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1561B1 - 탐상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송전선로 점검 장치 - Google Patents

탐상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송전선로 점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1561B1
KR102421561B1 KR1020200103322A KR20200103322A KR102421561B1 KR 102421561 B1 KR102421561 B1 KR 102421561B1 KR 1020200103322 A KR1020200103322 A KR 1020200103322A KR 20200103322 A KR20200103322 A KR 20200103322A KR 102421561 B1 KR102421561 B1 KR 1024215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line
detection device
flaw detection
power transmission
guid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33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22306A (ko
Inventor
이지훈
김창석
공재준
Original Assignee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033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1561B1/ko
Publication of KR202200223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23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15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15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2/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1B7/00 - B61B11/00
    • B61B12/02Suspension of the load; Guiding means, e.g. wheels; Attaching traction cab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8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12Testing dielectric strength or breakdown voltage ; Testing or monitoring effectiveness or level of insulation, e.g. of a cable or of an apparatus, for example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Electrostatic test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Magnetic Means (AREA)

Abstract

실시예에 따르면, 스페이서카의 작업대 상단 프레임에 고정되는 이동형 레일; 및 일측면이 개방되어 가이드 홈이 형성된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이동형 레일에 장착되어 상기 가공 송전선로의 와전류 신호 및 이미지 신호를 감지하는 탐상 장치에 있어서, 상기 탐상 장치는 상기 이동형 레일을 통하여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하며, 제1방향으로 이동시 상기 가이드 홈에 상기 가공 송전선로가 수용되며, 제2방향으로 이동시 상기 가이드 홈으로부터 상기 가공 송전선로가 분리되는 탐상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탐상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송전선로 점검 장치{Inspection device and transmission line inspection devic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탐상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송전선로 점검 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가공 송전선로에 적용 가능한 탐상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송전선로 점검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공 송전선로의 이상상태를 점검하기 위한 정기점검 시, 작업자가 스페이서카를 타고 육안 또는 휴대용 점검장치를 이용하여 선로의 이상상태를 점검하는 방식이 활용되었다.
최근에는 안전상의 이유로 인력의 개입이 없는 다양한 형태 및 구조를 가진 자율주행형 탐상 장치가 적용되고 있으며, 대부분의 탐상 장치는 선로를 따라 이동하며 측정하는 구조로 되어있다. 그러나, 기존 탐상 장치는 송전선로의 A, B, C상 선로 접촉을 막기 위해 설치되는 스페이서 구조물을 통과하지 못하는 형태로, 스페이서가 장착된 부근에서 인력이 투입되여 탐상 장치를 선로와 완전히 분리하여 이동 및 재설치해야 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직접적인 인력의 개입없이 자동으로 가공 송전선로를 점검할 수 있는 탐상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송전선로 점검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스페이서카의 작업대 상단 프레임에 고정되는 이동형 레일; 및 일측면이 개방되어 가이드 홈이 형성된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이동형 레일에 장착되어 상기 가공 송전선로의 와전류 신호 및 이미지 신호를 감지하는 탐상 장치에 있어서, 상기 탐상 장치는 상기 이동형 레일을 통하여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하며, 제1방향으로 이동시 상기 가이드 홈에 상기 가공 송전선로가 수용되며, 제2방향으로 이동시 상기 가이드 홈으로부터 상기 가공 송전선로가 분리되는 탐상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스페이서카는 작업자를 수용하는 작업대 및 상기 작업대 상단에 마련되어 상기 가공 송전선로를 따라 이동하는 제1가이드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형 레일은 판 형상을 가지며, 상부 표면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가이드 레일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탐상 장치는, 상기 하우징 하단에 배치되며,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레일 이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탐상 장치는, 상기 레일 이동부 및 상기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탐상 장치는, 상기 가이드 홈의 하단부에 마련되는 가이드 롤러; 상기 가이드 홈의 상단부에 마련되는 센서부; 및 상기 가이드 홈의 끝단에 마련되는 엔코더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가공 송전선로를 따라 이동하는 스페이서카; 상기 스페이서카의 작업대 상단 프레임에 고정되는 이동형 레일; 및 일측면이 개방되어 가이드 홈이 형성된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이동형 레일에 장착되어 상기 가공 송전선로의 와전류 신호 및 이미지 신호를 감지하는 탐상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탐상 장치는 상기 이동형 레일을 통하여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하며, 제1방향으로 이동시 상기 가이드 홈에 상기 가공 송전선로가 수용되며, 제2방향으로 이동시 상기 가이드 홈으로부터 상기 가공 송전선로가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카는 작업자를 수용하는 작업대 및 상기 작업대 상단에 마련되어 상기 가공 송전선로를 따라 이동하는 제1가이드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형 레일은 판 형상을 가지며, 상부 표면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가이드 레일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탐상 장치는, 상기 하우징 하단에 배치되며,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레일 이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탐상 장치는, 상기 레일 이동부 및 상기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탐상 장치는, 상기 가이드 홈의 하단부에 마련되는 가이드 롤러; 상기 가이드 홈의 상단부에 마련되는 센서부; 및 상기 가이드 홈의 끝단에 마련되는 엔코더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인 탐상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송전선로 점검 장치는 직접적인 인력의 개입없이 자동으로 가공 송전선로를 점검할 수 있다.
도1은 실시예에 따른 송전선로 점검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2는 실시예에 따른 탐상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3 및 도4는 실시예에 따른 탐상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라면, 실시 예들간 그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결합,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기술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할 수 있고, "A 및(와) B, C 중 적어도 하나(또는 한 개 이상)"로 기재되는 경우 A, B, C로 조합할 수 있는 모든 조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 요소 사이에 있는 또 다른 구성 요소로 인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 요소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 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1은 실시예에 따른 송전선로 점검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2는 실시예에 따른 탐상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송전선로 점검 장치는 스페이서 카(100) 및 탐상 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
스페이서 카(100)는 작업대(110) 및 제1가이드 롤러(120)를 포함할 수 있다. 작업대(110)는 바닥판(111) 및 바닥판(111)의 모서리를 중심으로 수직 연장되는 지지대(112), 그리고 지지대(112)를 연결하는 지지바(113)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대(112)의 높이는 작업자가 작업 상태에서 지지바를 파지할 수 있도록 80 내지 120cm로 설정될 수 있다. 작업대(110)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바(113)의 상단에는 제1가이드 롤러(120)가 배치될 수 있다. 제1가이드 롤러(120)는 지지바(113)의 모서리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제1가이드 롤러(120)는 지지바(113)에 고정되는 한 쌍의 롤러 지지대(121)와 롤러 지지대(121) 사이에 배치되는 주 롤러(122) 및 보조 롤러(123)를 포함할 수 있다. 스페이서 카(100)는 가공 송전선로(1)가 주 롤러(122)에 접촉한 상태에서 주 롤러(122)의 회전운동에 따라 가공 송전선로(1)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탐상 장치(200)는 하우징(210), 제2가이드 롤러(220), 센서부(230), 엔코더(240), 배터리(250), 이동형 레일(260), 탄성부(270), MCU(Micro Control Unit)(280) 및 데이터 베이스(29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210)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우징(210)은 수평 단면적이 8각형인 다면체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210)의 일측면은 개방되어 가이드 홈(211)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홈(211)은 내부 수용공간을 가지며 3면으로 이루어지는 내부면을 가질 수 있다. 가이드 홈(211)의 직경은 가공 송전선로(1)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홈(211)의 하단 외측에는 제2가이드 롤러(220)가 배치될 수 있다. 제2가이드 롤러(220)는 가이드 홈(211)의 하단에서 하우징(210)의 상하부 표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가이드 롤러(220)는 하우징(210)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제2가이드 롤러(220)는 가공 송전선로(1)가 가이드 홈(211)에 수용된 상태에서 가공 송전선로(1)와 접촉한 상태에서 회전 운동을 함으로써, 탐상 장치(200)가 가공 송전선로(1)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제2가이드 롤러(220)는 하우징(210)의 표면에 고정되는 한 쌍의 롤러 지지대(221)와 롤러 지지대(221) 사이에 배치되는 롤러(222)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230)는 가이드 홈(211) 내부의 상단에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부(230)는 와전류 센서 및 이미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230)는 배터리(25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가공 송전선로(1)의 와전류 및 이미지를 센싱하여 가공 송전선로(1)의 부식 상태를 판정하기 위한 센싱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엔코더(240)는 가이드 홈(211)의 밑단에서 하우징(210)의 표면에 마련될 수 있다. 엔코더(240)는 제2가이드 롤러(220)와 직각 구조를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엔코더(240)는 가공 송전선로(1)가 가이드 홈(211)에 수용되어 제2가이드 롤러(220)를 통하여 이동할 때, 회전수를 카운팅하여 탐상 장치(200)의 이동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엔코더(240)는 제2가이드 롤러(220)와 같이 하우징(210)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배터리(250)는 하우징(21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배터리(250)는 센서부(230), 이동형 레일(260), 엔코더(240), MCU(280) 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이동형 레일(260)은 스페이서 카(100)의 작업대(110) 상단 프레임에 고정될 수 있다. 이동형 레일(260)은 판 형상을 가지며, 상부 표면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가이드 레일(26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동형 레일(260)은 스페이서 카(100)의 지지바(113)에 체결구(262)를 통하여 고정될 수 있다. 이동형 레일(260)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스페이서 카(100)의 내외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가이드 레일(261)이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210) 하단에는 가이드 레일(261)을 따라 이동하는 레일 이동부(263)가 마련될 수 있다. 레일 이동부(263)는 가이드 레일(261)의 상부면과 측면에 접촉하여 주행하는 복수개의 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2개의 레일 이동부(263)는 브릿지(264)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탐상 장치(200)는 이동형 레일(260)을 통하여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하며, 제1방향으로 이동시 가이드 홈(211)에 가공 송전선로(1)가 수용되며, 제2방향으로 이동시 가이드 홈(211)으로부터 가공 송전선로가 분리될 수 있다.
도3 및 도4는 실시예에 따른 탐상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3 및 도4에서, 제1방향은 스페이서 카(100)의 내측 방향을 의미할 수 있으며, 제2방향은 스페이서 카(100)의 외측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도3을 참조하면, 탐상 장치(200)가 제1방향으로 최대 거리 이동할 경우, 가공 송전선로(1)는 하우징(210)의 가이드 홈(211) 내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제2가이드 롤러(220)와 엔코더(240)에 접촉할 수 있다. 도4를 참조하면, 탐상 장치(200)가 제2방향으로 최대 거리 이동할 경우, 가공 송전선로(1)는 가이드 홈(211)을 빠져나와 탐상 장치(200)와 소정 거리 이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다시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 탄성부(270)는 레일 이동부(263) 및 하우징(2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탄성부(270)는 이동형 레일(260)의 브릿지(264)와 하우징(210)의 하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탄성부(270)는 복수개의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270)는 탐상 장치(200)에 일정한 힘이 가해지는 경우 이에 비례하는 거리만큼 상하로 이동 후에, 힘이 해제되면 원래의 형상 또는 위치로 복귀할 수 있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고무, 스프링, 실리더 등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MCU(280)는 탐상 장치(200)의 주행 여부에 따라 레일 이동부(263)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MCU(280)는 엔코더(240)로부터 수신한 주행 거리 정보와 데이터베이스(290)에 저장되어 있는 스페이서의 설치 위치를 이용하여 탐상 장치(200)와 스페이서 간의 접근 거리를 판단할 수 있다. MCU(280)는 탐상 장치(200)에 가공 송전선로(1)가 수용된 상태에서 기 설정된 거리 이하로 스페이서에 접근할 경우, 레일 이동부(260)를 제어하여 탐상 장치(200)를 제2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가이드 홈(211)으로부터 가공 송전선로(1)를 분리시킬 수 있다.
탐상 장치(200)가 스페이서를 통과하였다면, MCU(280)는 레일 이동부(263)를 제어하여 탐상 장치(200)를 제1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가이드 홈(211)에 가공 송전선로(1)를 수용시킬 수 있다.
또한, MCU(280)는 센서부(230)에서 측정한 와전류 신호와 이미지 신호를 통하여 가공송전 선로(1)의 내외부 부식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MCU는 아래 표1에 따라 가공 송전선로(1)의 내외부 부식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MCU(280)는 와전류 신호 센서에서 계측한 선로 임피던스 값의 변화량이 기 설정된 설정값의 40%이상 증가한 경우 내부 부식이 상당 부분 발생한 위험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MCU(280)는 와전류 신호 센서에서 계측한 선로 임피던스 값의 변화량이 기 설정된 설정값의 20%이상 증가한 경우 내부 부식이 일정 부분 발생한 주의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MCU(280)는 와전류 신호 센서에서 계측한 선로 임피던스 값의 변화량이 기 설정된 설정값의 20%미만 증가한 경우 내부 부식이 거의 발생하지 않은 안전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MCU(280)는 이미지 센서에서 촬영한 선로 이미지의 색상을 분석한 결과, 은색 대비 흰색의 비율이 40%이상인 경우 외부 부식이 상당 부분 발생한 위험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MCU(280)는 이미지 센서에서 촬영한 선로 이미지의 색상을 분석한 결과, 은색 대비 흰색의 비율이 20%이상인 경우 외부 부식이 일정 부분 발생한 위험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MCU(280)는 이미지 센서에서 촬영한 선로 이미지의 색상을 분석한 결과, 은색 대비 흰색의 비율이 20%미만인 경우 외부 부식이 거의 발생하지 않은 안전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Figure 112020086479044-pat00001
MCU(280)는 하우징(210) 내부에 배치되거나 또는 하우징(220)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MCU(280)가 하우징 외부에 배치되는 경우 무선 통신을 통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스페이서 카
110: 작업대
120: 제1가이드 롤러
200: 탐상 장치
210: 하우징
220: 제2가이드 롤러
230: 센서부
240: 엔코더
250: 배터리
260: 이동형 레일
270: 탄성부
280: MCU
290: 데이터 베이스

Claims (12)

  1. 스페이서카의 작업대 상단 프레임에 고정되는 이동형 레일; 및 일측면이 개방되어 가이드 홈이 형성된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이동형 레일에 장착되어 가공 송전선로의 와전류 신호 및 이미지 신호를 감지하는 탐상 장치에 있어서,
    상기 탐상 장치는 상기 이동형 레일을 통하여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하며, 제1방향으로 이동시 상기 가이드 홈에 상기 가공 송전선로가 수용되며, 제2방향으로 이동시 상기 가이드 홈으로부터 상기 가공 송전선로가 분리되며,
    상기 가이드 홈의 하단부에 마련되는 가이드 롤러;
    상기 가이드 홈의 상단부에 마련되는 센서부; 및
    상기 가이드 홈의 끝단에 마련되는 엔코더를 포함하는 탐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카는 작업자를 수용하는 작업대 및
    상기 작업대 상단에 마련되어 상기 가공 송전선로를 따라 이동하는 제1가이드 롤러를 포함하는 탐상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형 레일은 판 형상을 가지며, 상부 표면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가이드 레일이 형성되는 탐상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탐상 장치는,
    상기 하우징 하단에 배치되며,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레일 이동부를 포함하는 탐상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탐상 장치는,
    상기 레일 이동부 및 상기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부를 더 포함하는 탐상 장치.
  6. 삭제
  7. 가공 송전선로를 따라 이동하는 스페이서카;
    상기 스페이서카의 작업대 상단 프레임에 고정되는 이동형 레일; 및 일측면이 개방되어 가이드 홈이 형성된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이동형 레일에 장착되어 상기 가공 송전선로의 와전류 신호 및 이미지 신호를 감지하는 탐상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탐상 장치는 상기 이동형 레일을 통하여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하며, 제1방향으로 이동시 상기 가이드 홈에 상기 가공 송전선로가 수용되며, 제2방향으로 이동시 상기 가이드 홈으로부터 상기 가공 송전선로가 분리되며, 상기 가이드 홈의 하단부에 마련되는 가이드 롤러; 상기 가이드 홈의 상단부에 마련되는 센서부; 및 상기 가이드 홈의 끝단에 마련되는 엔코더를 포함하는 송전선로 점검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카는 작업자를 수용하는 작업대 및
    상기 작업대 상단에 마련되어 상기 가공 송전선로를 따라 이동하는 제1가이드 롤러를 포함하는 송전선로 점검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형 레일은 판 형상을 가지며, 상부 표면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가이드 레일이 형성되는 송전선로 점검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탐상 장치는,
    상기 하우징 하단에 배치되며,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레일 이동부를 포함하는 송전선로 점검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탐상 장치는,
    상기 레일 이동부 및 상기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부를 더 포함하는 송전선로 점검 장치.
  12. 삭제
KR1020200103322A 2020-08-18 2020-08-18 탐상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송전선로 점검 장치 KR1024215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3322A KR102421561B1 (ko) 2020-08-18 2020-08-18 탐상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송전선로 점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3322A KR102421561B1 (ko) 2020-08-18 2020-08-18 탐상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송전선로 점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2306A KR20220022306A (ko) 2022-02-25
KR102421561B1 true KR102421561B1 (ko) 2022-07-15

Family

ID=804900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3322A KR102421561B1 (ko) 2020-08-18 2020-08-18 탐상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송전선로 점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156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424137B (zh) * 2023-10-19 2024-03-19 国网山东省电力公司武城县供电公司 一种带有绝缘检测报警的绝缘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45053A (zh) * 2019-08-13 2019-11-12 武汉纺织大学 一种面向四分裂超高压输电导线的防震锤检修机器人及其检修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60521B2 (ja) * 1994-03-30 1999-02-24 財団法人鉄道総合技術研究所 自走式電線検査装置
CN102713597B (zh) * 2010-05-25 2015-11-25 三菱电机株式会社 钢丝绳探伤装置
KR102182864B1 (ko) * 2018-10-12 2020-11-25 한국전력공사 3도체와 6도체 겸용 스페이서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45053A (zh) * 2019-08-13 2019-11-12 武汉纺织大学 一种面向四分裂超高压输电导线的防震锤检修机器人及其检修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2306A (ko) 2022-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32514B2 (en) Elevator component inspection systems
US7210242B2 (en) Detection method of lift guide rail perpendicularity and a detector for implementing this method
US20200031627A1 (en) Elevator component inspection systems
KR101896169B1 (ko) 승강로의 계측 방법 및 간섭 판정 시스템
KR102421561B1 (ko) 탐상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송전선로 점검 장치
CN206019584U (zh) 一种测量仪
CN111362088B (zh) 基于传感器技术的电梯对重导轨制导行程测量装置
JP2001039690A (ja) 構造物点検車
CN209559190U (zh) 一种丝网印刷刮刀系统水平度检测机
JP6692305B2 (ja) 乗客コンベアの自動隙間測定装置および乗客コンベアの自動隙間測定方法
JPH03124683A (ja) ガイドレールの据付精度測定装置
KR101353664B1 (ko) 와이어 점검장치
CN207096136U (zh) 一种x射线无损检测器
CN209623637U (zh) 一种非接触式接触轨几何形位检测装置
CN210558711U (zh) 一种电梯曳引轮滑移量检测装置
CN208666829U (zh) 一种电梯曳引轮滑移检测装置
CN107014840A (zh) 一种x射线无损检测器
KR20150000391U (ko) 선박구조물의 대각선 길이측정용 직각자
CN220809404U (zh) 检测车、钢轨检测仪、接触网检测仪及铁路检测装置
CN205843638U (zh) 一种检具的功能检测块快速切换机构
CN219830785U (zh) 检测设备
JP4135338B2 (ja) エレベータの荷重検出装置
CN213657928U (zh) 一种监理用墙面粉刷质量检测装置
JP2008168978A (ja) エレベーターの乗場ドア寸法測定装置
CN213208978U (zh) 一种汽车门铰链自动检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