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1070B1 - 제진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제진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1070B1
KR102171070B1 KR1020190069417A KR20190069417A KR102171070B1 KR 102171070 B1 KR102171070 B1 KR 102171070B1 KR 1020190069417 A KR1020190069417 A KR 1020190069417A KR 20190069417 A KR20190069417 A KR 20190069417A KR 102171070 B1 KR102171070 B1 KR 1021710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members
pair
assembly
present
vib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94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화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화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화이엔지
Priority to KR10201900694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10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10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10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22/00Special physical effects, e.g. nature of damping effects
    • F16F2222/04Fri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32/00Nature of movement
    • F16F2232/08Lin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진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케이블 트레이 등의 구조물에 설치되어 지진 등에 의한 진동을 방지할 수 있는 제진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진어셈블리(1)는, 서로 일부가 포개어지도록 결합되는 한 쌍의 가이드부재(20); 및 일단은 한 쌍의 가이드부재(20)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고 타단은 한 쌍의 가이드부재(20) 중 다른 하나에 결합되고, 한 쌍의 가이드부재(20) 사이에서 미끄럼 이동가능하도록 한 쌍의 가이드부재(20) 사이에 개재되는 슬라이드조립체(4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제진어셈블리{ASSEMBLY FOR CONTROLLING VIBRATION}
본 발명은 제진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케이블 트레이 등의 구조물에 설치되어 지진 등에 의한 진동을 방지할 수 있는 제진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빌딩 등에는 통신선, 전선, 유체 등의 공급을 위하여 천정에 각종 전선 등을 설치하되 외관을 향상시키고 통행자의 불편 방지를 위해 케이블 트레이를 사용하고 있다. 케이블 트레이에 관해서는 한국등록특허 제10-1326806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지진 등의 충격 또는 진동이 발생하면 케이블 트레이는 설치 특성상 상하좌우로 흔들릴 수 밖에 없다. 특히, 지진 발생 시 케이블 트레이가 이탈하게 되면 전기적으로 큰 피해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이를 방지하고자 케이블 트레이를 위한 방진 또는 내진장치가 다수 등장한 바 있으나, 시공이 간단하면서도 효율적으로 제진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제진장치에 대한 개발이 여전히 필요하다.
등록특허공보 제10-1326806호 (등록일자: 2013.11.01)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지진 또는 기타 원인에 의한 진동을 방지할 수 있는 제진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케이블 트레이가 설치된 상태에서 설치될 수 있는, 시공이 용이한 제진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케이블 트레이의 이탈 또는 파손 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정전 등 2차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제진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케이블 트레이 뿐만 아니라 실외기 등의 다른 구조체에도 활용될 수 있는 제진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이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고, 후술하는 본 발명의 특징적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제진어셈블리는, 서로 일부가 포개어지도록 결합되는 한 쌍의 가이드부재; 및 일단은 상기 한 쌍의 가이드부재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한 쌍의 가이드부재 중 다른 하나에 결합되고, 상기 한 쌍의 가이드부재 사이에서 미끄럼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한 쌍의 가이드부재 사이에 개재되는 슬라이드조립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슬라이드조립체는 복수의 베어링요소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슬라이드조립체의 일단 및 타단은, 각각, 스프링부재에 의해 한 쌍의 가이드부재와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슬라이드조립체는, 양 단에 삽입공을 포함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양면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의 베어링요소; 및 상기 삽입공에 각각 결합되는 스프링부재;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몸체부는, 상기 복수의 베어링요소가 안착되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의 양 측에 베이스로부터 돌출하여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에 대하여 회전대칭하게 형성되며, 상기 삽입공이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이드부재는, 각각, 홀을 포함하는 픽스쳐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픽스쳐부재는, 상기 돌출부와 상기 가이드부재에 대하여 동일한 높이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한 쌍의 가이드부재는, 각각, 일 측에 형성되는 장착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한 쌍의 가이드부재를 감싸도록 배치되는 슬리브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슬리브부재에는 내부에 관통면이 형성되고 일 측에는 상기 관통면과 연통하는 이격부 및 상기 이격부의 양 측에 형성되는 그랩부가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진 또는 기타 원인에 의한 진동을 방지할 수 있는 제진어셈블리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케이블 트레이가 설치된 상태에서 설치될 수 있는, 시공이 용이한 제진어셈블리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은, 케이블 트레이의 이탈 또는 파손 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정전 등 2차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제진어셈블리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은, 케이블 트레이 뿐만 아니라 실외기 등의 다른 구조체에도 활용될 수 있는 제진어셈블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전술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진어셈블리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진어셈블리의 측면의 일부를 도시하는 일부 측면도를 도시하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진어셈블리의 가이드부재를 도시하고,
도 4는 도 3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진어셈블리로서, 장착부가 제거된 모습을 도시하고,
도 6 및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진어셈블리의 슬리브부재를 설명하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진어셈블리를 위한 장착부를 도시하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진어셈블리를 위한 고정부를 도시하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진어셈블리를 위한 픽스쳐부재를 설명하고,
도 11 및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진어셈블리를 위한 슬라이드조립체를 설명하고,
도 13은 슬라이드조립체의 단면도로서, 가이드부재가 장착된 모습을 도시하고,
도 14 및 15는 본 발명에 따른 제진어셈블리의 작동예를 도시한다.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들과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는 제1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떠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거나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떠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촉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인접하는"과 "~에 직접 인접하는"등의 표현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제진어셈블리는, 서로 일부가 포개어지도록 결합되는 한 쌍의 가이드부재; 및 일단은 상기 한 쌍의 가이드부재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한 쌍의 가이드부재 중 다른 하나에 결합되고, 상기 한 쌍의 가이드부재 사이에서 미끄럼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한 쌍의 가이드부재 사이에 개재되는 슬라이드조립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천정 등에 매달려 있는 구조물에 발생하는 지진 등에 의한 진동을 효율적으로 배제시킬 수 있는 제진어셈블리가 제공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진어셈블리(1)는 한 쌍의 가이드부재(20), 슬라이드조립체(40) 및 장착부(60)를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한 쌍의 가이드부재(20)는 서로 결합한다. 한 쌍의 가이드부재(20)는 서로 일부가 포개어진 상태로 결합한다. 한 쌍의 가이드부재(20)는 일부가 서로 포개어진 상태에서 케이블 트레이의 양 측에 형성되는 행어(hanger) 기타 구조물에 장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진어셈블리(1)는 케이블 트레이 외 실외기 안착구조물 등에 활용될 수 있다. 다만,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케이블 트레이에 사용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및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이드부재(20)는 굴곡부(21)를 포함한다. 굴곡부(21)란 가이드부재(20)의 단면 중 일부분은 굴곡지게 형성되는 부분을 의미한다. 일부분이란 후술하는 베어링요소(44)와 접촉하는 양 측면을 의미하고, 상기 일부분은 베어링요소(44)의 외주면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도 13 참조).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경우, 슬라이드조립체(40)에 대한 마찰을 감소시키고, 마찰에 인한 마모를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진어셈블리(1)는 한 쌍의 가이드부재(20)를 서로에 대해 보다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양 가이드부재(20)를 결합하는 결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결합부는 한 쌍의 슬리브부재(30)일 수 있다. 슬리브부재(30)는 한 쌍의 가이드부재(20)를 감싸도록 배치되고, 바람직하게는 서로 이격된 위치에서 감싸도록 배치된다. 양 가이드부재(20)의 일부가 포개어진 부분에서 한 쌍의 가이드부재(20) 중 어느 하나의 가이드부재(20a)의 말단 측에 하나의 슬리브부재(30)가 삽입되고, 양 가이드부재(20)의 일부가 포개어진 부분에서 한 쌍의 가이드부재(20) 중 다른 하나의 가이드부재(20b)의 말단 측에 다른 하나의 슬리브부재(30)가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슬리브부재(30)는 관통면(32), 이격부(34) 및 그랩부(36)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에는 슬리브부재(30)가 도시되어 있으며, 보다 명확한 도시를 위하여 가이드부재(20) 중 하나는 표시하지 않았다. 슬리브부재(30)에는 내부에 관통면(32)이 형성되고 일측에는 이격부(34) 및 그랩부(36)가 형성된다. 이격부(34)는 관통면(32)으로 연통할 수 있도록 슬리브부재(30)의 일부가 불연속적인 부분이다. 그랩부(36)는 이격부(34)의 양 측에 형성되어 관통면(32) 내에 삽입되는 한 쌍의 가이드부재(20) 중 이격부(34) 측에 인접 배치되는 가이드부재를 견고하게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한 쌍의 가이드부재(20)의 일부를 포개어 둔 상태에서 슬리브부재(30)를 측방향에서 장착가능하게 함으로써, 장착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부재(20)는, 각각, 장착부(60)를 포함한다. 장착부(60)는 가이드부재(20) 각각의 양 측이 아닌 일 측에 형성되면 족하다. 장착부(60)는 케이블 트레이의 행거 등에 장착되도록 마련되고, 다양한 구성을 취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장착부(60)는 접촉플레이트(62), 만곡부(64) 및 결합플레이트(66)를 포함할 수 있다. 접촉플레이트(62)는 가이드부재(20)의 양 측에 접하도록 구성되고, 관통공(162)을 구비한다. 관통공(162)에는 제1 체결부재(68)가 장착되고, 제1 체결부재(68)는 가이드부재(20)를 통과하여 가이드부재(20)를 관통하는 체결공(28)에 삽입된다. 만곡부(64)는 접촉플레이트(62)로부터 일정각도로 벤딩하여 연장하고, 결합플레이트(66)에 연결된다. 결합플레이트(66)에는 관통공(166)이 형성될 수 있다. 만곡부(64)는 마주보는 행어의 중심선으로부터 오프셋이 있게 구성되는 가이드부재(20)와의 연결을 가능하게 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진어셈블리(1)는 고정부(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고정부(80)를 별개의 구성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장착부(60) 및 고정부(80)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고정부(80)는 장착부(60)와 결합되어 케이블 트레이의 행어 등 대상 구조물에 장착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고정부(80)는, 결합플레이트(66)와 면접합될 수 있도록 구성된 연결플레이트(82)를 포함한다. 연결플레이트(82)는 폴딩플레이트(84)에 연결된다. 폴딩플레이트(84)는 판재를 폴딩하여 내측에 중공(184)이 형성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명세서에서 중공(184)은 원형뿐만 아니라 삼각형, 사각형 등 다각형 및 타원형의 단면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폴딩플레이트(84)의 자유단은 볼트 및 너트 등의 구성을 통해 접합될 수 있다. 폴딩플레이트(84)의 중공에는 제진어셈블리(1)가 장착될 행어 등이 삽입되어 고정된다. 장착 예는 도 14 및 15에 도시되어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가이드부재(20)는, 각각, 픽스쳐부재(22)를 포함한다. 각 가이드부재(20)에는 장착부(60)가 형성된 반대측 단부 근처에 픽스쳐부재(22)가 형성된다. 픽스쳐부재(22)에는 홀(122)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각 픽스쳐부재(22)는 가이드부재(20)로부터 돌출하는 신장부(24) 및 신장부(24)로부터 절곡하여 가이드부재(20)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연장하는 연장부(26)를 포함한다. 홀(122)은 각각 연장부(26)에 형성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조립체(40)는 한 쌍의 가이드부재(20) 사이에 개재되고, 일단은 한 쌍의 가이드부재(20)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고, 타단은 한 쌍의 가이드부재(20) 중 다른 하나에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슬라이드조립체(40)는 몸체부(42), 베어링요소(44) 및 스프링부재(46)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몸체부(42)에는 베어링요소(44)가 안착되고, 한 쌍의 가이드부재(20)와 연결되도록 스프링부재(46)가 결합된다. 몸체부(42)는 베이스(142) 및 돌출부(242)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142)의 양 측면에는, 각각, 복수의 베어링요소(44)가 배치된다.
돌출부(242)는 베이스(142)로부터 돌출하여 몸체부(42)의 양 측에 형성되고, 삽입공(342)이 형성된다. 돌출부(242) 중 어느 하나(이하 '제1 돌출부(242a)')는 몸체부(42)의 두께방향에 대하여 상측으로 돌출하고, 돌출부(242) 중 다른 하나(이하 '제2 돌출부(242b)')는 몸체부(42)의 두께방향에 대하여 하측으로 돌출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돌출부(242a)는 몸체부(42)의 두께방향에 대하여 상측으로 돌출한 뒤, 몸체부(42)의 길이방향과 나란하도록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대응하게, 제2 돌출부(242b)는 몸체부(42)의 두께방향에 대하여 하측으로 돌출한 뒤, 몸체부(42)의 길이방향과 나란하도록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경우, 베어링요소(44)가 배치되는 공간을 확보하면서도, 각 돌출부(242)와 연결되는 스프링부재(46)가 몸체부(42) 및 가이드부재(20)와 나란하게 정렬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컴팩트하게 배치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휨력에 대한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돌출부(242)는 연장부(26)와 각 가이드부재(20)의 표면으로부터 동일한 높이에 형성된다. 즉, 양 돌출부(242)는 베이스(142)에 대하여 회전대칭하게 형성된다.
베어링요소(44)는 베이스(142)의 양 측면에 배치된다. 각 베어링요소(44)는 축(144)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베이스(142)에 결합될 수 있다. 각 베어링요소(44)는 마주하는 각 가이드부재(20)에 대한 외부 진동에 의한 좌우이동을 전달받고 가이드부재(20)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스프링부재(46)는 몸체부(42)에 결합된다. 스프링부재(46)는 몸체부(42)에 형성되는 돌출부(242)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또는, 스프링부재(46)는 돌출부(242)에 형성되는 각 삽입공(342)에 결합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각 스프링부재(46)의 일단은 슬라이드조립체(40)와 결합하고, 각 스프링부재(46)의 타단은 한 쌍의 가이드부재(20)와 각각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진어셈블리(1)의 작동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4 및 15는 케이블 트레이 상에 본 발명에 따른 제진어셈블리(1)가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다. 지진 등에 의해 외부 진동에 의해 케이블 트레이는 좌우로 흔들리게 된다. 이 때, 가이드부재(20) 내에 배치되는 슬라이드조립체(40)는 좌우로 움직이게 된다. 도면에서 우측으로 이동이 있을 때에는 슬라이드조립체(40)가 우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렇게 되면 좌측의 스프링부재는 압축이 되고, 우측의 스프링부재는 신장이 된다. 이 때 양 스프링부재에는 원점으로 돌아오고자 하는 복원력이 생기므로 이와 같은 복원력에 의해 좌우로 흔들리는 힘이 줄어들어가나 상쇄되는 현상이 발생되어 케이블 트레이와 같은 구조물에 대한 진동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면에서 좌측으로 이동이 있을 때에도 동일한 원리가 적용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 제진어셈블리 20: 가이드부재
21: 굴곡부 22: 픽스쳐부재
24: 신장부 26: 연장부
28: 체결공 30: 슬리브부재
32: 관통면 34: 이격부
36: 그랩부 40: 슬라이드조립체
42: 몸체부 44: 베어링요소
46: 스프링부재 60: 장착부
62: 접촉플레이트 64: 만곡부
66: 결합플레이트 68: 제1 체결부재
80: 고정부 82: 연결플레이트
84: 폴딩플레이트 122: 홀
142: 베이스 144: 축
162, 166: 관통공 184: 중공
242: 돌출부 342: 삽입공

Claims (8)

  1. 서로 일부가 포개어지도록 결합되는 한 쌍의 가이드부재;
    일단은 상기 한 쌍의 가이드부재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한 쌍의 가이드부재 중 다른 하나에 결합되고, 상기 한 쌍의 가이드부재 사이에서 미끄럼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한 쌍의 가이드부재 사이에 개재되는 슬라이드조립체; 및
    상기 한 쌍의 가이드부재를 감싸도록 배치되는 슬리브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슬리브부재에는 내부에 관통면이 형성되고 일 측에는 상기 관통면과 연통하는 이격부 및 상기 이격부의 양 측에 형성되는 그랩부가 구성되는 것인 제진어셈블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조립체는 복수의 베어링요소를 포함하는 것인 제진어셈블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조립체의 일단 및 타단은, 각각, 스프링부재에 의해 한 쌍의 가이드부재와 연결되는 것인 제진어셈블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조립체는,
    양 단에 삽입공을 포함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양면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의 베어링요소; 및
    상기 삽입공에 각각 결합되는 스프링부재;
    를 포함하는 것인 제진어셈블리.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복수의 베어링요소가 안착되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의 양 측에 베이스로부터 돌출하여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에 대하여 회전대칭하게 형성되며, 상기 삽입공이 형성되는 돌출부;
    를 포함하는 것인 제진어셈블리.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각각, 홀을 포함하는 픽스쳐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픽스쳐부재는, 상기 돌출부와 상기 가이드부재에 대하여 동일한 높이에 형성되는 것인 제진어셈블리.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가이드부재는, 각각, 일 측에 형성되는 장착부를 포함하는 것인 제진어셈블리.
  8. 삭제
KR1020190069417A 2019-06-12 2019-06-12 제진어셈블리 KR1021710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9417A KR102171070B1 (ko) 2019-06-12 2019-06-12 제진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9417A KR102171070B1 (ko) 2019-06-12 2019-06-12 제진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1070B1 true KR102171070B1 (ko) 2020-10-28

Family

ID=73018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9417A KR102171070B1 (ko) 2019-06-12 2019-06-12 제진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107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47241A (ja) * 2010-08-25 2012-03-08 Yurtec Corp 免震装置及びその免震装置を用いた電気配線設備
KR101326806B1 (ko) 2012-09-20 2013-11-20 김병길 케이블 트레이 지지부재의 내진장치
KR101661758B1 (ko) * 2015-01-12 2016-09-30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원형복원형 에너지 소산 댐퍼
KR101832994B1 (ko) * 2017-08-07 2018-02-28 (주)광명이엔지 3차원 면진 구조의 내진어셈블리 및 그것이 적용된 내진형 케이블 트레이 시스템
KR20180085961A (ko) * 2017-01-20 2018-07-30 부경트레이 주식회사 내진형 케이블 트레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47241A (ja) * 2010-08-25 2012-03-08 Yurtec Corp 免震装置及びその免震装置を用いた電気配線設備
KR101326806B1 (ko) 2012-09-20 2013-11-20 김병길 케이블 트레이 지지부재의 내진장치
KR101661758B1 (ko) * 2015-01-12 2016-09-30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원형복원형 에너지 소산 댐퍼
KR20180085961A (ko) * 2017-01-20 2018-07-30 부경트레이 주식회사 내진형 케이블 트레이
KR101832994B1 (ko) * 2017-08-07 2018-02-28 (주)광명이엔지 3차원 면진 구조의 내진어셈블리 및 그것이 적용된 내진형 케이블 트레이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7085B1 (ko) 공동주택 건축물용 전기 케이블 트레이
KR102028865B1 (ko) 천정형 내진 충격 완충 유닛
KR101860056B1 (ko) 내진형 케이블트레이 시스템
JP6800289B2 (ja) 耐震用ケーブルトレイハンガー装置
JP3195374U (ja) 配管固定装置
KR102216665B1 (ko) 내진용 케이블 트레이 행거 장치
KR102077192B1 (ko) 천장 설치물 지지를 위한 천장용 내진 행거 및 이를 갖는 내진 천장틀
US9228602B2 (en) Connector assembly
KR101573849B1 (ko) 통신케이블 트레이용 방진구
KR102104832B1 (ko) 케이블 트레이 고정장치
KR101973031B1 (ko) 케이블 트레이용 내진장치 및 이를 포함한 내진형 케이블 트레이 시스템
JP5879812B2 (ja) 天井部の吊下装置
JP6182404B2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2185641B1 (ko) 비틀림 작용에 탄성복원력을 가지는 내진 배전반
KR102171070B1 (ko) 제진어셈블리
JP5906101B2 (ja) 防振吊り減震構造体
KR101781433B1 (ko) 천정 설비용 면진 연결구
KR101843778B1 (ko) 내진형 와이어웨이 시스템
KR101844983B1 (ko) 케이블 지지모듈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JP5695787B1 (ja) 構造物用強制両面スライド支承装置
JP5917182B2 (ja) 防振吊り減震構造体
JP2019127823A (ja) 耐震用軽量鉄骨フレームの構造
KR20200095114A (ko) 내진용 소방 배관 연결구
KR102114888B1 (ko) 트레이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CN103851563B (zh) 光源减震安装结构及使用该光源减震安装结构的助航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