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6210A - 건설 기계의 배터리 박스 - Google Patents

건설 기계의 배터리 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6210A
KR20190016210A KR1020170100111A KR20170100111A KR20190016210A KR 20190016210 A KR20190016210 A KR 20190016210A KR 1020170100111 A KR1020170100111 A KR 1020170100111A KR 20170100111 A KR20170100111 A KR 20170100111A KR 20190016210 A KR20190016210 A KR 201900162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construction machine
engine room
battery housing
hinge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01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미연
Original Assignee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001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16210A/ko
Publication of KR201900162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62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58Arrangement of component parts installed on superstruc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 components, fenders, air-conditioning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건설 기계의 배터리 박스는 힌지핀 및 배터리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힌지핀은 건설 기계의 엔진 룸의 외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하우징은 상기 힌지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적어도 1개의 배터리를 수용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배터리 박스가 엔진 룸의 외측면에 배치됨으로써, 배터리 박스 내의 배터리로부터 엔진 룸 내의 부품들로 이어진 전장 길이가 대폭 단축될 수 있다.

Description

건설 기계의 배터리 박스{BATTERY BOX OF A CONSTRUCTION MACHINE}
본 발명은 건설 기계의 배터리 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건설 기계의 각종 부품들로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를 수용하는 배터리 박스에 관한 것이다.
건설 기계의 각종 부품들은 배터리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을 수 있다. 따라서, 건설 기계는 배터리를 수용하는 배터리 박스를 포함할 수 있다.
관련 기술들에 따르면, 배터리 박스는 엔진 룸의 반대인 리어 프레임의 양측에 배치된 한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나의 배터리가 한 쌍의 배터리 박스 각각에 수용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배터리 박스들 내의 배터리들로부터 엔진 룸 내의 부품들로 이어진 전장 라인이 길어질 수밖에 없을 수 있다. 또한, 리어 프레임의 양측에 배터리 박스들이 배치된 관계로, 배터리로부터의 전기 공급을 제어하는 각종 스위치들도 양쪽으로 구분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장 라인의 길이를 단축시키면서 제어 스위치도 한 곳에 집중 배치시킬 수 있는 건설 기계의 배터리 박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견지에 따른 건설 기계의 배터리 박스는 힌지핀 및 배터리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힌지핀은 건설 기계의 엔진 룸의 외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하우징은 상기 힌지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적어도 1개의 배터리를 수용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힌지핀은 수직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하우징은 상기 힌지핀을 중심으로 수평 방향을 따라 회전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하우징은 상기 엔진 룸의 외측면에 형성된 정비창을 덮을 정도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하우징은 상기 배터리가 안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하우징은 적어도 2개의 상기 배터리들을 수용할 정도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하우징은 상기 적어도 2개의 배터리들을 수직 방향을 따라 적층식으로 수용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박스는 상기 배터리 하우징을 상기 엔진 룸의 외측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기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고정 기구는 상기 엔진 룸의 외측면에 장착된 고정턱, 및 상기 배터리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고정턱에 걸려 고정되는 후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된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배터리 박스가 엔진 룸의 외측면에 배치됨으로써, 배터리 박스 내의 배터리로부터 엔진 룸 내의 부품들로 이어진 전장 길이가 대폭 단축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배터리 내에 적어도 2개의 배터리들이 수용됨으로써, 배터리의 전기 공급을 제어하는 스위치들도 하나의 배터리 박스 내에 집중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배터리 박스는 엔진 룸 내의 부품들을 정비하기 위한 정비창을 덮을 수 있는 구조를 갖고 있으므로, 별도의 엔진 룸 커버가 필요하지 않게 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커버가 배치된 건설 기계의 프레임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배터리 커버를 확대해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배터리 커버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커버가 배치된 건설 기계의 프레임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배터리 커버를 확대해서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배터리 커버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건설 기계의 프레임(F)은 프런트 프레임과 리어 프레임으로 구분될 수 있다. 프런트 프레임은 엔진이 배치된 엔진 룸(R)을 형성할 수 있다. 엔진 룸(R)은 대향하는 2개의 측면들을 가질 수 있다. 엔진 룸(R) 내에 배치된 부품들, 예를 들면 유압 기구 등을 정비하기 위해서, 정비창(W)이 엔진 룸(R)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캐빈은 엔진 룸(R)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건설 기계는 굴삭기, 휠 로더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커버는 엔진 룸(R)의 외측면, 특히 정비창(W)이 형성된 외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배터리 커버가 엔진 룸(R)에 인접하게 배치됨으로써, 배터리 커버 내의 배터리(B)로부터 엔진 룸(R) 내의 부품들을 연결하는 전장 라인이 대폭 단축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커버는 적어도 2개의 배터리(B)들을 수용할 수 있다. 따라서, 배터리(B)들의 전기 공급을 제어하는 스위치들이 하나의 배터리 커버 내에 집중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배터리 커버는 힌지핀(110), 배터리 하우징(120) 및 고정 기구(130)를 포함할 수 있다. 힌지핀(110)은 엔진 룸(R)의 외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힌지핀(110)은 정비창(W)과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힌지핀(110)은 정비창(W)의 좌측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힌지핀(110)은 수직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배터리 하우징(120)은 힌지핀(1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힌지핀(110)에 수직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으므로, 배터리 하우징(120)은 수평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배터리 하우징(120)은 정비창(W)을 개폐할 수 있다. 배터리 하우징(120)은 정비창(W)을 완전히 덮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즉, 배터리 하우징(120)은 정비창(W)보다 넓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정비창(W)을 덮는 별도의 커버가 필요하지 않게 될 수 있다.
배터리 하우징(120)은 적어도 2개의 배터리(B)들을 수용할 수 있다. 특히, 배터리 하우징(120)은 적어도 2개의 배터리(B)들을 수직 방향을 따라 적층식으로 수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배터리 하우징(120)은 대략 직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배터리 하우징(120)은 전판(121), 후판(122), 상판(123), 하판(124), 좌측판(125) 및 우측판(126)을 포함할 수 있다. 좌측판(125)과 후판(122) 사이의 경계부가 힌지핀(1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후판(122)이 정비창(W)을 폐쇄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배터리 하우징(120) 내에 수용된 배터리(B)들을 정비 또는 교체하기 위해서, 전판(121)은 좌측판(125) 또는 우측판(126)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서, 전판(121)은 좌측판(125) 또는 우측판(126)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배터리 하우징(120)의 형상이 직육면체로 국한되지 않고 다른 형상들을 가질 수도 있다.
제 1 및 제 2 지지대(127, 128)들이 배터리 하우징(12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지지대(127, 128)들은 후판(122)의 내측면에 수평하게 연결된 평판 구조를 가질 수 있다. 2개의 배터리(B)들은 제 1 및 제 2 지지대(127, 128)들의 상부면에 안치될 수 있다. 제 2 지지대(128)는 제 1 지지대(127)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 지지대(127) 상에 안치된 하나의 배터리(B)가 제 1 지지대(127)와 제 2 지지대(128) 사이에 배치되어야 하므로, 제 1 지지대(127)와 제 2 지지대(128) 사이의 간격은 하나의 배터리(B)의 높이보다 클 수 있다. 지지대(127, 128)들의 수는 배터리(B)의 수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고정 기구(130)는 배터리 하우징(120)을 엔진 룸(R)의 외측면에 고정시킬 수 있다. 고정 기구(130)는 고정턱(132) 및 후크(124)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턱(132)은 정비창(W)의 우측인 엔진 룸(R)의 외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고정턱(132)은 실린더 형상의 몸체의 상단에 실린더의 직경보다 긴 직경을 갖는 플랜지가 형성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고정턱(132)의 플랜지는 후크(134)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후크(134)는 우측판(126)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후크(134)를 고정턱(132), 특히 고정턱(132)의 실린더 부위에 거는 것에 의해서, 배터리 하우징(120)을 엔진 룸(R)의 외측면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러한 후킹 고정 방식 이외에도, 배터리 하우징(120)을 엔진 룸(R)의 외측면에 고정시킬 수 있는 다른 고정 방식들이 채용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배터리 박스가 엔진 룸의 외측면에 배치됨으로써, 배터리 박스 내의 배터리로부터 엔진 룸 내의 부품들로 이어진 전장 길이가 대폭 단축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배터리 내에 적어도 2개의 배터리들이 수용됨으로써, 배터리의 전기 공급을 제어하는 스위치들도 하나의 배터리 박스 내에 집중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배터리 박스는 엔진 룸 내의 부품들을 정비하기 위한 정비창을 덮을 수 있는 구조를 갖고 있으므로, 별도의 엔진 룸 커버가 필요하지 않게 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B ; 배터리 F ; 프레임
R ; 엔진 룸 W ; 정비창
110 ; 힌지핀 120 ; 배터리 하우징
121 ; 전판 122 ; 후판
123 ; 상판 124 ; 하판
125 ; 좌측판 126 ; 우측판
127 ; 제 1 지지대 128 ; 제 2 지지대
130 ; 고정 기구 132 ; 고정턱
134 ; 후크

Claims (8)

  1. 건설 기계의 엔진 룸의 외측면에 설치된 힌지핀; 및
    상기 힌지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적어도 1개의 배터리를 수용하는 배터리 하우징을 포함하는 건설 기계의 배터리 박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핀은 수직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배터리 하우징은 상기 힌지핀을 중심으로 수평 방향을 따라 회전되는 건설 기계의 배터리 박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하우징은 상기 엔진 룸의 외측면에 형성된 정비창을 덮을 정도의 크기를 갖는 건설 기계의 배터리 박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하우징은 상기 배터리가 안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대를 포함하는 건설 기계의 배터리 박스.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하우징은 적어도 2개의 상기 배터리들을 수용할 정도의 구조를 갖는 건설 기계의 배터리 박스.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하우징은 상기 적어도 2개의 배터리들을 수직 방향을 따라 적층식으로 수용하는 건설 기계의 배터리 박스.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하우징을 상기 엔진 룸의 외측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기구를 더 포함하는 건설 기계의 배터리 박스.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기구는
    상기 엔진 룸의 외측면에 장착된 고정턱; 및
    상기 배터리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고정턱에 걸려 고정되는 후크를 포함하는 건설 기계의 배터리 박스.
KR1020170100111A 2017-08-08 2017-08-08 건설 기계의 배터리 박스 KR201900162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0111A KR20190016210A (ko) 2017-08-08 2017-08-08 건설 기계의 배터리 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0111A KR20190016210A (ko) 2017-08-08 2017-08-08 건설 기계의 배터리 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6210A true KR20190016210A (ko) 2019-02-18

Family

ID=65561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0111A KR20190016210A (ko) 2017-08-08 2017-08-08 건설 기계의 배터리 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1621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0232A (ko) 2021-01-08 2022-07-15 이재승 광량조절 led마스크필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0232A (ko) 2021-01-08 2022-07-15 이재승 광량조절 led마스크필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61510B2 (en) Modular distributing panel including a transformer
KR20190016210A (ko) 건설 기계의 배터리 박스
KR20180003097U (ko) 케이블 덕트
KR102099198B1 (ko) 작업대 및 배선 덕트
CN201986323U (zh) 一种框架拼装组件和显示屏
JP5676829B1 (ja) スイッチギヤ
KR101312821B1 (ko) 기판 이송 장치
JP6942539B2 (ja) 電力変換装置および電力変換装置の組み立て方法
JP2017224403A (ja) 燃料電池ユニット
CN205124153U (zh) 一种馈线自动化终端机柜
JP2009240124A (ja) 制御盤およびその組み立て方法
JP6412772B2 (ja) 筐体
JP2005192315A (ja) 筐体収納型電気機器
CN203279361U (zh) 一种pcb板夹具及其自适应支撑治具
CN202514221U (zh) 多pcb的固定结构
CN220401325U (zh) 一种电缆固定结构
CN108878223B (zh) 一种断路器安装盒体
CN216016070U (zh) 一种控制电气柜
CN212182902U (zh) 一种便于检修的配电箱
KR101566937B1 (ko) 전동기 제어반의 부스바 지지구조
CN220252507U (zh) 电子设备及电子系统
CN214153076U (zh) 电池箱
CN219123769U (zh) 一种防水户外端子箱
CN213083422U (zh) 一种区块式集成模块驾控台
CN217769172U (zh) 电箱和电气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