하는 조임너트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셋트앵커는 상기 앵커캡과 상기 앵커볼트 그리고 상기 조임너트가 한 쌍을 이루는 셋트앵커를 설치하고자 하는 벽면에 천공된 앵커 설치공에 삽입하고 상기 앵커볼트에 체결된 조임너트의 조임작용을 통해 상기 앵커볼트를 벽면 외부로 돌출되게 함과 동시에 경사지고 확경 된 앵커볼트의 머리부의 가압작용을 통해 상기 앵커볼트의 머리부와 대응되는 상기 앵커캡의 일단이 절개선을 기점으로 반경방향으로 벌어지면서 건물 외벽에 완전히 고정된다.
한편, 최근 석탄 및 석유 등의 화석연료비가 급속히 상승함에 따라 건축물의 설계 및 건축 시 에너지의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패시브 하우스(passive house)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즉, 패시브 하우스는 건축물 내의 열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최대한 차단함으로써 화석연료를 사용하지 않고도 실내온도를 적정하게 유지하는 건축물을 말한다. 이를 위하여 다양한 종류의 열 차단재에 대한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 열 차단재를 건축물의 외장재로 사용하려는 시도가 있어왔다. 그러나, 이러한 열 차단 효율이 증가된 건축물의 외장재를 이용하여 건축을 하더라도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고정수단을 이용할 경우 그 고정수단에 의한 외부로의 열 손실이 발생하여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는 문제점이 여전히 제기되어 왔다.
한편, 건축물의 단열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건축물 외장재 내부에 단열재를 설치한다.
따라서 건축물의 외벽에 건축물 외장재를 고정시킬 때에는 외벽 상에 단열재를 콘크리트 타설시 설치하거나 단열재를 접착제 또는 고정핀으로 결합시킨 후 앵커볼트의 설치부분을 오려 낸 후 매입한 다음 외장재를 셋트앵커와 결합된 브래킷 등의 철물에 고정하였다.
그러나, 금속재 앵커볼트에 브래킷 같은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시공하는 것이기 때문에 단열재가 훼손되어 마감 공정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건축물 외부의 열이 셋트앵커 및 브래킷 등으로 전달되어 건축물 내부로 유입됨으로써 건축물의 에너지가 손실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금속의 앵커볼트 및 브래킷을 사용할 경우, 건축물 외장재의 설치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열교를 차단하여 건축물의 에너지 손실을 줄이고 결로를 방지하며, 패시브하우스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건축물 외장재의 설치작업을 수월하게 할 수 있는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구조 및 고정재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구조는 건축물 구조체에 일단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앵커와, 상기 건축물 구조체와 맞대어져 구비되고 상기 앵커가 관통되는 단열재와, 상기 앵커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상기 단열재의 내부에 형성되는 절개면에 삽입되고 상기 앵커와 결합하여 상기 앵커에 고정되는 고정구와, 상기 앵커 또는 상기 고정구와 결합하여 건축물 외장재를 지지하는 브래킷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고정구는 상기 절개면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단열재의 외부로 노출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에 구비되어 상기 앵커와 결합하는 결합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로부터 상기 건축물 구조체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고정구와 상기 앵커와의 결합면적을 증가시키는 연장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연장부는 내면에 나사탭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앵커에 체결되어 상기 고정구를 상기 앵커에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너트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앵커에는 상기 브래킷과 결합하는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브래킷을 통한 열전달을 차단하는 패킹부재와, 상기 앵커에 체결되어 상기 브래킷을 상기 앵커에 고정하는 제2너트와, 상기 제2너트를 감싸도록 상기 앵커에 체결되어 상기 앵커 및 상기 제2너트를 통한 열전달을 차단하는 단열너트캡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패킹부재는 상기 고정구와 상기 브래킷 사이에 구비되는 제1단열부와, 상기 브래킷과 상기 제2너트 사이에 구비되는 제2단열부와, 상기 제2단열부와 상기 제1단열부를 연결하는 제3단열부와, 상기 제1단열부, 상기 제2단열부 및 상기 제3단열부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앵커가 삽입되도록 하는 관통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몸체부에는 상기 브래킷을 상기 고정구에 고정하는 복수개의 볼트와, 상기 볼트에 체결되어 상기 브래킷을 상기 볼트에 고정하는 제3너트와, 상기 앵커의 단부를 감싸도록 구비되어 상기 앵커를 통한 열전달을 차단하는 단열캡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구는 상기 고정구의 전체 또는 일부분을 감싸도록 구비되어 상기 고정구를 통한 열전달을 차단하는 합성수지코팅층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고정구에 구비되어 상기 절개면으로 열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고정구의 결합력을 높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앵커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상기 건축물 구조체에 형성되는 앵커 설치공에 채워져 상기 앵커를 통한 열교를 차단하는 열교차단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구조에 의하면, 앵커와 결합하는 패킹부재 및 열교차단캡에 의해 건축물 구조체에 고정되는 앵커를 통한 열교를 차단하여 건축물의 에너지 손실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앵커에 구비되는 수지에 의해 앵커에 의해 건축물의 외부로부터 내부로 열이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어 결로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구조가 사용된 건축물은 패시브 하우스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구조가 건축물 구조체에 결합 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구조의 분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구조의 패킹부재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구조의 고정구의 변형 예를 나타낸 분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구조가 건축물 구조체에 결합 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구조의 분해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구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구조가 건축물 구조체에 결합 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구조의 분해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구조는 앵커(100), 단열재(200), 고정구(300) 및 브래킷(40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앵커(100)는 상기 건축물 구조체(10)에 형성되는 앵커 설치공(11)에 일단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앵커 설치공(11)에는 상기 앵커 설치공(11)에 삽입된 상기 앵커(100)를 통한 열교를 차단하는 열교차단재(2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열교차단재(20)로는 상기 앵커 설치공(11) 내부에 채워진 후 응고되어 단열성능을 발휘하는 수지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앵커 설치공(11)에 채워지는 수지로는 실리콘, 우레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앵커(100)는 상기 앵커는 전체 또는 일부가 수지로 감싸져 상기 열교차단재(20)를 대신하여 상기 앵커(100)를 통한 열교를 차단할 수 있다.
상기 단열재(200)는 상기 건축물 구조체(10)와 맞대어져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건축물 구조체(10)에 이미 설치되어 있는 상기 앵커(100)는 상기 단열재(200)를 관통하여 돌출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열재(200)의 내부에는 상기 앵커(100)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고, 상기 단열재(200)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절개면(21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절개면(210)은 공구를 이용하여 사각형을 비롯한 다각형 및 원형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구(300)는 상기 절개면(210)에 삽입되는 삽입부(310)와, 상기 삽입부(310)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단열재(200)의 외부로 노출되는 몸체부(320)와, 상기 몸체부(320)에 구비되어 상기 앵커(100)와 결합하는 결합부(33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삽입부(310)는 상기 절개면(210)에 삽입되어 상기 단열재(200)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고정구(300)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320)와 상기 결합부(330)는 상기 단열재(200)와 맞대어지거나 일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330)에는 상기 앵커(100)가 관통할 수 있도록 하는 관통홀(331)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구(300)는 상기 앵커(100)와 나사결합을 통해 상기 앵커(100)에 고정될 수 있고, 상기 절개면(210)에 상기 고정구(300)를 밀어 넣어 밀착시킨 후 너트 등을 이용하여 조이는 방식을 통해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앵커(100)와 나사결합을 통해 상기 앵커(100)에 고정될 시에는 상기 관통홀(331)이 형성되어 있는 상기 결합부(330)에 내면에 나사산(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앵커(100)에는 상기 고정구(300)가 상기 앵커(100)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제1너트(5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너트(500)는 상기 고정구(300)의 외면에 구비되거나 상기 고정구(300)의 내외면에 각각 구비되어 외부 충격이나 힘에 의해 상기 앵커(100)에 고정된 상기 고정구(300)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너트(500)는 상기 앵커(100)와 결합하여 건축물 외장재를 지지하는 브래킷(400)에 의해 지지되는 건축물 외장재의 무게 등의 시공 여건 등에 따라 다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구(300)는 상기 고정구(300)를 통한 열전달을 차단하기 위한 합성수지코팅층(35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합성수지코팅층(350)은 상기 고정구(300)의 전체를 감싸도록 구비되거나 상기 단열재(200)의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몸체부(320)와 상기 결합부(330)만을 감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합성수지코팅층(350)이 상기 몸체부(320)와 상기 결합부(330)만을 감싸도록 구비될 시에는 상기 합성수지코팅층(350)이 상기 절개면(210)에 일정깊이 이상 삽입되도록 하여 상기 합성수지코팅층(350)과 상기 단열재(200) 사이의 틈새로 외기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합성수지코팅층(350)은 인서트 사출 등을 통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구(300)에는 상기 절개면(210)으로 열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고정구(300)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36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돌기(360)는 상기 단열재(200)와 맞대어지도록 구비되고 상기 고정구(300)가 상기 앵커(100)에 체결되는 힘에 의해 일정깊이 상기 단열재(200)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외기의 침투경로가 길어짐과 동시에 고정구(300)가 상기 단열재(200)와 맞대어지는 면적이 증가하여 상기 고정구(300)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브래킷(400)은 상기 앵커(100)와 결합하여 건축물 외장재를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앵커(100)에는 상기 브래킷(400)과 결합하는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브래킷(400)을 통한 열전달을 차단하는 패킹부재(110)와, 상기 앵커(100)에 체결되어 상기 브래킷(400)을 상기 앵커(100)에 고정하는 제2너트(120)와, 상기 제2너트(120)를 감싸도록 상기 앵커(100)에 체결되어 상기 앵커(100) 및 상기 제2너트(120)를 통한 열전달을 차단하는 단열너트캡(130)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너트(120)는 상기 브래킷(400)뿐만 아니라 상기 고정구(300) 또한 상기 앵커(100)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2너트(120)를 상기 앵커(100)에 조일수록 상기 브래킷(400)이 상기 고정구(300)를 상기 건축물 구조체(10) 방향으로 밀착시키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어 상기 고정구(300)가 밀착되어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구(300)를 상기 앵커(100)에 고정하기 위한 상기 제1너트(500)를 생략하고 상기 제2너트(120)를 이용하여 상기 고정구(300)와 상기 브래킷(400)을 동시에 상기 앵커(100)에 고정할 수 있다.
상기 단열너트캡(130)은 상기 앵커(100)의 단부를 감싸고 상기 패킹부재(110)와 빈틈없이 결합하여 상기 앵커(100)를 통해 외기가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열너트캡(130)은 상기 앵커(100)와 나사결합하여 외부의 충격이나 힘에 의해 상기 제1너트(500) 또는 상기 제2너트(120)가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은 상기 패킹부재(110)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실시 예와 서로 다른 부분만을 상세하게 설명하며 동일하거나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구조의 패킹부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다른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구조의 패킹부재(110)는 제1단열부(111), 제2단열부(112), 제3단열부(113) 및 관통부(114)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단열부(111)는 상기 고정구(300)의 결합부(330)와 맞대어지도록 상기 고정구(300)와 상기 브래킷(40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구(300)와 상기 브래킷(400) 사이의 틈새를 통해 외기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제1너트(500)가 구비될 시에는 상기 제1너트(500)가 내부에 삽입되도록 하여 상기 제1너트(500)가 외기와 접촉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제2단열부(112)는 상기 브래킷(400)과 상기 제2너트(120)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제2너트(120)가 내부에 삽입되도록 하여 상기 제2너트(120)를 통해 전달된 외기가 상기 브래킷(400)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제2너트(120)가 외기와 접촉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제3단열부(113)는 상기 제1단열부(111)와 상기 제2단열부(112)를 연결하고 상기 앵커(100)와 상기 브래킷(400)이 교차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브래킷(400)에 전달된 외기가 상기 앵커(100)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관통부(114)는 상기 제1단열부(111), 상기 제2단열부(112) 및 상기 제3단열부(113)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앵커(100)가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관통홀(331)이 형성된 상기 제1단열부(111), 상기 제2단열부(112) 및 상기 제3단열부(113)의 일면에는 상기 앵커(100)와 나사결합하기 위한 나사산(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다음은 상기 고정구(300)의 변형 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실시 예와 서로 다른 부분만을 상세하게 설명하며 동일하거나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구조의 고정구의 변형 예를 나타낸 분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구조의 고정구(300)는 상기 절개면(210)에 삽입되는 삽입부(310)와, 상기 삽입부(310)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단열재(200)의 외부로 노출되는 몸체부(320)와, 상기 몸체부(320)에 구비되어 상기 앵커(100)와 결합하는 결합부(330)와, 상기 결합부(330)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부(34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연장부(340)는 상기 결합부(330)로부터 상기 건축물 구조체(10)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340)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고정구(300)와 상기 앵커(100)가 접하는 면적이 증가하여 결국에는 상기 고정구(300)와 상기 앵커(100)와의 결합면적이 증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장부(340) 내면에 나사탭(341)을 구비하여 상기 앵커(100)와 나사결합을 통해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상기 연장부(340)가 상기 앵커(100)와 직접 맞대어져 결합하는 것을 보였으나, 상기 연장부(340)에는 상기 합성수지코팅층(350)이 상기 연장부(340)를 감싸도록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나사탭(341)이 상기 합성수지코팅층(350)에 형성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구조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실시 예와 서로 다른 부분만을 상세하게 설명하며 동일하거나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구조가 건축물 구조체에 결합 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구조의 분해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구조는 건축물 구조체(10)에 일단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앵커(100)와, 상기 건축물 구조체(10)와 맞대어져 구비되고 상기 앵커(100)가 관통되는 단열재(200)와, 상기 앵커(100)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상기 단열재(200)의 내부에 형성되는 절개면(210)에 삽입되고 상기 앵커(100)와 결합하여 상기 앵커(100)에 고정되는 고정구(300)와, 상기 앵커(100) 또는 상기 고정구(300)와 결합하여 건축물 외장재를 지지하는 브래킷(400)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절개면(210)에 삽입되는 삽입부(310)와, 상기 삽입부(310)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단열재(200)의 외부로 노출되는 몸체부(320)와, 상기 몸체부(320)에 구비되어 상기 앵커(100)와 결합하는 결합부(330)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320)에는 상기 브래킷(400)을 상기 고정구(300)에 고정하는 복수개의 볼트(321)와, 상기 볼트(321)에 체결되어 상기 브래킷(400)을 상기 볼트(321)에 고정하는 제3너트(322)와, 상기 앵커(100)의 단부를 감싸도록 구비되어 상기 앵커(100)를 통한 열전달을 차단하는 단열캡(323)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볼트(321)는 상기 고정구(300)를 상기 앵커(100)에 결합하기 전에 상기 몸체부(320)에 결합되고, 상기 브래킷(400)은 상기 복수개의 볼트(321)에 의해 상기 고정구(300)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복수개의 볼트(321)를 상기 몸체부(320)에 결합할 시에는 상기 볼트(321)가 상기 몸체부(320)와 직접적으로 맞대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기 볼트(321)와 결합하는 부분에 상기 합성수지코팅층(350)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구(300)는 상기 절개면(210)에 밀착된 후 상기 제1너트(500) 이용하여 조이는 방식을 통해 고정될 수 있다. 그 이유는 상기 몸체부(320)에 결합된 상기 복수개의 볼트(321)의 위치에 따라 상기 브래킷(400)이 어느 한쪽으로 돌아간 상태로 고정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상기 절개면(210)에 상기 고정구(300)를 밀어 넣어 밀착시킨 후 상기 제1너트(500)를 이용하여 조이는 방식을 통해 상기 브래킷(400)이 어느 한쪽으로 돌아가지 않은 상태로 고정되도록 상기 복수개의 볼트(321)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고정구(300)를 나사조임 방식을 통해 고정할 경우에는 나사조임 정도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볼트(321) 위치가 바뀌기 때문에 상기 브래킷(400)이 어느 한쪽으로 돌아가지 않은 상태로 고정하기가 쉽지 않다. 따라서, 상기 고정구(300)는 상기 절개면(210)에 밀착된 후 상기 제1너트(500) 이용하여 조이는 방식을 통해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단열캡(323)은 상기 고정구(300)와 상기 브래킷(400)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앵커(100)의 단부를 감싸 상기 앵커(100)를 통한 열전달을 차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고정구(300)를 상기 앵커(100)에 고정하기 위한 제1너트(500)가 내부에 삽입되도록 하여 상기 제1너트(500)가 외기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고정구(300)와 상기 브래킷(400) 사이에 상기 단열캡(323)이 구비된 것을 보였으나, 상기 고정구(300)와 상기 브래킷(400) 사이에 실리콘 등의 수지를 채워 단열효과 및 열전달 차단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구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 건축물 구조체 11: 앵커설치공
20: 열교차단재 100: 앵커
200: 단열재 300: 고정구
400: 브래킷 500: 제1너트

Claims (13)

  1. 건축물 구조체에 일단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앵커와,
    상기 건축물 구조체와 맞대어져 구비되고 상기 앵커가 관통되는 단열재와,
    상기 앵커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상기 단열재의 내부에 형성되는 절개면에 삽입되고 상기 앵커와 결합하여 상기 앵커에 고정되는 고정구를 포함하는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는 상기 절개면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단열재의 외부로 노출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에 구비되어 상기 앵커와 결합하는 결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구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로부터 상기 건축물 구조체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고정구와 상기 앵커와의 결합면적을 증가시키는 연장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구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내면에 나사탭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구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에 체결되어 상기 고정구를 상기 앵커에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너트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구조.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에는 상기 브래킷과 결합하는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브래킷을 통한 열전달을 차단하는 패킹부재와,
    상기 앵커에 체결되어 상기 브래킷을 상기 앵커에 고정하는 제2너트와,
    상기 제2너트를 감싸도록 상기 앵커에 체결되어 상기 앵커 및 상기 제2너트를 통한 열전달을 차단하는 단열너트캡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구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부재는 상기 고정구와 상기 브래킷 사이에 구비되는 제1단열부와,
    상기 브래킷과 상기 제2너트 사이에 구비되는 제2단열부와,
    상기 제2단열부와 상기 제1단열부를 연결하는 제3단열부와,
    상기 제1단열부, 상기 제2단열부 및 상기 제3단열부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앵커가 삽입되도록 하는 관통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구조.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에는 상기 브래킷을 상기 고정구에 고정하는 복수개의 볼트와,
    상기 볼트에 체결되어 상기 브래킷을 상기 볼트에 고정하는 제3너트와,
    상기 앵커의 단부를 감싸도록 구비되어 상기 앵커를 통한 열전달을 차단하는 단열캡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구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의 단부에는 상기 앵커의 단부를 감싸도록 채워져 상기 앵커를 통한 열전달을 차단하는 실리콘 또는 에폭시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구조.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는 상기 고정구의 전체 또는 일부분을 감싸도록 구비되어 상기 고정구를 통한 열전달을 차단하는 합성수지코팅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구조.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에 구비되어 상기 절개면으로 열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고정구의 결합력을 높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구조.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상기 건축물 구조체에 형성되는 앵커 설치공에 채워져 상기 앵커를 통한 열교를 차단하는 열교차단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구조.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는 전체 또는 일부가 수지로 감싸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구조.
KR1020150056367A 2015-04-22 2015-04-22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구조 KR1017414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6367A KR101741427B1 (ko) 2015-04-22 2015-04-22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6367A KR101741427B1 (ko) 2015-04-22 2015-04-22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5660A true KR20160125660A (ko) 2016-11-01
KR101741427B1 KR101741427B1 (ko) 2017-05-30

Family

ID=57484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6367A KR101741427B1 (ko) 2015-04-22 2015-04-22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1427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5184A (ko) * 2017-09-26 2019-04-03 주식회사 유토플러스 마감재 건식 시공을 위한 시스템
KR20190038708A (ko) * 2017-09-29 2019-04-09 류대형 내진 성능을 갖춘 열교 차단형 단열 벽 패널 구조체
KR20190044163A (ko) * 2017-10-20 2019-04-30 남상봉 고정구 및 이의 제작방법
KR20190063665A (ko) 2017-11-30 2019-06-10 김세열 열교차단형 건축외장패널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축외장패널 시공방법
WO2019124710A1 (ko) * 2017-12-22 2019-06-27 주식회사 유토플러스 마감재 건식시공 시스템
GB2575504A (en) * 2018-07-13 2020-01-15 Hellermann Tyton Ltd An insulation tie
KR102100754B1 (ko) * 2018-12-27 2020-04-14 심금용 단열재가 부착된 건축물의 외부 벽면 상에 외장재를 시공하기 위한 쐐기형 외장재 고정 장치
KR20200063631A (ko) * 2018-11-28 2020-06-05 주식회사 이비엠리더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구조
KR20210020493A (ko) * 2019-08-14 2021-02-24 주식회사 대한볼트 건축용 석재패널 받침앵글의 지지장치
CN112726813A (zh) * 2020-12-31 2021-04-30 清华大学 一种针对外挑构件的断冷桥结构及建筑结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686370A1 (en) * 2019-01-25 2020-07-29 Pittsburgh Corning Europe NV Façade cladding fixing system
KR102103928B1 (ko) 2019-04-12 2020-04-29 선원건설(주) 건축용 외장재 결합구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3512B1 (ko) * 2012-12-31 2014-01-2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유닛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5184A (ko) * 2017-09-26 2019-04-03 주식회사 유토플러스 마감재 건식 시공을 위한 시스템
KR20190038708A (ko) * 2017-09-29 2019-04-09 류대형 내진 성능을 갖춘 열교 차단형 단열 벽 패널 구조체
KR20190044163A (ko) * 2017-10-20 2019-04-30 남상봉 고정구 및 이의 제작방법
KR20190063665A (ko) 2017-11-30 2019-06-10 김세열 열교차단형 건축외장패널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축외장패널 시공방법
WO2019124710A1 (ko) * 2017-12-22 2019-06-27 주식회사 유토플러스 마감재 건식시공 시스템
CN109958255A (zh) * 2017-12-22 2019-07-02 惟土股份有限公司 装饰材料干式施工系统
CN109958255B (zh) * 2017-12-22 2020-12-04 惟土股份有限公司 装饰材料干式施工系统
GB2575504A (en) * 2018-07-13 2020-01-15 Hellermann Tyton Ltd An insulation tie
KR20200063631A (ko) * 2018-11-28 2020-06-05 주식회사 이비엠리더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구조
KR102100754B1 (ko) * 2018-12-27 2020-04-14 심금용 단열재가 부착된 건축물의 외부 벽면 상에 외장재를 시공하기 위한 쐐기형 외장재 고정 장치
KR20210020493A (ko) * 2019-08-14 2021-02-24 주식회사 대한볼트 건축용 석재패널 받침앵글의 지지장치
CN112726813A (zh) * 2020-12-31 2021-04-30 清华大学 一种针对外挑构件的断冷桥结构及建筑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1427B1 (ko) 2017-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1427B1 (ko)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구조
RU2241810C2 (ru) Крепежный элемент для многослойного стекла и устройство с крепежным элементом, закрепленным в пластинчатом многослойном теле
RU2395015C2 (ru) Дистанцирующий держатель для крепления предмета на имеющем изоляционный слой основании
KR101515956B1 (ko)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구조 및 고정재 시공방법
RU2230235C2 (ru) Дистанционирующий элемент для закрепления предмета на стене, имеющей слой изоляции
KR101437429B1 (ko) 건물 외장재 및 외부 단열재 설치 브라켓
US20120233943A1 (en) Fire Protection Module
US9862085B2 (en) Attachment arrangement
KR101353512B1 (ko)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유닛
KR102121200B1 (ko) 건축물 케이블 덕트의 화재방지구조
KR101680623B1 (ko) 외장재 고정유닛
AU4111393A (en) Anchoring system for installing exterior materials to a building structure
KR101815825B1 (ko) 처짐방지구조를 갖는 앵커볼트 지지부재
KR101539942B1 (ko)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구조
JP2015048611A (ja) 木質柱の柱脚部接合構造
RU2009104017A (ru) Система крепления и способ монтажа изоляционных плит
JP6151682B2 (ja) 固定装置
KR20140071621A (ko) 단열재용 유니버셜 인서트
KR101680625B1 (ko)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304259B1 (ko)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구조
KR20160012754A (ko)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구조
KR102255364B1 (ko) 건축 내장재 설치용 앵커 조립체
KR20230003704A (ko) 외벽 고정용 앵커 조립체
KR101528805B1 (ko)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유닛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외장재의 시공방법
KR101789663B1 (ko) 원통 지지대가 결합된 앵커 볼트 세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