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9937B1 - 4주식 차량 정비용 리프트 - Google Patents

4주식 차량 정비용 리프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9937B1
KR102039937B1 KR1020190083522A KR20190083522A KR102039937B1 KR 102039937 B1 KR102039937 B1 KR 102039937B1 KR 1020190083522 A KR1020190083522 A KR 1020190083522A KR 20190083522 A KR20190083522 A KR 20190083522A KR 102039937 B1 KR102039937 B1 KR 1020399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vehicle
inner space
upper plate
filling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35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윤식
Original Assignee
심윤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윤식 filed Critical 심윤식
Priority to KR10201900835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99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99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99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9/00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 B60S9/02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for only lifting or supporting
    • B60S9/10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for only lifting or supporting by fluid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프트의 구조를 개선하여 안정적으로 차량을 승강 또는 하강시킬 수 있도록 구현한 4주식 차량 정비용 리프트에 관한 것으로,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4 개의 지주부; 전단에 위치하는 두 개의 지주부 사이 및 후단에 위치하는 두 개의 지주부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승하강 하는 두 개의 승강부; 차량의 일측 및 다른 일측 바퀴가 탑승할 수 있도록 상기 두 개의 승강부 사이에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두 개의 차량 지지부; 및 상기 두 개의 차량 지지부 사이에 적어도 하나 설치되며, 상기 차량 지지부로부터 차량을 승강시켜 주는 보조 승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4주식 차량 정비용 리프트{LIFT FOR VEHICLE REPAIR}
본 발명은 4주식 차량 정비용 리프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리프트의 구조를 개선하여 안정적으로 차량을 승강 또는 하강시킬 수 있도록 구현한 4주식 차량 정비용 리프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정비용 리프트는 와이어로프 또는 체인 등에 리프트판을 지지시키고 구동장치의 구동에 따라 와이어로프를 당기고 놓음에 따라 리프트판이 승강되도록 하고 있는 것으로, 리프트판을 상승시킨 상태에서 구동장치의 유압이 급속하게 감소되어 와이어로프의 이완이 발생하거나 또는 와이어로프의 강도 저하를 끊어짐이 발생할 경우에는 리프트판이 급속히 하강하여 안전사고가 발생하게 된다.
그러므로 차량정비용 리프트판에는 안전장치를 부설하고, 구동장치의 유압감소로 와이어로프의 이완이 발생하거나 또는 와이어로프의 끊어짐이 발생할 경우에 안전장치가 동작하여 리프트판의 급속한 하강을 방지하고 있으나, 여전히 안전사고가 발생하였으며 또한 리프트판을 상승시킨 상태에서 정전이 될 경우에 상승된 리프트판을 임의로 하강시키지 못하는 등의 여러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297479호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247360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차량정비용 리프트에 구조를 단순화한 동력계를 장착하여, 주로 차량정비를 위해 이용되던 기존의 리프트에 대개는 지면에 매설된 고비용의 동력계상에서 주로 이루어지는 비교적 간단한 배기가스검사와 같은 성능검사를 부여함으로써, 차량정비와 동시에 검사를 이동없이 리프트상에서 이루어지 도록 하는 4주식 차량 정비용 리프트를 제공한다.
또한, 발판에 커버 부착시 충분한 두께 및 고르기를 가지고 도포될 수 있으며, 악취 및 세균 발생을 저하시킬 수 있는 접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4주식 차량 정비용 리프트는,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4 개의 지주부; 전단에 위치하는 두 개의 지주부 사이 및 후단에 위치하는 두 개의 지주부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승하강 하는 두 개의 승강부; 차량의 일측 및 다른 일측 바퀴가 탑승할 수 있도록 상기 두 개의 승강부 사이에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두 개의 차량 지지부; 및 상기 두 개의 차량 지지부 사이에 적어도 하나 설치되며, 상기 차량 지지부로부터 차량을 승강시켜 주는 보조 승강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4주식 차량 정비용 리프트는, 상기 두 개의 차량 지지부의 전단에 각각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차량이 상기 차량 지지부로 올라가기 위한 경사면을 형성하는 두 개의 진입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진입판은, 후단이 상기 차량 지지부의 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차량 지지부가 승강함에 따라 전단이 바닥면을 따라 하측 방향으로 회동하고, 상기 차량 지지부가 하강함에 따라 전단이 바닥면과 만나면 바닥면을 따라 상측 방향으로 회동하며, 바닥면과의 마찰력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바닥면과 만나는 전단을 따라 회전롤러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보조 승강부는, 상기 두 개의 차량 지지부 사이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어 다른 보조 승강부와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보조 승강부는, 상기 두 개의 차량 지지부 사이에 설치되는 지지대; "X" 형태로 절첩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대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어 차량의 하부를 받치는 받침판; 및 상기 제1 프레임 또는 상기 제2 프레임에 연결 설치되며, 신장 또는 수축됨에 따라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의 연결 각도를 조절하여 상기 받침판을 승강 또는 하강시켜 주는 유압잭;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보조 승강부는, 상기 받침판의 상부 일측 및 다른 일측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차량을 지지하는 탄성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 지지부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차량을 지지하는 상판; 상기 받침판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상판의 하측에 이격되어 설치되며,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며, 상부가 상기 케이스의 상측으로 노출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상판을 지지하는 상판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판 지지부는, 상기 상판의 중심을 지지하며, 상기 상판이 하강함에 따라 내부 공간에 담기 충전액을 공급하는 제1 지지부; 및 상기 상판의 각 모서리의 하측에 각각 설치되며,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상판의 모서리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하며, 상기 상판이 하강함에 따라 상기 제1 지지부로부터 공급되는 충전액에 의해 상하 방향의 이동이 제동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지지부는, 상기 상판의 하측면의 중심에 설치되며, 구형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제1 회동 체결부; 상기 제1 회동 체결부의 내부 공간의 형태에 대응하는 구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회동 체결부의 내부 공간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1 연결 볼; 상기 제1 연결 볼의 하부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1 연결 볼을 지지하는 제1 지지 바아;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며, 밀폐된 내부 공간에 충전액이 수용되며, 상기 제1 지지 바아의 하부가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며, 상기 상판이 하강할 경우 상기 제1 지지 바아의 하부가 내부 공간의 상측으로부터 하강함에 따라 충전액이 압착되어 상기 제2 지지부로 공급되는 충전액 탱크; 및 상기 충전액 탱크의 하부로부터 상기 제2 지지부까지 연장 형성되어 충전액이 흐르는 통로를 형성하는 연결관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상판의 하측면의 모서리에 설치되며, 구형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제2 회동 체결부; 상기 제2 회동 체결부의 내부 공간의 형태에 대응하는 구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 회동 체결부의 내부 공간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2 연결 볼; 상기 제2 연결 볼의 하부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2 연결 볼을 지지하는 제2 지지 바아; 상기 제2 지지 바아의 하측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제2 지지 바아를 지지하는 탄성 지지부; 및 상하 방향으로 관통홀을 형성하는 원형의 튜브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관통홀에 상기 제2 지지 바아가 삽입되며, 상기 상판이 하강할 경우 상기 연결관을 통해 충전액이 내부 공간으로 공급되어 팽창함에 따라 상기 관통홀의 크기가 줄어들어 상기 제2 지지 바아가 움직이지 못하도록 체결하는 승하강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승하강 조절부는, 충전액이 내부 공간으로 공급됨에 따라 상기 관통홀이 위치하는 내측 방향으로 팽창될 수 있도록 외측벽이 경질의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지지 바아와 대향하는 내측이 팽창 또는 수축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차량정비용 리프트에 구조를 단순화한 동력계를 장착하여, 기존의 리프트가 주로 차량정비를 위해 제한적으로 이용되던 것을, 내지는 고비용의 동력계상에 주로 이루어지는 비교적 간단 한 배기가스 검사 등의 성능검사를, 정비와 동시에 이동없이 리프트상에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이에 따라, 저비용의 간단한 설치와 함께 장소적 고정성을 극복하여 다양하게 설치가능하게 되고, 차량의 정비와 검사가 폭넓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공해 및 교통사고율을 억제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발판에 커버 부착시 친위생적이면서도 접착성이 우수한 접착제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4주식 차량 정비용 리프트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4주식 차량 정비용 리프트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들이다.
도 4는 도 1의 보조 승강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4의 보조 승강부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들이다.
도 7은 도 4의 탄성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2는 도 7의 탄성 지지부의 각 구성들의 연결과계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성 지지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 내지 도 18은 도 13의 몸체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4주식 차량 정비용 리프트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4주식 차량 정비용 리프트(10)는, 4 개의 지주부(100), 두 개의 승강부(200), 두 개의 차량 지지부(300) 및 보조 승강부(600)를 포함한다.
지주부(100a, 100b, 100c 및 100d)는, 사각 형의 각 모서리를 형성할 수 있도록 다른 지주부와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며, 내측에 승강부(200)가 상하 승하강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승강부(200)는, 전단에 위치하는 두 개의 지주부(100a, 100b) 사이(200a) 및 후단에 위치하는 두 개의 지주부(100c, 100d) 사이(200b)에 각각 설치되어 도 2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하강하며, 다른 승강부와의 사이에 차량 지지부(300)가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승강부(200)는, 차량 정비시 사용자가 탑승하거나 정비에 필요한 공구를 올려놓기 위한 발판(210)을 일측에 구비할 수 있다.
이때, 발판(210)은, 사용자의 잦은 탑승에 의해 오염되거나 변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외측에 커버(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가 이하 후술하는 접착제 조성물에 의하여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착제 조성물은, 발판(210)에 커버를 부착시키기 위한 커버 부착용 접착제 조성물로서, 열가소성 수지 40~80 중량부, 점착부여수지 5~40 중량부, 송진 1~5 중량부, 가소제 1~10 중량부, 충전재 1~10 중량부 및 산화방지제 0.1~1중량부를 포함한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조성물의 주성분으로서, 접착력과 응집력 등을 조절하는 기능을 한다. 비닐기 또는 수산화기를 포함하는 것이라면 그 종류가 크게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폴리비닐아세테이트, 폴리비닐알코올,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및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 대비 40~8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함량이 40 중량부 미만이면 용융 점도가 높아지고 용융 흐름 지수는 낮아져 작업성이 매우 떨어지게 되며, 함량이 80 중량부를 초과하면 원단에 바로 적용되기에 충분한 접착력을 발휘하기 어렵다.
상기 점착부여수지는 저분자량 수지로, 용융 점도를 낮추어 작업성을 향상시키며, 접착 초기 젖음성과 접착제의 피착재 표면에서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고, 고화시간 등의 조절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점착부여수지는 그 종류가 크게 제한되지 않으나, 석유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점착부여수지는 지방족 탄화수소 수지, 지환족 탄화수소 수지, 방향족 탄화수소 수지, 방향족에 의해 개질된 지방족 탄화수소 수지, 및 하이드로겐화 탄화수소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방족 탄화수소 수지는 상업적인 제품으로 코오롱유화사의 Hikorez A-1100, Hikorez A-1100S, Hikorez C-1100, Hikorez R-1100, Hikorez R-1100S 등이 있다. 또한, 지환족 탄화수소 수지로는 디사이클로펜타디엔(DCPD)을 단량체로 포함하는 탄화수소 수지 등이 있고, 방향족 탄화수소 수지는 상업적으로 코오롱유화사의 Hikotack P-110S, Hikotack P-120, Hikotack P-120HS, Hikotack P-120S, Hikotack P-140, Hikotack P-140M, Hikotack P-150, Hikotack P-160, Hikotack P-90, Hikotack P-90S, Hirenol PL-1000, Hirenol PL-400 등이 있다. 또한, 방향족에 의해 개질된 지방족 탄화수소 수지는 상업적으로 코오롱유화사의 Hikorez T-1080, Hikorez T-1100 등이 있다. 또한, 하이드로겐화 탄화수소 수지는 하이드로겐화 지방족 탄화수소 수지, 하이드로겐화 방향족 탄화수소 수지 등으로 세분화될 수 있으며, 상업적으로 코오롱유화사의 Sukorez D-300, Sukorez D-390, Sukorez SU-100, Sukorez SU-110, Sukorez SU-120, Sukorez SU-130, Sukorez SU-90 등이 있다.
상기 점착부여수지는 바람직하게는 단량체의 탄소 수가 4~10인 탄화수소 수지이며, 구체적으로 C5 지방족 수지, C9 방향족 수지, C5/C9 지방족/방향족 공중합 수지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점착부여수지는 보다 바람직하게 단량체로 디사이클로펜타디엔을 포함하는 하이드로겐화 탄화수소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상업적으로 코오롱유화사(한국)의 Sukorez D-300, Sukorez D-390, Sukorez SU-100, Sukorez SU-110, Sukorez SU-120, SukorezSU-130, Sukorez SU-90 등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접착제 조성물은 작업자가 발판(210)에 도포시 작업자의 피부에 튈 경우 자극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앞서 설명한 다양한 석유수지에 생분해성 저자극 수지를 함께 혼합해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생분해성 저자극 수지는 생분해성 폴리머에 폴리머의 단량체를 용융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상기 생분해성 폴리머로는 폴리락트산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락트산은 유산의 축중합 도는 락티드의 개환중합에 의해 합성되는 폴리에스터로서 폴리아미드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중간 정도의 물성을 갖고 있으며, 주로 감자와 옥수수로부터 얻어지는 천연 식물성 당 성분을 원료로 하므로 생분해도가 높지만 일반적으로 경도가 높고, 탄성이 낮으며, 내구성이 떨어지는 특성이 있다.
상기 생분해성 폴리머에는 동일한 폴리머 단량체를 용융혼합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생분해성 폴리머는 단량체와 결합되면서 쇄절단이 부분적으로 발생되어 전체적으로 수평균분자량이 떨어진다. 상기 수평균분자량이 떨어지면서 점착제로 사용할 수 있는 물성을 나타내며 가공성이 높아지게 된다.
상기 폴리락트산 100 중량부에 대해, 상기 락트산 단량체는 20 내지 30 중량부를 혼합할 수 있다. 상기 단량체가 20중량부 미만으로 혼합되면, 수평균분자량이 높고 딱딱하여 점착제로 사용되기 어려우며, 상기 단량체가 40 중량부를 초과하면 표면에 마이그레이션이 발생하여 역시 점착제로 사용하기 어려울 수 있다.
상기 석유수지와 생분해성 저자극 수지의 혼합비율은 1~2:1(w/w)인 것이 바람직하며, 석유수지의 혼합비율이 너무 높은 경우 생분해성 저자극 효과가 나오기 힘들고, 저자극 수지의 혼합비율이 너무 높은 경우 경제성이 떨어지고 전체적인 점착 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점착부여수지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 대비 5~4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함량이 5 중량부 미만이면 점착부여 수지 첨가에 따른 용융 점도 저하 효과가 미비하고 그에 따른 용융 흐름 지수의 증가가 크지 않아 작업성이 만족할 만한 수준에 도달하지 못할 염려가 있고, 함량이 30 중량부를 초과하면 점착부여수지의 초과에 따른 용융흐름지수 증가율이 크지 않아 경제성이 떨어지고 상대적으로 열가소성 폴리머의 함량이 줄어들어 조성물의 전체적인 물성을 저하시킬 염려가 있다.
상기 송진은 접착제 조성물의 전체적인 접착력을 개선시키는 역할을 하며 인체에 무해하며 천연방부제 역할을 한다. 상기 송진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 대비 1~5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함량이 1 중량부 미만이면 접착력 개선 효과를 얻기 어려우며, 함량이 5 중량부를 초과하면 가공시에 점착력이 증대되어 제품으로의 가공이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가소제는 고분자에 유연성 및 접착성을 부여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가소제의 종류는 크게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솔비톨, 에틸렌글리콜, 글리세린, 글리세린디아세테이트, 및 펜타에리쓰리톨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소제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 대비 1~1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함량이 1 중량부 미만이면 가소제의 첨가에 따른 효과가 미비하고, 함량이 10 중량부를 초과하면 가소제의 과다 사용에 의해 경제성이 떨어질 수 있으며, 접착제의 전체적인 물성을 저하시킬 염려가 있다.
상기 충전재는 조성물의 보강 및 흐름성을 조절하기 위해 사용된다. 충전재의 종류는 크게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탄산칼슘, 점토, 벤토나이트, 또는 칼슘스테아레이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접착제 조성물은 발판(210) 또는 커버의 부착면에 도포되는 것으로서, 적용 환경상 악취 및 세균이 발생하기 쉽다. 이에 본 발명은 접착제 조성물의 보강 및 흐름성을 조절하면서도 악취 및 세균발생을 저하시기키 위하여, 충전재로서 석분(stone powder)과 펄프 분말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석분은 입자의 치밀함으로 인하여 첨가제를 다량 사용하지 않아도 높은 강도를 구현할 수 있고, 주변 환경에 따른 부피 변형률이 낮아 온도 변화가 큰 경우에도 접착제의 갈라짐 현상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상기 석분은 황토석, 대리석, 맥반석, 화강석, 옥석 등 다양한 암석의 분말 형태가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항균성, 항곰팡이성, 자외선 방출 등 다양한 기능을 가지는 황토석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펄프 분말은 액체 성분들을 빨아들이면서 석분들을 응집하는 역할을 하며 성분들간 혼화성을 높이고 응집력을 향상시킨다. 이때, 상기 석분과 펄프 분말은 7:3~8:2(w/w) 정도의 비율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충전재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 대비 1~1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함량이 1 중량부 미만이면 충전재의 첨가에 따른 효과가 미비하고, 함량이 10 중량부를 초과하면 접착제의 전체적인 물성을 저하시킬 염려가 있다.
상기 산화방지제는 산화 및 분해로 인한 점도의 변화, 황변현상, 접착력 저하 및 내구성 저하 등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종류는 크게 제한되지 않으며 구체적으로 페놀류, 방향족 아민류, 구연산, 또는 아스코르브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산화방지제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 대비 0.1~1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함량이 0.1 중량부 미만이면 산화방지제의 첨가에 따른 효과가 미비하고, 함량이 1 중량부를 초과하면 접착제의 경제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전체적인 물성을 저하시킬 염려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접착제 조성물은 발판(210) 또는 커버의 부착면에 균일하게 분배되도록 하여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나노 실리카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나노 실리카의 함량은 0.1~5 중량부가 바람직하며, 나노 실리카의 사이즈(primary particles)는 100n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나노실리카의 함량이 0.1 중량부 미만인 경우 나노실리카 첨가에 따른 효과가 미미하며, 5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접착력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시간이 지날수록 접착제의 표면에 블루밍(blooming)이 발생하는 불량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와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60 중량부, Sukorez D-300 25중량부, 송진 3중량부, 에틸렌글리콜 5중량부, 황토석 4중량부, 펄프분말 2중량부 및 아스코르브산 1중량부를 혼합하여 170~180℃에서 용융혼련시켜 접착제 조성물을 제조한 후 펠렛 타입으로 성형하였다. 이때, 상기 생분해성 저자극 수지는 폴리락트산 100중량부에 락트산 단량체 2.5중량부를 160℃로 5분동안 용융혼합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60중량부, Sukorez D-300 15중량부, 생분해성 저자극 수지 10중량부, 송진 3중량부, 에틸렌글리콜 5중량부, 황토석 4중량부, 펄프분말 2중량부 및 아스코르브산 1중량부를 혼합하여 170~180℃에서 용융혼련시켜 접착제 조성물을 제조한 후 펠렛 타입으로 성형하였다. 이때, 상기 생분해성 저자극 수지는 폴리락트산 100중량부에 락트산 단량체 2.5중량부를 160℃로 5분동안 용융혼합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3]
나노실리카 1중량부를 더 첨가한 것만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고, 이를 실시예 3으로 하였다.
[비교예]
종래의 TPU 핫멜트 필름에서 이면지를 제거한 후 사용하였다.
[실험예]
(1) 메쉬접착강도
열용융 접착제의 메쉬접착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발판(210)와 커버 사이에 정량된 접착제 펠렛을 170℃에서 용융 도포한 후, 130℃에서 30초 동안 60㎏f/㎠의 압력으로 프레스 작업을 진행하고 메쉬접착강도(㎏f/㎠)를 측정하였다.
(2) 융융흐름지수
용융흐름지수 측정기의 가열 실린더에 펠렛 타입의 접착제를 가득 채우고 160℃에서 약 5분간 녹였다. 3㎏의 추를 얹고 10분간 실린더를 통해 통과되는 접착제의 중량(g)을 측정하였다.
Figure 112019070881187-pat00001
상기 표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접착제 조성물이 기존 제품보다 향상된 접착력과 흐름지수를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생분해 저자극 수지를 사용한 경우에도 접착렵과 흐름지수가 크게 떨어지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나노 실리카를 혼합하는 경우 흐름지수가 크게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차량 지지부(300a, 300b)는, 차량의 일측 및 다른 일측 바퀴가 탑승할 수 있도록 두 개의 승강부(200) 사이에 다른 차량 지지부와 이격되어 설치된다.
보조 승강부(600a, 600b)는, 두 개의 차량 지지부(300a, 300b) 사이에 적어도 하나 설치되며,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신 스스로 상승함에 따라 차량 지지부(300)로부터 차량을 승강시켜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4주식 차량 정비용 리프트(10)는, 두 개의 진입판(3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진입판(310)은, 두 개의 차량 지지부(300a, 300b)의 전단에 각각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차량이 차량 지지부(300)로 올라가기 위한 경사면을 형성한다.
일 실시예에서, 진입판(310)은, 후단이 차량 지지부(300)의 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차량 지지부(300)가 승강함에 따라 전단이 바닥면을 따라 하측 방향으로 회동하고, 차량 지지부(300)가 하강함에 따라 전단이 바닥면과 만나면 바닥면을 따라 상측 방향으로 회동하며, 바닥면과의 마찰력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바닥면과 만나는 전단을 따라 회전롤러(311)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4주식 차량 정비용 리프트(10)는, 차량정비용 리프트에 구조를 단순화한 동력계를 장착하여, 기존의 리 프트가 주로 차량정비를 위해 제한적으로 이용되던 것을, 내지는 고비용의 동력계상에 주로 이루어지는 비교적 간단 한 배기가스 검사 등의 성능검사를, 정비와 동시에 이동없이 리프트상에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이에 따라, 저비용의 간단한 설치와 함께 장소적 고정성을 극복하여 다양하게 설치가능하게 되고, 차량의 정비와 검 사가 폭넓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공해 및 교통사고율 억제에 기여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도 1의 보조 승강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승강부(600)는, 지지대(610), 제1 프레임(620), 제2 프레임(630), 받침판(640) 및 유압잭(650)을 포함한다.
지지대(610)는, 두 개의 차량 지지부(300a, 300b) 사이에 설치되고, 상부에 제1 프레임(620), 제2 프레임(630) 및 유압잭(650)이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보조 승강부(6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차량 지지부(300a, 300b) 사이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어 정비를 필요로 하는 차량의 길이에 대응하여 다른 보조 승강부(600)와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
제1 프레임(620)과 제2 프레임(630)은, 서로 "X" 형태로 절첩 가능하도록 지지대(610)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부에 설치된 받침판(640)을 지지한다.
받침판(640)는, 제1 프레임(620)과 제2 프레임(630)의 상부에 설치되어 차량의 하부를 받친다.
유압잭(650)은, 제1 프레임(620) 또는 제2 프레임(630)에 연결 설치되며, 신장 또는 수축됨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프레임(620)과 제2 프레임(630)의 연결 각도를 조절하여 받침판(640)을 승강 또는 하강시켜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보조 승강부(600)는, 탄성 지지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탄성 지지부(400)는, 받침판(640)의 상부 일측 및 다른 일측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차량을 지지한다.
도 7은 도 4의 탄성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탄성 지지부(400)는, 상판(410), 케이스(420) 및 상판 지지부(430)를 포함한다.
상판(410)은,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차량을 지지하며, 상판 지지부(430)에 의하여 지지된다.
케이스(420)는, 상판(410)의 하측에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판 지지부(430)가 설치되기 위한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
상판 지지부(430)는, 케이스(420)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며, 상부가 케이스(420)의 상측으로 노출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판(410)을 지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탄성 지지부(400)는, 받침판(640)의 상부 일측 및 다른 일측에 설치되며, 받침판(640)이 차량을 승강시킴에 따라 탄성력을 이용하여 차량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이나 진동을 흡수함으로써 안정적으로 차량을 승강시키도록 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2는 도 7의 탄성 지지부의 각 구성들의 연결과계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판 지지부(430)는, 제1 지지부(431) 및 다수 개의 제2 지지부(432a, 432b, 432c, 432d)를 포함한다.
제1 지지부(431)는, 상판(410)의 중심을 지지하며, 상판(410)이 하강함에 따라 내부 공간에 담기 충전액을 다수 개의 제2 지지부(432a, 432b, 432c, 432d)로 공급한다.
제2 지지부(432a, 432b, 432c, 432d)는, 상판(410)의 각 모서리의 하측에 각각 설치되며,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판(410)의 모서리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하며, 상판(410)이 하강함에 따라 제1 지지부(431)로부터 공급되는 충전액에 의해 상하 방향의 이동이 제동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상판 지지부(430)는, 제1 지지부(431) 및 다수 개의 제2 지지부(432a, 432b, 432c, 432d)를 이용하여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판(410)를 효율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지지부(431)는, 제1 회동 체결부(4311), 제1 연결 볼(4312), 제1 지지 바아(4313), 충전액 탱크(4314) 및 연결관(4315)을 포함한다.
제1 회동 체결부(4311)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410)의 하측면의 중심 부분에 설치되며, 구형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여 제1 연결 볼(4312)이 연결 설치된다.
제1 연결 볼(4312)은, 제1 회동 체결부(4311)의 내부 공간의 형태에 대응하는 구형으로 형성되며, 제1 회동 체결부(4311)의 내부 공간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제1 지지 바아(4313)에 의하여 지지된다.
제1 지지 바아(4313)는, 제1 연결 볼(4312)의 하부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충전액 탱크(4314)의 내부 공간까지 연장 형성되어 제1 연결 볼(4312)을 지지하며, 상판(410)이 하강함에 따라 함께 하강하여 충전액 탱크(4314)에 담긴 충전액을 하측 방향으로 압착시킨다.
충전액 탱크(4314)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케이스(420)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며, 밀폐된 내부 공간에 충전액이 수용되며, 제1 지지 바아(4313)의 하부가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며, 상판(410)이 하강할 경우 제1 지지 바아(4313)의 하부가 내부 공간의 상측으로부터 하강함에 따라 충전액이 압착되어 연결관(4315)을 통과하여 제2 지지부(432)로 공급된다.
이때, 제1 지지 바아(4313)는, 충전액 탱크(4314)의 내부 공간에 담긴 충전액을 주사기의 구동 방식과 같이 압착시킬 수 있도록 충전액 탱크(4314)의 내부 공간의 형태에 대응하는 고무 재질의 패킹(P)이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연결관(4315)은, 충전액 탱크(4314)의 하부로부터 각 제2 지지부(432a, 432b, 432c, 432d)까지 각각 연장 형성되어 충전액이 흐르는 통로를 형성한다.
이하 제2 지지부(432)를 설명하기로 한다.
제2 지지부(432)는, 제2 회동 체결부(4321), 제2 연결 볼(4322), 제2 지지 바아(4323), 탄성 지지부(4324) 및 승하강 조절부(4325)를 포함한다.
제2 회동 체결부(4321)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410)의 하측면의 모서리에 설치되며, 구형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여 제2 연결 볼(4322)이 연결 설치된다.
제2 연결 볼(4322)은, 제2 회동 체결부(4321)의 내부 공간의 형태에 대응하는 구형으로 형성되며, 제2 회동 체결부(4321)의 내부 공간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제2 지지 바아(4323)에 의하여 지지된다.
제2 지지 바아(4323)는, 제2 연결 볼(4322)의 하부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케이스(420)의 내부 공간까지 연장 형성되어 제2 연결 볼(4322)을 지지하며, 탄성 지지부(4324)에 의하여 지지된다.
탄성 지지부(4324)는, 제2 지지 바아(4323)의 하측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제2 지지 바아(4323)를 케이스(420)의 내부 공간에서 지지한다.
승하강 조절부(4325)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홀(4325h)을 형성하는 원형의 튜브 형태로 형성되어 관통홀(4325h)에 제2 지지 바아(4323)가 삽입되며, 상판(410)이 하강할 경우 연결관(4315)을 통해 충전액이 내부 공간으로 공급되어 팽창함에 따라 관통홀(4325h)의 크기가 줄어들어 제2 지지 바아(4323)가 움직이지 못하도록 체결한다.
일 실시예에서, 승하강 조절부(4325)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액이 내부 공간으로 공급됨에 따라 관통홀(4325h)이 위치하는 내측 방향으로 팽창될 수 있도록 외측벽(4325o)이 경질의 재질로 형성되고, 제2 지지 바아(4323)와 대향하는 내측(4325i)이 팽창 또는 수축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상판 지지부(430)는, 제1 지지부(431) 및 다수 개의 제2 지지부(432a, 432b, 432c, 432d)을 이용하여 상판(410)을 지지하되, 탄성력을 형성하는 다수 개의 제2 지지부(432a, 432b, 432c, 432d)를 이용하여 상판(410)의 각 모서리를 기본적으로 지지하고, 상판(410)이 각 제2 지지부(432a, 432b, 432c, 432d)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하강하게 되어 제1 지지부(431)를 하강시키면, 제1 지지부(431)에 담긴 충전액이 압착되어 함께 하강되고 있는 각 제2 지지부(432a, 432b, 432c, 432d)로 공급되며, 충전액의 공급에 따른 팽창으로 인해 각 제2 지지부(432a, 432b, 432c, 432d)의 하강이 저지되어 상판(410)의 하강이 점진적으로 큰 저항을 받게 된다.
즉, 상판(410)이 처음에는 각 제2 지지부(432a, 432b, 432c, 432d)의 탄성력만을 이용하여 지지되나, 제1 지지부(431)가 함께 하강함에 따라 제1 지지부(431)으로부터 공급되는 충전액에 따른 밀착력에 의해 발생되는 저항값까지 추가됨으로써 상판(410)의 하강 구동이 줄어들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보조 승강부(600)는, 지지대(610)와 받침판(640) 사이에 적어도 하나 설치되어 받침판(640)이 차량의 무게를 지탱하지 못하고 낙하하는 경우 탄성력을 이용하여 받침판(640)을 지지하기 위한 탄성 지지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성 지지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탄성 지지부(500)는, 몸체부(510), 제1 스탠드(520) 및 제2 스탠드(530)를 포함한다.
몸체부(510)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며, 다수 개의 스탠드(520a, 520b, 520c, 530a, 530b, 530c)가 연결 설치된다.
제1 스탠드(520)는, 다른 제1 스탠드(520)와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몸체부(510)의 상부를 따라 다수 개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갈수록 다른 제1 스탠드(520)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되어 상측에 안착된 받침판(640)을 지지한다.
제2 스탠드(530)는, 다른 제2 스탠드(530)와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몸체부(510)의 하부를 따라 다수 개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갈수록 다른 제2 스탠드(530)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되어 몸체부(510)를 지지한다.
도 13의 제2 스탠드(530)는, 막대형으로 도시되었으나, 그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스탠드(520)와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어도 무방할 것이다.
도 14 내지 도 18은 도 13의 몸체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몸체부(510)는, 바디(511), 상부 설치홈(512), 하부 설치홈(513), 탄성 지지체(514) 및 충격흡수 패드(515)를 포함한다.
바디(511)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며, 상부 및 하부에 형성된 상부 설치홈(512) 및 하부 설치홈(513)에 제1 스탠드(520) 및 제2 스탠드(530)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상부 설치홈(512)은, 제1 스탠드(520)의 하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도록 제1 스탠드(520)의 개수에 대응하여 바디(511)의 상부를 따라 형성되며, 하측으로부러 상측으로 갈수록 바디(511)의 외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하부 설치홈(513)은, 제2스탠드의 상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도록 제2 스탠드(530)의 개수에 대응하여 바디(511)의 하부를 따라 형성되며,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갈수록 바디(511)의 외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탄성 지지체(514)는, 상부 설치홈(512)에 설치된 제1 스탠드(520) 또는 하부 설치홈(513)에 설치된 제2 스탠드(530)가 직립될 수 있도록 하측을 바라보는 제1 스탠드(520)의 일측면과 상부 설치홈(512) 사이 및 상측을 바라보는 제2 스탠드(530)의 일측면과 하부 설치홈(513)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제1 스탠드(520) 및 제2 스탠드(530)를 지지한다.
충격흡수 패드(515)는, 제1 스탠드(520) 또는 제2 스탠드(530)와의 충돌에 따른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상부 설치홈(512)의 입구 및 하부 설치홈(513)의 입구를 따라 설치된다.
여기서, 하부 설치홈(513)의 내부 형성구조는 상술한 바와 같은 상부 설치홈(512)의 형성구조와 동일하므로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6은 도 13의 제1 스탠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제1 스탠드(520)는, 지지바아(521), 받침대(522) 및 슬라이딩 패드(523)를 포함한다.
지지바아(521)는, 상부 설치홈(512)에 하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하측 경사면이 탄성 지지체(514)에 의해 지지되고, 상부에 받침대(522)의 하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기 위한 연결홈(5211)을 형성한다.
받침대(522)는, 상부면이 평평하고 하측으로 갈수록 간격이 좁아지는 삼각형 형태로 형성되며, 하부가 지지바아(521)의 상부에 형성된 연결홈(5211)에 볼트(B) 및 너트(N) 등의 체결 수단을 이용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슬라이딩 패드(523)는, 상측에 안착되는 받침판(640)과의 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된 빨래판 형태의 요철이 상부면을 따라 형성되고, 상측에 안착되는 받침판(640)이 낙하함에 따라 받침대(522)의 상부에 슬라이딩 이동된다.
일 실시예에서, 받침대(522)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면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홈(5221)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슬라이딩 패드(523)는, 슬라이딩홈(5221)에 연결 설치되어 슬라이딩 이동을 할 수 있도록 하측에 슬라이딩동기(5231)를 구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제1 스탠드(520)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에 위치하는 받침판(640)이이 하강함에 따라 받침판(640)을 지지하는 슬라이딩 패드(523)는 해당 위치를 유지하는 반면, 상대적인 움직임을 위해 받침대(522)가 외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을 하면서 지지바아(521)에 연결 설치된 하부가 회동하면서 구동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제1 스탠드(520)는, 제2 스탠드(530)에 동일하게 적용이 가능한 바, 중복 설명을 피하기 위해 제2 스탠드(530)의 구성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4주식 차량 정비용 리프트
100: 지주부
200: 승강부
300: 차량 지지부
400: 탄성 지지부
500: 탄성 지지대
600: 보조 승강부

Claims (2)

  1.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4 개의 지주부;
    전단에 위치하는 두 개의 지주부 사이 및 후단에 위치하는 두 개의 지주부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승하강 하는 두 개의 승강부;
    차량의 일측 및 다른 일측 바퀴가 탑승할 수 있도록 상기 두 개의 승강부 사이에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두 개의 차량 지지부; 및
    상기 두 개의 차량 지지부 사이에 적어도 하나 설치되며, 상기 차량 지지부로부터 차량을 승강시켜 주는 보조 승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두 개의 차량 지지부의 전단에 각각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차량이 상기 차량 지지부로 올라가기 위한 경사면을 형성하는 두 개의 진입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진입판은, 후단이 상기 차량 지지부의 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차량 지지부가 승강함에 따라 전단이 바닥면을 따라 하측 방향으로 회동하고, 상기 차량 지지부가 하강함에 따라 전단이 바닥면과 만나면 바닥면을 따라 상측 방향으로 회동하며, 바닥면과의 마찰력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바닥면과 만나는 전단을 따라 회전롤러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보조 승강부는, 상기 두 개의 차량 지지부 사이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어 다른 보조 승강부와의 간격이 조절되며,
    상기 보조 승강부는, 상기 두 개의 차량 지지부 사이에 설치되는 지지대; "X" 형태로 절첩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대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어 차량의 하부를 받치는 받침판; 및 상기 제1 프레임 또는 상기 제2 프레임에 연결 설치되며, 신장 또는 수축됨에 따라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의 연결 각도를 조절하여 상기 받침판을 승강 또는 하강시켜 주는 유압잭;을 포함하며,
    상기 보조 승강부는, 상기 받침판의 상부 일측 및 다른 일측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차량을 지지하는 탄성 지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탄성 지지부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차량을 지지하는 상판; 상기 받침판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상판의 하측에 이격되어 설치되며,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며, 상부가 상기 케이스의 상측으로 노출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상판을 지지하는 상판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판 지지부는, 상기 상판의 중심을 지지하며, 상기 상판이 하강함에 따라 내부 공간에 담긴 충전액을 상기 상판의 각 모서리의 하측에 각각 설치되는 제2 지지부로 공급하는 제1 지지부; 및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상판의 모서리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하며, 상기 상판이 하강함에 따라 상기 제1 지지부로부터 공급되는 충전액에 의해 상하 방향의 이동이 제동되는 상기 제2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지지부는, 상기 상판의 하측면의 중심에 설치되며, 구형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제1 회동 체결부; 상기 제1 회동 체결부의 내부 공간의 형태에 대응하는 구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회동 체결부의 내부 공간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1 연결 볼; 상기 제1 연결 볼의 하부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1 연결 볼을 지지하는 제1 지지 바아;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며, 밀폐된 내부 공간에 충전액이 수용되며, 상기 제1 지지 바아의 하부가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며, 상기 상판이 하강할 경우 상기 제1 지지 바아의 하부가 내부 공간의 상측으로부터 하강함에 따라 충전액이 압착되어 상기 제2 지지부로 공급되는 충전액 탱크; 및 상기 충전액 탱크의 하부로부터 상기 제2 지지부까지 연장 형성되어 충전액이 흐르는 통로를 형성하는 연결관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상판의 하측면의 모서리에 설치되며, 구형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제2 회동 체결부; 상기 제2 회동 체결부의 내부 공간의 형태에 대응하는 구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 회동 체결부의 내부 공간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2 연결 볼; 상기 제2 연결 볼의 하부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2 연결 볼을 지지하는 제2 지지 바아; 상기 제2 지지 바아의 하측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제2 지지 바아를 지지하는 탄성 지지부; 및 상하 방향으로 관통홀을 형성하는 원형의 튜브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관통홀에 상기 제2 지지 바아가 삽입되며, 상기 상판이 하강할 경우 상기 연결관을 통해 충전액이 내부 공간으로 공급되어 팽창함에 따라 상기 관통홀의 크기가 줄어들어 상기 제2 지지 바아가 움직이지 못하도록 체결하는 승하강 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승하강 조절부는, 충전액이 내부 공간으로 공급됨에 따라 상기 관통홀이 위치하는 내측 방향으로 팽창될 수 있도록 외측벽이 경질의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지지 바아와 대향하는 내측이 팽창 또는 수축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는, 4주식 차량 정비용 리프트.
  2. 삭제
KR1020190083522A 2019-07-11 2019-07-11 4주식 차량 정비용 리프트 KR1020399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3522A KR102039937B1 (ko) 2019-07-11 2019-07-11 4주식 차량 정비용 리프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3522A KR102039937B1 (ko) 2019-07-11 2019-07-11 4주식 차량 정비용 리프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9937B1 true KR102039937B1 (ko) 2019-11-04

Family

ID=685785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3522A KR102039937B1 (ko) 2019-07-11 2019-07-11 4주식 차량 정비용 리프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993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7552A (ko) * 2019-07-12 2021-01-20 이진현 안전 기능이 향상된 4주식 차량 정비용 리프트
CN115010048A (zh) * 2022-05-30 2022-09-06 安徽佳航智能设备有限公司 一种汽车自动举升装置及控制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7651U (ko) * 1999-02-10 1999-05-25 박영수 차량용리프트
KR200247360Y1 (ko) 2001-06-08 2001-10-26 진을천 차량정비용 리프트
KR200297479Y1 (ko) 2002-08-07 2002-12-12 이승균 차량정비용 리프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7651U (ko) * 1999-02-10 1999-05-25 박영수 차량용리프트
KR200247360Y1 (ko) 2001-06-08 2001-10-26 진을천 차량정비용 리프트
KR200297479Y1 (ko) 2002-08-07 2002-12-12 이승균 차량정비용 리프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7552A (ko) * 2019-07-12 2021-01-20 이진현 안전 기능이 향상된 4주식 차량 정비용 리프트
KR102206873B1 (ko) 2019-07-12 2021-01-25 이진현 안전 기능이 향상된 4주식 차량 정비용 리프트
CN115010048A (zh) * 2022-05-30 2022-09-06 安徽佳航智能设备有限公司 一种汽车自动举升装置及控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9937B1 (ko) 4주식 차량 정비용 리프트
KR102027851B1 (ko) 태양광패널 및 그 시공방법
KR102031259B1 (ko) 정면기
KR102041801B1 (ko) 중자 제조 장치용 코어성형 장치
KR102027839B1 (ko) 청소장치가 구비된 태양광패널
KR102032996B1 (ko) 절단 가공 장치
KR102033890B1 (ko) 폐유 수거 차량용 무게 측정 장치
KR102016894B1 (ko) 센서 검교정 시스템
KR102065458B1 (ko) 인테리어 시공방법
KR102021340B1 (ko) 약품 박스 이송 시스템
KR102020871B1 (ko) 오토바이 보관 창고 시스템
KR102055445B1 (ko) 고정용 지그
KR102034465B1 (ko) 도금 장치
KR102029418B1 (ko) 복합소재 데크로드 시스템
KR102053859B1 (ko) 선조립형 건설구조물
KR102009862B1 (ko) 자동차부품 보관 창고 시스템
KR102010578B1 (ko) 자재 보관 창고 시스템
KR102013352B1 (ko) 드론 및 해상용 안전 착지 장치
KR102041806B1 (ko) 중자 제조 장치용 이송 장치
KR102102415B1 (ko) 높이 조절부재를 구비한 건설구조물
KR102031247B1 (ko) 관통부 내화 충전 구조
KR102037355B1 (ko) 언코일러
KR102037198B1 (ko) 프로브 카드 검사 장치
KR102058118B1 (ko) 미끄럼 방지 기능이 구비되고, 미생물을 함유한 데크로드 시스템
KR102011316B1 (ko) 표면 연마 가공을 위한 트림 부스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