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7002B1 - 에스컬레이터 제어반 - Google Patents

에스컬레이터 제어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7002B1
KR101637002B1 KR1020150069989A KR20150069989A KR101637002B1 KR 101637002 B1 KR101637002 B1 KR 101637002B1 KR 1020150069989 A KR1020150069989 A KR 1020150069989A KR 20150069989 A KR20150069989 A KR 20150069989A KR 101637002 B1 KR101637002 B1 KR 1016370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scalator
machine room
fixed
fixed panel
control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99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용상
Original Assignee
제일에스컬레이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일에스컬레이터(주) filed Critical 제일에스컬레이터(주)
Priority to KR10201500699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7002B1/ko
Priority to PCT/KR2015/012245 priority patent/WO2016186275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70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70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0Component part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5/00Control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Landscapes

  •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스컬레이터 제어반에 관한 것으로, 에스컬레이터의 운전 제어를 위한 기계실에 설치되는 고정 설치되는 고정패널과, 상기 고정패널의 전방 하부에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부 함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하에 구비되는 기계실의 일측 벽면에 고정판넬을 구비하고 하부 함체를 승강가능하게 구비하여 작업자가 지상으로 인출하거나 적정한 높이로 이동할 수 있어 에스컬레이터의 이상 발생시 협소한 기계실 내부에서 작업하기 어려운 하부 함체를 용이하게 지상으로 인출하거나 기계실 내에서 적정한 높이로 이동시켜 안정적으로 제어반을 수리 및 점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에스컬레이터 제어반 { CONTROL BOX FOR ESCALATOR }
본 발명은 에스컬레이터 제어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지하에 구비되는 기계실에 설치되는 제어반을 상부 함체와 하부 함체로 분할제작하고 협소한 기계실 내부에서 점검 및 유지 보수 작업하기 어려운 하부 함체를 승강시켜 지상으로 인출하거나 적정한 높이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가 지상 또는 기계실 내에서 안정적으로 점검 및 수리할 수 있는 에스컬레이터 제어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스컬레이터는 전기를 공급받아 작동되는 구동모터와 구동축의 구동스프로켓이 구동체인으로 연결되어 구동모터의 동력으로 구동축이 회전하면서 함께 회전되는 스텝스프로켓이 스텝체인을 이동시킴에 따라 경사면에서 에스컬레이터의 스텝에 탑승한 승객이나 물건을 이동시키는 운송수단이다.
이러한 에스컬레이터의 작동 제어는 제어반이 담당한다. 상기 제어반은 등록특허 제10-1397318호에 제안된 바와 같이 기둥형으로 에스컬레이터의 일측에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되는 구조와, 공개실용신안 실1998-057286호에 제안된 바와 같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지하에 형성되는 기계실에 설치되는 구조가 제시된 바 있다.
그런데, 등록특허 제10-1397318호에 제안된 제어반은 에스컬레이터 외부에 기둥형으로 노출되어 있어 에스컬레이터를 이용하는 이용객의 이동에 일정한 방해물의 역할을 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반해 공개실용신안 실1998-057286호에 제안된 제어반은 에스컬레이터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지하 기계실에 설치되어 이용객의 이동에 방해가 되지 않지만 에스컬레이터의 제어반에 이상이 있는 경우 유지보수를 위해서는 기계실 상측 또는 측면의 커버 플레이트를 제거한 후 작업자가 좁은 기계실로 들어가서 작업해야 하므로 작업환경이 열악하고, 제어반은 하나의 박스 형태로 이루어져 있어 기계실 내에서 분리하여 외부로 이동하기도 어려운 문제를 안고 있다.
또한, 공개실용신안 실1998-057286호에 제안된 제어반이 설치되는 기계실은 다른 공간의 효율적인 활용을 위해 대부분 작업자가 들어가 작업할 수 있을 정도의 협소한 공간이어서 에스컬레이터가 작동중에 기계실 내에서 각종 유지보수 작업을 진행하는 경우 에스컬레이터의 스텝에 신체가 끼거나 충격이 가해져 인사 사고를 유발할 위험성이 매우 크다.
참고문헌 1 : 등록특허 제10-1397318호 참고문헌 2 : 공개실용신안 실1998-057286호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지하에 구비되는 기계실에 설치되는 제어반을 상부 함체와 하부 함체로 분할제작하여 하부 함체를 승강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지상으로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가 지상에서 안정적으로 점검 및 수리 할 수 있는 에스컬레이터 제어반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상부 함체에는 이상이 자주 발생하는 기기를 설치하고, 하부 함체에는 이상이 잘 발생하지 않는 기기를 설치하여 제어반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기계실 내부로 작업자가 들어가지 않고서도 편리하게 수리 및 점검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에스컬레이터 제어반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에스컬레이터의 운전 제어를 위한 기계실에 설치되는 고정 설치되는 고정패널과, 상기 고정패널의 전방 하부에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부 함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 제어반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하부 함체는 내부에 설치공간을 갖는 하부 함체 케이스의 전면에 개폐가능한 하부 함체 도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패널은 에스컬레이터의 운전 제어를 위한 기계실 내부 일측 벽면에 고정되는 전면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전면판에는 상하로 가이드공이 형성되고, 가이드공이 형성된 상기 전면판의 후면에는 가이드공 방향으로 관통되는 복수의 고정홈이 상하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지지패널이 고정되며; 상기 하부 함체의 하부에는 전후방향으로 안내되어 상기 고정홈에 지지되는 고정바가 지지되는 고정부재가 일체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고정바는 전방에 손잡이가 구비되고 후단에는 상기 고정홈에 체결가능한 고정돌부가 수평으로 돌출되며, 상기 고정부재와 손잡이 사이에는 스프링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고정패널의 전방 상부에 후단부를 중심으로 전방이 수직 상방으로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상부 함체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패널은 기계실 내부 일측 벽면에 평행하게 설치되는 상부 프레임 및 하부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의 전면에 상측과 하측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하에 구비되는 기계실의 일측 벽면에 고정판넬을 구비하고 하부 함체를 승강가능하게 구비하여 작업자가 지상으로 인출하거나 적정한 높이로 이동할 수 있어 에스컬레이터의 이상 발생시 협소한 기계실 내부에서 작업하기 어려운 하부 함체를 용이하게 지상으로 인출하거나 기계실 내에서 적정한 높이로 이동시켜 안정적으로 제어반을 수리 및 점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제어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제어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제어반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제어반의 일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제어반의 후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상부 함체의 인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상부 함체의 회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하부 함체의 승강 원리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제어반을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 예에 의하여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제어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제어반(100)은 에스컬레이터의 제어 및 상태를 감시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기계실에 설치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에스컬레이터의 운전 제어를 위한 기계실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패널(110)과, 상기 고정패널(110)의 전방 상부에 후단부를 중심으로 전방이 수직 상방으로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상부 함체(120)와, 상기 고정패널(110)의 전방 하부에 설치되는 하부 함체(130)로 구성된다.
먼저, 에스컬레이터 제어반(100)은 설정시간 등을 조정할 수 있는 응용프로그램 Tool이 설치되는 PLC 또는 MICOM 방식의 제어기판, 메인 스위치, 디지털보호계전기(EOCR)와 같은 각종 릴레이와 전자접촉기, 제어용배선, 케이블, 단자터미널 등의 각종 기기가 집약적으로 설치된다.
본 발명에서는 에스컬레이터 제어반(100) 내에 설치되는 각종 제어 및 감시 기구들 중 쉽게 이상이 발생하고 지속적인 관리가 이루어져야 하는 기기(예를 들어 PLC 또는 MICOM 방식의 제어기판, 메인 스위치, 디지털보호계전기(EOCR)와 같은 각종 릴레이와 전자접촉기 등)은 상부 함체(120)에 설치하고, 특별한 이상이 자주 발생하지 않는 기기(제어용배선, 케이블, 단자터미널 등)은 하부 함체(130)에 설치한다.
이와 같이 에스컬레이터 제어반(100)은 상부 함체(120)와 하부 함체(130)로 구분하여 독립적으로 관리함으로써 유지 보수에 유리하다.
특히, 상부 함체(120)에 쉽게 이상이 발생하는 부분을 위치시키고 회전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용이하게 지상으로 인출할 수 있어 점검 및 수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제어반의 각부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상기 고정패널(110)은 에스컬레이터의 운전 제어를 위한 기계실 내부 일측 벽면에 수평으로 평행하게 설치되는 상부 프레임(112) 및 하부 프레임(114)과, 상기 상부 프레임(112)과 하부 프레임(114)의 전면에 상측과 하측이 일측으로 고정되는 전면판(116)으로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상부 프레임(112) 및 하부 프레임(114)은 볼트 등의 체결수단에 의해 벽면에 일체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프레임(112) 및 하부 프레임(114)의 전면에는 직사각 플레이트 형상의 전면판(116)이 일체로 고정된다.
이때, 상기 전면판(116)은 좌우폭에 비해 상대적으로 상하 길이가 긴 형태의 직사각형 구조로서, 전면판(116)의 상부가 상기 상부 프레임(112)의 전면에 밀착되어 나사결합 또는 용접 등을 통해 일체로 고정되며, 전면판(116)의 하부가 상기 하부 프레임(114)의 전면에 밀착되어 나사결합 또는 용접 등을 통해 일체로 고정된다.
한편, 상기 전면판(116)의 상부면에는 상부 함체(120)가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전면판(116)의 하부면에는 하부 함체(130)가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상부 함체(120)에는 자주 이상이 발생할 수 있고 지속적인 관리가 이루어져야 하는 기기가 설치되는 것으로, 내부에 설치공간을 갖는 상부 함체 케이스(122) 하부에 개폐가능한 상부 함체 도어(124)가 구비되며, 상기 상부 함체 케이스(122)의 측면에 제1손잡이(126)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 함체(130)에는 자주 이상이 발생하지 않는 기기가 설치되는 것으로, 내부에 설치공간을 갖는 하부 함체 케이스(132)의 전면에 개폐가능한 하부 함체 도어(134)가 구비되며, 상기 하부 함체 케이스(132)의 측면에 제2손잡이(136)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상부 함체(120)는 회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상부 함체 케이스(122)의 후면에 힌지핀(141)이 장착되는 지지브라켓(140)이 일체로 고정된다.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지지브라켓(140)는 전체적으로 'ㄴ'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상부 함체 케이스(122)의 후면에 가로방향으로 고정되며 사각바아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전면판(116)의 전면에 지지되는 지지부(142)와, 상기 지지부(142)의 양측에 상향 돌출되어 단부에 힌지핀(141)이 체결되는 힌지공이 형성되는 힌지돌부(144)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전면판(116)의 전면 상측에는 상기 힌지핀(141)이 힌지결합되는 힌지공이 형성되는 힌지브라켓(146)이 용접이나 나사 체결에 의해 일체로 설치된다.
이상의 구조에 의하면 상부 함체(120)는 상부 함체 케이스(122)의 측면에 제1손잡이(126)를 상측으로 들어올리면 상기 전면판(116)의 전면 상측에 구비되는 힌지브라켓(140)의 힌지공에 장착되는 힌지핀(141)을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상측으로 회동되며 상부 함체(120)는 상부 함체 케이스(122)의 상부가 상부 프레임(112)의 상면에 지지되면서 에스컬레이터 바닥면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부 함체(120)가 상기 상부 프레임(112)의 상측으로 젖혀지면 상부 함체(120)의 상부 함체 도어(124)가 상측으로 노출되므로 상부 함체 도어(124)의 개방이 쉬워지며, 이에 따라 작업자가 기계실 내부로 들어갈 필요없이 지상에서 노출된 상부 함체 도어(124)를 개방하고 유지 보수 작업을 간단히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부 함체(120)의 상하 회동시에 급격한 추락으로 인한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상부 함체(120)와 전면판 사이에는 댐퍼(damper)(150)가 장착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댐퍼는 공지의 유압 댐퍼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댐퍼(damper)(150)의 일단부는 상부 함체(120)의 후면에 고정되는 지지브라켓(140)에 힌지결합되고, 댐퍼(damper)(150)의 타단부는 전면판(116)에 힌지결합된다.
이 같은 구조에 의하면 상부 함체(120)가 무거운 경우 상측으로 회동시켜 들어올려 펼친 상태에서 이상을 점검하거나 수리한 후 원위치 시키기 위해 상부 함체(120)를 하측으로 회동시키는 경우 상부 함체(120)의 전반부가 서서히 회동하면서 하강하게 되어 상부 함체(12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부 함체(120)를 안전하게 펴거나 접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함체(120)의 히측에는 하부 함체(130)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하부 함체(130)는 상기 고정패널(110)을 구성하는 전면판(116)에 일체로 구성 설치됨도 가능하지만, 작업자가 유지 보수 작업의 편의를 위해 상하로 승강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전면판(116)에는 상하로 가이드공(160)이 형성되고, 가이드공(160)이 형성된 상기 전면판(116)의 후면에는 가이드공(160) 방향으로 관통되는 복수의 고정홈(162a)이 상하 일정간격(예를 들어 5㎝ 간격)으로 형성되는 지지패널(162)이 나사 또는 용접 등의 방식으로 고정된다.
또한, 상기 하부 함체(130)의 하부에는 지지판(138)이 설치되고, 이 지지판(138)에 형성된 가이드홈(미도시)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안내되어 상기 고정홈(162a)에 지지되는 고정바(170)가 설치되며, 상기 지지판(138)에는 고정부재(180)가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고정바(170)는 전방에 손잡이(171)가 구비되고 후단에는 상기 고정홈(162a)에 체결가능한 고정돌부(172)가 수평으로 돌출되는 구조로서, 상기 손잡이(171)를 전방으로 당기면 고정바(170)가 전진하면서 고정돌부(172)가 상기 고정홈(162a)에서 이탈되어 상기 하부 함체(130)가 승강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손잡이(171)를 놓는 경우 상기 고정바(170)가 후진하면서 임의의 고정홈(162a)에 고정돌부(172)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부재(180)와 손잡이(171) 사이에는 스프링(182)이 연결되어 상기 고정바(170)가 지지패널(162) 방향으로 당겨질 수 있도록 탄성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스프링(182)은 다양한 형태의 스프링이 사용가능하지만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하부 함체(130)가 지지판(116)의 전면에서 완전 분리되지 않고 상하로만 안전하게 승강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판(116)에 상하방향으로 가이드홈(미도시)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함체(130)의 후면에 상기 가이드홈(미도시)을 따라 안내되는 가이드돌기를 장착할 수 있다. 일 예로 지지판(116)과 하부 함체(130)에 LM레일과 LM블록으로 이루어지는 일반적인 구조의 LM가이드를 적용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8을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제어반의 점검 및 유지 보수 예를 설명한다.
우선 에스컬레이터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지하 기계실에 설치되는 제어반에 이상이 있는 경우 유지보수를 위해서는 기계실 상측 또는 측면의 커버 플레이트를 제거한 후 작업자가 잦은 이상이 발생할 수 있는 상부 함체(120)의 상부 함체 케이스(122) 측면의 제1 손잡이(126)를 잡고 들어올리면 상부 함체(120)가 힌지핀(141)을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젖혀지게 된다.
이때, 상기 상부 함체(120)의 상부면이 상부 프레임(112)의 상면에 지지되므로 상부 함체(120)의 하측에 위치하던 상부 함체 도어(124)가 상부로 노출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기계실 내부로 들어가지 않고서도 지상으로 인출되는 상부 함체 케이스(122)의 상측방향으로 노출된 상부 함체 도어(124)를 개방하여 상부 함체 케이스(122) 내에 설치된 PLC 또는 MICOM 방식의 제어기판, 메인 스위치, 디지털보호계전기(EOCR)와 같은 각종 릴레이와 전자접촉기 등의 기기를 점검하고 이상이 있으면 부품의 교체 및 수리를 한다.
이와 같은 상부 함체 케이스(122) 내 기기 이상을 점검한 후, 상부 함체 도어(124)를 닫으면 수리가 완료되며, 이후 작업자가 정상적인 작동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상부 함체(120)의 상부 함체 케이스(122) 측면의 제1 손잡이(126)를 잡고 상부 함체(120)를 회동시켜 복귀시키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상부 함체(120)가 자중에 의해 회동되는 경우 댐퍼(150)에 의해 서서히 회동하면서 하강하게 되어 상부 함체(120)와 내부 기기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작업자가 하부 함체(130) 내부에 설치된 제어용배선, 케이블, 단자터미널 등의 기기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지상에서 작업하거나 또는 기계실 내부로 들어가 작업 할 수 있다. 이 경우 협소한 기계실 내부에서는 작업자의 움직임이 원활하지 않다.
따라서, 기기의 점검 또는 부품의 교체 및 수리하기 적합한 위치로 하부 함체(130)를 승강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우선 고정바(170)의 전방에 위치하는 손잡이부(171)를 잡아당기면 고정바(170)가 전진하면서 고정돌부(172)가 지지패널(162)의 임의의 고정홈(162a)에서 이탈되어 상기 하부 함체(130)가 승강이 가능하다.
이 경우 작업자는 한손으로 하부 함체(130)의 하부 함체 케이스(132) 측면에 구비되는 제2 손잡이(136)를 잡고 있는 상태에서 다른손으로 손잡이부(171)를 잡아당겨 고정바(170)를 고정홈(162a)에서 분리하여 갑작스런 하부 함체(130)의 추락을 방지한다.
이후 하부 함체(130)의 높이를 조절한 후 손잡이부(171)를 놓게 되면 스프링(182)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고정바(170)가 후진하면서 지지패널(162)의 특정의 고정홈(162a)에 체결되어 상기 하부 함체(130)이 승강하지 않도록 지지해준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하부 함체 케이스(132)의 전면으로 노출된 하부 함체 도어(134)를 개방하여 하부 함체 케이스(132) 내에 설치된 기기를 점검하고 이상이 있으면 부품의 교체 및 수리를 한다.
따라서, 작업자는 기계실이 협소하더라도 적잘한 높이로 하부 함체(130)를 승강시켜 유지 보수 등의 작업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제어반 110: 고정패널
114: 하부 프레임 120: 상부 함체
122: 상부 함체 케이스 124: 상부 함체 도어
126: 제1손잡이 130: 하부 함체
132: 하부 함체 케이스 134: 하부 함체 도어
136: 제2손잡이 140: 지지브라켓
141: 힌지핀 150: 댐퍼
160: 가이드공 162: 지지패널
170: 고정바 180: 고정부재
182: 스프링

Claims (6)

  1. 에스컬레이터의 운전 제어를 위한 기계실에 설치되는 고정패널과, 상기 고정패널의 전방 하부에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부 함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고정패널은 에스컬레이터의 운전 제어를 위한 기계실 내부 일측 벽면에 고정되는 전면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전면판에는 상하로 가이드공이 형성되고, 가이드공이 형성된 상기 전면판의 후면에는 가이드공 방향으로 관통되는 복수의 고정홈이 상하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지지패널이 고정되며;
    상기 하부 함체의 하부에는 전후방향으로 안내되어 상기 고정홈에 지지되는 고정바가 지지되는 고정부재가 일체로 고정되고,
    상기 고정바는 전방에 손잡이가 구비되고 후단에는 상기 고정홈에 체결가능한 고정돌부가 수평으로 돌출되며, 상기 고정부재와 손잡이 사이에는 스프링이 연결되며,
    상기 고정패널의 전방 상부에 후단부를 중심으로 전방이 수직 상방으로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상부 함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 제어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함체는 내부에 설치공간을 갖는 하부 함체 케이스의 전면에 개폐가능한 하부 함체 도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 제어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패널은 기계실 내부 일측 벽면에 평행하게 설치되는 상부 프레임 및 하부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면판은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의 전면에 상측과 하측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 제어반.
KR1020150069989A 2015-05-19 2015-05-19 에스컬레이터 제어반 KR1016370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9989A KR101637002B1 (ko) 2015-05-19 2015-05-19 에스컬레이터 제어반
PCT/KR2015/012245 WO2016186275A1 (ko) 2015-05-19 2015-11-13 에스컬레이터 제어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9989A KR101637002B1 (ko) 2015-05-19 2015-05-19 에스컬레이터 제어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7002B1 true KR101637002B1 (ko) 2016-07-08

Family

ID=56504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9989A KR101637002B1 (ko) 2015-05-19 2015-05-19 에스컬레이터 제어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37002B1 (ko)
WO (1) WO2016186275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57286A (ja) 1996-08-27 1998-03-03 Hitachi Ltd 電気掃除機の吸口体およびその吸口体を用いた電気掃除機
JP2007261692A (ja) * 2006-03-27 2007-10-11 Mitsubishi Electric Corp マンコンベアの制御盤用昇降装置
KR20090094476A (ko) * 2008-03-03 2009-09-08 주식회사 비 아이 지 드레스실용 선반시스템
JP2010018424A (ja) * 2008-07-14 2010-01-28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スカレータ装置
KR101397318B1 (ko) 2013-08-21 2014-05-23 윤일식 에스컬레이터나 무빙워크의 출입구 바닥면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23860B1 (en) * 1998-06-16 2001-05-01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Control device for elevator
JP2014227267A (ja) * 2013-05-23 2014-12-08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制御盤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57286A (ja) 1996-08-27 1998-03-03 Hitachi Ltd 電気掃除機の吸口体およびその吸口体を用いた電気掃除機
JP2007261692A (ja) * 2006-03-27 2007-10-11 Mitsubishi Electric Corp マンコンベアの制御盤用昇降装置
KR20090094476A (ko) * 2008-03-03 2009-09-08 주식회사 비 아이 지 드레스실용 선반시스템
JP2010018424A (ja) * 2008-07-14 2010-01-28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スカレータ装置
KR101397318B1 (ko) 2013-08-21 2014-05-23 윤일식 에스컬레이터나 무빙워크의 출입구 바닥면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86275A1 (ko) 2016-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93948B2 (ja) 移動式メンテナンス倉庫
KR101071408B1 (ko) 전력장치의 배전반용 배전함
KR101623430B1 (ko) 에스컬레이터 제어반
KR102099198B1 (ko) 작업대 및 배선 덕트
KR100451372B1 (ko) 진공차단기용 크래들의 셔터 구동 장치
KR101637002B1 (ko) 에스컬레이터 제어반
CN112109065A (zh) 一种可防撞的巡检机器人
KR102050453B1 (ko) 케이싱 분리 기구
JP5572131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KR101581771B1 (ko) 풍력발전기의 나셀의 내부 기계 교체 및 보수 시스템
CN102736053A (zh) 用于电能表校验装置的升降装置
KR101455475B1 (ko) 협착 방지용 폴의 위치 이동이 가능한 고소 작업대
CN113911866A (zh) 升降设备
CN210223286U (zh) 一种基于工业机器的安全回路与安全功能演示装置
KR20170062619A (ko) 케이블 교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교체방법
KR102382816B1 (ko) 에스컬레이터 제어반의 리프팅 장치
KR101897261B1 (ko) 지하시설물 점검용 개폐장치
CN217353755U (zh) 一种便于检修的地井上水装置
JP2017192189A (ja) 電力機器の筐体
CN221346895U (zh) 用于钻机的防拉杆设备
CN218448963U (zh) 一种高压开关设备
CN210296968U (zh) 一种改良型自动化控制柜
KR101784856B1 (ko) 선박의 갑판에 장착되는 간이구조물
KR101719513B1 (ko) 도어 구동장치
CN113415755B (zh) 一种前端避让型竖井牵引用电缆夹具及其避让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