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1758B1 - 원형복원형 에너지 소산 댐퍼 - Google Patents
원형복원형 에너지 소산 댐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61758B1 KR101661758B1 KR1020150004312A KR20150004312A KR101661758B1 KR 101661758 B1 KR101661758 B1 KR 101661758B1 KR 1020150004312 A KR1020150004312 A KR 1020150004312A KR 20150004312 A KR20150004312 A KR 20150004312A KR 101661758 B1 KR101661758 B1 KR 10166175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iction plate
- flat surface
- plate
- axis direction
- shape memor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8—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vibrations or shocks; against mechanical destruction, e.g. by air-raid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24/00—Materials; Material properties
- F16F2224/02—Materials; Material properties solids
- F16F2224/0258—Shape-memory metals, e.g. Ni-Ti allo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원형복원형 에너지 소산 댐퍼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원형복원형 에너지 소산 댐퍼는, 제1 평탄면을 갖는 제1 마찰플레이트; 상기 제1 마찰플레이트와 X축 방향으로 슬라이드 상대이동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 상대이동시 상기 제1 평탄면과 마찰하는 제2 평탄면을 갖는 제2 마찰플레이트; 및 상기 제1 마찰플레이트와 제2 마찰플레이트를 연결하고, 상기 슬라이드 상대이동시 이동방향과 반대방향의 회복력을 형성하는 형상기억강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구조물에 가해지는 수평하중에 의해 변형이 발생한 후 원형으로 자동복원되도록 이루어지고, 설치시 복원력을 쉽게 조정할 수 있으며, 구조물의 손상으로 인한 교체작업 없이도 잔류변형이 방지되어 구조물 복원으로 인한 유지보수 비용이 발생하지 않도록 이루어지는 원형복원형 에너지 소산 댐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원형복원형 에너지 소산 댐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조물 및 시설물에 설치되어 진동 저감 및 충격에 의한 구조물의 손상을 방지하면서도, 원형으로 자동복원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원형복원형 에너지 소산 댐퍼에 관한 것이다.
전 세계적으로 자연재해에 대한 위험의 증가로 인하여 구조물은 일정 이상의 안전성이 요구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다양한 자연현상 가운데 지진으로부터 안전한 국가라는 인식과 더불어 구조물 최적화설계 및 붕괴방지에 대한 지식이 상당히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국내의 구조물과 각종 시설물들은 지진재해에 대하여 더욱 취약할 수밖에 없는 상황에 놓여있다. 지진하중에 대응하기 위하여 구조물은 일정 하중 하에서 하중저항능력과 기능성의 요구를 충족시키고 경제적인 요인도 충족할 수 있어야 한다. 이에 따라 관련기술의 점차적인 발전으로 인하여 현재에는 내진설계의 일반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일반화에 따라서 국내에서는 지진하중에 대하여 구조물의 무게를 지탱하면서 수평방향으로 부드럽게 변형할 수 있는 진동 격리용 받침 장치를 하부에 설치하는 면진장치와, 구조물 내부에서 지진하중에 직접적으로 대응하여 구조물의 감쇠 또는 강성 등을 국부적으로 변화시켜 능동적으로 제어하는 제진 장치가 개발되고 있으며, 비용과 안정도 측면에서 우수한 성능을 보유하고 있지만 변위제어와 유지보수 측면에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물에 가해지는 수평하중에 의해 변형이 발생한 후 원형으로 자동복원되도록 이루어지고, 설치시 복원력을 쉽게 조정할 수 있으며, 구조물의 손상으로 인한 교체작업 없이도 잔류변형이 방지되어 구조물 복원으로 인한 유지보수 비용이 발생하지 않도록 이루어지는 원형복원형 에너지 소산 댐퍼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제1 평탄면을 갖는 제1 마찰플레이트; 상기 제1 마찰플레이트와 X축 방향으로 슬라이드 상대이동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 상대이동시 상기 제1 평탄면과 마찰하는 제2 평탄면을 갖는 제2 마찰플레이트; 및 상기 제1 마찰플레이트와 제2 마찰플레이트를 연결하고, 상기 슬라이드 상대이동시 이동방향과 반대방향의 회복력을 형성하는 형상기억강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복원형 에너지 소산 댐퍼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제1 평탄면은 상기 제1 마찰플레이트의 양단부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2 평탄면은 상기 제2 마찰플레이트의 양단부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1 마찰플레이트와 제2 마찰플레이트는, 상기 제1 평탄면 또는 제2 평탄면 사이에서 Y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며, 상기 형상기억강봉은, 상기 슬라이드 상대이동시 이동방향과 반대방향의 압축력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1 평탄면 또는 제2 평탄면 사이에서 상기 제1 마찰플레이트와 제2 마찰플레이트를 상기 Y축 방향으로 연결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평탄면과 제2 평탄면에는 각각 상기 X축 방향으로 슬롯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마찰플레이트와 제2 마찰플레이트는, 상기 제1 평탄면과 제2 평탄면 간 마찰력이 조정되도록 상기 슬롯홀을 통해 볼트와 너트로 결합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형상기억강봉은 제1 형상기억강봉 및 제2 형상기억강봉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마찰플레이트 또는 제2 마찰플레이트에는 상기 X축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슬라이더가 결합되며, 상기 제1 형상기억강봉의 일단부는 상기 슬라이더에 결합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마찰플레이트 또는 제2 마찰플레이트에는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X축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레일홈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더의 슬라이드 이동거리를 제한하도록, 상기 레일홈에 삽입되는 이동제한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이동제한수단은, 상기 슬라이더의 슬라이드이동시 탄성적으로 압축되는 압축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X축 방향으로 서로 마찰하는 제1 마찰플레이트와 제2 마찰플레이트를 형상기억강봉이 Y축 방향으로 연결함으로써, 구조물에 가해지는 수평하중에 의해 변형이 발생한 후 원형으로 자동복원되도록 이루어지고, 설치시 복원력을 쉽게 조정할 수 있으며, 구조물의 손상으로 인한 교체작업 없이도 잔류변형이 방지되어 구조물 복원으로 인한 유지보수 비용이 발생하지 않도록 이루어지는 원형복원형 에너지 소산 댐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형복원형 에너지 소산 댐퍼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원형복원형 에너지 소산 댐퍼의 적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원형복원형 에너지 소산 댐퍼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도 1의 원형복원형 에너지 소산 댐퍼의 응력-변형률 선도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형복원형 에너지 소산 댐퍼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원형복원형 에너지 소산 댐퍼의 슬라이더 및 이동제한수단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의 원형복원형 에너지 소산 댐퍼의 적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원형복원형 에너지 소산 댐퍼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도 1의 원형복원형 에너지 소산 댐퍼의 응력-변형률 선도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형복원형 에너지 소산 댐퍼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원형복원형 에너지 소산 댐퍼의 슬라이더 및 이동제한수단을 나타내는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원형복원형 에너지 소산 댐퍼는, 구조물에 가해지는 수평하중에 의해 변형이 발생한 후 원형으로 자동복원되도록 이루어지고, 설치시 복원력을 쉽게 조정할 수 있으며, 구조물의 손상으로 인한 교체작업 없이도 잔류변형이 방지되어 구조물 복원으로 인한 유지보수 비용이 발생하지 않도록 이루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형복원형 에너지 소산 댐퍼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원형복원형 에너지 소산 댐퍼의 적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원형복원형 에너지 소산 댐퍼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도 1의 원형복원형 에너지 소산 댐퍼의 응력-변형률 선도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형복원형 에너지 소산 댐퍼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원형복원형 에너지 소산 댐퍼의 슬라이더 및 이동제한수단을 나타내는 도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형복원형 에너지 소산 댐퍼(1)는, 구조물(100) 및 시설물에 설치되어 진동 저감 및 충격에 의한 구조물(100)의 손상을 방지하면서도 원형으로 자동복원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며, 제1 마찰플레이트(10), 제2 마찰플레이트(20) 및 형상기억강봉(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마찰플레이트(10) 및 제2 마찰플레이트(20)는 X축 방향(X)으로 서로 슬라이드 상대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성으로서, 각각 X축 방향(X)으로 길게 형성된다.
X축 방향(X)은 제1 마찰플레이트(10) 및 제2 마찰플레이트(20)의 길이방향을 의미하며, 본 발명의 원형복원형 에너지 소산 댐퍼(1)는 가새 대신 구조물(100)에 결합되어 X축 방향(X)으로 인장되거나 수축되며, 신축과정에서 구조물(100)에 가해지는 수평방향의 외력을 소산시키게 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에너지 소산 댐퍼(1)는 X축 방향(X)으로 설치된 가새의 단부나 중간에 결합될 수도 있다. 물론, 구조물과 면진받침 사이에 횡방향으로 설치되어 면진장치의 횡방향 변위에 의한 파괴를 방지하고 구조물에 작용하는 지진에너지의 전달을 감소 시키는데에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마찰플레이트(10)에는 제1 평탄면(10A)이 형성되고, 제2 마찰플레이트(20)에는 제2 평탄면(20A)이 형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마찰플레이트(10) 및 제2 마찰플레이트(20)는 외력 인가서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 즉, X축 방향(X)으로 슬라이드 이동하게 되며, 이때 제1 평탄면(10A)과 제2 평탄면(20A)은 X축 방향(X)으로 서로 마찰하여 외력을 흡수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 평탄면(10A)은 제1 마찰플레이트(10)의 양단부에 각각 형성되고, 제2 평탄면(20A)은 제2 마찰플레이트(20)의 양단부에 각각 형성되어 외력 인가시 각각 마찰력을 형성하게 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마찰플레이트(10) 및 제2 마찰플레이트(20)의 단부에는 각각 가새플레이트(G)에 볼트(미도시)로 결합되는 결합부(11, 21)가 형성된다. 결합부(11, 21)에는 볼트가 삽입되는 결합홀(11a, 21a)이 형성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마찰플레이트(10) 및 제2 마찰플레이트(20)에는 각각 설치홀(H)이 형성된다. 설치홀(H)은 제1 평탄면(10A)과 제2 평탄면(20A)을 볼트(B)와 너트(N)로 결합하기 위한 공간으로서, 서로 마찰하는 제1 평탄면(10A)과 제2 평탄면(20A)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다.
제1 평탄면(10A) 및 제2 평탄면(20A)에는 X방향(X)으로 긴 슬롯홀(SH)이 형성된다. 슬롯홀(SH)은 제1 평탄면(10A)과 제2 평탄면(20A)이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제1 마찰플레이트(10)와 제2 마찰플레이트(20)는 슬롯홀(SH)을 통해 볼트(B) 및 너트(N)로 결합된다.
제1 마찰플레이트(10)와 제2 마찰플레이트(20)가 볼트(B)와 너트(N)로 결합되면, 제1 마찰플레이트(10)와 제2 마찰플레이트(20)의 X방향(X) 상대이동거리는 볼트(B)의 직경을 무시하는 경우 슬롯홀(SH) 길이의 2배에 대응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1 마찰플레이트(10)에 형성되는 슬롯홀(SH)과 제2 마찰플레이트(20)에 형성되는 슬롯홀(SH)은 서로 다른 길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제1 마찰플레이트(10)와 제2 마찰플레이트(20)의 X방향(X) 상대이동거리는 볼트(B)의 직경을 무시하는 경우 슬롯홀(SH) 길이의 합에 대응된다.
제1 평탄면(10A)과 제2 평탄면(20A) 간의 마찰력은 볼트(B)와 너트(N)의 결합력에 의해 조정된다. 제1 평탄면(10A)과 제2 평탄면(20A) 간 마찰력은 볼트(B)와 너트(N)의 결합력에 비례하여 커지거나 작아진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롯홀(SH)은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슬롯홀(SH)의 개수는 볼트(B)와 너트(N)의 결합력과 비례하므로 제1 평탄면(10A)과 제2 평탄면(20A) 간 마찰력은 슬롯홀(SH)의 개수에 의해 조정될 수 있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상기억강봉(30)은 제1 마찰플레이트(10)와 제2 마찰플레이트(20)의 슬라이드 상대이동시 이동방향과 반대방향의 회복력을 형성하는 구성으로서, Y축 방향(Y)으로 제1 마찰플레이트(10)와 제2 마찰플레이트(20)를 연결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보다 자세하게는, 형상기억강봉(30)은 제1 평탄면(10A)(또는 제2 평탄면(20A)) 사이에서 제1 마찰플레이트(10)와 제2 마찰플레이트(20)를 Y축 방향(Y)으로 연결한다. Y축 방향(Y)은 X축 방향(X)과 직각방향을 의미하며, 또한 이는 형상기억강봉(30)이 제1 마찰플레이트(10)와 제2 마찰플레이트(20)를 최단거리로 연결하는 것을 의미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마찰플레이트(10)와 제2 마찰플레이트(20)는, 제1 평탄면(10A) 또는 제2 평탄면(20A) 사이에서 Y축 방향(Y)으로 서로 이격되는 형태로 형성되며, 형상기억강봉(30)은 양단부가 제1 마찰플레이트(10)와 제2 마찰플레이트(20)를 최단거리로 연결하게 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상기억강봉(30)의 양단부는 제1 마찰플레이트(10)와 제2 마찰플레이트(20)에 회전 및 이동이 구속되는 형태로 결합된다.
형상기억강봉(30)의 양단부가 제1 마찰플레이트(10) 및 제2 마찰플레이트(20)에 각각 회전이 구속되는 형태로 결합되면, 도 3(b) 및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마찰플레이트(10)와 제2 마찰플레이트(20)의 X축 방향(X)의 양방향 상대이동시 각각 인장되는 동시에 휨변형되며, 휨변형에 의해 외력에 대한 에너지 소산량이 증가하는 동시에 원형으로 회복하는 형상기억합금의 회복력이 증가하는 이점이 있다.
형상기억강봉(30)은 초탄성 형상기억합금으로 형성된다. 초탄성 형상기억합금은(superelasticity shape memory alloy, 超彈性 形狀記憶合金) 소성변형이 가해지고 난 후에 열이 가해지지 않더라도 실온에서 본래의 형상으로 복원하는 성질을 가지는 금속이다. 따라서 형상기억강봉(30)은 외력에 의해 인장변형된 후 열이 가해지지 않더라도 자체적으로 원래 상태로 복귀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원형복원형 에너지 소산 댐퍼(1)의 한 일(③)은 형상기억강봉(30)의 변형-복원 응력(F1)과 상대이동거리(δ)에 의한 일(①) 및 제1 평탄면(10A)과 제2 평탄면(20A) 간 마찰력(F2)과 상대이동거리(δ)에 의한 일(②)의 합으로 수치화되어 질 수 있으며, 이는 하중-변위 이력 곡선에 의해 도시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원형복원형 에너지 소산 댐퍼(1)는 마찰력(F2)에만 의존하여 제진 성능을 나타내는 종래의 마찰댐퍼와 비교하여 큰 힘(F3=F1+F2)에 의한 변위로서 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으면서도 변형 후에는 형상기억강봉(30)의 형태회복에 의해 원상으로 회복되고, 이에 따라 마찰댐퍼의 소형화 및 경량화를 꾀할 수 있게 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형복원형 에너지 소산 댐퍼(2)는, 외력 인가시 복수의 형상기억강봉(30) 중 일부 형상기억강봉(30)의 외력 흡수 시점을 제1 마찰플레이트(10)와 제2 마찰플레이트(20) 간 상대이동 거리에 따라 다르게 형성할 수 있다.
형상기억강봉(30)은 제1 형상기억강봉(31) 및 제2 형상기억강봉(3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형상기억강봉(31)은 일단부가 슬라이더(SL)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제1 마찰플레이트(10) 또는 제2 마찰플레이트(20)에 결합되며, 제2 형상기억강봉(32)은 양단부가 제1 마찰플레이트(10)와 제2 마찰플레이트(20)에 결합된다.
슬라이더(SL)는 제1 마찰플레이트(10) 또는 제2 마찰플레이트(20)에서 X축 방향(X)으로 슬라이드이동가능하게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제1 마찰플레이트(10) 또는 제2 마찰플레이트(20)에는 슬라이더(SL)가 X축 방향(X)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레일홈(RH)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형복원형 에너지 소산 댐퍼(2)는, 외력 인가시 제1 마찰플레이트(10) 및 제2 마찰플레이트(20) 간 상대이동과 함께 제2 형상기억강봉(32)이 인장 및 휨변형되어 외력을 흡수하게 되고, 제1 형상기억강봉(31)은 슬라이더(SL)가 레일을 따라 X축 방향(X)으로 이동할 수 있는 제1 마찰플레이트(10) 및 제2 마찰플레이트(20) 간 상대이동거리까지는 변형되지 않는다.
제1 마찰플레이트(10) 및 제2 마찰플레이트(20) 간 상대이동거리가 슬라이더(SL)가 레일을 따라 X축 방향(X)으로 이동할 수 있는 거리보다 커지면 제1 형상기억강봉(31)의 일단부는 레일홈(RH)이 형성된 제1 마찰플레이트(10) 또는 제2 마찰플레이트(20)와 함께 이동하게 되며, 제1 형상기억강봉(31)의 인장 및 휨변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형복원형 에너지 소산 댐퍼(2)는, 구조물이나 설치물의 제진설계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즉, 초기 제진성능보다 중기나 후기 제진성능이 더 요구되는 구조물이나, 외력 인가시 일정량의 초기 변형이 허용되는 구조물이나 시설물에 사용되는 경우 특히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홈(RH)에는 슬라이더(SL)의 슬라이드 이동거리를 제한하는 이동제한수단(MS)이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이동제한수단(MS)이 레일홈(RH)에 선택적으로 삽입되거나 분리되면, 제1 형상기억합금의 인장 및 휨변형이 요구되는 제1 마찰플레이트(10)와 제2 마찰플레이트(20) 간 상대이동거리에 따라 다양한 X축 방향(X) 길이를 갖는 이동제한수단(MS)을 선택적으로 삽입하거나 분리함으로써, 제1 형상기억강봉(31)의 인장 및 휨변형이 요구되는 시점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동제한수단(MS)은,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한 재질의 블록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동제한수단(MS)이 압축스프링으로 이루어지면 슬라이더(SL)의 슬라이드이동시, 이동제한수단(MS)이 외력을 탄성적으로 흡수함으로써 에너지 소산능이 향상되며, 또한 제1 형상기억강봉(31)에 의한 에너지 소산형태를 다양하고 보다 세밀하게 설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X축 방향(X)으로 서로 마찰하는 제1 마찰플레이트(10)와 제2 마찰플레이트(20)를 형상기억강봉(30)이 Y축 방향(Y)으로 연결함으로써, 구조물(100)에 가해지는 수평하중에 의해 변형이 발생한 후 원형으로 자동복원되도록 이루어지고, 설치시 복원력을 쉽게 조정할 수 있으며, 구조물(100)의 손상으로 인한 교체작업 없이도 잔류변형이 방지되어 구조물(100) 복원으로 인한 유지보수 비용이 발생하지 않도록 이루어지는 원형복원형 에너지 소산 댐퍼(1,2)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 : 에너지 소산 댐퍼 100 : 구조물
10 : 제1 마찰플레이트 100A : 기둥
20 : 제2 마찰플레이트 100B : 보
30 : 형상기억강봉 G : 가새플레이트
10A : 제1 평탄면 20A : 제2 평탄면
SH : 슬롯홀 21 : 결합부
B : 볼트 21a : 결합홀
N : 너트 31 : 제1 형상기억강봉
RH : 레일홈 32 : 제2 형상기억강봉
MS : 이동제한수단 SL : 슬라이더
H : 설치홀
11 : 결합부
11a : 결합홀
10 : 제1 마찰플레이트 100A : 기둥
20 : 제2 마찰플레이트 100B : 보
30 : 형상기억강봉 G : 가새플레이트
10A : 제1 평탄면 20A : 제2 평탄면
SH : 슬롯홀 21 : 결합부
B : 볼트 21a : 결합홀
N : 너트 31 : 제1 형상기억강봉
RH : 레일홈 32 : 제2 형상기억강봉
MS : 이동제한수단 SL : 슬라이더
H : 설치홀
11 : 결합부
11a : 결합홀
Claims (6)
- 제1 평탄면을 갖는 제1 마찰플레이트;
상기 제1 마찰플레이트와 X축 방향으로 슬라이드 상대이동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 상대이동시 상기 제1 평탄면과 마찰하는 제2 평탄면을 갖는 제2 마찰플레이트; 및
상기 제1 마찰플레이트와 제2 마찰플레이트를 연결하고, 상기 슬라이드 상대이동시 이동방향과 반대방향의 회복력을 형성하는 형상기억강봉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평탄면은 상기 제1 마찰플레이트의 양단부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2 평탄면은 상기 제2 마찰플레이트의 양단부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1 마찰플레이트와 제2 마찰플레이트는, 상기 제1 평탄면 또는 제2 평탄면 사이에서 Y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며,
상기 형상기억강봉은, 상기 슬라이드 상대이동시 이동방향과 반대방향의 압축력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1 평탄면 또는 제2 평탄면 사이에서 상기 제1 마찰플레이트와 제2 마찰플레이트를 상기 Y축 방향으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복원형 에너지 소산 댐퍼.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평탄면과 제2 평탄면에는 각각 상기 X축 방향으로 슬롯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마찰플레이트와 제2 마찰플레이트는, 상기 제1 평탄면과 제2 평탄면 간 마찰력이 조정되도록 상기 슬롯홀을 통해 볼트와 너트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복원형 에너지 소산 댐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기억강봉은 제1 형상기억강봉 및 제2 형상기억강봉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마찰플레이트 또는 제2 마찰플레이트에는 상기 X축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슬라이더가 결합되며,
상기 제1 형상기억강봉의 일단부는 상기 슬라이더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복원형 에너지 소산 댐퍼.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마찰플레이트 또는 제2 마찰플레이트에는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X축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레일홈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더의 슬라이드 이동거리를 제한하도록, 상기 레일홈에 삽입되는 이동제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복원형 에너지 소산 댐퍼.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제한수단은, 상기 슬라이더의 슬라이드이동시 탄성적으로 압축되는 압축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복원형 에너지 소산 댐퍼.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04312A KR101661758B1 (ko) | 2015-01-12 | 2015-01-12 | 원형복원형 에너지 소산 댐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04312A KR101661758B1 (ko) | 2015-01-12 | 2015-01-12 | 원형복원형 에너지 소산 댐퍼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86664A KR20160086664A (ko) | 2016-07-20 |
KR101661758B1 true KR101661758B1 (ko) | 2016-09-30 |
Family
ID=56680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04312A KR101661758B1 (ko) | 2015-01-12 | 2015-01-12 | 원형복원형 에너지 소산 댐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61758B1 (ko)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15853A (ko) | 2017-08-07 | 2019-02-15 |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 자동복원이 가능한 가새 댐퍼장치 |
KR20190091131A (ko) | 2018-01-26 | 2019-08-05 |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 자동복원 및 자기치유가 가능한 스마트 소재 활용 댐퍼장치 |
KR102081658B1 (ko) | 2019-01-15 | 2020-02-26 |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 압축조절식 자동복원댐퍼 |
KR102171070B1 (ko) * | 2019-06-12 | 2020-10-28 | 주식회사 태화이엔지 | 제진어셈블리 |
KR20200145365A (ko) | 2019-06-21 | 2020-12-30 |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 이종소재의 복합적 변형에 기반한 자동복원댐퍼 |
KR20210029524A (ko) | 2019-09-06 | 2021-03-16 |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 자동복원 스프링댐퍼 |
KR102283043B1 (ko) | 2020-06-02 | 2021-07-27 |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 판구조의 잔류변형 저감형 댐퍼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60484A (ko) * | 2016-11-29 | 2018-06-07 |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 에너지 소산형 가새댐퍼 |
CN107023210B (zh) * | 2017-05-26 | 2019-02-22 | 太原恒晋减震科技有限公司 | 建筑减震消能复位阻尼器 |
CN107558787B (zh) * | 2017-10-21 | 2019-06-28 | 山东建筑大学 | 一种限位耗能结构及其施工方法 |
CN108035598B (zh) * | 2017-12-18 | 2023-12-26 | 黄淮学院 | 一种半主动/被动混合减震装置 |
CN108442557B (zh) * | 2018-05-21 | 2023-12-26 | 黄淮学院 | 一种双滑块压电sma复合减震装置 |
CN108457515B (zh) * | 2018-05-21 | 2023-12-26 | 黄淮学院 | 一种三滑块全复位型sma摩擦阻尼器 |
CN108729568B (zh) * | 2018-05-21 | 2024-01-12 | 黄淮学院 | 一种箱式串联型sma摩擦复合阻尼器 |
CN109853772B (zh) * | 2019-04-09 | 2023-09-22 | 安徽理工大学 | 一种自复位软钢阻尼器 |
CN111207174B (zh) * | 2020-03-20 | 2024-05-31 | 扬州大学 | 一种基于形状记忆合金的位移放大型自复位阻尼器 |
CN112411784B (zh) * | 2020-11-20 | 2024-09-10 | 广州大学 | 一种拉索式消能支撑及其消能方法 |
CN113175002B (zh) * | 2021-04-28 | 2022-01-11 | 西南交通大学 | 一种软碰撞耗能装置 |
CN113464602A (zh) * | 2021-06-29 | 2021-10-01 | 湖南大学 | 一种适用于风力发电设备机组中的减振构件及其组装方法 |
CN114809313B (zh) * | 2022-05-18 | 2022-11-18 | 丰泽智能装备股份有限公司 | 一种抗拉拔导轨式摩擦摆支座 |
CN114922055B (zh) * | 2022-05-19 | 2023-08-22 | 浙大城市学院 | 一种基于榫卯约束的限位耗能阻尼装置及施工安装方法 |
CN115324220B (zh) * | 2022-08-03 | 2023-09-01 | 合肥工业大学 | 一种易于更换的耗能墙脚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088641A (ja) | 2006-09-29 | 2008-04-17 | Nakamura Bussan Kk | 建築物又は建造物の補強部材 |
KR101145881B1 (ko) * | 2011-10-31 | 2012-05-15 | (주)대우건설 | 강재 댐퍼와 마찰 댐퍼를 구비하는 샛기둥형 복합 댐퍼 |
KR101368653B1 (ko) * | 2013-03-05 | 2014-03-11 |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 자동복원형 마찰 댐퍼 |
KR101389994B1 (ko) * | 2013-03-05 | 2014-04-30 |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 에너지 소산형 마찰 댐퍼 |
-
2015
- 2015-01-12 KR KR1020150004312A patent/KR10166175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088641A (ja) | 2006-09-29 | 2008-04-17 | Nakamura Bussan Kk | 建築物又は建造物の補強部材 |
KR101145881B1 (ko) * | 2011-10-31 | 2012-05-15 | (주)대우건설 | 강재 댐퍼와 마찰 댐퍼를 구비하는 샛기둥형 복합 댐퍼 |
KR101368653B1 (ko) * | 2013-03-05 | 2014-03-11 |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 자동복원형 마찰 댐퍼 |
KR101389994B1 (ko) * | 2013-03-05 | 2014-04-30 |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 에너지 소산형 마찰 댐퍼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15853A (ko) | 2017-08-07 | 2019-02-15 |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 자동복원이 가능한 가새 댐퍼장치 |
KR20190091131A (ko) | 2018-01-26 | 2019-08-05 |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 자동복원 및 자기치유가 가능한 스마트 소재 활용 댐퍼장치 |
KR102081658B1 (ko) | 2019-01-15 | 2020-02-26 |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 압축조절식 자동복원댐퍼 |
KR102171070B1 (ko) * | 2019-06-12 | 2020-10-28 | 주식회사 태화이엔지 | 제진어셈블리 |
KR20200145365A (ko) | 2019-06-21 | 2020-12-30 |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 이종소재의 복합적 변형에 기반한 자동복원댐퍼 |
KR20210029524A (ko) | 2019-09-06 | 2021-03-16 |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 자동복원 스프링댐퍼 |
KR102283043B1 (ko) | 2020-06-02 | 2021-07-27 |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 판구조의 잔류변형 저감형 댐퍼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86664A (ko) | 2016-07-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61758B1 (ko) | 원형복원형 에너지 소산 댐퍼 | |
KR100757749B1 (ko) | 구조물 면진장치 | |
KR101389994B1 (ko) | 에너지 소산형 마찰 댐퍼 | |
CN108700152B (zh) | 用于承受拉力的钢索的双线性能量耗散和冲击缓冲装置 | |
JP5762780B2 (ja) | 履歴型ダンパー | |
KR101508148B1 (ko) | 전기제어 판넬에 설치되는 방진성능을 갖춘 3차원 지진격리시스템 | |
KR101541845B1 (ko) | 에너지 소산형 가새댐퍼 | |
KR101368653B1 (ko) | 자동복원형 마찰 댐퍼 | |
KR101548479B1 (ko) | 스프링 복원형 마찰 면진장치 | |
KR102212598B1 (ko) | 이종소재의 복합적 변형에 기반한 자동복원댐퍼 | |
WO2017129078A1 (zh) | 预设启动荷载的隔震弹性复位机构和启动控制隔震设备 | |
CN108999455B (zh) | 一种易复位高耗能屈曲约束支撑 | |
KR101525930B1 (ko) | 자동복원형 수동댐퍼 | |
JP6991422B2 (ja) | 構造物用制振装置 | |
KR20170097604A (ko) | 창고용 내진 지지체 및 이러한 지지체를 구비한 하중-지지 구조물 | |
US20210164223A1 (en) | Friction damper for a building structure | |
KR101834259B1 (ko) | 면진 가동 플로어 | |
JP6442934B2 (ja) | フェールセーフ装置 | |
CN104631641A (zh) | 屈服可调型交叉支撑消能器 | |
JP6432763B2 (ja) | 滑り免震機構 | |
KR102240482B1 (ko) | 자동복원 스프링댐퍼 | |
JP6651933B2 (ja) | 免振装置及び積層ゴム支承の変形量調整方法 | |
TWI435019B (zh) | Piping support structure | |
US20140117599A1 (en) | Mechanical Device for the Seismic Protection of Civil Works | |
JP5907772B2 (ja) | ローリング防止機構及び同機構付き防振架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826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