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5817B1 - 공장 건물의 뼈대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공장 건물의 뼈대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5817B1
KR101365817B1 KR1020130053571A KR20130053571A KR101365817B1 KR 101365817 B1 KR101365817 B1 KR 101365817B1 KR 1020130053571 A KR1020130053571 A KR 1020130053571A KR 20130053571 A KR20130053571 A KR 20130053571A KR 101365817 B1 KR101365817 B1 KR 1013658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lar
roof
column
factory building
main b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35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인복
Original Assignee
원인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인복 filed Critical 원인복
Priority to KR10201300535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58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58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58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15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 E04B1/34326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mainly constituted by longitudinal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5/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industrial or agricultural purposes
    • E04H5/02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industrial purposes, e.g. for power-plants or fact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od-Shaped Construction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장 건물의 뼈대 구조 및 그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횡방향으로 이격된 2개의 열로 배열되되, 각각의 열은 종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다수 배열되어 상기 공장 건물의 양 측면을 지지하는 외측 기둥과; 횡방향으로 이격된 상기 외측 기둥에 연결되어 지붕을 지지하되, 상기 외측 기둥과 연결되는 연결지점에 비하여 중앙부가 더 높게 형성되는 지붕 구조용 빔과; 상기 외측 기둥과 상기 지붕 구조용 빔이 연결되는 우각부에서, 횡방향으로 이격된 상기 외측 기둥을 횡방향으로 연결하여 상기 외측 기둥의 바깥 방향으로의 횡방향 변위를 억제하는 인장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공장 건물을 지지하는 외측 기둥과 지붕 구조용 빔에 작용하는 휨 모멘트를 저감하여, 강재 사용량을 보다 줄이면서도 보다 장경간이면서 견고한 공장 건물의 뼈대 구조 및 그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공장 건물의 뼈대 구조 및 그 시공 방법{FRAME STRUCTURE OF FACTORY BUILDING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공장 건물의 뼈대 구조 및 그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하고 쉬운 시공에 의하여 공장 건물을 지지하는 외측 기둥과 지붕 구조용 빔에 작용하는 휨 모멘트를 저감하여, 강재 사용량을 보다 줄이면서도 보다 장경간이면서 견고한 공장 건물의 건설을 가능하게 하는 공장 건물의 뼈대 구조 및 그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장은 대체로 공장 건물(10)과 사무동 건물(20)을 별도의 토지 상에 건설한다. 그리고 공장 건물(10)의 뼈대구조는 기둥(11)과 지붕 구조용 빔(12)으로 이루어져, 주어진 폭(L)에 의해 정해지는 내부 공간에 크레인 등이 설치된다. 그러나, 도1a에 도시된 구조는 주어진 토지의 공간 활용성이 낮아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도1a에 도시된 형태의 공장 건물(10)은 지붕 구조용 빔(12)에 작용하는 하중에 의한 휨 모멘트가 도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생한다. 이에 따라, 공장 건물(10)의 내부 공간을 보다 확장하기 위하여 폭(L)을 증가시킬수록, 지붕(12)에 작용하는 휨 모멘트(M3, M4)가 점점 크게 작용하게 되고, 이를 지지하는 외측 기둥(11)에는 축력(F)이 작용할 뿐만 아니라 휨 모멘트(M1, M2)의 크기도 커져 좌굴이 발생될 위험이 있다. 따라서, 공장 건물(10)의 폭(L)을 크게 하기 위해서는 중앙부에 별도의 중간 기둥(30)을 설치하는 것이 필연적이다.
그러나, 도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장 건물(10)의 내부 공간(10z)에 중간 기둥(30)을 세우면, 지붕(12)과 외측 기둥(11)의 단면력을 줄여 안전성을 확보하는 데 도움이 되지만, 공장 내부의 크레인(40)이 중간 기둥(30)에 의해 서로 이원화되어 작업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야기된다.
즉, 공장의 생산 설비에 의해 제작 중인 재료, 부품을 운반하거나 완제품 등을 이동시키기 위하여 공장 내부에는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이동식 크레인(40)이 도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설치된다. 이동식 크레인(40)은 지상의 무거운 물체를 후크(48)에 걸어 후크(48)와 연결된 와이어 또는 체인(47)을 풀리(미도시)에 감아 인상시킨 후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켜 인상된 물건을 내려놓는 데 사용되는 장비이다. 이동식 크레인(40)의 후크(48)는 풀리에 감겼다 풀리는 것에 의해 상하 방향(48d)으로 이동하며, 공장 내에서 전후방향(종방향) 및 좌우 방향(46d, 횡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먼저, 후크(48)와 연결된 체인(47)이 감기는 풀리를 구비한 크레인 본체(46)가 횡방향(46d)으로 이동하는 것은, 크레인 본체(46)는 공장의 내부 공간을 횡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배열된 크레인 지지보(45)를 따라 도면부호 46d로 표시된 방향으로 이동 조작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진다. 그리고 크레인 본체(45)가 종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은, 크레인 본체(46)를 지지하는 크레인 지지보(45)의 양측의 단부가 바퀴(43)의 회전 구동에 의해 상측에 레일(미도시) 등을 구비한 크레인 거더(42)를 따라 종방향으로 이동 조작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지며, 이 때 크레인 거더(42)는 외측기둥(20)과 중간기둥(30)에 고정지지된 브라켓(41) 위에 종방향으로 배열된다.
한편,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장 건물(2)은 크레인 등의 설비를 하층에 두고 사무실로 사용되는 사무동을 2층에 두는 구조로 구성되기도 한다. 이를 위하여, 사무동을 지지하는 빔(23)이 다수 설치된다. 그러나, 폭(L')이 큰 수용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공장 건물은 지붕(22)의 양측을 지지하는 외측기둥(21) 이외에도 지붕 중앙부가 중간기둥(21')에 의해 지지되어야 하므로, 공장 건물의 활용도가 낮아지는 문제점이 마찬가지로 발생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된 공장 건물(2)은 공장동에서 크레인이 인상하는 무게 및 사무동의 무게 등 하중이 기둥(21, 21')에 축력과 모멘트로 크게 작용하므로, 기둥(21, 21')의 좌굴(buckling) 우려가 상존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지붕을 지지하는 지붕 구조용 빔(22)에도 큰 휨 모멘트가 작용하게 되므로, 공장 건물(2)의 측벽을 지지하는 외측 기둥(21)과 지붕 구조용 빔(22)이 연결되는 우각부에 큰 응력이 집중되는 문제가 야기된다. 이에 따라, 공장 구조물(2)의 기둥(21, 21')과 지붕 구조용 빔(22)은 휨 모멘트에 대응하는 변단면으로 형성되거나, 과도한 양의 강재를 사용하여 일정한 단면으로 형성하게 되므로, 불필요하게 강재 사용량이 증가하게 되어 시공이 까다로와지면서 공사비용이 불가피하게 증가하는 문제가 야기되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하고 쉬운 시공에 의하여 공장 건물을 지지하는 외측 기둥과 지붕 구조용 빔에 작용하는 휨 모멘트를 저감하여, 강재 사용량을 보다 줄이면서도 보다 튼튼한 공장 건물의 뼈대 구조 및 그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강재인 외측 기둥으로 측면을 지지하고 강재인 지붕 구조용 빔으로 지붕을 지지하는 공장 건물을 시공함에 있어서, 외측 기둥과 지붕 구조용 빔에 크게 작용하는 휨 모멘트를 간단한 시공으로 억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외측 기둥과 지붕 구조용 빔의 단면을 종래보다 작게 하고, 동시에 이동식 크레인의 이동을 제한하는 중간기둥을 설치하지 않고서도, 좌굴 발생 가능성을 억제하고 높은 지지 능력을 구현하는 공장 건물의 철골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사무동과 공장동이 함께 구비된 공장 건물에 작은 단면으로도 좌굴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은 물론, 사무동 바닥판에 작용하는 활하중에 의한 진동을 저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공장 내에서 설치되는 이동식 크레인이 무거운 물체를 인상하더라도 크레인 지지보의 단면을 보강하지 않고서도 그 힘을 분산시켜 공장 내부를 횡방향으로 가로지르는 길이가 긴 이동식 크레인을 공장 내부에 설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횡방향으로 이격된 2개의 열로 배열되되, 각각의 열은 종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다수 배열되어 상기 공장 건물의 양 측면을 지지하는 외측 기둥과; 횡방향으로 이격된 상기 외측 기둥에 연결되어 지붕을 지지하되, 상기 외측 기둥과 연결되는 연결지점에 비하여 중앙부가 더 높게 형성되는 지붕 구조용 빔과; 상기 외측 기둥과 상기 지붕 구조용 빔이 연결되는 우각부에서, 횡방향으로 이격된 상기 외측 기둥을 횡방향 성분을 갖도록 연결하여 상기 외측 기둥의 바깥 방향으로의 횡방향 변위를 억제하는 인장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장 건물의 뼈대 구조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철골의 뼈대 구조를 갖는 공장 건물의 측면을 지지하는 외측 기둥과 지붕을 지지하는 지붕 구조용 빔이 강결되는 우각부에서, 횡방향으로 이격된 외측 기둥의 상단부를 인장재로 연결하도록 구성함에 따라, 외측 기둥 상단부에서의 바깥쪽으로의 횡방향 변형이 구속되므로, 외측 기둥과 지붕 구조용 빔에 크게 작용하던 휨 모멘트가 급격히 줄어들게 되므로, 외측 기둥과 지붕 구조용 빔의 단면을 작게 형성하면서도 외측 기둥의 횡방향 사이의 간격을 중간 기둥 없이 보다 장경간으로 구현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 뿐만 아니라, 중간 기둥을 생략하면서 큰 폭을 갖는 내부 공간을 공장 건물 내에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지며, 공장동에 설치되는 크레인은 중간 기둥에 의해 간섭받지 않고 크레인 지지보를 따라 공장동 내부의 전 공간을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의하여 내부 공간이 크게 형성되므로 크레인의 작업 효율이 극대화되고, 하나의 건물 안에 공장동과 사무동이 함께 위치하는 경우에는 부지 활용도도 높아지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를 통해, 외측 기둥과 지붕 구조용 빔의 단면을 종래에 비하여 훨씬 작은 단면 계수를 갖는 단면으로 형성하더라도, 외측 기둥과 지붕 구조용 빔에 발생되는 휨 모멘트가 크게 줄어들어, 적은 양의 강재를 이용하여 공장 건물에 작용하는 하중을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인장재는 인장 방향으로의 힘을 지지할 수 있는 부재로 선택되며, 예를 들어 강연선으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인장재는 긴장력이 도입되어 인장 방향으로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상태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외측 기둥의 상단부에 바깥쪽으로 발생하는 휨 변형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인장재로서의 강연선에 긴장력을 도입한 후 정착하는 것에 의해, 외적인 하중에 의해 발생되는 외측 기둥과 지붕 지지용 빔의 단면력과 상반되는 단면력을 외측 기둥과 지붕 지지용 빔에 도입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인장재가 지붕 구조용 빔으로 연결되어 횡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는 외측 기둥의 우각부를 횡방향으로 연결하는 구성에 국한되지 않으며, 종방향으로 배열된 2열의 다수의 외측 기둥 중 제1열의 외측 기둥들 중 어느 하나의 우각부와 제2열의 외측 기둥들 중 어느 하나의 우각부를 횡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연결하여 횡방향 성분을 포함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즉, 평면도를 기준으로 인장재는 횡방향에 대해 경사지거나 X자 형태로 교차하는 형태로 외측 기둥을 횡방향 성분을 갖도록 연결하는 구성을 포함한다.
한편, 지붕 구조용 빔이 외측 기둥과 연결되는 연결 지점에 비하여 중앙부가 더 높게 형성되는 경우에는, 지붕 구조용 빔과 외측 기둥의 연결 지점 주변의 우각부에 휨 모멘트가 크게 작용하게 되므로, 상기와 같이 우각부를 횡방향으로 연결하는 인장재의 배치효과 및 인장재에 도입되는 긴장력의 작용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측에 사무동을 위치시키고 하측에 공장동을 위치시키는 공장 건물로 형성된 공장 건물로서, 외측 기둥에 사무동의 바닥판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대신에, 상기 외측 기둥의 내측에 상기 외측 기둥에 횡지지되게 설치되고, 상기 외측 기둥보다 낮은 높이로 설치되는 2열의 내측 기둥과; 양단의 회전 변위가 허용되게 상기 2열의 내측 기둥에 각각 양단 지지되도록 설치된 주 빔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무동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주 빔을 지지하는 내측 기둥과, 지붕 구조를 지지하는 외측 기둥이 서로 횡지지되도록 설치됨에 따라, 중간 기둥을 설치하지 않아 내측 기둥 및 외측 기둥에 축방향 성분의 힘이 크게 작용하더라도, 이들이 서로 지지되어 있으므로 강재의 사용량을 최소화하면서도 좌굴이 발생될 가능성을 최소화하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 때, 상기 주 빔이 상기 내측 기둥 상에 회전 변위가 허용되게 양단 지지되어 설치됨에 따라, 외측 기둥에 모멘트가 작용하는 것이 현저히 감소되므로, 작은 단면으로 보다 높은 하중을 좌굴없이 견딜 수 있는 잇점이 얻어진다. 즉, 주 빔이 내측 기둥에 회전 변위가 허용되도록 설치됨에 따라 외측 기둥에는 사무동에 작용하는 하중에 의한 휨모멘트가 발생되지 않게 되며, 특히 내측 기둥과 외측 기둥이 서로 인접하여 서로 횡지지 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축력이 서로 분산되고 좌굴이 발생되는 것을 서로 억제할 수 있으므로, 적은 양의 강재로 좌굴에 대한 저항 능력이 극대화된다.
그리고, 상기 지붕 구조용 빔과 상기 주 빔을 연결하는 현수 부재를 콘크리트 바닥판이 합성된 이후에 추가로 구성하는 경우, 공장 건물의 내부 공간의 폭이 큰 대 공간의 경우에 사무동을 지지하는 주 빔의 바닥판에 발생되는 진동을 저감할 수 있는 잇점이 얻어진다.
한편, 발명의 다른 분야에 따르면, 본 발명은, 공장 뼈대 구조의 시공 방법으로서, 외측 기둥을 횡방향으로 이격된 2개의 열로 배열하되, 각 열은 상기 외측 기둥이 종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다수 배열되어 상기 공장 건물의 양 측면을 각각 지지하는 형태가 되도록, 상기 외측 기둥을 설치하는 외측기둥 설치단계와; 횡방향으로 이격된 상기 외측 기둥에 연결되어 지붕을 지지하되, 상기 외측 기둥과 연결되는 연결 지점에 비하여 중앙부가 더 높게 형성되는 지붕 구조용 빔 을 상기 외측 기둥에 연결 설치하는 지붕구조용 빔 설치단계와;지붕구조용 빔 설치 단계 이후에, 상기 외측 기둥과 상기 지붕 구조용 빔이 연결된 우각부에서, 각 열의 상기 외측 기둥의 상단부 사이를 인장재로 횡방향 연결 설치하여, 상기 외측 기둥의 상단부에서의 횡 방향 성분의 변형을 억제하는 인장재 설치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장 뼈대 구조의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
이 때, 상기 외측 기둥의 내측에 상기 외측 기둥 보다 낮은 높이로 상기 외측 기둥에 횡지지되게 내측 기둥을 설치하는 내측기둥 설치단계와; 양단의 회전 변위가 허용되게 상기 내측 기둥에 양단 지지되도록 주 빔을 설치하는 주빔 설치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주 빔에 의하여 사무동의 바닥면이 지지되고, 상기 주 빔의 하측에 공장동이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주 빔은 사무실 등의 공간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콘크리트가 타설되기 이전에 임시지점에 의해 상향 솟음 변형이 발생되도록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다. 이는,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자중에 의해 주 빔은 하방으로 처짐이 발생되는 데, 주 빔의 처짐을 발생시키는 콘크리트의 자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미리 주 빔에 상향 솟음을 발생시키는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한 상태에서 바닥면을 형성하는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합성한 후 임시지점을 제거함으로써, 사무실 등의 공간의 바닥면이 최종 시공된 상태에서 평탄면이 되도록 하고, 콘크리트의 자중을 주 빔에 미리 도입하는 프리스트레스로 상쇄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 때, 상기 주 빔에 지지되도록 콘크리트 바닥판을 설치한 이 후에 상기 지붕 구조용 빔과 상기 주 빔을 현수 부재로 연결하는 현수부재 설치단계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콘크리트 타설에 따른 과도한 단면력이 지붕 구조용 빔 및 외측 기둥에 부담을 주지 않도록 하면서, 공장 건물의 내부 공간이 폭이 큰 대공간으로 형성되어 사무동에 작용하는 활하중에 따른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인장재는 강연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인장재는 외측 기둥과 지붕 구조용 빔을 강결한 이후에 설치되며, 미리 소정의 긴장력으로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여 정착됨으로써, 외측 기둥이 우각부에서 내측으로 힘이 작용하도록 설치되어 외측 기둥과 지붕 구조용 빔에 작용하는 휨 모멘트를 보다 상쇄시킬 수 있는 잇점이 얻어진다.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인장재'라는 용어는 인장력을 지지할 수 있는 구조 부재를 통칭하는 것으로서, 작은 압축력에 대해 좌굴이 발생되어 실질적으로 인장력을 지지할 수 있는 강연선, 작은 단면이면서 긴 길이의 형강 등을 모두 포함한다.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횡 방향'은 공장 건물의 측벽 사이를 지칭하는 방향으로서, 도3a를 기준으로 좌우 방향으로 정의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종 방향'은 '횡 방향'에 수직한 수평 방향으로 정의한다.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외측'은 공장 건물의 실내 공간으로부터 바깥을 향하는 방향으로 정의하며,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측'은 공장 건물의 바깥으로부터 실내 공간을 향하는 방향을 지칭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공장 건물의 측면을 지지하는 외측 기둥과 지붕을 지지하는 지붕 구조용 빔이 강결되는 우각부에서, 횡방향으로 이격된 외측 기둥의 상단부를 인장재로 연결하도록 구성함에 따라, 휨 모멘트가 크게 작용하는 외측 기둥 상단부에서의 횡방향으로의 바깥쪽으로의 변형이 구속되어, 외측 기둥과 지붕 구조용 빔에 크게 작용하던 휨 모멘트가 급격히 줄어들게 되므로, 외측 기둥과 지붕 구조용 빔의 단면을 작게 형성하면서도 외측 기둥(120)의 횡방향 사이의 간격을 중간 기둥 없이 보다 긴 장경간으로 구현할 수 있는 공장 건물의 뼈대 구조 및 그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
이와 동시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중간 기둥을 생략하면서 큰 폭을 갖는 내부 공간을 공장 건물 내에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지며, 공장동에 설치되는 크레인은 중간 기둥에 의해 간섭받지 않고 크레인 지지보를 따라 공장동 내부의 전 공간을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게 되어, 크레인의 작업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외측 기둥과 지붕 구조용 빔의 단면을 종래에 비하여 훨씬 작은 단면으로 형성하더라도, 외측 기둥과 지붕 구조용 빔에 발생되는 휨 모멘트를 크게 줄일 수 있고, 동시에 좌굴 가능성도 낮출 수 있게 되므로, 적은 양의 강재로도 공장 건물에 작용하는 하중을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은, 사무동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주 빔을 지지하는 내측 기둥과, 지붕 구조를 지지하는 외측 기둥이 서로 횡지지되도록 설치함에 따라, 중간 기둥을 설치하지 않아 내측 기둥 및 외측 기둥에 축방향 성분의 힘이 크게 작용하더라도, 이들이 서로 지지되어 있으므로 강재의 사용량을 최소화하면서도 좌굴이 발생될 가능성을 최소화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주 빔을 상기 내측 기둥 상에 회전 변위가 허용되게 양단 지지되도록 설치함에 따라, 외측 기둥 및 내측 기둥에 모멘트가 작용하는 것이 현저히 감소되므로, 작은 단면으로 보다 높은 하중을 좌굴없이 견딜 수 있는 잇점이 얻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은, 임시 기둥에 의하여 주 빔의 중간부가 상향 솟음이 발생되는 형태로 양단 지지된 상태에서 바닥판 콘크리트가 합성된 후, 임시 기둥을 제거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바닥판 콘크리트의 자중에 의한 응력을 주 빔에 미리 도입하는 프리스트레스로 상쇄시켜, 보다 장 경간에 대하여 효율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붕 구조를 트러스 형식과 같이 복잡한 형태로 구성하지 않고, 단순히 지붕 구조용 빔을 연결하여 지지하는 형태에 의하더라도, 지붕에 작용하는 하중이 인장재에 의하여 지지될 뿐만 아니라, 외측 기둥의 휨 모멘트를 크게 저감시켜주므로, 강재 사용량을 크게 줄이면서도 높은 저항 능력을 갖는 구조를 구현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주 빔은 상기 지붕 구조용 빔에 현수 지지되도록 구성되어, 대공간의 경우 사무동을 지지하는 주 빔의 바닥판에 발생되는 진동을 저감할 수 있는 잇점이 얻어진다.
도1a는 공장동과 사무동이 분리된 종래 공장 건물의 뼈대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1b는 도1a의 절단선 X-X에 따른 횡단면에 대하여 공장 건물에 작용하는 휨 모멘트 분포도,
도1c는 중간 기둥이 설치된 상태의 공장 건물의 횡단면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2는 공장동과 사무동이 합쳐진 종래 공장의 철골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3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장 건물의 횡단면도,
도3b는 인장재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지 않은 상태에서 도3a에 도시된 공장 건물의 휨 모멘트 분포도,
도3c는 인장재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한 상태에서의 휨 모멘트 분포도,
도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공장 건물의 횡단면도,
도5a는 현수 부재를 설치하기 이전의 도4의 공장 건물의 휨 모멘트 분포도,
도5b는 현수 부재를 설치한 상태의 도4의 공장 건물의 휨 모멘트 분포도,
도6a 내지 도6h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무동과 공장동이 함께 구비된 공장 건물의 뼈대 구조의 시공 방법에 따른 순차적인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7a 및 도7b는 도6e의 'B'부분의 확대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3a는 공장 건물의 뼈대 구조의 횡단면이 도시된 것으로, 도3a에 도시된 형태의 뼈대가 종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열되고, 연결 빔(미도시, 도1a의 99와 유사 형태)으로 횡단면의 뼈대를 연결함으로써 3차원 형태의 공장 건물의 뼈대 구조(100)를 형성한다.
도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따른 공장 건물의 뼈대 구조(100)는, 횡방향(도3a의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어 2개의 열로 배열되어 공장 건물의 양측면을 형성하는 외측 기둥(120)과, 횡방향으로 이격된 외측 기둥(120) 상단부에 강결되어 지붕을 형성하는 지붕 구조용 빔(140)과, 외측 기둥(120)과 지붕 구조용 빔(140)이 연결된 우각부(CC)에서 횡방향으로 이격된 외측 기둥(120)을 연결하는 인장재(150)로 구성된다.
상기 외측 기둥(120)은 2개의 열로 배열되며, 각각의 열은 도1a 및 도2의 종래의 외측 기둥과 마찬가지로 종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다수 배열 설치된다. 이에 따라, 다수의 외측 기둥(120)은 공장 건물의 바깥에 드러나는 양 측벽을 형성하면서 지지한다. 외측 기둥(120)은 예를 들어 'H'단면의 강재로 이루어진 형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붕 구조용 빔(140)은 외측 기둥(120)의 상단부에 강결되어 지붕을 지지한다. 지붕 구조용 빔(140)은 트러스 구조와 같이 복잡한 형상으로 형성되지 않더라도, 우각부(CC) 사이를 횡방향으로 연결하는 인장재(150)에 의하여, 우각부(CC)에서의 휨 변형 및 휨 모멘트가 억제되므로, 도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단면의 강재 빔으로 형성되어도 작용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인장재(150)는 인장력을 지지할 수 있는 부재로 형성되어, 외측 기둥(120)과 지붕 구조용 빔(140)이 강결되는 우각부(CC)의 외측 기둥(120) 사이를 연결한다. 예를 들어, 인장재(150)는 단면이 작은 형강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강연선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횡 방향으로 마주보는 외측 기둥(120)을 횡방향으로 연결하는 인장재(150)는 처짐없는 상태로 유지되어, 기둥(120)의 상단부가 바깥 방향으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인장재(150)에 도면부호 150x로 표시된 바깥 방향으로 긴장력을 도입한 후 정착하여 인장재(150)에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인장재(150)의 끝단부가 고정되는 외측 기둥(120)의 상단부는 도면부호 R로 표시된 방향으로 모이는 힘이 작용하게 되고, 하중에 의하여 외측 기둥(120)과 지붕 구조용 빔(140)에 설계 하중에 의하여 작용하는 휨 모멘트(M1, M2, M3, M4)와 반대 방향의 휨 모멘트(M1', M2', M3', M4')가 도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도입되므로, 공장 건물의 시공 이후에 작용하는 고정 하중과 자중에 의하여 발생되는 휨 모멘트 및 휨 변형을 보다 효과적으로 상쇄시킬 수 있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인 231은 크레인(46)의 이동을 위한 거더를 지지하기 위하여 외측 기둥(120)에 설치된 브라켓이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장 뼈대 구조(100)의 시공 방법을 상술한다.
단계 1: 공장 건물의 양측면을 지지하는 외측 기둥(120)을 도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방향(좌우 방향)으로 이격된 2개의 열로 배열한다. 이 때, 시공되는 공장 건물 내의 실내 공간이 대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횡방향으로 이격된 외측 기둥(120)의 폭은 크게 정해질 수 있다.
도3a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장 건물의 뼈대 구조(100)가 횡단면도로 도시되어 있지만, 도3a에 도시된 횡단면 뼈대 구조가 종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다수 배열되어 3차원 형태의 뼈대 구조를 형성한다.
단계 2: 그리고 나서, 외측 기둥(120)의 상단부에 지붕을 지지하는 지붕 구조용 빔(140)을 강결 설치한다.
단계 3: 그리고 나서, 외측 기둥(120)과 지붕 구조용 빔(140)이 강결되어 형성되는 우각부(CC)에서, 설치 가능한 강결 지점의 아래 부분에 인장재(150)의 끝단을 위치 고정하여 외측 기둥(120)의 상단부를 횡방향으로 연결한다. 이 때, 인장재(150)는 외측 기둥(120)의 상단부가 바깥 방향(150x)으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처짐이 없는 팽팽한 상태로 설치된다.
공장 건물의 뼈대 구조(100)의 우각부(CC)에 작용하는 휨 모멘트가 큰 경우에는, 인장재(150)에 긴장력을 미리 도입하여, 지분 및 외측 기둥(120)에 작용하는 휨 모멘트를 상쇄시킬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장 건물의 뼈대 구조는,인장재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지 않은 상태에서의 휨 모멘트 분포도인 도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기둥(120)과 지붕 구조용 빔(140)에 작용하는 휨 모멘트(M1, M2, M3, M4)는 종래의 구조에서 발생되던 휨 모멘트(도1b)에 비하여 현격히 감소된 값이다.
즉, 인장재(150)에 의하여 우각부(CC)의 바깥쪽 횡방향으로의 변형이 억제가 되므로 이에 의해 외측 기둥(120)과 지붕 구조용 빔(140)에 발생되는 휨 모멘트는 크게 줄어들게 되어, 외측 기둥(120)과 지붕 구조용 빔(140)의 단면 계수를 보다 낮추어 강재 사용량을 줄일 수 있으며, 중간 기둥없이 내부 공간의 폭을 크게 확장한 대공간으로 형성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공장 건물의 뼈대 구조(100')를 상술한다. 다만,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전술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4는 공장 건물의 뼈대 구조의 횡단면이 도시된 것으로, 도4에 도시된 형태의 뼈대가 종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열되고, 연결 빔(미도시, 도1a의 99와 유사 형태)으로 도4의 뼈대를 연결함으로써 3차원 형태의 공장 건물의 뼈대 구조(100')를 형성한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공장 건물의 뼈대 구조(100')는 상층에 사무동(100y)이 위치하고 하층에 공장동(100x)이 위치하는 복합 공장 건물로서, 횡방향(도4의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어 2개의 열로 배열되어 공장 건물의 양측면을 형성하는 외측 기둥(120)과, 외측 기둥(120)에 횡지지되면서 외측 기둥(120)의 내측에 설치된 2열의 내측 기둥(110)과, 양단의 회전 변위가 허용되게 2열의 내측 기둥(110)의 상부에 각각 양단 지지되도록 설치된 주 빔(130)과, 횡방향으로 이격된 외측 기둥(120) 상단부에 강결되어 지붕 및 지붕을 형성하는 지붕 구조용 빔(140)과, 외측 기둥(120)과 지붕 구조용 빔(140)이 연결된 우각부(CC)에서 횡방향으로 이격된 외측 기둥(120)을 연결하는 인장재(150)와, 지붕 구조용 빔(140)과 주 빔(130)을 연결하는 현수 부재(160)로 구성된다.
상기 내측 기둥(110)은 지면에 세워지며 도7a 및 도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 빔(130)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갖도록 2열로 설치된다.
상기 외측 기둥(120)은 내측 기둥(110)의 외측에 2열로 세워지지만, 내측 기둥(110)과 근접 배치되거나 볼트 또는 용접에 의한 연결 부재(125)에 의해 상호 횡지지되도록 설치된다. 이와 같이, 내측 기둥(110)과 외측 기둥(120)이 상호 횡지지되도록 설치됨에 따라, 내측 기둥(110)과 외측 기둥(120)에 사용되는 강재량이 작아지더라도, 좌굴에 대한 높은 저항 능력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주 빔(130)은 내측 기둥(110)에 대하여 회전 변위가 허용되도록 설치된다. 예를 들어, 도7a 및 도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 빔(130)이 내측 기둥(110)의 상단부에 거치되되, 내측 기둥(110)과 주 빔(130)에 형성된 관통공(110a, 130a)에 핀(77)을 꽂아 회전 변위는 허용하지만 이탈을 방지하도록 설치된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주 빔(130)이 내측 기둥(110) 상에 단순 거치될 수도 있고, 회전 변위를 허용하는 탄성체를 내측 기둥(110)의 표면과의 사이에 개재시킬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주 빔(130)에 작용하는 하중에 의하여 내측 기둥(110)에 모멘트가 전달되지 않고 축 방향의 힘만 전달되므로, 내측 기둥(110)의 단면을 작아지더라도 좌굴의 발생 가능성을 크게 낮출 수 있다.
주 빔(130)에 타설되는 상기 바닥판 콘크리트(139)는 주 빔(130)의 상부 플랜지에 합성된다. 이 때, 주 빔(130)은 상향으로 솟음 상태에서 바닥판 콘크리트(139)가 주 빔(130)에 합성되도록 시공함으로써, 완성 시공된 상태에서 바닥판 콘크리트(139)의 자중에 해당하는 만큼의 주 빔(130)의 처짐을 상쇄하고 수평의 평탄한 사무동(100y)의 바닥면을 형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무동(100y)의 시설물 등에 의하여 주 빔(130)이 견딜 수 있는 응력을 보다 크게 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상기 내측 기둥(110), 외측 기둥(120) 및 주 빔(130)은 강재 빔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널리 사용되는 'H'형태 단면의 빔 등이 적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단면 형상이 H형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지붕구조용 빔(14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단면의 강재 빔으로 형성된다. 즉, 지붕구조용 빔(140)에는 높은 휨 모멘트가 편차를 갖고 분포되므로, 종래에 변단면으로 형성되거나 과도하게 큰 단면의 강재 빔이 사용되었지만, 도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외측 기둥(120) 및 지붕 구조용 빔(140)에 작용하는 휨 모멘트의 크기가 인장재(150)의 구속에 의하여 크게 감소됨에 따라 보다 적은 단면계수를 갖는 단면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인장재(150)는 좌굴 발생 가능성이 높더라도 인장력을 지지할 수 있는 강연선이나 작은 단면의 강재빔으로 형성되어, 외측 기둥(120)과 지붕 구조용 빔(140)이 강결되는 우각부(CC)의 외측 기둥(120) 사이를 처짐없는 상태로 연결한다.
외측 기둥(120)과 지붕 구조용 빔(140)에 높은 휨 모멘트가 작용하는 경우에는, 인장재(150)에 도면부호 150x로 표시된 바깥 방향으로 긴장력을 도입한 후 정착하여 인장재(150)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인장재(150)의 끝단부가 고정되는 외측 기둥(120)의 상단부는 도면부호 R로 표시된 방향으로 모이는 힘이 작용하게 되어, 우각부(CC)에서 바깥 방향으로 작용하는 휨 모멘트 및 휨 변형을 보다 크게 상쇄시킬 수 있다.
또한, 도4에서 현수 부재(160)는 상기 지붕 구조용 빔(140)과 주 빔(130)을 연결하는 부재로서, 사무동(110y)에서의 활하중에 의하여 주 빔(130) 및 바닥판 콘크리트(139)에 발생되는 진동을 억제하고, 주 빔(130)에 작용하는 휨 모멘트를 분담하는 역할을 한다. 즉, 도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 빔(130)의 중앙부에 작용하는 휨 모멘트(M5)의 일부가 지붕 구조용 빔(140)에 분담되어 주 빔(130)에 작용하는 단면력이 줄어들게 됨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공장동(100x)에 설치되는 시설물은 내측 기둥(110)에 고정된 브라켓(231)에 지지되게 설치되는 크레인(46)을 포함한다. 도6h의 'A'부분에 도시된 크레인(46)의 지지 구조는 본 출원인이 특허등록받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54621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일부로서 채용되지만,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크레인의 중간부를 주 빔(130)에 지지시킴으로써, 구조적 안전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무동 공장 공장 건물의 시공 방법을 상술한다.
단계 1: 도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에 내측 기둥(110)을 고정한다. 내측 기둥(110)은 강재인 것이 바람직하며, 도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부에 주 빔(130)의 위치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하부 플랜지가 복부에 비하여 상측으로 더 연장되고, 주 빔(130)이 안착될 수 있는 강판(112)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 2: 그리고 나서, 도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기둥(110)의 바깥쪽에 내측 기둥(110)에 비하여 높은 외측 기둥(120)을 고정한다. 이 때, 외측 기둥(120)은 내측 기둥(110)과 근접 배치하되, 연결 부재(125)로 상호 연결하여 횡지지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 3: 그리고 나서, 도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기둥(110)의 사이에 내측 기둥(110)의 높이(H1)에 비하여 더 높은 높이(H2)의 임시 기둥(88)을 세운다. 도면에는 내측 기둥(110)의 사이에 하나의 임시 기둥(88)이 설치된 구성을 예로 들었지만, 필요에 따라 2개 이상의 임시 기둥(88)이 내측 기둥(110)의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단계 4: 그리고 나서, 도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 빔(130)의 양단부 회전 변위를 허용할 수 있는 형태로 내측 기둥(110)의 상단부에 주 빔(130)의 양단부를 거치시킨다. 필요에 따라 내측 기둥(110)과 주 빔(130)을 핀(77)으로 구속하여, 서로 회전 변위는 허용하지만 이동 변위는 억제시킬 수도 있다.
이 때, 내측 기둥(110)의 사이에 내측 기둥(110)의 높이(H1)보다 높은 높이(H2)의 임시 기둥(88)이 위치하므로, 주 빔(130)의 중앙부는 임시 기둥(88)에 의하여 상향 솟음이 있는 상태로 거치된다.
단계 5: 그리고 나서, 도6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기둥(120)의 상단부에 지붕구조용 빔(140)을 강결 설치한다.
단계 6: 단계 5를 행하고 나서, 도6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기둥(120)과 지붕 구조용 빔(140)이 강결된 우각부(CC)에 양단이 고정되는 형태로 인장재(150)를 설치한다. 인장재(150)는 횡방향으로 이격된 외측 기둥(120)의 상단부를 횡방향으로 연결하며, 인장재(150)에는 미리 긴장력을 도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6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 빔(130)의 상부 플랜지에 바닥판 콘크리트(139)를 합성한다. 바닥판 콘크리트(139)가 주 빔(130)에 합성되면, 임시 기둥(88)은 철거된다. 이에 따라, 중앙부에 상향 솟음이 있던 주 빔(130)은 자체의 중량과 합성된 바닥판 콘크리트(139)의 중량에 의하여 상향 솟음이 상쇄되어 평탄한 면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주 빔(130)이 상향 솟음된 상태로 바닥판 콘크리트(139)를 합성하도록 구성함에 따라, 주 빔(130)의 하연이 부담하는 인장 응력의 허용 범위는 더욱더 커진다. 따라서, 내측 기둥 사이에 중간 기둥을 두지 않고 주 빔(130)을 긴 경간에 설치하더라도 충분히 사무동(100y)으로부터 작용하는 하중에 견딜 수 있다.
한편, 단계 6에서 인장재의 설치와 콘크리트 바닥판의 합성은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고, 서로 순서를 바꾸어 시공하더라도 무방하다.
단계 7: 그리고 나서, 도6h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붕구조용 빔(140)과 주 빔(130)을 현수 부재(160)로 연결하여, 사무동(100y)의 바닥면에 과도한 하중이 작용하더라도 그 하중을 지붕 구조용 빔(140)에 분담하고, 사무동(100y)의 바닥면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억제하도록 한다. 이 때 현수 부재(160)는 바닥판 콘크리트(139)가 합성 종료된 이후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해 사무동(100y)에 작용하는 군중 하중에 의한 진동이 저감되므로 사용성 측면에서 효과가 증대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공장 건물의 뼈대 구조(100') 및 그 시공 방법은, 공장 건물의 측면을 지지하는 외측 기둥(120)과 지붕을 지지하는 지붕 구조용 빔(140)이 강결되는 우각부(CC)에서, 횡방향으로 이격된 외측 기둥(120)의 상단부를 인장재(150)로 연결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휨 모멘트가 크게 작용하는 외측 기둥(120)의 상단부에서의 횡방향으로의 바깥쪽으로의 변형이 억제되어, 외측 기둥과 지붕 구조용 빔에 크게 작용하던 휨 모멘트가 급격히 줄어들게 되므로, 외측 기둥(120)과 지붕 구조용 빔(140)의 단면을 작게 형성하면서도 외측 기둥(120)의 횡방향 사이의 간격을 중간 기둥 없이 보다 장경간으로 구현할 수 있으므로, 크레인의 작업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 뿐만 아니라, 외측 기둥(120)과 지붕 구조용 빔(140)의 단면을 종래에 비하여 훨씬 작은 단면으로 형성하더라도, 외측 기둥(120)과 지붕 구조용 빔(140)에 발생되는 휨 모멘트가 인장재(150)의 인장력으로 분담하여 건물 구조에 부담이 되는 휨 모멘트를 크게 줄이면서 좌굴 가능성도 낮출 수 있게 되므로, 적은 양의 강재로도 공장 건물에 작용하는 하중을 안정된 구조로 보다 높은 저항 능력으로 지지할 수 있는 잇점이 얻어진다.
그리고, 사무동(100y)의 주 빔(130)을 지지하는 내측 기둥(110)과, 지붕 구조를 지지하는 외측 기둥(120)이 서로 횡지지되도록 설치됨에 따라, 중간 기둥을 설치하지 않아 내측 기둥(110) 및 외측 기둥(120)에 축방향 성분의 힘이 크게 작용하더라도, 이들이 서로 횡지지됨에 따라 좌굴에 높은 저항 능력을 가지므로, 적은 양의 강재를 사용하더라도 견고하게 공장 건물을 효율적으로 지탱할 수 있도록 하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조적으로 중간 기둥을 생략할 수 있게 됨에 따라, 공사비를 보다 줄이면서 내부에 넓은 공간을 형성할 수 있으며, 중간 기둥에 의해 간섭받지 않고 크게 형성되는 공장동의 내부 공간 내에서 크레인이 전 공간을 자유롭게 이동하여 작업 효율을 향상시키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 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로서 예시된 지붕 구조용 빔은 중앙부가 뾰족한 형태로서 연결 지점에 비하여 높게 형성된 구성을 예로 들었지만, 지붕 구조용 빔의 중앙부가 둥근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지붕 구조용 빔의 전체 형상이 상방으로 볼록한 호 형태일 수도 있으므로, 지붕 구조용 빔은 외측 기둥과 연결되는 연결 지점에 비하여 중앙부의 높이가 더 높게 형성되는 모든 형상을 포함한다.
100, 100' : 공장 건물의 뼈대 구조 110: 내측 기둥
120: 외측 기둥 130: 주 빔
140: 지붕구조용 빔 150: 인장재
160: 현수 부재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공장 뼈대 구조의 시공 방법으로서,
    외측 기둥을 횡방향으로 이격된 2개의 열로 배열하되, 각 열은 상기 외측 기둥이 종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다수 배열되어 상기 공장 건물의 양 측면을 각각 지지하는 형태가 되도록 상기 외측 기둥을 설치하는 외측기둥 설치단계와;
    횡방향으로 이격된 상기 외측 기둥에 연결되어 지붕을 지지하되, 상기 외측 기둥과 연결되는 연결 지점에 비하여 중앙부가 더 높게 형성되는 지붕 구조용 빔을 상기 외측 기둥에 강결 설치하는 지붕구조용 빔 설치단계와;
    상기 지붕구조용 빔 설치단계 이후에, 상기 외측 기둥과 상기 지붕 구조용 빔이 강결되어 형성되는 우각부에서, 강결된 지점의 아래 부분에 인장재의 끝단을 위치 고정하고, 상기 외측 기둥에 외력을 가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인장재를 직접 잡아당겨 상기 외측 기둥에 긴장 정착하여, 상기 인장재에 긴장력이 도입된 상태로 상기 인장재가 상기 외측 기둥의 상단부를 상호 연결하는 상태가 되게 함으로써, 상기 외측 기둥의 바깥 방향으로의 횡 방향 변위를 억제하는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게 하는 긴장정착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장 뼈대 구조의 시공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기둥의 내측에 상기 외측 기둥 보다 낮은 높이로 상기 외측 기둥에 횡지지되게 내측 기둥을 설치하는 내측기둥 설치단계와;
    양단의 회전 변위가 허용되게 상기 내측 기둥에 양단 지지되도록 주 빔을 설치하는 주 빔 설치단계와;
    상기 주 빔과 합성되도록 콘크리트 바닥판을 설치하는 바닥판 합성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주 빔의 상측에는 사무동이 위치하고, 상기 주 빔의 하측에는 공장동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장 뼈대 구조의 시공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기둥의 사이에 임시 기둥을 설치하는 임시기둥 설치단계를;
    상기 주 빔 설치단계 이전에 더 추가하여 구성하고, 상기 주 빔 설치단계는 상기 임시 기둥에 의하여 중간부가 상향 솟음이 발생되는 형태로 상기 내측 기둥에 양단지지되게 설치되고, 상기 콘크리트 바닥판 합성단계 이후에 상기 임시 기둥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장 뼈대 구조의 시공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 합성단계가 행해진 이후에, 상기 지붕 구조용 빔과 상기 주 빔을 현수 부재로 연결하는 현수부재 설치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장 뼈대 구조의 시공 방법.
  9. 삭제
KR1020130053571A 2013-05-13 2013-05-13 공장 건물의 뼈대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KR1013658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3571A KR101365817B1 (ko) 2013-05-13 2013-05-13 공장 건물의 뼈대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3571A KR101365817B1 (ko) 2013-05-13 2013-05-13 공장 건물의 뼈대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5817B1 true KR101365817B1 (ko) 2014-02-20

Family

ID=50271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3571A KR101365817B1 (ko) 2013-05-13 2013-05-13 공장 건물의 뼈대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5817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8579B1 (ko) * 2014-03-19 2015-07-21 원인복 강재 뼈대 구조의 시공 방법
KR101631662B1 (ko) * 2015-01-30 2016-06-20 대진대학교 산학협력단 프리스트레싱 방식을 이용한 철골 시스템 및 그 제작방법
CN106284639A (zh) * 2015-06-05 2017-01-04 中冶天工(天津)装备制造有限公司 一种结构稳定的模块化组装房屋
KR101986104B1 (ko) 2019-02-19 2019-06-05 배정진 철골구조물의 접합 시스템
KR101986107B1 (ko) 2019-05-17 2019-09-03 배정진 정렬장치가 구비된 철골구조물의 접합 시스템
CN112727172A (zh) * 2020-12-30 2021-04-30 山东天智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特大型钢结构厂房骨架
CN113914681A (zh) * 2021-10-22 2022-01-11 福建诚达钢构有限公司 一种节能型临时用的厂房的轻型房屋钢结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89081A (ja) * 1995-01-09 1996-07-23 Masanao Isozaki 山形ラーメン構造物
KR101254621B1 (ko) * 2012-12-24 2013-04-15 원인복 사무동 공장 복합 건물의 시공 방법 및 그 복합 건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89081A (ja) * 1995-01-09 1996-07-23 Masanao Isozaki 山形ラーメン構造物
KR101254621B1 (ko) * 2012-12-24 2013-04-15 원인복 사무동 공장 복합 건물의 시공 방법 및 그 복합 건물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8579B1 (ko) * 2014-03-19 2015-07-21 원인복 강재 뼈대 구조의 시공 방법
KR101631662B1 (ko) * 2015-01-30 2016-06-20 대진대학교 산학협력단 프리스트레싱 방식을 이용한 철골 시스템 및 그 제작방법
CN106284639A (zh) * 2015-06-05 2017-01-04 中冶天工(天津)装备制造有限公司 一种结构稳定的模块化组装房屋
CN106284639B (zh) * 2015-06-05 2023-08-08 中冶天工(天津)装备制造有限公司 一种结构稳定的模块化组装房屋
KR101986104B1 (ko) 2019-02-19 2019-06-05 배정진 철골구조물의 접합 시스템
KR101986107B1 (ko) 2019-05-17 2019-09-03 배정진 정렬장치가 구비된 철골구조물의 접합 시스템
CN112727172A (zh) * 2020-12-30 2021-04-30 山东天智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特大型钢结构厂房骨架
CN113914681A (zh) * 2021-10-22 2022-01-11 福建诚达钢构有限公司 一种节能型临时用的厂房的轻型房屋钢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5817B1 (ko) 공장 건물의 뼈대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KR101134460B1 (ko) 래티스 철근을 이용한 강재빔 및 그 시공방법
JP2576035B2 (ja) 鉄鋼構造物建設用ゾーンモジュール工法
KR101134290B1 (ko)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박스거더 교량의 시공 방법
WO2013149771A1 (en) Movable structure suitable for supporting a formwork of a new bridge section in cantilever
JP6289046B2 (ja) 仮設架台
KR101819308B1 (ko) 단부 보강형 합성보와 기둥의 접합 구조
KR20110040204A (ko) 공장 건물의 철골 구조
JP5927599B2 (ja) 仮設鉄塔ユニット及び仮設鉄塔
JP6883397B2 (ja) 屋根構造体の構築方法
JP5503223B2 (ja) 既存建物の改造方法
KR101139761B1 (ko) 건축물용 보강 벽
KR100923564B1 (ko) 스틸 플레이트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교량 바닥판과 그 시공방법 및 구조
KR101254621B1 (ko) 사무동 공장 복합 건물의 시공 방법 및 그 복합 건물
JP6554316B2 (ja) 屋根架構およびその構築方法
KR101538579B1 (ko) 강재 뼈대 구조의 시공 방법
KR102433621B1 (ko) 단면 하부에 강재가 집중 배치되는 와이드 더블 합성거더의 일방향 구조
JP2017031676A (ja) 既存建屋の耐震補強工法及び補強装置
KR101159095B1 (ko) 초고층건물의 아웃리거 기구
JP3999625B2 (ja) 鉄塔の最下構造
JP5558757B2 (ja) クライミングクレーンの盛り替え機構およびフロアクライミング工法
JP6941447B2 (ja) 建物構造
KR20120008667A (ko) 데크플레이트용 단부보강체를 이용한 보 시공방법
JP2017031657A (ja) 天井クレーン支持装置及び荷重受け部材
JP2021116153A (ja) タワークレーン用支持構台及びこれを用いたクライミング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