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6726B1 - 쓰레기 수거차량의 적재장치 - Google Patents

쓰레기 수거차량의 적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6726B1
KR101386726B1 KR1020130122406A KR20130122406A KR101386726B1 KR 101386726 B1 KR101386726 B1 KR 101386726B1 KR 1020130122406 A KR1020130122406 A KR 1020130122406A KR 20130122406 A KR20130122406 A KR 20130122406A KR 101386726 B1 KR101386726 B1 KR 1013867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er frame
frame
fastening
lifter
suppor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24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민관
김영구
Original Assignee
(주)에이엠 (A.M) 특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엠 (A.M) 특장 filed Critical (주)에이엠 (A.M) 특장
Priority to KR10201301224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67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67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67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3/00Vehicles particularly adapted for collecting refuse
    • B65F3/02Vehicles particularly adapted for collecting refuse with means for discharging refuse receptacles thereinto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3/00Vehicles particularly adapted for collecting refuse
    • B65F3/02Vehicles particularly adapted for collecting refuse with means for discharging refuse receptacles thereinto
    • B65F3/08Platform elevators or hoists with guides or runways for raising or tipping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3/00Vehicles particularly adapted for collecting refuse
    • B65F3/02Vehicles particularly adapted for collecting refuse with means for discharging refuse receptacles thereinto
    • B65F2003/0223Vehicles particularly adapted for collecting refuse with means for discharging refuse receptacles thereinto the discharging means comprising elements for holding the recepta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3/00Vehicles particularly adapted for collecting refuse
    • B65F3/02Vehicles particularly adapted for collecting refuse with means for discharging refuse receptacles thereinto
    • B65F2003/025Constructional features relating to actuating means for lifting or tipping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use-Collection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쓰레기 수거차량의 적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쓰레기수거통의 내부에 수용된 쓰레기를 수거차량의 적재함에 덤핑함에 있어 쓰레기수거통을 승강레일 방향으로 밀착시키면 상기 승강레일에 가이드되며 승강되는 리프터프레임 및 이송프레임에 의해 쓰레기수거통의 테두리홈이 정확하게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이송프레임의 승강에 연동되어 상기 쓰레기수거통이 수거통로킹수단에 의해 견고하게 로킹되도록 하고, 쓰레기수거통이 로킹된 상태에서 상기 리프터프레임이 상기 이송프레임으로부터 적재함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구성됨으로써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도 쓰레기수거통을 확고하게 고정하면서도 쓰레기 덤핑작업에 소요되는 작업자의 노고 및 시간을 줄여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쓰레기 수거차량의 적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수거차량의 적재장치는,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된 쓰레기수거통을 로킹한 후 상기 쓰레기수거통을 승하강시켜 상기 개구부가 하방을 향하도록 회동시킴으로써 상기 쓰레기수거통에 수용된 쓰레기를 수거차량의 적재함으로 덤핑시키는 쓰레기 수거차량의 적재장치에 있어서, 상기 적재함의 측면에 설치되는 승강레일과; 상기 쓰레기수거통의 상단부에 형성된 테두리홈에 끼워질 수 있는 형상의 걸림구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구가 상기 테두리홈의 하부에서 상부방향으로 이동되며 상기 테두리홈에 끼워지도록 상기 승강레일을 따라 승하강되는 리프터프레임과; 상기 리프터프레임이 상승하는 경우 상기 쓰레기수거통의 테두리홈이 상기 걸림구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테두리홈 상단부를 지지하도록 하부에 상기 리프터프레임이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지판과; 상기 리프터프레임의 승하강에 연동되어 상기 쓰레기수거통이 로킹되도록 상기 리프터프레임이 상승하는 경우 상기 리프터프레임과 상기 지지판 상호간을 로킹시키고, 상기 리프터프레임이 하강하는 경우 상기 리프터프레임과 상기 지지판 상호간을 로킹해제시키는 수거통로킹수단과; 상기 리프터프레임을 승하강시키는 리프트구동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수거통로킹수단은, 상기 리프터프레임의 양측 방향으로 수평하게 돌출된 한 쌍의 체결봉과, 일측이 상기 체결봉과 평행한 방향의 회동축으로 연결되고 상기 체결봉과 교차 방향으로 돌출된 상부돌출부 및 하부돌출부가 형성되며 타측에는 상기 체결봉과 평행한 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된 걸림봉이 구비되어 상기 리프터프레임이 상승하는 경우 상기 상부돌출부가 상기 체결봉에 의해 상부로 가압되면서 상기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며 상기 체결봉을 로킹시키는 고정후크와, 상기 승강레일상에 돌출되게 설치되어 상기 리프터프레임이 하강하는 경우 상기 걸림봉이 걸쳐지며 상기 고정후크의 하부돌출부가 상기 체결봉에 의해 하부로 가압되면서 상기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상기 체결봉을 로킹해제시키는 하강제한부재와, 상기 체결봉을 로킹시키는 방향으로 상기 고정후크가 회동되도록 탄성을 가하는 탄성가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쓰레기 수거차량의 적재장치{A CARRIER OF GARBAGE WAGON}
본 발명은 쓰레기 수거차량의 적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쓰레기수거통의 내부에 수용된 쓰레기를 수거차량의 적재함에 덤핑함에 있어 쓰레기수거통을 승강레일 방향으로 밀착시키면 상기 승강레일에 가이드되며 승강되는 리프터프레임 및 이송프레임에 의해 쓰레기수거통의 테두리홈이 정확하게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이송프레임의 승강에 연동되어 상기 쓰레기수거통이 수거통로킹수단에 의해 견고하게 로킹되도록 하고, 쓰레기수거통이 로킹된 상태에서 상기 리프터프레임이 상기 이송프레임으로부터 적재함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구성됨으로써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도 쓰레기수거통을 확고하게 고정하면서도 쓰레기 덤핑작업에 소요되는 작업자의 노고 및 시간을 줄여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쓰레기 수거차량의 적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음식점 등에서 발생하는 음식물쓰레기는 일반쓰레기와 분리 수거하여 재활용하거나 소각 처리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음식물쓰레기만을 수거하여 운반할 수 있는 차량과 운반탱크가 필요하다.
그러나, 종래의 쓰레기 수거차량은 적재함 자체가 누수 등으로 인해 음식물쓰레기를 수거하여 운반하기에는 부적합하였다.
즉, 기존의 쓰레기 수거차량에 음식물쓰레기를 싣고 운반하게 되면 음식물쓰레기에 함유되어 있는 수분이 흘러내려 밖으로 유출됨으로써 외부 환경이 더럽고, 오염의 원인이 되었으며, 거리를 오염시키는 예가 많아 사용에 어려움이 있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201926호(2000.08.25, 고안의 명칭: 쓰레기 수거차량의 쓰레기 적재장치)를 보면, 적재함의 측면에 적재장치를 별도를 구비하여 쓰레기통에 담긴 쓰레기를 적재함의 상측으로 상승시켜 투입시키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적재장치는 적재함에 설치되는 메인레일과, 메인레일에 구비되는 리프터프레임 및 이송프레임과, 상기 리프터프레임의 걸림판에 걸쳐져 지지되는 쓰레기통의 상승시 쓰레기통의 상부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수단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지지수단은 메인레일의 내측에 형성되게 적재함의 측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내외측돌출판과, 리프터프레임의 상하 이동시 전후 이동해 쓰레기수거통을 고정하도록 후방으로 내측돌출판과 접촉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전후 이동을 제어하도록 리프터프레임의 상부 양측에 부착되는 차단뭉치로 구성된다.
상기 적재장치의 동작과정을 보면, 리프터프레임 상승 -> 이송대 전방이동 -> 록크 해제 및 쓰레기수거통 지지 -> 리프터프레임 일정높이 상승 후 이송대 원위치 -> 고정판 돌출 -> 록크 잠김 -> 쓰레기수거통 지지상태 유지 -> 적재함에 쓰레기 투입 -> 리프터프레임 하강의 순서에 의해 쓰레기수거통에 담겨진 쓰레기를 적재함의 내부에 투입시키게 된다.
그러나, 상기 쓰레기통의 상승시 지지하기 위한 수단의 구성요소 및 동작과정이 매우 복잡하여 잔고장이 많으며, 장기간 사용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즉, 상기 지지수단을 이루는 구성이 복잡하여 원가상승을 가져올 뿐만 아니라 제품생산시 작업시간 및 인건비를 상승시키는 등 작업효율성을 저하시키게 되며, 상기 구성에 따른 상기 리프터프레임의 상승시 쓰레기수거통을 지지하기 위한 동작과정이 복잡하며, 차단뭉치의 록크작동시 충격에 의해 관련부품이 손쉽게 마모되며, 이에 따라 정확한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쓰레기 적재작업을 행할 수 없게 되는 등 장기간 사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원발명의 출원인은 종래기술의 단점을 해결해보고자 구성요소 및 동작과정을 단순화하여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는 특허를 출원한 바 있다, 즉 국내 등록특허 제10-0720606호(등록일:2007.05.15)에는 "쓰레기 수거차량의 적재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도 1a 내지 도 1b는 종래의 상기 등록특허 제0720606호에 따른 쓰레기 수거차량의 적재장치의 지지판의 상태도와 회동걸림편의 확대도이다.
도면을 살펴보면, 종래기술에 따른 쓰레기 수거차량의 적재장치는 적재함의 측면에 설치되는 메인레일과, 상기 메인레일에 구비되고 유압실린더의 동작으로 상승 또는 하강되는 리프터프레임 및 이송프레임과, 상기 리프터프레임의 상승시 쓰레기통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쓰레기 수거차량의 적재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리프터프레임(20)과 일체로 형성되되, 일측이 상기 리프터프레임(20)의 상부에 수평으로 부착되는 걸림판(22)의 저면 양측에 각각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리프터프레임(20)의 하단부에 고정되는 중공된 한쌍의 결속관(40)와; 상기 결속관(40)에 삽입되도록 양측에 삽입돌기(43)가 구비되고, 상기 리프터프레임(20)의 상승시 쓰레기통(50)의 상측을 지지하도록 상기 걸림판(22)과 동일하게 수평으로 구비되는 지지판(42)과; 상기 지지판(42)의 양측 단부가 걸쳐지도록 상기 메인레일(10)상에 일정 높이로 돌출되게 구비되어 상기 리프터프레임(20)의 하강시 상기 지지판(42)을 상기 걸림판(22)으로부터 이격시키기 위한 지지판고정돌기(47)와; 상기 지지판고정돌기(47)에 걸쳐지는 상기 지지판(42)과 상기 리프터프레임(20)을 연결시켜 상기 리프터프레임(20)의 상승시 수축되면서 상기 쓰레기통(50)을 정확하게 지지하도록 상기 지지판(42) 및 상기 리프터프레임(20)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탄성스프링(49)으로 구성되고, 상기 지지판(42)의 양측 저면에는 리프터프레임(20)의 상승시 유동에 의한 쓰레기통(5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지지판(42)과 리프터프레임(20)을 결속하는 잠금수단이 구비되되, 상기 잠금수단은 상기 지지판(42)의 양측 저면에 일측의 굴곡부위가 브라켓(61)에 의해 회동되게 결합되는 회동걸림편(60)과, 상기 회동걸림편(60)의 타측이 걸쳐지도록 상기 리프터프레임(20)의 양측면에 돌출된 걸림턱(64)과, 상기 걸림턱(64)에 걸쳐지는 회동걸림편(6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회동걸림편(60)과 상기 지지판(42)을 연결시켜 탄성력을 부여하는 잠금스프링(66)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지만, 종래기술에 따른 쓰레기 수거차량의 적재장치는 상기 리프터프레임(20)의 상승시 상기 회동걸림편(60)이 상기 지지판고정돌기(47)로부터 이격되면서 잠금스프링(66)에 의해 회동되어 상기 걸림턱(64)에 걸쳐진 상태로 쓰레기통(50)이 적재함 내측으로 기울어져 내부에 담겨진 쓰레기를 적재함의 내부에 쏟아붓게 되고, 적재함에 쓰레기를 적재시킨 후에는 상기 리프터프레임(20)이 하강하면서 상기 지지판고정돌기(47)에 상기 회동걸림편(60)이 걸쳐지면서 회동되어 상기 걸림턱(64)으로부터 떨어지게 되는 것으로, 상기 쓰레기통(50)이 적재함으로 기울어지는 과정에서 그 반동에 의해 상기 회동걸림편(60)이 상기 걸림턱(64)에서 이탈되면서 쓰레기통(50)이 적재함 내부로 떨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쓰레기수거통의 내부에 수용된 쓰레기를 수거차량의 적재함에 덤핑함에 있어 쓰레기수거통의 테두리홈이 정확하게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쓰레기수거통이 수거통로킹수단에 의해 견고하게 로킹되도록 하고, 쓰레기수거통이 로킹된 상태에서 적재함 상부로 승강 작동되는 이송프레임과 상기 이송프레임에 연동하여 상기 적재함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하는 리프터프레임이 구성됨으로써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도 쓰레기수거통을 확고하게 고정하면서도 쓰레기 덤핑작업에 소요되는 작업자의 노고 및 시간을 줄여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쓰레기 수거차량의 적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수거차량의 적재장치는,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된 쓰레기수거통을 로킹한 후 상기 쓰레기수거통을 승하강시켜 상기 개구부가 하방을 향하도록 회동시킴으로써 상기 쓰레기수거통에 수용된 쓰레기를 수거차량의 적재함으로 덤핑시키는 쓰레기 수거차량의 적재장치에 있어서, 상기 적재함의 측면에 설치되는 승강레일과; 상기 쓰레기수거통의 상단부에 형성된 테두리홈에 끼워질 수 있는 형상의 걸림구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구가 상기 테두리홈의 하부에서 상부방향으로 이동되며 상기 테두리홈에 끼워지도록 상기 승강레일을 따라 승하강되는 리프터프레임과; 상기 리프터프레임이 상승하는 경우 상기 쓰레기수거통의 테두리홈이 상기 걸림구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테두리홈 상단부를 지지하도록 하부에 상기 리프터프레임이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지판과; 상기 리프터프레임의 승하강에 연동되어 상기 쓰레기수거통이 로킹되도록 상기 리프터프레임이 상승하는 경우 상기 리프터프레임과 상기 지지판 상호간을 로킹시키고, 상기 리프터프레임이 하강하는 경우 상기 리프터프레임과 상기 지지판 상호간을 로킹해제시키는 수거통로킹수단과; 상기 리프터프레임을 승하강시키는 리프트구동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수거통로킹수단은, 상기 리프터프레임의 양측 방향으로 수평하게 돌출된 한 쌍의 체결봉과, 일측이 상기 체결봉과 평행한 방향의 회동축으로 연결되고 상기 체결봉과 교차 방향으로 돌출된 상부돌출부 및 하부돌출부가 형성되며 타측에는 상기 체결봉과 평행한 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된 걸림봉이 구비되어 상기 리프터프레임이 상승하는 경우 상기 상부돌출부가 상기 체결봉에 의해 상부로 가압되면서 상기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며 상기 체결봉을 로킹시키는 고정후크와, 상기 승강레일상에 돌출되게 설치되어 상기 리프터프레임이 하강하는 경우 상기 걸림봉이 걸쳐지며 상기 고정후크의 하부돌출부가 상기 체결봉에 의해 하부로 가압되면서 상기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상기 체결봉을 로킹해제시키는 하강제한부재와, 상기 체결봉을 로킹시키는 방향으로 상기 고정후크가 회동되도록 탄성을 가하는 탄성가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수거차량의 적재장치는, 상기 수거통로킹수단은, 상기 리프터프레임이 상승하는 경우 상기 체결봉이 하부로 가이드되어 삽입되는 체결홈이 형성된 체결판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고정후크는 상기 리프터프레임이 상승하는 경우 상기 상부돌출부가 상기 체결봉에 의해 상부로 가압되면서 상기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상기 체결봉이 상기 체결홈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되게 로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수거차량의 적재장치는, 상기 리프트구동수단에 의해 상기 리프터프레임과 함께 승하강되되, 상기 리프터프레임이 상기 적재함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리프터프레임과 수평의 힌지축으로 연결된 이송프레임과; 상기 리프터프레임의 승하강시 상기 리프터프레임을 상기 지지판으로부터 지지하기 위한 승강지지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승강지지수단은, 상기 리프터프레임의 양측에 고정된 한 쌍의 중공지지관과, 상기 중공지지관에 삽입되도록 상기 지지판 양측 저부로 연장되어 상기 중공지지관에 승하강 가이드되는 가이드봉과, 상기 리프터프레임과 상기 지지판을 수직하게 연결시켜 상기 이송프레임이 승강됨에 따라 상기 리프터프레임 및 상기 지지판이 상호 로킹된 상태에서 수축되고 상기 리프터프레임 및 상기 이송프레임이 로킹해제된 상태에서 이완되는 한 쌍의 탄성지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수거차량의 적재장치는, 상기 리프트구동수단은, 상기 수거차량에 몸체가 고정되고 상기 몸체에서 상하방향으로 승강되는 로드를 갖는 구동실린더와, 상기 로드의 선단에 상기 힌지축과 평행한 방향을 축으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된 회전풀리와, 상기 회전풀리를 중심으로 일단부는 상기 회전풀리 후방의 위치에서 상기 수거차량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회전풀리 전방의 위치에서 상기 이송프레임에 고정되는 구동체인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수거차량의 적재장치는 쓰레기수거통의 내부에 수용된 쓰레기를 수거차량의 적재함에 덤핑함에 있어 상기 쓰레기수거통이 수거통로킹수단에 의해 간편하고 견고하게 로킹되도록 한 상태에서 적재함 상부로 승강 작동되는 이송프레임과 상기 이송프레임에 연동하여 상기 적재함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하는 리프터프레임이 구성됨으로써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도 쓰레기수거통을 확고하게 고정하면서도 쓰레기 덤핑작업에 소요되는 작업자의 노고 및 시간을 줄여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하나의 구동실린더의 작동을 통해 상기 이송프레임의 승하강 및 상기 리프터프레임의 회동이 가능한 메카니즘을 갖는 리프트구동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 것이다.
도 1a는 종래기술에 따른 쓰레기 수거차량의 적재장치를 도시한 상태도.
도 1b 종래기술에 따른 쓰레기 수거차량의 적재장치에서 회동걸림편의 체결 상태를 도시한 확대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쓰레기 수거차량의 적재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쓰레기 수거차량의 적재장치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쓰레기 수거차량의 적재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쓰레기 수거차량의 적재장치의 쓰레기수거통이 적재함 방향으로 기울어진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수거차량의 적재장치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쓰레기 수거차량의 적재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쓰레기 수거차량의 적재장치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쓰레기 수거차량의 적재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쓰레기 수거차량의 적재장치의 쓰레기수거통이 적재함 방향으로 기울어진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쓰레기 수거차량의 적재장치는 상부에 개구부(1a)가 형성된 쓰레기수거통(1)을 로킹한 후 상기 쓰레기수거통을 승하강시켜 상기 개구부가 하방을 향하도록 회동시킴으로써 상기 쓰레기수거통에 수용된 쓰레기를 수거차량(2)의 적재함(2a)으로 덤핑시키는 쓰레기 수거차량의 적재장치(100)에 관한 것으로 승강레일(110)과, 리프터프레임(120)과, 지지판(125)과, 이송프레임(130)과, 수거통로킹수단(140)과, 승강지지수단(150)과, 리프트구동수단(160)을 포함한다.
우선, 상기 승강레일(110)과 상기 리프터프레임(120) 및 상기 이송프레임(130)은 상기 쓰레기수거통(1)에 담긴 쓰레기를 수거차량(2)의 적재함(2a)의 상측으로 상승시킨 후 쓰레기를 투입시키기 위한 공지된 구성인 것이다.
상기 승강레일(110)은 상기 수거차량(2)의 측방 또는 후방측에 구성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승강레일(1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이 일정한 간격으로 수직한 레일을 형성하도록 상기 적재함(2a)의 측방 상부로 연장되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리프터프레임(120)의 양측에 구비된 상측롤러(121)와, 상기 이송프레임(130)의 양측에 구비된 하측롤러(131)가 상기 승강레일(110)에 가이드되며 구름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상기 리프터프레임(120) 및 상기 이송프레임(130)은 상기 리프트구동수단(160)에 의해 상기 승강레일(110)을 따라 승강 가능하게 된다.
상기 리프터프레임(120)은 상기 쓰레기수거통(1)이 밀착되는 받침대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구비되어 대략 사각형의 프레임 형태를 이루게 된다.
상기 리프터프레임(120)은 상기 쓰레기수거통(1)의 상단부에 형성된 테두리홈(1b)에 끼워질 수 있는 형상의 걸림구(122)가 형성되어 상기 걸림구(122)가 상기 테두리홈(1b)의 하부에서 상부방향으로 이동되며 상기 테두리홈(1b)에 끼워지도록 상기 승강레일(110)을 따라 승하강된다.
상기 지지판(125)은 상기 리프터프레임(120)이 상기 승강레일(110)을 따라 상승하는 경우, 상기 쓰레기수거통(1)의 테두리홈(1b)이 상기 걸림구(122)에 끼워져 걸린 상태에서 상기 테두리홈(1b)의 상단 부분을 가압하여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상기 지지판(125)은 후술되는 상기 승강지지수단(150)에 의해 하부에 상기 리프터프레임(120)이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연결될 수 있는 것으로, 이와 같은 연결 구조는 이하의 상기 승강지지수단(150)의 구성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이송프레임(130)은 상기 리프터프레임(120)이 소정의 회전반경을 갖고 상기 적재함(2a) 방향으로 회동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상기 리프터프레임(120)의 내측에 겹쳐지는 형태로 구비되도록 상기 리프터프레임(120) 형상에 대응하는 사각형의 프레임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이송프레임(130)은 상기 리프터프레임(120)과 수평의 힌지축(123)으로 상호 연결되어 상기 리프터프레임(120)과 함께 승하강되며, 상기 리프터프레임(120)이 상기 힌지축(123)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함으로써 상기 쓰레기수거통(1)에 수용된 쓰레기를 수거차량(2)의 적재함(2a)에 덤핑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에, 상기 승강레일(110)은 상기 적재함(2a) 상단부분까지 레일이 연장되도록 상기 승강레일(110)의 굴곡된 상단부(110a)가 형성되는데, 상기 쓰레기수거통(1)은 상기 리프터프레임(120)과 함께 적재함(2a)의 상부로 상승되면서 상기 리프터프레임(120)의 상측롤러(121)는 더 이상 상승하지 못한 상태에 있게 되고, 상기 이송프레임(130)의 하측롤러(131)가 상승되면서 상기 리프터프레임(120)을 밀어올리게 되어 상기 수평의 힌지축(123)을 중심으로 상기 리프터프레임(120)이 적재함(2a)의 내측으로 회동된다. 이때, 상기 승강레일(110)의 굴곡된 상단부(110a) 말단에 구비된 상승제한부재(111)에 의해 상기 상측롤러(121)가 더 이상 전진하지 못하고 지지된 상태로 상기 쓰레기수거통(1)의 내부에 담겨진 쓰레기를 적재함(2a)의 내부에 쏟아붓게 된다.
상기 수거통로킹수단(140)은 본 발명의 주요 구성인 것으로, 상기 쓰레기수거통(1)의 테두리홈(1b)이 상기 걸림구(122)에 끼워진 상태로 고정되도록 상기 리프터프레임(120)의 승하강에 연동되어 상기 리프터프레임(120)과 상기 이송프레임(130) 상호간을 로킹 및 로킹해제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에, 상기 수거통로킹수단(140)은 체결봉(141), 고정후크(142), 체결판(143), 하강제한부재(144), 탄성가압부재(14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체결봉(141)은 상기 리프터프레임(120)의 양측 각각에서 수평하게 연장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리프터프레임(120)과 상기 이송프레임(130)을 연결하는 수평의 힌지축(123)과 평행하는 방향으로 수평하게 형성되도록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하는 봉체이다.
상기 고정후크(142)는 상기 리프터프레임(120)이 상승함에 따라 상기 체결봉(141)이 끼워져 걸리기 위한 구성이다.
즉, 상기 고정후크(142)는 상기 체결봉(141)과 수직선상에 위치되는 위치에서 상호 체결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일측이 상기 체결봉(141)과 평행한 방향의 회동축(H1))으로 연결되어 상기 체결봉(141)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돌출된 상부돌출부(142a) 및 하부돌출부(142b)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돌출부(142a)와 하부돌출부(142b)가 형성됨에 따라 그 사이에 상기 체결봉(141)이 삽입될 수 있는 크기의 삽입홈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후크(142)의 타측에는 상기 지지판(125)의 양측 각각의 외측에서 상기 체결봉(141)과 평행한 방향으로 수평하게 돌출 형성된 걸림봉(142c)이 구비된다.
이에, 상기 고정후크(142)는 상기 리프터프레임(120)이 상승하는 경우 상기 상부돌출부(142a)가 상기 체결봉(141)에 의해 상부로 가압되면서 상기 회동축(H1)을 중심으로 회전되며 상기 체결봉(141)을 로킹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수거통로킹수단(140)은 상기 리프터프레임(120)이 상승하는 경우 상기 체결봉(141)이 하부로 가이드되어 삽입되는 체결홈(143c)이 형성된 체결판(14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체결판(143)은 상기 체결봉(141)이 상기 체결홈(143c)에 삽입되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봉(141)에 상기 고정후크(142)가 로킹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상기 리프터프레임(120)이 상승하는 경우 상기 체결봉(141)이 상기 체결판(143)에 삽입됨과 동시에, 상기 상부돌출부(142a)가 상기 체결봉(141)에 의해 상부로 가압되면서 상기 고정후크(142)가 상기 회동축(H1)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상기 체결봉(141)을 로킹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면, 상기 회동축(H1)은 상기 체결판(143)의 체결홈(143c)에 삽입되는 상기 체결봉(141)과 수직선상에 위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상기 회동축(H1)은 상기 지지판(125)의 양측 각각에 수평하게 돌출 형성되어 상기 고정후크(142)의 상부돌출부(142a) 부분을 수평하게 회동 지지함으로써 상기 리프터프레임(120)이 상승하는 경우 상기 체결봉(141)이 상기 하부돌출부(142b)와 접촉되지 않도록 통과하면서 상기 상부돌출부(142a)와 먼저 접촉되며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상기 리프터프레임(120)이 상승하는 경우에는 상기 체결봉(141)이 상기 고정후크(142)에 로킹되도록 상기 상부돌출부(142a)를 가압하게 되고, 상기 리프터프레임(120)이 하강하는 경우에는 상기 체결봉(141)이 상기 고정후크(142)에서 로킹해제되도록 상기 하부돌출부(142b)를 가압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하강제한부재(144)는 상기 리프터프레임(120)이 하강하는 경우 상기 고정후크(142)의 걸림봉(142c)이 걸쳐지도록 구비된 것이다.
즉, 상기 쓰레기수거통(1)의 쓰레기를 적재함(2a)에 덤핑시키는 작업이 끝난 후, 상기 리프터프레임(120)이 상기 승강레일(110)을 따라 하강하는 경우 상기 승강레일(110)상에서 상기 고정후크(142)의 타측에 수평하게 형성된 상기 걸림봉(142c)이 안착될 수 있는 안착홈이 형성되어 양측의 상기 승강레일(110) 각각의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것이다.
따라서, 상기 고정후크(142)는 상기 걸림봉(142c)이 상기 하강제한부재(144)에 걸쳐진 경우, 상기 리프트구동수단(160)에 의해 계속하여 하강하는 리프터프레임(120)과 상기 고정후크의 걸림봉(142c)이 구비되어 있는 상기 지지판(125) 사이를 이격시킴과 동시에, 상기 리프터프레임(120)과 일체로 형성된 상기 체결봉(141)에 의해 상기 하부돌출부(142b) 부분이 하부로 가압되면서 상기 체결봉(141)으로부터 로킹해제되는 것이다. 즉, 상기 지지판(125)에 의해 상단부가 지지되어 있는 상기 쓰레기수거통(1)이 로킹해제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탄성가압부재(145)는 상기 체결봉(141)을 로킹시키는 방향으로 상기 고정후크(142)가 회동되도록 탄성을 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즉, 도4a 내지 도 4c를 참조하면 상기 탄성가압부재(145)는 비틀림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회동축(H1)을 중심축으로 감겨진 상태에서 일단이 상기 지지판(125) 일단부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걸림봉(143c)이 형성된 고정후크(142)의 타단부를 탄성 가압하는 상태로 유지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탄성가압부재(145)는 상기 리프터프레임(120)이 상승하며 상기 고정후크(142)가 상기 체결봉(141)을 로킹시키도록 회동되는 경우 상기 체결판(143)에 상기 체결봉(141)이 삽입된 상태에서 이중으로 정확하게 고정되도록 할 수 있어 상기 체결봉(141)이 상기 체결판(143)의 체결홈(143c)과 상기 고정후크(142)의 삽입홈으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된다.
또한, 상기 탄성가압부재(145)는 상기 리프터프레임(120)이 하강하며 상기 고정후크(142)의 걸림봉(142c)이 상기 하강제한부재(144)에 걸쳐진 경우 상기 쓰레기수거통(1)의 로킹이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판(125)의 자중에 의해 상기 탄성가압부재(145)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상기 고정후크(142)의 일단부가 상기 걸림봉(142c)을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상기 고정후크(142)의 삽입홈 부분이 하방을 향하도록 하는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리프터프레임(120)이 상승하며 상기 고정후크(142)와 상기 체결봉(141)이 로킹되는 과정에서는 상기 체결봉(141)이 상기 고정후크(142)의 상부돌출부(142a)에 항상 먼저 접촉되며 가압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쓰레기 수거차량의 적재장치는 상기 수거로킹수단(140)을 통해 상기 리프터프레임(120)과 함께 승하강되어 상기 적재함(2a)에 쓰레기를 덤핑하는 상기 쓰레기수거통(1)을 매우 확고하게 고정할 수 있게 되면서 종전과 같이 상기 쓰레기수거통(1)이 기울어지면서 충격이나 반동 등에 의해 쓰레기수거통(1)이 이탈되는 현상 등을 방지할 수 있는 작용효과가 발생된다.
상기 승강지지수단(150)은 상기 리프터프레임(120) 및 이송프레임(130)의 승하강시 상기 리프터프레임(120)을 상기 지지판(125)으로부터 지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승강지지수단(150)은 중공지지관(151)과, 가이드봉(152)과, 탄성지지부재(15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중공지지관(151)은 내부에 수직한 중공이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봉(152)이 삽입되어 가이드되도록 상기 리프터프레임(120)의 양측 각각에 한 쌍이 고정된다.
이에, 상기 가이드봉(152)은 상기 중공지지관(151)에 대응하여 상부에서 삽입되도록 상기 지지판(125) 양측 저부로 길게 연장되어 상기 중공지지관(151)을 따라 승하강 가이드되며 상기 지지판(125)이 상기 리프터프레임(120)으로부터 상하로 이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탄성지지부재(153)는 상기 지지판(125)과 상기 리프터프레임(120)을 상하로 연결시켜 상호간에 탄성을 가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상기 리프터프레임(120)과 상기 지지판(125)을 수직하게 연결시켜 상기 이송프레임(130)이 승강됨에 따라 상기 리프터프레임(120) 및 상기 지지판(125)이 상호 로킹된 상태에서 수축되고 상기 리프터프레임(120) 및 상기 지지판(125)이 로킹해제된 상태에서 이완되도록 한다.
즉, 상기 탄성지지부재(153)는 상기 지지판(125)의 양측 저면과 상기 리프터프레임(120)의 하단부 양측을 잇도록 설치되어 상기 리프터프레임(120)의 상승시 수축되면서 상기 지지판(125)과 상기 걸림구(122) 사이에 지지되는 상기 쓰레기수거통(1)이 더욱 확고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지지판(125)은 저면에 상기 리프터프레임(120)의 걸림구(122)에 대향하도록 고무패드(125a)가 부착될 수 있을 것이며, 상기 고무패드(125a)를 통해 상기 지지판(125)이 상기 쓰레기수거통(1)을 지지하는 경우 쓰레기수거통(1)의 손상 및 파손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수거통로킹수단(140)은 상기 리프터프레임(120)의 상승시 유동에 의한 상기 쓰레기수거통(1)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리프터프레임(120)과 상기 지지판(125)이 고정된 상태로 로킹시키는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리프트구동수단(160)은 상기 리프터프레임(120) 및 상기 이송프레임(130)을 승하강시키되, 상기 리프터프레임(120)이 승강됨에 따라 상기 수거통로킹수단(140)에 의해 상기 쓰레기수거통(1)이 고정된 경우 상기 리프터프레임(120)을 상기 힌지축(123)을 중심으로 상기 적재함(2a)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에, 상기 리프트구동수단(160)은 구동실린더(161), 회전풀리(162), 구동체인(16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구동실린더(161)는 상기 리프터프레임(120)의 후방 위치에서 상기 수거차량(1)의 중앙에 몸체(161a)가 고정되고, 상기 몸체(161a)에서 상하방향으로 승하강되는 로드(161b)를 갖는다.
상기 회전풀리(162)는 상기 로드(161b)의 선단에 상기 힌지축(123)과 평행한 방향을 축으로 회전가능하게 한 쌍으로 구비된다.
상기 구동체인(163)은 소정의 길이를 갖고 상기 회전풀리(162)에 걸쳐지되, 상기 회전풀리(162)를 중심으로 일단부는 상기 회전풀리(162) 후방의 위치에서 상기 수거차량(1)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회전풀리(162) 전방의 위치에서 상기 이송프레임(130)에 고정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쓰레기 수거차량의 적재장치는 상기 리프터프레임(120)은, 상기 리프트구동수단(160)에 의해 상기 적재함(2a) 방향으로 회동되는 경우 상기 리프터프레임(120)의 양측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승강레일(110) 외측면에 구름 접촉되는 보조롤러(125a)가 구비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보조롤러(125a)는 상기 리프터프레임(120) 및 상기 이송프레임(130)을 연결하는 수평의 힌지축(123)상에서 상기 승강레일(110) 외측면 방향으로 돌출되게 설치된다.
이에, 상기 보조롤러(125a)는 상기 리프터프레임(120)이 상승하며 상기 상측롤러(121)가 상기 승강레일(110)의 굴곡된 상단부(110a) 부분을 통과하는 경우 그 굴곡된 상단부(110a) 외측면에 구름 접촉되면서 상기 쓰레기수거통(1)이 상기 적재함(2a) 상부까지 도달하기 전에 기울어지는 것을 예방함과 동시에, 상기 상측롤러(121)가 곡선 부분의 레일을 통과하면서 발생될 수 있는 유동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쓰레기 수거차량의 적재장치는 상기 승강지지수단(150)은 탄성완충부재(154)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완충부재(154)는 상기 쓰레기수거통(1)을 상기 수거차량(2)의 적재함(2a)으로 덤핑하도록 상기 리프터프레임(120)이 상기 리프트구동수단(160)에 의해 상기 적재함(2a) 방향으로 회동되는 경우, 상기 리프터프레임(120) 일단부에 탄성복원력을 부여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에, 상기 탄성완충부재(154)는 상기 리프터프레임(120)과 상기 이송프레임(130)을 수직하게 연결하는데, 상기 탄성완충부재(154)의 일단부가 상기 리프터프레임(120)의 일단에 끼움홀을 형성하여 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이송프레임(130)의 일단에 고정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리프터프레임(120)이 상기 적재함(2a) 방향으로 회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리프터프레임(120)을 상기 이송프레임(130)으로부터 완충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탄성완충부재(154)는 상기 쓰레기수거통(1)이 상기 적재함(2a)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경우 상기 이송프레임(130)으로부터 회전 작용하는 상기 리프터프레임(120)의 반동 및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는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쓰레기 수거차량의 적재장치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정하여지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개량 및 변경된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쓰레기수거통
1a 개구부
1b 테두리홈
2 수거차량
2a 적재함
100 적재장치
110 승강레일
111 상승제한부재
120 리프터프레임
121 상측롤러
122 걸림구
123 힌지축
125 지지판
130 이송프레임
131 하측롤러
140 수거통로킹수단
141 체결봉
142 고정후크
143 체결판
144 하강제한부재
145 탄성가압부재
150 승강지지수단
151 중공지지관
152 가이드봉
153 탄성지지부재
160 리프트구동수단
161 구동실린더
162 회전풀리
163 구동체인

Claims (4)

  1.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된 쓰레기수거통을 로킹한 후 상기 쓰레기수거통을 승하강시켜 상기 개구부가 하방을 향하도록 회동시킴으로써 상기 쓰레기수거통에 수용된 쓰레기를 수거차량의 적재함으로 덤핑시키는 쓰레기 수거차량의 적재장치에 있어서,
    상기 적재함의 측면에 설치되는 승강레일과;
    상기 쓰레기수거통의 상단부에 형성된 테두리홈에 끼워질 수 있는 형상의 걸림구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구가 상기 테두리홈의 하부에서 상부방향으로 이동되며 상기 테두리홈에 끼워지도록 상기 승강레일을 따라 승하강되는 리프터프레임과;
    상기 리프터프레임이 상승하는 경우 상기 쓰레기수거통의 테두리홈이 상기 걸림구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테두리홈 상단부를 지지하도록 하부에 상기 리프터프레임이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지판과;
    상기 리프터프레임의 승하강에 연동되어 상기 쓰레기수거통이 로킹되도록 상기 리프터프레임이 상승하는 경우 상기 리프터프레임과 상기 지지판 상호간을 로킹시키고, 상기 리프터프레임이 하강하는 경우 상기 리프터프레임과 상기 지지판 상호간을 로킹해제시키는 수거통로킹수단과;
    상기 리프터프레임을 승하강시키는 리프트구동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수거통로킹수단은, 상기 리프터프레임의 양측 방향으로 수평하게 돌출된 한 쌍의 체결봉과, 일측이 상기 체결봉과 평행한 방향의 회동축으로 연결되고 상기 체결봉과 교차 방향으로 돌출된 상부돌출부 및 하부돌출부가 형성되며 타측에는 상기 체결봉과 평행한 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된 걸림봉이 구비되어 상기 리프터프레임이 상승하는 경우 상기 상부돌출부가 상기 체결봉에 의해 상부로 가압되면서 상기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며 상기 체결봉을 로킹시키는 고정후크와, 상기 승강레일상에 돌출되게 설치되어 상기 리프터프레임이 하강하는 경우 상기 걸림봉이 걸쳐지며 상기 고정후크의 하부돌출부가 상기 체결봉에 의해 하부로 가압되면서 상기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상기 체결봉을 로킹해제시키는 하강제한부재와, 상기 체결봉을 로킹시키는 방향으로 상기 고정후크가 회동되도록 탄성을 가하는 탄성가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수거차량의 적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거통로킹수단은, 상기 리프터프레임이 상승하는 경우 상기 체결봉이 하부로 가이드되어 삽입되는 체결홈이 형성된 체결판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고정후크는 상기 리프터프레임이 상승하는 경우 상기 상부돌출부가 상기 체결봉에 의해 상부로 가압되면서 상기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상기 체결봉이 상기 체결홈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되게 로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수거차량의 적재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구동수단에 의해 상기 리프터프레임과 함께 승하강되되, 상기 리프터프레임이 상기 적재함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리프터프레임과 수평의 힌지축으로 연결된 이송프레임과; 상기 리프터프레임의 승하강시 상기 리프터프레임을 상기 지지판으로부터 지지하기 위한 승강지지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승강지지수단은, 상기 리프터프레임의 양측에 고정된 한 쌍의 중공지지관과,
    상기 중공지지관에 삽입되도록 상기 지지판 양측 저부로 연장되어 상기 중공지지관에 승하강 가이드되는 가이드봉과,
    상기 리프터프레임과 상기 지지판을 수직하게 연결시켜 상기 이송프레임이 승강됨에 따라 상기 리프터프레임 및 상기 지지판이 상호 로킹된 상태에서 수축되고 상기 리프터프레임 및 상기 이송프레임이 로킹해제된 상태에서 이완되는 한 쌍의 탄성지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수거차량의 적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구동수단은, 상기 수거차량에 몸체가 고정되고 상기 몸체에서 상하방향으로 승강되는 로드를 갖는 구동실린더와, 상기 로드의 선단에 상기 힌지축과 평행한 방향을 축으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된 회전풀리와, 상기 회전풀리를 중심으로 일단부는 상기 회전풀리 후방의 위치에서 상기 수거차량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회전풀리 전방의 위치에서 상기 이송프레임에 고정되는 구동체인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수거차량의 적재장치.
KR1020130122406A 2013-10-15 2013-10-15 쓰레기 수거차량의 적재장치 KR1013867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2406A KR101386726B1 (ko) 2013-10-15 2013-10-15 쓰레기 수거차량의 적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2406A KR101386726B1 (ko) 2013-10-15 2013-10-15 쓰레기 수거차량의 적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6726B1 true KR101386726B1 (ko) 2014-04-21

Family

ID=50658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2406A KR101386726B1 (ko) 2013-10-15 2013-10-15 쓰레기 수거차량의 적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6726B1 (ko)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1375B1 (ko) * 2014-06-27 2014-12-10 현대머티리얼 주식회사 자동 록킹구조를 갖는 음식물 쓰레기 용기 리프팅 장치
KR101541025B1 (ko) * 2014-11-06 2015-08-18 주식회사 디에스 쓰레기 자동 수거장치
CN108516261A (zh) * 2018-05-31 2018-09-11 深圳市支氏环保科技有限公司 垃圾压缩箱料斗锁紧机构
CN108861649A (zh) * 2018-05-24 2018-11-23 南京玥力机械有限公司 一种导柱式桶车提升机
CN110304381A (zh) * 2019-07-31 2019-10-08 徐州徐工环境技术有限公司 自装卸式垃圾车
KR102041201B1 (ko) * 2019-06-21 2019-11-27 김성기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
CN111687156A (zh) * 2020-05-25 2020-09-22 浙江工业大学 一种智能环保社区厨余垃圾处理系统
KR102243479B1 (ko) 2020-10-26 2021-04-22 유한회사 삼능기계 음식물쓰레기 수거차량의 음식물 쓰레기통 리프팅장치
CN112849853A (zh) * 2021-03-04 2021-05-28 天津市职业大学 一种抓取垃圾桶的翻转咬合机构、具有翻转咬合机构的垃圾车提升装置及其使用方法
KR102276383B1 (ko) * 2020-01-09 2021-07-12 대경특장주식회사 음식물 수거차량용 리프터
KR102288532B1 (ko) * 2021-01-29 2021-08-10 주식회사테라바이오 음식물 수거함용 리프트 장치
KR102293875B1 (ko) * 2021-01-29 2021-08-26 주식회사테라바이오 음식물 수거함용 리프트 장치를 포함하는 제어 시스템
CN113562366A (zh) * 2021-08-09 2021-10-29 宁波柯力传感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带有称重功能的垃圾桶提升装置
KR102419431B1 (ko) 2022-05-20 2022-07-11 유한회사 에스엔특장 음식물쓰레기 수거차량에 장착되는 쓰레기통 리프팅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7713U (ja) * 1992-08-04 1994-04-12 新明和工業株式会社 塵芥収集車のダストコンテナ反転装置
KR200173003Y1 (ko) 1999-10-14 2000-03-15 주식회사한빛특장 압축탈수식 음식물쓰레기 수거차량
JP2000109202A (ja) 1998-10-01 2000-04-18 Kyokuto Kaihatsu Kogyo Co Ltd 分別収集荷箱
KR200331919Y1 (ko) 2003-08-14 2003-11-01 대양중공업 주식회사 쓰레기 수거차량의 락킹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7713U (ja) * 1992-08-04 1994-04-12 新明和工業株式会社 塵芥収集車のダストコンテナ反転装置
JP2000109202A (ja) 1998-10-01 2000-04-18 Kyokuto Kaihatsu Kogyo Co Ltd 分別収集荷箱
KR200173003Y1 (ko) 1999-10-14 2000-03-15 주식회사한빛특장 압축탈수식 음식물쓰레기 수거차량
KR200331919Y1 (ko) 2003-08-14 2003-11-01 대양중공업 주식회사 쓰레기 수거차량의 락킹장치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1375B1 (ko) * 2014-06-27 2014-12-10 현대머티리얼 주식회사 자동 록킹구조를 갖는 음식물 쓰레기 용기 리프팅 장치
KR101541025B1 (ko) * 2014-11-06 2015-08-18 주식회사 디에스 쓰레기 자동 수거장치
CN108861649A (zh) * 2018-05-24 2018-11-23 南京玥力机械有限公司 一种导柱式桶车提升机
CN108861649B (zh) * 2018-05-24 2023-10-17 南京玥力机械有限公司 一种导柱式桶车提升机
CN108516261A (zh) * 2018-05-31 2018-09-11 深圳市支氏环保科技有限公司 垃圾压缩箱料斗锁紧机构
KR102041201B1 (ko) * 2019-06-21 2019-11-27 김성기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
CN110304381A (zh) * 2019-07-31 2019-10-08 徐州徐工环境技术有限公司 自装卸式垃圾车
KR102276383B1 (ko) * 2020-01-09 2021-07-12 대경특장주식회사 음식물 수거차량용 리프터
CN111687156A (zh) * 2020-05-25 2020-09-22 浙江工业大学 一种智能环保社区厨余垃圾处理系统
CN111687156B (zh) * 2020-05-25 2024-03-26 浙江工业大学 一种智能环保社区厨余垃圾处理系统
KR102243479B1 (ko) 2020-10-26 2021-04-22 유한회사 삼능기계 음식물쓰레기 수거차량의 음식물 쓰레기통 리프팅장치
KR102288532B1 (ko) * 2021-01-29 2021-08-10 주식회사테라바이오 음식물 수거함용 리프트 장치
KR102293875B1 (ko) * 2021-01-29 2021-08-26 주식회사테라바이오 음식물 수거함용 리프트 장치를 포함하는 제어 시스템
CN112849853A (zh) * 2021-03-04 2021-05-28 天津市职业大学 一种抓取垃圾桶的翻转咬合机构、具有翻转咬合机构的垃圾车提升装置及其使用方法
CN112849853B (zh) * 2021-03-04 2023-11-28 天津市职业大学 一种翻转咬合机构及其垃圾车提升装置及其使用方法
CN113562366A (zh) * 2021-08-09 2021-10-29 宁波柯力传感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带有称重功能的垃圾桶提升装置
KR102419431B1 (ko) 2022-05-20 2022-07-11 유한회사 에스엔특장 음식물쓰레기 수거차량에 장착되는 쓰레기통 리프팅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6726B1 (ko) 쓰레기 수거차량의 적재장치
KR100963567B1 (ko) 쓰레기 수거차량의 리프트 장치
CN106586338B (zh) 一种集装箱全自动门
US8684653B2 (en) Swing-away refuse receptacle lift
CN205441615U (zh) 挂桶垃圾车提升机
KR102419431B1 (ko) 음식물쓰레기 수거차량에 장착되는 쓰레기통 리프팅장치
CN105329596A (zh) 垃圾中转站自动翻转卸料系统及其卸料方式
CN104499447A (zh) 一种用于扫地车的垃圾桶升降系统
KR100720606B1 (ko) 쓰레기 수거차량의 적재장치
KR200386912Y1 (ko) 쓰레기 수거차량의 리프트장치
CN105460470A (zh) 多功能封闭式勾臂车箱
CN201942239U (zh) 垃圾压缩机
CN206278541U (zh) 挂桶式自动上料装置
CN203294633U (zh) 可卸式拉臂环卫车厢
KR102243479B1 (ko) 음식물쓰레기 수거차량의 음식물 쓰레기통 리프팅장치
CN207015964U (zh) 单缸举桶开合盖联动机构
CN206203170U (zh) 一种通用型自装卸式垃圾车侧装挂桶机构
KR101471375B1 (ko) 자동 록킹구조를 갖는 음식물 쓰레기 용기 리프팅 장치
CN204223599U (zh) 一种垃圾车挂桶机构及垃圾车
CN205240456U (zh) 多功能封闭式勾臂车箱
CN210853901U (zh) 用于垃圾车提桶装置的新型锁止机构
CN206278542U (zh) 用于与大型垃圾车进行无缝对接的小型垃圾车
CN202321399U (zh) 侧装前压缩垃圾装运装置
CN204343228U (zh) 一种用于扫地车的垃圾桶升降系统
KR200201926Y1 (ko) 쓰레기 수거차량의 쓰레기 적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