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3032B1 - 철거 작업용 비계 - Google Patents

철거 작업용 비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3032B1
KR102003032B1 KR1020190035607A KR20190035607A KR102003032B1 KR 102003032 B1 KR102003032 B1 KR 102003032B1 KR 1020190035607 A KR1020190035607 A KR 1020190035607A KR 20190035607 A KR20190035607 A KR 20190035607A KR 102003032 B1 KR102003032 B1 KR 1020030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upport
vertical
elastic
cro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56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 구 이
Original Assignee
이성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구 filed Critical 이성구
Priority to KR10201900356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30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30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30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15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essentially comprising special means for supporting or forming platforms; Plat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8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vibrations or shocks; against mechanical destruction, e.g. by air-rai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8Scaffold boards or plank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02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with separate coupling elements
    • E04G7/28Clips or connections for securing bo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7/00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의 철거 작업 중 작업자가 올라가서 손이 닿지 않는 곳까지 작업할 수 있도록 구현한 철거 작업용 비계에 관한 것으로,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전면과 후면을 형성하는 지탱부; 및 상기 전면과 상기 후면 사이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어 작업자가 올라가 작업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발판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철거 작업용 비계{SCAFFOLDING FOR DEMOLATION WORK}
본 발명은 철거 작업용 비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의 철거 작업 중 작업자가 올라가서 손이 닿지 않는 곳까지 작업할 수 있도록 구현한 철거 작업용 비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계틀을 사용하는 곳은 일반 공사장의 외벽 미장공사 및 방수공사 또는 내외벽의 세척작업, 실내공사 등 작업자의 키보다 높은 곳에서 작업할 경우에 사용한다.
따라서 상기 작업장에서 작업환경에 맞게 조립한 후 작업이 용이하도록 사용하는 가설작업대인 건축용 비계구조는 강관으로 이루어진 H빔 형상의 수직틀을 대응하게 세우고 그 위에 수평틀을 위치하여 좌우로 돌출된 체결돌기를 끼우고 고정한다.
또한 상기 고정된 수직틀과 수평틀에 견고성을 보강하기 위하여 마주보게 설치된 수직틀에 X자형상으로 교차가세틀을 체결돌기에 끼워서 고정한 후 작업자가 비계 위에 올라가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플레이트를 올려놓고 작업을 한다.
또한 작업공간이 조립된 비계보다 더 높은 경우에는 강관으로 구성된 수직틀 각 코너에 직경이 작은 조인트를 꽂은 상태에서 다시 순차적으로 비계를 플레이트 위로 올려서 수직틀을 조인트에 꽂아서 조립한 후 작업자가 작업한다.
그러나 상기 가설작업대인 비계는 부피가 크고 다른 장소로 운반이 어려워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하도록 각각 분리하고 조립할 때는 혼자서는 조립이 힘들어 2인이상이 서로 수직틀과 수평틀을 번갈아 잡아주면서 고정하기 때문에 조립이 용이하지 않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1999-0032615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141413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건물의 철거 작업 중 작업자가 올라가서 손이 닿지 않는 곳까지 작업할 수 있도록 구현한 철거 작업용 비계를 제공한다.
또한, 내구성의 향상시킴은 물론, 충격에 따라 본 발명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작업자의 작업 안정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도록 탄성력을 이용하여 진동 또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충격 흡수부를 제공한다.
또한, 높이 조절이 자유롭지 않은 기존의 가설물과 달리, 작업자의 필요에 따라 높이조절이 자유롭고, 작업자의 자력으로 들 수 없는 무게의 장비를 들어올리거나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현한 다기능 운반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거 작업용 비계는,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전면과 후면을 형성하는 지탱부; 및 상기 전면과 상기 후면 사이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어 작업자가 올라가 작업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발판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발판부는, 상기 전면과 상기 후면 사이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는 수평 플레이트; 및 상기 수평 플레이트의 전단 및 후단에 각각 두 개씩 설치되며, 상기 전면 또는 상기 후면에서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는 수평틀에 체결되는 걸고리를 포함하며, 상기 수평 플레이트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다수 개의 관통홀을 형성하며, 상기 수평 플레이트는, 내부가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ㅁ"형태로 형성되며, 전단 및 후단에 상기 걸고리가 설치되는 지탱 프레임; 상기 지탱 프레임의 각 모서리의 상측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진동 또는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 흡수부; 및 각 테두리가 하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지탱 프레임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의 체결홈이 하측으로부터 형성되며, 상기 충격 흡수부의 상측에 안착되는 덮개부를 포함하며, 상기 충격 흡수부는, 상기 덮개부를 지지하는 받침 프레임; 상측에 안착된 상기 받침 프레임을 지지하는 네 개의 받침 플레이트; 상기 네 개의 받침 플레이트의 각각의 하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1 프레임 및 제2 프레임을 포함하는 네 쌍의 지지 프레임; 및 사각 기둥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1 프레임이 상측면에 회동 및 수평 방향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상기 제2 프레임이 일 측면에 회동 및 수직 방향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지지 기둥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 기둥은, 사각 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기둥 바디; 상기 기둥 바디의 상부에 "+"형태로 함몰 형성되는 십자홈; 상기 십자홈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십자홈에 삽입되며, 네 개의 가지의 말단 상부에 상기 제1 프레임의 하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십자 탄성부; 상기 기둥 바디의 각 면에 상하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네 개의 수직홈; 및 상기 수직홈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수직홈에 각각 삽입되며, 상부 외측에 상기 제2 프레임의 하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네 개의 수직 탄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십자 탄성부는, 내부 공간이 빈 "+" 형태로 형성되는 십자 케이스부; 정육면체로 형성되며, 상기 십자 케이스부의 중심 부분에 배치되는 상부 지지부; 상기 상부 지지부의 각 측면에 배치되는 네 개의 상부 탄성부; 상기 십자 케이스부의 내부 공간의 각 가지의 말단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상부 탄성부의 탄성력에 의하여 지지되는 네 개의 상부 탄성 지지부; 및 상기 십자홈의 각 가지의 말단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십자 케이스부와 대향하는 일 측면과 상기 상부 탄성 지지부 사이에 설치되는 지지 바아에 의하여 기 설정된 간격으로 유지되고, 상부에 상기 제1 프레임의 하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십자홈의 각각의 가지가 만나는 중심 방향으로 상기 십자홈의 홈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네 개의 상부 연결 링크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직 탄성부는, 내부 공간이 빈 상기 수직홈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수직 케이스부; 정육면체로 형성되며, 상기 수직 케이스부의 하부 공간에 배치되는 측면 지지부; 상기 측면 지지부의 상측에 배치되는 측면 탄성부; 상기 수직 케이스부의 내부 공간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측면 탄성부의 탄성력에 의하여 지지되는 측면 탄성 지지부; 및 상기 수직홈의 상부 말단에 배치되고, 상기 수직 케이스부와 대향하는 하측면과 상기 측면 탄성 지지부의 상측면 사이에 설치되는 지지 바아에 의하여 기 설정된 간격으로 유지되고, 외측면에 상기 제2 프레임의 하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수직홈의 하측 방향으로 상기 수직홈의 홈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측면 연결 링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크 부패 대신 작은 부피로 제작됨으로써 실내 공간에서 손쉽게 설치, 이동 및 제거가 용이하다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충격 흡수부를 이용하여 작업자의 하중에 따른 충격을 흡수함으로써 본 발명의 구성의 내구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충격에 따라 본 발명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작업자의 작업 안정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탑승된 작업자 또는 적재된 자재의 무게에 구애됨이 높이 승강 또는 하강시켜 줌으로써 철거작업에 작업 정도에 따라 탑승 장치 또는 적재 선반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거 작업용 비계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지탱부의 연결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발판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3의 수평 플레이트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6은 도 5의 충격 흡수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6의 지지 기둥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9는 도 7의 십자 탄성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는 도 8의 수직 탄성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철거 작업용 비계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의 다기능 운반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의 승강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는 도 13의 상판 체결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5 내지 도 18은 도 13의 구동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거 작업용 비계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거 작업용 비계(10)는, 지탱부(100) 및 적어도 하나의 발판부(200)를 포함한다.
지탱부(100)는,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전면(110)과 후면(120)을 형성하고, 사이의 공간에 발판부(200)가 설치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지탱부(100)는, 강관으로 이루어지는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다수 개의 수직틀(101), 수직틀(101) 사이 사이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는 다수 개의 수평틀(102) 및 전면(110)과 후면(120)의 사이에 "X"형태로 설치되어 전면(110)과 후면(120)을 지탱시키는 교차틀(103)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발판부(200)는, 전면(110)과 후면(120) 사이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며, 재료운반이나 작업원의 통로 및 작업을 위한 발판으로서, 작업자가 올라가 작업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비계(Scaffolding)라 함은, 건축공사 때에 높은 곳에서 일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임시가설물로, 재료운반이나 작업원의 통로 및 작업을 위한 발판이 되는데, 재료면에서 통나무비계·파이프비계, 용도면에서 외부비계·내부비계·수평비계·달비계·간이비계·사다리비계, 공법면에서 외줄비계·겹비계·쌍줄비계 등으로 나뉜다.
즉, 본 발명의 지탱부(100)는, 비계의 형상이 유지될 수 있도록 제작되는 틀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고, 본 발명의 발판부(200)는 작업원이 올라가 작업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발판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철거 작업용 비계(10)는, 건물의 외벽에 설치되어 작업자가 올라가거나 재료를 운반하기 위한 통로로서서의 비계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건물의 실내 철거작업을 수행함에 있어 작업자의 손이 닿지 않는 곳의 작업을 위해 작업자가 올라가서 손쉽게 높은 곳의 실내 철거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실내 설치용 비계에 해당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철거 작업용 비계(10)는, 건물의 외벽에 설치되는 형태로서 큰 부피를 형성하는 대신 작은 부피로 제작됨으로써 실내 공간에서 손쉽게 설치, 이동 및 제거가 용이하다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발판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발판부(200)는, 수평 플레이트(210) 및 걸고리(220)를 포함한다.
수평 플레이트(210)는, 전단 및 후단에 걸고리(220)가 각각 적어도 두 개씩 형성되어 전면(110)과 후면(120)의 수평틀(102)에 체결됨으로써, 전면(110)과 후면(120) 사이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수평 플레이트(210)는, 하중을 줄일 수 있도록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다수 개의 관통홀(213)을 형성할 수 있다.
걸고리(220)는, 수평 플레이트(210)의 전단 및 후단에 각각 두 개씩 설치되며, 전면(110) 또는 후면(120)에서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는 수평틀(102)에 체결된다.
즉, 걸고리(220)는, 수평틀(102)의 단면에 대응하는 형상의 홈을 하측에 형성시킴으로써, 수평틀(102)에 해당 홈을 통해 수평틀(102)을 체결하게 되는 것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3의 수평 플레이트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평 플레이트(210a)는, 지탱 프레임(211), 충격 흡수부(500) 및 덮개부(212)를 포함한다.
지탱 프레임(211)은, 내부가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ㅁ"형태로 형성되며, 전단 및 후단에 걸고리(220)가 설치되며, 각 모서리의 상측에 충격 흡수부(500)가 설치된다.
즉, 지탱 프레임(211)은, 테두리 부분은 제외한 내측이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전체적인 하중을 줄이는 것은 물론이고, 덮개부(212)를 관통하고 낙하하는 모래 등이 쌍이지 아니하고 하측으로 떨어지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지탱 프레임(211)의 형태 및 크기는, 지탱 프레임(211)가 체결홈(214)에 삽입될 수 있도록 덮개부(212)의 체결홈(214)의 형태에 대응하여 형성될 것이다.
충격 흡수부(500)는, 지탱 프레임(211)의 각 모서리의 상측에 설치되고, 상측에 덮개부(212)가 안착되며, 탄성력을 이용하여 작업자의 움직임 또는 덮개부(212)의 상측에 올려 놓는 물건 등으로부터 발생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흡수한다.
여기서, 충격 흡수부(500)의 개수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4 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작업자의 필요에 따라 또는 덮개부(212)의 상측에 가해지는 하중에 따라 더 많게 또는 더 적게 형성되어도 무방할 것이다.
덮개부(212)는, 각 테두리가 하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지탱 프레임(211)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의 체결홈(214)이 하측으로부터 형성되며, 충격 흡수부(500)의 상측에 안착되어, 재료운반이나 작업원의 통로 및 작업을 위한 발판으로서, 작업자가 올라가 작업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이때, 덮개부(212) 역시 다수 개의 관통홀을 형성함으로써 전체적인 하중은 줄이는 한편, 작업자의 안전화로부터 떨어지는 모래나 진흙 등이 상측에 쌓이지 아니하고 하측으로 하하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6은 도 5의 충격 흡수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충격 흡수부(500)는, 충격 흡수부(500)는, 받침 프레임(540), 네 개의 받침 플레이트(510), 네 쌍의 지지 프레임(520) 및 지지 기둥(530)을 포함한다.
받침 프레임(540)은, 하측에 설치된 받침 플레이트(510)에 의하여 지지되며,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측에 안착된 덮개부(212)를 지지한다.
받침 플레이트(510)는, 상측에 안착된 받침 프레임(540)을 지지하며, 하측에 연결 설치된 지지 프레임(520)에 의하여 지지 기둥(530)에서 지지된다.
즉, 받침 플레이트(510)는, 상측에 받침 프레임(540)을 안착시키게 되고, 받침 프레임(540)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 등에 대응하여 탄성력에 의하여 좌우 방향(즉, 제1 프레임(521a)) 또는 상하 방향(즉, 제2 프레임(521b))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게 되는 지지 프레임(520)에 의하여 흡수되도록 함으로써 진동 또는 충격을 감쇄시키게 되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제1 프레임(521a) 또는 제2 프레임(521b)의 길이를 다양하게 형성시킴으로써, 단순히 상하 방향의 높이만을 조절하여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는 기존의 탄성체의 한계를 극복하여 받침 플레이트(510)에 의한 지지 위치를 상하 방향뿐만 아니라 좌우 방향으로도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지지 프레임(520)은, 네 개의 받침 플레이트(510)의 각각의 하부에 제1 프레임(521a) 및 제2 프레임(521b)의 두 개의 프레임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플레이트(510)를 지지하고,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프레임(521a) 또는 제2 프레임(521b)의 길이를 조절하여 플레이트(510)에 의한 받침 프레임(540)의 지지 위치를 결정한다.
이때, 제1 프레임(521a) 및 제2 프레임(521b)의 상부는 받침 플레이트(510)의 하부에 연결 설치되고, 제1 프레임(521a)의 하부는 지지 기둥(530)의 상측면에 회동 및 수평 방향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제2 프레임(521b)의 하부는 지지 기둥(530)의 일 측면에 회동 및 수직 방향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즉, 제1 프레임(521a) 또는 제2 프레임(521b)은, 지지 기둥(530)의 상측면 또는 일측면에서 탄성력에 의한 회동 또는 슬라이딩 이동을 통하여 받침 플레이트(510)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지지 기둥(530)으로 전달하게 된다.
지지 기둥(530)은, 사각 기둥 형태로 형성되며, 제1 프레임(521a)의 하부가 상측면에 회동 및 수평 방향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제2 프레임(521b)의 하부가 일 측면에 회동 및 수직 방향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하며, 제1 프레임(521a) 또는 제2 프레임(521b)의 슬라이딩 이동 시 탄성력(즉, 십자 탄성부(533) 또는 수직 탄성부(535))을 통해 진동 또는 충격을 흡수시킨다.
각각의 받침 플레이트(510) 또는 지지 프레임(520)는, 서로 대칭 구조로서 동일한 방법에 의하여 구동되는 바, 상술한 바와 같은 일 받침 플레이트(510) 또는 일 지지 프레임(520)에 관하여 기술한 내용은 다른 받침 플레이트(510) 또는 다른 지지 프레임(520)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바, 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충격 흡수부(500)는, 상하 대칭 구조로도 형성될 수 있는 바, 도 6의 경우에는 지지 기둥(530)의 상부에만 각각의 구성이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상술한 바와 같은 네 개의 받침 플레이트(510) 및 네 쌍의 지지 프레임(520)과 관련된 구성은 지지 기둥(530)의 하부에 동일하게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충격 흡수부(500)는, 작업자가 덮개부(212)를 밟는 경우, 해당 위치의 하측에 위치하는 지지 기둥(530)을 이용하여 작업자의 하중에 따른 충격을 흡수함으로써 본 발명의 구성의 내구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충격에 따라 본 발명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작업자의 작업 안정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6의 지지 기둥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7를 참조하면, 지지 기둥(530)은, 기둥 바디(531), 십자홈(532), 십자 탄성부(533), 네 개의 수직홈(534)(도 8 참조) 및 네 개의 수직 탄성부(535) (도 8 참조)를 포함한다.
기둥 바디(531)는, 사각 기둥 형태로 형성되고, 상부에 십자홈(532)이 형성되며, 각 측면에 수직홈(534)이 형성된다.
십자홈(532)은, 기둥 바디(531)의 상부에 "+"형태로 함몰 형성되고, 내부 공간에 십자 탄성부(533)가 삽입 설치된다.
십자 탄성부(533)는, 십자홈(532)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십자홈(532)에 삽입되며, 네 개의 가지의 말단 상부에 제1 프레임(521a)의 하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제1 프레임(521a)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흡수시켜 진동 또는 충격을 감쇄시킨다.
수직홈(534)은, 기둥 바디(531)의 각 면에 상하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고, 내부 공간에 수직 탄성부(535)가 삽입 설치된다.
수직 탄성부(535)는, 수직홈(534)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수직홈(534)에 삽입되며, 상부 외측에 제2 프레임(521b)의 하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제2 프레임(521b)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흡수시켜 진동 또는 충격을 감쇄시킨다.
도 9는 도 7의 십자 탄성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십자 탄성부(533)는, 십자 케이스부(5331), 상부 지지부(5332), 네 개의 상부 탄성부(5333), 네 개의 상부 충격 흡수부(5334) 및 네 개의 상부 연결 링크부(5335)를 포함한다.
십자 케이스부(5331)는, 내부 공간이 빈 "+" 형태로 형성되어 십자홈(532)에 삽입 설치되고, 내부 공간에 후술하는 상부 지지부(5332), 네 개의 상부 탄성부(5333), 네 개의 상부 충격 흡수부(5334)가 설치된다.
이때, 십자 케이스부(5331)의 각 가지의 길이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십자홈(532)의 각 가지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됨으로써, 십자 케이스부(5331)의 외측에 형성되는 공간에 상부 연결 링크부(5335)가 배치되고 슬라이딩 이동을 위한 공간을 형상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상부 지지부(5332)는, 정육면체로 형성되며, 십자 케이스부(5331)의 중심 부분에 배치되고, 각 4면의 외측에 상부 탄성부(5333)가 배치되도록 하고 상부 탄성부(5333)를 지지하게 된다.
상부 탄성부(5333)는, 상부 지지부(5332)의 각 측면에 배치되어 상부 충격 흡수부(5334)를 탄성력에 의하여 지지함으로써, 상부 충격 흡수부(5334)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 등을 흡수하게 된다.
상부 충격 흡수부(5334)는, 십자 케이스부(5331)의 내부 공간의 각 가지의 말단에 각각 배치되며, 상부 탄성부(5333)의 탄성력에 의하여 지지되고, 상부 연결 링크부(5335) 사이에 설치된 지지 바아(5336)에 의하여 상부 연결 링크부(5335)를 지지한다.
상부 연결 링크부(5335)는, 십자홈(532)의 각 가지의 말단에 각각 배치되고, 십자 케이스부(5331)와 대향하는 일 측면과 상부 충격 흡수부(5334) 사이에 설치되는 지지 바아(5336)에 의하여 기 설정된 간격으로 유지되고, 상부에 제1 프레임(521a)의 하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플레이트(510)의 상하 방향의 이동에 따라 십자홈(532)의 각각의 가지가 만나는 중심 방향으로 십자홈(532)의 홈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한다.
도 10는 도 8의 수직 탄성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를 참조하면, 수직 탄성부(535)는, 수직 케이스부(5341), 측면 지지부(5342), 측면 탄성부(5343), 측면 충격 흡수부(5344) 및 측면 연결 링크부(5345)를 포함한다.
수직 케이스부(5341)는, 내부 공간이 빈 수직홈(534)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 공간의 하측으로부터 측면 지지부(5342), 측면 탄성부(5343) 및 측면 충격 흡수부(5344)가 순서대로 설치된다.
측면 지지부(5342)는, 정육면체로 형성되며, 수직 케이스부(5341)의 하부 공간에 배치되고, 상측에 측면 탄성부(5343)가 배치되어 측면 탄성부(5343)를 지지한다.
측면 탄성부(5343)는, 측면 지지부(5342)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측에 배치된 측면 충격 흡수부(5344)를 탄성력에 의하여 지지함으로써, 측면 충격 흡수부(5344)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 등을 흡수하게 된다.
측면 충격 흡수부(5344)는, 수직 케이스부(5341)의 내부 공간의 상측에 배치되며, 측면 탄성부(5343)의 탄성력에 의하여 지지되고, 측면 연결 링크부(5345) 사이에 설치된 지지 바아(5346에 의하여 측면 연결 링크부(5345)를 지지한다.
측면 연결 링크부(5345)는, 수직홈(534)의 상부 말단에 배치되고, 수직 케이스부(5341)와 대향하는 하측면과 측면 충격 흡수부(5344)의 상측면 사이에 설치되는 지지 바아(5346)에 의하여 기 설정된 간격으로 유지되고, 외측면에 제2 프레임(521b)의 하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수직홈(534)의 하측 방향으로 수직홈(534)의 홈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철거 작업용 비계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철거 작업용 비계(10a)는, 지탱부(100), 적어도 하나의 발판부(200) 및 다기능 운반 장치(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지탱부(100) 및 발판부(200)는, 도 1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다기능 운반 장치(20)는, 상측에 작업자가 탑승하도록 하여 필요에 따라 승강시켜 주거나 하강시켜 주며, 작업자의 자력으로 들어 올릴 수 없는 자재를 상측에 적재시킨 뒤 승강 또는 하강시켜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해당 자재를 필요로 하는 장소로 용이하게 이동시키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철거 작업용 비계(10a)는, 한번 설치되면 해체작업을 하여야만 이동이 가능한 비계 자체뿐만 아니라, 별도로 다기능 운반 장치(20)를 구비함으로써, 비계를 해체하지 아니하고도 비계가 설치된 장소외의 제3의 장소로 다기능 운반 장치(20)를 이동시킨 뒤 작업자가 탑승하거나 자재를 올려놓을 수 있어 철거 작업을 보다 손쉽게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2는 도 11의 다기능 운반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다기능 운반 장치(20)는, 상판(310), 하판(320) 및 승강부(400)를 포함한다.
상판(310)은, 작업자가 탑승하거나 자재를 적재시키며, 양측에 설치되는 승강부(400)에 의하여 하판(320)의 상측에 이격되어 설치되며, 승강부(400)의 구동에 따라 하판(320)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승강되거나 하판(320) 방향으로 하강된다.
즉, 상판(310)은, 그 높이가 고정되는 하판(320)과는 달리, 작업자의 작업 필요성에 대응하여 높낮이가 자유롭게 조절될 수 있는 선반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하판(320)은, 양측에 설치되는 승강부(400)에 의하여 상측에 상판(310)이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판(310)과의 사이 공간을 형성하여 추가적인 물건을 적재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즉, 기존의 승하강 기능을 구비한 선반의 경우에는, 승하강 구동장치가 하판의 일반적으로 설치되어 상판의 상측에만 물건을 안착시킬 수 있었던 것에 반하여, 반 발명에서는 상판(310)의 상측뿐만 아니라, 하판(320)의 상측에도 공간을 형성하여 추가적인 적재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승강부(400)는, 상판(310)의 일측과 하판(320)의 일측 사이와 상판(310)의 다른 일측과 하판(320)의 다른 일측 사이에 각각 연결 설치되며,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상판(310)을 승강시켜 주거나 하강시켜 준다.
본 발명에 따른 승강부(40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착탈이 가능한 형태로 제작됨으로써, 상판(310) 및 하판(320) 중 하나의 판이 파손되는 등으로 인하여 교체가 필요로 하는 경우 해당 판만을 분리한 후 새로운 판을 체결함으로써 지속적인 장비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승강부(400)는, 기존의 일체형 구동장치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착탈식의 모듈형 구동장치로서, 장비의 유지/보수 측면에서 보다 경제적인 장비의 운용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다기능 운반 장치(20)는, 승강부(400)의 전단 및 후단의 상측에 각각 탄성 지지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탄성 지지부(600)는, 적재된 하중을 지탱하지 못하고 상판(310)이 파손되어 낙하하거나, 상판(310)의 하중을 견디지 못한 후술하는 구동 프레임(430)이 파손되어 상판(310)이 낙하하는 경우, 상판(310)이 바로 하판(320)에 충돌하여 이에 따른 충격으로 탑승하였던 작업자가 다치거나 자재에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탄성 지지부(600)는, 충격 흡수부(500)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3은 도 12의 승강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승강부(400)는, 상판 체결부(410), 구동부(420), 구동 프레임(430) 및 하판 체결부(440)를 포함한다.
상판 체결부(410)는, 상판(310)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의 하측을 지지하는 제1 상부 지지부(411), 및 "ㄱ" 형태로 형성되어 하부가 제1 상부 지지부(411)에 힌지부(414)에 의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회동하여 상판(310)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을 체결하는 제2 상부 지지부(412)를 포함한다.
도 14는 도 13의 상판 체결부(410)를 보여주는 도면으로, 도 14를 참조하면 상판 체결부(410)는, 하측 전단 및 후단에 제1 교차 프레임(431) 또는 제2 교차 프레임(432)의 상부를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하기 위한 회동 연결부(413)을 형성한다.
구동부(420)는, 하판(320)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의 상측에 안착되고, 상부 전단 및 후단에 제1 교차 프레임(431) 또는 제2 교차 프레임(432)의 하부가 회동 및 전후 방향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하측에 하판 체결부(440)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구동 프레임(430)은, 하부가 구동부(420)의 상부 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상부가 상판 체결부(410)의 하부 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1 교차 프레임(431), 및 하부가 구동부(420)의 상부 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상부가 상판 체결부(410)의 하부 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1 교차 프레임(431)을 포함한다.
그리고, 제1 교차 프레임(431)과 제2 교차 프레임(432)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 부분이 "X" 형태로 교차 연결되어 구동부(420)의 구동에 의해 제1 교차 프레임(431) 또는 제2 교차 프레임(432)의 하측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판(310)을 승강시켜 주거나 하강시켜 준다.
즉, 제1 교차 프레임(431)과 제2 교차 프레임(432)의 하측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함에 따라 상판(310)은 상측 방향으로 승강하게 되고, 제1 교차 프레임(431)과 제2 교차 프레임(432)의 하측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함에 따라 상판(310)은 하측 방향으로 하강하게 되는 것이다.
하판 체결부(440)는, "ㄴ" 형태로 형성되어 상부가 구동부(420)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회동하여 하판(320)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을 체결하며, 하측에 이동을 위한 바퀴(441)를 구비한다(도 15 참조).
일 실시예에서, 하판 체결부(440)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420)의 하측에 서로 분리된 형태로 형성되거나, 일체의 바디를 형성하고 전단 및 후단의 하측에 각각 바퀴(441)를 구비하는 일체형 바디 형태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도 15 내지 도 18은 도 13의 구동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구동부(420)는, 안착부(421), 제1 직선 운동부(422) 및 제2 직선 운동부(423)를 포함한다.
안착부(421)는, 전후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측이 개방된 박스 형태로 형성되며, 제1 교차 프레임(431) 또는 제2 교차 프레임(432)의 하부가 삽입되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구동홈(421a, 421b)이 전단 및 후단에 형성되며, 하판(320)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의 상측에 안착된 후 하판 체결부(440)에 의하여 하판(320)에 체결된다.
즉, 안착부(421)는, 하판 체결부(440)의 회동에 따라 하판(320)과 체결되거나 분리되는 착탈식 구조를 형성하는 것이다.
그리고, 안착부(421)는, 전단 및 후단의 상측면에 평평한 형태의 안착면(421c, 421d)을 각각 형성하여 탄성 지지부(600)가 안착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제1 직선 운동부(422)는, 안착부(421)의 전단에 형성되는 구동홈(421a)의 후단에 설치되며, 직선 왕복 운동을 위해 구비된 피스톤(422a)(도15 참조)의 전단에 제1 교차 프레임(431)의 하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다만, 제1 직선 운동부(422)는, 직선 왕복 운동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이면 유압 실린더 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명칭에 구애됨이 없이 모두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제2 직선 운동부(423)는, 제1 직선 운동부(422)와 대칭구조로 안착부(421)의 후단에 형성되는 구동홈(421b)의 전단에 설치되며, 직선 왕복 운동을 위해 구비된 피스톤(423a)의 후단에 제2 교차 프레임(432)의 하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직선 운동부(422) 또는 제2 직선 운동부(423)는, 구동홈(421a, 421b)의 단면의 형태에 대응하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는 지지 플레이트(424a), 및 지지 플레이트(424a)의 전단 또는 후단에 좌우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공간을 형성하여 해당 공간에 제1 교차 프레임(431) 또는 제2 교차 프레임(432)의 하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도록 하는 원판 형태의 두 개의 회동 원판(424b)을 구비하는 회동 연결부(424)가 피스톤(422a)의 전단(즉, 제1 직선 운동부(422)의 경우) 또는 후단(즉, 제2 직선 운동부(423)의 경우)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두 개의 회동 원판(424b)의 사이의 공간(424d)에 제1 교차 프레임(431)이 삽입된 뒤 고정 핀 등의 체결 수단에 의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그리고, 회동 연결부(424)는, 지지 플레이트(424a)가 바로 피스톤(422a)에 체결되는 대신에, 회동 연결부(424)의 불량에 따른 교체를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지지 플레이트(424a)의 후단에 피스톤(422a)을 삽입하여 체결할 수 있는 전후 방향의 체결홈을 형성하는 체결부(424c)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직선 운동부(422)는,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한 실린더로 구동력을 발생시켜 피스톤(422a)을 실린더로부터 신장시키거나 수축시킴에 따른 전후 방향 왕복 직선 운동을 이용하여 제1 교차 프레임(431)을 구동홈(421a)에서 슬라이딩 이동을 수행하도록 구동시킬 수 있다(도 18 참조).
여기서, 제2 직선 운동부(423)는, 제1 직선 운동부(422)와 대칭형 구조로서 그 구성 및 기능이 동일하여 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철거 작업용 비계는 구조물에 균열이 발생될 경우 균열이 발생된 곳에 충전하여 보수하기 위한 아크릴바인더를 포함하는 건축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구조물이라 함은, 지탱부(100) 또는 발판부(200) 등이 이에 해당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을 이루는 각각의 구성 모두가 이에 해당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종래 존재하던 건축 구조물을 보수하기 위한 조성물에 있어서 내수성, 방수성 및 내균열성이 모두 향상된 조성물 중 만족할 만한 효과를 발휘하는 조성물이 존재하지 않는 다는 것을 발견하여, 예의 노력한 끝에 본 발명과 같이 내수성, 방수성 및 내균열성 모두 만족할 만한 효과를 발휘하는 조성물을 발명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아크릴바인더는 아크릴 에스테르 코폴리머(acrylic ester copolymer)일 수 있다. 상기 아크릴 에스테르 코폴리머는 CAS 번호(CAS number)가 30445-28-4인 아크릴 에스테르 코폴리머일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건축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에 첨가할 수 있는 다양한 화합물을 탐색하던 중 조성물이 상기 아크릴 에스테르 코폴리머를 포함하는 경우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인 내수성 및 내균열성을 모두 달성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서 상기 조성물은 상기 아크릴바인더는 10 내지 50 중량부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40 중량부 포함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0 중량부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은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중 특히 방수성 및 내수성을 달성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EVA 바인더, 부틸셀로솔브(butyl cellosolve), 로진, 텍사놀 및 프로필렌글리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EVA 바인더는 바람직하게,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thylene vinyl acetate)이며, CAS 번호는 24937-78-8 인 화합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부틸셀로솔브(butylcellosolve)는 CAS 번호 111-76-2인 화합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로진(rosin)은 송진을 증류하여 얻는 천연 수지를 의미하며, 상업적으로 판매하고 있는 로진이라면 어떠한 종류의 로진이라도 본 발명의 과제 해결을 위한 구성으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텍사놀(TEXANOL)은 CAS 번호 25265-77-4인 화합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은 CAS 번호 57-55-6인 화합물일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아크릴바인더를 포함하는 건축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의 구성으로서 EVA 바인더, 부틸셀로솔브(butyl cellosolve), 로진, 텍사놀 및 프로필렌글리콜을 더 포함시키는 경우 특히 내수성의 효과가 향상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EVA 바인더 0.01 내지 10 중량부, 부틸셀로솔브(butyl cellosolve) 0.01 내지 5 중량부, 로진 0.01 내지 5 중량부, 텍사놀 0.01 내지 5 중량부 및 프로필렌글리콜 0.01 내지 3 중량부 포함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자들은 상기 조성물에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및 2-메틸아미노-2-메틸-1-프로판올이 추가로 포함되는 경우 내수성의 효과가 현저하게 향상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즉, 상기 아크릴바인더가 포함된 건축 보수용 조성물에 EVA 바인더, 부틸셀로솔브(butyl cellosolve), 로진, 텍사놀 및 프로필렌글리콜, 그리고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및 2-메틸아미노-2-메틸-1-프로판올이 추가로 포함되는 경우 향상된 방수성 및 내수성 확인을 통해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에서 상기 조성물은 상기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및 2-메틸아미노-2-메틸-1-프로판올을 15 내지 20 : 1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16 내지 20 : 1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 17 내지 20 : 1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및 2-메틸아미노-2-메틸-1-프로판올은 상기 조성물에 0.1 내지 5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조성물이 본 발명이 달성하고자 하는 과제 중 특히 내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상기 아크릴바인더가 포함된 건축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은 에틸렌글리콜, 부틸셀로솔브(butyl cellosolve), 칼슘 카보네이트, 티타늄디옥사이드 및 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조성물이 뛰어난 방수성 및 내수성 효과를 갖는다면, 본 조성물은 내균열성이 향상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틸셀로솔브는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에틸렌글리콜(ethylene glycol)은 CAS 번호가 107-21-1인 화합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칼슘 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는 CAS 번호가 1317-65-3인 화합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티타늄 디옥사이드(titanium dioxide)는 CAS 번호가 13463-67-7인 화합물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에틸렌글리콜 0.01 내지 5 중량부, 부틸셀로솔브(butyl cellosolve) 0,01 내지 5 중량부, 칼슘 카보네이트 20 내지 50 중량부, 티타늄디옥사이드 0.01 내지 5 중량부 및 물 0.01 내지 10 중량부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내균열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구성을 탐색하던 중 천연 추출물에서 그 아이디어를 구체화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조성물에 아마씨 점액 또는 아마씨 점액 추출물이 추가로 포함되는 경우 내균열성의 효과가 현저하게 향상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즉, 상기 아크릴바인더가 포함된 건축 보수용 조성물에 에틸렌글리콜, 부틸셀로솔브(butyl cellosolve), 칼슘 카보네이트, 티타늄디옥사이드 및 물, 그리고 아마씨 점액 또는 아마씨 점액 추출물이 추가로 포함되는 경우 향상된 내균열성 확인을 통해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아마(flax)는 쌍떡잎식물 쥐손이풀목 아마과의 한해살이풀로서 씨는 납작하고 긴 타원 모양이며 노란빛을 띤 갈색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아마씨 점액은 다양한 방법을 통해 제조할 수 있지만, 예시적으로 스크래퍼(scraper)를 이용하여 아마씨로부터 점액질을 긁어내어 아마씨 점액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아마씨 점액 추출물은 예시적으로 다음과 같이 제조될 수 있다.
아마씨 1 g을 정제수 50L에 넣고, 25℃에서 5시간 동안 교반 후, 300메쉬 여과포로 여과한 후, 여액에 동량의 알코올,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을 첨가하여 침전시킨 후 와트만 여과지, 예를 들어 와트만 여과지 NO. 5를 이용하여 여과한 후 건조하여 백색의 파우더 형태를 얻을 수 있다.
종래 아마씨의 용도로서 다양한 용도가 알려져 있으나, 본 발명에서와 같이 건축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에 포함시켜 내균열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확인한 바는 현재까지 알려진 바 없으며, 연구도 미미한 실정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상기 아마씨 점액 또는 아마씨 점액 추출물을 1 내지 10 중량부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축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의 기본 물성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분산제, 소포제, 항균제, 방부제, 동결 방지제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S1) 건축 구조물의 표면의 열화부를 제거하는 단계; 및 S2) 상기 열화부가 제거된 상기 건축 구조물의 표면 상부에 상기 건축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을 도포 및 건조하여 균열 보수막을 형성하는 단계에 의하여 구조물의 균열 보수를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와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재료 준비
하기 실시예 및 평가예를 위한 건축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에 사용된 주요 원료의 정보는 아래와 같다.
1) 아크릴바인더: 아크릴 에스테르 코폴리머(Acrylic ester copolymer) CAS NO 30445-28-4
2) EVA 바인더: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thylene vinyl acetate) CAS NO 24937-78-8
3) 부틸셀로솔브(butylcellosolve): CAS NO 111-76-2
4) 텍사놀(TEXANOL): CAS NO 25265-77-4
5)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CAS NO 57-55-6
6) 에틸렌글리콜(ethylene glycol): CAS NO 107-21-1
7) 칼슘 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CAS NO 1317-65-3
8) 티타늄 디옥사이드(titanium dioxide): CAS NO 13463-67-7
9)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CAS NO 124-68-5
10) 2-메틸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CAS NO 27646-80-6
11) 아마씨 점액
스크래퍼를 이용하여 아마씨로부터 점액질을 긁어내어 아마씨 점액을 수득하였다.
12) 아마씨 점액 추출물
아마씨 1 g을 정제수 50L에 넣고, 25℃에서 5시간 동안 교반 후, 300메쉬 여과포로 여과한 후, 여액에 동량의 에탄올을 첨가하여 침전시킨 후 와트만 여과지 NO. 5를 이용하여 여과한 후 건조하여 백색의 파우더 약 0.2 g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1
혼합 교반조에 30 중량부의 아크릴바인더를 넣고 600rpm의 속도로 교반하면서 5 중량부의 EVA 바인더, 1 중량부의 부틸셀로솔브, 0.5 중량부의 로진, 0.5 중량부의 텍사놀, 0.1 중량부의 프로필렌글리콜 및 기타 증점보조제, pH조절제 등을 순서대로 서서히 투입한 후 50 중량부의 충진제인 칼슘 카보네이트를 넣고 300rpm의 속도로 상온에서 1시간 교반하여 건축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혼합 교반조에 30 중량부의 아크릴바인더를 넣고 600rpm의 속도로 교반하면서 5 중량부의 EVA 바인더, 1 중량부의 부틸셀로솔브, 0.5 중량부의 로진, 0.5 중량부의 텍사놀, 0.1 중량부의 프로필렌글리콜, 1 중량부의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0.06 중량부의 2-메틸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및 기타 증점보조제, pH조절제 등을 순서대로 서서히 투입한 후 50 중량부의 충진제인 칼슘 카보네이트를 넣고 300rpm의 속도로 상온에서 1시간 교반하여 건축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혼합 교반조에 30 중량부의 아크릴바인더를 넣고 600rpm의 속도로 교반하면서 1 중량부의 에틸렌글리콜, 1 중량부의 부틸셀로솔브, 0.5 중량부의 티타늄디옥사이드, 5 중량부의 물 및 기타 증점보조제, pH조절제 등을 순서대로 서서히 투입한 후 50 중량부의 충진제인 칼슘 카보네이트를 넣고 300rpm의 속도로 상온에서 1시간 교반하여 건축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혼합 교반조에 30 중량부의 아크릴바인더를 넣고 600rpm의 속도로 교반하면서 1 중량부의 에틸렌글리콜, 1 중량부의 부틸셀로솔브, 0.5 중량부의 티타늄디옥사이드, 5 중량부의 물, 5 중량부의 아마씨 점액 및 아마씨 점액 추출물의 혼합물 및 기타 증점보조제, pH조절제 등을 순서대로 서서히 투입한 후 50 중량부의 충진제인 칼슘 카보네이트를 넣고 300rpm의 속도로 상온에서 1시간 교반하여 건축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평가예 1
건축 토목 구조물의 열화부를 제거한 다음, 이 표면상부에 상기 실시예 1 내지 4의 건축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을 각각 도장 및 건조하여 균열 보수막을 형성하였다. 이와 같이 얻어진 균열 보수막의 접착강도, 내균열 안정성 및 미끄럼저항성 및 균열 보수제 조성물의 저장안정성을 KS규격, KSL 1593상의 시험방법에 의거하여 물성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또한, 방수성의 경우 균열 보수막 형성 후 내부로 수분이 흡수되는 정도를 5점 척도법에 의하여 평가하였다. 하기 표 1에서 제품 X는 국내에서 시판되고 있는 B사의 건축 구조물의 건축 구조물 보수용 제품을 나타내며, 이를 실시예 1 내지 4의 조성물과 비교 대상으로 평가하였다.
[표 1]
Figure 112019031758637-pat00001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4의 건축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은 제품 X와 비교하여 내수성, 방수성 및 내균열성이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저장 안정성 및 미끄럼 저항성에 있어서도 문제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본 발명에서 실시예 1, 2는 방수성 및 내수성에서 더 우수한 평가를 받은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실시예 3, 4는 내균열성에서 더 우수한 평가를 받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철거 작업용 비계 20: 다기능 운반 장치
100: 지탱부 200: 발판부
210: 수평 플레이트 211: 지탱 프레임
212: 덮개부 213: 관통홀
220: 걸고리 310: 상판
320: 하판 400: 승강부
500: 충격 흡수부

Claims (2)

  1.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전면과 후면을 형성하는 지탱부; 및
    상기 전면과 상기 후면 사이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어 작업자가 올라가 작업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발판부를 포함하되,
    상기 발판부는, 상기 전면과 상기 후면 사이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는 수평 플레이트; 및 상기 수평 플레이트의 전단 및 후단에 각각 두 개씩 설치되며, 상기 전면 또는 상기 후면에서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는 수평틀에 체결되는 걸고리를 포함하며,
    상기 수평 플레이트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다수 개의 관통홀을 형성하며,
    상기 수평 플레이트는, 내부가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ㅁ"형태로 형성되며, 전단 및 후단에 상기 걸고리가 설치되는 지탱 프레임; 상기 지탱 프레임의 각 모서리의 상측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진동 또는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 흡수부; 및 각 테두리가 하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지탱 프레임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의 체결홈이 하측으로부터 형성되며, 상기 충격 흡수부의 상측에 안착되는 덮개부를 포함하며,
    상기 충격 흡수부는, 상기 덮개부를 지지하는 받침 프레임; 상측에 안착된 상기 받침 프레임을 지지하는 네 개의 받침 플레이트; 상기 네 개의 받침 플레이트의 각각의 하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1 프레임 및 제2 프레임을 포함하는 네 쌍의 지지 프레임; 및 사각 기둥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1 프레임이 상측면에 회동 및 수평 방향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상기 제2 프레임이 일 측면에 회동 및 수직 방향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지지 기둥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 기둥은, 사각 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기둥 바디; 상기 기둥 바디의 상부에 "+"형태로 함몰 형성되는 십자홈; 상기 십자홈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십자홈에 삽입되며, 네 개의 가지의 말단 상부에 상기 제1 프레임의 하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십자 탄성부; 상기 기둥 바디의 각 면에 상하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네 개의 수직홈; 및 상기 수직홈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수직홈에 각각 삽입되며, 상부 외측에 상기 제2 프레임의 하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네 개의 수직 탄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십자 탄성부는, 내부 공간이 빈 "+" 형태로 형성되는 십자 케이스부; 정육면체로 형성되며, 상기 십자 케이스부의 중심 부분에 배치되는 상부 지지부; 상기 상부 지지부의 각 측면에 배치되는 네 개의 상부 탄성부; 상기 십자 케이스부의 내부 공간의 각 가지의 말단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상부 탄성부의 탄성력에 의하여 지지되는 네 개의 상부 탄성 지지부; 및 상기 십자홈의 각 가지의 말단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십자 케이스부와 대향하는 일 측면과 상기 상부 탄성 지지부 사이에 설치되는 지지 바아에 의하여 기 설정된 간격으로 유지되고, 상부에 상기 제1 프레임의 하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십자홈의 각각의 가지가 만나는 중심 방향으로 상기 십자홈의 홈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네 개의 상부 연결 링크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직 탄성부는, 내부 공간이 빈 상기 수직홈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수직 케이스부; 정육면체로 형성되며, 상기 수직 케이스부의 하부 공간에 배치되는 측면 지지부; 상기 측면 지지부의 상측에 배치되는 측면 탄성부; 상기 수직 케이스부의 내부 공간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측면 탄성부의 탄성력에 의하여 지지되는 측면 탄성 지지부; 및 상기 수직홈의 상부 말단에 배치되고, 상기 수직 케이스부와 대향하는 하측면과 상기 측면 탄성 지지부의 상측면 사이에 설치되는 지지 바아에 의하여 기 설정된 간격으로 유지되고, 외측면에 상기 제2 프레임의 하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수직홈의 하측 방향으로 상기 수직홈의 홈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측면 연결 링크부를 포함하는, 철거 작업용 비계.

  2. 삭제
KR1020190035607A 2019-03-28 2019-03-28 철거 작업용 비계 KR1020030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5607A KR102003032B1 (ko) 2019-03-28 2019-03-28 철거 작업용 비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5607A KR102003032B1 (ko) 2019-03-28 2019-03-28 철거 작업용 비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3032B1 true KR102003032B1 (ko) 2019-07-23

Family

ID=67439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5607A KR102003032B1 (ko) 2019-03-28 2019-03-28 철거 작업용 비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303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73248A (zh) * 2020-02-11 2020-05-19 金川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施工架
CN113250428A (zh) * 2021-04-16 2021-08-13 浙江维安建筑支护科技有限公司 一种抗震脚手架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2615U (ko) 1997-12-31 1999-07-26 사재효 건축용 가설발판의 로킹장치
KR200405485Y1 (ko) * 2005-10-20 2006-01-11 이상규 이동식 작업대
KR20130141413A (ko) 2013-11-25 2013-12-26 주식회사백상 텐트형 가설 건축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2615U (ko) 1997-12-31 1999-07-26 사재효 건축용 가설발판의 로킹장치
KR200405485Y1 (ko) * 2005-10-20 2006-01-11 이상규 이동식 작업대
KR20130141413A (ko) 2013-11-25 2013-12-26 주식회사백상 텐트형 가설 건축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73248A (zh) * 2020-02-11 2020-05-19 金川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施工架
CN113250428A (zh) * 2021-04-16 2021-08-13 浙江维安建筑支护科技有限公司 一种抗震脚手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6803B1 (ko) 건물 신축 공사용 철근 절곡을 위한 밴딩 방법 및 장치
KR102003032B1 (ko) 철거 작업용 비계
CN210734834U (zh) 一种装配式建筑混凝土预制构件运输稳固设备
CN107570502A (zh) 一种建筑工地用水泥桶清洗装置
KR102000656B1 (ko) 다기능 박스 제작용 판재 이송장치
KR102001474B1 (ko) 자동차 부품 보관 창고
KR102021297B1 (ko) 천장프레임 시스템
CN206308968U (zh) 一种高层建筑垃圾垂直运输通道
CN211201156U (zh) 一种超高层爬模平台
KR101999217B1 (ko) 프레스 장치
RU2398955C1 (ru) Способ крепления скважины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цементного раствора
CN116448483A (zh) 一种混凝土强度检测取样装置
CN207390864U (zh) 一种具有可收纳式防坠落装置的建筑塔机
KR101994857B1 (ko) 다목적 물품 보관 창고
CN206844777U (zh) 一种屋顶防震建筑结构
CN210636472U (zh) 一种建筑工程用复合桩
CN213626568U (zh) 一种新型框架式建筑成品支架
CN205025128U (zh) 玻璃幕墙清洗机的行走机构
CN208949829U (zh) 一种桁架式悬臂模板
KR102104575B1 (ko) 다목적 자재 보관 창고
CN218291629U (zh) 一种抗压支撑装置
KR102025539B1 (ko) 연속식 사출 성형 장치
KR102018319B1 (ko) 가압 장치
KR102011142B1 (ko) 다기능 조명 검사 장치
CN216156760U (zh) 一种土建工程用集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