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5471B1 - 초고압 직류 송전시스템의 모듈 교체장치 - Google Patents

초고압 직류 송전시스템의 모듈 교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5471B1
KR101645471B1 KR1020140100222A KR20140100222A KR101645471B1 KR 101645471 B1 KR101645471 B1 KR 101645471B1 KR 1020140100222 A KR1020140100222 A KR 1020140100222A KR 20140100222 A KR20140100222 A KR 20140100222A KR 101645471 B1 KR101645471 B1 KR 1016454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replacement
guide
rail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02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16321A (ko
Inventor
김준성
정홍주
박정수
이두영
최종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효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526406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645471(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효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효성
Priority to KR10201401002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5471B1/ko
Priority to EP15829961.0A priority patent/EP3179589B1/en
Priority to US15/501,764 priority patent/US10038311B2/en
Priority to BR112017001997A priority patent/BR112017001997A2/pt
Priority to PCT/KR2015/007064 priority patent/WO2016021841A1/ko
Publication of KR201600163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63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54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54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00Circuit arrangements for dc mains or dc distribution networks
    • H02J1/10Parallel operation of dc sour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3Bases or fee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6Accessories, e.g. window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8Mounting of cabinets togeth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2Mounting of devices therein
    • H02B1/34Racks
    • H02B1/36Racks with withdrawable un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00Circuit arrangements for dc mains or dc distribution networks
    • H02J1/001Hot plugging or unplugging of load or power modules to or from power distribu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verter Device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초고압 직류 송전시스템의 모듈 교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구조물(1)의 고정베이스(10)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서브모듈(30)을 구조물(1)의 외부로 인출하여 교체하도록 교체베이스(40)를 지지부재(70)를 사용하여 상기 구조물(1)에 설치한다. 상기 교체베이스(40)의 베이스판(42)의 후단을 상기 구조물(1)의 절연지지부(9)에 걸어지게 하고, 상기 교체베이스(40)의 선단을 상기 구조물(1)의 일측에 걸어주는 지지부재(70)로 지지한다. 상기 지지부재(70)에는 턴버클(74)이 구비되어 교체베이스(40)가 수평으로 설치되도록 조절할 수 있게 한다. 상기 교체베이스(40)의 후단에는 구조물(1)에 설치된 고정베이스(10)의 고정레일(16)을 상기 교체베이스(40)의 안내레일(51)과 일치시키기 위한 레일연결안내구(62)가 구비된다. 상기 레일연결안내구(62)에는 레일슬롯(64)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레일(16)을 상기 안내레일(51) 측으로 안내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교체베이스(40)를 구조물(1)에 용이하고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어 모듈(30)의 교체가 쉽고 안전하게 이루어지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초고압 직류 송전시스템의 모듈 교체장치{Module exchanging apparatus for HVDC system}
본 발명은 초고압 직류 송전시스템의 모듈 교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높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서브모듈의 유지보수 작업을 위해 구조물에서 서브모듈을 인출하여 교체하도록 하는 초고압 직류 송전시스템의 모듈 교체장치에 관한 것이다.
초고압 직류 송전시스템(High Voltage Direct Current system: HVDC system)은 발전소에서 생산되는 교류전력을 직류로 변환시켜 송전한 이후, 수전점에서 교류로 재변환시켜 전력을 공급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초고압 직류 송전시스템은 교류송전방식에 비해 손실이 적어 송전효율이 좋고 계통분리를 통한 안정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유도장해가 적어 장거리 전력송전에 유리한 송전방식이다.
이와 같은 초고압 직류 송전시스템에는 다수개의 서브모듈이 10미터에 이르는 높이를 가지고 다수개의 층으로 이루어진 컨버터모듈이라는 구조물에 설치된다. 이와 같은 서브모듈은 200kg 이상의 중량물이어서, 서브모듈을 유지보수하기 위해서는 고공용 사다리차를 이용하여야 하는 등의 불편한 점이 있다. 컨버터모듈과 같은 변전설비에서는 천정크레인을 설치할 수 없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고공용 사다리차를 사용한다.
이와 같이 고공용 사다리차를 사용하는 경우에, 중량물인 서브모듈을 고공용 사다리차에 옮기는 것은 고층의 구조물에서는 매우 위험하고 어려운 작업이다. 일반적으로 고공용 사다리차는 유압으로 동작되는 것이므로, 적재용량이 서브모듈의 무게보다 크다 하더라도 중량물에 의한 갑작스런 하중인가는 고공사다리차의 무게중심이 급작스럽게 변하게 만들어 안전성에 문제가 많다.
그리고, 구조물에서 서브모듈을 고공사다리차로 이동시키는 작업은 서브모듈의 중량을 고려할 때, 작업자에게는 매우 어렵고 위험한 일이다. 특히, 고공사다리차 상에서 중량물인 서브모듈을 구조물에서 인출하여 싣는 작업은 힘들고 위험하다.
대한민국 등록 특허 제10-1288679호 대한민국 등록 특허 제10-1295070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초고압 직류 송전시스템의 모듈의 유지보수를 위해 구조물에서 고공사다리차로 옮겨 싣는 것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초고압 직류 송전시스템의 구조물에 설치된 상태에서 구조물 외측으로 모듈을 인출하여 교체하는 초고압 직류 송전시스템의 모듈 교체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의 절연지지부에 후단부가 안착되고 선단부가 상기 구조물의 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모듈이 인출되어 안착되는 교체베이스와, 상기 교체베이스의 선단 측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구조물에 타단부가 연결되어 상기 교체베이스를 수평이 되게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교체베이스는, 폭방향 양단에 측벽이 형성되는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의 후단 양측에 구비되어 상기 구조물에 설치된 고정베이스가 상기 베이스판의 내측으로 안내되도록 하는 연결안내부와, 상기 베이스판의 폭방향 양측에 나란히 연장되어 형성되어 상기 모듈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레일을 포함한다.
상기 교체베이스의 후단은 상기 구조물의 절연지지부에 걸어져 구조물의 전방과 내측으로의 양방향 이동이 규제된다.
상기 베이스판의 후단에는 상기 절연지지부에 지지되어 상기 교체베이스가 구조물의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규제하는 제1걸이구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안내부를 구성하는 안내부바닥의 후단에는 상기 절연지지부에 지지되어 상기 교체베이스가 구조물의 외부로 나오는 것을 규제하는 제2걸이구가 형성된다.
상기 안내레일의 후단에 해당되는 상기 베이스판에는 레일슬롯이 형성된 레일연결안내구가 구비되어 상기 구조물에 설치된 고정베이스의 고정레일이 상기 안내레일과 일치하도록 안내한다.
상기 연결안내부는 상기 베이스판에서 연장된 안내부바닥과 상기 안내부바닥에서 절곡되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판에 형성된 측벽에서 연장되는 안내부측벽이 구비되는데, 상기 안내부측벽에는 상기 측벽에서 경사지게 연장되는 확장부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부재는 적어도 일단에 연결고리가 구비되는 와이어로 구성되고, 상기 지지부재의 일단에는 턴버클이 구비되어 상기 교체베이스의 설치상태가 수평이 되도록 한다.
상기 교체베이스에는 수평계가 더 설치된다.
본 발명에 의한 초고압 직류 송전시스템의 모듈 교체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교체베이스를 구조물에 설치함에 있어서, 후단을 구조물의 절연지지부에 걸어서 교체베이스가 구조물의 전방이나 내부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면서 동시에 지지부재를 사용하여 교체베이스의 선단을 지지하므로 초고압 직류 송전시스템의 구조물에서 모듈을 쉽게 교체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교체베이스의 후단에 연결안내부를 두었으므로, 교체베이스를 구조물에 설치된 고정베이스와 결합하는 것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교체베이스의 후단에 구조물의 고정베이스에 있는 고정레일과 교체베이스의 안내레일을 일치시키기 위한 레일슬롯을 구비하는 레일연결안내구를 설치하였으므로, 고정레일과 안내레일이 쉽게 일치되어 모듈의 인출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지지부재에 턴버클을 연결하여 사용하고 교체베이스에 수평계를 두어 교체베이스를 수평상태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하였으므로, 높은 위치에서 중량물인 모듈을 보다 안전하게 취급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초고압 직류 송전시스템의 모듈 교체장치의 바람직한 실시례가 구조물에 채용된 것을 보인 측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례를 구성하는 교체베이스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시례를 구성하는 교체베이스를 보인 평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구조물에 설치되는 서브모듈, 이동베이스 및 교체베이스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실시례에서 레일연결안내구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실시례의 구성을 측면에서 보인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례의 교체장치를 사용하여 서브모듈을 교체하는 것을 보인 작업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는 초고압 직류 송전시스템의 모듈중에서 서브모듈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초고압 직류 송전시스템의 구조물(1)이 지면에서 직립되게 설치된다. 상기 구조물(1)은 컬럼프레임부재(3)가 지면에서부터 직립되게 다수개가 설치되고, 상기 컬럼프레임부재(3)를 연결하도록 바닥프레임부재(5)가 지면에 대해서 평행하게 구비된다. 상기 바닥프레임부재(5)중 일부는 상기 구조물(1)의 선단에 위치하도록 되는데, 이를 선단프레임부재(7)라고 하기로 한다.
상기 구조물(1)은 다수개의 층으로 되어 있는데,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4개의 층으로 구성된다. 상기 각각의 층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서브모듈(30)이 설치된다. 상기 각각의 층에는 바닥프레임부재(5) 상에 절연지지부(9)가 구비된다. 상기 절연지지부(9)는 상기 구조물(1)과 서브모듈(30)사이가 절연이 되도록 하는 것으로, 실리콘 재질의 매트가 상기 절연지지부(9) 상에 설치된다.
상기 절연지지부(9) 상에는 고정베이스(10)가 고정되어 설치된다. 상기 고정베이스(10)의 구성은 도 4에 잘 도시되어 있다. 상기 고정베이스(10)는 대략 직사각형의 바닥판(12)의 양측에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측벽(1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바닥판(12) 상에는 고정레일(16)이 상기 고정베이스(10)의 전후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고정레일(16)은 한쌍이 상기 고정베이스(10)의 바닥판(12)의 폭방향으로 소정 거리 떨어져 나란히 연장된다.
상기 바닥판(12)의 선단에는 선단벽(18)이 형성되는데, 상기 고정레일(16)이 있는 부분에는 상기 선단벽(18)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이는 아래에서 설명될 이동베이스(20)의 이동롤러(24)가 상기 선단벽(18)에 간섭받지 않고 상기 고정레일(16)을 따라 아래에서 설명될 교체베이스(40)의 안내레일(51)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고정베이스(10) 상에는 이동베이스(20)가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이동베이스(20)의 구성도 도 4에 잘 도시되어 있는데, 상기 이동베이스(20)는 이동베이스프레임(22)이 골격을 형성한다. 상기 이동베이스프레임(22)은 대략 사각형상으로 만들어지는데, 폭방향 양측에 다수개의 이동롤러(24)가 설치되어 있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일측에 3개의 이동롤러(24)가 있다. 상기 이동베이스(20)의 선단에 있는 선단부재(26)에는 손잡이(28)가 구비되어 작업자가 이동베이스(20)를 고정베이스(10)를 따라 쉽게 이동시키도록 한다.
상기 이동베이스(20)의 일측에는 스톱퍼공(29)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톱퍼공(29)은 이동베이스(20)를 상기 고정베이스(10)나 아래에서 설명될 교체베이스(40)에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스톱퍼공(29)을 관통한 고정바(도시되지 않음)가 상기 고정베이스(10)나 교체베이스(40)에 삽입됨에 의해 고정이 이루어진다.
상기 이동베이스(20) 상에는 서브모듈(30)이 설치된다. 상기 서브모듈(30)은 크게 파워부(32)와 커패시터부(34)로 나눠진다. 도면부호 36은 서브모듈(30)의 디스플레이부(36)이고, 38은 파워부(32)와 커패시터부(34)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신호연결부이다. 참고로, 상기 파워부(32)는 다양한 전력용 반도체와 각종 제어보드가 설치되어 있는 부분이다.
다음으로, 상기 서브모듈(30)을 상기 구조물(1)에서 빼내어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구조물(1)의 각 층에서 서브모듈(30)를 빼내기 위해서는 교체베이스(40)가 사용된다. 상기 교체베이스(40)는 평면도로 볼 때 대략 직사각형으로,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다.
상기 교체베이스(40)의 골격을 베이스판(42)이 형성하는데, 상기 베이스판(42)은 직사각형의 판형상이다. 상기 베이스판(42)의 일측에는 수평계(43)가 설치된다. 상기 수평계(43)는 상기 베이스판(42)이 수평으로 된 것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내부에 물이 들어 있어 물의 상태로 수평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베이스판(42)에는 다수개의 개구부(44)가 형성된다. 상기 개구부(44)는 교체베이스(40)의 무게를 최소화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판(42)의 폭방향 양단을 따라서는 측벽(46)이 형성된다. 상기 측벽(46)은 상기 베이스판(42)의 폭방향 양단을 직각으로 절곡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측벽(46)이 형성됨으로 인해 상기 베이스판(42) 상의 공간이 외부와 어느 정도 구획된다. 상기 측벽(46)의 상단에서 절곡되어서 보강절곡부(48)가 형성된다. 상기 보강절곡부(48)는 상기 측벽(46)의 상단에서 각각 직각으로의 절곡이 2회에 걸쳐 이루어져 형성된다. 상기 보강절곡부(48)의 선단부는 상기 측벽(46)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나란히 마주보게 된다. 상기 보강절곡부(48)가 형성되어 있음으로 해서 상기 측벽(46)의 강도가 보강된다.
상기 베이스판(42)의 선단에는 선단벽(50)이 형성된다. 상기 선단벽(50)은 양측의 측벽(46)을 연결한다. 상기 선단벽(50)은 상기 베이스판(42) 상에서 상기 서브모듈(30)이 더 이상 앞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베이스판(42)의 저면에는 레그바(52)가 설치된다. 상기 레그바(52)는 본 실시례에서는 2개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상기 레그바(52)에는 이동바퀴(53)가 설치된다. 상기 이동바퀴(53)에 의해 상기 교체베이스(40)에 서브모듈(30)을 장착한 상태로 쉽게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판(42)에는 고정공(54)이 천공되어 있다. 상기 고정공(54)은 상기 서브모듈(30)이 안착된 이동베이스(30)를 교체베이스(40)에 고정하도록 하는 것이다. 즉, 상기 이동베이스(30)에 형성된 스톱퍼공(29)과 일체하게 된 상태에서 고정바를 관통시키면 이동베이스(30)를 교체베이스(40)에 고정시키는 것이다.
상기 베이스판(42)의 후단 양측에는 연결안내부(56)가 있다. 상기 연결안내부(56)는 교체베이스(40)를 상기 구조물(1)에 위치시킬 때, 상기 고정베이스(20)의 선단이 상기 베이스판(42)의 후단으로 원활하게 안내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연결안내부(56)에는 상기 베이스판(42)에서 연장된 안내부바닥(57)이 있고, 상기 안내부바닥(57)에서 직교하게 절곡되어 안내부측벽(58)이 형성된다. 상기 안내부측벽(58)에서 일부는 상기 측벽(46)의 연장방향에 대해서 경사지게 연장되어 양측의 안내부측벽(58) 사이의 거리가 점차적으로 커지도록 한다. 이 부분, 즉 상기 안내부측벽(58)의 측벽(46)의 연장방향에 대해서 경사지게 연장되는 부분을 확장부(60)라 한다.
상기 베이스판(42)의 후단에서 상기 안내레일(51)의 단부에 해당되는 위치에는 레일연결안내구(62)가 있다. 상기 레일연결안내구(62)는 상기 고정베이스(20)의 고정레일(16)이 상기 안내레일(51)과 정확하게 일치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레일연결안내구(62)에는 레일슬롯(64)이 형성된다. 상기 레일슬롯(64)은 상기 레일연결안내구(62)를 관통하여 형성되어 끝부분에 상기 안내레일(51)이 위치된다. 상기 레일슬롯(64)은 그 입구부(66)가 상대적으로 폭이 넓게 형성된다. 상기 입구부(66)는 레일슬롯(64)의 내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져 레일슬롯(64)으로 상기 고정레일(16)이 정확하게 안내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베이스판(42)의 후단부에는 제1걸이구(68)가 있다. 상기 제1걸이구(68)는 상기 베이스판(42)의 후단부가 절곡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1걸이구(68)는 상기 절연지지부(9)에 걸어져 교체베이스(40)가 구조물(1)의 내측으로 더 이상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연결안내부(56)의 후단에는 제2걸이구(69)가 형성된다. 상기 제2걸이구(69)는 상기 안내부바닥(57)의 후단부가 절곡되어 형성된다. 물론, 상기 제1걸이구(68)나 제2걸이구(69)가 베이스판(42)이나 안내부바닥(57)과는 별개로 만들어져 고정될 수도 있다. 상기 제2걸이구(69)는 상기 절연지지부(9)에 걸어져 교체베이스(40)가 구조물(1)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교체베이스(40)가 상기 구조물(1)의 전방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수평을 유지하면서 있도록 하기 위해서 지지부재(70)를 사용한다. 상기 지지부재(70)는 도 4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에 연결고리(72)가 구비된 와이어를 사용한다. 상기 연결고리(72)는 일측이 상기 구조물(1)의 바닥프레임부재(5)에 걸어지게 된다. 상기 연결고리(72)는 원터치식으로 동작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카라비나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연결고리(72)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70)의 일측 단부에는 턴버클(74)이 구비된다. 상기 턴버클(74)은 상기 지지부재(70)와 함께 상기 교체베이스(40)가 지지되는 상태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턴버클(74)은 회전조작에 의해 그 길이가 신축되면서 상기 교체베이스(40)가 정확하게 수평상태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턴버클(74)은 일측이 상기 레그바(52)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지지부재(70)에 연결되어 상기 교체베이스(40)의 위치를 조절하게 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초고압 직류 송전시스템의 모듈 교체장치가 사용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교체베이스(40)는 교체하고자 하는 서브모듈(30)이 있는 구조물(1) 상의 위치에 장착된다. 즉, 상기 교체베이스(40)의 베이스판(42) 후단을 교체하고자 하는 서브모듈(30)이 있는 위치의 고정베이스(10)와 대응되는 위치에 있게 한다.
상기 교체베이스(40)의 제1걸이구(68)와 제2걸이구(69) 사이에 상기 절연지지부(9)가 위치되게 하면서, 상기 연결안내부(56)의 사이로 상기 고정베이스(10)의 선단이 들어가도록 한다. 상기 고정베이스(10)의 선단이 상기 연결안내부(56)의 사이로 들어가면서 상기 교체베이스(40)의 레일연결안내구(62)의 입구부(66)에 상기 고정베이스(10)의 고정레일(16)이 안내된다. 상기 고정레일(16)이 입구부(66)를 통해 상기 레일슬롯(64)의 내부로 들어가면, 상기 레일슬롯(64)의 끝부분에서 상기 안내레일(51)의 끝부분과 만나게 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고정레일(16)과 안내레일(51)이 만나게 되어 상기 서브모듈(30)이 장착된 이동베이스(20)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상기 교체베이스(40)를 지지부재(70)로 구조물(1)에 지지되도록 한다. 특히, 상기 지지부재(70)는 상기 교체베이스(40)의 선단 측에 일단부 측이 연결되어 교체베이스(40)를 지지하게 된다. 상기 교체베이스(40)의 선단 측에 있는 레그바(52)의 양단에 각각 일단부가 걸어진 턴버클(74)에 상기 지지부재(70)의 일측 연결고리(72)가 걸어지게 하고, 타측 연결고리(72)는 구조물(1)에 걸어지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턴버클(74)을 조작하여 상기 교체베이스(40)가 수평이 되도록 한다. 상기 교체베이스(40)가 수평이 되도록 하는 것은 상기 턴버클(74)을 조작하면서 상기 수평계(43)를 확인하면 된다.
상기 교체베이스(40)가 수평으로 된 상태에서는 상기 베이스판(42)의 후단부가 상기 구조물(1)의 절연지지부(9) 상에 안착되고 걸어지므로, 교체베이스(40)가 구조물(1)의 전방이나 후방으로 이동될 수 없다. 특히, 상기 제1걸이구(68)와 제2걸이구(69)가 상기 절연지지부(9)의 선단과 후단에 각각 위치하므로 상기 제1걸이구(68)가 상기 절연지지부(9)에 걸어져 구조물(1)의 후방, 즉 내측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되고, 상기 제2걸이구(69)가 상기 절연지지부(9)에 걸어져 구조물(1)의 전방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교체베이스(40)가 상기 구조물(1)에 정확하게 설치되고 나면, 상기 서브모듈(30)을 상기 교체베이스(40) 상으로 이동시킨다. 즉, 상기 손잡이(28)를 사용하여 상기 이동베이스(20)를 이동시켜, 이동베이스(20)에 장착된 서브모듈(30)이 이동되게 하는 것이다. 상기 이동베이스(20)의 이동롤러(24)가 상기 고정베이스(10)의 고정레일(16)과 교체베이스(40)의 안내레일(51)을 따라 이동하면, 상기 서브모듈(30)이 최종적으로 상기 교체베이스(40)로 이동한다.
상기 교체베이스(40)로 상기 이동베이스(20)가 완전히 이동하면, 상기 이동베이스(20)의 스톱퍼공(29)을 관통하여 고정바가 상기 교체베이스(40)의 고정공(54)에 일부 삽입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하면, 상기 이동베이스(20)가 상기 교체베이스(40)에 고정되어 임의로 이동하지 않게 된다.
참고로, 상기 교체베이스(40)의 길이는 상기 서브모듈(30)의 파워부(32)와 커패시터부(34) 모두를 안착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파워부(32)만을 교체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상기 파워부(32)를 상기 교체베이스(40) 상에 위치되도록 이동시킨 상태에서 상기 커패시터부(34)에서 분리하여 교체베이스(40)만을 교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작업이 이루어지는 것이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참고로, 상기 지지부재(70)를 구성하는 와이어의 양단 모두에 연결고리(72)가 있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적어도 일단부에 연결고리(72)가 있으면 되며, 상기 턴버클(74)의 위치는 반드시 지지부재(70)와 교체베이스(40) 사이가 아니어도 된다. 예를 들면, 지지부재(70)의 중간부에 있거나 지지부재(70)와 구조물(1)의 사이에 있어도 된다.
1: 구조물 3: 컬럼프레임부재
5: 바닥프레임부재 7: 선단프레임부재
9: 절연지지부 10: 고정베이스
12: 바닥판 14: 측벽
16: 고정레일 18: 선닥벽
20: 이동베이스 22: 이동베이스프레임
24: 이동롤러 26: 선단부재
28: 손잡이 29: 스톱퍼공
30: 서브모듈 32: 파워부
34: 커패시터부 36: 디스플레이부
38: 신호연결부 40: 교체베이스
42: 베이스판 43: 수평계
44: 개구부 46: 측벽
48: 보강절곡부 50: 선단벽
51: 안내레일 52: 레그바
53: 이동바퀴 54: 고정공
56: 연결안내부 57: 안내부바닥
58: 안내부측벽 60: 확장부
62: 레일연결안내구 64: 레일슬롯
66: 입구부 68: 제1걸이구
69: 제2걸이구 70: 지지부재
72: 연결고리 74: 턴버클

Claims (8)

  1. 초고압 직류 송전시스템의 구조물에 설치된 상태에서 구조물 외측으로 모듈을 인출하여 교체하는 초고압 직류 송전시스템의 모듈 교체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의 절연지지부에 후단부가 안착되고 선단부가 상기 구조물의 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모듈이 인출되어 안착되는 교체베이스와,
    상기 교체베이스의 선단 측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구조물에 타단부가 연결되어 상기 교체베이스를 수평이 되게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교체베이스는, 폭방향 양단에 측벽이 형성되는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의 후단 양측에 구비되어 상기 구조물에 설치된 고정베이스가 상기 베이스판의 내측으로 안내되도록 하는 연결안내부와, 상기 베이스판의 폭방향 양측에 나란히 연장되어 형성되어 상기 모듈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레일을 포함하는 초고압 직류 송전시스템의 모듈 교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교체베이스의 후단은 상기 구조물의 절연지지부에 걸어져 구조물의 전방과 내측으로의 양방향 이동이 규제되는 초고압 직류 송전시스템의 모듈 교체장치.


  3. 삭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의 후단에는 상기 절연지지부에 지지되어 상기 교체베이스가 구조물의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규제하는 제1걸이구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안내부를 구성하는 안내부바닥의 후단에는 상기 절연지지부에 지지되어 상기 교체베이스가 구조물의 외부로 나오는 것을 규제하는 제2걸이구가 형성되는 초고압 직류 송전시스템의 모듈 교체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레일의 후단에 해당되는 상기 베이스판에는 레일슬롯이 형성된 레일연결안내구가 구비되어 상기 구조물에 설치된 고정베이스의 고정레일이 상기 안내레일과 일치하도록 안내하는 초고압 직류 송전시스템의 모듈 교체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안내부는 상기 베이스판에서 연장된 안내부바닥과 상기 안내부바닥에서 절곡되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판에 형성된 측벽에서 연장되는 안내부측벽이 구비되는데, 상기 안내부측벽에는 상기 측벽에서 경사지게 연장되는 확장부가 구비되는 초고압 직류 송전시스템의 모듈 교체장치.
  7. 제 1 항, 제 2 항, 제 4 항, 제 5 항,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적어도 일단에 연결고리가 구비되는 와이어로 구성되고, 상기 지지부재의 일단에는 턴버클이 구비되어 상기 교체베이스의 설치상태가 수평이 되도록 하는 초고압 직류 송전시스템의 모듈 교체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교체베이스에는 수평계가 더 설치되는 초고압 직류 송전시스템의 모듈 교체장치.
KR1020140100222A 2014-08-05 2014-08-05 초고압 직류 송전시스템의 모듈 교체장치 KR1016454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0222A KR101645471B1 (ko) 2014-08-05 2014-08-05 초고압 직류 송전시스템의 모듈 교체장치
EP15829961.0A EP3179589B1 (en) 2014-08-05 2015-07-08 Module replacement device for a high voltage direct current transmission system
US15/501,764 US10038311B2 (en) 2014-08-05 2015-07-08 Module replacement device of high voltage direct current transmission system
BR112017001997A BR112017001997A2 (pt) 2014-08-05 2015-07-08 aparelho de substituição de módulo
PCT/KR2015/007064 WO2016021841A1 (ko) 2014-08-05 2015-07-08 초고압 직류 송전시스템의 모듈 교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0222A KR101645471B1 (ko) 2014-08-05 2014-08-05 초고압 직류 송전시스템의 모듈 교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6321A KR20160016321A (ko) 2016-02-15
KR101645471B1 true KR101645471B1 (ko) 2016-08-04

Family

ID=55264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0222A KR101645471B1 (ko) 2014-08-05 2014-08-05 초고압 직류 송전시스템의 모듈 교체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038311B2 (ko)
EP (1) EP3179589B1 (ko)
KR (1) KR101645471B1 (ko)
BR (1) BR112017001997A2 (ko)
WO (1) WO201602184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41724B2 (en) 2017-04-28 2018-11-27 Lsis Co., Ltd. Apparatus of sliding submodu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6221405A1 (de) * 2016-10-31 2018-05-03 Siemens Aktiengesellschaft Elektrische Einrichtung und Verfahren zu deren Wartung
CN107134728A (zh) * 2017-05-23 2017-09-05 国网四川省电力公司阿坝供电公司 便于移动的直流电源系统
CN108493815A (zh) * 2018-03-21 2018-09-04 特变电工新疆新能源股份有限公司 一种柔直换流阀塔子模块更换装置及更换方法
AT521276B1 (de) * 2018-05-25 2019-12-15 Miba Energy Holding Gmbh Halte- und Austauschvorrichtung und Verfahren für Leistungsbaugruppen
KR102068495B1 (ko) * 2018-09-11 2020-02-11 (주)새명산전 Hvdc&statcom 밸브
US11165228B2 (en) * 2019-09-11 2021-11-02 Schneider Electric USA, Inc. Dynamic track end stop
FR3110032B1 (fr) * 2020-05-05 2022-06-10 Socomec Sa Procede d’installation d’un module de commutation dans une armoire electrique, kit d’installation et module de commutation correspondants
KR102434870B1 (ko) * 2020-08-19 2022-08-22 엘에스일렉트릭(주) 모듈 설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모듈형 멀티 레벨 컨버터
CN112582904B (zh) * 2020-12-09 2021-12-17 新沂市五联电气科技有限公司 一种组合式交流低压配电柜
CN112928633B (zh) * 2021-03-18 2022-10-21 安徽长龙电气集团有限公司 配电箱柜
CN114629029A (zh) * 2022-03-01 2022-06-14 国网湖南省电力有限公司 一种强环境适应性的低电压治理装置及其安装、应用方法
FR3133724A1 (fr) * 2022-03-17 2023-09-22 Socomec Procédé d’insertion et d’extraction d’un module électrique lourd et volumineux dans une armoire électrique, et chariot de transfert permettant la mise en œuvre dudit procédé
KR102657623B1 (ko) * 2022-03-21 2024-04-15 엘에스일렉트릭(주) 정지형 무효전력 보상장치의 파워 팩 교체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8679B1 (ko) 2012-04-13 2013-07-22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Hvdc 시스템의 밸브 모듈 교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64573A (en) * 1973-10-23 1976-06-22 I-T-E Imperial Corporation Circuit breaker elevator
US4265583A (en) * 1978-08-15 1981-05-05 General Electric Company Lift truck for facilitating insertion and removal of horizontal draw-out switchgear unit
JP3090798B2 (ja) 1992-11-16 2000-09-25 株式会社東芝 サイリスタバルブ
JPH06343267A (ja) * 1993-05-31 1994-12-13 Toshiba Corp サイリスタバルブ
JPH07176687A (ja) 1993-12-20 1995-07-14 Toshiba Corp サイリスタバルブ
JPH08162609A (ja) 1994-12-06 1996-06-21 Toshiba Corp サイリスタバルブ
US20030221914A1 (en) * 2002-05-28 2003-12-04 Smith Paul L. Portable lift for rack mounting equipment
JP5565250B2 (ja) * 2010-09-30 2014-08-06 富士通株式会社 情報機器のラックへの搭載用治具および搭載方法
CN102163907B (zh) * 2011-01-28 2014-03-12 中国电力科学研究院 一种基于全控器件的电压源换流器基本功能单元
KR101295070B1 (ko) 2012-04-13 2013-08-08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초고압 직류송전시스템의 밸브모듈 적층구조 및 방법
JP5578213B2 (ja) * 2012-08-30 2014-08-27 株式会社安川電機 搬出入装置
KR20140003542U (ko) 2012-12-04 2014-06-1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용 슬라이딩 라이트 장치
US9108828B2 (en) * 2013-01-15 2015-08-1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Lift mechanism
CN103354232B (zh) * 2013-06-17 2015-08-26 许继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柔性直流输电的并联子模块
KR101623347B1 (ko) * 2013-12-30 2016-06-07 주식회사 효성 초고압 직류 송전시스템의 모듈 인출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8679B1 (ko) 2012-04-13 2013-07-22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Hvdc 시스템의 밸브 모듈 교체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41724B2 (en) 2017-04-28 2018-11-27 Lsis Co., Ltd. Apparatus of sliding submodu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7001997A2 (pt) 2018-03-06
EP3179589B1 (en) 2021-09-08
US10038311B2 (en) 2018-07-31
WO2016021841A1 (ko) 2016-02-11
US20170229845A1 (en) 2017-08-10
EP3179589A1 (en) 2017-06-14
KR20160016321A (ko) 2016-02-15
EP3179589A4 (en) 2018-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5471B1 (ko) 초고압 직류 송전시스템의 모듈 교체장치
KR101623347B1 (ko) 초고압 직류 송전시스템의 모듈 인출장치
US9169107B2 (en) Method and mounting system for mounting lift components
EP1477148B1 (en) A telescopic rail and carriage assembly for suspending a patient lift
KR20180103049A (ko) 대중 전기 수송 차량을 위한 재충전 스테이션, 및 이러한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설비
US9902289B2 (en) Transport facility and automated warehouse
KR20150058094A (ko) 조정 가능한 모듈 리프트 프레임 어셈블리
CN209383232U (zh) 拼装式轿顶伸缩护栏
JP2009234723A (ja) クレーン給電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210620017U (zh) 一种用于曳引式建筑施工升降机的可伸缩龙门架
CN106018081A (zh) 一种楼板加载设备
KR101426703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대차
US20160047165A1 (en) Ladder for mast assembly
KR20140004140U (ko) 화물차량용 화물 고정장치
KR101770230B1 (ko) 폼 트래블러
CN109911536A (zh) 一种阶梯用工程材料垂直运输设备
KR100932287B1 (ko) 작업대차 장치
CN219279215U (zh) 一种可伸缩站人平台
KR101222487B1 (ko) 승강장 스크린 도어모듈 설치 장치
CN201541096U (zh) 布线组件和交通运输设备
CN220104847U (zh) 一种框架结构及电池检测设备
US20230035519A1 (en) System for the transportation of loads and/or persons at height
JP2019504952A (ja) 軌道工事作業を行う軌道工事車両
KR20120006387A (ko) 대차유닛
SE2150411A1 (en) Installation for secure access to an upper part of a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5

Year of fee payment: 4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