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7237B1 - 화재감지가 가능한 공동주택용 전선지지기구 - Google Patents
화재감지가 가능한 공동주택용 전선지지기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47237B1 KR102547237B1 KR1020220121336A KR20220121336A KR102547237B1 KR 102547237 B1 KR102547237 B1 KR 102547237B1 KR 1020220121336 A KR1020220121336 A KR 1020220121336A KR 20220121336 A KR20220121336 A KR 20220121336A KR 102547237 B1 KR102547237 B1 KR 10254723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ire
- fire
- side rail
- support bar
- bar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abstract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7665 sag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2683 ag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927 fu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79 smok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29 sup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06—Details thereof
- H02G3/0412—Heat or fire protective mean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16—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electrical installations, e.g. cableway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3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H—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G01H1/00—Measuring characteristics of vibrations in solids by using direct conduction to the detector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56—Ladders or other suppor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선지지기구본체(100)와 가변형 전선지지유닛(200), 진동감지센서(300), 화재감지센서(400), 솔레노이드(500), 제어부(600) 및 소화기(700)로 구성된 화재감지가 가능한 공동주택용 전선지지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이에 의하면 전선(L)을 쉽고 간편하게 가설할 수 있음은 물론 전선(L)을 구분하여 가설할 수 있고, 이동 가능한 가변형 전선지지유닛(200)을 이용하여 인접한 가변형 전선지지유닛(200)을 보강해 줌으로서 다발형태로 묶인 전선(L)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며, 지진과 같은 진동발생시 전선(L)을 가압 및 고정해 전선(L)의 추락 등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으며, 화재를 신속하게 감지 및 진압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화재감지가 가능한 공동주택용 전선지지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터널, 공장, 해양 구조물 등에는 전원이나 유체 등의 공급을 위해 크고 작은 직경의 케이블(전선)이 천정 및 바닥 또는 벽체를 따라 배치된다.
이렇게 배치된 케이블(전선)을 외력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통상 케이블 트레이라 불리는 전선지지기구를 이용하게 되며, 전선지지기구는 건물의 벽면 또는 천장에 전산볼트를 매개로 매달리듯 설치된다.
이러한 전선지지기구는 전반적으로 일정한 길이를 가지고 좌·우측에 각각 위치되는 한 쌍의 사이드레일과, 사이드레일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결합되는 렁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전선지지기구는 단순히 천정에 설치된 상태에서 가설되는 전선을 지지하는 용도 이외에 별다른 기능을 가지고 있지 않았으며, 특히 지진과 같은 진동이 가해질 경우 가설된 전선을 고정할 수 없어 전선의 이탈은 물론 처짐으로 인한 전선의 단선을 유발하는 등의 문제가 종종 있었으며, 화재발생시에는 신속한 진압이 어려움으로 인해 가설된 전선의 보호가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전선을 개별적으로 구분하여 가설하거나 전선을 구분하지 않고 가설하는 것이 가능하고, 사이드레일에 설치되는 가변형 지지유닛의 이동 및 고정이 자유로움은 물론 이동 가능한 가변형 전선지지유닛을 이용하여 인접한 가변형 전선지지유닛을 보강해 줌으로서 다발형태로 묶인 배전선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며, 지진과 같은 진동발생시 전선을 가압 및 고정해 전선의 추락 등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으며, 화재를 신속하게 감지 및 진압할 수 있는 화재감지가 가능한 공동주택용 전선지지기구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클립삽입부를 갖추고서 나란하게 이격배치되며, 정면에서 본 모양이‘ㄷ’자 형상인 사이드레일과,
사이드레일의 내부 상단부와 하단부에 각각 배치되며 양단이 사이드레일의 내면에 맞대어져 체결수단을 매개로 사이드레일에 고정되는 렁과,
렁 사이에 배치되게 사이드레일의 내면에 설치되는 평면에 본 모양이‘ㄷ’자 형상인 가이드바와,
양단부가 가이드바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어 렁 사이에 배치되는 전선가압구와,
렁과 전선가압구 사이에 설치되어 전선가압구를 하방으로 탄발지지하는 제1스프링과,
전선가압구의 하면에 설치되는 탄성패드로 구성된 전선지지기구본체:
사이드레일 사이에 배치되되, 내부 양단은 사이드레일을 향해 개구되고, 외주면에는 오목하게 호형으로 함몰된 수납부와, 수납부와 직교를 이루는 방향으로 오목하게 함몰된 기립부가 마련된 지지바와,
지지바의 양단부에 체결되는 커버와,
클립삽입부에 삽탈가능하게 끼워지는 클립부, 클립부로부터 연장되어 커버에 관통되게 끼워지는 연결바, 연결바의 말단에 설치되며 지지바에 수용되는 푸셔, 클립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클립부를 클립삽입부로부터 이탈시키는 핸들로 이루어진 레일연결구와,
지지바의 내부에 수용되어 푸셔를 사이드레일을 향해 탄발지지하는 제2스프링과,
지지바에 관통되게 끼워져 승강 및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지주, 지주의 상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수납부에 수용되어 보관되거나 기립부에 끼워져 지지되는 호형바, 지주의 하단에 결합되어 지지바로부터의 이탈을 제한하는 스토퍼, 지지바와 스토퍼 사이에 배치되게 지지바에 결합되어 스토퍼를 하방으로 탄발지지하는 제3스프링으로 이루어진 전선분할구로 구성된 가변형 전선지지유닛:
사이드레일에 설치되어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감지센서:
사이드레일에 설치되어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감지센서:
사이드레일에 설치되어 전선가압구를 고정 및 해제하는 솔레노이드:
진동감지센서로부터 진동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전선가압구가 낙하될 수 있도록 솔레노이드를 동작제어하고, 화재감지센서로부터 화재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소화기를 동작제어하는 제어부;
상부 렁의 외면으로 노출되는 소방호스를 갖추고서 제어부에 의해 동작제어되어 소방호스로 소화액을 공급하는 소화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선을 쉽고 간편하게 가설할 수 있음은 물론 전선을 구분하여 가설할 수 있고, 이동 가능한 가변형 전선지지유닛을 이용하여 인접한 가변형 전선지지유닛을 보강해 줌으로서 다발형태로 묶인 전선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며, 지진과 같은 진동발생시 전선을 가압 및 고정해 전선의 추락 등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으며, 화재를 신속하게 감지 및 진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재감지가 가능한 공동주택용 전선지지기구의 결합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재감지가 가능한 공동주택용 전선지지기구에서 가변형 전선지지유닛을 따로 발췌하여 보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1의 A - A 단면도.
도 5는 도 1의 B - B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재감지가 가능한 공동주택용 전선지지기구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재감지가 가능한 공동주택용 전선지지기구의 작용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재감지가 가능한 공동주택용 전선지지기구의 다른 작용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재감지가 가능한 공동주택용 전선지지기구에서 가변형 전선지지유닛을 따로 발췌하여 보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1의 A - A 단면도.
도 5는 도 1의 B - B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재감지가 가능한 공동주택용 전선지지기구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재감지가 가능한 공동주택용 전선지지기구의 작용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재감지가 가능한 공동주택용 전선지지기구의 다른 작용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재감지가 가능한 공동주택용 전선지지기구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재감지가 가능한 공동주택용 전선지지기구에서 가변형 전선지지유닛을 따로 발췌하여 보인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도 1의 A - A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1의 B - B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화재감지가 가능한 공동주택용 전선지지기구는 전선지지기구본체(100)와 가변형 전선지지유닛(200), 진동감지센서(300), 화재감지센서(400), 솔레노이드(500), 제어부(600) 및 소화기(700)로 구성된 것으로서, 이에 의하면 전선(L)을 쉽고 간편하게 가설할 수 있음은 물론 전선(L)을 구분하여 가설할 수 있고, 이동 가능한 가변형 전선지지유닛(200)을 이용하여 인접한 가변형 전선지지유닛(200)을 보강해 줌으로서 다발형태로 묶인 전선(L)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며, 지진과 같은 진동발생시 전선(L)을 가압 및 고정해 전선(L)의 추락 등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으며, 화재를 신속하게 감지 및 진압할 수 있는 기술적인 특징이 있다.
도 1과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전선지지기구본체(100)는 사이드레일(110)과 렁(120), 가이드바(130), 전선가압구(140), 제1스프링(150) 및 탄성패드(160)로 구성된 것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건축물의 천정에 매달려 전선(L)이 가설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사이드레일(110)은 정면에서 본 모양이‘ㄷ’자 형상을 이루며, 나란하게 이격배치된다. 이러한 사이드레일(110)의 하부플랜지(도 1 및 도 2 참조)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클립삽입부(111:사각형상의 홈)가 일체로 형성되며, 이 클립삽입부(111)에는 가변형 전선지지유닛(200)의 클립부(231)가 삽탈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된다.
상기 렁(120)은 사이드레일(110)의 내부 상단부와 하단부에 각각 배치된다. 이렇게 배치된 상부 렁(120)은 양단부의 상면이 사이드레일(110)의 상부플랜지(도 1 참조)의 하면에 밀착되고, 하부 렁(120)은 양단부의 하면이 사이드레일(110)의 하부플랜지(도 1 참조)의 하면에 밀착된다. 또한, 상부 렁(120)과 하부 렁(120)의 양단은 사이드레일(110)의 내면에 맞대어진 상태에서 체결수단(나사볼트)을 매개로 사이드레일(110)에 고정되며, 이에 따라 한 쌍의 사이드레일(110)과 한 쌍의 렁(120)은 일체형 구조를 이루게 된다. 그리고 상부 렁(120)의 상면에는 소화기(700)가 설치되며, 소화기(700)의 소방호스(710)는 상부 렁(120)의 외면, 즉 전선(L)의 가설방향인 전면과 배면으로 노출되게 설치되어 화재발생시 소화제를 분사하게 된다.
상기 가이드바(130)는 평면에서 본 모양이‘ㄷ’자 형상을 이루는 부재로, 상부 렁(120)과 하부 렁(120) 사이에 배치되게 사이드레일(110)의 내면에 서로 마주보게 설치되어 전선가압구(140)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전선가압구(140)는 소정의 폭과 두께를 갖는 플레이트로, 상부 렁(120)과 하부 렁(120) 사이에 승강가능하게 배치된다. 이러한 전선가압구(140)의 양단부는 가이드바(130)에 승강가능하게 끼워진다.
상기 제1스프링(150)은 통상의 코일스프링으로, 상부 렁(120)과 전선가압구(140) 사이에 설치되어 전선가압구(140)를 하부 렁(120)을 향해 탄발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제1스프링(150)이 상부 렁(120)과 전선가압구(140) 사이에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상부 렁(120)의 하면과 전선가압구(140)의 상면에는 돌기(121,141)가 일체로 마련되고, 돌기(121,141)의 외주면으로 제1스프링(150)의 양단부가 각각 끼워져 고정된다.
상기 탄성패드(160)는 전선가압구(140)의 하면에 설치되는 부재로, 전선가압구(140)와 함께 하강하여 전선(L)을 가압 및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탄성패드(160)는 전선(L)을 가압시 전선(L)의 손상을 주지 않는 고무나 실리콘 재질의 것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가변형 전선지지유닛(200)은 지지바(210)와 커버(220), 레일연결구(230), 제2스프링(240) 및 전선분할구(250)로 구성된 것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사이드레일(110)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전선(L)을 지지하고, 전선(L)을 구분하여 가설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지지바(210)는 원형의 봉으로, 본 실시 예의 경우 사이드레일(110) 사이에 배치된다. 이러한 지지바(210)는 양단 내부가 사이드레일(110)을 향해 개구되어 있고, 내주면에는 커버(220)와 나사결합될 수 있게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지지바(210)의 외주면에는 호형바(252)가 삽입되어 수용될 수 있도록 둘레면을 따라 오목하게 함몰된 수납부(211)가 일체로 형성되고, 수납부(211)와 직교를 이루는 방향으로 오목하게 함몰된 기립부(212)가 일체로 형성되며, 기립부(212)에는 호형바(252)가 끼워져 기립된다.
상기 커버(220)는 지지바(210)의 양단에 개폐가능하게 체결된다.
상기 레일연결구(230)는 클립부(231)와 연결바(232), 푸셔(233) 및 핸들(234)로 구성된 것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커버(220)를 매개로 지지바(210)와 상호 연결되며, 클립삽입부(111)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지지바(210)와 사이드레일(110)을 상호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클립부(231)는‘ㄷ’자 형상의 부재로, 커버(220)를 기준으로 일측에 배치되어 사이드레일(110)의 클립삽입부(111)에 삽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연결바(232)는 클립부(231)로부터 지지바(210)를 향해 수평연장되어 커버(220)의 중앙에 관통되게 끼워져서 커버(220)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특히, 연결바(232)는 다각형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지지바(210)의 회전을 제한하기 위함이다.
상기 푸셔(233)는 커버(220)를 기준으로 일측에 배치되며, 열융착과 같은 통상의 결합방식을 통해 연결바(232)와 일체형 구조를 이룬다. 이러한 푸셔(233)는 지지바(210)의 내부에 수용되어 클립삽입부(111)로부터 클립부(231)를 이탈시 연결바(232)에 의해 이동되면서 제2스프링(240)을 가압하거나 제2스프링(240)의 복원력에 의해 밀리게 되면서 연결바(232)를 매개로 클립부(231)를 사이드레일(110)을 향해 밀게 된다.
상기 핸들(234)은 클립부(231)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막대로, 클립부(231)를 클립삽입부(111)로부터 이탈시키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상기 제2스프링(240)은 통상의 코일스프링으로, 지지바(210)의 양단 내부에 각각 수용되어 푸셔(233)를 사이드레일(110)를 향해 탄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전선분할구(250)는 지주(251)와 호형바(252), 스토퍼(253) 및 제3스프링(254)로 구성된 것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지지바(210)에 승강 및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전선(L)을 구분하여 가설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지주(251)는 막대로, 지지바(210)의 수납부(211)와 기립부(212)가 교차하는 부분에 관통되게 끼워진다. 이렇게 끼워진 상태에서 지주(251)는 승강 및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상기 호형바(252)는 지주(251)의 상단부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진다. 일 예로, 호형바(252)의 양단이 하방을 향하도록 회전시킨 상태에서 수납부(211)에 수용하게 되면, 전선(L)의 구분할 필요없이 가설할 수 있게 되고, 호형바(252)의 양단이 상방을 향하도록 회전시킨 상태에서 기립부(212)에 삽입하게 되면, 지지바(210)의 상부 공간이 자연스럽게 구획됨에 따라 전선(L)을 구분하여 가설할 수 있게 되므로 현장여건에 맞게 적절하게 취사선택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스토퍼(253)는 지주(251)의 하단에 체결되어 지지바(210)로부터 지주(251)의 이탈을 제한하면서 제3스프링(254)의 이탈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3스프링(254)은 통상의 코일스프링으로, 지지바(210)와 스토퍼(253) 사이에 배치되게 지주(251)에 결합되어 스토퍼(253)를 매개로 지주(251)를 하방으로 잡아당기는 역할을 하며, 이에 따라 호형바(252)가 수납부(211) 또는 기립부(212)로부터 무단 이탈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게 된다.
도 1과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진동감지센서(300)는 사이드레일(110)에 설치되어 지진과 같은 진동을 감지해 이를 제어부(600)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화재감지센서(400)는 사이드레일(110)에 설치되어 화재(연기)를 감지해 화재감지신호를 제어부(600)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솔레노이드(500)는 전선가압구(140)를 사이에 두고 사이드레일(110)의 외면에 상호 대향되게 설치되어 전선가압구(140)의 낙하를 단속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솔레노이드(500)는 제어부(600)의 동작신호에 의해 동작제어된다. 일 예로, 제어부(600)에 의해 동작제어되면 로드(510)가 솔레노이드(500)의 내부로 인입되고, 로드(510)에 걸림되어 있던 전선가압구(140)는 걸림 상태가 해제됨에 따라 제1스프링(150)의 복원력에 의해 하방으로 밀리게 되면서 전선가압구(140)의 하면에 설치된 탄성패드(160)가 전선(L)을 가압 및 고정하게 된다. 이에 따라 지진과 같은 진동이 발생하더라도 전선(L)이 가설된 특정위치를 전선가압구(140)가 가압 및 고정해 줌에 따라 전선(L)의 쏠림으로 인한 흐트러짐 및 처짐으로 인한 단선을 최소화해 줄 수 있게 된다.
상기 제어부(600)는 진동감지센서(300)로부터 진동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솔레노이드(500)를 동작제어하고, 화재감지센서(400)로부터 화재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소화기(700)를 동작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소화기(700)는 내부에 소화액이 수용된 통상의 화재진압수단으로서, 상부 렁(120)의 전면과 배면으로 노출되는 소방호스(710)를 구비한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제어부(600)에 의해 동작제어 소화액(또는 소화분말)을 소방호스(710)를 통해 분사하게 된다. 일 예로서, 전선(L)에 화재가 발생한 경우, 화재감지센서(400)가 이를 감지하여 화재감지신호를 제어부(600)로 출력하게 되고, 제어부(600)는 화재감지센서(400)로부터 화재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소화기(700)를 동작제어하게 된다. 그리고 소화기(700)는 제어부(600)에 의해 동작제어되어 내부에 소화액을 배출하게 되는데, 소화기(700)로부터 배출된 소화액은 소방호스(710)를 통해 배출되면서 전선(L)에 붙은 화염을 신속하게 진압하게 되므로 화재로 인한 전선(L)의 전소를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재감지가 가능한 공동주택용 전선지지기구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이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드레일(110)에 가변형 전선지지유닛(200)을 일정간격으로 설치해 준 다음 전선(L)을 가설한다.
한편, 전선(L)을 다발로 가설하는 경우, 가변형 전선지지유닛(200)에 전선(L)의 하중이 집중됨에 따라 가변형 전선지지유닛(200)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해 줄 필요가 있다.
이에,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변형 전선지지유닛(200)을 사이드레일(110)로부터 분리한 다음 하중 분산이 요구되는 가변형 전선지지유닛(200)에 인접설치해 줌으로서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전선(L)을 구분하여 가설하고자 할 경우에는 전선분할구(250)의 호형바(252)를 수납부(211:도 3 참조)로부터 인출한 다음, 기립부(212:도 3 참조)에 설치하고, 설치된 호형바(252)에 구분하고자 하는 전선(L)을 삽입 및 가설해주면 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재감지가 가능한 공동주택용 전선지지기구의 작용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이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과 같이 설치된 상태에서 지진이 발생할 경우, 진동감지센서(300)가 진동을 감지하여 제어부(600)로 출력하게 되고, 제어부(600)는 진동감지센서(300)로부터 진동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솔레노이드(500)를 동작제어하게 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600)에 의해 동작제어된 솔레노이드(500)는 인출되어 있던 로드(510)를 솔레노이드(500)의 내측으로 잡아당기게 되고, 로드(510)에 걸림되어 있던 전선가압구(140)는 걸림 상태가 해제됨에 따라 제1스프링(150)의 복원력에 의해 하방으로 밀리게 되며, 이때 전선가압구(140)의 하면에 설치된 탄성패드(160) 역시 함께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전선가압구(140)와 함께 하방으로 이동된 탄성패드(160)는 하부 렁(120)에 안착된 전선(L)을 가압 및 고정하게 되고, 이에 의해 전선(L)의 움직임은 제한된다.
이와 같이, 지진과 같은 진동이 가해지더라도 전선(L)이 전선가압구(140)와 제1스프링(150) 및 탄성패드(160)에 의해 안정적으로 가압 및 고정됨에 따라 전선(L)의 쏠림으로 인한 흐트러짐 및 처짐으로 인한 단선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재감지가 가능한 공동주택용 전선지지기구의 다른 작용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이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선(L)의 노후로 인해 화재가 발생한 경우, 이를 화재감지센서(400)가 감지하여 화재감지신호를 제어부(600)로 출력하게 되고, 제어부(600)는 화재감지센서(400)로부터 화재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소화기(700)를 동작제어하게 된다.
그리고 소화기(700)는 제어부(600)에 의해 동작제어되어 내부에 소화액을 배출하게 되는데, 소화기(700)로부터 배출된 소화액은 소방호스(710)를 통해 배출되어 전선(L)을 향해 분사되며, 이에 의해 전선(L)에 붙은 화염이 신속하게 진압됨에 따라 화재로 인한 전선(L)의 전소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있어서 당연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 전선지지기구본체 110: 사이드레일 111: 클립삽입부
120: 렁 121: 돌기 130: 가이드바
140: 전선가압구 150: 제1스프링 160: 탄성패드
200: 가변형 전선지지유닛 210: 지지바
211: 수납부 212: 기립부 220: 커버
230: 레일연결구 231: 클립부 232: 연결바
233: 푸셔 240: 제2스프링 250: 전선분할구
251: 지주 252: 호형바 253: 스토퍼
254: 제3스프링 300: 진동감지센서 400: 화재감지센서
500: 솔레노이드 510: 로드 600: 제어부
700: 소화기 710: 소방호스
120: 렁 121: 돌기 130: 가이드바
140: 전선가압구 150: 제1스프링 160: 탄성패드
200: 가변형 전선지지유닛 210: 지지바
211: 수납부 212: 기립부 220: 커버
230: 레일연결구 231: 클립부 232: 연결바
233: 푸셔 240: 제2스프링 250: 전선분할구
251: 지주 252: 호형바 253: 스토퍼
254: 제3스프링 300: 진동감지센서 400: 화재감지센서
500: 솔레노이드 510: 로드 600: 제어부
700: 소화기 710: 소방호스
Claims (1)
-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클립삽입부(111)를 갖추고서 나란하게 이격배치되며, 정면에서 본 모양이‘ㄷ’자 형상인 사이드레일(110)과,
사이드레일(110)의 내부 상단부와 하단부에 각각 배치되며 양단이 사이드레일(110)의 내면에 맞대어져 체결수단을 매개로 사이드레일(110)에 고정되는 렁(120)과,
렁(120) 사이에 배치되게 사이드레일(110)의 내면에 설치되는 평면에 본 모양이‘ㄷ’자 형상인 가이드바(130)와,
양단부가 가이드바(130)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어 렁(120) 사이에 배치되는 전선가압구(140)와,
렁(120)과 전선가압구(140) 사이에 설치되어 전선가압구(140)를 하방으로 탄발지지하는 제1스프링(150)과,
전선가압구(140)의 하면에 설치되는 탄성패드(160)로 구성된 전선지지기구본체(100):
사이드레일(110) 사이에 배치되되, 내부 양단은 사이드레일(110)를 향해 개구되고, 외주면에는 오목하게 호형으로 함몰된 수납부(211)와, 수납부(211)와 직교를 이루는 방향으로 오목하게 함몰된 기립부(212)가 마련된 지지바(210)와,
지지바(210)의 양단부에 체결되는 커버(220)와,
클립삽입부(231)에 삽탈가능하게 끼워지는 클립부(231), 클립부(231)로부터 연장되어 커버(220)에 관통되게 끼워지는 연결바(232), 연결바(232)의 말단에 설치되며 지지바(210)에 수용되는 푸셔(233), 클립부(231)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클립부(231)를 클립삽입부(231)로부터 이탈시키는 핸들(234)로 이루어진 레일연결구(230)와,
지지바(210)의 내부에 수용되어 푸셔(233)를 사이드레일(110)을 향해 탄발지지하는 제2스프링(240)과,
지지바(210)에 관통되게 끼워져 승강 및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지주(251), 지주(251)의 상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수납부(211)에 수용되어 보관되거나 기립부(212)에 끼워져 지지되는 호형바(252), 지주(251)의 하단에 결합되어 지지바(210)로부터의 이탈을 제한하는 스토퍼(253), 지지바(210)와 스토퍼(253) 사이에 배치되게 지지바(210)에 결합되어 스토퍼(253)를 하방으로 탄발지지하는 제3스프링(254)으로 이루어진 전선분할구(250)로 구성된 가변형 전선지지유닛(200):
사이드레일(110)에 설치되어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감지센서(300):
사이드레일(110)에 설치되어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감지센서(400):
사이드레일(110)에 설치되어 전선가압구(140)를 고정 및 해제하는 솔레노이드(500):
진동감지센서(300)로부터 진동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전선가압구(140)가 낙하될 수 있도록 솔레노이드(500)를 동작제어하고, 화재감지센서(400)로부터 화재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소화기(700)를 동작제어하는 제어부(600);
상부 렁(120)의 외면으로 노출되는 소방호스(710)를 갖추고서 제어부(600)에 의해 동작제어되어 소방호스(710)로 소화액을 공급하는 소화기(7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감지가 가능한 공동주택용 전선지지기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21336A KR102547237B1 (ko) | 2022-09-26 | 2022-09-26 | 화재감지가 가능한 공동주택용 전선지지기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21336A KR102547237B1 (ko) | 2022-09-26 | 2022-09-26 | 화재감지가 가능한 공동주택용 전선지지기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47237B1 true KR102547237B1 (ko) | 2023-06-23 |
Family
ID=86993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21336A KR102547237B1 (ko) | 2022-09-26 | 2022-09-26 | 화재감지가 가능한 공동주택용 전선지지기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47237B1 (ko)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71492B1 (ko) * | 2023-06-28 | 2024-06-04 | 주식회사 경도기술단 | 신속한 화재진압이 가능한 지중배전라인 지지장치 |
KR102672268B1 (ko) * | 2023-06-28 | 2024-06-04 | 강대준 | 지중배전선 연결용 감전사고방지형 트레이기구 |
KR102672270B1 (ko) * | 2023-06-28 | 2024-06-04 | 주식회사 유원감리 | 지중배전선 연결용 안전형 배전선 배치기구 |
KR102672337B1 (ko) * | 2023-06-28 | 2024-06-05 | (주)정인엔지니어링 | 지중송전선 관리가 편리한 지중송전선 지지장치 |
KR102675269B1 (ko) * | 2023-08-21 | 2024-06-14 | 주식회사 일호엔지니어링 | 지중배전상태 점검이 편리한 안전형 지중배전선 지지트레이 |
KR102675975B1 (ko) * | 2023-08-24 | 2024-06-17 | 주식회사 한별감리단 | 안전성 및 편이성 향상 지중배전선 고정장치 |
KR102676488B1 (ko) * | 2023-08-17 | 2024-06-20 | 주식회사 유진전기감리 | 점검작업이 편리한 편이성 향상 지중배전라인 연결장치 |
KR102704453B1 (ko) * | 2023-08-18 | 2024-09-09 | 주식회사 일호엔지니어링 | 지중배전선 배치가 용이한 편이성 향상 다기능 지중배전선 지지기구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55302B1 (ko) * | 2018-08-29 | 2019-03-08 | 주식회사 남해이엔지 | 배전 케이블 연결 커플러 장치 |
KR101987085B1 (ko) * | 2019-02-01 | 2019-06-10 | (주)선경엔지니어링 | 공동주택 건축물용 전기 케이블 트레이 |
KR101987729B1 (ko) | 2017-08-25 | 2019-06-11 | 주식회사 명보 | 무볼팅 조립식 케이블트레이 |
KR102206597B1 (ko) * | 2020-04-23 | 2021-01-22 | 미래컨설턴트(주) | 지중배전선 지지용 트레이기구 |
KR102348871B1 (ko) * | 2021-03-24 | 2022-01-11 | 보문엔지니어링 주식회사 | 지중배전상태 점검기능을 구비한 지중배전라인 트레이 |
-
2022
- 2022-09-26 KR KR1020220121336A patent/KR10254723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87729B1 (ko) | 2017-08-25 | 2019-06-11 | 주식회사 명보 | 무볼팅 조립식 케이블트레이 |
KR101955302B1 (ko) * | 2018-08-29 | 2019-03-08 | 주식회사 남해이엔지 | 배전 케이블 연결 커플러 장치 |
KR101987085B1 (ko) * | 2019-02-01 | 2019-06-10 | (주)선경엔지니어링 | 공동주택 건축물용 전기 케이블 트레이 |
KR102206597B1 (ko) * | 2020-04-23 | 2021-01-22 | 미래컨설턴트(주) | 지중배전선 지지용 트레이기구 |
KR102348871B1 (ko) * | 2021-03-24 | 2022-01-11 | 보문엔지니어링 주식회사 | 지중배전상태 점검기능을 구비한 지중배전라인 트레이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71492B1 (ko) * | 2023-06-28 | 2024-06-04 | 주식회사 경도기술단 | 신속한 화재진압이 가능한 지중배전라인 지지장치 |
KR102672268B1 (ko) * | 2023-06-28 | 2024-06-04 | 강대준 | 지중배전선 연결용 감전사고방지형 트레이기구 |
KR102672270B1 (ko) * | 2023-06-28 | 2024-06-04 | 주식회사 유원감리 | 지중배전선 연결용 안전형 배전선 배치기구 |
KR102672337B1 (ko) * | 2023-06-28 | 2024-06-05 | (주)정인엔지니어링 | 지중송전선 관리가 편리한 지중송전선 지지장치 |
KR102676488B1 (ko) * | 2023-08-17 | 2024-06-20 | 주식회사 유진전기감리 | 점검작업이 편리한 편이성 향상 지중배전라인 연결장치 |
KR102704453B1 (ko) * | 2023-08-18 | 2024-09-09 | 주식회사 일호엔지니어링 | 지중배전선 배치가 용이한 편이성 향상 다기능 지중배전선 지지기구 |
KR102675269B1 (ko) * | 2023-08-21 | 2024-06-14 | 주식회사 일호엔지니어링 | 지중배전상태 점검이 편리한 안전형 지중배전선 지지트레이 |
KR102675975B1 (ko) * | 2023-08-24 | 2024-06-17 | 주식회사 한별감리단 | 안전성 및 편이성 향상 지중배전선 고정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547237B1 (ko) | 화재감지가 가능한 공동주택용 전선지지기구 | |
KR102320242B1 (ko) | 화재진압기능을 갖춘 지중배전선 연결기기 | |
JP5271286B2 (ja) | 火災抑制システム | |
US9427610B2 (en) | Dry sprinklers with multiple coupling arrangements | |
JP2014529712A (ja) | ブラケット | |
KR102040438B1 (ko) | 천장면에 설치되는 소방용 전기기구의 가요전선관 커넥터 겸용 고정구 | |
US20050194153A1 (en) | Decorative support panel | |
KR102316192B1 (ko) | 점검작업이 편리한 지중배전라인 안전연결용 접속기구 | |
KR102323134B1 (ko) | 전기케이블 보호가 가능한 건축물용 트레이 | |
KR102014209B1 (ko) | 공동주택 배전선로의 전선 보호장치 | |
KR101804823B1 (ko) | 피난용 미끄럼대의 고정구조 | |
KR200480960Y1 (ko) | 소방호스 소방수 분사 테스트용 받침대 | |
KR101589515B1 (ko) | 소방기구용 플렉시블튜브 커넥터 | |
KR102547234B1 (ko) | 안전기능이 탑재된 배전선용 건축물트렌치 | |
KR102547233B1 (ko) | 건축물의 배전선 보호기구 | |
KR102065843B1 (ko) | 천장면에 설치되는 소방용 전기기구의 고정구 | |
KR100844279B1 (ko) | 소화시설을 구비한 건축용 조립식 케이블 트레이 | |
KR102195038B1 (ko) | 소방배관 고정기구 | |
KR102153214B1 (ko) | 내진용 소방 배관 연결구 | |
KR102694296B1 (ko) | 소방 레듀셔 구조체 | |
KR101359405B1 (ko) | 텐션 장치, 이를 구비한 케이블 구조 커튼 월 시스템 및 케이블 구조 커튼 월 시공방법 | |
KR102348871B1 (ko) | 지중배전상태 점검기능을 구비한 지중배전라인 트레이 | |
KR102647276B1 (ko) | 소방호스 고정장치 | |
KR102361195B1 (ko) | 소화기용 안전받침대 | |
CN215653522U (zh) | 一种固定式柔性挡烟垂壁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