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4621B1 - 사무동 공장 복합 건물의 시공 방법 및 그 복합 건물 - Google Patents

사무동 공장 복합 건물의 시공 방법 및 그 복합 건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4621B1
KR101254621B1 KR1020120152604A KR20120152604A KR101254621B1 KR 101254621 B1 KR101254621 B1 KR 101254621B1 KR 1020120152604 A KR1020120152604 A KR 1020120152604A KR 20120152604 A KR20120152604 A KR 20120152604A KR 101254621 B1 KR101254621 B1 KR 1012546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lar
main beam
factory
office building
bui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26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인복
Original Assignee
원인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인복 filed Critical 원인복
Priority to KR10201201526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46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46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46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4/00Buildings for combinations of different purposes not covered by any single one of main groups E04H1/00-E04H13/00 of this subclass, e.g. for double purpose; Buildings of the drive-in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06Office buildings; Bank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5/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industrial or agricultural purposes
    • E04H5/02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industrial purposes, e.g. for power-plants or fact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무동 공장 복합 건물의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하층에 공장이 위치하고 상층에 사무동이 위치하는 사무동 공장 복합 건물의 시공 방법으로서, 상기 사무동의 바닥면을 지지하는 제1기둥을 설치하는 제1기둥 설치단계와; 상기 건물의 지붕 구조를 지지하는 제2기둥을 상기 제1기둥에 횡지지되도록 상기 제1기둥의 외측에 인접 설치하는 제2기둥 설치단계와; 상기 제1기둥에 양단 지지되게 주 빔을 설치하는 주 빔 설치단계와; 지붕구조용 빔을 상기 제2기둥의 상단부와 강결되게 설치하는 지붕구조용 빔 설치단계와; 상기 주 빔의 상부 플랜지에 바닥판 콘크리트를 합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중간 기둥을 설치하지 않아 제1기둥 및 제2기둥에 축방향 성분의 힘이 크게 작용하더라도, 이들이 서로 지지되어 있으므로 강재의 사용량을 최소화하면서도 좌굴이 발생될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어, 중간 기둥을 생략하는 것이 가능해지며, 중간 기둥의 설치를 생략함에 따라 공사비를 보다 줄이면서 내부에 대 공간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사무동 공장 복합 건물의 시공 방법 및 그 복합 건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사무동 공장 복합 건물의 시공 방법 및 그 복합 건물{CONSTRUCTION METHOD OF OFFICE-FACTORY COMPOSITE BUILDING AND STRUCTURE THEREBY}
본 발명은 사무동 공장 복합 건물의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중간 기둥을 설치하지 않아 공장활용 효율이 극대화되고, 저렴한 공사비로 대공간을 연출하면서도, 높은 하중을 받는 사무동 공장 복합 건물의 기둥에 발생되는 좌굴에 대한 저항력이 높은 안정된 구조의 사무동 공장 복합 건물의 시공 방법 및 이에 따른 복합 건물에 관한 것이다.
도1a 및 도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장(1)은 대체로 공장 건물(10)과 사무동 건물(20)을 별도의 토지상에 건설한다. 그리고 공장 건물(10)은 기둥(11)과 지붕(12)으로 이루어져, 주어진 폭(L)에 의해 정해지는 내부 공간에 크레인(40) 등이 설치된다. 그러나, 도1에 도시된 구조는 주어진 토지의 공간 활용성이 낮아지는 문제가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도2에 도시된 공장(2)은 크레인(40) 등의 설비를 하층에 두고 사무실로 사용되는 사무동을 상층에 두는 구조이다. 이를 위하여 하나의 건물에 사무동을 지지하는 빔(23)이 다수 설치된다. 그러나, 폭(L')이 큰 수용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공장 건물은 지붕(22)의 양측을 지지하는 외측기둥(21) 이외에도 사무동과 기둥에 작용하는 하중을 안전하게 지지하기 위해서 중앙부에 중간기둥(30)의 설치가 불가피 하였다.
이때 외측기둥(21)과 중간기둥(30)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이동식 크레인(40)은 그 이동 중 중간기둥(30)과의 간섭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공장 건물 내부에서 사무실이나 전자회로 조립 라인과 같이 무거운 장비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는 사무동 공간(10x)은 도2a 및 도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장 건물(2)의 2층에 설치된다. 이 때, 2층에 설치되는 사무실 등의 공간(10x)을 설치하는 데 있어서도, 바닥판(50)을 안전하게 지지하기 위하여 공장 건물(2)의 중앙부에는 중간기둥(30)이 세워지는 데, 이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이동식 크레인(40)을 중간기둥(30)의 좌우에 각각 별도로 설치해야 하므로 공장 건물의 활용도가 낮아지는 등의 문제점이 야기되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된 공장 구조물(2)에서는 공장동(10y)에서 크레인이 인상하는 무게 및 사무동(10x)의 무게 등 큰 하중이 작용하게 되며, 이로 인해 기둥(21, 30)에는 축력뿐 아니라 큰 휨모멘트가 작용되므로, 기둥(21, 30)의 좌굴 우려가 상존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공장 구조물(2)의 기둥(21, 30)은 비대한 단면의 강재로 시공할 수밖에 없으므로, 공사비의 증가가 불가피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사무동과 공장동이 함께 구비된 공장 건물을 안전하게 시공할 수 있는 대공간 철골구조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동시에, 공장의 활용도를 저해하면서 동시에 이동식 크레인의 이동을 제한하는 중간기둥을 설치하지 않도록 하여 내부 공간을 넓게 구비할 수 있는 공장 건물의 철골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공장 내에서 설치되는 이동식 크레인이 무거운 물체를 인상하더라도 크레인 지지보의 단면을 보강하지 않고서도 그 힘을 분산시켜 공장 내부를 횡방향으로 가로지르는 길이가 긴 이동식 크레인을 공장 내부에 설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 하층에 공장이 위치하고 상층에 사무동이 위치하는 사무동 공장 복합 건물의 시공 방법으로서, 상기 사무동의 바닥면을 지지하는 제1기둥을 설치하는 제1기둥 설치단계와; 상기 건물의 지붕 구조를 지지하는 제2기둥을 상기 제1기둥에 횡지지되도록 상기 제1기둥의 외측에 인접 설치하는 제2기둥 설치단계와; 상기 제1기둥에 양단 지지되게 주 빔을 설치하는 주 빔 설치단계와; 지붕구조용 빔을 상기 제2기둥의 상단부와 강결되게 설치하는 지붕구조용 빔 설치단계와; 상기 주 빔의 상부 플랜지에 바닥판 콘크리트를 합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무동 공장 복합 건물의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
이와 같이, 사무동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주 빔을 지지하는 제1기둥과, 지붕 구조를 지지하는 제2기둥이 서로 횡지지되도록 설치됨에 따라, 중간 기둥을 설치하지 않아 제1기둥 및 제2기둥에 축방향 성분의 힘이 크게 작용하더라도, 이들이 서로 지지되어 있으므로 강재의 사용량을 최소화하면서도 좌굴이 발생될 가능성을 최소화하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중간 기둥을 생략하는 것이 가능해지며, 중간 기둥의 설치를 생략함에 따라 공사비를 보다 줄이면서 내부에 대 공간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의하여 내부 공간이 크게 형성되므로 크레인의 작업 효율이 극대화되고, 하나의 건물 안에 공장과 사무동이 함께 위치함에 따라 부지 활용도도 높아지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 때, 상기 주 빔 설치단계는, 상기 주 빔이 상기 제1기둥 상에 회전 변위가 허용되게 양단 지지되어 설치됨에 따라, 제1기둥에 모멘트가 작용하는 것이 현저히 감소되므로, 작은 단면으로 보다 높은 하중을 좌굴없이 견딜 수 있는 잇점이 얻어진다. 즉, 주 빔이 제1기둥에 회전 변위가 허용되도록 설치됨에 따라 제1기둥에 작용하는 모멘트가 현저히 감소하며, 제1기둥과 제2기둥이 서로 인접하여 서로 횡지지 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좌굴이 발생되는 것을 서로 억제할 수 있으므로, 적은 양의 강재로 좌굴에 대한 저항 능력이 극대화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제1기둥의 사이에 임시 기둥을 1개소 이상 설치하는 임시기둥 설치단계를; 상기 주 빔 설치단계 이전에 더 추가하여 구성되고, 상기 주 빔 설치단계는 상기 임시 기둥에 의하여 중간부가 상향 솟음이 발생되는 형태로 상기 제1기둥에 양단 지지되게 설치될 수 있다. 임시 기둥은 바닥판 콘크리트가 주 빔에 합성된 이후에 제거된다. 이를 통해, 중간 기둥없는 장경간에 대해 충분히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주 빔은 사무실 등의 공간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콘크리트가 타설되기 이전에 상향 솟음 변형이 발생되도록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다. 이는,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자중에 의해 주 빔은 하방으로 처짐이 발생되는 데, 주 빔의 처짐을 발생시키는 콘크리트의 자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미리 주 빔에 상향 솟음을 발생시키는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한 상태에서 바닥면을 형성하는 콘크리트를 타설함으로써, 사무실 등의 공간의 바닥면이 최종 시공된 상태에서 평탄면이 되도록 하고, 콘크리트의 자중을 주 빔에 미리 도입하는 프리스트레스로 상쇄시키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사무동 아래의 공장동에 설치되는 크레인은 중간 기둥에 의해 간섭받지 않고 크레인 지지보를 따라 공장동 내부의 전 공간을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지붕구조용 빔은 트러스 형식으로 형성되어, 작은 하중을 지지할 수 있었던 종래의 지붕구조용 빔과 달리, 트러스 형식으로 지붕구조용 빔을 제작함에 따라, 지붕 구조 자체에서 보다 큰 외력을 견딜 수 있는 지지 능력을 가지므로 보다 넓은 폭의 내부 공간을 갖는 공장 건물을 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 빔은 상기 지붕 구조용 빔에 현수 지지되도록 구성되어, 대공간의 경우 사무동을 지지하는 주 빔의 바닥판에 발생되는 진동을 저감할 수 있는 잇점이 얻어진다.
한편, 발명의 다른 분야에 따르면, 본 발명은, 하층에 공장이 위치하고 상층에 사무동이 위치하는 사무동 공장 복합 건물로서, 상기 사무동의 바닥면을 지지하는 다수의 제1기둥과; 상기 제1기둥의 바깥쪽에 설치되고 상기 제1기둥에 횡지지되는 다수의 제2기둥과; 양단의 회전 변위가 허용되게 상기 제1기둥에 양단 지지되도록 설치된 주 빔과; 상기 주 빔에 합성된 바닥판 콘크리트와; 상기 제2기둥의 상단부와 강결되게 설치된 지붕구조용 빔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무동 공장 복합 건물을 제공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무동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주 빔을 지지하는 제1기둥과, 지붕 구조를 지지하는 제2기둥이 서로 횡지지되도록 설치됨에 따라, 중간 기둥을 설치하지 않아 제1기둥 및 제2기둥에 축방향 성분의 힘이 크게 작용하더라도, 이들이 서로 횡지지되어 있으므로 강재의 사용량을 최소화하면서도 좌굴이 발생될 가능성을 최소화하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중간 기둥을 생략하는 것이 가능해지며, 중간 기둥의 설치를 생략함에 따라 공사비를 보다 줄이면서 내부에 넓은 공간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사무동 공장 복합 건물의 시공 방법 및 그 복합 건물을 제공한다.
또한, 사무동 아래의 공장동에 설치되는 크레인은 중간 기둥에 의해 간섭받지 않고 공장동의 내부 공간이 크게 형성되므로, 크레인이 공장동 내부의 전 공간을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게 되어, 크레인의 작업 효율이 극대화되고, 하나의 건물 안에 공장과 사무동이 함께 위치함에 따라 부지 활용도도 높아지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주 빔의 양단을 상기 제1기둥 상에 회전 변위가 허용되도록 설치함에 따라, 제1기둥에 모멘트가 작용하는 것이 현저히 감소되므로, 작은 단면으로 보다 높은 하중을 좌굴없이 견딜 수 있는 잇점이 얻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은, 임시 기둥에 의하여 주 빔의 중간부가 상향 솟음이 발생되는 형태로 양단 지지된 상태에서 바닥판 콘크리트가 합성된 후, 임시 기둥을 제거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바닥판 콘크리트의 자중에 의한 처짐을 미리 상쇄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의 자중을 주 빔에 미리 도입하는 프리스트레스로 상쇄시켜, 보다 장 경간에 대하여 효율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붕구조용 빔은 트러스 형식으로 형성되어, 작은 하중을 지지할 수 있었던 종래의 지붕구조용 빔와 달리, 트러스 형식으로 지붕구조용 빔를 제작함에 따라, 지붕 구조 자체에서 보다 큰 외력을 견딜 수 있는 지지 능력을 가지므로 보다 넓은 폭의 내부 공간을 갖는 공장 건물을 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 빔은 상기 지붕 구조용 빔에 현수 지지되도록 구성되어, 대공간의 경우 사무동을 지지하는 주 빔의 바닥판에 발생되는 진동을 저감할 수 있는 잇점이 얻어진다.
도1a는 공장동과 사무동이 분리된 종래 공장의 철골 구조을 도시한 사시도,
도1b는 공장동과 사무동이 분리된 종래 공장의 철골 구조을 도시한 정면도,
도2a는 공장동과 사무동이 합쳐진 종래 공장의 철골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2b는 공장동과 사무동이 합쳐진 종래 공장의 철골 구조를 도시한 정면도,
도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무동 공장 복합 건물의 철골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무동 공장 복합 건물의 철골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
도4a 내지 도4g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무동 공장 복합 건물의 시공 방법에 따른 순차적인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5a 및 도5b는 도4d의 'A'부분의 확대 사시도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무동 공장 복합 건물(100)은 하층에 공장동이 위치하고 상층에 사무동이 위치하는 사무동 공장 복합 건물로서, 사무동(100x)의 바닥면을 지지하는 다수의 제1기둥(110)과, 제1기둥(110)의 바깥쪽에 제1기둥(110)에 횡지지되도록 설치된 다수의 제2기둥(120)과, 제1기둥(110)에 대하여 회전 변위가 허용되게 제1기둥(110)의 상단부에 양단 지지되게 설치된 주 빔(130)과, 제2기둥(120)의 상단부에 강결되게 설치된 지붕 구조용 빔(140)과, 주 빔(130)에 합성된 바닥판 콘크리트(150)와, 지붕 구조용 빔(140)과 주 빔(130)을 연결하는 행어부재(160)로 구성된다.
상기 제1기둥(110)은 지면에 세워지며 도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 빔(130)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갖도록 설치된다.
상기 제2기둥(120)은 도4b와 같이, 제1기둥(110)의 바깥에 세워지지만, 제1기둥(110)과 근접 배치되거나 볼트 또는 용접에 의한 연결 부재(125)에 의해 상호 횡지지되도록 설치된다. 이와 같이, 제1기둥(110)과 제2기둥(120)이 상호 횡지지되도록 설치됨에 따라, 제1기둥(110)과 제2기둥(120)에 사용되는 강재량이 작아지더라도, 좌굴에 대한 높은 저항 능력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주 빔(130)은 제1기둥(110)에 대하여 회전 변위가 허용되도록 설치된다. 예를 들어, 도5a 및 도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 빔(130)이 제1기둥(110)의 상단부에 거치되되, 제1기둥(110)과 주 빔(130)에 형성된 관통공(110a, 130a)에 핀(77)을 꽂아 회전 변위는 허용하지만 이탈을 방지하도록 설치된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주 빔(130)이 제1기둥(110) 상에 단순 거치될 수도 있고, 회전 변위를 허용하는 탄성체를 제1기둥(110)의 표면과의 사이에 개재시킬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주 빔(130)에 작용하는 하중에 의하여 제1기둥(110)에 모멘트가 전달되지 않고 축 방향의 힘만 전달되므로, 제1기둥(110)의 단면이 작아지더라도 좌굴의 발생 가능성을 크게 낮출 수 있다.
상기 제1기둥(110), 제2기둥(120) 및 주 빔(130)은 강재 빔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널리 사용되는 'H'형태 단면의 빔 등이 적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단면 형상이 H형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지붕구조용 빔(14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러스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지붕구조용 빔(140)은 상현재(141)와 하현재(142) 및 그 사이를 수직하게 또는 경사지게 상호 연결하는 연결재(143)로 이루어진 트러스 형식으로 제작되어, 가장 안정된 구조를 이루면서 외력에 대해 힘의 분산이 용이하도록 한다. 이를 통해,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트러스 형식의 지붕구조용 빔(140) 자체는 변형되거나 파손되지 않고 충분한 내구성과 지지 능력을 갖고 견딜 수 있게 된다. 제2기둥(120)의 시공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풍하중 등에 의한 횡방향 흔들림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제2기둥(120)과 지붕 구조용 빔(140)을 연결하는 브레이싱재(414)를 추가적으로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바닥판 콘크리트(150)는 주 빔(130)의 상부 플랜지에 합성된다. 이 때, 주 빔(130)은 상향으로 솟음 상태에서 바닥판 콘크리트(150)가 주 빔(130)에 합성되도록 시공함으로써, 완성 시공된 상태에서 바닥판 콘크리트(150)의 자중에 해당하는 만큼의 주 빔(130)의 처짐을 상쇄하고 수평의 평탄한 사무동의 바닥면을 형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무동의 시설물 등에 의하여 주 빔(130)이 견딜 수 있는 능력을 보다 크게 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상기 행어부재(160)는 상기 지붕 구조용 빔(140)과 주 빔(130)를 연결하여, 주 빔(130)에 작용하는 하중을 견고한 지지 능력을 갖는 지붕구조용 빔(140)에 전달하여 지지하도록 한다. 이를 통해, 주 빔(130)에 작용하는 하중에 의한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상기 공장동에 작용되는 하중은 제1기둥(110)에 고정된 브라켓(131)에 지지되게 설치되는 크레인(230)을 포함한다. 이 때 크레인(230)은 공장 내부를 좌우방향 및 전후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무동 공장 복합 건물의 시공 방법을 상술한다.
단계 1: 도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에 제1기둥(110)을 고정한다. 제1기둥(110)은 강재인 것이 바람직하며, 도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부에 주 빔(130)의 위치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하부 플랜지가 복부에 비하여 상측으로 더 연장되고, 주 빔(130)이 안착될 수 있는 강판(112)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 2: 그리고 나서, 도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기둥(110)의 바깥쪽에 제1기둥(110)에 비하여 높은 제2기둥(120)을 고정한다. 이 때, 제2기둥(120)은 제1기둥(110)과 근접 배치하되, 제1기둥(110)과 제2기둥(120)을 연결 부재(125)로 상호 연결하여 횡지지하는 구성을 구현할 수도 있다.
단계 3: 그리고 나서, 도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기둥(110)의 사이에 제1기둥(110)의 높이(H1)에 비하여 더 높은 높이(H2)의 임시 기둥(88)을 세운다. 도면에는 제1기둥(110)의 사이에 하나의 임시 기둥(88)이 설치된 구성을 예로 들었지만, 필요에 따라 2개 이상의 임시 기둥(88)이 제1기둥(110)의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단계 4: 그리고 나서, 도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 빔(130)의 양단부 회전 변위를 허용할 수 있는 형태로 제1기둥(110)의 상단부에 주 빔(130)의 양단부를 거치시킨다. 필요에 따라 제1기둥(110)과 주 빔(130)을 핀(77)으로 구속하여, 서로 회전 변위는 허용하지만 이동 변위는 억제시킬 수도 있다.
이 때, 제1기둥(110)의 사이에 제1기둥(110)의 높이(H1)보다 높은 높이(H2)의 임시 기둥(88)이 위치하므로, 주 빔(130)의 중앙부는 임시 기둥(88)에 의하여 상향 솟음이 있는 상태로 거치된다.
단계 5: 그리고 나서, 도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기둥(120)의 상단부에 지붕구조용 빔(140)을 강결 설치한다. 지붕 구조용 빔(140)은 상현재(141)와 하현재(142) 사이에 다수의 연결재(143)에 의하여 트러스 구조를 이루고 있으므로, 안정된 지지능력을 갖는다. 이 때 단계 5는 단계 3과 단계 4사이에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단계 6: 단계 4를 행하고 나서, 도4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 빔(130)의 상부 플랜지에 바닥판 콘크리트(150)를 합성한다. 바닥판 콘크리트(150)가 주 빔(130)에 합성되면, 임시 기둥(88)은 제거된다. 이에 따라, 중앙부에 상향 솟음이 있던 주 빔(130)은 자체의 중량과 합성된 바닥판 콘크리트(150)의 중량에 의하여 상향 솟음이 상쇄되어 평탄한 면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주 빔(130)이 상향 솟음된 상태로 바닥판 콘크리트(150)를 합성하도록 구성함에 따라, 주 빔(130)의 하연이 부담하는 인장 응력의 허용 범위는 더욱더 커진다. 따라서, 제1기둥 사이에 중앙 기둥을 두지 않고 주 빔(130)을 긴 경간에 설치하더라도 충분히 사무동으로부터 작용하는 하중에 견딜 수 있다.
단계 7: 그리고 나서, 도4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붕구조용 빔(140)과 주 빔(130)을 행어부재(160)로 연결하여, 사무동의 바닥면에 과도한 하중이 작용하더라도 안정된 트러스 구조의 지붕 구조용 빔(140)에 분담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사무동 공장 복합 건물(100)의 시공 방법 및 이에 의해 시공된 복합 건물은, 사무동의 주 빔(130)을 지지하는 제1기둥(110)과, 지붕 구조를 지지하는 제2기둥(120)이 서로 횡지지되도록 설치됨에 따라, 중간 기둥을 설치하지 않아 제1기둥(110) 및 제2기둥(120)에 축방향 성분의 힘이 크게 작용하더라도, 이들이 서로 횡지지됨에 따라 좌굴에 높은 저항 능력을 가지므로, 적은 양의 강재를 사용하더라도 견고하게 복합 건물을 효율적으로 지탱할 수 있도록 하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조적으로 중간 기둥을 생략할 수 있게 됨에 따라, 공사비를 보다 줄이면서 내부에 넓은 공간을 형성할 수 있으며, 중간 기둥에 의해 간섭받지 않고 크게 형성되는 공장동의 내부 공간 내에서 크레인이 전 공간을 자유롭게 이동하여 작업 효율을 향상시키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 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100 : 사무동 공장 복합 건물 110: 제1기둥
120: 제2기둥 130: 주 빔
140: 지붕구조용 빔 150: 바닥판 콘크리트
230: 이동식 크레인 160: 행어 부재

Claims (5)

  1. 하층에 공장동이 위치하고 상층에 사무동이 위치하는 사무동 공장 복합 건물의 시공 방법으로서,
    상기 사무동의 바닥면을 지지하는 제1기둥을 설치하는 제1기둥 설치단계와;
    상기 건물의 지붕 구조를 지지하는 제2기둥을 상기 제1기둥에 횡지지되도록 상기 제1기둥의 외측에 인접 설치하는 제2기둥 설치단계와;
    상기 제1기둥에 양단 지지되게 주 빔을 설치하는 주 빔 설치단계와;
    지붕구조용 빔을 상기 제2기둥의 상단부와 강결되게 설치하는 지붕구조용 빔 설치단계와;
    상기 주 빔의 상부 플랜지에 바닥판 콘크리트를 합성하는 바닥판 콘크리트 합성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무동 공장 복합 건물의 시공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둥의 사이에 임시 기둥을 설치하는 임시기둥 설치단계를;
    상기 주 빔 설치단계 이전에 더 추가하여 구성하고, 상기 주 빔 설치단계는 상기 임시 기둥에 의하여 중간부가 상향 솟음이 발생되는 형태로 상기 제1기둥에 양단지지되게 설치되고, 상기 바닥판 콘크리트 합성단계 이후에 상기 임시 기둥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무동 공장 복합 건물의 시공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붕구조용 빔은 트러스 형식이고, 상기 주 빔은 상기 지붕 구조용 빔에 현수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무동 공장 복합 건물의 시공 방법.
  4. 제 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 빔 설치단계는,
    상기 주 빔이 상기 제1기둥 상에 회전 변위가 허용되게 양단 지지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무동 공장 복합 건물의 시공 방법.
  5. 하층에 공장동이 위치하고 상층에 사무동이 위치하는 사무동 공장 복합 건물로서,
    상기 사무동의 바닥면을 지지하는 다수의 제1기둥과;
    상기 제1기둥의 바깥쪽에 설치되고 상기 제1기둥에 횡지지되는 다수의 제2기둥과;
    양단의 회전 변위가 허용되게 상기 제1기둥에 양단 지지되도록 설치된 주 빔과;
    상기 주 빔에 합성된 바닥판 콘크리트와;
    상기 제2기둥의 상단부와 강결되게 설치된 지붕구조용 빔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무동 공장 복합 건물.
KR1020120152604A 2012-12-24 2012-12-24 사무동 공장 복합 건물의 시공 방법 및 그 복합 건물 KR1012546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2604A KR101254621B1 (ko) 2012-12-24 2012-12-24 사무동 공장 복합 건물의 시공 방법 및 그 복합 건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2604A KR101254621B1 (ko) 2012-12-24 2012-12-24 사무동 공장 복합 건물의 시공 방법 및 그 복합 건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4621B1 true KR101254621B1 (ko) 2013-04-15

Family

ID=48443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2604A KR101254621B1 (ko) 2012-12-24 2012-12-24 사무동 공장 복합 건물의 시공 방법 및 그 복합 건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462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5817B1 (ko) * 2013-05-13 2014-02-20 원인복 공장 건물의 뼈대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CN110468957A (zh) * 2019-07-09 2019-11-19 深圳市建筑设计研究总院有限公司 一种空间双向空腹桁架结构体系及其施工方法
RU213118U1 (ru) * 2022-02-21 2022-08-25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Техпром" Здание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50767A (ja) * 1992-12-16 1995-06-13 Takenaka Komuten Co Ltd 天井走行クレーンを有する建屋に於ける梁トラス建方方法
JPH08170436A (ja) * 1994-12-20 1996-07-02 Hitachi Ltd プラントの建設方法及びその建設設備
JP2006274617A (ja) * 2005-03-29 2006-10-12 Nippon Steel Corp 天井クレーンが走行する工場建家
KR101130129B1 (ko) * 2009-10-13 2012-03-28 원인복 공장 건물의 철골 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50767A (ja) * 1992-12-16 1995-06-13 Takenaka Komuten Co Ltd 天井走行クレーンを有する建屋に於ける梁トラス建方方法
JPH08170436A (ja) * 1994-12-20 1996-07-02 Hitachi Ltd プラントの建設方法及びその建設設備
JP2006274617A (ja) * 2005-03-29 2006-10-12 Nippon Steel Corp 天井クレーンが走行する工場建家
KR101130129B1 (ko) * 2009-10-13 2012-03-28 원인복 공장 건물의 철골 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5817B1 (ko) * 2013-05-13 2014-02-20 원인복 공장 건물의 뼈대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CN110468957A (zh) * 2019-07-09 2019-11-19 深圳市建筑设计研究总院有限公司 一种空间双向空腹桁架结构体系及其施工方法
RU213118U1 (ru) * 2022-02-21 2022-08-25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Техпром" Здание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5817B1 (ko) 공장 건물의 뼈대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US8522507B2 (en) Concrete platform production process, concrete platform, and connecting member
WO2013149771A1 (en) Movable structure suitable for supporting a formwork of a new bridge section in cantilever
CA3137574A1 (en) Vertical slip form construction system with multi-function platform, and method of constructing a building therewith
JP5927599B2 (ja) 仮設鉄塔ユニット及び仮設鉄塔
US11473295B2 (en) Floor plate for a multi-story building
KR100755946B1 (ko) 합성가설교량
JP2018035556A (ja) 屋根構造体の構築方法
KR101254621B1 (ko) 사무동 공장 복합 건물의 시공 방법 및 그 복합 건물
KR100923564B1 (ko) 스틸 플레이트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교량 바닥판과 그 시공방법 및 구조
KR20100090229A (ko) 하프 프리캐스트 패널을 이용한 캔틸레버 바닥판 시공방법
KR101139761B1 (ko) 건축물용 보강 벽
CN212358363U (zh) 一种悬空式塔吊基础
CN210597630U (zh) 一种网架整体提升结构
CN110777996A (zh) 一种组合式钢筋桁架叠合板
KR101538579B1 (ko) 강재 뼈대 구조의 시공 방법
KR20210037975A (ko) 사무동 공장 복합 건물의 시공 방법 및 그 복합 건물
CN212507538U (zh) 一种混凝土结构梁的加固结构
JP2004132112A (ja) 鉄塔の最下構造
CN110924722B (zh) 钢结构矩形水池
CN211499995U (zh) 钢结构矩形水池
CN210562895U (zh) 高强度装配式楼盖系统
CN220247182U (zh) 可对超高层建筑中大量竖向构件进行转换的新型转换结构
CN216641097U (zh) 标准化u型多向梁以及楼盖结构
CN216405698U (zh) 一种混凝土框架连接节点及建筑构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