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9862B1 - 자동차부품 보관 창고 시스템 - Google Patents

자동차부품 보관 창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9862B1
KR102009862B1 KR1020190073839A KR20190073839A KR102009862B1 KR 102009862 B1 KR102009862 B1 KR 102009862B1 KR 1020190073839 A KR1020190073839 A KR 1020190073839A KR 20190073839 A KR20190073839 A KR 20190073839A KR 102009862 B1 KR102009862 B1 KR 1020098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nd
parts
support
unit
lif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38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철기
Original Assignee
삼성상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상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상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738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98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98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98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05Constructional features of hoist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26Constructional features, e.g. walls assembly, decorative panels, comfort equipment, thermal or sound ins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24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16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28Impact protection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부품 보관 창고 시스템은, 자동차부품을 층별로 보관하는 창고; 및 상기 창고에 설치되어 상기 창고의 층별로 상기 자동차부품을 승강시키는 승강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부품 보관 창고 시스템 {Warehouse system for storing automobile parts}
본 발명은 자동차부품 보관 창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부품을 이송하여 보관할 수 있는 자동차부품 보관 창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창고는 물품을 보관하거나 보관된 물품을 관리하기 위한 시설물로,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창고는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기존의 물품만을 보관하는 기능에서 벗어나, 물품이 보관된 위치를 알려주고 물품의 입고 또는 출고에 따른 재고를 자동을 파악하는 등 더욱 다양한 형태로 발달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물품 보관 창고는 창고 자체의 구조적 기능을 발달시키는 데에만 한정되어 있어 창고에 물품을 보관하기 위하여 물품을 이송하는 이송 장치는 기존의 기술만을 사용하고 있으며, 더욱이 자동차부품 보관에 특화된 창고 시스템은 개시된 바 없다.
한국등록특허 제10-1495641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073583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자동차부품을 원하는 위치까지 승강시킨 후 보관하는 자동차부품 보관 창고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우천 시 이송되는 자동차부품을 보호하고, 이송 과정에서 발생되는 충격을 감소시켜 자동차부품을 안전하게 이송 및 보관하는 자동차부품 보관 창고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자동차부품 보관 창고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구성간의 접착력을 향상시켜 내구성이 향상된 자동차부품 보관 창고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부품 보관 창고 시스템은, 자동차부품을 층별로 보관하는 창고; 및 상기 창고에 설치되어 상기 창고의 층별로 상기 자동차부품을 승강시키는 승강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강장치는, 상기 창고의 일측에 설치되는 가이드 프레임;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며, 내부에 구동부가 배치되는 하우징;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 프레임을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는 승강부; 일단이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고, 롤 형태로 권취되어 있다가 우천시 하방으로 펼쳐지면서 상기 가이드 프레임을 덮어 상기 승강부를 이용한 자동차부품의 이송 과정에서 빗물을 차단하는 차단 부재; 및 상기 승강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차단 부재는, 복수 개의 단위 차단막이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결합되되, 어느 하나의 단위 차단막은 이웃하는 다른 단위 차단막과 힌지 결합되어 회동되고,
상기 승강부의 출입구에는 발판 프레임이 설치되고,
상기 발판 프레임은,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이송 롤러가 소정 간격마다 설치되고, 일단은 상기 승강부와 회동 가능한 형태로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승강부와의 회동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한 쌍의 지지 레그가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는, 각각의 상기 이송 롤러와 전기적 및 회로적으로 연결되어 소정 시간 간격으로 각각의 이송 롤러에 전류를 인가하여 저항값을 측정하고, 측정된 저항값의 변화량을 분석하여 복수의 상기 이송 롤러 중 어느 이송 롤러에 자동차부품이 안착되어 있는지를 감지하여, 상기 발판 프레임에 안착된 자동차부품이 상기 지지 레그가 설치된 타단으로부터 상기 승강부와 연결된 일단 방향으로 이송되도록 상기 지지 레그의 높이를 가변시키되,
상기 저항값의 변화량을 분석하여 상기 이송 롤러를 미끄러져 이동하는 자동차부품의 이송 속도를 산출하여, 상기 이송 속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하로 유지되도록 상기 지지대의 높이를 실시간 제어하고,
상기 승강장치는, 상기 승강부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발판 프레임으로부터 이송된 자동차부품을 파지하여 이송 과정에서 자동차부품의 이탈을 방지하는 파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파지부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상단에 설치되는 복수의 제1 스탠드; 및 상기 몸체부의 하단에 설치되는 복수의 제2 스탠드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바디; 상기 제1 스탠드의 하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스탠드의 개수에 대응하여 상기 바디의 상부를 따라 형성되며, 하측으로부러 상측으로 갈수록 상기 바디의 외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상부 설치홈; 상기 제2스탠드의 상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스탠드의 개수에 대응하여 상기 바디의 하부를 따라 형성되며, 상측으로부러 하측으로 갈수록 상기 바디의 외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하부 설치홈; 상기 상부 설치홈에 설치된 상기 제1 스탠드 또는 상기 하부 설치홈에 설치된 상기 제2 스탠드가 직립될 수 있도록 하측을 바라보는 상기 제1 스탠드의 일측면과 상기 상부 설치홈 사이 및 상측을 바라보는 상기 제2 스탠드의 일측면과 상기 하부 설치홈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스탠드 및 상기 제2 스탠드를 지지하는 탄성 지지체; 및 상기 제1 스탠드 또는 상기 제2 스탠드와의 충돌에 따른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 설치홈의 입구 및 상기 하부 설치홈의 입구를 따라 설치되는 충격흡수 패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스탠드는, 다른 제1 스탠드와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몸체부의 상부를 따라 다수 개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갈수록 다른 제1 스탠드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되어 상측에 안착된 자동차부품을 지지하고,
상기 상부 설치홈에 하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하측 경사면이 상기 탄성 지지체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바아; 상부면이 평평하고 하측으로 갈수록 간격이 좁아지는 삼각형 형태로 형성되며, 하부가 상기 지지바아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받침대; 및 상측에 안착되는 자동차부품과의 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된 빨래판 형태의 요철이 상부면을 따라 형성되고, 상측에 안착되는 자동차부품이 이동함에 따라 상기 받침대의 상부에 슬라이딩 이동되는 슬라이딩 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우천 시에도 자동차부품에 빗물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여 이송 과정에서 부품의 산화를 방지할 수 있으며, 승강부와 결합되는 발판 프레임을 이용하여 이송부로 이송될 부품을 자동으로 이송할 수 있다.
또한, 승강부에 설치되는 파지부가 승강부에 안착된 부품을 파지하여 이송 과정에서 물품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승강부의 승하강 과정에서 발생되는 충격을 감소시켜 이송장치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 조성물에 의해 본 발명의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간 결합력이 향상되어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부품 보관 창고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하우징에 설치되는 차단 부재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승강부의 구체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9는 도 1의 승강부에 설치되는 파지부의 구체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5는 도 1의 승강부에 설치되는 탄성 지지부의 구체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부품 보관 창고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부품 보관 창고 시스템(1000)은, 보관하고자 하는 자동차부품을 소정 위치까지 이송시켜 이송된 자동차부품을 층별로 보관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부품 보관 창고 시스템(1000)은 창고(100) 및 승강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
창고(100)는 자동차부품을 보관하기 위해 지면에 설치되는 구조물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자동차부품을 내부에 보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창고(100)는 복수의 층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각각의 층은 자동차부품을 소정 영역별로 구분하여 보관하기 위한 복수의 선반이 형성되어 있다.
승강장치(200)는 창고(100)에 설치되어 창고(100)의 층별로 자동차부품을 이송시키는 장치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장치(200)는 가이드프레임(210), 하우징(220) 및 승강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프레임(210)은 창고(100)의 외벽을 따라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구조물로, 후술하는 승강부(230)와 레일 결합되어 승강부(230)의 승강 또는 하강을 가이드할 수 있다.
하우징(220)은 가이드 프레임(210)의 상부에 설치되는 구성으로,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하우징(220)의 내부에는 구동부가 설치될 수 있으며, 구동부는 후술하는 승강부(230)와 연결되어 승강부(230)에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승강부(230)는 구동부와 연결되어 가이드 프레임(210)을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는 부재로, 사용자는 자동차부품을 상강부(230)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승강부를 상승 또는 하강시켜 자동차부품을 창고(100)의 원하는 높이까지 이송시킬 수 있다.
몇몇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치(200)는 우천 시 빗물을 차단할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2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승강장치(200)의 구체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승강장치(200)는 가이드프레임(210), 하우징(220), 승강부(230) 및 차단 부재(24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승강장치(200)를 구성하는 가이드프레임(210), 하우징(220) 및 승강부(230)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장치(200)를 구성하는 가이드프레임(210), 하우징(220) 및 승강부(230)과 동일하므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승강장치(200)는 차단 부재(2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차단 부재(240)는 하우징(220)의 일측에 설치되어 우천시 빗물을 차단하는 부재이다.
차단 부재(240)는 복수의 단위 차단막(240a)으로 구성되며, 복수의 단위 차단막(240a)은 길이 차단 부재(24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배열된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어느 하나의 단위 차단막(240a)은 이웃하는 양 쪽의 다른 단위 차단막과 힌지 결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차단 부재(240)는 단위 차단막(240a)이 연결되는 부분이 접히거나 펼쳐지도록 회동될 수 있다.
상술한 구조를 갖는 차단 부재(240)는 비가 오지 않은 상황에서는 각각의 단위 차단(240a)이 접혀 있는 상태로 유지되며, 이에 따라 차단 부재(240)는 각각의 단위 차단막(240a)이 롤 형태로 권취된 상태에서 하우징(220)의 일측에 보관될 수 있다.
반면, 우천 상황에서는 각각의 단위 차단막(240a)이 이웃하는 단위 차단막으로부터 펼쳐지게 되는데, 이러한 경우 차단 부재(240)는 차단막 형태로 펼쳐지게 되어 하우징(220)과 연결되지 않은 타단 부분이 지면으로 하강하여 펼쳐지게 된다. 이에 따라 우천 시 하우징(220) 전면 방향으로 낙하하는 빗물이 이송장치(200)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한편,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차단 부재(240)가 하우징(220)의 전면에만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우징(220)의 좌측면 및 우측면에 복수 개 형성되어 우천 시 승강장치(200) 내부로 빗물이 침투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치(200)는 우천시에도 승강부(230)를 통해 이송되는 자동차부품에 빗물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부품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치(200)를 구성하는 승강부(230)에는 발판 프레임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3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도 1의 승강부(230)의 구체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부(230)의 출입구 부분에는 발판 프레임(300)이 설치될 수 있다.
발판 프레임(300)은 승강부(230)와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이송하고자 할 물체(자동차부품)를 승강부(230)로 이송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발판 프레임(300)은, 일단이 승강부(230)와 회전축에 의해 결합되어 승강부(230)에 대하여 상대 회동하여 승강부(230)와의 각도가 가변되고, 타단에는 승강부(230)와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높이가 조절되는 한 쌍의 지지 레그(320)가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승강부(230)와 발판 프레임(300)은 힌지 결합되어 힌지 결합된 부분을 축으로 하여 폴딩 각도가 가변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작업자는 발판 프레임(300)을 승강부(230)에 대하여 각도 조절함으로써 승강부(230) 외측에 있던 자동차부품을 발판 프레임(300)을 통해 용이하게 승강부(230)로 이송시킬 수 있다. 이때, 작업자는 발판 프레임(300)의 타단에 형성된 지지 레그(320)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승강부(230)와 발판 프레임(300)가 이루는 각도를 유지시킬 수 있다.
한편, 발판 프레임(300)은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마다 이송 롤러(310)가 설치되어 있으며, 제어부(미도시)와 회로적 및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승강부(230) 또는 하우징(220)에 설치되어 발판 프레임(3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미도시)는, 발판 프레임(300)에 형성된 각각의 이송 롤러(310)와 전기적 및 회로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어부(미도시)는 소정 시간 간격으로 각각의 이송 롤러(310)에 전류를 인가하여 저항값을 측정하고, 측정된 저항값의 변화량을 분석하여 복수의 이송 롤러 중 어느 이송 롤러에 자동차부품이 안착되어 있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발판 프레임(300)에 설치된 각각의 이송 롤러(310)는 금속 재질로 마련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제어부(미도시)는 발판 프레임(300)에 설치된 각각의 이송 롤러에 전류를 인가하여 각각의 이송 롤러의 저항값을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이송 롤러에 물체가 안착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저항값과 물체가 안착되었을때의 저항값은 상이하기 때문에, 제어부(미도시)는 초기 상태에서 각각의 이송 롤러에 미세전류를 인가하여 저항값을 측정한 후 이를 기준값으로 설정하고, 이송 과정에서 주기적으로 수집되는 이송 롤러의 저항값을 기준값과 비교하여 저항값의 변화량을 측정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저항값의 변화량이 임계값을 초과하면 해당 이송 롤러에 물체가 안착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미도시)는 상술한 과정을 통해 감지되는 발판 프레임(300)에서의 물체의 위치를 기초로 발판 프레임(300)의 타측에 형성된 지지 레그(320)의 높이를 가변시킴으로써, 발판 프레임(300)가 승강부(230)와 이루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미도시)는 발판 프레임(300)의 타측에 안착된 물체를 작업자의 개입 없이 승강부(230)로 자동 이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미도시)는 각각의 이송 롤러의 저항값을 측정하여, 자동차부품이 현재 발판 프레임(300)을 구성하는 복수의 이송 롤러 중 승강부(230)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이송 롤러에 안착된 것으로 확인되면, 물체가 승강부(230)가 형성된 방향으로 이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미도시)는 발판 프레임(300)의 전단에 물체가 안착된 것으로 판단되면 지지 레그(320)를 승강시켜 발판 프레임(300)의 타측 높이가 높아지도록 함으로써 승강부(230)와 발판 프레임(300)가 이루는 각도가 커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발판 프레임(300)는 지지 레그(320)가 형성된 전단에서 승강부(230)가 형성된 후단으로 향할수록 낮아지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전단에 안착된 물체가 경사를 따라 미끄러져 자동으로 승강부(230)가 형성된 후단까지 이송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제어부(미도시)는 저항값의 변화량을 분석하여 이송 롤러를 미끄러져 이동하는 물체의 이송 속도를 산출하고, 이송 속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하로 유지되도록 지지 레그(320)의 높이를 실시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가 이송되는 물체의 특징에 관계없이 일률적으로 발판 프레임(300)의 각도를 조절하는 경우, 무거운 물체는 더욱 빨리 미끄러져 물체가 파손되거나 작업자의 부상을 유발할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해, 제어부(미도시)는 연속적으로 감지되는 저항값의 변화량이 감지되는 시간 간격에 기초하여 물체가 이송되는 이동 속도를 산출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산출된 이동 속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인 것으로 확인되면 물체의 이동 속도가 감소되도록 발판 프레임(300)의 지지 레그(320)를 비교적 낮은 위치까지 승강시킬 수 있다. 반면, 제어부(미도시)는 물체의 표면이 거칠어 디폴트 상태에서의 이동 속도가 지나치게 낮은 것으로 판단되면, 지지대(200)를 비교적 높은 위치까지 승강시킬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물체의 특성에 기반하여 승강부(230)와 발판 프레임(300)가 이루는 각도를 실시간 가변시켜 물체의 종류에 관계없이 항상 일정한 속도로 물체가 이송되도록 할 수 있다.
몇몇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승강부(230)에는 안착된 자동차부품을 파지하는 구성 및 승강부(230)의 승하강 과정에서 발생되는 충격을 감소하는 구성이 더 마련될 수도 있다.
먼저, 도 4 내지 도 9는 승강부(230)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자동차부품을 파지하는 파지부(500)의 구체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파지부(500)는 승강부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발판 프레임으로부터 이송된 자동차부품을 파지하여 이송 과정에서 자동차부품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파지부(500)는, 몸체부(510), 제1 스탠드(520) 및 제2 스탠드(530)를 포함한다.
몸체부(510)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며, 다수 개의 스탠드(520a, 520b, 520c, 530a, 530b, 530c)가 연결 설치된다.
제1 스탠드(520)는, 다른 제1 스탠드(520)와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몸체부(510)의 상부를 따라 다수 개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갈수록 다른 제1 스탠드(520)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되어 상측에 안착된 물체(자동차부품)를 지지한다.
제2 스탠드(530)는, 프레스 금형(121)으로부터 몸체부(510)를 지지하며, 구체적으로는 다른 제2 스탠드(530)와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몸체부(510)의 하부를 따라 다수 개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갈수록 다른 제2 스탠드(530)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되어 몸체부(510)를 지지한다.
도 4의 제2 스탠드(530)는 막대형으로 도시되었으나, 그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 스탠드(520)와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어도 무방할 것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4의 몸체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몸체부(510)는, 바디(511), 상부 설치홈(512), 하부 설치홈(513), 탄성 지지체(514) 및 충격흡수 패드(515)를 포함한다.
바디(511)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며, 상부 및 하부에 형성된 상부 설치홈(512) 및 하부 설치홈(513)에 제1 스탠드(520) 및 제2 스탠드(530)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상부 설치홈(512)은, 제1 스탠드(520)의 하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도록 제1 스탠드(520)의 개수에 대응하여 바디(511)의 상부를 따라 형성되며, 하측으로부러 상측으로 갈수록 바디(511)의 외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하부 설치홈(513)은, 제2스탠드의 상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도록 제2 스탠드(530)의 개수에 대응하여 바디(511)의 하부를 따라 형성되며, 상측으로부러 하측으로 갈수록 바디(511)의 외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탄성 지지체(514)는, 상부 설치홈(512)에 설치된 제1 스탠드(520) 또는 하부 설치홈(513)에 설치된 제2 스탠드(530)가 직립될 수 있도록 하측을 바라보는 제1 스탠드(520)의 일측면과 상부 설치홈(512) 사이 및 상측을 바라보는 제2 스탠드(530)의 일측면과 하부 설치홈(513)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제1 스탠드(520) 및 제2 스탠드(530)를 지지한다.
충격흡수 패드(515)는, 제1 스탠드(520) 또는 제2 스탠드(530)와의 충돌에 따른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상부 설치홈(512)의 입구 및 하부 설치홈(513)의 입구를 따라 설치된다.
도 7은 도 4의 제1 스탠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 스탠드(520)는, 지지바아(521), 받침대(522) 및 슬라이딩 패드(523)를 포함한다.
지지바아(521)는, 상부 설치홈(512)에 하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하측 경사면이 탄성 지지체(514)에 의해 지지되고, 상부에 받침대(522)의 하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기 위한 연결홈(5211)을 형성한다.
받침대(522)는, 상부면이 평평하고 하측으로 갈수록 간격이 좁아지는 삼각형 형태로 형성되며, 하부가 지지바아(521)의 상부에 형성된 연결홈(5211)에 볼트(B) 및 너트(N) 등의 체결 수단을 이용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슬라이딩 패드(523)는, 상측에 안착되는 결속홈(142)과의 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된 빨래판 형태의 요철이 상부면을 따라 형성되고, 상측에 안착되는 결속홈(142)이 승강 또는 하강함에 따라 받침대(522)의 상부에 슬라이딩 이동된다.
일 실시예에서, 받침대(522)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면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홈(5221)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슬라이딩 패드(523)는, 슬라이딩홈(5221)에 연결 설치되어 슬라이딩 이동을 할 수 있도록 하측에 슬라이딩동기(5231)를 구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제1 스탠드(52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에 위치하는 토류벽이 하강함에 따라 결속홈(142)을 지지하고 있는 슬라이딩 패드(523)는 해당 위치를 유지하는 반면, 상대적인 움직임을 위해 받침대(522)가 외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을 하면서 지지바아(521)에 연결 설치된 하부가 회동하면서 구동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제1 스탠드(520)는, 제2 스탠드(530)에 동일하게 적용이 가능한 바, 중복 설명을 피하기 위해 제2 스탠드(530)의 구성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0 내지 도 15는 도 1의 승강부(230)에 설치되는 탄성 지지부(400)의 구체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탄성 지지부(400)는 승강부(230)의 바닥면 배면에 설치되어 승강부(230)의 하강 시 발생되는 충격을 감소하거나 흡수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탄성 지지부(400)가 승강부(230)에 두개 설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두개 이상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탄성 지지부(400)는, 상판(410), 케이스(420) 및 상판 지지부(430)를 포함한다.
상판(410)은,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승강부(230)의 하단과 밀착되며, 상판 지지부(430)에 의하여 지지된다.
케이스(420)는, 상판(410)의 하측에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판 지지부(430)가 설치되기 위한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
상판 지지부(430)는, 케이스(420)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며, 상부가 케이스(420)의 상측으로 노출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판(410)을 지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탄성 지지대(400)는, 승강부(230)의 하부에 설치되어 승강부(230)의 승강 또는 하강 과정에서 승강부(230)로 전달되는 압력의 일부를 흡수하거나 분산시킬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5는 탄성 지지부(400)의 각 구성들의 연결과계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1를 참조하면, 상판 지지부(430)는, 제1 지지부(431) 및 다수 개의 제2 지지부(432a, 432b, 432c, 432d)를 포함한다.
제1 지지부(431)는, 상판(410)의 중심을 지지하며, 상판(410)이 하강함에 따라 내부 공간에 담기 충전액을 다수 개의 제2 지지부(432a, 432b, 432c, 432d)로 공급한다.
제2 지지부(432a, 432b, 432c, 432d)는, 상판(410)의 각 모서리의 하측에 각각 설치되며,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판(410)의 모서리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하며, 상판(410)이 하강함에 따라 제1 지지부(431)로부터 공급되는 충전액에 의해 상하 방향의 이동이 제동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상판 지지부(430)는, 제1 지지부(431) 및 다수 개의 제2 지지부(432a, 432b, 432c, 432d)를 이용하여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판(410)를 효율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제1 지지부(431)는, 제1 회동 체결부(4311), 제1 연결 볼(4312), 제1 지지 바아(4313), 충전액 탱크(4314) 및 연결관(4315)을 포함한다.
제1 회동 체결부(4311)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410)의 하측면의 중심 부분에 설치되며, 구형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여 제1 연결 볼(4312)이 연결 설치된다.
제1 연결 볼(4312)은, 제1 회동 체결부(4311)의 내부 공간의 형태에 대응하는 구형으로 형성되며, 제1 회동 체결부(4311)의 내부 공간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제1 지지 바아(4313)에 의하여 지지된다.
제1 지지 바아(4313)는, 제1 연결 볼(4312)의 하부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충전액 탱크(4314)의 내부 공간까지 연장 형성되어 제1 연결 볼(4312)을 지지하며, 상판(410)이 하강함에 따라 함께 하강하여 충전액 탱크(4314)에 담긴 충전액을 하측 방향으로 압착시킨다.
충전액 탱크(4314)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케이스(420)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며, 밀폐된 내부 공간에 충전액이 수용되며, 제1 지지 바아(4313)의 하부가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며, 상판(410)이 하강할 경우 제1 지지 바아(4313)의 하부가 내부 공간의 상측으로부터 하강함에 따라 충전액이 압착되어 연결관(4315)을 통과하여 제2 지지부(432)로 공급된다.
이때, 제1 지지 바아(4313)는, 충전액 탱크(4314)의 내부 공간에 담긴 충전액을 주사기의 구동 방식과 같이 압착시킬 수 있도록 충전액 탱크(4314)의 내부 공간의 형태에 대응하는 고무 재질의 패킹(P)이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연결관(4315)은, 충전액 탱크(4314)의 하부로부터 각 제2 지지부(432a, 432b, 432c, 432d)까지 각각 연장 형성되어 충전액이 흐르는 통로를 형성한다.
이하 제2 지지부(432)를 설명하기로 한다.
제2 지지부(432)는, 제2 회동 체결부(4321), 제2 연결 볼(4322), 제2 지지 바아(4323), 탄성 지지부(4324) 및 승하강 조절부(4325)를 포함한다.
제2 회동 체결부(4321)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410)의 하측면의 모서리에 설치되며, 구형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여 제2 연결 볼(4322)이 연결 설치된다.
제2 연결 볼(4322)은, 제2 회동 체결부(4321)의 내부 공간의 형태에 대응하는 구형으로 형성되며, 제2 회동 체결부(4321)의 내부 공간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제2 지지 바아(4323)에 의하여 지지된다.
제2 지지 바아(4323)는, 제2 연결 볼(4322)의 하부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케이스(420)의 내부 공간까지 연장 형성되어 제2 연결 볼(4322)을 지지하며, 탄성 지지부(4324)에 의하여 지지된다.
탄성 지지부(4324)는, 제2 지지 바아(4323)의 하측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제2 지지 바아(4323)를 케이스(420)의 내부 공간에서 지지한다.
승하강 조절부(4325)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홀(4325h)을 형성하는 원형의 튜브 형태로 형성되어 관통홀(4325h)에 제2 지지 바아(4323)가 삽입되며, 상판(410)이 하강할 경우 연결관(4315)을 통해 충전액이 내부 공간으로 공급되어 팽창함에 따라 관통홀(4325h)의 크기가 줄어들어 제2 지지 바아(4323)가 움직이지 못하도록 체결한다.
일 실시예에서, 승하강 조절부(4325)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액이 내부 공간으로 공급됨에 따라 관통홀(4325h)이 위치하는 내측 방향으로 팽창될 수 있도록 외측벽(4325o)이 경질의 재질로 형성되고, 제2 지지 바아(4323)와 대향하는 내측(4325i)이 팽창 또는 수축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상판 지지부(430)는, 제1 지지부(431) 및 다수 개의 제2 지지부(432a, 432b, 432c, 432d)을 이용하여 상판(410)을 지지하되, 탄성력을 형성하는 다수 개의 제2 지지부(432a, 432b, 432c, 432d)를 이용하여 상판(410)의 각 모서리를 기본적으로 지지하고, 상판(410)이 각 제2 지지부(432a, 432b, 432c, 432d)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하강하게 되어 제1 지지부(431)를 하강시키면, 제1 지지부(431)에 담긴 충전액이 압착되어 함께 하강되고 있는 각 제2 지지부(432a, 432b, 432c, 432d)로 공급되며, 충전액의 공급에 따른 팽창으로 인해 각 제2 지지부(432a, 432b, 432c, 432d)의 하강이 저지되어 상판(410)의 하강이 점진적으로 큰 저항을 받게 된다.
즉, 상판(410)이 처음에는 각 제2 지지부(432a, 432b, 432c, 432d)의 탄성력만을 이용하여 지지되나, 제1 지지부(431)가 함께 하강함에 따라 제1 지지부(431)으로부터 공급되는 충전액에 따른 밀착력에 의해 발생되는 저항값까지 추가됨으로써 상판(410)의 하강 구동이 줄어들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부품 보관 창고 시스템(1000)을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는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 조성물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승강부(230)와 탄성 지지부(400)는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 조성물에 의해 결합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부품 보관 창고 시스템(1000)을 구성하는 다른 구성요소들(예컨대 가이드 프레임(210)과 하우징(220) 등)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 조성물에 의해 접착되어 접착력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착제 조성물은, 열가소성 수지 40~80 중량부, 점착부여수지 5~40 중량부, 송진 1~5 중량부, 가소제 1~10 중량부, 충전재 1~10 중량부 및 산화방지제 0.1~1중량부를 포함한다. 이하, 각 성분을 자세히 살펴본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조성물의 주성분으로서, 접착력과 응집력 등을 조절하는 기능을 한다. 비닐기 또는 수산화기를 포함하는 것이라면 그 종류가 크게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폴리비닐아세테이트, 폴리비닐알코올,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및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 대비 40~8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함량이 40 중량부 미만이면 용융 점도가 높아지고 용융 흐름 지수는 낮아져 작업성이 매우 떨어지게 되며, 함량이 80 중량부를 초과하면 원단에 바로 적용되기에 충분한 접착력을 발휘하기 어렵다.
상기 점착부여수지는 저분자량 수지로, 용융 점도를 낮추어 작업성을 향상시키며, 접착 초기 젖음성과 접착제의 피착재 표면에서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고, 고화시간 등의 조절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점착부여수지는 그 종류가 크게 제한되지 않으나, 석유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점착부여수지는 지방족 탄화수소 수지, 지환족 탄화수소 수지, 방향족 탄화수소 수지, 방향족에 의해 개질된 지방족 탄화수소 수지, 및 하이드로겐화 탄화수소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방족 탄화수소 수지는 상업적인 제품으로 코오롱유화사의 Hikorez A-1100, Hikorez A-1100S, Hikorez C-1100, Hikorez R-1100, Hikorez R-1100S 등이 있다. 또한, 지환족 탄화수소 수지로는 디사이클로펜타디엔(DCPD)을 단량체로 포함하는 탄화수소 수지 등이 있고, 방향족 탄화수소 수지는 상업적으로 코오롱유화사의 Hikotack P-110S, Hikotack P-120, Hikotack P-120HS, Hikotack P-120S, Hikotack P-140, Hikotack P-140M, Hikotack P-150, Hikotack P-160, Hikotack P-90, Hikotack P-90S, Hirenol PL-1000, Hirenol PL-400 등이 있다. 또한, 방향족에 의해 개질된 지방족 탄화수소 수지는 상업적으로 코오롱유화사의 Hikorez T-1080, Hikorez T-1100 등이 있다. 또한, 하이드로겐화 탄화수소 수지는 하이드로겐화 지방족 탄화수소 수지, 하이드로겐화 방향족 탄화수소 수지 등으로 세분화될 수 있으며, 상업적으로 코오롱유화사의 Sukorez D-300, Sukorez D-390, Sukorez SU-100, Sukorez SU-110, Sukorez SU-120, Sukorez SU-130, Sukorez SU-90 등이 있다.
상기 점착부여수지는 바람직하게는 단량체의 탄소 수가 4~10인 탄화수소 수지이며, 구체적으로 C5 지방족 수지, C9 방향족 수지, C5/C9 지방족/방향족 공중합 수지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점착부여수지는 보다 바람직하게 단량체로 디사이클로펜타디엔을 포함하는 하이드로겐화 탄화수소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상업적으로 코오롱유화사(한국)의 Sukorez D-300, Sukorez D-390, Sukorez SU-100, Sukorez SU-110, Sukorez SU-120, SukorezSU-130, Sukorez SU-90 등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접착제 조성물은 앞서 설명한 다양한 석유수지에 생분해성 저자극 수지를 함께 혼합해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생분해성 저자극 수지는 생분해성 폴리머에 폴리머의 단량체를 용융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상기 생분해성 폴리머로는 폴리락트산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락트산은 유산의 축중합 도는 락티드의 개환중합에 의해 합성되는 폴리에스터로서 폴리아미드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중간 정도의 물성을 갖고 있으며, 주로 감자와 옥수수로부터 얻어지는 천연 식물성 당 성분을 원료로 하므로 생분해도가 높지만 일반적으로 경도가 높고, 탄성이 낮으며, 내구성이 떨어지는 특성이 있다.
상기 생분해성 폴리머에는 동일한 폴리머 단량체를 용융혼합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생분해성 폴리머는 단량체와 결합되면서 쇄절단이 부분적으로 발생되어 전체적으로 수평균분자량이 떨어진다. 상기 수평균분자량이 떨어지면서 점착제로 사용할 수 있는 물성을 나타내며 가공성이 높아지게 된다.
상기 폴리락트산 100 중량부에 대해, 상기 락트산 단량체는 20 내지 30 중량부를 혼합할 수 있다. 상기 단량체가 20중량부 미만으로 혼합되면, 수평균분자량이 높고 딱딱하여 점착제로 사용되기 어려우며, 상기 단량체가 40 중량부를 초과하면 표면에 마이그레이션이 발생하여 역시 점착제로 사용하기 어려울 수 있다.
상기 석유수지와 생분해성 저자극 수지의 혼합비율은 1~2:1(w/w)인 것이 바람직하며, 석유수지의 혼합비율이 너무 높은 경우 생분해성 저자극 효과가 나오기 힘들고, 저자극 수지의 혼합비율이 너무 높은 경우 경제성이 떨어지고 전체적인 점착 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점착부여수지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 대비 5~4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함량이 5 중량부 미만이면 점착부여 수지 첨가에 따른 용융 점도 저하 효과가 미비하고 그에 따른 용융 흐름 지수의 증가가 크지 않아 작업성이 만족할 만한 수준에 도달하지 못할 염려가 있고, 함량이 30 중량부를 초과하면 점착부여수지의 초과에 따른 용융흐름지수 증가율이 크지 않아 경제성이 떨어지고 상대적으로 열가소성 폴리머의 함량이 줄어들어 조성물의 전체적인 물성을 저하시킬 염려가 있다.
상기 송진은 접착제 조성물의 전체적인 접착력을 개선시키는 역할을 하며 인체에 무해하며 천연방부제 역할을 한다. 상기 송진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 대비 1~5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함량이 1 중량부 미만이면 접착력 개선 효과를 얻기 어려우며, 함량이 5 중량부를 초과하면 가공시에 점착력이 증대되어 제품으로의 가공이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가소제는 고분자에 유연성 및 접착성을 부여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가소제의 종류는 크게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솔비톨, 에틸렌글리콜, 글리세린, 글리세린디아세테이트, 및 펜타에리쓰리톨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소제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 대비 1~1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함량이 1 중량부 미만이면 가소제의 첨가에 따른 효과가 미비하고, 함량이 10 중량부를 초과하면 가소제의 과다 사용에 의해 경제성이 떨어질 수 있으며, 접착제의 전체적인 물성을 저하시킬 염려가 있다.
상기 충전재는 조성물의 보강 및 흐름성을 조절하기 위해 사용된다. 충전재의 종류는 크게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탄산칼슘, 점토, 벤토나이트, 또는 칼슘스테아레이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접착제 조성물은 프레스 금형(121) 일측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적용 환경상 악취 및 세균이 발생하기 쉽다. 이에 본 발명은 접착제 조성물의 보강 및 흐름성을 조절하면서도 악취 및 세균발생을 저하시기키 위하여, 충전재로서 석분(stone powder)과 펄프 분말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석분은 입자의 치밀함으로 인하여 첨가제를 다량 사용하지 않아도 높은 강도를 구현할 수 있고, 주변 환경에 따른 부피 변형률이 낮아 온도 변화가 큰 경우에도 접착제의 갈라짐 현상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상기 석분은 황토석, 대리석, 맥반석, 화강석, 옥석 등 다양한 암석의 분말 형태가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항균성, 항곰팡이성, 자외선 방출 등 다양한 기능을 가지는 황토석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펄프 분말은 액체 성분들을 빨아들이면서 석분들을 응집하는 역할을 하며 성분들간 혼화성을 높이고 응집력을 향상시킨다. 이때, 상기 석분과 펄프 분말은 7:3~8:2(w/w) 정도의 비율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충전재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 대비 1~1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함량이 1 중량부 미만이면 충전재의 첨가에 따른 효과가 미비하고, 함량이 10 중량부를 초과하면 접착제의 전체적인 물성을 저하시킬 염려가 있다.
상기 산화방지제는 산화 및 분해로 인한 점도의 변화, 황변현상, 접착력 저하 및 내구성 저하 등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종류는 크게 제한되지 않으며 구체적으로 페놀류, 방향족 아민류, 구연산, 또는 아스코르브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산화방지제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 대비 0.1~1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함량이 0.1 중량부 미만이면 산화방지제의 첨가에 따른 효과가 미비하고, 함량이 1 중량부를 초과하면 접착제의 경제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전체적인 물성을 저하시킬 염려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접착제 조성물은 프레스 작업을 통해 승강부(230) 하부면에 형성되는데, 이때 조성물의 양이 치우지거나 하는 이유로 접착 불량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접착제 조성물은 접착제 조성물이 표면에 균일하게 분배되도록 하여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나노 실리카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나노 실리카의 함량은 0.1~5 중량부가 바람직하며, 나노 실리카의 사이즈(primary particles)는 100n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나노실리카의 함량이 0.1 중량부 미만인 경우 나노실리카 첨가에 따른 효과가 미미하며, 5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접착력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시간이 지날수록 접착제의 표면에 블루밍(blooming)이 발생하는 불량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와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60 중량부, Sukorez D-300 25중량부, 송진 3중량부, 에틸렌글리콜 5중량부, 황토석 4중량부, 펄프분말 2중량부 및 아스코르브산 1중량부를 혼합하여 170~180℃에서 용융혼련시켜 접착제 조성물을 제조한 후 펠렛 타입으로 성형하였다. 이때, 상기 생분해성 저자극 수지는 폴리락트산 100중량부에 락트산 단량체 2.5중량부를 160℃로 5분동안 용융혼합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60중량부, Sukorez D-300 15중량부, 생분해성 저자극 수지 10중량부, 송진 3중량부, 에틸렌글리콜 5중량부, 황토석 4중량부, 펄프분말 2중량부 및 아스코르브산 1중량부를 혼합하여 170~180℃에서 용융혼련시켜 접착제 조성물을 제조한 후 펠렛 타입으로 성형하였다. 이때, 상기 생분해성 저자극 수지는 폴리락트산 100중량부에 락트산 단량체 2.5중량부를 160℃로 5분동안 용융혼합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3]
나노실리카 1중량부를 더 첨가한 것만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고, 이를 실시예 3으로 하였다.
[비교예]
종래의 TPU 핫멜트 필름에서 이면지를 제거한 후 사용하였다.
[실험예]
(1) 메쉬접착강도
열용융 접착제의 메쉬접착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두 장의 덧버선 원단 사이에 정량된 접착제 펠렛을 170℃에서 용융 도포한 후, 130℃에서 30초 동안 60㎏f/㎠의 압력으로 프레스 작업을 진행하고 메쉬접착강도(㎏f/㎠)를 측정하였다.
(2) 융융흐름지수
용융흐름지수 측정기의 가열 실린더에 펠렛 타입의 접착제를 가득 채우고 160℃에서 약 5분간 녹였다. 3㎏의 추를 얹고 10분간 실린더를 통해 통과되는 접착제의 중량(g)을 측정하였다.
Figure 112019063602786-pat00001
상기 표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접착제 조성물이 기존 제품보다 향상된 접착력과 흐름지수를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생분해 저자극 수지를 사용한 경우에도 접착렵과 흐름지수가 크게 떨어지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나노 실리카를 혼합하는 경우 흐름지수가 크게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창고
200: 이송장치

Claims (2)

  1. 자동차부품을 층별로 보관하는 창고; 및
    상기 창고에 설치되어 상기 창고의 층별로 상기 자동차부품을 승강시키는 승강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승강장치는, 상기 창고의 일측에 설치되는 가이드 프레임;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며, 내부에 구동부가 배치되는 하우징;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 프레임을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는 승강부; 일단이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고, 롤 형태로 권취되어 있다가 우천시 하방으로 펼쳐지면서 상기 가이드 프레임을 덮어 상기 승강부를 이용한 자동차부품의 이송 과정에서 빗물을 차단하는 차단 부재; 및 상기 승강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차단 부재는, 복수 개의 단위 차단막이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결합되되, 어느 하나의 단위 차단막은 이웃하는 다른 단위 차단막과 힌지 결합되어 회동되고,
    상기 승강부의 출입구에는 발판 프레임이 설치되고,
    상기 발판 프레임은,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이송 롤러가 소정 간격마다 설치되고, 일단은 상기 승강부와 회동 가능한 형태로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승강부와의 회동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한 쌍의 지지 레그가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는, 각각의 상기 이송 롤러와 전기적 및 회로적으로 연결되어 소정 시간 간격으로 각각의 이송 롤러에 전류를 인가하여 저항값을 측정하고, 측정된 저항값의 변화량을 분석하여 복수의 상기 이송 롤러 중 어느 이송 롤러에 자동차부품이 안착되어 있는지를 감지하여, 상기 발판 프레임에 안착된 자동차부품이 상기 지지 레그가 설치된 타단으로부터 상기 승강부와 연결된 일단 방향으로 이송되도록 상기 지지 레그의 높이를 가변시키되,
    상기 저항값의 변화량을 분석하여 상기 이송 롤러를 미끄러져 이동하는 자동차부품의 이송 속도를 산출하여, 상기 이송 속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하로 유지되도록 지지대의 높이를 실시간 제어하고,
    상기 승강장치는, 상기 승강부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발판 프레임으로부터 이송된 자동차부품을 파지하여 이송 과정에서 자동차부품의 이탈을 방지하는 파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파지부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상단에 설치되는 복수의 제1 스탠드; 및 상기 몸체부의 하단에 설치되는 복수의 제2 스탠드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바디; 상기 제1 스탠드의 하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스탠드의 개수에 대응하여 상기 바디의 상부를 따라 형성되며,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갈수록 상기 바디의 외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상부 설치홈; 상기 제2스탠드의 상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스탠드의 개수에 대응하여 상기 바디의 하부를 따라 형성되며,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갈수록 상기 바디의 외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하부 설치홈; 상기 상부 설치홈에 설치된 상기 제1 스탠드 또는 상기 하부 설치홈에 설치된 상기 제2 스탠드가 직립될 수 있도록 하측을 바라보는 상기 제1 스탠드의 일측면과 상기 상부 설치홈 사이 및 상측을 바라보는 상기 제2 스탠드의 일측면과 상기 하부 설치홈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스탠드 및 상기 제2 스탠드를 지지하는 탄성 지지체; 및 상기 제1 스탠드 또는 상기 제2 스탠드와의 충돌에 따른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 설치홈의 입구 및 상기 하부 설치홈의 입구를 따라 설치되는 충격흡수 패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스탠드는, 다른 제1 스탠드와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몸체부의 상부를 따라 다수 개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갈수록 다른 제1 스탠드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되어 상측에 안착된 자동차부품을 지지하고,
    상기 상부 설치홈에 하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하측 경사면이 상기 탄성 지지체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바아; 상부면이 평평하고 하측으로 갈수록 간격이 좁아지는 삼각형 형태로 형성되며, 하부가 상기 지지바아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받침대; 및 상측에 안착되는 자동차부품과의 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된 빨래판 형태의 요철이 상부면을 따라 형성되고, 상측에 안착되는 자동차부품이 이동함에 따라 상기 받침대의 상부에 슬라이딩 이동되는 슬라이딩 패드를 포함하는, 자동차부품 보관 창고 시스템.
  2. 삭제
KR1020190073839A 2019-06-21 2019-06-21 자동차부품 보관 창고 시스템 KR1020098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3839A KR102009862B1 (ko) 2019-06-21 2019-06-21 자동차부품 보관 창고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3839A KR102009862B1 (ko) 2019-06-21 2019-06-21 자동차부품 보관 창고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9862B1 true KR102009862B1 (ko) 2019-10-21

Family

ID=68460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3839A KR102009862B1 (ko) 2019-06-21 2019-06-21 자동차부품 보관 창고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986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06996A (zh) * 2020-07-22 2020-10-23 广州慧聪智能装备有限公司 一种提升道闸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2011A (ja) * 1994-06-28 1996-01-16 Jiyarotsuku:Kk 倉庫における保管棚への搬送装置
US20130334010A1 (en) * 2012-06-18 2013-12-19 Vistaprint Technologies Limited Ergonomic manufacturing tray and processing method
KR101495641B1 (ko) 2013-12-11 2015-02-26 주식회사 아세테크 자동 보관 창고 장치
KR20150073583A (ko) 2013-12-23 2015-07-0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 창고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부품 적재 방법
WO2016130962A1 (en) * 2015-02-13 2016-08-18 Abbott Laboratories Automated storage modules for diagnostic analyzer liquids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US20170174431A1 (en) * 2015-06-24 2017-06-22 Hds Mercury, Inc. Robotic frame and power transfer device
US20180044111A1 (en) * 2015-04-15 2018-02-15 Ocado Innovation Limited Storage systems and methods
JP2019043685A (ja) * 2017-08-30 2019-03-22 株式会社ダイフク スタッカークレーン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2011A (ja) * 1994-06-28 1996-01-16 Jiyarotsuku:Kk 倉庫における保管棚への搬送装置
US20130334010A1 (en) * 2012-06-18 2013-12-19 Vistaprint Technologies Limited Ergonomic manufacturing tray and processing method
KR101495641B1 (ko) 2013-12-11 2015-02-26 주식회사 아세테크 자동 보관 창고 장치
KR20150073583A (ko) 2013-12-23 2015-07-0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 창고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부품 적재 방법
WO2016130962A1 (en) * 2015-02-13 2016-08-18 Abbott Laboratories Automated storage modules for diagnostic analyzer liquids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US20180044111A1 (en) * 2015-04-15 2018-02-15 Ocado Innovation Limited Storage systems and methods
US20170174431A1 (en) * 2015-06-24 2017-06-22 Hds Mercury, Inc. Robotic frame and power transfer device
JP2019043685A (ja) * 2017-08-30 2019-03-22 株式会社ダイフク スタッカークレーン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06996A (zh) * 2020-07-22 2020-10-23 广州慧聪智能装备有限公司 一种提升道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9862B1 (ko) 자동차부품 보관 창고 시스템
KR102032996B1 (ko) 절단 가공 장치
KR102010578B1 (ko) 자재 보관 창고 시스템
KR102071416B1 (ko) 이송시스템
KR102021340B1 (ko) 약품 박스 이송 시스템
KR102016894B1 (ko) 센서 검교정 시스템
KR102039937B1 (ko) 4주식 차량 정비용 리프트
KR102034421B1 (ko) 연속 가공 시스템
KR102034465B1 (ko) 도금 장치
KR102055445B1 (ko) 고정용 지그
CN212075666U (zh) 一种钙粉成品平整及码垛装置
KR102065458B1 (ko) 인테리어 시공방법
KR102033890B1 (ko) 폐유 수거 차량용 무게 측정 장치
KR102020871B1 (ko) 오토바이 보관 창고 시스템
KR102044733B1 (ko) Wms erp를 적용한 스마트 물류관리시스템
KR102014430B1 (ko) 필름 권출장치
KR102037355B1 (ko) 언코일러
KR102029418B1 (ko) 복합소재 데크로드 시스템
CN104495277A (zh) 一种中央液压升降装置及应用该装置的液压运输系统
KR102073888B1 (ko) 플라스틱 원료 배합 장치
KR102035580B1 (ko) 플라스틱 원료 배합 장치
KR102016043B1 (ko) 성형 장치
CN204549463U (zh) 一种直插式拨叉拆叠盘装置
KR102104575B1 (ko) 다목적 자재 보관 창고
KR102098379B1 (ko) 분리가 용이한 밴드구조체 및 밴드구조체용 필름 언코일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