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9198B1 - 작업대 및 배선 덕트 - Google Patents

작업대 및 배선 덕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9198B1
KR102099198B1 KR1020197035921A KR20197035921A KR102099198B1 KR 102099198 B1 KR102099198 B1 KR 102099198B1 KR 1020197035921 A KR1020197035921 A KR 1020197035921A KR 20197035921 A KR20197035921 A KR 20197035921A KR 102099198 B1 KR102099198 B1 KR 1020991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ing
pair
casings
support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59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9317A (ko
Inventor
아키히코 코다마
노부오 오카자키
마코토 미와
시게노리 이케다
요시오 키지마
Original Assignee
메이덴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7100092A external-priority patent/JP6356312B1/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7100094A external-priority patent/JP6356313B1/ja
Application filed by 메이덴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메이덴샤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901393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93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91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91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05K7/1485Servers; Data center rooms, e.g. 19-inch computer racks
    • H05K7/1488Cabinets therefor, e.g. chassis or racks or mechanical interfaces between blades and support structures
    • H05K7/1491Cabinets therefor, e.g. chassis or racks or mechanical interfaces between blades and support structures having cable management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1/00Component parts such as frames, beds, carriages, headstocks
    • B24B41/06Work supports, e.g. adjustable stead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2Mounting of devices therein
    • H02B1/34Racks
    • H02B1/36Racks with withdrawable un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05K7/1438Back panels or connecting means therefor; Terminals; Coding means to avoid wrong insertion
    • H05K7/1447External wirings; Wiring ducts; Laying cabl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05K7/1485Servers; Data center rooms, e.g. 19-inch computer racks
    • H05K7/1488Cabinets therefor, e.g. chassis or racks or mechanical interfaces between blades and support structur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8Construction of rack or frame

Abstract

작업대(6)는 케이싱(2)의 내부 유지 보수를 수행하는 작업자를 위해 케이싱을 분리할 때 케이싱(2a, 2b) 사이에 놓여진다. 한 쌍의 제 1지지부(61)는 케이싱이 분리된 상태에 있을 때 작업대 본체(60)를 수평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케이싱들 사이에 평행하게 배열된다. 한 쌍의 제 2지지부(62)는 하나의 케이싱(2a)의 하부 프레임(21a) 위에 평행하게 배열되고, 작업대 본체(60)가 수평 상태일 때 제 1지지부(61)의 일단부를 지지한다. 한 쌍의 제 3지지부(63)는 하부 프레임(21b)에 걸린 상태로 하부 프레임(21b)상에 평행하게 배열되고 제1지지부(61)의 타단부가 제3지지부(63)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된다. 케이싱(2)의 와이어를 수용하고 보호하는 배선 덕트(7)의 배선 파지부(71)는 분리된 상태에서 케이싱들 사이에 작업대(6) 아래에 와이어를 파지한다.

Description

작업대 및 배선 덕트
본 발명은 전자 기기를 수용하는 케이싱에 각각 제공되는 작업대 및 배선 덕트에 관한 것이다.
전자 기기가 수용되는 케이싱으로서,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내지 3에 케이싱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케이싱은 전자 기기를 케이싱 본체로부터 인출하고 전자 기기의 유지 보수를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특허 문헌 2및 3에 개시된 케이싱은, 건물의 벽면으로부터 케이싱 본체를 이동시킴으로써, 케이싱 본체와 건물 벽면 사이의 유지보수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특허 문헌 1:일본 특허 출원 미심사 공개 공보 제 평07-307586 호 특허 문헌 2:일본 특허 출원 미심사 공개 공보 제 평11-145631 호 특허 문헌 3:일본 특허출원 미심사 공개 공보 제 2002-176277 호
종래의 케이싱의 경우, 케이싱 내부의 유지 보수를 수행할 때, 작업자는 케이싱에 미리 수용된 작업대를 들어 내어 한 쌍의 분리된 케이싱 사이에 손으로 작업대를 설정 또는 설치한다.
이와 같이, 종래의 케이싱의 경우, 케이싱 내부의 유지 보수를 실시할 때 작업대를 수작업으로 설치해야 하므로, 케이싱 내부의 유지 보수 작업성(작업 효율)이 악화된다. 또한, 유지 보수를 시작할 때 케이싱 내부의 유지 보수 작업성이 나쁜(작업 효율이 낮은) 작업대를 설치할 때 작업대를 떨어뜨릴 위험마저 있다.
또한, 종래의 케이싱의 경우, 케이싱에 도입된 와이어가 케이싱의 상부에 배치되고 지지될 수 있지만, 많은 와이어가 케이싱에 도입되면, 케이싱은 보강이 필요하고, 이 결과 케이싱의 구조를 제조하는 비용이 많이 든다. 또한, 케이싱 내부를 유지 보수하기 위해 한 쌍의 케이싱을 개폐(분리 및 연결)할 때, 안전성을 확보하는 것이 어렵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적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케이싱 내부의 유지 보수를 수행할 때 작업자가 작업대를 손으로 설치해야 하는 수고를 덜고 내부의 유지 보수시 안전성 및 작업성(작업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와이어가 케이싱 내부에 대량으로 도입되더라도 케이싱 구조 보강없이 케이싱의 설치 상태의 안정성을 보장하면서 와이어를 수용하는 케이싱의 제조 비용을 감소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르면, 작업대는, 케이싱이 연결 상태에 있을 때 한 쌍의 케이싱에 수용되고, 케이싱이 분리 상태에 있을 때 상기 한 쌍의 케이싱 사이에서 수평으로 지지되는 작업대 본체; 케이싱이 분리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작업대 본체를 수평으로 지지하는 한 쌍의 제 1지지부; 상기 한 쌍의 케이싱중 하나의 케이싱의 프레임에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작업대 본체가 수평상태에 있을 때 상기 제 1지지부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한 쌍의 제 2지지부; 및 타방의 케이싱의 프레임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한쌍의 케이싱의 타방의 케이싱의 프레임에 평행으로 배열되는 한쌍의 제3지지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지지부의 타단부는 상기 제3지지부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된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르면, 상기 제 1 지지부의 일단부에는 상기 제 2지지부의 상면에서 이동할 수 있는 제 1 휠이 구비되고, 상기 제 1 휠은 상기 작업대 본체가 수평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제 2지지부의 상면에서 상기 제 1지지부의 일단부를 지지한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르면, 상기 작업대는 하나의 케이싱의 프레임에 배열되며, 각각이 상기 제1휠이 상기 한쌍의 케이싱이 연결되는 과정에서 수직으로 움직여서 상기 케이싱들이 연결상태에 있을 때 상기 제1휠을 통하여 상기 제1지지부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수직면을 가지는 한 쌍의 제 4지지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에 따르면, 작업대는 상기 하나의 케이싱의 프레임에 구비되어, 상기 한 쌍의 케이싱이 연결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2지지부부터 상기 제4지지부까지 상기 제1휠을 안내하는 한 쌍의 안내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에 따르면, 상기 제1지지부는 각각 그 상단부에 상기 한쌍의 케이싱이 연결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1휠 전에 상기 안내부에 의해 상기 제 4지지부로 안내되는 제 2휠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에 따르면, 상기 작업대 본체는 상기 한 쌍의 제 1지지부 중 어느 하나에 탈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르면, 배선 덕트는 케이싱이 연결 상태에 있을 때 한 쌍의 케이싱에 수용되고, 케이싱이 분리 상태에 있을 때 상기 한 쌍의 케이싱 사이에 놓이는 작업대; 및 상기 케이싱들이 연결 상태에 있을 때 상기 한 쌍의 케이싱에 수용되고, 상기 케이싱들이 분리 상태에 있을 때 상기 한쌍의 케이싱사이에 놓여져, 상기 케이싱들내에 도입되는 와이어를 상기 작업대 아래에 파지하는 배선파지부;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르면, 상기 배선 덕트는 상기 배선파지부의 일단부 가장자리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와이어를 추가로 파지하는 보조 배선 파지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에 따르면, 보조 배선 파지부는 상기 와이어를 파지하는 파지 본체; 및 상기 파지 본체의 양 가장자리에 기립되도록 형성된 한 쌍의 측벽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에 따르면, 상기 한 쌍의 측벽부중 어느하나에 탈착가능하게 상기 한 쌍의 측벽부중 어느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파지 본체에 의해 파지되는 상기와이어를 보호하기 위한 커버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에 따르면, 상기 한 쌍의 케이싱이 분리 상태에 있을 때 상기 파지 본체를 수평으로 파지하고, 상기 케이싱들이 연결 및 분리되는 과정에서 상기 한 쌍의 케이싱중 하나의 케이싱의 프레임으로부터 돌출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파지 본체의 일단부 가장자리를 걸고 지지하는 걸림 부재가 상기 하나의 케이싱의 프레임에 구비된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케이싱 내부의 유지 보수를 수행할 때 작업자가 작업대를 손으로 직접 설치하지 않아도 되고 케이싱 내부 유지 보수시 안전성 및 작업성(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와이어가 케이싱에 대규모로 도입되더라도 케이싱 구조의 보강 없이 케이싱의 세팅 상태의 안정성을 보장하면서 내부에 와이어를 수용하는 케이싱의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케이싱 분리 기구를 갖는 케이싱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케이싱 분리기구에 의한 연결 상태를 보여주는 상기 케이싱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상부 커버, 측면 커버 및 케이싱의 바닥에 가까이 위치된 전면 커버가 제거된 상기 케이싱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작업대 및 배선 덕트의 평면도이다.
도 5는 상기 작업대 및 배선 덕트의 저면도이다.
도 6은 와이어가 도입된 상기 케이싱의 측면도이며, 케이싱 분리 기구에 의한 분리 상태를 도시한다.
도 7은 케이싱을 분리 또는 연결하는 과정에 있는, 와이어(들)가 도입된 상기 케이싱의 측면도이다.
도 8은 와이어(들)가 도입된 상기 케이싱의 측면도로서, 연결 상태를 도시한다.
도 9a는 상기 케이싱 분리기구의 사시도로서, 제2레일부 및 제3레일부가 수용 또는 후퇴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9b는 상기 케이싱 분리기구의 사시도로서, 제3레일부가 연장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9c는 상기 케이싱 분리기구의 사시도로서, 제2레일부와 제3레일부가 연장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10a는 상기 케이싱 분리기구의 평면도로서, 제2레일부 및 제3레일부가 수용되거나 후퇴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10b는 상기 케이싱 분리기구의 평면도로서, 제2레일부 및 제3레일부가 연장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10c는 상기 케이싱 분리기구의 측면도이다.
도 10d는 상기 케이싱 분리기구의 정면도이다.
도 11a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케이싱 분리 기구의 평면도이다.
도 11b는 도 11a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 1실시예]
도 1에 예로서 도시된 케이싱(2)은 전자 기기(도시되지 않음)를 둘러싸거나 수용하는 한 쌍의 케이싱(2a, 2b)으로 형성된다. 케이싱(2)은 또한 후술하는 케이싱 분리기구(1), 작업대(6) 및 배선 덕트(7)를 구비한다.
(케이싱 분리기구 1의 실시예)
케이싱 분리기구(1)가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 분리 기구(1)는 전자 기기(도시되지 않음)를 둘러싸거나 수용하는 한 쌍의 케이싱(2a 및 2b)의 하나의 케이싱(2a)과 타방의 케이싱(2b)을 분리 및 연결하는 기구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 분리기구(1)는 케이싱(2a, 2b)의 프레임, 보다 구체적으로는 케이싱(2a,2b)의 하부 프레임(21a,21b) 및 상부 프레임(22a,22b)에 설치된다.
도 9a 내지 9c 및 10a 내지 10d에 도시된 케이싱 분리 기구(1)는 하부 프레임(21a, 21b)에 설치된 케이싱 분리 기구이다. 본 실시예의 케이싱 분리기구는 한 쌍의 레일부(11), 한 쌍의 레일부(12) 및 한 쌍의 레일부(13)을 갖는다. 케이싱 분리 기구(1)는 레일부(11)의 일단 및 레일부(12)의 일단으로부터 레일부(12) 및 레일부(13)를 각각 연장시키고, 레일부(12) 및 레일부(13)을 레일부(11) 및 레일부(12)내로 각각 수용(또는 후퇴)시키는 레일 이동 기구를 더 구비한다.
한편, 상부 프레임(22a, 22b)에 설치된 케이싱 분리기구(1)는 레일 이동기구가 구비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하부 프레임(21a, 21b)에 설치된 케이싱 분리기구(1)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여기서, 하부 프레임(21a, 21b)에 레일 이동 기구가 제공되지만, 케이싱(2a, 2b)의 규모나 크기에 따라, 레일 이동 기구는 상부 프레임(22a, 22b) 및 하부 프레임(21a, 21b)의 어느하나 또는 양쪽에 구비될 수 있다.
(레일 이동기구의 실시예)
레일 이동 기구는 레일부(11)의 일단으로부터 레일부(12)을 연장함으로써 연결 상태에 있는 케이싱(2a, 2b)을 분리한다.
레일 이동기구는 한 쌍의 레일부(11)를 평행하게 연결 또는 고정하는 평행 연결 부재(31)와 본 발명의 제 2구동기구에 해당하는 구동기구(이하, "제 2구동기구" 라 칭함)를 구비하며, 상기 구동기구는 평행 연결 부재(31)에 구비되어 레일부(12)를 레일부(11)의 일단으로부터 연장시키고 레일부(12)를 레일부(11)내에 수용(또는 후퇴)시키면서 레일부(12)의 이동이 진행되는 중에 레일부(12)를 정지시킬 수 있도록 한다.
레일 이동기구는 한 쌍의 레일부(13)를 평행하게 연결 또는 고정하는 평행 연결 부재(32)와 본 발명의 제 1구동기구에 해당하는 구동기구(이하, "제 1구동기구" 라 칭함)를 구비하며, 상기 구동기구는 평행 연결 부재(32)에 구비되어 레일부(13)를 레일부(12)의 일단으로부터 연장시키고 레일부(13)를 레일부(12)내에 수용(또는 후퇴)시키면서 레일부(13)의 이동이 진행되는 중에 레일부(13)를 정지시킬수 있도록 한다.
(제 1구동기구 및 제 2구동기구의 실시예)
제 2구동기구는 한 쌍의 레일부(12) 사이에 배치되는 회전축(14)과 평행 연결 부재(31)의 전방측 일정부위에 제공되고 회전축(14)이 나사 결합되는 지지부(41)를 갖는다.
제 1구동기구는 한 쌍의 레일부(13) 사이에 배치되는 회전축(15), 회전축(14)의 일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회전축(15)이 나사결합되는 지지부(42), 및 평행 연결 부재(32)의 전방측 일정부위에 제공되고 회전축(15)의 일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43)를 갖는다.
회전축(14) 및 회전축(15)의 일형태로서, 예를 들어 지지부(41) 및 지지부(42)에 각각 베어링으로서 적용된 너트에 나사 결합되는 볼트이다.
회전축(14)과 회전축(15)의 선단부에는 각각 회전축(14)과 회전축(15)을 회전시키기 위한 공구의 회전축의 일단부가 끼워지는 공구 수용부(16, 17)가 설치되어 있다.
공구 수용부(16, 17)의 일형태로서, 공구의 회전축의 형상이 다각형 기둥(예를 들어, 육각형 기둥) 인 경우, 이는 다각형 구멍(예를 들어, 육각형 구멍)을 갖는 스크류 헤드이다. 그리고, 이 스크류 헤드는 회전축(14)과 회전축(15)의 각 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지지부(41) 및 지지부(42)는 각각 회전축(14) 및 회전축(15)이 끼워지는 베어링을 갖는다. 베어링으로서는, 예를 들어 회전축(14)과 회전축(15)에 적용되는볼트가 나사 결합되는 너트이다.
여기서, 제 1구동기구 및 제 2구동기구는 상기 제 1구동기구 및 제 2구동기구가 레일부(12)와 레일부(13)의 이동이 진행되는 동안 레일부(12)와 레일부(13)를 정지시킬 수 있도록 레일부(12) 및 레일부(13)를 앞뒤로 움직일 수 있는 한 상기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제 1구동기구 및 제 2구동기구의 다른 형태로서, 회전축(14) 및 회전축(15) 대신에, 예를 들어 에어 실린더 및 유압 실린더가 사용될 수 있다. 이들 각각은 본 발명의 제 1구동기구 및 제 2구동기구의 일 형태이다.
(레일부(11), 레일부(12) 및 레일부(13)의 실시예)
도 9a 내지 도 9c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상기 레일부(11)는 한쌍의 케이싱(2)중 하나의 케이싱(2a)의 하부 프레임(21a)에 하부 프레임(21a)으로부터 돌출 연장되도록 쌍으로 구비된다.
레일부(12) 각각은 레일 이동기구에 의해(회전축(14)의 회전에 의해) 레일부(12)의 이동과정중에 정지할 수 있도록 레일부(11)의 일단부로부터 연장되거나 레일부(11)내로 후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레일부(13)는 한 쌍의 케이싱(2)의 타방의 케이싱(2b)의 하부 프레임(21b)에 설치되되 한 쌍의 레일부(13)가 하부 프레임(21b)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또한, 레일부(13) 각각은 레일 이동기구에 의해(회전축(15)의 회전에 의해) 레일부(13)의 이동과정중에 정지할 수 있도록 레일부(12)의 일단부로부터 연장되거나 레일부(12)내로 후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하부 프레임(21b)의 하면의 4개의 코너에는 휠(23)이 제공된다.
평행 연결 부재(31)는 한 쌍의 케이싱(2a, 2b)이 서로 연결되거나 결합될 때 타방의 케이싱(2b)에 수용되도록 레일부(11)의 상면에 위치되고 장착된다.
한편, 평행 연결 부재(32)는 타방의 케이싱(2b)에 수용되어 레일부(13)의 하부면 상에 위치되고 장착된다.
케이싱 분리기구(1)가 도3에서와 같이 상부 프레임(22a 및 22b)에 설치되는 경우, 레일부(11)는 한쌍의 레일부(11)가 상부 프레임(22a)으로부터 돌출되는 형태로 한 쌍의 케이싱(2)중 하나의 케이싱(2a)의 상부 프레임(22a)에 설치된다. 한편, 레일부(13)는 한쌍의 레일부(13)가 상부 프레임(22b)으로부터 돌출되는 형태로 한 쌍의 케이싱(2)중 타방의 케이싱(2b)의 상부 프레임(22b)에 설치된다.
(평행 연결 부재(31)의 실시예)
평행 연결 부재(31)는 강으로 만들어지고 직사각형 판 형상을 갖는다. 평행 연결 부재(31)의 본체에는 복수의 원형 개구부(33)가 구비되고 배열되어 경량화가 가능하다.
제 2구동기구의 지지부(41)는 평행 연결 부재(31)의 전방측 일정부위(본 실시예에서는 평행 연결 부재(31)의 하면측 전방 부분)에 고정된다.
평행 연결 부재(31)의 하부면에는 레일부(12)가 레일부(11)에 수용될 때 회전축(14)을 수평으로 지지하는 수평 지지부(34)가 제공된다.
평행 연결 부재(31)가 레일부(11)를 등간격으로 평행하게 배열할 수 있는 한, 병렬 연결 부재(31)의 구조 또는 구성은 상기에 제한되지 않다. 즉, 병렬 연결 부재(31)의 다른 형태로서, 예를 들어, H자 형 직사각형 판 구조, 횡장(oblong) 직사각형 판 구조 및 복수의 횡장 직사각형 판들을 갖는 덕크보드상(duckboard-like) 구조등이 채용될 수 있다.
(평행 연결 부재(32)의 실시예)
평행 연결 부재(32)는 또한 강으로 만들어지고 직사각형 판 형상을 갖는다. 마찬가지로, 복수의 원형 개구부(33)가 평행 연결 부재(32)의 본체에 제공되고 배열됨으로써, 경량화를 달성한다.
제 1구동기구의 지지부(42)는 한 쌍의 레일부(13)에 평행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평행 연결 부재(32)의 상면 위에 설치된다.
제 1구동기구의 지지부(43)는 평행 연결 부재(32)의 전방측 일정부위(본 실시예에서는 평행 연결 부재(32)의 상부면 측의 전방 부분)에 고정된다.
또한, 한 쌍의 레일부(13)에 평행하게 지지부(42)를 안내하는 안내부(44)가 평행 연결 부재(32)의 상부면상에 또는 그 위에 제공된다.
평행 연결 부재(32)가 레일부(13)을 등간격으로 평행하게 배열할 수 있는 한, 평행 연결 부재(32)의 구조 또는 구성은 상기에 제한되지 않다. 즉, 평행 연결 부재(32)의 다른 형태로서, 예를 들어, H자 형 직사각형 판 구조, 횡장(oblong) 직사각형 판 구조 및 복수의 횡장 직사각형 판들을 갖는 덕크보드상(duckboard-like) 구조등이 채용될 수 있다.
(작업대(6)의 실시예)
작업대(6)가 도 1 및 도 3 내지 8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작업대(6)는 케이싱(2a, 2b)의 내부를 유지 보수하는 작업자를 위한 작업대이다. 케이싱(2a, 2b)을 분리할 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대(6)는 하나의 케이싱(2a)과 타방의 케이싱(2b) 사이에 놓인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대(6)는 작업대 본체(60), 제 1지지부(61), 제 2지지부(62), 제 3지지부(63) 및 제 4지지부(64)를 갖는다.
작업대 본체(60)는 강판으로 만들어진다. 작업대 본체(60)는 케이싱(2a, 2b)이 연결 상태에 있을 때 케이싱(2a, 2b)에 수용되는 반면, 작업대 본체(60)는 케이싱(2a 및 2b)이 분리될 때 한 쌍의 케이싱(2a, 2b) 사이에서 수평으로 지지된다.
한 쌍의 제 1지지부(61)는 케이싱(2a, 2b)이 분리 상태에 있을 때 작업대 본체(60)를 수평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케이싱(2a, 2b) 사이에 평행하게 배열된다.
작업대 본체(60)는 고정 부재(601)에 의해 한 쌍의 제 1지지부(61) 중 하나에 탈부착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제 1지지부(61)중 다른하나 및 작업대 본체(60)에는 제 1지지부(61)에 작업대 본체(60)를 고정하기 위한 한 쌍의 고정 부재(602)가 제공된다.
한 쌍의 제 2지지부(62)는 하나의 케이싱(2a)의 하부 프레임(21a) 상에 또는 위에 평행하게 배치되고, 작업대 본체(60)가 수평 상태일 때 제 1지지부(61)의 일단부를 지지한다.
도 3및 도6 내지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제 3지지부(63)는 제 1지지부(61)의 타단부가 회동 또는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는 제 3지지부(63)의 일단부가 하부프레임(21b)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타방의 케이싱(2b)의 하부프레임(21b)상에 또는 그 위에 평행하게 배치된다.
또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지지부(61)의 일단부에는 제 2지지부(62)의 상면에서 이동할 수 있는 제 1휠(65a)이 각각 제공된다. 이 제 1휠(65a)은 작업대(6)의 작업대 본체(60)가 수평 상태일 때 제 2지지부(62)의 상부면에서 제 1지지부(61)의 일단부를 지지한다.
한 쌍의 제 4지지부(64)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2a)의 프레임(20a)에 세워지도록 배열된다. 제 4지지부(64)는 각각 제 1휠(65a)이 케이싱(2a, 2b)을 연결하는 과정에서 수직으로 이동하여 케이싱(2a, 2b)이 연결상태에 있을때 제 1휠(65a)을 통해 제 1지지부(61)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수직면(640)을 갖는다.
또한, 도 3 및 도 6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20a)에는 케이싱(2a, 2b)을 연결하는 과정에서 제 1휠(65a)을 제 2지지부(62)에서 제 4지지부(64)로 안내하는 한 쌍의 안내부(66)가 제공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한 쌍의 안내부(66)는 안내부(66)가 제 4지지부(64)의 수직면(640)에 대해 경사져 있는 상태로 제 2지지부(62)상에 세워지도록 설치된다.
또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지지부(61)는 그 상단 단부에 각각 도6내지 도8의 케이싱(2a, 2b)을 연결하는 과정에서 제 1휠(65a) 전에(또는 미리) 안내부(66)에 의해 제 4지지부(64)로 안내되는 제 2휠(65b)을 구비한다.
(배선 덕트(7)의 실시예)
배선 덕트(7)가 도 1 및 도 3 내지 8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선 덕트(7)는 케이싱(2)에 도입된 와이어(들)(8)를 수용하고 보호하기 위한 덕트이다. 케이싱(2a, 2b)을 분리할 때, 배선 덕트(7)는 하나의 케이싱(2a)과 타방의 케이싱(2b) 사이의 작업대(6) 아래에 놓인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선 덕트(7)는 배선 파지부(71)와 보조 배선 파지부(72)를 갖는다.
배선 파지부(71)는 한 쌍의 제 1지지부(61) 사이에 설치되고, 도 6 내지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대(6) 아래에서 케이싱(2)에 도입된 와이어(8)를 파지한다.
보조 배선 파지부(72)는 결합 부재(723)를 통해 배선 파지부(71)의 일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와이어(8)를 파지한다.
보조 배선 파지부(72)는 와이어(8)를 파지하는 파지 본체(720)와, 제 1지지부(61)를 따라 연장되는 파지본체(720)의 양 가장자리에 서도록 형성된 한 쌍의 측벽부(721)를 갖는다.
한 쌍의 측벽부(721) 중 어느 하나에는 파지 본체(720)에 의해 파지되는 와이어(8)를 보호하기 위한 커버(73)가 제공되어, 한 쌍의 측벽부(721) 중 하나에 결합부재(731)에 의해 탈착될 수 있다. 또한, 커버(73)와 한 쌍의 측벽부(721)의 다른 하나에는 커버(73)를 측벽부(721)에 고정하기 위한 한 쌍의 고정 부재(732)가 구비된다.
또한,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케이싱(2a)의 프레임(20a)에는 한 쌍의 걸림 부재(9)가 구비되어 한 쌍의 제 4지지부(64)에 체결 또는 고정된다. 이들 한 쌍의 걸림 부재(9)는 케이싱(2a, 2b)이 분리 상태에 있을 때 보조 배선 파지부(72)의 파지 본체(720)를 수평으로 유지시킨다. 한편, 이들 한 쌍의 걸림 부재(9)는 파지 본체(720)의 일단부 에지의 양 단부의 주변을 매달고 지지하여, 케이싱(2a, 2b)을 연결 및 분리하는 단계에서 파지 본체(720)의 일단부 에지가 프레임(20a)으로부터 돌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걸림 부재(9)로서는, 예를 들어 로프나 체인 등의 공지의 재료로 이루어지는 로프 부재(와이어 로프)로 파지 본체(720)를 수평으로 유지할 수 있다.
(케이싱 분리기구 1의 이동 실시예)
케이싱 분리기구(1)의 이동의 예가 도 1 내지 도3, 도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우선, 케이싱(2a)과 케이싱(2b)을 분리할 때의 케이싱 분리기구(1)의 이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케이싱(2a)과 케이싱(2b)이 연결 상태에 있을 때, 도 9a 및 도 10a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레일부(12)는 레일부(11)에 수용되고, 레일부(13)는 레일부(12)에 수용된다. 여기서, 도 1에 도시된 하부 프레임(21b)의 하부 전면 커버(24)를 제거하면, 회전 축(14)과 회전축(15)의 공구 수용부(16, 17)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프레임(21b)의 전방 하단부로부터 노출된다.
다음으로, 공구의 회전축의 선단을 도 9a에 도시된 회전축(14)의 공구 수용부(16)에 끼우고 회전축(14)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회전축(14)은 지지부(41)밖으로 나와 지지부(41)의 전방측으로 나온다. 이때,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부(12)는 레일부(11)의 전방 단부로부터 연장되고, 또한 상부 프레임(22a, 22b) 측에서, 레일부(12)는 레일부(11)의 일단부로부터 연장된다. 이 이동에 의해 하부 프레임(21b)의 휠(23)은 케이싱(2)의 전방 방향으로 바닥에서 구른다. 다음에, 회전축(14)의 일단부의 스토퍼가 지지부(41)에 접촉하면, 케이싱(2b)은 레일부(12)의 연장 거리만큼 케이싱(2)의 전방 방향으로 케이싱(2a)으로부터 분리된다.
다음으로, 케이싱(2a)과 케이싱(2b) 사이의 추가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공구의 회전축의 선단이 회전축(15)의 공구 수용부(17)에 끼워지고, 회전축(15)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러면, 회전축(15)은 지지부(42)밖으로 지지부(42)의 전방측으로 나온다. 이때, 도 9c, 도 10b 및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부(13)는 레일부(12)의 전방 단부로부터 연장되고, 또한 상부 프레임(22a, 22b) 측에서, 레일부(13)는 레일부(12)의 일단부로부터 연장된다. 이 운동에 의해, 하부 프레임(21b)의 휠(23)은 케이싱(2)의 전방 방향으로 바닥에서 구른다. 다음에, 회전축(15)의 이면 단부의 스토퍼가 지지부(42)에 접촉하면, 케이싱(2b)은 레일부(12)와 레일부(13)의 연장 거리만큼 케이싱(2)의 전방 방향으로 케이싱(2a)으로부터 더 분리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케이싱(2a)과 케이싱(2b)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된 상태에서, 유지 보수 공간이 케이싱(2a)과 케이싱(2b) 사이에 확보된다. 이어서, 예를 들어, 전자 부품으로서의 단자 블록이 케이싱(2a)에 수용되고, 전자 기기(도시되지 않음)가 케이싱(2b)에 수용된다. 또한, 케이싱(2a)과 케이싱(2b) 사이에 자신을 위치시킨 조작자에 의해 배선이 행해짐으로써, 단자 블록과 전자 기기가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다음으로, 케이싱(2a)과 케이싱(2b)을 연결할 때의 케이싱 분리기구(1)의 이동에 대해 설명한다.
배선이 완료된 후, 케이싱(2a)과 케이싱(2b)의 연결 작업(결합 작업)이 수행된다. 즉, 공구의 회전축의 선단을 회전축(15)의, 도 9c,도 10b 및 도 10c에 도시된, 공구 수용부(17)에 끼우고 회전축(15)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회전축(15)은 지지부(42)의 후면으로 후퇴된다. 이때, 레일부(13)는 레일부(12) 내로 후퇴되고, 상부 프레임(22a, 22b) 측에서, 레일부(13)는 레일부(12) 내로 후퇴된다. 이 운동에 의해 하부 프레임(21b)의 휠(23)은 케이싱(2)의 후방 방향으로 바닥에서 구른다. 다음에, 회전축(15)의 타단부의 스토퍼가 지지부(42)와 접촉할 때,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부(13)는 레일부(12)에 수용되고, 케이싱(2a)과 케이싱 사이의 간격이 레일부(13)의 수용 거리 만큼 단축된다.
또한, 공구의 회전축의 선단을 회전축(14)의 공구 수용부(16)에 끼우고 회전축(14)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회전축(14)이 지지부(41)의 후면으로 후퇴된다. 이때, 레일부(12)는 레일부(11) 내로 후퇴되고, 상부 프레임(22a 및 22b) 측에서, 레일부(12)는 레일부(11) 내로 후퇴된다. 이 운동에 의해 하부 프레임(21b)의 휠(23)은 케이싱(2)의 후방 방향으로 바닥에서 구른다. 그리고, 회전축(14)의 타단부의 스토퍼가 도 9a 및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41)와 접촉할 때, 레일부(12)은 레일부(11)에 수용되고, 케이싱(2a)과 케이싱(2b)은 서로 연결되거나 결합된다.
(작업대 6의 이동 실시예)
작업대(6)의 이동의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우선, 케이싱(2a, 2b)을 분리하는 과정에서의 작업대(6)의 이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케이싱(2a, 2b)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상태에 있을 때, 작업대(6)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2a)에 수용된다. 그 후, 케이싱 분리기구(1)의 작동에 의해, 케이싱(2b)이 케이싱(2a)으로부터 분리되는 분리 과정에 있어서, 케이싱(2a)의 프레임(20a)에서 제 4지지부(64)의 수직면(640)의 상단부에 근접하게 위치된 작업대(6)의 제 1휠(65a)이 수직면(640)상에서 점차 내려 간다. 한편, 제 1지지부(61)의 하단부에 위치한 제 3지지부(63)의 일단부는 프레임(20a)으로부터 인출된다. 제 1휠(65a)의 이러한 하강에 의해, 작업대(6)의 제 1지지부(61)의 일단은 프레임(20a) 내에서 하강한다. 이어서, 케이싱 분리기구(1)의 작동에 의해, 케이싱(2b)이 케이싱(2a)으로부터 더 분리되는 분리 과정에 있어서, 제 1지지부(61)의 일단은 더 하강하고, 작업대(6)의 제2휠(65b)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면(640)에 도달하면, 제 1휠(65a)은 수직면(640)으로부터 분리된다. 또한, 케이싱 분리기구(1)의 작동에 의해, 케이싱(2b)이 케이싱(2a)으로부터 더욱 분리되고 제 1지지부(61)의 일단이 더 하강하면, 제 2휠(65b)은 안내부(66)에 의해 안내되면서 하강한다. 다음에, 제 1휠(65a)이 도 1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프레임(21a) 상 또는 위에 있는 제 2지지부(62)에 도달할 때, 작업대(6)의 작업대 본체(60)는 케이싱(2a, 2b) 사이에 놓인다.
다음으로, 케이싱(2a, 2b)을 연결하는 과정에서의 작업대(6)의 이동에 대해 설명한다.
케이싱 분리기구(1)의 작동에 의해, 케이싱(2b)이 케이싱(2a)에 접근하는 연결과정에서, 도 6에 도시된 작업대(6)의 제 1휠(65a)은 제 2지지부(62)상에서 안내부(66)를 향하여 이동한다. 또한, 케이싱(2b)이 케이싱(2a)에 접근함에 따라, 작업대(6)의 제 1지지부(61)의 일단부가 프레임(20a)에 더 들어가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휠(65b)은 안내부(66)에 의해 안내되면서 프레임(20a)내에서 위로 올라간다. 이어서, 케이싱 분리기구(1)의 작동에 의해, 케이싱(2b)이 케이싱(2a)에 더 접근하는 연결 과정에서, 제 1지지부(61)의 일단이 프레임(20a) 내에서 추가로 상승하고, 제1휠(65a)은 안내부(66)에 의해 안내되면서 프레임(20a)에서 위로 올라간다. 다음에,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휠(65a)이 제 4지지부(64)의 수직 면(640)에 도달할 때, 제 2휠(65b)은 수직면(640)으로부터 분리된다. 나아가서, 케이싱 분리기구(1)의 작동에 의해, 케이싱(2b)이 케이싱(2a)에 더욱 더 가까이 접근하는 연결 과정에서, 제 1휠(65a)은 수직면(640)상에서 위로 올라간다. 이러한 제 1휠(65a)의 상승에 따라, 작업대(6)의 제 1지지부(61)의 일단부는 프레임(20a)에서 더욱 상승한다. 다음에, 케이싱(2a, 2b)이 도 2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연결될 때, 작업대(6)는 제1 지지부(61)의 일단부가 프레임(20a)내에서 제 1휠(65a)을 통해 제 4지지부(64)의 상단부 주위의 수직면(640)에 지지된 상태로 케이싱(2a)에 수용된다.
(배선 덕트(7)의 이동 실시예)
배선 덕트(7) 이동의 실시예가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케이싱(2a, 2b)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상태에 있을 때, 배선 덕트(7)는 배선 파지부(71) 및 보조 배선 파지부(72)가 배선 파지부(71)와 보조배선 파지부(72)의 하부 양측이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서로 마주 보도록 중첩된 상태로 케이싱(2a)에 수용되어 있다.
우선, 케이싱 분리기구(1)의 작동에 의해, 도8의 상태에서 도7의 상태를 경유하여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대(6)의 제 1휠(65a)이 프레임(20a)에서 제 1휠(65a)의 하강에 의해 하부 프레임(21a)상 또는 위에서 제 2지지부(62)에 도달할 때, 케이싱(2a, 2b)이 분리 상태가 된다. 이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선 덕트(7)의 배선 파지부(71)는 케이싱(2a, 2b) 사이에 위치한 작업대(6) 아래에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위치된다. 배선 파지부(71)의 일단 가장자리에 결합된 보조 배선 파지부(72)는 프레임(20a)에 고정된 한 쌍의 걸림 부재(9)에 의해 작업대(6) 아래 역시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위치된다.
이어서, 와이어(8)가 외부로부터 케이싱(2a, 2b)에 도입된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케이싱(2a, 2b)의 경우, 와이어(8)는 케이싱(2a)의 프레임(20a)의 하단부 또는 하단부 주위의 후면부의 개구로부터 도입된다.
다음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대(6)의 작업대 본체(60)와 보조 배선 파지부(72)의 커버(73)가 세워져 있는 상태에서,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8)가 배선 파지부(71)와 보조 배선 파지부(72)상에 평행하게 배치된 상태로, 와이어(8)가 케이싱(2b)에 배치된 전자 기기(도시 생략)에 접속된다. 또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커버(73)는 보조 배선 파지부(72)의 측벽부(721)에 고정 부재(732)에 의해 고정된다. 그 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대(6)의 작업대 본체(60)는 고정 부재(602)에 의해 제 1지지부(61)에 고정된다.
그 후, 도 6에서부터 도 7을 경유하여 도 8을 참조하면, 프레임(20a) 내 작업대(6)의 제 1휠(65a)이 안내부(66)에 의해 상승하여,케이싱 분리기구(1)의 작동에 의해 제 4지지부(64)의 상단 부근에 도달할 때, 케이싱(2a, 2b)이 연결 상태가 된다. 이 때, 배선 덕트(7)는 와이어(8)의 일부가 이 배선 덕트(7)에 수용되면서 케이싱(2a, 2b)에 접혀 수용된다.
(제 1실시예의 효과)
상술한 케이싱(2)에 따르면, 케이싱 분리기구(1)는 레일 이동기구에 의해 레일부(12)가 레일부(11)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고, 역시 레일 이동 기구에 의해 레일부(13)가 레일부(12)로부터 연장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케이싱(2a)과 케이싱(2b)이 분리될 수 있어, 케이싱(2a)과 케이싱(2b) 사이의 유지 보수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특히, 타방의 케이싱(2b)은 타방의 케이싱(2b)의 이동이 진행되는 동안 임의의 위치에서 정지 및 세팅될 수 있다. 따라서, 케이싱(2b)의 이동 동안 안전성을 보장하면서 케이싱(2a)과 케이싱(2b) 사이에 임의의 공간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결과적으로, 전자 장비가 대규모로 케이싱(2a, 2b)에 장착되는 경우에도, 전자 장비의 유지 보수를 위해 케이싱(2b)을 이동시킬 때 작업자 안전이 보장될 수 있다.
또한, 케이싱(2a)과 케이싱(2b)이 분리될 때, 작업대(6)는 케이싱들(2a, 2b) 사이에 놓인다. 따라서, 케이싱(2a, 2b)의 내부의 유지 보수를 수행하는 작업자가 케이싱(2a)과 케이싱(2b) 사이에 작업대를 설치하지 않아도 될 수 있다. 따라서, 케이싱(2a, 2b)의 내부의 유지 보수에서의 안전성 및 작업성(작업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작업대(6)의 제 1지지부(61)가 제 2지지부(62)의 상면에서 이동 가능한 제 1휠(65a)을 가지므로, 작업대(6)를 케이싱(2a, 2b)사이에 놓을 때 및 케이싱(2a, 2b)에 작업대(6)를 수용할 때 케이싱 분리기구(1)의 조작성(작동 용이성)이 개선될 수 있다.
프레임(20a)의 제 4지지부(64)는 제 1휠(65a)이 케이싱(2a, 2b)을 연결하는 과정에서 수직으로 움직여 케이싱들(2a, 2b)이 연결상태에 있을 때 제 1휠(65a)을 통해 제 1지지부(61)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수직면(640)을 갖는다. 따라서, 케이싱(2a, 2b)이 연결 상태에 있을 때 작업대(6)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케이싱(2a, 2b)을 분리할 때 작업대(6)가 프레임(20a)으로부터 효율적으로 인출될 수 있다.
프레임(20a)의 제 1휠(65a)은 케이싱(2a, 2b)을 연결 및 분리하는 과정에서 안내부(66)에 의해 안내되므로, 케이싱(2a, 2b) 내부 및 사이에 작업대(6)를 수용하고 놓을 때의 작업성이 더욱 향상된다.
제 1지지부(61)의 상단부에 제공된 제 2휠(65b)은 케이싱(2a, 2b)을 연결하는 과정에서 제 1휠(65a) 전에(또는 미리) 안내부(66)에 의해 제 4지지부(64)로 안내되기 때문에 케이싱(2a, 2b)을 연결할 때 작업자의 부하가 경감될 수있다.
작업대 본체(60)는 한 쌍의 제 1지지부(61) 중 어느 하나에 탈착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한 쌍의 제 1지지부(61) 중 어느 하나에 작업대 본체(60)를 임의로 세울 수 있다. 결과적으로, 케이싱(2)의 내부의 유지 보수를 수행할 때, 작업자는 케이싱(2)의 설치 환경에 따라 케이싱(2)의 양 측면으로부터 케이싱(2)에 접근할 수 있다.
또한, 배선 덕트(7)가 케이싱(2)의 저부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케이싱(2)의 무게 중심이 케이싱(2)의 하부에 집중되어, 케이싱(2)의 설치 상태의 안정성이 향상된다. 따라서, 케이싱(2)의 구조를 보강할 필요가 없다. 결과적으로, 케이싱 분리 기구(1)의 크기 및 무게 감소(예를 들어, 상부 프레임(22a, 22b)에 제공된 케이싱 분리 기구(1)의 무게 감소)가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와이어(8)를 수용하는 케이싱(2)의 제조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케이싱(2a, 2b)이 연결 상태에 있을 때, 배선 덕트(7)는 케이싱(2a, 2b)에 수용되고, 케이싱(2a, 2b)이 분리 상태에 있을 때, 배선 덕트(7)는 케이싱 사이에 설치되고, 와이어(8)는 작업대(6) 아래의 배선 덕트(7)에 고정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케이싱(2) 내부의 유지 보수를 수행하는 작업 공간이 확보되어 유지 보수의 작업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배선 파지부(71) 외에, 와이어(8)을 더욱 지지하는 보조 배선 파지부(72)가 배선 파지부(71)의 일단부 가장자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와이어(8)는 케이싱(2)에 보다 안정적으로 파지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측벽부(721)는 보조 배선 파지부(72)의 파지 본체(720)의 양단부에 세워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케이싱(2)에 도입된 배선(8)을 확실하게 파지할 수 있다.
파지 본체(720)에 의해 파지되는 와이어(8)를 보호하기 위한 커버(73)는 한 쌍의 측벽부(721)중 어느 하나에 탈착될 수 있도록 한 쌍의 측벽부(721)중 하나에 제공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한 쌍의 측벽부(721)중 어느 하나에 커버(73)를 임의로 설치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와이어(8)의 유지 보수를 수행할 때, 작업자는 케이싱(2)의 설치 환경에 따라 케이싱(2)의 양측으로부터 케이싱(2)에 접근할 수 있다.
케이싱(2a, 2b)이 분리 상태에 있을 때, 배선 덕트(7)의 보조 배선 파지부(72)(특히 파지본체(720))가 걸림 부재(9)에 의해 프레임(20a)에 수평으로 유지되기 때문에, 와이어(8)는 더 안정적으로 파지된다.
한편, 케이싱(2a, 2b)을 연결 및 분리하는 과정에서, 걸림 부재(9)는 보조 배선 파지부(72)의 일단부 가장자리(특히, 파지 본체(720)의 일단부 가장자리)가 프레임(20a)으로부터 돌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배선 덕트(7)가 케이싱(2)의 하부에 구비되더라도, 지장없이 케이싱(2a, 2b)의 연결 및 분리를 수행할 수 있다.
[제 2실시예]
도 1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케이싱 분리기구(1)는 하나의 케이싱(2a)의 하부 프레임(21a)과 레일부(11) 사이에 개재되는 제 1경사 흡수 부재(5a)에 의해 레일부(11)의 경사를 흡수하는 제 1경사 흡수 부재(5a)를 더 구비한다. 케이싱 분리기구(1)는 타방의 케이싱(2b)의 하부 프레임(21b)과 레일부(13) 사이에 개재되는 제 2경사 흡수 부재(5b)에 의해 레일부(13)의 경사를 흡수하는 제 2경사 흡수 부재(5b)를 더 구비한다.
제 1경사 흡수 부재(5a)는 하나의 케이싱(2a)의 하부 프레임(21a)과 평행 연결 부재(31) 사이에 개재된 상태로 볼트(51) 및 너트(52)로 고정된다. 한편, 제 2경사 흡수 부재(5b)는 타방의 케이싱(2b)의 하부 프레임(21b)과 평행 연결 부재(32) 사이에 개재된 상태로 볼트(51) 및 너트(52)로 고정된다.
케이싱 분리기구(1)가 상부 프레임(22a, 22b)에 설치된 경우, 제 1경사 흡수 부재(5a)는 하나의 케이싱(2a)의 상부 프레임(22a)과 레일부(11) 사이에 배치된다. 한편, 제 2경사 흡수 부재(5b)는 타방의 케이싱(2b)의 상부 프레임(22b)과 레일부(13) 사이에 배치된다.
제 1경사 흡수 부재(5a) 및 제 2경사 흡수 부재(5b)로서, EPDM, 실리콘 고무, 우레탄 고무 등으로 제조된 고무 와셔(탄성 와셔) 및 강으로 만들어진 판 스프링, 코일 스프링 및 힌지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케이싱 분리기구(1)에 따르면, 케이싱(2a, 2b)의 하부 프레임(21a, 21b) 및 상부 프레임(22a, 22b)에서 레일부(11)의 경사와 레일부(13)의 경사가 제 1경사 흡수 부재(5a) 및 제 2경사 흡수 부재(5b)에 의해 각각 흡수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케이싱 분리 기구(1)에 따르면, 제 1실시예의 효과에 더하여, 케이싱(2b)을 이동할 때 더 큰 안정성이 보장될 수 있다. 또한, 이 구조에 의하면, 건물 바닥의 경사 또는 뒤틀림에 영향을 받지 않고, 케이싱(2a)과 케이싱(2b)의 분리 및 연결 작업을 보다 안정된 상태에서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
[제 3실시예]
본 발명은 상기 제 1및 제 2실시예에 국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청구 범위내에서 케이싱(2)의 위치 조건에 따라 변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예를 들어, 다음 형태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제 1실시예 또는 제 2실시예의 케이싱 분리기구(1)가 제 3의 레일부인 레일부(12)가 구비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의 케이싱 분리기구(1)는 한 쌍의 케이싱(2)의 하나의 케이싱(2a)의 하부 프레임(21a)에 상기 하부 프레임(21a)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 한 쌍의 레일부(11), 한 쌍의 케이싱(2)의 타방의 케이싱(2b)의 하부 프레임(21b)에 상기 하부 프레임(21b)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레일부(11)의 일단부로부터 연장될 수 있도록 레일부(11)내에 수용된 한 쌍의 레일부(13), 및 레일부(13)의 이동과정중에 레일부(13)를 정지시킬 수 있도록 레일부(13)를 레일부(11)의 일단부로부터 연장시키고 레일부(13)를 레일부(11) 내에(또는 안으로) 수용(또는 후퇴)시키는 레일 이동기구를 구비한다. 이 형태도 역시 본 발명의 일형태이다.
레일 이동 기구는 케이싱(2b)의 하부 프레임(21b)에 설치되어 한 쌍의 레일부(13)를 평행하게 연결 또는 고정하는 평행 연결 부재(32), 및 상기 평행 연결부재(32)에 구비되어 레일부(13)의 이동과정중에 레일부(13)를 정지시킬 수 있도록 레일부(13)를 레일부(11)의 일단으로부터 연장시키고 레일부(13)를 레일부(11) 내에(또는 안으로) 수용(또는 후퇴)시키는 제1구동기구를 구비한다.
제 1구동기구는 한 쌍의 레일부(13)사이에 배치되는 회전축(15), 회전축(15)이 나사 결합되는 지지부(42), 및 평행 연결부재(32)의 전방측 일정부위에 구비되어 회전축(15)의 일단부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43)를 구비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케이싱 분리 기구(1)은 케이싱(2a 및 2b)의 상부 프레임(22a 및 22b)에 설치되고, 제 1및 제 2실시예와 동일한 방식으로, 레일 이동 기구는 상부 프레임(22a,22b)에 제공되지 않는다. 또한, 케이싱(2a, 2b)의 크기 또는 규모에 따라, 레일 이동 기구는 상부 프레임(22a, 22b) 및 하부 프레임(21a, 21b)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에 제공된다.
제 3실시예의 케이싱 분리기구(1)는 제 1실시예 및 제 2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은 명백하다.
[산업상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의 케이싱 분리기구(1)는 예를 들어 전기 기기용 제어 스위치 보드, 컴퓨터를 수용하기 위한 제어 콘솔 또는 제어 보드 등에 사용될 수 있다.

Claims (11)

  1. 케이싱이 연결 상태에 있을 때 한 쌍의 케이싱에 수용되고, 케이싱이 분리 상태에 있을 때 상기 한 쌍의 케이싱 사이에서 수평으로 지지되는 작업대 본체; 케이싱이 분리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작업대 본체를 수평으로 지지하는 한 쌍의 제 1지지부; 상기 한 쌍의 케이싱중 하나의 케이싱의 프레임에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작업대 본체가 수평상태에 있을 때 상기 제 1지지부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한 쌍의 제 2지지부; 및 타방의 케이싱의 프레임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한쌍의 케이싱의 타방의 케이싱의 프레임에 평행으로 배열되는 한쌍의 제3지지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지지부의 타단부는 상기 제3지지부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작업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지부의 일단부에는 상기 제 2지지부의 상면에서 이동할 수 있는 제 1 휠이 구비되고, 상기 제 1 휠은 상기 작업대 본체가 수평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제 2지지부의 상면에서 상기 제 1지지부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대.
  3. 제2항에 있어서,
    하나의 케이싱의 프레임에 배열되며, 각각이 상기 제1휠이 상기 한쌍의 케이싱이 연결되는 과정에서 수직으로 움직여서 상기 케이싱들이 연결상태에 있을 때 상기 제1휠을 통하여 상기 제1지지부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수직면을 가지는 한 쌍의 제 4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작업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케이싱의 프레임에 구비되어, 상기 한 쌍의 케이싱이 연결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2지지부부터 상기 제4지지부까지 상기 제1휠을 안내하는 한 쌍의 안내부를 더 포함하는 작업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는 각각 그 상단부에 상기 한쌍의 케이싱이 연결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1휠 전에 상기 안내부에 의해 상기 제 4지지부로 안내되는 제 2휠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대.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대 본체는 상기 한 쌍의 제 1지지부 중 어느 하나에 탈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대.
  7. 케이싱이 연결 상태에 있을 때 한 쌍의 케이싱에 수용되고, 케이싱이 분리 상태에 있을 때 상기 한 쌍의 케이싱 사이에 놓이는 작업대; 및 상기 케이싱들이 연결 상태에 있을 때 상기 한 쌍의 케이싱에 수용되고, 상기 케이싱들이 분리 상태에 있을 때 상기 한쌍의 케이싱사이에 놓여져, 상기 케이싱들내에 도입되는 와이어를 상기 작업대 아래에 파지하는 배선파지부;로 이루어지는 배선덕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파지부의 일단부 가장자리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와이어를 추가로 파지하는 보조 배선 파지부를 더 포함하는 배선덕트.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배선 파지부는 상기 와이어를 파지하는 파지 본체; 및 상기 파지 본체의 양 가장자리에 기립되도록 형성된 한 쌍의 측벽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덕트.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측벽부중 어느하나에 탈착가능하게 상기 한 쌍의 측벽부중 어느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파지 본체에 의해 파지되는 상기와이어를 보호하기 위한 커버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 덕트.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케이싱이 분리 상태에 있을 때 상기 파지 본체를 수평으로 파지하고, 상기 케이싱들이 연결 및 분리되는 과정에서 상기 한 쌍의 케이싱중 하나의 케이싱의 프레임으로부터 돌출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파지 본체의 일단부 가장자리를 걸고 지지하는 걸림 부재가 상기 하나의 케이싱의 프레임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덕트.
KR1020197035921A 2017-05-19 2018-03-06 작업대 및 배선 덕트 KR1020991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100094 2017-05-19
JPJP-P-2017-100092 2017-05-19
JP2017100092A JP6356312B1 (ja) 2017-05-19 2017-05-19 作業台
JP2017100094A JP6356313B1 (ja) 2017-05-19 2017-05-19 配線ダクト
PCT/JP2018/008505 WO2018211786A1 (ja) 2017-05-19 2018-03-06 作業台及び配線ダク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9317A KR20190139317A (ko) 2019-12-17
KR102099198B1 true KR102099198B1 (ko) 2020-04-09

Family

ID=64273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5921A KR102099198B1 (ko) 2017-05-19 2018-03-06 작업대 및 배선 덕트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089711B2 (ko)
KR (1) KR102099198B1 (ko)
WO (1) WO201821178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54161A1 (en) * 2020-01-31 2021-08-05 Sajchwong Apichart 19-inch symmetrical wall-mounted 2-piece cabinet
CN112260071A (zh) * 2020-10-12 2021-01-22 林惠能 一种电力设备故障信号监测装置及方法
CN114007366B (zh) * 2021-11-09 2023-03-07 信通达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智慧数据中心机房及其使用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76275A (ja) 2000-12-06 2002-06-21 Uchida Yoko Co Ltd Oa機器積載装置
JP2005268458A (ja) 2004-03-18 2005-09-29 Oki Electric Ind Co Ltd ラック備え付け用作業台
KR101328125B1 (ko) 2013-04-09 2013-11-08 (주) 태성이엔지 부품 실장 및 보호 케이스
WO2015025489A1 (ja) 2013-08-23 2015-02-26 三菱電機株式会社 ケーブルダクト内蔵型電気機器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579A (en) * 1868-03-17 Improved exteision-waedeobe
US976339A (en) * 1909-12-01 1910-11-22 Charles Billburg Trunk.
US2004896A (en) * 1933-03-25 1935-06-11 Knott George Albert Folding furniture
US3335326A (en) * 1965-05-17 1967-08-08 Gen Electric Electrical cable support
US3710199A (en) * 1971-09-09 1973-01-09 Raytheon Co Interchassis cable carrier
JPS5397531U (ko) 1977-01-11 1978-08-08
JPS55110513A (en) 1979-02-20 1980-08-2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Table device of bench
JPS6045524B2 (ja) 1982-08-31 1985-10-09 松下電工株式会社 キヤビネツト
JPS60140438U (ja) 1984-02-29 1985-09-17 株式会社 駿河 スライドラツク
EP0253170B1 (de) * 1986-06-28 1992-12-16 Licentia Patent-Verwaltungs-GmbH Kontaktanordnung für einschiebbare Leistungsschalter
US5401095A (en) * 1991-08-23 1995-03-28 Williams; Kenneth J. Space master cabinet system
US5443312A (en) * 1994-04-07 1995-08-22 Schluter; Robert J. Rack assembly for facilitating access to wall and cabinet-mounted serviceable equipment
JP3594992B2 (ja) 1994-05-16 2004-12-02 日本フォームサービス株式会社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の多段収納載置装置
JPH11145631A (ja) 1997-11-12 1999-05-28 Hoshino Shoji Kk スライドベースユニット
US6318824B1 (en) * 1998-10-29 2001-11-20 Lucent Technologies, Inc. Hinged tracking system
US6076906A (en) * 1999-02-08 2000-06-20 Royal; Keith Entertainment center for storing electronic components
JP2002176277A (ja) 2000-12-06 2002-06-21 Chuo Electronics Co Ltd スライド台座
US6501020B2 (en) * 2001-01-15 2002-12-31 Chatsworth Products, Inc. Electrical equipment and cable support assembly
JP2003124656A (ja) 2001-10-09 2003-04-25 Kawamura Electric Inc キャビネットラックのケーブル収納構造
US7042732B2 (en) * 2003-12-29 2006-05-09 Kuo-Chuan Hung Flexible and rotatable wall-hanging operation box
JP3107053U (ja) 2004-08-05 2005-01-27 株式会社タカハラ 収納ラック
US7277273B2 (en) * 2004-09-23 2007-10-02 Special Product Company Equipment cabinet providing full access to equipment housed therein
CN100462895C (zh) * 2005-09-05 2009-02-18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刀片式服务器背板测试治具
TWM449433U (zh) * 2012-06-20 2013-03-21 Echostreams Innovative Solutions 理線固定架及其殼小節
US9835235B2 (en) * 2013-03-13 2017-12-05 Asco Power Technologies, L.P. Lead screw operated rack-in mechanism
WO2016070280A1 (en) * 2014-11-06 2016-05-12 Cinnos Technologies, Inc. Smart mission critical rack
US9578779B2 (en) * 2015-04-16 2017-02-21 Sandisk Technologies Llc Front rack cable management system and apparatus
CN106951036B (zh) * 2016-01-07 2020-09-01 纬创资通(中山)有限公司 电子模块及电子设备
WO2017203771A1 (ja) * 2016-05-24 2017-11-30 株式会社明電舎 筐体分離機構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76275A (ja) 2000-12-06 2002-06-21 Uchida Yoko Co Ltd Oa機器積載装置
JP2005268458A (ja) 2004-03-18 2005-09-29 Oki Electric Ind Co Ltd ラック備え付け用作業台
KR101328125B1 (ko) 2013-04-09 2013-11-08 (주) 태성이엔지 부품 실장 및 보호 케이스
WO2015025489A1 (ja) 2013-08-23 2015-02-26 三菱電機株式会社 ケーブルダクト内蔵型電気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9317A (ko) 2019-12-17
WO2018211786A1 (ja) 2018-11-22
US11089711B2 (en) 2021-08-10
US20200413561A1 (en) 2020-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9198B1 (ko) 작업대 및 배선 덕트
JP2012024922A (ja) ロボット
KR101071408B1 (ko) 전력장치의 배전반용 배전함
KR102050453B1 (ko) 케이싱 분리 기구
JP2015019482A (ja) 高所作業車および高所作業車による装柱工法
JP6422570B2 (ja) 機械室レスエレベータ
US20180056462A1 (en) Conveyance jig for separate type control panel
KR20090009685A (ko) 엘리베이터의 설치 방법, 및 그것에 이용하는 캠 장치 및리미트 스위치
CN110723154B (zh) 一种地铁屏蔽门辅助安装装置
KR200484260Y1 (ko) 선박용 바닥 구조물
CN216503033U (zh) 一种用于电梯侧壁板件的双工位自转式焊接设备
JP6356312B1 (ja) 作業台
JP6356313B1 (ja) 配線ダクト
KR20130000704A (ko) 진동 방지형 곤돌라 시스템
JP2014013661A (ja) 車両用バッテリパックの製造方法
WO2019155605A1 (ja) エレベーター用作業台及びエレベーター
KR101995901B1 (ko) 하이픽스보드의 운반 및 설치 장치
KR20130001233U (ko) 케이블 지지대
KR20170002527U (ko) 가스충전장비 이동장치
KR101784856B1 (ko) 선박의 갑판에 장착되는 간이구조물
US9968974B2 (en) Assembly and method for removing a robot from an enclosure
CN219535313U (zh) 一种调试柜连接结构
KR20160113871A (ko) 케이블 안내장치
KR101701923B1 (ko) 전선 거치 로프
CN215622020U (zh) 基于无线电技术的铁路施工防护系统用安全员监管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