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9418B1 - 복합소재 데크로드 시스템 - Google Patents

복합소재 데크로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9418B1
KR102029418B1 KR1020190058650A KR20190058650A KR102029418B1 KR 102029418 B1 KR102029418 B1 KR 102029418B1 KR 1020190058650 A KR1020190058650 A KR 1020190058650A KR 20190058650 A KR20190058650 A KR 20190058650A KR 102029418 B1 KR102029418 B1 KR 1020294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lar
support
vertical
groove
yo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86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한
Original Assignee
김승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승한 filed Critical 김승한
Priority to KR10201900586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94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94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94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177Floor elements for use at a specific location
    • E04F15/02183Floor elements for use at a specific location for outdoor use, e.g. in decks, patios, terraces, veranda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22Resiliently-mounted floors, e.g. sprung fl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20Posts therefor
    • E04H17/22Anchoring means therefor, e.g. specially-shaped parts entering the ground; Strut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impa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러 소재의 구조물로 보행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데크 로드를 제작할 수 있도록 구현된 복합소재 데크로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지면으로부터 직립되어 설치되는 기둥; 상기 기둥 및 상기 기둥과 길이 방향으로 이격 설치된 다른 기둥의 상부에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어 하중을 지지하는 멍에; 상기 멍에 및 상기 멍에와 가로 방향으로 이격 배치된 다른 멍에 사이에 가로 방향으로 설치되어 하중을 지지하는 가로보; 상기 멍에 및 상기 가로보의 상부에 안착되어 바닥면을 형성하는 데크플레이트; 및 보행자가 낙상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멍에의 상부에 설치되는 난간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복합소재 데크로드 시스템{COMPOSITE DECK-ROAD SYSTEM}
본 발명은 복합소재 데크로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여러 소재의 구조물로 보행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데크 로드를 제작할 수 있도록 구현된 복합소재 데크로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사회적으로 친환경 분위기가 일반화되면서 목재 등과 같은 재질을 이용한 데크가 등산로나 공원 등지에 위치한 산책로, 호수 주변을 따라 형성된 보도, 전원주택이나 펜션 등에 많이 시공되고 있다.
이러한 데크로드 시스템의 일반화에 따라, 친환경성은 물론, 사용자 편의성 및 안전성, 설치 및 유지보수의 편의성 그리고, 다양한 설치환경에의 적응가능성 등이 점차 중요시되고 있다.
데크로드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크와 데크프레임으로 구성된 데크로드와, 상기 데크로드를 설치면에 대하여 지지하는 데크지주, 데크로드 상부에 설치되는 펜스를 포함하며, 펜스에는 사용자의 편의성을 위한 벤치가 설치될 수 있다.
벤치는, 공원의 산책로나 등산로 등에는 펜스와 함께 보행자가 잠시 쉴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그 설치를 위하여 많은 공간을 소요하지는 않으나 착석을 위한 최소한의 공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데크로드에 벤치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적지 않은 제약이 따른다.
이러한 설치공간의 제약을 최소화하기 위해 다양한 종류의 가변형 벤치가 제안된 바 있는데, 전기 또는 유압 등의 구동부를 사용하는 구동식 가변형 벤치는 그 설치비용이 높고, 제품 수명이나 오작동 등에 의한 유지보수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등록특허 제10-1648424호 한국등록특허 제10-1895269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복합소재를 이용한 데크로드 바닥판, 멍에, 가로보, 난간지주, 기둥과 용융아연 도금인 각관으로 이루어진 복합소재 데크로드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보행자가 파지할 수 있는 난간 등에 부착될 수 있는 시트에 충분한 두께 및 고르기를 가지고 도포될 수 있으며, 악취 및 세균 발생을 저하시킬 수 있는 접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소재 데크로드 시스템은, 지면으로부터 직립되어 설치되는 기둥; 상기 기둥 및 상기 기둥과 길이 방향으로 이격 설치된 다른 기둥의 상부에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어 하중을 지지하는 멍에; 상기 멍에 및 상기 멍에와 가로 방향으로 이격 배치된 다른 멍에 사이에 가로 방향으로 설치되어 하중을 지지하는 가로보; 상기 멍에 및 상기 가로보의 상부에 안착되어 바닥면을 형성하는 데크플레이트; 및 보행자가 낙상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멍에의 상부에 설치되는 난간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데크플레이트는, 일측 및 다른 일측에 상기 난간의 수직 지주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수직 지주의 형태에 대응하는 지주 체결홈을 형성하며, 상기 멍에의 상부에 형성된 체결홈에 삽입 체결되며, 상부가 상기 멍에의 상측으로 기 설정된 높이만큼 올라와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데크플레이트를 지지하는 데크 지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데크 지지부는, 상기 데크플레이트를 지지하는 받침 프레임; 상측에 안착된 상기 받침 프레임을 지지하는 네 개의 받침 플레이트; 상기 네 개의 받침 플레이트의 각각의 하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1 프레임 및 제2 프레임을 포함하는 네 쌍의 지지 프레임; 및 사각 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체결홈에 삽입 설치되며, 상기 제1 프레임이 상측면에 회동 및 수평 방향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상기 제2 프레임이 일 측면에 회동 및 수직 방향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지지 기둥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 기둥은, 사각 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기둥 바디; 상기 기둥 바디의 상부에 "+"형태로 함몰 형성되는 십자홈; 상기 십자홈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십자홈에 삽입되며, 네 개의 가지의 말단 상부에 상기 제1 프레임의 하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십자 탄성부; 상기 기둥 바디의 각 면에 상하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네 개의 수직홈; 및 상기 수직홈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수직홈에 각각 삽입되며, 상부 외측에 상기 제2 프레임의 하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네 개의 수직 탄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십자 탄성부는, 내부 공간이 빈 "+" 형태로 형성되는 십자 케이스부; 정육면체로 형성되며, 상기 십자 케이스부의 중심 부분에 배치되는 상부 지지부; 상기 상부 지지부의 각 측면에 배치되는 네 개의 상부 탄성부; 상기 십자 케이스부의 내부 공간의 각 가지의 말단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상부 탄성부의 탄성력에 의하여 지지되는 네 개의 상부 탄성 지지부; 및 상기 십자홈의 각 가지의 말단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십자 케이스부와 대향하는 일 측면과 상기 상부 탄성 지지부 사이에 설치되는 지지 바아에 의하여 기 설정된 간격으로 유지되고, 상부에 상기 제1 프레임의 하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십자홈의 각각의 가지가 만나는 중심 방향으로 상기 십자홈의 홈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네 개의 상부 연결 링크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직 탄성부는, 내부 공간이 빈 상기 수직홈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수직 케이스부; 정육면체로 형성되며, 상기 수직 케이스부의 하부 공간에 배치되는 측면 지지부; 상기 측면 지지부의 상측에 배치되는 측면 탄성부; 상기 수직 케이스부의 내부 공간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측면 탄성부의 탄성력에 의하여 지지되는 측면 탄성 지지부; 및 상기 수직홈의 상부 말단에 배치되고, 상기 수직 케이스부와 대향하는 하측면과 상기 측면 탄성 지지부의 상측면 사이에 설치되는 지지 바아에 의하여 기 설정된 간격으로 유지되고, 외측면에 상기 제2 프레임의 하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수직홈의 하측 방향으로 상기 수직홈의 홈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측면 연결 링크부를 포함하며, 상기 기둥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기둥 본체; 지면에 고정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기둥 본체를 수직 방향으로 삽입 체결할 수 있도록 상측이 개방된 개구부를 형성하는 기둥 케이스; 및 상기 기둥 케이스의 하부가 외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케이스 플랜지를 포함하며, 상기 기둥 케이스는, 상기 개구부의 내부 공간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개구부로 삽입된 상기 기둥 본체를 체결하기 위한 기둥 체결부를 구비하며, 상기 기둥 체결부는, 상기 개구부의 내부 공간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에 설치되며, 내부 공간으로 통하는 개방홈이 상기 기둥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체결부 본체; 및 상기 체결부 본체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개구부로 삽입된 상기 기둥 본체와의 체결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상기 개방홈을 통해 사용자가 외부로 노출된 일단을 눌러 줌에 따라 타단이 상기 기둥 본체에 박혀 고정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개방홈에 배치되어 사용자가 눌러줌에 따라 상기 개방홈의 내측 공간으로 이동되는 헤드; 상기 개구부와 대향하는 상기 헤드의 일측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넥; 상기 개구부와 대향하는 상기 넥의 일측에 평판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헤드 및 상기 넥의 이동에 따라 상기 체결부 본체의 내부 공간에서 상기 개구부 방향으로 이동되는 구동 플레이트; 및 상기 개구부와 대향하는 상기 구동 플레이트의 일측면에 격자무늬 패턴으로 서로 이격되어 다수 개 설치되며, 상기 구동 플레이트가 상기 개구부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이동되어 상기 개구부에 삽입된 상기 기둥 본체에 박히는 고정 네일을 포함하며, 상기 체결부 본체는, 상기 고정부가 내부 공간에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부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개구부와 대향하는 일측에는 상기 고정 네일이 통과되어 상기 기둥 본체에 박히기 위한 관통홀이 상기 고정 네일의 설치 패턴에 대응하여 다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부식 및 온도에 강한 고내식성, 고강도로 내구성이 우수하고, 외부환경에 의한 변형 및 파손이 없어 반영구적 사용으로 유지관리가 용이하며, 일체화된 Non-Slip처리로 보행안정성이 우수하고, 시공성 및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보행자가 파지할 수 있는 난간 등에 부착될 수 있는 시트에 충분한 두께 및 고르기를 가지고 도포될 수 있으며, 악취 및 세균 발생을 저하시킬 수 있는 접착제 조성물을 제공함으로써, 친위생적이면서도 접착성이 우수한 접착제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소재 데크로드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데크플레이트와 멍에의 연결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데크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3의 지지 기둥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6은 도 4의 십자 탄성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5의 수직 탄성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1의 기둥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기둥 케이스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기둥 체결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의 고정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는 도 8의 기둥 체결부의 체결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소재 데크로드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소재 데크로드 시스템(10)은, 기둥(100), 멍에(200), 가로보(300), 데크플레이트(400) 및 난간(600)을 포함한다.
기둥(100)은, 지면으로부터 직립되어 다수 개가 설치되며,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구조물들(즉, 멍에(200), 가로보(300), 데크플레이트(400) 및 난간(600) 등)을 지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지지한다.
멍에(2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소재 데크로드 시스템(10)의 주부재 역할을 수행하는 구조물로서, 기둥(100) 및 기둥(100)과 길이 방향으로 이격 설치된 다른 기둥(100)의 상부에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어 하중을 지지함으로써, 상부 구조물들을 떠받치는 횡방향의 보 역할을 수행한다.
가로보(300)는, 멍에(200) 및 멍에(200)와 가로 방향으로 이격 배치된 다른 멍에(200) 사이에 가로 방향으로 설치되어 하중을 지지함으로써, 멍에(200)를 지지해 주고 상부 구조물들을 떠받치는 횡방향의 보 역할을 수행한다.
데크플레이트(4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소재 데크로드 시스템(10)의 바닥판에 해당하는 구조물로서, 멍에(200) 및 가로보(300)의 상부에 안착되어 바닥면을 형성한다.
이때, 데크플레이트(400)는, 상부에 미끄럼 방지층(규사 코팅)을 형성함으로써 보행자가 보행 중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난간(600)은, 보행자가 낙상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멍에(200)의 상부에 기 설정된 높이(예를 들어, 1m 내지 2m 등)로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복합소재 데크로드 시스템(10)의 기둥(100), 멍에(200) 또는 가로보(300)는, 사각관 형태의 각관으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의 폭 또는 길이에 따라 다른 규격으로 제작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복합소재 데크로드 시스템(10)은, 바닥판인 데크플레이트(400)를 지지하고, 데크플레이트(400)의 하중을 멍에(200) 및 가로보(300)로 균일하게 전달시키기 위해 데크플레이트(400)와 가로보(300) 사이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다수 개의 아연도 각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기둥(100), 멍에(200), 가로보(300), 데크플레이트(400) 및 난간(600) 등의 각각의 구조물들을 서로 연결하기 위한 부재로서 연결재를 구비함으로써, 각 구조물들의 연결을 통해 본 발명의 안정성을 향상시킴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복합소재 데크로드 시스템(10)은, 부식 및 온도에 강한 고내식성, 고강도로 내구성이 우수하고, 외부환경에 의한 변형 및 파손이 없어 반영구적 사용으로 유지관리가 용이하며, 일체화된 Non-Slip처리로 보행안정성이 우수하고, 시공성 및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복합소재 데크로드 시스템(10)은, 보행자가 보행 중 손으로 집거나 파지할 수 있는 난간(600)의 난간 수평재(620)에 구조물의 녹?을 방지하기 위한 기능상 또는 외관의 심미성을 높이기 위한 미관상 시트지(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를 접착제 조성물을 이용하여 부착시킬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착제 조성물은, 난간 수평재(620)에 시트지를 부착시키기 위한 시트지 부착용 접착제 조성물로서, 열가소성 수지 40~80 중량부, 점착부여수지 5~40 중량부, 송진 1~5 중량부, 가소제 1~10 중량부, 충전재 1~10 중량부 및 산화방지제 0.1~1중량부를 포함한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조성물의 주성분으로서, 접착력과 응집력 등을 조절하는 기능을 한다. 비닐기 또는 수산화기를 포함하는 것이라면 그 종류가 크게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폴리비닐아세테이트, 폴리비닐알코올,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및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 대비 40~8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함량이 40 중량부 미만이면 용융 점도가 높아지고 용융 흐름 지수는 낮아져 작업성이 매우 떨어지게 되며, 함량이 80 중량부를 초과하면 원단에 바로 적용되기에 충분한 접착력을 발휘하기 어렵다.
상기 점착부여수지는 저분자량 수지로, 용융 점도를 낮추어 작업성을 향상시키며, 접착 초기 젖음성과 접착제의 피착재 표면에서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고, 고화시간 등의 조절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점착부여수지는 그 종류가 크게 제한되지 않으나, 석유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점착부여수지는 지방족 탄화수소 수지, 지환족 탄화수소 수지, 방향족 탄화수소 수지, 방향족에 의해 개질된 지방족 탄화수소 수지, 및 하이드로겐화 탄화수소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방족 탄화수소 수지는 상업적인 제품으로 코오롱유화사의 Hikorez A-1100, Hikorez A-1100S, Hikorez C-1100, Hikorez R-1100, Hikorez R-1100S 등이 있다. 또한, 지환족 탄화수소 수지로는 디사이클로펜타디엔(DCPD)을 단량체로 포함하는 탄화수소 수지 등이 있고, 방향족 탄화수소 수지는 상업적으로 코오롱유화사의 Hikotack P-110S, Hikotack P-120, Hikotack P-120HS, Hikotack P-120S, Hikotack P-140, Hikotack P-140M, Hikotack P-150, Hikotack P-160, Hikotack P-90, Hikotack P-90S, Hirenol PL-1000, Hirenol PL-400 등이 있다. 또한, 방향족에 의해 개질된 지방족 탄화수소 수지는 상업적으로 코오롱유화사의 Hikorez T-1080, Hikorez T-1100 등이 있다. 또한, 하이드로겐화 탄화수소 수지는 하이드로겐화 지방족 탄화수소 수지, 하이드로겐화 방향족 탄화수소 수지 등으로 세분화될 수 있으며, 상업적으로 코오롱유화사의 Sukorez D-300, Sukorez D-390, Sukorez SU-100, Sukorez SU-110, Sukorez SU-120, Sukorez SU-130, Sukorez SU-90 등이 있다.
상기 점착부여수지는 바람직하게는 단량체의 탄소 수가 4~10인 탄화수소 수지이며, 구체적으로 C5 지방족 수지, C9 방향족 수지, C5/C9 지방족/방향족 공중합 수지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점착부여수지는 보다 바람직하게 단량체로 디사이클로펜타디엔을 포함하는 하이드로겐화 탄화수소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상업적으로 코오롱유화사(한국)의 Sukorez D-300, Sukorez D-390, Sukorez SU-100, Sukorez SU-110, Sukorez SU-120, SukorezSU-130, Sukorez SU-90 등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접착제 조성물은 작업자가 난간 수평재(620) 또는 시트지에 도포시 작업자의 피부에 튈 경우 자극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앞서 설명한 다양한 석유수지에 생분해성 저자극 수지를 함께 혼합해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생분해성 저자극 수지는 생분해성 폴리머에 폴리머의 단량체를 용융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상기 생분해성 폴리머로는 폴리락트산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락트산은 유산의 축중합 도는 락티드의 개환중합에 의해 합성되는 폴리에스터로서 폴리아미드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중간 정도의 물성을 갖고 있으며, 주로 감자와 옥수수로부터 얻어지는 천연 식물성 당 성분을 원료로 하므로 생분해도가 높지만 일반적으로 경도가 높고, 탄성이 낮으며, 내구성이 떨어지는 특성이 있다.
상기 생분해성 폴리머에는 동일한 폴리머 단량체를 용융혼합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생분해성 폴리머는 단량체와 결합되면서 쇄절단이 부분적으로 발생되어 전체적으로 수평균분자량이 떨어진다. 상기 수평균분자량이 떨어지면서 점착제로 사용할 수 있는 물성을 나타내며 가공성이 높아지게 된다.
상기 폴리락트산 100 중량부에 대해, 상기 락트산 단량체는 20 내지 30 중량부를 혼합할 수 있다. 상기 단량체가 20중량부 미만으로 혼합되면, 수평균분자량이 높고 딱딱하여 점착제로 사용되기 어려우며, 상기 단량체가 40 중량부를 초과하면 표면에 마이그레이션이 발생하여 역시 점착제로 사용하기 어려울 수 있다.
상기 석유수지와 생분해성 저자극 수지의 혼합비율은 1~2:1(w/w)인 것이 바람직하며, 석유수지의 혼합비율이 너무 높은 경우 생분해성 저자극 효과가 나오기 힘들고, 저자극 수지의 혼합비율이 너무 높은 경우 경제성이 떨어지고 전체적인 점착 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점착부여수지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 대비 5~4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함량이 5 중량부 미만이면 점착부여 수지 첨가에 따른 용융 점도 저하 효과가 미비하고 그에 따른 용융 흐름 지수의 증가가 크지 않아 작업성이 만족할 만한 수준에 도달하지 못할 염려가 있고, 함량이 30 중량부를 초과하면 점착부여수지의 초과에 따른 용융흐름지수 증가율이 크지 않아 경제성이 떨어지고 상대적으로 열가소성 폴리머의 함량이 줄어들어 조성물의 전체적인 물성을 저하시킬 염려가 있다.
상기 송진은 접착제 조성물의 전체적인 접착력을 개선시키는 역할을 하며 인체에 무해하며 천연방부제 역할을 한다. 상기 송진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 대비 1~5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함량이 1 중량부 미만이면 접착력 개선 효과를 얻기 어려우며, 함량이 5 중량부를 초과하면 가공시에 점착력이 증대되어 제품으로의 가공이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가소제는 고분자에 유연성 및 접착성을 부여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가소제의 종류는 크게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솔비톨, 에틸렌글리콜, 글리세린, 글리세린디아세테이트, 및 펜타에리쓰리톨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소제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 대비 1~1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함량이 1 중량부 미만이면 가소제의 첨가에 따른 효과가 미비하고, 함량이 10 중량부를 초과하면 가소제의 과다 사용에 의해 경제성이 떨어질 수 있으며, 접착제의 전체적인 물성을 저하시킬 염려가 있다.
상기 충전재는 조성물의 보강 및 흐름성을 조절하기 위해 사용된다. 충전재의 종류는 크게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탄산칼슘, 점토, 벤토나이트, 또는 칼슘스테아레이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접착제 조성물은 난간 수평재(620) 또는 시트지의 부착면에 도포되는 것으로서, 적용 환경상 악취 및 세균이 발생하기 쉽다. 이에 본 발명은 접착제 조성물의 보강 및 흐름성을 조절하면서도 악취 및 세균발생을 저하시기키 위하여, 충전재로서 석분(stone powder)과 펄프 분말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석분은 입자의 치밀함으로 인하여 첨가제를 다량 사용하지 않아도 높은 강도를 구현할 수 있고, 주변 환경에 따른 부피 변형률이 낮아 온도 변화가 큰 경우에도 접착제의 갈라짐 현상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상기 석분은 황토석, 대리석, 맥반석, 화강석, 옥석 등 다양한 암석의 분말 형태가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항균성, 항곰팡이성, 자외선 방출 등 다양한 기능을 가지는 황토석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펄프 분말은 액체 성분들을 빨아들이면서 석분들을 응집하는 역할을 하며 성분들간 혼화성을 높이고 응집력을 향상시킨다. 이때, 상기 석분과 펄프 분말은 7:3~8:2(w/w) 정도의 비율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충전재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 대비 1~1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함량이 1 중량부 미만이면 충전재의 첨가에 따른 효과가 미비하고, 함량이 10 중량부를 초과하면 접착제의 전체적인 물성을 저하시킬 염려가 있다.
상기 산화방지제는 산화 및 분해로 인한 점도의 변화, 황변현상, 접착력 저하 및 내구성 저하 등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종류는 크게 제한되지 않으며 구체적으로 페놀류, 방향족 아민류, 구연산, 또는 아스코르브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산화방지제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 대비 0.1~1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함량이 0.1 중량부 미만이면 산화방지제의 첨가에 따른 효과가 미비하고, 함량이 1 중량부를 초과하면 접착제의 경제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전체적인 물성을 저하시킬 염려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접착제 조성물은 난간 수평재(620) 또는 시트지의 부착면에 균일하게 분배되도록 하여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나노 실리카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나노 실리카의 함량은 0.1~5 중량부가 바람직하며, 나노 실리카의 사이즈(primary particles)는 100n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나노실리카의 함량이 0.1 중량부 미만인 경우 나노실리카 첨가에 따른 효과가 미미하며, 5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접착력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시간이 지날수록 접착제의 표면에 블루밍(blooming)이 발생하는 불량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와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60 중량부, Sukorez D-300 25중량부, 송진 3중량부, 에틸렌글리콜 5중량부, 황토석 4중량부, 펄프분말 2중량부 및 아스코르브산 1중량부를 혼합하여 170~180℃에서 용융혼련시켜 접착제 조성물을 제조한 후 펠렛 타입으로 성형하였다. 이때, 상기 생분해성 저자극 수지는 폴리락트산 100중량부에 락트산 단량체 2.5중량부를 160℃로 5분동안 용융혼합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60중량부, Sukorez D-300 15중량부, 생분해성 저자극 수지 10중량부, 송진 3중량부, 에틸렌글리콜 5중량부, 황토석 4중량부, 펄프분말 2중량부 및 아스코르브산 1중량부를 혼합하여 170~180℃에서 용융혼련시켜 접착제 조성물을 제조한 후 펠렛 타입으로 성형하였다. 이때, 상기 생분해성 저자극 수지는 폴리락트산 100중량부에 락트산 단량체 2.5중량부를 160℃로 5분동안 용융혼합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3]
나노실리카 1중량부를 더 첨가한 것만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고, 이를 실시예 3으로 하였다.
[비교예]
종래의 TPU 핫멜트 필름에서 이면지를 제거한 후 사용하였다.
[실험예]
(1) 메쉬접착강도
열용융 접착제의 메쉬접착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난간 수평재(620)와 시트지 사이에 정량된 접착제 펠렛을 170℃에서 용융 도포한 후, 130℃에서 30초 동안 60㎏f/㎠의 압력으로 프레스 작업을 진행하고 메쉬접착강도(㎏f/㎠)를 측정하였다.
(2) 융융흐름지수
용융흐름지수 측정기의 가열 실린더에 펠렛 타입의 접착제를 가득 채우고 160℃에서 약 5분간 녹였다. 3㎏의 추를 얹고 10분간 실린더를 통해 통과되는 접착제의 중량(g)을 측정하였다.
Figure 112019051136550-pat00001
상기 표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접착제 조성물이 기존 제품보다 향상된 접착력과 흐름지수를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생분해 저자극 수지를 사용한 경우에도 접착렵과 흐름지수가 크게 떨어지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나노 실리카를 혼합하는 경우 흐름지수가 크게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도 2는 도 1의 데크플레이트와 멍에의 연결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데크플레이트(400)는, 일측 및 다른 일측에 난간(600)의 수직 지주(61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수직 지주(610)의 형태에 대응하는 지주 체결홈(410)을 형성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소재 데크로드 시스템(10)은, 데크 지지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데크 지지부(500)는, 멍에(200)의 상부에 형성된 체결홈(210)에 삽입 체결되며, 상부, 즉 후술하는 받침 플레이트(510)가 멍에(200)의 상측으로 기 설정된 높이(예를 들어, 3cm 내지 10cm 등)만큼 상측 방향으로 노출되도록 제작되며, 상부에 안착된 데크플레이트(400)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한다.
즉, 데크 지지부(500)는, 보행자의 이동에 따라 본 발명으로 지속적으로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을 중간에서 흡수 감쇄시켜 파손을 방지함으로써 보행자 도로로서의 기능이 보다 장시간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데크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데크 지지부(500)는, 받침 프레임(540), 네 개의 받침 플레이트(510), 네 쌍의 지지 프레임(520) 및 지지 기둥(530)을 포함한다.
받침 프레임(540)은, 하측에 설치된 받침 플레이트(510)에 의하여 지지되며, 데크플레이트(400)를 지지한다.
받침 플레이트(510)는, 상측에 안착된 받침 프레임(540)을 지지하며, 하측에 연결 설치된 지지 프레임(520)에 의하여 지지 기둥(530)에서 지지된다.
즉, 받침 플레이트(510)는, 상측에 받침 프레임(540)을 안착시키게 되고, 받침 프레임(540)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 등에 대응하여 탄성력에 의하여 좌우 방향(즉, 제1 프레임(521a)) 또는 상하 방향(즉, 제2 프레임(521b))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게 되는 지지 프레임(520)에 의하여 흡수되도록 함으로써 진동 또는 충격을 감쇄시키게 되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제1 프레임(521a) 또는 제2 프레임(521b)의 길이를 다양하게 형성시킴으로써, 단순히 상하 방향의 높이만을 조절하여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는 기존의 탄성체의 한계를 극복하여 받침 플레이트(510)에 의한 지지 위치를 상하 방향뿐만 아니라 좌우 방향으로도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지지 프레임(520)은, 네 개의 받침 플레이트(510)의 각각의 하부에 제1 프레임(521a) 및 제2 프레임(521b)의 두 개의 프레임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플레이트(510)를 지지하고,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프레임(521a) 또는 제2 프레임(521b)의 길이를 조절하여 플레이트(510)에 의한 받침 프레임(540)의 지지 위치를 결정한다.
이때, 제1 프레임(521a) 및 제2 프레임(521b)의 상부는 받침 플레이트(510)의 하부에 연결 설치되고, 제1 프레임(521a)의 하부는 지지 기둥(530)의 상측면에 회동 및 수평 방향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제2 프레임(521b)의 하부는 지지 기둥(530)의 일 측면에 회동 및 수직 방향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즉, 제1 프레임(521a) 또는 제2 프레임(521b)은, 지지 기둥(530)의 상측면 또는 일측면에서 탄성력에 의한 회동 또는 슬라이딩 이동을 통하여 받침 플레이트(510)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지지 기둥(530)으로 전달하게 된다.
지지 기둥(530)은, 사각 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체결홈(210)에 삽입 설치되며, 제1 프레임(521a)의 하부가 상측면에 회동 및 수평 방향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제2 프레임(521b)의 하부가 일 측면에 회동 및 수직 방향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하며, 제1 프레임(521a) 또는 제2 프레임(521b)의 슬라이딩 이동 시 탄성력(즉, 십자 탄성부(533) 또는 수직 탄성부(535))을 통해 진동 또는 충격을 흡수시킨다.
각각의 받침 플레이트(510) 또는 지지 프레임(520)는, 서로 대칭 구조로서 동일한 방법에 의하여 구동되는 바, 상술한 바와 같은 일 받침 플레이트(510) 또는 일 지지 프레임(520)에 관하여 기술한 내용은 다른 받침 플레이트(510) 또는 다른 지지 프레임(520)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바, 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데크 지지부(500)는, 상하 대칭 구조로도 형성될 수 있는 바, 도 3의 경우에는 지지 기둥(530)의 상부에만 각각의 구성이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상술한 바와 같은 네 개의 받침 플레이트(510) 및 네 쌍의 지지 프레임(520)과 관련된 구성은 지지 기둥(530)의 하부에 동일하게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3의 지지 기둥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지지 기둥(530)은, 기둥 바디(531), 십자홈(532), 십자 탄성부(533), 네 개의 수직홈(534)(도 5 참조) 및 네 개의 수직 탄성부(535) (도 5 참조)를 포함한다.
기둥 바디(531)는, 사각 기둥 형태로 형성되고, 상부에 십자홈(532)이 형성되며, 각 측면에 수직홈(534)이 형성된다.
십자홈(532)은, 기둥 바디(531)의 상부에 "+"형태로 함몰 형성되고, 내부 공간에 십자 탄성부(533)가 삽입 설치된다.
십자 탄성부(533)는, 십자홈(532)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십자홈(532)에 삽입되며, 네 개의 가지의 말단 상부에 제1 프레임(521a)의 하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제1 프레임(521a)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흡수시켜 진동 또는 충격을 감쇄시킨다.
수직홈(534)은, 기둥 바디(531)의 각 면에 상하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고, 내부 공간에 수직 탄성부(535)가 삽입 설치된다.
수직 탄성부(535)는, 수직홈(534)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수직홈(534)에 삽입되며, 상부 외측에 제2 프레임(521b)의 하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제2 프레임(521b)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흡수시켜 진동 또는 충격을 감쇄시킨다.
도 6은 도 4의 십자 탄성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십자 탄성부(533)는, 십자 케이스부(5331), 상부 지지부(5332), 네 개의 상부 탄성부(5333), 네 개의 상부 탄성 지지부(5334) 및 네 개의 상부 연결 링크부(5335)를 포함한다.
십자 케이스부(5331)는, 내부 공간이 빈 "+" 형태로 형성되어 십자홈(532)에 삽입 설치되고, 내부 공간에 후술하는 상부 지지부(5332), 네 개의 상부 탄성부(5333), 네 개의 상부 탄성 지지부(5334)가 설치된다.
이때, 십자 케이스부(5331)의 각 가지의 길이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십자홈(532)의 각 가지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됨으로써, 십자 케이스부(5331)의 외측에 형성되는 공간에 상부 연결 링크부(5335)가 배치되고 슬라이딩 이동을 위한 공간을 형상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상부 지지부(5332)는, 정육면체로 형성되며, 십자 케이스부(5331)의 중심 부분에 배치되고, 각 4면의 외측에 상부 탄성부(5333)가 배치되도록 하고 상부 탄성부(5333)를 지지하게 된다.
상부 탄성부(5333)는, 상부 지지부(5332)의 각 측면에 배치되어 상부 탄성 지지부(5334)를 탄성력에 의하여 지지함으로써, 상부 탄성 지지부(5334)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 등을 흡수하게 된다.
상부 탄성 지지부(5334)는, 십자 케이스부(5331)의 내부 공간의 각 가지의 말단에 각각 배치되며, 상부 탄성부(5333)의 탄성력에 의하여 지지되고, 상부 연결 링크부(5335) 사이에 설치된 지지 바아(5336)에 의하여 상부 연결 링크부(5335)를 지지한다.
상부 연결 링크부(5335)는, 십자홈(532)의 각 가지의 말단에 각각 배치되고, 십자 케이스부(5331)와 대향하는 일 측면과 상부 탄성 지지부(5334) 사이에 설치되는 지지 바아(5336)에 의하여 기 설정된 간격으로 유지되고, 상부에 제1 프레임(521a)의 하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플레이트(510)의 상하 방향의 이동에 따라 십자홈(532)의 각각의 가지가 만나는 중심 방향으로 십자홈(532)의 홈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한다.
도 7은 도 5의 수직 탄성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수직 탄성부(535)는, 수직 케이스부(5341), 측면 지지부(5342), 측면 탄성부(5343), 측면 탄성 지지부(5344) 및 측면 연결 링크부(5345)를 포함한다.
수직 케이스부(5341)는, 내부 공간이 빈 수직홈(534)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 공간의 하측으로부터 측면 지지부(5342), 측면 탄성부(5343) 및 측면 탄성 지지부(5344)가 순서대로 설치된다.
측면 지지부(5342)는, 정육면체로 형성되며, 수직 케이스부(5341)의 하부 공간에 배치되고, 상측에 측면 탄성부(5343)가 배치되어 측면 탄성부(5343)를 지지한다.
측면 탄성부(5343)는, 측면 지지부(5342)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측에 배치된 측면 탄성 지지부(5344)를 탄성력에 의하여 지지함으로써, 측면 탄성 지지부(5344)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 등을 흡수하게 된다.
측면 탄성 지지부(5344)는, 수직 케이스부(5341)의 내부 공간의 상측에 배치되며, 측면 탄성부(5343)의 탄성력에 의하여 지지되고, 측면 연결 링크부(5345) 사이에 설치된 지지 바아(5346에 의하여 측면 연결 링크부(5345)를 지지한다.
측면 연결 링크부(5345)는, 수직홈(534)의 상부 말단에 배치되고, 수직 케이스부(5341)와 대향하는 하측면과 측면 탄성 지지부(5344)의 상측면 사이에 설치되는 지지 바아(5346)에 의하여 기 설정된 간격으로 유지되고, 외측면에 제2 프레임(521b)의 하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수직홈(534)의 하측 방향으로 수직홈(534)의 홈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한다.
도 8은 도 1의 기둥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기둥(100)은, 기둥 본체(110), 베이스 플레이트(120), 기둥 케이스(130) 및 케이스 플랜지(140)를 포함한다.
기둥 본체(110)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기둥 케이스(130)의 개구부(131)에 삽입된 뒤, 볼트(B)와 너트(N)와 같은 체결수단에 의하여 기둥 케이스(130)에 체결된다.
베이스 플레이트(120)는, 지면에 고정 설치되며, 상부면에 기둥 케이스(130)의 하부에 형성되는 케이스 플랜지(140)가 고정 설치될 수 있는 평면을 형성한다.
기둥 케이스(130)는, 하부에 형성되는 케이스 플랜지(140)에 의해 베이스 플레이트(120)의 상부에 설치되며, 기둥 본체(110)를 수직 방향으로 삽입 체결할 수 있도록 상측이 개방된 개구부(131)를 형성한다.
기둥 본체(110)가 기둥 케이스(130)의 개구부(131)에 삽입되면, 기둥 본체(110)의 관통홀(111)과 기둥 케이스(130)를 한꺼번에 관통하는 볼트(B)와 외부로 노출된 볼트(B)의 일단을 체결하는 너트(N)를 이용하여 기둥 본체(110)와 기둥 케이스(130)를 체결한다.
케이스 플랜지(140)는, 기둥 케이스(130)의 하부가 외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며, 용접 또는 앙카 볼트 등의 고정 수단을 통해 베이스 플레이트(120)의 상부에 고정 설치된다.
도 9는 도 8의 기둥 케이스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둥 케이스(130a)는, 개구부(131a)의 내부 공간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에 설치되며, 개구부(131a)로 삽입된 기둥 본체(110)를 일측 또는 다른 일측에서 체결하여 개구부(131a)로부터 기둥 본체(110)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기둥 체결부(700)를 구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둥 케이스(130a)는, 도 8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볼트(B)와 너트(N)를 이용하여 기둥 본체(110)를 체결하는 경우보다 체결 성능을 향상시킴으로써 보행자의 이동에 따른 큰 진동이나 충격에도 기둥 본체(110)가 개구부(131a)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0은 도 9의 기둥 체결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기둥 체결부(700)는, 체결부 본체(710) 및 고정부(720)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체결부 본체(710)는, 개구부(131a)의 내부 공간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에 설치되며, 내부 공간(712)(도 12 참조)으로 통하는 개방홈(711)(도 9 참조)이 기둥 케이스(130a)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되고, 내부 공간(712)에 고정부(720)가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고정부(720)는, 체결부 본체(710)의 내부 공간(712)에 설치되며, 개구부(131a)로 삽입된 기둥 본체(110)와의 체결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개방홈(711)을 통해 사용자가 외부로 노출된 일단, 즉 헤드(721)를 눌러 줌에 따라 타단, 즉 고정 네일(724)이 기둥 본체(110) 방향으로 이동되어 기둥 본체(110)에 박혀 고정된다.
도 11은 도 10의 고정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고정부(720)는, 헤드(721), 넥(722), 구동 플레이트(723) 및 고정 네일(724)을 포함한다.
헤드(721)는, 개방홈(711)에 배치되어 사용자가 망치(T) 등과 같은 장비를 이용하여 눌러주거나 타격함에 따라 개방홈(711)의 내측 공간, 즉 기둥 본체(110)가 위치하고 있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넥(722)은, 개구부(131a)와 대향하는, 즉 기둥 본체(110)가 위치하고 있는 방향을 바라보고 있는 헤드(721)의 일측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된다.
구동 플레이트(723)는, 개구부(131a)와 대향하는, 즉 기둥 본체(110)가 위치하고 있는 방향을 바라보고 있는 넥(722)의 일측에 평판 형태로 형성되며, 헤드(721) 및 넥(722)의 이동에 따라 체결부 본체(710)의 내부 공간에서 개구부(131) 방향으로 이동된다.
고정 네일(724)은, 개구부(131a)와 대향하는, 즉 기둥 본체(110)가 위치하고 있는 방향을 바라보고 있는 구동 플레이트(723)의 일측면에 격자무늬 패턴으로 서로 이격되어 다수 개 설치되며, 구동 플레이트(723)가 개구부(131a) 방향, 즉 기둥 본체(110)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이동되어 개구부(131a)에 삽입된 기둥 본체(110)에 박힌다.
일 실시예에서, 체결부 본체(710)는, 고정부(720)가 내부 공간(712)에서 이동될 수 있도록 고정부(720)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의 내부 공간(712)을 형성하며, 개구부(131a)와 대향하는 일측에는, 즉 기둥 본체(110)와 대향하는 면에 고정 네일(724)이 통과되어 기둥 본체(110)에 박히기 위한 관통홀(713)이 고정 네일(724)의 설치 패턴에 대응하여 다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고정부(72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작동원리를 이용하여 못 또는 축구화의 스파이크 등과 같은 형태를 가지는 체결수단인 고정 네일(724)을 이용하여 기둥 본체(110)에 박혀 체결 안정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기둥
200: 멍에
300: 가로보
400: 데크플레이트
500: 데크 지지부
600: 난간
700: 기둥 체결부

Claims (2)

  1. 지면으로부터 직립되어 설치되는 기둥;
    상기 기둥 및 상기 기둥과 길이 방향으로 이격 설치된 다른 기둥의 상부에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어 하중을 지지하는 멍에;
    상기 멍에 및 상기 멍에와 가로 방향으로 이격 배치된 다른 멍에 사이에 가로 방향으로 설치되어 하중을 지지하는 가로보;
    상기 멍에 및 상기 가로보의 상부에 안착되어 바닥면을 형성하는 데크플레이트; 및
    보행자가 낙상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멍에의 상부에 설치되는 난간을 포함하되,
    상기 데크플레이트는, 일측 및 다른 일측에 상기 난간의 수직 지주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수직 지주의 형태에 대응하는 지주 체결홈을 형성하며,
    상기 멍에의 상부에 형성된 체결홈에 삽입 체결되며, 상부가 상기 멍에의 상측으로 기 설정된 높이만큼 올라와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데크플레이트를 지지하는 데크 지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데크 지지부는, 상기 데크플레이트를 지지하는 받침 프레임; 상측에 안착된 상기 받침 프레임을 지지하는 네 개의 받침 플레이트; 상기 네 개의 받침 플레이트의 각각의 하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1 프레임 및 제2 프레임을 포함하는 네 쌍의 지지 프레임; 및 사각 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체결홈에 삽입 설치되며, 상기 제1 프레임이 상측면에 회동 및 수평 방향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상기 제2 프레임이 일 측면에 회동 및 수직 방향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지지 기둥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 기둥은, 사각 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기둥 바디; 상기 기둥 바디의 상부에 "+"형태로 함몰 형성되는 십자홈; 상기 십자홈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십자홈에 삽입되며, 네 개의 가지의 말단 상부에 상기 제1 프레임의 하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십자 탄성부; 상기 기둥 바디의 각 면에 상하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네 개의 수직홈; 및 상기 수직홈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수직홈에 각각 삽입되며, 상부 외측에 상기 제2 프레임의 하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네 개의 수직 탄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십자 탄성부는, 내부 공간이 빈 "+" 형태로 형성되는 십자 케이스부; 정육면체로 형성되며, 상기 십자 케이스부의 중심 부분에 배치되는 상부 지지부; 상기 상부 지지부의 각 측면에 배치되는 네 개의 상부 탄성부; 상기 십자 케이스부의 내부 공간의 각 가지의 말단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상부 탄성부의 탄성력에 의하여 지지되는 네 개의 상부 탄성 지지부; 및 상기 십자홈의 각 가지의 말단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십자 케이스부와 대향하는 일 측면과 상기 상부 탄성 지지부 사이에 설치되는 지지 바아에 의하여 기 설정된 간격으로 유지되고, 상부에 상기 제1 프레임의 하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십자홈의 각각의 가지가 만나는 중심 방향으로 상기 십자홈의 홈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네 개의 상부 연결 링크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직 탄성부는, 내부 공간이 빈 상기 수직홈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수직 케이스부; 정육면체로 형성되며, 상기 수직 케이스부의 하부 공간에 배치되는 측면 지지부; 상기 측면 지지부의 상측에 배치되는 측면 탄성부; 상기 수직 케이스부의 내부 공간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측면 탄성부의 탄성력에 의하여 지지되는 측면 탄성 지지부; 및 상기 수직홈의 상부 말단에 배치되고, 상기 수직 케이스부와 대향하는 하측면과 상기 측면 탄성 지지부의 상측면 사이에 설치되는 지지 바아에 의하여 기 설정된 간격으로 유지되고, 외측면에 상기 제2 프레임의 하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수직홈의 하측 방향으로 상기 수직홈의 홈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측면 연결 링크부를 포함하며,
    상기 기둥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기둥 본체; 지면에 고정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기둥 본체를 수직 방향으로 삽입 체결할 수 있도록 상측이 개방된 개구부를 형성하는 기둥 케이스; 및 상기 기둥 케이스의 하부가 외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케이스 플랜지를 포함하며,
    상기 기둥 케이스는, 상기 개구부의 내부 공간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개구부로 삽입된 상기 기둥 본체를 체결하기 위한 기둥 체결부를 구비하며,
    상기 기둥 체결부는, 상기 개구부의 내부 공간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에 설치되며, 내부 공간으로 통하는 개방홈이 상기 기둥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체결부 본체; 및 상기 체결부 본체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개구부로 삽입된 상기 기둥 본체와의 체결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상기 개방홈을 통해 사용자가 외부로 노출된 일단을 눌러 줌에 따라 타단이 상기 기둥 본체에 박혀 고정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개방홈에 배치되어 사용자가 눌러줌에 따라 상기 개방홈의 내측 공간으로 이동되는 헤드; 상기 개구부와 대향하는 상기 헤드의 일측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넥; 상기 개구부와 대향하는 상기 넥의 일측에 평판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헤드 및 상기 넥의 이동에 따라 상기 체결부 본체의 내부 공간에서 상기 개구부 방향으로 이동되는 구동 플레이트; 및 상기 개구부와 대향하는 상기 구동 플레이트의 일측면에 격자무늬 패턴으로 서로 이격되어 다수 개 설치되며, 상기 구동 플레이트가 상기 개구부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이동되어 상기 개구부에 삽입된 상기 기둥 본체에 박히는 고정 네일을 포함하며,
    상기 체결부 본체는, 상기 고정부가 내부 공간에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부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개구부와 대향하는 일측에는 상기 고정 네일이 통과되어 상기 기둥 본체에 박히기 위한 관통홀이 상기 고정 네일의 설치 패턴에 대응하여 다수 개 형성되는, 복합소재 데크로드 시스템.
  2. 삭제
KR1020190058650A 2019-05-20 2019-05-20 복합소재 데크로드 시스템 KR1020294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8650A KR102029418B1 (ko) 2019-05-20 2019-05-20 복합소재 데크로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8650A KR102029418B1 (ko) 2019-05-20 2019-05-20 복합소재 데크로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9418B1 true KR102029418B1 (ko) 2019-10-07

Family

ID=68422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8650A KR102029418B1 (ko) 2019-05-20 2019-05-20 복합소재 데크로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941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95276A (zh) * 2022-07-16 2022-09-23 唐山中地工程勘察有限公司 一种岩土工程勘察用钻机
KR20240071206A (ko) 2022-11-15 2024-05-22 주식회사 에스에스팀버 무용접 하지 구조의 데크로드 시스템 및 하지 그 시공방법
KR102724981B1 (ko) * 2024-01-23 2024-10-31 (주)알유케이 알루미늄 데크 플레이트 구조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7060B1 (ko) * 2014-02-06 2014-09-02 주식회사 임성 데크 로드 시스템
KR101648424B1 (ko) 2015-07-17 2016-08-16 (주)지케이우드 데크로드 시스템 및 시공 방법
KR101895269B1 (ko) 2018-02-09 2018-09-05 지비케이건설 유한회사 친환경 데크로드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7060B1 (ko) * 2014-02-06 2014-09-02 주식회사 임성 데크 로드 시스템
KR101648424B1 (ko) 2015-07-17 2016-08-16 (주)지케이우드 데크로드 시스템 및 시공 방법
KR101895269B1 (ko) 2018-02-09 2018-09-05 지비케이건설 유한회사 친환경 데크로드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95276A (zh) * 2022-07-16 2022-09-23 唐山中地工程勘察有限公司 一种岩土工程勘察用钻机
KR20240071206A (ko) 2022-11-15 2024-05-22 주식회사 에스에스팀버 무용접 하지 구조의 데크로드 시스템 및 하지 그 시공방법
KR102724981B1 (ko) * 2024-01-23 2024-10-31 (주)알유케이 알루미늄 데크 플레이트 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9418B1 (ko) 복합소재 데크로드 시스템
KR102027851B1 (ko) 태양광패널 및 그 시공방법
KR102027839B1 (ko) 청소장치가 구비된 태양광패널
KR102032996B1 (ko) 절단 가공 장치
KR102021340B1 (ko) 약품 박스 이송 시스템
KR101975170B1 (ko) 철판 절곡 장치
KR102031247B1 (ko) 관통부 내화 충전 구조
KR102039937B1 (ko) 4주식 차량 정비용 리프트
KR102058118B1 (ko) 미끄럼 방지 기능이 구비되고, 미생물을 함유한 데크로드 시스템
KR102033890B1 (ko) 폐유 수거 차량용 무게 측정 장치
KR102065458B1 (ko) 인테리어 시공방법
KR102055445B1 (ko) 고정용 지그
KR102034465B1 (ko) 도금 장치
KR101142391B1 (ko) 인조잔디 시공구조
KR102053859B1 (ko) 선조립형 건설구조물
KR102020871B1 (ko) 오토바이 보관 창고 시스템
KR102102415B1 (ko) 높이 조절부재를 구비한 건설구조물
KR102006961B1 (ko) 다기능 낙하물 방지망
KR102033966B1 (ko) 창호 조립체 제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064587B1 (ko) 물품 보관 창고 시스템
KR102104575B1 (ko) 다목적 자재 보관 창고
KR102020770B1 (ko) 육상 트랙 보호용 덮개
KR102009862B1 (ko) 자동차부품 보관 창고 시스템
KR102043735B1 (ko) 다기능 배관 지지 구조
KR102004144B1 (ko) 파일두부 정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