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0453B1 - 케이싱 분리 기구 - Google Patents

케이싱 분리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0453B1
KR102050453B1 KR1020187034694A KR20187034694A KR102050453B1 KR 102050453 B1 KR102050453 B1 KR 102050453B1 KR 1020187034694 A KR1020187034694 A KR 1020187034694A KR 20187034694 A KR20187034694 A KR 20187034694A KR 102050453 B1 KR102050453 B1 KR 1020504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casing
pair
rail portion
connection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46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2639A (ko
Inventor
오카자키 노부오
코다마 아키히코
미와 마코토
이케다 시게노리
키지마 요시오
Original Assignee
메이덴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6103787A external-priority patent/JP6158988B1/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6103785A external-priority patent/JP6197068B1/ja
Application filed by 메이덴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메이덴샤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900026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26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04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04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8Construction of rack or frame
    • H05K7/183Construction of rack or frame support rails therefo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0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s on the outside of casing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05K5/0234Feet; Stands; Pedestals, e.g. wheels for moving casing on floo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8Construction of rack or fr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전자 기기의 유지 관리를 위해 전자 기기를 수용하는 케이싱을 이동시킬 때 케이싱의 안정성이 유지되고 안전이 보장된다. 케이싱 분리기구(1)는 한 쌍의 케이싱(2a, 2b)을 분리하고 연결한다. 한 쌍의 레일부(11)가 하나의 케이싱(2a)의 하부 프레임(21a)에 그로부터 길게 돌출된 형태로 구비된다. 한 쌍의 레일부(12)는 레일부(11)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고 레일부(11)내로 인입되면서 레일 이동기구에 의해 레일부(12)의 이동 중에 정지할 수 있도록 된다. 한 쌍의 레일부(13)는 프레임(21b)으로부터 길게 돌출된 형태로 다른 케이싱(2b)의 하부 프레임(21b)에 설치되고, 레일부(12)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고 레일부(12) 내로 인입되면서 레일 이동기구에 의해 이동 중에 정지할 수 있도록 된다.

Description

케이싱 분리 기구
본 발명은 전자 기기를 수용하는 한 쌍의 케이싱을 분리 및 접속할 수 있는 분리기구에 관한 것이다.
전자 기기를 수용하는 케이싱으로서, 케이싱이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내지 3에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케이싱은, 케이싱 본체로부터 전자 기기를 인출하여 전자 기기의 보수를 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특허 문헌 2 및 3에 개시된 케이싱은 케이싱 본체를 건물의 벽면으로부터 이동시킴으로써 케이싱 본체와 건축 벽면 사이에 보수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특허 문헌 1: 일본국 특허 공개 공보 제 평 7-307586호 특허 문헌 2: 일본국 특허 공개 공보 제 평 11-145631호 특허 문헌 3: 일본국 특허 공개 공보 제2002-176277호
종래의 케이스의 경우, 전자 기기가 케이싱 본체에 대규모로 장착된 상태에서, 전자 기기의 유지 보수를 위해 케이싱 본체를 움직일 때, 케이싱 본체가 불안정해질 수 있고, 적절한 안전성이 보장될 수 없다.
또한, 종래 기술의 케이싱의 경우, 전자 기기가 케이싱 본체에 대규모로 장착된 상태에서, 전자 기기의 유지 보수를 위해 케이싱 본체를 움직일 때, 안정된 상태로의 케이싱 본체의 원활한 이동이 건물 바닥의 경사나 뒤틀림(또는 휘어짐)의 영향을 받아 불가능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르면, 내부에 전자 기기를 수용하는 한 쌍의 케이싱의 케이싱 분리기구는, 한 쌍의 케이싱중 하나의 케이싱의 프레임으로부터 길게 돌출되어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는 한 쌍의 제 1레일부; 상기 한 쌍의 케이싱중 다른 케이싱의 프레임으로부터 길게 돌출되게 설치되어 상기 한 쌍의 제 1레일부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는 상태로 상기 제 1레일부에 수용되는 한쌍의 제 2레일부; 및 상기 제 1레일부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제 2레일부를 연장시키고, 상기 제2 레일부의 이동과정중에 상기 제 2레일부를 정지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 2레일부를 상기 제 1레일부에 수용시키는 레일 이동 기구;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르면, 상기 케이싱 분리기구는, 상기 제 1레일부에 상기 제 1레일부의 일단으로부터 연장 가능하게 수용되는 한 쌍의 제 3레일부; 상기 한 쌍의 제 3레일부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제 2레일부를 연장시키고, 상기 제 2레일부의 이동과정중에 상기 제 2레일부를 정지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 3레일부에 상기 제 2레일부를 수용하는 레일 이동기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에 따르면, 상기 레일 이동기구는, 상기 다른 케이싱의 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제 2레일부를 서로 평행하게 연결하는 제 1병렬 연결 부재; 및 상기 제 1병렬 연결 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제 1레일부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제 2레일부를 연장시키고, 상기 제 2레일부의 이동과정중에 상기 제 2레일부를 정지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 1레일부에 상기 제 2레일부를 수용하는 제 1구동기구;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에 따르면, 상기 제 1구동기구는, 상기 한 쌍의 제 2레일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 1회전축; 상기 제 1회전축이 나사 결합되는 제 1지지부; 및 상기 제 1병렬 연결 부재의 전방측 일정 부위에 설치되어 상기 제 1회전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 2지지부;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에 따르면, 상기 레일 이동기구는, 상기 한 쌍의 제 1레일부를 서로 평행하게 연결하는 제 2병렬 연결 부재; 및 상기 제 2병렬 연결 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제 1레일부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제 3레일부를 연장시켜, 상기 제 3레일부의 이동과정중에 상기 제 3레일부를 정지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 3레일부를 상기 제 1레일부에 수용하는 제 2구동기구;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에 따르면, 상기 제 2구동기구는, 상기 한 쌍의 제 3레일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 1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 2회전축; 및 상기 제 2병렬 연결 부재의 전방 측 일정부위에 구비되고 상기 제 2회전축이 나사 결합되는 제 3지지부를 가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에 따르면, 상기 케이싱 분리기구는 상기 한 쌍의 제 2레일부와 평행하게 상기 제 1지지부를 안내하는 안내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에 따르면, 상기 제 1회전축 및 상기 제 2회전축 중 적어도 하나에는 그 선단부에 상기 제 1회전축 및 상기 제 2회전축 중 적어도 하나를 회전시키는 공구 회전축의 일단부가 끼워지는 공구 수용부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에 따르면, 상기 다른 케이싱의 프레임은 휠을 가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에 따르면, 상기 케이싱 분리기구는, 상기 하나의 케이싱의 프레임과 상기 제 1레일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 1레일부의 경사를 흡수하는 제 1경사 흡수 부재; 및 상기 다른 케이싱의 프레임과 제 2레일부의 사이에 개재되어 제 2레일부의 경사를 흡수하는 제 2경사 흡수 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에 따르면, 상기 케이싱 분리기구는 상기 한 쌍의 케이싱의 하부 프레임 및 상부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된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내부에 전자 기기를 수용하는 케이싱을 유지보수를 위해 이동시킬 때에 케이싱의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고 안전이 확보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 분리기구는 제 1 및 제 2경사 흡수 부재를 가진다. 따라서, 상기 효과에 덧붙여, 전자 기기의 유지 보수를 위해 전자 기기를 수용하는 케이싱을 이동시킬 때, 케이싱을 안정된 상태로 원활하게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케이싱 분리기구를 갖는 케이싱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상부 커버, 측면 커버 및 케이싱의 바닥에 가깝게 위치한 전방 커버가 제거된 케이싱의 사시도이다.
도 3a는 제 2레일부 및 제 3레일부가 수용 또는 인입된 상태를 보여주는 케이싱 분리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3b는 제 3레일부가 연장된 상태를 도시하는 케이싱 분리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3c는 제 2레일부 및 제 3레일부가 연장된 상태를 도시하는 케이싱 분리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4a는 제 2레일부 및 제 3레일부가 수용 또는 인입된 상태를 도시하는 케이싱 분리기구의 평면도이다.
도 4b는 제 2레일부 및 제 3레일부가 연장된 상태를 도시하는 케이싱 분리기구의 평면도이다.
도 4c는 케이싱 분리기구의 측면도이다.
도 4d는 케이싱 분리기구의 정면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케이싱 분리기구의 평면도이다.
도 5b는 도 5a의 선 A-A를 따른 단면도이다.
도 6a는 제 1경사 흡수 부재의 배치를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6b는 제 2경사 흡수 부재의 배치를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설명되어질 것이다.
[제 1실시예]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케이싱 분리기구(1)는 전자 기기(도시되지 않음)를 둘러싸거나 수용하는 한 쌍의 케이싱(2)의 하나의 케이싱(2a)과 다른 케이싱(2b)을 분리하고 연결하는 기구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싱 분리기구(1)는 케이싱(2a, 2b)의 프레임들, 보다 구체적으로는 케이싱(2a, 2b)의 하부 프레임(21a, 21b) 및 상부 프레임(22a, 22b)에 장치된다.
하부 프레임(21a, 21b)에 설치된 케이싱 분리기구(1)는 한 쌍의 레일부(11), 한 쌍의 레일부(12) 및 한 쌍의 레일부(13)를 갖는다. 또한, 상기 케이싱 분리기구(1)는 레일부(12) 및 레일부(13)를 레일부(11)의 일단 및 레일부(12)의 일단으로부터 각각 연장시키고, 레일부(12) 및 레일부(13)를 레일부(11) 및 레일부(12)내로 각각 수용(또는 인입)시키는 레일 이동기구를 갖는다.
상부 프레임(22a, 22b)에 설치된 케이싱 분리기구(1)는, 레일 이동기구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하부 프레임(21a, 21b)에 설치된 케이싱 분리기구(1)와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 여기서, 레일 이동기구는 하부 프레임(21a, 21b)에 설치되어 있지만, 케이싱(2a, 2b)의 규모나 크기에 따라서, 상부 프레임(22a, 22b)이나 하부 프레임(21a, 21b)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에 설치될 수 있다.
(레일 이동기구의 일례)
레일 이동기구는 레일부(12)를 레일부(11)의 일단부로부터 연장시킴으로써 연결 상태에 있는 케이싱(2a, 2b)을 분리한다.
레일 이동기구는, 한 쌍의 레일부(11)를 평행하게 연결 또는 고정하는 병렬 연결 부재(31)와, 상기 병렬 연결 부재(31)에 설치된 본 발명의 제 2구동기구에 상응하는 구동기구(이하, 제 2구동기구라고 함)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구동기구는 레일부(12)를 레일부(11)의 일단부로부터 연장시키고 레일부(12)의 이동이 진행되는 동안 레일부(12)를 멈추게 할 수 있도록 레일부(12)를 레일부(11)내에 수용(또는 인입)시킨다.
레일 이동기구는 레일부(12)를 레일부(11)의 일단부로부터 연장시킴으로써 연결 상태에 있는 케이싱(2a, 2b)을 분리한다.
레일 이동기구는, 한 쌍의 레일부(13)를 평행하게 연결 또는 고정하는 병렬 연결 부재(32)와, 상기 병렬 연결 부재(32)에 설치된 본 발명의 제 1구동기구에 상응하는 구동기구(이하, 제 1구동기구라고 함)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구동기구는 레일부(13)를 레일부(12)의 일단부로부터 연장시키고 레일부(13)의 이동이 진행되는 동안 레일부(13)를 멈추게 할 수 있도록 레일부(13)를 레일부(12)내에 수용(또는 인입)시킨다.
(제 1구동기구 및 제 2구동기구의 일례)
제 2구동기구는 한 쌍의 레일부(12) 사이에 배치된 회전축(14)과, 병렬 연결 부재(31)의 전방측 일정부위에 구비되고 상기 회전축(14)이 나사 결합되는 지지부(41)를 갖는다.
제 1구동기구는 한 쌍의 레일부(13) 사이에 배치된 회전축(15)과, 회전축(14)의 일단측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회전축(15)이 나사 결합되는 지지부(42)와, 병렬 연결 부재(32)의 전방측 일정부위에 구비되고 회전축(15)의 일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43)를 갖는다.
회전축(14) 및 회전축(15)의 일예로서, 예를 들어 지지부(41) 및 지지부(42)에 각각 베어링으로서 적용되는 너트에 나사결합되는 볼트가 적용된다.
회전축(14) 및 회전축(15)의 정면단부에는 회전축(14) 및 회전축(15)을 회전시키기 위한 공구의 회전축의 일단부가 끼워지는 공구 수용부(16, 17)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공구 수용부(16, 17)의 일 형태로서, 공구의 회전축의 형상이 다각 기둥(예를 들면, 육각 기둥)인 경우에는, 공구의 회전축이 끼워지는 다각형의 구멍(예를 들면 육각 구멍)을 가지는 나사 헤드이다. 그리고, 이 나사 헤드는 회전축(14) 및 회전축(15)의 각 단부에 고정된다.
지지부(41) 및 지지부(42)는 각각 회전축(14) 및 회전축(15)이 나사결합하는 베어링을 갖는다. 베어링은, 예를 들면, 회전축(14) 및 회전축(15)에 적용되는 볼트가 나사 결합되는 너트이다.
여기서, 제 1구동기구 및 제 2구동기구는, 제 1구동기구 및 제 2구동기구가 레일부(12) 및 레일부(13)를 전후로 움직여서 레일부(12) 및 레일부(13)의 이동이 진행되는 동안 레일부(12) 및 레일부(13)를 정지시킬 수 있다면 상기 예에 국한되지 않는다. 즉, 제 1구동기구 및 제 2구동기구의 다른 형태로서, 회전축(14) 및 회전축(15) 대신에, 예를 들어 공기 실린더 및 유압 실린더가 사용될 수 있다. 이들 각각은 본 발명의 제 1구동기구 및 제 2구동기구의 일 형태이다.
(레일부(11), 레일부(12) 및 레일부(13)의 일예)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부(11)는 한 쌍의 케이싱(2) 중 하나의 케이싱(2a)의 하부 프레임(21a)으로부터 한 쌍으로 돌출되어 설치된다.
각 레일부(12)는 레일부(11)의 일단부로부터 연장되고 레일부(11) 내로 인입가능하게 구성되어 레일 이동기구에 의해(회전축(14)의 회전에 의해) 레일부(12)의 이동 진행 중에 정지 할 수 있다.
한 쌍의 케이싱(2) 중 다른 케이싱(2b)의 하부 프레임(21b)에는, 하부 프레임(21b)으로부터 돌출하는 한 쌍의 레일부(13)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각 레일부(13)는 레일부(12)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고 레일부(12)내로 인입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레일 이동기구에 의해(회전축(15)의 회전에 의해) 이동중에 정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하부 프레임(21b)의 하부면의 네 모서리에는 휠(23)이 제공된다.
한 쌍의 케이싱(2a, 2b)을 연결 또는 결합할 때 병렬 연결 부재(31)는 다른 케이싱(2b)에 수용되도록 레일부(11)의 상면에 위치되고 고정된다.
한편, 병렬 연결 부재(32)는 상기 다른 케이싱(2b)에 수용된 상태에서 레일부(13)의 하면에 위치되고 고정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 분리기구(1)가 상부 프레임(22a, 22b)에 설치된 경우, 레일부(11)는 한 쌍의 케이싱(2) 중 하나의 케이싱(2a)의 상부 프레임(22a)에 길게 돌출되어 나오는 형태로 쌍으로 구비된다. 한편, 한 쌍의 케이싱(2) 중 다른 케이싱(2b)의 상부 프레임(22b)에는, 상부 프레임(22b)으로부터 길게 돌출하여 나오는 한 쌍의 레일부(13)가 설치되어 있다.
(병렬 연결 부재(31)의 일례)
병렬 연결 부재(31)는 강재로 만들어지며, 직사각형 판 형상을 갖는다. 병렬 연결 부재(31)의 몸체에는 원형의 개구부(33)가 복수개 구비되어 무게를 줄이는 역할을 한다.
제 2구동기구의 지지부(41)는 병렬 연결 부재(31)의 전방 측 부분(본 실시예에서는 병렬 연결 부재(31)의 하면측의 전방 부분)에 고정되어 있다.
병렬 연결 부재(31)의 하면에는 레일부(12)가 레일부(11)에 수용될 때 회전축(14)을 수평으로 지지하는 수평 지지부(34)가 구비되어 있다.
병렬 연결 부재(31)가 레일부(11)를 등간격으로 평행하게 배열할 수 있는 한, 병렬 연결 부재(31)의 구조 또는 구성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병렬 연결 부재(31)의 다른 예로서, 예를 들어 H형 직사각형 판 구조체, 횡장 직사각형 판 구조체 및 복수의 횡장 직사각형 판들을 가지는 덕크보드(duckboard)형 구조체가 사용될 수 있다.
(병렬 연결 부재(32)의 일례)
또한, 병렬 연결 부재(32)는 강재로 만들어지며, 직사각형 판 형상을 갖는다. 마찬가지로, 복수의 원형 개구부(33)가 병렬 연결 부재(32)의 몸체에 배열 배치되어 무게 감소를 달성한다.
제 1구동기구의 지지부(42)는 한 쌍의 레일부(13)와 평행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병렬 연결 부재(32)의 상면 위에 설치된다.
제 1구동기구의 지지부(43)는 병렬 연결 부재(32)의 전방 측 부분(본 실시예에서는 병렬 연결 부재(32)의 상면측의 전방 부분)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병렬 연결 부재(32)의 상면에는 지지부(42)를 한 쌍의 레일부(13)와 평행하게 안내하는 가이드부(44)가 설치되어 있다.
병렬 연결 부재(32)가 레일부(13)를 등간격으로 평행하게 배열할 수 있는 한, 병렬 연결 부재(32)의 구조 또는 배치는 상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병렬 연결 부재(32)의 다른 예로서, 예를 들어 H형 직사각형 판 구조체, 횡장 직사각형 판 구조체 및 복수의 횡장 직사각형 판들을 가지는 덕크보드(duckboard)형 구조체가 사용될 수 있다.
(케이싱 분리기구(1)의 동작의 예)
케이싱 분리기구(1)의 동작예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우선, 케이싱(2a)과 케이싱(2b)을 분리할 때의 케이싱 분리기구(1)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케이싱(2a)과 케이싱(2b)이 연결 상태에 있을 때, 도 3a 및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부(12)는 레일부(11)에 수용되고, 레일부(13)는 레일부(12)에 수용된다. 여기서, 도 1에 도시된 하부 프레임(21b)의 하부 전방 커버(24)를 제거할 때,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프레임(21b)의 전방 하부 단부로부터 회전축(14) 및 회전축(15)의 공구 수용부(16, 17)가 노출되어진다.
다음에, 도 3a에 도시된 회전축(14)의 공구 수용부(16)에 공구의 회전축의 선단부를 끼워 넣고, 회전축(14)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회전축(14)이 지지부(41) 밖으로 지지부(41)의 전방측까지 나온다. 이때,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부(12)는 레일부(11)의 전방측 단부로부터 연장되고, 또한 상부 프레임(22a, 22b) 측에서, 레일부(12)가 레일부(11)의 일단부로부터 연장된다. 이 동작에 의해 하부 프레임(21b)의 휠(23)은 케이싱(2)의 전방 방향으로 플로어상에서 전동한다. 그리고, 회전축(14)의 일단부 스토퍼가 지지부(41)에 접촉하면, 케이싱(2b)은 케이싱(2)의 전방 방향으로 케이싱(2a)으로부터 레일부(12)의 연장 거리만큼 이격된다.
다음으로, 케이싱(2a)과 케이싱(2b) 사이의 공간을 더 확보하려고 할 때는, 공구의 회전축의 선단을 회전축(15)의 공구 수용부(17)에 끼워 넣어 회전축(15)을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회전축(15)은 지지부(42)의 전방측으로 지지부(42)로부터 빠져나온다. 이때, 도 3c, 도 4b 및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부(13)는 레일부(12)의 전방측 단부로부터 연장되고 또한 상부 프레임(22a, 22b) 측에서는 레일부(13)가 레일부(12)의 일단부로부터 연장된다. 이 이동에 따라, 하부 프레임(21b)의 휠(23)은 케이싱(2)의 전방 방향으로 바닥에서 전동한다. 그리고, 회전축(15)의 후방 단부의 스토퍼가 지지부(42)에 접촉하면, 케이싱(2b)은 케이싱(2)의 전방 방향으로 케이싱(2a)으로부터 레일부(12)와 레일부(13)의 연장거리만큼 더 분리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2a)과 케이싱(2b)이 서로 분리된 상태에서, 케이싱(2a)과 케이싱(2b) 사이에 보수공간이 확보된다. 이어서, 예를 들어, 전자 부품으로서의 단자대가 케이싱(2a) 내에 수용되고, 전자 기기(도시되지 않음)가 케이싱(2b) 내에 수용된다. 다음에, 작업자가 케이싱(2a)과 케이싱(2b) 사이에서 배선을 행함으로써, 단자대와 전자 기기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다음에, 케이싱(2a)과 케이싱(2b)을 접속할 때의 케이싱 분리기구(1)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배선의 실행이 완료되면, 케이싱(2a)과 케이싱(2b)의 접속 작업(결합 작업)이 수행된다. 즉, 공구의 회전축의 선단부를 도 3c, 도 4b 및 도 4c에 도시된 회전축(15)의 공구 수용부(17)에 끼우고, 회전축(15)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회전축(15)은 지지부(42)의 후방으로 인입된다. 이때, 레일부(13)는 레일부(12) 내로 인입되고, 상부 프레임(22a, 22b)에 있어서 레일부(13)는 레일부(12) 내로 인입된다. 이 이동에 따라, 하부 프레임(21b)의 휠(23)은 케이싱(2)의 후방 방향으로 플로어상에서 전동한다. 그리고, 도 3b에 도시 한 바와 같이, 회전축(15)의 타단부의 스토퍼가 지지부(42)에 접촉하면, 레일부(13)가 레일부(12)에 수용되고, 케이싱(2a)과 케이싱 (2b)의 간격은 레일부(13)의 수용 거리만큼 짧아진다.
또한, 공구의 회전축 선단을 회전축(14)의 공구 수용 부(16)에 끼워 넣고, 회전축(14)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 시키면, 회전축(14)이 지지부(41)의 후방쪽으로 인입된다. 이때, 레일부(12)는 레일부(11) 내로 인입되고, 상부 프레임(22a, 22b) 측에서도 레일부(12)는 레일부(11)내로 인입된다. 이 이동에 따라, 하부 프레임(21b)의 휠(23)은 케이싱(2)의 후방 방향으로 플로어상에서 전동한다. 그리고, 회전축(14)의 타 단부의 스토퍼가 지지부(41)에 접촉하면, 도 3a 및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부(12)는 레일부(11)에 수용되고, 케이싱(2a)과 케이싱(2b)은 연결되거나 결합된다.
(본 실시예의 효과)
전술한 바와 같이, 케이싱 분리기구(1)는 레일 이동기구에 의해 레일부(12)가 레일부(11)의 일단부로부터 연장될 수 있고, 또한 레일부(13)는 레일 이동기구에 의해 레일부(12)의 일단부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케이싱(2a)과 케이싱(2b)을 분리할 수 있어, 케이싱(2a)과 케이싱(2b) 사이의 보수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특히, 병렬 연결 부재(31)에 구비된 지지부(41)는 회전축(14)이 지지부(41)에 나사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회전축(14)의 회전에 의해 레일부(12)를 레일부(11)로부터 연장 돌출시키거나 레일부(12)를 레일부(11)에 수용하고 레일부(12)의 이동과정중에 레일부(12)의 이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또한, 병렬 연결 부재(32) 측에 설치된 지지부(42)는, 지지부(42)가 회전축(14) 및 회전축(15)을 지지하고, 회전축(15)이 지지부(42)에 나사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회전축(15)의 회전에 의해 레일부(13)를 레일부(12)로부터 연장 돌출시키거나 레일부(13)를 레일부(12)에 수용하고 레일부(13)의 이동 과정중에 레일부(13)를 정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다른 케이싱(2b)은 상기 다른 케이싱(2b)의 이동이 진행되는 동안 임의의 위치에서 정지 및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케이싱(2b)의 이동 중에 안전을 확보하면서 케이싱(2a)과 케이싱(2b) 사이의 임의의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전자 장치가 케이싱(2a, 2b)에 대규모로 탑재되는 경우에도, 전자 장치의 유지 보수를 위해 케이싱(2b)을 이동시킬 때 작업자 안전이 보장될 수 있다.
또한, 병렬 연결 부재(31) 및 병렬 연결 부재(32)는 직사각형 판 형상을 갖는다. 이는 레일부(11) 및 레일부(13)를 보강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42)는 가이드부(44)에 의해 한 쌍의 레일부(13)와 평행하게 가이드된다. 따라서, 하나의 케이싱(2a)과 다른 케이싱(2b)의 접속 정밀도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회전축(14) 및 회전축(15)의 선단부에는 회전축(14, 15)을 회전시키기 위한 공구 회전축의 일단부가 삽입되는 공구수용부(16, 17)가 각각 설치된다. 따라서, 케이싱(2a)과 케이싱(2b)의 분리 및 접속 작업이 케이싱(2)의 전방측으로부터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케이싱(2b)의 하부 프레임(21b)의 휠(23)이 바닥면상에서 전동할 수 있기 때문에, 케이싱(2a)과 케이싱(2b)의 분리 및 연결 작업이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다.
[제 2실시예]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케이스 분리기구(1)는 하나의 케이싱(2a)의 하부 프레임(21a)과 레일부(11) 사이에 개재시켜 레일부(11)의 경사를 흡수하는 제 1경사 흡수 부재(5a)를 더 구비한다. 나아가서, 상기 케이싱 분리기구(1)는 또다른 케이싱(2b)의 하부 프레임(21b)과 레일부(13) 사이에 개재시켜 레일부(13)의 경사를 흡수하는 제 2경사 흡수 부재(5b)를 더 구비한다.
제 1경사 흡수 부재(5a)는 하나의 케이싱(2a)의 하부 프레임(21a)과 병렬 연결 부재(31) 사이에 개재된 상태로 볼트(51)와 너트(52)로 고정되어 있다. 한편, 제 2경사흡수 부재(5b)는 다른 케이싱(2b)의 하부 프레임(21b)과 병렬 연결 부재(32) 사이에 개재된 상태에서 볼트(51) 및 너트(52)에 의해 고정된다.
케이싱 분리기구(1)가 상부 프레임(22a, 22b)에 설치된 경우, 제 1경사 흡수 부재(5a)는 하나의 케이싱(2a)의 상부 프레임(22a)과 레일부(11) 사이에 배치된다. 한편, 제 2경사흡수 부재(5b)는 다른 케이싱(2b)의 상부 프레임(22b)과 레일부(13) 사이에 배치된다.
제 1경사흡수 부재(5a) 및 제 2경사흡수 부재(5b)로서는, EPDM, 실리콘 고무, 우레탄 고무 등으로 이루어지는 고무 와셔(탄성 와셔), 강재로 된 판 스프링, 코일 스프링 및 힌지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케이싱 분리기구(1)에 의하면, 케이싱(2a, 2b)의 하부 프레임(21a, 21b) 및 상부 프레임(22a, 22b)에 있어서, 레일부(11, 13)의 경사가 제1 경사 흡수 부재(5a) 및 제 2경사 흡수 부재(5b)에 의해 각각 흡수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케이싱 분리기구(1)에 의하면, 제 1실시예의 효과에 더하여, 케이싱(2b)을 이동시킬 때 보다 큰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이 구조에 의하면, 케이싱(2a)과 케이싱(2b)의 분리 및 접속 작업을 건물 바닥의 경사나 왜곡(또는 휘어짐)의 영향을 받지 않고, 보다 안정된 상태로 부드럽게 행할 수 있다.
[제 3실시예]
본 발명은 상기 제 1 및 제 2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케이싱(2)의 위치 조건에 따라 청구범위 내에서 변형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예를 들면, 제 1실시예 혹은 제 2실시예의 케이싱 분리기구(1)에 있어서, 제3의 레일부인 레일부(12)를 구비하지 않은 것으로서 이하의 실시예를 들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케이싱 분리기구(1)는, 한 쌍의 케이싱(2) 중 하나의 케이싱(2a)의 하부 프레임(21a)에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고 하부프레임(21a)으로부터 길게 돌출되어 나오는 한 쌍의 레일부(11), 한 쌍의 케이싱(2)중 다른 케이싱(2b)의 하부 프레임(21b)에 구비되고 하부 프레임(21b)으로부터 길게 돌출되어 나오며, 레일부(11)에 수용되어 레일부(11)의 일단부로부터 연장될 수 있는 한 쌍의 레일부(13), 및 레일부(13)를 레일부(11)의 일 단부로부터 연장시키고 레일부(13)를 레일부(11)내에 수용(인입)시킴으로써 레일부(13)를 레일부(13)의 이동과정중에 정지시킬 수 있는 레일 이동기구를 포함한다. 이 형태도 본 발명의 실시예로 된다.
레일 이동기구는 케이싱(2b)의 하부 프레임(21b)에 설치되어 한 쌍의 레일부(13)을 평행하게 연결 또는 고정하는 병렬 연결 부재(32)와, 병렬 연결 부재(32)에 구비되어 레일부(13)를 레일부(11)의 일단부로부터 연장시키고 레일부(13)를 레일부(11)에 수용(또는 인입)시키면서 레일부(13)의 이동중에 레일부(13)를 정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제1구동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제 1구동기구는, 한 쌍의 레일부(13)사이에 배치되는 회전축(15), 상기 회전축(15)이 나사 결합되는 지지부(42), 및 병렬 연결부재(32)의 정면측 일정 부위에 구비되고 회전축(15)의 일단 측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43)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케이싱 분리기구(1)가 케이싱(2a, 2b)의 상부 프레임(22a, 22b)에 구비되고, 제 1 및 제 2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레일 이동 기구가 상부 프레임(22a, 22b)에 설치되어 있지 않다. 또한, 케이싱(2a, 2b)의 규모나 크기에 따라, 상부 프레임(22a, 22b) 및 하부 프레임(21a, 21b) 중 하나 또는 모두에 레일 이동기구가 구비된다.
제 3실시예의 케이싱 분리기구(1)는 제 1실시예 및 제 2실시예의 케이싱 분리기구(1)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케이싱 분리기구(1)는, 예를 들면 전기 기기의 제어 배전반, 제어 콘솔 또는 컴퓨터를 수용하기 위한 제어 기판 등에 이용될 수 있다.
1 ... 케이싱 분리 기구
2, 2a, 2b ... 케이싱
5a ... 제 1경사 흡수 부재, 5b ... 제 2경사 흡수 부재
11 ... 레일부(제 1레일부)
12 ... 레일부(제 3레일부)
13 ... 레일부(제 2레일부)
14 ... 회전축(제 2회전축), 16 ... 공구 수용부
15 ... 회전축(제 1회전축), 17 ... 공구 수용부
21a, 21b ... 하부 프레임, 23 ... 휠
22a, 22b ... 상부 프레임
31 ... 병렬 연결 부재(제 2병렬 연결 부재), 41 ... 지지부(제 3지지부)
32 ... 병렬 연결 부재(제 1병렬 연결 부재), 42 ... 지지부(제 1지지부),
43 ... 지지부(제 2지지부), 44 ... 안내부

Claims (12)

  1. 한 쌍의 케이싱 중 하나의 케이싱의 프레임으로부터 길게 돌출되어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는 한 쌍의 제 1레일부;
    상기 한 쌍의 케이싱 중 다른 케이싱의 프레임으로부터 길게 돌출되게 설치되어 상기 한 쌍의 제 1레일부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는 상태로 상기 제 1레일부에 수용되는 한쌍의 제 2레일부; 및
    상기 제 1레일부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제 2레일부를 연장시키고, 상기 제 2레일부의 이동과정중에 상기 제 2레일부를 정지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 2레일부를 상기 제 1레일부에 수용시키는 레일 이동 기구;
    로 이루어지는 내부에 전자기기를 수용하는 한쌍의 케이싱의 케이싱 분리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레일부에 상기 제 1레일부의 일단으로부터 연장 가능하게 수용되는 한 쌍의 제 3레일부;
    상기 한 쌍의 제 3레일부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제 2레일부를 연장시키고, 상기 제 2레일부의 이동과정중에 상기 제 2레일부를 정지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 3레일부에 상기 제 2레일부를 수용하는 레일 이동기구;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한쌍의 케이싱의 케이싱 분리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 이동기구가, 상기 다른 케이싱의 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제 2레일부를 서로 평행하게 연결하는 제 1병렬 연결 부재; 및 상기 제 1병렬 연결 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제 1레일부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제 2레일부를 연장시키고, 상기 제 2레일부의 이동과정중에 상기 제 2레일부를 정지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레일부에 상기 제 2레일부를 수용하는 제 1구동기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쌍의 케이싱의 케이싱 분리기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구동기구가, 상기 한 쌍의 제 2레일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 1회전축; 상기 제 1회전축이 나사 결합되는 제 1지지부; 및 상기 제 1병렬 연결 부재의 전방측 일정 부위에 설치되어 상기 제 1회전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 2지지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쌍의 케이싱의 케이싱 분리기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 2레일부와 평행하게 상기 제 1지지부를 안내하는 안내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한쌍의 케이싱의 케이싱 분리기구.
  6.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 이동기구가, 상기 한 쌍의 제 1레일부를 서로 평행하게 연결하는 제 2병렬 연결 부재; 및 상기 제 2병렬 연결 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제 1레일부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제 3레일부를 연장시켜, 상기 제 3레일부의 이동과정중에 상기 제 3레일부를 정지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 3레일부를 상기 제 1레일부에 수용하는 제 2구동기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쌍의 케이싱의 케이싱 분리기구.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 이동기구가 상기 한 쌍의 제 1레일부를 서로 평행하게 연결하는 제 2병렬 연결 부재; 및 상기 제 2병렬 연결 부재에 구비되고, 상기 제 3레일부를 상기 제 1레일부의 일단으로부터 연장시키고, 상기 제 3레일부를 상기 제 1레일부에 수용시키면서 상기 제 3레일부의 이동중에 상기 제 3레일부를 정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제 2구동기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2구동기구는, 상기 한 쌍의 제 3레일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 1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 2회전축; 및 상기 제 2병렬 연결 부재의 전방 측 일정부위에 구비되고 상기 제 2회전축이 나사 결합되는 제 3지지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쌍의 케이싱의 케이싱 분리기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축 및 제2회전축 중 적어도 하나에는 그 선단부에 상기 제1회전축 및 제2회전축 중 적어도 하나를 회전시키는 공구 회전축의 일단부가 끼워지는 공구 수용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쌍의 케이싱의 케이싱 분리기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케이싱의 프레임이 휠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쌍의 케이싱의 케이싱 분리기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 분리기구는 상기 한 쌍의 케이싱의 하부 프레임 및 상부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쌍의 케이싱의 케이싱 분리기구.
  11. 제1항, 제2항 및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케이싱의 프레임과 상기 제 1레일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1레일부의 경사를 흡수하는 제 1경사 흡수 부재; 및 상기 다른 케이싱의 프레임과 제 2레일부의 사이에 개재되어 제 2레일부의 경사를 흡수하는 제 2경사 흡수 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한쌍의 케이싱의 케이싱 분리 기구.
  12.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회전축에는 그 선단부에 상기 제 1회전축을 회전시키는 공구 회전축의 일단부가 끼워지는 공구 수용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쌍의 케이싱의 케이싱 분리기구.

KR1020187034694A 2016-05-24 2017-02-24 케이싱 분리 기구 KR1020504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103785 2016-05-24
JP2016103787A JP6158988B1 (ja) 2016-05-24 2016-05-24 筐体分離機構
JPJP-P-2016-103787 2016-05-24
JP2016103785A JP6197068B1 (ja) 2016-05-24 2016-05-24 筐体分離機構
PCT/JP2017/007199 WO2017203771A1 (ja) 2016-05-24 2017-02-24 筐体分離機構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639A KR20190002639A (ko) 2019-01-08
KR102050453B1 true KR102050453B1 (ko) 2019-11-29

Family

ID=60412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4694A KR102050453B1 (ko) 2016-05-24 2017-02-24 케이싱 분리 기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617030B2 (ko)
KR (1) KR102050453B1 (ko)
WO (1) WO201720377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9198B1 (ko) * 2017-05-19 2020-04-09 메이덴샤 코포레이션 작업대 및 배선 덕트
KR102335252B1 (ko) 2019-01-09 2021-12-07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학 이방성 필름의 제조 방법
KR102278471B1 (ko) * 2019-10-30 2021-07-16 주식회사 세이프네트워크 랙 캐비닛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76275A (ja) 2000-12-06 2002-06-21 Uchida Yoko Co Ltd Oa機器積載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579A (en) * 1868-03-17 Improved exteision-waedeobe
US976339A (en) * 1909-12-01 1910-11-22 Charles Billburg Trunk.
US3335326A (en) * 1965-05-17 1967-08-08 Gen Electric Electrical cable support
JPS58195476U (ja) * 1982-06-21 1983-12-26 富士電機株式会社 引出形電器の延長レ−ル付架台
EP0253170B1 (de) * 1986-06-28 1992-12-16 Licentia Patent-Verwaltungs-GmbH Kontaktanordnung für einschiebbare Leistungsschalter
JPS63164278U (ko) * 1987-04-14 1988-10-26
US5459293A (en) * 1993-07-16 1995-10-17 Eaton Corporation Cradle assembly for circuit interrupters
US5443312A (en) * 1994-04-07 1995-08-22 Schluter; Robert J. Rack assembly for facilitating access to wall and cabinet-mounted serviceable equipment
JP3594992B2 (ja) 1994-05-16 2004-12-02 日本フォームサービス株式会社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の多段収納載置装置
JPH10242657A (ja) * 1997-02-25 1998-09-11 Takaoka Electric Mfg Co Ltd 監視操作盤
JPH11145621A (ja) 1997-11-04 1999-05-28 Sumitomo Metal Ind Ltd 多層配線基板とその製造方法
JPH11145631A (ja) 1997-11-12 1999-05-28 Hoshino Shoji Kk スライドベースユニット
US6318824B1 (en) * 1998-10-29 2001-11-20 Lucent Technologies, Inc. Hinged tracking system
US6076906A (en) * 1999-02-08 2000-06-20 Royal; Keith Entertainment center for storing electronic components
JP2002176277A (ja) 2000-12-06 2002-06-21 Chuo Electronics Co Ltd スライド台座
US7042732B2 (en) * 2003-12-29 2006-05-09 Kuo-Chuan Hung Flexible and rotatable wall-hanging operation box
US7277273B2 (en) * 2004-09-23 2007-10-02 Special Product Company Equipment cabinet providing full access to equipment housed therein
CN100462895C (zh) * 2005-09-05 2009-02-18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刀片式服务器背板测试治具
GB2472243A (en) * 2009-07-30 2011-02-02 Usystems Limied A cabinet door which slides outwardly in a horizontal plane
US9835235B2 (en) * 2013-03-13 2017-12-05 Asco Power Technologies, L.P. Lead screw operated rack-in mechanism
US20150008813A1 (en) * 2013-07-08 2015-01-08 Thomas Braun Top mount adjustable cabinet mounted frame
CA2911343A1 (en) * 2014-11-06 2016-05-06 Cinnos Technologies, Inc. Smart mission critical rack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76275A (ja) 2000-12-06 2002-06-21 Uchida Yoko Co Ltd Oa機器積載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203771A1 (ja) 2017-11-30
KR20190002639A (ko) 2019-01-08
US20190208661A1 (en) 2019-07-04
US10617030B2 (en) 2020-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0453B1 (ko) 케이싱 분리 기구
JP5187425B2 (ja) ロボット
KR102099198B1 (ko) 작업대 및 배선 덕트
KR101926250B1 (ko) 부품 박스 승강용 리프트
CN111300027A (zh) 一种自动轮胎拆卸机器人
JP2002205227A (ja) 部品取付装置
JP6197068B1 (ja) 筐体分離機構
KR101623430B1 (ko) 에스컬레이터 제어반
KR101785986B1 (ko) 케이블 안내장치
JP6356312B1 (ja) 作業台
KR20180082245A (ko) 엘리베이터의 전동기 지지장치
WO2019155605A1 (ja) エレベーター用作業台及びエレベーター
JP2017212307A (ja) 筐体分離機構
KR100494491B1 (ko) 차량용 배터리 수납장치
JP3852940B2 (ja) ワイヤハーネス用組立治具
CN107420694B (zh) Ct机的机架底座及ct机
CN100518456C (zh) 电气机柜
CN212354022U (zh) 一种围栏可拆装的平板手推车
CN216541891U (zh) 多轴直线运动机构
CN211603449U (zh) 一种pcb板测试装置
US11858777B2 (en) Elevator car with moving electrical box
CN214393132U (zh) 一种狭小空间可精确定位安装装置
JP3656153B2 (ja) 制御ボックス
CN108556723B (zh) 工艺转向架
KR101637002B1 (ko) 에스컬레이터 제어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