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9239B1 - 지중 송전 및 배전 케이블 배열장치 - Google Patents

지중 송전 및 배전 케이블 배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9239B1
KR101209239B1 KR1020120094536A KR20120094536A KR101209239B1 KR 101209239 B1 KR101209239 B1 KR 101209239B1 KR 1020120094536 A KR1020120094536 A KR 1020120094536A KR 20120094536 A KR20120094536 A KR 20120094536A KR 101209239 B1 KR101209239 B1 KR 1012092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vertical frame
extension plate
rod
cav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45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찬갑
Original Assignee
(주)세진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세진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세진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200945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92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92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92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6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underground tubes or conduits; Tubes or conduit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00Laying or reclaiming pipes; Repairing or join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024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land, e.g. above the ground
    • F16L1/028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land, e.g. above the ground in the groun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37Channe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2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laid directly in or on the ground, river-bed or sea-bottom; Coverings therefor, e.g. ti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중 송전 및 배전 케이블 배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지중에 형성되어 전력 케이블을 배선하기 위한 공동구 내부에 상기 공동구의 연장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치된 레일부와; 상기 레일부를 따라 각각 독립적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케이블을 수용하는 다수의 케이블장착유닛과; 상기 케이블장착유닛들이 서로 근접하여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케이블장착유닛들을 설정된 간격을 유지시키도록 상기 케이블장착유닛들 사이에 설치된 간격유지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중 송전 및 배전 케이블 배열장치에 의하면, 다수의 케이블장착유닛이 공동구 내부에 횡 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열되고 케이블장착유닛에 다단으로 갖추어진 케이블 선반에 케이블을 배선함으로써 케이블의 배선 수량을 늘릴 수 있고 케이블을 유지보수할 경우 케이블장착유닛을 이동시켜 작업공간을 확보함으로써 작업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지중 송전 및 배전 케이블 배열장치{Underground power transmission cable and power distribution cable array device}
본 발명은 지중 송전 및 배전 케이블 배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송전케이블, 배전 케이블 및 통신 케이블 등을 지하에 설치하기 위하여 지중에 형성된 터널식 공동구에 많은 수량의 케이블을 배선할 수 있으면서, 케이블의 추가 배선이 용이하도록 하고 작업자의 자유로운 작업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지중 송전 및 배전 케이블 배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하에는 터널식 공동구가 마련되는데 이 공동구에는 송,배전 케이블 및 통신 케이블(이하, '케이블'이라 함) 등이 가설된다. 따라서 이러한 여러 종류의 케이블 및 관들이 서로 간섭되지 않고 가지런히 정리되도록 하기 위해 터널식 공동구 내벽에는 다단으로 걸이대가 무수히 많이 설치된다. 이러한 걸이대를 이용하면 케이블들이 서로 엉키지 않고 분리 가설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지하에 케이블을 설치하기 위한 걸이대의 일 예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857773호에는 송전케이블을 설치할 수 있는 장치가 게시되어 있다.
상기 송전케이블을 설치하기 위한 장치는 지하 공동구 내측면에 상하로 수직위치되는 사각관체인 수직프레임이 형성되되 상,하부측면과 하단은 앵커볼트에 의해 고정되는 상,하부고정판이 각각 형성되고, 내측면에는 하향경사지게 돌출형성되되 상면에는 일정간격으로 송전 케이블이 안착되는 반원 케이블 홈을 다수 개 갖는 받침대가 상하로 일정간격 형성되는 절연부재인 케이블 받침틀을 구비한다.
그러나 상기의 케이블 받침틀은 단순히 케이블의 일부를 삽입시킬 수 있는 반원케이블홈이 형성하고 상기 반원 케이블 홈에 케이블을 안착시키는 구조이므로 직경이 크고 단위 중량이 큰 일반 동축케이블은 자립이 가능하나 직경이 작고 가벼운 광케이블은 걸이대에 놓일 경우 광케이블이 서로 포개지거나 또는 바닥으로 떨어질 우려가 있었으며, 광케이블은 여러 걸이대에 단순히 걸쳐놓는 것임으로 안정성이 떨어지고 유지관리가 어려운 등의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의 케이블 받침틀은 공동구의 내벽면을 따라 설치되어 있어 내벽면 이외의 내측에는 케이블을 배선할 수 없는 구조를 가지므로 공간활용도가 극히 저조할 뿐만 아니라 케이블의 유지보수를 위하여 케이블 간에 간섭이 없어야 할 것이기 때문에 케이블의 배선 수량을 늘리는데 한계가 있고, 작업통로를 확보하지 못하여 유지보수작업이 매우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송전 및 배전 케이블을 종횡방향으로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여 제한된 공간인 지중의 공동구 내에 많은 수량의 케이블을 배선할 수 있으면서 케이블의 추가 배선을 용이하게 하고, 케이블들 사이에 작업자가 편하게 작업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여 케이블의 유지보수 작업이 용이한 지중 송전 및 배전 케이블 배열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지중 송전 및 배전 케이블 배열장치는 지중에 형성되어 케이블을 배선하기 위한 공동구 내부에 상기 공동구의 연장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치된 레일부와; 상기 레일부를 따라 각각 독립적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케이블을 수용하는 다수의 케이블장착유닛과; 상기 케이블장착유닛들이 서로 근접하여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케이블장착유닛들을 설정된 간격을 유지시키도록 상기 케이블장착유닛들 사이에 설치된 간격유지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블장착유닛은 상기 공동구의 내부에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레일부를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단에 롤러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호 나란하게 배치된 제1수직프레임 및 제2수직프레임을 포함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제1수직프레임 및 상기 제2수직프레임 사이에 상하방향으로 상호 이격 배치되고 체결볼트를 통해 상기 제1수직프레임과 상기 제2수직프레임에 각각 고정되며 상기 케이블이 안착되는 안착홈이 마련된 케이블 선반을 구비하고, 상기 간격유지유닛은 상기 케이블 선반과 별도로 상기 제1수직프레임과 상기 제2수직프레임 사이에 고정되고 내부에는 상기 레일부의 연장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중공부가 마련된 슬라이더와, 상기 케이블장착유닛에 각각 설치된 상기 슬라이더의 중공부를 각각 통과하도록 연장된 가이드 바와, 상기 가이드 바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슬라이더들 사이에 설치된 다수의 스프링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블장착유닛은 상기 공동구의 내부에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레일부를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단에 롤러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호 나란하게 배치된 제1수직프레임과 및 제2수직프레임을 포함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제1수직프레임 및 상기 제2수직프레임 사이에 상하방향으로 상호 이격 배치되고 체결볼트를 통해 상기 제1수직프레임과 상기 제2수직프레임에 각각 고정되며 상기 케이블이 안착되는 안착홈이 마련된 케이블 선반을 구비하고, 상기 간격유지유닛은 일측과 타측의 지지프레임에 각각 일단이 연결된 제1로드 및 제2로드와, 상기 제1로드와 상기 제2로드의 단부에 상기 제1로드와 상기 제2로드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 제1확장판 및 제2확장판과, 인접하는 일 측과 타 측의 지지프레임들 사이에서 상기 제1확장판과 상기 제2확장판이 서로 마주하도록 내부에 수용하고 상기 제1확장판과 상기 제2확장판이 상호 멀어지거나 근접할 수 있도록 내부에 통로가 마련된 실린더와, 상기 제1확장판과 상기 제2확장판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중 송전 및 배전 케이블 배열장치에 의하면, 다수의 케이블장착유닛이 공동구 내부에 횡 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열되고 케이블장착유닛에 다단으로 갖추어진 케이블 선반에 케이블을 배열함으로써 케이블의 배선 수량을 늘릴 수 있고 케이블을 유지보수할 경우 케이블장착유닛을 이동시켜 작업공간을 확보함으로써 작업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지중 송전 및 배전 케이블 배열장치의 측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지중 송전 및 배전 케이블 배열장치의 요부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지중 송전 및 배전 케이블 배열장치의 분리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지중 송전 및 배전 케이블 배열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지중 송전 및 배전 케이블 배열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지중 송전 및 배전 케이블 배열장치는 지하에 형성된 공동구(1)와, 공동구(1) 내에 공동구의 연장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치된 레일부(30)와, 레일부(30)를 따라 각각 독립적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케이블을 수용하는 다수의 케이블장착유닛(40)과, 케이블장착유닛(40)들이 서로 근접하여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며 케이블장착유닛(40)들을 설정된 간격을 유지시키도록 케이블장착유닛(40)들 사이에 설치된 간격유지유닛(70)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중 송전 및 배전 케이블 배열장치는 송전 및 배전 케이블 뿐만아니라 광통신용 케이블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레일부(30)는 공동구(1) 내부의 마주하는 양 측벽에 각각 설치된 받침 앵글(20)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상기 받침앵글(20)은 공동구(1)의 벽면에 접하여 앵커(10)로 고정되는 수직의 고정부(21) 및 이 고정부(21)의 상단부에서 횡방향으로 절곡되어 레일부(30)이 지지되는 수평의 받침부(22)로 이루어진다.
레일부(30)는 후술하는 케이블장착유닛(40)의 이동을 위한 가이드레일인 것으로, 수직부(31) 및 수직부(31)의 상,하부에 각각 형성된 상,하수평부(32,33)에 의해 'I' 또는 'H'형강으로 이루어지며, 케이블장착유닛이 공동구(1) 내부에서 공동구의 연장방향과 교차하는 방향(공동구의 폭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공동구(1)의 내부에 배열되면서 양단부가 받침 앵글(20)의 받침부(22)에 올려져 볼트 등으로 고정된다. 여기서 하부 수평부(33)는 수직부(31)를 중심으로 하여 양측으로 각각 연장되며 연장된 부분에 후술하는 지지프레임(50)의 롤러(52)가 지지된다.
케이블장착유닛(40)은 공동구(1)의 내부에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고, 레일부(30)를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단에 롤러(52)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호 나란하게 배치된 제1수직프레임(50a) 및 제2수직프레임(50b)을 포함하는 지지프레임(50)과, 제1수직프레임(50a) 및 제2수직프레임(50b) 사이에 상하방향으로 상호 이격 배치되고 체결볼트(64)를 통해 일 측과 타 측이 제1수직프레임(50a)과 제2수직프레임(50b)에 각각 고정되며 케이블(2)이 안착되는 안착홈(61a)이 마련된 케이블 선반(60)을 구비한다.
상기 지지프레임(50)은 동일한 형상의 제1수직프레임(50a)과 제2수직프레임(50b)을 사용하며, 상기 제1수직프레임(50a)과 제2수직프레임(50b)은 각각 레일부(30)를 따라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부가 'Y'자 형태로 분기되어 있고, 각각의 단부에 롤러(52)가 설치되어 있다.
즉, 지지프레임은 레일부(30)의 수직부(31)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한쪽으로 치우침 없이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케이블 선반(60)은 평평한 판 상이면서 상면에 케이블(2)이 안착되는 2개 이상의 안착홈(61a)이 형성된 바닥부(61), 바닥부(61)의 길이방향의 양측 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이탈방지 판(62), 바닥부(61)의 중앙 저부에 돌출 형성되며 2개 이상의 볼트홈(63a)이 구비된 결속부(63)로 이루어진다. 즉, 케이블 선반(60)은 제1수직프레임(50a)과 제2수직프레임(50b) 사이에 개재되면서 제1 및 제2수직프레임(50a, 50b)의 볼트공(53)과 결속부(63)의 볼트홈(63a)에 체결되는 볼트(64)를 통해 지지프레임에 고정되어 케이블(2)이 다단으로 배치된다.
이와 같은 구조의 케이블장착유닛(40)은 레일부(30)에 다수가 설치되며, 케이블(2)은 케이블 선반(60)의 안착홈(61a)에 안착된 상태로 배선된다.
간격유지유닛(70)은 상기 케이블 선반(60)과 별도로 제1수직프레임(50a)과 제2수직프레임(50b) 사이에 고정되고 내부에는 레일부(30)의 연장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중공부가 마련된 슬라이더(75)와, 케이블장착유닛(40)에 각각 설치된 슬라이더(75)의 중공부를 각각 통과하도록 연장된 가이드 바(76)와, 가이드 바(76)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배치되고 슬라이더(75)들 사이에 설치된 다수의 스프링부재(77)를 구비한다.
상기 간격유지유닛(70)은 케이블장착유닛(40)이 외력에 의해 인접하는 타 측의 케이블장착유닛(40)으로 근접할 때, 슬라이더(75)가 가이드 바(76)를 따라 이동하면 슬라이더(75)들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부재(77)에 압축력이 발생하고, 케이블장착유닛(40)들이 설정된 간격 이하의 거리로 근접할 경우에는 스프링부재(77)의 탄성력에 의해 케이블장착유닛(40)들이 충돌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상기의 간격유지유닛(17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다르게 상호 인접하는 지지프레임(50)들에 일단이 각각 연결된 제1로드(171) 및 제2로드(172)와, 제1로드(171)와 제2로드(172)의 단부에 각각 제1로드(171)와 제2로드(172)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 제1확장판(173) 및 제2확장판(174)과, 인접하는 지지프레임(50)들 사이에서 제1확장판(173)과 제2확장판(174)이 서로 마주하도록 내부에 제1확장판(173)과 제2확장판(174)을 수용하고 제1확장판(173)과 제2확장판(174)이 상호 멀어지거나 근접할 수 있도록 내부에 통로가 마련된 실린더(175)와, 제1확장판(173)과 제2확장판(174)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부재(177)를 구비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실린더(175) 내부에는 제1로드(171)의 단부측 일부와 제1확장판(173) 그리고 제2로드(172)의 단부측 일부와 제2확장판(174)을 수용하며 제1로드(171)와 제2로드(172)가 각각 양단부 측으로 출입 될 수 있게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실린더(175) 내부에서 제1로드(171)와 제1확장판(173) 그리고 제2로드(172) 및 제2확장판(174)은 서로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제1확장판(173)과 제2확장판(174) 사이뿐만 아니라 제1로드(171)를 감싸도록 제1확장판(173)과 실린더(175)의 일 측 단부 사이, 그리고 제2로드(172)를 감싸도록 제2확장판(174)과 실린더(175)의 타 측 단부 사이에 별도의 스프링부재(176)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지중 송전 및 배전 케이블 배열장치는 공동구(1)의 내부에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케이블장착유닛(40)이 상호 간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고, 각 케이블장착유닛(40)에는 케이블 선반(60)이 다단으로 장착되어 있으며, 각 케이블 선반(60)에는 케이블 안착홈(61a)이 다수 마련되어 있으므로 공동구(1) 내에 다수의 케이블(2)을 배선할 수 있고, 초기에 필요한 수량의 케이블(2)을 배선한 후, 계속해서 케이블(2)의 추가 배선이 필요한 경우 미사용중인 안착홈(61a)에 케이블(2)을 배선함으로써 케이블(2)의 증설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배선된 케이블(2) 중 일부 케이블(2)의 유지보수가 필요한 경우 예를 들어 케이블장착유닛 중 가장 좌측에 배선된 케이블(2)을 보수할 경우 중앙에 배치된 케이블장착유닛을 좌측에 배치된 케이블장착유닛으로부터 먼 쪽으로 이동 후 사이에 작업공간을 확보하여 작업자가 편안한 자세로 케이블(2)을 보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지중 송전 및 배전 케이블 배열장치는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 공동구
2 : 케이블
10 : 앵커
20 : 받침앵글
30 : 레일부
40 : 케이블장착유닛
50 : 지지프레임
60 : 케이블 선반
70 : 간격유지유닛

Claims (3)

  1. 지중에 형성되어 케이블을 배선하기 위한 공동구 내부에 상기 공동구의 연장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치된 레일부와;
    상기 레일부를 따라 각각 독립적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케이블을 수용하는 다수의 케이블장착유닛과;
    상기 케이블장착유닛들이 서로 근접하여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케이블장착유닛들을 설정된 간격을 유지시키도록 상기 케이블장착유닛들 사이에 설치된 간격유지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송전 및 배전 케이블 배열장치.
  2. 청구항 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장착유닛은
    상기 공동구의 내부에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레일부를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단에 롤러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호 나란하게 배치된 제1수직프레임 및 제2수직프레임을 포함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제1수직프레임 및 상기 제2수직프레임 사이에 상하방향으로 상호 이격 배치되고 체결볼트를 통해 상기 제1수직프레임과 상기 제2수직프레임 사이에 고정되며 상기 케이블이 안착되는 안착홈이 마련된 케이블 선반을 구비하고,
    상기 간격유지유닛은
    상기 케이블 선반과 별도로 상기 제1수직프레임과 상기 제2수직프레임 사이에 고정되고 내부에는 상기 레일부의 연장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중공부가 마련된 슬라이더와, 상기 케이블장착유닛에 각각 설치된 상기 슬라이더의 중공부를 각각 통과하도록 연장된 가이드 바와, 상기 가이드 바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슬라이더들 사이에 설치된 다수의 스프링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송전 및 배전 케이블 배열장치.
  3. 청구항 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장착유닛은
    상기 공동구의 내부에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레일부를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단에 롤러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호 나란하게 배치된 제1수직프레임과 및 제2수직프레임을 포함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제1수직프레임 및 상기 제2수직프레임 사이에 상하방향으로 상호 이격 배치되고 체결볼트를 통해 상기 제1수직프레임과 상기 제2수직프레임 사이에 고정되며 상기 케이블이 안착되는 안착홈이 마련된 케이블 선반을 구비하고,
    상기 간격유지유닛은
    상호 인접하는 지지프레임들에 각각 일단이 연결된 제1로드 및 제2로드와, 상기 제1로드와 상기 제2로드의 단부에 상기 제1로드와 상기 제2로드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 제1확장판 및 제2확장판과, 상호 인접하는 지지프레임들 사이에서 상기 제1확장판과 상기 제2확장판이 서로 마주하도록 내부에 수용하고 상기 제1확장판과 상기 제2확장판이 상호 멀어지거나 근접할 수 있도록 내부에 통로가 마련된 실린더와, 상기 제1확장판과 상기 제2확장판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송전 및 배전 케이블 배열장치.
KR1020120094536A 2012-08-28 2012-08-28 지중 송전 및 배전 케이블 배열장치 KR1012092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4536A KR101209239B1 (ko) 2012-08-28 2012-08-28 지중 송전 및 배전 케이블 배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4536A KR101209239B1 (ko) 2012-08-28 2012-08-28 지중 송전 및 배전 케이블 배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9239B1 true KR101209239B1 (ko) 2012-12-11

Family

ID=47907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4536A KR101209239B1 (ko) 2012-08-28 2012-08-28 지중 송전 및 배전 케이블 배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923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8871B1 (ko) * 2021-03-24 2022-01-11 보문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지중배전상태 점검기능을 구비한 지중배전라인 트레이
KR102367326B1 (ko) * 2021-03-22 2022-02-25 주식회사 세명기업 지중배전상태 점검기능을 구비한 지중배전라인 트레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8661B1 (ko) 2006-10-24 2006-12-15 (주)세명기술단 공동주택용 경량 케이블 트레이
KR100822869B1 (ko) 2007-11-16 2008-04-16 (주)동우기술단 송배전 케이블 지중전력구 배열대
KR100889046B1 (ko) 2008-08-18 2009-03-20 이경연 지중배전선 보호를 위한 선로지지관
KR100899163B1 (ko) 2008-10-30 2009-06-01 (주)우전엔지니어링 매설형 지중배전선 고정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8661B1 (ko) 2006-10-24 2006-12-15 (주)세명기술단 공동주택용 경량 케이블 트레이
KR100822869B1 (ko) 2007-11-16 2008-04-16 (주)동우기술단 송배전 케이블 지중전력구 배열대
KR100889046B1 (ko) 2008-08-18 2009-03-20 이경연 지중배전선 보호를 위한 선로지지관
KR100899163B1 (ko) 2008-10-30 2009-06-01 (주)우전엔지니어링 매설형 지중배전선 고정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7326B1 (ko) * 2021-03-22 2022-02-25 주식회사 세명기업 지중배전상태 점검기능을 구비한 지중배전라인 트레이
KR102348871B1 (ko) * 2021-03-24 2022-01-11 보문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지중배전상태 점검기능을 구비한 지중배전라인 트레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2869B1 (ko) 송배전 케이블 지중전력구 배열대
KR101209242B1 (ko) 지중 송전 및 배전케이블 지지장치
KR100847877B1 (ko) 케이블 고정장치를 구비한 케이블 트레이
KR102067816B1 (ko) 전력구내 설치가 용이한 지중배전선 고정장치
KR101359561B1 (ko) 지중전선 전력구용 송배전 케이블 지지장치
KR100915369B1 (ko) 케이블 트레이의 신축식 연결구조
KR101257032B1 (ko) 지중 배전선로의 지지구조물
JP5583832B1 (ja) 管体支持装置、管体接続方法及び管体接続後処理方法
KR101200557B1 (ko) 지중 송?배전용 케이블의 배열장치
JPH06282354A (ja) 情報処理機器の立体設置設備
EP3194879A1 (en) Cleaning apparatus for cooling tube array
KR100859013B1 (ko) 송전과 변전 및 배전 전력구 설치장치 및 그의 설치공법
KR101209239B1 (ko) 지중 송전 및 배전 케이블 배열장치
KR100882775B1 (ko) 배전용 지하 전력구 케이블 지지대.
CN105570539A (zh) 管线保护结构的施工方法
KR20140068641A (ko) 곡선구간 최적화 설치가 가능한 시스템 비계
KR20120074097A (ko) 결합위치 가변 행어 및 이 행어가 적용된 천장틀 시스템.
CN105576574A (zh) 一种机架及使用该机架的二次设备预制舱
CN202406246U (zh) 模块化综合布线装置
KR101237841B1 (ko) 다층형 트레이를 가지는 케이블 덕트 장치
KR100818556B1 (ko) 배전용 전주 상부 지지대
CN103466412A (zh) 一种空心电梯导轨的接导件
CN102174969A (zh) 钢索吊架及其施工方法
KR20170057557A (ko) 스프링클러의 설치가 용이한 클린룸용 천장프레임
CN215580132U (zh) 一种一体化机房线缆桥架及一体化机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