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4888B1 - 트레이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트레이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4888B1
KR102114888B1 KR1020190053148A KR20190053148A KR102114888B1 KR 102114888 B1 KR102114888 B1 KR 102114888B1 KR 1020190053148 A KR1020190053148 A KR 1020190053148A KR 20190053148 A KR20190053148 A KR 20190053148A KR 102114888 B1 KR102114888 B1 KR 1021148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support
space
tray module
link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31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오섭
박성수
Original Assignee
권오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오섭 filed Critical 권오섭
Priority to KR10201900531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48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48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48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56Ladders or other suppo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21Decoupling of vibrations by means of point-of-contact supports, e.g. ball 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16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special provision allowing movement of the pipe
    • F16L3/2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special provision allowing movement of the pipe allowing movement in transverse direction
    • F16L3/205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special provision allowing movement of the pipe allowing movement in transverse direction having supporting 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 모듈은 구조물에 고정되어 지지물을 지지하며 내진기능을 구비하는 것으로서, 상기 지지물을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구조물에 고정되고 상기 지지부와 연결되어 상기 지지부를 지지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구조물에 고정되는 구속부 및 상기 지지부에 연결되는 연결부를 구비하며, 상기 고정부에 연결되어 상기 지지부의 내진기능을 구현하는 내진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내진부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연계부, 상기 수용공간 상에서 상기 연계부를 기준으로 회전되어 내진기능을 구현하며 상기 구속부에 연결되는 제1 회전부 및 상기 수용공간 상에서 상기 연계부를 기준으로 회전되어 내진기능을 구현하며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는 제2 회전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회전부와 상기 제2 회전부는 상기 수용공간 상에서 상호 이격배치되어 높이 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제1 회전부와 상기 제2 회전부 간의 상기 높이 방향 이격거리가 가변될 수 있다.

Description

트레이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TRAY MODULE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트레이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구조물에 고정되어 지지물을 지지하며 내진기능을 구비하는 트레이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터널, 공장, 해양 구조물 등에는 전원이나 유체 등의 공급을 위해 크고 작은 직경의 케이블 또는 유체관 등이 천정, 바닥, 벽체를 따라 배치된다.
이렇게 배치되는 케이블 또는 유체관 등은 미관이나 통행자들에게 불편함을 주지 않아야 한다.
따라서, 케이블 또는 유체관 등을 정리 정돈상태로 지지 고정하기 위하여 트레이(Tray)가 사용된다.
일례로, 케이블 트레이는 케이블을 지지하기 위한 불연성 또는 금속 소재로만들어진 지지대로서, 일정한 길이를 가지며 좌/우측 측면을 이루는 한 쌍의 사이드레일과, 사이드레일들을 가로방향으로 서로 연결하는 가로연결부재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사이드레일과 가로연결부재의 끝단을 서로 연결할 때에는 용접 등으로 직접 고정하거나, 조립과 해체 등의 편리를 위해 결합구조들이 사용되고 있다.
케이블 트레이가 시공된 장소에 지진이나 충격이 발생할 경우, 케이블 트레이 지지부재가 천장(RF)에서 상하좌우로 심하게 흔들리게 되면서 케이블 트레이는 가로부재로부터 이탈되거나 손상될 수 있다.
이처럼 진동에 의해 케이블 트레이가 케이블 트레이 지지부재에 온전하게 고정되지 못하면, 케이블이 절단되거나 손상되어 전기적으로 매우 큰 피해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52402호(2017.06.30. 등록)에서 내진기능이 부설된 케이블 트레이용 연결장치가 개시되고 있다.
여기서, 내진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연결대(231)의 양단에 구 형상의 연결구(233a, 233b)가 형성되어 회전되나, 하단의 연결구(233b)에 지지되는 하부 구조물의 하중은 온전히 연결대(231)로 전달되어 지진 발생시 연결대(231)가 부러져 트레이가 낙하되는 안전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내진기능을 구현하는 동시에 내구성이 좋은 트레이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 모듈은 구조물에 고정되어 지지물을 지지하며 내진기능을 구비하는 것으로서, 상기 지지물을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구조물에 고정되고 상기 지지부와 연결되어 상기 지지부를 지지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구조물에 고정되는 구속부 및 상기 지지부에 연결되는 연결부를 구비하며, 상기 고정부에 연결되어 상기 지지부의 내진기능을 구현하는 내진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내진부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연계부, 상기 수용공간 상에서 상기 연계부를 기준으로 회전되어 내진기능을 구현하며 상기 구속부에 연결되는 제1 회전부 및 상기 수용공간 상에서 상기 연계부를 기준으로 회전되어 내진기능을 구현하며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는 제2 회전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회전부와 상기 제2 회전부는 상기 수용공간 상에서 상호 이격배치되어 높이 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제1 회전부와 상기 제2 회전부 간의 상기 높이 방향 이격거리가 가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 모듈에 따르면 내진기능을 구현하는 동시에 내구성이 좋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 모듈의 개략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 모듈의 연계부의 개략 분해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 모듈의 내진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분해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 모듈의 내진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 모듈의 내진기능을 구현하는 회전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 모듈의 연계부의 다른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 모듈의 연계부의 또 다른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8은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 모듈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9는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 모듈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10은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 모듈의 개략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 모듈은 구조물에 고정되어 지지물을 지지하며 내진기능을 구비하는 것으로서, 상기 지지물을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구조물에 고정되고 상기 지지부와 연결되어 상기 지지부를 지지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구조물에 고정되는 구속부 및 상기 지지부에 연결되는 연결부를 구비하며, 상기 고정부에 연결되어 상기 지지부의 내진기능을 구현하는 내진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내진부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연계부, 상기 수용공간 상에서 상기 연계부를 기준으로 회전되어 내진기능을 구현하며 상기 구속부에 연결되는 제1 회전부 및 상기 수용공간 상에서 상기 연계부를 기준으로 회전되어 내진기능을 구현하며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는 제2 회전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회전부와 상기 제2 회전부는 상기 수용공간 상에서 상호 이격배치되어 높이 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제1 회전부와 상기 제2 회전부 간의 상기 높이 방향 이격거리가 가변될 수 있다.
또; 상기 수용공간 상의 상기 제1 회전부와 상기 제2 회전부 간의 이격공간 상에 배치되어 상기 제1 회전부와 상기 제2 회전부 간의 상기 높이 방향 위치 이동을 완충하는 완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연계부는 제1 연계부 및 상기 제1 연계부와 연결되어 상기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제2 연계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 상기 제1 연계부는 상기 제1 회전부를 구속하는 제1 몸체부 및 상기 제1 몸체부 상에 형성되어 상기 제2 연계부와 연결되는 제1 장착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연계부는 상기 제2 회전부를 구속하는 제2 몸체부 및 상기 제2 몸체부 상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장착부와 연결되는 제2 장착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 상기 제1 회전부는 상기 수용공간 상에서 상기 연계부를 기준으로 회전되는 제1 볼부 및 상기 제1 볼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구속부에 연결되는 제1 연장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볼부 및 상기 제1 연장부는 상기 구속부가 관통되는 제1 관통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또, 상기 제1 회전부는 상기 제1 관통공간을 관통하여 돌출된 상기 구속부에 연결되어 상기 구속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1 연장부의 상기 높이 방향 하측으로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는 제1 커버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 상기 제1 회전부는 상기 구속부에 연결되어 상기 구속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1 연장부의 상기 높이 방향 상측으로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는 제1 포위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 상기 제1 회전부 또는 상기 제2 회전부 상에서 위치 이동되어 상기 제1 회전부 또는 상기 제2 회전부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제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 시공방법은 상기 트레이 모듈을 이용하여 구조물에 설치하는 시공방법일 수 있다.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 모듈의 개략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 모듈의 연계부의 개략 분해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 모듈의 내진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분해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 모듈의 내진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 모듈의 내진기능을 구현하는 회전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 모듈의 연계부의 다른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 모듈의 연계부의 또 다른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이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보다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관련성이 떨어지거나 당업자로부터 용이하게 도출될 수 있는 부분은 간략화 하거나 생략하였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 모듈은 구조물에 고정되어 지지물(C)을 지지하는 구성일 수 있다.
상기 구조물은 건물, 다리 등과 같은 건축, 토목 구조물일 수 있으며, 상기 지지물(C)이 설치되는 모든 건축, 토목 구조물을 의미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지지물(C)은 전선 등과 같은 케이블일 수도 있으며, 유체가 지나가는 유체관일 수도 있다.
일례로, 상기 지지물(C)은 상기 트레이 모듈에 의해 지지될 수 있는 모든 지지 대상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트레이 모듈은 구조물의 천정, 벽 등에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트레이 모듈은 상기 지지물(C)이 안착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지지물(C)을 지지하는 지지부(100) 및 상기 구조물에 고정되고 상기 지지부(100)와 연결되어 상기 지지부(100)를 지지하는 고정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지지부(100)는 상기 지지물(C)이 안착되는 공간을 제공하여, 상기 지지물(C)이 상기 지지부(100) 상에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물(C)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200)는 상기 구조물에 고정되는 동시에, 상기 지지부(100)와 직/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지지부(100) 및 상기 지지물(C)의 하중을 전달받아 상기 구조물에 전달하는 구성일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지지부(100)는 상기 지지물(C)이 안착되는 바닥부(110), 상기 바닥부(110)로부터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바닥부(110)에 안착된 상기 지지물(C)의 낙하를 방지하는 측벽부(120)를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바닥부(110)는 상기 측벽부(120)에 연결 또는 안착될 수 있으며,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일례로, 상기 고정부(200)는 상기 구조물에 고정되는 구속부(210) 및 상기 지지부(100)에 연결되는 연결부(220)를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구속부(210)는 상기 구조물에 고정되는 구성요소로서, 앵커 또는 다른 고정부재에 의해 상기 구조물의 천장, 벽 등에 고정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구속부(210)는 상기 구조물의 천장에 고정되어 상기 높이 방향의 아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연결부(220)는 상기 지지부(100)에 연결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지지부(100)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고, 상기 지지부(100)에 연결된 결합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지지부(100)의 하중을 간접적으로 전달받을 수도 있다.
일례로, 상기 연결부(220)는 상기 지지부(100)의 하중을 전달받아 상기 구속부(210)로 전달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연결부(220)로 전달된 상기 지지부(100)의 하중은 아래에서 설명될 내진부(400)에 전달되고, 이어서 상기 구속부(210)로 전달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트레이 모듈은 상기 고정부(200)에 연결되어 상기 지지부(100)의 내진기능을 구현하는 내진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내진부(400)는 지진 발생 시 상기 구조물의 진동이 상기 지지부(100)로 전달되는 것을 제한하는 구성일 수 있다.
즉, 상기 지지부(100)에 대한 내진기능은 지진 발생 시 상기 구조물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상기 지지부(100)로 전달되는 것을 제한하는 기능을 의미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내진부(400)는 상기 구속부(210) 및 상기 연결부(220)에 연결되어, 상기 지지부(100)로부터 상기 연결부(220)로 전달되는 상기 지지부(100)의 하중을 전달받아 상기 구속부(210)로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내진부(400)는 수용공간(S1)을 형성하는 연계부(300), 상기 수용공간(S1) 상에서 상기 연계부(300)를 기준으로 회전되어 내진기능을 구현하며 상기 구속부(210)에 직/간접적으로 연결되는 제1 회전부(410) 및 상기 수용공간(S1) 상에서 상기 연계부(300)를 기준으로 회전되어 내진기능을 구현하며 상기 연결부(220)에 직/간접적으로 연결되는 제2 회전부(420)를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연계부(300)는 상기 수용공간(S1)을 형성하여 상기 제1 회전부(410) 및 상기 제2 회전부(42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일례로, 상기 연계부(300)는 상기 연결부(220)로부터 상기 지지부(100)의 하중을 직/간접적으로 전달받아 상기 구속부(210)로 직/간접적으로 상기 지지부(100)의 하중을 전달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회전부(410)는 상기 수용공간(S1) 상에서 상기 연계부(300)를 기준으로 상대적으로 회전되어 내진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회전부(420)는 상기 수용공간(S1) 상에서 상기 연계부(300)를 기준으로 상대적으로 회전되어 내진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제1 회전부(410)와 상기 제2 회전부(420)는 상기 수용공간(S1) 상에서 상호 이격 배치되어 높이 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제1 회전부(410)와 상기 제2 회전부(420) 간의 상기 높이 방향 이격거리가 가변될 수 있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제1 회전부(410)와 상기 제2 회전부(420)는 상기 수용공간(S1) 상에 배치되되, 상기 높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높이 방향으로 위치 가변되어 상호 간의 상기 높이 방향의 이격거리가 가변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트레이 모듈은 상기 수용공간(S1) 상에 배치되어 상기 제1 회전부(410)와 상기 제2 회전부(420) 간의 상기 높이 방향으로의 이동을 완충하는 완충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완충부(600)는 상기 수용공간(S1) 상의 상기 제1 회전부(410)와 상기 제2 회전부(420) 간의 이격공간 상에 배치되어 상기 제1 회전부(410)와 상기 제2 회전부(420) 간의 상기 높이 방향 위치 이동을 완충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완충부(600)는 스프링과 같은 탄성체일 수 있으나,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1 회전부(410)와 상기 제2 회전부(420)의 상기 높이 방향으로의 이동을 완충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당업자의 입장에서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일례로, 상기 연계부(300)는 제1 연계부(310) 및 상기 제1 연계부(310)와 연결되어 상기 수용공간(S1)을 형성하는 제2 연계부(32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연계부(300)는 적어도 2개 이상의 구성이 연결되어 상기 수용공간(S1)을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연계부(310)와 상기 제2 연계부(320)는 상호 착탈이 가능하며, 상기 제1 연계부(310)와 상기 제2 연계부(320)가 상호 연결되는 경우 상기 수용공간(S1)을 형성할 수 있다.
그 결과, 작업자는 상기 제1 연계부(310)와 상기 제2 연계부(320)를 상호 분리한 상태에서 상기 제1 회전부(410)와 상기 제2 회전부(420)를 상기 제1 연계부(310) 및 상기 제2 연계부(320) 상에 각각 배치한 후, 상기 제1 연계부(310)와 상기 제2 연계부(320)를 연결시켜 용이하게 상기 내진부(400)를 조립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연계부(310)는 상기 제1 회전부(410)를 구속하는 제1 몸체부(311) 및 상기 제1 몸체부(311) 상에 형성되어 상기 제2 연계부(320)와 연결되는 제1 장착부(313)를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몸체부(311)는 상기 수용공간(S1)을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제1 회전부(410)가 상기 수용공간(S1) 상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구속하되 상기 수용공간(S1) 상에서 상대적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제1 회전부(410)를 구속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장착부(313)는 상기 제2 연계부(320)의 착탈을 구현하는 구성일 수 있으며, 일례로 상기 제1 몸체부(311) 상에 형성되는 나사산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연계부(310)와 대응되도록 상기 제2 연계부(320)는 상기 제2 회전부(420)를 구속하는 제2 몸체부(321) 및 상기 제2 몸체부(321) 상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장착부(313)와 연결되는 제2 장착부(323)를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2 몸체부(321)는 상기 수용공간(S1)을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제2 회전부(420)가 상기 수용공간(S1) 상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구속하되 상기 수용공간(S1) 상에서 상대적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제2 회전부(420)를 구속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2 장착부(323)는 상기 제1 연계부(310)의 착탈을 구현하는 구성일 수 있으며, 일례로 상기 제2 몸체부(321) 상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장착부(313)와 대응되는 나사산일 수 있다.
상기 제1 장착부(313)와 상기 제2 장착부(323)의 실시예로 나사산으로 설명하였으나,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억지끼움 구조 등 상기 제1 몸체부(311)와 상기 제2 몸체부(321)가 상호 착탈될 수 있는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당업자의 입장에서 다양하게 변경 가능함은 자명하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제1 회전부(410)는 상기 수용공간(S1) 상에서 상기 연계부(300)를 기준으로 회전되는 제1 볼부(411a) 및 상기 제1 볼부(411a)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구속부(210)에 연결되는 제1 연장부(411c)를 구비하는 제1 회전본체부(411)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볼부(411a) 및 상기 제1 연장부(411c)는 상기 구속부(210)가 관통되는 제1 관통공간(S2)을 형성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구속부(210)는 상기 제1 볼부(411a) 및 상기 제1 연장부(411c)가 형성하는 상기 제1 관통공간(S2)에 삽입 및 관통되어 상기 제1 회전부(410)에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볼부(411a) 및 상기 제1 연장부(411c)는 상기 제1 관통공간(S2)을 형성하는 내면 상에 나사산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구속부(210)는 외면 상에 나사산을 형성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구속부(210)는 상기 제1 볼부(411a) 및 상기 제1 연장부(411c)와 착탈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제1 볼부(411a)는 상기 완충부(600)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될 수 있는 제1 삽입공(411d)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완충부(600)는 상기 제1 삽입공(411d)에 삽입되어 상기 수용공간(S1) 상의 소정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제1 회전부(410)는 상기 제1 관통공간(S2)을 관통하여 돌출된 상기 구속부(210)에 연결되어 상기 구속부(210)를 기준으로 상기 제1 연장부(411c)의 상기 높이 방향 하측으로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는 제1 커버부(413)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커버부(413)는 상기 제1 관통공간(S2)을 관통한 상기 구속부(210)의 단부에 착탈되어 상기 제1 회전부(410)의 하단을 구속하여, 상기 구속부(210) 상에서 상기 제1 회전부(410)의 상기 높이 방향의 하측으로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커버부(413)는 내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구속부(210)에 착탈될 수 있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일례로, 상기 제1 회전부(410)는 상기 구속부(210)에 연결되어 상기 구속부(210)를 기준으로 상기 제1 연장부(411c)의 상기 높이 방향 상측으로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는 제1 포위부(415)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포위부(415)는 내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구속부(210)에 착탈될 수 있는 구성으로서, 상기 제1 회전부(410)의 상단을 구속하여, 상기 구속부(210) 상에서 상기 제1 회전부(410)의 상기 높이 방향의 상측으로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는 구성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회전부(420)는 상기 제1 회전부(410)와 대응되는 동일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도 3을 기준으로, 상기 제2 회전부(420)는 상기 제1 회전부(410)를 상기 높이 방향으로 대칭시킨 구성일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제2 회전부(420)는 상기 수용공간(S1) 상에서 상기 연계부(300)를 기준으로 회전되는 제2 볼부 및 상기 제2 볼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연결부(220)에 연결되는 제2 연장부를 구비하는 제2 회전본체부(421)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볼부 및 상기 제2 연장부는 상기 연결부(220)가 관통되는 제2 관통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회전부(420)는 상기 제2 관통공간을 관통하여 돌출된 상기 연결부(220)에 연결되어 상기 연결부(220)를 기준으로 상기 제2 연장부의 상기 높이 방향 상측으로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는 제2 커버부(423)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회전부(420)는 상기 연결부(220)에 연결되어 상기 연결부(220)를 기준으로 상기 제2 연장부의 상기 높이 방향 하측으로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는 제2 포위부(425)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일례로, 상기 제2 볼부는 상기 완충부(600)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될 수 있는 제2 삽입공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완충부(600)는 상기 제2 삽입공에 삽입되어 상기 수용공간(S1) 상의 소정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트레이 모듈은 상기 제1 회전부(410) 및/또는 상기 제2 회전부(420) 상에서 위치 이동되어 상기 제1 회전부(410) 또는 상기 제2 회전부(420)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제한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한부(500)는 상기 제1 회전부(410) 및/또는 상기 제2 회전부(420) 상에서 외력에 의해 위치 이동되어 제1 위치에서는 내진기능을 제한하고 제1 위치와 다른 제2 위치에서는 내진기능을 구현하도록 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한부(500)는 상기 제1 회전부(410) 또는 상기 제2 회전부(420) 상에 배치될 수도 있고, 상기 제1 회전부(410) 및 상기 제2 회전부(420) 각각에 배치될 수도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제한부(500)가 상기 제1 회전부(410) 상에 배치된 것으로 가정하고 설명하겠다.
일례로, 상기 제한부(500)는 상기 제1 위치일 때, 상기 제1 연계부(310)와 접촉되는 제한본체부(520) 및 상기 상기 제1 회전부(410)와 연결되는 제한연결부(510)를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회전본체부(411)의 상기 제1 연장부(411c)의 외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한연결부(510)는 상기 제1 연장부(411c)의 나사산과 대응되는 나사산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제한부(500)는 상기 제1 연장부(411c) 상에서 외력에 의해 상기 높이 방향 상하로 이동될 수 있다.
작업자가 외력을 가해 상기 제한부(500)를 상기 제1 연계부(310)와 접촉되는 위치인 상기 제1 위치에 이동시키는 경우 상기 제1 회전부(410)는 상기 수용공간(S1) 상에서 회전되는 것이 제한되어 내진기능이 구현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작업자가 외력을 가해 상기 제한부(500)를 상기 제1 연계부(310)와 접촉되지 않는 위치인 상기 제2 위치에 이동시키는 경우 상기 제1 회전부(410)는 상기 수용공간(S1) 상에서 회전될 수 있어 내진기능이 구현될 수 있다.
도 5는 내진기능이 구현되는 것을 설명하지 위한 개략 단면도로서,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진이 발생되는 경우 상기 구속부(210)는 상기 구조물에 직/간접적으로 고정되어 있어 구조물과 연동되어 우측 방향으로 이동되나, 상기 연결부(220)는 상기 연계부(300)가 소정의 중심축으로부터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결과적으로 내진기능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진이 발생되는 경우 상기 구속부(210)는 상기 구조물과 연동되어 좌측 방향으로 이동되나, 상기 연결부(220)는 상기 연계부(300)가 소정의 중심축으로부터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결과적으로 내진기능이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연계부(300)의 다른 실시예들을 설명하겠다.
앞서 설명한 상기 연계부(300)와 동일하거나 당업자의 입장에서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기술적 사상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거나 간략하게 설명하겠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 모듈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연계부(A300)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로서, 제1 연계부(A310)는 상기 제1 회전부(410)를 구속하는 제1 몸체부(A311) 및 제2 연계부(A320)와 연결되는 제1 장착부(A313)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연계부(A320)는 상기 제2 회전부(420)를 구속하는 제2 몸체부(A321) 및 제1 연계부(A310)와 연결되는 제2 장착부(A323)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연계부(A310) 및 상기 제2 연계부(A320)에는 상기 높이 방향으로 상호 분리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제1 연계부(A310)와 상기 제2 연계부(A320) 간을 고정하는 고정부재(T)가 착탈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고정부재(T)는 나사 또는 볼트 등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연계부(A310) 및 상기 제2 연계부(A320) 각각은 상기 고정부재(T)가 삽입되는 제1 삽입공간(AS1) 및 제2 삽입공간(AS2)을 을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삽입공간(AS1)은 상기 제1 장착부(A313) 상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2 삽입공간(AS2)은 상기 제2 장착부(A323)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재(T)는 외부로부터 상기 제2 삽입공간(AS2)에 먼저 삽입되어 상기 제1 삽입공간(AS1)에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삽입공간(AS2)은 상기 제1 삽입공간(AS1) 보다 클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제1 삽입공간(AS1)과 상기 제2 삽입공간(AS2)이 정확이 오버랩되지 않더라도 상기 고정부재(T)는 상기 제2 삽입공간(AS2)에 삽입된 후 상기 제1 삽입공간(AS1)에 삽입되어 상기 제1 연계부(A310)와 상기 제2 연계부(A320) 간을 고정할 수 있다.
도면에는, 상기 고정부재(T)가 상기 제1 연계부(A310)와 상기 제2 연계부(A320)의 일면만 고정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상기 고정부재(T)는 상기 제1 연계부(A310)와 상기 제2 연계부(A320)의 일면을 관통한 후, 상기 수용공간(S1)을 지나 상기 제1 연계부(A310)와 상기 제2 연계부(A320)의 타면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 모듈의 또 다른 일 실시예의 연계부(B300)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로서, 연계부(B300)는 상기 높이 방향으로의 임의의 면을 기준으로 분할된 제1 연계부(B310)와 제2 연계부(B320)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연계부(B310)와 상기 제2 연계부(B320)는 상호 연결되어 수용공간(S1)을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연계부(B310)는 볼트(B) 또는 너트가 체결될 수 있는 제1 함입공간(BS1)을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제2 연계부(B320)는 볼트(B) 및/또는 너트(N)가 체결될 수 있는 제2 함입공간(BS2)을 형성할 수 있다.
작업자는 상기 제1 연계부(B310)와 상기 제2 연계부(B320)를 나란히 배치한 후, 상기 제1 함입공간(BS1) 및 상기 제2 함입공간(BS2) 상으로 볼트(B)를 삽입시킬 수 있으며, 상기 제1 함입공간(BS1) 또는 상기 제2 함입공간(BS2) 상에 노출된 볼트(B)에 너트(N)를 체결하여 상기 제1 연계부(B310)와 상기 제2 연계부(B320) 간을 체결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내진기능을 구현하는 트레이 모듈의 다른 실시예들을 설명하겠다.
앞서 설명한 트레이 모듈과 동일하거나 당업자의 입장에서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기술적 사상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거나 간략하게 설명하겠다.
도 8은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 모듈의 개략 단면도이다.
상기 트레이 모듈은 상기 구속부(210)와 연결되는 제1 회전부(A410)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회전부(A410)를 수용하는 제1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제1 연계부(C3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연계부(C310)는 상기 제1 수용공간, 아래에서 설명될 제2 연계부(C320)가 삽입되는 제2 수용공간(CS1) 및 상기 제2 수용공간(CS1)보다 큰 외경을 가지는 제3 수용공간(CS2)을 형성하는 제1 몸체부(C311)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트레이 모듈은 상기 연결부(220)와 연결되는 제2 회전부(A42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회전부(A420)를 수용하는 제4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제2 연계부(C3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제2 연계부(C320)는 상기 제4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제2 몸체부(C321) 및 상기 제2 몸체부(C321)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제2 수용공간(CS1) 상에 삽입되는 제2 몸체연장부(C323)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연계부(C320)는 상기 제3 수용공간(CS2) 상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2 몸체연장부(C323)가 상기 제2 수용공간(CS1) 상에서 이탈되는 것을 제한하는 제2 이탈제한부(C325)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2 이탈제한부(C325)는 상기 제3 수용공간(CS2) 상에 배치되는 이동부 및 상기 이동부에 대해 외측 방향으로 탄성을 가하는 탄성부를 구비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제2 이탈제한부(C325)가 상기 제2 수용공간(CS1) 상으로부터 상기 제3 수용공간(CS2) 상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탄성부가 상기 이동부에 대해 외측 방향으로 탄성을 가함에 따라, 상기 이동부는 상기 제3 수용공간(CS2) 상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연계부(C310)와 상기 제2 연계부(C320) 간의 결합을 구현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상기 제2 이탈제한부(C325)는 상기 이동부와 상기 탄성부를 기초로 설명하였으나,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3 수용공간(CS2) 상에 배치되어 상기 제2 몸체연장부(C323)가 상기 제2 수용공간(CS1) 상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되 상기 제3 수용공간(CS2) 상에서 상기 높이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동될 수 있는 구성이라면 당업자의 입장에서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한편, 상기 제1 몸체부(C311)와 상기 제2 몸체부(C321)는 상기 높이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으며, 이격된 공간에는 상기 높이 방향으로 완충을 구현하는 완충부(A60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 수용공간(CS2)은 상기 이동부가 상기 높이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이동부보다 큰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도 선택적으로 내진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제한부(A500)가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한부(A500)는 상기 구속부(210) 및/또는 상기 연결부(220) 상에서 외력에 의해 위치 이동될 수 있다.
도 9는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 모듈의 개략 단면도이다.
트레이 모듈은 상기 구속부(210)와 연결되는 제1 회전부(A410) 및 상기 연결부(220)와 연결되는 제2 회전부(A4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트레이 모듈은 제1 회전부(4100)를 수용하는 제1 수용공간(S10)을 형성하는 제1 연계부(3100) 및 제2 회전부(4200)를 수용하는 제2 수용공간(S20)을 형성하는 제2 연계부(3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트레이 모듈은 상기 제1 수용공간(S10) 및 상기 제2 수용공간(S20)에 적어도 일부가 각각 수용되어 내진기능을 구현하는 제3 회전부(4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3 회전부(4300)는 상기 제1 수용공간(S10)에 수용되는 제3-1 볼부(4310), 상기 제2 수용공간(S20)에 수용되는 제3-2 볼부(4320) 및 상기 제3-1 볼부(4310)와 상기 제3-2 볼부(4320)를 연결하는 제3 이음부(4330)를 구비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도 선택적으로 내진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제한부(B500)가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한부(B500)는 상기 제3 이음부(4330) 상에서 외력에 의해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제한부(B500)는 상기 제3 이음부(4330) 상의 소정의 위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제1 고정공간(S40)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제3 이음부(4330)는 제1 고정공간(S40)과 대응되는 제2 고정공간(S30)을 형성할 수 있다.
작업자가 핀(P)을 상기 제1 고정공간(S40) 및 상기 제2 고정공간(S30)에 삽입시키는 경우, 상기 제한부(B500)는 상기 핀(P)에 의해 상기 제3 이음부(4330) 상의 소정의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작업자가 상기 핀(P)을 제거하는 경우, 상기 제한부(B500)는 상기 제3 이음부(4330) 상에서 외력에 의해 상기 높이 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위치 이동될 수 있다.
도 10은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 모듈의 개략 단면도이다.
앞서 설명한 도 9의 트레이 모듈과 차이점이 있는 부분만 간략히 설명하겠다.
제3 회전부의 제3 이음부(A4330)는 상기 핀(P)이 삽입될 수 있는 고정공간(AS30)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도 10(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한부(500)가 제2 연계부(3200)에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핀(P)이 상기 고정공간(AS30)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핀(P)은 상기 제한부(500)가 상기 높이 방향 상측으로 이동되지 못하도록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그 결과, 내진기능이 구현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도 10(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상기 제한부(500)를 상기 높이 방향 상측으로 이동시킨 다음, 상기 핀(P)을 상기 고정공간(AS30)에 삽입하는 경우, 상기 핀(P)은 상기 제한부(500)가 상기 높이 방향 하측으로 이동되지 못하도록 이동을 제한하여, 상기 제2 연계부(3200)에 접촉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그 결과, 내진기능이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 모듈 시공방법은 앞서 설명한 상기 트레이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구조물에 설치하는 시공방법일 수 있다.
앞서 설명한 상기 트레이 모듈의 실시예들은 당업자의 입장에서 부분적으로 상호 조합될 수 있으며, 상호 조합에 의해 당업자가 용이하게 도출할 수 있는 실시예 역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포함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지지부: 100
고정부: 200
연계부: 300
제1 회전부: 410
제2 회전부: 420

Claims (9)

  1. 구조물에 고정되어 지지물을 지지하며 내진기능을 구비하는 트레이 모듈에 있어서,
    상기 지지물을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구조물에 고정되고 상기 지지부와 연결되어 상기 지지부를 지지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구조물에 고정되는 구속부 및 상기 지지부에 연결되는 연결부를 구비하며,
    상기 고정부에 연결되어 상기 지지부의 내진기능을 구현하는 내진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내진부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연계부,
    상기 수용공간 상에서 상기 연계부를 기준으로 회전되어 내진기능을 구현하며 상기 구속부에 연결되는 제1 회전부 및
    상기 수용공간 상에서 상기 연계부를 기준으로 회전되어 내진기능을 구현하며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는 제2 회전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회전부와 상기 제2 회전부는,
    상기 수용공간 상에서 상호 이격배치되어 높이 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제1 회전부와 상기 제2 회전부 간의 상기 높이 방향 이격거리가 가변되며,
    상기 수용공간 상의 상기 제1 회전부와 상기 제2 회전부 간의 이격공간 상에 배치되어 상기 제1 회전부와 상기 제2 회전부 간의 상기 높이 방향 위치 이동을 완충하는 완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계부는,
    제1 연계부 및
    상기 제1 연계부와 연결되어 상기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제2 연계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연계부는,
    상기 제1 회전부를 구속하는 제1 몸체부 및
    상기 제1 몸체부 상에 형성되어 상기 제2 연계부와 연결되는 제1 장착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연계부는,
    상기 제2 회전부를 구속하는 제2 몸체부 및
    상기 제2 몸체부 상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장착부와 연결되는 제2 장착부를 구비하는,
    트레이 모듈.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구조물에 고정되어 지지물을 지지하며 내진기능을 구비하는 트레이 모듈에 있어서,
    상기 지지물을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구조물에 고정되고 상기 지지부와 연결되어 상기 지지부를 지지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구조물에 고정되는 구속부 및 상기 지지부에 연결되는 연결부를 구비하며,
    상기 고정부에 연결되어 상기 지지부의 내진기능을 구현하는 내진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내진부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연계부,
    상기 수용공간 상에서 상기 연계부를 기준으로 회전되어 내진기능을 구현하며 상기 구속부에 연결되는 제1 회전부 및
    상기 수용공간 상에서 상기 연계부를 기준으로 회전되어 내진기능을 구현하며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는 제2 회전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회전부와 상기 제2 회전부는,
    상기 수용공간 상에서 상호 이격배치되어 높이 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제1 회전부와 상기 제2 회전부 간의 상기 높이 방향 이격거리가 가변되며,
    상기 제1 회전부는,
    상기 수용공간 상에서 상기 연계부를 기준으로 회전되는 제1 볼부 및 상기 제1 볼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구속부에 연결되는 제1 연장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볼부 및 상기 제1 연장부는 상기 구속부가 관통되는 제1 관통공간을 형성하는,
    트레이 모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부는,
    상기 제1 관통공간을 관통하여 돌출된 상기 구속부에 연결되어 상기 구속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1 연장부의 상기 높이 방향 하측으로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는 제1 커버부를 더 구비하는,
    트레이 모듈.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부는,
    상기 구속부에 연결되어 상기 구속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1 연장부의 상기 높이 방향 상측으로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는 제1 포위부를 더 구비하는,
    트레이 모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부 또는 상기 제2 회전부 상에서 위치 이동되어 상기 제1 회전부 또는 상기 제2 회전부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제한부;를 더 포함하는,
    트레이 모듈.
  9. 제1항, 제5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트레이 모듈을 구조물에 설치하는 트레이 모듈 시공방법.
KR1020190053148A 2019-05-07 2019-05-07 트레이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1148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3148A KR102114888B1 (ko) 2019-05-07 2019-05-07 트레이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3148A KR102114888B1 (ko) 2019-05-07 2019-05-07 트레이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4888B1 true KR102114888B1 (ko) 2020-05-25

Family

ID=70914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3148A KR102114888B1 (ko) 2019-05-07 2019-05-07 트레이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488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8143B1 (ko) * 2020-12-24 2021-10-27 주식회사 성실엔지니어링 케이블 트레이용 내진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5398B1 (ko) * 1996-04-19 2000-08-01 오가와 히로우미 변동 토오크 상쇄 장치
KR101844986B1 (ko) * 2017-09-08 2018-05-18 권오섭 케이블 지지모듈의 내진기능을 제한하는 제한모듈
KR101973032B1 (ko) * 2018-08-17 2019-04-26 주식회사 성실엔지니어링 케이블 트레이용 내진장치 및 이를 포함한 내진형 케이블 트레이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5398B1 (ko) * 1996-04-19 2000-08-01 오가와 히로우미 변동 토오크 상쇄 장치
KR101844986B1 (ko) * 2017-09-08 2018-05-18 권오섭 케이블 지지모듈의 내진기능을 제한하는 제한모듈
KR101973032B1 (ko) * 2018-08-17 2019-04-26 주식회사 성실엔지니어링 케이블 트레이용 내진장치 및 이를 포함한 내진형 케이블 트레이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8143B1 (ko) * 2020-12-24 2021-10-27 주식회사 성실엔지니어링 케이블 트레이용 내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2803B1 (ko) 내진기능을 갖는 천장용 행거장치
US5295646A (en) Longitudinal U-clip
KR102216665B1 (ko) 내진용 케이블 트레이 행거 장치
KR102114888B1 (ko) 트레이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973031B1 (ko) 케이블 트레이용 내진장치 및 이를 포함한 내진형 케이블 트레이 시스템
KR102109580B1 (ko) 전산볼트용 내진 커플러
KR101844983B1 (ko) 케이블 지지모듈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404333B1 (ko) 건축용 케이블 고정장치
KR102021357B1 (ko) 케이블 지지모듈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JP2015090199A (ja) 吊り下げ式支持装置用座屈防止具
JP6148099B2 (ja) 天井落下防止構造およびその施工方法
KR102021360B1 (ko) 케이블 지지모듈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957822B1 (ko) 내진성능을 가지는 아파트 벽체구조
KR101844986B1 (ko) 케이블 지지모듈의 내진기능을 제한하는 제한모듈
JP2016196756A (ja) 天井落下防止構造およびその施工方法
JP2019131965A (ja) 建物ユニット間距離調整治具
KR20190028265A (ko) 케이블 지지모듈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190048548A (ko) 손잡이가 개선된 드릴링 파이프 엘리베이터 클램핑 장치
KR102102392B1 (ko) 건축물용 내진보강장치
WO2014088366A1 (ko) 면진 스윙 슬래브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면진 스윙 슬래브 시공방법
KR101948761B1 (ko) 케이블 지지모듈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JP6912403B2 (ja) ワイヤ中途部の保持構造及びワイヤ保持装置
JP7042107B2 (ja) 変位装置
KR102171070B1 (ko) 제진어셈블리
JP2001020507A (ja) 床パネル用支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