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2864B1 - 3도체와 6도체 겸용 스페이서카 - Google Patents

3도체와 6도체 겸용 스페이서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2864B1
KR102182864B1 KR1020180121545A KR20180121545A KR102182864B1 KR 102182864 B1 KR102182864 B1 KR 102182864B1 KR 1020180121545 A KR1020180121545 A KR 1020180121545A KR 20180121545 A KR20180121545 A KR 20180121545A KR 102182864 B1 KR102182864 B1 KR 1021828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brake
conductor
support
wir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15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41475A (ko
Inventor
권구민
신구용
고광만
이재현
최우정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801215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2864B1/ko
Publication of KR202000414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14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28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28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Landscapes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도체와 6도체 겸용 스페이서카에 관한 것으로, 2가닥의 전선 위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4개의 이동롤러(20)와 상기 이동롤러(20)를 본체프레임(10)에 각각 고정하고 상기 이동롤러(20) 간 간격이 상기 2가닥의 전선(L1,L2) 간 간격에 대응되게 상기 이동롤러(20) 간 간격을 조정하는 이동롤러 간격조정수단(63)과 상기 전선(L1,L2)의 하부에 위치되며 상기 전선(L1,L2)을 밀어올리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이동롤러(20)를 정지시키는 브레이크(60)와 상기 브레이크(60) 간 간격이 상기 전선(L1,L2) 간 간격에 대응되게 상기 브레이크(60) 간 간격을 조정하는 브레이크 간격조정수단(63)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3도체 방식과 6도체 방식이 혼재되어 있는 송전선로에 한 개의 스페이서카로 송전선로 유지보수를 할 수 있어 작업 효율성이 향상되고 경제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3도체와 6도체 겸용 스페이서카{THREE AND SIX BUNDLE CONDUCTOR COMBINED SPACER CAR FOR OVERHEAD TRANSMISSION LINE}
본 발명은 3도체와 6도체 겸용 스페이서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3도체와 6도체 방식에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3도체와 6도체 겸용 스페이서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공송전선로에서 한 상을 이루는 전선의 수는 1개 이상으로 구성되며 송전전압이 높아질수록 코로나 특성과 전계강도 완화 등을 목적으로 한 상을 이루는 전선의 수를 여러 가닥으로 구성한다. 예로서 154kV 송전선로에서는 2개, 345kV 송전선로에서는 4개, 765kV 송전선로에서는 6개의 전선이 각각 한 상을 이루고 있다.
향후 국내에 건설 예정인 초고압 직류가공선로의 경우 3도체(한 상에 전선 3개)와 6도체(한 상에 전선 6개) 방식이 혼재되는 가공선로로 구성될 계획이며, 특히 3도체 방식은 전선 간 간격이 450mm, 6도체 방식은 전선 간 간격이 400mm로 설계될 예정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전선은 철탑에 의해 지지되며, 철탑과 철탑 사이에 전선이 가선되는 구조이다.
한 상을 이루고 있는 전선의 수가 여러 가닥인 경우에는 바람이나 전기적인 진동현상에 의해 상호 충돌될 수 있기 때문에 각 전선 간의 충돌을 방지하고 전선 간의 일정한 간격을 유지시켜주기 위해 철탑과 철탑 사이 경간 내 일정 위치마다 스페이서댐퍼를 설치한다. 이때, 스페이서댐퍼에 문제가 있을 경우 전선이 단선되는 사고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정기적으로 스페이서댐퍼와 전선의 상태를 점검하기 위해 송전 정비공이 스페이서카를 타고 철탑에서 경간으로 나간다.
그런데, 기존에 사용 중인 스페이서카로 전선 간 간격이 450mm인 3도체 방식과 전선 간 간격이 400mm인 6도체 방식이 혼재된 가공송전선로를 점검하는 경우, 3도체용 스페이서카와 6도체용 스페이서카를 각기 별도로 구비해야 한다. 따라서 장비 수량이 많아져 이동이 번거롭고, 철탑으로 장비를 인상시키는 작업도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존 스페이서카는 중량이 무거워 이동과 취급이 불편하고, 철탑 위로 인상할 때에도 별도의 인상장비를 이용해 올려야 하는 단점이 있다.
특허문헌 1: 등록특허공보 제02788473호(2000.10.19 등록)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3도체 방식과 6도체 방식이 혼재되어 있는 경우에도 한 개의 스페이서카로 3도체와 6도체 방식에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고, 3도체와 6도체의 전선 간 간격에 맞게 롤러, 브레이크 등의 간격 조정이 용이하도록 한 3도체와 6도체 겸용 스페이서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2가닥의 전선 위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4개의 이동롤러와 상기 이동롤러를 본체프레임에 각각 고정하고 상기 이동롤러 간 간격이 상기 2가닥의 전선 간 간격에 대응되게 상기 이동롤러 간 간격을 조정하는 이동롤러 간격조정수단과 상기 전선의 하부에 위치되며 상기 전선을 밀어올리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이동롤러를 정지시키는 브레이크와 상기 브레이크 간 간격이 상기 전선 간 간격에 대응되게 상기 브레이크 간 간격을 조정하는 브레이크 간격조정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이동롤러 간격조정수단은 일측에 상기 이동롤러의 지지축이 직각으로 고정되는 롤러지지대와 일측에는 상기 롤러지지대의 일측이 고정핀에 의해 선택적으로 고정되는 내측홈과 외측홈이 구비되고 반대되는 타측에는 상기 본체프레임에 고정되는 고정부가 구비되는 롤러고정대를 포함한다.
상기 롤러고정대는 스프링에 의해 상부로 밀어올려진 내측고정핀과 외측고정핀이 구비되며, 상기 롤러지지대는 상기 내측고정핀과 외측고정핀에 걸어질 수 있는 롤러지지대 고정홈이 형성되어, 상기 롤러지지대가 상기 롤러고정대에 고정핀을 매개로 회전된 상태가 걸어져 고정된다.
상기 롤러고정대의 내측홈에 상기 고정핀을 매개로 상기 롤러지지대를 고정하면 상기 이동롤러 간 간격이 6도체 방식의 전선 간 간격에 대응되고, 상기 롤러고정대의 외측홈에 상기 고정핀을 매개로 상기 롤러지지대를 고정하면 상기 이동롤러 간 간격이 3도체 방식 전선 간 간격에 대응된다.
상기 브레이크는 상기 전선의 하부에 위치되는 브레이크 고무대와 상기 브레이크 고무대를 지지하는 브레이크 본체와 상기 브레이크 본체를 밀어올리기 위해 작업자가 밟는 브레이크 발판과 상기 브레이크 발판을 밟으면 하방으로 당겨지는 당김줄과 일단이 상기 당김줄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브레이크 본체에 연결되어 상기 당김줄에 의해 일단이 당겨지면 반대되는 타단이 상승하는 구조의 크랭크축부를 포함한다.
상기 크랭크축부는 타단이 상기 브레이크 본체의 하부에 연장 형성된 연장부에 축 결합되고, 상승시 상기 연장부를 밀어올려 상기 브레이크 고무대를 상승시킨다.
상기 브레이크 간격조정수단은 상기 브레이크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판과 상기 브레이크 고무대를 지지하며 상기 회전판의 상면에서 편측에 고정되어 상기 회전판의 180도 회전에 따라 상기 브레이크 본체의 외측 또는 내측에 가까워지도록 위치가 변경되는 고무대 지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고무대 지지부가 상기 브레이크 본체의 외측에 가까운 방향에 위치되면 상기 브레이크 고무대 간 간격이 3도체 방식의 전선 간 간격에 대응되고, 상기 고무대 지지부가 상기 브레이크 본체의 내측에 가까운 방향에 위치되면 상기 브레이크 고무대 간 간격이 6도체 방식의 전선 간 간격에 대응된다.
상기 2가닥의 전선의 하부에 위치한 하부 전선을 지지하도록 회전에 의해 상기 하부 전선의 상부에 위치되는 지지롤러와 상기 지지롤러를 회전시키는 지지롤러 회전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롤러 회전수단은 일단이 상기 지지롤러에 연결된 ㄱ자 봉 형상의 회전축부와 상기 회전축부의 타단이 회동핀을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고정된 축고정부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프레임은 작업자가 승탑할 수 있도록 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사각 형상의 바닥프레임과 상기 바닥프레임의 네 모서리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세로프레임과 상기 세로프레임들을 연결하는 중간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4개의 이동롤러는 상기 세로프레임의 상단부에 상기 이동롤러 간격조정수단을 매개로 각각 고정된다.
상기 본체프레임은 알루미늄 재질로 제작된다.
본 발명은 3도체 방식 선로와 6도체 방식 선로가 혼재된 송전선로에서 한 종류의 스페이서카로 2개의 선로를 모두 이동할 수 있어, 송전선로 유지보수 장비를 간략화하고 작업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경제성도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선 간 간격에 따라 스페이서카를 교체할 필요없이 간단하게 원터치 방식으로 이동롤러와 브레이크 고무대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어 작업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3도체와 6도체 겸용 스페이서카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3도체와 6도체 겸용 스페이서카를 보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3도체와 6도체 겸용 스페이서카에서 이동롤러 간격조정수단을 보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이동롤러의 회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지지롤러의 회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브레이크를 보인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브레이크를 보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브레이크 간격조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브레이크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6도체에 적용하기 위해 이동롤러와 브레이크의 간격을 조정한 상태를 보인 정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전선 간 간격이 450mm인 3도체 방식과 전선 간 간격이 400mm인 6도체 방식이 혼재되어 있는 경우에도 한 개의 스페이서카로 3도체와 6도체에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스페이서카(이하 '스페이서카'라 칭함)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스페이서카를 역삼각형 배열의 3도체 방식 선로에 적용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페이서카는 본체프레임(10), 이동롤러(20), 이동롤러 간격조정수단(30). 브레이크(60) 및 브레이크 간격조정수단(63)을 포함한다.
본체프레임(10)은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본체프레임(10)은 작업자가 승탑할 수 있도록 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사각 형상의 바닥프레임(11)과 바닥프레임(11)의 네 모서리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세로프레임(12,13)과 세로프레임들(12,13)을 연결하는 중간프레임(14)을 포함한다. 본체프레임(10)은 작업자의 취급 및 운반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알루미늄 재질로 제작된다.
이동롤러(20)는 4개이며 3도체 방식에서 상부 2가닥의 전선(L1,L2) 위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4개의 이동롤러(20)는 세로프레임(12,13)의 상단부에 이동롤러 간격조정수단(30)을 매개로 각각 고정된다. 이동롤러 간격조정수단(30)은 이동롤러(20)를 본체프레임(10)에 각각 고정하고 이동롤러(20) 간 간격이 2가닥의 전선(L1,L2) 간 간격에 대응되게 이동롤러(20) 간 간격을 조정한다.
2가닥의 전선(L1,L2)의 하부에 위치한 하부 전선(L3)을 지지하도록 회전에 의해 하부 전선(L3)의 상부에 위치되는 지지롤러(40)를 포함한다. 지지롤러(40)는 본체프레임(10) 중 하부 전선(L3)과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되는 중간프레임(14)에 회전수단(50)을 매개로 설치된다.
브레이크(60)는 2가닥의 전선(L1,L2)의 하부에 위치되며 2가닥의 전선(L1,L2)을 밀어올리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이동롤러(20)를 정지시킨다. 브레이크 간격조정수단(63)은 브레이크(60) 간 간격이 두 전선(L1,L2) 간 간격에 대응되게 브레이크(60) 간 간격을 조정한다. 실시예에서 브레이크(60)는 전선(L1,L2) 당 하나씩 2개가 구비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롤러 간격조정수단(30)은 롤러지지대(31)와 롤러고정대(32)를 포함한다.
롤러지지대(31)는 일측에 이동롤러(20)의 지지축(21)이 직각으로 고정된다. 롤러고정대(32)는 일측에 롤러지지대(31)의 일측이 고정핀(35)에 의해 선택적으로 고정되는 내측홈(32a)과 외측홈(32b)이 구비되고 반대되는 타측에는 본체프레임(10)에 고정되는 고정부(37)가 구비된다.
내측홈(32a)과 외측홈(32b)은 이동롤러(20) 간 간격 조정을 위한 것이다. 고정핀(35)이 내측홈(32a)에 고정되면 이동롤러(20) 간 간격이 6도체 방식이 대응되고 고정핀(35)이 외측홈(32b)에 고정되면 이동롤러(20) 간 간격이 3도체 방식에 대응된다.
롤러지지대(31)가 롤러고정대(32)에 고정핀(35)을 매개로 회전된다. 고정핀(35)은 이동롤러(20)를 회전에 의해 전선(L1,L2) 위에 설치 또는 설치된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구성이다.
롤러고정대(32)는 스프링에 의해 상부로 밀어올려진 내측고정핀(33)과 외측고정핀(34)이 구비된다. 롤러지지대(31)는 내측고정핀(33)과 외측고정핀(34)에 걸어질 수 있는 롤러지지대 고정홈(36)이 형성된다.
실시예와 같이, 롤러고정대(32)의 외측홈(32b)에 고정핀(35)을 매개로 롤러지지대(31)를 고정하면 이동롤러(20) 간 간격이 3도체 방식 전선(L1,L2) 간 간격에 대응된다. 롤러지지대(31)는 롤러고정대(32)에 고정핀(35)을 매개로 회전된 상태에서 롤러지지대(31)의 롤러지지대 고정홈(36)이 외측고정핀(34)에 걸어져 고정된다.
그리고, 롤러고정대(32)의 내측홈(32a)에 고정핀(35)을 매개로 롤러지지대(31)를 고정하면 이동롤러(20) 간 간격이 6도체 방식의 전선 간 간격에 대응된다. 이때, 롤러지지대(31)는 롤러고정대(32)에 고정핀(35)을 매개로 회전된 상태가 내측고정핀(33)에 걸어져 고정된다.
이동롤러(20)는 롤러고정대(32)의 하부에 구비된 고정부(37)가 세로프레임(12,13)의 상단부 홈에 끼워져 고정된다. 고정부(37)에는 양측으로 구멍(37a)이 형성되어 고정부(37)가 세로프레임(12,13)의 상단부 홈에 끼워지면 외부에서 볼트를 체결하여 고정부(37)가 세로프레임(12,13)의 상단부 홈에 삽입된 상태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지지대(31)는 롤러고정대(32)에 고정핀(35)을 매개로 회전된다.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고정대(32)의 외측홈(32b)에 고정핀(35)을 매개로 롤러지지대(31)가 고정된 상태에서, 롤러지지대(31)가 롤러고정대(32)와 직각을 이루면 이동롤러(20)는 전선(L1,L2)의 측면으로 배치되고 스페이서카를 전선(L1,L2)에 설치하기 전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핀(35)을 중심으로 롤러지지대(31)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지지대(31)가 롤러고정대(32)에 고정핀(35)을 매개로 회전된 상태가 되고 롤러지지대(31)의 롤러지지대 고정홈(36)이 외측고정핀(34)에 걸어져 고정된다. 이 상태에서 이동롤러(20)는 전선 위에 이동 가능하게 위치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롤러(40)는 90도 회전에 의해 하부 전선(L3)을 지지할 수 있도록 된다. 지지롤러(40)는 지지롤러 회전수단(50)이 회전시킨다.
지지롤러 회전수단(50)은 일단이 지지롤러(40)에 연결된 ㄱ자 봉 형상의 회전축부(51)와 회전축부(51)의 타단이 회동핀을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고정된 축고정부(53)를 포함한다. 회전축부(51)를 파지하고 회동핀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시키면 지지롤러(40)가 하부 전선(L3)의 상부에 위치한다. 그리고 지지롤러(40)가 하부 전선(L3)의 상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회전축부(51)를 파지하고 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시키면 지지롤러(40)가 하부 전선(L3)의 측면으로 위치된다.
지지롤러(40)는 3도체 방식 선로에서 스페이서카에 적용되어 하부 전선(L3)의 상부에 위치된다. 3도체 방식 선로에서 이동롤러(20)의 아래에 전선(L1,L2)이 놓이게 되므로 자중에 의해 스페이서카가 처져도 지지롤러(40)가 하부 전선(L3)을 눌러 3도체 모두가 동일하게 처지게 되므로 안정적인 작업이 가능하다.
지지롤러(40)는 지지롤러 회전수단(50)에 의해 90도 회전할 수 있게 되므로, 작업자가 쉽게 설치할 수 있는 구조이다. 하부 전선(L3)의 상부에 지지롤러(40)를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 회전축부(51)를 반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시켜 지지롤러(40)를 하부 전선(L3)과 평행한 위치가 되게 눕히고, 하부 전선(L3)의 상부에서 지지롤러(40)를 제거하고자 하는 경우 눕혀진 회전축부(51)를 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시켜 지지롤러(40)를 수직하게 세우면 된다. 지지롤러(40)는 전선에 손상이 가지 않는 재질로 형성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레이크(60)는 브레이크 고무대(61)와 브레이크 본체(64)를 포함한다. 브레이크 고무대(61)는 전선(L1,L2)과 접촉하여 이동롤러(20)를 정지시킨다. 브레이크 고무대(61)는 상면이 요입 형성되어 전선과 접촉면적을 높이도록 된다.
브레이크 간격조정수단(63)은 회전판(63)과 고무대 지지부(62)를 포함한다. 회전판(63)은 브레이크 본체(64)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고무대 지지부(62)는 브레이크 고무대(61)를 지지하며 회전판(63)의 상면에서 편측에 고정되어 회전판(63)의 180도 회전에 따라 브레이크 본체(64)의 외측 또는 내측에 가까워지도록 위치가 변경된다.
고무대 지지부(62)가 브레이크 본체(64)의 외측에 가까운 방향에 위치되면 브레이크 고무대(61) 간 간격이 3도체 방식의 전선(L1,L2) 간 간격에 대응된다. 그리고, 고무대 지지부(62)가 브레이크 본체(64)의 내측에 가까운 방향에 위치되면 브레이크 고무대(61) 간 간격이 6도체 방식의 전선 간 간격에 대응된다.
또는, 브레이크 간격조정수단(63)은 회전판(63)일 수 있다. 브레이크 본체(64)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판(63)의 편측에 브레이크 고무대(61)를 고정하여 회전판(63)의 180도 회전에 따라 브레이크 고무대(61)가 브레이크 본체(64)의 외측 또는 내측에 가까운 방향에 위치되게 구성할 수도 있다. 회전판(63)은 작업자가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브레이크 본체(64)에서 돌출되며, 회전판(63)과 브레이크 고무대(61) 또는 회전판(63)과 고무대 지지부(62)는 일체로 형성되어 작업자가 브레이크 고무대(61)만 파지하고 회전시킬 수 있도록 된다.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레이크 고무대(61)가 브레이크 본체(64)의 외측에 가까운 방향에 위치된 상태에서 브레이크 고무대(61)를 파지하고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면, 도 8의 (b)와 (c) 순서로 회전되어 도 8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레이크 고무대(61)가 브레이크 본체(64)의 내측에 가까운 방향에 위치된다.
즉, 회전판(63)이 회전하여 브레이크 고무대(61)가 브레이크 본체(64)에서 내측에 위치되면. 브레이크 고무대 간의 간격이 6도체에 대응되고 브레이크 본체(64)에서 외측에 위치되면 브레이크 고무대 간 간격이 3도체에 대응된다.
도 1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레이크(60)는 전선(L1,L2)을 밀어올리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이동롤러(20)를 정지시킨다.
브레이크(60)의 이동은 브레이크 발판(65), 당김줄(67) 및 크랭크축부(69)에 의해 수행된다. 브레이크 발판(65)은 브레이크 본체(64)를 상부로 밀어올리기 위해 작업자가 밟는 발판이다. 당김줄(67)은 브레이크 발판을 밟으면 하방으로 당겨지는 줄이다. 브레이크 발판(65)은 바닥프레임(11)에서 일정 높이에 지렛대 구조로 설치되어 작업자가 밟거나 하방에서 상부로 밀어 올리는 작업을 통해 당김줄(67)을 잡아 당기거나 밀어 올릴 수 있다.
크랭크축부(69)는 당김줄(67)이 당겨지는 힘을 브레이크 본체(64)를 상부로 밀어올리는 힘으로 전환시킨다. 크랭크축부(69)는 일단이 당김줄(67)에 연결되고 타단은 브레이크 본체(64)에 연결되어 당김줄(67)에 의해 일단이 당겨지면 반대되는 타단이 상승하는 구조로 된다.
크랭크축부(69)는 일단 제1 축(69a)이 당김줄(67)과 연결되고 반대되는 타단 제2 축(69b)이 브레이크 본체(64)의 하부에 연장 형성된 연장부(64a)와 연결된다. 크랭크축부(69)는 중심축을 기준으로 일단 제1 축(69a)이 하방으로 당겨지면 반대되는 타단 제2 축(69b)이 상승하고, 일단 제1 축(69a)이 상승하면 반대되는 타단 제2 축(69b)이 하강하는 구조이다.
크랭크축부(69)의 제2 축(69b)이 상승시 제2 축(69b)이 연장부(64a)를 밀어올려 브레이크 고무대(61)가 상승하고, 브레이크 고무대(61)가 전선(L1,L2)을 밀어올려 이동롤러(20)를 정지시키는 스토퍼 역할을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고정대(32)의 외측홈(32b)에 고정핀(35)을 매개로 롤러지지대(31)를 고정하면 이동롤러(20) 간 간격이 3도체 방식 전선(L1,L2) 간 간격에 대응된다.
그리고, 브레이크 고무대(61)는 브레이크 본체(64)의 외측에 가까운 방향에 위치된다. 그에 따라, 이동롤러(20) 간 간격과 브레이크 고무대(61) 간 간격이 전선(L1,L2) 간 간격이 450mm인 3도체 방식에 대응된다.
이 상태에서, 상부 2가닥의 전선(L1,L2) 위에 설치된 4개의 이동롤러(20)가 전선(L1,L2)을 따라 이동하여 스페이서카가 3도체 간격 유지를 위한 스페이서(A)에 접근할 수 있다.
이때, 지지롤러(40)는 3도체 방식 선로에서 스페이서카에 적용되어 하부 전선(L3)의 상부에 위치되므로, 3도체 방식 선로에서 자중에 의해 스페이서카가 처져도 지지롤러(40)가 하부 전선(L3)을 눌러 3도체 모두가 동일하게 처지게 되므로 안정적인 작업이 가능하다.
스페이서카의 이동은 작업자가 전선 중 하나를 잡아당기면서 수행되며 이 과정에서 이동롤러(20)의 이동을 멈추고자 하는 경우, 작업자가 브레이크 발판(65)을 밟으면 된다.
작업자가 브레이크 발판(65)을 밟으면, 브레이크 발판(65) 양단의 당김줄(67)이 하방으로 당겨지고, 당김줄(67)과 연결된 크랭크축부(69)의 일단이 하방으로 당겨지면서 반대되는 타단이 상승하고 그에 따라 크랭크축부(69)의 타단과 연결된 브레이크 본체(64)의 연장부(64a)가 상승하여 브레이크 고무대(61)가 전선(L1,L2)을 밀어올리게 된다. 그에 따라 이동롤러(20)의 이동이 정지된다.
브레이크 고무대(61)는 스페이서카가 이동을 하다가 적정 지점에 이르면 멈추게 하거나 작업시 스페이서카가 움직이지 못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스페이서카를 6도체에 적용하고자 하는 경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고정대(32)의 내측홈(32a)에 고정핀(35)을 매개로 롤러지지대(31)를 고정하면 이동롤러(20) 간 간격이 6도체 방식 전선(L1,L2) 간 간격에 대응된다.
그리고, 브레이크 고무대(61)는 회전판(63)을 브레이크 본체(64)에 대해 180도 회전시켜, 브레이크 고무대(61)가 브레이크 본체(64)의 내측에 가까운 방향에 위치되게 한다. 그러면 이동롤러(20) 간 간격과 브레이크 고무대(61) 간 간격이 전선(L1,L2) 간 간격이 400mm인 6도체 방식에 대응된다.
6도체 방식에서는 지지롤러(40)는 사용하지 않으며, 브레이크 고무대(61)가 상승하여 전선을 밀어올리는 원리는 3도체 방식에 적용하는 경우와 동일하다.
상술한 본 발명은 롤러고정대(32)에 롤러지지대(31)를 고정핀(35)을 이용하여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고 해제하는 작업이 간단하다. 또한, 롤러지지대(31)를 고정핀(35)을 중심으로 롤러고정대(32)에서 회전시켜 수직으로 세우면 스프링이 내장된 내측고정핀(33) 또는 외측고정핀(34)에 롤러지지대 고정홈(36)이 걸어져 견고하게 고정되는 구조이다. 따라서 이동롤러(20)가 전선(L1,L2) 위에 안정적으로 설치되고 안정적으로 이동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롤러고정대(32)의 내측홈(32a) 또는 외측홈(32b)에 고정핀(35)으로 롤러지지대(31)를 고정하는 것에서 3도체 또는 6도체 방식의 선로에 대응되게 이동롤러(20) 간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지지롤러(40)는 3도체 선로에서 하부 전선(L3)을 지지하여 스페이서카가 처져도 3도체 모두가 동일하게 처지게 하여 안정적인 작업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지지롤러(40)는 90도 회전에 의해 하부 전선(L3)의 상부에 위치되게 하는 방식이므로 작업자가 하부 전선(L3)의 상부에 배치하기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의 브레이크(60)는 브레이크 발판(65)을 밟으면 브레이크 고무대(61)가 상승하여 전선(L1,L2)을 밀어올리는 구조이므로, 이동롤러(20)를 정지시키는 작업이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의 브레이크(60)는 회전에 의해 브레이크 고무대(61) 간 간격을 3도체 또는 6도체 방식의 선로에 대응되게 조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3도체 방식에서 전선 간 간격이 450mm이고 6도체 방식에서 전선 간 간격이 400mm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6도체 방식과 3도체 방식에서 전선 간 간격이 변경되면 변경된 간격에 대응되게 내측홈(32a), 외측홈(32b)의 위치를 설계하고, 회전판(63)의 편측에 고정되는 브레이크 고무대(61)의 위치를 변경된 간격에 대응되게 설계하여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과 명세서에 최적의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권리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본체프레임 11: 바닥프레임
12,13: 세로프레임 14: 중간프레임
20: 이동롤러 21: 지지축
30: 이동롤러 간격조정수단 31: 롤러지지대
32: 롤러고정대 32a: 내측홈
32b: 외측홈 33: 내측고정핀
34: 외측고정핀 35:롤러지지대 고정핀
36: 롤러지지대 고정홈 37: 고정홈
37a: 구멍 40: 지지롤러
50: 지지롤러 회전수단 51: 회전축부
53: 축고정부 60: 브레이크
61: 브레이크 고무대 62: 고무대 지지부
63: 회전판(브레이크 간격조정수단)
64: 브레이크 본체 64a: 연장부
65: 브레이크 발판 67: 당김줄
69: 크랭크축부 69a: 제1 축
69b: 제2 축 L1,L2,L3: 전선
A: 스페이서

Claims (12)

  1. 2가닥의 전선 위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4개의 이동롤러;
    상기 이동롤러를 본체프레임에 각각 고정하고 상기 이동롤러 간 간격이 상기 2가닥의 전선 간 간격에 대응되게 상기 이동롤러 간 간격을 조정하는 이동롤러 간격조정수단;
    상기 전선의 하부에 위치되며 상기 전선을 밀어올리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이동롤러를 정지시키는 브레이크; 및
    상기 브레이크 간 간격이 상기 전선 간 간격에 대응되게 상기 브레이크 간 간격을 조정하는 브레이크 간격조정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롤러 간격조정수단은
    일측에 상기 이동롤러의 지지축이 직각으로 고정되는 롤러지지대; 및
    일측에는 상기 롤러지지대의 일측이 고정핀에 의해 선택적으로 고정되는 내측홈과 외측홈이 구비되고 반대되는 타측에는 상기 본체프레임에 고정되는 고정부가 구비되는 롤러고정대;를 포함하며,
    상기 롤러고정대의 내측홈에 상기 고정핀을 매개로 상기 롤러지지대를 고정하면 상기 이동롤러 간 간격이 6도체 방식의 전선 간 간격에 대응되고,
    상기 롤러고정대의 외측홈에 상기 고정핀을 매개로 상기 롤러지지대를 고정하면 상기 이동롤러 간 간격이 3도체 방식 전선 간 간격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도체와 6도체 겸용 스페이서카.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롤러고정대는 스프링에 의해 상부로 밀어올려진 내측고정핀과 외측고정핀이 구비되며,
    상기 롤러지지대는 상기 내측고정핀과 외측고정핀에 걸어질 수 있는 롤러지지대 고정홈이 형성되어, 상기 롤러지지대가 상기 롤러고정대에 고정핀을 매개로 회전된 상태가 걸어져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도체와 6도체 겸용 스페이서카.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는
    상기 전선의 하부에 위치되는 브레이크 고무대;
    상기 브레이크 고무대를 지지하는 브레이크 본체;
    상기 브레이크 본체를 밀어올리기 위해 작업자가 밟는 브레이크 발판;
    상기 브레이크 발판을 밟으면 하방으로 당겨지는 당김줄;
    일단이 상기 당김줄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브레이크 본체에 연결되어 상기 당김줄에 의해 일단이 당겨지면 반대되는 타단이 상승하는 구조의 크랭크축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도체와 6도체 겸용 스페이서카.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크랭크축부는 타단이 상기 브레이크 본체의 하부에 연장 형성된 연장부에 축 결합되고, 상승시 상기 연장부를 밀어올려 상기 브레이크 고무대를 상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도체와 6도체 겸용 스페이서카.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간격조정수단은
    상기 브레이크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판;
    상기 브레이크 고무대를 지지하며 상기 회전판의 상면에서 편측에 고정되어 상기 회전판의 180도 회전에 따라 상기 브레이크 본체의 외측 또는 내측에 가까워지도록 위치가 변경되는 고무대 지지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도체와 6도체 겸용 스페이서카.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고무대 지지부가 상기 브레이크 본체의 외측에 가까운 방향에 위치되면 상기 브레이크 고무대 간 간격이 3도체 방식의 전선 간 간격에 대응되고,
    상기 고무대 지지부가 상기 브레이크 본체의 내측에 가까운 방향에 위치되면 상기 브레이크 고무대 간 간격이 6도체 방식의 전선 간 간격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도체와 6도체 겸용 스페이서카.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2가닥의 전선의 하부에 위치한 하부 전선을 지지하도록 회전에 의해 상기 하부 전선의 상부에 위치되는 지지롤러; 및
    상기 지지롤러를 회전시키는 지지롤러 회전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도체와 6도체 겸용 스페이서카.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지지롤러 회전수단은
    일단이 상기 지지롤러에 연결된 ㄱ자 봉 형상의 회전축부; 및
    상기 회전축부의 타단이 회동핀을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고정된 축고정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도체와 6도체 겸용 스페이서카.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프레임은
    작업자가 승탑할 수 있도록 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사각 형상의 바닥프레임;
    상기 바닥프레임의 네 모서리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세로프레임; 및
    상기 세로프레임들을 연결하는 중간프레임; 을 포함하며,
    상기 4개의 이동롤러는 상기 세로프레임의 상단부에 상기 이동롤러 간격조정수단을 매개로 각각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도체와 6도체 겸용 스페이서카.
  12. 삭제
KR1020180121545A 2018-10-12 2018-10-12 3도체와 6도체 겸용 스페이서카 KR1021828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1545A KR102182864B1 (ko) 2018-10-12 2018-10-12 3도체와 6도체 겸용 스페이서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1545A KR102182864B1 (ko) 2018-10-12 2018-10-12 3도체와 6도체 겸용 스페이서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1475A KR20200041475A (ko) 2020-04-22
KR102182864B1 true KR102182864B1 (ko) 2020-11-25

Family

ID=70472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1545A KR102182864B1 (ko) 2018-10-12 2018-10-12 3도체와 6도체 겸용 스페이서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28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1561B1 (ko) * 2020-08-18 2022-07-15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탐상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송전선로 점검 장치
CN112787267B (zh) * 2021-01-26 2024-05-28 国网浙江省电力有限公司 间隔棒安装检修机器人的挂载行走模块
KR102547247B1 (ko) * 2022-05-23 2023-06-23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경량 엔진 스페이서 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8532Y1 (ko) * 2003-06-23 2003-09-29 주식회사 청우에스이 송전선용 스페샤카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6102B1 (ko) * 2005-12-29 2008-12-26 한국전기공사협회 스페이서 통과형 스페이스카
CN102788473A (zh) 2011-05-15 2012-11-21 肖剑波 新型集能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8532Y1 (ko) * 2003-06-23 2003-09-29 주식회사 청우에스이 송전선용 스페샤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1475A (ko) 2020-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2864B1 (ko) 3도체와 6도체 겸용 스페이서카
CA2653812C (en) Remote manipulator for manipulating live multiple sub-conductors in a single phase bundle
US9112338B2 (en) Remote manipulator for manipulating live multiple sub-conductors in a single phase bundle
US20190123525A1 (en) Rotating Conductor Holder
CN103618233B (zh) 一种大截面导线移动压接车
CN105743042A (zh) 一种电力架线装置
KR102641637B1 (ko) 간접 활선용 전선 인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간접 활선 공법
KR101393739B1 (ko) 중량물 회전장치
CN105346918B (zh) 配电开关柜安装就位平台
CN208454334U (zh) 一种单立柱机械升举装置
KR101829577B1 (ko) 부싱 설치 장치
KR100987530B1 (ko) 현수 애자 장치 긴선 작업 전선 인상용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긴선 작업 공정
CN108689313A (zh) 一种单立柱机械升举装置
KR20150044535A (ko) 수직 그립형 트레이 클램프 및 그 고정방법
CN105217124A (zh) 电力线缆盘架存放装置
RU122999U1 (ru) Установка домкратная
CN220518676U (zh) 一种线束生产捆扎装置
KR102213133B1 (ko) 케이블 트레이용 클램프
KR20150111481A (ko) 활선공기구 인상장치
KR20100127914A (ko) 권선 케이블 설비용 이동장치
RU179069U1 (ru) Устройство подъема кабельного барабана
CN209150563U (zh) 一种开关柜移动定位装置
CN104393555A (zh) 一种可调式电缆放线架
KR101480898B1 (ko) 제동 기능이 구비된 천정크레인
RU72958U1 (ru) Грузозахватное устройство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