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8495B1 - Hvdc&statcom 밸브 - Google Patents

Hvdc&statcom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8495B1
KR102068495B1 KR1020180108084A KR20180108084A KR102068495B1 KR 102068495 B1 KR102068495 B1 KR 102068495B1 KR 1020180108084 A KR1020180108084 A KR 1020180108084A KR 20180108084 A KR20180108084 A KR 20180108084A KR 102068495 B1 KR102068495 B1 KR 1020684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vdc
statcom
valve
statcom valve
sub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80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임홍
Original Assignee
(주)새명산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새명산전 filed Critical (주)새명산전
Priority to KR10201801080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84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84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84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18Arrangements for adjusting, eliminating or compensating reactive power in networks
    • H02J3/1821Arrangements for adjusting, eliminating or compensating reactive power in networks using shunt compensators
    • H02J3/1828Arrangements for adjusting, eliminating or compensating reactive power in networks using shunt compensators with stepwise control, the possibility of switching in or out the entire compensating arrangement not being considered as stepwise contro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003Constructional details, e.g. physical layout, assembly, wiring or busbar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4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4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4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7/53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7/53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e.g. single switched pulse inver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4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40/10Flexible AC transmission systems [FACTS]
    • Y02E40/16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Rectif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서브모듈로 구성되는 고압직류송전(HVDC) 및 스태콤(STATCOM)용 밸브 및 이를 구성하는 상기 서브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HVDC&STATCOM 밸브용 서브모듈은 직육면체인 서브모듈 본체의 좌우 양측면에 각각 한 쌍의 인양 고리가 설치되되, 일측면에 설치되는 한 쌍의 인양 고리는 타측면에 설치되는 다른 한 쌍의 인양 고리와 좌우 가로방향으로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HVDC&STATCOM 밸브의 길이를 줄여 공간활용성을 증대시킬 수 있고 밸브를 지지하는 가로빔의 처짐 및 응력을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HVDC&STATCOM 밸브{HVDC & STATCOM VALVE}
본 발명은 다수의 서브모듈로 구성되는 고압직류송전(HVDC) 및 스태콤(STATCOM)용 밸브 및 이를 구성하는 상기 서브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밸브의 길이를 축소하고 지진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개선된 HVDC&STATCOM 밸브 및 이에 사용되는 서브모듈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HVDC&STATCOM 밸브용 서브모듈(10)은 무거운 제품(100kg 이상)의 특성상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듈의 좌우 양측면의 서로 좌우로 대칭되는 위치에 인양 고리(11, 12)가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의 서브모듈(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가로빔(21)과 기둥(22)으로 마련되는 내측의 공간에 나란히 설치됨으로써 HVDC&STATCOM 밸브(30)를 이루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HVDC&STATCOM 밸브(30)에 의하면 좌우로 이웃하는 서브모듈(10) 사이에 인양 고리(11, 12)가 서로 맞대면하는 구조여서 좌우 절연거리 확보를 위해서는 추가적인 공간을 확보하여야 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즉, 상기와 같은 인양 고리(11, 12)의 형성으로 인해 좌우 서브모듈(10) 사이의 간격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107mm만큼은 확보되어야 한다는 제약이 있었다.
통상적으로 하나의 HVDC&STATCOM 밸브(30)에는 다수의 서브모듈(10)이 설치되어야 하므로(도 3, 4에서는 6개의 서브모듈(10)이 설치됨), 이웃하는 서브모듈(10) 사이의 간격을 줄이는 것은 전체 밸브(30)의 좌우길이를 줄이는데 크게 기여할 수 있고, 나아가 밸브(30)의 길이가 줄어들면 이를 지지하는 가로빔(21)의 처짐 및 응력(모멘트)을 줄일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HVDC&STATCOM 밸브의 길이를 줄여 공간활용성을 증대시킬 수 있고 밸브를 지지하는 가로빔의 처짐 및 응력을 줄일 수 있도록 개선된 HVDC&STATCOM 밸브 및 이에 사용되는 서브모듈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HVDC&STATCOM 밸브용 서브모듈에 있어서, 직육면체인 서브모듈 본체의 좌우 양측면에 각각 한 쌍의 인양 고리가 설치되되, 일측면에 설치되는 한 쌍의 인양 고리는 타측면에 설치되는 다른 한 쌍의 인양 고리와 좌우 가로방향으로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VDC&STATCOM 밸브용 서브모듈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서브모듈 본체의 후면으로는 지지구조물 고정용 브래킷이 저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에서 수평으로 연장되게 설치되는 구성을 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기 HVDC&STATCOM 밸브용 서브모듈을 포함하는 HVDC&STATCOM 밸브에 있어서, 각기 좌우방향으로 연장되고 전후방향으로는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는 다수의 가로빔 상에, 각기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 개의 상기 HVDC&STATCOM 밸브용 서브모듈이 좌우방향으로는 일정한 사이 간격을 두고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도록 탑재되고, 이웃하는 HVDC&STATCOM 밸브용 서브모듈의 사이 간격으로는 일측 HVDC&STATCOM 밸브용 서브모듈의 좌우 일측면에 설치된 한 쌍의 인양 고리가 타측 HVDC&STATCOM 밸브용 서브모듈의 좌우 타측면에 설치된 한 쌍의 인양 고리와 상기 좌우 가로방향으로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돌출되며, 상기 다수 개의 HVDC&STATCOM 밸브용 서브모듈의 각 본체 후면을 공통으로 가로지르는 절연바가 각각의 HVDC&STATCOM 밸브용 서브모듈의 후면에 설치된 상기 지지물 고정용 브래킷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다수 개의 HVDC&STATCOM 밸브용 서브모듈을 동시에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VDC&STATCOM 밸브를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HVDC&STATCOM 밸브 및 이에 사용되는 서브모듈에 의하면, 서브모듈 본체의 좌우 양측면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인양 고리가 서로 좌우 가로방향으로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됨에 따라 HVDC&STATCOM 밸브 내에서 이웃하는 서브모듈 간의 절연거리 확보를 위한 간격을 줄일 수 있으므로 HVDC&STATCOM 밸브의 전체적인 좌우 간격을 크게 줄일 수 있으며 HVDC&STATCOM 밸브가 설치되는 공간의 활용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서로 이웃하여 설치되는 다수의 서브모듈의 저면을 지지하는 가로빔의 경우에도 HVDC&STATCOM 밸브 길이의 감소로 인해 길이를 줄일 수 있으므로 이의 처짐 및 모멘트로 인한 응력을 크게 줄일 수 있다. 이러한 가로빔의 길이축소 및 응력 감소 효과로부터 HVDC&STATCOM 밸브의 지진 강도가 증대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서브모듈 본체의 후면에 일정한 높이로 설치되는 지지구조물 고정용 브래킷을 통해서는, HVDC&STATCOM 밸브 내에 설치되는 다수의 서브모듈의 각 본체 후면을 공통으로 가로지르는 절연바를 통해 각각의 서브모듈의 후면에 설치되는 상기 지지구조물 고정용 브래킷을 체결할 수 있으므로, 상기 절연바를 통해 다수의 서브모듈 전체를 절연물로 연결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HVDC&STATCOM 밸브용 서브모듈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HVDC&STATCOM 밸브용 서브모듈의 평면도 및 측면도,
도 3은 도 1의 HVDC&STATCOM 밸브용 서브모듈을 포함하는 HVDC&STATCOM 밸브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HVDC&STATCOM 밸브의 평면도 및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HVDC&STATCOM 밸브용 서브모듈의 배면 사시도 및 정면 사시도,
도 6은 도 5의 HVDC&STATCOM 밸브용 서브모듈의 평면도 및 측면도,
도 7 및 도 8은 도 5의 HVDC&STATCOM 밸브용 서브모듈을 포함하는 HVDC&STATCOM 밸브의 정면 사시도 및 배면 사시도,
도 9는 도 7의 HVDC&STATCOM 밸브의 평면도 및 정면도,
도 10은 도 9의 HVDC&STATCOM 밸브에서 HVDC&STATCOM 밸브용 서브모듈을 지지하는 가로빔의 하중 및 모멘트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HVDC&STATCOM 밸브용 서브모듈(110)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모듈 본체(110a)의 좌우 양측면에 각각 한 쌍의 인양 고리(111, 112)가 설치되되, 일측면에 설치되는 한 쌍의 인양 고리(111)는 타측면에 설치되는 다른 한 쌍의 인양 고리(112)와 좌우 가로방향(y방향)으로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HVDC&STATCOM 밸브(130)에서, 각기 좌우방향으로 연장되고 전후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는 다수의 가로빔(121) 상에 탑재되는 다수의 HVDC&STATCOM 밸브용 서브모듈(110)의 이웃하는 서브모듈(110) 사이에서, 이웃하는 HVDC&STATCOM 밸브용 서브모듈(110)의 사이 간격으로는 일측 HVDC&STATCOM 밸브용 서브모듈(110)의 좌우 일측면에 설치된 한 쌍의 인양 고리(111)가 타측 HVDC&STATCOM 밸브용 서브모듈(110)의 좌우 타측면에 설치된 한 쌍의 인양 고리(112)와 좌우 가로방향(y방향)으로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돌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종래 이웃하는 서브모듈(도 4의 10) 사이의 간격이 인양 고리(11, 12)의 형성으로 인해 107mm이던 것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77mm까지 축소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전체 HVDC&STATCOM 밸브(130)의 좌우 폭은 종래 2670mm이던 것을(도 4 참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2500mm까지 축소시킬 수 있다(종래대비 170mm 감소 효과).
HVDC&STATCOM 밸브(130)의 좌우 길이가 줄어든다는 것은 가로빔(121)의 길이축소는 물론 응력감소의 효과가 있는바, 가로빔(121)에 작용하는 부하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념화할 수 있고 이러한 개념에 따라 산출되는 가로빔(121)의 모멘트(Mx)는 다음의 [수학식 1]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18089989826-pat00001
이 경우, 가로빔(121)의 처짐은 중간 지점에서 최대한 바 다음의 [수학식 2]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18089989826-pat00002
특히, 상기 [수학식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가로빔(121)의 중간 지점에서의 처짐은 빔 길이(l)의 4제곱에 비례함을 알 수 있어 밸브(130) 내 긴밀하게 배치간격을 유지하는데 문제가 될 소지가 있음을 알 수 있고, 반대로 밸브의 길이가 그만큼 줄어들면 줄어든 길이의 4제곱에 반비례하여 처짐 정도가 줄어들게 되므로 더욱 확실하고 안정적인 밸브 내 배치구조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5 등을 참조하면 HVDC&STATCOM 밸브용 서브모듈(110)의 후면으로는 저면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하단구조물 고정용 브래킷(113)과 상기 저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에서 수평으로 설치되는 지지구조물 고정용 브래킷(114)이 구성된다.
하단구조물 고정용 브래킷(113)으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빔(123)의 후단부 상면에 볼트체결됨으로써 고정되고, 지지구조물 고정용 브래킷(14)으로는 다수 개로 평행하게 배열된 HVDC&STATCOM 밸브용 서브모듈(110)의 각 본체 후면을 공통으로 가로지르는 절연바(124)가 각각의 HVDC&STATCOM 밸브용 서브모듈(110)의 후면에 설치된 상기 지지물 고정용 브래킷(114)에 체결됨으로써 다수 개의 HVDC&STATCOM 밸브용 서브모듈(110)을 동시에 지지하는 구성을 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HVDC&STATCOM 밸브(130) 내에서 다수의 서브모듈(110)을 지지할 수 있고, 특히 다수의 지지물 고정용 브래킷(114)에 동시에 체결되는 절연바(124)에 의해 서브모듈(110) 전체를 절연물(즉, 절연바)로 연결하여 하단의 세로빔(123)과 이를 매개로 한 가로빔(121)에, 그리고 기둥(122)에 상대적으로 고정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된 HVDC&STATCOM 밸브용 서브모듈(110) 및 HVDC&STATCOM 밸브(130)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지 기술적 범위가 상기 설명된 바에 한정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곤란하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지 기술적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및 그 균등범위에 의해 정하여진다.
110: HVDC&STATCOM 밸브용 서브모듈
111, 112: 인양 고리
113: 하단구조물 고정용 브래킷
114: 지지물 고정용 브래킷
121: 가로빔
122: 기둥
123: 세로빔
124: 절연바
130: HVDC&STATCOM 밸브

Claims (3)

  1. 삭제
  2. 삭제
  3. HVDC&STATCOM 밸브용 서브모듈을 포함하는 HVDC&STATCOM 밸브에 있어서,
    상기 HVDC&STATCOM 밸브용 서브모듈은,
    직육면체인 서브모듈 본체의 좌우 양측면에 각각 한 쌍의 인양 고리가 설치되되, 일측면에 설치되는 한 쌍의 인양 고리는 타측면에 설치되는 다른 한 쌍의 인양 고리와 좌우 가로방향으로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되고, 상기 서브모듈 본체의 후면으로는 지지구조물 고정용 브래킷이 저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에서 수평으로 연장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HVDC&STATCOM 밸브는,
    각기 좌우방향으로 연장되고 전후방향으로는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는 다수의 가로빔 상에, 각기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 개의 상기 HVDC&STATCOM 밸브용 서브모듈이 좌우방향으로는 일정한 사이 간격을 두고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도록 탑재되고,
    이웃하는 HVDC&STATCOM 밸브용 서브모듈의 사이 간격으로는 일측 HVDC&STATCOM 밸브용 서브모듈의 좌우 일측면에 설치된 한 쌍의 인양 고리가 타측 HVDC&STATCOM 밸브용 서브모듈의 좌우 타측면에 설치된 한 쌍의 인양 고리와 상기 좌우 가로방향으로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돌출되며,
    상기 다수 개의 HVDC&STATCOM 밸브용 서브모듈의 각 본체 후면을 공통으로 가로지르는 절연바가 각각의 HVDC&STATCOM 밸브용 서브모듈의 후면에 설치된 상기 지지구조물 고정용 브래킷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다수 개의 HVDC&STATCOM 밸브용 서브모듈을 동시에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VDC&STATCOM 밸브.
KR1020180108084A 2018-09-11 2018-09-11 Hvdc&statcom 밸브 KR1020684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8084A KR102068495B1 (ko) 2018-09-11 2018-09-11 Hvdc&statcom 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8084A KR102068495B1 (ko) 2018-09-11 2018-09-11 Hvdc&statcom 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8495B1 true KR102068495B1 (ko) 2020-02-11

Family

ID=69568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8084A KR102068495B1 (ko) 2018-09-11 2018-09-11 Hvdc&statcom 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849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5601A (ko) * 2013-12-26 2015-07-06 주식회사 효성 초고압 직류 송전시스템의 모듈장치
KR20150078487A (ko) * 2013-12-30 2015-07-08 주식회사 효성 초고압 직류 송전시스템의 모듈 인출장치
KR20160016321A (ko) * 2014-08-05 2016-02-15 주식회사 효성 초고압 직류 송전시스템의 모듈 교체장치
KR20180050086A (ko) * 2016-11-04 2018-05-14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팩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5601A (ko) * 2013-12-26 2015-07-06 주식회사 효성 초고압 직류 송전시스템의 모듈장치
KR20150078487A (ko) * 2013-12-30 2015-07-08 주식회사 효성 초고압 직류 송전시스템의 모듈 인출장치
KR20160016321A (ko) * 2014-08-05 2016-02-15 주식회사 효성 초고압 직류 송전시스템의 모듈 교체장치
KR20180050086A (ko) * 2016-11-04 2018-05-14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5817B1 (ko) 공장 건물의 뼈대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KR102068495B1 (ko) Hvdc&statcom 밸브
KR20090117086A (ko) 내진형 폐쇄 수배전반
CN109386158A (zh) 一种用于交叉跨越的大转角单回路门型钻越塔
RU2524377C2 (ru) Поддержив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оздушной линии электропередачи и узел для размещения провода воздушной линии электропередачи
CN210600461U (zh) 一种装配式抗震支吊架
KR20160052214A (ko) 변압기의 타이플레이트 구조
KR100843161B1 (ko) 배전용 전주 상부지지대
KR101771977B1 (ko) 대칭형 k-형 프레임을 적용한 내진 배전반
KR102031915B1 (ko) 복합 거더
CN107171264B (zh) 密集型母线槽及配电设备
RU62953U1 (ru) Комплект для опоры воздушной линии электропередач (варианты)
KR20160144026A (ko) 모선 구조 및 이것을 이용한 배전반
CN210508615U (zh) 变电构架
KR101273156B1 (ko) 덮개형 연결부재를 이용한 복부파형강판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합성거더의 복부파형강판과 콘크리트의 합성구조
KR101521810B1 (ko) 압축 부재를 이용한 솔라셀 패널 현수구조시스템
RU34192U1 (ru) Стойка опоры линии электропередачи
KR102275158B1 (ko) 강상자형 거더교
CN210246645U (zh) 一种抗风式柔性光伏支架模块
KR100865074B1 (ko) 송전 가공 선로용 상간 스페이스
CN216699321U (zh) 一种采用悬挑梁结构的变电站构架
US1406288A (en) Wire-supporting structure
KR102075824B1 (ko) 개폐기용 지지유닛
US1485629A (en) Auxiliary support
CN211908004U (zh) 面对面开关柜铜排调相布置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