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6803B1 - 건물 신축 공사용 철근 절곡을 위한 밴딩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건물 신축 공사용 철근 절곡을 위한 밴딩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6803B1
KR101996803B1 KR1020190037628A KR20190037628A KR101996803B1 KR 101996803 B1 KR101996803 B1 KR 101996803B1 KR 1020190037628 A KR1020190037628 A KR 1020190037628A KR 20190037628 A KR20190037628 A KR 20190037628A KR 101996803 B1 KR101996803 B1 KR 1019968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nding
frame
plate
reinforcing ba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76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강호
Original Assignee
이강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강호 filed Critical 이강호
Priority to KR10201900376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68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68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68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7/00Bending rods, profiles, or tubes
    • B21D7/02Bending rods, profiles, or tubes over a stationary forming member; by use of a swinging forming member or abutment
    • B21D7/024Bending rods, profiles, or tubes over a stationary forming member; by use of a swinging forming member or abutment by a swinging forming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003Position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6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 B66F7/065Scissor linkages, i.e. X-configu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6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 B66F7/08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oper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 신축 공사 현장이나 작업 현장 등을 위한 건설 공사 공법에 있어서 작업자의 필요에 따라 철근이나 파이프를 다양한 형태로 절곡할 수 있도록 구현한 건물 신축 공사용 철근 절곡을 위한 밴딩 장치에 관한 것으로, 건물 신축공사 현장에 구비되어 건설 공사에 사용되는 철근을 건설 공사에 참여하는 작업자의 필요에 따라 절곡시키는 건물 신축 공사용 철근 절곡을 위한 밴딩 장치에 있어서, 상측에 원호 형상의 가이드홀이 형성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홀을 따라 왕복 이동되게 구동되면서 상기 본체부의 상측에 안착된 철근을 건설 공사에서 필요로 하는 형태로 밴딩하는 밴딩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건물 신축 공사용 철근 절곡을 위한 밴딩 방법 및 장치{DEVICE AND METHOD FOR BENDING STEEL BARS FOR BUILDING CONSTRUCTION}
본 발명은 건물 신축 공사용 철근 절곡을 위한 밴딩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 신축 공사 현장이나 작업 현장 등을 위한 건설 공사 공법에 있어서 작업자의 필요에 따라 철근이나 파이프를 다양한 형태로 절곡할 수 있도록 구현한 건물 신축 공사용 철근 절곡을 위한 밴딩 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설 현장에서 철근을 콘크리트 속에 묻어서 콘크리트를 보강하는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을 시공할 때 콘크리트 작업 전에 기초공사로 철근 구조물이 설치되는데, 이러한 철근 구조물은 일정한 길이와 직경을 갖는 철근들을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교차 배열시킨 상태에서 위치를 고정시키는 것이며, 이후 철근 구조물을 기초골격으로 하여 그 위에 콘크리트를 타설함으로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을 시공하게 된다.
이때, 철근은 배근되면서 구조물의 모서리 부위나 기둥 부위, 벽면 가장자리 부위 등의 해당 위치에 따라서 필요 부위를 절곡시켜야 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 벽면 가장자리 부위 등에 사용되는 폭고정근은 통상 두 지점의 절곡 부위를 갖는 'ㄷ'자 형상으로 절곡되는데, 이러한 두 지점의 절곡 부위가 직각에 가까울수록 휨에 의해 외측으로 돌출되는 철근 부분이 작아져 두 지점의 바깥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피복치수가 충분하여 시공 하자가 발생되지 않는다.
기존의 건물 신축 공사용 철근 절곡을 위한 밴딩 장치는, 그 형태상의 제약으로 인하여 길이가 긴 형태의 철근은 거치가 힘들었기 때문에 정확한 절곡이 힘들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1996-0007835호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1990-0000212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단일의 작업으로 폭고정근을 가공하며 실질적으로 직각에 가까운 밴딩으로 양호한 품질을 가지므로 각종 건설현장에서 다량으로 필요로 하는 폭고정근의 공급을 용이하게 하여 작업 능률과 가공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건물 신축 공사용 철근 절곡을 위한 밴딩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철근의 길이가 길어 건물 신축 공사용 철근 절곡을 위한 밴딩 장치의 상측에 모두 안착되지 못하여 외부로 노출된 부분이 처짐에 따라 절곡이 필요에 따라 이루어지지 않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건물 신축 공사용 철근 절곡을 위한 밴딩 장치의 높이에 대응하여 높낮이가 조절되어 건물 신축 공사용 철근 절곡을 위한 밴딩 장치의 외부로 노출된 철근을 지지할 수 있는 다기능 승강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신축 공사용 철근 절곡을 위한 밴딩 장치는, 건물 신축공사 현장에 구비되어 건설 공사에 사용되는 철근을 건설 공사에 참여하는 작업자의 필요에 따라 절곡시키는 건물 신축 공사용 철근 절곡을 위한 밴딩 장치에 있어서, 상측에 원호 형상의 가이드홀이 형성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홀을 따라 왕복 이동되게 구동되면서 상기 본체부의 상측에 안착된 철근을 건설 공사에서 필요로 하는 형태로 밴딩하는 밴딩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본체부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홀을 따라 상기 밴딩부가 이동하면서 철근을 밴딩할 시 철근의 밴딩축을 지지하는 고정 지그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 지그부는, 철근을 체결할 수 있도록 철근의 두께에 대응하는 체결홈이 전후 방향으로 형성되고, 철근의 절곡 형태에 대응하여 외주면이 형성되며, 상기 본체부는, 평평한 상측면을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밴딩부의 이동을 유도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의 상측에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상기 가이드홀; 및 상기 하우징의 전단에 설치되어 철근의 밴딩 시 밴딩되지 아니하는 철근의 후단을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 프레임은, "ㄴ"형태로 전단이 상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며, 절곡된 전단으로 철근을 지지하는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지지 플레이트를 관통하고 삽입되어 상기 지지 플레이트를 상기 하우징의 상측에서 고정시키는 고정핀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의 외부로 노출된 철근의 일부가 처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의 전단에 위치하며 상측에 상기 본체부의 밖으로 노출된 철근을 안착시키는 다기능 운반 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다기능 운반 장치는, 상측면에 철근을 안착시키는 상판; 상기 상판의 상측에 설치되어 철근이 움직이지 못하도록 체결하는 체결 지그; 상기 상판의 하측에 이격되어 배치되는 하판; 및 상기 상판의 일측과 상기 하판의 일측 사이와 상기 상판의 다른 일측과 상기 하판의 다른 일측 사이에 각각 설치되며,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상기 상판을 승강시켜 주거나 하강시켜 주는 승강부를 포함하며, 상기 승강부는, 상기 상판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의 하측을 지지하는 제1 상부 지지부, 및 "ㄱ" 형태로 형성되어 하부가 상기 제1 상부 지지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회동하여 상기 상판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을 체결하는 제2 상부 지지부를 포함하는 상판 체결부; 상기 하판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의 상측에 안착되는 구동부; 하부가 상기 구동부의 상부 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상부가 상기 상판 체결부의 하부 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1 교차 프레임, 및 하부가 상기 구동부의 상부 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상부가 상기 상판 체결부의 하부 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2 교차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교차 프레임과 상기 제2 교차 프레임이 "X" 형태로 교차 연결되어 상기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상기 제1 교차 프레임 또는 상기 제2 교차 프레임의 하측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상판을 승강시켜 주거나 하강시켜 주는 구동 프레임; 및 "ㄴ" 형태로 형성되어 상부가 상기 구동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회동하여 상기 하판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을 체결하며, 하측에 이동을 위한 바퀴를 구비하는 하판 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는, 전후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박스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1 교차 프레임 또는 상기 제2 교차 프레임의 하부가 삽입되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구동홈이 전단 및 후단에 형성되며, 상기 하판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의 상측에 안착되는 안착부; 상기 안착부의 전단에 형성되는 상기 구동홈의 후단에 설치되며, 직선 왕복 운동을 위해 구비된 피스톤의 전단에 상기 제1 교차 프레임의 하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1 직선 운동부; 및 상기 제1 직선 운동부와 대칭구조로 상기 안착부의 후단에 형성되는 상기 구동홈의 전단에 설치되며, 직선 왕복 운동을 위해 구비된 피스톤의 후단에 상기 제2 교차 프레임의 하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2 직선 운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직선 운동부 또는 상기 제2 직선 운동부는, 상기 구동홈의 단면의 형태에 대응하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는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전단 또는 후단에 좌우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공간을 형성하여 해당 공간에 상기 제1 교차 프레임 또는 상기 제2 교차 프레임의 하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도록 하는 원판 형태의 두 개의 회동 원판을 구비하는 회동 연결부가 상기 피스톤의 전단 또는 후단에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단일의 공정으로 품질이 우수한 폭고정근을 가공함으로써, 각종 건설현장에서 다량으로 필요로 하는 폭고정근을 비롯한 절곡되는 철근을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철근의 길이가 길어 건물 신축 공사용 철근 절곡을 위한 밴딩 장치의 상측에 모두 안착되지 못하여 외부로 노출된 부분을 지지함으로써, 철근의 일부분이 처짐에 따라 절곡이 필요에 따라 이루어지지 않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다기능 운반 장치의 상판이 파손되어 낙하하는 경우 탄성력을 이용하여 낙하하는 상판)을 지지함으로써 철근으로 전달되는 충격을 최소화시킴으로써 철근의 손상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신축 공사용 철근 절곡을 위한 밴딩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본체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고정 지그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철근의 밴딩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물 신축 공사용 철근 절곡을 위한 밴딩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다기능 운반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승강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상판 체결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2은 도 7의 구동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3은 도 6의 탄성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 및 도 15는 도 13의 지지 기둥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6은 도 14의 십자 탄성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7은 도 15의 수직 탄성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신축 공사용 철근 절곡을 위한 밴딩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신축 공사용 철근 절곡을 위한 밴딩 장치(10)는, 건물 신축공사 현장에 구비되어 건설 공사에 사용되는 철근을 건설 공사에 참여하는 작업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절곡시키는 장치로서, 본체부(110), 밴딩부(120) 및 고정 지그부(130)를 포함한다.
본체부(110)는,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상측에 원호 형상의 가이드홀(112)이 형성되고, 상측에 밴딩부(120) 및 고정 지그부(130)가 설치된다.
여기서, 가이드홀(112)은 본체부(110)의 상판에 원호 형상의 홀로 구비되어 후술하는 밴딩부(120)가 이동되는 방향과 거리를 안내하는 역할을 하며, 가이드홀(112)을 통해서 본체부(110)의 내부에 구비된 구동수단(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과 연결된 밴딩부(120)가 구동되는 것이다.
밴딩부(120)는, 본체부(110)의 상측에 설치되며, 가이드홀(112)을 따라 왕복 이동되게 구동되면서 본체부(110)의 상측에 안착된 철근(1)을 밴딩한다.
일 실시예에서, 밴딩부(120)는, 철근(1)을 눌러주는 상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 롤러로 형성됨으로써, 철근(1)을 눌러주면서 철근(1)을 따라 회전하여 철근(1)과의 마찰을 최소화시켜 줄 수 있다.
고정 지그부(130)는, 본체부(110)의 상측에 설치되며, 가이드홀(112)을 따라 밴딩부(120)가 이동하면서 철근(1)을 밴딩할 시 철근(1)의 밴딩축(1a)을 지지한다(도 4 참조).
일 실시예에서, 고정 지그부(130)는, 철근(1)을 체결할 수 있도록 철근(1)의 두께에 대응하는 체결홈(131)이 전후 방향으로 형성되고, 철근(1)의 절곡 형태에 대응하여 외주면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 지그부(1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밴딩되는 철근(1)의 밴딩축(1a)의 형태에 대응하여 지름이 다양하게 제작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단순히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사각기둥 또는 오각기둥 등과 같은 다각기둥 형태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건물 신축 공사용 철근 절곡을 위한 밴딩 장치(10)는, 단일의 공정으로 품질이 우수한 폭고정근을 가공함으로써, 각종 건설현장에서 다량으로 필요로 하는 폭고정근을 비롯한 절곡되는 철근을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본체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체부(110)는, 하우징(111), 가이드홀(112) 및 지지 프레임(113)을 포함한다.
하우징(111)은, 평평한 상측면을 형성하며, 상측에 가이드홀(112)이 형성되고, 지지 프레임(113)이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하우징(111)의 정면에는 철근(1)의 절곡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노브(114, 115)들이 구비되는데, 이 조절노브(114, 115)를 수평으로 이동시켜 위에 눈금 표시된 각도에 맞추면 자동으로 밴딩부(120)의 회전각이 조절되어 원하는 각도로 철근(1)이 절곡되게 된다.
더욱이, 조절노브(114, 115)는 상하 한쌍으로 구성되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은 한 번의 조절 세팅으로 절곡각이 다른 2개의 연속 절곡 작업이 가능하다. 즉, 이러한 조절노브(114, 115)들은 각각 연결되는 작동스위치를 선택적으로 조작함으로써, 'ㄴ'자(도 4의 (b)) 또는 'ㄷ'자(도 4의 (c)) 형상의 철근(1)을 선택적으로 얻을 수 있도록 밴딩부(120)의 회전각에 따른 이동 거리를 조절하게 된다.
가이드홀(112)은, 밴딩부(120)의 이동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하우징(111)의 상측에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다.
지지 프레임(113)은, 하우징(111)의 전단에 설치되어 철근(1)의 밴딩 시 밴딩되지 아니하는 철근(1)의 후단을 지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지지 프레임(113)은, 지지 플레이트(113a) 및 고정핀(113b)을 포함한다.
지지 플레이트(113a)는, "ㄴ"형태로 전단이 상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며, 절곡된 전단으로 철근(1)을 지지한다.
고정핀(113b)은, 지지 플레이트(113a)를 관통하고 삽입되어 지지 플레이트(113a)를 하우징(111)의 상측에서 고정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체부(110)는, 외면 일측에는 전원스위치를 비롯한 작동스위치가 구비되는 조작패널(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이 구비되며, 필요에 따라 작동스위치는 조작의 편리성을 위해서 발로 조작하는 풋스위치로 구비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건물 신축 공사용 철근 절곡을 위한 밴딩 장치에 의한 철근(1)의 절곡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건물 신축 공사용 철근 절곡을 위한 밴딩 장치(10)는, 1) 우선 철근(1)을 고정 지그부(130)에 체결되면(도 4의 (a)), 2) 밴딩부(120)가 구동되어 1차적으로 설정된 값(예를 들어, 90° 등)에 따라 철근(1)이 밴딩되며(도 4의 (b)), 3) 만일, 2차적으로 설정된 값(예를 들어, 180° 등)이 있는 경우 밴딩부(120)가 보다 구동되어 철근(1)을 마저 밴딩(도 4의 (c))하게 되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물 신축 공사용 철근 절곡을 위한 밴딩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물 신축 공사용 철근 절곡을 위한 밴딩 장치(10a)는, 본체부(110), 밴딩부(120), 고정 지그부(130) 및 다기능 운반 장치(20)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체부(110), 밴딩부(120) 및 고정 지그부(130)는, 도 1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다기능 운반 장치(20)는, 본체부(110)의 외부로 노출된 철근(1)의 일부가 처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본체부(110)의 전단에 위치하며 상측에 본체부(110)의 밖으로 노출된 철근(1)을 안착시킨다.
일 실시예에서, 다기능 운반 장치(2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높낮이가 필요에 따라 자유롭게 조절될 수 있어서, 본체부(110)의 높이에 대응하여 높이가 조절됨으로써 본체부(110)와의 평면을 형성시켜 철근(1)이 중간에 휘어짐이 없이 본체부(110)까지 안착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건물 신축 공사용 철근 절곡을 위한 밴딩 장치(10a)는, 철근의 길이가 길어 건물 신축 공사용 철근 절곡을 위한 밴딩 장치의 상측에 모두 안착되지 못하여 외부로 노출된 부분이 처짐에 따라 절곡이 필요에 따라 이루어지지 않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건물 신축 공사용 철근 절곡을 위한 밴딩 장치의 높이에 대응하여 높낮이가 조절되어 건물 신축 공사용 철근 절곡을 위한 밴딩 장치의 외부로 노출된 철근을 지지할 수 있는 다기능 운반 장치(20)를 구비함으로써, 철근의 밴딩시 철근이 처짐에 따른 밴딩 정확도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도 5의 다기능 운반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다기능 운반 장치(20)는, 상판(310), 하판(320), 체결 지그(330) 및 승강부(400)를 포함한다.
상판(310)은, 상측면에 철근(1)을 안착시키며, 양측에 설치되는 승강부(400)에 의하여 하판(320)의 상측에 이격되어 설치되며, 승강부(400)의 구동에 따라 하판(320)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승강되거나 하판(320) 방향으로 하강된다.
그리고, 상판(310)은, 단순히 상측면에 철근(1)을 안착시킬 경우 고정 수단이 없이 밴딩에 따라 철근(1)이 움직일 수 있는 바, 철근을 상측면에 고정하기 위한 체결 지그(330)가 상측에 설치된다.
즉, 상판(310)은, 그 높이가 고정되는 하판(320)과는 달리, 작업자의 작업 필요성, 즉 본체부(110)의 높이에 대응하여 높낮이가 자유롭게 조절될 수 있는 선반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하판(320)은, 양측에 설치되는 승강부(400)에 의하여 상측에 상판(310)이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판(310)과의 사이 공간을 형성하여 추가적인 물건을 적재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즉, 기존의 승하강 기능을 구비한 선반의 경우에는, 승하강 구동장치가 하판의 일반적으로 설치되어 상판의 상측에만 물건을 안착시킬 수 있었던 것에 반하여, 반 발명에서는 상판(310)의 상측뿐만 아니라, 하판(320)의 상측에도 공간을 형성하여 추가적인 적재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체결 지그(330)는, 상판(310)의 상측에 설치되어 철근(1)이 움직이지 못하도록 체결한다.
승강부(400)는, 상판(310)의 일측과 하판(320)의 일측 사이와 상판(310)의 다른 일측과 하판(320)의 다른 일측 사이에 각각 연결 설치되며,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상판(310)을 승강시켜 주거나 하강시켜 준다.
본 발명에 따른 승강부(40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착탈이 가능한 형태로 제작됨으로써, 상판(310) 및 하판(320) 중 하나의 판이 파손되는 등으로 인하여 교체가 필요로 하는 경우 해당 판만을 분리한 후 새로운 판을 체결함으로써 지속적인 장비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승강부(400)는, 기존의 일체형 구동장치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착탈식의 모듈형 구동장치로서, 장비의 유지/보수 측면에서 보다 경제적인 장비의 운용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다기능 운반 장치(20)는, 승강부(400)의 전단 및 후단의 상측에 각각 탄성 지지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탄성 지지부(500)는, 적재된 하중을 지탱하지 못하고 상판(310)이 파손되어 낙하하거나, 상판(310)의 하중을 견디지 못한 후술하는 구동 프레임(430)이 파손되어 상판(310)이 낙하하는 경우, 상판(310)이 바로 하판(320)에 충돌하여 이에 따른 충격으로 철근(1)에 손상이 가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탄성력을 이용하여 낙하하는 상판(310)을 지지함으로써 철근(1)으로 전달되는 충격을 최소화시킴으로써 철근(1)의 손상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도 6의 승강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승강부(400)는, 상판 체결부(410), 구동부(420), 구동 프레임(430) 및 하판 체결부(440)를 포함한다.
상판 체결부(410)는, 상판(310)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의 하측을 지지하는 제1 상부 지지부(411), 및 "ㄱ" 형태로 형성되어 하부가 제1 상부 지지부(411)에 힌지부(414)에 의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회동하여 상판(310)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을 체결하는 제2 상부 지지부(412)를 포함한다.
도 8은 도 7의 상판 체결부(410)를 보여주는 도면으로, 도 8을 참조하면 상판 체결부(410)는, 하측 전단 및 후단에 제1 교차 프레임(431) 또는 제2 교차 프레임(432)의 상부를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하기 위한 회동 연결부(413)을 형성한다.
구동부(420)는, 하판(320)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의 상측에 안착되고, 상부 전단 및 후단에 제1 교차 프레임(431) 또는 제2 교차 프레임(432)의 하부가 회동 및 전후 방향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하측에 하판 체결부(440)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구동 프레임(430)은, 하부가 구동부(420)의 상부 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상부가 상판 체결부(410)의 하부 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1 교차 프레임(431), 및 하부가 구동부(420)의 상부 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상부가 상판 체결부(410)의 하부 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1 교차 프레임(431)을 포함한다.
그리고, 제1 교차 프레임(431)과 제2 교차 프레임(432)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 부분이 "X" 형태로 교차 연결되어 구동부(420)의 구동에 의해 제1 교차 프레임(431) 또는 제2 교차 프레임(432)의 하측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판(310)을 승강시켜 주거나 하강시켜 준다.
즉, 제1 교차 프레임(431)과 제2 교차 프레임(432)의 하측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함에 따라 상판(310)은 상측 방향으로 승강하게 되고, 제1 교차 프레임(431)과 제2 교차 프레임(432)의 하측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함에 따라 상판(310)은 하측 방향으로 하강하게 되는 것이다.
하판 체결부(440)는, "ㄴ" 형태로 형성되어 상부가 구동부(420)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회동하여 하판(320)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을 체결하며, 하측에 이동을 위한 바퀴(441)를 구비한다(도 9 참조).
일 실시예에서, 하판 체결부(44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420)의 하측에 서로 분리된 형태로 형성되거나, 일체의 바디를 형성하고 전단 및 후단의 하측에 각각 바퀴(441)를 구비하는 일체형 바디 형태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도 9 내지 도 12은 도 7의 구동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9를 참조하면, 구동부(420)는, 안착부(421), 제1 직선 운동부(422) 및 제2 직선 운동부(423)를 포함한다.
안착부(421)는, 전후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측이 개방된 박스 형태로 형성되며, 제1 교차 프레임(431) 또는 제2 교차 프레임(432)의 하부가 삽입되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구동홈(421a, 421b)이 전단 및 후단에 형성되며, 하판(320)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의 상측에 안착된 후 하판 체결부(440)에 의하여 하판(320)에 체결된다.
즉, 안착부(421)는, 하판 체결부(440)의 회동에 따라 하판(320)과 체결되거나 분리되는 착탈식 구조를 형성하는 것이다.
그리고, 안착부(421)는, 전단 및 후단의 상측면에 평평한 형태의 안착면(421c, 421d)을 각각 형성하여 탄성 지지부(500)가 안착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제1 직선 운동부(422)는, 안착부(421)의 전단에 형성되는 구동홈(421a)의 후단에 설치되며, 직선 왕복 운동을 위해 구비된 피스톤(422a)(도15 참조)의 전단에 제1 교차 프레임(431)의 하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다만, 제1 직선 운동부(422)는, 직선 왕복 운동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이면 유압 실린더 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명칭에 구애됨이 없이 모두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제2 직선 운동부(423)는, 제1 직선 운동부(422)와 대칭구조로 안착부(421)의 후단에 형성되는 구동홈(421b)의 전단에 설치되며, 직선 왕복 운동을 위해 구비된 피스톤(423a)의 후단에 제2 교차 프레임(432)의 하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직선 운동부(422) 또는 제2 직선 운동부(423)는, 구동홈(421a, 421b)의 단면의 형태에 대응하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는 지지 플레이트(424a), 및 지지 플레이트(424a)의 전단 또는 후단에 좌우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공간을 형성하여 해당 공간에 제1 교차 프레임(431) 또는 제2 교차 프레임(432)의 하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도록 하는 원판 형태의 두 개의 회동 원판(424b)을 구비하는 회동 연결부(424)가 피스톤(422a)의 전단(즉, 제1 직선 운동부(422)의 경우) 또는 후단(즉, 제2 직선 운동부(423)의 경우)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두 개의 회동 원판(424b)의 사이의 공간(424d)에 제1 교차 프레임(431)이 삽입된 뒤 고정 핀 등의 체결 수단에 의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그리고, 회동 연결부(424)는, 지지 플레이트(424a)가 바로 피스톤(422a)에 체결되는 대신에, 회동 연결부(424)의 불량에 따른 교체를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지지 플레이트(424a)의 후단에 피스톤(422a)을 삽입하여 체결할 수 있는 전후 방향의 체결홈을 형성하는 체결부(424c)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직선 운동부(422)는,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한 실린더로 구동력을 발생시켜 피스톤(422a)을 실린더로부터 신장시키거나 수축시킴에 따른 전후 방향 왕복 직선 운동을 이용하여 제1 교차 프레임(431)을 구동홈(421a)에서 슬라이딩 이동을 수행하도록 구동시킬 수 있다(도 12 참조).
여기서, 제2 직선 운동부(423)는, 제1 직선 운동부(422)와 대칭형 구조로서 그 구성 및 기능이 동일하여 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3은 도 6의 탄성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탄성 지지부(500)는, 받침 프레임(540), 네 개의 받침 플레이트(510), 네 쌍의 지지 프레임(520) 및 지지 기둥(530)을 포함한다.
받침 프레임(540)은, 하측에 설치된 받침 플레이트(510)에 의하여 지지되며, 상부 프레임(310)이 낙하할 경우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부 프레임(310)를 지지한다.
받침 플레이트(510)는, 상측에 안착된 받침 프레임(540)을 지지하며, 하측에 연결 설치된 지지 프레임(520)에 의하여 지지 기둥(530)에서 지지된다.
즉, 받침 플레이트(510)는, 상측에 받침 프레임(540)을 안착시키게 되고, 받침 프레임(540)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 등에 대응하여 탄성력에 의하여 좌우 방향(즉, 제1 프레임(521a)) 또는 상하 방향(즉, 제2 프레임(521b))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게 되는 지지 프레임(520)에 의하여 흡수되도록 함으로써 진동 또는 충격을 감쇄시키게 되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제1 프레임(521a) 또는 제2 프레임(521b)의 길이를 다양하게 형성시킴으로써, 단순히 상하 방향의 높이만을 조절하여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는 기존의 탄성체의 한계를 극복하여 받침 플레이트(510)에 의한 지지 위치를 상하 방향뿐만 아니라 좌우 방향으로도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지지 프레임(520)은, 네 개의 받침 플레이트(510)의 각각의 하부에 제1 프레임(521a) 및 제2 프레임(521b)의 두 개의 프레임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플레이트(510)를 지지하고,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프레임(521a) 또는 제2 프레임(521b)의 길이를 조절하여 플레이트(510)에 의한 받침 프레임(540)의 지지 위치를 결정한다.
이때, 제1 프레임(521a) 및 제2 프레임(521b)의 상부는 받침 플레이트(510)의 하부에 연결 설치되고, 제1 프레임(521a)의 하부는 지지 기둥(530)의 상측면에 회동 및 수평 방향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제2 프레임(521b)의 하부는 지지 기둥(530)의 일 측면에 회동 및 수직 방향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즉, 제1 프레임(521a) 또는 제2 프레임(521b)은, 지지 기둥(530)의 상측면 또는 일측면에서 탄성력에 의한 회동 또는 슬라이딩 이동을 통하여 받침 플레이트(510)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지지 기둥(530)으로 전달하게 된다.
지지 기둥(530)은, 사각 기둥 형태로 형성되며, 제1 프레임(521a)의 하부가 상측면에 회동 및 수평 방향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제2 프레임(521b)의 하부가 일 측면에 회동 및 수직 방향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하며, 제1 프레임(521a) 또는 제2 프레임(521b)의 슬라이딩 이동 시 탄성력(즉, 십자 탄성부(533) 또는 수직 탄성부(535))을 통해 진동 또는 충격을 흡수시킨다.
각각의 받침 플레이트(510) 또는 지지 프레임(520)는, 서로 대칭 구조로서 동일한 방법에 의하여 구동되는 바, 상술한 바와 같은 일 받침 플레이트(510) 또는 일 지지 프레임(520)에 관하여 기술한 내용은 다른 받침 플레이트(510) 또는 다른 지지 프레임(520)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바, 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탄성 지지부(500)는, 상하 대칭 구조로도 형성될 수 있는 바, 도 11의 경우에는 지지 기둥(530)의 상부에만 각각의 구성이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상술한 바와 같은 네 개의 받침 플레이트(510) 및 네 쌍의 지지 프레임(520)과 관련된 구성은 지지 기둥(530)의 하부에 동일하게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탄성 지지부(500)는, 적재된 하중을 지탱하지 못하고 상판(310)이 파손되어 낙하하거나, 상판(310)의 하중을 견디지 못한 후술하는 구동 프레임(430)이 파손되어 상판(310)이 낙하하는 경우, 상판(310)이 바로 하판(320)에 충돌하여 이에 따른 충격으로 철근(1)에 손상이 가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탄성력을 이용하여 낙하하는 상판(310)을 지지함으로써 철근(1)으로 전달되는 충격을 최소화시킴으로써 철근(1)의 손상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4 및 도 15는 도 13의 지지 기둥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지지 기둥(530)은, 기둥 바디(531), 십자홈(532), 십자 탄성부(533), 네 개의 수직홈(534)(도 13 참조) 및 네 개의 수직 탄성부(535) (도 17 참조)를 포함한다.
기둥 바디(531)는, 사각 기둥 형태로 형성되고, 상부에 십자홈(532)이 형성되며, 각 측면에 수직홈(534)이 형성된다.
십자홈(532)은, 기둥 바디(531)의 상부에 "+"형태로 함몰 형성되고, 내부 공간에 십자 탄성부(533)가 삽입 설치된다.
십자 탄성부(533)는, 십자홈(532)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십자홈(532)에 삽입되며, 네 개의 가지의 말단 상부에 제1 프레임(521a)의 하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제1 프레임(521a)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흡수시켜 진동 또는 충격을 감쇄시킨다.
수직홈(534)은, 기둥 바디(531)의 각 면에 상하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고, 내부 공간에 수직 탄성부(535)가 삽입 설치된다.
수직 탄성부(535)는, 수직홈(534)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수직홈(534)에 삽입되며, 상부 외측에 제2 프레임(521b)의 하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제2 프레임(521b)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흡수시켜 진동 또는 충격을 감쇄시킨다.
도 16은 도 14의 십자 탄성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십자 탄성부(533)는, 십자 케이스부(5331), 상부 지지부(5332), 네 개의 상부 탄성부(5333), 네 개의 상부 탄성 지지부(5334) 및 네 개의 상부 연결 링크부(5335)를 포함한다.
십자 케이스부(5331)는, 내부 공간이 빈 "+" 형태로 형성되어 십자홈(532)에 삽입 설치되고, 내부 공간에 후술하는 상부 지지부(5332), 네 개의 상부 탄성부(5333), 네 개의 상부 탄성 지지부(5334)가 설치된다.
이때, 십자 케이스부(5331)의 각 가지의 길이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십자홈(532)의 각 가지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됨으로써, 십자 케이스부(5331)의 외측에 형성되는 공간에 상부 연결 링크부(5335)가 배치되고 슬라이딩 이동을 위한 공간을 형상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상부 지지부(5332)는, 정육면체로 형성되며, 십자 케이스부(5331)의 중심 부분에 배치되고, 각 4면의 외측에 상부 탄성부(5333)가 배치되도록 하고 상부 탄성부(5333)를 지지하게 된다.
상부 탄성부(5333)는, 상부 지지부(5332)의 각 측면에 배치되어 상부 탄성 지지부(5334)를 탄성력에 의하여 지지함으로써, 상부 탄성 지지부(5334)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 등을 흡수하게 된다.
상부 탄성 지지부(5334)는, 십자 케이스부(5331)의 내부 공간의 각 가지의 말단에 각각 배치되며, 상부 탄성부(5333)의 탄성력에 의하여 지지되고, 상부 연결 링크부(5335) 사이에 설치된 지지 바아(5336)에 의하여 상부 연결 링크부(5335)를 지지한다.
상부 연결 링크부(5335)는, 십자홈(532)의 각 가지의 말단에 각각 배치되고, 십자 케이스부(5331)와 대향하는 일 측면과 상부 탄성 지지부(5334) 사이에 설치되는 지지 바아(5336)에 의하여 기 설정된 간격으로 유지되고, 상부에 제1 프레임(521a)의 하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플레이트(510)의 상하 방향의 이동에 따라 십자홈(532)의 각각의 가지가 만나는 중심 방향으로 십자홈(532)의 홈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한다.
도 17은 도 15의 수직 탄성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수직 탄성부(535)는, 수직 케이스부(5341), 측면 지지부(5342), 측면 탄성부(5343), 측면 탄성 지지부(5344) 및 측면 연결 링크부(5345)를 포함한다.
수직 케이스부(5341)는, 내부 공간이 빈 수직홈(534)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 공간의 하측으로부터 측면 지지부(5342), 측면 탄성부(5343) 및 측면 탄성 지지부(5344)가 순서대로 설치된다.
측면 지지부(5342)는, 정육면체로 형성되며, 수직 케이스부(5341)의 하부 공간에 배치되고, 상측에 측면 탄성부(5343)가 배치되어 측면 탄성부(5343)를 지지한다.
측면 탄성부(5343)는, 측면 지지부(5342)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측에 배치된 측면 탄성 지지부(5344)를 탄성력에 의하여 지지함으로써, 측면 탄성 지지부(5344)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 등을 흡수하게 된다.
측면 탄성 지지부(5344)는, 수직 케이스부(5341)의 내부 공간의 상측에 배치되며, 측면 탄성부(5343)의 탄성력에 의하여 지지되고, 측면 연결 링크부(5345) 사이에 설치된 지지 바아(5346에 의하여 측면 연결 링크부(5345)를 지지한다.
측면 연결 링크부(5345)는, 수직홈(534)의 상부 말단에 배치되고, 수직 케이스부(5341)와 대향하는 하측면과 측면 탄성 지지부(5344)의 상측면 사이에 설치되는 지지 바아(5346)에 의하여 기 설정된 간격으로 유지되고, 외측면에 제2 프레임(521b)의 하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수직홈(534)의 하측 방향으로 수직홈(534)의 홈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물 신축 공사용 철근 절곡을 위한 밴딩 장치는 구조물에 균열이 발생될 경우 균열이 발생된 곳에 충전하여 보수하기 위한 아크릴바인더를 포함하는 건축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구조물이라 함은, 본체부(110) 등이 이에 해당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을 이루는 각각의 구성 모두가 이에 해당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종래 존재하던 건축 구조물을 보수하기 위한 조성물에 있어서 내수성, 방수성 및 내균열성이 모두 향상된 조성물 중 만족할 만한 효과를 발휘하는 조성물이 존재하지 않는 다는 것을 발견하여, 예의 노력한 끝에 본 발명과 같이 내수성, 방수성 및 내균열성 모두 만족할 만한 효과를 발휘하는 조성물을 발명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아크릴바인더는 아크릴 에스테르 코폴리머(acrylic ester copolymer)일 수 있다. 상기 아크릴 에스테르 코폴리머는 CAS 번호(CAS number)가 30445-28-4인 아크릴 에스테르 코폴리머일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건축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에 첨가할 수 있는 다양한 화합물을 탐색하던 중 조성물이 상기 아크릴 에스테르 코폴리머를 포함하는 경우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인 내수성 및 내균열성을 모두 달성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서 상기 조성물은 상기 아크릴바인더는 10 내지 50 중량부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40 중량부 포함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0 중량부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은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중 특히 방수성 및 내수성을 달성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EVA 바인더, 부틸셀로솔브(butyl cellosolve), 로진, 텍사놀 및 프로필렌글리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EVA 바인더는 바람직하게,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thylene vinyl acetate)이며, CAS 번호는 24937-78-8 인 화합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부틸셀로솔브(butylcellosolve)는 CAS 번호 111-76-2인 화합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로진(rosin)은 송진을 증류하여 얻는 천연 수지를 의미하며, 상업적으로 판매하고 있는 로진이라면 어떠한 종류의 로진이라도 본 발명의 과제 해결을 위한 구성으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텍사놀(TEXANOL)은 CAS 번호 25265-77-4인 화합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은 CAS 번호 57-55-6인 화합물일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아크릴바인더를 포함하는 건축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의 구성으로서 EVA 바인더, 부틸셀로솔브(butyl cellosolve), 로진, 텍사놀 및 프로필렌글리콜을 더 포함시키는 경우 특히 내수성의 효과가 향상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EVA 바인더 0.01 내지 10 중량부, 부틸셀로솔브(butyl cellosolve) 0.01 내지 5 중량부, 로진 0.01 내지 5 중량부, 텍사놀 0.01 내지 5 중량부 및 프로필렌글리콜 0.01 내지 3 중량부 포함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자들은 상기 조성물에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및 2-메틸아미노-2-메틸-1-프로판올이 추가로 포함되는 경우 내수성의 효과가 현저하게 향상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즉, 상기 아크릴바인더가 포함된 건축 보수용 조성물에 EVA 바인더, 부틸셀로솔브(butyl cellosolve), 로진, 텍사놀 및 프로필렌글리콜, 그리고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및 2-메틸아미노-2-메틸-1-프로판올이 추가로 포함되는 경우 향상된 방수성 및 내수성 확인을 통해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에서 상기 조성물은 상기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및 2-메틸아미노-2-메틸-1-프로판올을 15 내지 20 : 1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16 내지 20 : 1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 17 내지 20 : 1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및 2-메틸아미노-2-메틸-1-프로판올은 상기 조성물에 0.1 내지 5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조성물이 본 발명이 달성하고자 하는 과제 중 특히 내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상기 아크릴바인더가 포함된 건축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은 에틸렌글리콜, 부틸셀로솔브(butyl cellosolve), 칼슘 카보네이트, 티타늄디옥사이드 및 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조성물이 뛰어난 방수성 및 내수성 효과를 갖는다면, 본 조성물은 내균열성이 향상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틸셀로솔브는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에틸렌글리콜(ethylene glycol)은 CAS 번호가 107-21-1인 화합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칼슘 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는 CAS 번호가 1317-65-3인 화합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티타늄 디옥사이드(titanium dioxide)는 CAS 번호가 13463-67-7인 화합물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에틸렌글리콜 0.01 내지 5 중량부, 부틸셀로솔브(butyl cellosolve) 0,01 내지 5 중량부, 칼슘 카보네이트 20 내지 50 중량부, 티타늄디옥사이드 0.01 내지 5 중량부 및 물 0.01 내지 10 중량부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내균열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구성을 탐색하던 중 천연 추출물에서 그 아이디어를 구체화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조성물에 아마씨 점액 또는 아마씨 점액 추출물이 추가로 포함되는 경우 내균열성의 효과가 현저하게 향상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즉, 상기 아크릴바인더가 포함된 건축 보수용 조성물에 에틸렌글리콜, 부틸셀로솔브(butyl cellosolve), 칼슘 카보네이트, 티타늄디옥사이드 및 물, 그리고 아마씨 점액 또는 아마씨 점액 추출물이 추가로 포함되는 경우 향상된 내균열성 확인을 통해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아마(flax)는 쌍떡잎식물 쥐손이풀목 아마과의 한해살이풀로서 씨는 납작하고 긴 타원 모양이며 노란빛을 띤 갈색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아마씨 점액은 다양한 방법을 통해 제조할 수 있지만, 예시적으로 스크래퍼(scraper)를 이용하여 아마씨로부터 점액질을 긁어내어 아마씨 점액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아마씨 점액 추출물은 예시적으로 다음과 같이 제조될 수 있다.
아마씨 1 g을 정제수 50L에 넣고, 25℃에서 5시간 동안 교반 후, 300메쉬 여과포로 여과한 후, 여액에 동량의 알코올,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을 첨가하여 침전시킨 후 와트만 여과지, 예를 들어 와트만 여과지 NO. 5를 이용하여 여과한 후 건조하여 백색의 파우더 형태를 얻을 수 있다.
종래 아마씨의 용도로서 다양한 용도가 알려져 있으나, 본 발명에서와 같이 건축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에 포함시켜 내균열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확인한 바는 현재까지 알려진 바 없으며, 연구도 미미한 실정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상기 아마씨 점액 또는 아마씨 점액 추출물을 1 내지 10 중량부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축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의 기본 물성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분산제, 소포제, 항균제, 방부제, 동결 방지제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S1) 건축 구조물의 표면의 열화부를 제거하는 단계; 및 S2) 상기 열화부가 제거된 상기 건축 구조물의 표면 상부에 상기 건축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을 도포 및 건조하여 균열 보수막을 형성하는 단계에 의하여 구조물의 균열 보수를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와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재료 준비
하기 실시예 및 평가예를 위한 건축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에 사용된 주요 원료의 정보는 아래와 같다.
1) 아크릴바인더: 아크릴 에스테르 코폴리머(Acrylic ester copolymer) CAS NO 30445-28-4
2) EVA 바인더: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thylene vinyl acetate) CAS NO 24937-78-8
3) 부틸셀로솔브(butylcellosolve): CAS NO 111-76-2
4) 텍사놀(TEXANOL): CAS NO 25265-77-4
5)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CAS NO 57-55-6
6) 에틸렌글리콜(ethylene glycol): CAS NO 107-21-1
7) 칼슘 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CAS NO 1317-65-3
8) 티타늄 디옥사이드(titanium dioxide): CAS NO 13463-67-7
9)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CAS NO 124-68-5
10) 2-메틸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CAS NO 27646-80-6
11) 아마씨 점액
스크래퍼를 이용하여 아마씨로부터 점액질을 긁어내어 아마씨 점액을 수득하였다.
12) 아마씨 점액 추출물
아마씨 1 g을 정제수 50L에 넣고, 25℃에서 5시간 동안 교반 후, 300메쉬 여과포로 여과한 후, 여액에 동량의 에탄올을 첨가하여 침전시킨 후 와트만 여과지 NO. 5를 이용하여 여과한 후 건조하여 백색의 파우더 약 0.2 g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1
혼합 교반조에 30 중량부의 아크릴바인더를 넣고 600rpm의 속도로 교반하면서 5 중량부의 EVA 바인더, 1 중량부의 부틸셀로솔브, 0.5 중량부의 로진, 0.5 중량부의 텍사놀, 0.1 중량부의 프로필렌글리콜 및 기타 증점보조제, pH조절제 등을 순서대로 서서히 투입한 후 50 중량부의 충진제인 칼슘 카보네이트를 넣고 300rpm의 속도로 상온에서 1시간 교반하여 건축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혼합 교반조에 30 중량부의 아크릴바인더를 넣고 600rpm의 속도로 교반하면서 5 중량부의 EVA 바인더, 1 중량부의 부틸셀로솔브, 0.5 중량부의 로진, 0.5 중량부의 텍사놀, 0.1 중량부의 프로필렌글리콜, 1 중량부의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0.06 중량부의 2-메틸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및 기타 증점보조제, pH조절제 등을 순서대로 서서히 투입한 후 50 중량부의 충진제인 칼슘 카보네이트를 넣고 300rpm의 속도로 상온에서 1시간 교반하여 건축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혼합 교반조에 30 중량부의 아크릴바인더를 넣고 600rpm의 속도로 교반하면서 1 중량부의 에틸렌글리콜, 1 중량부의 부틸셀로솔브, 0.5 중량부의 티타늄디옥사이드, 5 중량부의 물 및 기타 증점보조제, pH조절제 등을 순서대로 서서히 투입한 후 50 중량부의 충진제인 칼슘 카보네이트를 넣고 300rpm의 속도로 상온에서 1시간 교반하여 건축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혼합 교반조에 30 중량부의 아크릴바인더를 넣고 600rpm의 속도로 교반하면서 1 중량부의 에틸렌글리콜, 1 중량부의 부틸셀로솔브, 0.5 중량부의 티타늄디옥사이드, 5 중량부의 물, 5 중량부의 아마씨 점액 및 아마씨 점액 추출물의 혼합물 및 기타 증점보조제, pH조절제 등을 순서대로 서서히 투입한 후 50 중량부의 충진제인 칼슘 카보네이트를 넣고 300rpm의 속도로 상온에서 1시간 교반하여 건축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평가예 1
건축 토목 구조물의 열화부를 제거한 다음, 이 표면상부에 상기 실시예 1 내지 4의 건축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을 각각 도장 및 건조하여 균열 보수막을 형성하였다. 이와 같이 얻어진 균열 보수막의 접착강도, 내균열 안정성 및 미끄럼저항성 및 균열 보수제 조성물의 저장안정성을 KS규격, KSL 1593상의 시험방법에 의거하여 물성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또한, 방수성의 경우 균열 보수막 형성 후 내부로 수분이 흡수되는 정도를 5점 척도법에 의하여 평가하였다. 하기 표 1에서 제품 X는 국내에서 시판되고 있는 B사의 건축 구조물의 건축 구조물 보수용 제품을 나타내며, 이를 실시예 1 내지 4의 조성물과 비교 대상으로 평가하였다.
[표 1]
Figure 112019032967865-pat00001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4의 건축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은 제품 X와 비교하여 내수성, 방수성 및 내균열성이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저장 안정성 및 미끄럼 저항성에 있어서도 문제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본 발명에서 실시예 1, 2는 방수성 및 내수성에서 더 우수한 평가를 받은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실시예 3, 4는 내균열성에서 더 우수한 평가를 받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철근 10: 건물 신축 공사용 철근 절곡을 위한 밴딩 장치
20: 다기능 운반 장치 110: 본체부
111: 하우징 112: 가이드홀
113: 지지 프레임 120: 밴딩부
130: 고정 지그부 310: 상판
320: 하판 330: 체결 지그
400: 승강부 410: 상판 체결부
420: 구동부 430: 구동 프레임
440: 체결부 500: 탄성 지지부
510: 받침 플레이트 520: 지지 프레임
530: 지지 기둥 540: 받침 프레임

Claims (2)

  1. 건물 신축공사 현장에 구비되어 건설 공사에 사용되는 철근을 건설 공사에 참여하는 작업자의 필요에 따라 절곡시키는 건물 신축 공사용 철근 절곡을 위한 밴딩 장치에 있어서,
    상측에 원호 형상의 가이드홀이 형성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홀을 따라 왕복 이동되게 구동되면서 상기 본체부의 상측에 안착된 철근을 건설 공사에서 필요로 하는 형태로 밴딩하는 밴딩부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부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홀을 따라 상기 밴딩부가 이동하면서 철근을 밴딩할 시 철근의 밴딩축을 지지하는 고정 지그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 지그부는, 철근을 체결할 수 있도록 철근의 두께에 대응하는 체결홈이 전후 방향으로 형성되고, 철근의 절곡 형태에 대응하여 외주면이 형성되며,
    상기 본체부는, 평평한 상측면을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밴딩부의 이동을 유도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의 상측에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상기 가이드홀; 및 상기 하우징의 전단에 설치되어 철근의 밴딩 시 밴딩되지 아니하는 철근의 후단을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 프레임은, "ㄴ"형태로 전단이 상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며, 절곡된 전단으로 철근을 지지하는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지지 플레이트를 관통하고 삽입되어 상기 지지 플레이트를 상기 하우징의 상측에서 고정시키는 고정핀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의 외부로 노출된 철근의 일부가 처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의 전단에 위치하며 상측에 상기 본체부의 밖으로 노출된 철근을 안착시키는 다기능 운반 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다기능 운반 장치는, 상측면에 철근을 안착시키는 상판; 상기 상판의 상측에 설치되어 철근이 움직이지 못하도록 체결하는 체결 지그; 상기 상판의 하측에 이격되어 배치되는 하판; 및 상기 상판의 일측과 상기 하판의 일측 사이와 상기 상판의 다른 일측과 상기 하판의 다른 일측 사이에 각각 설치되며,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상기 상판을 승강시켜 주거나 하강시켜 주는 승강부를 포함하며,
    상기 승강부는, 상기 상판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의 하측을 지지하는 제1 상부 지지부, 및 "ㄱ" 형태로 형성되어 하부가 상기 제1 상부 지지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회동하여 상기 상판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을 체결하는 제2 상부 지지부를 포함하는 상판 체결부; 상기 하판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의 상측에 안착되는 구동부; 하부가 상기 구동부의 상부 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상부가 상기 상판 체결부의 하부 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1 교차 프레임, 및 하부가 상기 구동부의 상부 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상부가 상기 상판 체결부의 하부 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2 교차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교차 프레임과 상기 제2 교차 프레임이 "X" 형태로 교차 연결되어 상기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상기 제1 교차 프레임 또는 상기 제2 교차 프레임의 하측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상판을 승강시켜 주거나 하강시켜 주는 구동 프레임; 및 "ㄴ" 형태로 형성되어 상부가 상기 구동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회동하여 상기 하판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을 체결하며, 하측에 이동을 위한 바퀴를 구비하는 하판 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는, 전후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박스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1 교차 프레임 또는 상기 제2 교차 프레임의 하부가 삽입되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구동홈이 전단 및 후단에 형성되며, 상기 하판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의 상측에 안착되는 안착부; 상기 안착부의 전단에 형성되는 상기 구동홈의 후단에 설치되며, 직선 왕복 운동을 위해 구비된 피스톤의 전단에 상기 제1 교차 프레임의 하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1 직선 운동부; 및 상기 제1 직선 운동부와 대칭구조로 상기 안착부의 후단에 형성되는 상기 구동홈의 전단에 설치되며, 직선 왕복 운동을 위해 구비된 피스톤의 후단에 상기 제2 교차 프레임의 하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2 직선 운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직선 운동부 또는 상기 제2 직선 운동부는, 상기 구동홈의 단면의 형태에 대응하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는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전단 또는 후단에 좌우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공간을 형성하여 해당 공간에 상기 제1 교차 프레임 또는 상기 제2 교차 프레임의 하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도록 하는 원판 형태의 두 개의 회동 원판을 구비하는 회동 연결부가 상기 피스톤의 전단 또는 후단에 형성되는, 건물 신축 공사용 철근 절곡을 위한 밴딩 장치.

  2. 삭제
KR1020190037628A 2019-04-01 2019-04-01 건물 신축 공사용 철근 절곡을 위한 밴딩 방법 및 장치 KR1019968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7628A KR101996803B1 (ko) 2019-04-01 2019-04-01 건물 신축 공사용 철근 절곡을 위한 밴딩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7628A KR101996803B1 (ko) 2019-04-01 2019-04-01 건물 신축 공사용 철근 절곡을 위한 밴딩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6803B1 true KR101996803B1 (ko) 2019-07-04

Family

ID=67259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7628A KR101996803B1 (ko) 2019-04-01 2019-04-01 건물 신축 공사용 철근 절곡을 위한 밴딩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680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86715A (zh) * 2019-09-26 2019-12-20 宁陵县成事科技服务中心 一种建筑管道用弯管设备
CN112916651A (zh) * 2020-12-30 2021-06-08 承德石油高等专科学校 一种机械加工工件自动矫形装置
CN113547002A (zh) * 2021-07-23 2021-10-26 宁波敏实汽车零部件技术研发有限公司 一种车门加强杆的折弯工装
CN113878059A (zh) * 2021-09-23 2022-01-04 江苏广新重工有限公司 一种房屋建筑用钢筋弯折设备
KR102588421B1 (ko) * 2023-04-27 2023-10-12 주식회사 젠코리아산기 철근 자동 가공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0212Y1 (ko) 1987-02-06 1990-01-30 김선호 건축용 철근의 절곡 및 절단장치
KR960007835Y1 (ko) 1994-06-07 1996-09-18 김광호 철근 절곡기
KR20170081507A (ko) * 2016-01-04 2017-07-12 태연기계주식회사 굽힘각도 제어형 철근 반자동 절곡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0212Y1 (ko) 1987-02-06 1990-01-30 김선호 건축용 철근의 절곡 및 절단장치
KR960007835Y1 (ko) 1994-06-07 1996-09-18 김광호 철근 절곡기
KR20170081507A (ko) * 2016-01-04 2017-07-12 태연기계주식회사 굽힘각도 제어형 철근 반자동 절곡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86715A (zh) * 2019-09-26 2019-12-20 宁陵县成事科技服务中心 一种建筑管道用弯管设备
CN110586715B (zh) * 2019-09-26 2020-09-08 泉州滨利服饰有限公司 一种建筑管道用弯管设备
CN112916651A (zh) * 2020-12-30 2021-06-08 承德石油高等专科学校 一种机械加工工件自动矫形装置
CN113547002A (zh) * 2021-07-23 2021-10-26 宁波敏实汽车零部件技术研发有限公司 一种车门加强杆的折弯工装
CN113878059A (zh) * 2021-09-23 2022-01-04 江苏广新重工有限公司 一种房屋建筑用钢筋弯折设备
KR102588421B1 (ko) * 2023-04-27 2023-10-12 주식회사 젠코리아산기 철근 자동 가공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6803B1 (ko) 건물 신축 공사용 철근 절곡을 위한 밴딩 방법 및 장치
CN107570502A (zh) 一种建筑工地用水泥桶清洗装置
KR101989190B1 (ko) Cnc장비용 클램핑 장치
KR102000656B1 (ko) 다기능 박스 제작용 판재 이송장치
KR102003032B1 (ko) 철거 작업용 비계
KR102021297B1 (ko) 천장프레임 시스템
KR102001474B1 (ko) 자동차 부품 보관 창고
CN201908427U (zh) 新型抹灰机
KR101999217B1 (ko) 프레스 장치
KR102016316B1 (ko) 다기능 절단 장치
CN107642246A (zh) 一种建筑用混凝土空心砖砌筑装置
CN106826555A (zh) 便于调节水平度的玻璃加工夹具
EP2668234A1 (en) Aqueous based epoxy grout
CN105291270A (zh) 一种保温砖原料搅拌机构
CN213417824U (zh) 一种水下混凝土灌注设备
CN210636472U (zh) 一种建筑工程用复合桩
CN211709682U (zh) 一种混凝土生产用上料装置
CN210947293U (zh) 一种装配式龙骨隔墙地面的找平支撑件
KR102021460B1 (ko) 판재 홈 형성 장치
CN209323391U (zh) 一种地下工程混凝土支撑梁
KR101997480B1 (ko) 밴딩 장치
CN214503631U (zh) 一种公路建设用水泥检测装置
CN219748209U (zh) 一种合成树脂瓦切割用夹持机构
CN214885261U (zh) 一种混凝土地面自动找平工具
KR101989795B1 (ko) 태핑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