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2415B1 - 높이 조절부재를 구비한 건설구조물 - Google Patents

높이 조절부재를 구비한 건설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2415B1
KR102102415B1 KR1020190111132A KR20190111132A KR102102415B1 KR 102102415 B1 KR102102415 B1 KR 102102415B1 KR 1020190111132 A KR1020190111132 A KR 1020190111132A KR 20190111132 A KR20190111132 A KR 20190111132A KR 102102415 B1 KR102102415 B1 KR 1021024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rame
reinforcing bar
elastic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11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용성
권순태
Original Assignee
(주)미르철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미르철강 filed Critical (주)미르철강
Priority to KR10201901111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24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24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24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04C5/06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of high bending resistance, i.e. of essentially three-dimensional extent, e.g. lattice girders
    • E04C5/0604Prismatic or cylindrical reinforcement cages composed of longitudinal bars and open or closed stirrup ro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8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vibrations or shocks; against mechanical destruction, e.g. by air-rai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29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 E04C3/293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the materials being steel and 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8Spacers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and spacing the reinforcements from the form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4Conveying or assembling building elements
    • E04G21/16Tools or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높이 조절부재를 구비한 건설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로 설치되는 주철근 및 복수로 설치된 상기 주철근을 감싸도록 설치되어 상기 주철근을 지지하는 띠철근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높이 조절부재를 구비한 건설구조물{CONSTRUCTION STRUCTURE OF PREFABRICATED STEEL FRAME}
본 발명은 높이 조절부재를 구비한 건설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선 조립된 철근 및 데크플레이트를 이용하여 건설현장에서 간편하면서도 신뢰성이 높은 구조물 시공이 가능한 높이조절부재 또는 일체형 스트럽을 포함하는 높이 조절부재를 구비한 건설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건설시장은 심각한 인력난과 원자재가격의 불안정성 등으로 고급기술자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현장에 인력을 제때 수급하지 못하는 상황이 종종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건설시장의 판도는 점차 공법을 단순화하고 현장의 인력투입을 최소화하기 위해, 구조물이나 제품을 공장에서 미리 제작하여 간단하고 신속하게 시공할 수 있는 형태의 공법들로 변화되고 있다. 특히, 여러 형태의 공법들 중 기둥이나 보를 공장에서 생산하여 시공하는 선조립 형태의 제품과 공법들이 많이 생겨나고 있다.
선조립 형태의 제품은 품질이 우수하고 소수의 인력으로 철근공사의 생산성 향상이 가능하다. 그러나 선조립 형태의 철근 제품은 대형 철근 부재의 부피로 인하여 운반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야적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공장에서 부피의 축소가 가능한 고품질의 철근 구조물을 제작하여 철근 구조물의 부피를 줄인 상태로 건설공사현장으로 운반하고, 운반된 철근 구조물을 건설공사현장에 바로 투입하여 시공하는 등 원가절감과 공기단축을 도모할 수 있는 건설시공방법이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0898283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선조립된 건설구조물을 시공하고자 하는 해당위치에서 투입하여 바로 시공함으로써 신속한 시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높이조절부재 또는 일체형 스트럽을 포함하는 높이 조절부재를 구비한 건설구조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탄성부를 통해 선조립된 철근 구성들을 진동 및 충격으로부터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며, 높이 조절부재를 통해 작업환경에 따라 철근 조립체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송부를 통해 철근구조물 및 데크플레이트를 설치위치까지 용이하게 승강 또는 하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안착부를 통해 데크플레이트와 이송부를 안정적으로 안착시킬 수 있으며, 접착제 조성물은 안착부의 구성요소들을 안정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부재 또는 일체형 스트럽을 포함하는 높이 조절부재를 구비한 건설구조물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로 설치되는 주철근; 및 복수로 설치된 상기 주철근을 감싸도록 설치되어 상기 주철근을 지지하는 띠철근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주철근 및 상기 띠철근 중 적어도 하나와 결합하여 상기 주철근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부재; 상부에 형성된 상기 주철근 및 하부에 형성된 상기 주철근을 일체로 엮는 스트럽; 상기 주철근, 상기 띠철근, 상기 높이 조절부재 및 상기 스트럽을 내포하는 데크플레이트; 상기 데크플레이트의 내주면과 하부에 형성된 상기 주철근 사이에 형성되며, 탄성력을 통해 진동 또는 충격을 흡수하여 상기 주철근 또는 상기 높이 조절부재를 지지하는 탄성부; 및 상기 데크플레이트 하부면과 탈부착되며, 상기 데크플레이트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이송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높이 조절부재는, 복수의 상기 주철근과 수직각을 형성하는 수직철근; 일 단부가 한쌍의 고리모양으로 형성되어 상기 주철근 또는 상기 띠철근을 수용하고, 중앙에 개방된 결합영역이 형성되어 상기 수직철근을 수용하는 결합모듈: 상기 수직철근 및 상기 결합모듈과 나사결합을 통해 상기 수직철근 및 상기 결합모듈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모듈; 상기 수직철근을 내부에 수용하기 위한 중공이 형성되며, 인입된 상기 수직철근을 밀착시키기 위하여 상기 중공부 내주면에는 오링수용홈과 오링이 형성되며, 인입된 상기 수직철근의 일단부와 접촉하여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이 형성되는 수용모듈; 및 상기 수용모듈의 하부면과 결합되며, 상기 높이 조절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는, 상기 주철근 또는 상기 높이 조절부재를 지지하는 받침 프레임; 상측에 안착된 상기 받침 프레임을 지지하며, 상기 받침 프레임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에 대응하여 탄성력에 의하여 좌우 방향 또는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진동 또는 충격을 감쇄시키는 네 개의 받침 플레이트; 상기 네 개의 받침 플레이트의 각각의 하부에 제1 프레임 및 제2 프레임의 두 개의 프레임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받침 플레이트를 지지하고, 상기 제1 프레임 또는 상기 제2 프레임의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받침 플레이트에 의한 받침 프레임의 지지 위치를 결정하는 지지 프레임; 및 상기 제1 프레임의 하부가 상측면에 회동 및 수평 방향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상기 제2 프레임의 하부가 일 측면에 회동 및 수직 방향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하며, 제1 프레임 또는 제2 프레임의 슬라이딩 이동 시 십자 탄성부 또는 수직 탄성부의 탄성력을 통해 진동 또는 충격을 흡수시키는 지지 기둥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 기둥은, 사각 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기둥 바디; 상기 기둥 바디의 상부에 “+”형태로 함몰 형성되는 십자홈; 상기 십자홈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십자홈에 삽입되며, 네 개의 가지의 말단 상부에 상기 제1 프레임의 하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십자 탄성부; 상기 기둥 바디의 각 면에 상하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네 개의 수직홈; 및 상기 수직홈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수직홈에 각각 삽입되며, 상부 외측에 상기 제2 프레임의 하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네 개의 수직 탄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십자 탄성부는, 내부 공간이 빈 “+” 형태로 형성되는 십자 케이스부; 정육면체로 형성되며, 상기 십자 케이스부의 중심 부분에 배치되는 상부 지지부; 상기 상부 지지부의 각 측면에 배치되는 네 개의 상부 탄성부; 상기 십자 케이스부의 내부 공간의 각 가지의 말단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상부 탄성부의 탄성력에 의하여 지지되는 네 개의 상부 탄성 지지부; 및 상기 십자홈의 각 가지의 말단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십자 케이스부와 대향하는 일 측면과 상기 상부 탄성 지지부 사이에 설치되는 지지 바아에 의하여 기 설정된 간격으로 유지되고, 상부에 상기 제1 프레임의 하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십자홈의 각각의 가지가 만나는 중심 방향으로 상기 십자홈의 홈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네 개의 상부 연결 링크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직 탄성부는, 내부 공간이 빈 상기 수직홈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수직 케이스부; 정육면체로 형성되며, 상기 수직 케이스부의 하부 공간에 배치되는 측면 지지부; 상기 측면 지지부의 상측에 배치되는 측면 탄성부; 상기 수직 케이스부의 내부 공간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측면 탄성부의 탄성력에 의하여 지지되는 측면 탄성 지지부; 및 상기 수직홈의 상부 말단에 배치되고, 상기 수직 케이스부와 대향하는 하측면과 상기 측면 탄성 지지부의 상측면 사이에 설치되는 지지 바아에 의하여 기 설정된 간격으로 유지되고, 외측면에 상기 제2 프레임의 하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수직홈의 하측 방향으로 상기 수직홈의 홈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측면 연결 링크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부는, 상부면에 상기 데크플레이트의 하부면과 접촉되는 상판; 상기 상판의 하측에 이격되어 배치되는 하판; 및 상기 상판의 일측과 상기 하판의 일측 사이와 상기 상판의 다른 일측과 상기 하판의 다른 일측 사이에 각각 설치되며,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상기 상판을 승강시켜 주거나 하강시켜 주는 승강부를 포함하며, 상기 승강부는, 상기 상판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의 하측을 지지하는 제1 상부 지지부, 및 "ㄱ" 형태로 형성되어 하부가 상기 제1 상부 지지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회동하여 상기 상판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을 체결하는 제2 상부 지지부를 포함하는 상판 체결부; 상기 하판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의 상측에 안착되는 구동부; 하부가 상기 구동부의 상부 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상부가 상기 상판 체결부의 하부 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1 교차 프레임, 및 하부가 상기 구동부의 상부 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상부가 상기 상판 체결부의 하부 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1 교차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교차 프레임과 상기 제2 교차 프레임이 "X" 형태로 교차 연결되어 상기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상기 제1 교차 프레임 또는 상기 제2 교차 프레임의 하측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상판을 승강시켜 주거나 하강시켜 주는 구동 프레임; 및 "ㄴ” 형태로 형성되어 상부가 상기 구동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회동하여 상기 하판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을 체결하며, 하측에 이동을 위한 바퀴를 구비하는 하판 체결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이송부의 상부면에 형성되며, 방수재료를 포함하여 상기 이송부가 수분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이송부의 작동 중 상기 데크플레이트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안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안착부는, 상기 이송부의 상기 상판 상에 형성되며, 무기질 탄성 방수재를 포함하는 제 1 시트층; 상기 제 1 시트층 상에 배치되는 금속 재질의 복수의 방수시트; 상기 방수시트 간의 이음매 상단 및 이음매 하단 중 적어도 하나에 부착되는 연질의 자성 조인트층; 및 상기 방수시트 상에 형성되며, 무기질 탄성 방수재로 이루어지는 제 2 시트층; 및 상기 제 2 시트층을 외부의 자극으로부터 보호하도록 상기 제 2 시트층 상에 형성되는 실리콘 코팅층; 상기 복수의 방수시트 사이에 배치되는 연질의 완충부 및 상기 방수시트의 적어도 일 영역에 도포되어 상기 방수시트를 고정 결합시키는 접착제 조성물을 포함하고, 상기 접착제 조성물은, 열가소성 수지 40~80 중량부, 점착부여수지 5~40 중량부, 송진 1~5 중량부, 가소제 1~10 중량부, 충전재 1~10 중량부 및 산화방지제 0.1~1중량부, 나노실리카 0.1~5 중량부를 포함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선조립된 건설구조물을 시공하고자 하는 해당위치에서 투입하여 바로 시공함으로써 신속하면서도 높은 신뢰도를 제공하는 건축구조물을 형성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탄성부를 통해 선조립된 철근 구성들을 진동 및 충격으로부터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며, 높이 조절부재를 통해 작업환경에 따라 철근 조립체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송부를 통해 철근구조물 및 데크플레이트를 설치위치까지 용이하게 승강 또는 하강시킬 수 있어, 작업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안착부를 통해 데크플레이트와 이송부를 안정적으로 안착시킬 수 있으며, 접착제 조성물은 안착부의 구성요소들을 안정적으로 결합시켜 내구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부재 또는 일체형 스트럽을 포함하는 높이 조절부재를 구비한 건설구조물의 일부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부재 또는 일체형 스트럽을 포함하는 높이 조절부재를 구비한 건설구조물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도 7의 지지 기둥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0은 도 8의 십자 탄성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9의 수직 탄성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의 승강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 내지 도 18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착부를 도시한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부재 또는 일체형 스트럽을 포함하는 높이 조절부재를 구비한 건설구조물의 일부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부재 또는 일체형 스트럽을 포함하는 높이 조절부재를 구비한 건설구조물(10)은 주철근(110), 띠철근(120), 높이 조절부재(200) 및 스트럽(300)을 포함할 수 있다.
주철근(110)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로 설치될 수 있다. 주철근(110)은 상부 및 하부에 복수 개가 설치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상부와 하부의 사이에도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일 방향에 기 설치된 주철근(110)에 수직각을 이루도록 추가 주철근(110)을 설치할 수도 있다.
띠철근(120)은 복수로 설치된 주철근(110)을 감싸도록 설치되어, 주철근(110)을 이동을 구속하고 주철근(110) 수평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띠철근(120)은 일 영역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실시예에 따라 폐쇄형 등 다양한 형태의 띠철근(120)을 포함할 수 있다.
높이 조절부재(200)는 주철근(110) 및 띠철근(120) 중 적어도 하나와 결합하여 주철근(11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높이 조절부재(200)는 주철근(110), 띠철근(120) 및 스트럽(300)을 포함하는 선조립된 철근 구조물이 설치될 바닥 레벨 상태 등을 고려하여 철근 구조물 전체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높이 조절부재(200)는, 복수의 주철근(110)과 수직각을 형성하는 수직철근(210) 및 일 단부가 한쌍의 고리모양으로 형성되어 주철근(110) 또는 띠철근(120)을 수용하고, 중앙에 개방된 결합영역이 형성되어 수직철근(210)을 수용하는 결합모듈(22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수직철근(210) 및 결합모듈(220)과 나사결합을 통해 수직철근(210) 및 결합모듈(220)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모듈(230)을 포함할 할 수 있다. 또한, 수직철근(210)을 내부에 수용하기 위한 중공이 형성되며, 인입된 수직철근(210)을 밀착시키기 위하여 중공부 내주면에는 오링수용홈과 오링이 형성되며, 인입된 수직철근(210)의 일단부와 접촉하여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이 형성되는 수용모듈(24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수용모듈(240)의 하부면과 결합되며, 높이 조절부재(200)를 지지하는 지지모듈(250)을 포함한다.
스트럽(300)은 상부에 형성된 주철근(110) 및 하부에 형성된 주철근(110)을 일체로 엮을 수 있다. 종래의 스트럽은 U자의 개방형이거나 양쪽갈고리 철근의 접합형태로 구성되었으나, 본 발명의 스트럽(300)은 사각 일체형상으로 형성되며 용접을 통해 주철근(110)에 용접을 하여 결속시킬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부재 또는 일체형 스트럽을 포함하는 높이 조절부재를 구비한 건설구조물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부재 또는 일체형 스트럽을 포함하는 높이 조절부재를 구비한 건설구조물(10)은 데크플레이트(400), 탄성부(500), 이송부(600) 및 안착부(700)를 포함할 수 있다.
데크플레이트(400)는 주철근(110), 띠철근(120), 높이 조절부재(200) 및 스트럽(300)을 내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주철근(110), 띠철근(120), 높이 조절부재(200) 및 스트럽(300)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후술할 이송부(600)에 의해 상기 구성들을 시공 위치에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탄성부(500)는 데크플레이트(400)의 내주면과 하부에 형성된 주철근(110) 사이에 형성되며, 탄성력을 통해 진동 또는 충격을 흡수하여 주철근(110) 또는 높이 조절부재(200)를 지지할 수 있다. 탄성부(500)는 데크플레이트(400)의 이동 시 충격을 흡수하거나, 콘크리트를 데크플레이트(400) 내부에 부을 때, 주철근(110) 등이 받는 충격을 흡수하여 선립형 건설구조물(10)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이송부(600)는 데크플레이트(400) 하부면과 탈부착되며, 데크플레이트(400)를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다. 이송부(600)를 이용하여 사용자는 데크플레이트(400) 등을 용이하게 상부로 이송할 수 있으며, 특히 타워크레인 사용이 어려운 작업현장에서 용이하게 구성요소들을 이송할 수 있다.
안착부(70)는 이송부(600)의 상부면에 형성되며, 방수재료를 포함하여 이송부(600)가 수분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송부(600)의 작동 중 데크플레이트(40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탄성부(500)는, 받침 프레임(540), 네 개의 받침 플레이트(510), 네 쌍의 지지 프레임(520) 및 지지 기둥(530)을 포함한다.
받침 프레임(540)은, 주철근(110) 또는 높이 조절부재(200)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한다.
받침 플레이트(510)는, 상측에 안착된 받침 프레임(540)을 지지하며, 하측에 연결 설치된 지지 프레임(520)에 의하여 지지 기둥(530)에서 지지된다.
즉, 받침 플레이트(510)는, 상측에 받침 프레임(540)을 안착시키게 되고, 받침 프레임(540)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 등에 대응하여 탄성력에 의하여 좌우 방향(즉, 제1 프레임(521a)) 또는 상하 방향(즉, 제2 프레임(521b))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게 되는 지지 프레임(520)에 의하여 흡수되도록 함으로써 진동 또는 충격을 감쇄시키게 되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제1 프레임(521a) 또는 제2 프레임(521b)의 길이를 다양하게 형성시킴으로써, 단순히 상하 방향의 높이만을 조절하여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는 기존의 탄성체의 한계를 극복하여 받침 플레이트(510)에 의한 지지 위치를 상하 방향뿐만 아니라 좌우 방향으로도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지지 프레임(520)은, 네 개의 받침 플레이트(510)의 각각의 하부에 제1 프레임(521a) 및 제2 프레임(521b)의 두 개의 프레임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플레이트(510)를 지지하고,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프레임(521a) 또는 제2 프레임(521b)의 길이를 조절하여 플레이트(510)에 의한 받침 프레임(540)의 지지 위치를 결정한다.
이때, 제1 프레임(521a) 및 제2 프레임(521b)의 상부는 받침 플레이트(510)의 하부에 연결 설치되고, 제1 프레임(521a)의 하부는 지지 기둥(530)의 상측면에 회동 및 수평 방향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제2 프레임(521b)의 하부는 지지 기둥(530)의 일 측면에 회동 및 수직 방향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즉, 제1 프레임(521a) 또는 제2 프레임(521b)은, 지지 기둥(530)의 상측면 또는 일측면에서 탄성력에 의한 회동 또는 슬라이딩 이동을 통하여 받침 플레이트(510)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지지 기둥(530)으로 전달하게 된다.
지지 기둥(530)은, 사각 기둥 형태로 형성되며, 제1 프레임(521a)의 하부가 상측면에 회동 및 수평 방향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제2 프레임(521b)의 하부가 일 측면에 회동 및 수직 방향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하며, 제1 프레임(521a) 또는 제2 프레임(521b)의 슬라이딩 이동 시 탄성력(즉, 십자 탄성부(533) 또는 수직 탄성부(535))을 통해 진동 또는 충격을 흡수시킨다.
각각의 받침 플레이트(510) 또는 지지 프레임(520)는, 서로 대칭 구조로서 동일한 방법에 의하여 구동되는 바, 상술한 바와 같은 일 받침 플레이트(510) 또는 일 지지 프레임(520)에 관하여 기술한 내용은 다른 받침 플레이트(510) 또는 다른 지지 프레임(520)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바, 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탄성부(500)는, 상하 대칭 구조로도 형성될 수 있는 바, 네 개의 받침 플레이트(510) 및 네 쌍의 지지 프레임(520)과 관련된 구성은 지지 기둥(530)의 하부에 동일하게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도 8 및 도 9는 도 7의 지지 기둥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지지 기둥(530)은, 기둥 바디(531), 십자홈(532), 십자 탄성부(533), 네 개의 수직홈(534) 및 네 개의 수직 탄성부(535)를 포함한다.
기둥 바디(531)는, 사각 기둥 형태로 형성되고, 상부에 십자홈(532)이 형성되며, 각 측면에 수직홈(534)이 형성된다.
십자홈(532)은, 기둥 바디(531)의 상부에 "+"형태로 함몰 형성되고, 내부 공간에 십자 탄성부(533)가 삽입 설치된다.
십자 탄성부(533)는, 십자홈(532)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십자홈(532)에 삽입되며, 네 개의 가지의 말단 상부에 제1 프레임(521a)의 하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제1 프레임(521a)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흡수시켜 진동 또는 충격을 감쇄시킨다.
수직홈(534)은, 기둥 바디(531)의 각 면에 상하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고, 내부 공간에 수직 탄성부(535)가 삽입 설치된다.
수직 탄성부(535)는, 수직홈(534)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수직홈(534)에 삽입되며, 상부 외측에 제2 프레임(521b)의 하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제2 프레임(521b)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흡수시켜 진동 또는 충격을 감쇄시킨다.
도 10은 도 8의 십자 탄성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십자 탄성부(533)는, 십자 케이스부(5331), 상부 지지부(5332), 네 개의 상부 탄성부(5333), 네 개의 상부 탄성 지지부(5334) 및 네 개의 상부 연결 링크부(5335)를 포함한다.
십자 케이스부(5331)는, 내부 공간이 빈 "+" 형태로 형성되어 십자홈(532)에 삽입 설치되고, 내부 공간에 후술하는 상부 지지부(5332), 네 개의 상부 탄성부(5333), 네 개의 상부 탄성 지지부(5334)가 설치된다.
이때, 십자 케이스부(5331)의 각 가지의 길이는 십자홈(532)의 각 가지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됨으로써, 십자 케이스부(5331)의 외측에 형성되는 공간에 상부 연결 링크부(5335)가 배치되고 슬라이딩 이동을 위한 공간을 형상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상부 지지부(5332)는, 정육면체로 형성되며, 십자 케이스부(5331)의 중심 부분에 배치되고, 각 4면의 외측에 상부 탄성부(5333)가 배치되도록 하고 상부 탄성부(5333)를 지지하게 된다.
상부 탄성부(5333)는, 상부 지지부(5332)의 각 측면에 배치되어 상부 탄성 지지부(5334)를 탄성력에 의하여 지지함으로써, 상부 탄성 지지부(5334)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 등을 흡수하게 된다.
상부 탄성 지지부(5334)는, 십자 케이스부(5331)의 내부 공간의 각 가지의 말단에 각각 배치되며, 상부 탄성부(5333)의 탄성력에 의하여 지지되고, 상부 연결 링크부(5335) 사이에 설치된 지지 바아(5336)에 의하여 상부 연결 링크부(5335)를 지지한다.
상부 연결 링크부(5335)는, 십자홈(532)의 각 가지의 말단에 각각 배치되고, 십자 케이스부(5331)와 대향하는 일 측면과 상부 탄성 지지부(5334) 사이에 설치되는 지지 바아(5336)에 의하여 기 설정된 간격으로 유지되고, 상부에 제1 프레임(521a)의 하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플레이트(510)의 상하 방향의 이동에 따라 십자홈(532)의 각각의 가지가 만나는 중심 방향으로 십자홈(532)의 홈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한다.
도 11은 도 9의 수직 탄성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수직 탄성부(535)는, 수직 케이스부(5341), 측면 지지부(5342), 측면 탄성부(5343), 측면 탄성 지지부(5344) 및 측면 연결 링크부(5345)를 포함한다.
수직 케이스부(5341)는, 내부 공간이 빈 수직홈(534)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 공간의 하측으로부터 측면 지지부(5342), 측면 탄성부(5343) 및 측면 탄성 지지부(5344)가 순서대로 설치된다.
측면 지지부(5342)는, 정육면체로 형성되며, 수직 케이스부(5341)의 하부 공간에 배치되고, 상측에 측면 탄성부(5343)가 배치되어 측면 탄성부(5343)를 지지한다.
측면 탄성부(5343)는, 측면 지지부(5342)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측에 배치된 측면 탄성 지지부(5344)를 탄성력에 의하여 지지함으로써, 측면 탄성 지지부(5344)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 등을 흡수하게 된다.
측면 탄성 지지부(5344)는, 수직 케이스부(5341)의 내부 공간의 상측에 배치되며, 측면 탄성부(5343)의 탄성력에 의하여 지지되고, 측면 연결 링크부(5345) 사이에 설치된 지지 바아(5346에 의하여 측면 연결 링크부(5345)를 지지한다.
측면 연결 링크부(5345)는, 수직홈(534)의 상부 말단에 배치되고, 수직 케이스부(5341)와 대향하는 하측면과 측면 탄성 지지부(5344)의 상측면 사이에 설치되는 지지 바아(5346)에 의하여 기 설정된 간격으로 유지되고, 외측면에 제2 프레임(521b)의 하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수직홈(534)의 하측 방향으로 수직홈(534)의 홈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부(600)는, 상판(610), 하판(620) 및 승강부(800)를 포함한다.
상판(610)은 양측에 설치되는 승강부(800)에 의하여 하판(620)의 상측에 이격되어 설치되며, 승강부(800)의 구동에 따라 하판(620)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승강되거나 하판(620) 방향으로 하강된다.
하판(620)은, 양측에 설치되는 승강부(800)에 의하여 상측에 상판(610)이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판(610)과의 사이 공간을 형성하여 추가적인 물건을 적재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승강부(800)는, 상판(610)의 일측과 하판(620)의 일측 사이와 상판(610)의 다른 일측과 하판(620)의 다른 일측 사이에 각각 연결 설치되며,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상판(610)을 승강시켜 주거나 하강시켜 준다.
본 발명에 따른 승강부(80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착탈이 가능한 형태로 제작됨으로써, 상판(610) 및 하판(620) 중 하나의 판이 파손되는 등으로 인하여 교체가 필요로 하는 경우 해당 판만을 분리한 후 새로운 판을 체결함으로써 지속적인 장비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승강부(800)는, 기존의 일체형 구동장치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착탈식의 모듈형 구동장치로서, 장비의 유지/보수 측면에서 보다 경제적인 장비의 운용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이송부(600)는, 승강부(800)의 전단 및 후단의 상측에 각각 탄성 지지부(9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탄성 지지부(900)는, 상판(610)이 파손되어 낙하하거나, 상판(610)의 하중을 견디지 못한 후술하는 구동 프레임(830)이 파손되어 상판(610)이 낙하하는 경우, 상판(610)이 바로 하판(620)에 충돌하여 이에 따른 충격으로 작업자가 안전사고를 당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탄성력을 이용하여 낙하하는 상판(610)을 지지할 수 있다.
도 13은 도 12의 승강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승강부(800)는, 상판 체결부(810), 구동부(820), 구동 프레임(830) 및 하판 체결부(840)를 포함한다.
상판 체결부(810)는, 상판(610)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의 하측을 지지하는 제1 상부 지지부(811), 및 "ㄱ" 형태로 형성되어 하부가 제1 상부 지지부(811)에 힌지부(814)에 의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회동하여 상판(610)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을 체결하는 제2 상부 지지부(812)를 포함한다.
상판 체결부(810)는, 하측 전단 및 후단에 제1 교차 프레임(831) 또는 제2 교차 프레임(832)의 상부를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하기 위한 회동 연결부(813)을 형성한다.
구동부(820)는, 하판(620)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의 상측에 안착되고, 상부 전단 및 후단에 제1 교차 프레임(831) 또는 제2 교차 프레임(832)의 하부가 회동 및 전후 방향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하측에 하판 체결부(840)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구동 프레임(830)은, 하부가 구동부(820)의 상부 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상부가 상판 체결부(810)의 하부 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1 교차 프레임(831), 및 하부가 구동부(820)의 상부 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상부가 상판 체결부(810)의 하부 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1 교차 프레임(831)을 포함한다.
그리고, 제1 교차 프레임(831)과 제2 교차 프레임(832)는, 중간 부분이 "X" 형태로 교차 연결되어 구동부(820)의 구동에 의해 제1 교차 프레임(831) 또는 제2 교차 프레임(832)의 하측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판(610)을 승강시켜 주거나 하강시켜 준다.
즉, 제1 교차 프레임(831)과 제2 교차 프레임(832)의 하측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함에 따라 상판(610)은 상측 방향으로 승강하게 되고, 제1 교차 프레임(831)과 제2 교차 프레임(832)의 하측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함에 따라 상판(610)은 하측 방향으로 하강하게 되는 것이다.
하판 체결부(840)는, "ㄴ" 형태로 형성되어 상부가 구동부(820)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회동하여 하판(620)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을 체결하며, 하측에 이동을 위한 바퀴(841)를 구비한다.
일 실시예에서, 하판 체결부(840)는, 구동부(820)의 하측에 서로 분리된 형태로 형성되거나, 일체의 바디를 형성하고 전단 및 후단의 하측에 각각 바퀴(841)를 구비하는 일체형 바디 형태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도 14 내지 도 18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구동부(820)는, 안착부(821), 제1 직선 운동부(822) 및 제2 직선 운동부(823)를 포함한다.
안착부(821)는, 전후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측이 개방된 박스 형태로 형성되며, 제1 교차 프레임(831) 또는 제2 교차 프레임(832)의 하부가 삽입되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구동홈(821a, 821b)이 전단 및 후단에 형성되며, 하판(820)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의 상측에 안착된 후 하판 체결부(840)에 의하여 하판(820)에 체결된다.
즉, 안착부(821)는, 하판 체결부(840)의 회동에 따라 하판(820)과 체결되거나 분리되는 착탈식 구조를 형성하는 것이다.
그리고, 안착부(821)는, 전단 및 후단의 상측면에 평평한 형태의 안착면(821c, 421d)을 각각 형성하여 탄성 지지부(900)가 안착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제1 직선 운동부(822)는, 안착부(821)의 전단에 형성되는 구동홈(821a)의 후단에 설치되며, 직선 왕복 운동을 위해 구비된 피스톤(822a)의 전단에 제1 교차 프레임(831)의 하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다만, 제1 직선 운동부(822)는, 직선 왕복 운동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이면 유압 실린더 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명칭에 구애됨이 없이 모두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제2 직선 운동부(823)는, 제1 직선 운동부(822)와 대칭구조로 안착부(821)의 후단에 형성되는 구동홈(821b)의 전단에 설치되며, 직선 왕복 운동을 위해 구비된 피스톤(823a)의 후단에 제2 교차 프레임(832)의 하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직선 운동부(822) 또는 제2 직선 운동부(823)는, 구동홈(821a, 821b)의 단면의 형태에 대응하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는 지지 플레이트(824a), 및 지지 플레이트(824a)의 전단 또는 후단에 좌우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공간을 형성하여 해당 공간에 제1 교차 프레임(831) 또는 제2 교차 프레임(832)의 하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도록 하는 원판 형태의 두 개의 회동 원판(824b)을 구비하는 회동 연결부(824)가 피스톤(822a)의 전단(즉, 제1 직선 운동부(822)의 경우) 또는 후단(즉, 제2 직선 운동부(823)의 경우)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두 개의 회동 원판(824b)의 사이의 공간(824d)에 제1 교차 프레임(431)이 삽입된 뒤 고정 핀 등의 체결 수단에 의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그리고, 회동 연결부(824)는, 지지 플레이트(824a)가 바로 피스톤(822a)에 체결되는 대신에, 회동 연결부(824)의 불량에 따른 교체를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지지 플레이트(824a)의 후단에 피스톤(822a)을 삽입하여 체결할 수 있는 전후 방향의 체결홈을 형성하는 체결부(824c)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직선 운동부(822)는,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한 실린더로 구동력을 발생시켜 피스톤(822a)을 실린더로부터 신장시키거나 수축시킴에 따른 전후 방향 왕복 직선 운동을 이용하여 제1 교차 프레임(831)을 구동홈(821a)에서 슬라이딩 이동을 수행하도록 구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2 직선 운동부(823)는, 제1 직선 운동부(822)와 대칭형 구조로서 그 구성 및 기능이 동일하여 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착부를 도시한다.
도 1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착부(700)는 제 1 시트층(710), 방수시트(720), 자성 조인트층(730), 제 2 시트층(740) 및 실리콘 코팅층(750), 완충부(760) 및 접찹제 조성물(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시트층(710)은 무기질 탄성 방수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방수시트(720)의 내후성, 내식성, 내구성 등을 개선할 수 있다. 여기서 무기질 탄성 방수재는, 특수 공중합 에멀젼과 시멘트계 특수 조합 골재를 주 성분으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스타이렌-뷰틸 아크릴산 공중합체(STYRENE-BUTYL ACRYLATE COPOLYMER) 에멀젼과 시멘트 파우더(예를 들어, 포틀랜트 시멘트, 알루미나, 규사, 소포제, 감수제 등을 포함)를 혼합하여 제조되거나, 이에 물을 부가하여 제조될 수 있다.
방수시트(720)는 제 1 시트층(710) 상에 배치되어, 2차 방수층으로 기능할 수 있다. 방수시트(720)는 예를 들어, 철, 알루미늄, 스테인리스, 크롬 등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고, 박판의 패널로 구성되며, 하측의 제 1 시트층(710)을 보호하고 외부 충격에 대응할 수 있다. 특히, 방수시트(720)는 복수 개로 구성되어, 제 1 시트층(710) 상에 연속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방수시트(720) 간의 이음매에는 자성 조인트층(730)이 배치되어, 방수시트(720)의 응력 거동에 대응하고 기밀을 유지할 수 있다.
자성 조인트층(730)은 고무 자석 등과 같이 연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방수시트(720) 간의 이음매에 부착되어, 이음매를 밀봉(sealing)할 수 있다. 여기서 방수시트(720) 간의 이음매는, 연속하는 방수시트(720)가 접하는 면으로서, 소정의 거리 이내로 이격하는 공간까지 포함한다. 이음매의 밀봉을 위해 자성 조인트층(730)은 방수시트(720) 간의 이음매 하단 및 이음매 상단에 각각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자성 조인트층(730)은 자성을 띄고 있어, 금속 재질의 방수시트(720)에 대해 용이하게 안정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제 2 시트층(740)은 제 1 시트층(710)과 동일한 무기질 탄성 방수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특히 제 2 시트층(740)은 수증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금속 등을 재질로 하는 방수시트(720)가 내부의 수분으로 인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실리콘 코팅층(750)은 제 2 시트층(740)을 외부의 자극으로부터 보호하도록 제 2 시트층(740) 상에 형성된다. 실리콘 코팅층(750)은 점착력이 있는 실리콘을 포함하여 이송부(600)가 데크플레이트(400)와 접촉될 때 점착력을 제공하여 진동 및 충격으로 인해 데크플레이트(400)가 이송부(60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완충부(760)는 복수의 방수시트(720) 사이에 배치되며, 예를 들어, 고무 등의 연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방수시트(720)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방수시트(720)의 수평 방향의 거동을 흡수하고, 안착부(700)의 구조를 보다 견고하게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연질의 완충부(760)가 방수시트(720)에 의해 수축/팽창하더라도, 완충부(760) 상단 및 하단에서 유동적으로 부착된 자성 조인트층(730)에 의해 기밀성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접착제 조성물(미도시)은 방수시트(720)의 적어도 일 영역에 도포되어 상기 방수시트를 고정 결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착제 조성물은, 열가소성 수지 40~80 중량부, 점착부여수지 5~40 중량부, 송진 1~5 중량부, 가소제 1~10 중량부, 충전재 1~10 중량부 및 산화방지제 0.1~1중량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열용융 접착제 조성물로서, 일반적으로 이형제와 실리콘 밴드 사이에 접착된 상태로 제조되어, 원단에 적용시 이형제를 제거한 후 프레스 작업을 수행하여 원단에 실리콘 밴드가 부착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하, 각 성분을 자세히 살펴본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조성물의 주성분으로서, 접착력과 응집력 등을 조절하는 기능을 한다. 비닐기 또는 수산화기를 포함하는 것이라면 그 종류가 크게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폴리비닐아세테이트, 폴리비닐알코올,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및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 대비 40~8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함량이 40 중량부 미만이면 용융 점도가 높아지고 용융 흐름 지수는 낮아져 작업성이 매우 떨어지게 되며, 함량이 80 중량부를 초과하면 원단에 바로 적용되기에 충분한 접착력을 발휘하기 어렵다.
상기 점착부여수지는 저분자량 수지로, 용융 점도를 낮추어 작업성을 향상시키며, 접착 초기 젖음성과 접착제의 피착재 표면에서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고, 고화시간 등의 조절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점착부여수지는 그 종류가 크게 제한되지 않으나, 석유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점착부여수지는 지방족 탄화수소 수지, 지환족 탄화수소 수지, 방향족 탄화수소 수지, 방향족에 의해 개질된 지방족 탄화수소 수지, 및 하이드로겐화 탄화수소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방족 탄화수소 수지는 상업적인 제품으로 코오롱유화사의 Hikorez A-1100, Hikorez A-1100S, Hikorez C-1100, Hikorez R-1100, Hikorez R-1100S 등이 있다. 또한, 지환족 탄화수소 수지로는 디사이클로펜타디엔(DCPD)을 단량체로 포함하는 탄화수소 수지 등이 있고, 방향족 탄화수소 수지는 상업적으로 코오롱유화사의 Hikotack P-110S, Hikotack P-120, Hikotack P-120HS, Hikotack P-120S, Hikotack P-140, Hikotack P-140M, Hikotack P-150, Hikotack P-160, Hikotack P-90, Hikotack P-90S, Hirenol PL-1000, Hirenol PL-400 등이 있다. 또한, 방향족에 의해 개질된 지방족 탄화수소 수지는 상업적으로 코오롱유화사의 Hikorez T-1080, Hikorez T-1100 등이 있다. 또한, 하이드로겐화 탄화수소 수지는 하이드로겐화 지방족 탄화수소 수지, 하이드로겐화 방향족 탄화수소 수지 등으로 세분화될 수 있으며, 상업적으로 코오롱유화사의 Sukorez D-300, Sukorez D-390, Sukorez SU-100, Sukorez SU-110, Sukorez SU-120, Sukorez SU-130, Sukorez SU-90 등이 있다.
상기 점착부여수지는 바람직하게는 단량체의 탄소 수가 4~10인 탄화수소 수지이며, 구체적으로 C5 지방족 수지, C9 방향족 수지, C5/C9 지방족/방향족 공중합 수지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점착부여수지는 보다 바람직하게 단량체로 디사이클로펜타디엔을 포함하는 하이드로겐화 탄화수소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상업적으로 코오롱유화사(한국)의 Sukorez D-300, Sukorez D-390, Sukorez SU-100, Sukorez SU-110, Sukorez SU-120, SukorezSU-130, Sukorez SU-90 등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접착제 조성물은 피부에 직접 닿는 부분에 적용되는 만큼 자극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앞서 설명한 다양한 석유수지에 생분해성 저자극 수지를 함께 혼합해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생분해성 저자극 수지는 생분해성 폴리머에 폴리머의 단량체를 용융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상기 생분해성 폴리머로는 폴리락트산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락트산은 유산의 축중합 도는 락티드의 개환중합에 의해 합성되는 폴리에스터로서 폴리아미드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중간 정도의 물성을 갖고 있으며, 주로 감자와 옥수수로부터 얻어지는 천연 식물성 당 성분을 원료로 하므로 생분해도가 높지만 일반적으로 경도가 높고, 탄성이 낮으며, 내구성이 떨어지는 특성이 있다.
상기 생분해성 폴리머에는 동일한 폴리머 단량체를 용융혼합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생분해성 폴리머는 단량체와 결합되면서 쇄절단이 부분적으로 발생되어 전체적으로 수평균분자량이 떨어진다. 상기 수평균분자량이 떨어지면서 점착제로 사용할 수 있는 물성을 나타내며 가공성이 높아지게 된다.
상기 폴리락트산 100 중량부에 대해, 상기 락트산 단량체는 20 내지 30 중량부를 혼합할 수 있다. 상기 단량체가 20중량부 미만으로 혼합되면, 수평균분자량이 높고 딱딱하여 점착제로 사용되기 어려우며, 상기 단량체가 40 중량부를 초과하면 표면에 마이그레이션이 발생하여 역시 점착제로 사용하기 어려울 수 있다.
상기 석유수지와 생분해성 저자극 수지의 혼합비율은 1~2:1(w/w)인 것이 바람직하며, 석유수지의 혼합비율이 너무 높은 경우 생분해성 저자극 효과가 나오기 힘들고, 저자극 수지의 혼합비율이 너무 높은 경우 경제성이 떨어지고 전체적인 점착 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점착부여수지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 대비 5~4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함량이 5 중량부 미만이면 점착부여 수지 첨가에 따른 용융 점도 저하 효과가 미비하고 그에 따른 용융 흐름 지수의 증가가 크지 않아 작업성이 만족할 만한 수준에 도달하지 못할 염려가 있고, 함량이 30 중량부를 초과하면 점착부여수지의 초과에 따른 용융흐름지수 증가율이 크지 않아 경제성이 떨어지고 상대적으로 열가소성 폴리머의 함량이 줄어들어 조성물의 전체적인 물성을 저하시킬 염려가 있다.
상기 송진은 접착제 조성물의 전체적인 접착력을 개선시키는 역할을 하며 인체에 무해하며 천연방부제 역할을 한다. 상기 송진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 대비 1~5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함량이 1 중량부 미만이면 접착력 개선 효과를 얻기 어려우며, 함량이 5 중량부를 초과하면 가공시에 점착력이 증대되어 제품으로의 가공이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가소제는 고분자에 유연성 및 접착성을 부여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가소제의 종류는 크게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솔비톨, 에틸렌글리콜, 글리세린, 글리세린디아세테이트, 및 펜타에리쓰리톨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소제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 대비 1~1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함량이 1 중량부 미만이면 가소제의 첨가에 따른 효과가 미비하고, 함량이 10 중량부를 초과하면 가소제의 과다 사용에 의해 경제성이 떨어질 수 있으며, 접착제의 전체적인 물성을 저하시킬 염려가 있다.
상기 충전재는 조성물의 보강 및 흐름성을 조절하기 위해 사용된다. 충전재의 종류는 크게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탄산칼슘, 점토, 벤토나이트, 또는 칼슘스테아레이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접착제 조성물의 보강 및 흐름성을 조절하면서도 악취 및 세균발생을 저하시기키 위하여, 충전재로서 석분(stone powder)과 펄프 분말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석분은 입자의 치밀함으로 인하여 첨가제를 다량 사용하지 않아도 높은 강도를 구현할 수 있고, 주변 환경에 따른 부피 변형률이 낮아 온도 변화가 큰 경우에도 접착제의 갈라짐 현상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상기 석분은 황토석, 대리석, 맥반석, 화강석, 옥석 등 다양한 암석의 분말 형태가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항균성, 항곰팡이성, 자외선 방출 등 다양한 기능을 가지는 황토석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펄프 분말은 액체 성분들을 빨아들이면서 석분들을 응집하는 역할을 하며 성분들간 혼화성을 높이고 응집력을 향상시킨다. 이때, 상기 석분과 펄프 분말은 7:3~8:2(w/w) 정도의 비율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충전재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 대비 1~1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함량이 1 중량부 미만이면 충전재의 첨가에 따른 효과가 미비하고, 함량이 10 중량부를 초과하면 접착제의 전체적인 물성을 저하시킬 염려가 있다.
상기 산화방지제는 산화 및 분해로 인한 점도의 변화, 황변현상, 접착력 저하 및 내구성 저하 등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종류는 크게 제한되지 않으며 구체적으로 페놀류, 방향족 아민류, 구연산, 또는 아스코르브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산화방지제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 대비 0.1~1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함량이 0.1 중량부 미만이면 산화방지제의 첨가에 따른 효과가 미비하고, 함량이 1 중량부를 초과하면 접착제의 경제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전체적인 물성을 저하시킬 염려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접착제 조성물은 원단 상에서 프레스 작업을 거치게 되는데, 이때 원단 내 홀의 존재로 인하여 조성물의 양이 치우지거나 하는 이유로 접착 불량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접착제 조성물은 접착제 조성물이 원단 표면에 균일하게 분배되도록 하여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나노 실리카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나노 실리카의 함량은 0.1~5 중량부가 바람직하며, 나노 실리카의 사이즈(primary particles)는 100n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나노실리카의 함량이 0.1 중량부 미만인 경우 나노실리카 첨가에 따른 효과가 미미하며, 5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접착력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시간이 지날수록 접착제의 표면에 블루밍(blooming)이 발생하는 불량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와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실시예 1]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60 중량부, Sukorez D-300 25중량부, 송진 3중량부, 에틸렌글리콜 5중량부, 황토석 4중량부, 펄프분말 2중량부 및 아스코르브산 1중량부를 혼합하여 170~180℃에서 용융혼련시켜 접착제 조성물을 제조한 후 펠렛 타입으로 성형하였다. 이때, 상기 생분해성 저자극 수지는 폴리락트산 100중량부에 락트산 단량체 2.5중량부를 160℃로 5분동안 용융혼합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60중량부, Sukorez D-300 15중량부, 생분해성 저자극 수지 10중량부, 송진 3중량부, 에틸렌글리콜 5중량부, 황토석 4중량부, 펄프분말 2중량부 및 아스코르브산 1중량부를 혼합하여 170~180℃에서 용융혼련시켜 접착제 조성물을 제조한 후 펠렛 타입으로 성형하였다. 이때, 상기 생분해성 저자극 수지는 폴리락트산 100중량부에 락트산 단량체 2.5중량부를 160℃로 5분동안 용융혼합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3]
나노실리카 1중량부를 더 첨가한 것만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고, 이를 실시예 3으로 하였다.
[비교예]
종래의 TPU 핫멜트 필름에서 이면지를 제거한 후 사용하였다.
[실험예]
(1) 메쉬접착강도
열용융 접착제의 메쉬접착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두 장의 덧버선 원단 사이에 정량된 접착제 펠렛을 170℃에서 용융 도포한 후, 130℃에서 30초 동안 60㎏f/㎠의 압력으로 프레스 작업을 진행하고 메쉬접착강도(㎏f/㎠)를 측정하였다.
(2) 융융흐름지수
용융흐름지수 측정기의 가열 실린더에 펠렛 타입의 접착제를 가득 채우고 160℃에서 약 5분간 녹였다. 3㎏의 추를 얹고 10분간 실린더를 통해 통과되는 접착제의 중량(g)을 측정하였다.
Figure 112019092293504-pat00001
상기 표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접착제 조성물이 기존 제품보다 향상된 접착력과 흐름지수를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생분해 저자극 수지를 사용한 경우에도 접착력과 흐름지수가 크게 떨어지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나노 실리카를 혼합하는 경우 흐름지수가 크게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높이 조절부재를 구비한 건설구조물
110: 주철근
120: 띠철근
200: 높이 조절부재
300: 스트럽
400: 데크플레이트
500: 탄성부
600: 이송부
700: 안착부

Claims (2)

  1. 주철근 및 띠철근 중 적어도 하나와 결합하여 상기 주철근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부재;를 포함하고,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로 설치되는 주철근; 및
    복수로 설치된 상기 주철근을 감싸도록 설치되어 상기 주철근을 지지하는 띠철근을 더 포함하고,
    상기 주철근 및 상기 띠철근 중 적어도 하나와 결합하여 상기 주철근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부재;
    상부에 형성된 상기 주철근 및 하부에 형성된 상기 주철근을 일체로 엮는 스트럽;
    상기 주철근, 상기 띠철근, 상기 높이 조절부재 및 상기 스트럽을 내포하는 데크플레이트;
    상기 데크플레이트의 내주면과 하부에 형성된 상기 주철근 사이에 형성되며, 탄성력을 통해 진동 또는 충격을 흡수하여 상기 주철근 또는 상기 높이 조절부재를 지지하는 탄성부; 및
    상기 데크플레이트 하부면과 탈부착되며, 상기 데크플레이트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이송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높이 조절부재는, 복수의 상기 주철근과 수직각을 형성하는 수직철근; 일 단부가 한쌍의 고리모양으로 형성되어 상기 주철근 또는 상기 띠철근을 수용하고, 중앙에 개방된 결합영역이 형성되어 상기 수직철근을 수용하는 결합모듈: 상기 수직철근 및 상기 결합모듈과 나사결합을 통해 상기 수직철근 및 상기 결합모듈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모듈; 상기 수직철근을 내부에 수용하기 위한 중공이 형성되며, 인입된 상기 수직철근을 밀착시키기 위하여 상기 중공부 내주면에는 오링수용홈과 오링이 형성되며, 인입된 상기 수직철근의 일단부와 접촉하여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이 형성되는 수용모듈; 및 상기 수용모듈의 하부면과 결합되며, 상기 높이 조절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는, 상기 주철근 또는 상기 높이 조절부재를 지지하는 받침 프레임; 상측에 안착된 상기 받침 프레임을 지지하며, 상기 받침 프레임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에 대응하여 탄성력에 의하여 좌우 방향 또는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진동 또는 충격을 감쇄시키는 네 개의 받침 플레이트; 상기 네 개의 받침 플레이트의 각각의 하부에 제1 프레임 및 제2 프레임의 두 개의 프레임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받침 플레이트를 지지하고, 상기 제1 프레임 또는 상기 제2 프레임의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받침 플레이트에 의한 받침 프레임의 지지 위치를 결정하는 지지 프레임; 및 상기 제1 프레임의 하부가 상측면에 회동 및 수평 방향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상기 제2 프레임의 하부가 일 측면에 회동 및 수직 방향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하며, 제1 프레임 또는 제2 프레임의 슬라이딩 이동 시 십자 탄성부 또는 수직 탄성부의 탄성력을 통해 진동 또는 충격을 흡수시키는 지지 기둥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 기둥은, 사각 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기둥 바디; 상기 기둥 바디의 상부에 “+”형태로 함몰 형성되는 십자홈; 상기 십자홈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십자홈에 삽입되며, 네 개의 가지의 말단 상부에 상기 제1 프레임의 하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십자 탄성부; 상기 기둥 바디의 각 면에 상하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네 개의 수직홈; 및 상기 수직홈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수직홈에 각각 삽입되며, 상부 외측에 상기 제2 프레임의 하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네 개의 수직 탄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십자 탄성부는, 내부 공간이 빈 “+” 형태로 형성되는 십자 케이스부; 정육면체로 형성되며, 상기 십자 케이스부의 중심 부분에 배치되는 상부 지지부; 상기 상부 지지부의 각 측면에 배치되는 네 개의 상부 탄성부; 상기 십자 케이스부의 내부 공간의 각 가지의 말단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상부 탄성부의 탄성력에 의하여 지지되는 네 개의 상부 탄성 지지부; 및 상기 십자홈의 각 가지의 말단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십자 케이스부와 대향하는 일 측면과 상기 상부 탄성 지지부 사이에 설치되는 지지 바아에 의하여 기 설정된 간격으로 유지되고, 상부에 상기 제1 프레임의 하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십자홈의 각각의 가지가 만나는 중심 방향으로 상기 십자홈의 홈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네 개의 상부 연결 링크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직 탄성부는, 내부 공간이 빈 상기 수직홈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수직 케이스부; 정육면체로 형성되며, 상기 수직 케이스부의 하부 공간에 배치되는 측면 지지부; 상기 측면 지지부의 상측에 배치되는 측면 탄성부; 상기 수직 케이스부의 내부 공간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측면 탄성부의 탄성력에 의하여 지지되는 측면 탄성 지지부; 및 상기 수직홈의 상부 말단에 배치되고, 상기 수직 케이스부와 대향하는 하측면과 상기 측면 탄성 지지부의 상측면 사이에 설치되는 지지 바아에 의하여 기 설정된 간격으로 유지되고, 외측면에 상기 제2 프레임의 하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수직홈의 하측 방향으로 상기 수직홈의 홈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측면 연결 링크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부는, 상부면에 상기 데크플레이트의 하부면과 접촉되는 상판; 상기 상판의 하측에 이격되어 배치되는 하판; 및 상기 상판의 일측과 상기 하판의 일측 사이와 상기 상판의 다른 일측과 상기 하판의 다른 일측 사이에 각각 설치되며,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상기 상판을 승강시켜 주거나 하강시켜 주는 승강부를 포함하며,
    상기 승강부는, 상기 상판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의 하측을 지지하는 제1 상부 지지부, 및 "ㄱ" 형태로 형성되어 하부가 상기 제1 상부 지지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회동하여 상기 상판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을 체결하는 제2 상부 지지부를 포함하는 상판 체결부; 상기 하판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의 상측에 안착되는 구동부; 하부가 상기 구동부의 상부 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상부가 상기 상판 체결부의 하부 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1 교차 프레임, 및 하부가 상기 구동부의 상부 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상부가 상기 상판 체결부의 하부 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2 교차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교차 프레임과 상기 제2 교차 프레임이 "X" 형태로 교차 연결되어 상기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상기 제1 교차 프레임 또는 상기 제2 교차 프레임의 하측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상판을 승강시켜 주거나 하강시켜 주는 구동 프레임; 및 "ㄴ” 형태로 형성되어 상부가 상기 구동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회동하여 상기 하판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을 체결하며, 하측에 이동을 위한 바퀴를 구비하는 하판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부의 상부면에 형성되며, 방수재료를 포함하여 상기 이송부가 수분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이송부의 작동 중 상기 데크플레이트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안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안착부는, 상기 이송부의 상기 상판 상에 형성되며, 무기질 탄성 방수재를 포함하는 제 1 시트층; 상기 제 1 시트층 상에 배치되는 금속 재질의 복수의 방수시트; 상기 방수시트 간의 이음매 상단 및 이음매 하단 중 적어도 하나에 부착되는 연질의 자성 조인트층; 및 상기 방수시트 상에 형성되며, 무기질 탄성 방수재로 이루어지는 제 2 시트층; 및 상기 제 2 시트층을 외부의 자극으로부터 보호하도록 상기 제 2 시트층 상에 형성되는 실리콘 코팅층; 상기 복수의 방수시트 사이에 배치되는 연질의 완충부 및 상기 방수시트의 적어도 일 영역에 도포되어 상기 방수시트를 고정 결합시키는 접착제 조성물을 포함하고, 상기 접착제 조성물은, 열가소성 수지 40~80 중량부, 점착부여수지 5~40 중량부, 송진 1~5 중량부, 가소제 1~10 중량부, 충전재 1~10 중량부 및 산화방지제 0.1~1중량부, 나노실리카 0.1~5 중량부를 포함하는, 높이 조절부재를 구비한 건설구조물.
  2. 삭제
KR1020190111132A 2019-09-07 2019-09-07 높이 조절부재를 구비한 건설구조물 KR1021024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1132A KR102102415B1 (ko) 2019-09-07 2019-09-07 높이 조절부재를 구비한 건설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1132A KR102102415B1 (ko) 2019-09-07 2019-09-07 높이 조절부재를 구비한 건설구조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0348A Division KR102053859B1 (ko) 2019-04-30 2019-04-30 선조립형 건설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2415B1 true KR102102415B1 (ko) 2020-05-28

Family

ID=709200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1132A KR102102415B1 (ko) 2019-09-07 2019-09-07 높이 조절부재를 구비한 건설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241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03104A1 (ko) * 2021-03-26 2022-09-29 이우영 철근 결속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8039U (ja) * 1992-09-08 1994-04-15 岡部株式会社 カンザシ筋支持具
KR100898283B1 (ko) 2007-08-10 2009-05-1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철근이 선조립된 src 기둥용 철골기둥 및 이를 이용한철골조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8039U (ja) * 1992-09-08 1994-04-15 岡部株式会社 カンザシ筋支持具
KR100898283B1 (ko) 2007-08-10 2009-05-1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철근이 선조립된 src 기둥용 철골기둥 및 이를 이용한철골조 시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03104A1 (ko) * 2021-03-26 2022-09-29 이우영 철근 결속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7851B1 (ko) 태양광패널 및 그 시공방법
KR102027839B1 (ko) 청소장치가 구비된 태양광패널
KR101992489B1 (ko) Cnc 공작기계장치
RU2278141C2 (ru) Водные клеящие системы, способ их получения и их применение
KR102102415B1 (ko) 높이 조절부재를 구비한 건설구조물
CN108660867B (zh) 一种复合型聚氨酯轨枕垫及其制备方法
KR101991715B1 (ko) 레미콘 제조 장치 및 방법
CN101724218A (zh) 不饱和树脂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KR102053859B1 (ko) 선조립형 건설구조물
CN101412603A (zh) 超慢速树脂锚固剂
KR102021340B1 (ko) 약품 박스 이송 시스템
KR102102430B1 (ko) 스트럽을 구비한 건설구조물
KR102031247B1 (ko) 관통부 내화 충전 구조
KR101991959B1 (ko) 레미콘 생산 제어시스템
KR102029418B1 (ko) 복합소재 데크로드 시스템
KR102055445B1 (ko) 고정용 지그
JP5034747B2 (ja) 防水構造体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033890B1 (ko) 폐유 수거 차량용 무게 측정 장치
KR102041806B1 (ko) 중자 제조 장치용 이송 장치
KR102058118B1 (ko) 미끄럼 방지 기능이 구비되고, 미생물을 함유한 데크로드 시스템
KR102006961B1 (ko) 다기능 낙하물 방지망
KR102004144B1 (ko) 파일두부 정리 장치
KR102104575B1 (ko) 다목적 자재 보관 창고
KR102043735B1 (ko) 다기능 배관 지지 구조
KR101990127B1 (ko) 배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