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0872Y1 - 공구 걸이 - Google Patents

공구 걸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0872Y1
KR200370872Y1 KR20-2004-0027798U KR20040027798U KR200370872Y1 KR 200370872 Y1 KR200370872 Y1 KR 200370872Y1 KR 20040027798 U KR20040027798 U KR 20040027798U KR 200370872 Y1 KR200370872 Y1 KR 2003708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tool
hanger
fastened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77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응준
Original Assignee
김응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응준 filed Critical 김응준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08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0872Y1/ko
Priority to PCT/KR2005/002848 priority Critical patent/WO2006036046A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5/00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 A45F5/02Fastening articles to the garment
    • A45F5/021Fastening articles to the garment to the bel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HWORKSHOP EQUIPMENT, e.g. FOR MARKING-OUT WORK; STORAGE MEANS FOR WORKSHOPS
    • B25H3/00Storage means or arrangements for workshops facilitating access to, or handling of, work tools or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F
    • A45F2200/05Holder or carrier for specific articles
    • A45F2200/0575Portable to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작업자가 착용한 벨트(1)에 체결되어 공구(101)를 걸 수 있게 구성된 공구 걸이에 관한 것으로서, 일측면이 벨트(1)에 접하여 체결되고, 저면에는 상부방향으로 형성된 수직 홀(111)이 형성되고, 타측면에는 수직 홀(111)까지 연통된 복수의 수평 홀(115a, 115b)이 형성된 체결부(110)와, 상단부는 수직 홀(111)에 삽입되고 하단부는 만곡된 걸이(120)와, 수직 홀(111)의 내부에 위치한 걸이(120)의 상단부의 측부를 가압하기 위해 어느 한 수평 홀(115b)에 삽입된 탄성체(133)와, 걸이(120)의 원주를 따라 형성된 홈(125a)에 단부가 삽입되어 걸이(120)가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기 위해 다른 한 수평 홀(115a)에 삽입된 지지체(117a)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공구 걸이{Hanger of Tools}
본 고안은 작업자의 벨트에 체결되어 작업자가 사용한 공구를 걸어 휴대할 수 있게 구성한 공구 걸이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구 걸이에 공구를 걸거나 또는 빼낼 때에 공구가 다른 구성요소와 간섭되지 않아 용이하게 걸거나 빼낼 수 있게 구성되며, 또한 소정 이상의 힘이 가해졌을 경우에만 걸이가 회전하도록 구성하여 가해진 충격을 완충함과 동시에 작업에 번거로움을 해결한 공구 걸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일반적으로 건설현장에서 작업자는 공구를 휴대하고 다니면서 자신이 맡은 작업을 수행한다. 부피가 작은 공구의 경우에는 공구의 크기에 맞게 제작된 수거함에 공구를 넣고 다니면서 작업을 수행하며, 부피가 비교적 큰 공구의 경우에는 공구를 공구 걸이에 걸고 다니면서 작업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공구 걸이에 걸고 다닐 수 있는 공구는 대표적으로 태커(tacker), 에어 스테이플러, 전동드릴 등이 있다.
도면에서,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공구 걸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공구 걸이(10)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00537호(고안의 명칭 : 에어스테플러의 걸림구)에 공지된 내용으로서, 그 공지된 기술에 따르면, 작업자의 벨트(1)에 고정된 걸이(13)와, 공구에 체결된 걸림구를 포함한다.
걸이(13)는 후크 형태로서, 걸이(13)의 수직부(13V)가 클립(13C)에 용접 고정되고, 클립(13C)은 작업자의 벨트(1)에 체결된다. 그리고 공구에는 걸림구가 체결되는데, 걸림구에는 고리 또는 구멍이 형성된다. 따라서 걸이(13)를 상기 걸림구의 고리 또는 구멍에 삽입시키면, 공구가 걸이(13)에 걸린 상태로 매달려 위치한다.
하지만, 이와 같이 구성된 걸이는 클립에 용접 고정된 상태로, 작업자의 벨트 바깥으로 돌출되게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걸이가 사물에 부딪히면서, 발생한 충격은 클립을 통해 완충됨 없이 작업자의 허리에 전달된다. 이런 충격에 의해 작업자는 부상을 입게 된다는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개발된 공구 걸이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공구 걸이(20)를 나타낸 측면도로서, 고정편(27)이 작업자의 벨트(도 1의 1)에 체결되는 클립(25)의 측면에 수직하게 돌출되어 고정된다.
이와 같은 고정편(27)에는 관통공(27H)이 형성되고, 고정편(27)의 관통공(27H)에 걸이(23)가 회전 가능하게 아래와 같이 체결된다.
후크 형상을 갖는 걸이(23)의 수직부(23V)가 고정편(27)의 관통공(27H)에 삽입되어 위치하며, 걸이(23)의 수직부(23V)에는 2개의 걸림턱(23S)이 고정편(27)을 기준으로 고정편(27)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위치하여 고정된다.
따라서 걸이(23)는 2개의 걸림턱(23S)에 의해 고정편(27)의 관통공(27H)에서위치하게 되며, 이런 상태에서 수직부(23V)를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다. 결국 걸이(23)가 사물에 부딪히게 되면, 걸이(23) 자체가 회전하게 되면서 작업자에게 전달될 충격을 완충시켜 작업자를 보호한다.
하지만, 이와 같은 공구 걸이는 아래와 같은 문제점을 갖고 있다.
걸이(23)에 공구를 걸거나 또는 걸려 있던 공구를 상부로 들어올려 빼내는 과정에 있어서, 고정편(27)이 걸이(23)의 안쪽으로 돌출되어 있어 공구가 고정편(27)에 간섭된다는 문제점을 갖으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이의 자유단부가 볼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어, 공구를 걸거나 빼낼 때에 간섭되어 걸리는 단점이 있다.
더욱이, 도 2에는 보이듯이, 클립(25)에 고정된 고정편(27)이 클립(25)의 측면 상에서 회전축을 중심으로 화살표 방향으로 360도 회전하게 구성된다. 이와 같이 고정편(27)이 360도 회전함에 따라 걸이(23) 또한 고정편(27)과 함께 360도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은 걸이(23)의 회전구조에 따르면, 작업자가 공구를 걸거나 빼낼 때에, 공구에 걸린 걸이(23)가 상향으로 회전하게 됨으로써, 더욱 공구를 걸이(23)에서 빼내기 어렵게 된다.
이와 같이 공구 걸이에 공구를 걸거나 빼내는 과정에서 공구가 자꾸 간섭되면, 신속 정확하게 공구를 걸거나 빼낼 수 없어 작업효율이 떨어지고, 작업방해로 인해 작업자가 스트레스를 받는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걸이가 자유롭게 회전함으로써, 공구를 걸이에 걸고 이동할 시에 공구의 자중에 의해 걸이가 회전하면서, 공구가 주위 사물 또는 작업자의 다리에 부딪힐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걸이가 외부의 사물과 부딪힐 경우에 회전하여 그 충격을 완충하며, 공구를 걸거나 빼낼 때에 불필요한 간섭을 원천적으로 제거하여 신속하고 정확하게 걸거나 빼낼 수 있게 구성한 공구 걸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공구 걸이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또 다른 종래 기술에 따른 공구 걸이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공구 걸이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공구 걸이의 측단면도이며,
도 5는 도 3에 도시된 공구 걸이의 가압부를 나타낸 평단면도이고,
도 6은 도 3에 도시된 공구 걸이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공구 걸이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공구 걸이 110 : 체결부
111 : 수직 홀 113 : 클립
115a, 115b : 수평 홀 117a, 117b : 볼트
120 : 걸이 121 : 수직부
123 : 고리 125a : 환형 홈
125b : 반구형 홈 129 : 단차
130 : 쇠구슬 133 : 코일스프링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작업자가 착용한 벨트에 체결되어 공구를 걸 수 있게 구성된 공구 걸이에 있어서, 일측면이 상기 벨트에 접하여 체결되고, 저면에는 상부방향으로 형성된 수직 홀이 형성되고, 타측면에는 상기 수직 홀까지 연통된 복수의 수평 홀이 형성된 체결부와, 상단부는 상기 수직 홀에 삽입되고 하단부는 만곡된 걸이와, 상기 수직 홀의 내부에 위치한 상기 걸이의 상단부의 측부를 가압하기 위해 어느 한 수평 홀에 삽입된 탄성체와, 상기 걸이의 원주를 따라 형성된 홈에 단부가 삽입되어 상기 걸이가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기 위해 다른 한 수평 홀에 삽입된 지지체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 걸이의 상단에는 원주를 따라 복수 개의 반구형 홈이 상기 탄성체와 대응하게 형성된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 탄성체는 압축 코일스프링으로서, 상기 어느 한 수평 홀의 안쪽에는 상기 반구형 홈과 정합하는 구슬이 위치하고, 상기 어느 한 수평 홀의 바깥쪽에는 볼트가 체결되며, 상기 압축 코일스프링의 탄성력은 상기 구슬을 상기 반구형 홈에 정합하는 방향으로 가해진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 지지체는 볼트로서, 상기 볼트의 단부는 상기 걸이의 홈에 삽입되어 상기 걸이가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한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 걸이의 상단부에는 상단의 직경이 하단의 직경보다 작은 단차가 형성되고, 상기 상단의 직경은 상기 수직 홀과 같거나 작으며, 상기 하단의 직경은 상기 체결부 저면의 폭과 동일하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 체결부의 일측면에는 클립 또는 폐쇄구조의 링 중에 어느 하나가 고정된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 만곡된 걸이는 상기 체결부에 삽입된 단부의 반대쪽 단부로 갈수록 그 직경이 점차 작아진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 걸이는 절연체에 의해 피복될 수도 있다.
아래에서, 본 고안에 따른 공구 걸이의 양호한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도면에서, 도 3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공구 걸이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공구 걸이의 측단면도이며, 도 5는 도 3에 도시된 공구 걸이의 가압부를 나타낸 평단면도이고, 도 6은 도 3에 도시된 공구 걸이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구 걸이(100)는 작업자의 벨트(1)에 체결되는 체결부(110)와, 상기 체결부(110)의 저면에 체결되어 하향으로 위치하는 걸이(120) 및, 상기 걸이(120)의 회전을 제어하는 탄성체를 포함한다.
아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공구 걸이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다.
도 3에 보이듯이, 체결부(110)에는 그 저면에 원형 수직 홀(111)이 상향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체결부(110)의 배면에는 클립(113)이 고정되며, 체결부(110)의 양측면 중에서 어느 한 측면에는 내부에 형성된 수직 홀(111)까지 연통된 2개의 수평 홀(115a, 115b)이 형성된다. 여기에서 수평 홀(115a, 115b)의 내측면에는 암나사가 형성된다.
그리고 수직 홀(111)에 걸이(120)가 삽입된다. 걸이(120)는 후크 형상의 수직부(121)와 소정의 곡률반경으로 만곡된 고리(123)로 구분되며, 걸이(120)의 수직부(121)가 체결부(110)의 수직 홀(111)에 삽입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고리(123)의 직경은 자유단부 쪽으로 갈수록 그 직경이 점차 작아진다. 이와 같이 고리(123)의 직경이 자유단부로 갈수록 작아짐으로써, 한 공구의 예로, 태커(Tacker)를 고리(123)에 걸거나 빼낼 때에 용이하게 걸거나 빼낼 수 있다.
이와 같이 체결부(110)의 수직 홀(111)에 삽입되는 걸이(120)의 수직부(121)에는 홈(125a, 125b)이 2개의 수평 홀(115a, 115b)에 대응하여 각각 형성되는데, 하나의 홈은 수직부(121)의 원주를 따라 소정의 깊이로 형성된 환형 홈(125a)이고, 다른 하나의 홈은 도 5에 보이듯이, 반구형 홈(125b)으로서, 반구형 홈(125b)은 상기 수직부(121)의 원주를 따라 90도 간격으로 3지점에 형성된다. 여기서 반구형 홈(125b)은 환형 홈(125a)과의 형태적 차이를 구별하기 위해 채택한 용어로서, 이에 대응하는 쇠구슬(130)의 반지름을 "R"이라 하고, 반구형 홈(125b)의 깊이를 "H"라할 때, 0 < H < R 이다.
수직부(121)가 체결부(110)의 수직 홀(111)에 삽입된 상태에서, 환형 홈(125a)과 반구형 홈(125b)은 체결부(110)에 형성된 2개의 수평 홀(115a, 115b)과 각각 대응하여 위치한다. 여기에서, 환형 홈(125a)에 대응하는 수평 홀을 '제1 수평 홀(115a)'이라 하고, 반구형 홈(125b)에 대응하는 수평 홀을 '제2 수평 홀(115b)'이라 칭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제1 수평 홀(115a)에는 제1 볼트(117a)가 삽입되어 체결되는데, 제1 볼트(117a)는 그 단부가 수직부(121)에 형성된 환형 홈(125a)에 삽입되어 위치한다. 이와 같이, 제1 볼트(117a)가 수직부(121)의 환형 홈(125a)에 삽입되어 위치함으로써, 수직부(121)는 체결부(110)의 수직 홀(111)에 삽입된 상태로 제1 볼트(117a)에 걸려 인출되지 않으며, 걸이(120)는 제1 볼트(117a)에 의해 환형 홈(125a)을 따라 360도 회전 가능하게 된다.
한편, 제2 수평 홀(115b)에는 그 안쪽에 쇠구슬(130)과 압축 코일스프링(133)이 위치하고, 제2 볼트(117b)가 제2 수평 홀(115b)에 체결된다. 이때 쇠구슬(130)은 압축 코일스프링(133)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제2 수평 홀(115b)의 안쪽으로 이동하려는 힘을 받게 되면서, 쇠구슬(130) 일부가 수직부(121)의 반구형 홈(125b)에 삽입된다.
이와 같이 쇠구슬(130)이 압축 코일스프링(133)의 탄성복원력을 받아 반구형 홈(125b)에 삽입된 상태에서, 걸이(120)가 회전하게 되면, 쇠구슬(130)은 삽입된 반구형 홈(125b)에서 이탈하게 되고, 다른 반구형 홈(125b)과 대응하여 위치한 순간, 쇠구슬(130)은 대응한 반구형 홈(125b)에 삽입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있어서, 걸이(120)가 회전하기 위해서는 최소한 압축 코일스프링(133)의 탄성복원력보다 큰 힘이 걸이(120)에 가해져야 회전 가능하게 된다. 즉, 가해지는 힘이 커서 코일스프링(133)이 더 탄성 변형되어 수축되어야 쇠구슬(130)이 반구형 홈(125b)에서 이탈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걸이(120)의 수직부(121)에 형성된 3개의 반구형 홈(125b)의 위치를 살펴보면, 걸이(120)의 고리(123)가 체결부(110)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제2 수평 홀(115b)에 대응하여 한 개의 반구형 홈(125b)이 형성되고, 다른 2개의 반구형 홈(125b)은 상기 한 개의 반구형 홈(125b)에 대해 90도 지점에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공구 걸이에 있어서, 보다 바람직하게는 도 3에 보이듯이, 상기 체결부(110)의 저면 폭(W)과 상기 수직부(121)의 직경(D)이 동일하며, 상기 수직부(121)에는 단차(129)가 형성되어 체결부(110)의 수직 홀(111)에 삽입된다. 이와 같이 수직부(121)에 단차(129)가 형성됨에 따라, 체결부(110)의 수직 홀(111)에 수직부(121)가 삽입되었을 때에, 체결부(110)의 저면에 단차(129)가 간섭되면서 체결부(110)의 외측면과 수직부(121)의 측부가 매끈하게 연장되게 구성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공구 걸이의 작동관계 및 공구를 걸거나 또는 빼내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체결부(110)의 배면에 형성된 클립(113)을 이용하여 공구 걸이(100)를 작업자의 벨트(1)에 체결한다. 이때 걸이(120)의 고리(123)가 작업자의 바깥쪽을 향하도록 클립(113)을 체결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걸이(120)의 고리(123)가 사물에 걸려 충격이 발생하게 되면, 그 충격에 의해 고리(123)는 회전하게 된다. 즉 충격이 압축 코일스프링(133)의 탄성복원력 보다 클 경우에는 쇠구슬(130)이 밀려 압축 코일스프링(133)을 수축시키면서, 쇠구슬(130)이 반구형 홈(125b)에서 이탈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 걸이(120)는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걸이(120)가 회전하게 되면서, 작업자에게 전달될 충격을 완충시킨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이(120)의 고리(123)에 공구(101)를 걸거나 빼낼 경우에, 체결부(110)의 외측면과 걸이(120)의 수직부(121) 측부가 매끈하게 연장되면서, 고리(123)의 개방부가 체결부(110)에 의해 폐쇄된 구역 없이 완전 개방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공구를 고리(123)에 걸거나 고리(123)에 걸린 공구를 빼낼 때에 다른 구성요소와의 간섭 없이 자연스럽게 빼낼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공구 걸이(120)에는 고리(123)에 고무재질의 피복이 씌워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고리(123)에 씌워진 피복은 고리(123)와 공구(101)의 마찰에 의한 스크래치 발생을 방지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전력에 의해 구동하는 공구에 의한 작업자의 감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제2 실시예]
제2 실시예를 제1 실시예와 비교하였을 때에, 제2 실시예의 체결부에는 제1 실시예의 클립을 대신하여 폐쇄구조의 링이 체결된다는 것을 제외하고 다른 구성요소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따라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는 제1 실시예에서 부여한 도면부호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그에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면에서, 도 7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공구 걸이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110)의 배면에는 폐쇄구조의 링(113')이 체결된다. 상기 링(113')은 직사각 형상의 폐쇄구조로서, 링(113')을 작업자의 벨트(1)가 관통해 위치하면서, 체결부(110)는 벨트(1)에 체결된다.
앞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공구 걸이는 걸이가 사물과 부딪혔을 경우에 충격에 의해 회전함으로써, 작업자에게 전달될 충격을 완충시켜 작업자가 받을 수 있는 부상을 미연에 막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걸이를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코일스프링의 복원력 이상의 힘이 가해져야 하기 때문에, 걸이가 자유 회전하지 않는다. 만약 걸이가 자유 회전하게 된다면, 작업자가 이동할 때 자유롭게 회전하여 오히려 다른 사물에 걸리거나 또는 고리에 걸린 공구가 사물 또는 작업자의 다리에 부딪히게 되는데, 본 고안에서는 걸이에 소정 이상의 힘을 가해야 회전하기 때문에 그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있다.
또한, 본 고안의 공구 걸이는 걸이의 수직부 외측과 체결부의 외측이 매끈하게 연장되는 구성을 갖고 있어 작업자가 공구를 걸이에 걸거나 또는 걸이에서 빼낼 때에, 간섭되는 구성요소가 없어 공구를 용이하게 걸거나 빼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공구 걸이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고안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Claims (8)

  1. 작업자가 착용한 벨트에 체결되어 공구를 걸 수 있게 구성된 공구 걸이에 있어서,
    일측면이 상기 벨트에 접하여 체결되고, 저면에는 상부방향으로 형성된 수직 홀이 형성되고, 타측면에는 상기 수직 홀까지 연통된 복수의 수평 홀이 형성된 체결부와,
    상단부는 상기 수직 홀에 삽입되고 하단부는 만곡된 걸이와,
    상기 수직 홀의 내부에 위치한 상기 걸이의 상단부의 측부를 가압하기 위해 어느 한 수평 홀에 삽입된 탄성체와,
    상기 걸이의 원주를 따라 형성된 홈에 단부가 삽입되어 상기 걸이가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기 위해 다른 한 수평 홀에 삽입된 지지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 걸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의 상단에는 원주를 따라 복수 개의 반구형 홈이 상기 탄성체와 대응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 걸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압축 코일스프링으로서, 상기 어느 한 수평 홀의 안쪽에는 상기 반구형 홈과 정합하는 구슬이 위치하고, 상기 어느 한 수평 홀의 바깥쪽에는 볼트가 체결되며, 상기 압축 코일스프링의 탄성력은 상기 구슬을 상기 반구형 홈에 정합하는 방향으로 가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 걸이.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볼트로서, 상기 볼트의 단부는 상기 걸이의 홈에 삽입되어 상기 걸이가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 걸이.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의 상단부에는 상단의 직경이 하단의 직경보다 작은 단차가 형성되고, 상기 상단의 직경은 상기 수직 홀과 같거나 작으며, 상기 하단의 직경은 상기 체결부 저면의 폭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 걸이.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의 일측면에는 클립 또는 폐쇄구조의 링 중에 어느 하나가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 걸이.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만곡된 걸이는 상기 체결부에 삽입된 단부의 반대쪽 단부로 갈수록 그 직경이 점차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 걸이.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는 절연체에 의해 피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 걸이.
KR20-2004-0027798U 2004-08-13 2004-09-30 공구 걸이 KR2003708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05/002848 WO2006036046A1 (en) 2004-09-30 2005-08-29 Tool hang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023243 2004-08-13
KR2020040023243 2004-08-1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0872Y1 true KR200370872Y1 (ko) 2004-12-18

Family

ID=49443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7798U KR200370872Y1 (ko) 2004-08-13 2004-09-30 공구 걸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0872Y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0784B1 (ko) 2011-01-17 2012-06-27 계양전기 주식회사 전동 공구용 회전식 공구 걸이
WO2014081438A1 (en) * 2012-11-26 2014-05-30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 P. Sensor transport
US10881138B2 (en) 2012-04-23 2021-01-05 British American Tobacco (Investments) Limited Heating smokeable material
US11051551B2 (en) 2011-09-06 2021-07-06 Nicoventures Trading Limited Heating smokable material
KR20220002850U (ko) * 2021-05-26 2022-12-05 이건호 스크류벨트용 공구걸이구
KR102524119B1 (ko) * 2021-11-15 2023-04-19 김동기 허리벨트 부착용 공구모듈
US11659863B2 (en) 2015-08-31 2023-05-30 Nicoventures Trading Limited Article for use with apparatus for heating smokable material
US11672279B2 (en) 2011-09-06 2023-06-13 Nicoventures Trading Limited Heating smokeable material
US11896055B2 (en) 2015-06-29 2024-02-13 Nicoventures Trading Limited Electronic aerosol provision systems
US11924930B2 (en) 2015-08-31 2024-03-05 Nicoventures Trading Limited Article for use with apparatus for heating smokable material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0784B1 (ko) 2011-01-17 2012-06-27 계양전기 주식회사 전동 공구용 회전식 공구 걸이
US11672279B2 (en) 2011-09-06 2023-06-13 Nicoventures Trading Limited Heating smokeable material
US11051551B2 (en) 2011-09-06 2021-07-06 Nicoventures Trading Limited Heating smokable material
US10881138B2 (en) 2012-04-23 2021-01-05 British American Tobacco (Investments) Limited Heating smokeable material
RU2608327C2 (ru) * 2012-11-26 2017-01-17 Шелл Интернэшнл Рисерч Маатсхаппий Б.В. Перемещение датчика
CN104995533A (zh) * 2012-11-26 2015-10-21 国际壳牌研究有限公司 传感器运输
WO2014081438A1 (en) * 2012-11-26 2014-05-30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 P. Sensor transport
US11896055B2 (en) 2015-06-29 2024-02-13 Nicoventures Trading Limited Electronic aerosol provision systems
US11659863B2 (en) 2015-08-31 2023-05-30 Nicoventures Trading Limited Article for use with apparatus for heating smokable material
US11924930B2 (en) 2015-08-31 2024-03-05 Nicoventures Trading Limited Article for use with apparatus for heating smokable material
KR20220002850U (ko) * 2021-05-26 2022-12-05 이건호 스크류벨트용 공구걸이구
KR200497327Y1 (ko) 2021-05-26 2023-10-12 강은실 스크류벨트용 공구걸이구
KR102524119B1 (ko) * 2021-11-15 2023-04-19 김동기 허리벨트 부착용 공구모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70872Y1 (ko) 공구 걸이
US4214688A (en) Tool mounting assembly
US5740911A (en) Display pack having a security device
US10036416B2 (en) Swivel connector assembly
US10436352B2 (en) Conduit clamp
US8893586B2 (en) Fastener extraction device
US10584733B2 (en) Relocating mechanism of industrial machine
US8893594B2 (en) Fastener extraction device
GB2089401A (en) Pipe thread protector
JP4083163B2 (ja) アイボルト
KR100548053B1 (ko) 와이어로프에 의한 코일손상방지구
US20150060476A1 (en) Tool holder with tabs and/or suction cups
KR20190048548A (ko) 손잡이가 개선된 드릴링 파이프 엘리베이터 클램핑 장치
JP2013221247A (ja) マンホール開口部の落下物防止装置
US8096018B2 (en) Handle pivot structure
JP2012035385A (ja) アンカー打ち込み用工具
KR101011229B1 (ko) 가방 끈 고정구 체결구조
JP3307896B2 (ja) 掛止具
KR101634218B1 (ko) 맨홀 구조물
US10611005B2 (en) Power tool accessory for preventing fastener falls during fastener removal or installation operations
CN213651619U (zh) 一种轮胎吊取装置及起吊设备
KR20140028919A (ko) 공구(工具) 휴대장치
CN216605650U (zh) 一种高速管式离心机转鼓固定装置
CN215036957U (zh) 一种筒灯拆卸装置
CN207969135U (zh) 一种在紧凑空间里可翻转的塞孔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20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