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0656B1 - 다기능 박스 제작용 판재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다기능 박스 제작용 판재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0656B1
KR102000656B1 KR1020190042235A KR20190042235A KR102000656B1 KR 102000656 B1 KR102000656 B1 KR 102000656B1 KR 1020190042235 A KR1020190042235 A KR 1020190042235A KR 20190042235 A KR20190042235 A KR 20190042235A KR 102000656 B1 KR102000656 B1 KR 1020006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bar
groove
unit
b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22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자근
Original Assignee
구자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근 filed Critical 구자근
Priority to KR10201900422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06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06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06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74Auxiliary operations
    • B31B50/92Delivering
    • B31B50/94Delivering singly or in succession
    • B31B50/96Delivering singly or in succession in an overlapping arrang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14Cutting, e.g. perforating, punching, slitting or trimming
    • B31B50/146Cutting, e.g. perforating, punching, slitting or trimming using tools mounted on a dr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14Cutting, e.g. perforating, punching, slitting or trimming
    • B31B50/20Cutting sheets or bl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7/00Stacking of articles
    • B65G57/02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top of the stack
    • B65G57/11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top of the stack the articles being stacked by direct action of the feeding conveyor
    • B65G57/112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top of the stack the articles being stacked by direct action of the feeding conveyor the conveyor being adjustable in h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5Containers
    • B65G2201/025Bo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4/00Indexing codes relating to loading or unloading articles or bulk materials
    • B65G2814/03Loading or unloading means
    • B65G2814/0301General arrangements
    • B65G2814/0304Stacking devices
    • B65G2814/0305Adding to the to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king Paper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장박스 제조용 판재를 연속적으로 공급하면서 필요에 따라 판재에 홈을 절개할 수 있도록 구현한 다기능 박스 제작용 판재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박스 제작을 위한 판재에 홈을 형성시키는 홈형성부; 상기 홈형성부에 의하여 홈이 형성된 판재를 전달받아 이송시키는 이송부; 및 상기 이송부로부터 이송되어 오는 판재를 적재시키는 적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다기능 박스 제작용 판재 이송장치{MULTIFUNCTIONAL BOX MAKING SHEET CONVEYING DEVICE}
본 발명은 다기능 박스 제작용 판재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포장박스 제조용 판재를 연속적으로 공급하면서 필요에 따라 판재에 홈을 절개할 수 있도록 구현한 다기능 박스 제작용 판재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골판지는 판지의 한쪽 또는 두 장의 판지 사이에 물결 모양으로 골이 진 종이를 붙인 판지를 일컫는다. 이러한 골판지는 판지 그 자체와 이들 사이에 삽입되어 있는 물결 모양으로 골이 진 종이의 완충 작용으로 인해 물품의 포장에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골판지를 이용하여 보편적으로 제조되는 포장 박스는 예를 들어 실질적으로 물품을 담는 본체에 해당하는 직육면체의 수직판체와 상기 수직판체의 상부와 하부로 연장되어 형성된 날개판체로 이루어져 있다.
종래에는, 이러한 골판지를 이용하여 박스를 제조할 때 수직판체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각각의 날개판체를 형성시키기 위해 낱개 또는 다수의 골판지를 적재한 후 날이 달린 압착기를 이용하여 절개 대상 부위를 커팅하였다.
그러나, 전자와 같이 골판지를 일일이 낱개로 그 절개 대상 부위를 부분 커팅하기 위해서는 많은 노동력이 요구되고, 후자와 같이 다수의 골판지를 적재한 후 날이 달린 압착기를 이용하여 압착시킴으로써 절개 대상 부위를 부분 커팅하는 경우에는 날이 손상되는 문제뿐만 아니라 신뢰성 있는 부분 절개 부위를 얻기 곤란한 문제도 발생하였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공개특허 제10-1997-0039176호 한국등록특허 제10-1423958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포장박스 제조용 판재가 낱개로 연속적으로 공급, 인쇄, 절개 및 적재의 공정을 한꺼번에 수행할 수 있도록 구현한 다기능 박스 제작용 판재 이송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절개가 완료된 판재를 안정적으로 적재 및 이동시킬 수 있는 이동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박스 제작용 판재 이송장치는, 박스 제작을 위한 판재에 홈을 형성시키는 홈형성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홈형성부에 의하여 홈이 형성된 판재를 전달받아 이송시키는 이송부; 및 상기 이송부로부터 이송되어 오는 판재를 적재시키는 적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홈형성부는, 외형을 형성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며, 인쇄 공정이 마무리된 판재를 전달받아 홈을 절개하는 홈절개부; 상기 케이스의 출구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 롤러; 상기 상부 롤러의 하측에 대향하고 설치되며, 상기 상부 롤러와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상부 롤러와의 대향면으로 판재를 이동시키는 하부 롤러; 및 상기 하부 롤러에 탈부착 되며, 판재 재단을 위한 절단날을 외측면에 구비하는 탈부착 재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적재부는, "П " 형태로 형성되는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의 내측에 연결 설치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이송부의 전단에 연결 설치되어 적재되는 판재의 높이에 대응하여 상기 이송부의 전단을 상하 방향으로 구동시켜 주는 상하 구동부; 및 "Γ"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상하 구동부의 전단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이송부로부터 이송되는 판재가 하측으로 낙하되도록 유도하는 낙하 유도부를 포함하며, 상기 낙하 유도부는, 직사각형의 평판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상하 구동부의 전단에 이격되어 수직 방향으로 설치된 차단 플레이트; 상기 차단 플레이트의 양측으로부터 후단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상하 구동부에 연결 설치되는 연결 바아; 및 상기 연결 바아의 하측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레크 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 바아는, 판재의 크기에 대응하여 상기 상하 구동부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구동되어 상기 차단 플레이트와 상기 상하 구동부 간의 이격 거리를 조절하며, 상기 상하 구동부는, 상기 메인 프레임의 내측에 연결 설치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구동 본체; 상기 구동 본체의 전단 하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판재가 적재되어 형성된 판재 뭉치의 하측을 지지하며, 회동하여 판재 뭉치를 하측으로 낙하시키는 지지 바아; 및 상기 구동 본체의 전단에 설치되고, 하측 방향으로 신장 또는 수축하는 피스톤을 구비하며, 상기 피스톤이 하측 방향으로 신장 또는 수축함에 따라 상기 피스톤의 하측에 연결 설치된 상기 지지 바아를 회동시켜 주는 회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낙하 유도부는, 상기 차단 플레이트의 하측에 상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판재 뭉치의 하측을 지지하며, 하부가 하측 방향으로 회동하여 판재 뭉치를 하측으로 낙하시키는 제1 차단 지지 바아; 및 상기 제1 차단 지지 바아가 판재 뭉치의 하측을 지지하고 있는 경우 상기 제1 차단 지지 바아의 내부 공간으로 슬라이딩 인 되어 삽입되며, 상기 제1 차단 지지 바아의 하부가 하측 방향으로 회동할 경우 상기 제1 차단 지지 바아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슬라이딩 아웃 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제2 차단 지지 바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상하 구동부는, 상기 구동 본체의 하측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정 형성되는 기둥부; 상기 기둥부의 전단에 설치되며, 전후 방향의 왕복 운동을 수행하는 정리 피스톤을 구비하는 왕복 구동부; 및 평판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정리 피스톤의 전단에 설치되어 상기 정리 피스톤의 왕복 운동에 따라 전후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판재 뭉치의 흐트러진 면을 쳐서 반듯하게 정리해 주는 정리 평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포장박스 제조용 판재가 낱개로 연속적으로 공급, 인쇄, 절개 및 적재의 공정을 한꺼번에 수행함으로써, 기존 제작 장치에 비하여 양호한 품질의 박스를 제조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절개가 완료된 판재를 안정적으로 적재 및 이동시킴으로써, 이동중 판재가 이동 장치로부터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작업자들로 하여금 안정적인 작업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본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박스 제작용 판재 이송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들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판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도 1의 홈형성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7은 도 1의 적재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1의 적재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는 도 9의 탄성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는 도 10의 지지 기둥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3는 도 11의 십자 탄성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은 도 12의 수직 탄성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박스 제작용 판재 이송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박스 제작용 판재 이송장치(10)는, 홈형성부(100), 이송부(200) 및 적재부(300)를 포함한다.
홈형성부(100)는, 인쇄 공정이 마무리된 박스 제작을 위한 판재(1)를 전달받아 판재(1)에 홈(1b)(도 3 참조)을 형성시킨 뒤 이송부(200)로 전달한다.
여기서, 판재(1)라 함은, 박스 제작을 위해 인쇄 및 재단된 판상의 골판지 등을 지칭하는 것이나, 재질이 골판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박스를 제작하기 위해 그 형태상의 특징을 가지는 것이면 그 명칭에 구애됨이 없이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이송부(200)는, 적재부(300)와 홈형성부(100) 사이에 설치되며, 홈형성부(100)로부터 홈(1b)이 형성된 판재(1)를 전달받아 적재부(300)로 이송시킨다.
적재부(300)는, 이송부(200)로부터 이송되어 오는 판재(1)를 하측에 배치된 이송장치(400)에 적재시킨다.
또한, 적재부(3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장치(400)에 적재되는 판재(1)의 적재 높이가 높아짐에 따라 구동되어 판재(1)가 상하 방향으로 가지런하게 적재되어 판재 뭉치(1a)를 형성하도록 유도한다.
이때, 이송부(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부(300)에 연결 설치된 전단이 적재부(300)가 구동됨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함께 구동되어 판재 뭉치(1a)의 상측면으로 판재(1)가 이동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다기능 박스 제작용 판재 이송장치(10)는, 포장박스 제조용 판재가 낱개로 연속적으로 공급, 인쇄, 절개 및 적재의 공정을 한꺼번에 수행함으로써, 기존 제작 장치에 비하여 양호한 품질의 박스를 제조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홈형성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홈형성부(100)는, 케이스(110), 홈절개부(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 상부 롤러(130), 하부 롤러(140) 및 탈부착 재단부(150)를 포함한다.
케이스(110)는, 홈형성부(100)의 외형을 형성하며, 내부 공간에 홈절개부가 설치되고, 판재(1)가 배출되는 출구에 상부 롤러(130) 및 하부 롤러(140)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홈절개부는, 케이스(110)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며, 인쇄 공정이 마무리된 판재(1)를 전달받아 홈을 절개시킨 뒤 케이스(110)의 출구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상부 롤러(130)는, 케이스(110)의 출구 상부에 하부 롤러(140)가 대향하고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하부 롤러(140)는, 상부 롤러(130)의 하측에 대향하고 설치되며, 외주면을 따라 다수 개의 체결홈(141)이 형성되며, 상부 롤러(130)와 함께 회전하면서 상부 롤러(130)와의 대향면으로 판재(1)를 이동시킨다.
일 실시예에서, 하부 롤러(140)는, 외주면에 체결되며, 외측을 따라 스폰지 등의 탄성 재질이 부착되어 판재(1)와의 밀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밀착부(142)를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할 수 있다.
탈부착 재단부(150)는, 하부 롤러(140)에 탈부착 되며, 판재(1) 재단을 위한 절단날을 외측면에 구비한다.
즉, 탈부착 재단부(150)는, 홈절개부에 의하여 절개되는 홈 이외에 추가적으로 필요로 하는 홈을 재단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하부 롤러(140)에 부착시켜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탈부착 재단부(150)는, 체결부(151), 관통홈(152), 밀착부(153) 및 절단날(154)를 포함할 수 있다.
체결부(151)는, 하부 롤러(140)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볼트 등의 체결수단(155)에 의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롤러(140)에 체결된다.
관통홈(152)은, 볼트 등의 체결수단(155)이 통과될 수 있도록 체결부(151)에서 좌우 방향 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즉, 체결수단(155)은, 관통홈(152)을 통과한 후 체결홈(141)에 체결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관통홈(152)을 체결시키는 것이다.
밀착부(153)는, 스폰지 등과 같은 쿠션감을 형성하는 재질로 형성되며, 재단될 형태에 대응하여 체결부(151)의 외측면에 부착된다.
절단날(154)은, 재단될 형태에 대응하여 밀착부(153)의 중심을 따라 설치되어 하부 롤러(140)가 회전함에 따라 판재(1)에 밀착되어 자신의 형태에 따라 판재(1)를 절단한다.
도 7은 도 1의 적재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적재부(300)는, 메인 프레임(310), 상하 구동부(320) 및 낙하 유도부(330)를 포함한다
메인 프레임(310)은, "П " 형태로 형성되며, 내측 공간에 상하 구동부(320)가 연결 설치되어 적재되는 판재(1)의 양, 즉, 판재 뭉치(1a)의 높이에 대응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상하 구동부(320)는, 메인 프레임(310)의 내측에 연결 설치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며, 이송부(200)의 전단에 연결 설치되며, 도 2에 전술한 바와 같이 적재되는 판재(1)의 높이에 대응하여 이송부(200)의 전단을 상하 방향으로 구동시켜 준다.
일 실시예에서, 상하 구동부(320)는, 구동 본체(321), 지지 바아(322) 및 회동부(323)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 본체(321)는, 메인 프레임(310)의 내측에 연결 설치되어 판재 뭉치(1a)의 높이에 대응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며, 전단 하측에 지지 바아(322)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전단에 회동부(323)의 상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지지 바아(322)는, 구동 본체(321)의 전단 하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판재(1)가 적재되어 형성된 판재 뭉치(1a)의 하측을 지지하며, 회동하여 판재 뭉치(1a)를 하측으로 낙하시킨다.
즉, 지지 바아(322)는, 일정 크기의 판재 뭉치(1a)를 지지하고 있다고 판재 뭉치(1a)가 해당 크기보다 커지면 회동하여 판재 뭉치(1a)를 하측 방향, 즉 이송장치(400)로 낙하시켜 이송장치(400)에 판재 뭉치(1a)가 적재되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지지 바아(322)는, 전단이 피스톤(323a)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피스톤(323a)이 상측 방향으로 구동되면 전단이 들어올려져 판재 뭉치(1a)의 하측을 지지하며, 피스톤(323a)이 하측 방향으로 구동되어 신장되면 전단이 하측 방향으로 회동되어 판재 뭉치(1a)를 하측으로 낙하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차단 플레이트(331)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바아(322)와 동일한 형태의 지지 바아(331a)를 구비하여 지지 바아(322)의 구동에 대응하여 함께 회동하여 판재 뭉치(1a)를 지지하거나, 낙하되도록 할 수 있다.
회동부(323)는, 상측이 구동 본체(321)의 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하측 방향으로 신장 또는 수축하는 피스톤(323a)을 구비하며, 피스톤(323a)이 하측 방향으로 신장 또는 수축함에 따라 피스톤(323a)의 하측에 연결 설치된 지지 바아(322)의 전단을 회동시켜 준다.
낙하 유도부(330)는, "Γ"형태로 형성되어 상하 구동부(320)의 전단에 연결 설치되며, 이송부(200)로부터 이송되는 판재(1)가 하측으로 낙하되도록 유도한다.
일 실시예에서, 낙하 유도부(330)는, 차단 플레이트(331), 연결 바아(332) 및 레크 기어(333)를 포함할 수 있다.
차단 플레이트(331)는, 직사각형의 평판 형태로 형성되며, 양측에 설치된 연결 바아(332)에 의하여 상하 구동부(320)의 전단에 이격되어 수직 방향으로 설치된다.
이때, 차단 플레이트(331)는, 이송부(200)에 의하여 이송된 판재(1)가 관성에 의하여 외부로 날라가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 벽체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차단된 판재(1)가 하측 방향으로 낙하되도록 할 수 있다.
연결 바아(332)는, 차단 플레이트(331)의 양측으로부터 후단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하 구동부(320)에 연결 설치되며, 하측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레크 기어(333)가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연결 바아(332)는, 판재(1)의 크기에 대응하여 상하 구동부(320)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구동되어 차단 플레이트(331)와 상하 구동부(320) 간의 이격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레크 기어(333)는, 연결 바아(332)의 하측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설치된다.
즉, 레크 기어(333)는, 상하 구동부(320)의 내부 공간에 설치된 피니언 기어(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에 맞물려 설치되는 것으로, 피니언 기어의 구동에 따라 구동되어 연결 바아(332)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켜 줄 수 있다.
도 8는 낙하 유도부 및 상하 구동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다른 낙하 유도부(330)는, 차단 플레이트(331), 연결 바아(332), 레크 기어(333), 제1 차단 지지 바아(334) 및 제2 차단 지지 바아(335)를 포함한다. 여기서, 차단 플레이트(331), 연결 바아(332) 및 레크 기어(333)는, 도 3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차단 지지 바아(334)는, 상술한 지지 바아(331a)를 대신하여 설치되는 구성으로서, 차단 플레이트(331)의 하측에 상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판재 뭉치(1a)의 하측을 지지하며, 판재 뭉치(1a)가 일정 높이 이상으로 커지면 하부가 하측 방향으로 회동하여 판재 뭉치(1a)를 하측으로 낙하시키고, 하측 방향으로 회동할 경우 내부 공간에 삽입된 제2 차단 지지 바아(335)을 하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아웃 되도록 구동시켜 전체 길이가 신장되도록 한다.
제2 차단 지지 바아(335)는, 제1 차단 지지 바아(334)가 판재 뭉치(1a)의 하측을 지지하고 있는 경우 제1 차단 지지 바아(334)의 내부 공간으로 슬라이딩 인 되어 삽입되며, 제1 차단 지지 바아(334)의 하부가 하측 방향으로 회동할 경우 제1 차단 지지 바아(334)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슬라이딩 아웃 되어 외부로 노출된다.
즉, 제1 차단 지지 바아(334)와 제2 차단 지지 바아(335)는, 판재 뭉치(1a)의 전면을 지지하는 지지 바아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후술하는 정리 평판부(326)에 의하여 판재 뭉치(1a)가 타격되는 경우 판재 뭉치(1a)가 움직이는 것을 저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도 8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하 구동부(320)는, 구동 본체(321), 지지 바아(322), 회동부(323), 기둥부(324), 왕복 구동부(325) 및 정리 평판부(326)를 포함한다. 여기서, 구동 본체(321), 지지 바아(322) 및 회동부(323)는, 도 7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기둥부(324)는, 구동 본체(321)의 하측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정 형성되고, 전단에 왕복 구동부(325)가 설치된다.
왕복 구동부(325)는, 기둥부(324)의 전단에 설치되며, 전후 방향의 왕복 운동을 수행하는 정리 피스톤(325a)을 구비한다.
정리 평판부(326)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며, 정리 피스톤(325a)의 전단에 설치되어 정리 피스톤(325a)의 왕복 운동에 따라 전후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판재 뭉치(1a)의 흐트러진 면을 쳐서 반듯하게 정리해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낙하 유도부 및 상하 구동부의 다른 실시예에 따를 경우, 단순히 판재의 적재를 유도하는 구성에서 나아가, 적재된 판재 뭉치(1a)를 가지런하게 정리정돈시킴으로써, 작업자의 작업 효율성을 향상시켜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동시 판재 뭉치(1a)가 흐트러져 무너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이송장치(400)는, 상측에 판재(1)를 적재시키는 상판(410), 상판(410)의 하측에 충격 흡수부(500)에 의하여 이격되어 설치되는 하판(420), 하판(420)의 하측에 각 모서리에 설치되는 바퀴(430) 및 상판(410)과 하판(420) 사이에 설치되어 낙하하는 판재(1)의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 흡수부(500)를 포함한다.
즉, 이송장치(400)는, 판재(1)가 낙하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낙하하는 판재(1)를 적재시킨 뒤, 적재된 판재 뭉치(1a)를 다음 공정이 이루어지는 장소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으로서 기능을 수행한다.
도 10는 도 9의 탄성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를 참조하면, 충격 흡수부(500)는, 받침 프레임(540), 네 개의 받침 플레이트(510), 네 쌍의 지지 프레임(520) 및 지지 기둥(530)을 포함한다.
받침 프레임(540)은, 하측에 설치된 받침 플레이트(510)에 의하여 지지되며,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판(410)을 지지한다.
받침 플레이트(510)는, 상측에 안착된 받침 프레임(540)을 지지하며, 하측에 연결 설치된 지지 프레임(520)에 의하여 지지 기둥(530)에서 지지된다.
즉, 받침 플레이트(510)는, 상측에 받침 프레임(540)을 안착시키게 되고, 받침 프레임(540)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 등에 대응하여 탄성력에 의하여 좌우 방향(즉, 제1 프레임(521a)) 또는 상하 방향(즉, 제2 프레임(521b))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게 되는 지지 프레임(520)에 의하여 흡수되도록 함으로써 진동 또는 충격을 감쇄시키게 되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제1 프레임(521a) 또는 제2 프레임(521b)의 길이를 다양하게 형성시킴으로써, 단순히 상하 방향의 높이만을 조절하여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는 기존의 탄성체의 한계를 극복하여 받침 플레이트(510)에 의한 지지 위치를 상하 방향뿐만 아니라 좌우 방향으로도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지지 프레임(520)은, 네 개의 받침 플레이트(510)의 각각의 하부에 제1 프레임(521a) 및 제2 프레임(521b)의 두 개의 프레임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플레이트(510)를 지지하고,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프레임(521a) 또는 제2 프레임(521b)의 길이를 조절하여 플레이트(510)에 의한 받침 프레임(540)의 지지 위치를 결정한다.
이때, 제1 프레임(521a) 및 제2 프레임(521b)의 상부는 받침 플레이트(510)의 하부에 연결 설치되고, 제1 프레임(521a)의 하부는 지지 기둥(530)의 상측면에 회동 및 수평 방향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제2 프레임(521b)의 하부는 지지 기둥(530)의 일 측면에 회동 및 수직 방향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즉, 제1 프레임(521a) 또는 제2 프레임(521b)은, 지지 기둥(530)의 상측면 또는 일측면에서 탄성력에 의한 회동 또는 슬라이딩 이동을 통하여 받침 플레이트(510)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지지 기둥(530)으로 전달하게 된다.
지지 기둥(530)은, 사각 기둥 형태로 형성되며, 제1 프레임(521a)의 하부가 상측면에 회동 및 수평 방향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제2 프레임(521b)의 하부가 일 측면에 회동 및 수직 방향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하며, 제1 프레임(521a) 또는 제2 프레임(521b)의 슬라이딩 이동 시 탄성력(즉, 십자 탄성부(533) 또는 수직 탄성부(535))을 통해 진동 또는 충격을 흡수시킨다.
각각의 받침 플레이트(510) 또는 지지 프레임(520)는, 서로 대칭 구조로서 동일한 방법에 의하여 구동되는 바, 상술한 바와 같은 일 받침 플레이트(510) 또는 일 지지 프레임(520)에 관하여 기술한 내용은 다른 받침 플레이트(510) 또는 다른 지지 프레임(520)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바, 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충격 흡수부(500)는, 상하 대칭 구조로도 형성될 수 있는 바, 도 10의 경우에는 지지 기둥(530)의 상부에만 각각의 구성이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상술한 바와 같은 네 개의 받침 플레이트(510) 및 네 쌍의 지지 프레임(520)과 관련된 구성은 지지 기둥(530)의 하부에 동일하게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충격 흡수부(500)는, 탄성력을 이용하여 판재(1)가 적재된 상판(410)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 등을 흡수함으로써, 작업자가 이송장치(400)를 이용하여 판재(1)를 이동하는 경우 판재(1)가 흔들려 넘어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는 도 10의 지지 기둥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지지 기둥(530)은, 기둥 바디(531), 십자홈(532), 십자 탄성부(533), 네 개의 수직홈(534)(도 10 참조) 및 네 개의 수직 탄성부(535) (도 14 참조)를 포함한다.
기둥 바디(531)는, 사각 기둥 형태로 형성되고, 상부에 십자홈(532)이 형성되며, 각 측면에 수직홈(534)이 형성된다.
십자홈(532)은, 기둥 바디(531)의 상부에 "+"형태로 함몰 형성되고, 내부 공간에 십자 탄성부(533)가 삽입 설치된다.
십자 탄성부(533)는, 십자홈(532)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십자홈(532)에 삽입되며, 네 개의 가지의 말단 상부에 제1 프레임(521a)의 하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제1 프레임(521a)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흡수시켜 진동 또는 충격을 감쇄시킨다.
수직홈(534)은, 기둥 바디(531)의 각 면에 상하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고, 내부 공간에 수직 탄성부(535)가 삽입 설치된다.
수직 탄성부(535)는, 수직홈(534)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수직홈(534)에 삽입되며, 상부 외측에 제2 프레임(521b)의 하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제2 프레임(521b)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흡수시켜 진동 또는 충격을 감쇄시킨다.
도 13는 도 11의 십자 탄성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를 참조하면, 십자 탄성부(533)는, 십자 케이스부(5331), 상부 지지부(5332), 네 개의 상부 탄성부(5333), 네 개의 상부 탄성 지지부(5334) 및 네 개의 상부 연결 링크부(5335)를 포함한다.
십자 케이스부(5331)는, 내부 공간이 빈 "+" 형태로 형성되어 십자홈(532)에 삽입 설치되고, 내부 공간에 후술하는 상부 지지부(5332), 네 개의 상부 탄성부(5333), 네 개의 상부 탄성 지지부(5334)가 설치된다.
이때, 십자 케이스부(5331)의 각 가지의 길이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십자홈(532)의 각 가지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됨으로써, 십자 케이스부(5331)의 외측에 형성되는 공간에 상부 연결 링크부(5335)가 배치되고 슬라이딩 이동을 위한 공간을 형상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상부 지지부(5332)는, 정육면체로 형성되며, 십자 케이스부(5331)의 중심 부분에 배치되고, 각 4면의 외측에 상부 탄성부(5333)가 배치되도록 하고 상부 탄성부(5333)를 지지하게 된다.
상부 탄성부(5333)는, 상부 지지부(5332)의 각 측면에 배치되어 상부 탄성 지지부(5334)를 탄성력에 의하여 지지함으로써, 상부 탄성 지지부(5334)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 등을 흡수하게 된다.
상부 탄성 지지부(5334)는, 십자 케이스부(5331)의 내부 공간의 각 가지의 말단에 각각 배치되며, 상부 탄성부(5333)의 탄성력에 의하여 지지되고, 상부 연결 링크부(5335) 사이에 설치된 지지 바아(5336)에 의하여 상부 연결 링크부(5335)를 지지한다.
상부 연결 링크부(5335)는, 십자홈(532)의 각 가지의 말단에 각각 배치되고, 십자 케이스부(5331)와 대향하는 일 측면과 상부 탄성 지지부(5334) 사이에 설치되는 지지 바아(5336)에 의하여 기 설정된 간격으로 유지되고, 상부에 제1 프레임(521a)의 하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플레이트(510)의 상하 방향의 이동에 따라 십자홈(532)의 각각의 가지가 만나는 중심 방향으로 십자홈(532)의 홈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한다.
도 14은 도 12의 수직 탄성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을 참조하면, 수직 탄성부(535)는, 수직 케이스부(5341), 측면 지지부(5342), 측면 탄성부(5343), 측면 탄성 지지부(5344) 및 측면 연결 링크부(5345)를 포함한다.
수직 케이스부(5341)는, 내부 공간이 빈 수직홈(534)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 공간의 하측으로부터 측면 지지부(5342), 측면 탄성부(5343) 및 측면 탄성 지지부(5344)가 순서대로 설치된다.
측면 지지부(5342)는, 정육면체로 형성되며, 수직 케이스부(5341)의 하부 공간에 배치되고, 상측에 측면 탄성부(5343)가 배치되어 측면 탄성부(5343)를 지지한다.
측면 탄성부(5343)는, 측면 지지부(5342)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측에 배치된 측면 탄성 지지부(5344)를 탄성력에 의하여 지지함으로써, 측면 탄성 지지부(5344)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 등을 흡수하게 된다.
측면 탄성 지지부(5344)는, 수직 케이스부(5341)의 내부 공간의 상측에 배치되며, 측면 탄성부(5343)의 탄성력에 의하여 지지되고, 측면 연결 링크부(5345) 사이에 설치된 지지 바아(5346에 의하여 측면 연결 링크부(5345)를 지지한다.
측면 연결 링크부(5345)는, 수직홈(534)의 상부 말단에 배치되고, 수직 케이스부(5341)와 대향하는 하측면과 측면 탄성 지지부(5344)의 상측면 사이에 설치되는 지지 바아(5346)에 의하여 기 설정된 간격으로 유지되고, 외측면에 제2 프레임(521b)의 하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수직홈(534)의 하측 방향으로 수직홈(534)의 홈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박스 제작용 판재 이송장치는 구조물에 균열이 발생될 경우 균열이 발생된 곳에 충전하여 보수하기 위한 아크릴바인더를 포함하는 건축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구조물이라 함은, 홈형성부(100)가 이에 해당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을 이루는 각각의 구성 모두가 이에 해당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종래 존재하던 건축 구조물을 보수하기 위한 조성물에 있어서 내수성, 방수성 및 내균열성이 모두 향상된 조성물 중 만족할 만한 효과를 발휘하는 조성물이 존재하지 않는 다는 것을 발견하여, 예의 노력한 끝에 본 발명과 같이 내수성, 방수성 및 내균열성 모두 만족할 만한 효과를 발휘하는 조성물을 발명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아크릴바인더는 아크릴 에스테르 코폴리머(acrylic ester copolymer)일 수 있다. 상기 아크릴 에스테르 코폴리머는 CAS 번호(CAS number)가 30445-28-4인 아크릴 에스테르 코폴리머일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건축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에 첨가할 수 있는 다양한 화합물을 탐색하던 중 조성물이 상기 아크릴 에스테르 코폴리머를 포함하는 경우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인 내수성 및 내균열성을 모두 달성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서 상기 조성물은 상기 아크릴바인더는 10 내지 50 중량부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40 중량부 포함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0 중량부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은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중 특히 방수성 및 내수성을 달성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EVA 바인더, 부틸셀로솔브(butyl cellosolve), 로진, 텍사놀 및 프로필렌글리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EVA 바인더는 바람직하게,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thylene vinyl acetate)이며, CAS 번호는 24937-78-8 인 화합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부틸셀로솔브(butylcellosolve)는 CAS 번호 111-76-2인 화합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로진(rosin)은 송진을 증류하여 얻는 천연 수지를 의미하며, 상업적으로 판매하고 있는 로진이라면 어떠한 종류의 로진이라도 본 발명의 과제 해결을 위한 구성으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텍사놀(TEXANOL)은 CAS 번호 25265-77-4인 화합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은 CAS 번호 57-55-6인 화합물일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아크릴바인더를 포함하는 건축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의 구성으로서 EVA 바인더, 부틸셀로솔브(butyl cellosolve), 로진, 텍사놀 및 프로필렌글리콜을 더 포함시키는 경우 특히 내수성의 효과가 향상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EVA 바인더 0.01 내지 10 중량부, 부틸셀로솔브(butyl cellosolve) 0.01 내지 5 중량부, 로진 0.01 내지 5 중량부, 텍사놀 0.01 내지 5 중량부 및 프로필렌글리콜 0.01 내지 3 중량부 포함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자들은 상기 조성물에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및 2-메틸아미노-2-메틸-1-프로판올이 추가로 포함되는 경우 내수성의 효과가 현저하게 향상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즉, 상기 아크릴바인더가 포함된 건축 보수용 조성물에 EVA 바인더, 부틸셀로솔브(butyl cellosolve), 로진, 텍사놀 및 프로필렌글리콜, 그리고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및 2-메틸아미노-2-메틸-1-프로판올이 추가로 포함되는 경우 향상된 방수성 및 내수성 확인을 통해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에서 상기 조성물은 상기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및 2-메틸아미노-2-메틸-1-프로판올을 15 내지 20 : 1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16 내지 20 : 1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 17 내지 20 : 1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및 2-메틸아미노-2-메틸-1-프로판올은 상기 조성물에 0.1 내지 5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조성물이 본 발명이 달성하고자 하는 과제 중 특히 내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상기 아크릴바인더가 포함된 건축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은 에틸렌글리콜, 부틸셀로솔브(butyl cellosolve), 칼슘 카보네이트, 티타늄디옥사이드 및 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조성물이 뛰어난 방수성 및 내수성 효과를 갖는다면, 본 조성물은 내균열성이 향상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틸셀로솔브는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에틸렌글리콜(ethylene glycol)은 CAS 번호가 107-21-1인 화합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칼슘 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는 CAS 번호가 1317-65-3인 화합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티타늄 디옥사이드(titanium dioxide)는 CAS 번호가 13463-67-7인 화합물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에틸렌글리콜 0.01 내지 5 중량부, 부틸셀로솔브(butyl cellosolve) 0,01 내지 5 중량부, 칼슘 카보네이트 20 내지 50 중량부, 티타늄디옥사이드 0.01 내지 5 중량부 및 물 0.01 내지 10 중량부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내균열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구성을 탐색하던 중 천연 추출물에서 그 아이디어를 구체화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조성물에 아마씨 점액 또는 아마씨 점액 추출물이 추가로 포함되는 경우 내균열성의 효과가 현저하게 향상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즉, 상기 아크릴바인더가 포함된 건축 보수용 조성물에 에틸렌글리콜, 부틸셀로솔브(butyl cellosolve), 칼슘 카보네이트, 티타늄디옥사이드 및 물, 그리고 아마씨 점액 또는 아마씨 점액 추출물이 추가로 포함되는 경우 향상된 내균열성 확인을 통해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아마(flax)는 쌍떡잎식물 쥐손이풀목 아마과의 한해살이풀로서 씨는 납작하고 긴 타원 모양이며 노란빛을 띤 갈색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아마씨 점액은 다양한 방법을 통해 제조할 수 있지만, 예시적으로 스크래퍼(scraper)를 이용하여 아마씨로부터 점액질을 긁어내어 아마씨 점액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아마씨 점액 추출물은 예시적으로 다음과 같이 제조될 수 있다.
아마씨 1 g을 정제수 50L에 넣고, 25℃에서 5시간 동안 교반 후, 300메쉬 여과포로 여과한 후, 여액에 동량의 알코올,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을 첨가하여 침전시킨 후 와트만 여과지, 예를 들어 와트만 여과지 NO. 5를 이용하여 여과한 후 건조하여 백색의 파우더 형태를 얻을 수 있다.
종래 아마씨의 용도로서 다양한 용도가 알려져 있으나, 본 발명에서와 같이 건축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에 포함시켜 내균열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확인한 바는 현재까지 알려진 바 없으며, 연구도 미미한 실정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상기 아마씨 점액 또는 아마씨 점액 추출물을 1 내지 10 중량부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축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의 기본 물성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분산제, 소포제, 항균제, 방부제, 동결 방지제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S1) 건축 구조물의 표면의 열화부를 제거하는 단계; 및 S2) 상기 열화부가 제거된 상기 건축 구조물의 표면 상부에 상기 건축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을 도포 및 건조하여 균열 보수막을 형성하는 단계에 의하여 구조물의 균열 보수를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와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재료 준비
하기 실시예 및 평가예를 위한 건축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에 사용된 주요 원료의 정보는 아래와 같다.
1) 아크릴바인더: 아크릴 에스테르 코폴리머(Acrylic ester copolymer) CAS NO 30445-28-4
2) EVA 바인더: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thylene vinyl acetate) CAS NO 24937-78-8
3) 부틸셀로솔브(butylcellosolve): CAS NO 111-76-2
4) 텍사놀(TEXANOL): CAS NO 25265-77-4
5)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CAS NO 57-55-6
6) 에틸렌글리콜(ethylene glycol): CAS NO 107-21-1
7) 칼슘 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CAS NO 1317-65-3
8) 티타늄 디옥사이드(titanium dioxide): CAS NO 13463-67-7
9)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CAS NO 124-68-5
10) 2-메틸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CAS NO 27646-80-6
11) 아마씨 점액
스크래퍼를 이용하여 아마씨로부터 점액질을 긁어내어 아마씨 점액을 수득하였다.
12) 아마씨 점액 추출물
아마씨 1 g을 정제수 50L에 넣고, 25℃에서 5시간 동안 교반 후, 300메쉬 여과포로 여과한 후, 여액에 동량의 에탄올을 첨가하여 침전시킨 후 와트만 여과지 NO. 5를 이용하여 여과한 후 건조하여 백색의 파우더 약 0.2 g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1
혼합 교반조에 30 중량부의 아크릴바인더를 넣고 600rpm의 속도로 교반하면서 5 중량부의 EVA 바인더, 1 중량부의 부틸셀로솔브, 0.5 중량부의 로진, 0.5 중량부의 텍사놀, 0.1 중량부의 프로필렌글리콜 및 기타 증점보조제, pH조절제 등을 순서대로 서서히 투입한 후 50 중량부의 충진제인 칼슘 카보네이트를 넣고 300rpm의 속도로 상온에서 1시간 교반하여 건축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혼합 교반조에 30 중량부의 아크릴바인더를 넣고 600rpm의 속도로 교반하면서 5 중량부의 EVA 바인더, 1 중량부의 부틸셀로솔브, 0.5 중량부의 로진, 0.5 중량부의 텍사놀, 0.1 중량부의 프로필렌글리콜, 1 중량부의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0.06 중량부의 2-메틸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및 기타 증점보조제, pH조절제 등을 순서대로 서서히 투입한 후 50 중량부의 충진제인 칼슘 카보네이트를 넣고 300rpm의 속도로 상온에서 1시간 교반하여 건축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혼합 교반조에 30 중량부의 아크릴바인더를 넣고 600rpm의 속도로 교반하면서 1 중량부의 에틸렌글리콜, 1 중량부의 부틸셀로솔브, 0.5 중량부의 티타늄디옥사이드, 5 중량부의 물 및 기타 증점보조제, pH조절제 등을 순서대로 서서히 투입한 후 50 중량부의 충진제인 칼슘 카보네이트를 넣고 300rpm의 속도로 상온에서 1시간 교반하여 건축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혼합 교반조에 30 중량부의 아크릴바인더를 넣고 600rpm의 속도로 교반하면서 1 중량부의 에틸렌글리콜, 1 중량부의 부틸셀로솔브, 0.5 중량부의 티타늄디옥사이드, 5 중량부의 물, 5 중량부의 아마씨 점액 및 아마씨 점액 추출물의 혼합물 및 기타 증점보조제, pH조절제 등을 순서대로 서서히 투입한 후 50 중량부의 충진제인 칼슘 카보네이트를 넣고 300rpm의 속도로 상온에서 1시간 교반하여 건축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평가예 1
건축 토목 구조물의 열화부를 제거한 다음, 이 표면상부에 상기 실시예 1 내지 4의 건축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을 각각 도장 및 건조하여 균열 보수막을 형성하였다. 이와 같이 얻어진 균열 보수막의 접착강도, 내균열 안정성 및 미끄럼저항성 및 균열 보수제 조성물의 저장안정성을 KS규격, KSL 1593상의 시험방법에 의거하여 물성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또한, 방수성의 경우 균열 보수막 형성 후 내부로 수분이 흡수되는 정도를 5점 척도법에 의하여 평가하였다. 하기 표 1에서 제품 X는 국내에서 시판되고 있는 B사의 건축 구조물의 건축 구조물 보수용 제품을 나타내며, 이를 실시예 1 내지 4의 조성물과 비교 대상으로 평가하였다.
[표 1]
Figure 112019036951413-pat00001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4의 건축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은 제품 X와 비교하여 내수성, 방수성 및 내균열성이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저장 안정성 및 미끄럼 저항성에 있어서도 문제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본 발명에서 실시예 1, 2는 방수성 및 내수성에서 더 우수한 평가를 받은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실시예 3, 4는 내균열성에서 더 우수한 평가를 받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다기능 박스 제작용 판재 이송장치
100: 홈형성부
110: 케이스
130: 상부 롤러
140; 하부 롤러
150: 탈부착 재단부
200: 이송부
300: 적재부
310: 메인 프레임
320; 상하 구동부
321: 구동 본체
322: 지지 바아
323: 회동부
324: 기둥부
325: 왕복 구동부
326: 정리 평판부
330: 낙하 유도부
331: 차단 플레이트
332: 연결 바아
333: 레크 기어
334: 제1 차단 지지 바아
335: 제2 차단 지지 바아

Claims (2)

  1. 박스 제작을 위한 판재에 홈을 형성시키는 홈형성부를 포함하되,
    상기 홈형성부에 의하여 홈이 형성된 판재를 전달받아 이송시키는 이송부; 및 상기 이송부로부터 이송되어 오는 판재를 적재시키는 적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홈형성부는, 외형을 형성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며, 인쇄 공정이 마무리된 판재를 전달받아 홈을 절개하는 홈절개부; 상기 케이스의 출구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 롤러; 상기 상부 롤러의 하측에 대향하고 설치되며, 상기 상부 롤러와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상부 롤러와의 대향면으로 판재를 이동시키는 하부 롤러; 및 상기 하부 롤러에 탈부착 되며, 판재 재단을 위한 절단날을 외측면에 구비하는 탈부착 재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적재부는, "П " 형태로 형성되는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의 내측에 연결 설치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이송부의 전단에 연결 설치되어 적재되는 판재의 높이에 대응하여 상기 이송부의 전단을 상하 방향으로 구동시켜 주는 상하 구동부; 및 "Γ"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상하 구동부의 전단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이송부로부터 이송되는 판재가 하측으로 낙하되도록 유도하는 낙하 유도부를 포함하며,
    상기 낙하 유도부는, 직사각형의 평판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상하 구동부의 전단에 이격되어 수직 방향으로 설치된 차단 플레이트; 상기 차단 플레이트의 양측으로부터 후단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상하 구동부에 연결 설치되는 연결 바아; 및 상기 연결 바아의 하측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레크 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 바아는, 판재의 크기에 대응하여 상기 상하 구동부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구동되어 상기 차단 플레이트와 상기 상하 구동부 간의 이격 거리를 조절하며,
    상기 상하 구동부는, 상기 메인 프레임의 내측에 연결 설치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구동 본체; 상기 구동 본체의 전단 하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판재가 적재되어 형성된 판재 뭉치의 하측을 지지하며, 회동하여 판재 뭉치를 하측으로 낙하시키는 지지 바아; 및 상기 구동 본체의 전단에 설치되고, 하측 방향으로 신장 또는 수축하는 피스톤을 구비하며, 상기 피스톤이 하측 방향으로 신장 또는 수축함에 따라 상기 피스톤의 하측에 연결 설치된 상기 지지 바아를 회동시켜 주는 회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낙하 유도부는, 상기 차단 플레이트의 하측에 상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판재 뭉치의 하측을 지지하며, 하부가 하측 방향으로 회동하여 판재 뭉치를 하측으로 낙하시키는 제1 차단 지지 바아; 및 상기 제1 차단 지지 바아가 판재 뭉치의 하측을 지지하고 있는 경우 상기 제1 차단 지지 바아의 내부 공간으로 슬라이딩 인 되어 삽입되며, 상기 제1 차단 지지 바아의 하부가 하측 방향으로 회동할 경우 상기 제1 차단 지지 바아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슬라이딩 아웃 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제2 차단 지지 바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상하 구동부는, 상기 구동 본체의 하측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정 형성되는 기둥부; 상기 기둥부의 전단에 설치되며, 전후 방향의 왕복 운동을 수행하는 정리 피스톤을 구비하는 왕복 구동부; 및 평판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정리 피스톤의 전단에 설치되어 상기 정리 피스톤의 왕복 운동에 따라 전후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판재 뭉치의 흐트러진 면을 쳐서 반듯하게 정리해 주는 정리 평판부를 더 포함하는, 다기능 박스 제작용 판재 이송장치.

  2. 삭제
KR1020190042235A 2019-04-11 2019-04-11 다기능 박스 제작용 판재 이송장치 KR1020006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2235A KR102000656B1 (ko) 2019-04-11 2019-04-11 다기능 박스 제작용 판재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2235A KR102000656B1 (ko) 2019-04-11 2019-04-11 다기능 박스 제작용 판재 이송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0656B1 true KR102000656B1 (ko) 2019-07-16

Family

ID=67474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2235A KR102000656B1 (ko) 2019-04-11 2019-04-11 다기능 박스 제작용 판재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065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9510B1 (ko) * 2020-09-10 2021-01-06 이준렬 박스 이송장치
CN114380066A (zh) * 2022-03-23 2022-04-22 山东小鸭集团洗涤机械有限公司 一种洗衣机生产用码放装置
CN115196362A (zh) * 2022-07-14 2022-10-18 山东天合堂食品股份有限公司 一种速冻饺子皮自动制皮包装生产线
KR102659454B1 (ko) * 2023-05-03 2024-04-19 이진규 합지기 및 이를 이용한 종이 패키지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4930U (ja) * 1992-06-09 1994-04-05 株式会社林鉄工所 長尺物包装用段ボールシート加工機
KR970039176A (ko) 1995-12-30 1997-07-24 한승준 자동차용 간이 단말기 기능을 갖는 터칭박스
KR101423958B1 (ko) 2012-02-22 2014-08-07 (주)성산 박스 제조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4930U (ja) * 1992-06-09 1994-04-05 株式会社林鉄工所 長尺物包装用段ボールシート加工機
KR970039176A (ko) 1995-12-30 1997-07-24 한승준 자동차용 간이 단말기 기능을 갖는 터칭박스
KR101423958B1 (ko) 2012-02-22 2014-08-07 (주)성산 박스 제조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9510B1 (ko) * 2020-09-10 2021-01-06 이준렬 박스 이송장치
CN114380066A (zh) * 2022-03-23 2022-04-22 山东小鸭集团洗涤机械有限公司 一种洗衣机生产用码放装置
CN115196362A (zh) * 2022-07-14 2022-10-18 山东天合堂食品股份有限公司 一种速冻饺子皮自动制皮包装生产线
CN115196362B (zh) * 2022-07-14 2023-11-10 山东天合堂食品股份有限公司 一种速冻饺子皮自动制皮包装生产线
KR102659454B1 (ko) * 2023-05-03 2024-04-19 이진규 합지기 및 이를 이용한 종이 패키지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0656B1 (ko) 다기능 박스 제작용 판재 이송장치
KR101989190B1 (ko) Cnc장비용 클램핑 장치
KR101996803B1 (ko) 건물 신축 공사용 철근 절곡을 위한 밴딩 방법 및 장치
KR101989191B1 (ko) 그릇 도색 장치
EP2411483B1 (de) Emulsionsbasierte reinigungszusammensetzung für ölfeldanwendungen
ES2391866T3 (es) Tereftalatos como plastificantes en composiciones poliméricas de acetato de vinilo
CN104924344B (zh) 用于茯苓快速切丁的设备
US11584876B2 (en) Additive to improve cold temperature properties in oil-based fluids
RU2017124159A (ru) Клей для конечной отделки шва
US11225437B2 (en) Latex-based formulations for coating and sculpting applications
KR102015416B1 (ko) 물류 이송 장치
RU2016149321A (ru) Термопластичный полиуретан
KR102031242B1 (ko) 제단장치
KR101999217B1 (ko) 프레스 장치
KR102003032B1 (ko) 철거 작업용 비계
KR102001474B1 (ko) 자동차 부품 보관 창고
RU2017144891A (ru) Шовный герметик высыхающего типа с нанесением распылением и его использование в способе монтажа стен, а также способ приготовления шовного герметика для нанесения распылением
CN206855661U (zh) 一种用于竹条加工的精准切割装置
KR102021460B1 (ko) 판재 홈 형성 장치
CN108162487A (zh) 一种可自动卸料的纸板切槽机构
KR102016316B1 (ko) 다기능 절단 장치
KR102008511B1 (ko) 파이프 클램핑 장치
KR102014414B1 (ko) 파이프 밴딩 장치
CN115008562B (zh) 一种木材加工用开榫设备
RU2009146948A (ru) Связка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алмазного инструмент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