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4738B1 - 안전사고방지 기능 향상 공동주택 전선고정기구 - Google Patents
안전사고방지 기능 향상 공동주택 전선고정기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24738B1 KR102624738B1 KR1020230108859A KR20230108859A KR102624738B1 KR 102624738 B1 KR102624738 B1 KR 102624738B1 KR 1020230108859 A KR1020230108859 A KR 1020230108859A KR 20230108859 A KR20230108859 A KR 20230108859A KR 102624738 B1 KR102624738 B1 KR 10262473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ide rail
- fire
- fire extinguishing
- electric wire
- wire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
- 241000283984 Rodentia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7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3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0
- 230000001629 suppress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0000001846 repell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9000005871 repell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2940 repellent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1079 diges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2566 Capsic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4160 Capsicum annu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534 Capsicum annuum var annu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7862 Capsicum baccat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223760 Cinnamomum zeylanic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002 Pe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41000722363 Piper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6761 Piper adunc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7804 Piper guineen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184 Piper nigr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728 capsicum frutescen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7803 cinnamo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389 fruit/vegetable jui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993 inte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52 repet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313 weaken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06—Details thereof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12—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odoriferous substances, e.g. aromas, pheromones or chemical agent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16—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electrical installations, e.g. cableway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02—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 A62C35/04—Swingable or tiltable container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02—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 A62C35/06—Containers destroyed or opened by falling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D—CHEMICAL MEANS FOR EXTINGUISHING FIRES OR FOR COMBATING OR PROTECTING AGAINST HARMFUL CHEMICAL AGENTS; CHEMICAL MATERIALS FOR USE IN BREATHING APPARATUS
- A62D1/00—Fire-extinguish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in extinguishing fires
- A62D1/0028—Liquid extinguishing substance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56—Ladders or other support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26—Installations of cables, lines, or separate protective tubing therefor directly on or in walls, ceilings, or floors
- H02G3/263—Installation, e.g. suspension, of conduit channels or other supports
Landscapes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Bir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전선지지대(10)와 제2전선지지대(20), 지지대연결유닛(30), 행거유닛(40), 소화액가이더(50), 소화액거치대(60), 거치대회전모터(70), 타격기구(80), 소화기(90), 설치류 퇴치유닛(100) 및 안전사고감지유닛(100)으로 구성된 안전사고방지 기능 향상 공동주택 전선고정기구에 관한 것으로, 이에 의하면 전선 가설시 구별이 필요한 전선을 구분 거치할 수 있도록 하면서 위치이동을 통해 기존에 가설된 전선 또는 신규 가설되는 전선과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고, 설치류의 접근시 감지 및 퇴치하여 설치류로부터 가설된 전선을 안전하게 보호하고자 하며, 전선지지대 간의 사이 간격이 설정된 범위를 벗어남에 따른 안전사고를 최소화하고자 하며, 화재발생시 소화방식을 집중식 또는 분산식으로 선택 및 전환하여 화재상황에 맞는 화재진압을 실현할 수 있는 기술적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안전사고방지 기능 향상 공동주택 전선고정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이나 공동주택의 지하주차장에는 각종 전선을 지지 및 고정하기 위한 기구로서 케이블 트레이(cable tray)가 사용되는데, 케이블 트레이는 각종 전선을 지지 및 고정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금속제 또는 불연성 재료로 제작된 유닛 또는 유닛의 집합체 및 그에 부속하는 부속자재 등으로 구성된 견고한 구조물을 말한다.
이러한 케이블 트레이는 건축물이나 공동주택의 지하주차장에 천정을 따라 배치되며, 내측으로 가설되는 전선을 지지 및 고정한다.
한편, 종래의 케이블 트레이는 전선을 가설함에 있어 구분가설이 필요한 경우, 구분 가설을 위한 수단이 전혀 마련되어 있지 않았기 때문에 작업자가 식별을 위해 별도로 전선에 표시를 해야했던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건축물에 화재발생시 화재상태에 대한 고려 없이 소방수를 무차별적으로 분사함에 따라 진압효율이 상당히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선 가설시 구별이 필요한 전선을 구분 거치할 수 있도록 하면서 위치이동을 통해 기존에 가설된 전선 또는 신규 가설되는 전선과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고, 설치류의 접근시 감지 및 퇴치하여 설치류로부터 가설된 전선을 안전하게 보호하고자 하며, 전선지지대 간의 사이 간격이 설정된 범위를 벗어남에 따른 안전사고를 최소화하고자 하며, 화재발생시 소화방식을 집중식 또는 분산식으로 선택 및 전환하여 화재상황에 맞는 화재진압을 실현할 수 있는 안전사고방지 기능 향상 공동주택 전선고정기구를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나란하게 이격배치되는 제1사이드레일과, 제1사이드레일 사이에 배치되고, 체결수단을 매개로 제1사이드레일에 고정되어, 배전선을 지지하는 제1렁과, 제1사이드레일의 말단부에 형성되는 제1연결구로 구성된 제1전선지지대;
제1사이드레일의 상하 폭보다는 상대적으로 더 길고, 제1사이드레일의 좌우 폭보다는 상대적으로 짧게 제작되어 나란하게 이격배치되며, 상단부에 거치대설치부가 마련된 제2사이드레일과, 제2사이드레일 사이에 배치되고, 체결수단을 매개로 제2사이드레일에 고정되어, 배전선을 지지하는 제2렁과, 제1연결구와 상호 대응되게 제2사이드레일의 단부에 형성되는 제2연결구와, 제1사이드레일의 상면과 거치대설치부 사이에 배치되고, 양단이 제2사이드레일의 내면에 맞대어져 제2사이드레일과 일체를 이루는 소화액받이로 구성된 제2전선지지대;
제1·2연결구에 관통되게 끼워지되, 일단부가 제1연결구에 걸림되는 볼트와, 볼트의 말단부에 체결되어 볼트와 함께 제1·2전선지지대의 분리를 막는 너트와, 제1·2연결구 사이를 완충하는 스프링으로 구성된 지지대연결유닛;
제2렁과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소화액받이의 하면에 설치되는 블록가이더와, 블록가이더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무빙블록과, 소화액받이의 하면에 설치되는 클립부와, 일단부가 무빙블록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부가 클립부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며, 전선의 가설방향으로 펼쳐서 구분이 필요한 전선을 제2렁으로부터 이격시켜 따로 거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전선거치대로 구성된 행거유닛;
소화액받이보다 하부에 배치되도록 일단부가 제2사이드레일 사이에 배치되어 제2사이드레일과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제1전선지지대의 상면에 얹혀져서 하향경사지게 배치되며, 가설된 배전선을 향해 소화액을 배출하는 다수의 배출공을 갖춘 소화액가이더;
거치대설치부의 폭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폭으로 제작되고, 거치대설치부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며, 소화기가 착탈가능하게 수용되는 안착프레임과, 안착프레임의 일면 중간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축결합부로 구성된 소화기거치대;
축결합부에 관통되게 끼워져 일체형을 이루는 회전축을 갖추고서, 제2사이드레일의 상면에 설치되어, 제어부로부터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소화기거치대를 회전시키는 거치대회전모터;
소화기를 타격해 파괴하는 타격봉과, 제2사이드레일의 상면에 설치되어, 제어부로부터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타격봉을 회전시키는 타격봉회전모터로 구성된 타격기구;
안착프레임에 수용되며, 내부에 액상의 소화약재가 충진된 유리재질의 소화기;
거치대설치부와 서로 마주보게 제2사이드레일의 내면에 설치되되, 소화액받이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배치되고, 내부에 퇴치분말이 수용되며, 내부에 수용된 퇴치분말이 소화액가이더를 향해 배출될 수 있도록 내부와 상호 연통된 다수개의 분사구를 구비하는 저장용기와, 저장용기에 설치되어, 설치류의 접근을 감지하여 제어부로 출력하는 근접센서와, 저장용기의 내부와 상호 연통되게 저장용기의 상면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제어부로부터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저장용기의 내부로 바람을 강제공급하는 송풍팬으로 구성된 설치류 퇴치유닛;
제1사이드레일의 말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관 형상의 슬리브와, 일단부가 제2사이드레일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부가 슬리브에 관통되게 끼워지는 링크볼트와, 링크볼트에 체결되어, 슬리브에 내설되는 기준너트와, 슬리브의 양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슬리브를 따라 이동하는 기준너트를 감지하여 제어부로 출력하는 제1·2위치감지센서와, 링크볼트의 말단부에 체결되어, 슬리브로부터 링크볼트가 이탈되는 것을 제한하는 스토퍼너트와, 제2렁의 하면에 설치되며, 제어부로부터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주변으로 경광불빛을 방출하는 경광등으로 구성된 안전사고감지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접거나 펼칠 수 있는 행거유닛을 이용해 구별이 필요한 전선을 구분 가설해 줌에 따라 시설물관리가 보다 편리해지고 용이해지며, 위치이동을 통해 기존에 가설된 전선 또는 신규 가설되는 전선과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어 시설물관리가 한층 더 편리해지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설치류의 접근시 감지 및 퇴치기능을 통해 설치류로부터 가설된 전선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어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전선지지대 간의 사이 간격이 설정된 범위를 벗어날 시에는 즉시 주변으로 알려 줌에 따라 시설물관리자가 신속하게 시설물을 점검할 수 있어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화재상태에 따라 소화방식을 집중식 또는 분산식으로 선택 및 전환하여 상황에 맞는 화재진압을 실현할 수 있어 효율적인 운용 측면에서 매우 뛰어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사고방지 기능 향상 공동주택 전선고정기구의 설치 예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사고방지 기능 향상 공동주택 전선고정기구의 결합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사고방지 기능 향상 공동주택 전선고정기구의 부분 저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사고방지 기능 향상 공동주택 전선고정기구에서 제1전선지지대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요소들을 따로 발췌하여 보인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4의 저면사시도.
도 6은 도 2에서 설치류 퇴치유닛을 포함하는 일부 구성을 따로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사고방지 기능 향상 공동주택 전선고정기구에서 제1전선지지대와 제2전선지지대 및 안전사고감지유닛을 따로 발췌하여 보인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사고방지 기능 향상 공동주택 전선고정기구에서 각 구성요소 간에 상호연관관계를 도시한 블록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사고방지 기능 향상 공동주택 전선고정기구의 작용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a 내지 도 10d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사고방지 기능 향상 공동주택 전선고정기구의 다른 작용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사고방지 기능 향상 공동주택 전선고정기구의 또 다른 작용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사고방지 기능 향상 공동주택 전선고정기구의 또 다른 작용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사고방지 기능 향상 공동주택 전선고정기구의 결합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사고방지 기능 향상 공동주택 전선고정기구의 부분 저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사고방지 기능 향상 공동주택 전선고정기구에서 제1전선지지대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요소들을 따로 발췌하여 보인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4의 저면사시도.
도 6은 도 2에서 설치류 퇴치유닛을 포함하는 일부 구성을 따로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사고방지 기능 향상 공동주택 전선고정기구에서 제1전선지지대와 제2전선지지대 및 안전사고감지유닛을 따로 발췌하여 보인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사고방지 기능 향상 공동주택 전선고정기구에서 각 구성요소 간에 상호연관관계를 도시한 블록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사고방지 기능 향상 공동주택 전선고정기구의 작용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a 내지 도 10d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사고방지 기능 향상 공동주택 전선고정기구의 다른 작용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사고방지 기능 향상 공동주택 전선고정기구의 또 다른 작용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사고방지 기능 향상 공동주택 전선고정기구의 또 다른 작용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사고방지 기능 향상 공동주택 전선고정기구의 설치 예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사고방지 기능 향상 공동주택 전선고정기구의 결합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사고방지 기능 향상 공동주택 전선고정기구의 부분 저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사고방지 기능 향상 공동주택 전선고정기구에서 제1전선지지대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요소들을 따로 발췌하여 보인 분해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저면사시도이며, 도 6은 도 2에서 설치류 퇴치유닛을 포함하는 일부 구성을 따로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사고방지 기능 향상 공동주택 전선고정기구에서 제1전선지지대와 제2전선지지대 및 안전사고감지유닛을 따로 발췌하여 보인 측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사고방지 기능 향상 공동주택 전선고정기구에서 각 구성요소 간에 상호연관관계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안전사고방지 기능 향상 공동주택 전선고정기구는, 제1전선지지대(10)와 제2전선지지대(20), 지지대연결유닛(30), 행거유닛(40), 소화액가이더(50), 소화액거치대(60), 거치대회전모터(70), 타격기구(80), 소화기(90), 설치류 퇴치유닛(100) 및 안전사고감지유닛(100)으로 구성된 것으로, 이에 의하면 전선 가설시 구별이 필요한 전선을 구분 거치할 수 있도록 하면서 위치이동을 통해 기존에 가설된 전선 또는 신규 가설되는 전선과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고, 설치류의 접근시 감지 및 퇴치하여 설치류로부터 가설된 전선을 안전하게 보호하고자 하며, 전선지지대 간의 사이 간격이 설정된 범위를 벗어남에 따른 안전사고를 최소화하고자 하며, 화재발생시 소화방식을 집중식 또는 분산식으로 선택 및 전환하여 화재상황에 맞는 화재진압을 실현할 수 있는 기술적인 특징이 있다.
일 예로, 본 발명에 따른 안전사고방지 기능 향상 공동주택 전선고정기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동주택(예:지하주차장)의 천정(C) 하부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고, 지지대(A)에 의해 떠받쳐진 상태에서 양단부에 설치된 전산볼트(B)를 매개로 천정(C)에 매달리게 설치된다.
일 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안전사고방지 기능 향상 공동주택 전선고정기구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전선지지대(20)를 사이에 두고 제1전선지지대(10)가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어 지지대연결유닛(30)을 매개로 상호 연결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1전선지지대(10)는 제1사이드레일(11)과 제1렁(12) 및 제1연결구(13)로 구성된 것으로, 본 실시 예의 경우 천정(C)을 따라 설치되어 전선(L) 및 각종 케이블 등을 지지 및 (별도의 고정수단을 매개로)고정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제1사이드레일(11)은‘ㄷ’자 형상의 단면을 갖는 철재 프레임으로서, 상호 마주보게 나란하게 이격배치된다.
이러한 제1사이드레일(11)의 말단부의 하단부에는 관 형상의 제1연결구(13)가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사이드레일(11) 사이에는 제1렁(12)이 배치된다.
상기 제1렁(12)은 제1사이드레일(11)을 상호 연결하고, 전선(L)을 지지하는 부재로, 본 실시 예의 경우 양단이 제1사이드레일(11)의 내면에 맞대어지게 제1사이드레일(11) 사이에 배치되어 체결수단(나사볼트)을 매개로 제1사이드레일(11)에 고정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2전선지지대(20)는 제1사이드레일(21)과 제2렁(22), 제2연결구(23) 및 소화액받이(24)로 구성된 것으로, 본 실시 예의 경우 제1전선지지대(10)와 동일한 축방향으로 배치되되, 제1전선지지대(10)의 말단(또는 선단)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어, 지지대연결유닛(30)을 매개로 상호 연결된다.
상기 제2사이드레일(21)은‘ㄷ’자 형상의 단면을 갖는 철재 프레임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사이드레일(11)의 상하 폭(높이)보다는 상대적으로 더 길고, 제1사이드레일(11)의 좌우 폭(좌우길이)보다는 상대적으로 더 짧게 제작되어 나란하게 이격배치되며, 이격된 폭은 제1전선지지대(10)의 제1사이드레일(11)의 이격된 폭과 동일하다.
또한, 상기 제2사이드레일(21)의 상단부에는 소화기거치대(60)가 회전가능하게 수용되는 거치대설치부(21a)가 일체로 형성되고, 여기서 거치대설치부(21a)는 직사각형상의 개구부(구멍)이며, 거치대설치부(21a)의 가장자리에는 맞은편 제2사이드레일(21)를 향해 수평방향으로 돌출된 보강편(21a-1)이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사이드레일(21)의 일단부(또는 양단부)에는 제1연결구(13)와 상호 대응되는 관 형상의 제2연결구(23)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사이드레일(21) 사이에는 제2렁(22)이 배치된다.
상기 제2렁(22)은 제2사이드레일(21)을 상호 연결하고, 전선(L)을 지지하는 부재로, 본 실시 예의 경우 양단이 제2사이드레일(21)의 내면에 맞대어지게 제2사이드레일(21) 사이에 배치되어 체결수단(나사볼트)을 매개로 제2사이드레일(21)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제2사이드레일(21) 사이에는,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제2사이드레일(21)과 직교를 이루는 소화액받이(24)가 수평방향으로 배치되어, 소화액받이(24)의 양측면이 제2사이드레일(21)과 일체를 이루되, 소화액받이(24)는 제1사이드레일(11)의 상면보다는 위에 배치되고, 거치대설치부(21a)보다는 아래에 배치되도록 설치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지지대연결유닛(30)은 볼트(31)와 너트(32) 및 스프링(33)으로 구성된 것으로, 본 실시 예의 경우 제1·2연결구(13,23)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제1·2전선지지대(10,20)를 상호 연결 및 제1·2전선지지대(10,20) 사이를 완충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볼트(31)는 장볼트로, 일단부가 제1연결구(13)에 걸림된 상태로 제1·2연결구(13,23)에 관통되게 끼워진다.
이렇게 끼워진 볼트(31)의 말단부에는 너트(32)가 체결되어 볼트(31)와 함께 제1·2전선지지대(10,20)의 분리를 막는다.
또한, 상기 스프링(33)은 제1·2연결구(13,23) 사이에 배치되어 제1·2연결구(13,23)를 관통하는 볼트(31)에 끼워져서 제1·2전선지지대(10,20) 사이를 완충한다.
도 1과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행거유닛(40)은 블록가이더(41)와 무빙블록(42), 클립부(43) 및 전선거치대(44)로 구성된 것으로, 본 실시 예의 경우 소화액받이(24)의 하면에 좌우이동 및 접거나 펼칠 수 있게 설치되어 전선 가설시 구별이 필요한 전선을 구분 거치하기 용도 및 기존 전선과의 간섭회피를 위한 용도로 사용한다.
상기 행거유닛(40)의 설치 갯 수는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상기 블록가이더(41)는 내부가 양단과 하방으로 개구된 부재로, 제2렁(22)과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소화액받이(24)의 하면에 설치되어, 내측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무빙블록(42)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무빙블록(42)은 블록가이더(41)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블록가이더(41)의 하방으로 돌출되고, 돌출된 부분에는 전선거치대(44)의 일단부가 핀(미부호)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클립부(43)는 블록가이더(41)의 후방으로 배치되고, 소화액받이(24)의 하면에 설치되며, 전선거치대(44)의 타단부를 탄성력을 매개로 착탈가능하게 고정한다.
상기 전선거치대(44)는 전선(케이블 포함)을 거치할 수 있게 열십자(十) 형상으로 제작된 부재로, 일단부는 무빙블록(4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부는 클립부(43)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며, 전선(L)의 가설방향으로 펼쳐서 구분이 필요한 전선이 제2렁(22)으로부터 이격되어 따로 거치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소화액가이더(50)는 안내판(51)과 차단판(52)으로 구성된 것으로, 본 실시 예의 경우 소화액받이(24)보다 하부에 배치되도록 일단부가 제2사이드레일(21) 사이에 배치되어 제2사이드레일(21)과 체결수단(볼트와 너트)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제1전선지지대(10)의 상면에 얹혀져서 하향경사지게 배치되며, 소화액받이(24)를 통해 전달받은 소화액이 제1전선지지대(10)로 안내되는 과정에 다수의 배출공(51a)을 통해 자연스럽게 분산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안내판(51)은 일정 두께를 갖는 플레이트로, 상면에는 소화액이 배출되는 다수의 배출공(51a)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안내판(51)의 양단에는 상방으로 절곡된 차단판(52)이 일체로 형성되며, 차단판(52)은 소화액이 유동되는 과정에 측방으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일 예로, 상기 소화액가이더(50)는 일단부가 제2전선지지대(20)에 설치되고, 타단이 제1전선지지대(10)의 상면에 얹혀져서 하향경사지게 배치된다. 이와 같이 배치된 상태에서 소화액받이(24)를 통해 소화액이 소화액가이더(50)로 유입되면, 유입된 소화액은 경사진 소화액가이더(50)를 따라 흐르게 되는데, 이 과정에 다수의 배출공(51a)을 통해 소화액이 배출되면서 가설된 전선(L)으로 떨어짐에 따라 전선(L)에 화재발생시 신속하게 진압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소화기거치대(60)는 안착프레임(61)과 축결합부(62)로 구성된 것으로, 본 실시 예의 경우 거치대설치부(21a)에 배치되어 거치대회전모터(70)에 의해 회전되며, 수용되는 소화기(90)를 거치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안착프레임(61)은 소화기(90)를 내측에 수용할 수 있게 제작한 구조체로, 거치대설치부(21a)의 폭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폭으로 제작되고, 거치대설치부(21a)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며, 소화기(90)가 착탈가능하게 수용되며, 소화기(90)가 파괴시 소화액이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게 상하좌우가 개방된 구조이다.
상기 축결합부(62)는 안착프레임(61)의 일면(소화기가 수용되는 반대편 쪽) 중간에 수직하게 형성되는데, 축결합부(62)의 내주면에는 회전축(71)의 삽입시, 회전축(71)의 키홈(71a)과 맞물려 일체형을 이루는 키(62a)가 일체로 형성된다.
도 1 내지 도 4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거치대회전모터(70)는 거치대설치부(21a)가 마련된 제2사이드레일(21)의 상부 플랜지의 상면에 설치되어 제어부(120)로부터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소화기거치대(60)를 수직축을 중심으로 시계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거치대회전모터(70)는 제2사이드레일(21)의 상부 플랜지(도 4 참조)와 보강편(21a-1) 및 축결합부(62)에 관통되게 끼워지는 회전축(71)을 구비하며, 회전축(71)에는 축결합부(62)의 키(62a)와 맞물려 일체형을 이루는 키홈(71a)이 일체로 형성된다.
도 1 내지 도 4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타격기구(80)는 타격봉회전모터(81)와 타격봉(82)으로 구성된 것으로, 본 실시 예의 경우 거치대설치부(21a)가 마련된 제2사이드레일(21)의 상부 플랜지의 상면에 설치되어 제어부(120)로부터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소화기(90)를 타격해 파괴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타격봉(81)은 소화기(90)를 타격해 파괴하는 부재로, 타격봉회전모터(82)의 축에 고정된다.
상기 타격봉회전모터(82)는 제2사이드레일(21)의 상면에 설치되며, 제어부(120)로부터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타격봉(82)을 수평축을 중심으로 시계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소화기(90)는 유리재질의 탱크에 화재진압을 위한 소화액(투척식 소화기에 충진된 액체)이 충진된 공지의 것으로, 소화기거치대(60)의 안착프레임(61)에 착탈가능하게 수용된다.
상기 소화기(90)는 타격기구(80)에 의해 파괴되기 전의 위치가 어디인지에 따라 소화액을 제2전선지지대(20)의 바깥쪽에서 유출(집중소화)할 수도 있고, 제2전선지지대(20)의 안쪽에서 유출(분산소화)할 수도 있다.
도 1과 도 2, 도 6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설치류 퇴치유닛(100)은 저장용기(101)와 근접센서(102) 및 송풍팬(103)으로 구성된 것으로, 본 실시 예의 경우 제2전선지지대(20)에 설치되어 설치류의 접근시 이를 감지 및 퇴치함으로써 전선(L)을 안전하게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저장용기(101)는 직육면체 형상을 이루되, 내부는 퇴치분말(P)이 수용될 수 있게 공간부가 마련되어 있고, 상면에는 송풍팬(103)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게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구멍을 기준으로 전·후면에는 내부에 수용된 퇴치분말(P)이 외부로 배출(소화액가이더를 향해 배출)될 수 있게 다수개의 분사구(101a)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퇴치분말(P)은 후각에 민감한 설치류가 싫어하는 후추, 고추, 계피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저장용기(101)는 거치대설치부(21a)와 서로 마주보게 제2사이드레일(21)의 내면에 설치되고, 소화액받이(24)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상기 근접센서(102)는 저장용기(101)에 설치되어, 설치류의 접근을 감지하여 제어부(120)로 출력하는 역할을 하며, 필요에 따라 근접센서(102)의 설치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송풍팬(103)은 저장용기(101)의 내부와 상호 연통되게 저장용기(101)의 상면에 형성된 구멍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제어부(120)로부터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저장용기(101)의 내부로 바람을 강제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참고로, 상기 근접센서(102) 및 송풍팬(103)은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다.
일 예로, 상기 송풍팬(103)이 동작제어되어 저장용기(101)의 내부로 바람을 강제로 주입하게 되면, 저장용기(101)의 내부에 수용된 퇴치분말(P)은 분사구(101a)를 통해 배출되어 소화액가이더(50) 및 그 주변으로 분사되므로 후각에 민감한 설치류는 퇴치분말(P)의 냄새를 감지하고 도망가게 된다.
도 1 내지 도 4와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안전사고감지유닛(110)은 슬리브(111)와 링크볼트(112), 기준너트(113), 제1·2위치감지센서(114A,114B), 스토퍼너트(115) 및 경광등(116)으로 구성된 것으로, 본 실시 예의 경우 일측이 제1전선지지대(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타측이 제2전선지지대(2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전선지지대(10,20) 간의 사이 간격이 설정된 범위를 벗어날 경우 이를 주변으로 신속하게 알려 줌으로서 만일에 있을 안전사고에 대비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슬리브(111)는 내부가 관통된 원형의 단면을 갖는 관 형상의 부재로, 제1연결구(13)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도록 제1사이드레일(11)의 말단부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슬리브(111)는 외주면에 일체로 형성된 나사볼트(미부호)가 제1사이드레일(11)에 관통 및 회전가능하게 끼워진 상태에서 너트(도 3 참조)를 매개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슬리브(111)의 일단에는 걸림턱(111a)이 일체로 마련되며, 걸림턱(111a)은 기준너트(113)의 이탈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링크볼트(112)는 일단부가 제2사이드레일(21)에 배치되어 체결수단(볼트와 너트)을 매개로 제2사이드레일(2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부가 슬리브(111)에 관통되게 끼워진다.
상기 기준너트(113)는 링크볼트(112)에 체결되어, 슬리브(111)에 내설된다.
상기 제1·2위치감지센서(114A,114B)는 공지의 비접촉식 센서로서, 슬리브(111)의 양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슬리브(111)를 따라 이동하는 기준너트(113)를 감지하여 제어부(120)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스토퍼너트(115)는 링크볼트(112)의 말단부에 체결되어, 슬리브(111)로부터 링크볼트(112)가 이탈되는 것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경광등(116)은 제2렁(22)의 하면에 설치되며, 제어부(120)로부터 동작제어신호를 입력받아 동작제어되어 주변으로 경광 불빛을 방출하는 역할을 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사고방지 기능 향상 공동주택 전선고정기구의 작용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이를 도 1과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화기(90)가 수용된 소화기거치대(60)가 제2전선지지대(20)의 외부(우측)로 노출되게 배치되어 있다.
이때, 공동주택(예:지하주차장)에서 화재가 발생할 경우, 화재감지센서(130)가 화재를 감지하여 제어부(120)로 출력하게 되고, 제어부(120)는 화재감지센서(130)로부터 화재신호를 입력받아 화재상태를 판단하게 된다.
참고로, 상기 화재감지센서(130)는 하나 또는 둘 이상(131,132)일 수 있으며, 서로 다른 종류의 센서를 조합한 것일 수도 있다. 또한 화재감지센서(130)는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120)에서 판단해 본 결과, 전선(L)에서 발생한 화재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20)는 타격기구(80)를 구성하는 타격봉(82)이 수평축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타격봉회전모터(81)를 동작제어하게 되고, 타격봉(82)은 회전되어 소화기(90)를 강하게 타격해 파괴하게 되며, 소화기(90)는 타격봉(82)에 의해 파괴되어 내부에 소화액이 일시에 공동주택(예:지하주차장)의 바닥으로 쏟아져 내리게 된다.
상기와 같이 소화기(90)로부터 일시에 소화액이 공동주택(예:지하주차장)의 바닥으로 쏟아져 내림(집중소화방식)에 따라 공동주택(예:지하주차장)의 바닥에서 일어난 화재를 순식간에 진압할 수 있어 매우 유용하다.
도 10a 내지 도 10d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사고방지 기능 향상 공동주택 전선고정기구의 다른 작용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이를 도 1과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화기(90)가 수용된 소화기거치대(60)가 제2전선지지대(20)의 외부(우측)로 노출되게 배치되어 있다.
이때, 공동주택(예:지하주차장)에서 화재가 발생할 경우, 화재감지센서(130)가 화재를 감지하여 제어부(120)로 출력하게 되고, 제어부(120)는 화재감지센서(130)로부터 화재신호를 입력받아 화재상태를 판단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120)에서 판단해 본 결과, 전선(L)에서 발생한 화재라고 판단되면,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20)는 우선 거치대회전모터(70)를 동작제어하여 제2전선지지대(20)의 외부(우측)로 노출되어 있는 소화기거치대(60)가 제2전선지지대(20)의 내부(내측)에 배치되도록 한 다음, 타격기구(80)를 동작제어한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거치대회전모터(70)는 제어부(120)에 의해 동작제어되어 회전축(71)을 수직축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고, 회전축(71)과 축결합부(62)를 매개로 일체형으로 연결된 소화기거치대(60)는 회전축(71)의 회전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서 수용된 소화기(90)와 함께 제2전선지지대(20)의 내부(내측)에 배치된다.
도 10b 및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20)는 타격기구(80)를 구성하는 타격봉(82)이 수평축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타격봉회전모터(81)를 동작제어하게 되고, 타격봉(82)은 회전되어 소화기(90)를 강하게 타격해 파괴하게 되며, 소화기(90)는 타격봉(82)에 의해 파괴되어 내부에 소화액이 일시에 소화액받이(24)로 쏟아져 내리게 된다.
도 10d를 참조하면, 이와 같이 소화액받이(24)로 쏟아져 내린 소화액은 경사지게 배치된 소화액가이더(50)를 따라 흐르게 되고, 소화액가이더(50)를 따라 흐르는 과정에 다수의 배출공(51a)을 통해 소화액이 분산배출되면서 가설된 전선(L)으로 떨어짐에 따라 전선(L)에 화재를 신속하게 진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화재상태에 따라 소화방식을 집중식 또는 분산식으로 선택 및 전환하여 상황에 맞는 화재진압을 실현할 수 있어 매우 유용하다.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사고방지 기능 향상 공동주택 전선고정기구의 또 다른 작용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1과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선(L)이 제1·2전선지지대(10,20)의 내측으로 수용되어 제1·2렁(12,22) 상에 가설되어 있다.
이때, 구별이 필요한 전선(L')이 있거나 구별이 필요한 전선(L')을 가설하고자 하는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행거유닛(40)을 구성하는 전선거치대(44)의 타단부를 클립부(43)로부터 이탈시켜 준 다음, 지지부(41)의 축핀을 중심으로 전선거치대(44)를 회전시켜 수직하게 세워준다.
상기와 같이 전선거치대(44)가 수직하게 세워지면,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별이 필요한 전선(L')을 전선거치대(44)에 가설해 주면 된다.
한편, 기존에 가설된 전선(L)과의 간섭이 우려되거나, 새로 가설하고자 하는 전선(L)과의 간섭이 우려되는 경우에는,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선거치대(44)를 무빙블록(42)을 매개로 블록가이더(41)를 따라 좌우로 이동시켜 주게 되면, 별도의 확장공간이 마련되기 때문에 전선(L) 간의 회피가 가능해지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행거유닛(40)을 이용해 구별이 필요한 전선(L)을 구분 가설해 줌에 따라 시설물관리가 보다 편리해지고 용이해지며, 위치이동을 통해 기존에 가설된 전선(L) 또는 신규 가설되는 전선(L)과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어 시설물관리가 한층 더 편리해지는 이점이 있다.
한편, 도 1과 같이 설치된 상태에서, 설치류가 소화액가이더(50)를 타고 접근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치류가 소화액가이더(50)를 타고 접근할 경우, 근접센서(102)가 설치류의 접근을 감지하여 제어부(120)로 출력하게 되고, 제어부(120)는 송풍팬(103)이 작동될 수 있게 동작제어하게 된다.
이를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제어부(120)의 제어신호에 의해 송풍팬(103)이 동작제어되어 저장용기(101)의 내부로 바람을 강제로 주입하게 되고, 저장용기(101)의 내부에 수용된 퇴치분말(P)은 분사구(101a)를 통해 배출되어 소화액가이더(50) 및 그 주변으로 분사된다.
이에 따라 후각에 민감한 설치류는 퇴치분말(P)의 냄새를 감지하고 도망가게 되므로 전선(L)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지진이나 외부 충격이 발생하거나 반복적인 진동이 가해지게 되면, 각 구조물 간의 결속력이 약해지는 문제를 야기할 수 있는데,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사고방지 기능 향상 공동주택 전선고정기구의 또 다른 작용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이를 도 7과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 제1전선지지대(10)와 제2전선지지대(20)는 설정된 범위 내에 세팅되어 있다.
일 예로, 상기 제2전선지지대(20)는 고정된 상태이고, 제1전선지지대(10)만 유동된다고 가정하여 설명해 보면 다음과 같다.
도 1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전선지지대(20)가 제1전선지지대(10)를 향해 이동하게 되면, 슬리브(111) 및 제1·2위치감지센서(114A,114B)도 함께 이동하게 되며, 이 과정에 제1위치감지센서(114A)가 기준너트(113)를 감지하여 제어부(120)로 감지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이에 상기 제어부(120)는 경광등(116)이 작동될 수 있게 동작제어하게 되고, 제어부(120)의 동작제어신호에 의해 경광등(116)은 동작제어되어 주변으로 경광 불빛을 방출하게 된다.
반대로, 도 1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전선지지대(20)가 제1전선지지대(10)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슬리브(111) 및 제1·2위치감지센서(114A,114B)도 함께 이동하게 되며, 이 과정에 제2위치감지센서(114B)가 기준너트(113)를 감지하여 제어부(120)로 감지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이에 상기 제어부(120)는 경광등(116)이 작동될 수 있게 동작제어하게 되고, 제어부(120)의 동작제어신호에 의해 경광등(116)은 동작제어되어 주변으로 경광 불빛을 방출하게 된다.
이와 같이 주변으로 경광 불빛을 방출해 알려 줌에 따라 시설물관리자는 해당 불빛을 보고 신속하게 시설물을 점검할 수 있기 때문에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불빛을 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필요에 따라 음향(스피커)도 더 부가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어부(12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있어서 당연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 제1전선지지대 11: 제1사이드레일 12: 제1렁
13: 제1연결구 20: 제2전선지지대 21: 제2사이드레일
21a: 거치대설치부 21a-1: 보강편 22: 제2렁
23: 제2연결구 24: 소화액받이 30: 지지대연결유닛
31: 볼트 32: 너트 33: 스프링
40: 행거유닛 41: 블록가이더 42: 무빙블록
43: 클립부 44: 전선거치대 50: 소화액가이더
51: 안내판 51a: 배출공 52: 차단판
60: 소화기거치대 61: 안착프레임 62: 축결합부
62a: 키 70: 거치대회전모터 71: 회전축
71a: 키홈 80: 타격기구 81: 타격봉회전모터
82: 타격봉 90: 소화기 100: 설치류 퇴치유닛
101: 저장용기 101a: 분사구 102: 근접센서
103: 송풍팬 110: 안전사고감지유닛 111: 슬리브
111a: 걸림턱 112: 링크볼트 113: 기준너트
114A,114B: 제1·2위치감지센서 115: 스토퍼너트
116: 경광등 120: 제어부 130: 화재감지센서
A: 지지대 B: 전산볼트 C: 천정
L: 전선 P: 퇴치분말
13: 제1연결구 20: 제2전선지지대 21: 제2사이드레일
21a: 거치대설치부 21a-1: 보강편 22: 제2렁
23: 제2연결구 24: 소화액받이 30: 지지대연결유닛
31: 볼트 32: 너트 33: 스프링
40: 행거유닛 41: 블록가이더 42: 무빙블록
43: 클립부 44: 전선거치대 50: 소화액가이더
51: 안내판 51a: 배출공 52: 차단판
60: 소화기거치대 61: 안착프레임 62: 축결합부
62a: 키 70: 거치대회전모터 71: 회전축
71a: 키홈 80: 타격기구 81: 타격봉회전모터
82: 타격봉 90: 소화기 100: 설치류 퇴치유닛
101: 저장용기 101a: 분사구 102: 근접센서
103: 송풍팬 110: 안전사고감지유닛 111: 슬리브
111a: 걸림턱 112: 링크볼트 113: 기준너트
114A,114B: 제1·2위치감지센서 115: 스토퍼너트
116: 경광등 120: 제어부 130: 화재감지센서
A: 지지대 B: 전산볼트 C: 천정
L: 전선 P: 퇴치분말
Claims (1)
- 나란하게 이격배치되는 제1사이드레일(11)과, 제1사이드레일(11) 사이에 배치되고, 체결수단을 매개로 제1사이드레일(11)에 고정되어, 전선(L)을 지지하는 제1렁(12)과, 제1사이드레일(11)의 말단부에 형성되는 제1연결구(13)로 구성된 제1전선지지대(10);
제1사이드레일(11)의 상하 폭보다는 상대적으로 더 길고, 제1사이드레일(11)의 좌우 폭보다는 상대적으로 더 짧게 제작되어 나란하게 이격배치되며, 상단부에 거치대설치부(21a)가 마련된 제2사이드레일(21)과, 제2사이드레일(21) 사이에 배치되고, 체결수단을 매개로 제2사이드레일(21)에 고정되어, 전선(L)을 지지하는 제2렁(22)과, 제1연결구(13)와 상호 대응되게 제2사이드레일(21)의 단부에 형성되는 제2연결구(23)와, 제1사이드레일(11)의 상면과 거치대설치부(21a) 사이에 배치되고, 양단이 제2사이드레일(21)의 내면에 맞대어져 제2사이드레일(21)과 일체를 이루는 소화액받이(24)로 구성된 제2전선지지대(20);
제1·2연결구(13,23)에 관통되게 끼워지되, 일단부가 제1연결구(13)에 걸림되는 볼트(31)와, 볼트(31)의 말단부에 체결되어 볼트(31)와 함께 제1·2전선지지대(10,20)의 분리를 막는 너트(32)와, 제1·2연결구(13,23) 사이를 완충하는 스프링(33)으로 구성된 지지대연결유닛(30);
제2렁(22)과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소화액받이(24)의 하면에 설치되는 블록가이더(41)와, 블록가이더(41)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무빙블록(42)과, 소화액받이(24)의 하면에 설치되는 클립부(43)와, 일단부가 무빙블록(42)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부가 클립부(43)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며, 전선(L)의 가설방향으로 펼쳐서 구분이 필요한 전선을 제2렁(22)으로부터 이격시켜 따로 거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전선거치대(44)로 구성된 행거유닛(40);
소화액받이(24)보다 하부에 배치되도록 일단부가 제2사이드레일(21) 사이에 배치되어 제2사이드레일(21)과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제1전선지지대(10)의 상면에 얹혀져서 하향경사지게 배치되며, 가설된 전선(L)을 향해 소화액을 배출하는 다수의 배출공(51a)을 갖춘 소화액가이더(50);
거치대설치부(21a)의 폭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폭으로 제작되고, 거치대설치부(21a)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며, 소화기(90)가 착탈가능하게 수용되는 안착프레임(61)과, 안착프레임(61)의 일면 중간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축결합부(62)로 구성된 소화기거치대(60);
축결합부(62)에 관통되게 끼워져 일체형을 이루는 회전축(71)을 갖추고서, 제2사이드레일(21)의 상면에 설치되어, 제어부(120)로부터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소화기거치대(60)를 회전시키는 거치대회전모터(70);
소화기(90)를 타격해 파괴하는 타격봉(81)과, 제2사이드레일(21)의 상면에 설치되어, 제어부(120)로부터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타격봉(82)을 회전시키는 타격봉회전모터(82)로 구성된 타격기구(80);
안착프레임(61)에 수용되며, 내부에 액상의 소화약재가 충진된 유리재질의 소화기(90);
거치대설치부(21a)와 서로 마주보게 제2사이드레일(21)의 내면에 설치되되, 소화액받이(24)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배치되고, 내부에 퇴치분말(P)이 수용되며, 내부에 수용된 퇴치분말(P)이 소화액가이더(50)를 향해 배출될 수 있도록 내부와 상호 연통된 다수개의 분사구(101a)를 구비하는 저장용기(101)와, 저장용기(101)에 설치되어, 설치류의 접근을 감지하여 제어부(120)로 출력하는 근접센서(102)와, 저장용기(101)의 내부와 상호 연통되게 저장용기(101)의 상면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제어부(120)로부터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저장용기(101)의 내부로 바람을 강제공급하는 송풍팬(103)으로 구성된 설치류 퇴치유닛(100);
제1사이드레일(11)의 말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관 형상의 슬리브(111)와, 일단부가 제2사이드레일(2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부가 슬리브(111)에 관통되게 끼워지는 링크볼트(112)와, 링크볼트(112)에 체결되어, 슬리브(111)에 내설되는 기준너트(113)와, 슬리브(111)의 양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슬리브(111)를 따라 이동하는 기준너트(113)를 감지하여 제어부(120)로 출력하는 제1·2위치감지센서(114A,114B)와, 링크볼트(112)의 말단부에 체결되어, 슬리브(111)로부터 링크볼트(112)가 이탈되는 것을 제한하는 스토퍼너트(115)와, 제2렁(22)의 상면에 설치되며, 제어부(120)로부터 동작제어신호를 입력받아 동작제어되어 주변으로 경광불빛을 방출하는 경광등(116)으로 구성된 안전사고감지유닛(11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사고방지 기능 향상 공동주택 전선고정기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108859A KR102624738B1 (ko) | 2023-08-21 | 2023-08-21 | 안전사고방지 기능 향상 공동주택 전선고정기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108859A KR102624738B1 (ko) | 2023-08-21 | 2023-08-21 | 안전사고방지 기능 향상 공동주택 전선고정기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624738B1 true KR102624738B1 (ko) | 2024-01-12 |
Family
ID=89541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108859A KR102624738B1 (ko) | 2023-08-21 | 2023-08-21 | 안전사고방지 기능 향상 공동주택 전선고정기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24738B1 (ko)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06694B1 (ko) * | 2006-12-28 | 2007-04-13 | 주식회사 선진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 사무소 | 건축물내에 설치되는 케이블 지지트레이의 화재 확산방지장치 |
KR20110003727A (ko) * | 2009-07-06 | 2011-01-13 | 이정미 | 조류퇴치장치 |
KR101597610B1 (ko) * | 2015-07-31 | 2016-02-25 | 김기동 | 배전의 안전성을 향상시킨 배전선로 구조 |
KR101848848B1 (ko) | 2017-09-26 | 2018-04-16 | 주식회사 토문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 케이블설치가 용이한 건축물용 전기 케이블 트레이 |
KR20190005023A (ko) * | 2017-07-05 | 2019-01-15 | 아인텍(주) | 내진형 케이블 트레이 |
-
2023
- 2023-08-21 KR KR1020230108859A patent/KR10262473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06694B1 (ko) * | 2006-12-28 | 2007-04-13 | 주식회사 선진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 사무소 | 건축물내에 설치되는 케이블 지지트레이의 화재 확산방지장치 |
KR20110003727A (ko) * | 2009-07-06 | 2011-01-13 | 이정미 | 조류퇴치장치 |
KR101597610B1 (ko) * | 2015-07-31 | 2016-02-25 | 김기동 | 배전의 안전성을 향상시킨 배전선로 구조 |
KR20190005023A (ko) * | 2017-07-05 | 2019-01-15 | 아인텍(주) | 내진형 케이블 트레이 |
KR101848848B1 (ko) | 2017-09-26 | 2018-04-16 | 주식회사 토문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 케이블설치가 용이한 건축물용 전기 케이블 트레이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431474B1 (ko) | 전기자동차 충전소의 화재진압 수조 | |
KR101679713B1 (ko) | 안전성이 향상된 소방용 제연장치 | |
US5644111A (en) | Elevator hatch door monitoring system | |
KR102308608B1 (ko) | 신속하게 화재를 감지할 수 있는 화재감지기능 탑재 소방장치 | |
KR102371807B1 (ko) | 전력구내 설치가 용이한 기능성 향상 지중배전선 지지장치 | |
KR100676475B1 (ko) | 공동주택의 베란다에 설치되는 화재확산 방지장치 | |
KR101887029B1 (ko) | 안전성이 향상된 소방용 제연장치 | |
KR101246281B1 (ko) | 지중 송·배전 전선용 지지장치 | |
US5664688A (en) | Vertical installation system in which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es are installed | |
WO1996035630A9 (en) | Elevator hatch door monitoring system | |
US20130264074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Fire Suppression in Residential Attics and Basements | |
KR101982659B1 (ko) | 건축물 화재 발생시 긴급 소방지원시스템 | |
KR102624738B1 (ko) | 안전사고방지 기능 향상 공동주택 전선고정기구 | |
KR102292268B1 (ko) | 지중 배전케이블의 보호시설 | |
KR102202565B1 (ko) | 내진구조를 갖는 소방용 대피장치 | |
KR102624737B1 (ko) | 전기케이블 보호용 안전성 향상 건축물 트레이 | |
JP2024095822A (ja) | 非常用設備及び消火器収納装置 | |
KR102624734B1 (ko) | 완충기능을 갖춘 안전형 건축물 배전선 보호기기 | |
KR101566452B1 (ko) | 수직구 추락 안전장치 | |
KR101715373B1 (ko) | 화재 발생시 대피기능을 갖춘 소방용 공동주택 발코니 | |
KR101765036B1 (ko) | 건축공간 화재 진압용 자동 소방 장치 | |
KR102624735B1 (ko) | 공동주택의 전선케이블 서포팅기구 | |
DE8913487U1 (de) | Löschvorrichtung für Schaltschränke | |
KR101700216B1 (ko) | 건물 발코니에 구비된 방화 장치 | |
KR101922174B1 (ko) | 전개형 화재 대피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