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1259B1 - 정면기 - Google Patents

정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1259B1
KR102031259B1 KR1020190078725A KR20190078725A KR102031259B1 KR 102031259 B1 KR102031259 B1 KR 102031259B1 KR 1020190078725 A KR1020190078725 A KR 1020190078725A KR 20190078725 A KR20190078725 A KR 20190078725A KR 102031259 B1 KR102031259 B1 KR 1020312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cleaning
inner space
upper plate
ro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87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희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써피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써피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써피텍
Priority to KR10201900787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12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12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12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7/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plane surfaces on work, including polishing plane glass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 B24B7/2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plane surfaces on work, including polishing plane glass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non-metallic articles to be ground
    • B24B7/22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plane surfaces on work, including polishing plane glass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non-metallic articles to be ground for grinding inorganic material, e.g. stone, ceramics, porcelain
    • B24B7/228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plane surfaces on work, including polishing plane glass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non-metallic articles to be ground for grinding inorganic material, e.g. stone, ceramics, porcelain for grinding thin, brittle parts, e.g. semiconductors, wafers
    • B08B1/02
    • B08B1/0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20Cleaning of moving articles, e.g. of moving webs or of objects on a convey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3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y movement of cleaning members over a surface
    • B08B1/32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y movement of cleaning members over a surface using rotary clean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7/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plane surfaces on work, including polishing plane glass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 B24B7/06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plane surfaces on work, including polishing plane glass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involving conveyor belts, a sequence of travelling work-tables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22Secondary treatment of printed circuits
    • H05K3/26Cleaning or polishing of the conductive patter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정용 롤브러시와 컨베이어롤 사이의 간격이 회로기판 등과 같은 세정 대상물의 두께에 대응하여 조절되면서 인쇄 세정 대상물의 표면처리공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현한 정면기에 관한 것으로, 세정용 롤브러시를 이용하여 컨베이어롤을 통해 이송되는 세정 대상물의 표면처리공정을 수행하는 세정부; 및 표면처리공정을 마친 뒤 상기 세정부로부터 전달되는 세정 대상물을 적재하는 적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정면기{PRINTED CIRCUIT BOARD DEBURRING MACHINE}
본 발명은 정면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세정용 롤브러시와 컨베이어롤 사이의 간격이 회로기판 등과 같은 세정 대상물의 두께에 대응하여 조절되면서 인쇄 세정 대상물의 표면처리공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현한 정면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쇄 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은 절연기판 표면에 구리의 박(箔)으로 배선이 되어 직접회로나 저항 등의 전기 부품을 장치해 사용하는 합성수지판을 일컫는 것으로서, 통상 페이퍼-페놀(Paper phenol)수지 또는 글래스-에폭시(Glass epoxy)수지 등과 같은 기판 상에 동박판을 적층시키고, 회로 패턴(pattern) 인쇄 및 식각 등의 기술에 의해 배선을 위한 동박판으로 도형을 완성시킨 것이다.
이러한 인쇄 회로기판의 원재료판(COPPER CLAD LAMINATE)은 사각판으로 1차 절단하고, 이 절단된 원재료판의 절단면을 면취기에서 면가공한 후 관통공(Through hole)형성, 중압 수세 및 산처리, 에칭, 무전해 도금처리 등의 여러 공정을 거쳐 인쇄 회로기판으로 제작하게 된다.
한편, 상기 인쇄 회로기판의 제조 공정에서는 인쇄 회로기판의 표면에 회로를 형성하기 전후 단계에서 인쇄 회로기판의 면을 평탄하게 연마하는 표면 연마공정을 수행하게 되는 바, 이를 위해 정면기를 사용하게 된다. 이때의 상기 정면기는 인쇄 회로기판의 표면에 코팅되어 있는 구리(銅; Cu) 막의 수평을 고정도로 유지하고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인쇄 회로기판의 표면을 연마하는 장치로서, 상기 인쇄 회로기판의 이송방식에 따라 롤러(roller) 구동방식과 벨트(belt) 구동방식으로 대별된다.
여기서, 상기 롤러 구동방식은 0.2mm 두께 이상의 인쇄 회로기판의 연마 작업에 적합하며, 벨트 구동방식은 0.2mm 두께 이하의 연마 작업에 적합한 것으로, 이와 같은 구동방식에 의해 이송되는 인쇄 회로기판은 브러쉬(Brush)나 버프(Buff) 형식의 회전 연마기구에 의하여 연마된다.
한편, 근래에 들어서는 전자기기의 소형화가 가속화됨에 따라 이에 탑재되는 인쇄 회로기판 또한 박형화 및 고 유연성 이 유구되어지고 있는 바, 이에 따라 벨트 구동방식의 정면기가 선호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14995호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278155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다양한 두께로 제작되는 세정 대상물의 표면처리공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세정용 롤브러시와 컨베이어롤 사이의 간격이 회로기판 등과 같은 세정 대상물의 두께에 대응하여 조절 가능한 정면기를 제공한다.
또한, 이송롤러에 진동감쇄부가 설치되어 이송롤러의 구동 과정에서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하고, 인쇄회로기판의 외형에 대한 영상을 촬영/분석하여 연마되는 인쇄회로기판의 불량률을 산출하고, 산출된 불량률의 크기에 따라 인쇄회로기판의 불량여부 및 이송롤러의 마모도를 자동으로 진단할 수 있도록 구현된 정면기를 제공한다.
또한, 지지대 커버 부착시에 충분한 두께 및 고르기를 가지고 도포될 수 있으며, 악취 및 세균 발생을 저하시킬 수 있는 접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면기는, 세정용 롤브러시를 이용하여 컨베이어롤을 통해 이송되는 세정 대상물의 표면처리공정을 수행하는 세정부; 및 표면처리공정을 마친 뒤 상기 세정부로부터 전달되는 세정 대상물을 적재하는 적재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세정부는, 세정 대상물의 두께에 대응하여 열을 지어 다수 개가 설치되는 상기 컨베이어롤과 상기 컨베이어롤의 상측에 설치되어 세정 대상물을 세정하는 상기 세정용 롤브러시 사이의 간격이 자동으로 조절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적재부는, 표면처리공정을 마친 세정 대상물이 배출되는 상기 세정부의 전단에 설치되며, 상측이 개방된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본체 케이스; 상기 본체 케이스의 내측 상부를 따라 서로 이격되어 다수 개가 열을 지어 설치되며, 회전하면서 상기 세정부로부터 배출되는 세정 대상물을 이송하는 이송롤; 상기 이송롤에 의해 뉘인 상태로 이송 중인 세정 대상물을 직립시켜 전달하는 두 개의 전달부; 및 상기 전달부에 의해 직립된 세정 대상물을 차례로 전달받아 거치하는 거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달부는, 하부가 회동축에 의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 케이스에 연결 설치되고, 최후단에 위치하는 상기 이송롤과 대향하도록 직립하며, 세정 대상물이 전달되면 상측이 상기 거치부 방향으로 회동하는 수직 지지대; 및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수직 지지대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이송롤에 설치되는 롤러와 다른 롤러 사이의 공간에 안착되며, 세정 대상물이 상기 수직 지지대의 전단까지 전달되면 상기 수직 지지대가 회동함에 따라 함께 회동하여 세정 대상물의 하측을 들어올려 직립시킨 뒤 상기 거치부로 전달하는 수평 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달부는, 세정 대상물을 전달하기 위해 상기 수직 지지대가 회동하는 경우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수직 지지대의 하측을 지지하는 탄성 지지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 지지대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수직 지지대의 하측을 지지하는 상판; 상기 상판의 하측에 이격되어 설치되며,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며, 상부가 상기 케이스의 상측으로 노출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상판을 지지하는 상판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판 지지부는, 상기 상판의 중심을 지지하며, 상기 상판이 하강함에 따라 내부 공간에 담기 충전액을 공급하는 제1 지지부; 및 상기 상판의 각 모서리의 하측에 각각 설치되며,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상판의 모서리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하며, 상기 상판이 하강함에 따라 상기 제1 지지부로부터 공급되는 충전액에 의해 상하 방향의 이동이 제동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지지부는, 상기 상판의 하측면의 중심에 설치되며, 구형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제1 회동 체결부; 상기 제1 회동 체결부의 내부 공간의 형태에 대응하는 구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회동 체결부의 내부 공간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1 연결 볼; 상기 제1 연결 볼의 하부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1 연결 볼을 지지하는 제1 지지 바아;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며, 밀폐된 내부 공간에 충전액이 수용되며, 상기 제1 지지 바아의 하부가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며, 상기 상판이 하강할 경우 상기 제1 지지 바아의 하부가 내부 공간의 상측으로부터 하강함에 따라 충전액이 압착되어 상기 제2 지지부로 공급되는 충전액 탱크; 및 상기 충전액 탱크의 하부로부터 상기 제2 지지부까지 연장 형성되어 충전액이 흐르는 통로를 형성하는 연결관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상판의 하측면의 모서리에 설치되며, 구형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제2 회동 체결부; 상기 제2 회동 체결부의 내부 공간의 형태에 대응하는 구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 회동 체결부의 내부 공간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2 연결 볼; 상기 제2 연결 볼의 하부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2 연결 볼을 지지하는 제2 지지 바아; 상기 제2 지지 바아의 하측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제2 지지 바아를 지지하는 탄성 지지부; 및 상하 방향으로 관통홀을 형성하는 원형의 튜브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관통홀에 상기 제2 지지 바아가 삽입되며, 상기 상판이 하강할 경우 상기 연결관을 통해 충전액이 내부 공간으로 공급되어 팽창함에 따라 상기 관통홀의 크기가 줄어들어 상기 제2 지지 바아가 움직이지 못하도록 체결하는 승하강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승하강 조절부는, 충전액이 내부 공간으로 공급됨에 따라 상기 관통홀이 위치하는 내측 방향으로 팽창될 수 있도록 외측벽이 경질의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지지 바아와 대향하는 내측이 팽창 또는 수축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적재부는, 상기 이송롤의 일측 및 다른 일측이 연결 설치되는 상기 본체 케이스의 양측 면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이송롤의 회전에 따른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이송롤을 하측에서 지지하는 탄성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 지지부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몸체부; 다른 제1 스탠드와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몸체부의 상부를 따라 다수 개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갈수록 다른 제1 스탠드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되어 상측에 안착된 상기 이송롤을 지지하는 제1 스탠드; 및 다른 제2 스탠드와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몸체부의 하부를 따라 다수 개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갈수록 다른 제2 스탠드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되어 상기 몸체부를 지지하는 제2 스탠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몸체부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바디; 상기 제1 스탠드의 하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스탠드의 개수에 대응하여 상기 바디의 상부를 따라 형성되며, 하측으로부러 상측으로 갈수록 상기 바디의 외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상부 설치홈; 상기 제2스탠드의 상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스탠드의 개수에 대응하여 상기 바디의 하부를 따라 형성되며, 상측으로부러 하측으로 갈수록 상기 바디의 외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하부 설치홈; 상기 상부 설치홈에 설치된 상기 제1 스탠드 또는 상기 하부 설치홈에 설치된 상기 제2 스탠드가 직립될 수 있도록 하측을 바라보는 상기 제1 스탠드의 일측면과 상기 상부 설치홈 사이 및 상측을 바라보는 상기 제2 스탠드의 일측면과 상기 하부 설치홈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스탠드 및 상기 제2 스탠드를 지지하는 탄성 지지체; 및 상기 제1 스탠드 또는 상기 제2 스탠드와의 충돌에 따른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 설치홈의 입구 및 상기 하부 설치홈의 입구를 따라 설치되는 충격흡수 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스탠드는, 상기 상부 설치홈에 하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하측 경사면이 상기 탄성 지지체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바아; 상부면이 평평하고 하측으로 갈수록 간격이 좁아지는 삼각형 형태로 형성되며, 하부가 상기 지지바아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받침대; 및 상측에 안착되는 상기 이송롤과의 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된 빨래판 형태의 요철이 상부면을 따라 형성되고, 상측에 안착되는 상기 이송롤이 승강 또는 하강함에 따라 상기 받침대의 상부에 슬라이딩 이동되는 슬라이딩 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받침대는, 상부면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슬라이딩 패드는, 상기 슬라이딩홈에 연결 설치되어 슬라이딩 이동을 할 수 있도록 하측에 슬라이딩동기를 구비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다양한 두께로 제작되는 세정 대상물의 표면처리공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세정용 롤브러시와 컨베이어롤 사이의 간격이 회로기판 등과 같은 세정 대상물의 두께에 대응하여 조절함으로써, 하나의 정면기로서 다양한 세정 대상물을 세정할 수 있어 세정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송롤러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기존의 수동 검사 과정을 대체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지지대 커버의 부착시 친위생적이면서도 접착성이 우수한 접착제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면기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적재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전달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전달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탄성 지지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10은 도 5의 탄성 지지대의 각 구성들의 연결과계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1은 도 1의 적재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 및 도 13은 도 11의 몸체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4 내지 도 17은 도 11의 제1 스탠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면기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면기(10)는, 세정부(100) 및 적재부(200)를 포함한다.
세정부(100)는, 세정용 롤브러시를 이용하여 컨베이어롤을 통해 이송되는 세정 대상물(300)의 표면처리공정을 수행한다.
일 실시예에서, 세정부(100)는, 세정 대상물(300)의 두께에 대응하여 열을 지어 다수 개가 설치되는 컨베이어롤과 컨베이어롤의 상측에 설치되어 세정 대상물(300)을 세정하는 세정용 롤브러시 사이의 간격이 자동으로 조절될 수 잇다.
적재부(200)는, 표면처리공정을 마친 뒤 세정부(100)로부터 전달되는 세정 대상물(300)을 적재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정면기(10)는, 각기 다른 두께로 제작되는 세정 대상물들의 표면처리공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세정용 롤브러시(111)와 세정용 롤브러시(111)의 하측에 이격되어 설치되는 컨베이어롤(112) 사이의 간격이 세정 대상물(300)의 두께에 대응하여 조절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정면기(10)는, 세정용 롤브러시(111) 또는 컨베이어롤(112)의 상하 방향의 이동을 위해
유압 실린더 등과 같은 구동 장치(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정면기(10)는, 세정 대상물(300)인 인쇄회로기판의 외형에 대한 영상을 촬영/분석하여 연마되는 인쇄회로기판의 불량률을 산출하고, 산출된 불량률의 크기에 따라 인쇄회로기판의 불량여부 및 이송롤러의 마모도를 자동으로 진단하여 기존의 수동 검사 과정을 대체하기 위한 진단부(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정면기(10)는, 세정 대상물(300)의 표면처리공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세정용 롤브러시(111)와 컨베이어롤(111) 사이의 간격이 회로기판 등과 같은 세정 대상물(300)의 두께에 대응하여 조절함으로써, 하나의 정면기로서 다양한 세정 대상물을 세정할 수 있어 세정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송롤러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기존의 수동 검사 과정을 대체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적재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적재부(200a)는, 본체 케이스(210), 이송롤(220), 두 개의 전달부(230) 및 거치부(240)를 포함한다.
본체 케이스(210)는, 표면처리공정을 마친 세정 대상물(300)이 배출되는 세정부(100)의 전단에 설치되며, 상측이 개방된 내부 공간을 형성하고, 내측 공간에 이송롤(220), 두 개의 전달부(230) 및 거치부(240) 등이 설치된다.
이송롤(220)은, 본체 케이스(210)의 내측 상부를 따라 서로 이격되어 다수 개가 열을 지어 설치되며, 회전하면서 세정부(100)로부터 배출되는 세정 대상물(300)을 전달부(230) 방향으로 이송한다.
전달부(230)는, 이송롤(220)에 의해 뉘인 상태(도 2에서 실선으로 도시된 세정 대상물(300)과 같이)로 이송 중인 세정 대상물(300)을 직립시켜 거치부(240)로 전달한다.
거치부(240)는, 전달부(230)에 의해 직립된 세정 대상물(300)을 차례로 전달받아 거치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적재부(200)는, 세정부(100)를 통해 연속적으로 전달되는 세정 대상물(300)을 이송롤(220)을 이용하여 차례로 이송하면서 거치부(240)에 거치시킴으로써 안정적인 세정 과정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전달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전달부(230a)는, 수직 지지대(231) 및 수평 지지대(232)를 포함한다.
수직 지지대(231)는, 하부가 회동축(234)에 의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본체 케이스(210)에 연결 설치되고, 최후단에 위치하는 이송롤(220)과 대향하도록 직립하며, 세정 대상물(300)이 전달되면 상측이 거치부(240) 방향으로 회동하며, 상부에 수평 지지대(232)가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수직 지지대(231)의 상부 후단에는, 이송되는 세정 대상물(300)이 직립되지 않은 채로 거치부(240)로 바로 넘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걸림턱(233)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수평 지지대(232)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수직 지지대(231)의 상부에 설치되며, 이송롤(220)에 설치되는 롤러와 다른 롤러 사이의 공간에 안착되며, 세정 대상물(300)이 수직 지지대(231)의 전단까지 전달되면 수직 지지대(231)가 회동함에 따라 함께 회동하여 세정 대상물(300)의 하측을 들어올려 직립시킨 뒤 거치부(240)로 전달한다.
일 실시예에서, 수평 지지대(232)는, 세정 대상물(300)을 들어올림에 따라 세정 대상물(300)의 표면에 상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외측을 둘러싸는 지지대 커버(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지지대 커버는, 표면이 부드러운 재질로 형성되어 세정 대상물(300)의 표면에 상처가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하고, 이후 후술하는 커버 부착용 조성물로 수평 지지대(232)에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착제 조성물은, 수평 지지대(232)에 지지대 커버를 부착시키기 위한 지지대 커버 부착용 접착제 조성물로서, 열가소성 수지 40~80 중량부, 점착부여수지 5~40 중량부, 송진 1~5 중량부, 가소제 1~10 중량부, 충전재 1~10 중량부 및 산화방지제 0.1~1중량부를 포함한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조성물의 주성분으로서, 접착력과 응집력 등을 조절하는 기능을 한다. 비닐기 또는 수산화기를 포함하는 것이라면 그 종류가 크게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폴리비닐아세테이트, 폴리비닐알코올,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및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 대비 40~8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함량이 40 중량부 미만이면 용융 점도가 높아지고 용융 흐름 지수는 낮아져 작업성이 매우 떨어지게 되며, 함량이 80 중량부를 초과하면 원단에 바로 적용되기에 충분한 접착력을 발휘하기 어렵다.
상기 점착부여수지는 저분자량 수지로, 용융 점도를 낮추어 작업성을 향상시키며, 접착 초기 젖음성과 접착제의 피착재 표면에서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고, 고화시간 등의 조절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점착부여수지는 그 종류가 크게 제한되지 않으나, 석유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점착부여수지는 지방족 탄화수소 수지, 지환족 탄화수소 수지, 방향족 탄화수소 수지, 방향족에 의해 개질된 지방족 탄화수소 수지, 및 하이드로겐화 탄화수소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방족 탄화수소 수지는 상업적인 제품으로 코오롱유화사의 Hikorez A-1100, Hikorez A-1100S, Hikorez C-1100, Hikorez R-1100, Hikorez R-1100S 등이 있다. 또한, 지환족 탄화수소 수지로는 디사이클로펜타디엔(DCPD)을 단량체로 포함하는 탄화수소 수지 등이 있고, 방향족 탄화수소 수지는 상업적으로 코오롱유화사의 Hikotack P-110S, Hikotack P-120, Hikotack P-120HS, Hikotack P-120S, Hikotack P-140, Hikotack P-140M, Hikotack P-150, Hikotack P-160, Hikotack P-90, Hikotack P-90S, Hirenol PL-1000, Hirenol PL-400 등이 있다. 또한, 방향족에 의해 개질된 지방족 탄화수소 수지는 상업적으로 코오롱유화사의 Hikorez T-1080, Hikorez T-1100 등이 있다. 또한, 하이드로겐화 탄화수소 수지는 하이드로겐화 지방족 탄화수소 수지, 하이드로겐화 방향족 탄화수소 수지 등으로 세분화될 수 있으며, 상업적으로 코오롱유화사의 Sukorez D-300, Sukorez D-390, Sukorez SU-100, Sukorez SU-110, Sukorez SU-120, Sukorez SU-130, Sukorez SU-90 등이 있다.
상기 점착부여수지는 바람직하게는 단량체의 탄소 수가 4~10인 탄화수소 수지이며, 구체적으로 C5 지방족 수지, C9 방향족 수지, C5/C9 지방족/방향족 공중합 수지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점착부여수지는 보다 바람직하게 단량체로 디사이클로펜타디엔을 포함하는 하이드로겐화 탄화수소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상업적으로 코오롱유화사(한국)의 Sukorez D-300, Sukorez D-390, Sukorez SU-100, Sukorez SU-110, Sukorez SU-120, SukorezSU-130, Sukorez SU-90 등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접착제 조성물은 작업자가 수평 지지대(232)에 도포시 작업자의 피부에 튈 경우 자극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앞서 설명한 다양한 석유수지에 생분해성 저자극 수지를 함께 혼합해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생분해성 저자극 수지는 생분해성 폴리머에 폴리머의 단량체를 용융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상기 생분해성 폴리머로는 폴리락트산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락트산은 유산의 축중합 도는 락티드의 개환중합에 의해 합성되는 폴리에스터로서 폴리아미드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중간 정도의 물성을 갖고 있으며, 주로 감자와 옥수수로부터 얻어지는 천연 식물성 당 성분을 원료로 하므로 생분해도가 높지만 일반적으로 경도가 높고, 탄성이 낮으며, 내구성이 떨어지는 특성이 있다.
상기 생분해성 폴리머에는 동일한 폴리머 단량체를 용융혼합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생분해성 폴리머는 단량체와 결합되면서 쇄절단이 부분적으로 발생되어 전체적으로 수평균분자량이 떨어진다. 상기 수평균분자량이 떨어지면서 점착제로 사용할 수 있는 물성을 나타내며 가공성이 높아지게 된다.
상기 폴리락트산 100 중량부에 대해, 상기 락트산 단량체는 20 내지 30 중량부를 혼합할 수 있다. 상기 단량체가 20중량부 미만으로 혼합되면, 수평균분자량이 높고 딱딱하여 점착제로 사용되기 어려우며, 상기 단량체가 40 중량부를 초과하면 표면에 마이그레이션이 발생하여 역시 점착제로 사용하기 어려울 수 있다.
상기 석유수지와 생분해성 저자극 수지의 혼합비율은 1~2:1(w/w)인 것이 바람직하며, 석유수지의 혼합비율이 너무 높은 경우 생분해성 저자극 효과가 나오기 힘들고, 저자극 수지의 혼합비율이 너무 높은 경우 경제성이 떨어지고 전체적인 점착 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점착부여수지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 대비 5~4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함량이 5 중량부 미만이면 점착부여 수지 첨가에 따른 용융 점도 저하 효과가 미비하고 그에 따른 용융 흐름 지수의 증가가 크지 않아 작업성이 만족할 만한 수준에 도달하지 못할 염려가 있고, 함량이 30 중량부를 초과하면 점착부여수지의 초과에 따른 용융흐름지수 증가율이 크지 않아 경제성이 떨어지고 상대적으로 열가소성 폴리머의 함량이 줄어들어 조성물의 전체적인 물성을 저하시킬 염려가 있다.
상기 송진은 접착제 조성물의 전체적인 접착력을 개선시키는 역할을 하며 인체에 무해하며 천연방부제 역할을 한다. 상기 송진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 대비 1~5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함량이 1 중량부 미만이면 접착력 개선 효과를 얻기 어려우며, 함량이 5 중량부를 초과하면 가공시에 점착력이 증대되어 제품으로의 가공이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가소제는 고분자에 유연성 및 접착성을 부여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가소제의 종류는 크게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솔비톨, 에틸렌글리콜, 글리세린, 글리세린디아세테이트, 및 펜타에리쓰리톨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소제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 대비 1~1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함량이 1 중량부 미만이면 가소제의 첨가에 따른 효과가 미비하고, 함량이 10 중량부를 초과하면 가소제의 과다 사용에 의해 경제성이 떨어질 수 있으며, 접착제의 전체적인 물성을 저하시킬 염려가 있다.
상기 충전재는 조성물의 보강 및 흐름성을 조절하기 위해 사용된다. 충전재의 종류는 크게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탄산칼슘, 점토, 벤토나이트, 또는 칼슘스테아레이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접착제 조성물은 수평 지지대(232) 또는 지지대 커버의 부착면에 도포되는 것으로서, 적용 환경상 악취 및 세균이 발생하기 쉽다. 이에 본 발명은 접착제 조성물의 보강 및 흐름성을 조절하면서도 악취 및 세균발생을 저하시기키 위하여, 충전재로서 석분(stone powder)과 펄프 분말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석분은 입자의 치밀함으로 인하여 첨가제를 다량 사용하지 않아도 높은 강도를 구현할 수 있고, 주변 환경에 따른 부피 변형률이 낮아 온도 변화가 큰 경우에도 접착제의 갈라짐 현상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상기 석분은 황토석, 대리석, 맥반석, 화강석, 옥석 등 다양한 암석의 분말 형태가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항균성, 항곰팡이성, 자외선 방출 등 다양한 기능을 가지는 황토석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펄프 분말은 액체 성분들을 빨아들이면서 석분들을 응집하는 역할을 하며 성분들간 혼화성을 높이고 응집력을 향상시킨다. 이때, 상기 석분과 펄프 분말은 7:3~8:2(w/w) 정도의 비율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충전재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 대비 1~1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함량이 1 중량부 미만이면 충전재의 첨가에 따른 효과가 미비하고, 함량이 10 중량부를 초과하면 접착제의 전체적인 물성을 저하시킬 염려가 있다.
상기 산화방지제는 산화 및 분해로 인한 점도의 변화, 황변현상, 접착력 저하 및 내구성 저하 등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종류는 크게 제한되지 않으며 구체적으로 페놀류, 방향족 아민류, 구연산, 또는 아스코르브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산화방지제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 대비 0.1~1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함량이 0.1 중량부 미만이면 산화방지제의 첨가에 따른 효과가 미비하고, 함량이 1 중량부를 초과하면 접착제의 경제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전체적인 물성을 저하시킬 염려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접착제 조성물은 수평 지지대(232) 또는 지지대 커버의 부착면에 균일하게 분배되도록 하여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나노 실리카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나노 실리카의 함량은 0.1~5 중량부가 바람직하며, 나노 실리카의 사이즈(primary particles)는 100n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나노실리카의 함량이 0.1 중량부 미만인 경우 나노실리카 첨가에 따른 효과가 미미하며, 5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접착력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시간이 지날수록 접착제의 표면에 블루밍(blooming)이 발생하는 불량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와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60 중량부, Sukorez D-300 25중량부, 송진 3중량부, 에틸렌글리콜 5중량부, 황토석 4중량부, 펄프분말 2중량부 및 아스코르브산 1중량부를 혼합하여 170~180℃에서 용융혼련시켜 접착제 조성물을 제조한 후 펠렛 타입으로 성형하였다. 이때, 상기 생분해성 저자극 수지는 폴리락트산 100중량부에 락트산 단량체 2.5중량부를 160℃로 5분동안 용융혼합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60중량부, Sukorez D-300 15중량부, 생분해성 저자극 수지 10중량부, 송진 3중량부, 에틸렌글리콜 5중량부, 황토석 4중량부, 펄프분말 2중량부 및 아스코르브산 1중량부를 혼합하여 170~180℃에서 용융혼련시켜 접착제 조성물을 제조한 후 펠렛 타입으로 성형하였다. 이때, 상기 생분해성 저자극 수지는 폴리락트산 100중량부에 락트산 단량체 2.5중량부를 160℃로 5분동안 용융혼합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3]
나노실리카 1중량부를 더 첨가한 것만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고, 이를 실시예 3으로 하였다.
[비교예]
종래의 TPU 핫멜트 필름에서 이면지를 제거한 후 사용하였다.
[실험예]
(1) 메쉬접착강도
열용융 접착제의 메쉬접착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수평 지지대(232)와 지지대 커버 사이에 정량된 접착제 펠렛을 170℃에서 용융 도포한 후, 130℃에서 30초 동안 60㎏f/㎠의 압력으로 프레스 작업을 진행하고 메쉬접착강도(㎏f/㎠)를 측정하였다.
(2) 융융흐름지수
용융흐름지수 측정기의 가열 실린더에 펠렛 타입의 접착제를 가득 채우고 160℃에서 약 5분간 녹였다. 3㎏의 추를 얹고 10분간 실린더를 통해 통과되는 접착제의 중량(g)을 측정하였다.
Figure 112019067119312-pat00001
상기 표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접착제 조성물이 기존 제품보다 향상된 접착력과 흐름지수를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생분해 저자극 수지를 사용한 경우에도 접착렵과 흐름지수가 크게 떨어지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나노 실리카를 혼합하는 경우 흐름지수가 크게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도 4는 도 2의 전달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달부(230b)는, 수직 지지대(231), 수평 지지대(232) 및 탄성 지지대(400)를 포함한다.
탄성 지지대(400)는, 세정 대상물(300)을 전달하기 위해 수직 지지대(231)가 회동하는 경우 탄성력을 이용하여 수직 지지대(231)의 하측(즉, 도면상 걸림턱(233)의 후면)을 지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전달부(230b)는, 수직 지지대(231)의 반복적인 회동으로 인해 회동축(234)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수직 지지대(231)가 회동하면 탄성 지지대(400)를 이용하여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5는 도 4의 탄성 지지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탄성 지지대(400)는, 상판(410), 케이스(420) 및 상판 지지부(430)를 포함한다.
상판(410)은,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수직 지지대(231)의 하측을 지지하며, 상판 지지부(430)에 의하여 지지된다.
케이스(420)는, 상판(410)의 하측에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판 지지부(430)가 설치되기 위한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
상판 지지부(430)는, 케이스(420)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며, 상부가 케이스(420)의 상측으로 노출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판(410)을 지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탄성 지지대(400)는, 수직 지지대(231)가 회동할 경우 탄성력을 이용하여 수직 지지대(231)를 지지함으로써 수직 지지대(231)의 반복적인 구동에 따른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10은 도 5의 탄성 지지대의 각 구성들의 연결과계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판 지지부(430)는, 제1 지지부(431) 및 다수 개의 제2 지지부(432a, 432b, 432c, 432d)를 포함한다.
제1 지지부(431)는, 상판(410)의 중심을 지지하며, 상판(410)이 하강함에 따라 내부 공간에 담기 충전액을 다수 개의 제2 지지부(432a, 432b, 432c, 432d)로 공급한다.
제2 지지부(432a, 432b, 432c, 432d)는, 상판(410)의 각 모서리의 하측에 각각 설치되며,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판(410)의 모서리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하며, 상판(410)이 하강함에 따라 제1 지지부(431)로부터 공급되는 충전액에 의해 상하 방향의 이동이 제동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상판 지지부(430)는, 제1 지지부(431) 및 다수 개의 제2 지지부(432a, 432b, 432c, 432d)를 이용하여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판(410)를 효율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지지부(431)는, 제1 회동 체결부(4311), 제1 연결 볼(4312), 제1 지지 바아(4313), 충전액 탱크(4314) 및 연결관(4315)을 포함한다.
제1 회동 체결부(4311)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410)의 하측면의 중심 부분에 설치되며, 구형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여 제1 연결 볼(4312)이 연결 설치된다.
제1 연결 볼(4312)은, 제1 회동 체결부(4311)의 내부 공간의 형태에 대응하는 구형으로 형성되며, 제1 회동 체결부(4311)의 내부 공간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제1 지지 바아(4313)에 의하여 지지된다.
제1 지지 바아(4313)는, 제1 연결 볼(4312)의 하부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충전액 탱크(4314)의 내부 공간까지 연장 형성되어 제1 연결 볼(4312)을 지지하며, 상판(410)이 하강함에 따라 함께 하강하여 충전액 탱크(4314)에 담긴 충전액을 하측 방향으로 압착시킨다.
충전액 탱크(4314)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케이스(420)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며, 밀폐된 내부 공간에 충전액이 수용되며, 제1 지지 바아(4313)의 하부가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며, 상판(410)이 하강할 경우 제1 지지 바아(4313)의 하부가 내부 공간의 상측으로부터 하강함에 따라 충전액이 압착되어 연결관(4315)을 통과하여 제2 지지부(432)로 공급된다.
이때, 제1 지지 바아(4313)는, 충전액 탱크(4314)의 내부 공간에 담긴 충전액을 주사기의 구동 방식과 같이 압착시킬 수 있도록 충전액 탱크(4314)의 내부 공간의 형태에 대응하는 고무 재질의 패킹(P)이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연결관(4315)은, 충전액 탱크(4314)의 하부로부터 각 제2 지지부(432a, 432b, 432c, 432d)까지 각각 연장 형성되어 충전액이 흐르는 통로를 형성한다.
이하 제2 지지부(432)를 설명하기로 한다.
제2 지지부(432)는, 제2 회동 체결부(4321), 제2 연결 볼(4322), 제2 지지 바아(4323), 탄성 지지부(4324) 및 승하강 조절부(4325)를 포함한다.
제2 회동 체결부(4321)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410)의 하측면의 모서리에 설치되며, 구형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여 제2 연결 볼(4322)이 연결 설치된다.
제2 연결 볼(4322)은, 제2 회동 체결부(4321)의 내부 공간의 형태에 대응하는 구형으로 형성되며, 제2 회동 체결부(4321)의 내부 공간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제2 지지 바아(4323)에 의하여 지지된다.
제2 지지 바아(4323)는, 제2 연결 볼(4322)의 하부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케이스(420)의 내부 공간까지 연장 형성되어 제2 연결 볼(4322)을 지지하며, 탄성 지지부(4324)에 의하여 지지된다.
탄성 지지부(4324)는, 제2 지지 바아(4323)의 하측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제2 지지 바아(4323)를 케이스(420)의 내부 공간에서 지지한다.
승하강 조절부(4325)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홀(4325h)을 형성하는 원형의 튜브 형태로 형성되어 관통홀(4325h)에 제2 지지 바아(4323)가 삽입되며, 상판(410)이 하강할 경우 연결관(4315)을 통해 충전액이 내부 공간으로 공급되어 팽창함에 따라 관통홀(4325h)의 크기가 줄어들어 제2 지지 바아(4323)가 움직이지 못하도록 체결한다.
일 실시예에서, 승하강 조절부(4325)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액이 내부 공간으로 공급됨에 따라 관통홀(4325h)이 위치하는 내측 방향으로 팽창될 수 있도록 외측벽(4325o)이 경질의 재질로 형성되고, 제2 지지 바아(4323)와 대향하는 내측(4325i)이 팽창 또는 수축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상판 지지부(430)는, 제1 지지부(431) 및 다수 개의 제2 지지부(432a, 432b, 432c, 432d)을 이용하여 상판(410)을 지지하되, 탄성력을 형성하는 다수 개의 제2 지지부(432a, 432b, 432c, 432d)를 이용하여 상판(410)의 각 모서리를 기본적으로 지지하고, 상판(410)이 각 제2 지지부(432a, 432b, 432c, 432d)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하강하게 되어 제1 지지부(431)를 하강시키면, 제1 지지부(431)에 담긴 충전액이 압착되어 함께 하강되고 있는 각 제2 지지부(432a, 432b, 432c, 432d)로 공급되며, 충전액의 공급에 따른 팽창으로 인해 각 제2 지지부(432a, 432b, 432c, 432d)의 하강이 저지되어 상판(410)의 하강이 점진적으로 큰 저항을 받게 된다.
즉, 상판(410)이 처음에는 각 제2 지지부(432a, 432b, 432c, 432d)의 탄성력만을 이용하여 지지되나, 제1 지지부(431)가 함께 하강함에 따라 제1 지지부(431)으로부터 공급되는 충전액에 따른 밀착력에 의해 발생되는 저항값까지 추가됨으로써 상판(410)의 하강 구동이 줄어들게 되는 것이다.
도 11은 도 1의 적재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적재부(200b)는, 본체 케이스(210), 이송롤(220), 두 개의 전달부(230), 거치부(240) 및 탄성 지지부(500)를 포함한다.
탄성 지지부(500)는, 이송롤(220)의 일측 및 다른 일측이 연결 설치되는 본체 케이스(210)의 양측 면에 형성되는 중공홈(211)에 각각 설치되며, 이송롤(220)의 회전에 따른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이용하여 이송롤(220)을 하측에서 지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적재부(200b)는, 이송롤(220)의 동작 과정에서 발생되는 충격을 감쇄하여 롤러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1은 도 10의 탄성 지지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탄성 지지대(500)는, 몸체부(510), 제1 스탠드(520) 및 제2 스탠드(530)를 포함한다.
몸체부(510)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며, 다수 개의 스탠드(520a, 520b, 520c, 530a, 530b, 530c)가 연결 설치된다.
제1 스탠드(520)는, 다른 제1 스탠드(520)와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몸체부(510)의 상부를 따라 다수 개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갈수록 다른 제1 스탠드(520)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되어 상측에 안착된 이송롤(220)을 지지한다.
제2 스탠드(530)는, 다른 제2 스탠드(530)와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몸체부(510)의 하부를 따라 다수 개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갈수록 다른 제2 스탠드(530)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되어 몸체부(510)를 지지한다.
도 11의 제2 스탠드(530)는, 막대형으로 도시되었으나, 그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스탠드(520)와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어도 무방할 것이다.
도 12 및 도 13은 도 11의 몸체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몸체부(510)는, 바디(511), 상부 설치홈(512), 하부 설치홈(513), 탄성 지지체(514) 및 충격흡수 패드(515)를 포함한다.
바디(511)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며, 상부 및 하부에 형성된 상부 설치홈(512) 및 하부 설치홈(513)에 제1 스탠드(520) 및 제2 스탠드(530)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상부 설치홈(512)은, 제1 스탠드(520)의 하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도록 제1 스탠드(520)의 개수에 대응하여 바디(511)의 상부를 따라 형성되며, 하측으로부러 상측으로 갈수록 바디(511)의 외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하부 설치홈(513)은, 제2스탠드의 상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도록 제2 스탠드(530)의 개수에 대응하여 바디(511)의 하부를 따라 형성되며, 상측으로부러 하측으로 갈수록 바디(511)의 외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탄성 지지체(514)는, 상부 설치홈(512)에 설치된 제1 스탠드(520) 또는 하부 설치홈(513)에 설치된 제2 스탠드(530)가 직립될 수 있도록 하측을 바라보는 제1 스탠드(520)의 일측면과 상부 설치홈(512) 사이 및 상측을 바라보는 제2 스탠드(530)의 일측면과 하부 설치홈(513)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제1 스탠드(520) 및 제2 스탠드(530)를 지지한다.
충격흡수 패드(515)는, 제1 스탠드(520) 또는 제2 스탠드(530)와의 충돌에 따른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상부 설치홈(512)의 입구 및 하부 설치홈(513)의 입구를 따라 설치된다.
여기서, 하부 설치홈(513)의 내부 형성구조는 상술한 바와 같은 상부 설치홈(512)의 형성구조와 동일하므로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4은 도 11의 제1 스탠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을 참조하면, 제1 스탠드(520)는, 지지바아(521), 받침대(522) 및 슬라이딩 패드(523)를 포함한다.
지지바아(521)는, 상부 설치홈(512)에 하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하측 경사면이 탄성 지지체(514)에 의해 지지되고, 상부에 받침대(522)의 하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기 위한 연결홈(5211)을 형성한다.
받침대(522)는, 상부면이 평평하고 하측으로 갈수록 간격이 좁아지는 삼각형 형태로 형성되며, 하부가 지지바아(521)의 상부에 형성된 연결홈(5211)에 볼트(B) 및 너트(N) 등의 체결 수단을 이용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슬라이딩 패드(523)는, 상측에 안착되는 이송롤(220)과의 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된 빨래판 형태의 요철이 상부면을 따라 형성되고, 상측에 안착되는 이송롤(220)이 승강 또는 하강함에 따라 받침대(522)의 상부에 슬라이딩 이동된다.
일 실시예에서, 받침대(522)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면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홈(5221)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슬라이딩 패드(523)는, 슬라이딩홈(5221)에 연결 설치되어 슬라이딩 이동을 할 수 있도록 하측에 슬라이딩동기(5231)를 구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제1 스탠드(520)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에 위치하는 이송롤(220)을 지지하고 있는 슬라이딩 패드(523)는 해당 위치를 유지하는 반면, 상대적인 움직임을 위해 받침대(522)가 외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을 하면서 지지바아(521)에 연결 설치된 하부가 회동하면서 구동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제1 스탠드(520)는, 제2 스탠드(530)에 동일하게 적용이 가능한 바, 중복 설명을 피하기 위해 제2 스탠드(530)의 구성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정면기
100: 세정부
200: 적재부
300: 세정 대상물
400: 탄성 지지대
500: 탄성 지지부

Claims (2)

  1. 세정용 롤브러시를 이용하여 컨베이어롤을 통해 이송되는 세정 대상물의 표면처리공정을 수행하는 세정부; 및
    표면처리공정을 마친 뒤 상기 세정부로부터 전달되는 세정 대상물을 적재하는 적재부를 포함하되,
    각기 다른 두께로 제작되는 세정 대상물들의 표면처리공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세정용 롤브러시와 상기 세정용 롤브러시의 하측에 이격되어 설치되는 상기 컨베이어롤 사이의 간격이 세정 대상물의 두께에 대응하여 조절되고,
    상기 세정부는, 세정 대상물의 두께에 대응하여 열을 지어 다수 개가 설치되는 상기 컨베이어롤과 상기 컨베이어롤의 상측에 설치되어 세정 대상물을 세정하는 상기 세정용 롤브러시 사이의 간격이 자동으로 조절되며,
    상기 적재부는, 표면처리공정을 마친 세정 대상물이 배출되는 상기 세정부의 전단에 설치되며, 상측이 개방된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본체 케이스; 상기 본체 케이스의 내측 상부를 따라 서로 이격되어 다수 개가 열을 지어 설치되며, 회전하면서 상기 세정부로부터 배출되는 세정 대상물을 이송하는 이송롤; 상기 이송롤에 의해 뉘인 상태로 이송 중인 세정 대상물을 직립시켜 전달하는 두 개의 전달부; 및 상기 전달부에 의해 직립된 세정 대상물을 차례로 전달받아 거치하는 거치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달부는, 하부가 회동축에 의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 케이스에 연결 설치되고, 최후단에 위치하는 상기 이송롤과 대향하도록 직립하며, 세정 대상물이 전달되면 상측이 상기 거치부 방향으로 회동하는 수직 지지대; 및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수직 지지대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이송롤에 설치되는 롤러와 다른 롤러 사이의 공간에 안착되며, 세정 대상물이 상기 수직 지지대의 전단까지 전달되면 상기 수직 지지대가 회동함에 따라 함께 회동하여 세정 대상물의 하측을 들어올려 직립시킨 뒤 상기 거치부로 전달하는 수평 지지대를 포함하며,
    상기 전달부는, 세정 대상물을 전달하기 위해 상기 수직 지지대가 회동하는 경우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수직 지지대의 하측을 지지하는 탄성 지지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탄성 지지대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수직 지지대의 하측을 지지하는 상판; 상기 상판의 하측에 이격되어 설치되며,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며, 상부가 상기 케이스의 상측으로 노출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상판을 지지하는 상판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판 지지부는, 상기 상판의 중심을 지지하며, 상기 상판이 하강함에 따라 내부 공간에 담긴 충전액을 공급하는 제1 지지부; 및 상기 상판의 각 모서리의 하측에 각각 설치되며,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상판의 모서리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하며, 상기 상판이 하강함에 따라 상기 제1 지지부로부터 공급되는 충전액에 의해 상하 방향의 이동이 제동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지지부는, 상기 상판의 하측면의 중심에 설치되며, 구형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제1 회동 체결부; 상기 제1 회동 체결부의 내부 공간의 형태에 대응하는 구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회동 체결부의 내부 공간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1 연결 볼; 상기 제1 연결 볼의 하부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1 연결 볼을 지지하는 제1 지지 바아;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며, 밀폐된 내부 공간에 충전액이 수용되며, 상기 제1 지지 바아의 하부가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며, 상기 상판이 하강할 경우 상기 제1 지지 바아의 하부가 내부 공간의 상측으로부터 하강함에 따라 충전액이 압착되어 상기 제2 지지부로 공급되는 충전액 탱크; 및 상기 충전액 탱크의 하부로부터 상기 제2 지지부까지 연장 형성되어 충전액이 흐르는 통로를 형성하는 연결관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상판의 하측면의 모서리에 설치되며, 구형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제2 회동 체결부; 상기 제2 회동 체결부의 내부 공간의 형태에 대응하는 구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 회동 체결부의 내부 공간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2 연결 볼; 상기 제2 연결 볼의 하부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2 연결 볼을 지지하는 제2 지지 바아; 상기 제2 지지 바아의 하측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제2 지지 바아를 지지하는 탄성 지지부; 및 상하 방향으로 관통홀을 형성하는 원형의 튜브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관통홀에 상기 제2 지지 바아가 삽입되며, 상기 상판이 하강할 경우 상기 연결관을 통해 충전액이 내부 공간으로 공급되어 팽창함에 따라 상기 관통홀의 크기가 줄어들어 상기 제2 지지 바아가 움직이지 못하도록 체결하는 승하강 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승하강 조절부는, 충전액이 내부 공간으로 공급됨에 따라 상기 관통홀이 위치하는 내측 방향으로 팽창될 수 있도록 외측벽이 경질의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지지 바아와 대향하는 내측이 팽창 또는 수축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적재부는, 상기 이송롤의 일측 및 다른 일측이 연결 설치되는 상기 본체 케이스의 양측 면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이송롤의 회전에 따른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이송롤을 하측에서 지지하는 탄성 지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탄성 지지부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몸체부; 다른 제1 스탠드와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몸체부의 상부를 따라 다수 개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갈수록 다른 제1 스탠드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되어 상측에 안착된 상기 이송롤을 지지하는 제1 스탠드; 및 다른 제2 스탠드와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몸체부의 하부를 따라 다수 개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갈수록 다른 제2 스탠드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되어 상기 몸체부를 지지하는 제2 스탠드를 포함하는, 정면기
  2. 삭제
KR1020190078725A 2019-07-01 2019-07-01 정면기 KR1020312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8725A KR102031259B1 (ko) 2019-07-01 2019-07-01 정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8725A KR102031259B1 (ko) 2019-07-01 2019-07-01 정면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1259B1 true KR102031259B1 (ko) 2019-11-08

Family

ID=68542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8725A KR102031259B1 (ko) 2019-07-01 2019-07-01 정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125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99328A (zh) * 2021-05-21 2021-09-17 安徽环美刷业股份有限公司 一种平板工件清理用可调式辊刷装置
WO2021195806A1 (zh) * 2020-03-28 2021-10-07 南京博士汇创产业发展有限公司 一种用于农产品的精加工设备
CN113766761A (zh) * 2021-08-25 2021-12-07 信丰福昌发电子有限公司 一种多层线路板生产用酸洗磨板装置及其实施方法
CN115138606A (zh) * 2021-03-31 2022-10-04 合肥市科创快速模具技术发展有限公司 一种盖板表面杂质清理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92715Y2 (ja) * 1992-11-27 1999-03-24 セントラル硝子株式会社 ガラス板の積み込み装置
KR200278155Y1 (ko) 2002-03-06 2002-06-21 이 상 돈 인쇄 회로기판 정면기용 이송벨트
KR200314995Y1 (ko) 2003-02-25 2003-06-02 윤관현 정면기의 세정용 롤브러시
KR20110005075A (ko) * 2009-07-09 2011-01-17 주식회사 태성 간격 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92715Y2 (ja) * 1992-11-27 1999-03-24 セントラル硝子株式会社 ガラス板の積み込み装置
KR200278155Y1 (ko) 2002-03-06 2002-06-21 이 상 돈 인쇄 회로기판 정면기용 이송벨트
KR200314995Y1 (ko) 2003-02-25 2003-06-02 윤관현 정면기의 세정용 롤브러시
KR20110005075A (ko) * 2009-07-09 2011-01-17 주식회사 태성 간격 조절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95806A1 (zh) * 2020-03-28 2021-10-07 南京博士汇创产业发展有限公司 一种用于农产品的精加工设备
CN115138606A (zh) * 2021-03-31 2022-10-04 合肥市科创快速模具技术发展有限公司 一种盖板表面杂质清理装置
CN115138606B (zh) * 2021-03-31 2024-02-23 合肥市科创快速模具技术发展有限公司 一种盖板表面杂质清理装置
CN113399328A (zh) * 2021-05-21 2021-09-17 安徽环美刷业股份有限公司 一种平板工件清理用可调式辊刷装置
CN113766761A (zh) * 2021-08-25 2021-12-07 信丰福昌发电子有限公司 一种多层线路板生产用酸洗磨板装置及其实施方法
CN113766761B (zh) * 2021-08-25 2023-02-17 信丰福昌发电子有限公司 一种多层线路板生产用酸洗磨板装置及其实施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1259B1 (ko) 정면기
KR102041801B1 (ko) 중자 제조 장치용 코어성형 장치
KR102071416B1 (ko) 이송시스템
KR102055445B1 (ko) 고정용 지그
KR102061611B1 (ko) 이송시스템
EP1412425B1 (en) Breathable biodegradable hot melt composition
KR102032996B1 (ko) 절단 가공 장치
WO2000037737A1 (en) Face-up coating of carpet backs with polyurethane
KR102034465B1 (ko) 도금 장치
KR102034421B1 (ko) 연속 가공 시스템
KR102021340B1 (ko) 약품 박스 이송 시스템
KR102014430B1 (ko) 필름 권출장치
KR102033890B1 (ko) 폐유 수거 차량용 무게 측정 장치
KR102039937B1 (ko) 4주식 차량 정비용 리프트
KR102041806B1 (ko) 중자 제조 장치용 이송 장치
KR102009862B1 (ko) 자동차부품 보관 창고 시스템
KR102010578B1 (ko) 자재 보관 창고 시스템
KR102037198B1 (ko) 프로브 카드 검사 장치
KR102020871B1 (ko) 오토바이 보관 창고 시스템
KR102013352B1 (ko) 드론 및 해상용 안전 착지 장치
KR102029418B1 (ko) 복합소재 데크로드 시스템
KR102065458B1 (ko) 인테리어 시공방법
KR102014414B1 (ko) 파이프 밴딩 장치
KR102064587B1 (ko) 물품 보관 창고 시스템
KR102039978B1 (ko) 철판절곡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