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4870B1 - 모듈 설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모듈형 멀티 레벨 컨버터 - Google Patents

모듈 설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모듈형 멀티 레벨 컨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4870B1
KR102434870B1 KR1020200104161A KR20200104161A KR102434870B1 KR 102434870 B1 KR102434870 B1 KR 102434870B1 KR 1020200104161 A KR1020200104161 A KR 1020200104161A KR 20200104161 A KR20200104161 A KR 20200104161A KR 102434870 B1 KR102434870 B1 KR 1024348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oupled
cart
module
adjus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41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22784A (ko
Inventor
강대철
Original Assignee
엘에스일렉트릭(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일렉트릭(주) filed Critical 엘에스일렉트릭(주)
Priority to KR10202001041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4870B1/ko
Publication of KR202200227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27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48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48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003Constructional details, e.g. physical layout, assembly, wiring or busbar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1/00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 H02B11/12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with isolation by horizontal withdrawa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1/00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 H02B11/18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with isolation by vertical withdraw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60Arrangements for transfer of electric power between AC networks or generators via a high voltage DC link [HVC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verter Devices (AREA)

Abstract

모듈 설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모듈형 멀티 레벨 컨버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듈 설치 장치는 파워 모듈 및 커패시터 모듈을 프레임에 설치하는 모듈 설치 장치를 포함한다. 모듈 설치 장치에는 파워 모듈 및 커패시터 모듈이 안착된다. 모듈 설치 장치는 X축, Y축 및 Z축의 3축 방향의 직선 운동 및 Z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 운동될 수 있다. 따라서, 고중량의 파워 모듈 및 커패시터 모듈이 안전하고 정확하게 프레임에 설치 및 결합될 수 있다.

Description

모듈 설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모듈형 멀티 레벨 컨버터{Module install apparatus and modular multilevel converter include the same}
본 발명은 모듈 설치 장치 및 모듈형 멀티 레벨 컨버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모듈형 멀티 레벨 컨버터를 구성하는 파워 팩 또는 커패시터 팩을 프레임에 용이하게 삽입 및 탈거될 수 있는 모듈 설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모듈형 멀티 레벨 컨버터에 관한 것이다.
유연 송전 시스템 또는 신전력 송전 시스템(FACTS, Flexible AC Transmission System)은 교류 전력 계통에 전력 전자 제어 기술을 도입하여, 전력 계통의 유연성을 증대시키는 운영 기술이다.
구체적으로, 유연 송전 시스템은 전력용 반도체 스위칭 소자를 이용하여 송전 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유연 송전 시스템은 송전 선로의 설비 이용률을 극대화하고, 송전 용량을 증대시키며, 전압 변동을 최소화할 수 있다.
유연 송전 시스템에서, 전력의 저장 및 입출력은 커패시터 소자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커패시터 소자는 스위칭 소자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위칭 소자는 커패시터 소자에의 전류의 입, 출력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커패시터 소자와 스위칭 소자는 모듈화되어 구성될 수 있다. 커패시터 소자와 스위칭 소자가 구성하는 각 모듈은 "서브모듈(sub module)"로 지칭될 수 있다. 서브모듈은 그 개수를 조정함으로써 전압 용량 등이 용이하게 조정될 수 있다.
이때, 복수 개의 서브모듈은 설치 상태 및 통전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기 위해 강체 소재의 프레임 등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서브모듈이 작동됨에 따라 발생되는 진동 등에 의해 서브모듈이 설치 위치에서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그런데, 서브모듈을 구성하는 커패시터 소자 및 스위칭 소자는 그 구성요소로 인해 고중량으로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작업자가 수동으로 서브모듈을 프레임 등에 결합시키는 것은 결코 용이하지 않다.
더욱이, 설치 중 조작 미숙 등에 기인하여 커패시터 소자 또는 스위칭 소자가 임의로 탈락될 경우, 이로 인한 안전 사고 또한 발생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자동화된 설비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서브모듈과 프레임이 결합되는 위치를 정확하게 맞추어야 하는데, 이를 위한 사전 작업 또한 작업자에 의해 수행되므로, 그 정확성 및 효율성이 보장되기 어렵다.
한국등록특허문헌 제10-1623347호는 초고압 직류 송전시스템의 모듈 인출장치를 개시한다. 구체적으로, 구조물에 고정베이스를 고정하고, 고정베이스 상에서 슬라이딩되는 이동베이스에 서브모듈을 장착하여, 구조물에서 서브모듈을 인출할 수 있는 구조의 초고압 직류 송전시스템의 모듈 인출장치를 개시한다.
그런데, 이러한 유형의 모듈 인출장치는 삽입되는 방향, 즉 전후 방향으로만 서브모듈이 이동될 수 있다는 한계가 있다. 즉, 모듈 인출장치를 구조물에 고정하기 위해서는 작업자에 의한 수동 조작이 수행되어야만 하는바, 그 정확성 및 효율성이 보장되기 어렵다.
국제공개특허문헌 제2016-021841호는 초고압 직류 송전시스템의 모듈 교체장치를 개시한다. 구체적으로, 고정베이스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서브모듈을 교체하기 위한 교체베이스를 구비하는 모듈 교체장치를 구비한다. 상기 모듈 교체장치는 서브모듈을 지지하는 구조물에 결합되는 지지부재를 별도로 포함한다.
그런데, 이러한 유형의 모듈 교체장치 또한 삽입 및 인출되는 방향, 즉 전후 방향으로만 서브모듈이 이동될 수 있다는 한계가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선행문헌이 개시하는 모듈 교체장치는 안정성을 위해 별도의 지지부재가 구조물에 결합되는 과정이 추가되어야만 한다.
한국등록특허문헌 제10-1623347호 (2016.06.07.) 국제공개특허문헌 제2016-021841호 (2016.02.11.)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구조의 모듈 설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모듈형 멀티 레벨 컨버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서브 모듈을 구성하는 파워 모듈 및 커패시터 모듈을 안전하게 설치 및 분리할 수 있는 구조의 모듈 설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모듈형 멀티 레벨 컨버터를 제공함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서브 모듈을 구성하는 파워 모듈 및 커패시터 모듈을 정확한 위치에 설치할 수 있는 구조의 모듈 설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모듈형 멀티 레벨 컨버터를 제공함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서브 모듈을 구성하는 파워 모듈 및 커패시터 모듈을 설치 및 분리하기 위한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는 구조의 모듈 설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모듈형 멀티 레벨 컨버터를 제공함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서브 모듈을 구성하는 파워 모듈 및 커패시터 모듈의 임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는 구조의 모듈 설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모듈형 멀티 레벨 컨버터를 제공함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복수 개의 서브 모듈을 용이하게 구성, 설치 및 분리할 수 있는 구조의 모듈 설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모듈형 멀티 레벨 컨버터를 제공함을 일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조정부;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1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상기 제1 조정부에 결합되는 제2 조정부; 및 상기 제2 조정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파워 모듈 또는 커패시터 모듈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 조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조정부는, 상기 제1 조정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카트부; 상기 카트부를 향하는 방향 및 상기 카트부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카트부에 결합되는 승강부; 및 상기 승강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3 조정부가 결합되는 회전부를 포함하는 모듈 설치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모듈 설치 장치의 상기 제2 조정부의 상기 카트부는, 상기 제1 조정부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제1 베이스; 및 상기 제1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 조정부에 안착되는 복수 개의 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듈 설치 장치의 상기 제1 조정부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 베이스의 하측에 결합되는 삽입부에 삽입되며, 상기 제1 베이스가 안착되는 안착부; 및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상기 안착부와 이격되어 위치되고, 상기 휠부가 회전 가능하게 안착되는 레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듈 설치 장치의 상기 제1 조정부는, 상기 레일부가 연장되는 방향의 각 단부에 위치되며, 상기 제1 방향에 대해 소정의 각도를 이루는 판 형으로 구비되는 이탈 방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듈 설치 장치의 상기 제1 조정부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레일부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레일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안착부를 마주하게 위치되며,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레일부의 일측을 감싸는 수직 지지부; 및 상기 수직 지지부의 단부에서 상기 수직 지지부와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상기 안착부를 향해 연장되어, 상기 레일부의 상측을 감싸는 수평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듈 설치 장치의 상기 제2 조정부의 상기 승강부는, 상기 카트부에 결합되며, 판형으로 형성되는 제2 베이스; 상기 제2 베이스에 관통 결합되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부분 및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부분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는 제2 부분을 포함하는 높이 조절부; 및 상기 높이 조절부와 결합되며, 회전 조작되어 상기 제2 부분에 수용되는 상기 제1 부분의 높이를 조정하는 승강 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듈 설치 장치의 상기 제2 조정부의 상기 승강부는, 상기 높이 조절부와 결합되며, 누름 조작되어 상기 제1 부분의 승강을 제한하는 제1 고정 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듈 설치 장치의 상기 제2 조정부의 상기 회전부는, 상기 승강부에 결합되며, 판형으로 형성되는 제3 베이스; 상기 제3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3 조정부가 결합되는 회전 결합부; 및 상기 제3 베이스에 관통되고, 상기 회전 결합부에 결합되는 회전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듈 설치 장치의 상기 제2 조정부의 상기 회전부는, 상기 회전축 및 상기 제3 베이스와 각각 결합되는 베어링 부재; 상기 회전축과 결합되며, 회전 조작되어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회전 레버; 및 상기 회전축과 결합되며, 누름 조작되어 상기 회전축의 회전을 제한하는 제2 고정 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듈 설치 장치의 상기 제3 베이스를 마주하는 상기 제3 조정부의 일측에는, 상기 제3 베이스를 향해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2 조정부의 상기 회전부는, 상기 제3 베이스 상에서 상기 제3 조정부를 향해 연장되며, 복수 개 구비되어 상기 제3 베이스의 중심에 대해 서로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이격되고, 상기 제3 베이스의 중심에 대해 방사상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복수 개의 상기 제한 부재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회전축이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복수 개의 상기 제한 부재 중 어느 하나에 접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듈 설치 장치의 상기 제3 조정부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며, 상기 파워 모듈 또는 상기 커패시터 모듈이 안착되는 카트 유닛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카트 결합부; 및 상기 카트 유닛의 휠부가 회전 가능하게 안착되는 휠 안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듈 설치 장치의 상기 제3 조정부는, 상기 몸체부가 연장되는 방향의 각 단부에 위치되며, 상기 제2 방향에 대해 소정의 각도를 이루는 판 형으로 구비되는 복수 개의 이탈 제한부를 포함하며, 복수 개의 상기 이탈 제한부 중 어느 하나는 탈착 가능하게 상기 몸체부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듈 설치 장치의 상기 제3 조정부는, 상기 몸체부의 모서리 중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모서리에 인접하게 위치되어, 상기 카트 결합부 및 상기 휠 안착부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는 복수 개의 측면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측면 지지부는,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1 연장부; 상기 제1 연장부와 연속되며, 상기 카트 결합부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연장부; 및 상기 제2 연장부와 연속되며,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3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는 파워 모듈; 상기 파워 모듈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커패시터 소자를 포함하는 커패시터 모듈; 상기 파워 모듈 또는 상기 커패시터 모듈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프레임 레일을 포함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에 인접하게 위치되어 상기 프레임과 접촉되거나 이격되고, 상기 파워 모듈 또는 상기 커패시터 모듈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모듈 설치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모듈 설치 장치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조정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상기 제1 조정부에 결합되며, 상하 방향의 높이가 가변되는 제2 조정부; 및 상기 제2 조정부에 결합되며, 상기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그 일측 단부가 상기 프레임 레일과 접촉되고, 상기 파워 모듈 또는 상기 커패시터 모듈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 조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조정부는, 상기 제1 조정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카트부; 상기 카트부의 상측에 위치되며, 그 상측이 상기 제3 조정부와 결합되는 회전부; 및 상기 카트부 및 상기 회전부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카트부와 결합되고, 상기 회전부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카트부와 상기 회전부 사이의 최단 거리가 조정되도록 그 상하 방향의 높이가 조정되는 승강부를 포함하는 모듈형 멀티 레벨 컨버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모듈형 멀티 레벨 컨버터의 상기 제2 조정부의 상기 카트부는, 상기 제1 조정부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제1 베이스; 및 상기 제1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 조정부에 안착되는 복수 개의 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조정부는, 상기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베이스의 하측에 결합되는 삽입부에 삽입되며, 상기 제1 베이스가 안착되는 안착부; 상기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좌우 방향으로 상기 안착부와 이격되어 위치되고, 상기 휠부가 회전 가능하게 안착되는 레일부; 및 상기 레일부의 좌측 단부 및 우측 단부에 각각 위치되며, 상기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판형으로 구비되는 이탈 방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듈형 멀티 레벨 컨버터의 상기 제2 조정부의 상기 승강부는, 상기 카트부에 결합되며, 판형으로 형성되는 제2 베이스; 상기 제2 베이스에 관통 결합되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부분 및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부분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는 제2 부분을 포함하는 높이 조절부; 상기 높이 조절부와 결합되며, 회전 조작되어 상기 제2 부분에 수용되는 상기 제1 부분의 높이를 조정하는 승강 레버; 및 상기 높이 조절부와 결합되며, 누름 조작되어 상기 제1 부분의 승강을 제한하는 제1 고정 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듈형 멀티 레벨 컨버터의 상기 제2 조정부의 상기 회전부는, 상기 승강부에 결합되며, 판형으로 형성되는 제3 베이스; 상기 제3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3 조정부가 결합되는 회전 결합부; 상기 제3 베이스에 관통되고, 상기 회전 결합부에 결합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 및 상기 제3 베이스와 각각 결합되는 베어링 부재; 상기 회전축과 결합되며, 회전 조작되어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회전 레버; 및 상기 회전축과 결합되며, 누름 조작되어 상기 회전축의 회전을 제한하는 제2 고정 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듈형 멀티 레벨 컨버터의 상기 제3 조정부는, 상기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며, 상기 파워 모듈 또는 상기 커패시터 모듈이 안착되는 카트 유닛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카트 결합부; 상기 카트 유닛의 휠부가 회전 가능하게 안착되는 휠 안착부; 상기 몸체부가 연장되는 방향의 각 단부에 위치되며, 상기 좌우 방향 및 상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판 형으로 구비되는 복수 개의 이탈 제한부; 및 상기 몸체부의 좌측 및 우측의 각 모서리에 인접하게 위치되어, 상기 카트 결합부 및 상기 휠 안착부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는 복수 개의 측면 지지부를 포함하며, 복수 개의 상기 이탈 제한부 중 상기 프레임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상기 이탈 제한부는 탈착 가능하게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고, 상기 측면 지지부는, 상측으로 연장되며, 그 상측 단부의 높이가 상기 카트 결합부 및 상기 휠 안착부의 상측 단부보다 높게 위치되는 제1 연장부; 상기 제1 연장부와 연속되며, 상기 몸체부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2 연장부; 및 상기 제2 연장부와 연속되며,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3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달성될 수 있다.
먼저, 모듈 설치 장치는 제1 조정부, 제2 조정부 및 제3 조정부를 포함한다. 설치 또는 분리 대상인 파워 모듈 또는 커패시터 모듈은 제3 조정부에 안착된다. 제3 조정부는 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파워 모듈 또는 커패시터 모듈은 제3 조정부의 연장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제3 조정부는 제2 조정부와 결합된다. 제2 조정부는 서브 모듈이 설치될 프레임을 향하는 방향 및 그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제3 조정부는 제2 조정부와 함께 회전되어, 프레임을 향하는 방향 및 그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제3 조정부에 안착된 파워 모듈 또는 커패시터 모듈을 프레임을 향하는 방향으로 가압하여 프레임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에 안착된 파워 모듈 또는 커패시터 모듈을 제3 조정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가압하여 프레임에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가 파워 모듈 또는 커패시터 모듈을 직접 파지하여 들어올리지 않고도 파워 모듈 또는 커패시터 모듈의 설치 및 분리가 가능하다. 결과적으로, 고중량의 파워 모듈 또는 커패시터 모듈의 설치 및 분리 과정이 안전하게 진행될 수 있다.
또한, 제1 조정부는 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제2 조정부는 제1 조정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2 조정부는 그 높이가 조정되는 승강부를 포함한다. 또한, 제2 조정부는 승강부의 상측에 위치되며, 승강부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되는 회전부를 포함한다.
제2 조정부에는 파워 모듈 또는 커패시터 모듈이 결합 및 안착되는 제3 조정부가 결합된다. 특히, 제3 조정부는 회전부에 결합되어, 회전부와 함께 승강부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제3 조정부에 결합 및 안착된 파워 모듈 또는 커패시터 모듈 또한 제3 조정부와 함께 회전된다.
또한, 제3 조정부 및 이에 결합 및 안착된 파워 모듈 또는 커패시터 모듈은 승강부에 의해 그 상하 방향의 위치가 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조정부, 제2 조정부 및 제3 조정부의 직선 이동 및 회전에 의해 제3 조정부는 프레임의 프레임 레일과 직선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제3 조정부에 결합 및 안착된 파워 모듈 또는 커패시터 모듈이 설치가 예정된 위치에 정확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구성을 통해 파워 모듈 또는 커패시터 모듈은 제3 조정부에서 결합된 상태에서 슬라이드 이동되어 일 방향의 위치가 조정될 수 있다. 또한, 파워 모듈 또는 커패시터 모듈은 제2 조정부에 의해 그 높이 및 타 방향의 위치가 조정될 수 있다. 더 나아가, 파워 모듈 또는 커패시터 모듈은 제2 조정부에 의해 프레임과 이루는 각도가 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수동으로 파워 모듈 또는 커패시터 모듈을 설치 및 분리하는 경우에 비해, 설치 및 분리에 요구되는 시간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제1 조정부에는 그 길이 방향의 각 단부에 위치되는 이탈 방지부가 구비된다. 이탈 방지부는 레일부가 연장되는 방향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는 판형으로 구비되어, 레일부에 안착된 제2 조정부가 길이 방향으로 임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1 조정부에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부가 구비된다. 지지부는 각각 레일부에 안착된 제2 조정부의 휠부를 외측 및 상측에서 둘러싼다. 이에 따라, 안착된 제2 조정부는 레일부의 상측 또는 외측으로 임의 이탈되지 않게 된다.
제2 조정부에는 방사상 외측에서 연장되는 제한 부재가 구비된다. 제3 조정부의 하측에 형성된 돌출부는 복수 개의 제한 부재 사이에 위치된다. 이에 따라, 제2 조정부 및 제3 조정부의 회전 각도가 제한될 수 있다.
제3 조정부에는 몸체부의 길이 방향의 각 단부에 위치되는 이탈 제한부가 구비된다. 이탈 제한부는 휠 안착부 또는 카트 결합부가 연장되는 방향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는 판형으로 구비되어, 휠 안착부 또는 카트 결합부에 안착된 파워 모듈 또는 커패시터 모듈이 길이 방향으로 임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3 조정부에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면 지지부가 구비된다. 측면 지지부는 각각 몸체부에 형성된 휠 안착부 및 카트 결합부를 외측에서 둘러싼다. 이에 따라, 안착된 파워 모듈 또는 커패시터 모듈은 외측으로 임의 이탈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모듈 설치 장치의 각 구성 요소 및 이에 결합된 파워 모듈 및 커패시터 모듈의 임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모듈 설치 장치는 3차원 공간을 구성하는 3개의 축을 따르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모듈 설치 장치는 상기 3개의 축 중 어느 하나의 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될 수 있다.
모듈 설치 장치는 지지 암을 포함한다. 모듈 설치 장치는 지지 암에 의해 프레임과 결합된다. 즉, 파워 모듈 또는 커패시터 모듈의 설치 위치가 변경될 경우, 모듈 설치 장치의 지지 암을 해당 위치에 인접하게 프레임과 결합시킴으로써, 모듈 설치 장치의 위치가 조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파워 모듈 또는 커패시터 모듈이 단일의 모듈 설치 장치에 의해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듈형 멀티 레벨 컨버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모듈형 멀티 레벨 컨버터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모듈형 멀티 레벨 컨버터에 구비되는 모듈 설치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모듈 설치 장치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모듈 설치 장치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모듈 설치 장치를 도시하는 배면도이다.
도 7은 도 3의 모듈 설치 장치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3의 모듈 설치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3의 모듈 설치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3의 모듈 설치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11은 도 3의 모듈 설치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2는 도 3의 모듈 설치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도이다.
도 13은 도 3의 모듈 설치 장치에 구비되는 제1 조정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4a는 도 13의 제1 조정부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14b 및 도 14c는 도 13의 제1 조정부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5는 도 3의 모듈 설치 장치에 구비되는 제2 조정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제2 조정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7은 도 15의 제2 조정부를 도시하는 저면도이다.
도 18은 도 15의 제2 조정부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19는 도 15의 제2 조정부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20은 도 3의 모듈 설치 장치에 구비되는 제3 조정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1은 도 20의 제3 조정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2a는 도 20의 제3 조정부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22b 및 도 22c는 도 20의 제3 조정부를 도시하는 정면도 및 배면도이다.
도 23 및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듈 설치 장치에 의해 파워 모듈 및 커패시터 모듈이 프레임에 설치되는 과정을 도시하는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듈 설치 장치(50) 및 이를 포함하는 모듈형 멀티 레벨 컨버터(1)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특징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일부 구성 요소들에 대한 설명이 생략될 수 있다.
1. 용어의 정의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통전"이라는 용어는 하나 이상의 부재 사이에 전류 등의 전기적 신호가 전달되는 상태를 의미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통전 상태는 도선 등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전방 측", "후방 측", "좌측", "우측", "상측" 및 "하측"이라는 용어는 도 3, 도 8 및 도 12에 도시된 좌표계를 참조하여 이해될 것이다.
즉, 이하의 설명에서는, 모듈 설치 장치(50)가 프레임(40)의 전방 측에 위치된 것으로 전제하여 설명한다. 마찬가지로, 이하에서는 파워 모듈(10)이 커패시터 모듈(20)의 전방 측에 위치됨을 전제하여 설명됨이 이해될 것이다.
2.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듈형 멀티 레벨 컨버터(Modular Multilevel Converter)(1)의 설명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듈형 멀티 레벨 컨버터(1)가 도시된다. 모듈형 멀티 레벨 컨버터(1)는 STATCOM(Static Synchronous Compensator)로 기능될 수 있다.
즉, 모듈형 멀티 레벨 컨버터(1)는 일종의 정지형 무효전력 보상장치로, 전기 또는 전력의 송배전시 손실전압을 보충해 안정성을 높이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모듈형 멀티 레벨 컨버터(1)는 파워 모듈(10), 커패시터 모듈(20), 카트 유닛(30), 프레임(40) 및 모듈 설치 장치(50)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듈형 멀티 레벨 컨버터(1)의 구성을 설명하되, 모듈 설치 장치(50)는 별항으로 설명한다.
복수 개의 파워 모듈(10) 및 커패시터 모듈(20)은 각각 물리적,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단수 개의 파워 모듈(10) 및 커패시터 모듈(20)이 물리적,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서브 모듈(submodule)이 형성될 수 있다.
서브 모듈은 상술한 모듈형 멀티 레벨 컨버터(1)의 기능을 실질적으로 수행한다. 서브 모듈은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각 서브 모듈은 서로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서로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서브 모듈의 개수가 증가됨에 따라, 모듈형 멀티 레벨 컨버터(1)의 용량이 증가될 수 있다.
파워 모듈(10)은 서브 모듈이 외부의 전원 또는 부하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부분이다. 또한, 파워 모듈(10)은 커패시터 모듈(20)과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전력 에너지가 입력 또는 출력될 수 있다.
파워 모듈(10)은 내부에 복수 개의 스위칭 모듈(switching module)을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스위칭 모듈은 IGBT(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파워 모듈(10)은 내부에 상기 스위칭 모듈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보드(Control Board)를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 보드는 인쇄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파워 모듈(10)은 커패시터 모듈(20)의 전방 측에 위치된다. 이는, 파워 모듈(10)의 유지 보수가 커패시터 모듈(20)의 유지 보수에 비해 더욱 빈번하게 수행됨에 기인한다.
파워 모듈(10)은 카트 유닛(30)에 안착된다. 구체적으로, 일 실시 예에서, 파워 모듈(10)은 카트 유닛(30)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커패시터 모듈(20)은 내부에 커패시터 소자(미도시)를 포함한다. 커패시터 모듈(20)은 파워 모듈(10)과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커패시터 모듈(20) 내부의 커패시터 소자(미도시)는 파워 모듈(10)의 스위칭(switching) 동작에 의해 충전되거나 방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커패시터 소자(미도시)는 서브 모듈에 입력되는 전력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다. 커패시터 소자(미도시)에 저장된 전력 에너지는 서브 모듈의 각 구성이 구동되기 위한 전원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력 에너지는 서브 모듈이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외부의 전력계통에 무효전력으로 공급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커패시터 모듈(20)은 파워 모듈(10)의 후방 측에 연결된다. 이는 커패시터 모듈(20)보다 파워 모듈(10)을 유지 보수해야 하는 상황이 자주 발생됨에 기인한다.
커패시터 모듈(20)은 카트 유닛(30)에 안착된다. 일 실시 예에서, 커패시터 모듈(20)은 카트 유닛(30)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후술될 바와 같이, 카트 유닛(30)은 프레임 레일(43) 및 제3 조정부(400)를 따라 전방 측 또는 후방 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카트 유닛(30)에 안착된 파워 모듈(10) 및 커패시터 모듈(20) 또한 카트 유닛(30)과 함께 전방 측 또는 후방 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카트 유닛(30)은 파워 모듈(10) 및 커패시터 모듈(20)을 하측에서 지지한다. 카트 유닛(30)에는 파워 모듈(10) 및 커패시터 모듈(20)이 안착된다. 일 실시 예에서, 카트 유닛(30)은 파워 모듈(10) 및 커패시터 모듈(20)과 결합될 수 있다.
카트 유닛(30)은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카트 유닛(30)은 파워 모듈(10) 및 커패시터 모듈(20) 중 어느 하나를 하측에서 지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듈형 멀티 레벨 컨버터(1)는 복수 개의 파워 모듈(10) 및 커패시터 모듈(20)이 각각 결합되어 그 정격 용량이 증가될 수 있다.
이에, 카트 유닛(30)은 파워 모듈(10) 및 커패시터 모듈(20)의 개수만큼 구비되어, 각 파워 모듈(10) 및 커패시터 모듈(20)을 하측에서 지지할 수 있다.
카트 유닛(30)은 프레임(40)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카트 유닛(30)은 프레임 레일(43)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어, 후술될 모듈 설치 장치(50)를 향하는 방향 및 모듈 설치 장치(50)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카트 유닛(30)은 모듈 설치 장치(50)의 제3 조정부(400)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후술될 바와 같이 제3 조정부(400)는 프레임 레일(43)과 맞추어질 수 있다. 즉, 카트 유닛(30)은 프레임 레일(43) 및 제3 조정부(4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즉, 카트 유닛(30)은 프레임 레일(43) 및 제3 조정부(400)를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듈형 멀티 레벨 컨버터(1)는 고중량의 파워 모듈(10) 또는 커패시터 모듈(20)을 용이하게 설치 및 분리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프레임(40)은 모듈형 멀티 레벨 컨버터(1)의 골격을 형성한다. 프레임(40)은 파워 모듈(10) 및 커패시터 모듈(20)을 상측 또는 하측에서 지지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프레임(40)은 파워 모듈(10) 및 커패시터 모듈(20)을 하측에서 지지한다.
프레임(40)에는 파워 모듈(10) 및 커패시터 모듈(20)이 탈거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설치는 카트 유닛(30)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프레임(40)은 고강성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레임(40)은 강철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프레임(40)의 형상은 H-Beam의 형태로 구비되어, 프레임(40)의 축 방향의 강성이 더욱 보강될 수 있다.
프레임(40)은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프레임(40)은 서로 적층될 수 있다. 또한, 프레임(40)에 의해 지지되는 파워 모듈(10) 및 커패시터 모듈(20) 또한 복수 개의 층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듈형 멀티 레벨 컨버터(1)의 용량이 증가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프레임(40)은 외부 프레임(41), 내부 프레임(42) 및 프레임 레일(43)을 포함한다.
외부 프레임(41)은 프레임(40)의 외측 골격을 형성한다. 외부 프레임(41)은 프레임(40)을 상하 방향 및 전후 방향으로 지지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외부 프레임(41)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 프레임 및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 프레임을 포함한다.
수직 프레임은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수직 프레임은 서로 이격되어 복수 개의 위치에서 프레임(40)을 형성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수직 프레임은 네 개 구비되어,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의 각 모서리를 형성한다.
수직 프레임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다. 수직 프레임의 연장 길이는 프레임(40)에 탈거 가능하게 결합되는 파워 모듈(10) 및 커패시터 모듈(20)의 상하 방향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수직 프레임은 상하 방향으로 적층될 수 있다. 즉, 각 수직 프레임의 상측 또는 하측에는 다른 수직 프레임이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레임(40)이 상하 방향으로 적층되어,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수직 프레임은 수평 프레임에 의해 연결된다.
수평 프레임은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수평 프레임은 서로 이격되어 복수 개의 위치에서 수평 프레임과 각각 연결되어, 프레임(40)을 형성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수평 프레임은 네 개 구비된다.
좌측에 위치되는 수평 프레임은 좌측의 전방 측 및 후방 측에 각각 위치되는 두 개의 수직 프레임 사이에서 연장된다. 또한, 우측에 위치되는 수평 프레임은 우측의 전방 및 후방 측에 각각 위치되는 두 개의 수직 프레임 사이에서 연장된다.
이때, 좌측 및 우측에 위치되는 각 수평 프레임은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수평 프레임은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복수 개의 위치에서 각각 수직 프레임과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수직 프레임 및 수평 프레임의 결합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프레임(40)이 파워 모듈(10) 및 커패시터 모듈(20)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수평 프레임 중 하측에 위치되어,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 개의 수평 프레임 사이에서 내부 프레임(42)이 연장된다.
내부 프레임(42)은 수평 프레임 사이에서 연장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내부 프레임(42)은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다.
내부 프레임(42)은 외부 프레임(41)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내부 프레임(42)은 그 좌측 단부 및 우측 단부가, 좌측의 하측에 위치되는 수평 프레임 및 우측의 하측에 위치되는 수평 프레임에 의해 각각 지지된다.
내부 프레임(42)은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내부 프레임(42)은 서로 이격되어 위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내부 프레임(42)은 다섯 개 구비되어, 전후 방향(즉, 수평 프레임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위치된다.
내부 프레임(42)에 의해 프레임(40)의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의 강성이 더욱 보강될 수 있다. 또한, 내부 프레임(42)은 프레임 레일(43)을 지지한다.
프레임 레일(43)은 파워 모듈(10) 또는 커패시터 모듈(20)이 안착된 카트 유닛(30)이 이동되는 통로이다. 카트 유닛(30)은 프레임 레일(43)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어 모듈 설치 장치(50)를 향하는 방향 및 그에 반대되는 방향, 즉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프레임 레일(43)에는 카트 유닛(30)이 탈거 가능하게 결합된다. 카트 유닛(30)은 프레임 레일(43)에 결합된 상태에서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프레임 레일(43)은 모듈 설치 장치(50)의 제3 조정부(400)와 맞춰질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프레임 레일(43)은 제3 조정부(400)와 같은 직선상에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 조정부(400)에 결합된 카트 유닛(30)(즉, 파워 모듈(10) 또는 커패시터 모듈(20)이 안착된)은 프레임 레일(43)로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프레임 레일(43)에 결합된 카트 유닛(30)(즉, 파워 모듈(10) 또는 커패시터 모듈(20)이 안착된)은 제3 조정부(400)로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프레임 레일(43)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즉, 프레임 레일(43)은 외부 프레임(41)의 수평 프레임과 같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 레일(43)은 내부 프레임(42)에 안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내부 프레임(42)은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레임 레일(43)은 복수 개의 위치에서 내부 프레임(42)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프레임 레일(43)에는 카트 유닛(30)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기 위한 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카트 유닛(30)은 그 하측에 형성되는 라운드진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는데, 프레임 레일(43)에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 결합되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 레일(43)은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프레임 레일(43)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프레임 레일(43)은 여섯 개 구비되어, 좌우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이에 따라, 복수 개의 파워 모듈(10) 및 커패시터 모듈(20)이 프레임(40)에 탈거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3.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듈 설치 장치(50)의 설명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듈형 멀티 레벨 컨버터(1)는 모듈 설치 장치(50)를 포함한다.
파워 모듈(10) 및 커패시터 모듈(20)은 고중량으로 형성됨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작업자가 파워 모듈(10) 및 커패시터 모듈(20)을 설치하거나 분리하는 경우, 조작 미숙 등으로 인해 파워 모듈(10) 또는 커패시터 모듈(20)이 탈락될 경우, 안전 사고가 발생될 수 있다.
더욱이, 고중량의 파워 모듈(10) 및 커패시터 모듈(20)을 프레임(40)에 설치하거나 프레임(40)에서 분리할 때 정확히 위치시키거나 정렬시키기가 어렵다. 따라서, 파워 모듈(10) 및 커패시터 모듈(20)의 설치 및 분리 작업에 과다한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듈형 멀티 레벨 컨버터(1)는 모듈 설치 장치(50)를 포함한다. 모듈 설치 장치(50)는 파워 모듈(10) 또는 커패시터 모듈(20)이 작업자에 의해 직접 파지되지 않고도 프레임(40)에 설치 및 분리될 수 있도록 기능된다.
모듈 설치 장치(50)에는 파워 모듈(10) 또는 커패시터 모듈(20)이 안착된다. 모듈 설치 장치(50)에 안착된 파워 모듈(10) 또는 커패시터 모듈(20)은 상하 방향, 좌우 방향 및 전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모듈 설치 장치(50)에 안착된 파워 모듈(10) 또는 커패시터 모듈(20)은 수직 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즉, 모듈 설치 장치(50)는 3차원 공간에서 X??, Y축 및 Z축으로 이동될 수 있고, 동시에 Z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듈 설치 장치(50)에 안착된 파워 모듈(10) 또는 커패시터 모듈(20)이 슬라이드 이동되는 방향 및 높이가 프레임 레일(43)에 맞춰질 수 있다. 결과적으로, 모듈 설치 장치(50)에 안착된 파워 모듈(10) 및 커패시터 모듈(20)은 프레임 레일(43)로 정확하게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모듈 설치 장치(50)는 프레임(40)의 일측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모듈 설치 장치(50)는 프레임(40)의 전방 측에 위치된다.
이에 따라, 파워 모듈(10) 또는 커패시터 모듈(20)은 전방 측에서 후방 측으로 이동되어 프레임(40)에 설치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파워 모듈(10) 또는 커패시터 모듈(20)은 후방 측에서 전방 측으로 이동되어 프레임(40)에서 분리될 수 있다.
모듈 설치 장치(50)는 프레임(40)과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모듈 설치 장치(50)는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프레임(4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결합은 모듈 설치 장치(50)에 구비되는 지지 암(1020)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 도 3 내지 도 22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듈 설치 장치(50)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모듈 설치 장치(50)는 리프트부(100), 제1 조정부(200), 제2 조정부(300) 및 제3 조정부(400)를 포함한다.
(1) 리프트부(100)의 설명
이하,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듈 설치 장치(50)에 구비되는 리프트부(100)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리프트부(100)는 모듈 설치 장치(50)가 프레임(40)과 결합되는 부분이다. 리프트부(100)는 프레임(40)과 결합된 상태에서 수평 방향, 즉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하 방향 및 전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리프트부(100)는 후술될 각 조정부(200, 300, 400)를 지지한다. 구체적으로, 각 조정부(200, 300, 400)는 리프트부(100)의 설치 하우징(130)에 안착된다. 각 조정부(200, 300, 400)는 리프트부(100)에 안착된 상태에서 리프트부(100)와 함께 수평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리프트부(100)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프레임(40)은 상하 방향으로 적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리프트부(100) 또한 승강되어 파워 모듈(10) 또는 커패시터 모듈(20)이 설치될 프레임(40)의 위치에 맞춰질 수 있다.
리프트부(100)의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공간에는 제1 조정부(200), 제2 조정부(300) 및 제3 조정부(400)가 수용된다.
리프트부(100)의 내부에 형성되는 상기 공간은 부분적으로 개방될 수 있다. 파워 모듈(10) 또는 커패시터 모듈(20)은 상기 개방된 부분을 통해 프레임(40)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리프트부(100)는 프레임(40)을 향하는 일측, 즉 후방 측이 개방 형성된다.
리프트부(100)는 내부 프레임(42)이 연장되는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우 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리프트부(100)는 좌측 및 우측의 각 수평 프레임이 이격되는 거리보다 짧은 길이만큼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리프트부(100)는 설치 프레임(110) 및 지지 암(120)을 포함한다.
설치 프레임(110)은 리프트부(100)의 외형을 형성한다. 또한, 설치 프레임(110)의 내부에는 상기 공간이 형성되어, 제1 조정부(200), 제2 조정부(300) 및 제3 조정부(400)가 수용된다.
설치 프레임(110)은 프레임(40)과 결합될 수 있다. 설치 프레임(110)은 프레임(40)에 결합된 상태에서 전후 방향 또는 좌우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이동은 지지 암(120)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설치 프레임(110)은 상하 방향으로도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설치 프레임(110)은 상하 방향으로 적층되는 복수 개의 프레임(40)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설치 프레임(110)은 전후 방향의 길이가 좌우 방향의 길이보다 긴 직사각형의 단면을 갖게 형성된다. 상기 형상은 설치 프레임(110)의 내부에 안착되는 제1 조정부(200)가 좌우 방향으로 연장됨에 기인한다.
설치 프레임(110)의 형상은 제1 조정부(200)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조정부(300)의 이동 방향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즉,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2 조정부(300) 및 제3 조정부(400)는 좌우 방향으로 이동되어,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어 위치되는 복수 개의 프레임 레일(43) 중 어느 하나와 맞춰진다.
따라서, 제1 조정부(200) 및 제1 조정부(200)를 수용하는 설치 프레임(110) 또한 좌우 방향의 길이가 전후 방향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설치 프레임(110)은 가이드 바(bar)(111), 개방부(112) 및 설치 하우징(113)을 포함한다.
가이드 바(111)는 설치 프레임(110)의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을 부분적으로 둘러싼다. 상기 공간에 수용된 제1 조정부(200), 제2 조정부(300) 및 제3 조정부(400)는 가이드 바(111)에 의해 임의 이탈되지 않는다.
가이드 바(111)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가이드 바(111)는 각각 상기 공간을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에서 둘러쌀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설치 프레임(110)의 전방 측에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두 개의 가이드 바(111)가 구비된다. 또한, 설치 프레임(110)의 좌측 및 우측에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두 개의 가이드 바(111)가 각각 구비된다. 설치 프레임(110)의 각 측에 구비되는 가이드 바(111)는 서로 연속될 수 있다.
또한, 설치 프레임(110)의 각 모서리, 즉 전방 측의 좌우 모서리 및 후방 측의 좌우 모서리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바(111)가 각각 구비된다.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각 가이드 바(111)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바(111)와 각각 연속될 수 있다.
이때,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가이드 바(111)는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위치될 수 있다.
프레임(40)을 향하는 설치 프레임(110)의 일 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에는 개방부(112)가 형성된다.
개방부(112)는 제3 조정부(400)와 프레임 레일(43)이 연결되는 통로로 기능된다. 이에 따라, 카트 유닛(30)에 안착된 파워 모듈(10) 또는 커패시터 모듈(20)은 프레임 레일(43) 및 제3 조정부(400) 사이에서, 카트 유닛(30)과 함께 이동될 수 있다.
개방부(112)는 설치 프레임(110)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과 외부를 연통한다. 설치 프레임(110)의 상기 공간에 수용된 파워 모듈(10) 또는 커패시터 모듈(20)은 개방부(112)를 통해 상기 공간의 외부로 이동될 수 있다.
개방부(112)는 가이드 바(111)에 부분적으로 둘러싸인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개방부(112)는 좌측 및 우측이 가이드 바(111)에 의해 구획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개방부(112)를 둘러싸는 각 가이드 바(111)의 단부에는 도어 부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도어 부재(미도시)는 개방부(112)를 향하는 어느 하나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도어 부재(미도시)는 회전되어 개방부(112)를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다.
설치 하우징(113)은 설치 프레임(110)의 몸체를 형성한다. 설치 하우징(113)의 내부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다. 제1 조정부(200), 제2 조정부(300) 및 제3 조정부(400)는 상기 소정의 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설치 하우징(113)은 설치 프레임(110) 중 하측 몸체를 형성한다. 설치 하우징(113)은 복수 개의 플레이트 부재로 둘러싸여 정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치 하우징(113)은 하측에 위치되며, 제1 내지 제3 조정부(200, 300, 400)를 하측에서 지지하는 하부 플레이트, 하부 플레이트의 각 모서리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측면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설치 하우징(113)의 내부에 형성되는 상기 공간은 상기 하부 플레이트 및 복수 개의 측면 플레이트에 의해 둘러싸여 정의될 수 있다.
이때, 하부 플레이트는 설치 프레임(110)과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부 플레이트는 좌우 방향의 연장 길이가 전후 방향의 연장 길이보다 긴 직사각의 판형으로 구비된다.
또한, 하부 플레이트의 내부에는 복수 개의 관통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 홀은 제1 조정부(200)의 몸체부(210)에 형성되는 관통부(211) 및 제2 조정부(300)의 카트부(310)에 형성되는 삽입 관통부(314)와 겹쳐지게 위치될 수 있다.
또한, 개방부(112)가 형성된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에는 측면 플레이트가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즉, 개방부(112)는 하부 플레이트까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지지 암(120)은 설치 프레임(110)을 프레임(40)에 결합시킨다. 지지 암(120)의 일측은 설치 프레임(110)과 결합된다. 또한, 지지 암(120)의 타측은 프레임(40)과 결합된다.
지지 암(120)은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지지 암(120)은 서로 다른 위치에서 설치 프레임(110) 및 프레임(40)과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지지 암(120)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제1 내지 제3 조정부(200, 300, 400) 중 어느 하나와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지지 암(120)은 두 개 구비된다. 두 개의 지지 암(120) 중 어느 하나는 설치 프레임(110)의 우측 및 프레임(40)과 결합된다. 두 개의 지지 암(120) 중 다른 하나는 제3 조정부(400)의 좌측 및 프레임(40)과 결합된다.
지지 암(120)의 개수 및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다만, 설치 프레임(110) 및 제1 내지 제3 조정부(200, 300, 400)를 각각 이동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으면 족하다.
일 실시 예에서, 지지 암(120)은 링크(link)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지지 암(120)은 복수 개의 관절 및 복수 개의 관절을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서, 지지 암(120)이 회전 조작되면, 프레임(40) 및 설치 프레임(110) 사이의 거리가 조정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지지 암(120)은 유압 실린더 또는 기어 결합에 의해 프레임(40) 및 설치 프레임(110)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지지 암(120)은 설치 프레임(110)의 상하 방향의 위치를 조정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서, 설치 프레임(110) 및 이에 안착된 각 조정부(200, 300, 400)의 상하 방향의 위치는 지지 암(120)에 의해 대략적으로 조정될 수 있다.
(2) 제1 조정부(200)의 설명
도 8 내지 도 14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듈 설치 장치(50)는 제1 조정부(200)를 포함한다.
제1 조정부(200)는 제2 조정부(300) 및 제3 조정부(400)와 함께, 프레임(40)에 설치될 파워 모듈(10) 및 커패시터 모듈(20)의 위치를 조정한다.
제1 조정부(200)는 설치 프레임(110)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 수용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 조정부(200)는 설치 프레임(110)의 하측을 형성하는 하부 플레이트에 안착된다.
또한, 제1 조정부(200)는 상기 공간을 전방 측 및 좌우 측에서 둘러싸는 측면 플레이트에 부분적으로 둘러싸인다.
제1 조정부(200)에는 제2 조정부(300)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2 조정부(300)는 제1 조정부(2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1 조정부(200)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즉, 제1 조정부(200)는 제2 조정부(300)의 레일(rail)로 기능된다.
후술될 바와 같이, 제2 조정부(300)에는 제3 조정부(400)가 안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 조정부(400) 또한 제2 조정부(300)와 함께 제1 조정부(200)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제3 조정부(400)에는 파워 모듈(10) 또는 커패시터 모듈(20)이 안착된다. 물론, 파워 모듈(10) 또는 커패시터 모듈(20)과 제3 조정부(400) 사이에는 카트 유닛(30)이 구비됨이 이해될 것이다.
따라서, 제1 조정부(200)는 파워 모듈(10) 또는 커패시터 모듈(20)의 일 방향의 위치,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우 방향의 위치를 조정하게 기능될 수 있다.
도 8 및 도 12에 도시된 좌표계를 참조하면, 좌우 방향을 X축, 전후 방향을 Y축 및 상하 방향을 Z축이라 정의할 수 있다. 이에, 제1 조정부(200)는 파워 모듈(10) 또는 커패시터 모듈(20)의 X축 방향의 위치를 조정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제1 조정부(200)는 제2 조정부(300) 및 제3 조정부(400)의 하측에 위치된다. 또한, 제1 조정부(200)는 설치 프레임(110)에 안착된다. 즉, 제1 조정부(200)는 설치 프레임(110)의 하부 플레이트와 제2 조정부(300) 사이에 위치된다.
제1 조정부(200)는 고강성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조정부(200)에 결합된 제2 조정부(300)의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 조정부(200)는 몸체부(210), 안착부(220), 레일부(230), 지지부(240) 및 이탈 방지부(250)를 포함한다.
몸체부(210)는 제1 조정부(200)의 몸체를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몸체부(210)는 제1 조정부(200)의 하측을 형성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몸체부(210)는 판 형으로 형성된다. 이때, 몸체부(210)는 상기 X축 방향, 즉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우 방향의 연장 길이가, 다른 방향, 즉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후 방향의 연장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다.
몸체부(210)가 더 길게 연장되는 방향이 설치 프레임(110)의 연장 방향과 같음이 이해될 것이다.
몸체부(210)가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는 설치 프레임(110)이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몸체부(210)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 또한 설치 프레임(110)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몸체부(210)는 설치 프레임(110)의 일측에 치우쳐 위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몸체부(210)는 프레임(40)을 향하는 방향, 즉 후방 측으로 치우쳐 위치된다.
몸체부(210)에는 안착부(220), 레일부(230), 지지부(240) 및 이탈 방지부(250)가 결합된다. 안착부(220), 레일부(230), 지지부(240) 및 이탈 방지부(250)는 몸체부(210)의 상측에 위치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몸체부(210)는 관통부(211)를 포함한다.
관통부(211)에는 제2 조정부(300)의 높이 조절부(322)가 삽입되거나 인출된다.
즉, 제2 조정부(300)의 높이가 감소되도록 조정되면, 높이 조절부(322)는 하측으로 이동되어 관통부(211)에 관통 삽입된다. 또한, 제2 조정부(300)의 높이가 증가되도록 조정되면, 높이 조절부(322)는 상측으로 이동되어 관통부(211)에서 인출된다.
관통부(211)는 몸체부(210)의 내부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관통부(211)는 설치 프레임(110)의 하부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관통 홀과 겹쳐지게 배치될 수 있다.
즉, 높이 조절부(322)는 관통부(211) 및 상기 관통 홀에 관통 삽입되거나, 인출될 수 있다.
관통부(211)는 소정의 형상을 갖게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관통부(211)는 몸체부(210)가 더 길게 연장되는 방향, 즉 좌우 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된다.
또한, 도시된 실시 예에서, 관통부(211)가 더 길게 연장되는 방향, 즉 좌우 방향의 각 단부는 외측으로 볼록하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이때, 관통부(211)의 폭, 즉 전후 방향의 길이는 높이 조절부(322)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관통부(211) 및 관통 홀의 형상은 서로 상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관통부(211) 및 관통 홀의 형상은 높이 조절부(322)가 삽입 및 인출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관통부(211)는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관통부(211)는 몸체부(210)의 내부에서,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관통부(211)는 네 개 구비되어, 전방 측의 좌우 방향 및 후방 측의 좌우 방향에 각각 위치된다.
관통부(211)는 설치 프레임(110)의 하부 플레이트에 형성된 관통 홀 및 제2 조정부(300)에 형성되는 삽입 관통부(314)와 겹쳐지게 배치될 수 있다.
관통부(211)의 개수 및 위치는 관통 홀의 개수 및 위치, 삽입 관통부(314)의 개수 및 위치, 높이 조절부(322)의 개수 및 위치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안착부(220)는 제2 조정부(300)의 삽입부(312)에 삽입 결합된다. 안착부(220)에 의해, 제1 조정부(200)에 결합된 제2 조정부(300)가 임의 이탈되지 않고, 레일부(230)를 따라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안착부(220)는 몸체부(210)에 위치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안착부(220)는 몸체부(210)의 폭, 즉 전후 방향의 중앙 부분에 위치된다. 달리 표현하면, 안착부(220)는 전후 방향으로 서로 인접한 두 개의 관통부(211) 사이에 위치된다.
안착부(220)는 몸체부(210)가 연장되는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안착부(220)는 그 연장 방향의 각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측 단부 및 우측 단부가 각각 몸체부(210)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안착부(220)의 상측은 제2 조정부(300)의 삽입부(312)에 형성된 공간에 수용된다. 제2 조정부(300)는 삽입부(312)에 안착부(220)가 삽입된 상태에서 좌우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안착부(220)는 몸체부(210)의 상면에서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또한, 안착부(220)는 상하 방향의 길이가 전후 방향의 길이보다 긴 직사각 기둥 형상이다.
안착부(220)의 형상은 삽입부(312)에 삽입 결합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레일부(230)는 제2 조정부(300)의 휠부(313)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제2 조정부(300)는 휠부(313)가 레일부(230)에 안착된 상태에서, 좌우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레일부(230)는 몸체부(210)에 위치된다. 또한, 레일부(230)는 복수 개 구비되어, 몸체부(210)의 내부에서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레일부(230)는 두 개 구비되어, 몸체부(210)의 전방 측 단부 및 후방 측 단부에 각각 인접하게 위치된다. 달리 표현하면, 레일부(230)는 몸체부(210)의 모서리 중 더 길게 연장되는 두 개의 모서리에 각각 인접하게 위치된다.
두 개의 레일부(230)는 관통부(211) 및 안착부(220)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게 배치된다. 레일부(230)의 개수 및 위치는 휠부(313)의 위치 및 개수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레일부(230)는 안착부(220)가 연장되는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레일부(230)는 그 연장 방향의 각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측 단부 및 우측 단부가 각각 몸체부(210)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이때, 레일부(230)의 연장 방향의 각 단부는, 안착부(220)의 연장 방향의 각 단부보다 더 내측에 위치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레일부(230)의 연장 길이는 안착부(220)의 연장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레일부(230)의 외측에는 지지부(240)가 위치된다. 지지부(240)는 레일부(230)의 외측을 부분적으로 감싸게 형성된다. 레일부(230)에 안착된 휠부(313)는 지지부(240)에 둘러싸이게 된다.
따라서, 레일부(230)에 안착된 휠부(313) 및 이에 연결된 카트부(310)는 몸체부(210)의 폭 방향, 즉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우 방향으로 임의 이탈되지 않게 된다.
레일부(230)의 연장 방향의 각 단부에 인접하게 이탈 방지부(250)가 위치된다. 이탈 방지부(250)는 레일부(230)의 연장 방향의 각 단부를, 외측에서 감싸게 배치된다.
따라서, 레일부(230)에 안착된 휠부(313) 및 이에 연결된 카트부(310)는 레일부(230)의 연장 방향을 따라 임의 이탈되지 않게 된다.
지지부(240)는 레일부(230)에 안착된 휠부(313)가 임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지지부(240)는 레일부(230)에 인접하게 위치되어, 레일부(230) 및 레일부(230)에 안착된 휠부(313)를 부분적으로 감싸게 형성된다.
지지부(240)는 몸체부(210)에 위치된다. 지지부(240)는 복수 개 구비되어, 몸체부(210)의 내부에서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지지부(240)는 두 개 구비되어, 몸체부(210)의 전방 측 단부 및 후방 측 단부에 각각 인접하게 위치된다. 달리 표현하면, 지지부(240)는 몸체부(210)의 모서리 중 더 길게 연장되는 두 개의 모서리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지지부(240)는 레일부(230)를 외측에서 감싸게 위치 및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지지부(240)는 레일부(230)의 외측, 즉 몸체부(210)가 길게 연장되는 모서리에 더 인접하게 위치된다. 달리 표현하면, 지지부(240)는 몸체부(210)의 상기 모서리와 레일부(230) 사이에 위치된다.
지지부(240)는 안착부(220) 및 레일부(230)가 연장되는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지지부(240)는 그 연장 방향의 각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측 단부 및 우측 단부가 각각 몸체부(210)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이때, 지지부(240)의 연장 방향의 단부는, 그 연장 방향을 따라 레일부(230)의 연장 방향의 각 단부와 같은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지지부(240)의 연장 길이는 레일부(230)의 연장 길이와 같을 수 있다.
마찬가지로, 지지부(240)의 연장 길이는 안착부(220)의 연장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지지부(240)는 수직 지지부(241) 및 수평 지지부(242)를 포함한다.
수직 지지부(241)는 레일부(230)를 외측에서 둘러싼다. 수직 지지부(241)는 몸체부(210)에서 상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수직 지지부(241)는 그 하측 단부가 몸체부(210)와 연속된다.
수직 지지부(241)는 레일부(230)의 외측에 위치된다. 달리 표현하면, 수직 지지부(241)는 몸체부(210)가 길게 연장되는 모서리와 레일부(230) 사이에 위치된다.
수직 지지부(241)는 소정 길이만큼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수직 지지부(241)는 그 상측 단부가 레일부(230)보다 상측에 위치되게 연장될 수 있다.
수직 지지부(241)의 상측 단부는 수평 지지부(242)와 연속된다.
수평 지지부(242)는 레일부(230)를 상측에서 둘러싼다. 수평 지지부(242)는 수직 지지부(241)의 상측 단부에서 내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수평 지지부(242)는 그 외측 단부가 수직 지지부(241)와 연속된다.
즉, 도시된 실시 예에서, 수평 지지부(242)는 수직 지지부(241)에서 레일부(230)를 향하는 방향(달리 표현하면, 안착부(220) 또는 관통부(211)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수평 지지부(242)는 수직 지지부(241)와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연장된다. 일 실시 예에서, 수평 지지부(242)는 수직 지지부(241)에 대해 수직하게 연장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수직 지지부(241) 및 수평 지지부(242)는 각각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사각판형으로 구비된다. 수직 지지부(241) 및 수평 지지부(242)의 형상은 레일부(230) 및 레일부(230)에 안착된 휠부(313)를 외측에서 둘러쌀 수 있는 임의의 형태일 수 있다.
레일부(230) 또는 지지부(240)가 연장되는 방향의 각 단부에 인접하게 이탈 방지부(250)가 구비된다.
이탈 방지부(250)는 레일부(230)가 연장되는 방향, 즉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우 방향의 각 단부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이탈 방지부(250)는 레일부(230)에 안착된 휠부(313)가 레일부(230)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임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탈 방지부(250)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이탈 방지부(250)는 각 레일부(230)의 길이 방향의 각 단부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이탈 방지부(250)는 네 개 구비되어 두 개의 레일부(230)의 각 단부에 각각 위치된다.
이탈 방지부(250)는 몸체부(210)에 결합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이탈 방지부(250)는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사각 판형으로 구비된다. 이탈 방지부(250)는 레일부(230)에 안착된 휠부(313)의 임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이탈 방지부(250)는 소정의 높이를 갖게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이탈 방지부(250)는 레일부(230)보다 높고, 수평 지지부(242)보다 낮은 높이까지 연장된다.
이탈 방지부(250)의 형상 및 그 높이는 레일부(230) 및 레일부(230)에 안착되는 휠부(313)의 형상 및 크기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휠부(313)가 레일부(230)에 안착되면, 지지부(240)에 의해 폭 방향(즉,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레일부(230)에 안착된 휠부(313)는 이탈 방지부(250)에 의해 길이 방향(즉, 좌우 방향)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조정부(200) 및 제2 조정부(300) 사이의 결합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3) 제2 조정부(300)의 설명
도 8 내지 도 12 및 도 15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듈 설치 장치(50)는 제2 조정부(300)를 포함한다.
제2 조정부(300)는 제1 조정부(200) 및 제3 조정부(400)와 함께, 프레임(40)에 설치될 파워 모듈(10) 및 커패시터 모듈(20)의 위치를 조정한다.
제2 조정부(300)는 제1 조정부(200)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제2 조정부(300)의 카트부(310)에 구비되는 휠부(313)가, 제1 조정부(200)의 레일부(230)에 회전 가능하게 안착된다.
휠부(313)가 회전됨에 따라, 제2 조정부(300)는 레일부(230)의 연장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우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2 조정부(300)에는 제3 조정부(400)가 안착된다. 제3 조정부(400)는 제2 조정부(300)와 함께 제1 조정부(200)의 레일부(230)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제2 조정부(300)와 제3 조정부(400)는 상하 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제2 조정부(300)와 제3 조정부(400)는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제3 조정부(400)에는 파워 모듈(10) 또는 커패시터 모듈(20)이 안착된다. 물론, 파워 모듈(10) 또는 커패시터 모듈(20)과 제3 조정부(400) 사이에는 카트 유닛(30)이 구비됨이 이해될 것이다.
따라서, 제2 조정부(300)는 파워 모듈(10) 또는 커패시터 모듈(20)의 타 방향의 위치 및 각도,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하 방향의 위치 및 프레임(40)에 대한 각도를 조정하게 기능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8 및 도 12에 도시된 좌표계를 참조하면, 좌우 방향을 X축, 전후 방향을 Y측 및 상하 방향을 Z축이라 정의할 수 있다. 이에, 제2 조정부(300)는 파워 모듈(10) 또는 커패시터 모듈(20)의 Z축 방향의 위치를 조정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제2 조정부(300)는 제1 조정부(200)의 상측에 위치된다. 제2 조정부(300)는 제1 조정부(200)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제2 조정부(300)는 제3 조정부(400)의 하측에 위치된다. 제2 조정부(300)와 제3 조정부(400)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그리고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2 조정부(300)는 고강성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조정부(200)에 결합된 제2 조정부(300)의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로, 이는 제2 조정부(300)에 결합된 제3 조정부(400)의 승강 및 회전에 의해 제2 조정부(30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2 조정부(300)는 카트부(310), 승강부(320) 및 회전부(330)를 포함한다.
카트부(310)는 제2 조정부(300)가 제1 조정부(200)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부분이다. 카트부(310)는 제2 조정부(300)의 하측을 형성한다.
카트부(310)의 하측에는 제1 조정부(200)의 안착부(220) 및 레일부(230)가 위치된다. 또한, 카트부(310)의 상측에는 승강부(320) 및 회전부(330)가 위치된다.
이에 따라, 승강부(320) 및 회전부(330)는 카트부(310)와 함께 레일부(230)의 연장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우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승강부(320)는 상하 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카트부(310)와 결합된다. 또한, 회전부(330)는 승강부(320)에 대해 상하 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승강부(320)와 결합된다.
카트부(310)는 제1 조정부(200)의 안착부(220) 및 레일부(230)와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카트부(310)의 삽입부(312)에는 안착부(220)가 삽입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카트부(310)의 휠부(313)는 레일부(230)에 안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카트부(310)는 제1 베이스(311), 삽입부(312), 휠부(313) 및 삽입 관통부(314)를 포함한다.
제1 베이스(311)는 카트부(310)의 몸체를 형성한다. 제1 베이스(311)에는 카트부(310)에 구비되는 다른 구성 요소가 위치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 베이스(311)는 사각의 판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실시 예에서, 제1 베이스(311)의 일 방향, 즉 좌우 방향의 길이는 레일부(230)의 연장 길이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베이스(311)는 좌우 방향으로 레일부(230)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베이스(311)의 타 방향, 즉 전후 방향의 길이는 복수 개의 레일부(230)가 서로 이격된 길이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베이스(3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휠부(313)가 각 레일부(230)에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다.
제1 베이스(311)는 레일부(230)에 안착된 상태에서 그 연장 방향, 즉 좌우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다만, 제1 베이스(311)의 상기 일 방향 길이는 레일부(230)의 연장 길이보다 짧고, 제1 베이스(311)의 상기 타 방향 길이는 복수 개의 레일부(230)가 서로 이격된 거리보다 짧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베이스(311)의 면 중 제1 조정부(200)를 향하는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에는 삽입부(312)가 위치된다.
삽입부(312)에는 제1 조정부(200)의 안착부(220)가 삽입 결합된다. 안착부(220)가 삽입부(312)에 삽입된 상태에서, 카트부(310)는 좌우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안착부(220)가 삽입부(312)에 삽입되면, 삽입부(312)의 하측 면은 안착부(220)의 상측 면에 안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카트부(310)가 레일부(230)에만 결합되는 경우에 비해, 제2 조정부(300)와 제1 조정부(200)의 결합 및 카트부(310)의 직선 운동이 안정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삽입부(312)는 안착부(220)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삽입부(312)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삽입부(312)는 내부에 외부와 연통되는 공간이 형성된다. 즉, 도시된 실시 예에서, 삽입부(312)의 하측의 면 중 전후 방향의 중앙 부분에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이 함몰 형성된다. 상기 홈에 의해, 안착부(220)가 삽입되는 공간이 정의될 수 있다.
삽입부(312)는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삽입부(312)는 안착부(220)가 연장되는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우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위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삽입부(312)는 두 개 구비되어, 제1 베이스(311)의 좌측 단부 및 우측 단부에 각각 위치된다.
이때, 복수 개의 삽입부(312)는 가상의 직선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즉, 각 삽입부(312)가 연장되는 방향을 잇는 가상의 직선 상에 복수 개의 삽입부(312)가 위치 및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안착부(220)가 복수 개의 삽입부(312)에 삽입된 후, 카트부(310)는 좌우 방향(즉, X축 방향)으로 안정적인 직선 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복수 개의 삽입부(312)는 제1 베이스(311)의 외측에 부분적으로 노출될 수 있다.
즉,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 베이스(311)의 좌측 모서리에 위치되는 삽입부(312)는 그 단부가 좌측으로 돌출된다. 또한, 제1 베이스(311)의 우측 모서리에 위치되는 삽입부(312)는 그 단부가 우측으로 돌출된다.
휠부(313)는 레일부(230)에 회전 가능하게 안착된다. 카트부(310)가 가압되면, 휠부(313)는 회전되어 레일부(230)를 따라 이동된다. 이에 따라, 카트부(310)가 레일부(230)를 따라 좌우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휠부(313)는 제1 베이스(3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휠부(313)는 제1 베이스(311)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
휠부(313)는 제1 베이스(311)의 각 모서리 중, 레일부(230)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모서리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휠부(313)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휠부(313)는 서로 다른 위치에서 제1 베이스(3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휠부(313)는 네 개 구비된다. 이 중 한 쌍의 휠부(313)는 제1 베이스(311)의 전방 측 모서리에, 다른 한 쌍의 휠부(313)는 제1 베이스(311)의 후방 측 모서리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각 쌍의 휠부(313)는 삽입부(312)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게 배치된다.
휠부(313)는 레일부(230)에 안착된 상태에서 시계 방향 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카트부(310) 및 제2 조정부(300)가 우측 또는 좌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휠부(313)의 좌우 방향의 이동 거리는 이탈 방지부(250)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레일부(230)에 안착된 휠부(313)는 지지부(240)에 의해 외측 및 상측에 감싸질 수 있다. 따라서, 휠부(313)의 전후 방향의 이동(즉, 제1 베이스(311)의 폭 방향의 이동)은 지지부(240)의 수직 지지부(241)에 의해 제한된다. 마찬가지로, 휠부(313)의 상하 방향의 이동은 지지부(240)의 수평 지지부(242)에 의해 제한된다.
따라서, 휠부(313)가 레일부(230)에 안착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삽입 관통부(314)에는 승강부(320)의 높이 조절부(322)가 승강됨에 따라 관통 삽입 또는 인출된다.
즉, 높이 조절부(322)가 하측으로 이동되면, 삽입 관통부(314)에 관통 삽입된다. 또한, 높이 조절부(322)가 상측으로 이동되면, 삽입 관통부(314)에서 인출된다.
삽입 관통부(314)는 제1 베이스(311)에 관통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삽입 관통부(314)는 제1 베이스(311)의 내부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삽입 관통부(314)는 설치 프레임(110)의 하부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관통 홀 및 제1 조정부(200)에 형성된 관통부(211)와 겹쳐지게 배치될 수 있다.
즉, 높이 조절부(322)는 삽입 관통부(314), 관통부(211) 및 관통 홀에 차례로 삽입되거나 인출될 수 있다.
삽입 관통부(314)는 소정의 형상을 갖게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삽입 관통부(314)는 레일부(230)가 연장되는 방향, 즉 좌우 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된다.
또한, 도시된 실시 예에서, 삽입 관통부(314)가 더 길게 연장되는 방향, 즉 좌우 방향의 각 단부는 외측으로 볼록하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이때, 삽입 관통부(314)의 폭, 즉 전후 방향의 길이는 높이 조절부(322)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삽입 관통부(314), 관통부(211) 및 관통 홀의 형상은 서로 상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삽입 관통부(314), 관통부(211) 및 관통 홀의 형상은 높이 조절부(322)가 삽입 및 인출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삽입 관통부(314)는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삽입 관통부(314)는 제1 베이스(311)의 내부에서,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삽입 관통부(314)는 네 개 구비되어, 전방 측의 좌우 방향 및 후방 측의 좌우 방향에 각각 위치된다.
삽입 관통부(314)는 관통부(211) 및 관통 홀과 겹쳐지게 배치될 수 있다.
삽입 관통부(314)의 개수 및 위치는 관통 홀의 개수 및 위치, 관통부(211)의 개수 및 위치, 높이 조절부(322)의 개수 및 위치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승강부(320)는 제3 조정부(400)가 상하 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제2 조정부(300)에 결합되는 부분이다. 승강부(320)는 제2 조정부(300)의 중간 부분을 형성한다.
승강부(320)의 하측에는 카트부(310)가 결합된다. 또한, 승강부(320)의 상측에는 회전부(33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에 따라, 승강부(320) 및 회전부(330)는 카트부(310)와 함께 좌우 방향, 즉 X축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승강부(320) 및 회전부(330)는 상하 방향, 즉 Z축을 기준으로 서로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승강부(320)는 제2 베이스(321), 높이 조절부(322), 승강 레버(323) 및 제1 고정 레버(324)를 포함한다.
제2 베이스(321)는 승강부(320)의 몸체를 형성한다. 제2 베이스(321)에는 승강부(320)에 구비되는 다른 구성 요소가 위치된다. 제2 베이스(321)는 카트부(310)와 결합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2 베이스(321)는 사각의 판형으로 구비된다. 이때, 제2 베이스(321)의 각 모서리의 길이는, 제1 베이스(311)의 각 모서리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제2 베이스(321)는 제1 베이스(311)의 외측으로 노출되지 않게 된다.
제2 베이스(321)에는 복수 개의 관통공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에는 제2 조정부(300)와 제1 조정부(200)를 결합하기 위한 다양한 체결 부재(미도시)가 관통 결합될 수 있다.
제2 베이스(321)의 상측, 즉 회전부(330)를 향하는 일측에는 높이 조절부(322)가 구비된다. 또한, 제2 베이스(321)의 하측, 즉 카트부(310)를 향하는 타측에는 승강 레버(323) 및 제1 고정 레버(324)가 위치된다.
높이 조절부(322)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어, 제2 베이스(321)에 대한 상대적인 높이가 가변된다. 이에 따라, 승강부(3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부(330)의 상대적인 높이 또한 가변될 수 있다.
즉, 높이 조절부(322)는 모듈 설치 장치(50)에 안착된 파워 모듈(10) 또는 커패시터 모듈(20)의 상하 방향(즉, Z축 방향)의 위치를 실질적으로 조정한다.
높이 조절부(322)는 두 개의 부분으로 구분될 수 있다. 즉, 높이 조절부(322)는 상대적으로 상측에 위치되는 제1 부분 및 상대적으로 하측에 위치되는 제2 부분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1 부분은 제2 부분에 비해 작은 외경을 갖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부분의 외경은 제2 부분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부분이 제2 부분에 삽입되는 길이에 따라, 높이 조절부(322)의 길이가 조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승강부(320)에 결합된 회전부(330) 및 회전부(330)에 결합되는 제3 조정부(400)의 높이가 조정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3 조정부(400)에 안착된 파워 모듈(10) 또는 커패시터 모듈(20)의 높이 또한 조정될 수 있다.
높이 조절부(322)는 승강 레버(323) 및 제1 고정 레버(324)와 연결된다. 승강 레버(323)가 회전 조작되면, 높이 조절부(322)의 높이가 조정될 수 있다. 즉, 승강 레버(323)가 회전 조작되면, 제2 부분에 삽입되는 제2 부분의 길이가 변경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승강 레버(323)와 높이 조절부(322)는 베벨 기어(bevel gear) 등에 의해 기어 결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높이 조절부(322)는 유압 실린더 등으로 구비되어, 승강 레버(323)의 회전에 의해 상하 방향의 길이가 변경될 수 있다.
높이 조절부(322)의 상측 단부에는 회전부(330)가 안착된다. 회전부(330)는 높이 조절부(322)의 길이가 변화됨에 따라, 그 높이가 변화될 수 있다.
높이 조절부(322)의 하측 단부는 제2 베이스(321)의 하측에 부분적으로 노출될 수 있다(도 18 참조). 높이 조절부(322)는 제1 베이스(311)에 형성된 삽입 관통부(314), 몸체부(210)의 관통부(211) 및 설치 프레임(110)에 형성된 관통 홀에 각각 관통될 수 있다.
높이 조절부(322)의 길이가 증가됨에 따라, 높이 조절부(322)의 단부가 상대적으로 하측에 위치되고, 높이 조절부(322)의 길이가 감소됨에 따라, 높이 조절부(322)의 단부가 상대적으로 상측에 위치됨이 이해될 것이다.
높이 조절부(322)의 길이가 조정된 후(즉, 회전부(330)의 높이가 조정된 후), 제1 고정 레버(324)가 누름 조작되어 높이 조절부(322)의 길이가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승강부(320)는 작업자가 원하는 위치에 유지될 수 있다.
높이 조절부(322)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높이 조절부(322)는 서로 다른 위치에서 제2 베이스(321)와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높이 조절부(322)는 네 개 구비되어, 제2 베이스(321)의 전방의 좌측 및 우측, 후방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위치된다.
승강 레버(323)는 회전 조작되어, 높이 조절부(322)의 제2 부분에 삽입되는 제1 부분의 길이를 조정한다. 이에 따라, 높이 조절부(322)의 길이 및 이에 연결된 회전부(330)의 높이가 조정될 수 있다.
승강 레버(323)는 높이 조절부(322)와 연결된다. 일 실시 예에서, 승강 레버(323)는 높이 조절부(322)와 기어 결합되어, 승강 레버(323)의 회전이 높이 조절부(322)의 병진 운동으로 변환될 수 있다.
승강 레버(323)는 제1 베이스(3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승강 레버(323)는 제1 베이스(311)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 승강 레버(323)는 축 부재 등에 의해 높이 조절부(322)와 연결될 수 있다.
승강 레버(323)는 시계 방향 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승강 레버(323)가 시계 방향 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높이 조절부(322)의 길이가 증가되거나 감소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승강 레버(323)는 제1 베이스(311)의 전방 측 모서리에 치우쳐 위치된다. 승강 레버(323)는 제1 베이스(311)의 상기 모서리의 외측으로 노출된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 레버(323)는 휠부(313)에 비해 더 외측으로 치우쳐 위치될 수 있다. 즉, 승강 레버(323)는 휠부(313)를 사이에 두고 제1 베이스(311)를 마주하게 위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3 조정부(200, 300, 400)는 설치 프레임(110)의 후방 측에 치우쳐 위치된다. 따라서, 제1 내지 제3 조정부(200, 300, 400)와 설치 프레임(110)의 전방 측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된다.
작업자는 상기 공간에 진입하여, 제1 베이스(311)의 외부로 노출된 승강 레버(323)를 회전 조작하여 높이 조절부(322)의 길이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제1 고정 레버(324)는 승강 레버(323)에 조정된 높이 조절부(322)의 길이를 고정한다. 제1 고정 레버(324)에 의해, 높이 조절부(322)의 조정된 길이가 유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전부(330)의 높이 또한 조정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제1 고정 레버(324)는 승강 레버(323)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 고정 레버(324)는 제1 베이스(311)의 전방 측 모서리에 치우쳐 위치된다.
제1 고정 레버(324)는 승강 레버(323)와 연결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 고정 레버(324)는 승강 레버(323)와 높이 조절부(322)를 연결하는 축과 연결된다. 제1 고정 레버(324)가 누름 조작되면, 제1 고정 레버(324)에 의해 가압된 상기 축 및 이에 연결된 승강 레버(323)의 임의 회전이 방지된다.
즉, 제1 고정 레버(324)가 누름 조작됨에 따라, 높이 조절부(322)의 길이가 유지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1 고정 레버(324)가 누름 조작되면 회전부(330)의 높이가 유지될 수 있다.
제1 고정 레버(324)는 누름 조작되어 회전을 방지하고, 당김 조작되어 회전을 허용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회전부(330)는 파워 모듈(10) 또는 커패시터 모듈(20)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안착되는 제3 조정부(40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부분이다. 회전부(330)는 제2 조정부(300)의 상측 부분을 형성한다.
회전부(330)의 하측에는 승강부(32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회전부(330)는 승강부(320)의 승강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회전부(330)의 상측에는 제3 조정부(400)가 결합된다. 제3 조정부(400)는 회전부(330)가 회전됨에 따라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전부(330) 및 이에 결합된 제3 조정부(400)는 상하 방향, 즉 Z축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회전부(330)에 의해, 제3 조정부(400)는 회전부(330)에 의해 상하 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회전부(330)는 제3 베이스(331), 제한 부재(332), 베어링 부재(333), 회전 결합부(334), 회전 레버(335), 제2 고정 레버(336), 지지부(337), 회전축(338) 및 회전 기어부(339)를 포함한다.
제3 베이스(331)는 회전부(330)의 몸체를 형성한다. 제3 베이스(331)에는 회전부(330)에 구비되는 다른 구성 요소가 위치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3 베이스(331)는 원형의 판형으로 구비된다. 이때, 제3 베이스(331)의 직경은 삽입부(312)의 각 외측 단부 사이의 거리보다 짧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 베이스(331)에는 복수 개의 홈 및 관통공이 형성된다. 상기 홈 및 관통공에는 제2 조정부(300)와 제1 조정부(200)를 결합하기 위한 다양한 체결 부재(미도시)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홈 및 관통공에는 제2 조정부(300)와 제3 조정부(400)를 결합하기 위한 다양한 체결 부재(미도시) 또한 결합될 수 있다.
제3 베이스(331)의 상측, 즉 제3 조정부(400)를 향하는 일측에는 제한 부재(332), 베어링 부재(333) 및 회전 결합부(334)가 구비된다. 또한, 제3 베이스(331)의 하측, 즉 카트부(310)를 향하는 타측에는 회전 레버(335), 제2 고정 레버(336), 회전축(338) 및 회전 기어부(339)가 구비된다.
제한 부재(332)는 제3 베이스(331)의 상측에 위치된다. 제한 부재(332)는 제3 조정부(400)의 하측에 구비되는 돌출부(미도시)와 접촉되어, 제3 조정부(400)의 회전 각도를 제한한다.
제한 부재(332)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제한 부재(332)는 제3 베이스(331)의 중심에 대해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서로 이격되어 위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한 부재(332)는 두 개 구비되어, 회전 결합부(334)의 방사상 외측에 서로 이격되어 위치된다.
일 실시 예에서, 두 개의 제한 부재(332)는 서로 직각을 이루며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전부(330) 및 제3 조정부(400)의 회전 각도가 직각 이하로 제한될 수 있다.
제한 부재(332)는 방사상 외측을 향해 소정 길이만큼 연장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한 부재(332)는 회전 결합부(334)의 방사상 외측 및 제3 베이스(331)의 외주 사이에서 반경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베어링 부재(333)는 제2 고정 레버(336)에 의한 회전축(338)의 회전을 제3 조정부(400)에 전달한다. 또한, 베어링 부재(333)는 회전축(338)의 회전과 무관하게, 제3 베이스(331)가 회전되지 않게 한다.
베어링 부재(333)는 제3 베이스(331)의 내부에 위치된다. 베어링 부재(333)는 제3 베이스(331)의 중심과 같은 중심을 갖게 위치될 수 있다.
베어링 부재(333)의 내부에는 회전축(338)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베어링 부재(333)의 외부는 제3 베이스(331)와 결합된다. 이에 따라, 회전축(338) 및 이에 연결된 제3 조정부(400)가 회전되더라도, 제3 베이스(331)는 회전되지 않는다.
베어링 부재(333)는 인접한 서로 다른 부재 사이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베어링 부재(333)는 볼 베어링(ball bearing)으로 구비될 수 있다.
베어링 부재(333)의 상측에는 회전 결합부(334)가 위치된다.
회전 결합부(334)는 제3 베이스(33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회전 결합부(334)는 회전축(338)과 연결된다. 회전축(338)이 회전되면, 회전 결합부(334) 또한 회전된다.
회전 결합부(334)에는 제3 조정부(400)가 결합된다. 회전축(338)이 회전되면, 회전 결합부(334) 및 제3 조정부(400)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회전 결합부(334)는 베어링 부재(333)보다 작은 외경을 갖게 형성된다. 회전 결합부(334)는 제3 조정부(400)와 결합되어 함께 회전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회전 레버(335)는 회전 조작되어 회전 결합부(334) 및 이에 결합된 제3 조정부(400)를 회전시킨다. 회전 레버(335)는 회전축(338)과 연결된다. 회전 레버(335)가 회전되면, 회전축(338) 및 이에 연결된 회전 결합부(334), 제3 조정부(400)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이때, 회전 레버(335)의 회전 각도 및 이에 따른 회전축(338)의 회전 각도는 제한 부재(332) 및 제3 조정부(400)의 하측에 위치되는 돌출부(미도시)의 접촉에 의해 제한됨이 이해될 것이다.
회전 레버(335)는 제3 베이스(331)의 하측에 위치된다. 또한, 회전 레버(335)는 제2 베이스(321)의 상측에 위치된다. 즉, 회전 레버(335)는 제3 베이스(331) 및 제2 베이스(321) 사이에 위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작업자는 설치 프레임(110)의 내부 공간에서 전방 측에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회전 레버(335)가 제3 베이스(331)의 하측에 위치됨에 따라, 작업자는 회전 레버(335)에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다.
따라서, 회전 레버(335)가 제3 베이스(331)의 상측에 위치되는 경우에 비해 작업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작업자가 상대적으로 하측에 위치될 수 있으므로, 작업의 안전성 또한 향상될 수 있다.
제2 고정 레버(336)는 회전 레버(335)에 의해 조정된 회전축(338)의 각도를 고정한다. 제2 고정 레버(336)에 의해, 회전축(338)의 조정된 각도가 유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전축(338)과 연결되는 회전 결합부(334) 및 제3 조정부(400)의 회전 각도 또한 조정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제2 고정 레버(336)는 회전 레버(335)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2 고정 레버(336)는 회전 레버(335)의 하측에 위치된다. 즉, 제2 고정 레버(336)는 회전 레버(335)와 제2 베이스(321) 사이에 위치된다.
제2 고정 레버(336)는 회전축(338)과 연결될 수 있다. 제2 고정 레버(336)가 누름 조작되면, 제2 고정 레버(336)에 의해 가압된 회전축(338) 및 이에 연결된 회전 결합부(334), 제3 조정부(400)의 임의 회전이 방지된다.
즉, 제2 고정 레버(336)가 누름 조작됨에 따라, 회전 결합부(334)의 회전 각도가 유지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회전 결합부(334)에 결합되는 제3 조정부(400)의 각도가 유지될 수 있다.
제2 고정 레버(336)는 누름 조작되어 회전을 방지하고, 당김 조작되어 회전을 허용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지지부(337)는 제3 베이스(331)의 방사상 외측에서 제3 조정부(400)를 지지한다. 지지부(337)는 제3 조정부(400)와 결합된다.
지지부(337)는 제3 베이스(331)의 방사상 외측에서 제3 베이스(331)와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도시된 실시 예에서, 지지부(337)는 제3 베이스(331)의 외주에 결합된다.
지지부(337)는 회전 가능하게 제3 베이스(331)에 결합된다. 즉, 회전축(338)이 회전되면, 이에 연결된 제3 조정부(400) 및 이에 결합된 지지부(337) 또한 회전된다. 이때, 제3 베이스(331)는 상기 지지부(337)의 회전과 무관하게 회전되지 않는다.
이를 위해, 제3 베이스(331)는 지지부(337)에 구비되는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위치되는 복수 개의 롤링 부재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삽입될 수 있다.
지지부(337)의 방사상 내측, 즉 제3 베이스(331)의 중심을 향하는 일측은 제3 베이스(331)와 결합된다. 지지부(337)의 상측, 즉, 제3 조정부(400)를 향하는 타측은 제3 조정부(400)와 결합된다.
지지부(337)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지지부(337)는 서로 다른 위치에서 제3 베이스(331) 및 제3 조정부(400)와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지지부(337)는 네 개 구비된다. 한 쌍의 지지부(337)는 제3 베이스(331)의 전방 측 외주에서 서로 이격되어 위치된다. 다른 한 쌍의 지지부(337)는 제3 베이스(331)의 후방 측 외주에서 서로 이격되어 위치된다.
이에 따라, 회전부(330)와 제3 조정부(400)가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3 조정부(400)가 회전부(330)에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다.
회전축(338)은 회전 레버(335)의 회전 조작에 의해 시계 방향 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 조작된다. 회전축(338)은 회전 레버(335)와 연결된다.
회전축(338)의 회전은 회전 결합부(334) 및 이에 결합된 제3 조정부(400)에 전달된다. 회전축(338)은 회전 결합부(334) 및 제3 조정부(400)와 결합된다.
회전축(338)은 베어링 부재(333)와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회전축(338)은 베어링 부재(333)에 관통 결합된다. 이에 따라, 회전축(338)이 회전되더라도, 제3 베이스(331)는 회전되지 않는다.
회전축(338)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회전축(338)의 상측 단부는 베어링 부재(333)를 통해 제3 베이스(331)를 관통하여 회전 결합부(334)와 결합된다. 회전축(338)의 하측 단부는 제2 베이스(321)에 관통된다.
회전축(338)의 하측 단부에는 베어링(미도시)이 구비되어, 회전축(338)이 제2 베이스(321)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
회전축(338)은 회전 레버(335)와 결합된다. 회전 레버(335)가 회전 조작되면, 회전축(338) 또한 회전 레버(335)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회전축(338)은 제2 고정 레버(336)와 결합된다. 제2 고정 레버(336)가 누름 조작되면, 회전축(338)의 임의 회전이 방지될 수 있다.
회전축(338)과 베어링 부재(333)가 결합되는 부분에는 회전 기어부(339)가 구비될 수 있다.
회전 기어부(339)는 회전축(338)과 회전 결합부(334)의 회전비를 조정한다.
회전 기어부(339)는 복수 개의 오목부 및 돌출부를 포함하는 치형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치형부(미도시)는 회전축(338)에 형성된 치형부(미도시)와 기어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전축(338)과 회전 결합부(334) 사이의 회전비가 조정될 수 있다.
회전 기어부(339)는 기어 결합되어 서로 다른 부재 사이의 회전비를 조정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회전 기어부(339)는 평기어 또는 헬리컬 기어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4) 제3 조정부(400)의 설명
도 8 내지 도 12 및 도 20 내지 도 22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듈 설치 장치(50)는 제3 조정부(400)를 포함한다.
제3 조정부(400)는 제1 조정부(200) 및 제2 조정부(300)와 함께, 프레임(40)에 설치될 파워 모듈(10) 및 커패시터 모듈(20)의 위치를 조정한다.
제3 조정부(400)는 제2 조정부(3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제3 조정부(400)는 제2 조정부(300)의 상측에 구비되는 회전부(330)에 결합된다. 회전부(330)가 회전되면, 제3 조정부(400)는 회전부(330)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이때, 제3 조정부(400) 및 회전부(330)의 회전축은 상하 방향, 즉 Z축 방향임이 이해될 것이다.
또한, 제3 조정부(400)는 제2 조정부(300)와 함께 이동될 수 있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조정부(300)는 제1 조정부(200)와 결합되어, 좌우 방향, 즉 X축 방향으로 제1 조정부(200)와 함께 이동된다.
이에, 제2 조정부(300)에 결합된 제3 조정부(400) 또한 좌우 방향, 즉 X축 방향으로 제1 조정부(200) 및 제2 조정부(300)와 함께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조정부(300)는 상하 방향, 즉 Z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승강부(320)를 포함한다. 이에, 제3 조정부(400)는 제2 조정부(300)가 작동됨에 따라 상하 방향의 위치, 즉 Z축 방향에서의 위치 또한 조정될 수 있다.
제3 조정부(400)에는 파워 모듈(10) 또는 커패시터 모듈(20)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안착된다. 물론, 파워 모듈(10) 또는 커패시터 모듈(20)과 제3 조정부(400) 사이에는 카트 유닛(30)이 구비됨이 이해될 것이다.
제3 조정부(400)에 안착된 파워 모듈(10) 또는 커패시터 모듈(20)은 슬라이드 이동되어 프레임 레일(43)로 이동될 수 있다.
제3 조정부(400)는 고강성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제3 조정부(400)가 제2 조정부(300)의 회전부(330)와 함께 회전될 때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이에 따라, 제3 조정부(400)에 안착되는 고중량의 파워 모듈(10) 또는 커패시터 모듈(20)의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제3 조정부(40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3 조정부(400)는 몸체부(410), 이탈 제한부(420), 휠 안착부(430), 카트 결합부(440) 및 측면 지지부(450)를 포함한다.
몸체부(410)는 제3 조정부(400)의 몸체를 형성한다. 파워 모듈(10) 또는 커패시터 모듈(20)은 몸체부(410)에 안착될 수 있다. 파워 모듈(10) 또는 커패시터 모듈(20)은 몸체부(410)가 연장되는 방향, 즉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되어 이동될 수 있다.
몸체부(410)는 제2 조정부(300)와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몸체부(410)는 별도의 체결 부재(미도시) 등에 의해, 제2 조정부(300)의 상측에 위치되는 회전부(330)와 결합된다. 몸체부(410)는 회전 결합부(334) 및 지지부(337)에 고정 결합된다.
이때, 회전 결합부(334) 및 지지부(337)는 회전 가능하게 제3 베이스(331)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회전 결합부(334) 및 지지부(337)가 회전되면, 이에 결합된 몸체부(410) 또한 회전될 수 있다.
몸체부(410)는 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몸체부(410)는 전후 방향(즉, Y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몸체부(410)는 그 연장 방향의 양 단부 중 프레임(40)을 향하는 일측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 단부가 복수 개의 프레임 레일(43)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될 수 있다. 몸체부(410)에 안착된 파워 모듈(10) 또는 커패시터 모듈(20)은 슬라이드 이동되어 상기 프레임 레일(43)로 이동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몸체부(410)는 제1 몸체부(411), 제2 몸체부(412) 및 결합 부재(413)를 포함한다.
제1 몸체부(411)는 몸체부(410)의 일부를 형성한다. 제1 몸체부(411)는 몸체부(410)의 부분 중 제2 조정부(300)의 회전부(330)와 결합되는 부분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1 몸체부(411)는 상기 일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제1 몸체부(411)가 연장되는 방향의 각 단부 중 프레임(40)을 향하는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 단부는 제2 몸체부(412)의 전방 측 단부와 연결된다.
제1 몸체부(411)가 연장되는 방향의 각 단부 중 프레임(40)에 반대되는 타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은 회전부(330)의 회전 결합부(334) 및 지지부(337)와 결합된다. 상기 결합을 위해, 별도의 체결 부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회전부(330)를 향하는 제1 몸체부(411)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에는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회전부(330)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제한 부재(332)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회전 결합부(334) 및 제1 몸체부(411)가 회전되면, 상기 돌출부 또한 함께 회전된다. 돌출부의 회전이 진행됨에 따라, 돌출부는 서로 인접한 제한 부재(332) 중 어느 하나에 접촉된다. 이에 따라, 회전 결합부(334) 및 제1 몸체부(411)의 회전 각도가 제한될 수 있다.
제1 몸체부(411)에는 이탈 제한부(420), 휠 안착부(430), 카트 결합부(440) 및 측면 지지부(450)가 구비된다. 이탈 제한부(420), 휠 안착부(430), 카트 결합부(440) 및 측면 지지부(450)는 제1 몸체부(411)에서 제2 몸체부(412)까지 연장된다.
제1 몸체부(411)는 제2 몸체부(412)와 연속된다.
제2 몸체부(412)는 제1 몸체부(411) 및 프레임 레일(43)과 각각 결합된다. 또한, 제2 몸체부(412)는 제1 몸체부(411) 및 프레임 레일(43)과 각각 연속된다. 제1 몸체부(411)에 안착된 파워 모듈(10) 및 커패시터 모듈(20)은 제2 몸체부(412)를 통과하여 프레임 레일(43)로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제2 몸체부(412)는 상기 일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제2 몸체부(412)는 제1 몸체부(411)와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제2 몸체부(412)가 연장되는 방향의 각 단부 중 프레임(40)에 반대되는 타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 단부는 제1 몸체부(411)의 후방 측 단부와 연결된다.
달리 표현하면, 제2 몸체부(412)와 제1 몸체부(411)는 서로 마주하는 각 단부가 결합된다. 상기 결합은 결합 부재(413)에 의해 달성된다.
제2 몸체부(412)는 프레임 레일(43)과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제2 몸체부(412)가 연장되는 방향의 각 단부 중 프레임(40)을 향하는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 단부는 프레임 레일(43)에 결합된다.
제2 몸체부(412)는 제1 몸체부(411)와 함께 회전된다. 즉, 제2 몸체부(412)는 회전부(330)와 함께 회전된다. 이에 따라, 제2 몸체부(412)와 프레임 레일(43)이 서로 연속되게 맞춰질 수 있다.
제2 몸체부(412)에는 이탈 제한부(420), 휠 안착부(430), 카트 결합부(440) 및 측면 지지부(450)가 구비된다. 이탈 제한부(420), 휠 안착부(430), 카트 결합부(440) 및 측면 지지부(450)는 제1 몸체부(411)에서 제2 몸체부(412)까지 연장된다.
제1 몸체부(411)와 제2 몸체부(412)는 결합 부재(413)에 의해 결합된다.
결합 부재(413)는 제1 몸체부(411)와 제2 몸체부(412)를 결합한다. 결합 부재(413)에 의해, 제1 몸체부(411) 및 제2 몸체부(412)는 일체로 이동될 수 있다.
결합 부재(413)는 일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다. 결합 부재(413)의 연장 방향이 제1 몸체부(411) 및 제2 몸체부(412)가 연장되는 방향과 같음이 이해될 것이다.
결합 부재(413)는 제1 몸체부(411) 및 제2 몸체부(412)에 각각 부분적으로 결합된다. 결합 부재(413)와 제1 몸체부(411) 및 제2 몸체부(412)는 나사 등의 체결 부재(미도시)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즉, 도시된 실시 예에서, 결합 부재(413)의 전방 측은 제1 몸체부(411)의 후방 측 단부의 상측에 결합된다. 또한, 결합 부재(413)의 후방 측은 제2 몸체부(412)의 전방 측 단부의 상측에 결합된다.
다른 실시 예에서, 결합 부재(413)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결합 부재(413)는 제1 몸체부(411) 및 제2 몸체부(412)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이때에도, 각 결합 부재(413)의 일 부분은 제1 몸체부(411)와, 나머지 부분은 제2 몸체부(412)와 결합됨이 이해될 것이다.
결합 부재(413)에 의해, 제1 몸체부(411) 및 제2 몸체부(412)가 결합되어 몸체부(410) 전체의 길이가 증가될 수 있다. 또한, 결합 부재(413)가 제1 몸체부(411) 및 제2 몸체부(412)와 각각 결합됨에 따라, 제1 몸체부(411)와 제2 몸체부(412)의 결합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제1 몸체부(411) 및 제2 몸체부(412)가 결합된 상태에서의 연장 방향의 각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 단부 및 후방 측 단부에는 이탈 제한부(420)가 구비된다.
이탈 제한부(420)는 몸체부(410)가 연장되는 방향, 즉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후 방향의 각 단부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이탈 제한부(420)는 몸체부(410)에 안착된 카트 유닛(30)(즉, 파워 모듈(10) 또는 커패시터 모듈(20)이 안착된)이 몸체부(410)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임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탈 제한부(420)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이탈 제한부(420)는 몸체부(410)의 길이 방향의 각 단부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이탈 제한부(420)는 두 개 구비되어 몸체부(410)의 전방 측 단부 및 후방 측 단부에 각각 위치된다.
이탈 제한부(420)는 몸체부(410)에 결합된다.
이때, 몸체부(410)의 후방 측, 즉 프레임(40)을 향하는 일측 단부에 구비되는 이탈 제한부(420)는 탈착 가능하게 몸체부(410)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카트 유닛(30)이 몸체부(410)에 결합되어야 할 경우, 후방 측에 위치되는 이탈 제한부(420)가 탈거된 후 카트 유닛(30)이 카트 결합부(440)에 결합된 후, 다시 이탈 제한부(420)가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이탈 제한부(420)는 좌우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사각 판형으로 구비된다. 이탈 제한부(420)는 몸체부(410)에 안착된 카트 유닛(30)의 임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이탈 제한부(420)는 소정의 높이를 갖게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이탈 제한부(420)는 몸체부(410)에 결합되는 휠 안착부(430) 및 카트 결합부(440)의 상측보다 높은 높이를 갖게 형성된다.
이탈 제한부(420)의 형상 및 그 높이는 휠 안착부(430) 및 카트 결합부(440)의 형상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카트 유닛(30)의 휠부가 휠 안착부(430)에 안착되고, 카트 유닛(30)이 카트 결합부(440)와 결합되면 이탈 제한부(420)에 의해 길이 방향(즉, 전후 방향)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휠 안착부(430)에는 카트 유닛(30)의 휠부가 안착된다. 안착된 휠부는 휠 안착부(430)를 따라 프레임(40)을 향하는 방향 및 프레임(40)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카트 유닛(30) 또한 휠 안착부(430)에 안착된 상태에서 프레임(40)을 향하는 방향 및 프레임(40)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휠 안착부(430)는 몸체부(410)가 연장되는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다. 휠 안착부(430)는 그 연장 방향의 각 단부가 몸체부(410)의 연장 방향의 각 단부에 위치되게 연장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휠 안착부(430)는 몸체부(410)와 같은 길이만큼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휠 안착부(430)에 안착된 카트 유닛(30)은 몸체부(410)를 거쳐 프레임 레일(43)에 안정적으로 진입될 수 있다.
폭 방향(즉,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우 방향)으로, 휠 안착부(430)는 카트 결합부(440)의 외측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휠 안착부(430)는 측면 지지부(450)의 내측에 위치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휠 안착부(430)는 폭 방향으로 카트 결합부(440) 및 측면 지지부(450) 사이에 위치된다.
휠 안착부(430)는 이탈 제한부(420)보다 낮은 높이를 갖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휠 안착부(430)에 안착된 카트 유닛(30)의 휠부는 휠 안착부(430)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임의 이탈되지 않게 된다.
휠 안착부(430)는 카트 결합부(440)보다 낮은 높이를 갖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카트 유닛(30)의 휠부가 휠 안착부(430)에 안착되면, 카트 유닛(30)은 휠부에 의해서만 이동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휠 안착부(430)는 측면 지지부(450)보다 낮은 높이를 갖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휠 안착부(430)에 안착된 카트 유닛(30)의 휠부는 폭 방향(즉, 좌우 방향)으로 임의 이탈되지 않게 된다.
휠 안착부(430)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휠 안착부(430)는 서로 다른 위치에서 카트 유닛(30)의 휠부를 지지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휠 안착부(430)는 두 개 구비되어, 폭 방향(즉, 좌우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복수 개의 휠 안착부(430)에는 카트 유닛(30)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휠부가 각각 안착된다.
휠 안착부(430)의 개수 및 형상은 카트 유닛(30)의 형상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즉, 상술한 휠 안착부(430)의 형상 및 위치는 카트 유닛(30)에 구비되는 휠부 및 레일 결합부의 형상 및 위치에 의해 결정됨이 이해될 것이다.
휠 안착부(430)의 내측, 달리 표현하면 복수 개의 휠 안착부(430) 사이에는 카트 결합부(440)가 구비된다.
카트 결합부(440)는 카트 유닛(30)이 몸체부(410)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부분이다. 카트 유닛(30)은 카트 결합부(440)에 결합된 상태에서 몸체부(410)가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카트 결합부(440)는 몸체부(410)가 연장되는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다. 카트 결합부(440)는 그 연장 방향의 각 단부가 몸체부(410)의 연장 방향의 각 단부에 위치되게 연장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카트 결합부(440)는 몸체부(410)와 같은 길이만큼 연장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카트 결합부(440)는 휠 안착부(430)와 같은 길이만큼 연장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이에 따라, 카트 결합부(440)에 결합된 카트 유닛(30)은 몸체부(410)를 거쳐 프레임 레일(43)에 안정적으로 진입될 수 있다.
폭 방향(즉,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우 방향)으로, 카트 결합부(440)는 휠 안착부(430)의 내측에 위치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카트 결합부(440)는 복수 개의 휠 안착부(430) 사이에 위치된다.
카트 결합부(440)는 휠 안착부(430)보다 높은 높이를 갖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카트 결합부(440)의 상측 단부와 하측 단부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어, 카트 유닛(30)에 구비되는 결합 부재가 삽입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공간에 삽입 결합된 결합 부재는 카트 결합부(440)와 부분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다만, 결합 부재와 카트 결합부(440) 사이에는 별도의 반력이 작용되지 않는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카트 유닛(30)은 휠부 및 휠 안착부(430)에 의해서만 지지된다.
도 2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 결합부(440)의 상측 단부는 상기 공간을 부분적으로 덮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카트 결합부(440)에 결합된 카트 유닛(30)은 상측으로 임의 이탈되지 않게 된다.
카트 결합부(440)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카트 결합부(440)는 서로 다른 위치에서 카트 유닛(30)과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카트 결합부(440)는 두 개 구비되어, 폭 방향(즉, 좌우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복수 개의 카트 결합부(440)에는 카트 유닛(30)에 구비되는 상기 결합 부재가 각각 삽입 결합된다. 즉, 카트 유닛(30)은 카트 결합부(440)가 연장되는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후 방향으로 카트 결합부(440)에 삽입 결합된다.
카트 결합부(440)의 개수 및 형상은 카트 유닛(30)의 형상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즉, 상술한 카트 결합부(440)의 형상 및 위치는 카트 유닛(30)에 구비되는 결합 부재의 형상 및 위치에 의해 결정됨이 이해될 것이다.
카트 결합부(440) 및 휠 안착부(430)의 외측에는 측면 지지부(450)가 구비된다.
측면 지지부(450)는 제3 조정부(400)에 결합된 카트 유닛(30)의 임의 이탈을 방지한다. 구체적으로, 측면 지지부(450)는 결합된 카트 유닛(30)의 폭 방향, 즉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우 방향의 임의 이탈을 방지한다.
측면 지지부(450)는 몸체부(410)가 연장되는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다. 측면 지지부(450)는 그 연장 방향의 각 단부가 몸체부(410)의 연장 방향의 각 단부에 위치되게 연장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측면 지지부(450)는 몸체부(410)와 같은 길이만큼 연장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측면 지지부(450)는 휠 안착부(430) 및 카트 결합부(440)와 같은 길이만큼 연장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이에 따라, 몸체부(410)에 결합된 카트 유닛(30)은 폭 방향, 즉 좌우 방향으로 임의 이탈되지 않게 된다.
측면 지지부(450)는 폭 방향, 즉 좌우 방향으로 가장 외측에 위치될 수 있다. 즉, 도 22b 및 도 2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 지지부(450)는 몸체부(410)의 길이 방향의 모서리, 즉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좌측 및 우측 모서리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측면 지지부(450)의 폭 방향의 내측에는 카트 결합부(440) 및 휠 안착부(430)가 차례로 위치된다.
측면 지지부(450)는 휠 안착부(430) 및 카트 결합부(440)보다 높은 높이를 갖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휠 안착부(430)에 안착된 카트 유닛(30)의 휠부 및 카트 결합부(440)에 결합된 카트 유닛(30)은 폭 방향(즉, 좌우 방향)의 외측으로 임의 이탈되지 않게 된다.
즉, 측면 지지부(450)는 몸체부(410)에 안착된 카트 유닛(30)의 폭 방향에서 카트 유닛(30)을 지지한다.
측면 지지부(450)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측면 지지부(450)는 두 개 구비되어, 몸체부(410)의 좌측 모서리 및 우측 모서리에 각각 인접하게 위치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측면 지지부(450)는 제1 연장부(451), 제2 연장부(452) 및 제3 연장부(453)를 포함한다.
제1 연장부(451)는 측면 지지부(450)의 하측을 형성한다. 제1 연장부(451)는 몸체부(410)와 연속된다. 제1 연장부(451)는 몸체부(410)의 상측 면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연장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소정의 각도는 직각일 수 있다.
제1 연장부(451)의 연장 길이는 휠 안착부(430) 및 카트 결합부(440)의 높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연장부(451)의 상측 단부는 휠 안착부(430) 및 카트 결합부(440)의 상측 단부의 높이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연장부(451)는 휠 안착부(430)에 안착된 카트 유닛(30)의 휠부의 높이보다 높게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제1 연장부(451)는 카트 결합부(440)에 결합된 카트 유닛(30)의 높이보다 더 높게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카트 유닛(30)이 몸체부(410)에 결합되면, 제1 연장부(451)는 카트 유닛(30) 및 카트 유닛(30)의 휠부보다 더 높게 연장된다. 이에 따라, 카트 유닛(30)이 오조작되더라도, 폭 방향의 외측으로 카트 유닛(30)이 임의 이탈되지 않게 된다.
제1 연장부(451)의 상측 단부에서는 제2 연장부(452)가 연장된다.
제2 연장부(452)는 제1 연장부(451)의 상측 단부에서 연장된다. 제2 연장부(452)는 휠 안착부(430) 또는 카트 결합부(440)에서 멀어지는 방향, 즉 외측을 향해 연장된다. 달리 표현하면, 제2 연장부(452)는 마주하는 다른 제2 연장부(452)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2 연장부(452)는 제1 연장부(451)와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연장부(452)는 제1 연장부(451)에 대해 수직하게 연장될 수 있다.
제2 연장부(452)는 작업자가 카트 유닛(30) 및 카트 유닛(30)에 안착된 파워 모듈(10) 또는 커패시터 모듈(20)을 유지 보수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한다. 또한, 제2 연장부(452)는 제3 조정부(400)에 결합된 카트 유닛(30)을 프레임 레일(43)을 향해 이동시키기 위한 작업이 수행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즉, 제2 연장부(452)는 사용자가 위치될 수 있는 공간 및 지지부로 기능된다.
이에 따라, 카트 유닛(30)에 안착되어 높은 높이를 갖는 파워 모듈(10) 또는 커패시터 모듈(20)의 이동 및 유지 보수가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제2 연장부(452)의 외측 단부에서는 제3 연장부(453)가 연장된다.
제3 연장부(453)는 제2 연장부(452)의 외측 단부에서 연장된다. 제3 연장부(453)는 몸체부(410)에서 멀어지는 방향, 즉 상측을 향해 연장된다.
제3 연장부(453)는 제2 연장부(452)와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3 연장부(453)는 제2 연장부(452)에 대해 수직하게 연장될 수 있다.
제3 연장부(453)는 제2 연장부(452)에 위치되는 작업자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기 위한 가이드 레일로 기능된다. 즉, 제2 연장부(452)에 위치된 작업자는 제3 연장부(453)에 의해 제3 조정부(400)의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게 된다.
제3 연장부(453)는 제2 연장부(452)와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3 연장부(453)는 제2 연장부(452)에 대해 수직하게 연장될 수 있다.
4.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듈 설치 장치(50)의 작동 과정의 설명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듈 설치 장치(50)는 파워 모듈(10) 또는 커패시터 모듈(20)을 프레임(40)에 용이하고 안전하게 설치할 수 있다.
모듈 설치 장치(50)는 3축 방향의 이동 및 상기 3축 중 어느 하나의 축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즉, 모듈 설치 장치(50)는 3차원의 공간에서 서로 다른 3개 방향으로 직선 또는 병진 운동될 수 있다. 또한, 모듈 설치 장치(50)는 상기 3개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듈 설치 장치(50)에 안착된 파워 모듈(10) 또는 커패시터 모듈(20) 또한 상기 3개 방향으로 직선 또는 병진 운동되거나, 회전 운동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모듈 설치 장치(50)를 통해, 파워 모듈(10) 또는 커패시터 모듈(20)이 정확하게 프레임 레일(43)로 이동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파워 모듈(10) 또는 커패시터 모듈(20)의 정확한 설치가 가능하다.
또한, 상기 과정은 모듈 설치 장치(5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즉, 작업자가 파워 모듈(10) 또는 커패시터 모듈(20)을 직접 파지하여 들어올리는 과정은 초기에 모듈 설치 장치(50)의 제3 조정부(400)에 카트 유닛(30)을 장착하는 과정에서만 수행된다.
상기 과정 이후 파워 모듈(10) 또는 커패시터 모듈(20)의 위치 및 방향은 모듈 설치 장치(50)에 의해 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파워 모듈(10) 또는 커패시터 모듈(20)을 직접 파지하는 과정이 감소될 수 있으므로, 작업자의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다.
더 나아가, 다양한 구성 요소에 의해 적은 힘을 이용하여 파워 모듈(10) 또는 커패시터 모듈(20)을 프레임(40)에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모듈형 멀티 레벨 컨버터(1)를 구성하기 위해 요구되는 시간, 비용 및 노력이 절감될 수 있다.
이하, 도 23 및 도 2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듈 설치 장치(50)에 의해 파워 모듈(10) 또는 커패시터 모듈(20)이 프레임(40)에 설치되는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는 커패시터 모듈(20)이 프레임(40)에 기 설치되고, 파워 모듈(10)이 추가로 설치되는 과정이 도시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커패시터 모듈(20) 또한 이하에서 설명될 과정에 따라 프레임(40)에 설치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파워 모듈(10) 및 커패시터 모듈(20)은 카트 유닛(30)에 안착된 상태로 설치 및 이동된다.
즉, 파워 모듈(10) 및 커패시터 모듈(20)은 카트 유닛(30)에 안착 및 결합된 상태에서 모듈 설치 장치(50)에 삽입된다. 또한, 파워 모듈(10) 및 커패시터 모듈(20)은 카트 유닛(30)에 안착 및 결합된 상태에서 프레임(40)에 설치될 수 있다.
이에, 이하의 설명에서 "카트 유닛(30)"이라는 용어는, 카트 유닛(30) 및 이에 안착 및 결합된 파워 모듈(10)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도 23을 참조하면, 커패시터 모듈(20)이 프레임(40)에 기 설치되고, 파워 모듈(10)이 프레임(40)에 설치되기 직전 단계가 개시된다.
상기 과정 전에, 지지 암(120)이 프레임(40)에 결합되는 단계가 선행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먼저, 파워 모듈(10)은 카트 유닛(30)에 안착된 상태에서, 제3 조정부(400)의 몸체부(410)에 안착된다. 이를 위해, 몸체부(410)의 일측 단부(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 단부)에 위치되는 이탈 제한부(420)가 탈거된다.
카트 유닛(30)은 휠부가 휠 안착부(430)에 안착되고, 결합 부재가 카트 결합부(440) 내부의 공간에 삽입되게 제3 조정부(400)에 결합된다.
이후, 탈거되었던 이탈 제한부(420)가 다시 몸체부(410)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몸체부(410)의 상기 일측 단부가 폐쇄되어, 카트 유닛(30)이 몸체부(410)의 연장 방향으로 임의 이탈되지 않게 된다.
제3 조정부(400)에 결합된 카트 유닛(30)은 카트 결합부(440) 및 측면 지지부(450)에 의해 상측 및 폭 방향(즉, 좌우 방향)의 이동이 제한된다. 이에 따라, 카트 유닛(30)은 폭 방향으로 임의 이탈되지 않게 된다.
설치된 카트 유닛(30)은 제3 조정부(400)의 몸체부(410)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된다. 상기 이동은 작업자 또는 여타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23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카트 유닛(30)은 제2 조정부(300)의 회전부(330)의 수직 상방에 위치될 때까지 몸체부(410)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된다. 즉, 상기 과정에서는 카트 유닛(30)이 좌우 방향(즉, X축 방향)으로 이동된다.
카트 유닛(30)이 회전부(330)의 상측까지 이동됨에 따라, 무게 중심이 회전축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 조정부(400)가 회전부(330)에 의해 회전될 때, 안정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
카트 유닛(30)이 기 설정된 위치(즉, 회전부(330)의 상측)까지 이동되면, 회전부(330)가 회전된다. 이때, 회전부(330)의 회전은 상하 방향을 축으로 하여 회전되는 바, Z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회전 및 고정은 회전 레버(335) 및 제2 고정 레버(336)가 조작되어 수행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다음으로, 제2 조정부(300)가 좌우 방향(즉, X축 방향)으로의 이동을 개시한다. 즉, 카트부(310)는 제1 조정부(200)의 레일부(230)를 따라, 좌우 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과정에 의해, 카트 유닛(30)이 설치되어야 할 프레임 레일(43)과 제3 조정부(400)의 몸체부(410)가 전후 방향으로 일직선 상에 정렬될 수 있다.
다음으로, 승강부(320)가 조정되어 카트 유닛(30)의 상하 방향(즉, Z축 방향)의 위치가 조정된다.
상기 승강 및 고정은 승강 레버(323) 및 제1 고정 레버(324)가 조작되어 수행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이에 따라, 제3 조정부(400)의 몸체부(410)와 프레임 레일(43)이 전후 방향, 좌우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일직선 상에 정렬된다.
도 23은 상기 과정을 통해 몸체부(410)와 프레임 레일(43)이 정렬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24를 참조하면, 상기 과정을 거친 후 카트 유닛(30)이 프레임(40)에 설치되는 과정이 도시된다.
상기 과정을 통해, 몸체부(410)와 프레임 레일(43)은 일직선 상에 정렬된다.
카트 유닛(30)이 프레임(40)을 향하는 방향으로 가압되면, 카트 유닛(30)은 몸체부(410)를 통과하여 프레임 레일(43)에 진입된다. 프레임 레일(43)에 진입된 카트 유닛(30)은 파워 모듈(10) 및 커패시터 모듈(20)이 전기적, 물리적으로 결합될 때까지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파워 모듈(10) 및 커패시터 모듈(20)이 전기적으로 결합되어 형성되는 서브 모듈의 형성 과정이 완료될 수 있다.
카트 유닛(30)을 제3 조정부(400)의 몸체부(410)에 결합 또는 분리하는 과정 및 카트 유닛(30)을 가압하거나 당겨서 제3 조정부(400)의 몸체부(410) 및 프레임 레일(43) 상에서 이동시키는 과정은 자동 또는 수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조정부(300)의 카트부(310)를 이동시키는 과정, 승강부(320)를 승강시키는 과정 및 회전부(330)를 회전시키는 과정 또한 자동 또는 수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즉, 상기 작업들은 작업자에 의해 수행되거나, 별도의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과정이 역으로 수행되어 파워 모듈(10) 또는 커패시터 모듈(20)이 프레임(40)에서 분리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모듈형 멀티 레벨 컨버터(Modular Multilevel Converter, MMC)
10: 파워 모듈
20: 커패시터 모듈
30: 카트 유닛
40: 프레임
41: 외부 프레임
42: 내부 프레임
43: 프레임 레일
50: 모듈 설치 장치
100: 리프트부
110: 설치 프레임
111: 가이드 바
112: 개방부
113: 설치 하우징
120: 지지 암(arm)
200: 제1 조정부(좌우 방향)
210: 몸체부
211: 관통부
220: 안착부
230: 레일부
240: 지지부
241: 수직 지지부
242: 수평 지지부
250: 이탈 방지부
300: 제2 조정부(상하 방향, 회전)
310: 카트부
311: 제1 베이스
312: 삽입부
313: 휠부
314: 삽입 지지부
320: 승강부
321: 제2 베이스
322: 높이 조절부
323: 승강 레버
324: 제1 고정 레버
330: 회전부
331: 제3 베이스
332: 제한 부재
333: 베어링 부재
334: 회전 결합부
335: 회전 레버
336: 제2 고정 레버
337: 지지부
338: 회전축
339: 회전 기어부
400: 제3 조정부(전후 방향)
410: 몸체부
411: 제1 몸체부
412: 제2 몸체부
413: 결합 부재
420: 이탈 방지부
430: 휠 안착부
440: 카트 결합부
450: 측면 지지부
451: 제1 연장부
452: 제2 연장부
453: 제3 연장부

Claims (18)

  1.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조정부;
    상기 제1 조정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1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제2 조정부; 및
    상기 제2 조정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파워 모듈 또는 커패시터 모듈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 조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조정부는,
    상기 제1 조정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카트부;
    상기 카트부를 향하는 방향 및 상기 카트부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카트부에 결합되는 승강부; 및
    상기 승강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3 조정부가 결합되는 회전부를 포함하는,
    모듈 설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조정부의 상기 카트부는,
    상기 제1 조정부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제1 베이스; 및
    상기 제1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 조정부에 안착되는 복수 개의 휠부를 포함하는,
    모듈 설치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정부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 베이스의 하측에 결합되는 삽입부에 삽입되며, 상기 제1 베이스가 안착되는 안착부; 및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상기 안착부와 이격되어 위치되고, 상기 휠부가 회전 가능하게 안착되는 레일부를 포함하는,
    모듈 설치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정부는,
    상기 레일부가 연장되는 방향의 각 단부에 위치되며, 상기 제1 방향에 대해 소정의 각도를 이루는 판 형으로 구비되는 이탈 방지부를 포함하는,
    모듈 설치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정부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레일부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레일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안착부를 마주하게 위치되며,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레일부의 일측을 감싸는 수직 지지부; 및
    상기 수직 지지부의 단부에서 상기 수직 지지부와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상기 안착부를 향해 연장되어, 상기 레일부의 상측을 감싸는 수평 지지부를 포함하는,
    모듈 설치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조정부의 상기 승강부는,
    상기 카트부에 결합되며, 판형으로 형성되는 제2 베이스;
    상기 제2 베이스에 관통 결합되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부분 및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부분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는 제2 부분을 포함하는 높이 조절부; 및
    상기 높이 조절부와 결합되며, 회전 조작되어 상기 제2 부분에 수용되는 상기 제1 부분의 높이를 조정하는 승강 레버를 포함하는,
    모듈 설치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조정부의 상기 승강부는,
    상기 높이 조절부와 결합되며, 누름 조작되어 상기 제1 부분의 승강을 제한하는 제1 고정 레버를 포함하는,
    모듈 설치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조정부의 상기 회전부는,
    상기 승강부에 결합되며, 판형으로 형성되는 제3 베이스;
    상기 제3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3 조정부가 결합되는 회전 결합부; 및
    상기 제3 베이스에 관통되고, 상기 회전 결합부에 결합되는 회전축을 포함하는,
    모듈 설치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조정부의 상기 회전부는,
    상기 회전축 및 상기 제3 베이스와 각각 결합되는 베어링 부재;
    상기 회전축과 결합되며, 회전 조작되어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회전 레버; 및
    상기 회전축과 결합되며, 누름 조작되어 상기 회전축의 회전을 제한하는 제2 고정 레버를 포함하는,
    모듈 설치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베이스를 마주하는 상기 제3 조정부의 일측에는, 상기 제3 베이스를 향해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2 조정부의 상기 회전부는,
    상기 제3 베이스 상에서 상기 제3 조정부를 향해 연장되며, 복수 개 구비되어 상기 제3 베이스의 중심에 대해 서로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이격되고, 상기 제3 베이스의 중심에 대해 방사상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복수 개의 상기 제한 부재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회전축이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복수 개의 상기 제한 부재 중 어느 하나에 접촉되는,
    모듈 설치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조정부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며, 상기 파워 모듈 또는 상기 커패시터 모듈이 안착되는 카트 유닛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카트 결합부; 및
    상기 카트 유닛의 휠부가 회전 가능하게 안착되는 휠 안착부를 포함하는,
    모듈 설치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조정부는,
    상기 몸체부가 연장되는 방향의 각 단부에 위치되며, 상기 제2 방향에 대해 소정의 각도를 이루는 판 형으로 구비되는 복수 개의 이탈 제한부를 포함하며
    복수 개의 상기 이탈 제한부 중 어느 하나는 탈착 가능하게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는,
    모듈 설치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조정부는,
    상기 몸체부의 모서리 중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모서리에 인접하게 위치되어, 상기 카트 결합부 및 상기 휠 안착부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는 복수 개의 측면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측면 지지부는,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1 연장부;
    상기 제1 연장부와 연속되며, 상기 카트 결합부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연장부; 및
    상기 제2 연장부와 연속되며,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3 연장부를 포함하는,
    모듈 설치 장치.
  14.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는 파워 모듈;
    상기 파워 모듈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커패시터 소자를 포함하는 커패시터 모듈;
    상기 파워 모듈 또는 상기 커패시터 모듈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프레임 레일을 포함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에 인접하게 위치되어 상기 프레임과 접촉되거나 이격되고, 상기 파워 모듈 또는 상기 커패시터 모듈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모듈 설치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모듈 설치 장치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조정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상기 제1 조정부에 결합되며, 상하 방향의 높이가 가변되는 제2 조정부; 및
    상기 제2 조정부에 결합되며, 상기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그 일측 단부가 상기 프레임 레일과 접촉되고, 상기 파워 모듈 또는 상기 커패시터 모듈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 조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조정부는,
    상기 제1 조정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카트부;
    상기 카트부의 상측에 위치되며, 그 상측이 상기 제3 조정부와 결합되는 회전부; 및
    상기 카트부 및 상기 회전부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카트부와 결합되고, 상기 회전부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카트부와 상기 회전부 사이의 최단 거리가 조정되도록 그 상하 방향의 높이가 조정되는 승강부를 포함하는,
    모듈형 멀티 레벨 컨버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조정부의 상기 카트부는,
    상기 제1 조정부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제1 베이스; 및
    상기 제1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 조정부에 안착되는 복수 개의 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조정부는,
    상기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베이스의 하측에 결합되는 삽입부에 삽입되며, 상기 제1 베이스가 안착되는 안착부;
    상기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좌우 방향으로 상기 안착부와 이격되어 위치되고, 상기 휠부가 회전 가능하게 안착되는 레일부; 및
    상기 레일부의 좌측 단부 및 우측 단부에 각각 위치되며, 상기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판형으로 구비되는 이탈 방지부를 포함하는,
    모듈형 멀티 레벨 컨버터.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조정부의 상기 승강부는,
    상기 카트부에 결합되며, 판형으로 형성되는 제2 베이스;
    상기 제2 베이스에 관통 결합되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부분 및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부분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는 제2 부분을 포함하는 높이 조절부;
    상기 높이 조절부와 결합되며, 회전 조작되어 상기 제2 부분에 수용되는 상기 제1 부분의 높이를 조정하는 승강 레버; 및
    상기 높이 조절부와 결합되며, 누름 조작되어 상기 제1 부분의 승강을 제한하는 제1 고정 레버를 포함하는,
    모듈형 멀티 레벨 컨버터.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조정부의 상기 회전부는,
    상기 승강부에 결합되며, 판형으로 형성되는 제3 베이스;
    상기 제3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3 조정부가 결합되는 회전 결합부;
    상기 제3 베이스에 관통되고, 상기 회전 결합부에 결합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 및 상기 제3 베이스와 각각 결합되는 베어링 부재;
    상기 회전축과 결합되며, 회전 조작되어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회전 레버; 및
    상기 회전축과 결합되며, 누름 조작되어 상기 회전축의 회전을 제한하는 제2 고정 레버를 포함하는,
    모듈형 멀티 레벨 컨버터.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조정부는,
    상기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며, 상기 파워 모듈 또는 상기 커패시터 모듈이 안착되는 카트 유닛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카트 결합부;
    상기 카트 유닛의 휠부가 회전 가능하게 안착되는 휠 안착부;
    상기 몸체부가 연장되는 방향의 각 단부에 위치되며, 상기 좌우 방향 및 상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판 형으로 구비되는 복수 개의 이탈 제한부; 및
    상기 몸체부의 좌측 및 우측의 각 모서리에 인접하게 위치되어, 상기 카트 결합부 및 상기 휠 안착부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는 복수 개의 측면 지지부를 포함하며,
    복수 개의 상기 이탈 제한부 중 상기 프레임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상기 이탈 제한부는 탈착 가능하게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고,
    상기 측면 지지부는,
    상측으로 연장되며, 그 상측 단부의 높이가 상기 카트 결합부 및 상기 휠 안착부의 상측 단부보다 높게 위치되는 제1 연장부;
    상기 제1 연장부와 연속되며, 상기 몸체부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2 연장부; 및
    상기 제2 연장부와 연속되며,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3 연장부를 포함하는,
    모듈형 멀티 레벨 컨버터.
KR1020200104161A 2020-08-19 2020-08-19 모듈 설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모듈형 멀티 레벨 컨버터 KR1024348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4161A KR102434870B1 (ko) 2020-08-19 2020-08-19 모듈 설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모듈형 멀티 레벨 컨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4161A KR102434870B1 (ko) 2020-08-19 2020-08-19 모듈 설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모듈형 멀티 레벨 컨버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2784A KR20220022784A (ko) 2022-02-28
KR102434870B1 true KR102434870B1 (ko) 2022-08-22

Family

ID=80497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4161A KR102434870B1 (ko) 2020-08-19 2020-08-19 모듈 설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모듈형 멀티 레벨 컨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487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7623B1 (ko) * 2022-03-21 2024-04-15 엘에스일렉트릭(주) 정지형 무효전력 보상장치의 파워 팩 교체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3347B1 (ko) 2013-12-30 2016-06-07 주식회사 효성 초고압 직류 송전시스템의 모듈 인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09051A (zh) 2013-06-19 2016-03-16 巴斯夫欧洲公司 用于可再充电电化学电池的碱金属离子传导性分隔体组件
KR101645471B1 (ko) * 2014-08-05 2016-08-04 주식회사 효성 초고압 직류 송전시스템의 모듈 교체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3347B1 (ko) 2013-12-30 2016-06-07 주식회사 효성 초고압 직류 송전시스템의 모듈 인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2784A (ko) 2022-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34870B1 (ko) 모듈 설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모듈형 멀티 레벨 컨버터
CA3027621A1 (en) Charging station with multiple power sources
CN209736645U (zh) 一种机械手上下料装置
CN114188863A (zh) 一种适用于多型号配电柜使用的装卸辅助工具及其使用方法
EP2716577B1 (en) Drawer device and storage device
CN112189384A (zh) 用于功率组件的保持和更换装置以及方法
CN212946431U (zh) 一种换能器加压设备
KR20190139317A (ko) 작업대 및 배선 덕트
CN111838967A (zh) 一种全自动多功能办公桌
EP3922593A1 (en) Lifter
JP6965476B1 (ja) 電力変換装置
US11646553B2 (en) Method for installing a switching module in an electrical cabinet, corresponding installation kit and switching module
CN214848529U (zh) 一种8吋晶圆盒自动解锁装置
US3813024A (en) Battery assembly machine
CN210065051U (zh) 一种汽车举升机装置
EP1959721B1 (de) Modulare Flächenmagazin-Bereitstellungsvorrichtung für Bestücksysteme
CN218976198U (zh) 一种电力设备试验架
CN219312562U (zh) 一种电池转运装置和换电站
CN220711764U (zh) 一种具有可收放升降式手柄的远程手提操作箱
CN218693043U (zh) 一种配电柜开孔装置
CN220463614U (zh) 一种可调节的辅助修理器
KR20190016210A (ko) 건설 기계의 배터리 박스
CN217569513U (zh) 一种用于电子器件的保压机构
CN217426834U (zh) 一种间距可调的化成装置
CN210836761U (zh) 一种旋转式电子电工试验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