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0776B1 - 암롤박스 및 상기 암롤박스가 탑재된 차량 - Google Patents

암롤박스 및 상기 암롤박스가 탑재된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0776B1
KR102020776B1 KR1020190043397A KR20190043397A KR102020776B1 KR 102020776 B1 KR102020776 B1 KR 102020776B1 KR 1020190043397 A KR1020190043397 A KR 1020190043397A KR 20190043397 A KR20190043397 A KR 20190043397A KR 102020776 B1 KR102020776 B1 KR 1020207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cking member
frame
unit
roll box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33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금
Original Assignee
백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금 filed Critical 백금
Priority to KR10201900433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07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07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07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3/00Vehicles particularly adapted for collecting refuse
    • B65F3/02Vehicles particularly adapted for collecting refuse with means for discharging refuse receptacles thereinto
    • B65F3/0213Means for facilitating the separation of discharging means from collecting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3/00Vehicles particularly adapted for collecting refuse
    • B65F3/02Vehicles particularly adapted for collecting refuse with means for discharging refuse receptacles thereinto
    • B65F3/04Linkages, pivoted arms, or pivoted carriers for raising and subsequently tipping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3/00Vehicles particularly adapted for collecting refuse
    • B65F3/02Vehicles particularly adapted for collecting refuse with means for discharging refuse receptacles thereinto
    • B65F3/12Conjoint motion of lids, flaps, and shutters on vehicle and on receptacle; Operation of closures on vehicle conjointly with tipping of recepta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3/00Vehicles particularly adapted for collecting refuse
    • B65F3/24Vehicles particularly adapted for collecting refuse with devices for unloading the tank of a refus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66F11/042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actuated by lazy-tongs mechanisms or articulated le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4Garbage trucks, e.g. refuse tru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3/00Vehicles particularly adapted for collecting refuse
    • B65F3/02Vehicles particularly adapted for collecting refuse with means for discharging refuse receptacles thereinto
    • B65F2003/0223Vehicles particularly adapted for collecting refuse with means for discharging refuse receptacles thereinto the discharging means comprising elements for holding the recepta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3/00Vehicles particularly adapted for collecting refuse
    • B65F3/02Vehicles particularly adapted for collecting refuse with means for discharging refuse receptacles thereinto
    • B65F2003/025Constructional features relating to actuating means for lifting or tipping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3/00Vehicles particularly adapted for collecting refuse
    • B65F3/02Vehicles particularly adapted for collecting refuse with means for discharging refuse receptacles thereinto
    • B65F2003/0286Means mounted on the vehicle for opening the lid or cover of the recepta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28Data transmit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68Sens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부 및 상기 차량부에 탑재 및 하역되며, 개폐문 형태로 이루어지는 후면은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기능을 갖도록 구성되는 암롤박스를 포함하는 암롤박스가 탑재된 차량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암롤박스 및 상기 암롤박스가 탑재된 차량{VEHICLE WITH ARM ROLL BOX}
본 발명은 암롤박스 및 암롤박스가 탑재된 차량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폐기물을 이송하기 위한 암롤박스의 탑재 및 하역이 가능한 차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암롤박스는 적재함으로 상면이 개방된 직육면체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암롤트럭에 분리 및 장착 가능하게 형성된 것이다. 예를 들면, 암롤박스는 암롤트럭으로부터 분리된 상태로 아파트 단지에 놓여지고, 아파트 각 가정에서 배출되는 각종 쓰레기가 담기게 된다. 암롤박스에 적정량의 쓰레기가 담기면, 암롤박스는 암롤트럭에 장착되어 별도의 장소로 운반되고, 담긴 쓰레기를 배출할 수가 있다.
이러한 암롤박스는 'U'형의 프레임이 일렬로 다수 놓여지고, 다수의 'U'형의 프레임에 철판이 부착되어 바닥면 및 양측면, 전면이 형성되고, 후면에는 철판으로 형성된 여닫이 개폐문이 형성되어 이루어져 있다.
또한, 'U'형의 프레임 하부에는 암롤트럭에 암롤박스를 장착하기 위해 암롤박스가 슬라이딩되도록 'H'형강의 레일 한쌍이 나란하게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암롤박스의 전면에는 암롤트럭의 롤러장치에 의해 암롤박스를 견인하기 위한 견인용 후크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암롤박스를 암롤트럭 등에 탑재 또는 하역하는 경우, 지게차나 크레인을 사용함으로써 암롤박스의 탑재 또는 하역을 위한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고 이로 인한 물류비용이 상승하게 되는 등의 여러 가지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암롤박스의 밀폐 상태를 확보하고, 암롤박스의 차량 탑재 또는 하역을 용이하게 한 암롤박스가 탑재된 차량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암롤박스가 탑재된 차량의 높은 위치로도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작업자를 승강시킬 수 있는 다기능 승강 장치를 포함하는 암롤박스가 탑재된 차량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상기 다기능 승강 장치에 가해지는 부하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탄성 지지부를 포함하는 암롤박스가 탑재된 차량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크랙보수조성물을 포함하도록 구현된 암롤박스가 탑재된 차량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암롤박스의 탑재 및 하역 상태에 따라 차량의 일부 기능을 제한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암롤박스가 탑재된 차량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암롤박스가 탑재된 차량은 차량부 및 상기 차량부에 탑재 및 하역되며, 개폐문 형태로 이루어지는 후면은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기능을 갖도록 구성되는 암롤박스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차량부는, 상기 암롤박스를 견인하는 적재유닛 및 상기 암롤박스를 덮개로 커버하는 커버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암롤박스는, 다수의 프레임이 직육면체 형태를 형성하도록 놓여지고, 상기 다수의 프레임에 철판이 부착되어 바닥면, 양측면, 전면, 상면 및 후면을 형성한 직육면체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전면은 상기 적재유닛에 의해 상기 차량부에 탑재 또는 하역될 수 있도록 후크고리가 형성되고, 상기 후면은 바깥쪽으로 회전시켜 올리는 방식으로 내부공간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 개폐문 형태로 이루어지고, 양측에 지지판 및 회전에 의해 상기 지지판을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회전유닛을 각각 포함하여, 상기 회전유닛이 회전되는 경우, 상기 지지판 및 상기 후면이 가압되어 닫힌 상태를 유지하고, 일측면에 회동 가능하도록 형성되되, 상기 후면을 지나 위치하는 절곡부가 형성된 제1 걸쇠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면을 형성하도록 놓여지는 프레임으로부터 수직 상승하며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프레임과 상기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프레임으로부터 지면과 수평하도록 연장되는 프레임으로 각각 구성되는 제2 걸쇠 및 제3 걸쇠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걸쇠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절곡부에 의해 회동이 제한되고, 상기 제2 걸쇠 및 상기 제3 걸쇠는 스프링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제1 걸쇠의 회동에 의해 상기 제2 걸쇠로부터 상기 절곡부가 제거되는 경우. 상기 제2 걸쇠가 바깥측으로 회동하면서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으로 상기 제3 걸쇠가 바깥측으로 회동하여 상기 후면이 개방되고, 상기 적재유닛은, 소정의 구동 모듈에 의해 상측으로 들어 올려지도록 상기 차량부의 앞쪽에 설치되는 제1 적재 부재 및 상기 차량부의 뒤쪽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2 적재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적재 부재는 상기 제1 적재 부재가 들어 올려지는 경우, 같이 들어 올려지도록 상기 제1 적재 부재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1 적재 부재와 포개어진 상태로 상기 차량부에 맞닿아 있다가 상기 제1 적재 부재가 들어 올려지는 경우, 같이 들어 올려지고, 수직 상방으로 상기 후크고리의 높이와 대응되는 길이로 연장 형성되는 후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적재 부재 및 상기 제2 적재 부재는 상기 차량부에서 일체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커버 유닛은, 상기 차량부의 앞쪽에 설치되는 제1 커버 부재 및 상기 차량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커버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커버 부재는 지면으로부터 수직하게 상기 암롤박스의 높이와 대응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프레임 및 상기 한 쌍의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는 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상기 한 쌍의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는 프레임에는 상기 덮개가 감긴 상태로 배치되고, 상기 제2 커버 부재는 상기 덮개의 끝 부분과 연결되어, 상기 제2 커버 부재가 회동하는 경우, 상기 덮개가 풀어지면서 상기 차량부에 탑재되어 있는 상기 암롤박스가 덮어지도록 구성되며, 상기 적재유닛으로부터 발생하는 이벤트 신호를 검출하여 상기 차량부의 도어개폐, 조향 또는 운행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제한하는 제어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저1 적재 부재를 회동시키는 구동 모듈의 동작을 감지하여 상기 이벤트 신호를 수신하거나, 상기 제1 적재 부재 또는 상기 제2 적재 부재에 광원조사기가 구비되고, 상기 제1 적재 부재 또는 상기 제2 적재 부재의 이동 경로 상에 적어도 하나의 감광성 센서 영역이 배치되는 경우, 상기 제1 적재 부재 또는 상기 제2 적재 부재의 이동에 의한 감광성관선을 감지하는 상기 감광성 센서 영역으로부터 상기 이벤트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이벤트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차량부의 도어개폐, 조향 또는 운행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제한하고, 상기 제2 적재 부재에 광원조사기가 구비되고, 상기 제1 적재 부재 또는 상기 제2 적재 부재의 이동 경로 상에 적어도 하나의 감광성 센서 영역이 배치되는 경우, 상기 이벤트 신호 간의 수신 시간 간격을 측정하고, 상기 이벤트 신호 간의 수신 시간 간격과 미리 설정된 기준 시간을 비교하여 그 차이가 30초 이상인 경우, 미리 등록된 관리자의 이동 단말로 상기 적재유닛의 보수 요청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이벤트 신호 간의 시간 간격과 기준시간 간의 차이가 10초 내지 30초 사이로 산출되는 경우, 그 횟수를 카운트하고, 카운트 횟수가 10회 이상인 경우, 상기 관리자의 이동 단말로 상기 적재유닛의 보수 요청 신호를 송신하거나 상기 기준시간을 재설정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암롤박스의 밀폐 상태를 확보하고, 암롤박스의 차량 탑재 또는 하역을 용이하게 하여 작업의 안정성을 보장하고, 작업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나아가 물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작업자가 암롤박스가 탑재된 차량의 높은 위치로도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작업자를 승강시킴으로써, 암롤박스가 탑재된 차량의 정비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탄성력을 이용하여 다기능 승강 장치의 지지 안정성을 보장하고, 작업자가 안전사고를 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내수성, 방수성 및 내균열성이 우수한 조성물로 각 구성 요소를 구성하여 장치의 수명을 길게 하며, 유지 보수에 요구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제어모듈에 의해 암롤박스의 탑재 또는 하역 시 차량 운행, 조향 등의 기능을 제한할 수 있어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암롤박스가 탑재된 차량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암롤박스의 전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암롤박스의 후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암롤박스의 탑재 또는 하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차량부의 암롤박스 커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암롤박스가 탑재된 차량에 포함되는 다기능 승강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승강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상판 체결부(410)를 보여주는 도면으로,
도 9 내지 도 12는 도 7의 구동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3은 도 7의 탄성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 및 도 15는 도 13의 지지 기둥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6은 도 14의 십자 탄성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7은 도 15의 수직 탄성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8는 도 16의 상부 탄성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암롤박스가 탑재된 차량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암롤박스가 탑재된 차량(1000)은 차량부(100) 및 암롤박스(200)를 포함한다.
차량부(100)는 암롤박스(200)가 탑재 및 하역되는 구성으로, 일예로, 뒤쪽에 평상(flatbed)이 구비된 트럭일 수 있다. 차량부(100)는 내부에 적재물이 적재된 암롤박스(200)를 탑재하여 운반할 수 있을 것이다.
차량부(100)는 암롤박스(200)의 탑재 및 하역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적재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구체적인 설명은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차량부(100)는 탑재된 암롤박스(200)를 덮개로 커버하기 위한 커버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구체적인 설명은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암롤박스(200)는 상면이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직육면체 형태의 적재함으로, 내부에 적재물이 적재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암롤박스(200)는 다수의 프레임이 직육면체 형태를 형성하도록 놓여지고, 다수의 프레임에 철판이 부착되어 바닥면, 양측면, 전면, 상면 및 후면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면은 생략되어 상면이 개방된 직육면체의 형태를 이루거나, 양측면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바깥쪽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전면은 차량부(100)에 포함되는 적재유닛에 의해 차량부(100)에 탑재 또는 하역될 수 있도록 후크고리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구체적인 설명은 도 2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또한 후면은 여닫이 개폐문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구체적인 설명은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암롤박스의 전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암롤박스(200)의 전면은 후크고리(201)가 형성될 수 있다.
후크고리(201)는 차량부(100)에 포함되는 후크가 걸리는 구성으로, 암롤박스(200)는 이러한 후크고리(201)에 걸리는 후크에 의해 견인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암롤박스(200)는 후크고리(201)에 걸리는 후크에 의해 끌어올려지고, 슬라이딩 이동되어 차량부(100)에 탑재되거나 차량부(100)로부터 하역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암롤박스의 후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암롤박스(200)의 후면은 개폐문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암롤박스(200)의 후면은 상측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내부공간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 개폐문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암롤박스(200)의 후면은 바깥쪽으로 회전시켜 올리는 방식으로 개방할 수 있다.
암롤박스(200)의 후면은 닫혀 있는 동안에 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잠금부(221), 제1 걸쇠(231), 제2 걸쇠(232) 및 제3 걸쇠(233)를 포함할 수 있다.
잠금부(221)는 암롤박스(200)의 후면의 양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잠금부(221)는 암롤박스(200)의 후면을 압박하여 밀폐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지지판 및 회전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잠금부(221)는 회전유닛을 회전시키는 경우 지지판을 가압하여 암롤박스(200)의 후면이 닫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제1 걸쇠(231)는 암롤박스(200)의 일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걸쇠(231)는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제1 걸쇠(231)는 절곡부를 가질 수 있는데, 절곡부는 암롤박스(200)의 후면을 지나 위치할 수 있다.
제2 걸쇠(232) 및 제3 걸쇠(233)는 암롤박스(200)의 바닥면을 형성하도록 놓여지는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걸쇠(232) 및 제3 걸쇠(233)는 각각 암롤박스(200)의 바닥면을 형성하도록 놓여지는 프레임으로부터 수직 상승되며,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프레임과, 해당 프레임으로부터 지면과 수평하도록 연장되는 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3 걸쇠(233)는 스프링(235)에 의해 제2 걸쇠(232)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걸쇠(232) 및 제3 걸쇠(233)가 회동하는 경우, 암롤박스(200)의 후면과 맞닿도록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제3 걸쇠(233)는 제2 걸쇠(232)가 회동하는 경우 같이 회동하며, 스프링(235)이 당겨진 상태로 암롤박스(200)의 후면과 맞닿도록 위치할 것이다.
특히, 제2 걸쇠(232)는 암롤박스(200)의 후면과 맞닿는 경우, 그 일측이 제1 걸쇠(231)에 형성되는 절곡부에 의해 회동이 제한될 수 있다. 제1 걸쇠(231)에 형성되는 절곡부에 제2 걸쇠(232)의 적어도 일부가 걸리게 되어 제2 걸쇠(232) 및 제3 걸쇠(233)의 회동이 제한될 수 있다.
작업자는 암롤박스(200)의 후면을 닫는 경우, 잠금부(221)를 이용하여 후면을 밀폐한 상태에서 제2 걸쇠(232)를 회동시켜 암롤박스(200)의 후면과 맞닿도록 하고, 제1 걸쇠(231)를 회동시켜 절곡부에 제2 걸쇠(232)의 적어도 일부를 걸리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암롤박스(200)의 후면은 닫혀 있는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작업자는 암롤박스(200)의 후면을 개방하는 경우, 잠금부(221)를 이용하여 후면 밀폐 상태를 해제하고, 제1 걸쇠(231)를 회동시켜 제2 걸쇠(232)로부터 절곡부를 제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제2 걸쇠(232)가 바깥측으로 회동하면서 동시에 스프링(235)의 탄성력으로 제3 걸쇠(233) 또한 바깥측으로 회동할 것이다. 이처럼 암롤박스(200)의 후면 밀폐 상태가 해제되면 작업자는 암롤박스(200)의 후면을 들어 올려 개방할 수 있을 것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암롤박스의 탑재 또는 하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차량부(100)는 암롤박스(200)의 탑재 또는 하역을 위한 적재유닛(110)을 포함할 수 있다.
적재유닛(110)은 제1 적재 부재(111) 및 제2 적재 부재(1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적재 부재(111)는 소정의 구동 모듈(일예로, 유압 실린더)에 의해 상측으로 들어 올려지도록 차량부(100)의 앞쪽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적재 부재(111)는 차량부(100)의 앞쪽에 설치되는 일측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타측이 들어 올려질 수 있다.
제2 적재 부재(112)는 차량부(100)의 뒤쪽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적재 부재(112)는 차량부(100)의 뒤쪽에 설치되는 타측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일측이 들어 올려질 수 있다.
제2 적재 부재(112)는 제1 적재 부재(111)가 들어 올려지는 경우, 같이 들어 올려지도록 제1 적재 부재(111)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적재 부재(112)는 제1 적재 부재(111)과 포개어진 상태로 차량부(100)의 평상에 맞닿아 있다가, 제1 적재 부재(111)가 들어 올려지는 경우 차량부(100)의 뒤쪽에 설치되는 타측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일측이 들어 올려질 수 있다.
제2 적재 부재(112)는 후크(115)가 형성될 수 있다. 후크(115)는 제2 적재 부재(112)과 대략 90도의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후크(115)는 제2 적재 부재(112)의 일측으로부터 수직 상방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그 길이는 암롤박스(200)의 전면에 형성된 후크고리(201)의 높이와 대응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적재 부재(111) 및 제2 적재 부재(112)는 차량부(100)의 평상에서 일체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외에도 적재유닛(110)은 암롤박스(200)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레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레일은 암롤박스(200)의 바닥면을 구성하는 프레임과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적재유닛(110)에 의한 암롤박스(200)의 탑재 또는 하역에 대해 간략히 설명한다.
먼저 암롤박스(200)를 탑재하는 경우, 제1 적재 부재(111) 및 제2 적재 부재(112)을 들어 올려 후크(115)를 후크고리(201)에 걸 수 있다. 그리고 제1 적재 부재(111) 및 제2 적재 부재(112)을 내리는 경우, 후크(115)에 의해 암롤박스(200)가 견인되어 바닥면의 적어도 일부분이 차량부(100)에 맞닿을 것이다. 제1 적재 부재(111) 및 제2 적재 부재(112)는 전면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암롤박스(200)를 완전히 탑재할 수 있다.
암롤박스(200)를 하역하는 경우, 위와 반대로 후크(115)가 후크고리(201)에 걸린 상태로 제1 적재 부재(111) 및 제2 적재 부재(112)을 후면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1 적재 부재(111) 및 제2 적재 부재(112)을 들어 올리는 경우, 암롤박스(200)의 후면에 형성되는 바퀴가 지면에 닿을 것이다. 이 상태에서 제1 적재 부재(111) 및 제2 적재 부재(112)을 계속해서 들어 올리는 경우, 암롤박스(200)는 바퀴에 의해 지면에서 슬라이딩 이동하여 바닥면 전체가 지면에 닿게 될 것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차량부의 암롤박스 커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차량부(100)는 암롤박스(200)를 덮개(13)로 커버하기 위한 커버유닛(130)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유닛(130)은 제1 커버 부재(131) 및 제2 커버 부재(1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커버 부재(131)는 차량부(100)의 앞쪽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커버 부재(131)는 지면으로부터 수직하게 설치되며, 그 높이는 암롤박스(200)의 높이와 대응되는 한 쌍의 프레임과, 한 쌍의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는 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다. 덮개(13)는 이러한 한 쌍의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는 프레임에 감긴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제2 커버 부재(132)은 차량부(10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커버 부재(132)은 차량부(100)의 평상의 절반 지점에 회동 가능하게 한 쌍 설치될 수 있다. 제2 커버 부재(132)은 덮개(13)의 끝 부분과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커버 부재(132)이 회동하는 경우, 제1 커버 부재(131)에 감긴 상태의 덮개(13)가 풀어지면서 차량부(100)의 평상에 탑재되어 있는 암롤박스(200)가 덮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암롤박스가 탑재된 차량(1000)은 제어모듈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제어모듈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암롤박스가 탑재된 차량(1000)의 각 구성 요소로부터 발생하는 이벤트 신호를 검출하여 차량부(100)의 도어개폐, 조향 등의 제어를 제한할 수 있다. 여기서 압롤박스가 탑재된 차량(1000)의 각 구성 요소는 적재유닛(110), 커버유닛(130), 잠금부(221), 제1 걸쇠(231), 제2 걸쇠(232) 및 제3 걸쇠(233) 등에 해당한다.
예를 들면, 제어모듈은 적재유닛(110)에 의해 발생하는 이벤트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모듈은 저1 적재 부재(111)를 회동시키는 구동 모듈의 동작을 감지하여 이벤트 신호로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제1 적재 부재(111) 또는 제2 적재 부재(112)에 광원조사기가 구비되고, 제1 적재 부재(111) 또는 제2 적재 부재(112)의 이동 경로 상에 적어도 하나의 감광성 센서 영역이 배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감광선 센서 영역에 제1 적재 부재(111) 또는 제2 적재 부재(112)의 이동에 의한 감광성광선이 감지되는 경우, 제어모듈은 감광선 센서 영역으로부터 그 센싱 신호를 이벤트 신호로 수신할 수 있다.
제어모듈은 적재유닛(110)에 의해 발생하는 이벤트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차량부(100)의 운행 기능 또는 조향 기능을 제한할 수 있다. 제어모듈은 이벤트 신호를 수신한 시점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차량부(100)의 일부 기능을 제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량부(100)에 암롤박스(200)가 탑재 또는 하역되는 동안 차량부(100)의 조작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적재유닛(110)은 왕복이동에 의해 암롤박스(200)를 차량부(100)에 탑재 또는 하역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암롤박스(200)가 차량부(100)에 완전히 적재되는 동안 적어도 두 번의 이벤트 신호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모듈은 이벤트 신호 간의 수신 시간 간격을 측정할 수 있다.
제어모듈은 이벤트 신호 간의 수신 시간 간격과 미리 설정된 기준시간을 비교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시간은 감광선 센서 영역의 개수, 위치, 암롤박스(200)의 규격 등에 따라 산정될 수 있다.
제어모듈은 이벤트 신호 간의 시간 간격과 기준시간 간의 차이가 30초 이상인 경우, 미리 등록된 관리자의 이동 단말로 적재유닛(110)의 보수 요청 신호를 송신할 수도 있다.
제어모듈은 이벤트 신호 간의 시간 간격과 기준시간 간의 차이가 10초 내지 30초 사이로 산출되는 경우, 그 횟수를 카운트할 수 있다. 제어모듈은 카운트 횟수가 10회 이상인 경우, 관리자의 이동 단말로 적재유닛(110)의 보수 요청 신호를 송신하거나, 기준시간을 재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암롤박스가 탑재된 차량(1000)은 암롤박스(200)의 밀폐 상태를 확보하고, 암롤박스(200)의 차량 탑재 또는 하역을 용이하게 하여 작업의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암롤박스가 탑재된 차량에 포함되는 다기능 승강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암롤박스가 탑재된 차량은 도 1에 도시된 차량부(100) 및 암롤박스(200) 외에도 다기능 승강 장치(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차량부(100) 및 암롤박스(200)는 도 1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다기능 승강 장치(20)는 작업자가 암롤박스가 탑재된 차량을 정비할 수 있도록 상측에 작업자가 탑승하면 정비가 필요한 위치까지 작업자를 승강시켜 준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암롤박스가 탑재된 차량은 작업자가 용이하게 접근할 수 없는 높은 곳에 위치한 구성 요소까지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다기능 승강 장치(20)를 이용하여 작업자를 승강시킴으로써, 차량의 정비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도 3을 참조하면, 다기능 승강 장치(20)는, 상판(310), 하판(320) 및 승강부(400)를 포함한다.
상판(310)은, 상측면에 작업자가 탑승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며, 양측에 설치되는 승강부(400)에 의하여 하판(320)의 상측에 이격되어 설치되며, 승강부(400)의 구동에 따라 하판(320)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승강되거나 하판(320) 방향으로 하강된다.
즉, 상판(310)은, 그 높이가 고정되는 하판(320)과는 달리, 작업자의 작업 필요성에 대응하여 높낮이가 자유롭게 조절될 수 있는 선반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하판(320)은, 양측에 설치되는 승강부(400)에 의하여 상측에 상판(310)이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판(310)과의 사이 공간을 형성하여 추가적인 물건을 적재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즉, 기존의 승하강 기능을 구비한 선반의 경우에는, 승하강 구동장치가 하판의 일반적으로 설치되어 상판의 상측에만 물건을 안착시킬 수 있었던 것에 반하여, 반 발명에서는 상판(310)의 상측뿐만 아니라, 하판(320)의 상측에도 공간을 형성하여 추가적인 적재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승강부(400)는, 상판(310)의 일측과 하판(320)의 일측 사이와 상판(310)의 다른 일측과 하판(320)의 다른 일측 사이에 각각 연결 설치되며,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상판(310)을 승강시켜 주거나 하강시켜 준다.
본 발명에 따른 승강부(40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착탈이 가능한 형태로 제작됨으로써, 상판(310) 및 하판(320) 중 하나의 판이 파손되는 등으로 인하여 교체가 필요로 하는 경우 해당 판만을 분리한 후 새로운 판을 체결함으로써 지속적인 장비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승강부(400)는, 기존의 일체형 구동장치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착탈식의 모듈형 구동장치로서, 장비의 유지/보수 측면에서 보다 경제적인 장비의 운용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다기능 승강 장치(20)는, 승강부(400)의 전단 및 후단의 상측에 각각 탄성 지지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탄성 지지부(500)는, 탑승된 작업자의 하중을 지탱하지 못하고 상판(310)이 파손되어 낙하하거나, 상판(310)의 하중을 견디지 못한 후술하는 구동 프레임(430)이 파손되어 상판(310)이 낙하하는 경우, 상판(310)이 바로 하판(320)에 충돌하여 이에 따른 충격으로 작업자가 안전사고를 당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탄성력을 이용하여 낙하하는 상판(310)을 지지함으로써 작업자로 전달되는 충격을 최소화시킴으로써 작업자가 낙상으로 인하여 사고를 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도 6의 승강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승강부(400)는, 상판 체결부(410), 구동부(420), 구동 프레임(430) 및 하판 체결부(440)를 포함한다.
상판 체결부(410)는, 상판(310)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의 하측을 지지하는 제1 상부 지지부(411), 및 "ㄱ" 형태로 형성되어 하부가 제1 상부 지지부(411)에 힌지부(414)에 의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회동하여 상판(310)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을 체결하는 제2 상부 지지부(412)를 포함한다.
도 8은 도 7의 상판 체결부(410)를 보여주는 도면으로, 도 8을 참조하면 상판 체결부(410)는, 하측 전단 및 후단에 제1 교차 프레임(431) 또는 제2 교차 프레임(432)의 상부를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하기 위한 회동 연결부(413)을 형성한다.
구동부(420)는, 하판(320)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의 상측에 안착되고, 상부 전단 및 후단에 제1 교차 프레임(431) 또는 제2 교차 프레임(432)의 하부가 회동 및 전후 방향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하측에 하판 체결부(440)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구동 프레임(430)은, 하부가 구동부(420)의 상부 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상부가 상판 체결부(410)의 하부 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1 교차 프레임(431), 및 하부가 구동부(420)의 상부 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상부가 상판 체결부(410)의 하부 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1 교차 프레임(431)을 포함한다.
그리고, 제1 교차 프레임(431)과 제2 교차 프레임(43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 부분이 "X" 형태로 교차 연결되어 구동부(420)의 구동에 의해 제1 교차 프레임(431) 또는 제2 교차 프레임(432)의 하측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판(310)을 승강시켜 주거나 하강시켜 준다.
즉, 제1 교차 프레임(431)과 제2 교차 프레임(432)의 하측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함에 따라 상판(310)은 상측 방향으로 승강하게 되고, 제1 교차 프레임(431)과 제2 교차 프레임(432)의 하측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함에 따라 상판(310)은 하측 방향으로 하강하게 되는 것이다.
하판 체결부(440)는, "ㄴ" 형태로 형성되어 상부가 구동부(420)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회동하여 하판(320)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을 체결하며, 하측에 이동을 위한 바퀴(441)를 구비한다(도 9 참조).
일 실시예에서, 하판 체결부(44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420)의 하측에 서로 분리된 형태로 형성되거나, 일체의 바디를 형성하고 전단 및 후단의 하측에 각각 바퀴(441)를 구비하는 일체형 바디 형태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도 9 내지 도 12는 도 7의 구동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9를 참조하면, 구동부(420)는, 안착부(421), 제1 직선 운동부(422) 및 제2 직선 운동부(423)를 포함한다.
안착부(421)는, 전후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측이 개방된 박스 형태로 형성되며, 제1 교차 프레임(431) 또는 제2 교차 프레임(432)의 하부가 삽입되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구동홈(421a, 421b)이 전단 및 후단에 형성되며, 하판(320)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의 상측에 안착된 후 하판 체결부(440)에 의하여 하판(320)에 체결된다.
즉, 안착부(421)는, 하판 체결부(440)의 회동에 따라 하판(320)과 체결되거나 분리되는 착탈식 구조를 형성하는 것이다.
그리고, 안착부(421)는, 전단 및 후단의 상측면에 평평한 형태의 안착면(421c, 421d)을 각각 형성하여 탄성 지지부(500)가 안착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제1 직선 운동부(422)는, 안착부(421)의 전단에 형성되는 구동홈(421a)의 후단에 설치되며, 직선 왕복 운동을 위해 구비된 피스톤(422a)(도 9 참조)의 전단에 제1 교차 프레임(431)의 하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다만, 제1 직선 운동부(422)는, 직선 왕복 운동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이면 유압 실린더 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명칭에 구애됨이 없이 모두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제2 직선 운동부(423)는, 제1 직선 운동부(422)와 대칭구조로 안착부(421)의 후단에 형성되는 구동홈(421b)의 전단에 설치되며, 직선 왕복 운동을 위해 구비된 피스톤(423a)의 후단에 제2 교차 프레임(432)의 하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직선 운동부(422) 또는 제2 직선 운동부(423)는, 구동홈(421a, 421b)의 단면의 형태에 대응하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는 지지 플레이트(424a), 및 지지 플레이트(424a)의 전단 또는 후단에 좌우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공간을 형성하여 해당 공간에 제1 교차 프레임(431) 또는 제2 교차 프레임(432)의 하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도록 하는 원판 형태의 두 개의 회동 원판(424b)을 구비하는 회동 연결부(424)가 피스톤(422a)의 전단(즉, 제1 직선 운동부(422)의 경우) 또는 후단(즉, 제2 직선 운동부(423)의 경우)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두 개의 회동 원판(424b)의 사이의 공간(424d)에 제1 교차 프레임(431)이 삽입된 뒤 고정 핀 등의 체결 수단에 의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그리고, 회동 연결부(424)는, 지지 플레이트(424a)가 바로 피스톤(422a)에 체결되는 대신에, 회동 연결부(424)의 불량에 따른 교체를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지지 플레이트(424a)의 후단에 피스톤(422a)을 삽입하여 체결할 수 있는 전후 방향의 체결홈을 형성하는 체결부(424c)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직선 운동부(422)는,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한 실린더로 구동력을 발생시켜 피스톤(422a)을 실린더로부터 신장시키거나 수축시킴에 따른 전후 방향 왕복 직선 운동을 이용하여 제1 교차 프레임(431)을 구동홈(421a)에서 슬라이딩 이동을 수행하도록 구동시킬 수 있다(도 12 참조).
여기서, 제2 직선 운동부(423)는, 제1 직선 운동부(422)와 대칭형 구조로서 그 구성 및 기능이 동일하여 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3은 도 7의 탄성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탄성 지지부(500)는, 받침 프레임(540), 네 개의 받침 플레이트(510), 네 쌍의 지지 프레임(520) 및 지지 기둥(530)을 포함한다.
받침 프레임(540)은, 하측에 설치된 받침 플레이트(510)에 의하여 지지되며, 상판(310)이 낙하할 경우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판(310)을 지지한다.
받침 플레이트(510)는, 상측에 안착된 받침 프레임(540)을 지지하며, 하측에 연결 설치된 지지 프레임(520)에 의하여 지지 기둥(530)에서 지지된다.
즉, 받침 플레이트(510)는, 상측에 받침 프레임(540)을 안착시키게 되고, 받침 프레임(540)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 등에 대응하여 탄성력에 의하여 좌우 방향(즉, 제1 프레임(521a)) 또는 상하 방향(즉, 제2 프레임(521b))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게 되는 지지 프레임(520)에 의하여 흡수되도록 함으로써 진동 또는 충격을 감쇄시키게 되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제1 프레임(521a) 또는 제2 프레임(521b)의 길이를 다양하게 형성시킴으로써, 단순히 상하 방향의 높이만을 조절하여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는 기존의 탄성체의 한계를 극복하여 받침 플레이트(510)에 의한 지지 위치를 상하 방향뿐만 아니라 좌우 방향으로도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지지 프레임(520)은, 네 개의 받침 플레이트(510)의 각각의 하부에 제1 프레임(521a) 및 제2 프레임(521b)의 두 개의 프레임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플레이트(510)를 지지하고,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프레임(521a) 또는 제2 프레임(521b)의 길이를 조절하여 플레이트(510)에 의한 받침 프레임(540)의 지지 위치를 결정한다.
이때, 제1 프레임(521a) 및 제2 프레임(521b)의 상부는 받침 플레이트(510)의 하부에 연결 설치되고, 제1 프레임(521a)의 하부는 지지 기둥(530)의 상측면에 회동 및 수평 방향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제2 프레임(521b)의 하부는 지지 기둥(530)의 일 측면에 회동 및 수직 방향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즉, 제1 프레임(521a) 또는 제2 프레임(521b)은, 지지 기둥(530)의 상측면 또는 일측면에서 탄성력에 의한 회동 또는 슬라이딩 이동을 통하여 받침 플레이트(510)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지지 기둥(530)으로 전달하게 된다.
지지 기둥(530)은, 사각 기둥 형태로 형성되며, 제1 프레임(521a)의 하부가 상측면에 회동 및 수평 방향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제2 프레임(521b)의 하부가 일 측면에 회동 및 수직 방향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하며, 제1 프레임(521a) 또는 제2 프레임(521b)의 슬라이딩 이동 시 탄성력(즉, 십자 탄성부(533) 또는 수직 탄성부(535))을 통해 진동 또는 충격을 흡수시킨다.
각각의 받침 플레이트(510) 또는 지지 프레임(520)는, 서로 대칭 구조로서 동일한 방법에 의하여 구동되는 바, 상술한 바와 같은 일 받침 플레이트(510) 또는 일 지지 프레임(520)에 관하여 기술한 내용은 다른 받침 플레이트(510) 또는 다른 지지 프레임(520)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바, 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탄성 지지부(500)는, 상하 대칭 구조로도 형성될 수 있는 바, 도 13의 경우에는 지지 기둥(530)의 상부에만 각각의 구성이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상술한 바와 같은 네 개의 받침 플레이트(510) 및 네 쌍의 지지 프레임(520)과 관련된 구성은 지지 기둥(530)의 하부에 동일하게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탄성 지지부(500)는, 탑승된 작업자의 하중을 지탱하지 못하고 상판(310)이 파손되어 낙하하거나, 상판(310)의 하중을 견디지 못한 구동 프레임(430)이 파손되어 상판(310)이 낙하하는 경우, 상판(310)이 바로 하판(320)에 충돌하여 이에 따른 충격으로 작업자가 다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탄성력을 이용하여 낙하하는 상판(310)을 지지함으로써 작업자로 전달되는 충격을 최소화시킴으로써 작업자가 낙상하여 다치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4 및 도 15는 도 13의 지지 기둥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지지 기둥(530)은, 기둥 바디(531), 십자홈(532), 십자 탄성부(533), 네 개의 수직홈(534)(도 13 참조) 및 네 개의 수직 탄성부(535) (도 16 참조)를 포함한다.
기둥 바디(531)는, 사각 기둥 형태로 형성되고, 상부에 십자홈(532)이 형성되며, 각 측면에 수직홈(534)이 형성된다.
십자홈(532)은, 기둥 바디(531)의 상부에 "+"형태로 함몰 형성되고, 내부 공간에 십자 탄성부(533)가 삽입 설치된다.
십자 탄성부(533)는, 십자홈(532)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십자홈(532)에 삽입되며, 네 개의 가지의 말단 상부에 제1 프레임(521a)의 하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제1 프레임(521a)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흡수시켜 진동 또는 충격을 감쇄시킨다.
수직홈(534)은, 기둥 바디(531)의 각 면에 상하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고, 내부 공간에 수직 탄성부(535)가 삽입 설치된다.
수직 탄성부(535)는, 수직홈(534)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수직홈(534)에 삽입되며, 상부 외측에 제2 프레임(521b)의 하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제2 프레임(521b)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흡수시켜 진동 또는 충격을 감쇄시킨다.
도 16은 도 14의 십자 탄성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십자 탄성부(533)는, 십자 케이스부(5331), 상부 지지부(5332), 네 개의 상부 탄성부(5333), 네 개의 상부 탄성 지지부(5334) 및 네 개의 상부 연결 링크부(5335)를 포함한다.
십자 케이스부(5331)는, 내부 공간이 빈 "+" 형태로 형성되어 십자홈(532)에 삽입 설치되고, 내부 공간에 후술하는 상부 지지부(5332), 네 개의 상부 탄성부(5333), 네 개의 상부 탄성 지지부(5334)가 설치된다.
이때, 십자 케이스부(5331)의 각 가지의 길이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십자홈(532)의 각 가지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됨으로써, 십자 케이스부(5331)의 외측에 형성되는 공간에 상부 연결 링크부(5335)가 배치되고 슬라이딩 이동을 위한 공간을 형상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상부 지지부(5332)는, 정육면체로 형성되며, 십자 케이스부(5331)의 중심 부분에 배치되고, 각 4면의 외측에 상부 탄성부(5333)가 배치되도록 하고 상부 탄성부(5333)를 지지하게 된다.
상부 탄성부(5333)는, 상부 지지부(5332)의 각 측면에 배치되어 상부 탄성 지지부(5334)를 탄성력에 의하여 지지함으로써, 상부 탄성 지지부(5334)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 등을 흡수하게 된다.
상부 탄성 지지부(5334)는, 십자 케이스부(5331)의 내부 공간의 각 가지의 말단에 각각 배치되며, 상부 탄성부(5333)의 탄성력에 의하여 지지되고, 상부 연결 링크부(5335) 사이에 설치된 지지 바아(5336)에 의하여 상부 연결 링크부(5335)를 지지한다.
상부 연결 링크부(5335)는, 십자홈(532)의 각 가지의 말단에 각각 배치되고, 십자 케이스부(5331)와 대향하는 일 측면과 상부 탄성 지지부(5334) 사이에 설치되는 지지 바아(5336)에 의하여 기 설정된 간격으로 유지되고, 상부에 제1 프레임(521a)의 하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플레이트(510)의 상하 방향의 이동에 따라 십자홈(532)의 각각의 가지가 만나는 중심 방향으로 십자홈(532)의 홈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한다.
도 17은 도 15의 수직 탄성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수직 탄성부(535)는, 수직 케이스부(5341), 측면 지지부(5342), 측면 탄성부(5343), 측면 탄성 지지부(5344) 및 측면 연결 링크부(5345)를 포함한다.
수직 케이스부(5341)는, 내부 공간이 빈 수직홈(534)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 공간의 하측으로부터 측면 지지부(5342), 측면 탄성부(5343) 및 측면 탄성 지지부(5344)가 순서대로 설치된다.
측면 지지부(5342)는, 정육면체로 형성되며, 수직 케이스부(5341)의 하부 공간에 배치되고, 상측에 측면 탄성부(5343)가 배치되어 측면 탄성부(5343)를 지지한다.
측면 탄성부(5343)는, 측면 지지부(5342)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측에 배치된 측면 탄성 지지부(5344)를 탄성력에 의하여 지지함으로써, 측면 탄성 지지부(5344)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 등을 흡수하게 된다.
측면 탄성 지지부(5344)는, 수직 케이스부(5341)의 내부 공간의 상측에 배치되며, 측면 탄성부(5343)의 탄성력에 의하여 지지되고, 측면 연결 링크부(5345) 사이에 설치된 지지 바아(5346에 의하여 측면 연결 링크부(5345)를 지지한다.
측면 연결 링크부(5345)는, 수직홈(534)의 상부 말단에 배치되고, 수직 케이스부(5341)와 대향하는 하측면과 측면 탄성 지지부(5344)의 상측면 사이에 설치되는 지지 바아(5346)에 의하여 기 설정된 간격으로 유지되고, 외측면에 제2 프레임(521b)의 하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수직홈(534)의 하측 방향으로 수직홈(534)의 홈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한다.
도 18는 도 16의 상부 탄성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상부 탄성부(5333)는 상부 지지부(5332) 및 상부 탄성 지지부(5334) 사이에 설치되어, 상부 탄성 지지부(5334)를 탄성력에 의하여 지지함으로써, 상부 탄성 지지부(5334)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 등을 흡수하게 된다.
상부 탄성부(5333)는 원통형 몸체(5333_1), 와셔형 단부(5333_3) 및 저항력 강화 링(5333_5)을 포함한다.
원통형 몸체(5333_1)는 탄성력을 갖는 와이어를 소정의 규칙에 따라 엮어 길이 방향으로 탄성력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와셔형 단부(5333_3)는 원통형 몸체(5333_1) 양측 길이방향 단부에 외향 절곡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와셔형 단부(5333_3)는 원통형 몸체(5333_1)와 직각을 이룰 수 있으며, 그 내각을 둔각 또는 예각을 이룰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저항력 강화 링(5333_5)은 와셔형 단부(5333_3)의 바깥 둘레에 직경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저항력 강화 링(5333_5)의 겹침 횟수는 증감 조절 가능하도록 이루어 가변적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부 탄성부(5333)는 와셔형 단부(5333_3) 및 저항력 강화 링(5333_5)에 의해 상부 지지부(5332) 및 상부 탄성 지지부(5334) 사이에서 이탈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
와셔형 단부(5333_3)는 원통형 몸체(5333_1)로부터 양측으로 확장되어 원통형 몸체(5333_1)보다 넓은 직경을 가지므로, 상부 지지부(5332) 및 상부 탄성 지지부(5334)를 폭 넓게 지지하는 동시에 그 바깥 둘레에 다중으로 겹쳐 형성한 저항력 강화 링(5333_5)에 의해 원통형 몸체(5333_1)의 수축과 같은 변형이 규제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암롤박스가 탑재된 차량은 구조물에 균열이 발생될 경우 균열이 발생된 곳에 충전하여 보수하기 위한 아크릴바인더를 포함하는 건축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구조물이라 함은, 차량부(100) 및 암롤박스(200)가 이에 해당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을 이루는 각각의 구성 모두가 이에 해당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종래 존재하던 건축 구조물을 보수하기 위한 조성물에 있어서 내수성, 방수성 및 내균열성이 모두 향상된 조성물 중 만족할 만한 효과를 발휘하는 조성물이 존재하지 않는 다는 것을 발견하여, 예의 노력한 끝에 본 발명과 같이 내수성, 방수성 및 내균열성 모두 만족할 만한 효과를 발휘하는 조성물을 발명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아크릴바인더는 아크릴 에스테르 코폴리머(acrylic ester copolymer)일 수 있다. 상기 아크릴 에스테르 코폴리머는 CAS 번호(CAS number)가 30445-28-4인 아크릴 에스테르 코폴리머일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건축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에 첨가할 수 있는 다양한 화합물을 탐색하던 중 조성물이 상기 아크릴 에스테르 코폴리머를 포함하는 경우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인 내수성 및 내균열성을 모두 달성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서 상기 조성물은 상기 아크릴바인더는 10 내지 50 중량부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40 중량부 포함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0 중량부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은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중 특히 방수성 및 내수성을 달성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EVA 바인더, 부틸셀로솔브(butyl cellosolve), 로진, 텍사놀 및 프로필렌글리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EVA 바인더는 바람직하게,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thylene vinyl acetate)이며, CAS 번호는 24937-78-8 인 화합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부틸셀로솔브(butylcellosolve)는 CAS 번호 111-76-2인 화합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로진(rosin)은 송진을 증류하여 얻는 천연 수지를 의미하며, 상업적으로 판매하고 있는 로진이라면 어떠한 종류의 로진이라도 본 발명의 과제 해결을 위한 구성으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텍사놀(TEXANOL)은 CAS 번호 25265-77-4인 화합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은 CAS 번호 57-55-6인 화합물일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아크릴바인더를 포함하는 건축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의 구성으로서 EVA 바인더, 부틸셀로솔브(butyl cellosolve), 로진, 텍사놀 및 프로필렌글리콜을 더 포함시키는 경우 특히 내수성의 효과가 향상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EVA 바인더 0.01 내지 10 중량부, 부틸셀로솔브(butyl cellosolve) 0.01 내지 5 중량부, 로진 0.01 내지 5 중량부, 텍사놀 0.01 내지 5 중량부 및 프로필렌글리콜 0.01 내지 3 중량부 포함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자들은 상기 조성물에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및 2-메틸아미노-2-메틸-1-프로판올이 추가로 포함되는 경우 내수성의 효과가 현저하게 향상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즉, 상기 아크릴바인더가 포함된 건축 보수용 조성물에 EVA 바인더, 부틸셀로솔브(butyl cellosolve), 로진, 텍사놀 및 프로필렌글리콜, 그리고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및 2-메틸아미노-2-메틸-1-프로판올이 추가로 포함되는 경우 향상된 방수성 및 내수성 확인을 통해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에서 상기 조성물은 상기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및 2-메틸아미노-2-메틸-1-프로판올을 15 내지 20 : 1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16 내지 20 : 1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 17 내지 20 : 1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및 2-메틸아미노-2-메틸-1-프로판올은 상기 조성물에 0.1 내지 5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조성물이 본 발명이 달성하고자 하는 과제 중 특히 내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상기 아크릴바인더가 포함된 건축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은 에틸렌글리콜, 부틸셀로솔브(butyl cellosolve), 칼슘 카보네이트, 티타늄디옥사이드 및 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조성물이 뛰어난 방수성 및 내수성 효과를 갖는다면, 본 조성물은 내균열성이 향상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틸셀로솔브는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에틸렌글리콜(ethylene glycol)은 CAS 번호가 107-21-1인 화합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칼슘 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는 CAS 번호가 1317-65-3인 화합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티타늄 디옥사이드(titanium dioxide)는 CAS 번호가 13463-67-7인 화합물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에틸렌글리콜 0.01 내지 5 중량부, 부틸셀로솔브(butyl cellosolve) 0,01 내지 5 중량부, 칼슘 카보네이트 20 내지 50 중량부, 티타늄디옥사이드 0.01 내지 5 중량부 및 물 0.01 내지 10 중량부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내균열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구성을 탐색하던 중 천연 추출물에서 그 아이디어를 구체화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조성물에 아마씨 점액 또는 아마씨 점액 추출물이 추가로 포함되는 경우 내균열성의 효과가 현저하게 향상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즉, 상기 아크릴바인더가 포함된 건축 보수용 조성물에 에틸렌글리콜, 부틸셀로솔브(butyl cellosolve), 칼슘 카보네이트, 티타늄디옥사이드 및 물, 그리고 아마씨 점액 또는 아마씨 점액 추출물이 추가로 포함되는 경우 향상된 내균열성 확인을 통해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아마(flax)는 쌍떡잎식물 쥐손이풀목 아마과의 한해살이풀로서 씨는 납작하고 긴 타원 모양이며 노란빛을 띤 갈색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아마씨 점액은 다양한 방법을 통해 제조할 수 있지만, 예시적으로 스크래퍼(scraper)를 이용하여 아마씨로부터 점액질을 긁어내어 아마씨 점액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아마씨 점액 추출물은 예시적으로 다음과 같이 제조될 수 있다.
아마씨 1 g을 정제수 50L에 넣고, 25℃에서 5시간 동안 교반 후, 300메쉬 여과포로 여과한 후, 여액에 동량의 알코올,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을 첨가하여 침전시킨 후 와트만 여과지, 예를 들어 와트만 여과지 NO. 5를 이용하여 여과한 후 건조하여 백색의 파우더 형태를 얻을 수 있다.
종래 아마씨의 용도로서 다양한 용도가 알려져 있으나, 본 발명에서와 같이 건축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에 포함시켜 내균열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확인한 바는 현재까지 알려진 바 없으며, 연구도 미미한 실정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상기 아마씨 점액 또는 아마씨 점액 추출물을 1 내지 10 중량부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축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의 기본 물성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분산제, 소포제, 항균제, 방부제, 동결 방지제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S1) 건축 구조물의 표면의 열화부를 제거하는 단계; 및 S2) 상기 열화부가 제거된 상기 건축 구조물의 표면 상부에 상기 건축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을 도포 및 건조하여 균열 보수막을 형성하는 단계에 의하여 구조물의 균열 보수를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와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재료 준비
하기 실시예 및 평가예를 위한 건축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에 사용된 주요 원료의 정보는 아래와 같다.
1) 아크릴바인더: 아크릴 에스테르 코폴리머(Acrylic ester copolymer) CAS NO 30445-28-4
2) EVA 바인더: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thylene vinyl acetate) CAS NO 24937-78-8
3) 부틸셀로솔브(butylcellosolve): CAS NO 111-76-2
4) 텍사놀(TEXANOL): CAS NO 25265-77-4
5)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CAS NO 57-55-6
6) 에틸렌글리콜(ethylene glycol): CAS NO 107-21-1
7) 칼슘 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CAS NO 1317-65-3
8) 티타늄 디옥사이드(titanium dioxide): CAS NO 13463-67-7
9)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CAS NO 124-68-5
10) 2-메틸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CAS NO 27646-80-6
11) 아마씨 점액
스크래퍼를 이용하여 아마씨로부터 점액질을 긁어내어 아마씨 점액을 수득하였다.
12) 아마씨 점액 추출물
아마씨 1 g을 정제수 50L에 넣고, 25℃에서 5시간 동안 교반 후, 300메쉬 여과포로 여과한 후, 여액에 동량의 에탄올을 첨가하여 침전시킨 후 와트만 여과지 NO. 5를 이용하여 여과한 후 건조하여 백색의 파우더 약 0.2 g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1
혼합 교반조에 30 중량부의 아크릴바인더를 넣고 600rpm의 속도로 교반하면서 5 중량부의 EVA 바인더, 1 중량부의 부틸셀로솔브, 0.5 중량부의 로진, 0.5 중량부의 텍사놀, 0.1 중량부의 프로필렌글리콜 및 기타 증점보조제, pH조절제 등을 순서대로 서서히 투입한 후 50 중량부의 충진제인 칼슘 카보네이트를 넣고 300rpm의 속도로 상온에서 1시간 교반하여 건축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혼합 교반조에 30 중량부의 아크릴바인더를 넣고 600rpm의 속도로 교반하면서 5 중량부의 EVA 바인더, 1 중량부의 부틸셀로솔브, 0.5 중량부의 로진, 0.5 중량부의 텍사놀, 0.1 중량부의 프로필렌글리콜, 1 중량부의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0.06 중량부의 2-메틸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및 기타 증점보조제, pH조절제 등을 순서대로 서서히 투입한 후 50 중량부의 충진제인 칼슘 카보네이트를 넣고 300rpm의 속도로 상온에서 1시간 교반하여 건축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혼합 교반조에 30 중량부의 아크릴바인더를 넣고 600rpm의 속도로 교반하면서 1 중량부의 에틸렌글리콜, 1 중량부의 부틸셀로솔브, 0.5 중량부의 티타늄디옥사이드, 5 중량부의 물 및 기타 증점보조제, pH조절제 등을 순서대로 서서히 투입한 후 50 중량부의 충진제인 칼슘 카보네이트를 넣고 300rpm의 속도로 상온에서 1시간 교반하여 건축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혼합 교반조에 30 중량부의 아크릴바인더를 넣고 600rpm의 속도로 교반하면서 1 중량부의 에틸렌글리콜, 1 중량부의 부틸셀로솔브, 0.5 중량부의 티타늄디옥사이드, 5 중량부의 물, 5 중량부의 아마씨 점액 및 아마씨 점액 추출물의 혼합물 및 기타 증점보조제, pH조절제 등을 순서대로 서서히 투입한 후 50 중량부의 충진제인 칼슘 카보네이트를 넣고 300rpm의 속도로 상온에서 1시간 교반하여 건축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평가예 1
건축 토목 구조물의 열화부를 제거한 다음, 이 표면상부에 상기 실시예 1 내지 4의 건축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을 각각 도장 및 건조하여 균열 보수막을 형성하였다. 이와 같이 얻어진 균열 보수막의 접착강도, 내균열 안정성 및 미끄럼저항성 및 균열 보수제 조성물의 저장안정성을 KS규격, KSL 1593상의 시험방법에 의거하여 물성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또한, 방수성의 경우 균열 보수막 형성 후 내부로 수분이 흡수되는 정도를 5점 척도법에 의하여 평가하였다. 하기 표 1에서 제품 X는 국내에서 시판되고 있는 B사의 건축 구조물의 건축 구조물 보수용 제품을 나타내며, 이를 실시예 1 내지 4의 조성물과 비교 대상으로 평가하였다.
[표 1]
Figure 112019038035564-pat00001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4의 건축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은 제품 X와 비교하여 내수성, 방수성 및 내균열성이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저장 안정성 및 미끄럼 저항성에 있어서도 문제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본 발명에서 실시예 1, 2는 방수성 및 내수성에서 더 우수한 평가를 받은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실시예 3, 4는 내균열성에서 더 우수한 평가를 받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0: 암롤박스가 탑재된 차량
100: 차량부
200: 암롤박스

Claims (2)

  1. 차량부; 및
    상기 차량부에 탑재 및 하역되며, 개폐문 형태로 이루어지는 후면은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기능을 갖도록 구성되는 암롤박스;를 포함하되,
    상기 차량부는,
    상기 암롤박스를 견인하는 적재유닛; 및
    상기 암롤박스를 덮개로 커버하는 커버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암롤박스는,
    다수의 프레임이 직육면체 형태를 형성하도록 놓여지고, 상기 다수의 프레임에 철판이 부착되어 바닥면, 양측면, 전면, 상면 및 후면을 형성한 직육면체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전면은 상기 적재유닛에 의해 상기 차량부에 탑재 또는 하역될 수 있도록 후크고리가 형성되고, 상기 후면은 바깥쪽으로 회전시켜 올리는 방식으로 내부공간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 개폐문 형태로 이루어지고, 양측에 지지판 및 회전에 의해 상기 지지판을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회전유닛을 각각 포함하여, 상기 회전유닛이 회전되는 경우, 상기 지지판 및 상기 후면이 가압되어 닫힌 상태를 유지하고, 일측면에 회동 가능하도록 형성되되, 상기 후면을 지나 위치하는 절곡부가 형성된 제1 걸쇠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면을 형성하도록 놓여지는 프레임으로부터 수직 상승하며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프레임과 상기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프레임으로부터 지면과 수평하도록 연장되는 프레임으로 각각 구성되는 제2 걸쇠 및 제3 걸쇠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걸쇠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절곡부에 의해 회동이 제한되고, 상기 제2 걸쇠 및 상기 제3 걸쇠는 스프링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제1 걸쇠의 회동에 의해 상기 제2 걸쇠로부터 상기 절곡부가 제거되는 경우. 상기 제2 걸쇠가 바깥측으로 회동하면서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으로 상기 제3 걸쇠가 바깥측으로 회동하여 상기 후면이 개방되고,
    상기 적재유닛은,
    소정의 구동 모듈에 의해 상측으로 들어 올려지도록 상기 차량부의 앞쪽에 설치되는 제1 적재 부재 및 상기 차량부의 뒤쪽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2 적재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적재 부재는 상기 제1 적재 부재가 들어 올려지는 경우, 같이 들어 올려지도록 상기 제1 적재 부재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1 적재 부재와 포개어진 상태로 상기 차량부에 맞닿아 있다가 상기 제1 적재 부재가 들어 올려지는 경우, 같이 들어 올려지고, 수직 상방으로 상기 후크고리의 높이와 대응되는 길이로 연장 형성되는 후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적재 부재 및 상기 제2 적재 부재는 상기 차량부에서 일체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커버 유닛은,
    상기 차량부의 앞쪽에 설치되는 제1 커버 부재 및 상기 차량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커버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커버 부재는 지면으로부터 수직하게 상기 암롤박스의 높이와 대응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프레임 및 상기 한 쌍의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는 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상기 한 쌍의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는 프레임에는 상기 덮개가 감긴 상태로 배치되고,
    상기 제2 커버 부재는 상기 덮개의 끝 부분과 연결되어, 상기 제2 커버 부재가 회동하는 경우, 상기 덮개가 풀어지면서 상기 차량부에 탑재되어 있는 상기 암롤박스가 덮어지도록 구성되며,
    상기 적재유닛으로부터 발생하는 이벤트 신호를 검출하여 상기 차량부의 도어개폐, 조향 또는 운행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제한하는 제어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제1 적재 부재를 회동시키는 구동 모듈의 동작을 감지하여 상기 이벤트 신호를 수신하거나, 상기 제1 적재 부재 또는 상기 제2 적재 부재에 광원조사기가 구비되고, 상기 제1 적재 부재 또는 상기 제2 적재 부재의 이동 경로 상에 적어도 하나의 감광성 센서 영역이 배치되는 경우, 상기 제1 적재 부재 또는 상기 제2 적재 부재의 이동에 의한 감광성관선을 감지하는 상기 감광성 센서 영역으로부터 상기 이벤트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이벤트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차량부의 도어개폐, 조향 또는 운행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제한하고, 상기 제2 적재 부재에 광원조사기가 구비되고, 상기 제1 적재 부재 또는 상기 제2 적재 부재의 이동 경로 상에 적어도 하나의 감광성 센서 영역이 배치되는 경우, 상기 이벤트 신호 간의 수신 시간 간격을 측정하고, 상기 이벤트 신호 간의 수신 시간 간격과 미리 설정된 기준 시간을 비교하여 그 차이가 30초 이상인 경우, 미리 등록된 관리자의 이동 단말로 상기 적재유닛의 보수 요청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이벤트 신호 간의 시간 간격과 기준시간 간의 차이가 10초 내지 30초 사이로 산출되는 경우, 그 횟수를 카운트하고, 카운트 횟수가 10회 이상인 경우, 상기 관리자의 이동 단말로 상기 적재유닛의 보수 요청 신호를 송신하거나 상기 기준시간을 재설정하고,
    작업자가 상기 암롤박스가 탑재된 차량을 정비할 수 있도록 상측에 작업자가 탑승하면 정비가 필요한 위치까지 작업자를 승강시켜 주는 다기능 승강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다기능 승강 장치는, 작업자가 탑승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며, 양측에 설치되는 승강부에 의하여 하판의 상측에 이격되어 설치되어 상기 승강부의 구동에 따라 상기 하판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승강되거나 상기 하판 방향으로 하강되는 상판 및 상기 승강부에 설치되는 탄성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 지지부는, 하측에 설치되는 받침 플레이트에 의하여 지지되며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상판을 지지하는 받침 프레임, 상기 받침 플레이트의 하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1 프레임 및 제2 프레임을 포함하여 상기 받침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이 회동 및 수평 방향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지지 기둥을 포함하는, 암롤박스가 탑재된 차량.
  2. 삭제
KR1020190043397A 2019-04-13 2019-04-13 암롤박스 및 상기 암롤박스가 탑재된 차량 KR1020207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3397A KR102020776B1 (ko) 2019-04-13 2019-04-13 암롤박스 및 상기 암롤박스가 탑재된 차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3397A KR102020776B1 (ko) 2019-04-13 2019-04-13 암롤박스 및 상기 암롤박스가 탑재된 차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0776B1 true KR102020776B1 (ko) 2019-09-11

Family

ID=67949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3397A KR102020776B1 (ko) 2019-04-13 2019-04-13 암롤박스 및 상기 암롤박스가 탑재된 차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077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8110A (ko) 2021-04-28 2022-11-04 주식회사 선광코리아 경량화 암롤박스
KR20220167147A (ko) 2021-06-11 2022-12-20 주식회사 선광코리아 경량화 암롤박스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2903U (ko) * 1995-09-29 1997-04-25 덤프 및 암롤차량의 전복방지장치
KR100273660B1 (ko) * 1998-05-19 2000-12-15 김수연 쓰레기 수거차량용 암롤박스
KR200322047Y1 (ko) * 2003-05-15 2003-08-02 한영산업(주) 쓰레기 수거차 적재함용 덮개
US20050135908A1 (en) * 2003-06-30 2005-06-23 Eidsmore Paul G. Cargo hauling system
US6976740B1 (en) * 2001-07-10 2005-12-20 Henderson Manufacturing Company Ball screw hoist system for vehicle
KR20070001424A (ko) * 2005-06-29 2007-01-04 김재규 암롤차량에 탑재 및 분리 가능한 탱크
US8783756B2 (en) * 2012-03-06 2014-07-22 Bismarck Canvas, Inc. Tarp cover system rear arm assembly for use with three-piece tailgate
KR101756886B1 (ko) * 2017-01-09 2017-07-11 주식회사 아이엔텍 암롤 차량용 적재함 단일 커버의 한 방향 개폐장치
KR101764396B1 (ko) * 2015-03-31 2017-08-03 주식회사 빛가람환경산업 암롤트럭의 적재함 안전장치
KR101834457B1 (ko) * 2016-11-14 2018-04-13 송재주 암롤박스의 커버장치
KR101906235B1 (ko) * 2016-11-17 2018-10-10 송재주 암롤박스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2903U (ko) * 1995-09-29 1997-04-25 덤프 및 암롤차량의 전복방지장치
KR100273660B1 (ko) * 1998-05-19 2000-12-15 김수연 쓰레기 수거차량용 암롤박스
US6976740B1 (en) * 2001-07-10 2005-12-20 Henderson Manufacturing Company Ball screw hoist system for vehicle
KR200322047Y1 (ko) * 2003-05-15 2003-08-02 한영산업(주) 쓰레기 수거차 적재함용 덮개
US20050135908A1 (en) * 2003-06-30 2005-06-23 Eidsmore Paul G. Cargo hauling system
KR20070001424A (ko) * 2005-06-29 2007-01-04 김재규 암롤차량에 탑재 및 분리 가능한 탱크
US8783756B2 (en) * 2012-03-06 2014-07-22 Bismarck Canvas, Inc. Tarp cover system rear arm assembly for use with three-piece tailgate
KR101764396B1 (ko) * 2015-03-31 2017-08-03 주식회사 빛가람환경산업 암롤트럭의 적재함 안전장치
KR101834457B1 (ko) * 2016-11-14 2018-04-13 송재주 암롤박스의 커버장치
KR101906235B1 (ko) * 2016-11-17 2018-10-10 송재주 암롤박스
KR101756886B1 (ko) * 2017-01-09 2017-07-11 주식회사 아이엔텍 암롤 차량용 적재함 단일 커버의 한 방향 개폐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8110A (ko) 2021-04-28 2022-11-04 주식회사 선광코리아 경량화 암롤박스
KR20220167147A (ko) 2021-06-11 2022-12-20 주식회사 선광코리아 경량화 암롤박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0776B1 (ko) 암롤박스 및 상기 암롤박스가 탑재된 차량
US4453878A (en) Lock device for loading equipment
KR101386726B1 (ko) 쓰레기 수거차량의 적재장치
CN101927908B (zh) 渣土转运系统
CN208560500U (zh) 垃圾车上料机构及垃圾车
EP1567429A1 (en) Collapsible flat rack
US3440673A (en) Dockboard
CA1268196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 rotatable tailgate assembly having service and out-of-service positions
EP2133288B1 (en) Lifting mechanism for a loading system for emptying containers
KR102029409B1 (ko) 폐기물 이송 차량
US3269567A (en) Vehicle loaders and reinforcing mechanism for vehicle bed plates
US4420849A (en) Ramp bridging device
US20220267087A1 (en) Refuse distribution and compaction devices and methods
KR102018028B1 (ko) 다목적 크레인 차량
US3315828A (en) Resilient closure latch for containers
KR102015416B1 (ko) 물류 이송 장치
CN105460470A (zh) 多功能封闭式勾臂车箱
KR102033960B1 (ko) 배관 보관용 창고형 설비
KR102010291B1 (ko) 바니쉬 함침 장치
KR102016316B1 (ko) 다기능 절단 장치
KR102025539B1 (ko) 연속식 사출 성형 장치
KR102003032B1 (ko) 철거 작업용 비계
CN205871823U (zh) 环保自卸车车厢后门板结构
US2888162A (en) Containers
GB2188302A (en) Container emptying mechanis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