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7360Y1 - 차량정비용 리프트 - Google Patents

차량정비용 리프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7360Y1
KR200247360Y1 KR2020010017123U KR20010017123U KR200247360Y1 KR 200247360 Y1 KR200247360 Y1 KR 200247360Y1 KR 2020010017123 U KR2020010017123 U KR 2020010017123U KR 20010017123 U KR20010017123 U KR 20010017123U KR 200247360 Y1 KR200247360 Y1 KR 2002473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aulic
vehicle
lift
arm
bu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71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을천
Original Assignee
진을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을천 filed Critical 진을천
Priority to KR20200100171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736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73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7360Y1/ko

Links

Landscapes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휠 얼라이어먼트(Wheel Alignment) 점검 및 교정, 타이어교체 또는 자동차의 하체 점검 등을 위해서 자동차를 들어 올리는 자동차정비용 리프트에 관한 것으로 유압에 의해 캐리어를 승·하강시키도록 하는 리프트에 있어서, 좌우의 포스트에 장착되어진 유압실린더를 보다 정밀하게 동시에 작동시킬 수 있도록 좌측 유압실린더와 우측 유압실린더에서 동일한 거리에 유압분배기를 장착하고, 유압라인이 파손되었을 때에 캐리어에 올려진 차량의 무게에 의해 차량이 급하강되지 않도록 유압실린더의 유압공급포트에 안전밸브를 장착하며, 암에 장착되어 차량의 하체를 받치는 차량받침대가 파손되었을 때에 차량받침대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된 차량정비용 리프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정비용 리프트{Lift for cars maintenance}
본 고안은 자동차의 휠 얼라이어먼트(Wheel Alignment) 점검 및 교정, 타이어교체 또는 자동차의 하체 점검 등을 위해서 자동차를 들어 올리는 자동차정비용 리프트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압에 의해 캐리어를 승·하강시키도록 하는 2주식 리프트에 있어서, 좌우의 포스트에 장착되어진 유압실린더를 보다 정밀하게 동시에 작동시킬 수 있도록 좌측유압실린더와 우측유압실린더에 동일한 거리에 유압분배기를 장착하고, 유압라인이 파손되었을 때에 캐리어에 올려진 차량의 무게에 의해 차량이 급하강되지 않도록 유압실린더의 유압공급포트에 안전밸브를 장착하며, 차량의 무게에 의해 암에 장착되어 차량의 하체를 받치는 차량받침대가 파손되었을 때에 차량받침대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된 차량정비용 리프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차량정비용 리프트(1)는 첨부도면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포스트(2a)(2b)가 세워 설치되고, 양 포스트(2a)(2b)의 상단은 횡지지대(3)로 지지되며, 횡지지대(3)의 하측으로 높이제한 가이드봉(4)이 매달려지고, 양 포스트(2a)(2b)의 내측에는 유압에 의해 작동되는 유압실린더(5a)(5b)가 각각 세워 설치되며, 유압펌프(6)와 오일탱크(7)가 일체로 형성되어 일측의 포스트(2a)의 중단에 장착되고, 포스트(2a)의 일측에 유압분배기(9)가 장착되며, 유압분배기(9)에서 양 포스트(2a)(2b)에 설치된 유압실린더(5a)(5b)에 작동유체를 공급하게 되고, 유압실린더(5a)(5b)의 실린더로드에는 캐리어(10)가 장착되어 유압실린더(5a)(5b)작동에 의해 캐리어(10)가 승·하강하게 되며, 캐리어(10)는 벌려지거나 오므려지고 신장/신축이 가능한 암(11)이 장착되고, 암(11)의 선단부에는 차량받침대(12)가 장착되는 구성이다.
상기 유압분배기(9)는 일측 포스트(2a)에 장착된 유압펌프(6)의 근접한 위치에 장착되어 유압펌프(6)에서 발생된 유압을 작동유체를 통해 양 포스트(2a)(2b)에 장착된 유압실린더(5a)(5b)에 공급하게 되는데 이론상으로는 양 포스트(2a)(2b)에 장착된 유압실린더(5a)(5b)가 동시에 작동하는 것이지만 실제로는 유압분배기(9)에서 가까운 쪽의 유압실린더(5a)가 먼저 작동되고 약간의 시차를 두고 타측의 유압실린더(5b)가 작동되어 리프트(1)의 캐리어(10)에 얹혀진 차량이 수평상태를 유지한 상태로 승강되지 못하고 일측으로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또한, 캐리어(10)에 얹혀진 차량의 중량에 의해 캐리어(10) 및 실린더로드는 중력방향으로 하중을 받게 되는데 리프트(1)의 오랜 사용에 의해 작동유체를 유통시키는 유압호스(8)가 파손이 되거나 할 때에는 작동유체가 파손된 유압호스(8)를 통해 순간적으로 새어나가게 된다.
오일(작동유체)이 순간적으로 새어나가게 되면 차량의 중량에 의해 캐리어(10)는 순간적으로 급하강을 하게 되고, 이로 인해 차량의 하체 또는 일측에서 작업하는 작업자는 안전사고의 위험에 처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게 된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유압펌프(6)의 일측에 유압제어밸브(미도시)를 장착하기도하지만 유압제어밸브(미도시)와 유압실린더(5a)(5b)의 사이에서 유압호스(8)가 파손되었을 때는 유압제어밸브(미도시)가 작동하더라도 유압실린더(5a)(5b)의 내부에 유입되어 있는 작동유체가 외부로 새어 나오면서 급하강을 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캐리어(10)에 장착되어 차량의 하체를 받쳐주도록 암(11)의 선단부에 차량받침대(12)가 장착된다.
상기 차량받침대(1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장암(11b)의 선단에 수직방향으로 장착공(13)을 형성하고 부싱(14)을 삽입하며 부싱(14)의 내측에는 상측방향에서 받침구(17)를 체결하고, 부싱(14)은 장착공(13)에 삽입되어진 후 용접되어 고정 장착한 것이다.
즉, 상기 부싱(14)은 상단에 외측방향으로 걸림 턱(15)이 형성되고, 내측에는 체결나사(삼각나사:16)가 형성된 것이며, 받침구(17)는 받침판(18)의 하측에 체결나사(20)가 형성된 축봉(19)이 일체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차량받침대(12)는 차량의 중량을 지탱함과 동시에 각각의 암(11)에 장착된 차량받침대(12) 4개가 차량을 받쳐서 들어올려질 때에 차체가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받침판(18)을 회전시켜 높낮이를 설정하게 된다.
그러나 체결나사(16)(20)는 그 단면이 삼각 형상으로 축방향의 큰 하중에 견지지 못하고 나사산이 파손되며 이로 인하여 부싱(14)에서 받침구(17)를 회전시켜 높낮이 설정을 하지 못하게되면 부싱(14)과 신장암(11b)이 용접에 의하여 일체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부득이 신장암(11b)과 부싱(14)을 교체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더욱 개량된 차량정비용 리프트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은 차량을 승강시킬 때에 차체가 초기의 수평상태를 유지하면서 들어 올려지도록 하고, 유압호스 등이 파손되었을 때에 유압실린더의 작동유체가 급속하게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하여 차량이 순간적인 급하강하는 것을 억제하도록 하며, 차량받침대에서 신장암과 부싱을 나사로 체결 고정하여 받침구가 파손되었을 때엔 부싱과 받침구만을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정비용 리프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상기 목적은, 2개의 포스트를 세워 설치하고 각각의 포스트의 내측에 유압실린더 및 캐리어를 장착하며, 일측의 포스트에 유압펌프 및 오일탱크(7)를 장착하고, 유압분배기를 유압호스에 장착하며, 캐리어에 신축신장이 가능한 암을 장착하고, 신장암의 선단부에 차량받침대를 장착한 리프트에 있어서,
유압펌프(6)에서 발생된 유압을 양 포스트(2a)(2b)에 장착된 유압실린더(5a)(5b)에 동일한 압력으로 분배하여 공급하도록 유압호스(8)로 연결되어지되 양 유압실린더(5a)(5b)의 유압공급포트(22)로부터 동일한 길이의 유압호스(8)로 연결되어지는 유압분배기(23)와,
상기 유압실린더(5a)(5b)의 유압공급포트(22)에는 작동유체가 순간적으로 새어나가지 않도록 장착한 안전밸브(37)와,
상기 신장암(25b)에는 부싱(28)을 장착하되 신장암(25b)과 부싱(28)을 사각나사(27)(31)를 형성하여 체결/분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차량받침대(26)를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정비용 리프트(21)에 의해 달성된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정비용 리프트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차량정비용 리프트에서 차량받침대를 발췌하여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정비용 리프트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정비용 리프트에서 안전밸브를 발췌하여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정비용 리프트에서 차량받침대를 발췌하여 보인
분해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21: 리프트 2a, 2b: 포스트 3: 횡지지대
4: 가이드봉 5a, 5b: 유압실린더 6: 유압펌프
7: 오일탱크 8: 유압호스 9, 23: 유압분배기
10: 캐리어 11, 24: 암 11a, 25a: 고정암
11b, 25b: 신장암 12, 26: 차량받침대 13: 장착공
14, 28: 부싱 15, 29: 턱
16, 20, 32, 36: 체결나사
17, 33: 받침구 18, 34: 받침판 19, 35: 축봉
22: 유압공급포트 27, 31: 사각나사 30: 면삭부
37: 안전밸브 38: 몸체 39, 40: 유압관로
41, 43: 나사부 42: 오리피스장착부 44: 오리피스
45: 작은구멍 46: 스프링 47: 관체결구
본 고안의 상기 목적과 특징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의하여 더욱 명확하게 이해 할 수 있을 것이다.
첨부도면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정비용 리프트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정비용 리프트(21)에서 주용 요부인 안전밸브(37)를 발췌하여 보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정비용 리프트에서 차량받침대를 발췌하여 보인 분해사시도 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차량정비용 리프트(21)는 종래의 리프트(1)를 개량한 것으로 2개의 포스트(2a)(2b)를 세워 설치하고 양 포스트(2a)(2b)의 내측에는 유압실린더(5a)(5b)를 세워 장착하며, 유압실린더(5a)(5b)의 작동에 의해 승하강되는 캐리어(10)를 장착하고, 캐리어(10)에는 벌려지거나 오므려지고 신장 및 신축이 가능하도록 암(24)을 장착하며, 상기 암(24)은 고정암(25a)과 고정암(25a)에서 신장 및 신축하는 신장암(25b)으로 구성하고, 신장암(25b)의 선단부에는 차량받침대(26)를 장착한 것이다.
상기 포스트(2a)(2b) 중에 일측 포스트(2a)에 오일탱크(7)와 일체로 구성되는 유압펌프(6)를 장착하고, 유압펌프(6)에서 발생한 유압을 유압제어밸브(미도시)를 통하여 유압분배기(23)에 유통되어지도록 유압호스(8)를 연결하며, 유압분배기(23)에서 상기 양 유압실린더(5a)(5b)의 유압공급포트(22)까지 유압호스(8)로 연결되어진다.
상기 유압호스(8)는 동일한 길이로 제작되어 양 유압실린더(5a)(5b)의 유압공급포트(22)부터 동일한 거리에 유압분배기(23)를 장착하는 것이며, 유압분배기(23)는 양 포스트(2a)(2b)의 중간부분인 횡지지대(3)에 장착한 것이다.
또한, 관리점검 등을 용이하게 실시하기 위하여 양측의 유압호스(8)를 보다 길게 제작하여 유압분배기(23)를 일측 포스트(2a)의 중단에 장착하고, 유압분배기(23)와 가까운 쪽의 유압실린더(5a)를 잇는 유압호스(8)는 말아서 일측에 걸어두어도 된다.
상기 안전밸브(37)는 유압실린더(5a)(5b)의 유압공급포트(22)에 장착되어 작동유체가 천천히 배출되어지도록 한 것으로 몸체(38)내부에 오리피스(44)와 스프링(46)을 내장시켜 작동유체가 원활하게 공급되도록 하고 역방향 즉 작동유체가 배출되는 방향으로는 오리피스(44)에 의해 유압관로(39)가 폐쇄되고 오리피스(44)에 뚫어진 작은구멍(45)을 통해 작동유체가 배출되어지도록 한 것이다.
상기 몸체(38)는 유압관로(39)를 가로방향으로 형성하되 일측이 개방되도록하고, 유압관로(39)의 안쪽 끝 부분에는 직각방향으로 유압관로(40)가 형성하며, 직각방향으로 형성된 유압관로(40)의 단부에는 나사부(41)를 형성하고, 상기 가로방향의 유압관로(39)일측에는 오리피스장착부(42)를 형성하며, 오리피스장착부(42)의 단부에는 나사부(43)를 형성한 것이다.
상기 가로방향 유압관로(39)의 오리피스장착부(42)에는 작은구멍(45)이 형성된 오리피스(44)와 압축스프링(46)을 삽입시킨 후 나사부에 관체결구(47)를 체결 고정시키고, 직각방향의 유압관로(40)의 나사부(41)에는 관체결구(47)를 체결 고정시킨 것이다.
상기 가로방향의 유압관로에 체결된 관체결구(47)는 유압실린더(5a)(5b)의 유압공급포트(22)에 체결 고정시키고 직각방향의 유압관로에 체결된 관체결구(47)에는 유압호스(8)를 연결한 것이다.
첨부도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신장암(25b)의 선단에는 부싱(28)을 체결하고 부싱(28)에는 받침구(33)를 체결한 것이다.
암(24)은 고정암(25a)에 신장암(25b)이 삽입되어 신장암(25b)을 빼내거나 밀어 넣음으로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구성된 것이고, 신장암(25b)의 선단에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차량받침대(26)를 장착한 것이다.
상기 신장암(25b)의 선단에 장착된 차량받침대(26)는 사각나사(27)를 수직방향으로 형성하였고, 상기 부싱(28)의 상단에는 걸림 턱(29)을 형성하였으며, 걸림 턱(29)의 일측에는 면삭부(30)를 형성하였고, 외주에는 사각나사(31)를 형성하였으며, 내측에는 체결나사(32)인 삼각나사를 형성하였고, 상기 받침구(33)는받침판(34)의 하측에 체결나사(36)를 형성한 축봉(35)이 일체로 구성된다.
이하 작용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정비대상의 차량을 리프트(21)의 내측으로 진입시키고 받침구(33)를 차량의 하체에 밀어 넣어 차량하측을 받쳐지도록 하고 유압펌프(6)를 구동시켜 유압실린더(5a)(5b)를 작동시키면 유압실린더(5a)(5b)의 작동에 의해 캐리어(10)가 상승하여 차체는 들어 올려지게 된다.
유압펌프(6)에서 발생한 유압은 유압분배기(23)를 통하여 양 유압실린더(5a)(5b)에 시차 없이 동일한 압력으로 작동유체를 공급하게 됨으로 어느 한쪽이 먼저 작동됨이 없이 수평상태를 유지하면서 승강되는 것이고, 승강되어진 상태에서 별도의 록킹장치(미도시)에 의해 캐리어(10)는 고정되며 이 상태에서 정비작업을 실시하는 것이다.
정비 작업 종료 후에는 차량을 내리게 되는데 이때에도 유압실린더(5a)(5b)는 수평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내려지게 되는 것이다.
정비 작업 중에는 별도의 록킹장치(미도시)에 의해 캐리어(10)가 고정되므로 안정되지만 캐리어(10)를 내리는 동안에는 전적으로 유압펌프(6) 쪽에 장착되어진 유압제어밸브(미도시)에 의해 제어되어 하강속도를 조절하는 것이며 이때 유압호스(8) 및 기타의 곳에서 파손 또는 기타의 이유로 오일(작동유체)이 새어 나갈 경우 유압실린더(5a)(5b)의 유압공급포트(22)에 장착된 안전밸브(37)에 의해 작동유체의 유속 및 유량이 제어되어 순간적으로 하강하는 것을 억제하게 되는 것이다.
즉, 유압을 유압실린더(5a)(5b)에 공급할 때에는 작동유체가 오리피스(44)를 밀어내고 유통되므로 유압실린더(5a)(5b)에 유압을 신속하게 전달하지만, 유압실린더(5a)(5b)에서 작동유체가 빠져나가는 방향으로는 작동유체의 유통방향에 의해 오리피스(44)가 몸체의 유압관로를 폐쇄시키고 오리피스(44)에 형성된 작은구멍(45)을 통해 작동유체는 유통되는 것으로 작동유체는 항상 천천히 배출되어진다.
따라서, 캐리어(10)가 하강할 때에는 캐리어(10)에 차량 탑재유무와 상관없이 캐리어(10)는 천천히 급하강하게 된다.
상기 캐리어(10)의 신장암(25b)에 장착된 차량받침대(26)는 차량의 하체에 적정위치에 닿도록 하되 차체가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높낮이 조절을 하여 차량 하체에 밀착시키고 캐리어(10)를 승강시켜 차체를 들어 올리게 되며 이때 차체의 중량에 의해 받침구(33)의 체결나사(36)에는 응력이 발생되어 체결나사(32)(36)는 파손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받침구(33)와 부싱(28)의 체결나사(32)(36)가 마모되거나 기타의 이유로 파손되었을 때에 신장암(25b)에서 부싱(28)을 분리하여 받침구(33)와 부싱(28)만을 새것으로 교체하여 사용하게 되는 것이고, 상기 사각나사(27)(31)는 나사의 단면이 사각 또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구조상 큰 응력에 견딜 수 있으며 체결 후 분리되어 질 때까지는 사각나사(27)(31)에 하중이 가하여지지 않고 부싱(28)의 상단 턱(29)이 신장암(25b)에 작용하므로 신장암(25b)의 사각나사(27)는 파손이 되지 않는 것이다.
상기 부싱(28)의 면삭부(30)는 부싱(28)을 신장암(25b)에 체결 또는 고정할때에 스패너 등의 도구를 사용하여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고안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차량정비용 리프트(21)는 양 유압실린더(5a)(5b)가 동시에 작동되므로 캐리어(10)에 탑재된 차량은 수평상태를 유지하면서 승하강이 가능한 것이고, 유압실린더의 유압공급포트에 장착된 안전밸브에 의해 작동유체는 천천히 배출되므로 캐리어의 차량받침대에 차량 탑재유무와 상관없이 캐리어는 천천히 하강하게 되는 것이며, 암의 차량받침대가 마모 및 파손 등의 이유로 더 이상 높낮이 조절을 할 수 없을 때에는 부싱과 받침구만을 교체하여 줌으로서 리프트를 계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종래의 예에서처럼 신장암을 전체를 교체하지 않고 단지 부싱과 받침구만을 교체하는 것으로 보다 용이하게 교체가 가능하고 신장암을 계속적으로 사용함으로써 교체에 따른 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유압실린더(5a)(5b)의 유압공급포트(22)에 별도의 안전밸브(37)를 장착함으로써 안전성확보는 물론 소비자로 하여금 제품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3)

  1. 2개의 포스트를 세워 설치하고 각각의 포스트의 내측에 유압실린더 및 캐리어를 장착하며, 일측의 포스트에 유압펌프 및 오일탱크를 장착하고, 유압분배기를 유압호스에 장착하며, 캐리어에 신축신장이 가능한 암을 장착하고, 신장암의 선단부에 차량받침대를 장착한 리프트에 있어서,
    유압펌프(6)에서 발생된 유압을 양 포스트(2a)(2b)에 장착된 유압실린더(5a)(5b)에 동일한 압력으로 분배와 공급을 하기 위하여 유압호스(8)로 연결되어지되 양 유압실린더(5a)(5b)의 유압공급포트(22)로부터 양쪽으로 동일한 길이의 유압호스(8)로 연결되어지는 유압분배기(23)와,
    상기 유압실린더(5a)(5b)의 유압공급포트(22)에는 작동유체가 순간적으로 새어나가지 않도록 장착한 안전밸브(37)와,
    상기 암(24)의 신장암(25b)에는 선단부에 교체가 가능한 차량받침대(26)를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정비용 리프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전밸브(37)는, 몸체(38)에는 가로방향 및 직각방향으로 유압관로(39)(40)를 형성하고 일측방향에는 오리피스장착부(42)를 형성하며, 오리피스장착부(42)에는 오리피스(44)를 스프링(46)에 의해 탄발되도록 삽입하고, 오리피스(44)는 중앙에 작은구멍(45)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정비용 리프트.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량받침대(26)는, 신장암(25b)의 선단과 부싱(28)의 외주에 사각나사(27)(31)를 형성하여 부싱(28)을 선단부에 체결하고 부싱(28)의 내측에는 체결나사(32)를 형성하여 통상의 받침구(33)를 체결하여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정비용 리프트.
KR2020010017123U 2001-06-08 2001-06-08 차량정비용 리프트 KR2002473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7123U KR200247360Y1 (ko) 2001-06-08 2001-06-08 차량정비용 리프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7123U KR200247360Y1 (ko) 2001-06-08 2001-06-08 차량정비용 리프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7360Y1 true KR200247360Y1 (ko) 2001-10-26

Family

ID=73103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7123U KR200247360Y1 (ko) 2001-06-08 2001-06-08 차량정비용 리프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736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6749B1 (ko) 2015-09-09 2016-12-15 김경수 차량 리프트용 타이어 거치장치
KR102039937B1 (ko) 2019-07-11 2019-11-04 심윤식 4주식 차량 정비용 리프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6749B1 (ko) 2015-09-09 2016-12-15 김경수 차량 리프트용 타이어 거치장치
KR102039937B1 (ko) 2019-07-11 2019-11-04 심윤식 4주식 차량 정비용 리프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071798A (zh) 附壁支撑架液压爬升系统
JPH0710492A (ja) 荷取扱い構造体
CN101982395A (zh) 可移动式双柱汽车升降机
CN104400750B (zh) 一种管路阀门拆装辅具及管路阀门拆装方法
US4500071A (en) Dual hydraulic lifts
CN202000658U (zh) 附壁支撑架液压爬升系统
US7717649B2 (en) Suspending hydraulic pillar
KR200247360Y1 (ko) 차량정비용 리프트
CN214989749U (zh) 可变跨度的气动升降式龙门吊
KR200489042Y1 (ko) 정압기의 차단밸브 분해 및 조립용 리프터
KR100307674B1 (ko) 평형추승하강용자동수평및동기시스템
CN117145468A (zh) 顶护板装置及采煤机
KR200482734Y1 (ko) 정압기의 안전밸브 분해 조립용 리프터
CN109973028B (zh) 一种井口拉送油管的机械装置
CN202850874U (zh) 石油钻机起升液缸支撑装置
CN111749058A (zh) 一种钢轨道梁安装胎具及钢轨道梁安装方法
US9909373B2 (en) Well rod string penetration adjustment apparatus and method
CA1139270A (en) Fluid line coupling for fluid actuated extensible structure
KR200495199Y1 (ko) 정압기 차단밸브 분해 및 조립용 리프트장치
CN105016241A (zh) 一种稳固轻便组合式举升设备及其使用方法
CN205331595U (zh) 带升降台的输油管装置
KR102426778B1 (ko) 프로파일 가공 시스템
CN218913981U (zh) 一种吊架固定支座
CN210755338U (zh) 一种阀门生产加工用钻孔装置
US3024916A (en) Vehicle derri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07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