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6143B1 - 지중 배전선로의 보호형 접속 장치구조 - Google Patents

지중 배전선로의 보호형 접속 장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6143B1
KR101626143B1 KR1020150134786A KR20150134786A KR101626143B1 KR 101626143 B1 KR101626143 B1 KR 101626143B1 KR 1020150134786 A KR1020150134786 A KR 1020150134786A KR 20150134786 A KR20150134786 A KR 20150134786A KR 101626143 B1 KR101626143 B1 KR 1016261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ribution line
shelf
underground distribution
fixing
underg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47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애
Original Assignee
(주)대광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광기술 filed Critical (주)대광기술
Priority to KR10201501347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61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61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61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8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tunne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6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 H02G1/08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through tubing or conduit, e.g. rod or draw wire for pushing or pulling
    • H02G1/081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through tubing or conduit, e.g. rod or draw wire for pushing or pulling using pulling means at cable ends, e.g. pulling eyes or anchors

Landscapes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중 배전선로의 보호형 접속 장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선반에 설치되는 지중배전선 고정수단을 구성하는 하부클램프가 선반에 형성된 반원형 클램프 지지홈에 삽입설치되어 있으므로 선반에 대한 지중배전선의 고정이 보다 견고하게 이루어져 접속불량이나 단락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또한 선반에 고정 가능한 이동대차와 이동대차의 프레임상판에 설치되는 풀링롤러를 구비하여 지중배전선의 인선작업을 신속, 간편하게 진행할 수 있으며, 이동대차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지중배전선 안착수단을 구비하여 인선된 지중배전선을 선반에 안착시키는 작업을 신속 간편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지중 배전선로의 보호형 접속 장치구조{Apparatus for connecting and protecting underground power distribution line}
본 발명은 지중 배전선로의 보호형 접속 장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지중배전선의 접속부를 보호함과 아울러 선반에 대하여 유동 없이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여 접속불량이나 단락을 방지함과 아울러 배전선을 선반에 설치하기 위한 인선(Pulling Cable)작업과 선반에 대한 지중배전선의 안착 및 고정 작업을 신속, 간편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한 지중 배전선로의 보호형 접속 장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시 지역의 전력수용가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하여 도로변에 전신주를 일정 간격으로 세우고, 이에 절연대와 애자를 이용하여 송배전선을 가설하는 가공 송배전 시설이 널리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가공 송배전 시설은 가공 송배전선이 복잡하게 얽혀 있게 되어 누전이나 단락 사고의 위험이 있으며, 태풍이나 강우에 취약한 문제점이 있으며, 도심지 미관을 해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1973년도에 처음으로 송배전선의 지중화 사업이 시작되어 가공 송배전 시설의 설치가 기술적으로 불가능하고 유지보수가 곤란한 지역과, 가공선이 집중되어 있는 변전소 인출 부근, 고가도로, 고속도로, 철도 등을 횡단하는 장소, 부하밀도가 높고 고층빌딩으로서 공급 여력을 확보하는데 다회선 구성이 기술적으로 곤란한 장소, 사업비지원, 지역주민의 행정관서와의 업무협조가 원활한 지역 등 변전소 건설시나 기존 변전소 주변압기 증설시 다회선의 배전선을 인출하기 위해 전력구 또는 배전지중 대비관로를 시설하여 장차 부하 증가에 대비할 필요가 있는 지역에 집중적으로 송배전선의 지중화 사업을 추진하여 왔다.
최근에는 전기설비기술기준, 기타 관계 법규(도로법, 도시계획법, 건축법, 하천법, 공원법, 소방법 등에 의해 제한을 받아 가공 송배전 시설을 설치할 수 없는 지역, 지중공급지역, 지중배전 공급예정지역, 지중화 확정지역에서 송배전선로를 설치하는 경우, 행정관서 또는 고객의 요청으로 지중선로로 공급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인정되는 지역, 발전소와 변전소 인출구 등 회선수가 많아 가공 송배전 시설을 설치하기 곤란한 지역, 장경간으로 가공 송배전 시설의 설치가 곤란한 교량 지역, 기타 시설방법, 보안상 및 기술적으로 지중 선로로 시설함이 타탕한 지역에 대하여 지중화 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외국의 송배전선의 지중화율은 런던과 파리가 100%에 달하는 등 전 세계에서 송배전선의 지중화 사업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지중 송배전선 시설은 설치 방식에 따라서 직매식과 관로식 및 전력구식으로 구분된다.
직매식은 배전선의 방호를 위하여 트러프(Through) 내에 케이블을 시설한 후 트러프와 케이블 사이에 모래를 채운 후 뚜껑을 덮는 방식이다. 매설깊이는 전기설비기술기준령에 의거 차량 등의 중량물의 압력을 받는 장소에는 1~2m 이상, 기타 장소에서는 60cm이상으로 하지만 타 지하매설물이 있을 경우에는 타 지하매설물과의 관계를 고려하여 깊이를 조정하도록 하고 있다.
관로식은 관로와 맨홀을 설치한 후 케이블을 관로에 인입하여 맨홀 내에서 케이블을 접속할 수 있도록 포설하는 방식이다. 직매식과 같이 도로를 장기간 굴착된 상태로 유지할 수 없는 도심지의 교통량이 많은 장소에 적용되며, 차후 증설이 예상되는 장소의 재굴착시에 따르는 문제점을 고려하여 미리 관로와 맨홀을 설치한다.
전력구식은 지중에 작업자가 통행할 수 있는 크기의 터널을 구축하고 이 터널의 양 옆에 지지물(선반)을 설치하여 케이블을 지지물(선반)에 지지하는 방식이다. 암거식 또는 동도(洞道)식이라고도 한다. 전력구식은 케이블 수가 20가닥 이상인 경우와 변전소 인출부 같이 다회선이 요구되는 지역 등에 유리하며, 초고압 이상의 케이블을 사용할 경우 유지, 보수 및 점검 등의 편리성 및 열방산이 좋아 널리 사용되고 있다.
전력구식 지중배전 시설의 경우 지중배전선을 전력구 터널 내의 선반에 설치하기 위하여 지중배전 시설의 길이에 따라 1개 또는 2개 이상의 지중배전선용 케이블을 인선(Pulling Cable)하여 전력구 터널 내에 위치시키는 제2 단계와, 지중배전선용 케이블을 선반 상에 안착시키는 제2 단계와, 인접하는 지중배전선용 케이블의 접속단부의 절연피복을 박피하여 노출된 도체를 접속함과 아울러 절연부재로 절연처리하는 제3 단계 및, 지중배전선용 케이블을 선반에 고정하는 제4 단계를 거쳐서 지중케이블을 설치하게 된다.
제1 단계에서 지중배전선용 케이블의 인선작업을 위하여 종래에는 전력구 터널의 바닥에서 일정한 높이에 위치하는 풀링롤러가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지지대를 일정 간격으로 설치하고, 케이블드럼(Cable Drum)에 권취된 지중배전선용 케이블의 선단부에 풀링아이(Pulling Eye)를 결합하고 풀링아이에 풀링와이어(Pulling Wire)를 연결하여 작업자가 인력으로 견인하거나 풀링와이어를 와이어드럼에 권취하는 것에 의하여 지중배전선용 케이블이 전력구 터널 내에 원하는 구간에 위치하도록 한다.
제2 단계에서 지중배전선용 케이블을 선반에 안착시키기 위하여 종래에는 여러 명의 작업자가 지중배전선용 케이블을 들어올려서 선반에 안착시킨다.
제3 단계에서 지중배전선용 케이블의 접속단계에서는 인접하는 지중배전선용 케이블의 접속단부의 절연피복을 박피하여 노출된 도체를 접속슬리브로 접속함과 아울러 절연부재로 피복하여 접속부가 절연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제4 단계에서 지중배전선용 케이블을 선반에 고정하기 위하여 클램프 또는 고정구 등을 이용하여 지중배전선용 케이블을 선반에 고정한다.
그러나 종래의 지중배전선용 케이블을 인선하여 전력구 터널에 위치시킨 다음 지중배전선용 케이블을 선반에 안착시키기 위하여는 여러 명의 작업자가 지중배전선용 케이블을 들어올려서 선반에 안착시켜야 하기 때문에 그 작업이 번거롭고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자칫 안전사고가 발생할 염려가 있다.
또한 지중배전선용 케이블을 선반에 고정함에 있어서는 평판 형태로 형성된 선반의 상면에 클램프 또는 고정구를 설치하여 지중배전선용 케이블을 고정하게 되므로 고정상태가 견고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고 유동이 발생하여 접속부의 접속불량이나 단락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관련한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84191호(2012.09.13. 등록)(이하, '선행기술 1'이라 함)는 송전용 지중송전 접속 브래킷에 있어서, 지중에 고정되는 받침대; 송전용 지중전선을 고정하고 받침대에 안착시키는 전선 고정대를 포함하되, 상기 전선 고정대는, 앞쪽, 뒤쪽 및 위쪽이 개방된 유자형으로 송전용 지중전선을 안착시키고, 중앙으로 좁아지는 형상의 완충 부재를 내면에 설치하는 전선 안착부; 상기 전선 안착부에 힌지 결합되고, 회동으로 상기 전선 안착부에서 개폐되고, 중앙으로 좁아지는 형상의 완충 부재를 내면에 설치하는 덮개; 상기 전선 안착부의 하부에 설치되는 원형 플레이트; 상기 전선 안착부와 원형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병목 형상의 연결목; 및 상기 덮개에서부터 상기 전선 안착부까지 연장된 볼트 결합용 홀을 포함하고, 상기 받침대는, 상기 전선 고정대의 원형 플레이트와 연결목을 끼워 맞춤하여 미끄럼 이동시킬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고, 내면 바닥에 상기 전선 고정대의 원형 플레이트를 안착시켜 미끄럼 이동은 제한하나 회전은 가능하게 하는 원형 홈을 형성하고, 연장된 바닥에 볼트 결합용 홈을 형성하여 송전용 지중전선을 손쉽게 지중에 견고히 고정할 수 있게 하므로 작업능률을 높이고, 완충 수단을 가지고 있어 송전용 지중전선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한 "송전용 지중전선 접속 브래킷"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 1에서는 받침대에 전선 고정대의 원형 플레이트와 연결목을 끼워 맞춤하여 미끄럼 이동시킬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고, 받침대의 내면 바닥에 전선 고정대의 원형 플레이트를 안착시켜 미끄럼 이동은 제한하나 회전은 가능하게 하는 원형 홈을 형성한 것으로 원형 플레이트를 공간에 삽입하기 위해서 공간의 높이가 최소한 원형 플레이트의 두께에 상당하는 높이를 가지도록 구성해야 하고, 공간에 삽입된 원형 플레이트가 받침대의 바닥에 형성된 원형 홈에 삽입되는 것이기 때문에 받침대의 공간을 형성하는 상면판의 하면과 원형 플레이트의 상면 사이에 틈새가 생길 수밖에 없어 전선 고정대와 받침대에 의하여 지중전선을 고정하였을 때 전선 고정대가 받침대에 대하여 상하로 유동하게 되기 때문에 지중전선의 견고한 고정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고, 이러한 유동에 의하여 지중전선의 접속부위에 접속불량에 의한 누전 및 감전사고와 단락에 의한 화재사고가 발생할 염려가 있다.
따라서 지중전선을 유동 없이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어 유동에 따른 접속불량에 의한 누전 및 감전사고와 단락에 의한 화재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84191호(2012.09.13. 등록) "송전용 지중전선 접속 브래킷"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지중배전선의 접속부를 보호함과 아울러 선반에 대하여 유동 없이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여 접속불량이나 단락을 방지함과 아울러 배전선을 선반에 설치하기 위한 인선(Pulling Cable)작업과 선반에 대한 지중배전선의 안착 및 고정 작업을 신속, 간편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한 지중 배전선로의 보호형 접속 장치구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바닥과, 벽체 및, 상기 벽체에 수평으로 고정 설치되며 상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상방으로 개방되게 형성된 반원형 클램프 지지홈과 상기 반원형 클램프 지지홈의 사이에 상방으로 개방되게 형성된 반원형 지중배전선 지지홈이 구비된 선반을 포함하는 전력구 터널과; 좌우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상기 반원형 클램프 지지홈에 설치되는 지중배전선 고정수단과; 상기 선반의 후방에 배치되는 이동대차와; 상기 이동대차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인선되는 지중배전선을 지지하는 풀링롤러와; 상기 이동대차의 상단에 설치되어 인선된 지중배전선을 선반 상으로 밀어서 안착시키는 지중배전선 안착수단; 및 상기 이동대차를 상기 선반에 고정하기 위한 이동대차 고정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반원형 지중배전선 지지홈의 내주면에는 절연재가 피복되고, 상기 지중배전선 고정수단은 상기 반원형 클램프 지지홈에 삽입되며 선단부에 경첩편이 형성되고 후단부에 결합편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편에 복수개의 볼트관통공이 형성된 하부클램프와, 선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하부클램프의 경첩편에 경첩핀으로 상하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경첩편이 형성되며 후단부에 상기 하부클램프의 결합편에 대응하는 결합편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편에 복수개의 볼트관통공이 형성되는 상부클램프와, 상기 볼트관통공에 관통되는 클램핑볼트와, 상기 하부클램프의 결합편의 하면에 볼트관통공에 동축을 이루도록 고정된 클램핑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하부클램프와 상부클램프의 내주면에는 절연재가 피복되고, 상기 클램핑너트는 상기 하부클램프의 결합편의 하면에 용접에 의하여 고정되며, 상기 이동대차는 전후 한 쌍의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의 하단부를 연결하는 프레임하판과,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단을 연결하는 프레임상판과, 상기 수직프레임의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전후륜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풀링롤러는 상기 이동대차의 프레임상판 상에 전후방향으로 이격 설치된 롤러지지편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지중배전선 안착수단은 상기 이동대차의 수직프레임에 결합되어 상방으로 연장되는 연장프레임에 수평으로 장착되며 전후 방향으로 직선운동하는 작동봉을 구비한 리니어액튜에이터와, 상기 리니어액튜에이터의 작동봉의 선단에 결합되어 지중배전선을 선반측으로 밀어내는 밀판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이동대차 고정수단은 상기 선반의 후단면에 고정 설치되며 고정핀공이 형성된 고정편과, 상기 이동대차의 상판의 전면과 풀링롤러 지지편 중 선단부측 풀링롤러 지지편의 전면에 고정 설치되며 고정핀공이 형성된 고정편 및, 상기 고정편의 고정핀공에 삽입되는 고정핀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배전선로의 보호형 접속 장치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지중 배전선로의 보호형 접속 장치구조에 의하면, 선반에 설치되는 지중배전선 고정수단을 구성하는 하부클램프가 선반에 형성된 반원형 클램프 지지홈에 삽입설치되어 있으므로 선반에 대한 지중배전선의 고정이 보다 견고하게 이루어져 접속불량이나 단락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또한 선반에 고정 가능한 이동대차와 이동대차의 프레임상판에 설치되는 풀링롤러를 구비하여 지중배전선의 인선작업을 신속, 간편하게 진행할 수 있으며, 이동대차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지중배전선 안착수단을 구비하여 인선된 지중배전선을 선반에 안착시키는 작업을 신속 간편하게 진행할 수 있게 된다.
도 1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지중 배전선로의 보호형 접속 장치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1은 분해 사시도,
도 2는 사시도,
도 3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의하여 지중배전선을 선반에 설치하고 접속하는 과정을 보인 것으로,
도 3은 지중배전선을 인선하는 과정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지중배전선을 선반에 안착시키는 과정을 보인 사시도,
도 5 및 도 6은 지중배전선의 접속부를 접속하는 과정을 보인 사시도,
도 7은 지중배전선을 고정하는 과정을 보인 사시도,
도 8은 이동대차를 철수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지중 배전선로의 보호형 접속 장치구조를 첨부도면에 예시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전력구 터널의 벽면을 향하는 방향을 전방, 선단, 전면으로, 그 반대방향으로 후방으로 하고, 전력구 터널의 길이방향을 좌우측방으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지중 배전선로의 보호형 접속 장치구조는 바닥(110)과, 벽체(120) 및, 상기 벽체(120)에 수평으로 고정 설치되며 상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상방으로 개방되게 형성된 반원형 클램프 지지홈(131)과 상기 반원형 클램프 지지홈(131)의 사이에 상방으로 개방되게 형성된 반원형 지중배전선 지지홈(132)이 구비된 선반(130)을 포함하는 전력구 터널(100)과; 좌우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상기 반원형 클램프 지지홈(131)에 설치되는 지중배전선 고정수단(200)과; 상기 선반(130)의 후방에 배치되는 이동대차(300)와; 상기 이동대차(300)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인선되는 지중배전선을 지지하는 풀링롤러(400)와; 상기 이동대차(300)의 상단에 설치되어 인선된 지중배전선(10)을 선반(130) 상으로 밀어서 안착시키는 지중배전선 안착수단(500); 및 상기 이동대차(300)를 상기 선반(130)에 고정하기 위한 이동대차 고정수단(600); 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력구 터널(100)은 콘크리트 구조물로 구성되며, 상기 선반(130)은 벽체(120)와 별도로 제작하여 앵커볼트와 너트에 의하여 결합하거나 전력구 터널(100)을 콘크리트 구조물로 시공하는 과정에서 벽체(120)와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반원형 지중배전선 지지홈(132)의 내주면에는 절연재(133)가 피복된다. 상기 절연재(133)는 반원형 지중배전선 지지홈(132)의 내주면에 접착제에 의하여 접착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지중배전선 고정수단(200)은 상기 반원형 클램프 지지홈(131)에 삽입되며 선단부에 경첩편(211)이 형성되고 후단부에 결합편(212)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편(212)에 복수개(도면에서는 2개)의 볼트관통공(213)이 형성된 하부클램프(210)와, 선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하부클램프(210)의 경첩편(211)에 경첩핀(230)으로 상하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경첩편(221)이 형성되며 후단부에 상기 하부클램프(210)의 결합편(212)에 대응하는 결합편(222)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편(222)에 복수개(도면에서는 2개)의 볼트관통공(223)이 형성되는 상부클램프(220)와, 상기 볼트관통공(213, 223)에 관통되는 클램핑볼트(240)와, 상기 하부클램프(210)의 결합편(212)의 하면에 볼트관통공(213)에 동축을 이루도록 고정된 클램핑너트(2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부클램프(210)와 상부클램프(220)의 내주면에는 절연재(214, 224)가 피복된다. 상기 절연재(214, 224)는 절연고무로 구성할 수 있으며, 접착제에 의하여 하부클램프(210)와 상부클램프(220)의 내주면에 접착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클램핑너트(250)는 상기 하부클램프(210)의 결합편(212)의 하면에 용접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
도 1에서 도면부호 134는 상기 선반(130)에 형성되어 상기 경첩편(211, 221)이 삽입되는 경첩자리를 보인 것이고, 135는 상기 선반(130)에 형성되어 클램핑너트(250)가 삽입되는 너트자리를 보인 것이다.
상기 이동대차(300)는 전후 한 쌍의 수직프레임(310)과, 상기 수직프레임(310)의 하단부를 연결하는 프레임하판(320)과, 상기 수직프레임(310)의 상단을 연결하는 프레임상판(330)과, 상기 수직프레임(310)의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전후륜(3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수직프레임(310), 프레임하판(320) 및 프레임상판(330)은 용접 또는 볼트/너트 체결에 의하여 결합할 수 있다.
상기 풀링롤러(400)는 하나만 설치할 수도 있으나, 지중배전선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좌우 한 쌍으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풀링롤러(400)는 상기 이동대차(300)의 프레임상판(330) 상에 전후방향으로 이격 설치된 롤러지지편(41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풀링롤러(400)는 금속재질로 형성한 것을 사용하거나 금속재질로 형성하고 그 외주면에 절연고무 재질로 피복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롤러지지편(410)은 프레임상판(330)에 용접 또는 볼트/너트 체결에 의하여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지중배전선 안착수단(500)은 상기 이동대차(300)의 수직프레임(310)에 결합되어 상방으로 연장되는 연장프레임(350)에 수평으로 장착되며 전후 방향으로 직선운동하는 작동봉(520)을 구비한 리니어액튜에이터(510)와, 상기 리니어액튜에이터(510)의 작동봉(520)의 선단에 결합되어 지중배전선(10)을 선반(130)측으로 밀어내는 밀판(5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리니어액튜에이터(510)는 유압실린더나 공압실린더 또는 회전모터에 의하여 회전하는 너트와 이 너트에 나사맞춤되어 전후방향으로 직선운동하는 스크루로 구성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다만, 리니어액튜에이터(510)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과 유압실린더와 공압실린더를 사용할 경우에 수반되는 유압펌프, 유압탱크, 유압라인, 공압펌프, 공압탱크, 공압라인과 밸브, 그리고 회전모터를 사용하는 경우에 수반되는 전환스위치 등에 대한 구체적인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리니어액튜에이터(510)는 통상적인 볼트/너트 체결에 의하여 연장프레임(350)에 고정 설치할 수 있다.
상기 밀판(530)은 작동봉(520)의 선단에 용접 또는 나사결합식으로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이동대차 고정수단(600)은 상기 선반(130)의 후단면에 고정 설치되며 고정핀공(611)이 형성된 고정편(610)과, 상기 이동대차(300)의 상판(330)의 전면과 풀링롤러 지지편(410) 중 선단부측 풀링롤러 지지편의 전면에 고정 설치되며 고정핀공(621)이 형성된 고정편(620) 및, 상기 고정편(610, 620)의 고정핀공(611, 621)에 삽입되는 고정핀(6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정핀(630)에는 작업자가 손가락을 걸어서 고정핀공(611, 621)에서 고정핀(630)을 빼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손잡이고리(640)가 일체로 형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지중 배전선로의 보호형 접속 장치구조에 의한 지중배전선(10)의 설치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준비단계로서, 이동대차(300)를 고정편(610, 620)에 고정핀(630)을 끼우는 것에 의하여 선반(130)에 고정함으로써 이동대차(300)가 전력구 터널(100)의 바닥(110)에서 임의로 이동되지 않도록 한다. 이동대차(300)에 지지각(미도시)이 구비된 경우에는 이를 작동시켜 이동대차(300)가 더욱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풀링롤러(400)와 지중배전선 안착수단(500)이 장착된 이동대차(300)는 선반(100)의 길이에 따라 일정 간격마다 설치한다.
이때, 상부클램프(220)는 반시계방향으로 상향 회동시켜 하부클램프(210)로부터 개방되도록 하고, 지중배전선 안착수단(500)의 리니어액튜에이터(510)의 작동봉(520)을 후퇴시켜 밀판(530)이 선반(130)으로부터 멀어지도록 한다(도 2 참조).
제1 단계로서, 지중배전선(10)의 일단부(도면에서 우측단부)에 풀링아이(미도시)를 통해 풀링와이어(미도시)를 연결하고 작업자가 풀링와이어를 견인하거나 와이어드럼을 작동시켜 풀링와이어를 와이어드럼에 권취하여 케이블드럼(미도시)에 권취되어 있는 지중배전선(10)을 풀려나오면서 풀링롤러(400) 상에 지지한다(도 3 참조).
이때, 지중배전선(10)은 풀링롤러(400) 상에 지지된 상태에서 풀링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풀링롤러(400)가 회전하게 되어 지중배전선(10)의 인선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제2 단계로서, 지중배전선 안착수단(500)의 리니어액튜에이어(510)를 작동시켜 작동봉(520)이 전진하게 하면, 작동봉(520)의 선단부에 결합된 밀판(530)이 풀링롤러(400) 상에 지지되어 있는 지중배전선(10)을 선반(130)을 향하여 밀게 되고, 지중배전선(10)이 하부클램프(210)에 삽입되어 안착된다(도 4 참조).
이때, 하부클램프(210)의 내주면에는 절연재(214)가 피복되어 있으므로 지중배전선(10)은 절연재(214) 상에 안착된다.
제3 단계로서, 하부클램프(210)에 안착된 지중배전선(10) 중 서로 접속하여야 하는 인접한 두 개의 지중배전선(10)의 단부의 절연피복(12)을 박피하여 도체(11)가 노출되도록 하고, 노출된 양측 도체(11)를 접속슬리브(13)로 접속시키고(도 5 참조), 그 주위에 절연보호피복(14)을 씌워서 절연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도 6 참조).
이때, 인접한 두 개의 지중배전선(10)의 접속부는 좌우방향으로 이격 배치된 양측 지중배전선 고정수단(200) 사이에 위치하도록 한다.
제4 단계로, 상부클램프(220)를 시계방향으로 하향 회동시켜 지중배전선(10)의 상반부에 씌워지도록 하고, 상부클램프(220)의 결합편(222)에 형성된 볼트관통공(223)과 하부클램프(210)의 결합편(212)에 형성된 볼트관통공(213)에 클램핑볼트(240)를 관통시켜 결합편(212)의 하면에 고정되어 있는 클램핑너트(250)에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하부클램프(210)와 상부클램프(220)로 구성된 지중배전선 고정수단(200)에 의하여 지중배전선(10)이 고정되도록 한다(도 7 참조).
여기서 지중배전선(10)은 선반(130)의 반원형 클램프 지지홈(131)에 삽입설치되어 있으므로 선반(130)에 대한 지중배전선(10)의 고정이 보다 견고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지중배전선(10)은 하부클램프(210)와 상부클램프(220)의 절연재(214, 224)와 선반(130)의 지중배전선 지지홈(132)에 피복된 절연재(133)에 둘러싸이게 되어 절연상태를 보다 확실하게 유지하게 된다.
이때, 하부클램프(210)와 상부클램프(220)로 구성된 지중배전선 고정수단(200)은 인접하는 두 개의 지중배전선(10)의 접속부, 즉 절연보호피복(14)을 직접 클램핑하는 것보다 절연보호피복(14)의 양단에 근접한 부분을 고정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5 단계로, 지중배전선(10)의 인선, 안착, 접속 및 고정 단계의 작업이 완료되면, 이동대차 고정수단(600)을 구성하는 고정편(610, 620)의 고정핀공(611, 621)에서 고정핀(630)을 인출하여 이동대차(300)를 선반(100)으로부터 분리하여 풀링롤러(400)와 지중배전선 안착수단(500)이 장착된 이동대차(300)를 전력구 터널(100)로부터 철수시킨다(도 8 참조).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지중 배전선로의 보호형 접속 장치구조에 의하면, 선반에 설치되는 지중배전선 고정수단(200)을 구성하는 하부클램프(210)가 선반(130)에 형성된 반원형 클램프 지지홈(131)에 삽입설치되어 있으므로 선반(130)에 대한 지중배전선(10)의 고정이 보다 견고하게 이루어져 접속불량이나 단락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선반(130)에 고정 가능한 이동대차(300)와 이동대차(300)의 프레임상판(330)에 설치되는 풀링롤러(400)를 구비하여 지중배전선(10)의 인선작업을 신속, 간편하게 진행할 수 있으며, 이동대차(300)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지중배전선 안착수단(500)을 구비하여 인선된 지중배전선(10)을 선반(130)에 안착시키는 작업을 신속 간편하게 진행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은 그 일 예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지중배전선 11 : 도체
12 : 절연피복 100 : 전력구 터널
110 : 바닥 120 : 벽체
130 : 선반 131 : 반원형 클램프 지지홈
132 : 반원형 지중배전선 지지홈 133 : 절연재
134 : 경첩자리 135 : 너트자리
200 : 지중배전선 고정수단 210 : 하부클램프
211 : 경첩편 212 : 결합편
213 : 볼트관통공 214 : 절연재
220 : 상부클램프 221 : 경첩편
222 : 결합편 223 : 볼트관통공
224 : 절연재 230 : 경첩핀
240 : 클램핑볼트 250 : 클램핑너트
300 : 이동대차 310 : 수직프레임
320 : 프레임하판 330 : 프레임상판
400 : 풀링롤러 410 : 롤러지지편
500 : 지중배전선 안착수단 510 : 리니어액튜에이터
520 : 작동봉 530 : 밀판
600 : 이동대차 고정수단 610, 620 : 고정편
611, 621 : 고정핀공 630 : 고정핀

Claims (1)

  1. 바닥(110)과, 벽체(120) 및, 상기 벽체(120)에 수평으로 고정 설치되며 상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상방으로 개방되게 형성된 반원형 클램프 지지홈(131)과 상기 반원형 클램프 지지홈(131)의 사이에 상방으로 개방되게 형성되며 내주면에 절연재(133)가 피복된 반원형 지중배전선 지지홈(132)이 구비된 선반(130)을 포함하는 전력구 터널(100)과; 좌우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상기 반원형 클램프 지지홈(131)에 설치되는 지중배전선 고정수단(200)과; 상기 선반(130)의 후방에 배치되는 이동대차(300)와; 상기 이동대차(300)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인선되는 지중배전선을 지지하는 풀링롤러(400)와; 상기 이동대차(300)의 상단에 설치되어 인선된 지중배전선(10)을 선반(130) 상으로 밀어서 안착시키는 지중배전선 안착수단(500); 및 상기 이동대차(300)를 상기 선반(130)에 고정하기 위한 이동대차 고정수단(600); 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지중배전선 고정수단(200)은 상기 반원형 클램프 지지홈(131)에 삽입되며 선단부에 경첩편(211)이 형성되고 후단부에 결합편(212)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편(212)에 복수개의 볼트관통공(213)이 형성되며 내주면에 절연재(214)가 피복된 하부클램프(210)와, 선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하부클램프(210)의 경첩편(211)에 경첩핀(230)으로 상하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경첩편(221)이 형성되며 후단부에 상기 하부클램프(210)의 결합편(212)에 대응하는 결합편(222)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편(222)에 복수개의 볼트관통공(223)이 형성되며 내주면에 절연재(224)가 피복된 상부클램프(220)와, 상기 볼트관통공(213, 223)에 관통되는 클램핑볼트(240)와, 상기 하부클램프(210)의 결합편(212)의 하면에 볼트관통공(213)과 동축을 이루도록 용접에 의하여 고정되고 상기 선반(130)에 형성된 너트자리(135)에 삽입되는 클램핑너트(25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경첩편(211, 221)은 상기 선반(130)에 형성되는 경첩자리(134)에 삽입되는 구성되고,
    상기 이동대차(300)는 전후 한 쌍의 수직프레임(310)과, 상기 수직프레임(310)의 하단부를 연결하는 프레임하판(320)과, 상기 수직프레임(310)의 상단을 연결하는 프레임상판(330)과, 상기 수직프레임(310)의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전후륜(34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풀링롤러(400)는 금속재질로 구성되고 외주면에 절연고무 재질로 피복되어 상기 이동대차(300)의 프레임상판(330) 상에 전후방향으로 이격 설치된 롤러지지편(41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지중배전선 안착수단(500)은 상기 이동대차(300)의 수직프레임(310)에 결합되어 상방으로 연장되는 연장프레임(350)에 수평으로 장착되며 전후 방향으로 직선운동하는 작동봉(520)을 구비한 리니어액튜에이터(510)와, 상기 리니어액튜에이터(510)의 작동봉(520)의 선단에 결합되어 지중배전선(10)을 선반(130)측으로 밀어내는 밀판(53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이동대차 고정수단(600)은 상기 선반(130)의 후단면에 고정 설치되며 고정핀공(611)이 형성된 고정편(610)과, 상기 이동대차(300)의 상판(330)의 전면과 풀링롤러 지지편(410) 중 선단부측 풀링롤러 지지편의 전면에 고정 설치되며 고정핀공(621)이 형성된 고정편(620) 및, 상기 고정편(610, 620)의 고정핀공(611, 621)에 삽입되며 손잡이고리(640)가 일체로 형성되는 고정핀(630)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배전선로의 보호형 접속 장치구조.
KR1020150134786A 2015-09-23 2015-09-23 지중 배전선로의 보호형 접속 장치구조 KR1016261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4786A KR101626143B1 (ko) 2015-09-23 2015-09-23 지중 배전선로의 보호형 접속 장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4786A KR101626143B1 (ko) 2015-09-23 2015-09-23 지중 배전선로의 보호형 접속 장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6143B1 true KR101626143B1 (ko) 2016-05-31

Family

ID=56099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4786A KR101626143B1 (ko) 2015-09-23 2015-09-23 지중 배전선로의 보호형 접속 장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614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3124B1 (ko) 2016-04-19 2017-05-08 (주)서해전기 전선의 탈부착 기능을 갖춘 송배전 연결구조
KR101877549B1 (ko) * 2017-07-31 2018-07-12 주식회사 가현엔지니어링 지중 배전선로의 보호형 접속 장치
KR102005518B1 (ko) * 2019-01-02 2019-10-01 유정남 지중 배전선로의 보호형 접속 장치구조
KR102081258B1 (ko) * 2019-09-03 2020-02-25 주식회사 중부기술단 배전선로의 작업시 안전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0870B1 (ko) 2014-07-02 2014-12-09 (주)신라감리단 지중배전선 접속전용 커넥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0870B1 (ko) 2014-07-02 2014-12-09 (주)신라감리단 지중배전선 접속전용 커넥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3124B1 (ko) 2016-04-19 2017-05-08 (주)서해전기 전선의 탈부착 기능을 갖춘 송배전 연결구조
KR101877549B1 (ko) * 2017-07-31 2018-07-12 주식회사 가현엔지니어링 지중 배전선로의 보호형 접속 장치
KR102005518B1 (ko) * 2019-01-02 2019-10-01 유정남 지중 배전선로의 보호형 접속 장치구조
KR102081258B1 (ko) * 2019-09-03 2020-02-25 주식회사 중부기술단 배전선로의 작업시 안전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7549B1 (ko) 지중 배전선로의 보호형 접속 장치
KR101626143B1 (ko) 지중 배전선로의 보호형 접속 장치구조
KR101598019B1 (ko) 지중 배전선로의 무정전 바이패스 공법을 구현하기 위한 장치
KR101103553B1 (ko) 간격유지용 절연 가이더를 이용한 배전선로의 무정전 바이패스 공법
KR101585222B1 (ko) 지중 배전선로 보호관
MXPA03011498A (es) Dispositivo para cambiar alambres dentro de postes electricos y metodo de distribucion de energia sin fallas de energia.
KR20130026849A (ko) 전선 지지대 및 이를 이용한 전선 이선 방법
KR102152110B1 (ko) 가공배전선로의 케이블 보호 배전함 장치
KR101106236B1 (ko) 활선 작업차를 이용한 활선 작업장치 및 작업공법
US20210143616A1 (en) Electrical power supply structures
KR101689225B1 (ko) 변전소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설치/철거장치
KR101574647B1 (ko) 변전소의 메인 부스 교체 장치
KR102079566B1 (ko) 수직 적층형 변압기 설치구조
JP5056659B2 (ja) 電柱建替工具および電柱建替方法
KR101631156B1 (ko) 지중배전용 케이블 지지장치
KR100355492B1 (ko) 전주내 전선이선기구 및 이를 이용한 무정전 배전공법
KR20130053256A (ko) 건축현장 강관비계 감전방지용 절연안전카바
KR101617385B1 (ko) 배전의 안정성을 향상시킨 배전선로 구조
GB2462430A (en) Cable retention unit
JP2011172330A (ja) 電柱元位置建替用工具及び電柱元位置建替方法
KR20150138741A (ko) 배전선로용 완철
KR102173375B1 (ko) 배전선로용 전선이선장치 및 전선이선장치를 이용한 내장주 교체 무정전공법
CN210343363U (zh) 一种隧道电缆沟施工模板台车装置
CN105186148B (zh) 一种预埋式接地线桩
CN204927545U (zh) 一种预埋式接地线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