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72337B1 - 지중송전선 관리가 편리한 지중송전선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지중송전선 관리가 편리한 지중송전선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72337B1
KR102672337B1 KR1020230083558A KR20230083558A KR102672337B1 KR 102672337 B1 KR102672337 B1 KR 102672337B1 KR 1020230083558 A KR1020230083558 A KR 1020230083558A KR 20230083558 A KR20230083558 A KR 20230083558A KR 102672337 B1 KR102672337 B1 KR 1026723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transmission line
underground transmission
fire extinguisher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835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홍
Original Assignee
(주)정인엔지니어링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정인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정인엔지니어링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723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723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8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tunn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16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sound wav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16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electrical installations, e.g. cableway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02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Abstract

본 발명은 지지유닛(10)과 소화기거치대(20), 소화기(30), 근접센서(40), 화재감지센서(50), 퇴치기구(60), 타격기구(70), 제어부(80) 및 경보기(90)로 구성된 지중송전선 관리가 편리한 지중송전선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에 의하면 설치류의 접근시 이를 감지해 신속하게 퇴치할 수 있어 설치류에 의한 지중송전선의 피해발생을 예방할 수 있고, 화재발생시 화재를 신속하게 감지 및 진화할 수 있어 화재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지중송전선 관리가 편리한 지중송전선 지지장치{Underground transmission line support device for convenient underground transmission line management}
본 발명은 지중송전선 관리가 편리한 지중송전선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발전소에서 생산된 전기는 지중송전선로를 통해 변전소로 송전된다.
이중 지중을 통한 지중송전선로 시공방법은 직접 매설하는 방식과 관로를 만든 후 관로에 지중송전케이블을 수용하는 관로 방식, 지하에 전력구를 파고 전력구에 지중송전케이블을 포설하는 전력구 방식이 있다.
이러한 방식 중 전력구 방식은 지중송전구간이 길면 중간에서 별도의 연결기구를 통해 지중송전선을 연결한다.
한편, 지중송전선이 가설된 상태에서 설치류가 지중송전선을 손상시키는 경우가 종종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대비책이 마련되어 있지 않았다.
또한, 종래에는 화재가 발생할 시 이를 신속하게 진압할 수 없어 전력구 내에 대형화재가 발생하기 쉬웠고, 화재가 발생할 경우 전력구 내의 연기가 급속히 확산되어 안전지대 확보에 어려움이 있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10-2453956호
본 발명은 설치류에 의한 지중송전선의 피해발생을 예방할 수 있고, 화재발생시 화재를 신속하게 감지 및 전선의 간섭없이 소화액을 빠르고 고르게 쏟아내도록 하여 화재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지중송전선 관리가 편리한 지중송전선 지지장치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중송전선의 가설방향으로 배치되는 수직편,
수직편의 하단으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된 수평편,
수직편의 상단으로부터 하향경사지게 연장된 제1경사부와, 제1경사부의 말단으로부터 상향경사지게 연장된 제2경사부와, 제1·2경사부의 말단에 형성되어 제1·2경사부와 함께 수용공간을 만드는 차단부와, 제1·2경사부의 경계선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배수구로 이루어진 액받이로 구성되어서, 서로 마주보도록 나란하게 이격배치되는 사이드레일과,
양단이 사이드레일의 내면에 맞대어지게 사이드레일 사이에 배치되어 체결수단을 매개로 사이드레일에 고정되는 렁으로 구성된 지지유닛;
사이드레일의 양 측면에 각각 설치되는‘ㄱ’자 형상의 고정부와,
상호 이격배치되게 고정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액받이의 상부에 배치되는 호형의 파지부로 구성된 소화기거치대;
파지부에 거치되며, 내부에 액상의 소화약재가 충진된 유리재질의 소화기;
지지유닛에 설치되어 산소 농도를 측정하는 근접센서;
액받이에 설치되어 화재를 감지해 화재감지신호를 출력하는 화재감지센서;
고정부에 설치되어 소화기를 타격해 깨뜨리는 타격기구;
근접센서에서 측정되는 산소 농도가 최저기준치에 미달하면 경보기를 동작제어하고,
화재감지센서로부터 화재감지신호를 입력받아 소화기를 타격해 깨뜨리도록 타격기구를 동작제어하는 제어부;
제어부에 의해 동작제어되어 주변으로 경고음과 경광을 방출하는 경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설치류의 접근시 이를 감지해 신속하게 퇴치할 수 있어 설치류에 의한 지중송전선의 피해발생을 예방할 수 있고, 화재발생시 화재를 신속하게 감지 및 진화할 수 있어 화재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2경사부 및 차단부에 의해 마련된 수용공간에 소화기로부터 배출된 소화액이 수용되면서 배수구를 통해 배출됨에 따라 지중송전선의 화재를 신속하게 진압할 수 있고, 분사노즐과 같은 분사기구를 별도로 요하지 않기 때문에 전반적인 구조를 보다 단순화할 수 있으며, 소화기를 사이드레일에 상응하는 길이로 불필요하게 크게 제작하지 않아도 된다는 점에서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중송전선 관리가 편리한 지중송전선 지지장치의 결합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정면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지중송전선 관리가 편리한 지중송전선 지지장치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중송전선 관리가 편리한 지중송전선 지지장치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지중송전선 관리가 편리한 지중송전선 지지장치는, 지지유닛(10)과 소화기거치대(20), 소화기(30), 근접센서(40), 화재감지센서(50), 퇴치기구(60), 타격기구(70), 제어부(80) 및 경보기(90)로 구성된 것으로서, 이에 의하면 설치류의 접근시 이를 감지해 신속하게 퇴치할 수 있어 설치류에 의한 지중송전선의 피해발생을 예방할 수 있고, 화재발생시 화재를 신속하게 감지 및 진화할 수 있어 화재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기술적인 특징이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지지유닛(10)은 사이드레일(11)과 렁(12)으로 구성된 것으로, 본 실시 예의 경우 전력구의 벽체 또는 천정에 매달리게 설치되어 지중송전선(L)이 가설될 수 있게 공간을 제공하고, 내측으로 가설되는 지중송전선(L)을 떠받쳐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사이드레일(11)은 수직편(11a)과 수평편(11b) 및 액받이(11c)로 구성되며, 나란하게 상호 이격배치되어 렁(12)을 매개로 상호 연결된다.
상기 수직편(11a)은 소정의 두께를 갖는 플레이트로서, 이러한 수직편(11a)의 하단에는 서로 마주보는 면을 향해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수평편(11b)이 일체로 형성되고, 수직편(11a)의 상단에는 소화기(30)로부터 배출된 소화액을 수용 및 배출하는 액받이(11c)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액받이(11c)는 제1경사부(11c-1)와 제2경사부(11c-2), 차단부(11c-3) 및 배수구(11c-4)로 구성된다.
상기 제1경사부(11c-1)는 수직편(11a)의 상단으로부터 맞은편 사이드레일(11)을 향해 하향경사지게 연장된다.
상기 제2경사부(11c-2)는 제1경사부(11c-1)의 말단으로부터 맞은편 사이드레일(11)을 향해 상향경사지게 연장된다.
상기 차단부(11c-3)는 제1·2경사부(11c-1,11c-2)의 양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제1·2경사부(11c-1,11c-2)와 함께 소화액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을 만든다.
상기 배수구(11c-4)는 제1·2경사부(11c-1,11c-2)의 경계선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소화액이 지중송전선(L)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제1·2경사부(11c-1,11c-2) 및 차단부(11c-3)에 의해 마련된 수용공간에 소화기(30)로부터 배출된 소화액이 수용되면서 배수구(11c-4)를 통해 배출됨에 따라 지중송전선(L)의 화재를 신속하게 진압할 수 있고, 분사노즐과 같은 분사기구를 별도로 요하지 않기 때문에 전반적인 구조를 보다 단순화할 수 있으며, 소화기(30)를 사이드레일(11)에 상응하는 길이로 불필요하게 크게 제작하지 않아도 된다는 점에서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소화기거치대(20)는 고정부(21)와 파지부(22)로 구성된 것으로, 본 실시 예의 경우 사이드레일(11)에 설치되어 소화기(30)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고정부(21)는 정면에서 본 모양‘ㄱ’자 형상을 이루는 부재로, 하단부가 체결수단(나사볼트)을 매개로 사이드레일(11)의 수직편(11a)에 설치되고, 상단부가 액받이(11c)의 상부에 배치된다.
상기 고정부(21)의 상단부에는 양단이 상호 이격된 호 형상의 파지부(22)가 일체로 형성되고, 파지부(22)는 전후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배치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소화기(30)는 유리재질의 탱크에 화재진압을 위한 소화액이 충진된 것으로, 소화기거치대(20)의 파지부(22)에 고정되어 타격기구(70)에 의해 파괴되면서 소화액을 유출하게 되는데, 이렇게 유출된 소화액은 액받이(11c)에 수용 및 배수구(11c-4)를 통해 배출되어 지중송전선(L)에 발생한 화재를 신속하게 진압한다.
상기 소화액은 해당분야(투척식 소화기에 충진된 액체)에서 널리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근접센서(40)는 공지의 센서로, 본 실시 예의 사이드레일(11)을 구성하는 수직편(11a)에 설치되어 설치류(예:쥐)의 접근을 감지해서 접근감지신호를 제어부(80)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화재감지센서(50)는 사이드레일(11)을 구성하는 제2경사부(11c-1)의 하면에 설치되어 화재(열, 연기 등)를 감지해 화재감지신호를 제어부(80)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화재감지센서(50)를 제1경사부(11c-1)의 하면에 설치한 이유는 소화기(30)를 통해 배출된 소화액이 일부 액받이(11c)이 밖으로 넘치더라도, 넘친 소화액과 화재감지센서(50)가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퇴치기구(60)는 모터(61)와 연결줄(62) 및 볼(63)로 구성된 것으로, 본 실시 예의 경우 사이드레일(11)을 구성하는 수직편(11a)에 설치되며, 제어부(80)에 의해 동작제어되어 사이드레일(11)을 타격해 소음을 유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모터(61)는 축(61a)을 구비하며, 제어부(80)에 의해 동작제어되어 축(61a)을 회전시킨다.
상기 연결줄(62)은 일단이 축(61a)에 연결되며, 축(61a)의 회전시 함께 회전한다.
상기 볼(63)은 연결줄(62)의 말단에 설치되며, 연결줄(62)을 매개로 회전되어 사이드레일(11)을 타격해 소음을 유발하는 역할을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타격기구(70)는 타격로드(71)를 갖춘 공지의 솔레노이드로, 본 실시 예의 경우 소화기거치대(20)를 구성하는 파지부(22) 사이에 배치되게 고정부(21)에 설치되어 소화기(30)를 타격해 파괴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타격기구(70)는 제어부(80)에 의해 동작제어되어 타격로드(71)가 인출되면서 소화기(30)를 타격해서 파괴하게 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80)는 사이드레일(11)에 설치된다.
이러한 제어부(80)는 근접센서(40)로부터 접근감지신호를 전달받아 퇴치기구(60)를 동작제어하게 된다.
일 예로, 설치류가 지지유닛(10)에 설치된 지중송전선(L)을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 이를 근접센서(40)가 감지하게 되면, 근접센서(40)는 즉시 접근감지신호를 제어부(80)로 출력하게 되고, 제어부(80)는 근접센서(40)로부터 접근감지신호를 전달받아 모터(61)를 동작제어하게 되며, 모터(61)는 제어부(80)에 의해 동작제어되어 축(61a)을 회전시키게 되고, 축(61a)의 회전으로 인해 축(61a)에 연결된 연결줄(62) 및 볼(63)이 회전하게 되고, 이 과정에 볼(63)은 사이드레일(11)을 강하게 타격해 소음을 유발하게 되므로 설치류를 퇴치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설치류로부터 지중송전선(L)이 손상되는 문제를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제어부(80)는 화재감지센서(50)로부터 화재감지신호를 전달받아 타격로드(71)가 소화기(30)를 타격해서 파괴할 수 있도록 타격기구(70)를 동작제어하고, 경보기(90)를 동작제어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경보기(90)는 사이드레일(11)을 구성하는 수직편(11a)에 설치되며, 제어부(80)에 의해 동작제어되어 주변으로 경고음과 경광을 방출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발산되는 빛과 경고음을 통해 전력구 내에 화재가 발생하였음을 직감적으로 인지할 수 있어 신속한 후속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제어부(80)가 화재감지센서(50)와 연동하여 경보기(90)를 동작제어하는 것으로 기재하였지만, 필요에 따라 근접센서(40)로부터 접근감지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도 제어부(80)가 경보기(90)를 동작제어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지중송전선 관리가 편리한 지중송전선 지지장치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이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지중송전선 관리가 편리한 지중송전선 지지장치를 전력구의 벽체 또는 천정에 매달리게 설치한다.
그리고,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설해야 할 지중송전선(L)은 액받이(11c) 사이를 통해 렁(12)에 거치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설치된 상태에서 설치류가 지지유닛(10)에 설치된 지중송전선(L)을 따라 이동할 경우, 이를 근접센서(40)가 감지하여 즉시 접근감지신호를 제어부(80)로 출력하게 되고, 제어부(80)는 근접센서(40)로부터 접근감지신호를 전달받아 모터(61)를 동작제어하게 되며, 모터(61)는 제어부(80)에 의해 동작제어되어 축(61a)을 회전시키게 되고, 축(61a)의 회전으로 인해 축(61a)에 연결된 연결줄(62) 및 볼(63)이 회전하게 되고, 이 과정에 볼(63)은 사이드레일(11)을 강하게 타격해 소음을 유발하게 되므로 설치류를 퇴치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지중송전선(L)에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 이를 화재감지센서(50)가 감지해 화재감지신호를 제어부(80)로 출력하게 되고, 제어부(80)는 화재감지센서(50)로부터 화재감지신호를 전달받아 타격기구(70) 및 경보기(90)를 각각 동작제어하게 된다.
상기 타격기구(70)는 제어부(80)에 의해 동작제어되어 타격로드(71)를 인출하게 되는데, 이때 타격로드(71)가 인출되는 과정에 소화기(30)를 강하게 타격하게 되면서 유리재질의 소화기(30)는 순간적으로 파괴된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소화기(30)의 파괴로 인해 내부에 수용되어 있던 소화액은 지지유닛(10)의 액받이(11c)로 쏟아져 내리게 되고, 이렇게 쏟아져 내린 소화액은 액받이(11c)에 수용되면서 배수구(11c-4)를 통해 배출되어 지중송전선(L)에서 발생된 화재를 신속하게 진압하게 된다.
또한, 상기 경보기(90)는 제어부(80)에 의해 동작제어되어 주변으로 경고음과 경광을 방출하게 되며, 이에 따라 작업자는 발산되는 빛과 경고음을 통해 전력구 내에 화재가 발생하였음을 직감적으로 인지할 수 있어 신속한 후속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있어서 당연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 지지유닛 11: 사이드레일 11a: 수직편
11b: 수평편 11c: 액받이 11c-1: 제1경사부
11c-2: 제2경사부 11c-3: 차단부 11c-4: 배수구
12: 렁 20: 소화기거치대 21: 고정부
22: 파지부 30: 소화기 40: 근접센서
50: 화재감지센서 60: 퇴치기구 61: 모터
61: 연결줄 63: 볼 70: 타격기구
71: 타격로드 80: 제어부 90: 경보기

Claims (1)

  1. 지중송전선(L)의 가설방향으로 배치되는 수직편(11a),
    수직편(11a)의 하단으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된 수평편(11b),
    수직편(11a)의 상단으로부터 하향경사지게 연장된 제1경사부(11c-1)와, 제1경사부(11c-1)의 말단으로부터 상향경사지게 연장된 제2경사부(11c-2)와, 제1·2경사부(11c-1,11c-2)의 말단에 형성되어 제1·2경사부(11c-1,11c-2)와 함께 수용공간을 만드는 차단부(11c-3)와, 제1·2경사부(11c-1,11c-2)의 경계선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배수구(11c-4)로 이루어진 액받이(11c)로 구성되어서, 서로 마주보도록 나란하게 이격배치되는 사이드레일(11)과,
    양단이 사이드레일(11)의 내면에 맞대어지게 사이드레일(11) 사이에 배치되어 체결수단을 매개로 사이드레일(11)에 고정되는 렁(12)으로 구성된 지지유닛(10);
    사이드레일의 양 측면에 각각 설치되는‘ㄱ’자 형상의 고정부(21)와,
    상호 이격배치되게 고정부(21)에 일체로 형성되며, 액받이(11c)의 상부에 배치되는 호형의 파지부(22)로 구성된 소화기거치대(20);
    파지부(22)에 거치되며, 내부에 액상의 소화약재가 충진된 유리재질의 소화기(30);
    지지유닛(10)에 설치되어 설치류의 접근을 감지해 신호를 출력하는 근접센서(40);
    액받이(11c)에 설치되어 화재를 감지해 화재감지신호를 출력하는 화재감지센서(50);
    지지유닛(10)에 설치되어 축(61a)을 회전시키는 모터(61), 모터(61)의 축(61a)에 연결되는 연결줄(62), 연결줄(62)의 말단에 설치되며 지지유닛(10)를 타격해 소음을 유발하는 볼(63)로 이루어진 퇴치기구(60);
    고정부(21)에 설치되어 소화기(30)를 타격해 깨뜨리는 타격기구(70);
    근접센서(40)로부터 접근감지신호를 전달받아 모터(61)를 동작제어하고,
    화재감지센서(50)로부터 화재감지신호를 입력받아 소화기(30)를 타격해 깨뜨리도록 타격기구(70)를 동작제어하며, 경보기(90)를 동작제어하는 제어부(80);
    제어부(80)에 의해 동작제어되어 주변으로 경고음과 경광을 방출하는 경보기(9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송전선 관리가 편리한 지중송전선 지지장치.
KR1020230083558A 2023-06-28 지중송전선 관리가 편리한 지중송전선 지지장치 KR102672337B1 (ko)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72337B1 true KR102672337B1 (ko) 2024-06-05

Family

ID=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6694B1 (ko) 2006-12-28 2007-04-13 주식회사 선진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 사무소 건축물내에 설치되는 케이블 지지트레이의 화재 확산방지장치
KR102021358B1 (ko) 2018-05-28 2019-09-16 권오섭 소화기능을 구비하는 케이블 지지모듈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177561B1 (ko) 2020-06-17 2020-11-11 윤은수 다양한 지중송전선 연결각도를 갖는 지중송전용 커넥팅 기구
KR102316190B1 (ko) * 2021-01-28 2021-10-25 백승훈 이상감지기능을 구비한 지중배전라인 지지장치
KR102318859B1 (ko) * 2021-02-09 2021-10-29 김복희 점검작업이 용이한 지중배전라인 안전 연결용 접속장치
KR102363427B1 (ko) * 2021-05-25 2022-02-16 주식회사 동경엔지니어링 지중배전라인 분기가 용이한 기능성 향상 연결 커넥터
KR102363425B1 (ko) * 2021-05-20 2022-02-16 이수이엔지 주식회사 전선 배치가 용이한 지중송전선 트레이기구
KR102531441B1 (ko) 2022-09-26 2023-05-12 신영비엠이 주식회사 전기 케이블 보호용 건축물의 트렌치
KR102547237B1 (ko) 2022-09-26 2023-06-23 주식회사 디에이치기술단 화재감지가 가능한 공동주택용 전선지지기구
KR102549595B1 (ko) 2022-07-25 2023-06-30 대한이씨엠주식회사 누전확인 기능을 갖춘 지중송전선 이탈방지용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6694B1 (ko) 2006-12-28 2007-04-13 주식회사 선진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 사무소 건축물내에 설치되는 케이블 지지트레이의 화재 확산방지장치
KR102021358B1 (ko) 2018-05-28 2019-09-16 권오섭 소화기능을 구비하는 케이블 지지모듈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177561B1 (ko) 2020-06-17 2020-11-11 윤은수 다양한 지중송전선 연결각도를 갖는 지중송전용 커넥팅 기구
KR102316190B1 (ko) * 2021-01-28 2021-10-25 백승훈 이상감지기능을 구비한 지중배전라인 지지장치
KR102318859B1 (ko) * 2021-02-09 2021-10-29 김복희 점검작업이 용이한 지중배전라인 안전 연결용 접속장치
KR102363425B1 (ko) * 2021-05-20 2022-02-16 이수이엔지 주식회사 전선 배치가 용이한 지중송전선 트레이기구
KR102363427B1 (ko) * 2021-05-25 2022-02-16 주식회사 동경엔지니어링 지중배전라인 분기가 용이한 기능성 향상 연결 커넥터
KR102549595B1 (ko) 2022-07-25 2023-06-30 대한이씨엠주식회사 누전확인 기능을 갖춘 지중송전선 이탈방지용 고정장치
KR102531441B1 (ko) 2022-09-26 2023-05-12 신영비엠이 주식회사 전기 케이블 보호용 건축물의 트렌치
KR102547237B1 (ko) 2022-09-26 2023-06-23 주식회사 디에이치기술단 화재감지가 가능한 공동주택용 전선지지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9713B1 (ko) 안전성이 향상된 소방용 제연장치
KR101240596B1 (ko) 지중 송·배전용 케이블의 지지장치
AU2018203883A1 (en) A trap
KR101761721B1 (ko) 소화 및 제연기능을 갖춘 소방용 방재장치
KR100875747B1 (ko) 지중매설형 지중전선의 인입출선 연결구조
KR102672337B1 (ko) 지중송전선 관리가 편리한 지중송전선 지지장치
JP6084712B2 (ja) 害虫探知装置及びシステム、害虫による損傷探知方法
EP3512336A1 (en) Corrosion and clogging resistant poison free rat trap
KR102671492B1 (ko) 신속한 화재진압이 가능한 지중배전라인 지지장치
KR101783683B1 (ko) 건축물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 설비 점검 장치
KR200400018Y1 (ko) 소화약재 방출헤드 자동개방장치
KR20180027734A (ko) 화재 경보 전파 기능이 구비된 소화기
KR102672268B1 (ko) 지중배전선 연결용 감전사고방지형 트레이기구
US4703808A (en) Smoke eliminator
KR102292268B1 (ko) 지중 배전케이블의 보호시설
JP3651506B2 (ja) 植物屋根の防災装置
KR101935524B1 (ko) 공동주택 벽체의 전기배관 보호장치
KR101880036B1 (ko) 건축물 화재 발생시 화재진압 소방장치
KR102624738B1 (ko) 안전사고방지 기능 향상 공동주택 전선고정기구
KR102672270B1 (ko) 지중배전선 연결용 안전형 배전선 배치기구
GB2062321A (en) Fence Structure
KR101659903B1 (ko) 지중배전선 합선방지용 조립식 관로
KR101783684B1 (ko) 공동주택의 소방 배관 설치구조
KR102624737B1 (ko) 전기케이블 보호용 안전성 향상 건축물 트레이
KR20100052169A (ko) 공동주택 발코니 화염차단 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