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2615U - 건축용 가설발판의 로킹장치 - Google Patents

건축용 가설발판의 로킹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2615U
KR19990032615U KR2019970045378U KR19970045378U KR19990032615U KR 19990032615 U KR19990032615 U KR 19990032615U KR 2019970045378 U KR2019970045378 U KR 2019970045378U KR 19970045378 U KR19970045378 U KR 19970045378U KR 19990032615 U KR19990032615 U KR 1999003261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affold
construction
scaffolding
temporary
locking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453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80963Y1 (ko
Inventor
사재효
Original Assignee
사재효
주식회사 대종건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재효, 주식회사 대종건영 filed Critical 사재효
Priority to KR20199700453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0963Y1/ko
Publication of KR1999003261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261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09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0963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15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essentially comprising special means for supporting or forming platforms; Platfo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ovable Scaffolding (AREA)

Abstract

본고안은 건축물의 외관공사시 비계에 설치되는 가설발판에 관한 것으로 특히,가설발판의 양측부에 결합관을 부착하고 상기 결합관에는 비계의 하측부를 걸어서 로킹할 수 있는 로킹봉을 결합시킴으로서 가설발판의 유동을 방지하는 동시에 가설발판이 비계로 부터 탈거되는 것을 방지할수 있도록 안출된 것으로,
건물의 시공시 비계에 걸이구를 결합하여 안착된 가설발판이 상측으로 유동이 발생되어 비계로 부터 걸이구가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가설발판의 양측부에 부착되는 결합관과,
상기 결합관으로 결합되어 회전동작에 의해 비계를 로킹시키는 로킹봉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가설발판의 로킹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건축용 가설발판의 로킹장치
본고안은 건축물의 외관공사시 비계에 설치되는 가설발판에 관한 것으로 특히,가설발판의 양측부에 결합관을 부착하고 상기 결합관에는 비계의 하측부를 걸어서 로킹할수 있는 로킹봉을 결합시킴으로서 가설발판의 유동을 방지하는 동시에 가설발판이 비계로 부터 탈거되는 것을 방지할수 있도록된 가설발판의 로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외관공사시에는 건물의 외벽주위에 비계가 설치되어진다.
그리고 상기 비계에는 작업자의 보행이 용이토록 가설발판이 설치되어진다.
종래 가설발판의 구성은 사용자가 밟고 지나갈 수 있도록 일정한폭과 길이를 가지며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의 가설발판을 비계에 부착시키기 위하여 가설발판의 양측에는 걸이구가 형성된다.
즉, 상기 가설발판에 형성된 걸이구를 비계의 상측부로 걸어서 결합을 시키게 된다.
그러나, 상기의 걸이구는 "∩"형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상측에서 누르는 하중에는 강하지만 하측으로부터 올라오는 하중에는 매우 취약하게 된다.
즉, 상기의 가설발판이 높은 건물에 설치 되었을 경우 바람의 영향을 많이 받게 된다.
상기의 바람에 의해 가설발판에 유동이 발생하게 되고 아울러 "∩"형 걸이구가 비계로 부터 탈거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가설발판의 유동과 탈거현상에 의해 작업자가 위험에 노출되는 중대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 등을 해결 보완하기 위한 본고안의 목적은,
비계에 설치되는 가설발판의 유동과 탈거현상을 방지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보호 할 수 있고 견고한 가설발판의 결합구조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목적을 제공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고안은,
가설발판의 양측부에 결합관을 부착시키고 상기의 결합관에는 비계의 저면을 걸어서 로킹시킬 수 있는 로킹봉을 결합시킴으로서 본고안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도1은 본고안 가설발판의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2는 본고안 가설발판의 사시도
도3은 본고안 가설발판에 부착된 로킹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4는 본고안 가설발판에 부착된 로킹장치의 작용을 나타낸 사시도
도5는 본고안 가설발판에 부착된 로킹장치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6은 본고안 가설발판에 부착된 로킹장치의 작용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7은 본고안 가설발판에 부착된 로킹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8은 본고안 가설발판에 부착된 로킹장치의 작용을 나타낸 평면도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1-가설발판 102-걸이구
103-결합관 104-은폐부
105-로킹봉 106-걸이부
107-손잡이 108-비계
본고안의 구성을 도1내지 도8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건물의 시공시 비계(108)에 걸이구(102)를 결합하여 안착된 가설발판(101)이 상측으로 유동이 발생되어 비계(108)로 부터 걸이구(102)가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가설발판(101)의 양측부에 부착되는 결합관(103)과,
상기 결합관(103)으로 결합되어 회전동작에 의해 비계(108)를 로킹시키는 로킹봉(105)을 구비한 구성이다.
그리고, 상기 로킹봉(105)은 비계(108)의 하측부를 걸어서 로킹시키기 위하여 로킹봉(105)의 하측부에 절곡형성되는 걸이부(106)와,
상기 로킹봉(105)을 사용자가 손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로킹봉(105)의 상측부에 손잡이(107)를 구비하였다.
또한, 상기 결합관(103)에 결합된 로킹봉(105)의 손잡이(107)가 가설발판(101)의 상측으로 튀어나와 보행자의 보행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결합관(103) 일측에 형성되는 은폐부(104)를 더 구비하였다.
이와같이된 본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고안의 가설발판(101)을 건물의 외측에 설치되는 비계(108)에 결합시키되 가설발판(101)의 양측에 부착된 "∩"형 걸이구(102)를 이용하여 결합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가설발판(101)을 밟으면서 작업자가 보행시 작용되는 상측 하중은 걸이구(102)의 지지력에 의해 해소가 되어진다.
그리고, 상기 가설발판(101)에 바람과 진동 등에 의해 발생되는 하측하중은 가설 발판(101)의 양측에 부착되어지는 로킹장치에 의해 가능해진다.
즉, 상기 가설발판(101)의 양측에 부착된 결합관(103)의 로킹봉(105)을 회전시켜서 비계(108)의 하측부를 로킹봉(105)에 형성된 걸이부(106)에 의해 걸리도록 하면 된다.
다시 말해서, 로킹봉(105)의 상측에 절곡형성된 손잡이(107)를 도3,도5,도7의 위치에서 도4,도6,도8의 위치로 회전시키면 로킹봉(105)의 걸이부(106)가 비계(108)의 하측부와 접촉하면서 지지를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의 가설발판(101)에 바람이나 진동 등에 의해 발생되는 하측하중이 작용되더라도 가설발판(101)이 유동되거나 탈거되는 현상을 막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의 손잡이(107)는 회전에 의해 결합관(103)의 은폐부(104)로 삽입 은폐 되어 가설발판(101)의 상측부로 돌출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의 가설발판(101)을 보행하는 작업자의 발이 로킹봉(105)의 손잡이(107)에 걸려서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의 가설발판(101)을 공사완료후 철거시에는 결합관(103)의 은폐부(104)에 삽입된 로킹봉(105)의 손잡이(107)를 역방향으로 회전시켜서 들어올리면 로킹봉(105)의 걸이부(106)가 비계(108)의 하측면으로 부터 분리되어 지므로 가설발판(101)을 들어 올려 용이하게 철거를 할 수 있게 된다.
이와같이된 본고안은, 가설발판의 양측부에 결합관을 부착시키고 상기의 결합관에는 비계의 저면을 걸어서 로킹시킬 수 있는 로킹봉을 결합시킴으로서 비계에 설치되는 가설발판의 유동과 탈거현상을 방지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보호할 수 있고 견고한 가설발판의 결합구조를 얻을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Claims (3)

  1. 건물의 시공시 비계에 걸이구를 결합하여 안착된 가설발판이 상측으로 유동이 발생되어 비계로 부터 걸이구가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가설발판의 양측부에 부착되는 결합관과,
    상기 결합관으로 결합되어 회전동작에 의해 비계를 로킹시키는 로킹봉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가설발판의 로킹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봉은 비계의 하측부를 걸어서 로킹시키기 위하여 로킹봉의 하측부에 절곡형성되는 걸이부와,
    상기 로킹봉을 사용자가 손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로킹봉의 상측부에 손잡이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가설발판의 로킹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관에 결합된 로킹봉의 손잡이가 가설발판의 상측으로 튀어나와 보행자의 보행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결합관 일측에 형성되는 은폐부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가설발판의 로킹장치.
KR2019970045378U 1997-12-31 1997-12-31 건축용 가설발판의 로킹장치 KR2001809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5378U KR200180963Y1 (ko) 1997-12-31 1997-12-31 건축용 가설발판의 로킹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5378U KR200180963Y1 (ko) 1997-12-31 1997-12-31 건축용 가설발판의 로킹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2615U true KR19990032615U (ko) 1999-07-26
KR200180963Y1 KR200180963Y1 (ko) 2000-05-15

Family

ID=19520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45378U KR200180963Y1 (ko) 1997-12-31 1997-12-31 건축용 가설발판의 로킹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0963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8277B1 (ko) * 2012-04-26 2014-06-27 조신제 수상용 작업대 판넬
KR102003032B1 (ko) 2019-03-28 2019-07-23 이성구 철거 작업용 비계
KR102065458B1 (ko) 2019-06-04 2020-01-13 김길성 인테리어 시공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10241343C1 (en) * 2010-11-10 2011-12-01 Ullrich Aluminium Pty Ltd Improved plank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8277B1 (ko) * 2012-04-26 2014-06-27 조신제 수상용 작업대 판넬
KR102003032B1 (ko) 2019-03-28 2019-07-23 이성구 철거 작업용 비계
KR102065458B1 (ko) 2019-06-04 2020-01-13 김길성 인테리어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0963Y1 (ko) 2000-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28729C (en) Extendible safety posts for manhole ladders
NZ556204A (en) Integral safety system which can be used for construction
KR200180963Y1 (ko) 건축용 가설발판의 로킹장치
KR200442222Y1 (ko) 발판 각도 조절용 사다리
KR100913112B1 (ko) 추락방지대 설치용 브래킷
US608249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spending worker&#39;s scaffolds over the sides of buildings
JPH0748876Y2 (ja) 枠組足場交差部の渡り板
JP2602190Y2 (ja) 簡易足場屋根
JP3008167B2 (ja) 簡易足場及びその設置方法
JPH0438029Y2 (ko)
KR200302136Y1 (ko) 교량용 작업안전대 조립체
JP2952165B2 (ja) 安全ネット用吊り金具の操作棒
JPH0312101Y2 (ko)
JP2525752Y2 (ja) 建築現場転落防止具
KR200271755Y1 (ko) 건축 토목공사의 비계장치용 안전발판
JPH0327162Y2 (ko)
AU2002301442B2 (en) Scaffolding System
KR950003703Y1 (ko) 난간설치를 겸한 비계(飛階) 파이프 고정구
JP2001329695A (ja) 仮設足場用落下防止養生ネット
KR200260692Y1 (ko) 비계용 착탈식 도르레 걸이
KR950010410Y1 (ko) 이발 의자용 착탈식 발판
JP2571385Y2 (ja) 梯子固定金具
JP3005655U (ja) 簡易足場板止め及び鼻隠し板支え金具
JPH0412178Y2 (ko)
KR200241175Y1 (ko) 작업대 설치용 클램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