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8548A - 손잡이가 개선된 드릴링 파이프 엘리베이터 클램핑 장치 - Google Patents

손잡이가 개선된 드릴링 파이프 엘리베이터 클램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8548A
KR20190048548A KR1020170143602A KR20170143602A KR20190048548A KR 20190048548 A KR20190048548 A KR 20190048548A KR 1020170143602 A KR1020170143602 A KR 1020170143602A KR 20170143602 A KR20170143602 A KR 20170143602A KR 20190048548 A KR20190048548 A KR 201900485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ing device
pipe
hinged
handle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36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권도
Original Assignee
허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권도 filed Critical 허권도
Priority to KR10201701436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48548A/ko
Publication of KR201900485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85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19/00Handling rods, casings, tubes or the like outside the borehole, e.g. in the derrick; Apparatus for feeding the rods or cables
    • E21B19/02Rod or cable suspensions
    • E21B19/06Elevators, i.e. rod- or tube-gripp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19/00Handling rods, casings, tubes or the like outside the borehole, e.g. in the derrick; Apparatus for feeding the rods or cables
    • E21B19/10Slips; Spiders ; Catch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드릴링 파이프 엘리베이터 클램핑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시추용 파이프의 설치와 해제시 파이프의 승강을 위하여 파이프를 고정하여 주는 클램핑 장치를 설치하는데 있어서 작업자에게 편하고 안전한 환경을 제공하는 드릴링 파이프 엘리베이터 클램핑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중심에 좌측 파이프안착부가 형성된 좌측 몸체부; 일측이 상기 좌측 몸체부와 힌지결합되고 상기 좌측 파이프안착부와 대칭되는 우측 파이프안착부가 중심에 형성된 우측 몸체부; 상기 좌측 몸체부와 상기 우측 몸체부가 힌지결합하는 반대측에 설치되되 일측은 상기 좌측 몸체부에 힌지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우측 몸체부에 형성된 걸림부에 걸림으로써 상기 좌측 몸체부와 상기 우측 몸체부가 상호고정되는 잠금부; 상기 잠금부의 외측에 설치되고 상기 잠금부의 열림을 방지하는 잠금고정부;및 상기 잠금부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좌측 몸체부와 상기 우측 몸체부의 상부면과 동일한 평면에서 돌출된 두 개의 외팔보 형태로 이루어진 손잡이부로 구성된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손잡이가 개선된 드릴링 파이프 엘리베이터 클램핑 장치{Clamping device for drilling pipe elevator applied enhanced gripper}
본 발명은 드릴링 파이프 엘리베이터 클램핑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시추용 파이프의 설치와 해제시 파이프의 승강을 위하여 파이프를 고정하여 주는 클램핑 장치를 설치하는데 있어서 작업자에게 편하고 안전한 환경을 제공하는 드릴링 파이프 엘리베이터 클램핑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대의 많은 산업과 실생활에서 사용되고 있는 화석연료, 특히 석유와 같은 오일은 일반적으로 지하의 깊은 곳에 매장되어 있어 시추를 위하여 파이프를 매장지역에 매설하는 방식으로 지표면으로 배출하게 된다.
이러한 파이프는 매장지역의 깊이에 맞는 길이를 가져야 하는데, 파이프를 일체형으로 원하는 길이로 생산하고 보관하는 것은 어렵기 때문에 여러 개의 파이프를 연결하는 방식을 채택한다.
이러한 파이프는 그 설치나 해체시에는, 작업 스테이지로부터 각 파이프모듈이 가지는 높이까지 들어올려져야만 하부의 파이프와 결합 및 분리가 될 수 있으므로, 그러한 높이까지 들어올릴 수 있도록 파이프를 안전하고 강하게 잡아줄 수 있는 장비가 필요하다.
드릴링 파이프 엘리베이터 클램핑 장치는 이러한 역할을 하는 장비로써, 파이프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가압하여 고정함으로써 파이프를 들어올릴 수 있게 되어 있다.
파이프의 외주면이 드릴링 파이프 엘리베이터 클램핑 장치의 파이프안착부 위치에 오게 되면, 작업자는 드릴링 파이프 엘리베이터 클램핑 장치에 설치되어 있는 손잡이를 이용하여 드릴링 파이프 엘리베이터 클램핑 장치를 닫고 고정하게 된다.
그런데, 파이프가 가지는 길이와 재질로 인하여 매우 중량물인 바, 이를 고정하기 위한 드릴링 파이프 엘리베이터 클램핑 장치도 중량물로 구성되므로, 작업자가 그 잠금을 위하여 매우 큰 힘을 주게 되어, 반복 및 장시간의 작업으로 인한 근골격계 질환 발생의 문제점이 있었다.
KR 2020170003233 U KR 1020130102199 A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작업자에게 근골격질환의 발생을 최소화 시키고, 드릴링 파이프 엘리베이터 클램핑 장치의 잠금작업시 생길 수 있는 사고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손잡이의 구조를 작업이 편한 각도로 변경하고, 미끌림이 발생하지 않도록 개선한 드릴링 파이프 엘리베이터 클램핑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드릴링 파이프 엘리베이터 클램핑 장치는 중심에 좌측 파이프안착부가 형성된 좌측 몸체부; 일측이 상기 좌측 몸체부와 힌지결합되고 상기 좌측 파이프안착부와 대칭되는 우측 파이프안착부가 중심에 형성된 우측 몸체부; 상기 좌측 몸체부와 상기 우측 몸체부가 힌지결합하는 반대측에 설치되되 일측은 상기 좌측 몸체부에 힌지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우측 몸체부에 형성된 걸림부에 걸림으로써 상기 좌측 몸체부와 상기 우측 몸체부가 상호고정되는 잠금부; 상기 잠금부의 외측에 설치되고 상기 잠금부의 열림을 방지하는 잠금고정부;및 상기 잠금부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좌측 몸체부와 상기 우측 몸체부의 상부면과 동일한 평면에서 돌출된 두 개의 외팔보 형태로 이루어진 손잡이부로 구성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아래와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작업자가 드릴링 파이프 엘리베이터 클램핑 장치의 잠금작업을 할 시에, 손잡이의 구조가 하향 경사지도록 되어 있어, 작업자자 이를 파지하고 잠금을 하는 작업시 손목의 꺾임이 최소화가 되도록 함으로써 작업자의 작업자세에 생길 수 있는 부담을 감소시킨다.
본 발명에 의해 작업자의 작업자세가 편하게 됨에 따라, 작업의 능률이 현저히 향상되어 궁극적으로 생산비용의 절감을 가져올 수 있다.
또한, 불편한 작업자세로 인하여 생길 수 있는 협착이나 전도에 의한 사고 발생을 방지하고, 작업자에게 생길 수 있는 근골격계 질환이 예방됨으로써 산업재해의 발생을 감소시켜 그로 인해 발생하는 간접비용의 절감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손잡이가 개선된 드릴링 파이프 엘리베이터 클램핑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손잡이가 개선된 드릴링 파이프 엘리베이터 클램핑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손잡이가 개선된 드릴링 파이프 엘리베이터 클램핑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손잡이가 개선된 드릴링 파이프 엘리베이터 클램핑 장치의 좌측 몸체부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손잡이가 개선된 드릴링 파이프 엘리베이터 클램핑 장치의 우측 몸체부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손잡이가 개선된 드릴링 파이프 엘리베이터 클램핑 장치의 잠금부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손잡이가 개선된 드릴링 파이프 엘리베이터 클램핑 장치의 잠금고정부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드릴링 파이프 엘리베이터 클램핑 장치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손잡이가 개선된 드릴링 파이프 엘리베이터 클램핑 장치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손잡이가 개선된 드릴링 파이프 엘리베이터 클램핑 장치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손잡이가 개선된 드릴링 파이프 엘리베이터 클램핑 장치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손잡이가 개선된 드릴링 파이프 엘리베이터 클램핑 장치의 좌측 몸체부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손잡이가 개선된 드릴링 파이프 엘리베이터 클램핑 장치의 우측 몸체부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손잡이가 개선된 드릴링 파이프 엘리베이터 클램핑 장치의 잠금부의 사시도 및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손잡이가 개선된 드릴링 파이프 엘리베이터 클램핑 장치의 잠금고정부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드릴링 파이프 엘리베이터 클램핑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몸체부(100), 우측 몸체부(200), 잠금부(300), 잠금고정부(400) 및 손잡이부(500)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기 위하여, 먼저 기준이 되는 방향을 정한다. 작업자가 본 발명을 실질적으로 접하게 되는 면을 기준으로 기준 방향을 정하면, 후술할 손잡이부(500)가 설치되는 부분을 정면으로 하고, 상하의 기준은 손잡이가 부착된 측을 상면으로 한다. 후술할 잠금부(300)가 힌지연결된 곳을 좌측면, 걸림부(250)가 설치된 곳을 우측면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기준아래 상하좌우를 구별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좌측 몸체부(100)를 살펴본다.
본 발명의 목적인 시추에 사용되는 파이프의 결합과 분리를 위하여 파이프가 결합되는 좌측 파이프안착부(110)가 형성된다.
좌측 파이프안착부(110)는 상기 좌측 몸체부(100)와 후술할 우측 몸체부(200)가 결합하여 형성하는 전체 몸체부의 중심에 형성되는데, 좌측 몸체부(100)에 형성된 좌측 파이프안착부(110)는 파이프의 외주면 좌측이 안착되게 된다.
상세하게는, 파이프에 형성되어 있는 단차에 맞도록 좌측 파이프안착부(110)도 내부에 단차가 형성되어 있되, 좌측 파이프안착부(110)의 상부는 파이프의 큰 외경에 맞도록 형성되어 있고, 좌측 파이프안착부(110)의 하부는 파이프의 작은 외경에 맞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좌측 몸체부(100)와 후술할 우측 몸체부(200)가 결합하는 면을 중심으로, 좌측 몸체부(100)의 좌측 파이프안착부(110) 상부는 좌측 몸체부(100) 측으로 하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더욱 많이 함몰되어 있는 형상이다. 좌측 파이프안착부(110)의 상부에서 하부로 연결되는 면은, 상부로부터 하부까지 일정한 기울기를 가지도록 연결되어 있다.
상기 좌측 몸체부(100)의 후면에는 후술할 우측 몸체부(200)와 힌지결합할 수 있도록 좌측 몸체부 힌지너클(130)이 상부와 하부에 형성되어 있다. 상부와 하부의 좌측 몸체부 힌지너클(130) 사이에는 후술할 우측 몸체부 힌지너클(230)이 삽입되고, 좌측 몸체부 힌지너클(130)과 우측 몸체부 힌지너클(230)을 관통하여 몸체부 힌지핀(150)이 삽입됨으로써 좌측 몸체부(100)와 우측 몸체부(200)가 힌지결합하게 된다.
좌측 몸체부(100)의 정면에는 후술할 잠금부(300)의 일측이 힌지결합되고 상부에는 손잡이부(500)가 형성되는데, 이는 잠금부(300)와 손잡이부(500)를 설명하면서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다음으로, 상기 우측 몸체부(200)를 살펴본다.
우측 몸체부(200)는 상기 좌측 몸체부(100)와 대칭되는 형상을 가지고 있다. 즉, 중심에 우측 파이프안착부(210)가 형성되어 있되, 상술한 좌측 몸체부(100)의 좌측 파이프안착부(110)와 동일하게 상부와 하부가 단차가 지어지며, 일정한 기울기로 연결되어 있는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우측 몸체부(200)의 후면에는 상술한 좌측 몸체부(100)와 힌지결합할 수 있도록 우측 몸체부 힌지너클(230)이 상하의 중심에 형성되어 있다. 우측 몸체부 힌지너클(230)은 상술한 좌측 몸체부(100)의 상하로 형성된 좌측 몸체부 힌지너클(130)의 사이에 삽입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세하게는 좌측 몸체부 힌지너클(130)은 상하에 두개 형성되어 있고, 우측 몸체부 힌지너클(230)은 중앙에 한개 형성되어 있다.
우측 몸체부(200)의 정면에는 후술할 잠금부(300)가 고정될 수 있도록 걸림부(250)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손잡이부(500)가 형성되는데, 이는 잠금부(300)와 손잡이부(500)를 설명하면서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다음으로, 상기 잠금부(300)를 살펴본다.
잠금부(300)는 중량물인 시추 파이프가 드릴링 파이프 엘리베이터 클램핑 장치의 전체 몸체부의 중심에 위치하고 나서, 좌측 몸체부(100)와 우측 몸체부(200)가 힌지를 축으로 회동하여 맞닿아 파이프안착부를 폐쇄적으로 구성하면서 시추 파이프의 외주면을 마찰력으로 고정하게 되면, 좌측 몸체부(100)와 우측 몸체부(200)가 형성한 폐쇄공간이 개방되지 않도록 고정하여 주는 역할을 한다. 잠금부(300)에 의해 좌측 몸체부(100)와 우측 몸체부(200)가 고정되지 않게 되면, 결과적으로 시추 파이프를 고정하지 못하게 되어 중량물인 시추 파이프의 낙하에 따른 인적, 물적으로 대형사고의 위험이 발생하게 되므로 그 고정이 매우 중요하다.
잠금부(300)는 'ㄷ'자로 손잡이 형태로 구성된 구조물로써, 일측은 상기 좌측 몸체부(100)의 정면에 힌지결합되어 있고, 타측은 우측 몸체부(200)의 정면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부(250)에 걸릴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좌측 몸체부(100)의 정면에는 잠금부(300)가 힌지결합할 수 있는 잠금부 결합용 힌지너클(170)이 상부와 하부에 각 한쌍으로 총 4개 형성되어 있고, 이에 결합되는 잠금부(300)는 상기 잠금부 결합용 힌지너클(170)의 상부와 하부의 각 중앙에 삽입되도록 'ㄷ'자 형태의 두 끝이 잠금부 힌지너클(310)로 형성되어 있다.
잠금부(300)에 형성된 잠금부 힌지너클(310)이 좌측 몸체부(100) 정면의 상하부에 형성된 잠금부 결합용 힌지너클(170)에 삽입되고 잠금부(300)와 좌측 몸체부(100) 정면의 두 힌지너클을 고정하여 주는 잠금부 힌지핀(330)이 관통 설치됨으로써 잠금부(300)는 좌측 몸체부(100)와의 힌지결합부를 축으로하여 회전할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좌측 몸체부(100)의 정면에 형성된 상하부 잠금부 결합용 힌지너클(170)의 사이에는 잠금부 힌지핀(330)이 관통되도록 힌지스프링(350)이 설치되어, 잠금부(300)가 후술할 우측 몸체부(200)의 정면에 형성된 걸림부(250)에 걸린 후에 탄성력에 의해 잠금부(300)가 개방되지 않도록 가압하게 된다.
우측 몸체부(200)의 정면에는 상기 'ㄷ'자 형태 잠금부(300)의 내부 공간에 삽입될 수 있는 돌출된 걸림부(250)가 형성되어 있다. 걸림부(250)는 돌출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중앙에 홈이 파져있고, 홈에는 상하방향으로 고정기둥(251)이 설치되어 있어, 후술할 잠금고정부(400)의 훅(450)이 상기 고정기둥(251)에 걸릴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잠금부(300)의 정면에서 'ㄷ'자 형태의 상하를 이루는 부분에는 후술할 잠금고정부(400)가 힌지연결될 수 있도록 잠금고정부 힌지핀(410)이 설치될 수 있는 힌지홀 연장부(37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힌지홀 연장부(370)에 결합되는 잠금고정부(400)에 대한 내용은 후술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상기 잠금고정부(400)를 살펴본다.
상기 잠금고정부(400)는 우측 몸체부(200)의 걸림부(250)에 상기 잠금부(300)가 삽입되도록 회전하여 걸린 후에, 잠금부(300)가 개방이 되지 않도록 2차적으로 고정하여 주는 역할을 한다.
상세하게는, 상기 잠금고정부(400)는 'ㅁ'자 형상의 손잡이와 유사한 형태로 구성되되, 잠금고정부(400)의 수직구조 중 일측은 상술한 잠금부(300)의 정면 상하에 설치되어 있는 힌지홀 연장부(370)에 잠금고정부 힌지핀(410)에 의해 힌지결합된다.
추가적으로는, 상기 잠금고정부(400)가 상기 잠금부(300)에 힌지결합되는 축에는 잠금고정부 힌지핀(410)을 관통하는 힌지스프링(430)이 설치되어, 잠금고정부(400)가 걸림부(250)의 중앙 홈 고정기둥(251)에 훅(450)이 걸린 상태에 탄성력에 의해 가압함으로써 잠금고정부(400)가 개방이 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잠금부(300)에 힌지결합되는 잠금고정부(400)의 수직구조 중앙에는 상술한 걸림부(250)의 중앙에 형성된 홈의 고정기둥(251)에 걸릴 수 있는 훅(450)이 고정설치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잠금고정부(400)의 'ㅁ'자 형상이 형성하는 면과 수직하도록 형성되되, 그 방향은 정면을 기준으로 내부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잠금고정부(400)가 잠금부(300)를 고정하는 방법을 설명하자면, 먼저 잠금부(300)가 걸림쇠에 걸리도록 좌측 몸체부(100)의 힌지결합된 부분을 축으로 회전하여 설치된다. 다음으로, 잠금고정부(400)를 잠금부(300)와의 힌지결합된 부분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잠금부(300)가 걸림부(250)에 고정된 것과 동일한 방향으로 설치하게 되면, 상기 훅(450)은 정면에서 후면방향으로 수직하도록 내부로 삽입되게 되고, 이때 상술한 걸림부(250) 홈의 고정기둥(251)에 훅(450)이 걸리게 되어 잠금부(300)가 개방되지 않도록 2중의 고정이 가능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손잡이부(500)를 살펴본다.
손잡이부(500)는 좌측 몸체부(100)의 정면 상부와 우측 몸체부(200)의 정면 상부에 각 하나씩 대칭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손잡이부(500)는 작업자가 드릴링 파이프 엘리베이터 클램핑 장치를 잠금하기 위하여 힘을 가압하기 위한 것으로써, 좌측 몸체부(100)의 손잡이와 우측 몸체부(200)의 손잡이를 양손으로 잡고, 양손을 모으거나 벌림으로써 좌측 몸체부(100)와 우측 몸체부(200)의 결합과 분리를 할 수 있도록 한다.
종래의 손잡이부(500)는 드릴링 파이프 엘리베이터 클램핑 장치의 상부면과 동일한 평면상에서 일직선으로 연장되는 보 또는 원기둥 형태로 설치되어 있어, 인체공학적으로 작업자가 이를 잡을 때 손목을 꺾어야 하는 어려움이 있어, 근골격계 질환 및 부적합한 자세에 따른 과도한 작업으로 사고의 발생 위험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드릴링 파이프 엘리베이터 클램핑 장치의 상부면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손잡이부(500)를 일정한 기울기로 하향 경사지도록 구성하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부면으로부터 10 내지 15°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할 수 있는데, 이는 작업자가 손목의 과도한 꺾임없이 손잡이를 자연스럽게 파지할 수 있는 각도로써, 상술한 잠금부(300)와 잠금고정부(400)가 좌측 몸체부(100)와 우측 몸체부(200)의 고정을 위하여 힌지를 축으로 하는 회전면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 범위를 고려한 것이다.
손잡이부(500)는 표면에 미끄럼방지를 위한 복수개의 표면돌기(510)가 형성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손잡이부(500)가 몸체와 결합되는 부분부터 후술할 손잡이의 이탈방지부(550)까지 형성되어 있으며, 무작위적으로 다수의 표면돌기(510)를 형성하는 방법이나 격자형 돌기나 표면에 새김을 하는 방법등의 다양한 논슬립(Non-slip) 처리가 가능하다. 종래의 손잡이부(500)는 단순히 표면보호를 위한 페인팅 처리만 되어 있어, 시추 현장과 같이 유성물질이 많은 환경에서는 작업자가 손잡이를 잡을 시 미끄럼이 생겨 제대로 파지하지 못하는 어려움이 있었던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손잡이부(500)의 좌측 몸체부(100)와 우측 몸체부(200)에 근접한 방향의 측면에는 수평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접근방지부(530)가 설치되어 있다. 접근방지부(530)는 손잡이부(500)를 잡고있는 작업자의 손이 드릴링 파이프 엘리베이터 클램핑 장치의 안쪽 방향으로 미끌어지더라도 접근방지부(530)에 의해 차단되어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된 것이다.
상기 손잡이부(500)의 자유단 끝단에는 이탈방지부(550)가 형성되어 있다. 이탈방지부(550)는 손잡이부(500)의 폭 또는 직경보다 더 큰 구형태로 구성된 구조물로써, 손잡이부(500)를 잡고있는 작업자의 손이 드릴링 파이프 엘리베이터 클램핑 장치의 바깥쪽 방향으로 미끌려 이탈되려고 할 때, 이탈방지부(550)에 의해 차단되도록 설치된 것이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손잡이부(500)는 작업자가 손잡이부(500)를 파지함에 있어서, 인체공학적으로 신체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그 설치각도를 하향 경사되게 구성하고, 작업자가 손잡이를 파지한 후에 미끌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표면돌기(510)나 접근방지부(530) 및 이탈방지부(550)와 같은 조치로써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하고 있다.
상기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분야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에는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상기의 실시예뿐만 아니라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포함되어야 한다.
100: 좌측 몸체부
110: 좌측 파이프안착부
130: 좌측 몸체부 힌지너클
150: 몸체부 힌지핀
170: 잠금부 결합용 힌지너클
200: 우측 몸체부
210: 우측 파이프안착부
230: 우측 몸체부 힌지너클
250: 걸림부
251: 고정기둥
300: 잠금부
310: 잠금부 힌지너클
330: 잠금부 힌지핀
350: 힌지스프링
370: 힌지홀 연장부
400: 잠금고정부
410: 잠금고정부 힌지핀
430: 힌지스프링
450: 훅
500: 손잡이부
510: 표면돌기
530: 접근방지부
550: 이탈방지부

Claims (5)

  1. 중심에 좌측 파이프안착부가 형성된 좌측 몸체부;
    일측이 상기 좌측 몸체부와 힌지결합되고 상기 좌측 파이프안착부와 대칭되는 우측 파이프안착부가 중심에 형성된 우측 몸체부;
    상기 좌측 몸체부와 상기 우측 몸체부가 힌지결합하는 반대측에 설치되되 일측은 상기 좌측 몸체부에 힌지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우측 몸체부에 형성된 걸림부에 걸림으로써 상기 좌측 몸체부와 상기 우측 몸체부가 상호고정되는 잠금부;
    상기 잠금부의 외측에 설치되고 상기 잠금부의 열림을 방지하는 잠금고정부;및
    상기 잠금부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좌측 몸체부와 상기 우측 몸체부의 상부면과 동일한 평면에서 돌출된 두 개의 외팔보 형태로 이루어진 손잡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링 파이프 엘리베이터 클램핑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수평면을 기준으로 상기 몸체와 결합되는 부분으로부터 자유단 끝단까지 10 내지 15도 하향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링 파이프 엘리베이터 클램핑 장치.
  3. 제1항 내지 제2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표면에 미끄럼방지를 위한 복수개의 표면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링 파이프 엘리베이터 클램핑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가 상기 좌측 몸체부와 상기 우측 몸체부와 결합되는 측의 측면에는 수평면방향으로 상기 손잡이부와 수직하게 돌출된 접근방지부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링 파이프 엘리베이터 클램핑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의 자유단 끝단에는 이탈방지를 위한 구형 이탈방지부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링 파이프 엘리베이터 클램핑 장치.
KR1020170143602A 2017-10-31 2017-10-31 손잡이가 개선된 드릴링 파이프 엘리베이터 클램핑 장치 KR201900485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3602A KR20190048548A (ko) 2017-10-31 2017-10-31 손잡이가 개선된 드릴링 파이프 엘리베이터 클램핑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3602A KR20190048548A (ko) 2017-10-31 2017-10-31 손잡이가 개선된 드릴링 파이프 엘리베이터 클램핑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8548A true KR20190048548A (ko) 2019-05-09

Family

ID=665455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3602A KR20190048548A (ko) 2017-10-31 2017-10-31 손잡이가 개선된 드릴링 파이프 엘리베이터 클램핑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4854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37909A (zh) * 2022-05-18 2022-07-12 建湖县杰林石化机械有限公司 一种压力环形防喷器
US11846145B2 (en) 2021-04-19 2023-12-19 Gregory Wiedmer Locking clamp and tubular elevator assembly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02199A (ko) 2012-03-07 2013-09-1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자석부재가 장착된 클램프을 갖는 시추파이프의 매니퓰레이터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03233U (ko) 2016-03-08 2017-09-18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드릴 파이프 핸들링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02199A (ko) 2012-03-07 2013-09-1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자석부재가 장착된 클램프을 갖는 시추파이프의 매니퓰레이터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03233U (ko) 2016-03-08 2017-09-18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드릴 파이프 핸들링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46145B2 (en) 2021-04-19 2023-12-19 Gregory Wiedmer Locking clamp and tubular elevator assembly
CN114737909A (zh) * 2022-05-18 2022-07-12 建湖县杰林石化机械有限公司 一种压力环形防喷器
CN114737909B (zh) * 2022-05-18 2023-09-12 建湖县杰林石化机械有限公司 一种压力环形防喷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3023351C (en) Conduit clamp
KR20190048548A (ko) 손잡이가 개선된 드릴링 파이프 엘리베이터 클램핑 장치
KR102163088B1 (ko) 잠금 핀 조립체를 갖는 굴착용 치형부 조립체
EP2813447B1 (en) Clamping devices
US6676111B2 (en) Universal manhole cover engaging tool
CN107559273B (zh) 连接装置及具有其的显示屏
KR200370872Y1 (ko) 공구 걸이
CA2200252C (en) Multi-purpose hand tool apparatus
KR20190048555A (ko) 3중 잠금장치가 적용된 드릴링 파이프 엘리베이터 클램핑 장치
JP6963366B1 (ja) 仮設工事用サポート及び仮設工事用サポートの使用方法
JP2017038508A (ja) 間接活線工具のアダプタおよびこれを用いた作業方法
KR102114888B1 (ko) 트레이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434346B1 (ko) 비계 결합 장치
JP2004323235A (ja) コンクリート製品の吊上具及び吊部材
KR102516500B1 (ko) 비계의 안전 덮개
JP2021006678A (ja) 仮設足場における連結ジョイント
KR101321469B1 (ko) 퀵커플러의 분리 장치
JP6280516B2 (ja) 作業者保護具
JPH07101079B2 (ja) 圧力容器の安全蓋
KR200255684Y1 (ko) 맨홀뚜껑 개폐기구
JP6430720B2 (ja) 幅木固定具及び幅木取付構造
KR200336673Y1 (ko) 수직 클램프
US10544636B1 (en) Guide plate for tubular handling tools
JP6643186B2 (ja) 鎖保持器
EP3360450B1 (en) Seat assembly with a coupling device for fixing the seat assembly to a sanitary fix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