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8094A - 조정 가능한 모듈 리프트 프레임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조정 가능한 모듈 리프트 프레임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8094A
KR20150058094A KR1020147018140A KR20147018140A KR20150058094A KR 20150058094 A KR20150058094 A KR 20150058094A KR 1020147018140 A KR1020147018140 A KR 1020147018140A KR 20147018140 A KR20147018140 A KR 20147018140A KR 20150058094 A KR20150058094 A KR 201500580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
module
beams
assembly
lift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81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울리히 헤르만 (릭)
야체크 오레아르츠크
Original Assignee
피씨엘 인더스트리얼 매니지먼트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씨엘 인더스트리얼 매니지먼트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피씨엘 인더스트리얼 매니지먼트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500580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80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22Rigid members, e.g. L-shaped members, with parts engaging the under surface of the loads; Crane hoo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12Slings comprising chains, wires, ropes, or bands; Nets
    • B66C1/16Slings with load-engaging platforms or frame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모듈 리프트 어셈블리는, 수평 횡 스프레더 바에 의해 분리된 제1 및 제2 멀티포인트 어댑터 플레이트들을 포함하는 리프트 어셈블리; 수평 횡 버팀대에 의해 분리된 제1 및 제2 종 방향 리프트 빔들을 포함하는 리프트 프레임; 제1 멀티포인트 어댑터 플레이트를 제 1 리프트 빔과 접속하고 제2 멀티포인트 어댑터 플레이트를 제2 리프트 빔과 접속하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복수의 슬링들; 각각 제1 및 제2 리프트 빔들에 슬라이딩되게 부착된 복수의 슬라이더 어셈블리들과, 모듈에 부착하기 위한 새클을 포함하는 슬라이더 어셈블리들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조정 가능한 모듈 리프트 프레임 어셈블리{ADJUSTABLE MODULE LIFT FRAME ASSEMBLY}
본 발명은 가변 수의 리프트 포인트들(lift points), 모듈 길이와 폭의 범위 및 중심을 벗어난 중력중심(center of gravity)을 가진 모듈들(modules)을 수용하기위해 편리하게 조정 가능한 모듈 리프트 프레임(module lift frame)에 관한 것이다.
중공업플랜트들, 특히 역청, 중유 및 석유화학 공업들에서 중공업플랜트들이 점점 더 조립식 모듈들(pre-fabricated modules)을 사용하여 건설되고 있다. 표준 모듈은 구조적 스틸 프레임(structural steel frame)을 포함하고, 너비 20피트, 길이 80 내지 120 피트 및 높이 24피트, 무게범위 50 내지 160 미터톤을 가질 수 있다.
종래, 이러한 모듈들은 도 1(종래기술)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크레인과 리깅 어셈블리들(rigging assemblies)을 사용하여 리프트되고 설치된다. 그러나, 모듈의 중력중심이 모듈의 물리적 중심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어서, 모듈이 리깅 구성요소에서 거의 동등한 장력으로 리프트 되도록 리깅이 조절되어야 한다. 많은 수의 스프레더 바들(spreader bars), 슬링들(slings), 및 새클들(shackles)은 많은 수의 잠재적 핀치 포인트들(potential pinch points)을 도입하는데, 이들 각각은 잠재적인 손상부위를 가진다. 리깅의 복잡성 때문에 모듈의 중력중심 및 픽 포인트(pick point) 구성들을 조정하는 동안 지루한 지연들이 야기된다. 리깅이 모듈에 단단함(stiffness)을 주지 않으므로 부등하게 적재된 모듈들에 내에 큰 스트레스들을 유발한다.
그러므로 상기 종래 기술의 어려움들을 완화시키는 모듈 리프트 프레임 기술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조정 가능한 모듈 리프트 프레임 어셈블리 및 상기 모듈을 리프팅 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하나의 양상에서, 본 발명은 모듈 리프트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모듈 리프트 어셈블리는:
a) 수평 횡 스프레더 바(a horizontal transverse spreader bar)에 의해 분리된 제1 및 제2 멀티포인트 어댑터 플레이트들(multipoint adapter plates)을 포함하는 리프트 어셈블리;
b) 수평 횡 버팀대에 의해 분리된 제1 및 제2 종 방향 리프트 빔들(longitudinal lift beams)을 포함하는 리프트 프레임;
c) 제1 멀티포인트 어댑터 플레이트(multipoint adapter plate)를 제1 리프트 빔(lift beam)과 접속하고 제2 멀티포인트 어댑터 플레이트를 제2 리프트 빔과 접속하는 복수의 슬링들(slings)로서, 각각은 길이조절 부재(a member of adjustable length)를 포함하는, 상기 복수의 슬링들; 및
d) 복수의 슬라이더 어셈블리들로서, 각각은 제1 및 제2 리프트 빔에 슬라이딩되게 부착된 제1 단부와, 모듈에 부착하기 위한 새클을 포함하는 제2 단부를 포함하는, 상기 복수의 슬라이더 어셈블리들을 포함한다.
또 다른 양상에서, 본 발명은 상기 모듈을 리프팅 하는 방법으로 두 개의 종 방향, 이격된 리프트 빔들을 가지는 모듈 리프트 어셈블리를 이용하여 중력중심(center-of-gravity; COG)을 가진 모듈을 리프팅 하는 방법을 포함하고, 상기 모듈을 리프팅 하는 방법은:
a) 상기 리프트 빔들에 부착된 슬라이더 어셈블리들(slider assemblies)을 사용하여 상기 리프트 빔들에 상기 모듈을 부착하는 단계; 및
b) 상기 모듈의 중력중심이 상기 리프트 어셈블리 아래 가운데에 올 때까지 종 방향으로 상기 슬라이더 어셈블리들을 슬라이딩하고 상기 리프트 빔들의 상대적 수직위치(relative vertical positions)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 기술의 어려움들을 완화시킬 수 있는 조절 가능한 모듈 리프트 어셈블리 및 상기 모듈을 리프팅 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면에서, 같이 유사한 요소들에 유사한 숫자들이 부여되었다. 도면은 반드시 일정한 비례에 따르는 것이 아니며, 대신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강조되었다. 추가로, 묘사된 각각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본개념을 사용하는 많은 가능한 구성들 중 하나일 뿐이다. 도면들은 간략하게 다음과 같이 설명된다.
도 1은 종래 기술 모듈 리프트 리깅의 도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모듈 리프트 어셈블리의 한 구체예를 보여준다.
도 3은 도 2의 자세한 설명으로, 멀티포인트 어댑터 플레이트의 한 실시예를 보여준다.
도 4는 슬링들의 한 실시예와 리프트 빔 사이의 부착을 위한 길이조절 부재의 한 실시예를 보여준다.
도 5는 슬라이더 어셈블리의 한 실시예를 보여준다.
도 6은 오프셋 중력중심(offset center of gravity)을 가진 모듈을 위한 슬라이더 어셈블리들의 조절의 측면도를 보여준다.
도 7은 오프셋 중력중심을 가진 모듈을 위한 슬링 어셈블리들의 길이조절 하기 전 어셈블리의 단면도를 보여준다.
본 발명은 조절이 가능한 모듈 리프트 프레임 어셈블리와 관련된다. 본 발명을 설명할 때, 여기에 규정되지 않은 모든 용어들은 주지 관용기술에서 알려진 의미들을 갖는다. 다음의 설명이 이 발명의 특정 실시예 또는 특별한 이용에 관한 것인 경우, 그 설명은 단지 예시하려는 것이고, 청구되는 발명을 제한하려는 것은 아니다. 다음 설명은, 첨부된 청구항들에 규정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정신, 범위에 포함된 모든 대안들, 변형들, 및 등가물들을 커버한다.
도 1에서 보여진 바와 같이, 종래 기술 리깅 어셈블리는 종 및 횡 방향 둘 다에 방향지어진 스프레더 바들을 포함한다. 중심에 있지 않은 중력중심(COG)을 수용하기 위한 리깅 조절은 여러 가지 리깅 구성요소들의 다중 조절들을 관련시 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모듈(M) 리프트 프레임 어셈블리는:
a)횡 스프레더 바(14)에 의해 분리된 제1 및 제2 멀티포인트 어댑터 플레이트들(10,12)을 포함하는 상부 리프트 어셈블리;
b) 횡 버팀대(24) 및 대각 버팀대(26)에 의해 분리된 제1및 제2 종 방향 리프트 빔들(20,22)을 포함하는 리프트 프레임;
c) 제1 멀티포인트 어댑터 플레이트(10)를 제1 리프트 빔(20)에 접속하고 제2 멀티포인트 어댑터 플레이트(12)를 제2 리프트 빔(22)에 접속하는 복수의 슬링들(30)로서, 각각의 슬링은 길이조절 부재(40)를 포함하는, 상기 복수의 슬링들(30); 및
d) 복수의 슬라이더 어셈블리들(50)로서, 각각은 제1및 제2 리프트 빔(20,22) 중 하나에 슬라이딩 되게 부착된 제1 단부(52)와, 리프팅 되는 모듈(M)에 부착하기 위한 리프트 새클(56)을 포함하는 제2 단부(52)를 포함하는, 상기 복수의 슬라이더 어셈블리들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 리프트 어셈블리는 크레인 후크(Crane hook)(5)에 접속하고, 이것은 와이어 로프(wire rope)에 의해 상기 횡 스프레더 바(14)의 어느 한 단부에 부착된다. 제1 및 제2 멀티포인트 어댑터 플레이트들(10,12)은 상기 횡 스프레더 바(14)의 단부들에 배치된 리프트 이어들(lift ears)(101)에 부착된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각각의 멀티포인트 어댑터 플레이트(10,12)는 핀들(pins)과 볼트들(bolts)로 이격된 한 쌍의 평행 플레이트들(parallel plates)을 포함한다. 각각의 어댑터 플레이트는 리프트 이어(101)에 접속된 새클(102)을 수용하고 이로부터 매달리는 정점(apex)을 가진다. 복수의 슬링 부착물들(103)은, 도 3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정점의 반대쪽으로 아크 모양으로 배열되어있다.
리프트 프레임은 횡 버팀대(24) 및 대각 버팀대(26)에 의해 분리된 제1 및 제2 수평 종 방향 리프트 빔들(20,22)을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종 방향 리프트 빔들은 하부 플랜지(lower flange)를 가지는 I-빔들(I-beams) 혹은 더블 웹 빔들(double web beams)을 포함한다. 각각의 리프트 빔은 단일의 통합 빔(single unitary beam)을 포함할 수 있고, 혹은 멀티플 상호접속 리프트 빔들(multiple interconnected lift beams)을 포함할 수도 있다. 리프트 프레임은, 제1 멀티포인트 어댑터 플레이트(10)를 제1 리프트 빔(20)에 접속하는 복수의 슬링들(30) 및 제2 멀티포인트 어댑터 플레이트(12)를 제2 리프트 빔(22)에 접속하는 복수의 슬링들(30)에 의해 어댑터 플레이트들(10,12)에 접속된다. 각각의 슬링의 길이(30)는 중간 새클들(32) 혹은 커낵터 플레이트들(connector plates)과 상호 접속된 다수의 슬링 세그먼트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리프트 빔의 상부 표면에 부착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리프트 어셈블리는 제1 및 제2 어댑터 플레이트들과 및 리프트 빔들 사이에 동일하게 분배된 짝수의 슬링들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슬링들은 리프트 빔들의 길이를 따라 등거리 방식으로 간격을 두어, 고정된 위치들에 있는 리프트 빔들에 부착한다.
각각의 슬링들(30)은 적어도 하나의 길이조절 부재(40)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길이조절 부재(40)는 다양한 위치에서 제거가능 핀(removable pin)(46)으로 고정될 수 있는 신축형 막대(telescoping rod)(42) 및 튜브(44), 혹은 플랫바(flat bar) 및 직사각형 쉘 구성(rectangular shell arrangement)을 포함한다. 두 번째 길이조절이 상기 길이조절 부재(40)의 바로 위쪽 혹은 아래쪽 슬링에 접속될 수 있는 턴버클(turnbuckle)(48)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각 리프트 빔(20,22)의 각각의 하부 플랜지는 복수의 슬라이더 어셈블리들(50)을 지지하는 데, 이들 각각의 슬라이더 어셈블리들(50)은 리프트 빔(20,22) 하부 플랜지들에 슬라이딩하게 부착된 제1 단부(52) 및 리프트 새클(56)을 포함하는 제2 단부를 가진다. 상기 리프트 새클(56)은 리프트 되는 모듈(M)에의 접속을 제공한다.
이 분야에 통상의 지식이 있는 사람에게 분명하듯, 슬라이딩 어셈블리들의 수와 위치는 리프팅 되는 모듈(M)에 의존한다. 도 2에서 보여주는 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모듈(M)은 각각의 종 측을 따라 6개의 칼럼들(columns)을 포함하고, 그래서 각각의 리프트 빔에는 각각 칼럼에 접속하는 6개의 슬라이더 어셈블리들이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각각의 리프트 빔에 있는 슬라이더 어셈블리들은, 리프트 빔의 길이를 따라 조화되어 움직일 수 있도록 케이블들(58), 혹은 막대들에 의해 선형적으로 상호접속된다. 다시 말해서, 인접한 슬라이더 어셈블리들 사이의 거리는, 그들이 리프트 빔을 따라 움직일 때 일정하게 유지된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리프트 어셈블리는 상기 리프트 빔들(20,2)을 따라 복수의 다리들(legs)(70)을 포함할 수 있고, 그 위에 상기 리프트 어셈블리는 어셈블리가 사용되고 있지 않을 때 저장을 위해 얹혀있다. 이 다리들은 어셈블리의 사용을 방해하지 않는 위치에 영구적으로 부착될 수 있거나 혹은 분리될 수 있다.
도 2에서 설명하는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리프트 빔들(20,22)은 통합된 구성으로 되어있다. 대안의 실시예들에서, 리프트 빔들은, 리프트 빔들을 필요 혹은 요구에 따라 짧게 혹은 길게 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다중구성 조각 빔들(multi-component spliced beams) 일 수 있다.
가동할 때, 리프트 어셈블리는 모듈(M)의 COG를, 스프레더 바(14)의 중심점이 될, 상부 리프트 어셈블리와 (수직으로 정렬되어) 바로 아래 두도록 조절될 수 있다.
종 방향으로는, 이것은, 도 6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모듈의 COG가 제1 및 제2 어댑터 플레이트들의 정점과 수직으로 정렬될 때까지 각각의 리프트 빔을 따라 상기 슬라이딩 어셈블리들을 움직임으로써 성취될 수 있다.
횡 방향으로는, 이것은 각각의 리프트 빔을 따라 슬링들을 짧게 혹은 길게 함으로써 성취될 수 있다. 도 7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제1 어댑터 플레이트(10)와 제1 리프트 빔(20) 사이에 부착된 슬링들을 짧게 함으로써 및/또는 제2 어댑터 플레이트(12)와 제2 리프트 빔(22) 사이에 부착된 슬링들을 길게 함으로써, 모듈의 COG가 스프레더 바(14)의 중심점을 향해 움직일 수 있다. 다른 리프트 빔과 비교했을 때, 리프트 빔에 부착된 슬링들을 짧게 혹은 길게 하는 것은 리프트 빔의 상대적 수직 위치를 조정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 분야에 통상의 지식이 있는 사람에게 분명하듯, 앞의 특정한 개시의 다양한 변형들, 수정들, 및 변경들이 여기에 청구된 설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이루어질 수 있다.
M: 모듈 5: 크레인 후크
10: 멀티포인트 어댑터 플레이트 12: 멀티포인트 어댑터 플레이트
14: 스프레더 바 20: 리프트 빔
22: 리프트 빔 24: 횡 버팀대
26: 대각 버팀대 30: 슬링
32: 새클 40: 길이조절 부재
42: 신축형 막대 44: 튜브
46: 핀 48: 턴버클
50: 슬라이더 어셈블리 52: 제1 및 제2 단부
56: 리프트 새클 58: 케이블
70: 다리 101: 리프트 이어
102: 슬링 103: 슬링 부착물

Claims (7)

  1. 모듈 리프트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모듈 리프트 어셈블리는:
    a) 수평 횡 스프레더 바에 의해 분리된 제1 및 제2 멀티포인트 어댑터 플레이트들을 포함하는 리프트 어셈블리;
    b) 수평 횡 버팀대에 의해 분리된 제1 및 제2 종 방향 리프트 빔들을 포함하는 리프트 프레임;
    c) 제1 멀티포인트 어댑터 플레이트를 제1 리프트 빔과 접속하고 제2 멀티포인트 어댑터 플레이트를 제2 리프트 빔과 접속하는 복수의 슬링들로서, 각각은 길이조절 부재를 포함하는, 상기 복수의 슬링들; 및
    d) 복수의 슬라이더 어셈블리들로서, 각각은 제1 및 제2 리프트 빔에 슬라이딩되게 부착된 제1 단부와, 모듈에 부착하기 위한 새클을 포함하는 제2 단부를 포함하는, 상기 복수의 슬라이더 어셈블리들을 포함하는, 상기 모듈 리프트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슬링 길이조절 부재는,
    신축형 막대 또는 플랫바 및 튜브 또는 직사각형 쉘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상기 복수의 모듈 리프트 어셈블리.
  3. 제2항에 있어서, 각각의 슬링은,
    이차 길이조절을 위한 턴버클을 더 포함하는 상기 모듈 리프트 어셈블리.
  4.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멀티포인트 어댑터 플레이트들은,
    이격된 한 쌍의 플레이트들을 포함하고, 횡 스프레더 바에 부착을 위한 정점, 및 상기 복수의 슬링들을 위한 상기 정점의 반대쪽으로 아크 모양으로 배열된, 부착 포인트들을 포함하는, 상기 모듈 리프트 어셈블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슬라이더 어셈블리들은,
    하나의 리프트 빔을 따라 상호 접속되어 있는 상기 모듈 리프트 어셈블리.
  6. 두 개의 종 방향, 이격된 리프트 빔들을 가지는 모듈 리프트 어셈블리를 사용하여 중력중심(COG)을 가진 모듈을 리프팅 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a) 세로로 간격이 떨어져 있는 상기 리프트 빔들에 부착된 슬라이더 어셈블리들을 사용하여 상기 리프트 빔들에 상기 모듈을 부착하는 단계; 및
    b) 상기 모듈의 중력중심이 상기 리프트 어셈블리 아래 가운데에 올 때까지 종 방향으로 상기 슬라이더 어셈블리들을 슬라이딩하고 상기 리프트 빔들의 상대적 수직위치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모듈을 리프팅 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1-5항 중 하나의 장치를 사용하여 구현되는 상기 모듈을 리프팅 하는 방법.
KR1020147018140A 2012-09-21 2013-07-19 조정 가능한 모듈 리프트 프레임 어셈블리 KR2015005809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261704219P 2012-09-21 2012-09-21
US61/704,219 2012-09-21
PCT/CA2013/000662 WO2014043783A1 (en) 2012-09-21 2013-07-19 Adjustable module lift frame assembl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8094A true KR20150058094A (ko) 2015-05-28

Family

ID=50336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8140A KR20150058094A (ko) 2012-09-21 2013-07-19 조정 가능한 모듈 리프트 프레임 어셈블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9463959B2 (ko)
EP (1) EP2780273B1 (ko)
KR (1) KR20150058094A (ko)
AU (1) AU2013317625B2 (ko)
CA (1) CA2798397C (ko)
WO (1) WO201404378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49128B (zh) * 2015-02-17 2017-04-19 鲁小军 用于核电站特大结构模块的吊装专用吊具
CA2917368C (en) 2016-01-12 2022-09-06 Brad Hillgardner Length adjustable wire rope rigging device and lifting system employing the same
CN107471191B (zh) * 2017-09-19 2023-05-16 成都银线电杆有限公司 电杆加工升降位移机械手系统
CN108163696B (zh) * 2018-02-11 2023-11-03 中国重型机械研究院股份公司 一种铸坯运输吊梁装置及其应用
CN111717776B (zh) * 2020-07-10 2022-10-11 新疆吉安顺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基于建筑施工塔吊机的预先防碰撞预警装置
CN111779229B (zh) * 2020-07-24 2021-05-14 中电环宇(北京)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大型通风管道的施工安装方法
CN112249855B (zh) * 2020-09-29 2023-02-28 中国建筑第八工程局有限公司 投影幕布吊装结构及其吊装方法
CN113979282A (zh) * 2021-11-10 2022-01-28 上海外高桥造船有限公司 一种邮轮空调箱吊装装置及吊装系统
CN114516584A (zh) * 2022-04-21 2022-05-20 新乡市平原市政管理有限公司 一种建筑施工用自平衡吊装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2875A (en) * 1904-03-29 1904-06-21 Omer W Blodgett Sling for loading or unloading apparatus.
US1834902A (en) * 1929-12-24 1931-12-01 Weyerhaeuser Timber Co Sling
US1928213A (en) * 1932-05-10 1933-09-26 Jr Lewis M Showers Lifting sling
US2035311A (en) * 1935-04-29 1936-03-24 Galliher Walter Creighton Work transporting carrier
US2550218A (en) * 1948-05-29 1951-04-24 Richard A Brady Automobile sling
US2818296A (en) * 1953-04-07 1957-12-31 James J Brennan Hoisting support for automotive vehicles and the like
US3314711A (en) * 1965-06-04 1967-04-18 Engineered Models Corp Lifting and handling apparatus
US3343861A (en) * 1965-12-10 1967-09-26 United States Steel Corp Lifting grapple for reels and the like
US3558175A (en) * 1967-06-15 1971-01-26 Anderson Ind Ab Paul Device for adjusting the suspending point of a suspended object
US3561810A (en) * 1968-09-23 1971-02-09 Power Systems Inc Lifting beam assembly
US3602544A (en) * 1969-01-29 1971-08-31 United Aircraft Corp Universal,heavy-duty sling
US3596968A (en) * 1970-01-09 1971-08-03 Behring Corp Lifting apparatus
US4046414A (en) * 1976-05-03 1977-09-06 James Arthur M Apparatus for hoisting a structural member
US4185862A (en) * 1977-12-30 1980-01-29 Slocombe Hugo T Self-stabilizing multiple sling system and method
US4462627A (en) * 1982-03-15 1984-07-31 Cranston Machinery Co., Inc. Lift frame assembly
US4831967A (en) * 1987-12-31 1989-05-23 Anderson Charles D Animal lift frame
KR0149662B1 (ko) * 1989-01-28 1998-10-15 기마가주 나까무라 리프팅스링
DE69611669T2 (de) * 1996-04-16 2001-06-28 Topal Ind S A Saint Priest Hebebalken
US5836632A (en) * 1997-07-29 1998-11-17 Jerry M. Ball Load balancing lifting apparatus
US20010055523A1 (en) 1999-11-24 2001-12-27 Henry M. Slodden Verticle lifting and moving
US6412649B1 (en) * 2000-02-07 2002-07-02 Jon E. Khachaturian Spreader bar apparatus
US6991274B2 (en) 2002-05-28 2006-01-31 Metropolitan Stevedore Company Cargo cage and spreader attachment and method of use
CN1938216A (zh) * 2004-03-26 2007-03-28 埃克特温特股份有限公司 高精度负载定位的液压辅助提升和起重控制
US8317244B1 (en) * 2008-08-22 2012-11-27 Jay Wesley Schuyleman Apparatus and method for positioning an object in a building
DE202010004093U1 (de) * 2010-03-23 2011-05-05 Wobben, Aloys, Dipl.-Ing. Hebeeinheit zum Heben eines Rotors einer Windenergieanlage
US8434799B2 (en) * 2010-06-03 2013-05-07 Robert J. Reger Synthetic fiber sling and roller system for carrying and positioning a load
US8955894B2 (en) * 2011-07-18 2015-02-17 Nc Services Group, Ltd. Adjustable spreader bar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798397A1 (en) 2014-03-21
WO2014043783A1 (en) 2014-03-27
AU2013317625B2 (en) 2018-04-12
US20150291398A1 (en) 2015-10-15
CA2798397C (en) 2017-03-07
EP2780273A4 (en) 2015-07-29
US9399564B2 (en) 2016-07-26
EP2780273B1 (en) 2017-05-10
EP2780273A1 (en) 2014-09-24
US9463959B2 (en) 2016-10-11
AU2013317625A1 (en) 2014-05-15
US20140246875A1 (en) 2014-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58094A (ko) 조정 가능한 모듈 리프트 프레임 어셈블리
US9737738B2 (en) Telescopic mast
CA2783260C (en) Adjustable spreader bar system
US838803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oisting objects using a modular lifting beam
US9493327B2 (en) Portable lifting rig
CA2872577A1 (en) Adjustable module lift frame assembly
US10494233B2 (en) Relocatable fine motion positioner assembly on an overhead crane
KR20100086469A (ko) 이동 장치의 중량 부품의 조립 또는 보수에 사용하는 갠트리 장치
CN110562856B (zh) 重物的起重装置以及起重搬运方法
US3706285A (en) Hoisting crane
JP6470285B2 (ja) 足場
CN207484944U (zh) 夹扣式附墙装置
US7501574B1 (en) Conductor support assembly
JP2016142097A (ja) 可搬式昇降装置および水平部材の解体方法
EP4122868A1 (en) Assembly method for crane
CN103743581A (zh) 内爬塔式起重机试验平台装置及试验方法
KR200476632Y1 (ko) 조립 또는 분해가 용이한 요소를 포함하는 크레인
CN210064968U (zh) 可调节高度的门式起重机
CN208995010U (zh) 塔吊与顶紧装置的固定机构
CN109706841B (zh) 一种方便高强螺栓施工的移动挂篮的施工方法
KR20190048968A (ko) 다중 지지점을 지닌 복합 리깅 시스템
KR20150114712A (ko) 해상구조물의 탑사이드 권양장치
US20120055898A1 (en) Gantry with suspending links
RU2521480C1 (ru) Способ монтажа козлового крана и козловой кран, смонтированный указанным способом
KR101285495B1 (ko) 인양용 조금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