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5485Y1 - 이동식 작업대 - Google Patents
이동식 작업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05485Y1 KR200405485Y1 KR2020050029875U KR20050029875U KR200405485Y1 KR 200405485 Y1 KR200405485 Y1 KR 200405485Y1 KR 2020050029875 U KR2020050029875 U KR 2020050029875U KR 20050029875 U KR20050029875 U KR 20050029875U KR 200405485 Y1 KR200405485 Y1 KR 200405485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ame
- pair
- pivot
- support frame
- hinge por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15—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essentially comprising special means for supporting or forming platforms; Platform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34—Scaffold constructions able to be folded in prismatic or flat parts or able to be turned down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24—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base constructions;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ground-engaging parts, e.g. inclined struts, wheels
- E04G2001/242—Scaffolds movable on wheels or track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28—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designed to provide support only at a low height
- E04G1/30—Ladder scaffolds
- E04G2001/302—Ladder scaffolds with ladders supporting the platform
- E04G2001/305—The ladders being vertical and perpendicular to the platfo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동식 작업대에 관한 것으로서, 작업대를 펼치거나 접을 수 있는 구조가 심플하여 강도면에서 우수하면서도 나아가 부품수가 비교적 적어서 제품 코스트가 절감되는 등의 여러 효과가 있는 이동식 작업대에 관한 것으로, 사각틀 형태로 이루어져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지지프레임(10)과, 일단부가 상기 지지프레임(10)의 일측부에 각각 힌지부(22)를 매개로 연결되고 타단부는 중간힌지부(30)에 의해 서로 절첩 가능하게 연결된 한 쌍의 제1회동프레임(20)과, 일단부가 상기 지지프레임(10)의 타측부에 힌지부(42)를 매개로 연결된 한 쌍의 제2회동프레임(40)과, 상기 제1 및 제2회동프레임(20,40)과 지지프레임(10)이 상기 힌지부(22,30,42)를 중심으로 육면체 형상으로 펼쳐지면 상기 제1 및 제2회동프레임(20,40)을 각각 펼쳐진 상태로 유지시키는 제1 및 제2고정수단(50,60)과, 상기 회동프레임(20,40)과 고정수단(50,60)에 의해 서로 마주보도록 펼쳐진 상기 한 쌍의 지지프레임(10)에 수평 방향으로 거치되는 발판(7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지지프레임, 힌지부, 회동프레임, 발판, 작업대, 절첩
Description
도 1은 본 고안의 작업대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 부분의 정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도 1의 지지프레임과 회동프레임의 절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도 4의 B 부분의 정면도
도 6은 도 5의 B-B선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제2회동프레임을 결합하기 이전의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제2회동프레임을 결합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9는 도 1의 C 부분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지지프레임 20. 제1회동프레임
30. 중간힌지부 40. 제2회동프레임
50. 제1고정수단 60. 제2고정수단
70. 발판
본 고안은 이동식 작업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콤팩트한 사이즈로 접거나 작업대로 펼쳐서 사용할 수 있는 구조가 간단하여 강도면에서 우수하며, 아울러, 부품수가 비교적 적어서 제품 코스트가 절감되는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이동식 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빌딩이나 아파트 또는 가옥과 같은 건축물을 시공할 때, 높은 곳의 작업을 위하여 작업대가 이용된다. 즉, 작업대를 세워놓고 작업대 위에 사람이 올라가서 천정과 같은 높은 위치에 배선이나 조명등 설치와 같은 여러 가지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작업 장소에 따라 작업대를 여러 장소로 이동시켜야 하기 때문에, 현재 접을 수 있는 작업대가 제공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지금까지의 절첩식 작업대는 접거나 펼치기 위한 구조가 복잡하고 부품수가 많이 들어가는 문제점이 있었다. 나아가, 구조가 복잡하여 강도면에서 떨어지고 고장 염려가 많은 등의 단점이 있었으며, 아울러 부품수가 많이 들어 제품 코스트가 상승되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작업대를 펼치거나 접을 수 있는 구조가 심플하고 강도면에서 우수하면서도 나아가 부품수가 비교적 적어서 제품 코스트가 절감되는 등의 여러 효과가 있는 이동식 작업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작업 안전성을 높일 수 있어 효율적인 새로운 구성의 이동식 작업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사각틀 형태로 이루어져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지지프레임(10)과, 일단부가 상기 지지프레임(10)의 일측부에 각각 힌지부(22)를 매개로 연결되고 타단부는 중간힌지부(30)에 의해 서로 절첩 가능하게 연결된 한 쌍의 제1회동프레임(20)과, 일단부가 상기 지지프레임(10)의 타측부에 힌지부(42)를 매개로 연결된 한 쌍의 제2회동프레임(40)과, 상기 제1 및 제2회동프레임(20,40)과 지지프레임(10)이 상기 힌지부(22,30,42)를 중심으로 육면체 형상으로 펼쳐지면 상기 제1 및 제2회동프레임(20,40)을 각각 펼쳐진 상태로 유지시키는 제1 및 제2고정수단(50,60)과, 상기 회동프레임(20,40)과 고정수단(50,60)에 의해 서로 마주보도록 펼쳐진 상기 한 쌍의 지지프레임(10)에 수평 방향으로 거치되는 발판(7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작업대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작업대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 부분의 정 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도 1의 지지프레임과 회동프레임의 절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도 4의 B 부분의 정면도, 도 6은 도 5의 B-B선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제2회동프레임을 결합하기 이전의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제2회동프레임을 결합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9는 도 1의 C 부분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사각틀 형태로 이루어진 좌우 지지프레임(10)과, 이 지지프레임(1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한 쌍의 제1회동프레임(20)과, 상기 지지프레임(1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한 쌍의 제2회동프레임(40)과, 상기 제1 및 제2회동프레임(20,40)과 지지프레임(10)이 육면체 형상으로 펼쳐질 때 육면체 형상을 유지시키는 제1 및 제2고정수단(50,60)과, 서로 마주보도록 펼쳐진 한 쌍의 지지프레임(10)에 거치되는 발판(70)으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프레임(10)은 한 쌍의 전후 수직바아(2)에 복수개의 수평바아(4)가 상하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결합되어 구성된다. 따라서, 지지프레임(10)이 사각틀 형태를 이룬다. 또한, 지지프레임(10)의 전후 수직바아(2)의 하단에는 캐스터(6)가 장착된다.
상기 제1회동프레임(20)은 일단부가 지지프레임(10)의 일측부, 즉, 지지프레임(10)의 전방 수직바아(2)에 각각 힌지부(22)를 매개로 연결되고 타단부는 중간힌지부(30)에 의해 서로 절첩 가능하게 연결된 한 쌍의 제1회동프레임(20)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제1회동프레임(20)은 일단의 힌지부(22)에서 중간힌지부(30)를 향하여 연장된 상하측 연장바아(23a,23b,24)로 구성된다. 또한, 제1회동프레임(20)의 상측연장바아(23a,23b)는 일단의 힌지부(22)에서 타단의 중간힌지부(30)를 향하여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수평연장부(23a)와, 이 수평연장부(23a)의 선단에서 중간힌지부(30)를 향하여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수직연장부(23b)를 갖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도 4와 도 6에 의하면, 상기 제1회동프레임(20)의 중간힌지부(30)는 정면을 기준으로 우측의 제1회동프레임(20) 타단에 수직 방향으로 장착된 외관체(32)와, 좌측의 제1회동프레임(20) 타단에 수직 방향으로 장착됨과 동시에 상기 외관체(32)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 내관체(34)로 구성된다.
도 1과 도 2 및 도 5를 참조하여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내관체(34)의 외주연에 외관체(32)가 원주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고, 외관체(32)가 상하단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잡아주기 위하여 내관체(34)의 상하단부에 각각 상하측 고정관체(35a,35b)가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된다. 또한, 내관체(34)에 상단에 고정된 상측고정관체(35a)에는 일측의 제1회동프레임(20)의 상측연장바아(23a,23b)를 구성하는 수직연장부(23b)의 단부가 용접 결합되고, 내관체(34)의 하단에 고정된 하측고정관체(35b)에는 일측의 제1회동프레임(20)의 하측연장바아(24)의 단부가 용접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외관체(32)의 둘레부에는 타측의 제1회동프레임(20)의 상측연장바아(23a,23b)를 구성하는 수직연장부(23b)의 단부 및 하측연장바아(24)의 단부가 용접 결합된다.
이에 따라,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제1회동프레임(20)이 중간힌지부(30)를 중심으로 서로 펼쳐지는 한편,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힌지부(30)를 중심으로 서로 맞닿는 위치로 절첩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1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회동프레임(20)의 일측 힌지부(22)는 지지프레임(10)의 전방 수직바아(2)에 용접 고정된 상하측 고정관체(22a,22b)와, 이 상하측 고정관체(22a,22b) 사이에 고정되어 지지프레임(10)의 수직바아(2)에서 소정 간격 이격된 내부관체(도시되지 않음)와, 상기 상하측 고정관체(22a,22b)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내부관체의 둘레부에 원주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외부관체(22c)로 구성된다. 이러한 힌지부(22)는 지지프레임(10)의 전방 수직바아(2)에 구비된 상하측 힌지부(22)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측힌지부(22)의 외부관체(22)에는 제1회동프레임(20)의 수평연장부(23a)의 단부가 용접 결합되고, 하측힌지부(22)에는 제1회동프레임(20)의 하측연장바아(24)의 단부가 용접 결합된다.
도 1과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2회동프레임(40)은 일단부가 지지프레임(10)의 타측부에 힌지부(42)를 매개로 연결된 한 쌍의 긴 파이프로 구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형 파이프 형상의 제2회동프레임(40)은 지지프레임(10)의 타측부, 즉, 후방의 수직바아(2)에 상하 방향으로 두 개씩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2회동프레임(40)의 힌지부(42)는 제1회동프레임(20)의 일측 힌지부와 구성이 유사하다. 즉, 부호 42a와 42b는 상하측 고정관체이고, 이 상하측 고정관체(42a,42b) 사이에는 지지프레임(10)의 후방 수직바아(2)에서 소정 간격 이격된 내부관체(도시되지 않음)가 설치되고, 상기 내부관체의 외주연에는 상하측 고정관체(42a,42b)에 의해 지지되어 내부관체의 둘레부에 원주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 도록 외부관체(42c)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외부관체(42c)의 둘레부에는 각각 제2회동프레임(40)의 단부가 용접 결합된다.
상기 제1고정수단(50)은 제1회동프레임(20)의 중간힌지부(30)의 내관체(34)와 외관체(32)를 관통하는 결합되는 핀(54)으로 구성된다. 즉, 도 3과 도 6에서와 같이, 내관체(34)와 외관체(32)의 둘레부에는 각각 구멍(36a,36b)이 형성되어, 이 구멍(36a,36b)에 핀(54)이 끼워져 결합된다.
이때, 제1회동프레임(20)을 구성하는 상하측 연장바아(23,24)에 상하단이 고정된 핀지지편(56)이 구비된다. 부호 54b는 헤드이다. 또한, 이 핀지지편(56)에는 핀(54)이 관통되어 결합되고, 상기 핀(54)의 둘레부에는 확장부(54a)가 구비되며, 핀(54)의 확장부(54a)와 핀지지편(56) 사이에는 탄지수단(58)이 개재된다. 바람직하게, 탄지수단(58)은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제1회동프레임(20)의 중간힌지부(30)를 구성하는 내관체(34)와 외관체(32)의 구멍(36a,36b)에 핀(54)이 탄지수단(58)에 의해 탄성적으로 끼움 결합될 수 있다.
도 7과 도 8에 의하면, 상기 제2고정수단(60)은 한 쌍의 제2회동프레임(40) 중에서 어느 하나의 제2회동프레임(40)의 타단 둘레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제2회동프레임(40)의 내측으로 출몰되는 한 쌍의 그립퍼(62)와, 다른 하나의 제2회동프레임(40)의 타단 둘레부에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그립퍼(62)가 안착되어 결합되는 오목홈(64)으로 구성된다.
상기 발판(70)은 지지프레임(10)의 수평바아(4)를 향하는 양단부에 하단이 개구된 고리부재(72)가 장착되어 구성된다. 이때,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판 (70)은 고리부재(72)의 하측부에 탄지수단(74)에 의해 발판(70)의 양단부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탄지되는 걸림부재(76)가 더 구비되어 구성된다. 탄지수단(74)은 바람직하게 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걸림부재(76)의 선단부는 이 걸림부재(76)의 중심축선을 기준으로 상하측 경사면(78,79)이 구비되고, 상기 상측경사면(78)과 가상의 수직선(V)(지지프레임(10)의 수직바아(2)와 나란한 선) 사이의 각도(a1)는 상기 하측경사면(79)과 가상의 수직선(V) 사이의 경사 각도(a2)보다 상대적으로 크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의 이동식 작업대를 사용하는 방법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4와 같이 접혀진 작업대를 펼쳐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1회동프레임(20)의 중간힌지부(30)에 끼워진 핀(54)의 헤드(54a)를 파지하여 핀(54)이 중간힌지부(30)의 내관체(34)와 외관체(32)의 구멍(36a,36b)으로부터 빠지도록 한 다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지지프레임(10)과 제1 및 제2회동프레임(20,40)을 힌지부(22,30,42)를 중심으로 육면체 형상으로 펼친다. 이때,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제1회동프레임(20)의 중간힌지부(30)를 구성하는 내관체(34)와 외관체(32)의 구멍(36a,36b)에 핀(54)이 끼워져서 제1회동프레임(20)이 서로 펼쳐진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회동프레임(40)을 서로 끼워서 일측의 제2회동프레임(40)에 장착된 그립퍼(62)를 제2회동프레임(40)의 중심축선 방향으로 누르면, 그립퍼(62)가 타측 제2회동프레임(40)의 오목홈(64)에 가압되도록 안착되므로, 한 쌍의 좌우측 제2회동프레임(40)이 수평하게 펼쳐진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좌우 지지프레임(10)과 제1 및 제2회동프레임(20,40)이 힌지부(22,30,42)를 중심으로 펼쳐져서 대략 육면체 형상의 작업대를 형성하며, 이때, 좌우 지지프레임(10)은 서로 마주보도록 작업대의 측면에 배치된다. 이렇게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좌우 지지프레임(10)의 수평바아(4)에 발판(70)을 걸어서 수평방향으로 거치시킬 수 있다. 즉, 발판(70)의 양단부에 돌출된 고리부재(72)를 좌우 지지프레임(10)의 수평바아(4)게 각각 걸어서 발판(70)을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이렇게 거치된 발판(70) 위에 작업자가 올라서서 천정과 같은 고소에 각종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지지프레임(10)의 수직바아(2) 하단에는 연결바아(도시 안됨)가 삽입 결합되고, 이 연결바아의 하단에는 브라켓(5)을 매개로 캐스터(6)가 장착되며, 연결바아와 수직바아(2)의 서로 마주하는 면에는 도시 안된 관통공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연결바아와 수직바아(2)의 관통공을 관통하는 핀(도시 안됨)에 의해 상기 캐스터(6)가 지지프레임(10)의 수직바아(2) 하단에 고정된다. 한편, 상기 연결바아의 관통공은 상하 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이격 배치되기 때문에, 연결바아가 지지프레임(10)의 수직바아(2)에 결합되는 상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캐스터(6)의 설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제1회동프레임(20)의 중간힌지부(30)에 결합된 핀(54)은 탄지수단(58)에 의해 중간힌지부(30)의 내관체(34)와 외관체(32)의 관통공(52)에 탄성적으로 끼워지므로, 작업중에 임의로 핀(54)이 이탈되지 않는다. 따라서, 작업중에 핀(54)이 이탈되어 작업대가 해체되는 것과 같은 안전사고가 발생될 염려가 없다.
또한, 발판(70)은 고리부재(72)의 하측에 탄지수단(74)에 의해 탄성적으로 돌출되는 걸림부재(76)가 더 구비되어 구성된다. 따라서, 발판(70)의 고리부재(72)를 지지프레임(10)의 수평바아(4)에 걸었을 때, 상기 걸림부재(76)가 지지프레임(10)의 수평바아(4) 하측에 걸려지므로, 작업중에 발판(70)이 하측에서 작용하는 힘에 의해 임의로 상측으로 들려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처럼 발판(70)이 하측에서 작용하는 힘에 의해 쉽게 들려지지 않으므로, 작업 안전도가 더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한편, 발판(70)의 걸림부재(76)는 선단부에 길이 방향 축선을 기준으로 상하측 경사면(78,79)이 구비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측경사면(78)과 가상의 수직선(V) 사이의 각도(a1)는 상기 하측경사면(79)과 가상의 수직선(V) 사이의 각도(a2)보다 상대적으로 크도록 구성된다. 즉, 걸림부재(76)의 하측경사면(78)의 경사도는 상대적으로 급하고 상측경사면(79)의 경사도는 상대적으로 완만하다.
따라서, 발판(70)의 고리부재(72)를 지지프레임(10)의 수평바아(4)에 걸어줄 때에는 걸림부재(76)의 하측경사면(79)이 수평바아(4)에 접촉된 상태로 원활하게 하강하므로, 발판(70)의 고리부재(72)를 지지프레임(10)의 수평바아(4)에 비교적 쉽게 걸어줄 수 있는 반면, 발판(70)이 하측에서 임의적으로 힘이 작용할 때 걸림부재(76)의 상측경사면(78)이 지지프레임(10)의 수평바아(4)에서 비교적 어렵게 이탈된다. 즉, 발판(70)을 지지프레임(10)에 설치하기는 비교적 쉬운 반면, 발판(70)이 하측에서 작용하는 힘에 의해 쉽게 이탈되는 것을 더욱 확실하게 방지하여, 작업 안전도를 더욱 높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1회동프레임(20)은 일단의 힌지부(22)에서 중간힌지부(30)를 향하여 연장된 상하측 연장바아(23a,23b,24)로 구성되고, 상기 상측연장바아(23a,23b)는 일단의 힌지부(22)에서 타단의 중간힌지부(30)를 향하여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수평연장부(23a)와, 이 수평연장부(23a)의 선단에서 상기 중간힌지부(30)를 향하여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수직연장부(23b)를 갖는 형상으로 구성된다. 즉, 정면을 기준으로 제1회동프레임(20)의 상측연장바아(23a,23b)는 대략 서로 대칭되는 기역자 형상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발판(70)에 올라선 작업자를 제1회동프레임(20)의 기역자 형상의 상측연장바아(23a,23b)가 받쳐주어, 작업중에 본의 아니게 작업자가 작업대 밖으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므로, 작업 안정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작업 종료 후에는 도 1에 도시된 핀(54)의 헤드(54b)를 파지하여 제1회동프레임(20)의 중간힌지부(30)에서 인출한 다음, 좌우 지지프레임(10)과 제1 및 제2회동프레임(20,40)을 콤팩트한 사이즈로 접어서 운반할 수 있다. 이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회동프레임(20)을 접은 상태에서는 중간힌지부(30)의 외관체(32)와 내관체(34)의 각 구멍(36a,36b)을 관통하도록 핀(54)을 끼워서, 제1회동프레임(20)을 서로 접혀진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프레임(10)의 수직바아(2)와 수평바아(4)는 용접이나 볼트와 같이 적용 가능한 모든 결합수단에 의해 서로 결합되는 것이 가능하지만,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직바아(2)의 일측부에 상하 방향으로 복수개의 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수평바아(4)의 양단부를 수직바아(2)의 구멍에 삽입하여 수평바아(4)의 둘레부를 수직바아(2)의 구멍 외곽 표면에 용접하여 수직바아(2)와 수평바아(4)를 서로 결합한다. 이러한 경우, 지지프레임(10)의 연결 부위의 강도가 보다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때, 상기 지지프레임(10)의 수직바아(2)와 수평바아(4)는 용접이나 볼트와 같이 적용 가능한 모든 결합수단에 의해 서로 결합되는 것이 가능하지만,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직바아(2)의 일측부에 상하 방향으로 복수개의 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수평바아(4)의 양단부를 수직바아(2)의 구멍에 삽입하여 수평바아(4)의 둘레부를 수직바아(2)의 구멍 외곽 표면에 용접하여 수직바아(2)와 수평바아(4)를 서로 결합한다. 이러한 경우, 지지프레임(10)의 연결 부위의 강도가 보다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주요 구성을 이루는 좌우 지지프레임(10)과 제1 및 제2회동프레임(20,40)을 힌지부(22,30,42)를 중심으로 펼쳐서 고정 수단(50,60)에 의해 지지하여 작업대로 사용할 수 있고, 작업 종료 후에는 콤팩트한 사이즈로 접어서 이송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에 비하여 작업대를 펼치고 접는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부품수가 상대적으로 적게 들어가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이처럼 구조가 간단하므로, 종래에 비하여 구조적인 강도가 높으며 고장 염려가 적은 등의 장점이 있고, 부품수가 상대적으로 적으므로, 제품 코스트를 낮출 수 있는 등의 여러 가지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발판(70)은 양단부의 고리부재(72)에 의해 좌우 지지프레임(10)의 수평바아(4)에 걸쳐지고, 이 고리부재(72)의 하측에는 탄지수단(74)에 의해 탄성적으로 돌출되는 걸림부재(76)가 더 구비되어 구성된다. 따라서, 발판(70)의 고리부재(72)를 지지프레임(10)의 수평바아(4)에 걸었을 때, 상기 걸림부재(76)가 지지프레임(10)의 수평바아(4) 하측에 걸려지면서 작업중에 발판(70)이 임의로 상측으로 쉽게 들려지는 것을 방지하므로, 작업 안전도가 더 높아지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발판(70)을 지지프레임(10)에 설치하기는 비교적 쉬운 반면, 발판(70)이 하측에서 작용하는 힘에 의해 쉽게 이탈되는 것을 더욱 확실하게 방지하여, 작업 안전도를 더욱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제1회동프레임(20)은 상하측 연장바아(23a,23b,24)로 구성되고, 상기 상측연장바아(23a,23b)는 정면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기역자 형상으로 구성되어, 발판(70)에 올라선 작업자를 제1회동프레임(20)의 상측연장바아(23a,23b)가 받쳐준다. 따라서, 작업중에 본의 아니게 작업자가 작업대 밖으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므로, 작업 안정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12)
- 사각틀 형태로 이루어져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지지프레임(10)과, 일단부가 상기 지지프레임(10)의 일측부에 각각 힌지부(22)를 매개로 연결되고 타단부는 중간힌지부(30)에 의해 서로 절첩 가능하게 연결된 한 쌍의 제1회동프레임(20)과, 일단부가 상기 지지프레임(10)의 타측부에 힌지부(42)를 매개로 연결된 한 쌍의 제2회동프레임(40)과, 상기 제1 및 제2회동프레임(20,40)과 지지프레임(10)이 상기 힌지부(22,30,42)를 중심으로 육면체 형상으로 펼쳐지면 상기 제1 및 제2회동프레임(20,40)을 각각 펼쳐진 상태로 유지시키는 제1 및 제2고정수단(50,60)과, 상기 회동프레임(20,40)과 고정수단(50,60)에 의해 서로 마주보도록 펼쳐진 상기 한 쌍의 지지프레임(10)에 수평 방향으로 거치되는 발판(7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작업대.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힌지부(30)는 상기 한 쌍의 제1회동프레임(20) 중에서 어느 하나의 제1회동프레임(20)의 타단부에 상하 방향으로 장착된 외관체(32)와, 다른 하나의 제1회동프레임(20)의 타단부에 상하 방향으로 장착됨과 동시에 상기 외관체(32)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 내관체(34)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외관체(32)와 내관체(34)는 상기 제1고정수단(50)에 의해 회전 각도가 제한되어 상기 한 쌍의 제1회동프레임(20)이 펼쳐지거나 절첩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작업대.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수단(50)은 상기 외관체(32)와 내관체(34)를 관통하여 결합되는 핀(54)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작업대.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2회동프레임(40)은 상기 지지프레임(10)의 타측부에 상기 힌지부(42)를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한 쌍의 직선형 파이프로 구성되며, 각각의 제2회동프레임(40)은 상기 힌지부(42)를 중심으로 펼쳐져서 상기 제2고정수단(60)에 의해 펼쳐진 상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작업대.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고정수단(60)은 일측의 제2회동프레임(40) 타단 둘레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그 내측단이 제2회동프레임(40)의 내측으로 출몰되는 한 쌍의 그립퍼(62)와, 다른 하나의 제2회동프레임(40)의 타단 둘레부에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그립퍼(62)의 내측단이 안착되어 결합되는 오목홈(64)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작업대.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핀(54)은 상기 제1회동프레임(20)의 중간힌지부(30)를 구성하는 내관체(34)와 외관체(32)에 탄지수단(58)에 의해 탄성적으로 관통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작업대.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동프레임(20)에는 상기 핀(54)이 관통되어 결합되는 핀지지편(56)이 구비되고, 상기 핀(54)의 둘레부에는 확장부(54a)가 구비되며, 상기 확장부(54a)와 핀지지편(56) 사이에는 상기 탄지수단(58)이 개재되며, 상기 탄지수단(58)은 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작업대.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10)은 복수개의 수직바아(2)와 수평바아(4)가 사각틀 형태로 연결되어 구성되고, 상기 발판(70)의 양단부에 구비된 고리부재(72)에 의해 상기 발판(70)이 상기 지지프레임(10)의 수평바아(4)에 끼워져 설치되며, 상기 발판(70)은 상기 고리부재(72)의 하측부에 탄지수단(74)에 의해 상기 발판(70)의 양단부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탄지되는 걸림부재(76)가 구비되며, 상기 발판(70)의 고리부재(72)를 상기 지지프레임(10)의 수평바아(4)에 걸어주면, 상기 발판(70)의 양단으로 돌출된 상기 걸림부재(76)가 상기 지지프레임(10)의 수평바아(4) 하측에 걸려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작업대.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76)의 선단부에는 이 걸림부재(76)의 길이 방향 축선을 기준으로 상하측 경사면(78,79)이 구비되고, 상기 상측경사면(78)과 가상의 수직선(V) 사이의 각도(a1)는 상기 하측경사면(79)과 가상의 수직선(V) 사이의 각도(a2)보다 상대적으로 크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작업대.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동프레임(20)은 일단의 힌지부(22)에서 중간힌지부(30)를 향하여 연장된 상하측 연장바아(23a,23b,24)로 구성되고, 상기 상측연장바아(23a,23b)는 일단이 힌지부(22)에 연결되고 타단은 중간힌지부(30)를 향하여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수평연장부(23a)와, 상기 수평연장부(23a)의 타단에 일단이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중간힌지부(30)를 향하여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이 중간힌지부(30)에 연결된 수직연장부(23b)를 갖는 형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작업대.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힌지부(30)는 한 쌍의 제1회동프레임(20) 중에서 어느 하나의 제1회동프레임(20)에 수직 방향으로 장착된 외관체(32)와, 다른 하나의 제1회동프레임(20)에 수직 방향으로 장착됨과 동시에 상기 외관체(32)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 내관체(34)를 포함하고, 상기 내관체(34)의 상하단부에는 각각 상기 외관체(32)를 지지하는 상하측 고정관체(35a,35b)가 구비되고, 상기 상측고정관체(35a)의 둘레부에는 일측의 제1회동프레임(20)의 상측연장바아(23a,23b)를 구성하는 수직연장부(23b)의 단부가 용접 결합되고, 상기 하측고정관체(35b)에는 일측의 제1회동프레임(20)의 하측연장바아(24)의 단부가 용접 결합되며, 상기 외관체(32)의 둘레부에는 타측의 제1회동프레임(20)의 상측연장바아(23a,23b)를 구성하는 수직연장부(23b)의 단부 및 하측연장바아(24)의 단부가 용접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작업대.
-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바아(2)의 일측부에 상하 방향으로 복수개의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수평바아(4)의 양단부는 수직바아(2)의 구멍에 삽입되어 그 둘레부가 수직바아(2)의 구멍 둘레부에 용접 결합되어 상기 지지프레임(10)을 형성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작업대.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50029875U KR200405485Y1 (ko) | 2005-10-20 | 2005-10-20 | 이동식 작업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50029875U KR200405485Y1 (ko) | 2005-10-20 | 2005-10-20 | 이동식 작업대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05485Y1 true KR200405485Y1 (ko) | 2006-01-11 |
Family
ID=41757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50029875U KR200405485Y1 (ko) | 2005-10-20 | 2005-10-20 | 이동식 작업대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05485Y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49201B1 (ko) * | 2007-03-20 | 2008-07-31 | 이달수 | 절첩지지대 |
KR101176771B1 (ko) * | 2009-11-19 | 2012-08-24 | 이상규 | 안전 작업대 |
KR102003032B1 (ko) * | 2019-03-28 | 2019-07-23 | 이성구 | 철거 작업용 비계 |
KR20240033980A (ko) * | 2022-09-06 | 2024-03-13 | 권성진 | 비계 |
-
2005
- 2005-10-20 KR KR2020050029875U patent/KR200405485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49201B1 (ko) * | 2007-03-20 | 2008-07-31 | 이달수 | 절첩지지대 |
KR101176771B1 (ko) * | 2009-11-19 | 2012-08-24 | 이상규 | 안전 작업대 |
KR102003032B1 (ko) * | 2019-03-28 | 2019-07-23 | 이성구 | 철거 작업용 비계 |
KR20240033980A (ko) * | 2022-09-06 | 2024-03-13 | 권성진 | 비계 |
KR102712047B1 (ko) * | 2022-09-06 | 2024-09-30 | 권성진 | 비계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405485Y1 (ko) | 이동식 작업대 | |
AU4436402A (en) | Mounting method for a handrail in a frame scaffolding | |
JP2019094713A (ja) | 仮設足場用朝顔装置 | |
JP2529662B2 (ja) | 折り畳み式建築作業足場台 | |
KR100855365B1 (ko) | 작업대 | |
JP2009228341A (ja) | 折り畳み式足場 | |
JP2002201792A (ja) | 枠組足場 | |
JPH11107519A (ja) | 作業用足場台 | |
JP3898559B2 (ja) | 鉄骨工事用仮設足場 | |
JP3351598B2 (ja) | 折り畳み式建築作業足場台 | |
KR101995508B1 (ko) | 접이식 비계 | |
JPH0829905B2 (ja) | 昇降路足場装置 | |
JP3368020B2 (ja) | 作業用足場 | |
KR200344096Y1 (ko) | 신축 사다리 | |
JP2951274B2 (ja) | コーナー手摺り枠 | |
JP6430720B2 (ja) | 幅木固定具及び幅木取付構造 | |
JP6450117B2 (ja) | 立設構造および振れ止め具 | |
KR20140014609A (ko) | 작업발판용 다리 접철장치 | |
KR20130006738U (ko) | 해치 용접용 작업대 | |
JP2002167958A (ja) | 作業台 | |
JP2001164748A (ja) | 吊り足場構造 | |
JPS642028Y2 (ko) | ||
JPH089316Y2 (ja) | 折畳み式足場 | |
KR20220136761A (ko) | 사다리와 결합하여 작업대로 사용 가능한 우마사다리 | |
JP6247594B2 (ja) | 作業台の手摺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 ||
T701 |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102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103 Year of fee payment: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10 |
|
EXPY | Expiration of ter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