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8417B1 - Hvdc 밸브 타워 - Google Patents

Hvdc 밸브 타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8417B1
KR101758417B1 KR1020130048597A KR20130048597A KR101758417B1 KR 101758417 B1 KR101758417 B1 KR 101758417B1 KR 1020130048597 A KR1020130048597 A KR 1020130048597A KR 20130048597 A KR20130048597 A KR 20130048597A KR 101758417 B1 KR101758417 B1 KR 1017584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module
valve
hvdc
tower
cr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85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30316A (ko
Inventor
김영우
정용호
이욱화
백승택
정택선
권준범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485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8417B1/ko
Priority to EP14162262.1A priority patent/EP2800133B1/en
Priority to ES14162262.1T priority patent/ES2586715T3/es
Priority to US14/255,655 priority patent/US9331485B2/en
Priority to JP2014092315A priority patent/JP5952335B2/ja
Priority to CN201410177946.5A priority patent/CN104135167B/zh
Publication of KR201401303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03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84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84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36Arrangements for transfer of electric power between ac networks via a high-tension dc link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003Constructional details, e.g. physical layout, assembly, wiring or busbar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05K7/1422Printed circuit boards receptacles, e.g. stacked structures, electronic circuit modules or box like frames
    • H05K7/1427Housings
    • H05K7/1432Housings specially adapted for power drive units or power converters
    • H05K7/14339Housings specially adapted for power drive units or power converters specially adapted for high voltage ope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60Arrangements for transfer of electric power between AC networks or generators via a high voltage DC link [HVC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Rectifiers (AREA)
  • Inverter Devices (AREA)
  • Details Of Valves (AREA)
  • Direct Current Feeding And Distribu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HVDC 밸브 타워는, 실린더 형상의 밸브 모듈 적재부; 및 상기 밸브 모듈 적재부의 중앙에 위치하는 크레인을 포함한다.

Description

HVDC 밸브 타워{HVDC VALVE TOWER}
본 발명은 HVDC 밸브 타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초고압 직류 전송 시스템(HVDC)에 사용되는 밸브 모듈이 실린더 형상(cylindrical shape)으로 상하로 적층되어 형성되는 HVDC 밸브 타워에 관한 것이다.
초고압 직류 전송 시스템(HVDC: High Voltage Direct Current Transmission System)은 발전소에서 발전되는 고압의 교류 전력을 전력 변환기를 이용하여 직류로 변환시켜 송전한 후 다시 교류로 변환하여 공급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HVDC 전송 시스템 방식은 전력 손실이 적고 교류에 비해 전압이 낮아 절연이 쉬우며, 또한 유도 장애가 적어 송전탑의 크기와 높이를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전압이나 주파수가 다른 두 교류 계통 사이를 연결해 계통의 안정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교류 계통 고장 시 인접 연결 계통으로 사고가 확산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HVDC 전송 시스템은 신재생 에너지의 전력 시스템 연계 방안, 특히 대규모 해상풍력 발전단지의 전력 전송에 이용된다.
교류 전력을 직류로 변환시키는 초고압 직류 송전 변환소(HVDC substation)에는 교류를 직류로 변환시키기 위한 AC/DC 변환 장치가 구비된다.
상기 AC/DC 변환 장치는 밸브 모듈이라고 불리기도 하는 것으로(이하 밸브 모듈이라 한다.), 전류형 HVDC 시스템에서는 AC/DC 변환 장치로 사이리스터 밸브를 사용하며, 전압형 HVDC 시스템에서는 AC/DC 변환 장치로 IGBT 소자를 사용한다.
HVDC 시스템에서는, 송전 용량에 따라 다수의 밸브 모듈이 수직 방향으로 적층되어 밸브 타워를 구성한다.
이러한 밸브 타워는 지진과 같은 환경적 위험 요소로부터 밸브 모듈을 보호하기 위하여,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환소 내부 천장에 고정될 수 있다.
도1은 종래 밸브 타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1을 참조하면, 다수의 밸브 모듈(10)이 지지 애자(20)에 의하여 상호 연결되어 적층됨으로써 밸브 타워를 구성함을 알 수 있다.
밸브 모듈(10)은 정기적인 점검이나 고장 수리를 위하여 밸브 타워로부터 분리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 그런데, 다수의 밸브 모듈(10)이 직렬로 연결되므로, 특정 밸브 모듈(10)을 분리하기 위해서 일부 또는 전체 밸브 모듈을 밸브 타워에서 분리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다. 즉, 최상위 밸브 모듈(10)을 분리하는 경우, 최하위의 밸브 모듈로부터 순차적으로 분리하여야 하므로, 하나의 밸브 모듈을 분리하기 위해서 전체 밸브 모듈을 밸브 타워에서 분리하여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도2는 종래 또 다른 밸브 타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2를 참조하면, 다수의 밸브 모듈(10)이 지지 애자에 의하여 상호 연결되어 적층됨으로써 밸브 타워를 구성하고 있다.
이 경우, 밸브 모듈(10)을 밸브 타워로부터 분리하기 위해서는, 천장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움직이는 호이스트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킨 다음, 호이스트를 작동시켜 원하는 밸브 모듈(10)을 픽업하여 분리해 내어야 한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상기와 같은 밸브 타워는 비교적 넓은 면적에 걸쳐 다수개가 설치되므로, 천장 전체에 걸쳐 호이스트가 이동 가능한 레일이 설치되어야 하만 하여, 설비 투자비가 증가할 수 밖에 없다는 한계가 있다. 또한, 호이스트를 원하는 위치까지 이동시킨 다음 작업을 수행해야 하므로, 작업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설비 투자 비용을 줄임과 동시에, 작업 시간을 단축하고,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HVDC 밸브 타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HVDC 밸브 타워는, 실린더 형상의 밸브 모듈 적재부; 및 상기 밸브 모듈 적재부의 중앙에 위치하는 크레인을 포함한다.
상기 밸브 모듈 적재부는, 상하로 배치되는 복수의 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밸브 모듈 적재부는, 상하로 배치되는 복수의 바닥 프레임과, 상기 바닥 프레임에 방사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딩부와, 상기 슬라이딩부에 배치되는 밸브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부는, 상기 바닥 프레임에 고정되는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에 의해 가이드되며 방사상으로 이동 가능한 이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밸브 모듈은 상기 이동부 상에 재치될 수 있다.
상기 이동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제1 절개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바닥 프레임에는 상기 밸브 모듈에 대응되는 부분에 상하로 관통되는 제2 절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HVDC 밸브 타워에 적재된 밸브 모듈의 인출 및 장착이 용이해진다. 따라서, 밸브 모듈의 점검, 수리, 및 교체가 용이해진다.
또한, 변환소 건축을 위한 설비 투자 비용을 저감할 수 있게 되며, 상하로 높이 쌓더라도 분리 및 장착 작업이 용이하여, 열악한 지형 조건에서도 공간 제약 없이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1은 종래의 HVDC 밸브 타워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2는 종래의 HVDC 밸브 타워의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HVDC 밸브 타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4는 도3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5a 내지 도5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HVDC 밸브 타워의 작동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HVDC 밸브 타워의 구성을 자세히 설명한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HVDC 밸브 타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4는 도3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4를 참조하여, HVDC 밸브 타워에 설치되는 밸브 모듈(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한 후, 도3 및 도4를 참조하여 HVDC 밸브 타워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HVDC 밸브 타워에서 후술하는 이동부(222)와 밸브 모듈 (100) 하나가 인출된 모습을 확대 도시하고 있다. 상기 밸브 모듈(100)은 교류를 직류로 변환시키기 위한 것으로, 전류형 HVDC 시스템에서는 사이리스터 밸브가 사용되며, 전압형 HVDC 시스템에서는 IGBT 소자가 사용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HVDC 밸브 타워를 구성하는 밸브 모듈(100)은 사이리스터 밸브일 수도 있으며, IGBT 소자를 이용하는 밸브일 수도 있다.
도4를 참조하면, 밸브 모듈(100)은 대략 직육면체의 외형을 갖는 케이스와, 그 내부에 내장되는 여러 전기 부품들을 포함한다. 상기 밸브 모듈(100)의 케이스에는 2개의 냉각수 출입구(110)가 구비된다. 2개의 냉각수 출입구(110) 중 어느 하나는 냉각수가 유입되는 냉각수 유입구(111)이며, 다른 하나는 밸브 모듈(100) 내부를 순환한 냉각수가 배출되는 냉각수 배출구(112)이다.
이때, 상기 냉각수 출입구(110)는 외측 단부 근방에서 케이스의 상면에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냉각수 출입구(110)가 반드시 케이스의 상면에 구비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밸브 모듈 적재부의 방사방향(放射方向, radial direction)을 향하는 외측면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외측면의 좌우 양측에 구비되는 좌우 양 측면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어느 경우든 외측 단부의 근방에 구비되는 것이, 유지 보수 측면에서 유리하다. 밸브 모듈(100)의 정기적 점검, 수리 또는 교환을 위해서는, 해당 밸브 모듈(100)을 외부로 인출해 내야 한다. 그리고, 인출 전에 상기 냉각수 출입구(110)에 연결되는 냉각수 순환 배관(400)을, 상기 냉각수 출입구(110)로부터 분리해야 한다. 이 때, 상기 냉각수 출입구(110)가 외측 단부 근방에 위치하는 것이, 작업에 유리하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밸브 모듈(100)의 상부에는 크레인 고정부(120)가 구비된다. 상기 크레인 고정부(120)는 크레인(300)의 후크 또는 고리 부분과 결합 가능한 부분이다.
또한, 상기 밸브 모듈(100)의 하부에는 하방을 향해 돌출되는 돌기부(130)가 구비된다. 상기 돌기부(130)는 후술하는 이동부(222)의 오목부에 삽입되어, 밸브 모듈(100)이 이동부(222) 상에 안정적으로 위치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도3 및 도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HVDC 밸브 타워는, 소정 높이와 폭을 갖는 링 형상의 밸브 모듈 적재부(200)와, 상기 밸브 모듈 적재부(200)의 중앙 부분에 배치되는 크레인(300)과, 밸브 모듈(100)의 냉각을 위한 냉각수 순환 배관(400)을 포함한다.
이들 각각의 구성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상기 밸브 모듈 적재부(200)는, 상하로 적층되는 복수의 층으로 이루어지며, 각 층은 바닥 프레임(210)과, 상기 바닥 프레임(210)에 방사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딩부(220)를 포함한다.
상기 바닥 프레임(210)은, 중앙 부분이 절개된 대략 원판 형상을 갖는다. 상기 바닥 프레임은, 다수의 밸브 모듈(100)을 지지해야 하므로, 큰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고강성의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바닥 프레임(210)의 상부에는 슬라이딩부(220)가 결합된다. 상기 슬라이딩부(220)는 상기 바닥 프레임(210)의 상면에 고정되는 가이드부(221)와, 상기 가이드부(221)에 대하여 방사 방향(radial direction)을 따라 상대 이동하는 이동부(222)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부(221)는 평행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레일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부(222)는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한 쌍의 바 타입 부재일 수도 있다.
상기 이동부(222)의 중앙에는 상하로 관통되는 제1 절개부(222a, 도5d 참조)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절개부(222a)는 한 쌍의 바 타입 부재 사이의 이격된 공간이다. 상기 제1 절개부(222a)는 밸브 모듈(100)에서 발생하는 열을 효과적으로 방열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때, 이동부(222)를 구성하는 한 쌍의 바 타입 부재 사이의 폭은 상기 밸브 모듈(100)의 폭 보다 작아야 한다. 그래야만, 밸브 모듈(100)이 이동부(222) 위에 올려질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이동부(222)에는 상방을 향해 오목하게 개구되는 오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 오목부는 밸브 모듈(100)의 하방으로 돌출되는 돌기부(130)가 삽입되는 부분으로, 상기 밸브 모듈(100)이 이동부(222) 상에 안정적으로 위치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이동부(222)는, 한 쌍의 바 타입 부재 대신, 상기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판상의 부재일 수도 있다. 이때, 이동부(222)의 중앙 부분은 상하로 관통되는 형상으로 절개될 수 있으며, 이 절개된 부분이 제1 절개부(222a)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절개부(222a)는 전술한 바와 같이, 밸브 모듈(100)에서 발생하는 열을 효과적으로 방열하기 위한 구성이다.
한편, 상기 바닥 프레임(210)에는 상기 밸브 모듈(100)에 대응되는 부분의 일부 또는 전부가 상하로 관통되는 형상으로 절개된 제2 절개부(211, 도3 참조)가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밸브 모듈(100)이 올려진 이동부(222)가 상기 바닥 프레임(210)의 연직 상방향에 위치하도록 이동한 상태에서, 상기 밸브 모듈(100)이 위치하는 부분의 하방에 상기 제2 절개부(211)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이동부(222)가 바닥 프레임(210)의 내측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상기 제1 절개부(222a)와 상기 제2 절개부(211)는 서로 중첩(overlap)된다. 따라서, 사이리시터 밸브 모듈(100) 하부를 통해 전달되는 열은 상기 제1 절개부(222a) 및 상기 제2 절개부(211)를 통해 방열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밸브 모듈 적재부(200)의 중앙에는 크레인(300)이 설치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밸브 모듈 적재부(200)는 중공의 실린더 형상을 가지므로, 이 중공의 부분에 크레인(300)을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크레인(300)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크레인(300)의 암의 횡방향 길이는 상기 밸브 모듈 적재부(200)의 반지름의 길이보다 더 크다.
상기와 같은 구조 하에서, 어느 하나의 이동부(222)가 바닥 프레임(210)의 외측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면, 이동부(222)와 함께 밸브 모듈(100)이 외측으로 인출되며, 이 인출된 밸브 모듈(100)은 상기 크레인(300)에 의해 견인되어 상부로 들어 올려지고, 크레인(300)이 상기 밸브 모듈(100)을 견인한 상태에서 소정 각도 회전하여 상기 밸브 모듈(100)이 상기 이동부의 연직 상방으로부터 비켜나게 한 다음, 상기 밸브 모듈(100)을 지면으로 하강시켜, 수리 또는 교체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냉각수 순환 배관(400)은 상기 밸브 모듈 적재부(200)외 외주면을 따라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냉각수 순환 배관(400)은 상하로 연장되는 입수관(410)과, 상기 입수관(410)에 평행하게 상하로 연장되는 출수관(420)과, 단부가 상기 입수관(410) 또는 상기 출수관(420)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며 원형으로 연장되는 순환관(430)을 포함한다.
상기 순환관(430)은 상하로 다수개가 배치되며, 가장 위쪽에 위치하는 순환관(431)은 일단이 상기 입수관(410)에 연결되고, 타단은 막힌 상태로 유지되며, 그 바로 아래에 위치하는 순환관(432)은 일단이 상기 출수관(420)에 연결되고, 타단이 막힌 상태로 유지된다.
이하, 상기 순환관(430) 중 일단이 상기 입수관(410)에 연결되는 순환관을 입수 순환관(431)이라 하고, 상기 순환관(430) 중 일단이 상기 출수관(420)에 연결되는 순환관을 출수 순환관(432)이라 한다. 즉, 상기 순환관(430)은 입수 순환관(431)과 출수 순환관(432)을 포함한다. 상기 입수 순환관(431)과 상기 출수 순환관(432)은 상하로 교대로 배치된다.
상기 입수 순환관(431)과 상기 출수 순환관(432) 각각으로부터는 다수의 연결관(440)이 분지된다. 다수의 연결관(미도시) 중 상기 입수 순환관(431)으로부터 분지되는 관은 밸브 모듈(100)의 유입구(111)에 연결되며, 다수의 연결관(미도시) 중 상기 출수 순환관(432)으로부터 분지되는 관은 밸브 모듈(100)의 배출구(112)에 연결된다.
따라서 입수관(410)을 통해 공급되는 냉각수는 여러 개의 입수 순환관(431)으로 공급되며, 입수 순환관(431)을 통과하는 동안 다수의 연결관(미도시) 및 냉각수 유입구(111)를 거쳐 상기 밸브 모듈(100) 내부로 유입된다.
밸브 모듈(100) 내부로 유입된 냉각수는 밸브 모듈(100) 내부를 순환하며 열 교환을 하고, 밸브 모듈(100)의 냉각수 배출구(112)를 통해 배출되며, 연결관(미도시)을 거쳐 출수 순환관(432)으로 배출된다. 상기 출수 순환관(432)으로 배출된 냉각수는 출수관(42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입수관(410)에는 밸브(451)가 구비될 수 있으며, 출수관(420)에도 밸브(452)가 구비될 수 있다.
이하, 도5a 내지 도5d를 참조하여, HVDC 타워로부터 밸브 모듈(100)을 분리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5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초기 상태에서, 수리, 점검 또는 교체하고자 하는 밸브 모듈(100)이 특정되면, 일단 입수관(410)에 설치된 밸브(451)를 잠그고, 출수관(420)은 개방된 상태를 유지시킨다.
이러한 상태로 냉각수를 모두 배수시킨 다음, 밸브 모듈(100)과 연결된 연결관(430)을 분리한다. 즉, 상기 밸브 모듈(100)의 냉각수 유입구(111) 및 냉각수 배출구(112)로부터 냉각수 순환 배관의 연결관(미도시)을 분리한다.
그런 다음, 도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레인(300)을 회전시켜 크레인(300)의 암이 인출해야 하는 밸브 모듈(100)의 방사상으로의 연장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위치에 오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도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 모듈(100)을 외측으로 빼 낸다. 밸브 모듈(100)에 외측으로 힘을 가하면, 이동부(222)가 상기 가이드부(221)에 의해 가이드되며 외측으로 이동하고, 그에 따라 상기 밸브 모듈(100)이 외측으로 인출된다. 그런 상기 밸브 모듈(100)의 크레인 고정부(120)를 연결한다.
상기 밸브 모듈(100)이 연결되면 상기 크레인(300)은 상기 밸브 모듈(100)을 연직 상방으로 조금 들어 올린 다음, 소정 각도로 회전한다. 상기 밸브 모듈(100)을 지면 또는 특정한 높이로 이동시킬 때, 상기 밸브 모듈(100)의 하강이 상기 이동부(222)에 의해 간섭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런 다음, 도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밸브 모듈(100)을 지면 또는 특정 작업 높이까지 이동시킨 다음, 수리, 점검 또는 교체를 행하게 된다.
한편, 위에서는, 상기 크레인(300)으로 상기 밸브 모듈(100)을 들어 올린 다음, 크레인(300)을 소정 각도로 회전시킨 후에, 상기 밸브 모듈(100)을 하강시키는 방법을 설명하였으나, 이와는 달리 상기 크레인(300)으로 상기 밸브 모듈(100)을 들어 올린 다음, 크레인(300)을 회전시키는 것 대신 이동부(222)를 안쪽으로 밀어 넣고, 그 상태에서 연직 하방으로 밸브 모듈(100)을 그대로 하강 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작업이 끝난 밸브 모듈(100) 또는 교체할 새 밸브 모듈(100)을 다시 밸브 모듈 적재부(200)에 결합시키기 위해서는, 앞서 설명한 각각의 작업 단계를 반대로 수행하면 된다.
우선, 밸브 모듈(100)을 크레인(300)에 연결한 다음, 크레인(300)이 상기 밸브 모듈(100)을 승강시키도록 한다.
설치되어야 하는 위치 이상으로 승강시킨 다음, 크레인(300)을 회전 시켜, 밸브 모듈(100)이 설치되어야 하는 이동부의 연직 상방에 위치하도록 한다.
그 상태에서, 크레인(300)이 상기 밸브 모듈(100)을 하강시키도록 하며, 상기 밸브 모듈(100)이 이동부(222) 상에 안착되면, 상기 크레인(300)과 상기 밸브 모듈(100) 사이의 결합을 해제시킨다.
그리고, 상기 밸브 모듈(100)을 내측으로, 즉 중심 방향으로 가압하여, 이동부(222)가 상기 가이드부(221)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안쪽으로 이동하게 한다.
상기 밸브 모듈(100)이 제 위치에 다다르면, 냉각수 순환 배관의 연결관(430)을 상기 밸브 모듈(100)의 냉각수 유입구(111) 및 냉각수 배출구(112)에 연결한다.
그런 다음, 상기 입수관(410)에 연결된 밸브(451)를 열어, 냉각수가 순환하도록 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밸브 모듈 110: 냉각수 출입구
111: 냉각수 유입구 112: 냉각수 배출구
120: 크레인 고정부 130: 돌기부
200: 밸브 모듈 적재부 210: 바닥 프레임
220: 슬라이딩부 221: 가이드부
222: 이동부 222a: 제1 절개부
300: 크레인 400: 냉각수 순환 배관
410: 입수관 420: 출수관
430: 순환관 431: 입수 순환관
432: 출수 순환관 451,452: 밸브

Claims (8)

  1. 바닥 프레임과 슬라이딩부로 구성된 층이 상하로 복수개 적층된 원통 형상의 밸브 모듈 적재부;
    상기 밸브 모듈 적재부에 적재되는 밸브 모듈; 및
    상기 밸브 모듈 적재부의 적층된 층들 중 최상부 층의 중앙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하는 크레인을 포함하고,
    상기 크레인은 상기 밸브 모듈과 연결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딩부는 반경 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상기 바닥 프레임에 연결되며,
    상기 밸브 모듈은 상기 슬라이딩부에 위치되는
    HVDC 밸브 타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 프레임에 고정되는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에 의해 가이드되며 방사상으로 이동 가능한 이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밸브 모듈은 상기 이동부 상에 재치되는
    HVDC 밸브 타워.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한 쌍의 바 형태로 구성되는
    HVDC 밸브 타워.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판상 부재로 구성되는
    HVDC 밸브 타워.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제1 절개부가 구비되는
    HVDC 밸브 타워.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 프레임에는 상기 밸브 모듈에 대응되는 부분에 상하로 관통되는 제2 절개부가 형성되는
    HVDC 밸브 타워.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절개부는 서로 중첩되도록 위치되는
    HVDC 밸브 타워.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모듈의 상측에 크레인이 연결될 수 있는 크레인 고정부가 제공되는
    HVDC 밸브 타워.
KR1020130048597A 2013-04-30 2013-04-30 Hvdc 밸브 타워 KR1017584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8597A KR101758417B1 (ko) 2013-04-30 2013-04-30 Hvdc 밸브 타워
EP14162262.1A EP2800133B1 (en) 2013-04-30 2014-03-28 Hvdc valve tower
ES14162262.1T ES2586715T3 (es) 2013-04-30 2014-03-28 Torre de válvula de HVDC
US14/255,655 US9331485B2 (en) 2013-04-30 2014-04-17 HVDC valve tower
JP2014092315A JP5952335B2 (ja) 2013-04-30 2014-04-28 Hvdcバルブタワー
CN201410177946.5A CN104135167B (zh) 2013-04-30 2014-04-29 Hvdc 换流阀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8597A KR101758417B1 (ko) 2013-04-30 2013-04-30 Hvdc 밸브 타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0316A KR20140130316A (ko) 2014-11-10
KR101758417B1 true KR101758417B1 (ko) 2017-07-17

Family

ID=50440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8597A KR101758417B1 (ko) 2013-04-30 2013-04-30 Hvdc 밸브 타워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331485B2 (ko)
EP (1) EP2800133B1 (ko)
JP (1) JP5952335B2 (ko)
KR (1) KR101758417B1 (ko)
CN (1) CN104135167B (ko)
ES (1) ES2586715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88950A (ja) 2014-10-30 2016-05-23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赤色蛍光体
JP5868561B1 (ja) 2015-04-06 2016-02-24 三菱電機株式会社 電力変換装置
US10122292B2 (en) * 2015-05-28 2018-11-06 Nr Electric Co., Ltd Converter valve
DE102016221405A1 (de) 2016-10-31 2018-05-03 Siemens Aktiengesellschaft Elektrische Einrichtung und Verfahren zu deren Wartung
KR102145029B1 (ko) 2017-04-28 2020-08-14 엘에스일렉트릭(주) 서브모듈 슬라이딩장치
KR102017264B1 (ko) 2017-09-12 2019-09-02 장재성 휠 결합형 접이식 휠체어
CN111969634A (zh) * 2019-05-20 2020-11-20 南京南瑞继保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阀塔加固结构
KR102304939B1 (ko) 2019-08-01 2021-09-24 장재성 가변형 휠체어
CN113131759A (zh) * 2020-01-15 2021-07-16 许继集团有限公司 一种换流阀阀塔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807271A (en) * 1965-10-20 1969-02-25 Paul Evans, Jr. Semiconductor converter with cooling and shielding means
US4002243A (en) * 1974-12-11 1977-01-11 Stanspec Co. Jib crane
JPS5785581A (en) * 1980-11-14 1982-05-28 Hitachi Ltd Maintenance device for thyristor valve
JPS61188304A (ja) 1985-02-14 1986-08-22 Kumahira Safe Co Inc 貸金庫設備
US5106255A (en) * 1990-10-04 1992-04-21 Motoda Electronics Co., Ltd. Posture adjusting mechanism of cargo handling device for use in cargo trucks
US5083395A (en) * 1991-05-02 1992-01-28 Daniels Angela F Crab cage and pole apparatus
JPH06311728A (ja) * 1993-04-21 1994-11-04 Mitsubishi Electric Corp サイリスタバルブ
JPH06343267A (ja) * 1993-05-31 1994-12-13 Toshiba Corp サイリスタバルブ
JPH07176687A (ja) * 1993-12-20 1995-07-14 Toshiba Corp サイリスタバルブ
JP4034709B2 (ja) * 2003-08-08 2008-01-16 東芝三菱電機産業システム株式会社 電力変換装置
JP4535251B2 (ja) 2004-08-23 2010-09-01 Hoya株式会社 磁気ディスク用潤滑剤の製造方法
JP4643611B2 (ja) 2007-05-21 2011-03-02 東芝三菱電機産業システム株式会社 電力変換装置
JP5578213B2 (ja) * 2012-08-30 2014-08-27 株式会社安川電機 搬出入装置
US9166383B2 (en) * 2014-02-25 2015-10-20 Eaton Corporation Load center and switchgear mounting assembly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4220993A (ja) 2014-11-20
US20140321095A1 (en) 2014-10-30
EP2800133A1 (en) 2014-11-05
KR20140130316A (ko) 2014-11-10
CN104135167A (zh) 2014-11-05
ES2586715T3 (es) 2016-10-18
US9331485B2 (en) 2016-05-03
CN104135167B (zh) 2017-05-31
JP5952335B2 (ja) 2016-07-13
EP2800133B1 (en) 2016-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8417B1 (ko) Hvdc 밸브 타워
US10302070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servicing wind turbine components through a lower portion of a tower
TWI662186B (zh) Construction method of offshore windmill, offshore windmill and offshore wind power generation equipment
US10119523B2 (en) Method for moving wind turbine components and a transport system for moving wind turbine components
US10138865B2 (en) Method for moving wind turbine components and transport system for moving wind turbine components
US9617751B2 (en) Wind turbine tower section, a wind turbine having such tower section and method for forming such tower section
US10968897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servicing wind turbine components through a lower portion of a tower
CN205634808U (zh) 一种电力抢修升降台
CN211201270U (zh) 一种储能集装箱底架及储能集装箱
KR20130075778A (ko) 풍력 에너지 설비의 변압기를 교체하기 위한 방법
CN103956763B (zh) 柔性直流换流站
JP2023503908A (ja) 風力タービン用のナセル
US20220145611A1 (en) Platform for stacking containers as housings of components of an energy conversion system, and energy conversion system
KR20140130317A (ko) Hvdc 밸브 타워의 냉각수 순환 시스템
KR101295070B1 (ko) 초고압 직류송전시스템의 밸브모듈 적층구조 및 방법
CN104612908A (zh) 风电塔筒平台及风电塔筒
KR20160139286A (ko) 통신 및 보안시설 기능을 겸비한 승강기능을 갖춘 하이브리드 풍력발전시스템
CN103924565A (zh) 一种海上升压站及其施工方法
US20160300655A1 (en) Site Replacement Of Internal Saturable Reactors Of A Rectifier Power Transformer
CN106481512B (zh) 风力发电机组及用于更换其机舱内的设备的方法
CN205312922U (zh) 1000kV串补设备修试专用起吊工具
CN204928596U (zh) 光伏逆变器可调节磁环盒
US20180214997A1 (en) Assembly method for dc converter valve
CN205141485U (zh) 一种柔直模块拆卸装置
EP3631968A1 (en) Hvdc modular platform desig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