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4406B1 - 송배전 지중전선 지지고정판 - Google Patents

송배전 지중전선 지지고정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4406B1
KR101204406B1 KR1020120101590A KR20120101590A KR101204406B1 KR 101204406 B1 KR101204406 B1 KR 101204406B1 KR 1020120101590 A KR1020120101590 A KR 1020120101590A KR 20120101590 A KR20120101590 A KR 20120101590A KR 101204406 B1 KR101204406 B1 KR 1012044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
flow
underground
groove
fix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15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현숙
Original Assignee
(주)성화기술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성화기술단 filed Critical (주)성화기술단
Priority to KR10201201015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44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44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44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2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laid directly in or on the ground, river-bed or sea-bottom; Coverings therefor, e.g. til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37Channels
    • H02G3/045Channels provided with perforations or slots permitting introduction or exit of wir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8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tunne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1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cable chambers, e.g. in manhole or in handho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송배전 지중전선 지지고정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판상의 형상으로 내부에 공간부(101)가 형성되는 지지고정판(100)이 구성되되, 상기 지지고정판(100)은 외부 일 측에 상, 하로 유동가능도록 상기 공간부(101)와 관통되는 제1슬라이드홈(111)이 구성되고, 상기 제1슬라이드홈(111)에 끼움 구성되며 외주연에 제1걸림홈(113)이 형성되는 제1유동부재(112)가 구성되고, 상기 제1슬라이드홈(111)의 하측 끝부 내측에 제1고정부재(114)가 고정 구성되며, 상기 제1유동부재(112)가 슬라이딩 하면서 완충작용을 할 수 있도록 상기 제1고정부재(114)가 구성되며 상기 제1유동부재(112) 사이에 상기 제1슬라이드홈(111)의 길이방향으로 제1탄성부재(115)가 구성되는 제1슬라이드부(110)가 구성되고, 상기 제1슬라이드부(110)와 동일한 구성으로 제2슬라이부(120)와 제3슬라이부(130)가 상기 제1슬라이드부(110)를 중심으로 양 측에 구성되되, 제2유동부재(122)와 제3유동부재(132)가 좌, 우로 유동가능도록 제2슬라이드홈(121)과 제3슬라이드홈(131)이 좌, 우 길이방향으로 구성되어 작업자의 유지보수 및 내진 발생 시에도 즉각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송배전 지중전선 고정지지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송배전 지중전선 지지고정판{Underground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wires supporting plate}
본 발명은 송배전 지중전선 지지고정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지중에 매설되는 전력구의 내부에 설치되어 지중전선을 고정시킬 수 있음은 물론, 보수 작업으로 인해 지중전선이 처지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는 송배전 지중전선 지지고정판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산업화가 가속됨에 따라 전력 사용량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며, 이들의 공급은 배전 케이블을 통해 생산지로부터 소비지로 공급되는 것인바, 이러한 케이블들은 도시 미관 및 사람이나 차량의 이동 장해 등 여러 가지를 고려하여 지중에 매설하는 방식으로 설치되어 지고 있는 것으로, 지상으로부터 일정깊이 이격된 지중에 매설되는 것이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일반적으로 지중에 설치되는 배전 케이블을 보다 안전하고 견고하게 설치하고 또한 그 설치상태를 장기간 유지하기 위해서는 지중 전력구 내벽 일측에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의 행거 서포트를 설치하고, 이렇게 설치된 각각의 행거 서포트 마다에 행거를 고정 설치하여 일정규격으로 되는 다양한 종류의 케이블들을 내설함으로써 지중 전력구 내부에 목적한 배전 케이블을 안전하고 정렬된 상태로 설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우선 종래의 기술들을 살펴보면,
등록번호 10-0904860(특) 직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양측이 개방되고, 내부공간이 형성된 지중전력구에 설치되어 송배전 케이블을 배열하는 송배전 케이블 지중전력구 배열대로서, 상,하측에 복수개의 앵커볼트홀이 포함된 사각형태의 플랜지가 각각 형성되고, 양측에 복수개의 결합홀이 등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전력구의 내부공간에 양측벽과 중앙에 등간격으로 설치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결합홀에 회전가능케 삽입결합되고, 일측에 체결나사부가 형성된 베어링과, 상기 베어링이 수용됨과 아울러 일단이상기 지지대에 고정되는 케이블 진열 이송롤러와, 양측에 볼트홀이 형성된 플랜지가 일측으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지지대와 지지대 사이에 결합되는 트레이 지지보와, 직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상기 트레이 지지보의 상단에 안착되는 트레이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다.
등록번호 10-0822869(특) 지중에 매설된 사각 단면 박스형 전력구의 양 측벽에 각각 앵커로 고정되는 한 쌍의 받침 앵글과, 상기 전력구의 내부에 횡방향을 따라 배열되면서 양단부가 상기 받침 앵글의 받침부 상에 지지되는 모노레일과, 다수의 케이블이 배선되며 상기 모노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2개 이상의 케이블 배선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케이블 배선수단은, 상단부에 롤러가 장착되어 상기롤러를 통해 상기 모노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한 쌍의 지지대, 상기 한 쌍의 지지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한 쌍의 지지대에 다단으로 고정되며 케이블이 안착되는 다수의 케이블 선반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다.
등록번호 10-0914937(특) 양측면에는 일정한 높이로 복수 개의 케이블 안치홈이 형성되고, 측면에는 하단부로부터 일정 높이로 쐐기홈이 복수 개로서 형성되는 투명 재질의 케이블 선반과, 상기 케이블 선반의 저면에 결합되는 받침판과, 상기 케이블 선반에 결합된 상기 받침판의 하부에 수직의 탄성력을 갖도록 구비되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의 하단부를 고정되도록 하는 스프링 플레이트와, 하부에는 상기 스프링 플레이트가 일측으로부터 삽입되는 끼움홀을 형성하고, 상기 스프링이 수용되면서 상기 케이블 선반과 상기 받침판의 결합 구성이 승강 안내되도록 하는 선반 가이드, 및 케이블 안치홈이 형성되는 상기 선반 가이드의 일측의 측벽 상단부에 형성한 관통홀을 통해서 상기 케이블 선반의 쐐기홈에 이르도록 삽입되게 하여 상기 케이블 선반의 높이를 조절하는 쐐기플레이트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한 종래의 기술을 살펴보면, 다수의 송배전 케이블의 처짐을 방지 할 수 있도록 하는 지중전력구의 배열대를 설명하고 있다. 이는 그 구성을 함에 있어 비용이 많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구성이 매우 복잡한 문제점이 있다.
다른 형태의 기술을 살펴보면, 이 또한 앞서 설명한 종래의 기술과 별반 차이가 없는 기술이며 구성 자체가 매우 복잡하며 제작비용이 많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설치가 한정적인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종래 기술들을 종합해보면, 지중 전력구에 관한 설명을 하고 있으며 지중 전력구 내부에 설치되는 케이블의 안전과 유지 보수를 설명하고 있으며 처짐 방지와 내진에 대한 마땅한 기술이 적용되지 않고 있다.
이에 따라 간단한 구조를 가지며 비교적 설치가 용이하며 비용이 발생이 적을 뿐만 아니라 지중전선의 처짐을 방지 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구조를 가지며 비교적 저렴한 가격으로 구성하여 지중에 매설되는 콘크리트 전력구의 내부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하며 작업자의 유지 및 보수 시 지중전선의 처짐을 방지 할 수 있도록 하며, 미약한 내진 발생 시에도 완충부재로 인해 지중전선이 벗겨지거나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제품을 제공함에 주안점을 두고 그 기술적 과제로 완성해낸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는 판상의 형상으로 내부에 공간부(101)가 형성되는 지지고정판(100)이 구성되되,
상기 지지고정판(100)은 외부 일 측에 상, 하로 유동가능도록 상기 공간부(101)와 관통되는 제1슬라이드홈(111)이 구성되고, 상기 제1슬라이드홈(111)에 끼움 구성되며 외주연에 제1걸림홈(113)이 형성되는 제1유동부재(112)가 구성되고, 상기 제1슬라이드홈(111)의 하측 끝부 내측에 제1고정부재(114)가 고정 구성되며, 상기 제1유동부재(112)가 슬라이딩 하면서 완충작용을 할 수 있도록 상기 제1고정부재(114)와 상기 제1유동부재(112) 사이에 상기 제1슬라이드홈(111)의 길이방향으로 제1탄성부재(115)가 구성되는 제1슬라이드부(110)가 구성되고,
상기 제1슬라이드부(110)와 동일한 구성으로 제2, 3슬라이부(120, 130)가 상기 제1슬라이드부(110)를 중심으로 양 측에 구성되되, 제2, 3유동부재(122, 132)가 좌, 우로 유동가능도록 제2, 3슬라이드홈(121, 131)이 좌, 우 길이방향으로 구성되며, 제2, 3탄성부재(215, 315)는 상호 마주하는 방향으로 밀림 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송배전 지중전선 지지고정판에 의하면 지하에 매설되는 전력구의 내부에 설치되어 작업자가 지중전선의 유지보수를 위해 작업 시에 처짐을 방지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 완료 후 지중전선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음은 물론, 내진 발생 시 완충작용으로 인해 지중전선을 보호 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라 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평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작동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작동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통상적으로 지중전선은 지중에 매설되는 전력구의 내부에 설치되며 전력구의 내부에는 배열대가 구성되어 배열대에 지중전선을 보호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왔다. 하지만 이러한 배열대는 그 구성을 함에 있어 설치비용이 많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그 구조가 매우 복잡하며 작업하기에 불편한 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판상의 형상으로 내부에 공간부(101)가 형성되는 지지고정판(100)이 구성되되, 상기 지지고정판(100)은 외부 일 측에 상, 하로 유동가능도록 상기 공간부(101)와 관통되는 제1슬라이드홈(111)이 구성되고, 상기 제1슬라이드홈(111)에 끼움 구성되며 외주연에 제1걸림홈(113)이 형성되는 제1유동부재(112)가 구성되고, 상기 제1슬라이드홈(111)의 하측 끝부 내측에 제1고정부재(114)가 고정 구성되며, 상기 제1유동부재(112)가 슬라이딩 하면서 완충작용을 할 수 있도록 상기 제1고정부재(114)와 상기 제1유동부재(112) 사이에 상기 제1슬라이드홈(111)의 길이방향으로 제1탄성부재(115)가 구성되는 제1슬라이드부(110)가 구성되고,
상기 제1슬라이드부(110)와 동일한 구성으로 제2, 3슬라이부(120, 130)가 상기 제1슬라이드부(110)를 중심으로 양 측에 구성되되, 제2, 3유동부재(122, 132)가 좌, 우로 유동가능도록 제2, 3슬라이드홈(121, 131)이 좌, 우 길이방향으로 구성되고, 제2, 3탄성부재(215, 315)는 상호 마주하는 방향으로 밀림 되도록 구성되어 지중에 매설되는 전력구의 내부에 설치되되, 간단한 그 구조를 가지며 설치비용이 저렴하며 작업자가 유지보수 시 지중전선(g)의 처짐을 방지 할 수 있으며 작업이 끝난 후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음은 물론, 내진 발생 시 완충작용으로 인해 지중전선을 보호 할 수 있는 송배전 지중전선 지지고정판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바람직한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도 1 내지 7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지지고정판(100)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공간부(101)가 형성되되, 외측 중앙부에서 상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제1슬라이드부(110)가 구성된다. 상기 제1슬라이드부(110)는 도 2 또는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 하부로 유동가능도록 길이방향으로 제1슬라이드홈(111)이 형성되고, 상기 제1슬라이드홈(111)의 내부에 끼움 구성되어 슬라이딩 되는 제1유동부재(112)가 구성되되, 상기 제1유동부재(112)의 외주연에는 지중전선(g)이 걸림 되어 처짐을 방지하며 고정 될 수 있도록 제1걸림홈(113)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슬라이드홈(111)은 상기 공간부(101)와 관통되도록 형성되는데, 상기 제1슬라이드홈(111)의 하측 끝부에 위치하되 내부 양측면에 고정되는 제1고정부재(114)가 구성된다. 상기 제1고정부재(114)는 하기 될 제1탄성부재(115)가 완충작용을 할 수 있도록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제1탄성부재(115)는 항상 상부로 밀어주는 성질을 갖게 되며 상기 제1유동부재(112)와 상기 제1고정부재(114) 사이에 구성되는데, 이는 다시 말해 상기 제1유동부재(112)의 제1걸림홈(113)에 지중전선(g)이 걸림 되어 있을 때 당겨지는 힘 또는 무게로 인해 상, 하로 유동 시에 완충작용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천재지변으로 인한 내진이 발생하게 되면 지중전선(g)이 제1걸림홈(113)에 의해 이탈 되지 않도록 고정되며 상기 제1탄성부재(115)에 의해 지중전선(g)을 보호할 수 있어 내진 시에도 안전하게 되는 것이다.
종래에 있어, 지중전선(g)을 고정하되 내진 시에 발생되는 당김 현상으로 인해 지중전선(g)을 보호할 수 있는 기술이 전혀 없어 경제적 손실이 많이 발생되어 왔지만, 제1슬라이드(110)와 하기될 제2슬라이드부(120)와 제3슬라이드부(130)에 의해 지중전선(g)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지보수 시 처짐을 방지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제2슬라이드부(120)와 제3슬라이드부(130)는 상기 제1슬라이드부(110)를 중심으로 양측에 구성되는데, 도 3 또는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슬라이드부(110)의 구성과 동일하게 구성되되, 상기 제1슬라이드부(110)는 상, 하로 유동가능도록 길이방향으로 제1슬라이드홈(111)이 형성되어 상기 제1슬라이드홈(111)에 제1유동부재(112)가 끼움 되어 유동하지만, 상기 제2, 3슬라이드부(120, 130)의 제2, 3슬라이드홈(121, 131)은 좌, 우로 유동가능도록 길이방향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제1슬라이드부(110)와 동일하게 구성되되, 상기 제2, 3슬라이드홈(121, 131)에 끼움 되어 유동하는 제2, 3유동부재(122, 132)가 상, 하가 아닌 좌, 우로 유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제2, 3슬라이부(120, 130)도 상기 제1슬라이드부(110)처럼 완충작용을 하는 제2, 3탄성부재(125, 135)가 각각 구성되는데, 상기 제2, 3슬라이드홈(121, 131)이 좌, 우 길이방향으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제2, 3탄성부재(125, 135) 또한, 좌, 우 길이방향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2, 3탄성부재(125, 135)는 상기 제1탄성부재(115)의 밀고 있는 성질과 달리 당기고 있는 성질을 갖게 된다. 다시 말해 상기 제1탄성부재(115)는 상측 방향으로 밀고 있는 성질을 갖는 반면에, 상기 제 2, 3탄성부재(125, 135)는 당기는 성질을 갖게 되어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2, 3유동부재(122, 132)가 제2, 3슬라이드홈(121, 131)의 끝부에 위치하게 되도록 구성된다.
상기한 지지고정판(100)에는 중앙부에서 상측으로 일정간격 이격 되게 제1슬라이드부(110)가 구성되고, 상기 제1슬라이드부(110)의 양 측에 제2, 3슬라이드부(120, 130)가 구성되어 지중전선(g)을 보호하며 처짐을 방지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각각의 제1, 2, 3유동부재(112, 212, 312)의 일 측에는 걸림 고정되는 케이블(c)을 다수개로 걸림 고정 할 수 있도록 홈(116, 216, 316)이 구성된다. 상기 홈(116, 216, 316)은 내측 면으로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제1, 2, 3유동부재(112, 212, 312)가 상기 홈(116, 216, 316)에 결합되는 부분을 돌출 구성하되, 외주연에 나사산을 형성하여 회전 결합 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로써, 다수의 지중전선을 지지 고정할 수 있게 되어 편리성과 실용성을 부여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송배전 지중전선 지지고정판의 사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지중에 매설되는 전력구의 내부에 본 발명의 지지고정판(100)을 설치하되, 제1,2,3걸림홈(113, 213, 313)을 경유하며 지중전선(g)을 걸림 시켜 길게 구성되는 지중전선(g)을 가설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 2, 3걸림홈(113, 213, 313)에 걸림 하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걸림홈(313)의 하부를 지나 제1걸림홈(113)의 상부를 지나며 걸림하며 재차 제2걸림홈(213)을 지나며 가설한다.
이렇게 연속적으로 지중전선(g)을 가설하게 되면, 상기 제1,2,3걸림홈(113,213,313)작업자가 유지보수를 위해 작업을 할 시에 작업자로 인해 일 측방향의 지중전선(g)이 당김 되면 제1,2,3탄성부재(115, 215, 315) 중 어느 하나의 탄성부재가 유동하게 되어 지중전선(g)을 보호할 수 있으며 처짐을 방지하게 되고, 혹시나 모를 천재지변으로 인해 내진이 발생하게 되면 상기한 제1,2,3탄성부재(115, 215, 315)에 의해 지중전선(g)이 상, 하, 좌, 우로 유동하며 바닥으로 떨어지지 않고 당김 되더라도 완충작용으로 인해 파손 및 단락을 방지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고정해야 될 케이블(c)이 다수개의 경우에는 선택적으로 각각의 유동부재들을 홈에 회전 결합 시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송배전 지중전선 지지고정판에 의하면 지하에 매설되는 전력구의 내부에 설치되어 작업자가 지중전선(g)의 유지보수를 위해 작업 시에 처짐을 방지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 완료 후 지중전선(g)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음은 물론, 내진 발생 시 완충작용으로 인해 지중전선(g)을 보호 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라 하겠다.
100 : 지지고정판
110 : 제1슬라이드부 111 : 제1슬라이드홈 112 : 제1유동부재
113 : 제1걸림홈 114 : 제1고정부재 115 : 제1탄성부재
116 : 홈
120 : 제2슬라이드부 121 : 제2슬라이드홈 122 : 제2유동부재
123 : 제2걸림홈 124 : 제2고정부재 125 : 제2탄성부재
126 : 홈
130 : 제3슬라이드부 131 : 제3슬라이드홈 132 : 제3유동부재
133 : 제3걸림홈 134 : 제3고정부재 135 : 제3탄성부재
136 : 홈

Claims (2)

  1. 판상의 형상으로 내부에 공간부(101)가 형성되는 지지고정판(100)이 구성되되, 상기 지지고정판(100)은 외부 일 측에 상, 하로 유동가능도록 상기 공간부(101)와 관통되는 제1슬라이드홈(111)이 구성되고, 상기 제1슬라이드홈(111)에 끼움 구성되며 외주연에 제1걸림홈(113)이 형성되는 제1유동부재(112)가 구성되고, 상기 제1슬라이드홈(111)의 하측 끝부 내측에 제1고정부재(114)가 고정 구성되며, 상기 제1유동부재(112)가 슬라이딩 하면서 완충작용을 할 수 있도록 상기 제1고정부재(114)와 상기 제1유동부재(112) 사이에 상기 제1슬라이드홈(111)의 길이방향으로 제1탄성부재(115)가 구성되는 제1슬라이드부(110)가 구성되고,
    상기 제1슬라이드부(110)와 동일한 구성으로 제2, 3슬라이부(120, 130)가 상기 제1슬라이드부(110)를 중심으로 양 측에 구성되되, 제2, 3유동부재(122, 132)가 좌, 우로 유동가능 하도록 제2, 3슬라이드홈(121, 131)이 좌, 우 길이방향으로 구성되며 제2, 3탄성부재(215, 315)는 상호 마주하는 방향으로 밀림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배전 지중전선 지지고정판
  2. 삭제
KR1020120101590A 2012-09-13 2012-09-13 송배전 지중전선 지지고정판 KR1012044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1590A KR101204406B1 (ko) 2012-09-13 2012-09-13 송배전 지중전선 지지고정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1590A KR101204406B1 (ko) 2012-09-13 2012-09-13 송배전 지중전선 지지고정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4406B1 true KR101204406B1 (ko) 2012-11-26

Family

ID=47565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1590A KR101204406B1 (ko) 2012-09-13 2012-09-13 송배전 지중전선 지지고정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440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9561B1 (ko) 2013-11-04 2014-02-11 홍기곤 지중전선 전력구용 송배전 케이블 지지장치
KR101644605B1 (ko) * 2015-12-10 2016-08-01 주식회사 천지 배전케이블 고정장치
KR101771688B1 (ko) 2016-09-20 2017-09-05 주식회사 보명이엔지 전력구용 송배전 케이블 매설 및 고정장치
KR102177561B1 (ko) * 2020-06-17 2020-11-11 윤은수 다양한 지중송전선 연결각도를 갖는 지중송전용 커넥팅 기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7380B1 (ko) 2008-03-24 2008-06-12 정동복 배전용 지중전선 연결대
KR100859863B1 (ko) 2008-04-04 2008-09-24 박순섭 지중전선 보호용 전선배관의 고정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7380B1 (ko) 2008-03-24 2008-06-12 정동복 배전용 지중전선 연결대
KR100859863B1 (ko) 2008-04-04 2008-09-24 박순섭 지중전선 보호용 전선배관의 고정체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9561B1 (ko) 2013-11-04 2014-02-11 홍기곤 지중전선 전력구용 송배전 케이블 지지장치
KR101644605B1 (ko) * 2015-12-10 2016-08-01 주식회사 천지 배전케이블 고정장치
KR101771688B1 (ko) 2016-09-20 2017-09-05 주식회사 보명이엔지 전력구용 송배전 케이블 매설 및 고정장치
KR102177561B1 (ko) * 2020-06-17 2020-11-11 윤은수 다양한 지중송전선 연결각도를 갖는 지중송전용 커넥팅 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2869B1 (ko) 송배전 케이블 지중전력구 배열대
KR101204406B1 (ko) 송배전 지중전선 지지고정판
KR101359561B1 (ko) 지중전선 전력구용 송배전 케이블 지지장치
KR101585222B1 (ko) 지중 배전선로 보호관
KR101571462B1 (ko) 전력구용 송배전케이블 지지고정판
KR101860056B1 (ko) 내진형 케이블트레이 시스템
KR101257032B1 (ko) 지중 배전선로의 지지구조물
JP5920715B2 (ja) 天井ルーバーの取付構造
KR101367430B1 (ko) 회전과 복원력을 갖는 전력구용 송배전 케이블 배열장치
CN205265154U (zh) 一种滑轮式电缆敷设装置
US2830332A (en) Elevated sectional flooring
KR101193555B1 (ko) 3선 삼각배열 전력케이블 조립식 지지대
KR100859013B1 (ko) 송전과 변전 및 배전 전력구 설치장치 및 그의 설치공법
KR101270507B1 (ko) 배전 케이블의 처짐 방지와 충격흡수에 용이한 지지고정대
KR20130098652A (ko) 커튼월용 앵커장치
US10219404B2 (en) Double floor member
KR101209242B1 (ko) 지중 송전 및 배전케이블 지지장치
KR20140068641A (ko) 곡선구간 최적화 설치가 가능한 시스템 비계
KR101247783B1 (ko) 지중배전용 케이블 간격유지장치
KR101530705B1 (ko) 관람용 의자 조립체
KR101200557B1 (ko) 지중 송?배전용 케이블의 배열장치
KR100594354B1 (ko) 건축물 베란다 난간구조
KR20120074097A (ko) 결합위치 가변 행어 및 이 행어가 적용된 천장틀 시스템.
US10280961B1 (en) Three-dimensional positioning and holding module system for modular workstations
KR101209239B1 (ko) 지중 송전 및 배전 케이블 배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