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9299A - 반출입 장치 - Google Patents

반출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9299A
KR20140029299A KR1020130103243A KR20130103243A KR20140029299A KR 20140029299 A KR20140029299 A KR 20140029299A KR 1020130103243 A KR1020130103243 A KR 1020130103243A KR 20130103243 A KR20130103243 A KR 20130103243A KR 20140029299 A KR20140029299 A KR 201400292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ge
switchboard
support
winch
ho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32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츠타카 오노
미네야스 모리모토
가즈히로 우메오
에이지 마스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야스카와덴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야스카와덴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야스카와덴키
Publication of KR201400292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92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06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means for presenting articles for removal at predetermined position or lev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1/00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 H02B11/12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with isolation by horizontal withdrawa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3/00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assembly, or maintenance of boards or switchgear

Abstract

본 발명은 다단 적재되어 격납된 중량물인 전기기기를 좁은 곳에서도 소정의 장소에 용이하게 반송 가능한 반출입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반출입 장치는 배전반내에 격자형상으로 형성된 격납부에 격납되는 전기기기를 수납하는 케이지와, 전기기기를 수납한 케이지를 승강 가능하게 걸어 지지하는 서스펜션을 구비한다. 그리고, 서스펜션은 배전반의 천장면에 세워 마련된 지주와, 지주에 부착된 호이스팅 윈치를 구비하고, 케이지는 전기기기를 탑재하는 시트부가 마련된 프레임체와, 호이스팅 윈치에 연결되는 연결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반출입 장치{LOADING/UNLOADING APPARATUS}
개시된 실시형태는 반출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배전반내에 다단 적재된 전력 변환용 파워 셀 등의 전기기기를 메인터넌스(보수 유지)하는 경우, 예를 들면 크레인 타입의 반출입 장치가 이용되고 있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반출입 장치는 설비의 천장부에 호이스트(hoist)를 장비한 착탈 레일을 부착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일본국 실용신안공개공보 평성3-120610호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반출입 장치는 예를 들면, 풍력 발전용에 이용되는 전력 변환용 파워 셀을 수납한 설비에 적용하는 것은 곤란하다. 즉, 풍력 발전용의 전력 변환용 파워 셀은 비교적 중량물이며, 실제로는 설비내로부터 인출하는 것도 용이하지는 않다. 또한, 인출한 후에 소정의 장소까지 이동시키는 것도 곤란하다.
또한, 설비는 풍력 발전용의 타워내에 구축되지만, 타워내의 유효 스페이스는 극히 좁은 경우가 있으며, 소형이고 취급이 용이한 반출입 장치가 요망되고 있다.
실시형태의 일 형태는 상기에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다단 적재되어 격납된 중량물인 전기 기기를 좁은 곳에서도 소정의 장소에 용이하게 반송 가능한 반출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실시형태의 일 형태에 관한 반출입 장치는 배전반내에 격자형상으로 형성된 격납부에 격납되는 전기기기를 수납하는 케이지와, 상기 전기기기를 수납한 케이지를 승강 가능하게 걸어 지지하는 호이스트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호이스트는 상기 배전반의 천장면에 세워 설치된 지주와, 해당 지주에 부착된 호이스팅 윈치를 구비하고, 상기 케이지는 상기 전기기기를 탑재하는 시트부가 마련된 프레임체와, 상기 호이스팅 윈치에 연결되는 연결부를 구비한다.
실시형태의 일 형태에 따르면, 다단 적재되어 격납된 중량물인 전기기기를 좁은 곳에서도 소정의 장소로 용이하게 반송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형태에 따른 배전반 전체를 나타내는 개요도,
도 2a는 실시형태에 따른 케이지가 구비하는 가대(架臺)의 수납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2b는 가대의 펼침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3a는 실시형태에 따른 호이스트를 전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3b는 호이스트를 후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4a는 실시형태에 따른 반출입 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4b는 반출입 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4c는 반출입 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4d는 반출입 장치의 수납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5a는 실시형태에 따른 호이스트가 구비하는 위치 결정부의 설명도,
도 5b는 위치 결정부의 설명도,
도 5c는 위치 결정부의 설명도,
도 5d는 위치 결정부의 설명도,
도 6은 실시형태에 따른 케이지가 구비하는 지지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7은 케이지가 구비하는 가대 및 결합구의 사용 수순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8은 결합구의 동작 설명도,
도 9는 실시형태에 따른 케이지의 배전반에의 고정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10은 도 9에 나타낸 영역 S의 확대도,
도 11은 케이지를 배전반에 걸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12는 실시형태에 따른 권취 윈치(winding winch)의 설명도,
도 13은 실시형태에 따른 와이어 가이드부의 설명도,
도 14는 실시형태에 따른 케이지가 구비하는 기기 고정구의 설명도,
도 15는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호이스트의 설명도.
이하에, 본원의 개시하는 반출입 장치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 이 실시형태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실시형태에 따른 반출입 장치(2)를 구비한 배전반(1)의 전체를 나타내는 개요도이다. 우선, 도 1을 참조하면서, 배전반(1) 및 반출입 장치(2)의 개요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배전반(1)은 복수의 격납부(10)를 갖춘 상자형 케이싱(11)을 갖고, 소정의 발전 설비 등에 배치되어 있다. 복수의 격납부 (10) 각각은, 예를 들면 전력 변환용 파워 셀 등의 전기기기(3)를 격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배전반(1)의 천장면(14)에는 배전반(1)의 내부를 냉각하기 위한 공냉 장치(15)가 배치되어 있다(본 실시형태에서는 공냉 장치(15)를 예로 기재하였으나, 수냉 장치가 마련될 수도 있다.)
전기기기(3)가 격납되는 격납부(10)는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격자형상으로 9개(3×3) 형성되어 있고, 전기기기(3)의 출입구로 되는 전면 개구부는 덮개(13)로 폐색되어 있다. 덮개(13)에는 격납부(10)내와 연통하는 동시에, 필터를 배치한 흡기부(12)가 형성되어 있다. 또, 격납부(10)의 수에 대해서는 여기서는 9개로 했지만, 필요에 따라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실시형태에 따른 반출입 장치(2)는 전기기기(3)를 격납부(10)내에 반입하기 위한, 혹은 격납부(10)로부터 취출된 전기기기(3)를 수납하기 위한 케이지(4)와, 전기기기(3)를 수납한 케이지(4)를 승강 가능하게 매다는 호이스트(5)를 구비하고 있다.
호이스트(5)는 배전반(1)의 상자형 케이싱(11)의 천장면(14)에 세워 설치된 지주(6)와, 이 지주(6)에 부착되고, 호이스트 와이어(71)를 거쳐서 케이지(4)을 승강 가능하게 한 호이스팅 윈치(7)를 구비하고 있다.
즉, 상자형 케이싱(11)의 천장면(14)은 직사각형형상으로 되어 있고, 그 앞면측(여기서는 배전반(1)의 덮개(13)가 마련된 면을 앞면으로 함)의 대략 중앙 위치에, 지주(6)의 일부를 구성하는 하부 지주(61)를 세워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이 하부 지주(61)로부터 수평으로 상부 지주(62)를 연장시키고, 상부 지주(62)에 호이스팅 윈치(7)가 부착되어 있다.
상부 지주(62)는 하부 지주(61)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선회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으며, 배전반(1)에 있어서, 격납부(10)가 다단(여기서는 3단)으로 형성된 복수의 열(여기서는 3열)의 위치에 맞추어 선회시킬 수 있다. 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주(6)의 안쪽측에는 배전반(1)의 내부를 냉각하기 위한 공냉 장치(15)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케이지(4)는 전기기기(3)를 탑재하는 시트부(41)가 마련된 프레임체(40)와, 호이스팅 윈치(7)에 연결되는 연결부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케이지(4)에서는 연결부를, 대략 직방체형상으로 한 프레임체(40)의 상부 4모서리에 마련한 아이볼트(42)에 의해 구성하고 있다. 그러나, 연결부는 아이볼트(42)를 이용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호이스트 와이어(71)를 연결 가능하면 어떤 구성이어도 상관없다.
또한, 프레임체(40)의 하부 4모서리에는 각각 주행륜(43)이 마련되어 있고, 케이지(4)는, 이들 4개의 주행륜(43)에 의해서, 프레임체(40)를 손으로 미는 것에 의해서 바닥면상을 자유롭게 주행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해서, 9개 중 어느 하나의 격납부(10)에 격납되는 전기기기(3)를 케이지(4)에 수납하는 동시에, 이것을 호이스트(5)의 상부 지주(62)로부터 늘어뜨려진 호이스트 와이어(71)를 거쳐서 걸어 지지하여 승강시킬 수 있다. 그리고, 케이지(4)를 바닥면 등에 내린 후에는 주행륜(43)에 의해서 원하는 장소까지 이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반출입 장치(2)는 배전반(1)내에 격자형상으로 형성된 격납부(10)에 격납되는 전기기기(3)를 수납하는 케이지(4)와, 전기기기(3)를 수납한 케이지(4)를 승강 가능하게 걸어 지지하는 호이스트(5)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호이스트(5)는 배전반(1)의 천장면(14)에 세워 설치된 지주(6)와, 이 지주(6)에 부착된 호이스팅 윈치(7)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케이지(4)는 전기기기(3)를 탑재하는 시트부(41)가 마련된 프레임체(40)와, 호이스팅 윈치(7)에 연결되는 아이볼트(42)(연결부)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하, 케이지(4)의 구성에 대해,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a는 케이지(4)가 구비하는 가대(47)의 수납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2b는 동 가대(47)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지(4)는 직사각형형상의 시트부(41)를 구비하고 있다. 또, 설명의 편의상, 케이지(4)에 있어서는 도 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살표 A로 나타내는 측, 즉 가대(47)가 마련된 측을 앞측으로 한다. 시트부(41)의 4모서리에는 각각 종프레임(44)이 세워 마련되어 있고, 앞측의 종프레임(44, 44)과 뒷측의 종프레임(44, 44)의 각 상단 사이를 제 1 횡프레임(45)으로 연결하고 있다. 그리고, 제 1 횡프레임(45, 45)끼리를 제 2 횡프레임(46, 46)으로 연결하여, 대략 직방체형상의 강고한 프레임체(40)를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프레임체(40)의 앞측에, 배전반(1)의 격납부(10)와의 사이에 걸침 가능한 가대(47)가 수납 취출 자유롭게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는 가대(47)는 시트부(41)의 앞가장자리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펼침 자유롭게 구성되어 있지만, 프레임체(4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구성이어도 좋다.
가대(47)는 미사용 상태에서는 도 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립한 상태에서 케이지(4)에 수납되어 있는 반면, 사용 상태에서는 도 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펼침 상태로 되도록 조작 가능하다. 그리고, 가대(47)는 펼쳐진 상태에서, 케이지(4)와 배전반(1)의 격납부(10)의 사이에 걸쳐지는 것에 의해서, 격납부(10)와 케이지(4)의 사이에서, 전기기기(3)의 이동을 원활하게 실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 전기기기(3)는 하면에 4륜의 캐스터(32)(도 13 참조)를 구비하고 있으며, 캐스터(32)를 회전시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프레임체(40)의 상부 4모서리에는 각각 아이볼트(42)가 마련되어 있고, 전술한 바와 같이, 이들 4개의 아이볼트(42)가 호이스트 와이어(71)를 거쳐서 호이스팅 윈치(7)와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성한다.
또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지(4)는 격납부(10)내에 격납된 전기기기(3)를 인출하기 위한 권취 윈치(8)를 구비하고 있다. 권취 윈치(8)는 시트부(41)의 한쪽의 긴변측에 마련되어 있다.
다음에, 도 1 및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호이스트(5)에 대해 설명한다. 도 3a는 호이스트(5)를 전방에서 본 사시도, 도 3b는 마찬가지로 호이스트(5)를 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호이스트(5)는 지주(6)와, 이 지주(6)에 마련된 호이스팅 윈치(7)를 구비한다. 호이스팅 윈치(7)는 후술하는 윈치 부착구(72)에 연결하기 위한 상부 훅(73)과, 호이스트 와이어(71)를 연결하는 하부 훅(74)을 구비하고 있다.
지주(6)는 배전반(1)의 천장면(14)에 세워 마련된 하부 지주(61)와, 이 하부 지주(61)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상부 지주(62)로 구성된다. 그리고, 이 상부 지주(62)에, 호이스팅 윈치(7)가 윈치 부착구(72)를 거쳐서 부착되어 있다.
하부 지주(61)는 배전반(1)의 천장면(14)에 고정 설치되는 시트판(611)과, 시트판(611)상에 부착한 직사각형형상의 수직판(612)과, 이 수직판(612)의 일측의 주면에, 상하로 소정 간격을 두고 마련된 상측 힌지부(613a) 및 하측 힌지부(61도 4a)를 갖는다. 또한, 하부 지주(61)는, 이들 상측 힌지부(613a)의 상측 추축(613) 및 하측 힌지부(614a)의 하측 추축(614)을 거쳐서 상부 지주(62)를 선회 자유롭게 부착하고 있다. 또, 하부 지주(61)에는, 수직판(612)의 굴곡과 좌굴을 방지하기 위해, 하측 힌지부(614a)의 아래쪽 위치에 있어서, 수직판(612)의 일측의 주면과 시트판(611)의 상면을 연결하는 리브(618, 618)가 마련되어 있다.
한편, 상부 지주(62)는 대략 L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세워 마련된 하부 지주(61)와 평행하게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베이스부 부재(621)와, 이 베이스부 부재(621)의 상단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하는 수평부재(622)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베이스부 부재(621)의 하단부를 하측 추축(614)에 연결하는 동시에, 수평부재(622)의 기단부를 상측 추축(613)에 연결하고 있다.
또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주(6)의 하부 지주(61)는 수평 방향으로 선회 가능하게 부착된 상부 지주(62)를 복수의 소정 선회 각도 중 어느 각도에서 고정 가능하게 한 위치 결정부(63)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부 지주(62)에는 길이 방향의 소정 위치에 호이스팅 윈치(7)를 부착 가능하게 한 윈치 부착부(64)가 형성되어 있다.
위치 결정부(63)는 후에 상세하게 기술하겠지만, 플레이트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위치 결정 핀(65)이 선택적으로 삽입 통과되는 제 1 내지 제 4 위치 결정용 구멍(631, 632, 633, 634)(도 5a~도 5d 참조)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위치 결정부(63)는 도 3a 및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직판(612)의 일측의 주면의 상측 힌지부(613a)와 하측 힌지부(614a)의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또한, 윈치 부착부(64)는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 지주(62)의 수평부재(622)의 좌우에 형성된 플랜지에 의해서 레일로서 기능한다. 이와 같이, 레일로서 기능하는 윈치 부착부(64)에, 해당 윈치 부착부(64)를 포지(抱持)한 상태에서 슬라이드 자유롭게 한 윈치 부착구(72)를 부착하고, 이 윈치 부착구(72)에 호이스팅 윈치(7)를 걸어 지지하고 있다. 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윈치 부착구(72)에는 플랜지상을 회전하는 전동륜(721)과, 호이스팅 윈치(7)에 마련된 상부 훅(73)을 걸어 고정시키는 결합부(722)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부 지주(61)의 배면에는 복수의 보강 리브(615, 616, 617)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각 보강 리브(615, 616, 617)는 복수의 소정 선회 각도에 각각 대응해서 배치되어 있다. 즉, 하부 지주(61)의 수직판(612)의 다른 측의 주면에 보강 리브(615, 616, 617)가 소정 간격을 두고 마련되어 있으며, 이러한 소정 간격은 상부 지주(62)의 선회 각도에 각각 1대1로 대응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보강 리브(615, 616, 617)는, 상부 지주(62)가 복수의 소정 선회 각도 중 어느 각도로 고정되어 있을 때, 보강 리브(615, 616, 617) 중 어느 하나와 상부 지주(62)가 동일한 가상의 수직면상에 있도록, 평면시에서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90~100kg인 바와 같은 비교적 중량물인 전기기기(3)를 호이스팅 윈치(7)를 거쳐서 매단 경우, 하부 지주(61)의 수직판(612)에는 큰 하중 부하가 생기지만, 하중 부하 방향을 따라서 보강 리브(615, 616, 617)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수직판(612)의 굴곡이나 좌굴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도 4a~도 4d 및 도 5a~도 5d를 참조하면서, 배전반(1)에 마련된 호이스트(5)를 이용하여, 3단으로 형성된 각 열의 격납부(10)에 대한 전기기기(3)의 넣고 뺌에 대해 간단하게 설명한다. 도 4a~도 4d는 반출입 장치(2)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5a~도 5d는 호이스트(5)가 구비하는 위치 결정부(63)의 설명도이다. 또, 여기서는 각 열의 최하단에 위치하는 격납부(10)를 대상으로 하고 있지만, 2단째 혹은 3단째를 대상으로 할 수 있는 것은 당연하다.
도 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전반(1)을 향해 좌측 열의 격납부(10)에 전기기기(3)를 수납하거나, 혹은 격납부(10)로부터 전기기기(3)를 취출하는 경우, 호이스트(5)의 상부 지주(62)는 제 1 선회 각도로 위치 결정 고정되어 있다.
즉, 도 5a~도 5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위치 결정부(63)에는 제 1제 4 위치 결정용 구멍(631~634)이 뚫어 마련되어 있고, 위치 결정용 구멍(631~634)은 상부 지주(62)의 선회 각도에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도 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전반(1)을 향해 좌측 열의 격납부(10)를 대상으로 하는 경우, 도 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위치 결정 핀(65)은 상부 지주(62)에 마련된 고정편(62a)의 구멍(도시안됨)을 지나 제 1 위치 결정용 구멍(631)에 삽입 통과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위치 결정 핀(65)은 도 5a~도 5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결 끈(651)에 의해서 하부 지주(61)의 수직판(612)에 부착되어 있다.
또한,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전반(1)을 향해 중앙 열의 격납부(10)에 전기기기(3)를 수납하거나, 또는 격납부(10)로부터 전기기기(3)를 취출하는 경우, 호이스트(5)의 상부 지주(62)는 제 2 선회 각도로 위치 결정 고정되어 있다. 그 경우,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위치 결정 핀(65)은 상부 지주(62)의 고정편(62a)의 구멍을 지나 제 2 위치 결정용 구멍(632)에 삽입 통과된다.
또한, 도 4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전반(1)을 향해 우측 열의 격납부(10)에 전기기기(3)를 수납하거나, 또는 격납부(10)로부터 전기기기(3)를 취출하는 경우, 호이스트(5)의 상부 지주(62)는 제 3 선회 각도로 위치 결정 고정되어 있다. 그 경우, 도 5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위치 결정 핀(65)은 상부 지주(62)의 고정편(62a)의 구멍을 지나 제 3 위치 결정용 구멍(633)에 삽입 통과된다.
또, 상술한 바와 같이, 호이스팅 윈치(7)를 매다는 윈치 부착구(72)를, 윈치 부착부(64)에 슬라이드 자유롭게 하고 있다. 그 때문에, 대상으로 되는 격납부(10)가 포함되는 열에 맞추어, 상부 지주(62)를 제 1 내지 제 3 선회 각도의 어느 위치에 고정시켜도, 윈치 부착구(72)는 윈치 부착부(64)상을 슬라이드하여, 언제나 케이지(4)의 위치의 바로 위에 호이스팅 윈치(7)를 위치시킬 수 있다.
그런데, 반출입 장치(2)의 미사용 상태, 즉 호이스트(5)도 케이지(4)도 사용하지 않는 경우, 호이스트(5)의 상부 지주(62)는 도 4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4 선회 각도, 즉 배전반(1)의 천장면(14)내에 수용되는 위치에서 고정된다. 그 경우, 도 5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위치 결정 핀(65)은 상부 지주(62)의 고정편(62a)의 구멍을 지나 제 4 위치 결정용 구멍(634)에 삽입 통과된다. 또, 케이지(4)는 적절한 장소에 보관되지만, 배전반(1)의 천장면(14)의 잉여 스페이스에 보관할 수도 있다. 반출입 장치(2)의 미사용 상태에서는 하부 지주(61)의 수직판(612)에 큰 하중 부하가 생기지 않으므로, 제 4 위치 결정용 구멍(634)에 대응하는 보강 리브는 불필요하다.
다음에, 도 6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케이지(4)의 더욱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 해당 케이지(4)를 배전반(1)의 원하는 격납부(10)에 고정시키는 구조에 주안을 두어 설명을 부가한다. 도 6은 케이지(4)가 구비하는 고정부의 1개인 지지구(48)의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7은 가대(47) 및 고정부의 사용 수순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8은 결합구(49)의 동작 설명도이다. 또, 결합구(49)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케이지(4)가 구비하는 고정부의 1개이다. 도 9는 케이지(4)의 배전반(1)에의 고정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10은 도 9에 나타낸 영역 S의 확대도, 도 11은 동 케이지(4)를 배전반(1)에 걸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지(4)는 프레임체(40)의 앞측에 마련한 가대(47)(도 2a 및 도 2b 참조)의 아래쪽에, 해당 케이지(4)가 배전반(1)의 앞면에 충돌하거나,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안정적으로 지지시키기 위한 지지구(48)를 마련하고 있다.
지지구(48)는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단을 시트부(41)측에 고정 설치한 베이스부(481)와, 선단에 고무 등의 수지제의 패드(482)를 마련한 회전운동부(483)를, 경첩(484)으로 절접 자유롭게 연결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도 6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미사용 상태에서는 회전운동부(483)를 내측으로 절첩하고, 패드(482)를 케이지(4)측을 향한 상태에서 수용하고 있다. 한편, 전기기기(3)의 넣고 뺌을 위해, 케이지(4)를 배전반(1)에 연결하는 경우에는 도 6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운동부(483)를 180도 회전운동해서 패드(482)를 외측을 향해 프레임체(40)로부터 돌출시킨다.
다음에, 케이지(4)를 배전반(1)의 각 격납부(10)의 앞면측에 고정시키고, 전기기기(3)를 넣고 뺄 때에 이용하는 가대(47) 및 결합구(49)의 구성 및 사용 수순에 대해, 도 7 및 도 8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7의 (a)는 가대(47) 및 결합구(49)의 미사용 상태이며, 이것을 초기 상태로 하면,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대(47)는 미사용 상태에서는 기립된 상태에서 케이지(4)의 프레임체(40)내에 수납되어 있다. 가대(47)는 경첩(472)으로 연결되어 있을 뿐이기 때문에(도 7의 (c) 참조),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앞측의 종프레임(44)에 마련된 스토퍼(441)에 의해서 기립 상태로 지지되어 있다. 스토퍼(441)는 손잡이부(442)와, 가대(47)에 마련된 계지 핀(471)과 결합되는 절결부(443)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초기 상태로부터, 도 7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선, 전술한 지지구(48)를 전개하고, 패드(482)를 앞쪽을 향하게 하는 동시에, 결합구(49)를 앞쪽으로 쓰러뜨린다. 이 때, 도 8의 (a)~(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결합구(49)를 위쪽으로 일단 들어 올리고, 그 후, 앞쪽으로 쓰러뜨리도록 하고 있다.
즉, 도 8의 (a)~(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결합구(49)는 선단에 갈고리형상의 발톱부(491)가 형성되는 동시에, 기단에 긴 구멍(492)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케이지(4)의 프레임체(40)에는 결합구 부착부(50)가 마련되어 있고, 이 결합구 부착부(50)에 돌출설치된 핀(52)이 결합구(49)의 긴 구멍(492)에 끼워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도 8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결합구 부착부(50)에 스토퍼체(53)를 돌출설치하고, 기립된 상태의 결합구(49)의 기단부에 맞닿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기립한 상태의 결합구(49)는 스토퍼체(53)에 맞닿아 앞쪽으로 젖히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 때문에, 결합구(49)를 위쪽으로 들어 올린 후(도 8의 (b)), 앞쪽으로 쓰러뜨리도록 하고 있다 (도 8의 (c)).
결합구(49)를 앞쪽으로 쓰러뜨리고, 여기서는 도시를 생략했지만, 배전반(1)의 격납부(10)측에 마련된 빔 부재(16)(도 9 및 도 10 참조)에 걸어 고정시킨 후, 도 7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토퍼(441)를 개방해서 가대(47)를 앞쪽으로 쓰러뜨린다. 그 후, 결합구(49)를 케이지(4)측으로 밀어 넣고, 케이지(4)를 격납부(10)의 앞측에 확실하게 고정시킨다.
이 때, 도 8의 (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결합구 부착부(50)에 마련한 고정 나사(51)를 결합구(49)의 기단부에 나사 결합시키는 것에 의해, 결합구(49)를 밀어 넣어 고정시킨다.
도 7에 나타내는 수순에 의해, 도 9~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지(4)를 배전반(1)의 앞측에 확실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즉,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호이스트(5)의 상부 지주(62)를 원하는 열에 맞추어 선회시키고, 호이스팅 윈치(7)로 비어 있는 케이지(4)를 들어 올린다. 그리고, 원하는 단의 격납부(10)에 위치를 맞추어 들어 올림을 정지시키고, 상술한 수순(도 7 참조)에 의해, 고정부(지지구(48) 및 결합구(49)) 및 가대(47)를 이용해서 케이지(4)를 배전반(1)의 앞측에 고정시킨다.
케이지(4)는 결합구(49)를 거쳐서 배전반(1)의 빔 부재(16)에 확실하게 고정되는 동시에, 케이지(4)와 격납부(10)의 사이의 간극에는 가대(47)가 걸쳐져 있다(도 10). 또, 본 실시형태에 따른 반출입 장치(2)에서는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대(47)와 격납부(10)의 사이에 보조판(110)을 설치하고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배전반(1)은 격납부(10)의 내부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전기기기(3)를 탑재하는 면과, 배전반(1)의 앞면의 사이에 내부 간극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러한 내부 간격을 보조판(110)에 의해서 매우고 있다.
따라서,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격납부(10)내의 전기기기(3)를 원활하게 케이지(4)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 당연하지만, 그 반대로, 케이지(4)에 수납하고 있던 전기기기(3)를 격납부(10)내로 이동시키는 것도 원활하게 실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케이지(4)에, 배전반(1)의 앞면에 맞닿음 자유롭게 한 지지구(48)와, 케이지(4)를 배전반(1)으로부터 소정 간격만큼 이격시킨 상태에서 배전반(1)측과 결합해서 해당 케이지(4)를 유지하는 결합구(49)를 갖는 고정부를 갖고, 케이지(4) 자체를 배전반(1)에 고정 가능하게 하고 있다. 따라서, 케이지(4)는 상하, 좌우 및 전후 방향으로 어긋나는 일이 없고, 전기기기(3)의 배전반(1)으로부터 케이지(4)에의 반출을 원활하고 또한 안전하게 실행할 수 있다. 또, 여기서는 전기기기(3)를 배전반(1)으로부터 케이지(4)로 옮기는 것을 상정하고 있으며, 당연한 일이지만, 케이지(4)로부터 배전반(1)에의 반입 작업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그런데, 전기기기(3)를 격납부(10)내로부터 인출할 때에는 케이지(4)에 마련한 권취 윈치(8)를 이용한다. 도 12는 권취 윈치(8)의 설명도, 도 13은 와이어 가이드부(85)의 설명도이다.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권취 윈치(8)는 케이지(4)의 시트부(41)의 하나의 긴변측에 착탈 자유롭게 마련되어 있다. 권취 윈치(8)는 권취 와이어(83)와, 권취 와이어(83)를 두루 감는 드럼부(81)와, 이 드럼부(81)를 수동에 의해 회전시킬 수 있는 핸들(82)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권취 윈치(8)를 마련함으로써,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기기기(3)의 일측면에 마련한 그립부(31)에 연결구(84)를 결합하고, 핸들(82)을 돌려서 권취 와이어(83)를 드럼부(81)에 감는 것에 의해, 중량물인 전기기기(3)를 용이하게 케이지(4)내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권취 윈치(8)는 착탈 자유롭게 하고 있기 때문에, 필요없는 경우에는 분리해 두면 좋으며, 케이지(4)로부터 방해물인 돌출 부분이 없어지는 동시에,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권취 와이어(83)는 선단에, 전기기기(3)에 연결하는 카라비너(carabiner) 등의 연결구(84)를 부착하고 있으며, 드럼부(81)로부터 케이지(4)의 후방, 즉 도 12에 있어서의 바로앞측으로 인출되어 있다. 그리고, 권취 와이어(83)는 케이지(4)의 프레임체(40)의 후단 가장자리를 따라 마련된 와이어 가이드부(85)를 경유해서 케이지(4)의 대략 중앙에 방향이 변경되도록 되어 있다.
와이어 가이드부(85)는 도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지(4)의 프레임체(40)의 후단 가장자리의 대략 중앙 위치와, 권취 윈치(8)측의 단(端) 위치에 가이드 롤러(851, 851)를 구비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케이지(4)는 권취 윈치(8)와 전기기기(3)를 연결하는 권취 와이어(83)를 안내하는 와이어 가이드부(85)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권취 윈치(8)에 의한 전기기기(3)의 인출 작업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전기기기(3)에는 4개의 캐스터(32)가 마련되어 있지만,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지(4)의 시트부(41)에는 4개의 캐스터(32) 중, 적어도 2개의 앞측의 캐스터(32, 32)가 드롭되는 오목부(410)가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권취 윈치(8)에 의해서 케이지(4)내에 수납된 전기기기(3)는 앞측(여기서는, 전기기기(3)의 그립부(31)가 설치된 면이 향하는 방향을 앞측으로 한다)의 캐스터(32, 32)가 오목부(410)내로 드롭되어 회전이 규제된다. 그 때문에, 중량물인 전기기기(3)가 어떠한 상태로 케이지(4)내로 굴러가 이동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전기기기(3)의 캐스터(32, 32)가 오목부(410)내로 드롭된 후, 또한, 기기 고정구(9)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서, 더욱 확실하게 전기기기(3)를 유지할 수 있다. 즉, 케이지(4)는 전기기기(3)를 해당 케이지(4)에 수납한 상태에서 해당 케이지(4)와 고정시키는 기기 고정구(9)를 구비하고 있다.
도 14는 케이지(4)가 구비하는 기기 고정구(9)의 설명도이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기 고정구(9)는 시트부(41)의 후단 가장자리의 대략 중앙에 위치하는 전술한 와이어 가이드부(85)의 가이드 롤러(851)와 전후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마련되어 있다.
기기 고정구(9)는 케이지(4)의 시트부(41)에 세워 마련한 가이드판(93)과, 이 가이드판(93)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하는 동시에, 전기기기(3)의 그립부(31)에 결합 가능한 두 갈래의 훅부(91, 91)가 형성된 훅 플레이트(90)를 구비하고 있다.
가이드판(93)에는 좌우 한 쌍의 고정 볼트(94, 94)가 수평 방향으로 돌출설치되는 한편, 훅 플레이트(90)에는 각 고정 볼트(94)를 삽입 통과하는 긴 구멍(92)이 각 훅부(91)의 베이스부측에 마련되어 있다. 고정 볼트(94)는 훅 플레이트(90)를 고정 가능한 것은 물론, 훅 플레이트(90)의 상하 슬라이딩을 원활하게 실행시키는 슬라이딩 규정 핀으로서의 기능도 갖는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이하의 수순에 의해, 전기기기(3)를 케이지(4)에 확실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즉, 도 14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훅 플레이트(90)를 위쪽으로 들어 올린 상태에서 고정 볼트(94)로 고정시켜 두고, 격납부(10)내의 전기기기(3)를, 권취 윈치(8)에 의해 앞쪽으로 이동시켜 케이지(4)내에 수납한다. 이 때, 권취 윈치(8)의 권취 와이어(83)는 훅부(91, 91)의 두 갈래 부분을 통과하고 있다.
다음에, 도 14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 볼트(94)를 풀어 훅 플레이트(90)를 강하시켜, 훅부(91, 91)를 전기기기(3)의 그립부(31)에 결합하고, 그 상태에서 고정 볼트(94)를 죄어 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전기기기(3)를 케이지(4)에 확실하게 고정시킴으로써, 케이지(4)를 승강시키거나, 또는 전기기기(3)를 수납한 케이지(4)를 바닥면상에서 주행 이동시킬 때에, 전기기기(3)가 케이지(4)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
상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호이스트(5)는 하부 지주(61)를 배전반(1)의 천장면(14)에 직접 세워 마련한 구성으로 하였다. 그러나, 예를 들면, 도 15에 나타내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도 15는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호이스트(5)의 설명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호이스트(5)의 구성은 상기 실시형태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동일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호이스트(5)는 배전반(1)의 천장면(14)에, 격납부(10)가 다단으로 형성된 복수의 열에 1대1로 대응하는 지주 부착부(55)를 형성하고, 지주 부착부(55)에 지주(6)를 착탈 자유롭게 부착 가능하게 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지주(6)에 대해서도, 앞의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하부 지주(61)와 상부 지주(62)를 구비하고 있고, 하부 지주(61)는 각 지주 부착부(55)에 선택적으로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배전반(1)은 격납부(10)에 대응하는 위치에 지주(6)를 부착하는 지주 부착부(55)가 마련되어 있고, 이러한 지주 부착부(55)에 지주(6)를 착탈 자유롭게 부착 가능하게 하고 있다.
지주(6)를 지주 부착부(55)에 착탈 자유롭게 부착하는 예로서는, 시트판(611)에 관통구멍을 마련하고, 지주 부착부(55)에는 나사구멍을 마련하여, 볼트를 시트판(611)의 관통구멍을 통해 지주 부착부(55)의 나사구멍에 체결하는 것에 의해 지주(6)를 지주 부착부(55)에 고정시킬 수 있다. 여기서는, 볼트를 이용한 예를 기재하였지만, 볼트를 이용하지 않고 다른 방식으로 지주(6)를 지주 부착부(55)에 착탈 자유롭게 고정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종류의 반출입 장치(2)는 경우에 따라서는 불필요한 시기가 긴 것도 고려되지만, 본 실시형태의 구성으로 한 것에 의해, 통상은 지주(6) 및 호이스팅 윈치(7)를 다른 곳에 보관해 두고, 필요에 따라 준비하면 좋게 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지주 부착부(55)가 배전반(1)의 천장면(14)에 복수개 마련되어 있지만, 하나의 지주 부착부(55)만이 마련될 수도 있다.
이상, 실시형태를 통해 설명해 온 상술의 반출입 장치(2)는 배전반(1) 등이 가령 협소한 장소에 설치되어 있어도, 해당 배전반(1)내에 다단으로 배치된 중량이 있는 전기기기(3)를 반출하거나, 또는 배전반(1)내에 새로운 전기기기(3)를 반입하는 작업을 용이하고 또한 안전하게 실행할 수 있다.
그런데, 상술해 온 각 실시형태에서는 반출입 장치(2)에 있어서의 호이스트(5)의 지주(6)를 배전반(1)의 천장면(14)에 마련하는 것으로 해서 설명하였다. 그러나, 설치 개소는 천장면(14)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각 격납부(10)에 대응하는 위치이면 좋다. 예를 들면, 지주(6)를 배전반(1)의 측면에 부착해서, 격납부(10)의 위쪽으로 연장시키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호이스트(5)의 윈치 부착부(64)는 상부 지주(62)의 수평부재(622)의 좌우에 플랜지를 형성하고, 이것을 레일로서 기능시켜 호이스팅 윈치(7)를 상부 지주(62)의 긴쪽 방향의 소정 위치에 부착 가능하게 하였다. 그러나, 윈치 부착부(64)의 구성은 그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상부 지주(62)의 선회 각도에 따른 위치에 호이스팅 윈치(7)의 상부 훅(73)을 걸어 고정시키는 구멍을 마련해서 윈치 부착부(64)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각 실시형태에서는 케이지(4)의 고정부로서는 모두 케이지(4)의 하측에 배치된 지지구(48)와 결합구(49)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했지만, 더욱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 또한 케이지(4)의 상측에도 배전반(1)측과 연결 가능한 고정부를 적절하게 마련할 수 있다. 이 경우, 볼트 등의 체결 부재로 구성해도 좋고, 상술한 결합구(49)와 마찬가지의 걸림 부재로 구성해도 좋다.
또한, 상술해 온 전기기기(3)는 4개의 캐스터(32)를 구비한 것으로 하고 있고, 케이지(4)의 시트부(41)에 걸어 고정시킨 오목부(410)는 4개의 캐스터(32) 중, 전륜으로 되는 2개의 캐스터(32, 32)가 드롭되는 것으로 하였다. 그러나, 캐스터(32)의 수는 하등 한정되지 않으며, 오목부(410)도, 복수의 캐스터(32) 중, 적어도 1개의 캐스터(32)가 드롭될 수 있으면 좋다.
다른 효과나 변형예는 당업자에 의해서 용이하게 도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의 더욱 광범위한 형태는 이상과 같이 나타내고 또한 기술한 특정한 상세 및 대표적인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 및 그 균등물에 의해 정의되는 총괄적인 발명의 개념의 정신 또는 범위로부터 이탈하는 일 없이,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1: 배전반 2: 반출입장치
3: 전기기기 4: 케이지
5: 호이스트 6: 지주
7: 호이스팅 윈치 8: 권취 윈치
9: 기기 고정구 10: 격납부
14: 천장면 32: 캐스터
40: 프레임체 41: 시트부
42: 아이볼트(연결부0 43: 주행륜
47: 가대 48: 지지구
49: 결합구 55: 지주 부착부
61: 하부 지주 62: 상부 지주
63: 위치결정부 64: 윈치 부착부
83: 권취 와이어 85: 와이어 가이드부
410: 오목부 615, 616, 617: 보강 리브

Claims (12)

  1. 배전반내에 형성된 격납부에 격납된 또는 격납되는 전기기기를 수납하는 케이지와,
    상기 전기기기를 수납한 케이지를 승강 가능하게 걸어 지지하는 호이스트를 구비하고,
    상기 호이스트는,
    상기 배전반에 마련되고, 상기 격납부의 위쪽으로 연장하는 지주와,
    상기 지주에 부착된 호이스팅 윈치를 구비하고,
    상기 케이지는,
    상기 전기기기를 탑재하는 시트부가 마련된 프레임체와, 상기 호이스팅 윈치에 연결되는 연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출입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지는,
    복수의 주행륜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출입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는,
    상기 배전반의 천장면에 세워 마련된 하부 지주와,
    해당 하부 지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한 상부 지주를 구비하고,
    상기 하부 지주는 수평 방향으로 선회 가능하게 부착된 상기 상부 지주를, 복수의 소정 선회 각도로 고정 가능하게 한 위치 결정부를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상부 지주에는 길이 방향의 소정 위치에 상기 호이스팅 윈치를 부착 가능하게 한 윈치 부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출입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지주의 배면에 복수의 보강 리브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보강 리브는 상기 복수의 소정 선회 각도에 각각 대응해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출입 장치.
  5. 상기 배전반의 천장면의 상기 격납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지주를 부착하는 하나 이상의 지주 부착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지주는,
    상기 각 지주 부착부에 착탈 자유롭게 부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반출입 장치.
  6. 상기 지주 부착부는 상기 격납부가 다단으로 형성된 복수의 열에 1대1로 대응하도록 상기 배전반의 천장면에 마련되고,
    상기 지주는,
    상기 각 지주 부착부에 선택적으로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하부 지주와,
    해당 하부 지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하고, 길이 방향의 소정 위치에 상기 호이스팅 윈치를 부착 가능하게 한 윈치 부착부가 형성된 상부 지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5에 기재된 반출입 장치.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지는,
    상기 배전반의 상기 격납부와의 사이에 걸침 가능한 가대가 상기 프레임체 혹은 상기 시트부에 수납 취출 자유롭게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출입 장치.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지는,
    해당 케이지 자체를 상기 배전반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갖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배전반의 앞면에 맞닿음 자유롭게 한 지지구와,
    해당 지지구에 의해, 상기 케이지를 상기 배전반으로부터 소정 간격만큼 이격시킨 상태에서 상기 배전반측과 결합해서 상기 케이지를 유지하는 결합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출입 장치.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지는,
    상기 격납부내에 격납된 상기 전기기기를 인출하기 위한 권취 윈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출입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지는,
    상기 권취 윈치와 상기 전기기기를 연결하는 와이어를 안내하는 와이어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출입 장치.
  1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기기를, 상기 케이지에 수납한 상태에서 해당 케이지와 고정시키는 기기 고정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출입 장치.
  12.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지의 상기 시트부에, 전기기기에 마련한 복수의 캐스터 중, 적어도 1개의 캐스터가 드롭되는 오목부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출입 장치.
KR1020130103243A 2012-08-30 2013-08-29 반출입 장치 KR2014002929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190195 2012-08-30
JP2012190195A JP5578213B2 (ja) 2012-08-30 2012-08-30 搬出入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9299A true KR20140029299A (ko) 2014-03-10

Family

ID=49000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3243A KR20140029299A (ko) 2012-08-30 2013-08-29 반출입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156614B2 (ko)
EP (1) EP2704275B1 (ko)
JP (1) JP5578213B2 (ko)
KR (1) KR20140029299A (ko)
CN (1) CN103663230B (ko)
IN (1) IN2013CH0370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7065B1 (ko) * 2019-09-06 2021-02-17 엘에스일렉트릭(주) 배전반의 전력기기 인양 장치
KR20220001384U (ko) * 2020-12-07 2022-06-14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진공차단기 이송용 핸드 리프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8417B1 (ko) * 2013-04-30 2017-07-17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Hvdc 밸브 타워
KR101623347B1 (ko) * 2013-12-30 2016-06-07 주식회사 효성 초고압 직류 송전시스템의 모듈 인출장치
KR101645471B1 (ko) * 2014-08-05 2016-08-04 주식회사 효성 초고압 직류 송전시스템의 모듈 교체장치
CN104902715B (zh) * 2015-06-08 2017-09-12 苏州睿绮电子有限公司 一种提升式通信机箱
US11167924B2 (en) 2015-06-24 2021-11-09 HDS Mercury Inc. Shelving system and power transfer device
US20210147147A1 (en) * 2015-06-24 2021-05-20 Hds Mercury, Inc. Mobile robot interactions independent of localization data
US10689194B2 (en) * 2015-06-24 2020-06-23 Hds Mercury, Inc. Mobile robot loader-unloader system and method
EP3220413B1 (de) * 2016-03-15 2022-01-26 Integrated Dynamics Engineering GmbH Serviceeinrichtung
KR102145029B1 (ko) 2017-04-28 2020-08-14 엘에스일렉트릭(주) 서브모듈 슬라이딩장치
CN106973538A (zh) * 2017-05-16 2017-07-21 南京铁道职业技术学院 一种便于安装的电子通信机柜
CN107380873B (zh) * 2017-07-24 2019-01-22 滁州卷烟材料厂 一种防潮湿的瓦楞纸箱存放系统
IL256019B (en) * 2017-11-30 2019-03-31 Softenlift Ltd Surface protection equipment
WO2019192690A1 (en) * 2018-04-04 2019-10-10 Abb Schweiz Ag Arrangement comprising a compartment and a slide-in module
WO2019192689A1 (en) * 2018-04-04 2019-10-10 Abb Schweiz Ag Compartment for a withdrawable module
CN110329702B (zh) * 2019-07-30 2020-11-20 温州众鑫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组合式立体货架、及其自动装卸料机构
CN112125161B (zh) * 2020-09-27 2023-03-31 阳光电源股份有限公司 电池组用辅助工具
CN112830142B (zh) * 2021-01-06 2022-05-27 山东大学 一种仓储机器人
CN113895339B (zh) * 2021-10-09 2023-03-10 国网山东省电力公司德州供电公司 一种配网不停电的应急抢修旁路作业车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710402A (fr) * 1930-12-11 1931-08-22 Perfectionnements aux combustibles liquides pour moteurs
US1928420A (en) * 1932-02-04 1933-09-26 Ite Circuit Breaker Ltd Electrical switchboard structure
US2109304A (en) * 1937-06-15 1938-02-22 Elon A Ormsby Crane
US2547398A (en) * 1949-06-01 1951-04-03 Henry B Lee Rotary crane
JPS4935372B1 (ko) * 1970-12-05 1974-09-21
JPS518949B2 (ko) 1972-08-08 1976-03-22
US3964573A (en) * 1973-10-23 1976-06-22 I-T-E Imperial Corporation Circuit breaker elevator
JPS5185440A (ja) * 1975-01-20 1976-07-27 Hitachi Ltd Shadankidashiireyodaisha
JPS5831808B2 (ja) * 1977-11-09 1983-07-08 株式会社東芝 閉鎖配電盤
JPS54111638U (ko) * 1978-01-23 1979-08-06
US4265583A (en) * 1978-08-15 1981-05-05 General Electric Company Lift truck for facilitating insertion and removal of horizontal draw-out switchgear unit
JPS5736709U (ko) * 1980-08-12 1982-02-26
DE3305277A1 (de) * 1983-02-16 1984-08-16 Ing. Günter Knapp GmbH & Co. KG, Graz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selbsttaetigen ein- und auslagern von stueckgut
JPS6110010U (ja) * 1984-06-21 1986-01-21 株式会社明電舎 しや断器用移動台車
JPH0540075Y2 (ko) * 1987-07-10 1993-10-12
JPH0615442Y2 (ja) * 1988-03-08 1994-04-20 三菱電機株式会社 配電盤等への機器取付け装置
JPH03120610U (ko) 1990-03-22 1991-12-11
JPH0524606U (ja) * 1991-09-05 1993-03-30 村田機械株式会社 天井走行車の昇降台機構
US5211526A (en) * 1992-02-28 1993-05-18 Larry Robinette Mobile crane
JPH089519A (ja) * 1994-06-23 1996-01-12 Fuji Electric Co Ltd 配電盤の内装機器搬出入方法及びその装置
US6041949A (en) * 1999-04-29 2000-03-28 Eaton Corporation Overhead lifter for electrical switching apparatus
US8628289B1 (en) * 2003-05-06 2014-01-14 Charles E. Benedict Material handling and storage/warehouse system
JP2007055697A (ja) * 2005-08-22 2007-03-08 Kobelco Contstruction Machinery Ltd ジブクレーン
JP3120610U (ja) 2006-01-27 2006-04-13 株式会社島津製作所 小型コレステロール測定装置
JP2007312452A (ja) * 2006-05-16 2007-11-29 Nishishiba Electric Co Ltd 配電盤
US20110255940A1 (en) * 2010-04-20 2011-10-20 Wildfeuer Jeffrey T Cartridge-type-loading transit case system and method for loading electronic racks in a receiver rack
CN201781203U (zh) * 2010-08-30 2011-03-30 荥阳市电业局 刀闸检修起吊装置
KR101090186B1 (ko) * 2011-05-27 2011-12-06 한신전기주식회사 중량물 교체용 인양기구를 구비한 배전반
CN102515033A (zh) * 2011-12-29 2012-06-27 温州电力局 一种闸刀瓷瓶单钩起吊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7065B1 (ko) * 2019-09-06 2021-02-17 엘에스일렉트릭(주) 배전반의 전력기기 인양 장치
WO2021045338A1 (ko) * 2019-09-06 2021-03-11 엘에스일렉트릭(주) 배전반의 전력기기 인양 장치
KR20220001384U (ko) * 2020-12-07 2022-06-14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진공차단기 이송용 핸드 리프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663230A (zh) 2014-03-26
IN2013CH03703A (ko) 2015-04-24
EP2704275B1 (en) 2016-03-09
EP2704275A1 (en) 2014-03-05
JP5578213B2 (ja) 2014-08-27
US20140064889A1 (en) 2014-03-06
US9156614B2 (en) 2015-10-13
JP2014050186A (ja) 2014-03-17
CN103663230B (zh) 2016-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29299A (ko) 반출입 장치
JP5879155B2 (ja) ガスタービン上の補助コンパートメントからのトルクコンバータ及び始動モータの取外し装置
CN105460807B (zh) 全地面起重机
CN109422194B (zh) 水下设备投放及回收吊篮
US11970371B2 (en) Crane and cable drum unit for same
US9056748B2 (en) Lifting system and method
KR20120020437A (ko) 케이블 드럼용 받침대
CN205916159U (zh) 一种电池箱搬运车
JP5269140B2 (ja) ケーブルドラムシステム
US8474633B2 (en) Methods of removing a torque converter and a starting motor from an auxiliary compartment of a gas turbine
JP2012218941A (ja) 制御盤起立装置
CN220334730U (zh) 一种探测器组件存储容器翻转装置
CN216180419U (zh) 一种建筑电气设备检修用辅助装置
CN218862212U (zh) 充电方舱
CN111874802B (zh) 电力设备吊装机构
CN113335558B (zh) 一种遥测型小型无人机风压测试系统
CN212919349U (zh) 建筑电气设备施工装置
CN208719699U (zh) 天线起伏增高装置
CN212687422U (zh) 一种便携式吊装器
CN203805952U (zh) 多功能运输车
CN212581379U (zh) 一种物流运输用货物起重装置
CN219078945U (zh) 一种用于电气施工用的升降吊杆
CN209617196U (zh) 电子设备运输装置
JP2006224857A (ja) タンク保管台
KR20100127914A (ko) 권선 케이블 설비용 이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