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1959B1 - 레미콘 생산 제어시스템 - Google Patents

레미콘 생산 제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1959B1
KR101991959B1 KR1020190058652A KR20190058652A KR101991959B1 KR 101991959 B1 KR101991959 B1 KR 101991959B1 KR 1020190058652 A KR1020190058652 A KR 1020190058652A KR 20190058652 A KR20190058652 A KR 20190058652A KR 101991959 B1 KR101991959 B1 KR 1019919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frame
support
hopper
e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86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영욱
Original Assignee
(주)대양레미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양레미콘 filed Critical (주)대양레미콘
Priority to KR10201900586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19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19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19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7/00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pparatus for producing mixtures of clay or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Supplying or proportioning the ingredients for mixing clay or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Discharging the mixture
    • B28C7/0046Storage or weighing apparatus for supplying ingredients
    • B28C7/0053Storage containers, e.g. hoppers, silos, bins
    • B28C7/0076Parts or details thereof, e.g. opening, closing or unload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7/00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pparatus for producing mixtures of clay or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Supplying or proportioning the ingredients for mixing clay or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Discharging the mixture
    • B28C7/0007Pretreatment of the ingredients, e.g. by heating, sorting, grading, drying, disintegrating; Preventing generation of du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7/00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pparatus for producing mixtures of clay or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Supplying or proportioning the ingredients for mixing clay or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Discharging the mixture
    • B28C7/04Supplying or proportioning the ingredients
    • B28C7/06Supplying the solid ingredients, e.g. by means of endless conveyors or jigging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7/00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pparatus for producing mixtures of clay or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Supplying or proportioning the ingredients for mixing clay or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Discharging the mixture
    • B28C7/14Supply means incorporated in, or mounted on, mix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06Combustion residues, e.g. purification products of smoke, fumes or exhaust gases
    • C04B18/08Flue dust, i.e. fly ash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14Waste materials; Refuse from metallurgical processes
    • C04B18/141Slag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14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calcium sulfate cements
    • C04B28/16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calcium sulfate cements containing anhydrite, e.g. Keene's ce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0/00Processes, in general, for influencing or modifying the propertie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mpositions, e.g. their setting or hardening ability
    • C04B40/0028Aspects relating to the mixing step of the mortar preparation
    • C04B40/0039Premixtures of ingredi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91Use of waste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or concre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reparation Of Clay, And Manufacture Of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미콘 생산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구현한 레미콘 생산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레미콘 제조에 필요한 재료들을 저장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저장빈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레미콘 생산 제어시스템{CONTROL SYSTEM FOR PRODUCTION OF REMICON}
본 발명은 레미콘 생산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레미콘(REMICON; Ready Mixed Concrete)의 생산 및 출하를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구현한 레미콘 생산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레미콘(remicon)은 레디믹스트콘크리트(ready-mixed concrete)의 약칭으로, 시멘트, 골재(자갈, 모래 등), 물 및 혼화재료 등을 일정한 비율로 혼합한 콘크리트를 뜻한다. 레미콘은 배처플랜트(batcher plant)라는 설비에서 제조되며, 공사현장까지 굳지 않은 상태로 운반할 수 있도록 트럭믹서(truck mixer)를 이용하여 운반한다.
레미콘 제조시 첨가되는 혼화재료는 콘크리트의 성질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콘크리트의 워커빌리티 향상, 수화열 감소, 수축저감, 알칼리성의 감소 등을 목적으로 혼합하는 재료이며, 플라이애쉬(fly-ash), 고로슬래그, 실리카흄(silica fume) 등이 이에 속한다.
이러한 혼화재는 레미콘 제조 시 다량으로 혼합되므로 자체 용적을 배합계산에 고려해야 한다. 또한, 혼화재는 첨가량에 따라 콘크리트의 성질을 변하게 하므로 시멘트와 적당한 비율로 첨가될 수 있도록 시멘트와 혼화재를 정확하게 계량하여 혼합해야 한다.
종래에는 레미콘 제조시 시멘트, 혼화재료와 같은 분체 계량 작업을 숙련공들이 도맡아 진행하였다. 그러나 계량 작업시 발생하는 분진 및 냄새로 인해 건강상에 문제가 생기고, 반복적인 일을 하는 동안 정확도와 효율이 저하됨에 따라 최근에는 자동 계량 장치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었다. 최근 자동 계량 장치는, 분체를 저장하는 저장빈, 저장빈에 저장된 각종 분체를 이송하는 컨베이어,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된 각종 분체를 계량하는 계량빈을 포함한다. 이러한 종래의 자동 계량 장치는 저장빈에 설치된 게이트 밸브의 개폐시간 또는 개폐량을 조절하여 분체의 배출량을 제어하였다. 그러나 게이트 밸브의 개폐시간을 조절할 경우 분체의 배출량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없고, 게이트 밸브의 개폐량을 조절할 경우 분체 배출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등록특허 제10-0801579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레미콘의 생산 및 출하를 자동으로 제어하여 제품의 신뢰도가 높은 레미콘을 제공할 수 있는 레미콘 생산 제어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이송부의 진동을 최소화시켜 전체 장치의 내구성 및 재료 이송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현한 레미콘 생산 제어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시스템을 구성하는 장치의 내주면에 보호부를 결합시킴으로써, 전체 장치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레미콘 생산 제어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미콘 생산 제어시스템은, 레미콘 제조에 필요한 재료들을 저장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저장빈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저장빈과 연결 형성되며, 상기 저장빈으로부터 공급받은 상기 재료를 분쇄하여 분체를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분쇄호퍼; 상기 분쇄호퍼와 연결 형성되어 상기 분체를 저장하며, 하부에 상기 분체의 배출양을 조절하는 제1배출부재 및 제2배출부재가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저장호퍼; 상기 제1배출부재 및 상기 제2배출부재에서 배출된 상기 분체가 저장되며, 적어도 일 영역에 측정수단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계량호퍼; 상기 계량호퍼와 연결 형성되며, 상기 계량호퍼로부터 배출된 상기 분체를 이송하는 이송부; 및 상기 이송부로부터 이송받은 상기 분체를 교반하여 레미콘을 생성하는 교반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배출부재는, 적어도 일 영역에 상기 분체를 대량으로 배출하는 제1계량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2배출부재는, 상기 저장호퍼 일측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수평관; 상기 수평관의 내부에 설치되는 스크루 피더(screw feeder)를 포함하여 상기 분체를 소량으로 배출하는 제2계량수단; 상기 수평관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수직관; 및 상기 수직관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수직관을 개폐하는 개폐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1계량수단에 의해 상기 분체의 1차 배출이 종료된 후, 상기 제2계량수단에 의한 상기 분체의 2차 배출이 연속적으로 진행되며, 상기 개폐수단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상기 측정수단에 의해 상기 계량호퍼에 유입된 상기 분체의 양이 사용자가 설정한 수치에 도달함이 감지되면,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수직관을 폐쇄하고, 상기 수직관 내부의 기 설정된 수치까지 분체가 수용되는 경우, 상기 수직관을 개방하여 상기 계량호퍼에 상기 분체를 소량 공급하기를 반복하고, 상기 분쇄부는, 플라이애쉬는 2,500∼4,000㎠/g, 고로슬러그는 3,500∼6,000㎠/g, 불산무수석고는 3,500∼6,000㎠/g, 가네트는 8,000∼12,000㎠/g, 생석회는 2,500∼5,000㎠/g, 시멘트는 4,000∼5,700㎠/g의 입도를 가지도록 분쇄하며, 잔골재는 2~10㎜, 굵은골재는 25~40㎜의 입경을 가지도록 개별적으로 분쇄하고, 상기 이송부는, 상기 분체를 안착시키는 벨트; 상기 벨트를 지지하며, 골격을 형성하는 기본 프레임; 및 상기 기본 프레임의 내측 공간에 좌우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벨트와의 마찰력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상기 벨트가 이동됨에 따라 회전하는 다수 개의 회전 롤러; 상기 회전 롤러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이 설치되는 내측 양측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다수 개의 롤러 설치홈; 및 상기 회전 롤러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이 설치되고 남은 상기 롤러 설치홈의 하부 공간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회전 롤러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을 상기 롤러 설치홈에서 지지하는 탄성 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 지지부는,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회전 롤러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을 상기 롤러 설치홈에서 지지하는 받침 프레임; 상측에 안착된 상기 받침 프레임을 지지하며, 상기 받침 프레임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에 대응하여 탄성력에 의하여 좌우 방향 또는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진동 또는 충격을 감쇄시키는 네 개의 받침 플레이트; 상기 네 개의 받침 플레이트의 각각의 하부에 제1 프레임 및 제2 프레임의 두 개의 프레임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받침 플레이트를 지지하고, 상기 제1 프레임 또는 상기 제2 프레임의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받침 플레이트에 의한 받침 프레임의 지지 위치를 결정하는 지지 프레임; 및 상기 제1 프레임의 하부가 상측면에 회동 및 수평 방향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상기 제2 프레임의 하부가 일 측면에 회동 및 수직 방향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하며, 제1 프레임 또는 제2 프레임의 슬라이딩 이동 시 십자 탄성부 또는 수직 탄성부의 탄성력을 통해 진동 또는 충격을 흡수시키는 지지 기둥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교반부의 내주면의 적어도 일 영역에 형성되며, 충격 및 수분으로부터 상기 본체부를 보호하는 보호부; 및 상기 교반부의 적어도 일 영역에 형성되며, 교반된 상기 레미콘의 워커빌리티(workability)를 측정하는 시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호부는, 상기 교반부의 내주면에 결합되며, 무기질 탄성 방수재를 포함하는 제 1 시트층; 상기 제 1 시트층 상에 배치되는 금속 재질의 복수의 방수시트; 상기 방수시트 간의 이음매 상단 및 이음매 하단 중 적어도 하나에 부착되는 연질의 자성 조인트층; 및 상기 방수시트 상에 형성되며, 무기질 탄성 방수재로 이루어지는 제 2 시트층; 및 상기 제 2 시트층을 외부의 자극으로부터 보호하도록 상기 제 2 시트층 상에 형성되는 코팅층; 상기 복수의 방수시트 사이에 배치되는 연질의 완충부 및 상기 방수시트의 적어도 일 영역에 도포되어 상기 방수시트를 고정 결합시키는 접착제 조성물을 포함하고, 상기 접착제 조성물은, 열가소성 수지 40~80 중량부, 점착부여수지 5~40 중량부, 송진 1~5 중량부, 가소제 1~10 중량부, 충전재 1~10 중량부 및 산화방지제 0.1~1중량부, 나노실리카 0.1~5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시험부는, 상기 레미콘의 색상과 다른 색상을 가진 수밀성평판; 상기 수밀성평판 중심부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슬럼프콘; 상기 교반부의 적어도 일 영역에 연통되어 형성되며 상기 슬럼프콘으로 상기 레미콘을 주입하는 주입부재; 상기 수밀성평판 상면에 상기 슬럼프콘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배치되어 상기 레미콘의 워커빌리티 정보를 전달하는 다수개의 라인센서 모듈; 상기 슬럼프콘을 수직 방향으로 들어올려, 상기 수밀성평판으로부터 분리시키는 수직이송모듈; 상기 수밀성평판 상에서 유동하는 레미콘을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 상기 촬영된 각 이미지를 상기 라인센서 모듈의 위치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개수의 픽셀로 구분하고, 상기 각 이미지마다 상기 수밀성평판과 상기 레미콘 간의 색상차를 이용하여 상기 수밀성평판과 상기 레미콘의 경계를 구분하여 상기 상기 레미콘 경계선 상의 픽셀의 위치를 특정함으로써 상기 레미콘의 워커빌리티를 측정하는 제어모듈; 상기 수밀성평판의 하부면과 결합하여 상기 수밀성평판을 상기 주입부재로 이동시키는 이동시키는 운송부; 및 상기 운송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운송부는, 상부면에 상기 수밀성평판을 결합시키는 상판; 상기 상판의 하측에 이격되어 배치되는 하판; 및 상기 상판의 일측과 상기 하판의 일측 사이와 상기 상판의 다른 일측과 상기 하판의 다른 일측 사이에 각각 설치되며,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상기 상판을 승강시켜 주거나 하강시켜 주는 승강부를 포함하며, 상기 승강부는, 상기 상판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의 하측을 지지하는 제1 상부 지지부, 및 "ㄱ" 형태로 형성되어 하부가 상기 제1 상부 지지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회동하여 상기 상판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을 체결하는 제2 상부 지지부를 포함하는 상판 체결부; 상기 하판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의 상측에 안착되는 구동부; 하부가 상기 구동부의 상부 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상부가 상기 상판 체결부의 하부 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1 교차 프레임, 및 하부가 상기 구동부의 상부 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상부가 상기 상판 체결부의 하부 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1 교차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교차 프레임과 상기 제2 교차 프레임이 "X" 형태로 교차 연결되어 상기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상기 제1 교차 프레임 또는 상기 제2 교차 프레임의 하측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상판을 승강시켜 주거나 하강시켜 주는 구동 프레임; 및 "ㄴ" 형태로 형성되어 상부가 상기 구동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회동하여 상기 하판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을 체결하며, 하측에 이동을 위한 바퀴를 구비하는 하판 체결부를 포함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레미콘의 생산 및 출하를 자동으로 제어하여 제품의 신뢰도가 높은 레미콘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송부의 진동을 최소화시켜 전체 장치의 내구성 및 재료 이송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현한 레미콘 생산 제어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시스템을 구성하는 장치의 내주면에 보호부를 결합시킴으로써, 전체 장치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레미콘 생산 제어시스템을 제공한다.
본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미콘 생산 제어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호퍼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부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다.
도 4는 도 3의 탄성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4의 지지 기둥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7은 도 5의 십자 탄성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6의 수직 탄성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부를 도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험부를 도시한다.
도 1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송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의 승강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미콘 생산 제어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미콘 생산 제어시스템(10)은 저장빈(100), 분쇄호퍼(200), 저장호퍼(300), 계량호퍼(400), 이송부(500), 교반부(600), 보호부(700) 및 시험부(800)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빈(100)은 레미콘 제조에 필요한 재료들을 저장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며, 적어도 하나의 이상의 저장빈(10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저장빈(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료의 종류 및 성질에 따라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하나의 저장빈(100)에 복수의 레미콘 재료를 저장할 수도 있다.
분쇄호퍼(200)는 저장빈(100) 하부와 연결 형성되며, 저장빈(100)으로부터 공급받은 레미콘을 구성하는 재료를 분쇄하여 사용자의 설정 또는 규격에 부합하는 분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분체란, 원재료가 파쇄된 후의 형상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사용자 설정에 따라 입도나 입경을 굵은 골재 치수와 같이 크게 또는 분말의 형태와 같이 세밀한 형상으로 분체를 형성시킬 수 있다. 분쇄호퍼(200)는 재료의 종류 및 성질에 따라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분쇄호퍼(200)는, 특정재료만 공급받을 수 있으며, 특정재료 따라 분쇄 입도 또는 입경을 달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료에 따라 플라이애쉬는 2,500∼4,000㎠/g, 고로슬러그는 3,500∼6,000㎠/g, 불산무수석고는 3,500∼6,000㎠/g, 가네트는 8,000∼12,000㎠/g, 생석회는 2,500∼5,000㎠/g, 시멘트는 4,000∼5,700㎠/g의 입도를 가지도록 분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복수의 분쇄호퍼(200) 각각에 포함된 분쇄모듈은 그 성능, 형태, 작동시간 등이 각각 다를 수 있다. 또한, 분쇄호퍼(200)는 내부에 잔골재는 2~10㎜, 굵은골재는 25~40㎜의 입경을 가지도록 개별적으로 분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레미콘 생산 제어시스템(10)은 하나의 분쇄호퍼(200)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는 내부에 포함된 분쇄모듈을 교체 또는 변경하여 재료에 따라 다양한 분쇄 입도 또는 입경으로 재료를 분쇄할 수 있다.
저장호퍼(300)는 분쇄호퍼(200)와 연결 형성되어 레미콘의 재료가 파쇄된 분체를 저장하며, 하부에 분체의 배출양을 조절하는 제1배출부재(310) 및 제2배출부재(320)가 형성된다. 제1배출부재(310)는 분체를 토출하는 영역의 크기나 지름이 제2배출부재(320)보다 상당한 차이가 날 정도로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제2배출부재(320)의 분체 토출 영역은 세밀한 계량을 위해 크기나 지름 등이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저장호퍼(300)는 재료의 종류 및 성질에 따라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계량호퍼(400)는 제1배출부재(310) 및 제2배출부재(320)에서 배출된 분체가 저장되며, 적어도 일 영역에 측정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측정수단은 분체의 중량이나 부피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로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측정수단은 로드셀을 포함하여 계량호퍼(400)에 공급된 분체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설정한 특정 수치에 도달하면 제1배출부재(310) 및 제2배출부재(320)의 동작에 관여하는 신호를 생성 및 전송할 수 있다. 계량호퍼(400)는 재료의 종류 및 성질에 따라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하나의 계량호퍼(400)로 형성될 수 있다.
이송부(500)는 계량호퍼(400)와 연결 형성되며, 계량호퍼(400)로부터 배출된 분체를 교반부(600)를 이송할 수 있다. 이송부(500)는 분체를 안착시키는 벨트(510), 벨트(510)를 지지하며, 골격을 형성하는 기본 프레임(520), 기본 프레임(520)의 내측 공간에 좌우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며, 벨트(510)와의 마찰력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벨트(510)가 이동됨에 따라 회전하는 다수 개의 회전 롤러(530), 회전 롤러(530)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이 설치되는 내측 양측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다수 개의 롤러 설치홈(540) 및 회전 롤러(530)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이 설치되고 남은 롤러 설치홈(540)의 하부 공간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회전 롤러(530)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을 롤러 설치홈(540)에서 지지하는 탄성 지지부(550)를 포함할 수 있다.
교반부(600)는 이송부(500)로부터 이송받은 분체를 교반하여 레미콘을 생성한다. 교반부(600)는 레미콘 생성을 위한 다량한 재료가 혼합되어 교반되어 지는 곳으로서, 복수의 재료의 교반을 위해 내부에 회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부는 회전축, 디스크, 연결축 및 회전 날개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축은 회전 운동을 할 수 있으며, 회전축의 외주면은 디스크와 결합될 수 있다. 디스크는 회전축에 복수 개가 결합될 수 있으며, 회전축의 회전 운동과 연동하여 회전 운동할 수 있다. 디스크는 디스크의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연결공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연결공은 연결축을 수용할 수 있다. 디스크는 회전축에 일정 간격으로 결합될 수 있다. 디스크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다각형, 타원 등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축은 복수의 디스크들을 연결할 수 있다. 연결축은 복수의 디스크들에 형성된 연결공들에 수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복수의 디스크들에 형성된 복수의 연결공을 동일 축선상으로 형성시킬 수 있다. 복수의 디스크들은 4개의 연결공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연결축을 통해, 복수의 디스크들에 형성된 각각의 연결공을 동일 축선상에 일치되게 형성시킬 수 있다. 회전 날개는 복수 개가 연결축과 결합될 수 있으며, 복수의 디스크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회전 날개는 연결축과 결합됨으로써, 회전축이 회전 운동을 시작하면, 연결축과 함께 회전 운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회전 날개는 경사 회전날개와 평면 회전날개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평면 회전날개는 평판형으로 형성되며, 회전축과 수직인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경사 회전날개는 평면 회전날개의 방향과 소정의 각도 α(예: 45°)를 가지는 경사면을 포함하는 회전 날개를 의미할 수 있다. 경사 회전날개는 회전축과 수직이 아닌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형성될 수 있다. 평면 회전날개의 길이는, 경사 회전날개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회전 날개는 결합부와 날개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의 일 영역에는 통공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날개면은 연결축에 대하여 자유로운 회전이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날개면이 제 2 연결축에 대하여 자유로운 회전을 함으로써, 교반부(600)에 전해지는 부하를 줄일 수 있어, 교반부(600)의 파손 및 과전력 소모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교반부(600)는 적어도 일 영역에 수분을 공급받을 수 있는 추가재료공급챔버(610) 및 물공급챔버(620)을 포함할 수 있다. 교반된 레미콘에 특정 기능을 더 부가하기 위하여 별도의 재료를 더 추가하거나 기 분쇄된 재료를 신속히 투입하기 위해 추가재료공급챔버(6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물공급챔버(620)는 교반부(600) 내부로 레미콘 생성에 필요한 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물공급챔버(620)는 일 단부에 물분사모듈(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교반이 끝난 교반부(600)의 내부면을 향해 물을 분사하여 교반부(600)를 청소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물분사모듈(미도시)는 회전이 가능한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교반부(600) 내부면의 상부 및 하부에 모두 물을 분사할 수 있게 형성될 수 있다.
보호부(700)는 교반부(600)의 내주면의 적어도 일 영역에 형성되며, 충격 및 수분으로부터 상기 교반부(600)를 보호한다. 보호부(700)는 레미콘의 교반시 분체 또는 수분으로부터 교반부(600)의 내주면을 보호하여, 교반부(60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보호부(700)는 실시예에 따라 교반부(600) 뿐만 아니라 저장빈(100), 분쇄호퍼(200), 저장호퍼(300), 계량호퍼(400), 이송부(500), 시험부(800)의 내주면 또는 외주면의 적어도 일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시험부(800)는 교반부(600)의 적어도 일 영역에 형성되며, 교반된 상기 레미콘의 워커빌리티(workability)를 측정한다. 시험부(800)는 교반부(600)에서 교반되고 있는 레미콘의 워커빌리티를 측정하는 구성으로서, 사용자가 설정한 워커빌리티 결과가 나오지 않은 경우, 사용자에게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교반부(600)에 이를 보정하기 위한 재료를 더 추가하도록 필요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시험부(800)는 요구되는 워커빌리티를 확보하기 위하여 자동으로 필요한 재료를 교반부(600)에 추가하도록 레미콘 생산 제어시스템(10)을 구동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호퍼를 도시한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호퍼(300)는 제1배출부재(310) 및 제2배출부재(3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배출부재(310)는, 적어도 일 영역에 상기 분체를 대량으로 배출하는 제1계량수단을 포함한다. 제1배출부재(310)는 수직으로 연장된 원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배출부재(310)의 내부 중앙부에는 제1계량수단(311)이 설치될 수 있다. 제1계량수단(311)은 저장호퍼(300)에 저장된 분체를 다량으로 배출하도록 조절하는 구성이다. 제1계량수단(311)은 수평으로 이동 가능한 개폐 플레이트(311-1)와, 개폐 플레이트(311-1)를 수평으로 이동시키는 액추에이터(311-2)를 포함한다. 제1계량수단(311)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제1배출부재(310)를 개방 또는 폐쇄한다. 즉, 사용자 입력에 의해 개방신호가 인가되면 액추에이터(311-2)가 작동하여 개폐 플레이트(311-1)를 이동시키고, 개폐 플레이트(311-1)의 이동에 의해 제1배출부재(310)가 개방되어 다량의 분체가 배출된다. 계량호퍼(400)의 측정수단에 분체 저장량이 설정값(예: 최종값의 90~95%)에 도달하면 액추에이터(311-2)는 개폐 플레이트(311-1)를 최초의 위치로 이동시켜 분체의 배출을 차단한다. 그와 동시에 제2계량수단(322)을 작동시켜 정밀 계량을 실시한다.
제2배출부재(320)는, 수평관(321), 수평관(321)의 내부에 설치되는 스크루 피더(322-1)를 포함하는 제2계량수단(322), 수직관(323), 수직관(323) 내부에 형성되며 수직관을 개폐하는 개폐수단(324)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배출부재(320)는 제1계량수단(311)에 의해 분체의 1차 배출이 종료된 후, 제2계량수단(322)에 의한 분체의 2차 배출이 연속적으로 진행되게 할 수 있다. 계속하여 개폐수단(324)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계량호퍼(400)의 측정수단에 의해 계량호퍼(400)에 유입된 분체의 양이 사용자가 설정한 수치에 도달함이 감지(예: 최종값의 90~95%)되면, 개폐수단(324)은 수직관(323)을 폐쇄하고, 수직관(323) 내부의 기 설정된 수치까지 분체가 수용되는 경우, 상기 수직관(323)을 개방하여 계량호퍼(400)에 분체를 소량 공급하기를 반복하여 정밀한 계량을 할 수 있다. 제2계량수단(322)은 제1계량수단(311)에 의한 1차 계량 후 작동하여 분체의 배출량을 정밀하게 계량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제2계량수단(322)은, 제2배출부재(320)의 수평관(321) 내부에 설치되는 스크루 피더(322-1)와, 수평관(321)의 외부로 돌출된 스크루 피더(322-1)의 회전축 일단부에 설치되는 전동기(322-2)와, 스크루 피더(322-1)의 회전축과 전동기(322-2) 사이에 설치되는 감속기(322-3)를 포함한다.
스크루 피더(322-1)는 회전축과, 회전축의 외주면에 나선형으로 감긴 이송날개로 이루어진다. 회전축의 일단부는 수평관(321)의 외부로 돌출되어 감속기(322-3)에 연결되고, 이송날개는 회전축의 타단부에서 일단부까지 연장되며, 일단부 측은 수직관(323)의 상부까지만 연장된다. 따라서 스크루 피더(322-1)가 작동하면 저장호퍼(300)에 저장된 분체가 수평관(321)을 통해 이송되고, 수직관(323)을 통해 계량호퍼(400)로 배출된다. 상술한 구조의 제2계량수단(322)은 스크루 피더(322-1)의 회전수에 따라 분체의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가변전압, 가변주파수 인버터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전동기(322-2)의 회전수를 제어할 경우 정밀한 계량이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부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부(500)는 벨트(510), 기본 프레임(520), 회전 롤러(530), 롤러 설치홈(540) 및 탄성지지부(900)를 포함한다.
벨트(510)는 분체를 안착시키는 구성으로서, 벨트의 표면은 분체의 유동을 줄일 수 있도록 표면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기본 프레임(520)은, "ㅁ"형태의 골격을 형성되며, 내측 공간에 다수 개의 회전 롤러(530)가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다수 개가 설치된다.
회전 롤러(530)는, 기본 프레임(520)의 내측 공간에 좌우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며, 벨트(510)와의 마찰력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벨트(510)가 상측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회전한다
롤러 설치홈(540)은, 회전 롤러(530)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이 설치되는 내측 양측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어 회전 롤러(530), 즉 회전 롤러(530)의 양측 말단에 설치되는 베어링(550)이 상측 공간에 설치되며, 하측 공간에 탄성 지지부(900)가 설치되도록 한다.
탄성 지지부(900)는, 회전 롤러(530)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 즉 베어링(550)이 설치되고 남은 롤러 설치홈(540)의 하부 공간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회전 롤러(530)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을 롤러 설치홈(540)에서 지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이송부(500)는, 탄성 지지부(900)를 통해 진동을 효율적으로 흡수함으로써, 벨트(510)와 회전 롤러(530)의 마찰로 발생되는 진동으로 인해 장치의 내구성을 떨어뜨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탄성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탄성 지지부(900)는, 롤러 설치홈(540)의 하부 공간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회전 롤러(530)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을 지지하는 구조로서, 받침 프레임(940), 네 개의 받침 플레이트(910), 네 쌍의 지지 프레임(920) 및 지지 기둥(930)을 포함한다.
받침 프레임(940)은, 하측에 설치된 받침 플레이트(910)에 의하여 지지되며, 회전 롤러(530)의 양측 말단에 설치되는 베어링(550)을 지지한다.
받침 플레이트(910)는, 상측에 안착된 받침 프레임(940)을 지지하며, 하측에 연결 설치된 지지 프레임(920)에 의하여 지지 기둥(930)에서 지지된다.
즉, 받침 플레이트(910)는, 상측에 받침 프레임(940)을 안착시키게 되고, 받침 프레임(940)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 등에 대응하여 탄성력에 의하여 좌우 방향(즉, 제1 프레임(921a)) 또는 상하 방향(즉, 제2 프레임(921b))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게 되는 지지 프레임(920)에 의하여 흡수되도록 함으로써 진동 또는 충격을 감쇄시키게 되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제1 프레임(921a) 또는 제2 프레임(921b)의 길이를 다양하게 형성시킴으로써, 단순히 상하 방향의 높이만을 조절하여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는 기존의 탄성체의 한계를 극복하여 받침 플레이트(910)에 의한 지지 위치를 상하 방향뿐만 아니라 좌우 방향으로도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지지 프레임(920)은, 네 개의 받침 플레이트(910)의 각각의 하부에 제1 프레임(921a) 및 제2 프레임(921b)의 두 개의 프레임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플레이트(910)를 지지하고,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프레임(921a) 또는 제2 프레임(921b)의 길이를 조절하여 플레이트(910)에 의한 받침 프레임(940)의 지지 위치를 결정한다.
이때, 제1 프레임(921a) 및 제2 프레임(921b)의 상부는 받침 플레이트(910)의 하부에 연결 설치되고, 제1 프레임(921a)의 하부는 지지 기둥(930)의 상측면에 회동 및 수평 방향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제2 프레임(921b)의 하부는 지지 기둥(930)의 일 측면에 회동 및 수직 방향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즉, 제1 프레임(921a) 또는 제2 프레임(921b)은, 지지 기둥(930)의 상측면 또는 일측면에서 탄성력에 의한 회동 또는 슬라이딩 이동을 통하여 받침 플레이트(910)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지지 기둥(930)으로 전달하게 된다.
지지 기둥(930)은, 사각 기둥 형태로 형성되며, 제1 프레임(921a)의 하부가 상측면에 회동 및 수평 방향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제2 프레임(921b)의 하부가 일 측면에 회동 및 수직 방향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하며, 제1 프레임(921a) 또는 제2 프레임(921b)의 슬라이딩 이동 시 탄성력(즉, 십자 탄성부(933) 또는 수직 탄성부(935))을 통해 진동 또는 충격을 흡수시킨다.
각각의 받침 플레이트(910) 또는 지지 프레임(920)는, 서로 대칭 구조로서 동일한 방법에 의하여 구동되는 바, 상술한 바와 같은 일 받침 플레이트(910) 또는 일 지지 프레임(920)에 관하여 기술한 내용은 다른 받침 플레이트(910) 또는 다른 지지 프레임(920)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바, 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탄성 지지부(900)는, 상하 대칭 구조로도 형성될 수 있는 바, 도 4의 경우에는 지지 기둥(930)의 상부에만 각각의 구성이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상술한 바와 같은 네 개의 받침 플레이트(910) 및 네 쌍의 지지 프레임(920)과 관련된 구성은 지지 기둥(930)의 하부에 동일하게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탄성 지지부(900)는, 회전 롤러(530)의 양측 말단에 설치되는 베어링(550)을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함으로써, 승강되는 벨트(510)와의 마찰로 인한 지속적인 진동으로 인해 장비의 내구성에 문제가 발생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도 4의 지지 기둥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5및 도 6을 참조하면, 지지 기둥(930)은, 기둥 바디(931), 십자홈(932), 십자 탄성부(933), 네 개의 수직홈(934) 및 네 개의 수직 탄성부(935)를 포함한다.
기둥 바디(931)는, 사각 기둥 형태로 형성되고, 상부에 십자홈(932)이 형성되며, 각 측면에 수직홈(934)이 형성된다.
십자홈(932)은, 기둥 바디(931)의 상부에 "+"형태로 함몰 형성되고, 내부 공간에 십자 탄성부(933)가 삽입 설치된다.
십자 탄성부(933)는, 십자홈(932)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십자홈(932)에 삽입되며, 네 개의 가지의 말단 상부에 제1 프레임(921a)의 하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제1 프레임(921a)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흡수시켜 진동 또는 충격을 감쇄시킨다.
수직홈(934)은, 기둥 바디(931)의 각 면에 상하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고, 내부 공간에 수직 탄성부(935)가 삽입 설치된다.
수직 탄성부(935)는, 수직홈(934)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수직홈(934)에 삽입되며, 상부 외측에 제2 프레임(921b)의 하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제2 프레임(921b)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흡수시켜 진동 또는 충격을 감쇄시킨다.
도 7은 도 5의 십자 탄성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십자 탄성부(933)는, 십자 케이스부(9331), 상부 지지부(9332), 네 개의 상부 탄성부(9333), 네 개의 상부 탄성 지지부(9334) 및 네 개의 상부 연결 링크부(9335)를 포함한다.
십자 케이스부(9331)는, 내부 공간이 빈 "+" 형태로 형성되어 십자홈(932)에 삽입 설치되고, 내부 공간에 후술하는 상부 지지부(9332), 네 개의 상부 탄성부(9333), 네 개의 상부 탄성 지지부(9334)가 설치된다.
이때, 십자 케이스부(9331)의 각 가지의 길이는 십자홈(932)의 각 가지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됨으로써, 십자 케이스부(9331)의 외측에 형성되는 공간에 상부 연결 링크부(9335)가 배치되고 슬라이딩 이동을 위한 공간을 형상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상부 지지부(9332)는, 정육면체로 형성되며, 십자 케이스부(9331)의 중심 부분에 배치되고, 각 4면의 외측에 상부 탄성부(9333)가 배치되도록 하고 상부 탄성부(9333)를 지지하게 된다.
상부 탄성부(9333)는, 상부 지지부(9332)의 각 측면에 배치되어 상부 탄성 지지부(9334)를 탄성력에 의하여 지지함으로써, 상부 탄성 지지부(9334)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 등을 흡수하게 된다.
상부 탄성 지지부(9334)는, 십자 케이스부(9331)의 내부 공간의 각 가지의 말단에 각각 배치되며, 상부 탄성부(9333)의 탄성력에 의하여 지지되고, 상부 연결 링크부(9335) 사이에 설치된 지지 바아(9336)에 의하여 상부 연결 링크부(9335)를 지지한다.
상부 연결 링크부(9335)는, 십자홈(932)의 각 가지의 말단에 각각 배치되고, 십자 케이스부(9331)와 대향하는 일 측면과 상부 탄성 지지부(9334) 사이에 설치되는 지지 바아(9336)에 의하여 기 설정된 간격으로 유지되고, 상부에 제1 프레임(921a)의 하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플레이트(910)의 상하 방향의 이동에 따라 십자홈(932)의 각각의 가지가 만나는 중심 방향으로 십자홈(932)의 홈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한다.
도 8은 도 6의 수직 탄성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수직 탄성부(935)는, 수직 케이스부(9341), 측면 지지부(9342), 측면 탄성부(9343), 측면 탄성 지지부(9344) 및 측면 연결 링크부(9345)를 포함한다.
수직 케이스부(9341)는, 내부 공간이 빈 수직홈(934)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 공간의 하측으로부터 측면 지지부(9342), 측면 탄성부(9343) 및 측면 탄성 지지부(9344)가 순서대로 설치된다.
측면 지지부(9342)는, 정육면체로 형성되며, 수직 케이스부(9341)의 하부 공간에 배치되고, 상측에 측면 탄성부(9343)가 배치되어 측면 탄성부(9343)를 지지한다.
측면 탄성부(9343)는, 측면 지지부(9342)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측에 배치된 측면 탄성 지지부(9344)를 탄성력에 의하여 지지함으로써, 측면 탄성 지지부(9344)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 등을 흡수하게 된다.
측면 탄성 지지부(9344)는, 수직 케이스부(9341)의 내부 공간의 상측에 배치되며, 측면 탄성부(9343)의 탄성력에 의하여 지지되고, 측면 연결 링크부(9345) 사이에 설치된 지지 바아(9346)에 의하여 측면 연결 링크부(9345)를 지지한다.
측면 연결 링크부(9345)는, 수직홈(934)의 상부 말단에 배치되고, 수직 케이스부(9341)와 대향하는 하측면과 측면 탄성 지지부(9344)의 상측면 사이에 설치되는 지지 바아(9346)에 의하여 기 설정된 간격으로 유지되고, 외측면에 제2 프레임(921b)의 하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수직홈(934)의 하측 방향으로 수직홈(934)의 홈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부를 도시한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부(700)는 제 1 시트층(710), 방수시트(720), 자성 조인트층(730), 제 2 시트층(740), 코팅층(750), 완충부(760) 및 접찹제 조성물(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시트층(710)은 무기질 탄성 방수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방수시트(620)의 내후성, 내식성, 내구성 등을 개선할 수 있다. 여기서 무기질 탄성 방수재는, 특수 공중합 에멀젼과 시멘트계 특수 조합 골재를 주 성분으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스타이렌-뷰틸 아크릴산 공중합체(STYRENE-BUTYL ACRYLATE COPOLYMER) 에멀젼과 시멘트 파우더(예를 들어, 포틀랜트 시멘트, 알루미나, 규사, 소포제, 감수제 등을 포함)를 혼합하여 제조되거나, 이에 물을 부가하여 제조될 수 있다.
방수시트(720)는 제 1 시트층(710) 상에 배치되어, 2차 방수층으로 기능할 수 있다. 방수시트(720)는 예를 들어, 철, 알루미늄, 스테인리스, 크롬 등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고, 박판의 패널로 구성되며, 하측의 제 1 시트층(710)을 보호하고 외부 충격에 대응할 수 있다. 특히, 방수시트(720)는 복수 개로 구성되어, 제 1 시트층(710) 상에 연속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방수시트(720) 간의 이음매에는 자성 조인트층(730)이 배치되어, 방수시트(720)의 응력 거동에 대응하고 기밀을 유지할 수 있다.
자성 조인트층(730)은 고무 자석 등과 같이 연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방수시트(720) 간의 이음매에 부착되어, 이음매를 밀봉(sealing)할 수 있다. 여기서 방수시트(720) 간의 이음매는, 연속하는 방수시트(720)가 접하는 면으로서, 소정의 거리 이내로 이격하는 공간까지 포함한다. 이음매의 밀봉을 위해 자성 조인트층(730)은 방수시트(720) 간의 이음매 하단 및 이음매 상단에 각각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자성 조인트층(730)은 자성을 띄고 있어, 금속 재질의 방수시트(720)에 대해 용이하게 안정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제 2 시트층(740)은 제 1 시트층(710)과 동일한 무기질 탄성 방수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특히 제 2 시트층(740)은 수증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금속 등을 재질로 하는 방수시트(720)가 내부의 수분으로 인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코팅층(750)은 제 2 시트층(740)을 외부의 자극으로부터 보호하도록 제 2 시트층(740) 상에 형성된다.
완충부(760)는 복수의 방수시트(720) 사이에 배치되며, 예를 들어, 고무 등의 연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방수시트(720)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방수시트(720)의 수평 방향의 거동을 흡수하고, 보호부(700)의 구조를 보다 견고하게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연질의 완충부(760)가 방수시트(720)에 의해 수축/팽창하더라도, 완충부(760) 상단 및 하단에서 유동적으로 부착된 자성 조인트층(730)에 의해 기밀성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접착제 조성물(미도시)은 보호부(700) 구성의 적어도 일 영역에 도포되어 제 1 시트층(710), 방수시트(720), 자성 조인트층(730), 제 2 시트층(740), 코팅층(750) 및 완충부(760) 중 적어도 하나를 안정적으로 고정 결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착제 조성물은, 열가소성 수지 40~80 중량부, 점착부여수지 5~40 중량부, 송진 1~5 중량부, 가소제 1~10 중량부, 충전재 1~10 중량부 및 산화방지제 0.1~1중량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열용융 접착제 조성물로서, 일반적으로 이형제와 실리콘 밴드 사이에 접착된 상태로 제조되어, 원단에 적용시 이형제를 제거한 후 프레스 작업을 수행하여 원단에 실리콘 밴드가 부착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하, 각 성분을 자세히 살펴본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조성물의 주성분으로서, 접착력과 응집력 등을 조절하는 기능을 한다. 비닐기 또는 수산화기를 포함하는 것이라면 그 종류가 크게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폴리비닐아세테이트, 폴리비닐알코올,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및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 대비 40~8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함량이 40 중량부 미만이면 용융 점도가 높아지고 용융 흐름 지수는 낮아져 작업성이 매우 떨어지게 되며, 함량이 80 중량부를 초과하면 원단에 바로 적용되기에 충분한 접착력을 발휘하기 어렵다.
상기 점착부여수지는 저분자량 수지로, 용융 점도를 낮추어 작업성을 향상시키며, 접착 초기 젖음성과 접착제의 피착재 표면에서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고, 고화시간 등의 조절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점착부여수지는 그 종류가 크게 제한되지 않으나, 석유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점착부여수지는 지방족 탄화수소 수지, 지환족 탄화수소 수지, 방향족 탄화수소 수지, 방향족에 의해 개질된 지방족 탄화수소 수지, 및 하이드로겐화 탄화수소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방족 탄화수소 수지는 상업적인 제품으로 코오롱유화사의 Hikorez A-1100, Hikorez A-1100S, Hikorez C-1100, Hikorez R-1100, Hikorez R-1100S 등이 있다. 또한, 지환족 탄화수소 수지로는 디사이클로펜타디엔(DCPD)을 단량체로 포함하는 탄화수소 수지 등이 있고, 방향족 탄화수소 수지는 상업적으로 코오롱유화사의 Hikotack P-110S, Hikotack P-120, Hikotack P-120HS, Hikotack P-120S, Hikotack P-140, Hikotack P-140M, Hikotack P-150, Hikotack P-160, Hikotack P-90, Hikotack P-90S, Hirenol PL-1000, Hirenol PL-400 등이 있다. 또한, 방향족에 의해 개질된 지방족 탄화수소 수지는 상업적으로 코오롱유화사의 Hikorez T-1080, Hikorez T-1100 등이 있다. 또한, 하이드로겐화 탄화수소 수지는 하이드로겐화 지방족 탄화수소 수지, 하이드로겐화 방향족 탄화수소 수지 등으로 세분화될 수 있으며, 상업적으로 코오롱유화사의 Sukorez D-300, Sukorez D-390, Sukorez SU-100, Sukorez SU-110, Sukorez SU-120, Sukorez SU-130, Sukorez SU-90 등이 있다.
상기 점착부여수지는 바람직하게는 단량체의 탄소 수가 4~10인 탄화수소 수지이며, 구체적으로 C5 지방족 수지, C9 방향족 수지, C5/C9 지방족/방향족 공중합 수지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점착부여수지는 보다 바람직하게 단량체로 디사이클로펜타디엔을 포함하는 하이드로겐화 탄화수소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상업적으로 코오롱유화사(한국)의 Sukorez D-300, Sukorez D-390, Sukorez SU-100, Sukorez SU-110, Sukorez SU-120, SukorezSU-130, Sukorez SU-90 등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접착제 조성물은 앞서 설명한 다양한 석유수지에 생분해성 저자극 수지를 함께 혼합해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생분해성 저자극 수지는 생분해성 폴리머에 폴리머의 단량체를 용융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상기 생분해성 폴리머로는 폴리락트산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락트산은 유산의 축중합 도는 락티드의 개환중합에 의해 합성되는 폴리에스터로서 폴리아미드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중간 정도의 물성을 갖고 있으며, 주로 감자와 옥수수로부터 얻어지는 천연 식물성 당 성분을 원료로 하므로 생분해도가 높지만 일반적으로 경도가 높고, 탄성이 낮으며, 내구성이 떨어지는 특성이 있다.
상기 생분해성 폴리머에는 동일한 폴리머 단량체를 용융혼합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생분해성 폴리머는 단량체와 결합되면서 쇄절단이 부분적으로 발생되어 전체적으로 수평균분자량이 떨어진다. 상기 수평균분자량이 떨어지면서 점착제로 사용할 수 있는 물성을 나타내며 가공성이 높아지게 된다.
상기 폴리락트산 100 중량부에 대해, 상기 락트산 단량체는 20 내지 30 중량부를 혼합할 수 있다. 상기 단량체가 20중량부 미만으로 혼합되면, 수평균분자량이 높고 딱딱하여 점착제로 사용되기 어려우며, 상기 단량체가 40 중량부를 초과하면 표면에 마이그레이션이 발생하여 역시 점착제로 사용하기 어려울 수 있다.
상기 석유수지와 생분해성 저자극 수지의 혼합비율은 1~2:1(w/w)인 것이 바람직하며, 석유수지의 혼합비율이 너무 높은 경우 생분해성 저자극 효과가 나오기 힘들고, 저자극 수지의 혼합비율이 너무 높은 경우 경제성이 떨어지고 전체적인 점착 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점착부여수지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 대비 5~4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함량이 5 중량부 미만이면 점착부여 수지 첨가에 따른 용융 점도 저하 효과가 미비하고 그에 따른 용융 흐름 지수의 증가가 크지 않아 작업성이 만족할 만한 수준에 도달하지 못할 염려가 있고, 함량이 30 중량부를 초과하면 점착부여수지의 초과에 따른 용융흐름지수 증가율이 크지 않아 경제성이 떨어지고 상대적으로 열가소성 폴리머의 함량이 줄어들어 조성물의 전체적인 물성을 저하시킬 염려가 있다.
상기 송진은 접착제 조성물의 전체적인 접착력을 개선시키는 역할을 하며 인체에 무해하며 천연방부제 역할을 한다. 상기 송진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 대비 1~5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함량이 1 중량부 미만이면 접착력 개선 효과를 얻기 어려우며, 함량이 5 중량부를 초과하면 가공시에 점착력이 증대되어 제품으로의 가공이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가소제는 고분자에 유연성 및 접착성을 부여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가소제의 종류는 크게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솔비톨, 에틸렌글리콜, 글리세린, 글리세린디아세테이트, 및 펜타에리쓰리톨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소제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 대비 1~1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함량이 1 중량부 미만이면 가소제의 첨가에 따른 효과가 미비하고, 함량이 10 중량부를 초과하면 가소제의 과다 사용에 의해 경제성이 떨어질 수 있으며, 접착제의 전체적인 물성을 저하시킬 염려가 있다.
상기 충전재는 조성물의 보강 및 흐름성을 조절하기 위해 사용된다. 충전재의 종류는 크게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탄산칼슘, 점토, 벤토나이트, 또는 칼슘스테아레이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접착제 조성물의 보강 및 흐름성을 조절하면서도 악취 및 세균발생을 저하시기키 위하여, 충전재로서 석분(stone powder)과 펄프 분말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석분은 입자의 치밀함으로 인하여 첨가제를 다량 사용하지 않아도 높은 강도를 구현할 수 있고, 주변 환경에 따른 부피 변형률이 낮아 온도 변화가 큰 경우에도 접착제의 갈라짐 현상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상기 석분은 황토석, 대리석, 맥반석, 화강석, 옥석 등 다양한 암석의 분말 형태가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항균성, 항곰팡이성, 자외선 방출 등 다양한 기능을 가지는 황토석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펄프 분말은 액체 성분들을 빨아들이면서 석분들을 응집하는 역할을 하며 성분들간 혼화성을 높이고 응집력을 향상시킨다. 이때, 상기 석분과 펄프 분말은 7:3~8:2(w/w) 정도의 비율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충전재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 대비 1~1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함량이 1 중량부 미만이면 충전재의 첨가에 따른 효과가 미비하고, 함량이 10 중량부를 초과하면 접착제의 전체적인 물성을 저하시킬 염려가 있다.
상기 산화방지제는 산화 및 분해로 인한 점도의 변화, 황변현상, 접착력 저하 및 내구성 저하 등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종류는 크게 제한되지 않으며 구체적으로 페놀류, 방향족 아민류, 구연산, 또는 아스코르브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산화방지제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 대비 0.1~1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함량이 0.1 중량부 미만이면 산화방지제의 첨가에 따른 효과가 미비하고, 함량이 1 중량부를 초과하면 접착제의 경제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전체적인 물성을 저하시킬 염려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접착제 조성물은 원단 상에서 프레스 작업을 거치게 되는데, 이때 원단 내 홀의 존재로 인하여 조성물의 양이 치우지거나 하는 이유로 접착 불량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접착제 조성물은 접착제 조성물이 원단 표면에 균일하게 분배되도록 하여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나노 실리카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나노 실리카의 함량은 0.1~5 중량부가 바람직하며, 나노 실리카의 사이즈(primary particles)는 100n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나노실리카의 함량이 0.1 중량부 미만인 경우 나노실리카 첨가에 따른 효과가 미미하며, 5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접착력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시간이 지날수록 접착제의 표면에 블루밍(blooming)이 발생하는 불량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와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실시예 1]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60 중량부, Sukorez D-300 25중량부, 송진 3중량부, 에틸렌글리콜 5중량부, 황토석 4중량부, 펄프분말 2중량부 및 아스코르브산 1중량부를 혼합하여 170~180℃에서 용융혼련시켜 접착제 조성물을 제조한 후 펠렛 타입으로 성형하였다. 이때, 상기 생분해성 저자극 수지는 폴리락트산 100중량부에 락트산 단량체 2.5중량부를 160℃로 5분동안 용융혼합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60중량부, Sukorez D-300 15중량부, 생분해성 저자극 수지 10중량부, 송진 3중량부, 에틸렌글리콜 5중량부, 황토석 4중량부, 펄프분말 2중량부 및 아스코르브산 1중량부를 혼합하여 170~180℃에서 용융혼련시켜 접착제 조성물을 제조한 후 펠렛 타입으로 성형하였다. 이때, 상기 생분해성 저자극 수지는 폴리락트산 100중량부에 락트산 단량체 2.5중량부를 160℃로 5분동안 용융혼합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3]
나노실리카 1중량부를 더 첨가한 것만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고, 이를 실시예 3으로 하였다.
[비교예]
종래의 TPU 핫멜트 필름에서 이면지를 제거한 후 사용하였다.
[실험예]
(1) 메쉬접착강도
열용융 접착제의 메쉬접착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두 장의 덧버선 원단 사이에 정량된 접착제 펠렛을 170℃에서 용융 도포한 후, 130℃에서 30초 동안 60㎏f/㎠의 압력으로 프레스 작업을 진행하고 메쉬접착강도(㎏f/㎠)를 측정하였다.
(2) 융융흐름지수
용융흐름지수 측정기의 가열 실린더에 펠렛 타입의 접착제를 가득 채우고 160℃에서 약 5분간 녹였다. 3㎏의 추를 얹고 10분간 실린더를 통해 통과되는 접착제의 중량(g)을 측정하였다.
Figure 112019051138619-pat00001
상기 표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접착제 조성물이 기존 제품보다 향상된 접착력과 흐름지수를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생분해 저자극 수지를 사용한 경우에도 접착력과 흐름지수가 크게 떨어지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나노 실리카를 혼합하는 경우 흐름지수가 크게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험부를 도시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험부(800)는, 수밀성평판(810), 슬럼프콘(820), 주입부재(830), 라인센서 모듈(840), 수직이송모듈(850), 카메라 모듈(860), 제어모듈(870), 운송부(1000) 및 가이드레일부(1100)를 포함할 수 있다.
수밀성평판(810)은 레미콘의 색상과 다른 색상을 가져 카메라 모듈(860)의 촬영 및 제어모듈(870)의 분석에 있어 색상차를 이용하여 워커빌리티 측정값을 분석하게 할 수 있다.
슬럼프콘(820)은 수밀성평판(810) 중심부에 수직으로 배치되며, 하부에 결합구성을 포함하여, 수밀성평판(810)과 결합을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슬럼프콘(820) 내부로 레미콘 주입 시 위치를 고정 지지할 수 있다.
주입부재(830)는 교반부(600)의 적어도 일 영역에 연통되어 형성되며, 슬럼프콘(820)의 상부에 위치하여 슬럼프콘(820)으로 레미콘을 자동으로 주입한다.
라인센서 모듈(840)은 수밀성평판(810) 상면에 슬럼프콘(820)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배치되어 레미콘의 워커빌리티 정보를 전달할 수 있으며,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라인센서 모듈(840)은 레미콘의 접촉을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여 제어모듈(870)에 레미콘이 펼쳐진 상태 및 모양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수직이송모듈(850)은 슬럼프콘(820)에 레미콘 주입이 완료되면, 슬럼프콘(820)을 수직 방향으로 들어올려, 수밀성평판(810)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카메라 모듈(860)은 수직이송모듈(850)에 의해 슬럼프콘(820)이 이동되면, 수밀성평판(810) 상에서 유동하는 레미콘의 형상을 촬영한다. 이를 위해 카메라 모듈을 X축, Y축 및 Z 축 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유동하는 레미콘의 평면도, 측면도 등을 촬영할 수 있다.
제어모듈(870)은 카메라 모듈(860)에 의해 촬영된 각 이미지를 상기 라인센서 모듈(840)의 위치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개수의 픽셀로 구분하고, 각 이미지마다 수밀성평판(810)과 레미콘 간의 색상차를 이용하여 수밀성평판(810)과 레미콘의 경계를 구분하여 레미콘 경계선 상의 픽셀의 위치를 특정함으로써 레미콘의 워커빌리티를 측정할 수 있다.
운송부(1000)는 수밀성평판(810)의 하부면과 결합하여 수밀성평판(810)을 주입부재(830)로 이동시키는 이동시킬 수 있으며, 가이드레일부(1100)는 운송부(1000)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도 1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송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송부(1000)는, 상판(1831), 하판(1832) 및 승강부(1840)를 포함한다.
상판(1831)은 양측에 설치되는 승강부(1840)에 의하여 하판(1832)의 상측에 이격되어 설치되며, 승강부(1840)의 구동에 따라 하판(1832)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승강되거나 하판(1832) 방향으로 하강된다.
즉, 상판(1831)은, 그 높이가 고정되는 하판(1832)과는 달리, 높낮이가 자유롭게 조절될 수 있는 선반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하판(1832)은, 양측에 설치되는 승강부(1840)에 의하여 상측에 상판(1831)이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판(1831)과의 사이 공간을 형성하여 추가적인 물건을 적재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승강부(1840)는, 상판(1831)의 일측과 하판(1832)의 일측 사이와 상판(1831)의 다른 일측과 하판(1832)의 다른 일측 사이에 각각 연결 설치되며,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상판(1831)을 승강시켜 주거나 하강시켜 준다.
본 발명에 따른 승강부(1840)는, 착탈이 가능한 형태로 제작됨으로써, 상판(1831) 및 하판(1832) 중 하나의 판이 파손되는 등으로 인하여 교체가 필요로 하는 경우 해당 판만을 분리한 후 새로운 판을 체결함으로써 지속적인 장비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승강부(1840)는, 기존의 일체형 구동장치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착탈식의 모듈형 구동장치로서, 장비의 유지/보수 측면에서 보다 경제적인 장비의 운용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이송부(1000)는, 승강부(1840)의 전단 및 후단의 상측에 각각 탄성 모듈(18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탄성 모듈(1850)는, 상판(1831)이 파손되어 낙하하거나, 상판(1831)의 하중을 견디지 못한 후술하는 구동 프레임(1843)이 파손되어 상판(1831)이 낙하하는 경우, 상판(1831)이 바로 하판(1832)에 충돌하여 이에 따른 충격으로 인한 파손을 방지하는 것으로, 탄성력을 이용하여 낙하하는 상판(1831)을 지지함으로써 전달되는 충격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도 12는 도 11의 승강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승강부(1840)는, 상판 체결부(1841), 구동부(1842), 구동 프레임(1843) 및 하판 체결부(1844)를 포함한다.
상판 체결부(1841)는, 상판(1831)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의 하측을 지지하는 제1 상부 지지부(18411), 및 "ㄱ" 형태로 형성되어 하부가 제1 상부 지지부(18411)에 힌지부(18414)에 의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회동하여 상판(1831)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을 체결하는 제2 상부 지지부(18412)를 포함한다.
상판 체결부(1841)는, 하측 전단 및 후단에 제1 교차 프레임(18431) 또는 제2 교차 프레임(18432)의 상부를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하기 위한 회동 연결부(18413)을 형성한다.
구동부(1842)는, 하판(1832)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의 상측에 안착되고, 상부 전단 및 후단에 제1 교차 프레임(18431) 또는 제2 교차 프레임(18432)의 하부가 회동 및 전후 방향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하측에 하판 체결부(1844)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구동 프레임(1843)은, 하부가 구동부(1842)의 상부 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상부가 상판 체결부(1841)의 하부 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1 교차 프레임(18431), 및 하부가 구동부(1842)의 상부 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상부가 상판 체결부(1841)의 하부 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1 교차 프레임(18431)을 포함한다.
그리고, 제1 교차 프레임(18431)과 제2 교차 프레임(18432)는, 중간 부분이 "X" 형태로 교차 연결되어 구동부(1842)의 구동에 의해 제1 교차 프레임(18431) 또는 제2 교차 프레임(18432)의 하측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판(1831)을 승강시켜 주거나 하강시켜 준다.
즉, 제1 교차 프레임(18431)과 제2 교차 프레임(18432)의 하측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함에 따라 상판(1831)은 상측 방향으로 승강하게 되고, 제1 교차 프레임(18431)과 제2 교차 프레임(18432)의 하측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함에 따라 상판(1831)은 하측 방향으로 하강하게 되는 것이다.
하판 체결부(1844)는, "ㄴ" 형태로 형성되어 상부가 구동부(1842)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회동하여 하판(1832)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을 체결하며, 하측에 이동을 위한 바퀴(18441)를 구비한다.
일 실시예에서, 하판 체결부(1844)는, 구동부(1842)의 하측에 서로 분리된 형태로 형성되거나, 일체의 바디를 형성하고 전단 및 후단의 하측에 각각 바퀴(18441)를 구비하는 일체형 바디 형태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레미콘 생산 제어시스템
100: 저장빈
200: 분쇄호퍼
300: 저장호퍼
400: 계량호퍼
500: 이송부
510: 벨트
520: 기본 프레임
530: 회전 롤러
540: 롤러 설치홈
550: 탄성 지지부
600: 교반부
700: 보호부
800: 시험부

Claims (2)

  1. 레미콘 제조에 필요한 재료들을 저장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저장빈;
    상기 저장빈과 연결 형성되며, 상기 저장빈으로부터 공급받은 상기 재료를 분쇄하여 분체를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분쇄호퍼;
    상기 분쇄호퍼와 연결 형성되어 상기 분체를 저장하며, 하부에 상기 분체의 배출양을 조절하는 제1배출부재 및 제2배출부재가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저장호퍼;
    상기 제1배출부재 및 상기 제2배출부재에서 배출된 상기 분체가 저장되며, 적어도 일 영역에 측정수단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계량호퍼;
    상기 계량호퍼와 연결 형성되며, 상기 계량호퍼로부터 배출된 상기 분체를 이송하는 이송부; 및
    상기 이송부로부터 이송받은 상기 분체를 교반하여 레미콘을 생성하는 교반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배출부재는, 적어도 일 영역에 상기 분체를 대량으로 배출하는 제1계량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2배출부재는, 상기 저장호퍼 일측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수평관; 상기 수평관의 내부에 설치되는 스크루 피더(screw feeder)를 포함하여 상기 분체를 소량으로 배출하는 제2계량수단; 상기 수평관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수직관; 및 상기 수직관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수직관을 개폐하는 개폐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1계량수단에 의해 상기 분체의 1차 배출이 종료된 후, 상기 제2계량수단에 의한 상기 분체의 2차 배출이 연속적으로 진행되며, 상기 개폐수단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상기 측정수단에 의해 상기 계량호퍼에 유입된 상기 분체의 양이 사용자가 설정한 수치에 도달함이 감지되면,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수직관을 폐쇄하고, 상기 수직관 내부의 기 설정된 수치까지 분체가 수용되는 경우, 상기 수직관을 개방하여 상기 계량호퍼에 상기 분체를 소량 공급하기를 반복하고,
    상기 분쇄호퍼는, 플라이애쉬는 2,500∼4,000㎠/g, 고로슬러그는 3,500∼6,000㎠/g, 불산무수석고는 3,500∼6,000㎠/g, 가네트는 8,000∼12,000㎠/g, 생석회는 2,500∼5,000㎠/g, 시멘트는 4,000∼5,700㎠/g의 입도를 가지도록 분쇄하며, 잔골재는 2~10㎜, 굵은골재는 25~40㎜의 입경을 가지도록 개별적으로 분쇄하고,
    상기 이송부는, 상기 분체를 안착시키는 벨트; 상기 벨트를 지지하며, 골격을 형성하는 기본 프레임; 및 상기 기본 프레임의 내측 공간에 좌우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벨트와의 마찰력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상기 벨트가 이동됨에 따라 회전하는 다수 개의 회전 롤러; 상기 회전 롤러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이 설치되는 내측 양측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다수 개의 롤러 설치홈; 및 상기 회전 롤러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이 설치되고 남은 상기 롤러 설치홈의 하부 공간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회전 롤러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을 상기 롤러 설치홈에서 지지하는 탄성 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 지지부는,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회전 롤러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을 상기 롤러 설치홈에서 지지하는 받침 프레임; 상측에 안착된 상기 받침 프레임을 지지하며, 상기 받침 프레임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에 대응하여 탄성력에 의하여 좌우 방향 또는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진동 또는 충격을 감쇄시키는 네 개의 받침 플레이트; 상기 네 개의 받침 플레이트의 각각의 하부에 제1 프레임 및 제2 프레임의 두 개의 프레임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받침 플레이트를 지지하고, 상기 제1 프레임 또는 상기 제2 프레임의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받침 플레이트에 의한 받침 프레임의 지지 위치를 결정하는 지지 프레임; 및 상기 제1 프레임의 하부가 상측면에 회동 및 수평 방향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상기 제2 프레임의 하부가 일 측면에 회동 및 수직 방향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하며, 제1 프레임 또는 제2 프레임의 슬라이딩 이동 시 십자 탄성부 또는 수직 탄성부의 탄성력을 통해 진동 또는 충격을 흡수시키는 지지 기둥을 포함하는, 레미콘 생산 제어시스템.

  2. 삭제
KR1020190058652A 2019-05-20 2019-05-20 레미콘 생산 제어시스템 KR1019919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8652A KR101991959B1 (ko) 2019-05-20 2019-05-20 레미콘 생산 제어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8652A KR101991959B1 (ko) 2019-05-20 2019-05-20 레미콘 생산 제어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1959B1 true KR101991959B1 (ko) 2019-06-24

Family

ID=67055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8652A KR101991959B1 (ko) 2019-05-20 2019-05-20 레미콘 생산 제어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195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52462A (zh) * 2021-06-08 2021-09-07 漳州市涂兰树建材贸易有限公司 一种具有配比功能的加气混凝土砌块生产用原料混合装置
CN114179226A (zh) * 2020-09-15 2022-03-15 靖州县惠能耐火材料有限公司 一种耐火材料加工过程中的加料装置
CN115162104A (zh) * 2022-08-09 2022-10-11 新疆生产建设兵团建筑工程科学技术研究院有限责任公司 一种用于道路抗凝冰剂添加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1858Y1 (ko) * 2000-05-20 2000-11-01 늘푸른산업개발주식회사 단독/누적계량장치가 부설된 배치 플랜트의 구조
KR100801579B1 (ko) 2005-12-20 2008-02-11 주식회사 오너시스템 레미콘 생산 제어 시스템
KR101033504B1 (ko) * 2008-05-28 2011-05-09 유진기업 주식회사 레미콘 배출 게이트 및 그 제어방법
KR101706977B1 (ko) * 2014-12-30 2017-02-15 주식회사 와우인포텍 레미콘 생산데이터 임의수정 방지를 위한 중앙관제시스템의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1858Y1 (ko) * 2000-05-20 2000-11-01 늘푸른산업개발주식회사 단독/누적계량장치가 부설된 배치 플랜트의 구조
KR100801579B1 (ko) 2005-12-20 2008-02-11 주식회사 오너시스템 레미콘 생산 제어 시스템
KR101033504B1 (ko) * 2008-05-28 2011-05-09 유진기업 주식회사 레미콘 배출 게이트 및 그 제어방법
KR101706977B1 (ko) * 2014-12-30 2017-02-15 주식회사 와우인포텍 레미콘 생산데이터 임의수정 방지를 위한 중앙관제시스템의 제어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79226A (zh) * 2020-09-15 2022-03-15 靖州县惠能耐火材料有限公司 一种耐火材料加工过程中的加料装置
CN113352462A (zh) * 2021-06-08 2021-09-07 漳州市涂兰树建材贸易有限公司 一种具有配比功能的加气混凝土砌块生产用原料混合装置
CN115162104A (zh) * 2022-08-09 2022-10-11 新疆生产建设兵团建筑工程科学技术研究院有限责任公司 一种用于道路抗凝冰剂添加装置
CN115162104B (zh) * 2022-08-09 2024-03-22 新疆生产建设兵团建筑工程科学技术研究院有限责任公司 一种用于道路抗凝冰剂添加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1715B1 (ko) 레미콘 제조 장치 및 방법
KR101991959B1 (ko) 레미콘 생산 제어시스템
Saleh et al. Improving the strength of weak soil using polyurethane grouts: A review
CN1995103B (zh) 吸水性树脂的表面交联方法和吸水性树脂的制造方法
KR101992489B1 (ko) Cnc 공작기계장치
US11046612B2 (en) Water-impermeable waterproof asphalt concrete composition comprising styrene isoprene styrene and method of constructing integrated water-impermeable waterproof asphalt concrete pavement using the method and mixing/feeding system
CN105164186A (zh) 吸水性树脂组合物的制造方法
CN106396586A (zh) 一种水泥基自流平魔石砂浆
US20100000442A1 (en) Apparatus for producing cold asphalt, method of manufacturing cold asphalt, and product-by-process for same
KR102061611B1 (ko) 이송시스템
CN101844894A (zh) 混凝土路面柔性注浆料
JP2007015880A (ja) 重量骨材及び重量コンクリート並びにそれらの製造方法
KR102021340B1 (ko) 약품 박스 이송 시스템
ES2750794T3 (es) Procedimiento para la preparación de una masa de relleno termoplástica granulada
KR101990127B1 (ko) 배합장치
KR102041806B1 (ko) 중자 제조 장치용 이송 장치
KR102033890B1 (ko) 폐유 수거 차량용 무게 측정 장치
CN102597165A (zh) 地基注入用水硬性水泥组合物以及使用该组合物的地基改良方法
KR101001310B1 (ko) 바텀애쉬 골재를 사용하는 레미콘 제조를 위한 플랜트 및그 제조 방법
KR101990638B1 (ko) 배합장치
CN107108355A (zh) 用于辊磨机上研磨的添加剂
JPH0764607B2 (ja) 収縮低減用セメント添加剤
KR102071408B1 (ko) 롤러회전시스템
KR102004144B1 (ko) 파일두부 정리 장치
KR102064587B1 (ko) 물품 보관 창고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