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1316B1 - 표면 연마 가공을 위한 트림 부스 시스템 - Google Patents

표면 연마 가공을 위한 트림 부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1316B1
KR102011316B1 KR1020190061559A KR20190061559A KR102011316B1 KR 102011316 B1 KR102011316 B1 KR 102011316B1 KR 1020190061559 A KR1020190061559 A KR 1020190061559A KR 20190061559 A KR20190061559 A KR 20190061559A KR 102011316 B1 KR102011316 B1 KR 1020113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upport
plate
shape
tri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15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한기
Original Assignee
김한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한기 filed Critical 김한기
Priority to KR10201900615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13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13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13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55/00Safety devices for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Accessories fitted to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 B24B55/06Dust extraction equipment on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1/00Component parts such as frames, beds, carriages, headstocks
    • B24B41/06Work supports, e.g. adjustable steadies
    • B24B41/065Steady re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1/00Component parts such as frames, beds, carriages, headstocks
    • B24B41/06Work supports, e.g. adjustable steadies
    • B24B41/068Table-like supports for panels, sheet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6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 B66F7/065Scissor linkages, i.e. X-configu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마작업 시 발생되는 다량의 먼지가 작업장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줄일 수 있도록 구현된 표면 연마 가공을 위한 트림 부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밀폐된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트림 부스; 상기 트림 부스의 후단 벽면에 설치되며, 표면 연마 가공에 따라 발생되는 먼지를 빨아들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집진기; 및 상기 트림 부스의 전단 벽면에 형성되는 개구부에 상기 개구부를 개폐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도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표면 연마 가공을 위한 트림 부스 시스템{ADVERTISING SYSTEM AND METHOD USING CUSTOMER INFORMATION BASED ON THE POINT REWARD SERVICE}
본 발명은 표면 연마 가공을 위한 트림 부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연마작업 시 발생되는 다량의 먼지가 작업장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줄일 수 있도록 구현된 표면 연마 가공을 위한 트림 부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차체, 문짝, 보닛, 트렁크 등의 일부분이 찌그러지거나 파손되면 이를 판금 작업 또는 덴트 공정 등을 거쳐 원 상태로 복원함과 동시에 복원된 부위에 도장작업을 실시하게 된다.
이때, 도장작업을 위한 전처리작업으로 연마기를 이용하여 연마작업을 하게 되고, 연마작업 시 다량의 먼지가 비산되어 대기오염을 유발할 수 있으며, 연마작업 후 도장작업 시 공기중에 도료가 확산되어 작업자의 건강을 해치거나, 대기오염을 유발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먼지나 도료 입자를 강제적으로 배출하기 위한 도장부스가 이용되고 있고, 자연 급기 강제 배기형과 강제 급기 강제 배기형 등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도장의 효과를 만족시키기 위해서 도장부스의 온도, 습도 및 압력 등의 환경 조건을 최적의 상태로 관리하고 있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등록특허 제10-1320087호 한국등록특허 제10-0934999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피가공물의 연마 공정에 따라 발생되는 먼지가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밀폐 공간을 형성하고, 일측 벽면에 다수의 집진기를 설치하여 발생되는 먼지를 신속하게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현된 표면 연마 가공을 위한 트림 부스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표지판 부착시 충분한 두께 및 고르기를 가지고 도포될 수 있으며, 악취 및 세균 발생을 저하시킬 수 있는 접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면 연마 가공을 위한 트림 부스 시스템은, 표면 연마 가공에 따라 발생되는 먼지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밀폐된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트림 부스; 상기 트림 부스의 후단 벽면에 설치되며, 표면 연마 가공에 따라 발생되는 먼지를 빨아들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집진기; 및 상기 트림 부스의 전단 벽면에 형성되는 개구부에 상기 개구부를 개폐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도어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표면 연마 가공이 필요한 피가공물을 상측에 적재시키며, 적재된 피가공물을 승강시켜 주거나 하강시켜 주는 피가공물 이동선반을 더 포함하며, 상기 피가공물 이동선반은, 상측면에 피가공물을 적재시키는 상판; 상기 상판의 하측에 이격되어 배치되는 하판; 및 상기 상판의 일측과 상기 하판의 일측 사이와 상기 상판의 다른 일측과 상기 하판의 다른 일측 사이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상판을 승강시켜 주거나 하강시켜 주는 승강부를 포함하며, 상기 승강부는, 상기 상판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의 하측을 지지하는 제1 상부 지지부, 및 "ㄱ" 형태로 형성되어 하부가 상기 제1 상부 지지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회동하여 상기 상판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을 체결하는 제2 상부 지지부를 포함하는 상판 체결부; 상기 하판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의 상측에 안착되는 구동부; 하부가 상기 구동부의 상부 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상부가 상기 상판 체결부의 하부 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1 교차 프레임, 및 하부가 상기 구동부의 상부 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상부가 상기 상판 체결부의 하부 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2 교차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교차 프레임과 상기 제2 교차 프레임이 "X" 형태로 교차되어 상기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상기 제1 교차 프레임 또는 상기 제2 교차 프레임의 하측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상판을 승강시켜 주거나 하강시켜 주는 구동 프레임; 및 "ㄴ" 형태로 형성되어 상부가 상기 구동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회동하여 상기 하판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을 체결하며, 하측에 이동을 위한 바퀴를 구비하는 하판 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는, 전후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박스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1 교차 프레임 또는 상기 제2 교차 프레임의 하부가 삽입되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구동홈이 전단 및 후단에 형성되며, 상기 하판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의 상측에 안착되는 안착부; 상기 안착부의 전단에 형성되는 상기 구동홈의 후단에 설치되며, 직선 왕복 운동을 위해 구비된 피스톤의 전단에 상기 제1 교차 프레임의 하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1 직선 운동부; 및 상기 제1 직선 운동부와 대칭구조로 상기 안착부의 후단에 형성되는 상기 구동홈의 전단에 설치되며, 직선 왕복 운동을 위해 구비된 피스톤의 후단에 상기 제2 교차 프레임의 하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2 직선 운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직선 운동부 또는 상기 제2 직선 운동부는, 상기 구동홈의 단면의 형태에 대응하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는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전단 또는 후단에 좌우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공간을 형성하여 해당 공간에 상기 제1 교차 프레임 또는 상기 제2 교차 프레임의 하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도록 하는 원판 형태의 두 개의 회동 원판을 구비하는 회동 연결부가 상기 피스톤의 전단 또는 후단에 형성되며, 상기 트림 부스의 바닥에 설치되며,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회전하면서 승강 또는 하강하면서 상측에 안착된 피가공물 또는 상기 피가공물 이동선반을 회전시키면서 승강 또는 하강시켜 주는 회전 승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회전 승강부는, 상기 트림 부스의 바닥에 원통 형태로 함몰 형성되는 원통형 구덩이; 상기 원통형 구덩이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상하 직선 왕복 운동 및 회전 운동을 수행하는 상하 구동부; 및 상기 원통형 구덩이의 형태에 대응하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상하 구동부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측면에 피가공물 또는 상기 피가공물 이동선반을 안착시키고, 상기 상하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상기 원통형 구덩이를 따라 상하 방향의 직선 운동을 하거나 회전 운동을 수행하는 승하강 스테이지를 포함하며, 상기 승하강 스테이지는, 하측으로 개방된 원통 형태의 내부 공간을 형성되며, 상기 상하 구동부의 상측에 형성되는 원반 형태의 안착부가 상기 내부 공간의 천장면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 승강부는, 상기 원통형 구덩이의 바닥면의 테두리를 따라 서로 이격되어 다수 개가 설치되며, 상기 승하강 스테이지가 낙하하는 경우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하는 탄성 지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탄성 지지부는, 상기 승하강 스테이지가 낙하할 경우 상기 승하강 스테이지를 지지하는 받침 프레임; 상측에 안착된 상기 받침 프레임을 지지하는 네 개의 받침 플레이트; 상기 네 개의 받침 플레이트의 각각의 하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1 프레임 및 제2 프레임을 포함하는 네 쌍의 지지 프레임; 및 사각 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원통형 구덩이의 바닥면에 설치되며, 상기 제1 프레임이 상측면에 회동 및 수평 방향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상기 제2 프레임이 일 측면에 회동 및 수직 방향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지지 기둥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 기둥은, 사각 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기둥 바디; 상기 기둥 바디의 상부에 "+"형태로 함몰 형성되는 십자홈; 상기 십자홈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십자홈에 삽입되며, 네 개의 가지의 말단 상부에 상기 제1 프레임의 하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십자 탄성부; 상기 기둥 바디의 각 면에 상하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네 개의 수직홈; 및 상기 수직홈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수직홈에 각각 삽입되며, 상부 외측에 상기 제2 프레임의 하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네 개의 수직 탄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피가공물의 연마 공정에 따라 발생되는 먼지가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밀폐 공간을 형성하고, 일측 벽면에 다수의 집진기를 설치하여 발생되는 먼지를 신속하게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작업 시 발생되는 다량의 먼지 또는 도료 입자 등이 비산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표지판 부착시 친위생적이면서도 접착성이 우수한 접착제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면 연마 가공을 위한 트림 부스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피가공물 이동선반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승강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상판 체결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8은 도 3의 구동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승강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회전 승강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의 탄성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 및 도 14는 도 12의 지지 기둥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5는 도 13의 십자 탄성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6은 도 14의 수직 탄성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착제 조성물에 의해 부착된 표지판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면 연마 가공을 위한 트림 부스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면 연마 가공을 위한 트림 부스 시스템(10)은, 트림 부스(100), 집진기(210) 및 도어(220)를 포함한다.
트림 부스(100)는, 피가공물(1)의 표면 연마 가공에 따라 발생되는 먼지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밀폐된 내부 공간을 형성하며, 후단 벽면에 집진기(210)가 설치되고, 전단 벽면에 피가공물(1) 또는 작업자의 출입을 위한 슬라이딩 형식의 도어(220)가 설치된다.
집진기(210)는, 트림 부스(100)의 후단 벽면에 설치되며, 표면 연마 가공에 따라 발생되는 먼지를 빨아들여 외부로 배출시킨다.
일 실시예에서, 집진기(210)는, 배기 후드 형식으로 트림 부스(100)의 내부에 비산되는 먼지 또는 도료 입자 등을 효율적으로 배기시키기 위하여 설치되는 면의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강제 배기시키는 것은 자명할 것이다.
또한, 집진기(210)는, 종래에 사용되는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고, 크기는 트림 부스(100)의 전체 크기를 고려하여 당업자의 판단에 의해 변경실시 가능함은 자명할 것이다.
도어(220)는, 트림 부스(100)의 전단 벽면에 형성되는 개구부에 개구부를 좌우 방향 슬라이딩 이동 방식에 따라 개폐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표면 연마 가공을 위한 트림 부스 시스템(10)은, 다수의 조명장치(240), 송풍기(230) 및 피가공물 이동선반(3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조명장치(240)는, LED 등과 같은 발광 장치로 형성되며, 트림 부스(100)의 천정을 따라 다른 조명장치(240)와 이격되어 다수 개가 설치되어 작업자의 피가공물(1)의 연마 작업시 음영부분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여러 방향으로부터 피가공물(1)로 빛을 조사한다.
송풍기(230)는, 상용의 대형 선풍기 등으로 형성되며, 연마 작업 중인 피가공물(1) 방향으로 바람을 불어 발생되는 먼지 등을 집진기(210) 방향으로 불어서 집진기(210)에 의한 먼지 흡입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보조한다.
피가공물 이동선반(300)은, 표면 연마 가공이 필요한 피가공물(1)을 상측에 적재시키며, 적재된 피가공물(1)을 승강시켜 주거나 하강시켜 준다.
도 2는 도 4의 다기능 운반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피가공물 이동선반(300)는, 상판(310), 하판(320) 및 승강부(400)를 포함한다.
상판(310)은, 피가공물(1)을 적재시키며, 양측에 설치되는 승강부(400)에 의하여 하판(320)의 상측에 이격되어 설치되며, 승강부(400)의 구동에 따라 하판(320)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승강되거나 하판(320) 방향으로 하강된다.
즉, 상판(310)은, 그 높이가 고정되는 하판(320)과는 달리, 작업자의 작업 필요성에 대응하여 높낮이가 자유롭게 조절될 수 있는 선반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하판(320)은, 양측에 설치되는 승강부(400)에 의하여 상측에 상판(310)이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판(310)과의 사이 공간을 형성하여 추가적인 물건을 적재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즉, 기존의 승하강 기능을 구비한 선반의 경우에는, 승하강 구동장치가 하판의 일반적으로 설치되어 상판의 상측에만 물건을 안착시킬 수 있었던 것에 반하여, 반 발명에서는 상판(310)의 상측뿐만 아니라, 하판(320)의 상측에도 공간을 형성하여 추가적인 적재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승강부(400)는, 상판(310)의 일측과 하판(320)의 일측 사이와 상판(310)의 다른 일측과 하판(320)의 다른 일측 사이에 각각 연결 설치되며,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상판(310)을 승강시켜 주거나 하강시켜 줌으로써, 피가공물(1)을 사용자의 연마작업에 최적으로 높이로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승강부(40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착탈이 가능한 형태로 제작됨으로써, 상판(310) 및 하판(320) 중 하나의 판이 파손되는 등으로 인하여 교체가 필요로 하는 경우 해당 판만을 분리한 후 새로운 판을 체결함으로써 지속적인 장비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승강부(400)는, 기존의 일체형 구동장치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착탈식의 모듈형 구동장치로서, 장비의 유지/보수 측면에서 보다 경제적인 장비의 운용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도 3은 도 2의 승강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승강부(400)는, 상판 체결부(410), 구동부(420), 구동 프레임(430) 및 하판 체결부(440)를 포함한다.
상판 체결부(410)는, 상판(310)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의 하측을 지지하는 제1 상부 지지부(411), 및 "ㄱ" 형태로 형성되어 하부가 제1 상부 지지부(411)에 힌지부(414)에 의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회동하여 상판(310)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을 체결하는 제2 상부 지지부(412)를 포함한다.
도 4는 도 3의 상판 체결부(410)를 보여주는 도면으로, 도 4를 참조하면 상판 체결부(410)는, 하측 전단 및 후단에 제1 교차 프레임(431) 또는 제2 교차 프레임(432)의 상부를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하기 위한 회동 연결부(413)을 형성한다.
구동부(420)는, 하판(320)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의 상측에 안착되고, 상부 전단 및 후단에 제1 교차 프레임(431) 또는 제2 교차 프레임(432)의 하부가 회동 및 전후 방향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하측에 하판 체결부(440)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구동 프레임(430)은, 하부가 구동부(420)의 상부 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상부가 상판 체결부(410)의 하부 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1 교차 프레임(431), 및 하부가 구동부(420)의 상부 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상부가 상판 체결부(410)의 하부 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1 교차 프레임(431)을 포함한다.
그리고, 제1 교차 프레임(431)과 제2 교차 프레임(43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 부분이 "X" 형태로 교차 연결되어 구동부(420)의 구동에 의해 제1 교차 프레임(431) 또는 제2 교차 프레임(432)의 하측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판(310)을 승강시켜 주거나 하강시켜 준다.
즉, 제1 교차 프레임(431)과 제2 교차 프레임(432)의 하측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함에 따라 상판(310)은 상측 방향으로 승강하게 되고, 제1 교차 프레임(431)과 제2 교차 프레임(432)의 하측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함에 따라 상판(310)은 하측 방향으로 하강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제1 교차 프레임(431)과 제2 교차 프레임(432)가 서로 "X" 자 형태로 교차된 상태에서도 상판(310)을 승강 또는 하강시켜 줄 수 있도록, 제1 교차 프레임(431)에는 길이 방향의 슬라이딩 홈(4311)이 형성되고, 제2 교차 프레임(432)에는 슬라이딩 홈(431)에 체결된 상태에서 슬라이딩 이동 및 회동하기 위한 체결돌기(4321)가 형성될 수 있다.
하판 체결부(440)는, "ㄴ" 형태로 형성되어 상부가 구동부(420)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회동하여 하판(320)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을 체결하며, 하측에 이동을 위한 바퀴(441)를 구비한다(도 5 참조).
일 실시예에서, 하판 체결부(44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420)의 하측에 서로 분리된 형태로 형성되거나, 일체의 바디를 형성하고 전단 및 후단의 하측에 각각 바퀴(441)를 구비하는 일체형 바디 형태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도 5 내지 도 8은 도 3의 구동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구동부(420)는, 안착부(421), 제1 직선 운동부(422) 및 제2 직선 운동부(423)를 포함한다.
안착부(421)는, 전후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측이 개방된 박스 형태로 형성되며, 제1 교차 프레임(431) 또는 제2 교차 프레임(432)의 하부가 삽입되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구동홈(421a, 421b)이 전단 및 후단에 형성되며, 하판(320)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의 상측에 안착된 후 하판 체결부(440)에 의하여 하판(320)에 체결된다.
즉, 안착부(421)는, 하판 체결부(440)의 회동에 따라 하판(320)과 체결되거나 분리되는 착탈식 구조를 형성하는 것이다.
제1 직선 운동부(422)는, 안착부(421)의 전단에 형성되는 구동홈(421a)의 후단에 설치되며, 직선 왕복 운동을 위해 구비된 피스톤(422a)(도15 참조)의 전단에 제1 교차 프레임(431)의 하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다만, 제1 직선 운동부(422)는, 직선 왕복 운동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이면 유압 실린더 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명칭에 구애됨이 없이 모두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제2 직선 운동부(423)는, 제1 직선 운동부(422)와 대칭구조로 안착부(421)의 후단에 형성되는 구동홈(421b)의 전단에 설치되며, 직선 왕복 운동을 위해 구비된 피스톤(423a)의 후단에 제2 교차 프레임(432)의 하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직선 운동부(422) 또는 제2 직선 운동부(423)는, 구동홈(421a, 421b)의 단면의 형태에 대응하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는 지지 플레이트(424a), 및 지지 플레이트(424a)의 전단 또는 후단에 좌우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공간을 형성하여 해당 공간에 제1 교차 프레임(431) 또는 제2 교차 프레임(432)의 하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도록 하는 원판 형태의 두 개의 회동 원판(424b)을 구비하는 회동 연결부(424)가 피스톤(422a)의 전단(즉, 제1 직선 운동부(422)의 경우) 또는 후단(즉, 제2 직선 운동부(423)의 경우)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두 개의 회동 원판(424b)의 사이의 공간(424d)에 제1 교차 프레임(431)이 삽입된 뒤 고정 핀 등의 체결 수단에 의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그리고, 회동 연결부(424)는, 지지 플레이트(424a)가 바로 피스톤(422a)에 체결되는 대신에, 회동 연결부(424)의 불량에 따른 교체를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지지 플레이트(424a)의 후단에 피스톤(422a)을 삽입하여 체결할 수 있는 전후 방향의 체결홈을 형성하는 체결부(424c)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직선 운동부(422)는,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한 실린더로 구동력을 발생시켜 피스톤(422a)을 실린더로부터 신장시키거나 수축시킴에 따른 전후 방향 왕복 직선 운동을 이용하여 제1 교차 프레임(431)을 구동홈(421a)에서 슬라이딩 이동을 수행하도록 구동시킬 수 있다(도 8 참조).
여기서, 제2 직선 운동부(423)는, 제1 직선 운동부(422)와 대칭형 구조로서 그 구성 및 기능이 동일하여 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표면 연마 가공을 위한 트림 부스 시스템(1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회전 승강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회전 승강부(600)는, 트림 부스(100)의 바닥에 설치되며,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회전하면서 승강 또는 하강하면서 상측에 안착된 피가공물(1) 또는 피가공물 이동선반(300)을 회전시키면서 승강 또는 하강시켜 준다.
도 10은 도 9의 회전 승강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회전 승강부(600)는, 원통형 구덩이(610), 상하 구동부(620) 및 승하강 스테이지(630)를 포함한다.
원통형 구덩이(610)는, 트림 부스(100)의 바닥에 원통 형태로 함몰 형성되어, 승하강 스테이지(630)가 하강하면서 삽입되고 승강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한다.
상하 구동부(620)는, 유압 피스톤 등과 같은 직원 왕복운동을 수행할 수 있는 구동장치로 형성되며, 원통형 구덩이(610)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상하 직선 왕복 운동 및 회전 운동을 수행하며, 상측에 형성된 안착부(621)의 상측에 승하강 스테이지(630)가 설치된다.
승하강 스테이지(630)는, 원통형 구덩이(610)의 형태에 대응하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상하 구동부(620)의 상측, 즉 안착부(621)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측면에 피가공물(1) 또는 피가공물 이동선반(300)을 안착시키고, 상하 구동부(620)의 구동에 의해 원통형 구덩이(610)를 따라 상하 방향의 직선 운동을 하거나 회전 운동을 수행한다.
일 실시예에서, 승하강 스테이지(630)는, 하측으로 개방된 원통 형태의 내부 공간(631)을 형성되어 원통형 구덩이(610)를 따라 하강하면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구동부(620)가 내부 공간(631)으로 삽입되어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되도록 하고, 상하 구동부(620)의 상측에 형성되는 원반 형태의 안착부(621)가 내부 공간의 천장면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회전 승강부(60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탄성 지지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탄성 지지부(50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 구덩이(610)의 바닥면(611)의 테두리를 따라 서로 이격되어 다수 개가 설치되며, 승하강 스테이지(630)가 낙하하는 경우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한다.
도 12는 도 11의 탄성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탄성 지지부(500)는, 받침 프레임(540), 네 개의 받침 플레이트(510), 네 쌍의 지지 프레임(520) 및 지지 기둥(530)을 포함한다.
받침 프레임(540)은, 하측에 설치된 받침 플레이트(510)에 의하여 지지되며, 승하강 스테이지(630)가 낙하할 경우 승하강 스테이지(630)를 지지한다.
받침 플레이트(510)는, 상측에 안착된 받침 프레임(540)을 지지하며, 하측에 연결 설치된 지지 프레임(520)에 의하여 지지 기둥(530)에서 지지된다.
즉, 받침 플레이트(510)는, 상측에 받침 프레임(540)을 안착시키게 되고, 받침 프레임(540)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 등에 대응하여 탄성력에 의하여 좌우 방향(즉, 제1 프레임(521a)) 또는 상하 방향(즉, 제2 프레임(521b))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게 되는 지지 프레임(520)에 의하여 흡수되도록 함으로써 진동 또는 충격을 감쇄시키게 되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제1 프레임(521a) 또는 제2 프레임(521b)의 길이를 다양하게 형성시킴으로써, 단순히 상하 방향의 높이만을 조절하여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는 기존의 탄성체의 한계를 극복하여 받침 플레이트(510)에 의한 지지 위치를 상하 방향뿐만 아니라 좌우 방향으로도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지지 프레임(520)은, 네 개의 받침 플레이트(510)의 각각의 하부에 제1 프레임(521a) 및 제2 프레임(521b)의 두 개의 프레임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플레이트(510)를 지지하고,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프레임(521a) 또는 제2 프레임(521b)의 길이를 조절하여 플레이트(510)에 의한 받침 프레임(540)의 지지 위치를 결정한다.
이때, 제1 프레임(521a) 및 제2 프레임(521b)의 상부는 받침 플레이트(510)의 하부에 연결 설치되고, 제1 프레임(521a)의 하부는 지지 기둥(530)의 상측면에 회동 및 수평 방향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제2 프레임(521b)의 하부는 지지 기둥(530)의 일 측면에 회동 및 수직 방향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즉, 제1 프레임(521a) 또는 제2 프레임(521b)은, 지지 기둥(530)의 상측면 또는 일측면에서 탄성력에 의한 회동 또는 슬라이딩 이동을 통하여 받침 플레이트(510)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지지 기둥(530)으로 전달하게 된다.
지지 기둥(530)은, 사각 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원통형 구덩이(610)의 바닥면에 설치되며, 제1 프레임(521a)의 하부가 상측면에 회동 및 수평 방향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제2 프레임(521b)의 하부가 일 측면에 회동 및 수직 방향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하며, 제1 프레임(521a) 또는 제2 프레임(521b)의 슬라이딩 이동 시 탄성력(즉, 십자 탄성부(533) 또는 수직 탄성부(535))을 통해 진동 또는 충격을 흡수시킨다.
각각의 받침 플레이트(510) 또는 지지 프레임(520)는, 서로 대칭 구조로서 동일한 방법에 의하여 구동되는 바, 상술한 바와 같은 일 받침 플레이트(510) 또는 일 지지 프레임(520)에 관하여 기술한 내용은 다른 받침 플레이트(510) 또는 다른 지지 프레임(520)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바, 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탄성 지지부(500)는, 상하 대칭 구조로도 형성될 수 있는 바, 도 12의 경우에는 지지 기둥(530)의 상부에만 각각의 구성이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상술한 바와 같은 네 개의 받침 플레이트(510) 및 네 쌍의 지지 프레임(520)과 관련된 구성은 지지 기둥(530)의 하부에 동일하게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도 13 및 도 14는 도 12의 지지 기둥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지지 기둥(530)은, 기둥 바디(531), 십자홈(532), 십자 탄성부(533), 네 개의 수직홈(534)(도 14 참조) 및 네 개의 수직 탄성부(535) (도 14 참조)를 포함한다.
기둥 바디(531)는, 사각 기둥 형태로 형성되고, 상부에 십자홈(532)이 형성되며, 각 측면에 수직홈(534)이 형성된다.
십자홈(532)은, 기둥 바디(531)의 상부에 "+"형태로 함몰 형성되고, 내부 공간에 십자 탄성부(533)가 삽입 설치된다.
십자 탄성부(533)는, 십자홈(532)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십자홈(532)에 삽입되며, 네 개의 가지의 말단 상부에 제1 프레임(521a)의 하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제1 프레임(521a)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흡수시켜 진동 또는 충격을 감쇄시킨다.
수직홈(534)은, 기둥 바디(531)의 각 면에 상하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고, 내부 공간에 수직 탄성부(535)가 삽입 설치된다.
수직 탄성부(535)는, 수직홈(534)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수직홈(534)에 삽입되며, 상부 외측에 제2 프레임(521b)의 하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제2 프레임(521b)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흡수시켜 진동 또는 충격을 감쇄시킨다.
도 15는 도 13의 십자 탄성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십자 탄성부(533)는, 십자 케이스부(5331), 상부 지지부(5332), 네 개의 상부 탄성부(5333), 네 개의 상부 탄성 지지부(5334) 및 네 개의 상부 연결 링크부(5335)를 포함한다.
십자 케이스부(5331)는, 내부 공간이 빈 "+" 형태로 형성되어 십자홈(532)에 삽입 설치되고, 내부 공간에 후술하는 상부 지지부(5332), 네 개의 상부 탄성부(5333), 네 개의 상부 탄성 지지부(5334)가 설치된다.
이때, 십자 케이스부(5331)의 각 가지의 길이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십자홈(532)의 각 가지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됨으로써, 십자 케이스부(5331)의 외측에 형성되는 공간에 상부 연결 링크부(5335)가 배치되고 슬라이딩 이동을 위한 공간을 형상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상부 지지부(5332)는, 정육면체로 형성되며, 십자 케이스부(5331)의 중심 부분에 배치되고, 각 4면의 외측에 상부 탄성부(5333)가 배치되도록 하고 상부 탄성부(5333)를 지지하게 된다.
상부 탄성부(5333)는, 상부 지지부(5332)의 각 측면에 배치되어 상부 탄성 지지부(5334)를 탄성력에 의하여 지지함으로써, 상부 탄성 지지부(5334)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 등을 흡수하게 된다.
상부 탄성 지지부(5334)는, 십자 케이스부(5331)의 내부 공간의 각 가지의 말단에 각각 배치되며, 상부 탄성부(5333)의 탄성력에 의하여 지지되고, 상부 연결 링크부(5335) 사이에 설치된 지지 바아(5336)에 의하여 상부 연결 링크부(5335)를 지지한다.
상부 연결 링크부(5335)는, 십자홈(532)의 각 가지의 말단에 각각 배치되고, 십자 케이스부(5331)와 대향하는 일 측면과 상부 탄성 지지부(5334) 사이에 설치되는 지지 바아(5336)에 의하여 기 설정된 간격으로 유지되고, 상부에 제1 프레임(521a)의 하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플레이트(510)의 상하 방향의 이동에 따라 십자홈(532)의 각각의 가지가 만나는 중심 방향으로 십자홈(532)의 홈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한다.
도 16은 도 14의 수직 탄성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수직 탄성부(535)는, 수직 케이스부(5341), 측면 지지부(5342), 측면 탄성부(5343), 측면 탄성 지지부(5344) 및 측면 연결 링크부(5345)를 포함한다.
수직 케이스부(5341)는, 내부 공간이 빈 수직홈(534)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 공간의 하측으로부터 측면 지지부(5342), 측면 탄성부(5343) 및 측면 탄성 지지부(5344)가 순서대로 설치된다.
측면 지지부(5342)는, 정육면체로 형성되며, 수직 케이스부(5341)의 하부 공간에 배치되고, 상측에 측면 탄성부(5343)가 배치되어 측면 탄성부(5343)를 지지한다.
측면 탄성부(5343)는, 측면 지지부(5342)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측에 배치된 측면 탄성 지지부(5344)를 탄성력에 의하여 지지함으로써, 측면 탄성 지지부(5344)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 등을 흡수하게 된다.
측면 탄성 지지부(5344)는, 수직 케이스부(5341)의 내부 공간의 상측에 배치되며, 측면 탄성부(5343)의 탄성력에 의하여 지지되고, 측면 연결 링크부(5345) 사이에 설치된 지지 바아(5346에 의하여 측면 연결 링크부(5345)를 지지한다.
측면 연결 링크부(5345)는, 수직홈(534)의 상부 말단에 배치되고, 수직 케이스부(5341)와 대향하는 하측면과 측면 탄성 지지부(5344)의 상측면 사이에 설치되는 지지 바아(5346)에 의하여 기 설정된 간격으로 유지되고, 외측면에 제2 프레임(521b)의 하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수직홈(534)의 하측 방향으로 수직홈(534)의 홈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한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표면 연마 가공을 위한 트림 부스 시스템(10)은, 트림 부스(100)의 벽체에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은 표지판(250)을 부착하기 위한 접착제 조성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표지판(250)은, 도 17에 예시된 바와 같은 안내 표지판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합성수지 또는 철재 등으로 제작되어 트림 부스(100)의 외벽에 부착될 수 있는 평판형 물체이면 그 명칭에 구애됨이 없이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착제 조성물은, 표지판(250)을 트림 부스(100)에 부착시키기 위한 부착용 접착제 조성물로서, 열가소성 수지 40~80 중량부, 점착부여수지 5~40 중량부, 송진 1~5 중량부, 가소제 1~10 중량부, 충전재 1~10 중량부 및 산화방지제 0.1~1중량부를 포함한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조성물의 주성분으로서, 접착력과 응집력 등을 조절하는 기능을 한다. 비닐기 또는 수산화기를 포함하는 것이라면 그 종류가 크게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폴리비닐아세테이트, 폴리비닐알코올,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및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 대비 40~8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함량이 40 중량부 미만이면 용융 점도가 높아지고 용융 흐름 지수는 낮아져 작업성이 매우 떨어지게 되며, 함량이 80 중량부를 초과하면 원단에 바로 적용되기에 충분한 접착력을 발휘하기 어렵다.
상기 점착부여수지는 저분자량 수지로, 용융 점도를 낮추어 작업성을 향상시키며, 접착 초기 젖음성과 접착제의 피착재 표면에서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고, 고화시간 등의 조절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점착부여수지는 그 종류가 크게 제한되지 않으나, 석유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점착부여수지는 지방족 탄화수소 수지, 지환족 탄화수소 수지, 방향족 탄화수소 수지, 방향족에 의해 개질된 지방족 탄화수소 수지, 및 하이드로겐화 탄화수소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방족 탄화수소 수지는 상업적인 제품으로 코오롱유화사의 Hikorez A-1100, Hikorez A-1100S, Hikorez C-1100, Hikorez R-1100, Hikorez R-1100S 등이 있다. 또한, 지환족 탄화수소 수지로는 디사이클로펜타디엔(DCPD)을 단량체로 포함하는 탄화수소 수지 등이 있고, 방향족 탄화수소 수지는 상업적으로 코오롱유화사의 Hikotack P-110S, Hikotack P-120, Hikotack P-120HS, Hikotack P-120S, Hikotack P-140, Hikotack P-140M, Hikotack P-150, Hikotack P-160, Hikotack P-90, Hikotack P-90S, Hirenol PL-1000, Hirenol PL-400 등이 있다. 또한, 방향족에 의해 개질된 지방족 탄화수소 수지는 상업적으로 코오롱유화사의 Hikorez T-1080, Hikorez T-1100 등이 있다. 또한, 하이드로겐화 탄화수소 수지는 하이드로겐화 지방족 탄화수소 수지, 하이드로겐화 방향족 탄화수소 수지 등으로 세분화될 수 있으며, 상업적으로 코오롱유화사의 Sukorez D-300, Sukorez D-390, Sukorez SU-100, Sukorez SU-110, Sukorez SU-120, Sukorez SU-130, Sukorez SU-90 등이 있다.
상기 점착부여수지는 바람직하게는 단량체의 탄소 수가 4~10인 탄화수소 수지이며, 구체적으로 C5 지방족 수지, C9 방향족 수지, C5/C9 지방족/방향족 공중합 수지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점착부여수지는 보다 바람직하게 단량체로 디사이클로펜타디엔을 포함하는 하이드로겐화 탄화수소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상업적으로 코오롱유화사(한국)의 Sukorez D-300, Sukorez D-390, Sukorez SU-100, Sukorez SU-110, Sukorez SU-120, SukorezSU-130, Sukorez SU-90 등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접착제 조성물은 작업자가 트림 부스(100) 또는 표지판(250)에 도포시 작업자의 피부에 튈 경우 자극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앞서 설명한 다양한 석유수지에 생분해성 저자극 수지를 함께 혼합해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생분해성 저자극 수지는 생분해성 폴리머에 폴리머의 단량체를 용융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상기 생분해성 폴리머로는 폴리락트산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락트산은 유산의 축중합 도는 락티드의 개환중합에 의해 합성되는 폴리에스터로서 폴리아미드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중간 정도의 물성을 갖고 있으며, 주로 감자와 옥수수로부터 얻어지는 천연 식물성 당 성분을 원료로 하므로 생분해도가 높지만 일반적으로 경도가 높고, 탄성이 낮으며, 내구성이 떨어지는 특성이 있다.
상기 생분해성 폴리머에는 동일한 폴리머 단량체를 용융혼합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생분해성 폴리머는 단량체와 결합되면서 쇄절단이 부분적으로 발생되어 전체적으로 수평균분자량이 떨어진다. 상기 수평균분자량이 떨어지면서 점착제로 사용할 수 있는 물성을 나타내며 가공성이 높아지게 된다.
상기 폴리락트산 100 중량부에 대해, 상기 락트산 단량체는 20 내지 30 중량부를 혼합할 수 있다. 상기 단량체가 20중량부 미만으로 혼합되면, 수평균분자량이 높고 딱딱하여 점착제로 사용되기 어려우며, 상기 단량체가 40 중량부를 초과하면 표면에 마이그레이션이 발생하여 역시 점착제로 사용하기 어려울 수 있다.
상기 석유수지와 생분해성 저자극 수지의 혼합비율은 1~2:1(w/w)인 것이 바람직하며, 석유수지의 혼합비율이 너무 높은 경우 생분해성 저자극 효과가 나오기 힘들고, 저자극 수지의 혼합비율이 너무 높은 경우 경제성이 떨어지고 전체적인 점착 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점착부여수지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 대비 5~4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함량이 5 중량부 미만이면 점착부여 수지 첨가에 따른 용융 점도 저하 효과가 미비하고 그에 따른 용융 흐름 지수의 증가가 크지 않아 작업성이 만족할 만한 수준에 도달하지 못할 염려가 있고, 함량이 30 중량부를 초과하면 점착부여수지의 초과에 따른 용융흐름지수 증가율이 크지 않아 경제성이 떨어지고 상대적으로 열가소성 폴리머의 함량이 줄어들어 조성물의 전체적인 물성을 저하시킬 염려가 있다.
상기 송진은 접착제 조성물의 전체적인 접착력을 개선시키는 역할을 하며 인체에 무해하며 천연방부제 역할을 한다. 상기 송진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 대비 1~5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함량이 1 중량부 미만이면 접착력 개선 효과를 얻기 어려우며, 함량이 5 중량부를 초과하면 가공시에 점착력이 증대되어 제품으로의 가공이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가소제는 고분자에 유연성 및 접착성을 부여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가소제의 종류는 크게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솔비톨, 에틸렌글리콜, 글리세린, 글리세린디아세테이트, 및 펜타에리쓰리톨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소제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 대비 1~1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함량이 1 중량부 미만이면 가소제의 첨가에 따른 효과가 미비하고, 함량이 10 중량부를 초과하면 가소제의 과다 사용에 의해 경제성이 떨어질 수 있으며, 접착제의 전체적인 물성을 저하시킬 염려가 있다.
상기 충전재는 조성물의 보강 및 흐름성을 조절하기 위해 사용된다. 충전재의 종류는 크게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탄산칼슘, 점토, 벤토나이트, 또는 칼슘스테아레이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접착제 조성물은 표지판(250) 또는 트림 부스(100)의 부착면에 도포되는 것으로서, 적용 환경상 악취 및 세균이 발생하기 쉽다. 이에 본 발명은 접착제 조성물의 보강 및 흐름성을 조절하면서도 악취 및 세균발생을 저하시기키 위하여, 충전재로서 석분(stone powder)과 펄프 분말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석분은 입자의 치밀함으로 인하여 첨가제를 다량 사용하지 않아도 높은 강도를 구현할 수 있고, 주변 환경에 따른 부피 변형률이 낮아 온도 변화가 큰 경우에도 접착제의 갈라짐 현상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상기 석분은 황토석, 대리석, 맥반석, 화강석, 옥석 등 다양한 암석의 분말 형태가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항균성, 항곰팡이성, 자외선 방출 등 다양한 기능을 가지는 황토석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펄프 분말은 액체 성분들을 빨아들이면서 석분들을 응집하는 역할을 하며 성분들간 혼화성을 높이고 응집력을 향상시킨다. 이때, 상기 석분과 펄프 분말은 7:3~8:2(w/w) 정도의 비율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충전재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 대비 1~1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함량이 1 중량부 미만이면 충전재의 첨가에 따른 효과가 미비하고, 함량이 10 중량부를 초과하면 접착제의 전체적인 물성을 저하시킬 염려가 있다.
상기 산화방지제는 산화 및 분해로 인한 점도의 변화, 황변현상, 접착력 저하 및 내구성 저하 등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종류는 크게 제한되지 않으며 구체적으로 페놀류, 방향족 아민류, 구연산, 또는 아스코르브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산화방지제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 대비 0.1~1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함량이 0.1 중량부 미만이면 산화방지제의 첨가에 따른 효과가 미비하고, 함량이 1 중량부를 초과하면 접착제의 경제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전체적인 물성을 저하시킬 염려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접착제 조성물은 표지판(250) 또는 트림 부스(100)의 부착면에 균일하게 분배되도록 하여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나노 실리카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나노 실리카의 함량은 0.1~5 중량부가 바람직하며, 나노 실리카의 사이즈(primary particles)는 100n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나노실리카의 함량이 0.1 중량부 미만인 경우 나노실리카 첨가에 따른 효과가 미미하며, 5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접착력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시간이 지날수록 접착제의 표면에 블루밍(blooming)이 발생하는 불량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와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60 중량부, Sukorez D-300 25중량부, 송진 3중량부, 에틸렌글리콜 5중량부, 황토석 4중량부, 펄프분말 2중량부 및 아스코르브산 1중량부를 혼합하여 170~180℃에서 용융혼련시켜 접착제 조성물을 제조한 후 펠렛 타입으로 성형하였다. 이때, 상기 생분해성 저자극 수지는 폴리락트산 100중량부에 락트산 단량체 2.5중량부를 160℃로 5분동안 용융혼합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60중량부, Sukorez D-300 15중량부, 생분해성 저자극 수지 10중량부, 송진 3중량부, 에틸렌글리콜 5중량부, 황토석 4중량부, 펄프분말 2중량부 및 아스코르브산 1중량부를 혼합하여 170~180℃에서 용융혼련시켜 접착제 조성물을 제조한 후 펠렛 타입으로 성형하였다. 이때, 상기 생분해성 저자극 수지는 폴리락트산 100중량부에 락트산 단량체 2.5중량부를 160℃로 5분동안 용융혼합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3]
나노실리카 1중량부를 더 첨가한 것만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고, 이를 실시예 3으로 하였다.
[비교예]
종래의 TPU 핫멜트 필름에서 이면지를 제거한 후 사용하였다.
[실험예]
(1) 메쉬접착강도
열용융 접착제의 메쉬접착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표지판(250)와 트림 부스(100) 사이에 정량된 접착제 펠렛을 170℃에서 용융 도포한 후, 130℃에서 30초 동안 60㎏f/㎠의 압력으로 프레스 작업을 진행하고 메쉬접착강도(㎏f/㎠)를 측정하였다.
(2) 융융흐름지수
용융흐름지수 측정기의 가열 실린더에 펠렛 타입의 접착제를 가득 채우고 160℃에서 약 5분간 녹였다. 3㎏의 추를 얹고 10분간 실린더를 통해 통과되는 접착제의 중량(g)을 측정하였다.
Figure 112019053682772-pat00001
상기 표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접착제 조성물이 기존 제품보다 향상된 접착력과 흐름지수를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생분해 저자극 수지를 사용한 경우에도 접착렵과 흐름지수가 크게 떨어지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나노 실리카를 혼합하는 경우 흐름지수가 크게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표면 연마 가공을 위한 트림 부스 시스템
100: 트림 부스
210: 집진기
220: 도어
300: 피가공물 이동선반
310: 상판
320: 하판
400: 승강부
500: 탄성 지지부
600: 회전 승강부
610: 원통형 구덩이
620: 상하 구동부
630: 승하강 스테이지

Claims (2)

  1. 표면 연마 가공에 따라 발생되는 먼지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밀폐된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트림 부스;
    상기 트림 부스의 후단 벽면에 설치되며, 표면 연마 가공에 따라 발생되는 먼지를 빨아들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집진기; 및
    상기 트림 부스의 전단 벽면에 형성되는 개구부에 상기 개구부를 개폐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도어를 포함하되,
    표면 연마 가공이 필요한 피가공물을 상측에 적재시키며, 적재된 피가공물을 승강시켜 주거나 하강시켜 주는 피가공물 이동선반을 더 포함하며,
    상기 피가공물 이동선반은, 상측면에 피가공물을 적재시키는 상판; 상기 상판의 하측에 이격되어 배치되는 하판; 및 상기 상판의 일측과 상기 하판의 일측 사이와 상기 상판의 다른 일측과 상기 하판의 다른 일측 사이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상판을 승강시켜 주거나 하강시켜 주는 승강부를 포함하며,
    상기 승강부는, 상기 상판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의 하측을 지지하는 제1 상부 지지부, 및 "ㄱ" 형태로 형성되어 하부가 상기 제1 상부 지지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회동하여 상기 상판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을 체결하는 제2 상부 지지부를 포함하는 상판 체결부; 상기 하판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의 상측에 안착되는 구동부; 하부가 상기 구동부의 상부 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상부가 상기 상판 체결부의 하부 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1 교차 프레임, 및 하부가 상기 구동부의 상부 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상부가 상기 상판 체결부의 하부 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2 교차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교차 프레임과 상기 제2 교차 프레임이 "X" 형태로 교차되어 상기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상기 제1 교차 프레임 또는 상기 제2 교차 프레임의 하측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상판을 승강시켜 주거나 하강시켜 주는 구동 프레임; 및 "ㄴ" 형태로 형성되어 상부가 상기 구동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회동하여 상기 하판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을 체결하며, 하측에 이동을 위한 바퀴를 구비하는 하판 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는, 전후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박스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1 교차 프레임 또는 상기 제2 교차 프레임의 하부가 삽입되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구동홈이 전단 및 후단에 형성되며, 상기 하판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의 상측에 안착되는 안착부; 상기 안착부의 전단에 형성되는 상기 구동홈의 후단에 설치되며, 직선 왕복 운동을 위해 구비된 피스톤의 전단에 상기 제1 교차 프레임의 하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1 직선 운동부; 및 상기 제1 직선 운동부와 대칭구조로 상기 안착부의 후단에 형성되는 상기 구동홈의 전단에 설치되며, 직선 왕복 운동을 위해 구비된 피스톤의 후단에 상기 제2 교차 프레임의 하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2 직선 운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직선 운동부 또는 상기 제2 직선 운동부는, 상기 구동홈의 단면의 형태에 대응하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는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전단 또는 후단에 좌우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공간을 형성하여 해당 공간에 상기 제1 교차 프레임 또는 상기 제2 교차 프레임의 하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도록 하는 원판 형태의 두 개의 회동 원판을 구비하는 회동 연결부가 상기 피스톤의 전단 또는 후단에 형성되며,
    상기 트림 부스의 바닥에 설치되며,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회전하면서 승강 또는 하강하면서 상측에 안착된 피가공물 또는 상기 피가공물 이동선반을 회전시키면서 승강 또는 하강시켜 주는 회전 승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회전 승강부는, 상기 트림 부스의 바닥에 원통 형태로 함몰 형성되는 원통형 구덩이; 상기 원통형 구덩이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상하 직선 왕복 운동 및 회전 운동을 수행하는 상하 구동부; 및 상기 원통형 구덩이의 형태에 대응하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상하 구동부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측면에 피가공물 또는 상기 피가공물 이동선반을 안착시키고, 상기 상하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상기 원통형 구덩이를 따라 상하 방향의 직선 운동을 하거나 회전 운동을 수행하는 승하강 스테이지를 포함하며,
    상기 승하강 스테이지는, 하측으로 개방된 원통 형태의 내부 공간을 형성되며, 상기 상하 구동부의 상측에 형성되는 원반 형태의 안착부가 상기 내부 공간의 천장면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 승강부는, 상기 원통형 구덩이의 바닥면의 테두리를 따라 서로 이격되어 다수 개가 설치되며, 상기 승하강 스테이지가 낙하하는 경우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하는 탄성 지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탄성 지지부는, 상기 승하강 스테이지가 낙하할 경우 상기 승하강 스테이지를 지지하는 받침 프레임; 상측에 안착된 상기 받침 프레임을 지지하는 네 개의 받침 플레이트; 상기 네 개의 받침 플레이트의 각각의 하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1 프레임 및 제2 프레임을 포함하는 네 쌍의 지지 프레임; 및 사각 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원통형 구덩이의 바닥면에 설치되며, 상기 제1 프레임이 상측면에 회동 및 수평 방향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상기 제2 프레임이 일 측면에 회동 및 수직 방향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지지 기둥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 기둥은, 사각 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기둥 바디; 상기 기둥 바디의 상부에 "+"형태로 함몰 형성되는 십자홈; 상기 십자홈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십자홈에 삽입되며, 네 개의 가지의 말단 상부에 상기 제1 프레임의 하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십자 탄성부; 상기 기둥 바디의 각 면에 상하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네 개의 수직홈; 및 상기 수직홈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수직홈에 각각 삽입되며, 상부 외측에 상기 제2 프레임의 하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네 개의 수직 탄성부를 포함하는, 표면 연마 가공을 위한 트림 부스 시스템.
  2. 삭제
KR1020190061559A 2019-05-25 2019-05-25 표면 연마 가공을 위한 트림 부스 시스템 KR1020113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1559A KR102011316B1 (ko) 2019-05-25 2019-05-25 표면 연마 가공을 위한 트림 부스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1559A KR102011316B1 (ko) 2019-05-25 2019-05-25 표면 연마 가공을 위한 트림 부스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1316B1 true KR102011316B1 (ko) 2019-08-16

Family

ID=678068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1559A KR102011316B1 (ko) 2019-05-25 2019-05-25 표면 연마 가공을 위한 트림 부스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1316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8157U (ko) * 1996-04-23 1996-09-17 이연록 가정용 테이블
KR100837701B1 (ko) * 2007-06-29 2008-06-13 주식회사 동진하이텍 환경 설비 일체형 도장장치
KR100934999B1 (ko) 2009-02-27 2009-12-31 (주) 바두 직접가열방식의 도장부스
KR101267171B1 (ko) * 2012-12-28 2013-05-27 박정근 터빈 로터 블레이드 블라스팅용 하우징
KR101320087B1 (ko) 2012-12-24 2013-10-18 김종현 건조성능을 향상시킨 다목적 도장부스
KR20170013547A (ko) * 2015-07-28 2017-02-07 고병기 하중 조절형 승강작업대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8157U (ko) * 1996-04-23 1996-09-17 이연록 가정용 테이블
KR100837701B1 (ko) * 2007-06-29 2008-06-13 주식회사 동진하이텍 환경 설비 일체형 도장장치
KR100934999B1 (ko) 2009-02-27 2009-12-31 (주) 바두 직접가열방식의 도장부스
KR101320087B1 (ko) 2012-12-24 2013-10-18 김종현 건조성능을 향상시킨 다목적 도장부스
KR101267171B1 (ko) * 2012-12-28 2013-05-27 박정근 터빈 로터 블레이드 블라스팅용 하우징
KR20170013547A (ko) * 2015-07-28 2017-02-07 고병기 하중 조절형 승강작업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7851B1 (ko) 태양광패널 및 그 시공방법
KR102027839B1 (ko) 청소장치가 구비된 태양광패널
KR102032996B1 (ko) 절단 가공 장치
KR102041801B1 (ko) 중자 제조 장치용 코어성형 장치
KR102031259B1 (ko) 정면기
KR101975170B1 (ko) 철판 절곡 장치
KR102011316B1 (ko) 표면 연마 가공을 위한 트림 부스 시스템
KR102055445B1 (ko) 고정용 지그
KR102039937B1 (ko) 4주식 차량 정비용 리프트
CN106586388A (zh) 一种垂直循环上菜机传动结构
KR102026149B1 (ko) 곡면형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2033890B1 (ko) 폐유 수거 차량용 무게 측정 장치
KR102065458B1 (ko) 인테리어 시공방법
KR102029418B1 (ko) 복합소재 데크로드 시스템
KR102034465B1 (ko) 도금 장치
KR102020871B1 (ko) 오토바이 보관 창고 시스템
KR102053859B1 (ko) 선조립형 건설구조물
KR102041806B1 (ko) 중자 제조 장치용 이송 장치
KR102102415B1 (ko) 높이 조절부재를 구비한 건설구조물
KR102058118B1 (ko) 미끄럼 방지 기능이 구비되고, 미생물을 함유한 데크로드 시스템
KR102022562B1 (ko) 다기능 작업대
KR102033966B1 (ko) 창호 조립체 제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031247B1 (ko) 관통부 내화 충전 구조
KR102023956B1 (ko) 창고 출입 시스템
KR102073888B1 (ko) 플라스틱 원료 배합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