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4575B1 - 다목적 자재 보관 창고 - Google Patents

다목적 자재 보관 창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4575B1
KR102104575B1 KR1020190052651A KR20190052651A KR102104575B1 KR 102104575 B1 KR102104575 B1 KR 102104575B1 KR 1020190052651 A KR1020190052651 A KR 1020190052651A KR 20190052651 A KR20190052651 A KR 20190052651A KR 102104575 B1 KR102104575 B1 KR 1021045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frame
support
weight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26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현수
Original Assignee
신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현수 filed Critical 신현수
Priority to KR10201900526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45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45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45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5/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industrial or agricultural purposes
    • E04H5/02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industrial purposes, e.g. for power-plants or fact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3/00Roller-ways
    • B65G13/11Rolle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7/00Combinations of mechanical conveyors of the same kind, or of different kind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or use in particular manufactur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9/00Rollers, e.g. drive rollers, or arrangements thereof incorporated in roller-ways or other types of mechanical conveyors 
    • B65G39/02Adaptations of individual rollers and suppor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9/00Rollers, e.g. drive rollers, or arrangements thereof incorporated in roller-ways or other types of mechanical conveyors 
    • B65G39/10Arrangements of rollers
    • B65G39/12Arrangements of rollers mounted on framework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4Non-macromolecular additives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8Macromolecular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01/00Adhesives based on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0/00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 E04F10/02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 E04F10/06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comprising a roller-blind with means for holding the end away from a building
    • E04F10/0611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comprising a roller-blind with means for holding the end away from a building with articulated arms supporting the movable end of the blind for deployment of the blind
    • E04F10/0618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comprising a roller-blind with means for holding the end away from a building with articulated arms supporting the movable end of the blind for deployment of the blind whereby the pivot axis of the articulation is perpendicular to the rolle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02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out-buildings or cellars; Other simple closures not designed to be close-fi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14Combination of convey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재의 인출입이 용이하도록 고안된 다목적 자재 보관 창고에 관한 것으로, 상하 또는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입구를 개폐하는 도어부; 및 상기 입구로 들어오는 햇볕을 가리거나 상기 입구로 비가 들이치는 것을 막기 위해 상기 도어부의 상부에 설치되는 차양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다목적 자재 보관 창고{MULTIPURPOSE STORAGE WAREHOUSE}
본 발명은 다목적 자재 보관 창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보관된 자재의 인출입이 용이하도록 고안된 다목적 자재 보관 창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개념의 창고란 공산품 내지 농산품 등의 각종 물품을 별도의 장소에 안전하게 보관하기 위해서 지면에 설치하는 것으로서, 현재에는 물건을 보관하는 장소 이외에 사람이 주거하는 공간으로도 활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으로 사용되는 창고는 설치하는 방법에 따라 파일을 지면에 박아 조립구축하는 고정식 창고와 간이 조립식 창고로 대별되는데, 상기 고정식 창고는 지면에 파일 프레임과 판넬을 고정시켜 설치하기 때문에 고가의 설치 비용이 소요되고 그 작업시간이 길어짐은 물론 지면 고정형으로 설치되기 때문에 분해 및 이동이 용이하지 않아 창고를 다른 용도로 개선하고자 할 때는 창고를 부셔 폐기 처분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등록특허 제10-1951905호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2017-0001598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창고의 입구의 개폐가 용이하도록 슬라이딩 형석의 출입문을 설치하고, 출입문의 상부에 햇볕이나 눈/비 등이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차양을 설치한 다목적 자재 보관 창고를 제공한다.
또한, 접착제 조성물을 이용하여 두 겹 이상의 막을 부착시켜 제조된 차양막을 구비한 다목적 자재 보관 창고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자재 보관 창고는, 상하 또는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입구를 개폐하는 도어부; 및 상기 입구로 들어오는 햇볕을 가리거나 상기 입구로 비가 들이치는 것을 막기 위해 상기 도어부의 상부에 설치되는 차양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차양부는, 상기 도어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차양막을 권취하거나 권출하는 권취부; 및 상기 권취부의 하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1 프레임과 상기 제1 프레임의 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2 프레임을 구비하며,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의 회동에 따라 상기 제2 프레임의 전단으로 상기 차양막을 상기 권취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잡아당겨 펼치거나 상기 차양막을 상기 권취부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잡아당겨 상기 권취부로 귄취시키는 차양막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차양막은, 햇볕의 투과를 막기 위한 불투명 재질로 형성되는 상부막; 상기 상부막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상기 상부막의 하측에 부착되는 하부막; 및 상기 상부막과 상기 하부막을 부착시킬 수 있도록 상기 상부막의 하측면 또는 상기 하부막의 상측면에 도포되는 접착제 조성물을 포함하며, 상기 접착제 조성물은, 상기 상부막과 상기 하부막 사이에 접착에 충분한 두께 및 고르기로 도포될 수 있도록 열가소성 수지 40~80 중량부, 점착부여수지 5~40 중량부, 송진 1~5 중량부, 가소제 1~10 중량부, 충전재 1~10 중량부, 산화방지제 0.1~1중량부 및 나노실리카 0.1~5 중량부를 포함하며, 창고 내부에서 계단을 통해 올라갈 수 있는 적재 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적재 공간으로부터 출고되는 자재 박스에 부착된 식별 코드를 식별하여 재고를 관리하는 재고 관리부; 상기 적재 공간으로 통하는 계단을 따라 설치되며, 상기 재고 관리부에서 식별된 자재 박스를 전달받아 계단 아래로 이송시키는 박스 이송부; 및 상기 박스 이송부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박스 이송부에 의하여 이송된 자재 박스가 안착되는 박스 안착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박스 이송부는, 상기 적재 공간으로부터 상기 박스 안착부까지 설치되며, 상기 재고 관리부에서 식별된 자재 박스가 안착되면 상기 박스 안착부까지 이송하는 이송 컨베이어; 및 상기 적재 공간으로 통하는 계단에서 상기 이송 컨베이어를 지지하는 지지대를 포함하며, 상기 박스 안착부는, 쿠션감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박스 이송부를 통해 전달된 자재 박스가 안착되는 쿠션부; 및 상기 쿠션부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쿠션부를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박스 안착부는, 상기 지지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설치홈; 및 상기 쿠션부가 상기 지지부의 상부면으로부터 기 설정된 높이로 승강될 수 있도록 상기 설치홈에 삽입되어 상기 쿠션부를 지지하며,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쿠션부로 낙하하는 자재 박스의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 흡수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충격 흡수부는, 상기 설치홈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지지 기둥; 상기 지지 기둥의 상부에 설치되는 탄성체; 및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탄성체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부면에 상기 쿠션부가 설치되는 지지 평판을 포함하며, 상기 탄성체는, 상기 지지 평판이 상기 지지부의 상부면으로부터 기 설정된 높이로 승강될 수 있도록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재고 관리부와 상기 박스 이송부 사이에 설치되어 자재 박스를 상기 박스 이송부까지 전달하는 보조 이송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보조 이송부는, 다수 개의 프레임에 의하여 형성되며, 상기 재고 관리부로부터 상기 박스 이송부까지 연장 형성되는 이송 선반; 및 상기 이송 선반의 상부에서 길이 방향으로 다수 개가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부에 자재 박스가 안착되면 회전하여 이송시키는 이송 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 선반은, 상기 이송 롤러가 설치될 수 있도록 길이 방향으로 연장 설치되는 제1 수평 프레임과 상기 제1 수평 프레임과 대향하고 이격 설치되는 제2 수평 프레임을 구비하며, 상기 제1 수평 프레임 또는 상기 제 수평 프레임은, 다른 수평 프레임과의 대향면에 상기 이송 롤러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을 체결하기 위한 롤러 체결홈을 형성하며, 상기 롤러 체결홈은,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수직홈; 상기 수직홈의 하부로부터 전단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평홈; 상기 수평홈의 전단에서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이송 롤러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이 안착되는 안착홈; 및 상기 안착홈의 하측 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안착홈으로 상기 이송 롤러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이 삽입되면 상기 안착홈의 상측 공간으로 들어올려 체결시켜 주는 롤러 승강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 롤러는, 일측 및 다른 일측에 상기 롤러 체결홈을 따라 이동된 후 상기 안착홈에 체결되기 위한 체결 뭉치, 상기 체결 뭉치의 하부에 설치되는 탄성체와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탄성체의 하부에 설치되는 체결 평판을 포함하는 체결부를 구비하며, 상기 롤러 승강부는, 상기 체결 평판을 지지하는 받침 프레임; 상측에 안착된 상기 받침 프레임을 지지하는 네 개의 받침 플레이트; 상기 네 개의 받침 플레이트의 각각의 하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1 프레임 및 제2 프레임을 포함하는 네 쌍의 지지 프레임; 및 사각 기둥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1 프레임이 상측면에 회동 및 수평 방향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상기 제2 프레임이 일 측면에 회동 및 수직 방향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지지 기둥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창고의 입구의 개폐가 용이하도록 슬라이딩 형석의 출입문을 설치하고, 출입문의 상부에 햇볕이나 눈/비 등이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차양을 설치함으로써, 창고의 입구가 지저분해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여 창고를 드나드는 차량의 바퀴나 작업자의 신발이 지저분해지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이로 인해 창고의 내부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접착제 조성물을 이용하여 두 겹 이상의 막을 부착시켜 제조된 차양막을 구비함으로써, 친위생적이면서도 접착성이 우수한 접착제 조성물로 제작된 차양막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본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자재 보관 창고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차양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자재 보관 창고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박스 안착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3의 박스 안착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자재 보관 창고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보조 이송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체결홈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체결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롤러 승강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 및 도 13은 도 11의 지지 기둥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4는 도 12의 십자 탄성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5는 도 13의 수직 탄성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자재 보관 창고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자재 보관 창고(10)는, 기둥, 지붕 및 벽체 등으로 제작되어 내부 공간에 자재 등을 보관할 수 있는 저장 창고로서, 도어부(600) 및 차양부(700)를 포함한다.
도어부(600)는, 상하 또는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다목적 자재 보관 창고(10)의 전면에 형성된 입구를 개폐시켜 물품 이송을 위한 차량이 통과되도록 하거나 작업자가 출입하도록 하며, 상부에 차양부(700)가 설치된다.
차양부(700)는, 도어부(600)가 설치된 입구로 들어오는 햇볕을 가리거나 입구로 비가 들이치는 것을 막기 위해 도어부(600)의 상부에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다목적 자재 보관 창고(10)는, 창고의 입구의 개폐가 용이하도록 슬라이딩 형석의 출입문을 설치하고, 출입문의 상부에 햇볕이나 눈/비 등이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차양을 설치함으로써, 창고의 입구가 지저분해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여 창고를 드나드는 차량의 바퀴나 작업자의 신발이 지저분해지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이로 인해 창고의 내부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차양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차양부(700)는, 권취부(710) 및 적어도 하나의 차양막 구동부(720)를 포함한다.
권취부(710)는, 도어부(600)의 상부에 설치되어 차양막(730)을 권취하거나 권출한다.
즉, 권취부(710)는, 차양막 구동부(720)가 차양막(730)을 본원 발명의 전단 방향으로 잡아 당겨 펼치면 차양막(730)이 감겨있는 권취롤을 권출시켜 주며, 차양막 구동부(720)가 차양막(730)을 본원 발명 방향으로 잡아 당기면 차양막(730)을 권취시켜 감는다.
차양막 구동부(720)는, 권취부(710)의 하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1 프레임(721)과 제1 프레임(721)의 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2 프레임(722)을 구비하며, 제1 프레임(721)과 제2 프레임(722)의 회동에 따라 제2 프레임(722)의 전단으로 차양막(730)을 권취부(7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잡아당겨 펼치거나 차양막(730)을 권취부(710)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잡아당겨 권취부(710)로 귄취시킨다.
즉, 제1 프레임(721)는, 권취부(710)에서 좌우 길이 방향으로 설치된 지지 프레임(711)에 후단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전단에 제2 프레임(722)의 후단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제1 프레임(721)과 제2 프레임(722) 간의 연결 각도에 따라 차양막(730)이 펼쳐지는 정도가 조절되는 것으로, 제1 프레임(721)과 제2 프레임(722) 간의 연결 각도가 커지면 차양막(730)이 펼쳐지게 되고, 제1 프레임(721)과 제2 프레임(722) 간의 연결 각도가 작아져 폴딩됨에 따라 차양막(730)이 접힌다.
일 실시예에서, 본원 발명에서 햇볕 또는 눈/비 등이 입구로 인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차양막(730)은, 상부막(731), 하부막(732) 및 접착제 조성물(733)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막(731)은, 햇볕의 투과를 막기 위한 불투명 재질로 형성되고, 하측에 하부막(732)이 접착제 조성물(733)에 의하여 부탁된다.
하부막(732)은, 상부막(731); 상부막(731)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상부막(731)의 하측에 접착제 조성물(733)에 의하여 부착된다.
접착제 조성물(733)은, 상부막(731)과 하부막(732)을 부착시킬 수 있도록 상부막(731)의 하측면 또는 하부막(732)의 상측면에 도포된다.
여기서, 접착제 조성물(733)은, 상부막(731)과 하부막(732) 사이에 접착에 충분한 두께 및 고르기로 도포될 수 있도록 열가소성 수지 40~80 중량부, 점착부여수지 5~40 중량부, 송진 1~5 중량부, 가소제 1~10 중량부, 충전재 1~10 중량부, 산화방지제 0.1~1중량부 및 나노실리카 0.1~5 중량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착제 조성물은, 상부막(731)과 하부막(732)을 서로 부착시키기 위한 접착제 조성물로서, 열가소성 수지 40~80 중량부, 점착부여수지 5~40 중량부, 송진 1~5 중량부, 가소제 1~10 중량부, 충전재 1~10 중량부 및 산화방지제 0.1~1중량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열용융 접착제 조성물로서, 상부막(731)과 하부막(732)이 서로 부착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하, 각 성분을 자세히 살펴본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조성물의 주성분으로서, 접착력과 응집력 등을 조절하는 기능을 한다. 비닐기 또는 수산화기를 포함하는 것이라면 그 종류가 크게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폴리비닐아세테이트, 폴리비닐알코올,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및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 대비 40~8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함량이 40 중량부 미만이면 용융 점도가 높아지고 용융 흐름 지수는 낮아져 작업성이 매우 떨어지게 되며, 함량이 80 중량부를 초과하면 원단에 바로 적용되기에 충분한 접착력을 발휘하기 어렵다.
상기 점착부여수지는 저분자량 수지로, 용융 점도를 낮추어 작업성을 향상시키며, 접착 초기 젖음성과 접착제의 피착재 표면에서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고, 고화시간 등의 조절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점착부여수지는 그 종류가 크게 제한되지 않으나, 석유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점착부여수지는 지방족 탄화수소 수지, 지환족 탄화수소 수지, 방향족 탄화수소 수지, 방향족에 의해 개질된 지방족 탄화수소 수지, 및 하이드로겐화 탄화수소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방족 탄화수소 수지는 상업적인 제품으로 코오롱유화사의 Hikorez A-1100, Hikorez A-1100S, Hikorez C-1100, Hikorez R-1100, Hikorez R-1100S 등이 있다. 또한, 지환족 탄화수소 수지로는 디사이클로펜타디엔(DCPD)을 단량체로 포함하는 탄화수소 수지 등이 있고, 방향족 탄화수소 수지는 상업적으로 코오롱유화사의 Hikotack P-110S, Hikotack P-120, Hikotack P-120HS, Hikotack P-120S, Hikotack P-140, Hikotack P-140M, Hikotack P-150, Hikotack P-160, Hikotack P-90, Hikotack P-90S, Hirenol PL-1000, Hirenol PL-400 등이 있다. 또한, 방향족에 의해 개질된 지방족 탄화수소 수지는 상업적으로 코오롱유화사의 Hikorez T-1080, Hikorez T-1100 등이 있다. 또한, 하이드로겐화 탄화수소 수지는 하이드로겐화 지방족 탄화수소 수지, 하이드로겐화 방향족 탄화수소 수지 등으로 세분화될 수 있으며, 상업적으로 코오롱유화사의 Sukorez D-300, Sukorez D-390, Sukorez SU-100, Sukorez SU-110, Sukorez SU-120, Sukorez SU-130, Sukorez SU-90 등이 있다.
상기 점착부여수지는 바람직하게는 단량체의 탄소 수가 4~10인 탄화수소 수지이며, 구체적으로 C5 지방족 수지, C9 방향족 수지, C5/C9 지방족/방향족 공중합 수지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점착부여수지는 보다 바람직하게 단량체로 디사이클로펜타디엔을 포함하는 하이드로겐화 탄화수소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상업적으로 코오롱유화사(한국)의 Sukorez D-300, Sukorez D-390, Sukorez SU-100, Sukorez SU-110, Sukorez SU-120, SukorezSU-130, Sukorez SU-90 등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접착제 조성물은 작업자가 상부막(731) 또는 하부막(732)에 도포시 작업자의 피부에 튈 경우 자극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앞서 설명한 다양한 석유수지에 생분해성 저자극 수지를 함께 혼합해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생분해성 저자극 수지는 생분해성 폴리머에 폴리머의 단량체를 용융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상기 생분해성 폴리머로는 폴리락트산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락트산은 유산의 축중합 도는 락티드의 개환중합에 의해 합성되는 폴리에스터로서 폴리아미드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중간 정도의 물성을 갖고 있으며, 주로 감자와 옥수수로부터 얻어지는 천연 식물성 당 성분을 원료로 하므로 생분해도가 높지만 일반적으로 경도가 높고, 탄성이 낮으며, 내구성이 떨어지는 특성이 있다.
상기 생분해성 폴리머에는 동일한 폴리머 단량체를 용융혼합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생분해성 폴리머는 단량체와 결합되면서 쇄절단이 부분적으로 발생되어 전체적으로 수평균분자량이 떨어진다. 상기 수평균분자량이 떨어지면서 점착제로 사용할 수 있는 물성을 나타내며 가공성이 높아지게 된다.
상기 폴리락트산 100 중량부에 대해, 상기 락트산 단량체는 20 내지 30 중량부를 혼합할 수 있다. 상기 단량체가 20중량부 미만으로 혼합되면, 수평균분자량이 높고 딱딱하여 점착제로 사용되기 어려우며, 상기 단량체가 40 중량부를 초과하면 표면에 마이그레이션이 발생하여 역시 점착제로 사용하기 어려울 수 있다.
상기 석유수지와 생분해성 저자극 수지의 혼합비율은 1~2:1(w/w)인 것이 바람직하며, 석유수지의 혼합비율이 너무 높은 경우 생분해성 저자극 효과가 나오기 힘들고, 저자극 수지의 혼합비율이 너무 높은 경우 경제성이 떨어지고 전체적인 점착 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점착부여수지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 대비 5~4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함량이 5 중량부 미만이면 점착부여 수지 첨가에 따른 용융 점도 저하 효과가 미비하고 그에 따른 용융 흐름 지수의 증가가 크지 않아 작업성이 만족할 만한 수준에 도달하지 못할 염려가 있고, 함량이 30 중량부를 초과하면 점착부여수지의 초과에 따른 용융흐름지수 증가율이 크지 않아 경제성이 떨어지고 상대적으로 열가소성 폴리머의 함량이 줄어들어 조성물의 전체적인 물성을 저하시킬 염려가 있다.
상기 송진은 접착제 조성물의 전체적인 접착력을 개선시키는 역할을 하며 인체에 무해하며 천연방부제 역할을 한다. 상기 송진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 대비 1~5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함량이 1 중량부 미만이면 접착력 개선 효과를 얻기 어려우며, 함량이 5 중량부를 초과하면 가공시에 점착력이 증대되어 제품으로의 가공이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가소제는 고분자에 유연성 및 접착성을 부여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가소제의 종류는 크게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솔비톨, 에틸렌글리콜, 글리세린, 글리세린디아세테이트, 및 펜타에리쓰리톨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소제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 대비 1~1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함량이 1 중량부 미만이면 가소제의 첨가에 따른 효과가 미비하고, 함량이 10 중량부를 초과하면 가소제의 과다 사용에 의해 경제성이 떨어질 수 있으며, 접착제의 전체적인 물성을 저하시킬 염려가 있다.
상기 충전재는 조성물의 보강 및 흐름성을 조절하기 위해 사용된다. 충전재의 종류는 크게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탄산칼슘, 점토, 벤토나이트, 또는 칼슘스테아레이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접착제 조성물은 상부막(731)과 하부막(732)의 부착면에 도포되는 것으로서, 적용 환경상 악취 및 세균이 발생하기 쉽다. 이에 본 발명은 접착제 조성물의 보강 및 흐름성을 조절하면서도 악취 및 세균발생을 저하시기키 위하여, 충전재로서 석분(stone powder)과 펄프 분말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석분은 입자의 치밀함으로 인하여 첨가제를 다량 사용하지 않아도 높은 강도를 구현할 수 있고, 주변 환경에 따른 부피 변형률이 낮아 온도 변화가 큰 경우에도 접착제의 갈라짐 현상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상기 석분은 황토석, 대리석, 맥반석, 화강석, 옥석 등 다양한 암석의 분말 형태가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항균성, 항곰팡이성, 자외선 방출 등 다양한 기능을 가지는 황토석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펄프 분말은 액체 성분들을 빨아들이면서 석분들을 응집하는 역할을 하며 성분들간 혼화성을 높이고 응집력을 향상시킨다. 이때, 상기 석분과 펄프 분말은 7:3~8:2(w/w) 정도의 비율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충전재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 대비 1~1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함량이 1 중량부 미만이면 충전재의 첨가에 따른 효과가 미비하고, 함량이 10 중량부를 초과하면 접착제의 전체적인 물성을 저하시킬 염려가 있다.
상기 산화방지제는 산화 및 분해로 인한 점도의 변화, 황변현상, 접착력 저하 및 내구성 저하 등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종류는 크게 제한되지 않으며 구체적으로 페놀류, 방향족 아민류, 구연산, 또는 아스코르브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산화방지제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 대비 0.1~1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함량이 0.1 중량부 미만이면 산화방지제의 첨가에 따른 효과가 미비하고, 함량이 1 중량부를 초과하면 접착제의 경제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전체적인 물성을 저하시킬 염려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접착제 조성물은 상부막(731)과 하부막(732)의 부착면에 균일하게 분배되도록 하여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나노 실리카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나노 실리카의 함량은 0.1~5 중량부가 바람직하며, 나노 실리카의 사이즈(primary particles)는 100n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나노실리카의 함량이 0.1 중량부 미만인 경우 나노실리카 첨가에 따른 효과가 미미하며, 5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접착력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시간이 지날수록 접착제의 표면에 블루밍(blooming)이 발생하는 불량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와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60 중량부, Sukorez D-300 25중량부, 송진 3중량부, 에틸렌글리콜 5중량부, 황토석 4중량부, 펄프분말 2중량부 및 아스코르브산 1중량부를 혼합하여 170~180℃에서 용융혼련시켜 접착제 조성물을 제조한 후 펠렛 타입으로 성형하였다. 이때, 상기 생분해성 저자극 수지는 폴리락트산 100중량부에 락트산 단량체 2.5중량부를 160℃로 5분동안 용융혼합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60중량부, Sukorez D-300 15중량부, 생분해성 저자극 수지 10중량부, 송진 3중량부, 에틸렌글리콜 5중량부, 황토석 4중량부, 펄프분말 2중량부 및 아스코르브산 1중량부를 혼합하여 170~180℃에서 용융혼련시켜 접착제 조성물을 제조한 후 펠렛 타입으로 성형하였다. 이때, 상기 생분해성 저자극 수지는 폴리락트산 100중량부에 락트산 단량체 2.5중량부를 160℃로 5분동안 용융혼합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3]
나노실리카 1중량부를 더 첨가한 것만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고, 이를 실시예 3으로 하였다.
[비교예]
종래의 TPU 핫멜트 필름에서 이면지를 제거한 후 사용하였다.
[실험예]
(1) 메쉬접착강도
열용융 접착제의 메쉬접착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상부막(731)과 하부막(732)의 부착면에 정량된 접착제 펠렛을 170℃에서 용융 도포한 후, 130℃에서 30초 동안 60㎏f/㎠의 압력으로 프레스 작업을 진행하고 메쉬접착강도(㎏f/㎠)를 측정하였다.
(2) 융융흐름지수
용융흐름지수 측정기의 가열 실린더에 펠렛 타입의 접착제를 가득 채우고 160℃에서 약 5분간 녹였다. 3㎏의 추를 얹고 10분간 실린더를 통해 통과되는 접착제의 중량(g)을 측정하였다.
Figure 112019045997963-pat00001
상기 표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접착제 조성물이 기존 제품보다 향상된 접착력과 흐름지수를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생분해 저자극 수지를 사용한 경우에도 접착렵과 흐름지수가 크게 떨어지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나노 실리카를 혼합하는 경우 흐름지수가 크게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자재 보관 창고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자재 보관 창고(20)은, 재고 관리부(100), 박스 이송부(200), 박스 안착부(300), 도어부(600) 및 차양부(7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도어부(600) 및 차양부(700)는, 도 1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재고 관리부(100)는, 2층이나 3층 등과 같이 계단(2)을 통해 올라갈 수 있는 적재 공간에 설치되며, 적재 공간으로부터 출고되는 자재 박스(1)에 부착된 식별 코드를 식별하여 재고를 관리한다.
일 실시예에서, 재고 관리부(100)는, 자재 박스(1)에 부착된 식별 코드(예를 들어, 바코드 또는 QR코드 등)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단말기(120)와 식별 단말기(120)로부터 수신되는 식별 코드에 포함된 자재 박스(1)의 식별 정보를 판독하여 해당 자재 박스(1)의 반출 또는 반입에 따른 물품의 재고 데이터베이스를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하는 관리 단말기(1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관리 단말기(110)는, 반출 또는 반입되는 자재 박스(1)에 따른 재고관리뿐만 아니라, 발주요청되지 아니한 부적당한 자재 박스(1) 여부를 판독함으로써, 관리자의 실수로 요청되지 아니한 물품이 반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정확한 물품 반출이 이루어지는 것을 구현할 수 있다.
박스 이송부(200)는, 적재 공간으로 통하는 계단(1)을 따라 설치되며, 재고 관리부(100)에서 식별된 자재 박스(1)를 전달받아 계단 아래에 위치한 박스 안착부(300)로 이송시킨다.
일 실시예에서, 박스 이송부(200)는, 이송 컨베이어(210) 및 지지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송 컨베이어(210)는, 계단(2)을 따라 설치된 지지대(220)의 상부에 안착되어 적재 공간으로부터 박스 안착부(300)까지 연장 설치되며, 컨베이어벨트 등과 같은 이송장치를 구비하여 재고 관리부(100)에서 식별된 자재 박스(1)가 컨베이어벨트에 안착되면 구동되어 박스 안착부(300)까지 이송한다.
지지대(220)는, 적재 공간으로 통하는 계단(2)을 따라 설치되어 이송 컨베이어(210)를 지지한다.
박스 안착부(300)는, 박스 이송부(200)의 하측에 설치되어 박스 이송부(200)에 의하여 이송된 자재 박스(1)가 안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다목적 자재 보관 창고(20)은, 고층에 위치하는 창고시설로부터 지상층에 위치하고 있는 물품 운송용 트럭과 같은 운송장비까지 계단을 따라 설치되어 창고에 보관된 자재 박스 등과 같은 물품을 효율적으로 운송장비까지 전달함으로써, 물품 보관 창고를 지상층이 아닌 고층이나 저층에서 구비할 수 있도록 보조하여 건물의 효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송되어 반출되는 물품을 파손없이 안착시켜 물품의 손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박스 안착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박스 안착부(300)는, 쿠션부(310) 및 지지부(320)를 포함한다.
쿠션부(310)는, 스폰지, 스티로폼 또는 고무 등과 같은 쿠션감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며, 지지부(320)의 상부에 설치되어 박스 이송부(200)를 통해 전달된 자재 박스(1)가 안착되도록 함으로써, 자재 박스(1)가 파손되지 아니하고 전달되도록 한다.
지지부(320)는, 쿠션부(310)의 하측에 설치되는 지지 선반(322) 및 지지 선반(322)의 하측 각 모서리 부분에 설치되어 바닥으로부터 지지 선반(322)을 지지하는 지지 다리(321)로 구성되어 쿠션부(310)를 지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박스 안착부(300)는, 박스 이송부(200)를 통해 전달되는 자재 박스(1)가 충격에 의하여 파손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하기 위한 구성인 것이다.
도 5는 도 3의 박스 안착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박스 안착부(300a)는, 쿠션부(310), 지지부(320), 설치홈(330) 및 충격 흡수부(3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쿠션부(310) 및 지지부(320)는, 도 5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설치홈(330)은, 지지부(320)의 상부에 형성되어 충격 흡수부(340)의 하부를 삽입시켜 움직이지 못하도록 한다.
충격 흡수부(34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쿠션부(310)가 지지부(320)의 상부면으로부터 기 설정된 높이(예를 들어, 5cm 내지 20cm 등)로 승강될 수 있도록 설치홈(330)에 삽입되어 쿠션부(310)를 지지하며, 탄성력을 이용하여 쿠션부(310)로 낙하하는 자재 박스(1)의 충격을 흡수한다.
일 실시예에서, 충격 흡수부(340)는, 지지 기둥(341), 탄성체(342) 및 지지 평판(343)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 기둥(341)은, 설치홈(330)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설치홈(330)에 삽입 설치된다.
탄성체(342)는,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며, 지지 기둥(341)의 상부에 설치되어 지지 평판(343)을 하측에서 지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탄성체(342)는, 지지 평판(343), 즉 쿠션부(310)가 지지부(320)의 상부면으로부터 기 설정된 높이(예를 들어, 5cm 내지 20cm 등)로 승강될 수 있도록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지지 평판(343)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탄성체(342)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부면에 쿠션부(310)가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박스 안착부(300a)는, 쿠션부(310)에 의한 쿠션감 외에도 충격 흡수부(340)를 통해 자재 박스(1)에 의한 충격을 보다 효율적으로 흡수함으로써, 박스 이송부(200)를 통해 전달되는 자재 박스(1)가 충격에 의하여 파손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하기 위한 구성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자재 보관 창고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자재 보관 창고(30)은, 재고 관리부(100), 박스 이송부(200), 박스 안착부(300), 보조 이송부(400), 도어부(600) 및 차양부(7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재고 관리부(100), 박스 이송부(200), 박스 안착부(300) 및 도어부(600) 및 차양부(700)는, 도 1 또는 도 3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보조 이송부(400)는, 재고 관리부(100)와 박스 이송부(200) 사이에 설치되어 자재 박스(1)를 박스 이송부(200)까지 전달한다.
즉, 이송부(400)는, 재고 관리부(100)와 박스 이송부(200)가 바로 연결되지 아니하고 중간에 공간이 빈 경우에 해당 빈 공간에 삽입되어 자재 박스(1)의 연속적인 이송을 보조하는 장치인 것이다.
도 8은 도 7의 보조 이송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보조 이송부(400)는, 이송 선반(410) 및 이송 롤러(420)를 포함한다.
이송 선반(410)은, 다수 개의 프레임에 의하여 형성되며, 재고 관리부(100)로부터 박스 이송부(200)까지 연장 형성된다.
이송 롤러(420)는, 이송 선반(410)의 상부, 즉, 제1 수평 프레임(411)과 제2 수평 프레임(412)에서 길이 방향으로 다수 개가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부에 자재 박스(1)가 안착되면 회전하여 이송시킨다.
일 실시예에서, 이송 선반(410)은, 이송 롤러(420)가 설치될 수 있도록 길이 방향으로 연장 설치되는 제1 수평 프레임(411)과, 제1 수평 프레임(411)과 대향하고 이격 설치되는 제2 수평 프레임(412)을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수평 프레임(411) 또는 제2 수평 프레임(412)은, 다른 수평 프레임과의 대향면에 이송 롤러(420)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 즉, 후술하는 체결부(440)를 체결하기 위한 롤러 체결홈(430)을 형성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롤러 체결홈(430)은, 수직홈(431), 수평홈(432), 안착홈(433) 및 롤러 승강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수직홈(431)은, 제1 수평 프레임(411) 또는 제2 수평 프레임(412)의 대향면의 상부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며, 하부에서 전단 수평 방향으로 수평홈(432)이 연장 형성된다.
수평홈(432)은, 수직홈(431)의 하부로부터 전단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전단에 안착홈(433)이 형성된다.
안착홈(433)은, 수평홈(432)의 전단에서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이송 롤러(420)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이 안착된다.
롤러 승강부(500)는, 안착홈(433)의 하측 공간에 설치되며, 안착홈(433)으로 이송 롤러(420)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이 삽입되면 탄성력을 이용하여 안착홈(433)의 상측 공간으로 들어올려 체결시켜 준다.
즉, 후술하는 체결부(440)는, 수직홈(431)을 통해 하측 방향으로 삽입된 후, 수평홈(432)을 따라 전단으로 이동되어 안착홈(433)에 삽입되면 탄성력을 이용하여 롤러 승강부(500)가 승강시켜 안착홈(433)의 상부 공간에 체결되는 것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이송 롤러(420)는, 일측 및 다른 일측에 롤러 체결홈(430)을 따라 이동된 후 안착홈(433)에 체결되기 위한 체결 뭉치(441), 체결 뭉치(441)의 하부에 설치되는 탄성체(442)와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탄성체(442)의 하부에 설치되는 체결 평판(443)을 포함하는 체결부(440)를 구비할 수 있다.
도 11은 롤러 승강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롤러 승강부(500)는, 받침 프레임(540), 네 개의 받침 플레이트(510), 네 쌍의 지지 프레임(520) 및 지지 기둥(530)을 포함한다.
받침 프레임(540)은, 하측에 설치된 받침 플레이트(510)에 의하여 지지되며, 체결 평판(443)을 지지한다.
받침 플레이트(510)는, 상측에 안착된 받침 프레임(540)을 지지하며, 하측에 연결 설치된 지지 프레임(520)에 의하여 지지 기둥(530)에서 지지된다.
즉, 받침 플레이트(510)는, 상측에 받침 프레임(540)을 안착시키게 되고, 받침 프레임(540)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 등에 대응하여 탄성력에 의하여 좌우 방향(즉, 제1 프레임(521a)) 또는 상하 방향(즉, 제2 프레임(521b))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게 되는 지지 프레임(520)에 의하여 흡수되도록 함으로써 진동 또는 충격을 감쇄시키게 되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제1 프레임(521a) 또는 제2 프레임(521b)의 길이를 다양하게 형성시킴으로써, 단순히 상하 방향의 높이만을 조절하여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는 기존의 탄성체의 한계를 극복하여 받침 플레이트(510)에 의한 지지 위치를 상하 방향뿐만 아니라 좌우 방향으로도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지지 프레임(520)은, 네 개의 받침 플레이트(510)의 각각의 하부에 제1 프레임(521a) 및 제2 프레임(521b)의 두 개의 프레임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플레이트(510)를 지지하고,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프레임(521a) 또는 제2 프레임(521b)의 길이를 조절하여 플레이트(510)에 의한 받침 프레임(540)의 지지 위치를 결정한다.
이때, 제1 프레임(521a) 및 제2 프레임(521b)의 상부는 받침 플레이트(510)의 하부에 연결 설치되고, 제1 프레임(521a)의 하부는 지지 기둥(530)의 상측면에 회동 및 수평 방향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제2 프레임(521b)의 하부는 지지 기둥(530)의 일 측면에 회동 및 수직 방향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즉, 제1 프레임(521a) 또는 제2 프레임(521b)은, 지지 기둥(530)의 상측면 또는 일측면에서 탄성력에 의한 회동 또는 슬라이딩 이동을 통하여 받침 플레이트(510)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지지 기둥(530)으로 전달하게 된다.
지지 기둥(530)은, 사각 기둥 형태로 형성되며, 제1 프레임(521a)의 하부가 상측면에 회동 및 수평 방향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제2 프레임(521b)의 하부가 일 측면에 회동 및 수직 방향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하며, 제1 프레임(521a) 또는 제2 프레임(521b)의 슬라이딩 이동 시 탄성력(즉, 십자 탄성부(533) 또는 수직 탄성부(535))을 통해 진동 또는 충격을 흡수시킨다.
각각의 받침 플레이트(510) 또는 지지 프레임(520)는, 서로 대칭 구조로서 동일한 방법에 의하여 구동되는 바, 상술한 바와 같은 일 받침 플레이트(510) 또는 일 지지 프레임(520)에 관하여 기술한 내용은 다른 받침 플레이트(510) 또는 다른 지지 프레임(520)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바, 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롤러 승강부(500)는, 상하 대칭 구조로도 형성될 수 있는 바, 도 11의 경우에는 지지 기둥(530)의 상부에만 각각의 구성이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상술한 바와 같은 네 개의 받침 플레이트(510) 및 네 쌍의 지지 프레임(520)과 관련된 구성은 지지 기둥(530)의 하부에 동일하게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도 12 및 도 13은 도 11의 지지 기둥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지지 기둥(530)은, 기둥 바디(531), 십자홈(532), 십자 탄성부(533), 네 개의 수직홈(534)(도 13 참조) 및 네 개의 수직 탄성부(535) (도 13 참조)를 포함한다.
기둥 바디(531)는, 사각 기둥 형태로 형성되고, 상부에 십자홈(532)이 형성되며, 각 측면에 수직홈(534)이 형성된다.
십자홈(532)은, 기둥 바디(531)의 상부에 "+"형태로 함몰 형성되고, 내부 공간에 십자 탄성부(533)가 삽입 설치된다.
십자 탄성부(533)는, 십자홈(532)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십자홈(532)에 삽입되며, 네 개의 가지의 말단 상부에 제1 프레임(521a)의 하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제1 프레임(521a)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흡수시켜 진동 또는 충격을 감쇄시킨다.
수직홈(534)은, 기둥 바디(531)의 각 면에 상하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고, 내부 공간에 수직 탄성부(535)가 삽입 설치된다.
수직 탄성부(535)는, 수직홈(534)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수직홈(534)에 삽입되며, 상부 외측에 제2 프레임(521b)의 하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제2 프레임(521b)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흡수시켜 진동 또는 충격을 감쇄시킨다.
도 14는 도 12의 십자 탄성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십자 탄성부(533)는, 십자 케이스부(5331), 상부 지지부(5332), 네 개의 상부 탄성부(5333), 네 개의 상부 롤러 승강부(5334) 및 네 개의 상부 연결 링크부(5335)를 포함한다.
십자 케이스부(5331)는, 내부 공간이 빈 "+" 형태로 형성되어 십자홈(532)에 삽입 설치되고, 내부 공간에 후술하는 상부 지지부(5332), 네 개의 상부 탄성부(5333), 네 개의 상부 롤러 승강부(5334)가 설치된다.
이때, 십자 케이스부(5331)의 각 가지의 길이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십자홈(532)의 각 가지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됨으로써, 십자 케이스부(5331)의 외측에 형성되는 공간에 상부 연결 링크부(5335)가 배치되고 슬라이딩 이동을 위한 공간을 형상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상부 지지부(5332)는, 정육면체로 형성되며, 십자 케이스부(5331)의 중심 부분에 배치되고, 각 4면의 외측에 상부 탄성부(5333)가 배치되도록 하고 상부 탄성부(5333)를 지지하게 된다.
상부 탄성부(5333)는, 상부 지지부(5332)의 각 측면에 배치되어 상부 롤러 승강부(5334)를 탄성력에 의하여 지지함으로써, 상부 롤러 승강부(5334)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 등을 흡수하게 된다.
상부 롤러 승강부(5334)는, 십자 케이스부(5331)의 내부 공간의 각 가지의 말단에 각각 배치되며, 상부 탄성부(5333)의 탄성력에 의하여 지지되고, 상부 연결 링크부(5335) 사이에 설치된 지지 바아(5336)에 의하여 상부 연결 링크부(5335)를 지지한다.
상부 연결 링크부(5335)는, 십자홈(532)의 각 가지의 말단에 각각 배치되고, 십자 케이스부(5331)와 대향하는 일 측면과 상부 롤러 승강부(5334) 사이에 설치되는 지지 바아(5336)에 의하여 기 설정된 간격으로 유지되고, 상부에 제1 프레임(521a)의 하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플레이트(510)의 상하 방향의 이동에 따라 십자홈(532)의 각각의 가지가 만나는 중심 방향으로 십자홈(532)의 홈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한다.
도 15는 도 13의 수직 탄성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수직 탄성부(535)는, 수직 케이스부(5341), 측면 지지부(5342), 측면 탄성부(5343), 측면 롤러 승강부(5344) 및 측면 연결 링크부(5345)를 포함한다.
수직 케이스부(5341)는, 내부 공간이 빈 수직홈(534)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 공간의 하측으로부터 측면 지지부(5342), 측면 탄성부(5343) 및 측면 롤러 승강부(5344)가 순서대로 설치된다.
측면 지지부(5342)는, 정육면체로 형성되며, 수직 케이스부(5341)의 하부 공간에 배치되고, 상측에 측면 탄성부(5343)가 배치되어 측면 탄성부(5343)를 지지한다.
측면 탄성부(5343)는, 측면 지지부(5342)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측에 배치된 측면 롤러 승강부(5344)를 탄성력에 의하여 지지함으로써, 측면 롤러 승강부(5344)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 등을 흡수하게 된다.
측면 롤러 승강부(5344)는, 수직 케이스부(5341)의 내부 공간의 상측에 배치되며, 측면 탄성부(5343)의 탄성력에 의하여 지지되고, 측면 연결 링크부(5345) 사이에 설치된 지지 바아(5346에 의하여 측면 연결 링크부(5345)를 지지한다.
측면 연결 링크부(5345)는, 수직홈(534)의 상부 말단에 배치되고, 수직 케이스부(5341)와 대향하는 하측면과 측면 롤러 승강부(5344)의 상측면 사이에 설치되는 지지 바아(5346)에 의하여 기 설정된 간격으로 유지되고, 외측면에 제2 프레임(521b)의 하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수직홈(534)의 하측 방향으로 수직홈(534)의 홈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한다.
본 발명의 따른 다목적 자재 보관 창고(10)은 구조물에 균열이 발생될 경우 균열이 발생된 곳에 충전하여 보수하기 위한 아크릴바인더를 포함하는 건축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구조물이라 함은, 박스 이송부(200) 또는 도어부(600) 등이 이에 해당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을 이루는 각각의 구성 모두가 이에 해당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종래 존재하던 건축 구조물을 보수하기 위한 조성물에 있어서 내수성, 방수성 및 내균열성이 모두 향상된 조성물 중 만족할 만한 효과를 발휘하는 조성물이 존재하지 않는 다는 것을 발견하여, 예의 노력한 끝에 본 발명과 같이 내수성, 방수성 및 내균열성 모두 만족할 만한 효과를 발휘하는 조성물을 발명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아크릴바인더는 아크릴 에스테르 코폴리머(acrylic ester copolymer)일 수 있다. 상기 아크릴 에스테르 코폴리머는 CAS 번호(CAS number)가 30445-28-4인 아크릴 에스테르 코폴리머일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건축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에 첨가할 수 있는 다양한 화합물을 탐색하던 중 조성물이 상기 아크릴 에스테르 코폴리머를 포함하는 경우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인 내수성 및 내균열성을 모두 달성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서 상기 조성물은 상기 아크릴바인더는 10 내지 50 중량부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40 중량부 포함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0 중량부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은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중 특히 방수성 및 내수성을 달성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EVA 바인더, 부틸셀로솔브(butyl cellosolve), 로진, 텍사놀 및 프로필렌글리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EVA 바인더는 바람직하게,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thylene vinyl acetate)이며, CAS 번호는 24937-78-8 인 화합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부틸셀로솔브(butylcellosolve)는 CAS 번호 111-76-2인 화합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로진(rosin)은 송진을 증류하여 얻는 천연 수지를 의미하며, 상업적으로 판매하고 있는 로진이라면 어떠한 종류의 로진이라도 본 발명의 과제 해결을 위한 구성으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텍사놀(TEXANOL)은 CAS 번호 25265-77-4인 화합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은 CAS 번호 57-55-6인 화합물일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아크릴바인더를 포함하는 건축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의 구성으로서 EVA 바인더, 부틸셀로솔브(butyl cellosolve), 로진, 텍사놀 및 프로필렌글리콜을 더 포함시키는 경우 특히 내수성의 효과가 향상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EVA 바인더 0.01 내지 10 중량부, 부틸셀로솔브(butyl cellosolve) 0.01 내지 5 중량부, 로진 0.01 내지 5 중량부, 텍사놀 0.01 내지 5 중량부 및 프로필렌글리콜 0.01 내지 3 중량부 포함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자들은 상기 조성물에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및 2-메틸아미노-2-메틸-1-프로판올이 추가로 포함되는 경우 내수성의 효과가 현저하게 향상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즉, 상기 아크릴바인더가 포함된 건축 보수용 조성물에 EVA 바인더, 부틸셀로솔브(butyl cellosolve), 로진, 텍사놀 및 프로필렌글리콜, 그리고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및 2-메틸아미노-2-메틸-1-프로판올이 추가로 포함되는 경우 향상된 방수성 및 내수성 확인을 통해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에서 상기 조성물은 상기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및 2-메틸아미노-2-메틸-1-프로판올을 15 내지 20 : 1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16 내지 20 : 1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 17 내지 20 : 1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및 2-메틸아미노-2-메틸-1-프로판올은 상기 조성물에 0.1 내지 5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조성물이 본 발명이 달성하고자 하는 과제 중 특히 내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상기 아크릴바인더가 포함된 건축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은 에틸렌글리콜, 부틸셀로솔브(butyl cellosolve), 칼슘 카보네이트, 티타늄디옥사이드 및 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조성물이 뛰어난 방수성 및 내수성 효과를 갖는다면, 본 조성물은 내균열성이 향상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틸셀로솔브는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에틸렌글리콜(ethylene glycol)은 CAS 번호가 107-21-1인 화합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칼슘 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는 CAS 번호가 1317-65-3인 화합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티타늄 디옥사이드(titanium dioxide)는 CAS 번호가 13463-67-7인 화합물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에틸렌글리콜 0.01 내지 5 중량부, 부틸셀로솔브(butyl cellosolve) 0,01 내지 5 중량부, 칼슘 카보네이트 20 내지 50 중량부, 티타늄디옥사이드 0.01 내지 5 중량부 및 물 0.01 내지 10 중량부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내균열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구성을 탐색하던 중 천연 추출물에서 그 아이디어를 구체화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조성물에 아마씨 점액 또는 아마씨 점액 추출물이 추가로 포함되는 경우 내균열성의 효과가 현저하게 향상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즉, 상기 아크릴바인더가 포함된 건축 보수용 조성물에 에틸렌글리콜, 부틸셀로솔브(butyl cellosolve), 칼슘 카보네이트, 티타늄디옥사이드 및 물, 그리고 아마씨 점액 또는 아마씨 점액 추출물이 추가로 포함되는 경우 향상된 내균열성 확인을 통해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아마(flax)는 쌍떡잎식물 쥐손이풀목 아마과의 한해살이풀로서 씨는 납작하고 긴 타원 모양이며 노란빛을 띤 갈색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아마씨 점액은 다양한 방법을 통해 제조할 수 있지만, 예시적으로 스크래퍼(scraper)를 이용하여 아마씨로부터 점액질을 긁어내어 아마씨 점액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아마씨 점액 추출물은 예시적으로 다음과 같이 제조될 수 있다.
아마씨 1 g을 정제수 50L에 넣고, 25℃에서 5시간 동안 교반 후, 300메쉬 여과포로 여과한 후, 여액에 동량의 알코올,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을 첨가하여 침전시킨 후 와트만 여과지, 예를 들어 와트만 여과지 NO. 5를 이용하여 여과한 후 건조하여 백색의 파우더 형태를 얻을 수 있다.
종래 아마씨의 용도로서 다양한 용도가 알려져 있으나, 본 발명에서와 같이 건축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에 포함시켜 내균열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확인한 바는 현재까지 알려진 바 없으며, 연구도 미미한 실정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상기 아마씨 점액 또는 아마씨 점액 추출물을 1 내지 10 중량부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축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의 기본 물성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분산제, 소포제, 항균제, 방부제, 동결 방지제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S1) 건축 구조물의 표면의 열화부를 제거하는 단계; 및 S2) 상기 열화부가 제거된 상기 건축 구조물의 표면 상부에 상기 건축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을 도포 및 건조하여 균열 보수막을 형성하는 단계에 의하여 구조물의 균열 보수를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와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재료 준비
하기 실시예 및 평가예를 위한 건축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에 사용된 주요 원료의 정보는 아래와 같다.
1) 아크릴바인더: 아크릴 에스테르 코폴리머(Acrylic ester copolymer) CAS NO 30445-28-4
2) EVA 바인더: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thylene vinyl acetate) CAS NO 24937-78-8
3) 부틸셀로솔브(butylcellosolve): CAS NO 111-76-2
4) 텍사놀(TEXANOL): CAS NO 25265-77-4
5)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CAS NO 57-55-6
6) 에틸렌글리콜(ethylene glycol): CAS NO 107-21-1
7) 칼슘 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CAS NO 1317-65-3
8) 티타늄 디옥사이드(titanium dioxide): CAS NO 13463-67-7
9)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CAS NO 124-68-5
10) 2-메틸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CAS NO 27646-80-6
11) 아마씨 점액
스크래퍼를 이용하여 아마씨로부터 점액질을 긁어내어 아마씨 점액을 수득하였다.
12) 아마씨 점액 추출물
아마씨 1 g을 정제수 50L에 넣고, 25℃에서 5시간 동안 교반 후, 300메쉬 여과포로 여과한 후, 여액에 동량의 에탄올을 첨가하여 침전시킨 후 와트만 여과지 NO. 5를 이용하여 여과한 후 건조하여 백색의 파우더 약 0.2 g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1
혼합 교반조에 30 중량부의 아크릴바인더를 넣고 600rpm의 속도로 교반하면서 5 중량부의 EVA 바인더, 1 중량부의 부틸셀로솔브, 0.5 중량부의 로진, 0.5 중량부의 텍사놀, 0.1 중량부의 프로필렌글리콜 및 기타 증점보조제, pH조절제 등을 순서대로 서서히 투입한 후 50 중량부의 충진제인 칼슘 카보네이트를 넣고 300rpm의 속도로 상온에서 1시간 교반하여 건축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혼합 교반조에 30 중량부의 아크릴바인더를 넣고 600rpm의 속도로 교반하면서 5 중량부의 EVA 바인더, 1 중량부의 부틸셀로솔브, 0.5 중량부의 로진, 0.5 중량부의 텍사놀, 0.1 중량부의 프로필렌글리콜, 1 중량부의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0.06 중량부의 2-메틸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및 기타 증점보조제, pH조절제 등을 순서대로 서서히 투입한 후 50 중량부의 충진제인 칼슘 카보네이트를 넣고 300rpm의 속도로 상온에서 1시간 교반하여 건축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혼합 교반조에 30 중량부의 아크릴바인더를 넣고 600rpm의 속도로 교반하면서 1 중량부의 에틸렌글리콜, 1 중량부의 부틸셀로솔브, 0.5 중량부의 티타늄디옥사이드, 5 중량부의 물 및 기타 증점보조제, pH조절제 등을 순서대로 서서히 투입한 후 50 중량부의 충진제인 칼슘 카보네이트를 넣고 300rpm의 속도로 상온에서 1시간 교반하여 건축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혼합 교반조에 30 중량부의 아크릴바인더를 넣고 600rpm의 속도로 교반하면서 1 중량부의 에틸렌글리콜, 1 중량부의 부틸셀로솔브, 0.5 중량부의 티타늄디옥사이드, 5 중량부의 물, 5 중량부의 아마씨 점액 및 아마씨 점액 추출물의 혼합물 및 기타 증점보조제, pH조절제 등을 순서대로 서서히 투입한 후 50 중량부의 충진제인 칼슘 카보네이트를 넣고 300rpm의 속도로 상온에서 1시간 교반하여 건축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평가예 1
건축 토목 구조물의 열화부를 제거한 다음, 이 표면상부에 상기 실시예 1 내지 4의 건축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을 각각 도장 및 건조하여 균열 보수막을 형성하였다. 이와 같이 얻어진 균열 보수막의 접착강도, 내균열 안정성 및 미끄럼저항성 및 균열 보수제 조성물의 저장안정성을 KS규격, KSL 1593상의 시험방법에 의거하여 물성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또한, 방수성의 경우 균열 보수막 형성 후 내부로 수분이 흡수되는 정도를 5점 척도법에 의하여 평가하였다. 하기 표 1에서 제품 X는 국내에서 시판되고 있는 B사의 건축 구조물의 건축 구조물 보수용 제품을 나타내며, 이를 실시예 1 내지 4의 조성물과 비교 대상으로 평가하였다.
[표 1]
Figure 112019045997963-pat00002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4의 건축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은 제품 X와 비교하여 내수성, 방수성 및 내균열성이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저장 안정성 및 미끄럼 저항성에 있어서도 문제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본 발명에서 실시예 1, 2는 방수성 및 내수성에서 더 우수한 평가를 받은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실시예 3, 4는 내균열성에서 더 우수한 평가를 받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20, 30: 다목적 자재 보관 창고 100: 재고 관리부
200: 박스 이송부 210: 이송 컨베이어
220: 지지대 300: 박스 안착부
310: 쿠션부 320: 지지부
330: 설치홈 340: 충격 흡수부
341: 지지 기둥 342: 탄성체
343: 지지 평판 400: 보조 이송부
410: 이송 선반 411: 제1 수평 프레임
412: 제2 수평 프레임 420: 이송 롤러
430: 롤러 체결홈 431: 수직홈
432: 수평홈 433: 안착홈
440: 체결부 500: 롤러 승강부
600: 도어부 700: 차양부
710: 권취부 720: 차양막 구동부
730: 차양막

Claims (2)

  1. 상하 또는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입구를 개폐하는 도어부; 및
    상기 입구로 들어오는 햇볕을 가리거나 상기 입구로 비가 들이치는 것을 막기 위해 상기 도어부의 상부에 설치되는 차양부를 포함하되,
    상기 차양부는, 상기 도어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차양막을 권취하거나 권출하는 권취부; 및 상기 권취부의 하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1 프레임과 상기 제1 프레임의 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2 프레임을 구비하며,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의 회동에 따라 상기 제2 프레임의 전단으로 상기 차양막을 상기 권취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잡아당겨 펼치거나 상기 차양막을 상기 권취부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잡아당겨 상기 권취부로 귄취시키는 차양막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차양막은, 햇볕의 투과를 막기 위한 불투명 재질로 형성되는 상부막; 상기 상부막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상기 상부막의 하측에 부착되는 하부막; 및 상기 상부막과 상기 하부막을 부착시킬 수 있도록 상기 상부막의 하측면 또는 상기 하부막의 상측면에 도포되는 접착제 조성물을 포함하며,
    상기 접착제 조성물은, 상기 상부막과 상기 하부막 사이에 접착에 충분한 두께 및 고르기로 도포될 수 있도록 열가소성 수지 40~80 중량부, 점착부여수지 5~40 중량부, 송진 1~5 중량부, 가소제 1~10 중량부, 충전재 1~10 중량부, 산화방지제 0.1~1중량부 및 나노실리카 0.1~5 중량부를 포함하며,
    창고 내부에서 계단을 통해 올라갈 수 있는 적재 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적재 공간으로부터 출고되는 자재 박스에 부착된 식별 코드를 식별하여 재고를 관리하는 재고 관리부; 상기 적재 공간으로 통하는 계단을 따라 설치되며, 상기 재고 관리부에서 식별된 자재 박스를 전달받아 계단 아래로 이송시키는 박스 이송부; 및 상기 박스 이송부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박스 이송부에 의하여 이송된 자재 박스가 안착되는 박스 안착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박스 이송부는, 상기 적재 공간으로부터 상기 박스 안착부까지 설치되며, 상기 재고 관리부에서 식별된 자재 박스가 안착되면 상기 박스 안착부까지 이송하는 이송 컨베이어; 및 상기 적재 공간으로 통하는 계단에서 상기 이송 컨베이어를 지지하는 지지대를 포함하며,
    상기 박스 안착부는, 쿠션감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박스 이송부를 통해 전달된 자재 박스가 안착되는 쿠션부; 및 상기 쿠션부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쿠션부를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박스 안착부는, 상기 지지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설치홈; 및 상기 쿠션부가 상기 지지부의 상부면으로부터 기 설정된 높이로 승강될 수 있도록 상기 설치홈에 삽입되어 상기 쿠션부를 지지하며,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쿠션부로 낙하하는 자재 박스의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 흡수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충격 흡수부는, 상기 설치홈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지지 기둥; 상기 지지 기둥의 상부에 설치되는 탄성체; 및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탄성체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부면에 상기 쿠션부가 설치되는 지지 평판을 포함하며,
    상기 탄성체는, 상기 지지 평판이 상기 지지부의 상부면으로부터 기 설정된 높이로 승강될 수 있도록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재고 관리부와 상기 박스 이송부 사이에 설치되어 자재 박스를 상기 박스 이송부까지 전달하는 보조 이송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보조 이송부는, 다수 개의 프레임에 의하여 형성되며, 상기 재고 관리부로부터 상기 박스 이송부까지 연장 형성되는 이송 선반; 및 상기 이송 선반의 상부에서 길이 방향으로 다수 개가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부에 자재 박스가 안착되면 회전하여 이송시키는 이송 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 선반은, 상기 이송 롤러가 설치될 수 있도록 길이 방향으로 연장 설치되는 제1 수평 프레임과 상기 제1 수평 프레임과 대향하고 이격 설치되는 제2 수평 프레임을 구비하며,
    상기 제1 수평 프레임 또는 상기 제 수평 프레임은, 다른 수평 프레임과의 대향면에 상기 이송 롤러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을 체결하기 위한 롤러 체결홈을 형성하며,
    상기 롤러 체결홈은,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수직홈; 상기 수직홈의 하부로부터 전단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평홈; 상기 수평홈의 전단에서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이송 롤러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이 안착되는 안착홈; 및 상기 안착홈의 하측 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안착홈으로 상기 이송 롤러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이 삽입되면 상기 안착홈의 상측 공간으로 들어올려 체결시켜 주는 롤러 승강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 롤러는, 일측 및 다른 일측에 상기 롤러 체결홈을 따라 이동된 후 상기 안착홈에 체결되기 위한 체결 뭉치, 상기 체결 뭉치의 하부에 설치되는 탄성체와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탄성체의 하부에 설치되는 체결 평판을 포함하는 체결부를 구비하며,
    상기 롤러 승강부는, 상기 체결 평판을 지지하는 받침 프레임; 상측에 안착된 상기 받침 프레임을 지지하는 네 개의 받침 플레이트; 상기 네 개의 받침 플레이트의 각각의 하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1 프레임 및 제2 프레임을 포함하는 네 쌍의 지지 프레임; 및 사각 기둥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1 프레임이 상측면에 회동 및 수평 방향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상기 제2 프레임이 일 측면에 회동 및 수직 방향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지지 기둥을 포함하는, 다목적 자재 보관 창고.
  2. 삭제
KR1020190052651A 2019-05-04 2019-05-04 다목적 자재 보관 창고 KR1021045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2651A KR102104575B1 (ko) 2019-05-04 2019-05-04 다목적 자재 보관 창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2651A KR102104575B1 (ko) 2019-05-04 2019-05-04 다목적 자재 보관 창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4575B1 true KR102104575B1 (ko) 2020-04-28

Family

ID=70455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2651A KR102104575B1 (ko) 2019-05-04 2019-05-04 다목적 자재 보관 창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457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1677B1 (ko) * 2021-06-16 2022-06-29 황현승 건설 자재 관리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05413U (ja) * 1994-06-20 1994-12-20 三協フロンテア株式会社 倉庫用簡易ハウス
KR20170001598U (ko) 2015-10-28 2017-05-10 장승리 킥보드 거치대
KR101951905B1 (ko) 2018-10-18 2019-02-25 (주)우리이엔지 이동식 배관 자재 보관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05413U (ja) * 1994-06-20 1994-12-20 三協フロンテア株式会社 倉庫用簡易ハウス
KR20170001598U (ko) 2015-10-28 2017-05-10 장승리 킥보드 거치대
KR101951905B1 (ko) 2018-10-18 2019-02-25 (주)우리이엔지 이동식 배관 자재 보관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1677B1 (ko) * 2021-06-16 2022-06-29 황현승 건설 자재 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1340B1 (ko) 약품 박스 이송 시스템
KR102027851B1 (ko) 태양광패널 및 그 시공방법
KR102104575B1 (ko) 다목적 자재 보관 창고
CN103814101A (zh) 固化性组合物及其固化物
TW200914512A (en) Stabilizer compositions
US20140234563A1 (en) Peelable Coating
KR102027839B1 (ko) 청소장치가 구비된 태양광패널
CN108047948A (zh) 一种聚氨酯改性沥青防水涂料及其制备方法
KR102032996B1 (ko) 절단 가공 장치
KR102064587B1 (ko) 물품 보관 창고 시스템
KR102001474B1 (ko) 자동차 부품 보관 창고
KR102029418B1 (ko) 복합소재 데크로드 시스템
CN105778607A (zh) 一种环保内墙腻子及其制备方法
KR102006961B1 (ko) 다기능 낙하물 방지망
KR102039937B1 (ko) 4주식 차량 정비용 리프트
KR102065458B1 (ko) 인테리어 시공방법
KR102033890B1 (ko) 폐유 수거 차량용 무게 측정 장치
KR102020776B1 (ko) 암롤박스 및 상기 암롤박스가 탑재된 차량
KR102013352B1 (ko) 드론 및 해상용 안전 착지 장치
KR102014414B1 (ko) 파이프 밴딩 장치
KR102058118B1 (ko) 미끄럼 방지 기능이 구비되고, 미생물을 함유한 데크로드 시스템
CN110423550A (zh) 一种抗菌防霉型水固化聚氨酯建筑防水涂料及其制备方法
KR102033960B1 (ko) 배관 보관용 창고형 설비
KR102020871B1 (ko) 오토바이 보관 창고 시스템
KR102009862B1 (ko) 자동차부품 보관 창고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