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6383B1 - 음식물 수거차량용 리프터 - Google Patents

음식물 수거차량용 리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6383B1
KR102276383B1 KR1020200002986A KR20200002986A KR102276383B1 KR 102276383 B1 KR102276383 B1 KR 102276383B1 KR 1020200002986 A KR1020200002986 A KR 1020200002986A KR 20200002986 A KR20200002986 A KR 20200002986A KR 102276383 B1 KR102276383 B1 KR 1022763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lection box
frame
food waste
elevating
f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29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경
Original Assignee
대경특장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경특장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경특장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029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63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63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63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3/00Vehicles particularly adapted for collecting refuse
    • B65F3/02Vehicles particularly adapted for collecting refuse with means for discharging refuse receptacles thereinto
    • B65F3/04Linkages, pivoted arms, or pivoted carriers for raising and subsequently tipping receptacles
    • B65F3/041Pivoted arms or pivoted carriers
    • B65F3/046Pivoted arms or pivoted carriers with additional means for assisting the tipping of the receptacle after or during rai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3/00Vehicles particularly adapted for collecting refuse
    • B65F3/02Vehicles particularly adapted for collecting refuse with means for discharging refuse receptacles thereinto
    • B65F3/04Linkages, pivoted arms, or pivoted carriers for raising and subsequently tipping receptacles
    • B65F3/048Link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3/00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 B66F3/08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screw oper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se-Collection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 수거차량용 리프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이 상승되면서 자동으로 구속되고 하강되면서 자동으로 구속해제되는 음식물 수거차량용 리프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음식물 수거차량용 리프터는 승강프레임 상승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이 일정위치 이상 상승되면 수거함구속프레임이 적재탱크에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되면서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이 자동으로 구속되고,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이 일정위치 이하로 하강되면 수거함구속프레임이 적재탱크 방향으로 회동복원되어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이 구속을 자동으로 해제할 수 있어 작업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음식물 수거차량용 리프터는 수거함구속프레임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의 하강거리가 제한되지 않아 승강프레임의 하강이 자유로워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 적용효율이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음식물 수거차량용 리프터{Lifter for food waste vehicles}
본 발명은 음식물 수거차량용 리프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이 상승되면서 자동으로 구속되고 하강되면서 자동으로 구속해제되는 음식물 수거차량용 리프터에 관한 것이다.
가정이나 식당 등에서 발생되는 음식물 쓰레기로 인한 환경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일환으로서, 가정이나 식당 등에서 발생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수거하고, 수거된 음식물 쓰레기의 퇴비화, 비료화, 사료화, 연료화를 위한 적절한 공정을 거쳐 재활용 자원으로 다시 생산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음식물 쓰레기의 재활용을 위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일반 다른 쓰레기들과 분리하여 수거하도록 하고 있으며, 이를 위하여 특정구역마다 음식물 쓰레기 용기를 비치하여 주변 거주인들이 음식물 쓰레기를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에 버릴 수 있도록 하거나, 또는 음식물 수거 전용 봉투에 담아 정해진 장소에 버리도록 하고 있으며, 수거자는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과 음식물 수거 전용 봉투에 담긴 음식물 쓰레기를 음식물 수거용 차량에 일괄적으로 모아 처리장으로 이송하도록 하고 있다.
음식물 수거용 차량에는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을 차량내 요구되는 위치로 운반하기 위한 리프팅 장치가 마련된다. 상기와 같이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을 요구되는 위치로 운반하는 리프트 장치는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에 보관된 음식물 쓰레기가 음식물 수거용 차량의 적재탱크로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71375호에는 자동 록킹구조를 갖는 음식물 쓰레기 용기 리프팅 장치가 개시되어있다. 상기 음식물 쓰레기 용기 리프팅장치는 음식물 쓰레기 용기 상승을 위한 체인이 레일을 따라 무한궤도 형태로 형성되고 일측에서 모터에 연결된 스프라켓 회전을 통해 체인을 회전시키는 구조를 가지므로 구조가 복잡하고 승강을 이한 구동력 손실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기 자동 록킹구조를 갖는 음식물 쓰레기 용기 리프팅 장치는 음식물 쓰레기를 구속시키기는 록킹유닛의 록킹플레이트가 리프터에 상하방향으로 탄성부재에 연결되고 리프터의 상하 위치에 따라 록킹플레이트가 걸림턱에 걸리거나 걸림해제됨으로써 음식물 쓰레기용기(이하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이라 함)를 구속하거나 구속해제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구조는 록킹플레이트가 걸림턱에 걸려 리프터의 하강 거리가 제한되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71375호 : 자동 록킹구조를 갖는 음식물 쓰레기 용기 리프팅 장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간결한 구조로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이 상승되면서 자동으로 구속되고 하강되면서 자동으로 구속해제되며,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을 구속하는 구속수단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의 하강거리가 제한되지 않는 음식물 수거차량용 리프터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음식물 수거차량용 리프터는 음식물 수거차량에 장착되어,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 내의 음식물을 상기 음식물 수거차량의 음식물 적재탱크의 개방된 상부로 투입할 수 있도록 상기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을 상승시켜 뒤집을 수 있는 음식물 수거차량용 리프터에 있어서, 상기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의 상부에 돌출된 턱부에 끼워져 상기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을 거치하는 수거함 거치부재와; 상기 수거함 거치부재를 지지하며 각 양측에 제1 및 제2승강가이드롤러가 각각 장착된 승강프레임과; 상기 적재탱크의 측부에서 상하방향으로 수직하게 연장되고 상부가 상기 적재탱크의 상방으로 굴곡지게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승강가이드롤러가 각각 안착되어 상기 승강프레임의 승강을 안내하는 한 쌍의 승강안내레일과; 한 쌍의 승강안내레일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승강프레임을 승강시키기 위해 길이신축가능한 승강구동실린더를 포함하는 승강구동부와; 상기 승강프레임이 상기 승강안내레일의 상부로 상승 시, 상기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을 사이에 두고 상기 수거함 거치부재의 상방에 위치되도록 회동되어, 상기 한 쌍의 상기 승강안내레일의 굴곡진 상부에서 경사지거나 뒤집히는 상기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의 이탈을 방지하는 수거함구속프레임을 포함하는 수거함 이탈방지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거함 이탈방지유닛은 일측이 상기 승강프레임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수거함구속프레임에 연결되어, 상기 승강프레임 내에 위치되어 양측이 상기 승강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상기 수거함구속프레임을 상기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을 사이에 두고 상기 수거함 거치부재의 상방에 위치되게 회동되도록 당기는 적어도 하나의 당김부재와, 각 상기 승강안내레일의 폭 방향 측부에 장착되어 상하로 연장되며 상호 마주하여, 상기 수거함구속프레임의 양측에서 상기 승강프레임의 양측으로 각각 관통연장된 링크연결축과 각각 연결된 복수의 회동제한롤러의 상승을 안내하는 한 쌍의 수거함 구속조작레일을 구비하고, 한 쌍의 상기 수거함 구속조작레일은 상기 수거함구속프레임이 상기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의 상방에서 벗어난 상태가 유지되게 상기 회동제한롤러의 위치를 제한하는 일정한 폭으로 상방으로 연장되는 회동제한레일부와, 상기 회동제한롤러가 상기 회동제한레일부의 상단에서 상방으로 이동될수록, 상기 승강안내레일에 멀어지는 방향으로 폭 방향 이동되면서 상기 수거함구속프레임의 회동제한이 해제되어 상기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의 상방에 위치되게, 상기 회동제한레일부에서 상방으로 갈수록 상기 승강안내레일에 멀어지는 방향으로 폭이 확장되게 형성된 회동제한해제레일부를 각각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승강프레임은 상기 수거함구속프레임이 사이에 위치되게 상호 이격되고 상기 수거함구속프레임의 양측의 상기 링크연결축이 각각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승강안내레일을 향하는 측의 상부에 상기 제1승강가이드롤러가 각각 장착되는 한쌍의 회동판과; 한 쌍의 상기 회동판 사이에 위치되게 상호 이격되고 상기 승강안내레일을 향하는 측의 하부에 상기 제2승강가이드롤러가 각각 장착되고 각 상단이 상기 수거함 거치부재의 하방의 위치의 인접하는 각 상기 회동판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승강안내레일의 굴곡진 상부로 이동되는 상기 회동판의 회동을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판을 포함하는 회동지지프레임;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승강구동실린더는 한 쌍의 상기 승강안내레일 사이에 위치되며 위치고정되는 실린더본체와, 상기 실린더본체에 수용되며 상방으로 승강가능한 승강로드를 구비하고, 상기 승강구동부는 상기 승강로드의 상단을 수평방향으로 관통하는 스프라켓장착축과, 상기 스프라켓 장착축의 양측에 각각 장착되는 복수의 스프라켓과, 각 상기 스프라켓에 길이방향 내측이 치합되어 한 쌍의 상기 회동지지프레임의 각 하부를 연결하는 지지판연결바에 각 일단이 연결되고 각 타단이 상기 스프라켓장착축보다 하방의 위치에서 한 쌍의 상기 승강안내레일을 연결하는 제1레일연결바에 연결되어 상호 나란한 한 쌍의 체인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음식물 수거차량용 리프터는 승강프레임 상승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이 일정위치 이상 상승되면 수거함구속프레임이 적재탱크에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되면서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이 자동으로 구속되고,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이 일정위치 이하로 하강되면 수거함구속프레임이 적재탱크 방향으로 회동복원되어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이 구속을 자동으로 해제할 수 있어 작업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음식물 수거차량용 리프터는 수거함구속프레임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의 하강거리가 제한되지 않아 승강프레임의 하강이 자유로워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 적용효율이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음식물 수거차량용 리프터는 승강프레임에 대해 하방으로 돌출되는 수거함보조지지유닛에 의해 대용량의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의 측부 지지가 용이하므로 음식물쓰레기 수거함의 턱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식물 수거차량에 대한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음식물 수거차량에 장착된 음식물 수거차량용 리프터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음식물 수거차량용 리프터에 대한 일부 분리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음식물 수거차량용 리프터에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이 거치된 상태를 도시한 일부 측단면도이고,
도 5는 도 2의 음식물 수거차량용 리프터에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이 상승되어 이탈이방지되게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일부 측단면도이고,
도 6은 도 2의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이 음식물 수거차량용 리프터 상부로 상승되어 경사지게 위치된 상태를 도시한 일부 축면도이고,
도 7은 도2의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이 음식물 수거차량용 리프터 상부에서 내부에 수용된 음식물이 음식물 수거차량의 탱크로 배출되도록 뒤집힌 상태를 도시한 일부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수거차량용 리프터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7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식물 수거차량용 리프터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식물 수거차량용 리프터(10)는 음식물 수거차량(1)에 장착되어,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5) 내의 음식물을 음식물 수거차량(1)의 음식물 적재탱크(2)의 개방된 상부로 투입할 수 있도록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5)을 상승시켜 뒤집을 수 있는 것으로서, 수거함 거치부재(11)와, 승강프레임(20)과, 한 쌍의 승강안내레일(45)과, 승강구동부(50)와, 수거함 이탈방지유닛(70)과, 수거함보조지지유닛(120)을 구비한다.
수거함 거치부재(11)는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5)의 상부에 돌출된 턱부(7)에 끼워져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5)을 거치하는 것이다.
수거함 거치부재(11)는 음식물 적재탱크(2)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길이연장바(12)와, 음식물 적재탱크(2)에 멀어지는 측의 길이연장바(12) 단부를 따라 상방으로 돌출되는 수직연장본체부(13)와, 수직연장본체부(13)의 중심측에 상방으로 나란하게 돌출형성되며 수직연장본체부(13)의 길이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5)의 턱부(7) 내에 형성된 거치홈(8)에 삽입되는 다수의 포크(14)를 구비한다.
승강프레임(20) 설명에 앞서, 수거함 이탈방지유닛(70)의 수거함 구속프레임(71)에 대해 먼저 설명한다.
수거함구속프레임(71)은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5)이 상승 시에는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5)을 사이에 두고 수거함 거치부재(11)의 상방에 위치되도록 회동되어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5)을 구속하고,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5)이 하강 시에는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5)의 상방에서 벗어난 위치로 회동되어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5)의 구속을 해제한다.
수거함 구속프레임(71)은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 수평구속판(72)과, 수평구속판(72)의 양단에 하방으로 음식물 적재탱크(2)의 폭 방향에 나란하게 상호 나란하게 연장되되 하방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게 형성된 복수의 수직구속판(73)을 구비한다. 복수의 수직구속판(73)는 상호 마주하는 일면에 대향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연결핀(75)이 각각 장착되는 제1핀결합공(74)이 형성되고, 각 타측면 하부에는 양측으로 상호 멀어지는 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장착되는 링크연결축(77)이 각각 장착된다. 그리고, 복수의 수직구속판(73)은 음식물 적재탱크(2)에 마주하는 일측부에 반대되는 타측부에 음식물 적재탱크(2) 방향으로 인입된 안착홈(76)이 각각 형성된다.
한편, 승강프레임(20)은 수거함 거치부재(11)를 지지하여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5)과 함께 승강하는 것으로서, 회동프레임과, 회동지지프레임(30)과, 회동지지축(39)을 구비한다.
회동프레임은 한 쌍의 회동판(21)과, 한 쌍이 회동판(21)을 연결하며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5)을 지지하는 수거함지지판(47)을 구비한다.
한 쌍의 회동판(21)은 후술되는 수거함 이탈방지유닛(70)의 수거함구속프레임(71)이 사이에 위치되게 상호 이격되고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음식물적재탱크(2)의 폭 방향으로 폭을 가지며, 수거함거치부재(11)의 양측을 각각 지지한다.
한 쌍의 회동판(21)은 각각 상부가 음식물 적재탱크(2) 방향으로 하부보다 각각 돌출된 제1돌출부(21a)가 각각 형성되며, 제1돌출부(21a)에는 제1승강가이드롤러(40)가 장착되는 제1승강가이드롤러축(41)이 관통장착된다. 제1승강가이드롤러(40)는 제1승강가이드롤러축(41)에 장착되어 승강안내레일(45)에 수용된다.
그리고, 각 회동판(21)은 제1승강가이드롤러축(41)이 관통되게 돌출부(21a)에 적재탱크(2)의 길이방향으로 관통형성되어 제1승강가이드롤러축(41)이 장착되는 제1축관통공(23)과, 후술되는 회동지지프레임(30)에 대해 회동가능하도록 회동지지축(39)이 관통되는 제2축관통공(25)과, 제1축관통공(23)과 제2축관통공(25) 사이에 적재탱크(2)의 길이방향으로 관통형성되어 링크연결축(77)이 회동가능하게 관통장착되는 제3축관통공(26)과, 제3축관통공(26)보다 상방의 위치에 적재탱크(2)의 길이방향으로 관통형성되어 제2연결핀(22)이 장착되는 제2핀결합공(27)과, 제2축관통공(25)보다 하방의 위치에 적재탱크(2)의 길이방향으로 관통형성되어 제3연결핀(24)이 장착되는 제3핀결합공(28)이 형성된다.
또한, 회동판(21)은 수거함 거치부재(11)의 일측 또는 타측이 지지되게, 수직연장본체부(13)의 양측에 돌출된 돌기(14)들이 수용가능하게 음식물 적재탱크(2)에 마주하는 측면에서 음식물 적재탱크(2)에 멀어지는 방향으로 인입된 거치홈(29)이 형성된다.
한 쌍의 회동판(21)은 각각 사이에 위치되는 수거함구속프레임(71)의 양측에 각각 장착된 링크연결축(77)이 각각 회동가능하게 관통된다.
회동지지프레임(30)은 한 쌍의 회동판(21) 사이에 위치되게 상호 이격되고 승강안내레일(45)을 향하는 측의 하부에 승강가이드롤러(40)가 각각 장착되고, 각 상단이 수거함 거치부재(11)의 하방의 위치의 인접하는 각 회동판(21)에 힌지결합되어 승강안내레일(45)의 굴곡진 상부로 이동되는 회동판(21)의 회동을 지지하는 한 쌍의 회동지지판(31)과, 한 쌍의 회동지지판(31)의 각 하부를 연결하는 지지판연결바(38)를 구비한다.
회동지지판(31)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음식물적재탱크(2)의 폭 방향으로 폭을 가지며, 하부가 음식물 적재탱크(2) 방향으로 상부보다 돌출된 제2돌출부(31a)가 형성되며, 제2돌출부(31a)에는 제2승강가이드롤러(42)가 장착되는 제2승강가이드롤러축(43)이 관통장착된다. 제2승강가이드롤러(42)는 제2승강가이드롤러축(43)에 장착되어 승강안내레일(45)에 수용된다.
회동지지판(31)은 각 회동판(21)은 제2승강가이드롤러축(43)이 관통되게 제2돌출부(31a)에 음식물 적재탱크(2)의 길이방향으로 관통형성되어 제2승강가이드롤러축(41)이 장착되는 제4축관통공(32)과, 상단에 회동지지축(39)이 관통되는 제5축관통공(34)과, 하단측에 제4핀연결핀(37)이 장착되는 제4핀결합공(36)이 형성된다.
그리고, 한 쌍의 회동판(21)의 마주하는 각 하면에는 한 쌍의 회동판(21)을 연결하며, 한 쌍의 회동판(21)이 회동지지판(31)에 대해 회동되었다가 복원 시 지지판연결바(38)에 접하면서 회동판(21)의 복원 위치를 결정하는 회동판연결바(44)가 장착된다.
한 쌍의 승강안내레일(45)은 상호 마주하는 방향으로 개방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공간(45a)을 갖는다.
한 쌍의 승강안내레일(45)은 각각 음식물 적재탱크(2)의 측부에서 상하방향으로 수직하게 연장되고 상부가 음식물 적재탱크(2)의 상방으로 굴곡지게 형성되며, 승강프레임(20)의 양측에 상하부에 장착된 제1 및 제2승강가이드롤러(40,42)가 각각 안착되어 승강프레임(20)의 승강을 안내한다.
한 쌍의 승강안내레일(45)은 적재탱크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제1레일연결바(46)와 제2레일연결바(48)의 양측이 나란하게 상하로 배치되게 설치되어 상호 간격이 유지된다. 한 쌍의 승강안내레일(45)의 각 하부를 연결하는 제2레일연결바(48)에는 후술되는 승강구동실린더의 하부를 고정하는 실린더고정프레임(60)이 장착된다. 제1 및 제2레일연결바(46, 48)는 한 쌍의 승강안내레일(45)의 적재탱크와 마주하는 각 일면에 양측이 각각 연결된다.
실린더고정프레임(60)은 한 쌍의 승강안내레일(45)이 이격된 방향으로 길이연장되며 상단에 승강구동실린더의 하단이 고정장착되는 실린더지지판(61)과, 실린더지지판(61)의 길이방향 양측에서 각각 상호 나란하게 상방으로 연장되며 제2레일연결바(48)에 거치될 수 있도록 마주하는 음식물 적재탱크(2) 방향으로 개방된 연결바거치홈(63)이 형성된 한 쌍의 연결바거치판(62)과, 음식물 적재탱크(2)를 향하는 실린더지지판(61)의 폭 방향 일측에서 상방으로 돌출되고 음식물 적재탱크(2)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양측이 상호 마주하는 연결바거치판(62)에 연결되는 보강판(64)을 구비한다.
승강구동부(50)는 승강프레임(20)을 승강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것이다. 승강구동부(50)는 승강구동실린더(51)와, 스프라켓장착축(54)과, 복수의 스프라켓(55)과, 한 쌍의 체인(56)를 구비한다.
승강구동실린더(51)는 길이신장 또는 길이신축되어 승강프레임(20)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것이다. 승강구동실린더(51)는 한 쌍의 승강안내레일(45) 사이에 위치되게 하단이 실린더고정프레임(60)에 고정되며 측부가 제1 및 제2레일연결바(46,48)에 구속되어 위치고정되는 실린더본체(52)와, 실린더본체(52)에 수용되어 실린더본체(52)의 길이방향 즉 상하방향으로 승강가능하여 승강프레임(20)을 승강시키기 위해 길이신축가능한 승강로드(53)를 구비한다.
스프라켓 장착축(54)은 중심측이 실린더본체(52)에 대해 돌출된 승강로드(53)의 상단을 적재탱크(2)의 길이방향으로 관통하여, 승강로드(53)에 대해 양측이 돌출되어 마주하는 승강안내레일(41) 방향을 각각 향한다.
스프라켓 장착축(54)의 양측에는 각각 한 쌍의 스프라켓(55)이 각각 장착된다.
그리고, 각 체인(55)은 스프라켓 장착축(54)의 일단 또는 타단에 장착된 한 쌍의 스프라켓(55)에 길이방향 내측이 치합되어 지지판연결바(38)에 돌출된 제1결합돌기(57)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스프라켓장착축(54)보다 하방의 위치에서 제1레일연결바(46)에 돌출된 제2결합돌기(58)에 연결되어, 한 쌍의 체인(55)은 상호 나란하게 연장된다.
한 쌍의 체인(55)은 승강로드(53)가 상승시 지지판연결바(38)를 상방으로 당겨 승강프레임(20)을 상승시킨다. 승강로드(53)가 상승되면서, 스프라켓 장착축(54)에서 제1레일연결바(46)로 연장된 길이가 증가되고 스프라켓 장착축(54)에서 지지판연결바(38)로 연장된 길이가 감소된다. 반대로 승강로드(53)가 하강 시에는 스프라켓 장착축(54)에서 제1레일연결바(46)로 연장된 길이가 감소되고 스프라켓 장착축(54)에서 지지판연결바(38)로 연장된 길이가 증가된다
승강구동부(50)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승강로드(53) 상승을 위해 실린더본체(51) 내로 유체공급을 위한 유압펌프(미도시)와, 공급되는 유체가 저장 및 회수되는 유체저장탱크(미도시)와, 승강구동실린더(51) 구동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조작레버(미도시)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거함 이탈방지유닛(70)은 승강프레임(20)이 승강안내레일(45)의 상부로 상승 시,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을 구속하고 하강시에는 구속을 해제한다.
수거함 이탈방지유닛(70)은 수거함구속프레임(71)과, 복수의 당김부재(81)와, 한 쌍의 수거함구속조작레일(84)과, 복수의 회동제한롤러(90)와, 복수의 링크(91)와, 복수의 회동복원부재(96)를 구비한다.
수거함구속프레임(71)은 앞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승강프레임(20)이 소정위치이상으로 상승시에는 수평구속판(72)이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5)의 상방에 위치되게 회동되고, 하강시에는 수평구속판(72)이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5)의 상방에서 벗어나도록 회동된다. 수거함구속프레임(71)은 한 쌍의 상기 승강안내레일(45)의 굴곡진 상부에서 경사지거나 뒤집히는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5)의 이탈을 방지한다.
수거함구속프레임(71)의 한 쌍의 수직구속판(73)은 폭이 좁아진 하부에 장착되어 회동판(21)을 회전가능하게 관통하여 돌출되는 링크연결축(77)이 각각 장착된다.
링크(91)는 링크연결축(77)의 단부에 일측이 장착되어 회동판(21)을 사이에 두고 수직구속판(73)의 폭이 확장된 상부방향으로 길이연장된다.
링크(91)의 길이연장된 타측에는 후술되는 수거함구속조작레일(84)에 수용되는 회동제한롤러(90)가 장착된다.
당김부재(81)는 수거함구속프레임(71)에 장착된 제1연결핀(75)에 일측이 연결되고, 회동판(21)에 장착된 제2연결핀(22)에 타측이 연결될 수 있게 양측에 고리가 형성된 코일스프링이다. 당김부재(81)은 수거함구속프레임(71)이 수거함 거치부재(11)의 상방에 위치되게 회동되도록 당기는 역할을 한다.
한 쌍의 수거함 구속조작레일(84)은 각 승강안내레일(45)의 폭 방향 타측부에 장착되어 상하로 연장되며, 상호 마주하는 방향으로 개방되어 회동제한롤러(90)가 수용되는 내부공간(84)이 형성되어 회동제한롤러(90)의 상승을 안내한다.
한 쌍의 상기 수거함 구속조작레일(84)은 상부의 폭이 확장되게 형성되어 승강프레임(20)이 상승시, 링크(91)와 수거함구속프레임(71)이 음식물 적재탱크(2)에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되어 수거함구속프레임(71)이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5)의 상방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한다.
수거함 구속조작레일(84)은 수거함구속프레임(71)이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5)의 상방에서 벗어난 상태가 유지되게 폭 방향으로 회동제한롤러(90)의 위치를 제한할 수 있도록 일정한 폭으로 상방으로 연장되는 회동제한레일부(85)와, 회동제한롤러(90)가 회동제한레일부(85)의 상단에서 상방으로 갈수록 승강안내레일(45)에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링크(91)와 수거함구속프레임(71)의 회동제한이 해제되어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5)의 상방에 위치되게, 회동제한레일부(85)의 상단에서 상방으로 갈수록 승강안내레일(45)에 멀어지는 방향으로 폭이 확장되게 형성된 회동제한해제레일부(87)를 구비한다.
회동복원부재(96)는 압축 코일형태의 탄성스프링으로서, 일측과 타측이 제2연결핀(22)과 제4연결핀(37)에 연결되어 승강안내레일의 상부에서 회동된 회동판(21)가 승강프레임이 하강시 회동지지판(31)에 나란하도록 회동복원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편, 수거함보조지지유닛(120)은 승강프레임(20)이 승강안내레일(45)을 따라 상승시 승강프레임(20)에 대해 하방으로 돌출되게 이동되어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5)의 측부를 승강프레임(20)과 함께 지지하며, 승강프레임(20)이 승강안내레일(45)의 하단으로 이동시 승강프레임(20) 측으로 삽입된다.
수거함보조지지유닛(120)은 한 쌍의 회동판(21)의 측부에 각각 장착되는 한 쌍의 길이신축부재(121)와, 한 쌍의 길이신축부재(121)의 각 관통로드(124)의 하단을 상호 연결하는 수거함 측부지지프레임(131)을 구비한다.
길이신축부재(121)는 어느 하나의 회동판(21) 측부에 고정장착되며 내부가 상하방향으로 관통형성된 하우징(122)과, 하우징(122)을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며 하우징에 대해 하방으로 이탈방지되게 상단이 절곡된 관통로드(124)와, 관통로드(124)의 절곡된 상단과 하우징(122)의 하단을 연결하여 관통로드(124)를 하우징에 대해 하방으로 돌출되게 당기는 탄성부재(127)를 구비한다.
수거함 측부지지프레임(131)은 한 쌍의 길이신축부재(121)의 각 관통로드(124)의 하단을 상호 연결할 수 있게 연장되어 음식물쓰레기 수거함(5)의 측부를 지지한다.
수거함 측부지지프레임(131)은 승강프레임(20)이 승강안내레일(45)의 하단측에 위치시 승강안내레일의 하단에 돌출된 지지플랜지(49)에 접해, 승강프레임(20) 하강 시 관통로드(124)를 하우징(122)의 상단으로 돌출되게 이동시킨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식물 수거차량용 리프터(10)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승강로드(53) 상승에 의해 한 쌍의 체인(56)이 승강프레임(20)의 지지판연결바(38)를 상방으로 당기면서 승강프레임(20)이 상승하게 된다. 승강프레임(20)이 상승되면서 회동제한롤러(90)가 회동제한해제레일부(87)에 위치하게 되면 당김부재(81)가 수거함구속프레임(71)을 당겨 수거함구속프레임(71)이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5) 상방에 위치되도록 한다. 승강프레임(20)이 승강안내레일(45)의 굴곡진 상단에 위치되면 제1승강가이드롤러(40)의 이동이 제한되게되고 회동지지판(31)은 상승되면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5)이 뒤집혀 음식물이 적재탱크로 배출도록 회동판(21)이 회동지지판에 대해 회동하게된다.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5)이 비워진 후, 사용자의 유압펌프 조작에 의해 유압 해제되거나 유체공급방향이 전환되어 승강로드(53)가 하강되면서 회동판(21)이 회동복원되고, 승강프레임(20) 하강되어 회동제한롤러(90)가 회동제한해제레일부(87)의 하부로 이동되면서 회동제한롤러(90)가 음식물 적재탱크(2) 측으로 가까워지게 이동되고, 이에 따라 링크와 수거함 구속프레임이 음식물 적재탱크(2) 방향으로 회동되면서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5)의 구속을 해제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식물 수거차량용 리프터(10)는 승강프레임(20) 상승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5)이 일정위치 이상 상승되면 수거함구속프레임(71)이 음식물 적재탱크(2)에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되면서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5)이 자동으로 구속되고,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5)이 일정위치 이하로 하강되면 수거함구속프레임(71)이 음식물 적재탱크(2) 방향으로 회동복원되어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5)이 구속을 자동으로 해제할 수 있어 작업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식물 수거차량용 리프터(10)는 체인(55)이 하방으로 당겨지면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5)이 상승되게 방향전환되도록 연장되게 승강로드(53)에 장착된 스프라켓(55)에 지지되므로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의 하중이 분산되며, 수거함구속프레임(71)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5)의 하강거리가 제한되지 않아 승강프레임(20)의 하강이 자유로워 보다 다양한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이 적용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식물 수거차량용 리프터(10)는 승강프레임(20)에 대해 하방으로 돌출되는 수거함보조지지유닛에 의해 120리터와 같은 대용량의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의 측부 지지가 용이하므로 음식물쓰레기 수거함의 턱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음식물 수거차량용 리프터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 음식물 수거차량 2 : 음식물 저장탱크
5 :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 6 : 수거함본체
7 : 턱부 10 : 음식물 수거차량용 리프터
11 : 수거함거치부재 20 : 승강프레임
21 : 회동판 30 : 회동지지프레임
39 : 회동지지축 45 : 승강안내레일
50 : 승강구동부 51 : 승강구동실린더
53 : 승강로드 55 : 스프라켓
56 : 체인 70 : 수거함 이탈방지유닛
71 : 수거함 구속프레임 81 : 당김부재
84 : 수거함구속조작레일 90 : 회동제한롤러
91 : 링크 120 : 수거함보조지지유닛

Claims (6)

  1. 음식물 수거차량에 장착되어,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 내의 음식물을 상기 음식물 수거차량의 음식물 적재탱크의 개방된 상부로 투입할 수 있도록 상기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을 상승시켜 뒤집을 수 있는 음식물 수거차량용 리프터에 있어서,
    상기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의 상부에 돌출된 턱부에 끼워져 상기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을 거치하는 수거함 거치부재와;
    상기 수거함 거치부재를 지지하며 각 양측에 제1 및 제2승강가이드롤러가 각각 장착된 승강프레임과;
    상기 적재탱크의 측부에서 상하방향으로 수직하게 연장되고 상부가 상기 적재탱크의 상방으로 굴곡지게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승강가이드롤러가 각각 안착되어 상기 승강프레임의 승강을 안내하는 한 쌍의 승강안내레일과;
    한 쌍의 승강안내레일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승강프레임을 승강시키기 위해 길이신축가능한 승강구동실린더를 포함하는 승강구동부와;
    상기 승강프레임이 상기 승강안내레일의 상부로 상승 시, 상기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을 사이에 두고 상기 수거함 거치부재의 상방에 위치되도록 회동되어, 상기 한 쌍의 상기 승강안내레일의 굴곡진 상부에서 경사지거나 뒤집히는 상기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의 이탈을 방지하는 수거함구속프레임을 포함하는 수거함 이탈방지유닛과;
    상기 승강프레임이 상기 승강안내레일을 따라 상승시 상기 승강프레임에 대해 하방으로 돌출되게 이동되어 상기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의 측부를 상기 승강프레임과 함께 지지하며, 상기 승강프레임이 상기 승강안내레일의 하단으로 이동시 상기 승강프레임 측으로 삽입되는 수거함보조지지유닛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ㅎ하하는 음식물수거 차량용 리프터.
  2. 음식물 수거차량에 장착되어,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 내의 음식물을 상기 음식물 수거차량의 음식물 적재탱크의 개방된 상부로 투입할 수 있도록 상기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을 상승시켜 뒤집을 수 있는 음식물 수거차량용 리프터에 있어서,
    상기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의 상부에 돌출된 턱부에 끼워져 상기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을 거치하는 수거함 거치부재와;
    상기 수거함 거치부재를 지지하며 각 양측에 제1 및 제2승강가이드롤러가 각각 장착된 승강프레임과;
    상기 적재탱크의 측부에서 상하방향으로 수직하게 연장되고 상부가 상기 적재탱크의 상방으로 굴곡지게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승강가이드롤러가 각각 안착되어 상기 승강프레임의 승강을 안내하는 한 쌍의 승강안내레일과;
    한 쌍의 승강안내레일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승강프레임을 승강시키기 위해 길이신축가능한 승강구동실린더를 포함하는 승강구동부와;
    상기 승강프레임이 상기 승강안내레일의 상부로 상승 시, 상기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을 사이에 두고 상기 수거함 거치부재의 상방에 위치되도록 회동되어, 상기 한 쌍의 상기 승강안내레일의 굴곡진 상부에서 경사지거나 뒤집히는 상기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의 이탈을 방지하는 수거함구속프레임을 포함하는 수거함 이탈방지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수거함 이탈방지유닛은
    일측이 상기 승강프레임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수거함구속프레임에 연결되어, 상기 승강프레임 내에 위치되어 양측이 상기 승강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상기 수거함구속프레임을 상기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을 사이에 두고 상기 수거함 거치부재의 상방에 위치되게 회동되도록 당기는 적어도 하나의 당김부재와,
    각 상기 승강안내레일의 폭 방향 측부에 장착되어 상하로 연장되며 상호 마주하여, 상기 수거함구속프레임의 양측에서 상기 승강프레임의 양측으로 각각 관통연장된 링크연결축과 각각 연결된 복수의 회동제한롤러의 상승을 안내하는 한 쌍의 수거함 구속조작레일을 구비하고,
    한 쌍의 상기 수거함 구속조작레일은
    상기 수거함구속프레임이 상기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의 상방에서 벗어난 상태가 유지되게 상기 회동제한롤러의 위치를 제한하는 일정한 폭으로 상방으로 연장되는 회동제한레일부와,
    상기 회동제한롤러가 상기 회동제한레일부의 상단에서 상방으로 이동될수록, 상기 승강안내레일에 멀어지는 방향으로 폭 방향 이동되면서 상기 수거함구속프레임의 회동제한이 해제되어 상기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의 상방에 위치되게, 상기 회동제한레일부에서 상방으로 갈수록 상기 승강안내레일에 멀어지는 방향으로 폭이 확장되게 형성된 회동제한해제레일부를 각각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수거차량용 리프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프레임은
    상기 수거함구속프레임이 사이에 위치되게 상호 이격되고 상기 수거함구속프레임의 양측의 상기 링크연결축이 각각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승강안내레일을 향하는 측의 상부에 상기 제1승강가이드롤러가 각각 장착되는 한쌍의 회동판을 포함하는 회동프레임과;
    한 쌍의 상기 회동판 사이에 위치되게 상호 이격되고 상기 승강안내레일을 향하는 측의 하부에 상기 제2승강가이드롤러가 각각 장착되고 각 상단이 상기 수거함 거치부재의 하방의 위치의 인접하는 각 상기 회동판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승강안내레일의 굴곡진 상부로 이동되는 상기 회동판의 회동을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판을 포함하는 회동지지프레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수거차량용 리프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구동실린더는
    한 쌍의 상기 승강안내레일 사이에 위치되며 위치고정되는 실린더본체와, 상기 실린더본체에 수용되며 상방으로 승강가능한 승강로드를 구비하고,
    상기 승강구동부는
    상기 승강로드의 상단을 수평방향으로 관통하는 스프라켓장착축과,
    상기 스프라켓 장착축의 양측에 각각 장착되는 복수의 스프라켓과,
    각 상기 스프라켓에 길이방향 내측이 치합되어 한 쌍의 상기 회동지지프레임의 각 하부를 연결하는 지지판연결바에 각 일단이 연결되고 각 타단이 상기 스프라켓장착축보다 하방의 위치에서 한 쌍의 상기 승강안내레일을 연결하는 제1레일연결바에 연결되어 상호 나란한 한 쌍의 체인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수거 차량용 리프터.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프레임은
    상기 수거함구속프레임이 사이에 위치되게 상호 이격되고 상기 수거함구속프레임의 양측이 각각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승강안내레일을 향하는 측의 상부에 상기 제1승강가이드롤러가 각각 장착되는 한쌍의 회동판을 포함하는 회동프레임과;
    한 쌍의 상기 회동판 사이에 위치되게 상호 이격되고 상기 승강안내레일을 향하는 측의 하부에 제2승강가이드롤러가 각각 장착되고 각 상단이 상기 수거함 거치부재의 하방의 위치의 인접하는 각 상기 회동판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승강안내레일의 굴곡진 상부로 이동되는 상기 회동판의 회동을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판을 포함하는 회동지지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수거함보조지지유닛은
    한 쌍의 회동판의 측부에 각각 장착되는 것으로서, 어느 하나의 상기 회동판 측부에 고정장착되며 내부가 관통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을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며 상기 하우징에 대해 하방으로 이탈방지되게 상단이 절곡된 관통로드와, 상기 관통로드의 상단과 상기 하우징의 하단을 연결하여 상기 관통로드를 상기 하우징에 대해 하방으로 돌출되게 당기는 탄성부재를 각각 포함하는 한 쌍의 길이신축부재와,
    한 쌍의 길이신축부재의 각 관통로드의 하단을 상호 연결할 수 있게 연장되어 상기 음식물수거함의 측부를 지지하며 상기 승강프레임이 상기 승강안내레일의 하단측에 위치시 상기 승강안내레일의 하단에 돌출된 지지플랜지에 접하는 수거함측부지지프레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수거차량용 리프터.
KR1020200002986A 2020-01-09 2020-01-09 음식물 수거차량용 리프터 KR1022763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2986A KR102276383B1 (ko) 2020-01-09 2020-01-09 음식물 수거차량용 리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2986A KR102276383B1 (ko) 2020-01-09 2020-01-09 음식물 수거차량용 리프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6383B1 true KR102276383B1 (ko) 2021-07-12

Family

ID=76858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2986A KR102276383B1 (ko) 2020-01-09 2020-01-09 음식물 수거차량용 리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638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8025A (ko) * 2021-11-26 2023-06-02 엠엔테크(주) 재활용 폐기물 수거차량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6726B1 (ko) * 2013-10-15 2014-04-21 (주)에이엠 (A.M) 특장 쓰레기 수거차량의 적재장치
KR101471375B1 (ko) 2014-06-27 2014-12-10 현대머티리얼 주식회사 자동 록킹구조를 갖는 음식물 쓰레기 용기 리프팅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6726B1 (ko) * 2013-10-15 2014-04-21 (주)에이엠 (A.M) 특장 쓰레기 수거차량의 적재장치
KR101471375B1 (ko) 2014-06-27 2014-12-10 현대머티리얼 주식회사 자동 록킹구조를 갖는 음식물 쓰레기 용기 리프팅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8025A (ko) * 2021-11-26 2023-06-02 엠엔테크(주) 재활용 폐기물 수거차량
KR102588908B1 (ko) 2021-11-26 2023-10-13 엠엔테크(주) 재활용 폐기물 수거차량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4797B1 (ko) 대차를 이용하는 반송장치
CN202089529U (zh) 一种立式提升机
US20170225913A1 (en) Pallet dispenser and method thereof
CN201099371Y (zh) 多料包抽丝输送机构
KR102276383B1 (ko) 음식물 수거차량용 리프터
US3971584A (en) Automatic load compensating clamp truck jaws
US6655661B2 (en) Rotating jack winch
JP4196348B2 (ja) 搬送装置
KR101131382B1 (ko) 리프트와 구동기능을 부가한 핸드카
KR101471375B1 (ko) 자동 록킹구조를 갖는 음식물 쓰레기 용기 리프팅 장치
JP5268089B2 (ja) 車両用リフト装置
KR102381098B1 (ko) 배터리용 금속 필름롤 이송대차
CN215287859U (zh) 一种导轨式升降平台防坠落装置
GB2152561A (en) Handling apparatus for drill pipe and other tubulars
CN114044373A (zh) 投料设备及垃圾处理站
CN211003586U (zh) 一种自动摞箱装置
CN208499386U (zh) 翻斗提升机构
JP2824445B2 (ja) 車両搭載リフト
KR100875451B1 (ko) 다기능 컨테이너 자가 하역 장치
CN218371492U (zh) 一种一体式升降平台
KR102243336B1 (ko) 쓰레기 수거통 리프팅 장치
CN216334916U (zh) 一种自动上料的柿子选果机
CN220845065U (zh) 一种用于刚性填埋场上料的安全吊装装置
CN217807733U (zh) 一种叠布机用上料装置
CN212416114U (zh) 一种畜牧用担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