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6469A - 이동 장치의 중량 부품의 조립 또는 보수에 사용하는 갠트리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 장치의 중량 부품의 조립 또는 보수에 사용하는 갠트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6469A
KR20100086469A KR1020107010003A KR20107010003A KR20100086469A KR 20100086469 A KR20100086469 A KR 20100086469A KR 1020107010003 A KR1020107010003 A KR 1020107010003A KR 20107010003 A KR20107010003 A KR 20107010003A KR 20100086469 A KR20100086469 A KR 201000864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ntry device
heavy parts
cross member
repair
connec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00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크리슈토프 에더
후베르트 횔츨
롤란트 쿠빅
토마스 일레디츠
볼프강 네츠메락
Original Assignee
인벤티오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벤티오 아게 filed Critical 인벤티오 아게
Publication of KR201000864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64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5/00Base supporting structures with legs
    • B66C5/02Fixed or travelling bridges or gantries, i.e. elongated structures of inverted L or of inverted U shape or trip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1/00Accessories for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e.g. for sterilising or cleaning

Abstract

본 발명은 운송 장치의 중량 부품 또는 기계 구성품 또는 금속 부품의 조립 또는 보수에 사용하는 갠트리 장치 (10) 에 관한 것이다. 이 갠트리 장치 (10) 는 지주형의 기다란 분기부 (12) 와 연결 부재 (13) 를 각각 구비하는 2 개의 측방 양각받침대 (11) 를 포함하고, 이 분기부 (12) 는 그 상단부가 상기 연결 부재 (13) 에 고정된다. 이 분기부는, 분기부 (12) 또는 지지부 (12) 또는 지주 (12) 마다 하단부에 배열되는 4 개의 연장 부재 (14) 를 구비한다. 2 개의 측방 양각받침대 (11) 사이에는 크로스 부재 (15) 가 연장하고, 이 크로스 부재는 대응하는 연결 부재 (13) 에서 각 단부가 고정된다. 갠트리 장치 (10) 는 롤러를 가진 크랩을 더 포함하고, 이 크랩은 측방 양각받침대 (11) 사이의 영역에서 크로스 부재 (15) 를 따라 이동될 수 있거나 또는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크로스 부재 (15) 에 배열된다.

Description

이동 장치의 중량 부품의 조립 또는 보수에 사용하는 갠트리 장치 {GANTRY DEVICE FOR USE IN THE ASSEMBLY OR MAINTENANCE OF HEAVY PARTS OF A TRAVELLING DEVICE}
본원은 이동 장비의 중량 부품 (heavy parts) 의 조립 또는 보수에 사용하는 갠트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원의 관점에서 운송 장비 (또한 이송 장비라고도 할 수 있음) 로는, 무한 컨베이어를 형성하도록 연결되는 다수의 발판 부재 또는 이동식 보도판을 가진 에스컬레이터 및 이동식 보도이다. 운송 장비의 사용자는 발판 유닛의 발판면에 서 있거나 또는 운송 장비 그 자체가 이동하는 동일한 이동 방향으로 이동식 보도판 위를 걷는다.
예를 들어, 구동 유닛 등의 매우 무겁고 큰 구성요소는, 이러한 운송 장치의 조립 및 보수 또는 수리시 부분적으로 설치되거나 제거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모터와 트랜스미션, 메인 샤프트, 액슬 및 편향 샤프트뿐만 아니라 전체 레일 블록은 특히 무겁다.
지금까지, 대형의 매우 무거운 승강 장치는 상기 목적을 위해 운송 장치의 위치로 운송된다. 이를 위해, 승강 크레인을 구비한 대형 트럭을 사용한다. 그 후, 승강 장치는 이를 사용할 수 있기 전에 부지에 설치되어야 한다. 이러한 준비 작업은 큰 업무 지출을 필요로 하고 또한 이러한 승강 장치의 전달시에만 비용이 발생하지 않는다.
종래에 사용되는 승강 장치의 다른 중요한 단점으로는, 크기 및 비용으로 인해 한정된 개수로만 존재하고 그리하여 이러한 승강 장치의 배치는 승강 장치를 각각의 경우에 적시에 또한 적소에 바로 사용하도록 조절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승강 장치의 설치 형태 및 크기로 인해, 이러한 승강 장치는 엄격한 (tight) 영역 또는 공간 조건에서 조건부로만 사용가능하다. 종래의 대형의 매우 무거운 승강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에, 아트리움 (atrium) 에 건립하거나 벽 근방에 건립하는 것은 단지 겨우 가능하거나 거의 불가능하다.
그리하여, 본원은 보조하고 향상시키거나 간소화시키도록 한다.
본원은, 청구항 1 에서 특징으로 하는 바와 같이, 획득시 보다 더 비용적으로 유리하면서 사용시 더 간단한 신규한 승강 장치를 제공하여 상기 목적을 만족시킨다. 운송 장비의 중량 부품을 장착하거나 보수할 시 사용하는 갠트리 장치라고 하는 본원에 따른 승강 장치는, 적어도 다음의 부재를 포함하고: 2 개의 측방 양각받침대 (bipods) 가 제공되며, 각각의 양각받침대는 지주형의 2 개의 기다란 분기부 (limbs) 및 연결 부재를 구비한다. 각각의 2 개의 분기부는 그 상단부에 의해 상기 연결 부재 중 하나에 체결된다. 또한, 4 개의 연장 부재가 제공되고, 하나의 상기 연장 부재는 각각의 분기부의 하단부에 배열된다. 크로스 부재가 2 개의 측방 양각받침대 사이에서 연장하고, 이 크로스 부재의 각각의 단부에서 대응하는 연결 부재에 체결된다. 갠트리 형상의 승강 장치는 이러한 배열 형태로부터 기인한다. 롤러를 가진 크랩이 크로스 부재에서 2 개의 측방 양각받침대 사이의 영역에서 크로스 부재를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배열된다. 그리하여, 무거운 기계 부품의 수평방향 이동 또는 풀어내기 (paying out) 가 가능하게 된다.
본원에 의해 달성되는 장점은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유추될 수 있다.
본원에 따른 장치의 바람직한 개량은 종속항에 의해 한정된다.
본원은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예시의 형태로 자세히 설명된다.
도 1 은 에스컬레이터의 측면도,
도 2 는 본원에 따른 갠트리 장치의 사시도,
도 3 은 도 2 의 본원에 따른 갠트리 장치의 전방도,
도 4a 는 연결 부재의 확대 측면도,
도 4b 는 연결 부재의 제조용 구성품으로서 사용되는 펀칭되거나 절단된 시트 금속 부품의 도면,
도 4c 는 연결 부재를 함께 제공하는 2 개의 펀칭되거나 절단된 3 차원 형상의 시트 금속 부품의 도면,
도 4d 는 도 4a 에 따른 연결 부재의 사시도,
도 5 는 도 2 의 본원에 따른 갠트리 장치의 측면도,
도 6a 는 연장 부재의 확대 사시도,
도 6b 는 연장 부재의 제조용 구성품으로서 사용되는 펀칭되거나 절단된 시트 금속 부품의 도면,
도 6c 는 도 6b 에 따른 펀칭되거나 절단된 3 차원 형상의 시트 금속 부품의 도면,
도 7 은 운송 장치의 골격 또는 지지 구조물에 지지되는 본원에 따른 다른 갠트리 장치의 사시도,
도 8 은 도 7 의 골격을 가진 본원에 따른 갠트리 장치의 전방도,
도 9 는 도 7 의 본원에 따른 갠트리 장치를 가진 골격의 측면도,
도 10 은 크랩을 가진 본원에 따른 갠트리 장치의 크로스 부재의 확대 상세도,
도 11a 는 도 7 에 따른 실시형태의 다른 상세부를 알 수 있는 확대 상세도,
도 11b 는 체결 부재의 제조용 구성품으로서 사용되는 펀칭되거나 절단된 시트 금속 부품의 도면,
도 11c 는 도 11b 에 따른 펀칭되거나 절단된 3 차원 형상의 시트 금속 부품의 도면, 및
도 12 는 도 7 의 본원에 따른 갠트리 장치의 다른 사시도.
도 1 에서는 1 층 (E1) 과 2 층 (E2) 을 연결하는 에스컬레이터 (1) 또는 이동식 보도 (1) 를 나타낸다. 에스컬레이터 (1) 는 계단 (4) 으로 이루어진 계단 벨트를 포함한다. 이동식 보도 (1) 인 경우에는, 판으로 이루어진 판 벨트를 포함한다. 핸드레일 (3) 이 난간 (2) 에 배열되고, 이 난간은 난간 지지대 (6) 에 의해 하단부에 장착된다. 난간 지지대 (6) 아래에 소위 골격 (5) 이 위치되고, 이 골격은 도 1 에서 매우 간단한 형태로 도시하였다. 이 골격 (5) (지지 구조물이라고도 함) 은 에스컬레이터 (1) 를 위한 지지 강 프레임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이러한 골격 (5) 또는 지지 구조물 (5) 의 상세부는 도 7, 도 8, 도 9 및 도 12 에 도시되어 있다.
다른 설명 중에, "에스컬레이터" 또는 "이동식 보도" 라는 용어 대신에 "운송 장비" 라는 용어가 사용된다.
본원의 제 1 실시형태는 도 2 의 사시도에 도시되어 있다. 운송 장비 (1) 의 무거운 기계 구성품 또는 금속 부품의 교환부의 장착 또는 보수 또는 수리시 특별하게 사용되도록 구성되는 갠트리 장치 (10) 가 있다. 이 갠트리 장치 (10) 는 2 개의 측방 양각받침대 (11) 를 포함하고, 이 양각받침대 (11) 각각은 지주형 및 직립형의 2 개의 기다란 분기부 (12) 및 연결 부재 (13) 를 포함한다. 분기부 (12) 는 그 상단부에 의해 연결 부재 (13) 에 체결된다. 이러한 체결은 나사, 리벳, 크림프, 클린치 또는 용접 연결일 수 있다.
4 개의 연장 부재 (14) 가 제공되며, 이러한 연장 부재 (14) 중 하나는 분기부 (12) 각각의 하단부에 배열된다. 이 연장 부재 (14) 는 한편으로는 안정적인 단단한 기립을 보장하도록 장치 (10) 용 발판, 받침대 또는 지지부로서의 역할을 한다. 다른 한편으로는, 설치 지점에서 바닥의 불균일성은 통상적인 것이기 때문에, 연장 부재 (14) 는 바닥 및 높이를 동일하게 (수평하게) 하기 위해 각각의 분기부 (12) 를 개별적으로 연장시켜 준다.
갠트리 장치 (10) 는 추가로 크로스 부재 (15) 를 포함하며, 이 크로스 부재는, 2 개의 측방 양각받침대 (11) 사이에서 '갠트리 형태' 로 연장하고 또한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응하는 연결 부재 (13), 연결 시저 (13) 또는 연결 클램프 (13) 에서 각 단부가 체결된다.
갠트리 장치 (10) 를 효과적인 승강 공구로서 사용할 수 있도록, 2 개의 롤러 (17) 를 가진 크랩 (16) 이 존재하고 (도 10 및 도 12 참조), 이 크랩은 측방 양각받침대 (11) 사이의 영역에서 크로스 부재 (15) 를 따라 이동가능하거나 움직일 수 있도록 크로스 부재 (15) 에 배열된다.
갠트리 장치 (10) 의 추가의 설명은 이하에 기재되어 있다. 본원에 따라서, 이 갠트리 장치 (10) 는 한편으로는 200 킬로그램 ~ 900 킬로그램의 큰 하중을 승강시킬 수 있도록 매우 안정적이고 단단하며, 다른 한편으로는 이 갠트리 장치 (10) 는 경량이며, 운반가능하고 경제적일 뿐만 아니라 조립하기 쉬워야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장치가 경량이면서 용이하게 설치되고 분리될 수만 있다면, 이 갠트리 장치 (10) 는 부지에 신속하게 설치되고 분리할 수 있는 '공구' 또는 보조물로서 그 목적을 충족시킨다. 더욱이, 갠트리 장치 (10) 는 각각의 상황에 따라서 상이하게 설치/형성되고 사용될 수 있도록 유연하게 사용가능하여야 한다.
도 3 에서는 갠트리 장치의 전방도를 도시한다. 이 도면에서는 양각받침대 (11) 를 볼 수 있다. 연결 부재 (13) 는 상부 영역에 배치된다. 분기부 (12) 또는 직립부 (12) 또는 지주 (12) 는 이 연결 부재 (13) 에 체결되거나 연결된다. 분기부는 대략 20 ~ 대략 40 도 사이의 각에서 기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각은 연결 부재 (13) 에 의해 고정된다. 본원에 따라서, 2 개의 측방 양각받침대는, 연결 부재 (13) 또는 연결 시저 (13) 또는 연결 족쇄 (13) 와 함께, 역 "V" 형상을 형성한다.
연장 부재 (14) 는, 기재된 바와 같이, 각 분기부의 하단부에 위치된다. 연장 부재 (14) 각각은 하측에 발판 (22) 또는 발판 영역 (22) 을 가진다. 연장 부재 (14) 또는 바닥 보상 부재 (14) 는 갠트리 장치 (10) 를 수평으로 유지하고 또한 불균일성을 보상하는데 사용된다.
도 4a 에서는 도 3 의 상세부 B 를 확대 도시하였다. 도 4a 에서는 연결 부재 (13) 의 상세부를 볼 수 있다. 분기부 (12) 또는 직립부 (12) 는 도시된 실시예에서 체결 영역 (13.1) 의 바닥에서 체결되거나 용접된다. 크로스 부재 (15) 의 2 개의 수평방향 원통형 관 또는 파이프 (15.1, 15.2) 또는 둥근 철 또는 둥근 강 (15.1, 15.2) 의 단부를 도 4a 에서 볼 수 있다. 하부 원통형 관 (15.2) 또는 파이프 또는 둥근 철 또는 둥근 강의 단부는 연결 부재 (13) 의 통로 개구 (13.2) 를 관통한다. 그에 반하여, 상부 원통형 관 (15.1) 또는 파이프 또는 둥근 철 또는 둥근 강의 단부는 연결 부재 (13) 의 지지 영역 (13.3) 에 놓여 있다.
연결 부재 (13) 또는 연결 시저 (13) 또는 연결 족쇄 (13) 는, 펀칭되거나, 워터-젯 절단되거나, 레이저 절단되거나, 플라즈마 절단된 후속의 3 차원 형상의 시트 금속, 바람직하게는 스테인리스 강 또는 아연 시트 또는 강 시트로 제조된다. 도 4b 에서는 절단되거나 펀칭된 후의 이러한 시트 금속 부재 (30) 를 도시한다. 2 개의 수직한 점선은 시트 금속 부재 (30) 가 다른 처리 단계에서 굽혀지거나 재성형되는 선을 나타낸다. 부분 (30.1) 은 도면의 평면에 남아 있지만, 중간 영역 (30.2) 은 부분 (30.3) 과 함께 90 도까지 후방으로 굽혀진다. 그 후, 부분 (30.3) 은 다른 단계에서 90 도까지 다시 굽혀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품은 "U" 형상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U 형상은 도 4d 의 부착 상태에서 나타나 있다. 나사 (21) 또는 나사가공된 로드 (21) 를 위한 구멍을 가진 텅 (30.4) 은 굽혀지지 않는다.
이러한 시트 금속 부재 (30) 의 2 개의 피스는, 도 4c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서로 접하여 배치되고, 즉 연결 부재 (13) 는 도 4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께 모아지거나 조립되거나 함께 장착되어 하나의 완성품을 형성한다.
연결 부재 (13) 는 분기부 (12) 또는 직립부 (12) 또는 지주 (12) 의 2 개의 상단부를 체결할 수 있도록 2 개의 하부의 체결 지점 (13.1) 을 가진다. 그 이외에, 이 연결 부재는 크로스 부재 (15) 의 원형 단부 (15.2) 를 수평방향으로 수용하거나 끼울 수 있도록 2 개의 통로구 (13.2) 를 구비한다. 도 4d 에서, 2 개의 상기 통로구 (13.2) 를 볼 수 있는데, 특히 연결 부재 (13) 의 전방 수직면에 제 1 통로구 및 연결 부재 (13) 의 후방 수직면에 제 2 통로구를 볼 수 있다. 2 개의 시트 금속 부재 (30) 와 크로스 부재 (15) 를 함께 체결할 수 있도록 구멍 (13.5) 이 사용된다. 도 4c 에서는 대응하는 나사 연결부 (30.6) 또는 못 연결부 (30.6) 또는 다우웰 핀 연결부 (30.6) 의 위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었다. 또한, 2 개의 시트 금속 부재 (30) 는 텅 (30.4) 또는 그 구멍에 의해 함께 연결된다. 나사 (21) 또는 나사가공된 로드 (21) 는 텅 (30.4) 에 의해 연결 부재 (13) 의 시트 금속 부재 (30) 를 연결한다.
연결 부재 (13) 는, 크로스 부재 (15) 의 상부 원형 단부 (15.1) 를 수평방향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2 개의 지지 영역 (13.3) 및 크로스 부재 (15) 의 하부 원형 단부 (15.2) 를 수평방향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수용 영역 (13.2) 을 구비한다.
각각의 연결 부재 (13) 가 2 개의 동일한 시트 금속 구성품 (30) 으로 이루어진다는 사실로 인해, 이러한 연결 부재 (13) 의 비용뿐만 아니라 그 중량이 적다. 또한, 이를 이하 설명되는 바와 같이 장치 (20) 의 다른 부재에도 적용한다.
도 5 는 갠트리 장치 (10) 의 다른 상세부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이 도면에서, 크로스 부재 (15) 는 균일한 간격 (A1) 에 서로 배열되고 체결되는 적어도 2 개의 평행하게 연장하는 원통형 관 (15.1, 15.2) 또는 파이프 (15.1, 15.2) 또는 둥근 철 또는 둥근 강 (15.1, 15.2) 을 포함한다. (연결) 웨브 (15.3) 로서의 역할을 하는 금속판은 파이프 또는 둥근 강 (15.1, 15.2) 사이의 중간 공간에 배치된다. 웨브 (15.3) 에는, 장착 체인, 훅, 족쇄, 스프링 훅, 기다란 훅 크로스바아, 파지기, 풀리 블록, 와이어 케이블, 폴리프로필렌 케이블, 래싱 스트랩 (lashing straps), 아이 클립, 클램프, 부하 셀, 인장력 측정 기구, 등화기 스프링 트레인, 고강도 아이볼트, 래치, 다양한 슬링 등을 그에 체결할 수 있도록, 여러 개의 구멍 (15.4) 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구멍 (15.4) 에 의하여 중량을 저감시키게 된다. 상세부는 도 10 에서 볼 수 있다.
본원의 다른 양태는 도 6a ~ 도 6c 에 도시되어 있다. 분기부 (12) 또는 직립부 (12) 또는 지주 (12) 의 하단부에 체결되는 연장 부재 (14) 는 도 6a 에 도시되어 있다. 연장 부재 (14) 또는 레벨링 부재 (14) 는 펀칭되거나 절단된 3 차원 형상의 시트 금속 부재 (31) 로 제조된다. 도 6b 에는 펀칭된 후, 성형 전의 대응 부재 (31) 를 도시한다. 2 개의 수직 점선은 시트 금속 부재 (31) 가 다른 처리 단계에서 굽혀지거나 재성형되는 선을 나타낸다. 부분 (31.1) 은 도면의 평면에 남아 있지만, 중간 영역 (31.2) 은 부분 (31.3) 과 함께 90 도까지 후방으로 굽혀진다. 그 후, 부분 (31.3) 은 다른 단계에서 90 도까지 다시 굽혀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품 (31) 은 "U" 형상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U 프로파일은 분기부 (12) 또는 직립부 (12) 또는 지주 (12) 의 외경보다 다소 큰 내경 또는 여유 내부 폭을 가진다. 도 6a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구성품 (31) 은 펀칭되거나 절단되고 재성형된 후에 분기부 (12) 또는 직립부 (12) 또는 지주 (12) 의 하단부에 개별적으로 체결된다. 구멍 (31.4) 은 연장 부재 (14) 또는 레벨링 부재 (14) 를 분기부 (12) 또는 직립부 (12) 또는 지주 (12) 에 고정시키도록 사용된다. 이를 위해, 분기부 (12) 또는 직립부 (12) 또는 지주 (12) 는 또한 하부 영역에 대응하는 대향 구멍 또는 수용 구멍을 구비한다. 여러 개의 이러한 구멍 (31.4) 은 연장 부재 (14) 를 하방으로 또는 상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존재한다. 그리하여, 각각의 분기부 (12) 또는 직립부 (12) 또는 지주 (12) 는 개별적으로 연장되거나 단축될 수 있어서, 레벨에 대해 완벽하고 정확한 보상을 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갠트리 장치 (10) 는 운송 장비 (1) 근방에 또는 운방 장치 (1) 위에 (교량처럼) 배치될 수 있다. 무거운 기계 구성품 또는 금속 부재는 호이스팅 기어 (hoisting gear) 로서의 역할을 하는 체인 호이스트 또는 크랩 (16) 에 의해 에스컬레이터 피트 (pit: 40) 또는 이동식 보도 피트 (40) 로부터 상승될 수 있거나 피트 (40) 안으로 하강되거나 낙하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상세부는 도 7, 도 8, 및 도 9 에 도시되어 있다. 이는 운송 장비 (1) 의 골격 프레임 (5) 또는 골격 (5) 또는 지지 구조물 (5) 에 삽입될 수 있는 수평 (크로스) 관 (26) 또는 (크로스) 빔 (26) 또는 크로스바아 (26) 상의 2 개의 분기부 (12) 또는 직립부 (12) 또는 지주 (12) 에 의해 체결될 수 있는 갠트리 장치 (10) 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형태의 구성을 통하여, 갠트리 장치 (10) 를 골격 (5) 또는 지지 구조물 (5) 또는 골격 프레임 (5) 에 적은 노력으로 단단히 연결시킬 수 있다. 이제, 크로스 부재 (15) 는 골격 (5) 의 에스컬레이터 피트 (40) 또는 이동식 보도 피트 (40) 위에 부분적으로 배치된다. 그리하여, 무거운 구동 부재, 예를 들어 운송 장비 (1) 의 모터 또는 완전한 구동 유닛 또는 메인 샤프트는, 피트 (40) 로부터 용이하고 간단하며 원활하고 신속하게 문제없이 상승될 수 있다.
대응 장착된 갠트리 장치 (10) 는 도 8 의 전방도 및 도 9 의 측면도에 도시되어 있다.
크로스 부재 (15) 를 따라 이동되는 가능한 크랩 (16) 의 상세부는 도 10 에 도시되어 있다. 이 크랩 (16) 은 상부 롤러 (17.1) 및 더 작은 하부 롤러 (17.2) 및/또는 하부 지지 액슬 (17.2) 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블록-앤드-태클 (block-and-tackle) 또는 승강 호이스트는 크랩 (16) 의 지지 액슬 (17.2) 에 삽입되거나 매달리 수 있어서, 무거운 하중 또는 무거운 기계 구성품을 상승시키고/상승시키거나 수평방향으로 조절하거나 이동시킬 수 있다. 2 개의 시트 강 부재 (16.1) 또는 시트 금속 스트립 (16.1) 또는 U 부분 (16.1) 또는 각 부분 (16.1) 은 측방으로 배치된다. 크랩 (16) 은 체인에 의해 무거운 기계 부품 또는 금속 부재를 상승시킬 수 있도록 소형 드라이브 (비도시) 를 구비할 수 있다. 하지만, 수동식 또는 모터 구동식의 체인 또는 강 케이블을 가진 블록-앤드-태클 형태를 사용할 수도 있다.
도 11a 에서는 (크로스) 관 (26) 또는 크로스바아 (26) 상에 갠트리 장치 (10) 를 임시로 체결하는 상세부를 도시하고 있다. 분기부 (12) 또는 직립부 (12) 또는 지주 (12) 의 발판 (22) 에는 관 (26) 또는 크로스바아 (26) 주변을 클램핑하는 체결 수단 (25) 이 장착된다. 이 체결 수단 (25) 은 분기부 (12) 또는 직립부 (12) 또는 지주 (12) 의 발판 영역 (22) 을 둘러싸서 분기부 (12) 를 관 (26) 에 안정적으로 연결시킨다. 관 (26) 또는 크로스바아 (26) 그 자체는 2 개의 단부 각각에서 각각의 체결 수단 또는 포크 (33) 를 가진다. 이러한 체결 수단 또는 포크 (33) 는 골격 (5) 또는 지지 구조물 (5) 의 2 개의 종방향 빔 (7) 사이에 관 (26) 또는 크로스바아 (26) 를 간단하게 설치하거나 삽입하도록 해준다.
체결 수단 (25) 은 분기부 (12) 마다 펀칭되거나 절단된 3 차원 형상의 2 개의 동일한 시트 금속 구성품 (32), 바람직하게는 강 시트 또는 스테인리스 강 또는 아연 시트로 된 구성품을 포함한다. 도 11b 에는 절단되거나 펀칭된 후의 이러한 시트 금속 구성품 (32) 을 도시한다. 2 개의 수평선은 시트 금속 구성품 (32) 이 다른 처리 단계에서 굽혀지거나 재성형되는 선을 나타낸다. 부분 (32.1) 은 도면의 평면에 남아 있지만, 중간 영역 (32.2) 은 부분 (32.3) 과 함께 90 도까지 후방으로 굽혀진다. 그 후, 부분 (32.3) 은 다른 단계에서 90 도까지 다시 굽혀진다. 측면에서 볼 때, 시트 금속 구성품 (32) 은 "U" 형상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U 형상은 도 11a 의 부착 상태에서 볼 수 있다. 2 개의 상기 시트 금속 구성품 (32) 을 함께 접합하여 클램프 (25) 또는 클립 (25) 또는 체결 수단 (25) 을 형성할 수 있도록 구멍 (32.4) 이 사용된다. 추가의 제 2 시트 금속 구성품 (32) (2 피스) 은 도 11c 에서 연속 점선으로 나타내었다.
본원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다른 사시도는 도 12 에 도시되어 있다. 갠트리 장치 (10) 는, 도면의 우측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골격 (5) 또는 지지 구조물 (5) 의 분리가능한 (크로스) 관 (26) 또는 크로스바아 (26) 에 지지된다. 도면의 좌측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갠트리 장치 (10) 는 바닥 또는 장착 위치의 거친 코팅위에 양각받침대 (11) 의 양 분기부 (12) 또는 직립부 (12) 또는 지주 (12) 에 의해 기립된다. 크랩 (16) 은 크로스 부재 (15) 를 따라 이동가능하거나 조절가능하고 또한 피트 (40) 위에서 원하는 대로 조절되거나 위치될 수 있다. 갠트리 장치 (10) 에 추가의 안정성을 부여하기 위해서, 더 큰 하중 또는 과도한 응력을 받는 경우에, 2 개의 양각받침대 (11) 의 분기부 (12) 또는 직립부 (12) 또는 기둥부 (12) 가 강제로 떨어지거나 압축되지 않도록 하는 2 개의 크로스 브레이스 (19) 가 제공된다.
갠트리 장치 (10) 는 경량이면서 비용면에서 유리하다. 취급이 매우 간단하고, 이 갠트리 장치 (10) 를 설치하거나 분리하는 데에는 적은 단계가 필요하다. 더욱이, 이 갠트리 장치 (10) 는 매우 유연하고 보편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이 갠트리 장치 (10) 는 상이한 위치에서 하루에 여러 번 사용될 수 있고 또한 장시간 동안 일 위치에 더 이상 한정되지 않는다. 그 이외에도, 에스컬레이터 또는 이동식 보도의 휴지 시간은 실질적으로 더 짧아지고, 조작자는 상당한 추가의 유용성 또는 실질적인 추가의 활용도를 얻게 된다.
설명된 바와 같이, 본원은 에스컬레이터 및 이동식 보도에 동등하게 사용될 수 있다.

Claims (15)

  1. 운송 장비 (1) 의 중량 부품의 장착 또는 보수에 사용하는 갠트리 장치 (10) 로서,
    - 지주형의 2 개의 기다란 분기부 (12) 및 연결 부재 (13) 를 각각 포함하고, 상단부에서 상기 분기부 (12) 가 상기 연결 부재 (13) 에 체결되는 2 개의 측방 양각받침대 (11),
    - 분기부 (12) 각각의 하단부에 하나씩 배열되는 4 개의 연장 부재 (14), 및
    - 2 개의 측방 양각받침대 (11) 사이에서 연장하고, 대응하는 연결 부재 (13) 에서 각 단부가 체결되는 크로스 부재 (15) 를 포함하는, 운송 장비의 중량 부품의 장착 또는 보수에 사용하는 갠트리 장치 (10).
  2. 제 1 항에 있어서,
    크로스 부재 (15) 에는 적어도 하나의 롤러 (17.1) 를 가진 크랩 (16) 이, 측방 양각받침대 (11) 사이의 영역에서 크로스 부재 (15) 를 따라 이동가능하거나 움직일 수 있도록 배열되는, 운송 장비의 중량 부품의 장착 또는 보수에 사용하는 갠트리 장치 (10).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2 개의 측방 양각받침대 (11) 는 연결 부재 (13) 와 함께 역 "V" 형태를 가지는, 운송 장비의 중량 부품의 장착 또는 보수에 사용하는 갠트리 장치 (10).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상기 연결 부재 (13) 는 펀칭되거나, 워터-젯 절단되거나, 레이저 절단되거나, 플라즈마 절단된 3 차원 형상의 시트 금속, 바람직하게는 강 시트 또는 스테인리스 강 또는 아연 시트로 이루어지고,
    - 상기 연결 부재는 분기부 (12) 의 2 개의 상단부를 체결할 수 있도록 2 개의 하측 체결 지점 (13.1) 을 구비하며,
    - 상기 연결 부재는 크로스 부재 (15) 의 제 1 원형 단부 (15.2) 의 수평방향 삽입을 가능하게 하도록 2 개의 통로구 (13.2) 를 구비하고,
    - 상기 연결 부재는 크로스 부재 (15) 의 제 2 원형 단부 (15.1) 를 수평방향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2 개의 지지 영역 (13.3) 을 구비하는, 운송 장비의 중량 부품의 장착 또는 보수에 사용하는 갠트리 장치 (10).
  5. 제 4 항에 있어서,
    각각의 연결 부재 (13) 는 2 개의 동일한 시트 금속부 (30) 로 이루어지고 또한 조립된 상태에서 측면에서 볼 때 U 형상을 가지며, 상기 하측 체결 지점 (13.1) 은 "U" 의 하부 횡방향 영역에 놓이고/놓이며, 상기 통로구 (13.2) 및 지지 영역 (13.3) 은 "U" 의 2 개의 측방 분기부에 놓이는, 운송 장비의 중량 부품의 장착 또는 보수에 사용하는 갠트리 장치 (10).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2 개의 시트 금속부 (30) 는 나사 연결부 (21, 30.4) 또는 나사가공된 로드 연결부 (21, 30.4) 또는 볼트 연결부 (21, 30.4) 에 의해 함께 유지되는, 운송 장비의 중량 부품의 장착 또는 보수에 사용하는 갠트리 장치 (10).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 부재 (15) 는 균일한 간격 (A1) 으로 서로 배열되는 적어도 2 개의 평행하게 연장하는 원통형 관 또는 파이프 (15.1, 15.2) 또는 둥근 철 또는 둥근 강 (15.1, 15.2) 을 포함하고, 원통형 관 또는 파이프 (15.1, 15.2) 또는 둥근 철 또는 둥근 강 (15.1, 15.2) 사이의 중간 공간에는 웨브 (15.3) 로서의 역할을 하는 금속판이 배치되는, 운송 장비의 중량 부품의 장착 또는 보수에 사용하는 갠트리 장치 (10).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연장 부재 (14) 는 분기부 (12) 또는 직립부 (12) 를 끼워서 연장하도록 구성되고 또한 적어도 하나의 발판 (22) 을 구비하는, 운송 장비의 중량 부품의 장착 또는 보수에 사용하는 갠트리 장치 (10).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연장 부재 (14) 는 펀칭되거나, 워터-젯 절단되거나, 레이저 절단되거나, 플라즈마 절단된 3 차원 형상의 2 개의 동일한 시트 구성품 (31), 바람직하게는 강 시트 또는 스테인리스 강 또는 아연 시트로 제조되는, 운송 장비의 중량 부품의 장착 또는 보수에 사용하는 갠트리 장치 (10).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측방 양각받침대 (11) 중 적어도 하나는 하단부에서 연장 부재 (14) 의 영역에서 체결 수단 (25) 에 의해 수평방향 크로스바아 (26) 와 함께 또는 그에 연결되거나 클램핑되거나 플러깅되거나 걸리거나 접착되는, 운송 장비의 중량 부품의 장착 또는 보수에 사용하는 갠트리 장치 (10).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바아 (26) 는 운송 장비 (1) 의 골격 (5) 의 2 개의 종방향 거더 (7) 사이에 삽입되도록 구성되고, 그 후 장착 상태인 갠트리 장치 (10) 는 골격 (5) 또는 지지 구조물 (5) 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보강되거나 지지되는, 운송 장비의 중량 부품의 장착 또는 보수에 사용하는 갠트리 장치 (10).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각각의 분기부 (12) 또는 직립부 (12) 또는 지주 (12) 에 대한 체결 수단 (25) 은 펀칭되거나, 워터-젯 절단되거나, 레이저 절단되거나, 플라즈마 절단된 3 차원 형상의 2 개의 동일한 시트 금속 구성품 (32), 바람직하게는 강 시트 또는 스테인리스 강 또는 아연 시트로 제조되는, 운송 장비의 중량 부품의 장착 또는 보수에 사용하는 갠트리 장치 (10).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 부재 (15) 는 적어도 1000 밀리미터, 바람직하게는 3000 밀리미터의 길이를 가지는, 운송 장비의 중량 부품의 장착 또는 보수에 사용하는 갠트리 장치 (10).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 부재 (15) 는 3000 밀리미터의 길이에 대해 21 킬로그램의 중량을 가지는, 운송 장비의 중량 부품의 장착 또는 보수에 사용하는 갠트리 장치 (10).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롤러 (17.1) 를 갖춘 크랩 (16) 을 포함하는 완성된 갠트리 장치 (10) 는 크로스 부재 (15) 의 3000 밀리미터의 길이에 대해 39 킬로그램의 중량을 가지는, 운송 장비의 중량 부품의 장착 또는 보수에 사용하는 갠트리 장치 (10).
KR1020107010003A 2007-11-09 2008-11-10 이동 장치의 중량 부품의 조립 또는 보수에 사용하는 갠트리 장치 KR2010008646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7120379.8 2007-11-09
EP07120379 2007-11-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6469A true KR20100086469A (ko) 2010-07-30

Family

ID=39261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0003A KR20100086469A (ko) 2007-11-09 2008-11-10 이동 장치의 중량 부품의 조립 또는 보수에 사용하는 갠트리 장치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20100230559A1 (ko)
EP (1) EP2209731B1 (ko)
KR (1) KR20100086469A (ko)
CN (1) CN101848853B (ko)
BR (1) BRPI0820180A2 (ko)
CA (1) CA2702929A1 (ko)
DK (1) DK2209731T3 (ko)
ES (1) ES2424239T3 (ko)
HK (1) HK1146402A1 (ko)
MX (1) MX2010005085A (ko)
PT (1) PT2209731E (ko)
RU (1) RU2492131C2 (ko)
WO (1) WO2009060094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8026B1 (ko) * 2010-02-10 2012-01-25 이규태 갠트리 크레인 장치
JP2018144909A (ja) * 2017-03-01 2018-09-20 三菱電機ビル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エスカレーターの保護板位置決め具、及びエスカレーターの保護板位置決め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031875B (zh) * 2010-12-24 2013-01-02 青建集团股份公司 预制板的安装方法
US9630816B1 (en) * 2013-03-11 2017-04-25 Oz Lifting Products, LLC Portable crane formed of composite members
CN104843589B (zh) * 2015-05-28 2017-07-07 昆山通祐电梯有限公司 扶梯人行道驱动电机起吊装置
JP6699609B2 (ja) * 2017-03-22 2020-05-27 フジテック株式会社 乗客コンベアのリニューアル工法に用いられる門型揚重装置
EP4005963A1 (de) 2020-11-30 2022-06-01 Inventio AG Fahraufnahmevorrichtung für installationsarbeiten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3650A (en) * 1909-09-07 Flattner Implement Company Adjustable and collapsible trestle.
US1224893A (en) * 1915-06-17 1917-05-08 Louis I Beckwith Folding frame.
US2112778A (en) * 1937-12-02 1938-03-29 Joseph F Kacena Trestle
US2231519A (en) * 1940-01-18 1941-02-11 Bassick Co Sawhorse structure
US3289789A (en) * 1963-09-05 1966-12-06 Larson Co Charles O Folding sawhorse bracket
FR1404532A (fr) * 1964-05-19 1965-07-02 Ponts Et Portiques Diard Portique télescopique
US3530956A (en) * 1969-08-04 1970-09-29 Adam Jadek Wedge-locking sawhorse bracket
US4041875A (en) * 1975-08-14 1977-08-16 B. E. Wallace Products Corporation Adjustable single-beam gantry
SU541778A1 (ru) * 1975-09-29 1977-01-05 Предприятие П/Я А-7255 Кранова установка
US4108411A (en) * 1977-03-22 1978-08-22 Spratt Eugene M Portable, collapsible hoisting and supporting apparatus
US4890952A (en) * 1988-03-11 1990-01-02 Jones Richard G Sawbuck construction and bracket
CN2078310U (zh) * 1990-01-18 1991-06-05 周正森 活动龙门架
JP2000016751A (ja) * 1998-07-01 2000-01-18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エスカレータのターミナルギヤ用門型揚重装置
US6419048B1 (en) * 2000-05-04 2002-07-16 Laurence Robinson Adjustable supports
DE20300856U1 (de) * 2003-01-21 2003-05-08 Fleischer Josef Bockkra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8026B1 (ko) * 2010-02-10 2012-01-25 이규태 갠트리 크레인 장치
JP2018144909A (ja) * 2017-03-01 2018-09-20 三菱電機ビル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エスカレーターの保護板位置決め具、及びエスカレーターの保護板位置決め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492131C2 (ru) 2013-09-10
RU2010123358A (ru) 2011-12-20
PT2209731E (pt) 2013-08-22
DK2209731T3 (da) 2013-08-12
CN101848853A (zh) 2010-09-29
BRPI0820180A2 (pt) 2015-09-08
EP2209731B1 (de) 2013-05-08
HK1146402A1 (en) 2011-06-03
CA2702929A1 (en) 2009-05-14
MX2010005085A (es) 2010-05-20
US20100230559A1 (en) 2010-09-16
WO2009060094A1 (de) 2009-05-14
ES2424239T3 (es) 2013-09-30
EP2209731A1 (de) 2010-07-28
CN101848853B (zh) 2012-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86469A (ko) 이동 장치의 중량 부품의 조립 또는 보수에 사용하는 갠트리 장치
EP2780273B1 (en) Adjustable module lift frame assembly
JP5394334B2 (ja) 高所作業用作業床の施工方法
CN103883129B (zh) 一种钢结构屋面梁安装方法
JP4115472B2 (ja) 橋梁構造物における足場の組立方法
KR20170040837A (ko) 상탑 설치를 위해 주탑에 가설되는 헤비 리프팅장치
JP2016088709A (ja) 揚重装置および揚重方法
JP6473922B2 (ja) 吊搬用天秤
CN109160434A (zh) 吊装装置
CN103743581B (zh) 内爬塔式起重机试验平台装置及试验方法
CN116199115A (zh) 一种板框压滤机安装方法
CN106192751B (zh) 一种悬索桥散索鞍固定工装
JP2019082071A (ja) 足場吊上装置
CN210236845U (zh) 一种用于构件钢筋笼上可调式吊架
CN215055466U (zh) 高层建筑用卸料平台
CN210002233U (zh) 适用于悬索桥钢结构桥面系的吊装系统
CN202586179U (zh) 牵引式电缆线盘放线用支架
JP5948828B2 (ja) 建物解体工事用の貨物リフトの組立に用いられる吊上装置、建物解体工事用の貨物リフト、及びその組立方法
CN206417806U (zh) 用于预制梁板预应力张拉的可行走式千斤顶悬吊门架
CN217461450U (zh) 一种电动爬模架
CN213417591U (zh) 一种桥面可移动多功能外挂工作简易平台
JP7415657B2 (ja) 屋根施工システム及び屋根施工方法
CN115613477B (zh) 一种主梁悬臂无轨三角挂篮及施工方法
TWI810467B (zh) 組合式高空作業升降機台
CN210418901U (zh) 一种地脚螺栓螺母安装平衡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