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7914A - 권선 케이블 설비용 이동장치 - Google Patents

권선 케이블 설비용 이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7914A
KR20100127914A KR1020090046251A KR20090046251A KR20100127914A KR 20100127914 A KR20100127914 A KR 20100127914A KR 1020090046251 A KR1020090046251 A KR 1020090046251A KR 20090046251 A KR20090046251 A KR 20090046251A KR 20100127914 A KR20100127914 A KR 201001279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estal
cable
frame
rotatably mounted
central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62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경덕
Original Assignee
서경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경덕 filed Critical 서경덕
Priority to KR10200900462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27914A/ko
Publication of KR201001279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79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65H75/40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mobile or transportable
    • B65H75/403Carriage with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65H75/44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4457Arrangements of the frame or hous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02G11/02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using take-up reel or drum

Landscapes

  • Unwinding Of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권선 케이블의 이동을 간편하게 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작업자 혼자서 작업해야 하는 환경에서도 권선 케이블의 인출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 환경을 개선하고 작업시간을 줄일 수 있으며, 작업 인원수도 최소한으로 할 수 있는 케이블 설비용 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하여 하면에 바퀴가 구비되어 이동가능한 받침대; 상기 받침대의 일단에 설치되는 접철(摺綴) 가능한 파지 프레임; 및 상기 받침대 상에서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하나 이상의 케이블 회전안착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설비용 이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권선케이블, 이동장치, 받침대, 케이블 회전안착대, 파지프레임,

Description

권선 케이블 설비용 이동장치{Moving apparatus for equipping a wound-cables}
본 발명은 전기 전화 케이블 설비에 이용되는 케이블 설비용 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권선 케이블의 이동을 간편하게 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작업자 혼자서 작업해야 하는 환경에서도 권선 케이블의 인출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는 케이블 설비용 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 전화 케이블을 설비하는데 있어서 환형 형태로 권선된 케이블이 이용된다. 이러한 환형 형태로 권선된 권선 케이블은 그 무게가 상당하다.
작업자는 이러한 권선 케이블을 직접 들고 전기, 전화 설비 현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이동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번거로우며, 더욱이 설비 현장에서 사용되는 권선 케이블은 대부분 다수개 이용되기 때문에 이를 들고 이동하는데 있어서의 어려움은 더욱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대부분 설비 현장에서는 다수의 권선 케이블에서 각 케이블 선을 인출 하고, 이를 한 가닥의 선으로 하여 설비 위치로 이동하는데, 이때 권선 케이블은 바닥에 놓인 상태에서 작업을 진행해야 하기 때문에, 인출이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보조 작업자가 항상 보조해야 한다. 따라서 현장에서는 작업자 단독으로 설비 작업을 진행하는 것이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권선 케이블의 이동을 쉽고 간편하게 할 수 있고, 작업자 혼자서 작업해야 하는 환경에서도 권선 케이블의 인출도 동시에 실행할 수 있는 케이블 설비용 이동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형태는 하면에 바퀴가 구비되어 이동가능한 받침대; 상기 받침대의 일단에 설치되는 파지 프레임; 및 상기 받침대 상에서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하나 이상의 케이블 회전안착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설비용 이동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르면, 하면에 바퀴가 구비되어 이동가능한 하부 받침대; 상기 하부 받침대의 일단에 설치되는 파지 프레임; 상기 하부 받침대 상에서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하나 이상의 하부 케이블 회전안착대; 상기 하부 받침대 상에서 가로상태에서 세로 상태로 접철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접철부재; 상기 접철 부재의 단부에 설치되는 상부 받침대; 및 상기 상부 받침대 상에서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하나 이상의 상부 케이블 회전안착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설비용 이동장치를 제공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르면, 하면에 바퀴가 구비되어 이동가능한 하부 받침대; 상기 하부 받침대의 일단에 설치되는 파지 프레임; 상기 하부 받침대 상에서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하나 이상의 하부 케이블 회전안착대; 상기 하부 받침대 상에서 가로상태에서 세로상태로 접철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제1 접철부재; 상기 제1 접철 부재의 단부에 설치되는 중간 받침대; 상기 중간 받침대 상에서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하나 이상의 중간 케이블 회전안착대; 상기 중간 받침대 상에서 가로상태에서 세로상태로 접철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제2 접철부재; 및 상기 제2 접철 링크의 단부에 설치되는 상부 받침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설비용 이동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하면에 바퀴가 구비되어 이동가능한 베이스 받침대; 상기 받침대의 일단에 설치되는 파지 프레임; 상기 받침대 상에 접철부재를 통해 접철가능하게 적층되는 다수의 다단 받침대; 및 상기 베이스 받침대 및 다단 받침대 상에서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하나 이상의 케이블 회전안착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설비용 이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케이블 설비용 이동장치에서, 상기 파지 프레임은 상기 받침대 상으로 접철 가능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한 케이블 설비용 이동장치에서, 상기 케이블 회전안착대는 판 형 상으로 형성되고, 권선 케이블이 그 회전안착대에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도록 가장자리에 상향 돌출되게 대향하는 한 쌍 이상의 돌기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파지 프레임은 상기 받침대의 양단에 직교되게 설치되는 종방향 프레임과, 상기 종방향 프레임의 사이를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횡방향 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 받침대의 일측에는 상기 접철부재가 펴친 상태를 견고히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파지 프레임의 횡방향 프레임에 걸어 고정하는 후크부재가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중간 받침대 및/또는 상부 받침대에는 하부의 케이블 회전안착대로부터 인출되는 케이블 선이 그 중간 받침대 및/또는 상부 받침대를 통해 인출되도록 케이블 인출안내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지 프레임은 상기 받침대의 양단에 직교되게 설치되는 종방향 프레임과, 상기 종방향 프레임의 사이를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횡방향 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상기 중간 받침대의 일측 및 상기 상부 받침대의 일측에는 각각 상기 접철부재가 펴친 상태를 견고히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파지 프레임의 횡방향 프레임에 걸어 고정하는 후크부재가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설비용 이동장치에 따르면, 권선 케이블의 이동을 간 편하게 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작업자 혼자서 작업해야 하는 환경에서도 권선 케이블의 인출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따라서 작업 환경을 개선하여 작업시간을 줄일 수 있고, 작업 인원수도 최소한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설비용 이동장치는 기본 구성으로서 하면에 바퀴가 구비되어 이동가능한 받침대; 상기 받침대의 일단에 설치되는 파지 프레임; 상기 받침대 상에서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하나 이상의 케이블 회전안착대를 포함한다.
상기 파지 프레임은 상기 받침대 상으로 접철(摺綴)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설비용 이동장치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설비용 이동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설비용 이동장치에서 받침대 부분만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설비용 이동장치(100)는 하면에 바퀴(50)가 구비되어 이동가능한 받침대(110); 상기 받침대(100)의 일단에 설치되는 파지 프레임(120); 상기 받침대(110) 상에서 중심축(13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하나 이상의 케이블 회전안착대(130)(도면에서는 3개인 경우를 나타냄)를 포함한다.
상기 파지 프레임(120)은 이동장치의 운반을 간편하게 하기 위하여 그의 하단부에서 접철(摺綴) 가능하게 구성되어 운반시 상기 받침대(110) 상으로 접어질 수 있다.
상기 파지 프레임(120)은 작업자가 잡고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그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받침대(110)의 양단에 직교되게 설치되는 종방향 프레임(121)과, 상기 종방향 프레임(121)의 말단을 연결하는 횡방향 프레임(122)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종방향 프레임(121)의 중간부에는 파지 프레임(120)을 보강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보강 프레임(123)이 더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케이블 회전안착대(130)는 받침대(110) 상에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으로, 작업자가 케이블 선을 인출할 때, 잡아당기는 힘에 의해 케이블 선이 풀리면서 자유자재로 회전되게 구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케이블 회전안착대(130)는 원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케이블 인출 시 케이블을 잡아당기는 힘에 의하여 권선 케이블이 회전안착대에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도록 회전안착대(130) 가장자리에 상방향(즉, 반경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대향하는 한 쌍 이상의 돌기(132)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케이블 회전안착대(130)를 보다 원활하게 회전가능하게 하기 위 하여 회전수단 또는 회전장치가 구비될 수 있는데, 이는 케이블 회전안착대(130)가 그의 중심축(131)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구성이면 어떠한 구성도 무방하다. 따라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지만, 예를 들면, 받침대(110)와 케이블 회전안착대(130) 사이에 구비되는 베어링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설비용 이동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운반시 파지 프레임(120)은 접혀진 상태로 받침대(110) 상에 위치된다. 설비 현장에서 작업자는 파지 프레임(120)을 세우고, 받침대(110) 상의 케이블 회전안착대(130)에 권선 케이블을 위치시킨 다음, 설비 위치로 이동한다.
설비 위치에서 작업자는 각 권선 케이블의 케이블을 인출하는데, 이때 케이블 선이 인출되면서 케이블 회전안착대(130)가 회전가능하게 그 인출 동작이 보다 용이해지고, 보조 작업자의 도움없이도 인출가능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설비용 이동장치를 도3 내지 도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설비용 이동장치의 측면도이고, 도4는 상부 받침대가 제거된 상태에서의 평면도이며, 도5는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설비용 이동장치는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단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앞서 설명한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다수개의 케이블 회전안착대가 하나의 받침대에 구성되는 경우, 그 크기가 증가하는데 반해 이 제2 실시예는 동일한 수의 케이블 회전안착대가 구비되는 경우더라도, 다단 구조로 구성시킴으로써 그 크기를 상대적으로 감소시킨 구성인 것이다.
제2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설비용 이동장치(200)를 상세히 설명하면, 도3 내지 도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면에 바퀴(50)가 구비되어 이동가능한 하부 받침대(210); 상기 하부 받침대(210)의 일단에 설치되는 파지 프레임(220); 상기 하부 받침대(210) 상에서 중심축(231)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하나 이상의 하부 케이블 회전안착대(230)(도면에서는 2개인 경우를 나타냄); 상기 하부 받침대(210) 상에서 가로상태에서 세로상태로 접철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접철부재, 바람직하게는 접철 링크(240); 상기 접철 링크(240)의 단부에 설치되는 상부 받침대(260); 상기 상부 받침대(260) 상에서 중심축(271)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하나 이상의 상부 케이블 회전안착대(270)(도면에서는 1개인 경우를 나타냄)를 포함한다.
상기 파지 프레임(220)은 제1 실시예와 같이 이동장치의 운반을 간편하게 하기 위하여 그의 하단부에서 접철 가능하게 구성되어 운반시 접철된 상기 상부 받침대(270) 상으로 접어질 수 있게 구성된다. 상기 파지 프레임(220)은 앞서 설명한 제1 실시예의 파지 프레임과 유사 또는 동일하게 구성되기 때문에,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상부 받침대(260)의 일측(파지 프레임(220) 측)에는 접철 링크(240)가 펴친 상태를 견고히 유지할 수 있도록 파지 프레임(220)에 걸어 고정하는, 예를 들면 횡방향 프레임 또는 보강 프레임에 걸어 고정하는 후크부재(261)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받침대(260)의 소정 위치에는 하부 케이블 회전안착대(230)로부터 인출되는 각 케이블 선이 상부 받침대(260)를 통해 인출되도록 케이블 인출안내공(262)이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설비용 이동장치의 다른 구성요소들에 있어서는 앞서 설명한 제1 실시예의 구성요소들과 유사 또는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설비용 이동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운반시 접철 링크(240)는 접혀져 상부 받침대(260)는 하부 받침대(210) 위에 적층되고, 파지 프레임(220)은 접혀진 상태로 상부 받침대(260) 상에 위치된다.
설비 현장에서 작업자는 파지 프레임(220)을 세운 다음, 상부 받침대(260)를 들어 올려 접철 링크(240)를 편다. 그런 다음, 하부 케이블 회전안착대(230) 및 상부 케이블 회전안착대(270) 각각에 권선 케이블을 위치시킨 다음, 설비 위치로 이동한다.
설비 위치에서 작업자는 하부 케이블 회전안착대(230)에 위치된 케이블 선을 상부 받침대(260)에 형성된 케이블 인출안내공(262)을 통해 인출하고, 그런 다음 하부 케이블 선과 하부 케이블 선을 함께 인출하게 된다.
이때 케이블 선이 인출되면서 상부 및 하부 케이블 회전안착대(230, 270)는 회전가능하여 그 인출 동작이 보다 용이해지고, 보조 작업자의 도움없이도 인출가능하다. 또한, 하부 케이블 선이 상부 받침대(260)에 형성된 케이블 인출안내 공(262)을 통해 인출됨으로써 케이블 선이 무작위 방향으로 흐트러지지 않고 일정한 인출 방향을 유지하게 되어 신속한 작업을 가능하게 한다.
다음으로, 도6 및 도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설비용 이동장치를 설명한다. 도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설비용 이동장치의 측면도이고, 도7은 그의 평면도이다.
도6 및 도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설비용 이동장치(300)는, 제2 실시예의 다른 형태로서, 3단 구조로 이루어진 구성이다.
상세히 설명하면, 하면에 바퀴(50)가 구비되어 이동가능한 하부 받침대(310); 상기 하부 받침대(310)의 일단에 설치되는 파지 프레임(320); 상기 하부 받침대(310) 상에서 중심축(331)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하나 이상의 하부 케이블 회전안착대(330)(도면에서는 2개인 경우를 나타냄); 상기 하부 받침대(310) 상에서 가로상태에서 세로상태로 접철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제1 접철부재, 바람직하게는 제1 접철 링크(340); 상기 제1 접철 링크(340)의 단부에 설치되는 중간 받침대(350); 상기 중간 받침대(350) 상에서 중심축(361)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하나 이상의 중간 케이블 회전안착대(360)(도면에서는 2개인 경우를 나타냄); 상기 중간 받침대(350) 상에서 가로상태에서 세로상태로 접철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제2 접철부재, 바람직하게는 제2 접철 링크(370); 상기 제2 접철 링크(370)의 단부에 설치되는 상부 받침대(380)를 포함한다.
상기 파지 프레임(320)은 제1 및 제2 실시예와 같이 이동장치의 운반을 간편하게 하기 위하여 그의 하단부에서 접철 가능하게 구성되어 운반시 접철된 상기 상 부 받침대(380) 상으로 접어질 수 있게 구성된다.
상기 파지 프레임(320)은 앞서 설명한 제1 및 제2 실시예의 파지 프레임과 유사 또는 동일하게 구성되기 때문에,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중간 받침대(350) 및/또는 상부 받침대(380)의 일측(파지 프레임(320) 측)에는 접철 링크(340, 370)가 펴친 상태를 견고히 유지할 수 있도록 파지 프레임(320)에 걸어 고정하는, 예를 들면 횡방향 프레임 또는 보강 프레임에 걸어 고정하는 후크부재(39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간 받침대(350)의 소정 위치에는 하부 케이블 회전안착대(310)에 위치되는 케이블로부터 인출되는 각 선이 중간 받침대(380)를 통해 인출되도록 케이블 인출안내공(351)이 더 형성되고, 상기 상부 받침대(380)의 소정 위치에는 중간 케이블 회전안착대(360)에 위치되는 케이블로부터 인출되는 각 선이 상부 받침대(380)를 통해 인출되도록 케이블 인출안내공(381)이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상기 상부 받침대(380) 상에도 케이블 회전안착대가 더 형성될 수 있음은 자명한 것이다.
제3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설비용 이동장치의 다른 구성요소들에 있어서는 앞서 설명한 제1 실시예의 구성요소들과 유사 또는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설비용 이동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운반시 제1 및 제2 접철 링크(340, 370)는 접혀져 상부 받침 대(380)는 중간 받침대(350) 상에 적층된 다음, 중간 받침대(350)는 하부 받침대(310) 위에 적층된다. 또한, 파지 프레임(320)은 접혀진 상태로 상부 받침대(380) 상에 위치된다.
설비 현장에서 작업자는 파지 프레임(320)을 세운 다음, 중간 받침대(350)를 들어 올려 제1 접철 링크(340)를 펴고, 이후 상부 받침대(380)를 들어 올려 제2 접철 링크(370)를 편다. 그런 다음, 하부 케이블 회전안착대(330) 및 중간 케이블 회전안착대(360) 각각에 권선 케이블을 위치시킨 다음, 설비 위치로 이동한다.
설비 위치에서 작업자는 하부 케이블 회전안착대(330)에 위치된 케이블 선을 중간 받침대(350)에 형성된 케이블 인출안내공(351)을 통해 인출하고, 중간 케이블 회전안착대(360)에 위치된 케이블 선과 함께 상부 받침대(380)에 형성된 케이블 인출안내공(381)을 통해 인출한다.
이때 케이블 선이 인출되면서 하부 및 중간 케이블 회전안착대(330, 360)는 회전가능하여 그 인출 동작이 보다 용이해지고, 보조 작업자의 도움없이도 인출가능하다. 또한, 하부 케이블 선과 중간 케이블 선이 중간 받침대(350)와 상부 받침대(380)에 각각 형성된 케이블 인출안내공(351, 381)을 통해 인출됨으로써 케이블 선이 무작위 방향으로 흐트러지지 않고 일정한 인출 방향을 유지하게 되어 신속한 작업을 가능하게 한다.
앞서 설명한 제2 및 제3 실시예는 다단 구조의 실시 형태로서, 하면에 바퀴가 구비되어 이동가능한 베이스 받침대, 상기 받침대의 일단에 설치되는 파지 프레임, 상기 받침대 상에 접철부재를 통해 접철가능하게 적층되는 다수의 다단 받침대 및 상기 베이스 받침대 및 다단 받침대 상에서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하나 이상의 케이블 회전안착대를 포함하는 케이블 설비용 이동장치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권선 케이블의 이동을 쉽고 간편하게 할 수 있고, 작업자 혼자서 작업해야 하는 환경에서도 권선 케이블의 인출도 동시에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의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설비용 이동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설비용 이동장치에서 받침대 부분만을 나타낸 평면도.
도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설비용 이동장치의 측면도.
도4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설비용 이동장치의 상부 받침대가 제거된 상태에서의 사시도.
도5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설비용 이동장치의 평면도.
도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설비용 이동장치의 측면도.
도7은 제3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설비용 이동장치의 평면도.
*주요 도면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0, 200, 300: 케이블 설비용 이동장치
110, 210, 260, 310, 350, 380: 받침대
120, 220, 320: 파지 프레임
240, 340, 370: 접철 부재
130, 230, 270, 330, 360: 케이블 회전안착대
261,351, 381: 케이블 인출안내공

Claims (10)

  1. 하면에 바퀴가 구비되어 이동가능한 받침대;
    상기 받침대의 일단에 설치되는 파지 프레임; 및
    상기 받침대 상에서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하나 이상의 케이블 회전안착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설비용 이동장치.
  2. 하면에 바퀴가 구비되어 이동가능한 하부 받침대;
    상기 하부 받침대의 일단에 설치되는 파지 프레임;
    상기 하부 받침대 상에서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하나 이상의 하부 케이블 회전안착대;
    상기 하부 받침대 상에서 가로상태에서 세로 상태로 접철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접철부재;
    상기 접철 부재의 단부에 설치되는 상부 받침대; 및
    상기 상부 받침대 상에서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하나 이상의 상부 케이블 회전안착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설비용 이동장치.
  3. 하면에 바퀴가 구비되어 이동가능한 하부 받침대;
    상기 하부 받침대의 일단에 설치되는 파지 프레임;
    상기 하부 받침대 상에서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하나 이상의 하부 케이블 회전안착대;
    상기 하부 받침대 상에서 가로상태에서 세로상태로 접철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제1 접철부재;
    상기 제1 접철 부재의 단부에 설치되는 중간 받침대;
    상기 중간 받침대 상에서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하나 이상의 중간 케이블 회전안착대;
    상기 중간 받침대 상에서 가로상태에서 세로상태로 접철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제2 접철부재; 및
    상기 제2 접철 링크의 단부에 설치되는 상부 받침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설비용 이동장치.
  4. 하면에 바퀴가 구비되어 이동가능한 베이스 받침대;
    상기 받침대의 일단에 설치되는 파지 프레임;
    상기 받침대 상에 접철부재를 통해 접철가능하게 적층되는 다수의 다단 받침대; 및
    상기 베이스 받침대 및 다단 받침대 상에서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하나 이상의 케이블 회전안착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설비용 이동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 프레임은 상기 받침대 상으로 접철 가능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설비용 이동장치.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회전안착대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권선 케이블이 그 회전안착대에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도록 가장자리에 상향 돌출되게 대향하는 한 쌍 이상의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설비용 이동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 프레임은 상기 받침대의 양단에 직교되게 설치되는 종방향 프레임과, 상기 종방향 프레임의 사이를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횡방향 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 받침대의 일측에는 상기 접철부재가 펴친 상태를 견고히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파지 프레임의 횡방향 프레임에 걸어 고정하는 후크부재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설비용 이동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받침대에는
    상기 하부 케이블 회전안착대로부터 인출되는 케이블 선이 그 상부 받침대를 통해 인출되도록 케이블 인출안내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설비용 이동장치.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 프레임은 상기 받침대의 양단에 직교되게 설치되는 종방향 프레임과, 상기 종방향 프레임의 사이를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횡방향 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상기 중간 받침대의 일측 및 상기 상부 받침대의 일측에는 각각 상기 접철부재가 펴친 상태를 견고히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파지 프레임의 횡방향 프레임에 걸어 고정하는 후크부재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설비용 이동장치.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받침대 및 상부 받침대에는
    상기 하부 케이블 회전안착대 및 중간 케이블 회전안착대로부터 인출되는 케이블 선이 그 중간 받침대 및 상부 받침대를 통해 인출되도록 각각 케이블 인출안내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설비용 이동장치.
KR1020090046251A 2009-05-27 2009-05-27 권선 케이블 설비용 이동장치 KR201001279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6251A KR20100127914A (ko) 2009-05-27 2009-05-27 권선 케이블 설비용 이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6251A KR20100127914A (ko) 2009-05-27 2009-05-27 권선 케이블 설비용 이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7914A true KR20100127914A (ko) 2010-12-07

Family

ID=43504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6251A KR20100127914A (ko) 2009-05-27 2009-05-27 권선 케이블 설비용 이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2791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5892B1 (ko) * 2013-08-06 2014-11-26 김현숙 높이조절이 용이한 전선입선장치
CN112448307A (zh) * 2020-11-17 2021-03-05 国网山东省电力公司济南市历城区供电公司 一种电缆沟盖板撬运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5892B1 (ko) * 2013-08-06 2014-11-26 김현숙 높이조절이 용이한 전선입선장치
CN112448307A (zh) * 2020-11-17 2021-03-05 国网山东省电力公司济南市历城区供电公司 一种电缆沟盖板撬运装置
CN112448307B (zh) * 2020-11-17 2022-04-08 国网山东省电力公司济南市历城区供电公司 一种电缆沟盖板撬运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3919B1 (ko) 천정 포설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6152698A (ja) ケーブル吊り上げ器およびケーブル布設方法
KR20140029299A (ko) 반출입 장치
JP2008156015A (ja) 移動クレーン
JP5822220B1 (ja) 電気機器の高所取付装置
KR20120020437A (ko) 케이블 드럼용 받침대
KR20100127914A (ko) 권선 케이블 설비용 이동장치
JP6011660B2 (ja) ケーブル支持装置
JP2019128034A (ja) 作業台及びそれを用いた施工方法
KR20140001501U (ko) 전선 포설 안내장치
CN212562370U (zh) 一种建筑施工用脚手架
CN210759347U (zh) 一种安装设备
JP5098389B2 (ja) エレベータの制御ケーブル吊手装置
JP2018203441A (ja) 室内揚重装置
JP2012218941A (ja) 制御盤起立装置
JP2017073842A (ja) 移動用ケーブル架台
CN208484713U (zh) 一种摩擦系数测试车用皮带轮批量化运输装置
KR20140010628A (ko) 중량물 회전장치
JP6789836B2 (ja) 重量物運搬装置、及び重量物運搬方法
KR100982202B1 (ko) 케이블 권치장치
JP2007331866A (ja) 吊り具
CN220449334U (zh) 一种缆线放线装置
JP5932678B2 (ja) 折板屋根材の成形・搬送システム
JP7245098B2 (ja) 鉄塔組立工事用のマストガイド装置の移設方法
WO2022219949A1 (ja) 保管棚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