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8908B1 - 재활용 폐기물 수거차량 - Google Patents

재활용 폐기물 수거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8908B1
KR102588908B1 KR1020210165348A KR20210165348A KR102588908B1 KR 102588908 B1 KR102588908 B1 KR 102588908B1 KR 1020210165348 A KR1020210165348 A KR 1020210165348A KR 20210165348 A KR20210165348 A KR 20210165348A KR 102588908 B1 KR102588908 B1 KR 1025889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wheel
box
rail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53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78025A (ko
Inventor
오명석
이상엽
Original Assignee
엠엔테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엔테크(주) filed Critical 엠엔테크(주)
Priority to KR10202101653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8908B1/ko
Publication of KR202300780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80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89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890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3/00Vehicles particularly adapted for collecting refuse
    • B65F3/02Vehicles particularly adapted for collecting refuse with means for discharging refuse receptacles thereinto
    • B65F3/04Linkages, pivoted arms, or pivoted carriers for raising and subsequently tipping receptacles
    • B65F3/041Pivoted arms or pivoted carriers
    • B65F3/046Pivoted arms or pivoted carriers with additional means for assisting the tipping of the receptacle after or during rai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3/00Vehicles particularly adapted for collecting refuse
    • B65F3/02Vehicles particularly adapted for collecting refuse with means for discharging refuse receptacles thereinto
    • B65F3/04Linkages, pivoted arms, or pivoted carriers for raising and subsequently tipping receptacles
    • B65F3/048Link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3/00Vehicles particularly adapted for collecting refuse
    • B65F3/02Vehicles particularly adapted for collecting refuse with means for discharging refuse receptacles thereinto
    • B65F2003/025Constructional features relating to actuating means for lifting or tipping containers
    • B65F2003/0256Means for vibrating or shaking the containers for facilitating empty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3/00Vehicles particularly adapted for collecting refuse
    • B65F3/02Vehicles particularly adapted for collecting refuse with means for discharging refuse receptacles thereinto
    • B65F2003/0293Means mounted on the vehicle for supporting the refuse receptacle in the tipping position
    • B65F2003/0296Means mounted on the vehicle for supporting the refuse receptacle in the tipping position the supporting means mounted on the discharg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use Collection And Transfer (AREA)
  • Refuse-Collection Vehicles (AREA)

Abstract

재활용 폐기물 수거차량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례에 의한 재활용 폐기물 수거차량은 재활용 폐기물의 상차를 위해 차량의 후방에 설치되고,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좌우 양측에 수직으로 세워져 설치된 한 쌍의 측벽과, 상기 바닥부의 전단에 수직으로 세워져 설치된 전방벽과, 후미 개방부를 개폐하도록 설치된 하나 이상의 도어를 포함하는 폐기물 적재함; 상기 폐기물 적재함의 일 측벽에서 상하로 연장되도록 배치된 채 전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레일 프레임; 폐기물 박스를 포함하고, 기 레일 프레임을 따라 상하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폐기물 박스 유닛; 및 상기 폐기물 박스 유닛을 상하로 승강시키는 박스 승강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재활용 폐기물 수거차량{Recycled Waste Collection Vehicle}
본 발명은 재활용 폐기물 수거차량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재활용 폐기물의 상차 작업이 쉽고 간편한 재활용 폐기물 수거차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재활용 폐기물 수거차량은 폐기물 수거함을 후방 측에 구비한다. 폐기물 수거함은 바닥부와 좌우 양측의 측벽을 포함하며, 후방의 도어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성된다.
기존의 폐기물 상차 작업은 작업자가 적재함 후방의 도어를 열은 후, 도어가 열린 적재함 후미를 통해 마대 자루 또는 봉투에 담긴 폐기물 또는 큰 부피의 포장되지 않은 폐기물을 적재함 내로 싣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이러한 상차 작업은 작업자가 차량 옆에 있는 폐기물을 들고 폐기물 적재함 뒤까지 이동하여야 하므로 많은 불편함이 따랐다. 특히, 차도 옆 안전한 곳에 위치한 폐기물 있는 경우에도, 작업자가 그 폐기물을 들고 차도로 들어가 상차 작업을 해야 하므로 안전상 큰 위험이 따를 수밖에 없다.
이 때문에, 폐기물 수거차량 옆에서 작업자가 폐기물을 들어 올린 후 그 폐기물을 폐기물 적재함의 측벽 너머로 던져 넘기는 방식으로 상차 작업을 하는데, 이는 작업자에게 매우 버겁고 힘든 작업일 수밖에 없다. 보조 작업자가 수거 차량 위에서 폐기물 상차 작업을 돕는 경우도 있는데, 이는 노동력 증가로 인해 추가적인 비용을 발생시킨다. 또한, 종래에는 재활용 폐기물들이 구분 없이 섞여 상차되므로, 선별장에서 재활용 폐기물들을 분류 및 선별하는 시간, 비용 및 노동력이 많이 들어간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95510호(공고일자 : 2009.04.30)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재활용 폐기물을 폐기물 적재함의 측벽을 넘겨 쉽고 간편하게 상차할 수 있는 재활용 폐기물 수거차량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재활용 폐기물을 폐기물 적재함의 측벽을 넘겨 쉽고 간편하게 상차할 수 있으며, 재활용 폐기물 분류 상차가 가능하도록 구성된 재활용 폐기물 수거차량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폐기물 수거차량은 재활용 폐기물의 상차를 위해 차량의 후방에 설치되고,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좌우 양측에 수직으로 세워져 설치된 한 쌍의 측벽과, 상기 바닥부의 전단에 수직으로 세워져 설치된 전방벽과, 후미 개방부를 개폐하도록 설치된 하나 이상의 도어를 포함하는 폐기물 적재함; 상기 폐기물 적재함의 일 측벽에서 상하로 연장되도록 배치된 채 전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레일 프레임; 폐기물 박스를 포함하고, 상기 레일 프레임을 따라 상하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폐기물 박스 유닛; 상기 폐기물 박스 유닛을 상하로 승강시키는 박스 승강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재활용 폐기물 수거차량은 상기 폐기물 적재함의 적재 공간을 후방의 제1 적재 공간과 전방의 제2 적재 공간으로 구획하며,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격벽을 포함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도어는 상기 후미 개방부의 하부를 개폐하도록 상기 바닥부의 후단에 힌지 결합된 하나의 하부 후미 도어와, 상기 후미 개방부의 상부를 개폐하도록 상기 한 쌍의 측벽의 후단에 힌지 결합된 한 쌍의 상부 후미 도어를 포함한다.
상기 재활용 폐기물 수거차량은 상기 격벽을 상하로 승강시키는 격벽 승강유닛을 더 포함한다.
상기 격벽 승강유닛 및 상기 격벽을 포함하는 격벽 모듈을 전후로 이송시키는 모듈 이송유닛을 더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측벽 중 일 측벽에는 상기 레일 프레임의 전후 이동을 가이드 하는 하나 이상의 프레임 가이드가 설치된다.
상기 하나 이상의 프레임 가이드는 상기 폐기물 적재함의 일 측벽의 상단에 전후로 길게 형성된 제1 프레임 가이드와, 상기 폐기물 적재함의 일 측벽의 하부에 전후로 길게 가이드 홈 구조로 형성된 제2 프레임 가이드를 포함한다.
상기 레일 프레임은 상기 제1 프레임 가이드에 안착되어 상기 제1 프레임 가이드를 따라 구름 이동하는 제1 가이드 휠과, 상기 제2 프레임 가이드에 수용되어 상기 제2 프레임 가이드를 따라 구름 이동하는 제2 가이드 휠을 포함한다.
상기 레일 프레임은 직선 레일홈과 상기 직선 레일홈의 상부에 형성된 곡선 레일홈을 각각 포함하는 한 쌍의 레일바를 일체로 포함하며, 상기 폐기물 박스 유닛은 상기 폐기물 박스를 지지한 채 상기 레일 프레임을 따라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 휠 브래킷과, 상기 휠 브래킷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직선 레일홈을 따라 구르는 하부 레일 휠 및 상부 레일 휠을 포함하며, 상기 휠 브래킷은 상기 하부 레일 휠이 설치된 브래킷 바디와, 상기 폐기물 박스와 결합되고 힌지축에 의해 상기 브래킷 바디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브래킷 바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 레일 휠과 상기 상부 레일 휠이 상기 직선 레일홈에 있을 때, 상기 폐기물 박스는 상하로 직선 이동하고, 상기 하부 레일 휠이 상기 직선 레일홈에 있고 상기 상부 레일 휠이 상기 곡선 레일홈에 있을 때, 상기 브래킷 바가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폐기물 박스의 상단 개방부가 상기 폐기물 적재함의 내부를 향하도록, 상기 폐기물 박스가 기울여진다.
상기 박스 승강유닛은 상하로 신장 또는 수축되는 구동 실린더와, 상기 구동 실린더의 선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체인 스프로킷과, 상기 체인 스프로킷에 걸쳐진 상태로 일단이 상기 레일 프레임의 일측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브래킷 바디에 고정된 체인을 포함한다.
상기 폐기물 박스는,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며 각각이 중앙 힌지에 의해 반으로 접혀지는 한 쌍의 협폭 측판과, 양 측단이 측단 모서리 힌지들에 의해 한 쌍의 협폭 측판 각각의 양 측단에 접이식으로 결합되는 한 쌍의 광폭 측판을 포함한다.
상기 폐기물 박스는 한 쌍의 광폭 측판 중 하나의 광폭 측판의 하단에 접이식으로 결합된 바닥판을 더 포함한다.
상기 격벽 승강유닛은 상하로 배치된 주동휠 및 종동휠과, 상기 주동휠을 회전 구동시키는 모터와, 상기 주동휠과 상기 종동휠에 걸쳐져 설치되되, 상기 격벽과 결합된 직선 이동부를 구비한 루프를 포함하며, 상기 직선 이동부는 상기 모터의 정역 회전 구동에 의해 상하 직선 이동하여 상기 격벽을 승강시킨다.
상기 격벽 모듈은 상기 폐기물 적재함의 서로 마주하는 측벽에 설치되어 상기 격벽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가 형성된 제1 가이드 하우징 및 제2 가이드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가이드 하우징 내에는 상기 격벽을 상하로 승강시키는 격벽 승강유닛이 설치되고, 상기 격벽 승강유닛은 상기 제1 가이드 하우징 내에 상하로 배치된 제1 주동휠 및 제1 종동휠과, 상기 제1 주동휠을 회전 구동시키는 제1 모터와, 상기 제1 주동휠과 상기 제1 종동휠에 걸쳐져 설치되되, 상기 격벽과 결합된 상하 직선 이동부를 구비한 제1 루프를 포함하며, 상기 모듈 이송유닛은 전후로 배치된 제2 주동휠 및 제2 종동휠과, 상기 제2 주동휠을 회전 구동시키는 제2 모터와, 상기 제2 주동휠과 상기 제2 종동휠에 걸쳐져 설치되되, 상기 제1 가이드 하우징 또는 상기 제2 가이드 하우징에 결합된 전후 직선 이동부를 구비한 제2 루프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재활용 폐기물 수거차량은 재활용 폐기물을 폐기물 적재함의 측벽을 넘겨 쉽고 간편하게 상차할 수 있으며, 재활용 폐기물 분류 상차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술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폐기물 수거차량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폐기물 수거차량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적재함, 레일프레임 및 적재함 승강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4는 레일 프레임과 폐기물 박스 유닛을 결합된 상태에서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레일 프레임과 폐기물 박스 유닛을 서로 분리된 상태에서 도시한 사도이다.
도 6은 적재함 승강유닛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의 (a) 및 (b)는 접혀질 수 있는 폐기물 박스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의 (a) 및 (b)는 격벽 승강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재활용 폐기물 수거차량의 배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재활용 폐기물 수거차량에 적용될 수 있는 입력부를 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과장되거나 단순화되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은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관계없는 부분의 설명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여러 실시예들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인 실시예에서만 설명하고, 그 외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대표적인 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된 것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재활용 폐기물 수거차량(1)은 재활용 폐기물의 상차를 위해 차량 후방에 설치된 폐기물 적재함(100)과, 폐기물 적재함(100)의 일 측벽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레일 프레임(200)과, 레일 프레임(200)을 따라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폐기물 박스 유닛(400)과, 폐기물 적재함(100)의 적재 공간을 제1 적재 공간(A)과 제2 적재 공간(B)으로 구획하며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격벽(600)을 포함한다.
이하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폐기물 박스 유닛(400)은 박스 승강유닛(500; 도 3 및 도 4참조)에 의해 작업자가 폐기물을 실을 수 있는 하단 위치로부터 폐기물을 폐기물 적재함(100)에 상차시킬 수 있는 상단 위치까지 레일 프레임(200)을 따라 상승할 수 있다. 폐기물 박스 유닛(400)이 상단 위치에 도달할 때 폐기물 박스 유닛(400)에 포함된 폐기물 박스(420)의 상단 개방부가 폐기물 적재함(100)을 향하도록 기울여져 폐기물 박스(420)에 담긴 재활용 폐기물이 폐기물 적재함(100)에 쉽게 쏟아질 수 있는데, 폐기물 박스 유닛(400)이 상단 위치에 도달하여 폐기물 박스(420)가 기울여지는 구성에 대해서는 다음에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레일 프레임(200)은 폐기물 적재함(100)의 일 측벽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레일 프레임(200)의 전후 이동에 의해 레일 프레임(200)에 설치된 폐기물 박스 유닛(400)도 폐기물 적재함(100)의 전후로 이동할 수 있다. 폐기물 박스 유닛(100)이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구성됨으로써, 재활용 폐기물이 폐기물 적재함(100) 내 특정 위치에 쌓이지 않고 골고루 채워질 수 있다. 또한, 폐기물 적재함(100) 내 재활용 폐기물 종류에 따라, 적재함(100)의 격벽(600)에 의해 분리된 제1 적재 공간(A)과 제2 적재 공간(B) 중 하나를 선택하여, 폐기물 박스 유닛(400)을 전후로 이동시킬 수 있다. 레일 프레임(200)은 이하에서 설명되는 구성에 의해 전후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는데, 레일 프레임(200)의 슬라이딩 이동은 수동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고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제1 적재 공간(A)이 적재함(100)의 후미에 설치된 도어들과 인접한 공간이므로, 격벽(600)이 하강된 상태, 즉 격벽(600)에 의해 제1 적재 공간(A)과 제2 적재 공간(B)이 분리된 상태에서도 제1 적재 공간(A) 내의 재활용 폐기물들은 적재함(100)의 후미 개방부를 통해 배출(하차)될 수 있다. 반면, 제2 적재 공간(B)에 있는 재활용 폐기물들을 배출하기 위해서는 격벽(600)이 상승된다. 격벽(600)의 승강을 위해 격벽 승강유닛(700; 도 8 참조)이 이용된다.
적재함(100)의 바닥부는 워킹플로어로 이루어지며 워킹플로어의 작동에 의해 적재함(100)에 채워진 재활용 폐기물이 워킹플로어를 타고 이동하여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재활용 폐기물 수거차량(1)은 폐기물 박스 유닛(400)의 승강 및 격벽(600)의 승강을 자동으로 수행하기 위해, 박스 승강유닛(500; 도 3 및 도 4 참조) 및 격벽 승강유닛(700; 도 8 참조)을 제어하는 제어부(10)를 더 포함한다. 또한, 레일 프레임(200)을 자동으로 전후 이송시키는 프레임 이송유닛이 추가로 더 제공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제어부(10)는 프레임 이송유닛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1 적재공간(A)와 제2 적재공간(B)의 공간 크기 조절을 위해 격벽(600)을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는데, 제어부(10)는 격벽(600)을 전후로 이송시키는 수단을 제어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함(100)은 바닥부(110)와, 바닥부(110)의 좌우 양측에 수직으로 세워져 설치된 한 쌍의 측벽(120a, 120b)과, 상기 바닥부(110)의 전단에 수직으로 세워져 설치된 전방벽(130)과, 상기 바닥부(110의 후단에 설치되는 도어들(142a, 142b, 144)들을 포함한다. 바닥부(110) 상에는 한 쌍의 측벽(120a, 120b)과 전방벽(130)과 도어들(142a, 142b, 144)에 의해 둘러싸인 폐기물 적재 공간이 형성된다. 도어들(142a, 142b, 144)들은 적재함(100)의 후미 개방부의 하부를 개폐하도록 바닥부(110)의 후단에 힌지 결합된 하나의 하부 후미 도어(144)와 적재함(100)의 후미 개방부의 상부를 개폐하도록 한 쌍의 측벽(120a, 120b)의 후단에 힌지 결합된 한 쌍의 상부 후미 도어(142a, 142b)를 포함한다.
바닥부(110)는 워킹플로어를 포함한다. 따라서, 워킹플로어를 구동하여 재활용 폐기물을 하차시킬 수 있으므로, 기존에 재활용 폐기물을 하차시키는데 추가로 사용되었던 덤핑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워킹플로어는 한 쌍의 상부 후미 도어(142a, 142b)가 닫힌 상태에서 하부 후미 도어(144)만 개방한 후, 워킹플로어를 작동시켜 재활용 폐기물들을 하차시킬 수 있고, 한 쌍의 상부 후미 도어(142a, 142b)와 하부 후미 도어(144)를 모두 개방한 상태에서 워킹플로어를 작동시켜 재활용 폐기물들을 하차시킬 수 있다.
도 3에 잘 나타낸 바와 같이, 한 쌍의 측벽(120a, 120b) 중 일 측벽(120a)은 레일 프레임(200)의 전후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프레임 가이드(122, 124)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프레임 가이드(122, 124)는 측벽(120a)의 상단에 전후로 길게 형성된 제1 프레임 가이드(122)와 측벽(120a)의 하부에서 전후로 길게 형성된 제2 프레임 가이드(124)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프레임 가이드(122)는 이하 설명되는 제1 가이드 휠(252)이 안착될 수 있도록 제1 가이드 휠(252)의 단면 형상에 형합하는 단면의 레일 형상, 예컨대 삼각 단면 레일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프레임 가이드(124)는 이하 설명되는 제2 가이드 휠(254)을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수용하는 가이드홈 구조로 형성된다.
레일 프레임(200)은 직선 레일홈(212)과 직선 레일홈(212)의 상부에 형성된 곡선 레일홈(214)을 각각 포함하는 한 쌍의 레일바(210, 210)와, 프레임 가이드(122, 124)를 따라 구름 이동하여 레일 프레임(200)을 전후로 이동시키는 가이드 휠(252, 254)을 포함한다. 또한, 레일 프레임(200)은 한 쌍의 레일바(210, 210)를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바(240, 240)와, 한 쌍의 지지바(240, 240)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부(230a, 230b, 230c)를 더 포함한다. 가이드 휠(252, 254)은 한 쌍의 지지바(240, 24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제1 프레임 가이드(122)에 안착되도록 지지바(240)의 상단에 설치되어 제1 프레임 가이드(122)를 타고 구름 이동하는 제1 가이드 휠(252)과, 지지바(240)의 하부에 설치되어 기다란 홈 구조로 형성된 제 2 프레임 가이드(124)에 수용된 채 제2 프레임 가이드(124)를 타고 구름 이동하는 제2 가이드 휠(254)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레일 프레임(200)은 측벽(120a)에 구비된 프레임 가이드(122, 124)를 따라 전후로 이동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기물 박스 유닛(400)은, 폐기물을 채우는 상단 개방형 공간이 형성된 폐기물 박스(420)와, 폐기물 박스(420)를 지지한 채 레일 프레임(200)을 따라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 휠 브래킷(440)과, 휠 브래킷(44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직선 레일홈(212)을 따라 구르는 한 쌍의 하부 레일 휠(452) 및 한 쌍의 상부 레일 휠(454)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휠 브래킷(440)은 한 쌍의 하부 레일 휠(452)이 설치되고 한 쌍의 브래킷 아암과 브래킷 베이스로 이루어진 브래킷 바디(442)와, 폐기물 박스(420)와 직접 결합되되, 힌지축(460)에 의해 브래킷 바디(442)의 한 쌍의 아암 각각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한 쌍의 상부 레일 휠(454)이 설치된 한 쌍의 브래킷 바(444)를 포함한다.
하부 레일 휠(452)과 상부 레일 휠(454)이 레일 프레임(200)의 직선 레일홈(21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며, 이에 따라, 폐기물 박스 유닛(400), 즉 휠 브래킷(440)과 휠 브래킷(440)과 결합된 폐기물 박스(420)는 휠 브래킷(440)에 설치된 하부 레일 휠(452)과 상부 레일 휠(454) 모두가 직선 레일홈(212)을 타고 이동하는 것에 의해 상하로 승강될 수 있다. 그리고 폐기물 박스 유닛(400)의 승강은 박스 승강유닛(500)의 구동에 의해 이루어진다.
폐기물 박스 유닛(400)이 상단 위치에 가까워지면, 하부 레일 휠(452)은 직선 레일홈(212)에 있되, 상부 레일 휠(454)이 곡선 레일홈(214)에 진입하게 되며, 이 상태에서 폐기물 박스 유닛(400)이 더 상승하면 상부 레일 휠(454)이 설치된 브래킷 바(444) 및 이와 직접 결합된 폐기물 박스(420)가 힌지축(460)을 중심으로 회동하며, 상단 위치에 도달하면 폐기물 박스(420)는 상단 개방부가 폐기물 적재함(100) 내부를 향하도록 기울여지며, 따라서 작업자 없이도 폐기물 박스(420)의 상승 및 그에 뒤 이은 재활용 폐기물의 덤핑에 의해 재활용 폐기물의 투입(즉, 상차)가 자동으로 그리고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박스 승강유닛(500)의 구동에 의해 폐기물 박스 유닛(400)이 하강하는데, 이 과정에서 곡선 레일홈(214)에 있던 상부 레일 휠(454)이 직선 레일홈(212)에 진입하는 것에 의해, 브래킷 바(444) 및 이와 직접 결합된 폐기물 박스(420)가 힌지축(460)에 대하여 회동하여 원래의 상태, 즉 폐기물 박스(420)의 상단 개방부가 수직으로 상측을 향하는 돌아오며, 이 상태에서 상부 레일 휠(454)와 하부 레일 휠(452)이 직선 레일홈(212)을 따라 아래로 이동하여 폐기물 박스 유닛(400)은 하단 위치까지 하강할 수 있다.
한편, 박스 승강유닛(500)은 도 3 및 도 4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 프레임(200)의 하부 연결부(230c)에 연결되어 상하로 신장 또는 수축되는 구동 실린더(520)와, 구동 실린더(520)의 선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체인 스프로킷(540)과, 일단이 레일 프레임(200)의 일측에 고정되고 타단이 휠 브래킷(440), 보다 구체적으로는 휠 브래킷(440)의 브래킷 바디(442)에 고정되되 체인 스프로킷(540)에 걸쳐져 결합된 체인(560) 포함한다. 구동 실린더(520)의 신장 구동에 의해 체인 스프로킷(540)이 상승하며, 이에 따라 최대로 상승된 체인 스프로킷(540)과 휠 브래킷(440)에 연결된 체인(560)의 타단 사이의 거리가 가장 짧아지면서 휠 브래킷(440) 및 휠 브래킷(440)에 설치된 폐기물 박스(420)가 상단까지 상승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단 위치에서 휠 브래킷(440)의 브래킷 바디(442)에 설치된 하부 레일 휠(452)은 직선 레일홈(212)에 있고, 브래킷 바(444)에 설치된 상부 레일 휠(454)은 곡선 레일홈(214) 내로 있게 되므로, 브래킷 바(444)가 브래킷 바디(442)에 대하여 회동하고, 이에 따라 브래킷 바디(442)에 직접 결합된 폐기물 박스(420)는 경사지게 기울여져 재활용 폐기물을 폐기물 적재함(100) 내로 쏟아낼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도 4,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기물 박스(420)는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며 각각이 중앙 힌지(421)에 의해 반으로 접혀지는 한 쌍의 협폭 측판(422. 422)과, 양 측단이 측단 모서리 힌지(423)들에 의해 한 쌍의 협폭 측판(422) 각각의 양 측단에 접이식으로 결합되는 한 쌍의 광폭 측판(424, 424)과, 한 쌍의 광폭 측판(424, 424) 중 하나의 광폭 측판(424)의 하단에 하단 모서리 힌지(425)에 의해 접이식으로 결합된 바닥판(426)을 포함한다. 폐기물 상하차 작업시에는 도 4, 도 5 및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기물 박스(420)는 협폭 측판(422)이 펼쳐지고 협폭 측판(422)과 장폭 측판(424)이 90도를 이루며 바닥판(426)이 광폭 측판(424)과 직각을 이루면서 바닥을 막고 있는 형태로 사용되며, 폐기물 수거 차량(1)이 주행 중에는 다른 차량 또는 다른 물체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도 7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협폭 측판(422)이 중앙 힌지(421)를 기준으로 접히고, 협폭 측판(422)과 광폭 측판(424) 사이의 각도도 최대한으로 접혀진 상태를 유지한다. 바닥판(426)도 광폭 측판(424)과 거의 포개어진 상태가 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벽 승강유닛(700)은 폐기물 적재함(100)의 측벽에 설치된다. 격벽 승강유닛(700)은 적재함(100)의 측벽(120a, 120b)에 상하로 형성된 가이드를 따라 격벽(600)을 상하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격벽 승강유닛(700)은 상하로 배치된 주동휠(722) 및 종동휠(724)과, 주동휠(722)을 회전 구동시키는 모터(721)과, 주동휠(722)과 종동휠(724)에 걸쳐져 설치되며 모터(721)의 정역 회전 의해 상하 직선이동하는 직선 이동부(726a)를 구비한 루프(726)를 포함한다. 직선 이동부(726a)가 격벽(600)에 결합되므로, 모터(721)의 정역 회전에 따라 루프(726)에 구비된 직선 이동부(726a)가 상하 이동하여, 격벽(600)이 상승하거나 하강할 수 있다. 이때, 주동휠(722) 및 종동휠(724)은 체인 스프로킷 또는 풀리일 수 있고, 루프(726)는 체인 또는 벨트일 수 있다.
한편,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재활용 폐기물 수거차량(1)은 격벽(600)의 승하강은 물론이고 격벽(600)의 좌우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재활용 폐기물 수거차량(1)은 적재함(100) 내에서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격벽 모듈(M)과 격벽 모듈(M)을 전후로 이동시키는 모듈 이송유닛(800)을 포함한다.
격벽 모듈(M)은 격벽(600)과 격벽 승강유닛(700)이 통합된 구조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서로 마주하게 배치되되 적재함의 서로 마주하는 측벽에 설치되고, 격벽(600)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가 형성된 제1 가이드 하우징(20a) 및 제2 가이드 하우징(20b)과, 제1 가이드 하우징(20a) 내에 설치되어 격벽(600)을 상하로 승강시키는 격벽 승강유닛(700)을 포함한다.
격벽 승강유닛(700)은 제1 가이드 하우징(20a) 내에 설치되며, 상하로 배치된 제1 주동휠(722) 및 제1 종동휠(724)과, 제1 주동휠(722)을 회전 구동시키는 제1 모터(721)와, 제1 주동휠(722)과 제1 종동휠(724)에 걸쳐져 설치되며 제1 모터(721)의 정역 회전 의해 상하 직선이동하는 상하 직선 이동부(726a)를 구비한 제1 루프(726)를 포함한다. 상하 직선 이동부(726a)가 격벽(600)에 결합되므로, 제1 모터(721)의 정역 회전에 따라 루프(726)에 구비된 직선 이동부(726a)가 상하 이동하여, 격벽(600)이 상승하거나 하강할 수 있다. 이때, 제1 주동휠(722) 및 제1 종동휠(724)은 체인 스프로킷 또는 풀리일 수 있고, 제1 루프(726)는 체인 또는 벨트일 수 있다.
또한, 모듈 이송유닛(800)은 전후로 배치된 제2 주동휠(822) 및 제2 종동휠(824)과, 제2 주동휠(822)을 회전 구동시키는 제2 모터(821)와, 제2 주동휠(822)과 제2 종동휠(824)에 걸쳐져 설치되며 제2 모터(821)의 정역 회전 의해 상하 직선이동하는 전후 직선 이동부(826a)를 구비한 제2 루프(826)를 포함한다. 전후 직선 이동부(826)가 격벽 모듈(M)의 일부인 제1 가이드 하우징(20a)에 결합되므로, 제2 모터(821)의 정역 회전에 따라 제2 루프(826)에 구비된 제2 직선 이동부(826a)가 전후 이동하여, 모들(M) 전체가 전진 또는 후퇴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제2 주동휠(822) 및 제2 종동휠(824)은 체인 스프로킷 또는 풀리일 수 있고, 제2 루프(826)는 체인 또는 벨트일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1을 참조하면, 재활용 폐기물 수거차량(1)은 적재함(100)이 일 측벽 상에서 레일 프레임(200)을 전후 이동시켜, 레일 프레임(200)에 상하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폐기물 박스 유닛(400) 및 이에 포함된 폐기물 박스(420)을 전후 이동시키는 프레임 이송유닛(300)을 더 포함한다.
프레임 이송유닛(300)은 전후로 배치된 주동 체인 스프로킷(322) 및 종동 체인 스프로킷(324)과, 주동 체인 스프로킷(322)을 회전 구동시키는 모터를 포함하는 구동부(321)와, 주동 체인 스프로킷(322)과 종동 체인 스포로킷(324)에 걸쳐져 설치된 체인(326)을 포함하며, 체인(326)의 일측에는 레일 프레임(200)에 결합된 직선 이동부(326a)가 구비된다. 구동부(321)의 정역 회전 구동에 의해 직선 이동부(326a)가 전후로 직선 이동하며, 따라서 레일 프레임(200)과 폐기물 박스 유닛(400)이 전후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주동 체인 스프로킷 및 종동 스프로킷 대신에 주동 풀리 및 종동 풀리가 이용될 수 있고, 체인 대신에 벨트(특히, 타이밍 벨트)가 이용될 수도 있다.
도 12는 전술한 제어부(10)가 폐기물 수거 차량의 폐기물 박스, 워킹 플로어, 격벽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입력부(900)의 한 예를 나타낸 것이다. 입력부(900)는 워킹 플로어의 작동 온/오프를 입력 신호를 제어부에 제공하는 입력 버튼(910), 격벽의 상하/전후 이동 및 정지를 위한 신호를 제어부에 제공하는 입력 버튼들(920)과, 폐기물 박스의 상하/전후 이동 및 정지를 위한 신호를 제어부에 제공하는 위한 입력 버튼(930)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입력부(900)는 도어의 개폐 제어를 위한 신호를 제공하는 입력 버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폐기물 적재함 110: 바닥부
120a. 120b: 측벽 130: 전방벽
200: 레일 프레임 400: 폐기물 박스 유닛
420: 폐기물 박스 440: 휠 브래킷
442: 브래킷 바디 444: 브래킷 바
452: 하부 레일휠 454: 상부 레일휠
450: 힌지축 500: 박스 승강유닛
600: 격벽 700: 격벽 승강유닛

Claims (14)

  1. 재활용 폐기물의 상차를 위해 차량의 후방에 설치되고,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좌우 양측에 수직으로 세워져 설치된 한 쌍의 측벽과, 상기 바닥부의 전단에 수직으로 세워져 설치된 전방벽과, 후미 개방부를 개폐하도록 설치된 하나 이상의 도어를 포함하는 폐기물 적재함;
    상기 폐기물 적재함의 일 측벽에서 상하로 연장되도록 배치된 채 전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레일 프레임;
    폐기물 박스를 포함하고, 상기 레일 프레임을 따라 상하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폐기물 박스 유닛;
    상기 폐기물 박스 유닛을 상하로 승강시키는 박스 승강유닛;
    상기 폐기물 적재함의 적재 공간을 후방의 제1 적재 공간과 전방의 제2 적재 공간으로 구획하며,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격벽;
    상기 격벽을 상하로 승강시키는 격벽 승강유닛; 및
    상기 격벽 승강유닛 및 상기 격벽을 포함하는 격벽 모듈을 전후로 이송시키는 모듈 이송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폐기물 수거차량.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도어는 상기 후미 개방부의 하부를 개폐하도록 상기 바닥부의 후단에 힌지 결합된 하나의 하부 후미 도어와, 상기 후미 개방부의 상부를 개폐하도록 상기 한 쌍의 측벽의 후단에 힌지 결합된 한 쌍의 상부 후미 도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폐기물 수거차량.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측벽 중 일 측벽에는 상기 레일 프레임의 전후 이동을 가이드 하는 하나 이상의 프레임 가이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폐기물 수거차량.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레임 가이드는 상기 폐기물 적재함의 일 측벽의 상단에 전후로 길게 형성된 제1 프레임 가이드와, 상기 폐기물 적재함의 일 측벽의 하부에 전후로 길게 가이드 홈 구조로 형성된 제2 프레임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폐기물 수거차량.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 프레임은 상기 제1 프레임 가이드에 안착되어 상기 제1 프레임 가이드를 따라 구름 이동하는 제1 가이드 휠과, 상기 제2 프레임 가이드에 수용되어 상기 제2 프레임 가이드를 따라 구름 이동하는 제2 가이드 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폐기물 수거차량.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 프레임은 직선 레일홈과 상기 직선 레일홈의 상부에 형성된 곡선 레일홈을 각각 포함하는 한 쌍의 레일바를 일체로 포함하며,
    상기 폐기물 박스 유닛은 상기 폐기물 박스를 지지한 채 상기 레일 프레임을 따라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 휠 브래킷과, 상기 휠 브래킷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직선 레일홈을 따라 구르는 하부 레일 휠 및 상부 레일 휠을 포함하고,
    상기 휠 브래킷은 상기 하부 레일 휠이 설치된 브래킷 바디와, 상기 폐기물 박스와 결합되고 힌지축에 의해 상기 브래킷 바디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브래킷 바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 레일 휠과 상기 상부 레일 휠이 상기 직선 레일홈에 있을 때, 상기 폐기물 박스는 상하로 직선 이동하고, 상기 하부 레일 휠이 상기 직선 레일홈에 있고 상기 상부 레일 휠이 상기 곡선 레일홈에 있을 때, 상기 브래킷 바가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폐기물 박스의 상단 개방부가 상기 폐기물 적재함의 내부를 향하도록 상기 폐기물 박스가 기울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폐기물 수거차량.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 승강유닛은 상하로 신장 또는 수축되는 구동 실린더와, 상기 구동 실린더의 선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체인 스프로킷과, 상기 체인 스프로킷에 걸쳐진 상태로 일단이 상기 레일 프레임의 일측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브래킷 바디에 고정된 체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폐기물 수거차량.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폐기물 박스는,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며 각각이 중앙 힌지에 의해 반으로 접혀지는 한 쌍의 협폭 측판과, 양 측단이 측단 모서리 힌지들에 의해 한 쌍의 협폭 측판 각각의 양 측단에 접이식으로 결합되는 한 쌍의 광폭 측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폐기물 수거차량.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폐기물 박스는 한 쌍의 광폭 측판 중 하나의 광폭 측판의 하단에 접이식으로 결합된 바닥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폐기물 수거차량.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 승강유닛은 상하로 배치된 주동휠 및 종동휠과, 상기 주동휠을 회전 구동시키는 모터와, 상기 주동휠과 상기 종동휠에 걸쳐져 설치되되, 상기 격벽과 결합된 직선 이동부를 구비한 루프를 포함하며, 상기 직선 이동부는 상기 모터의 정역 회전 구동에 의해 상하 직선 이동하여 상기 격벽을 승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폐기물 수거차량.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 모듈은 상기 폐기물 적재함의 서로 마주하는 측벽에 설치되어 상기 격벽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가 형성된 제1 가이드 하우징 및 제2 가이드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가이드 하우징 내에는 상기 격벽을 상하로 승강시키는 격벽 승강유닛이 설치되고,
    상기 격벽 승강유닛은 상기 제1 가이드 하우징 내에 상하로 배치된 제1 주동휠 및 제1 종동휠과, 상기 제1 주동휠을 회전 구동시키는 제1 모터와, 상기 제1 주동휠과 상기 제1 종동휠에 걸쳐져 설치되되 상기 격벽과 결합된 상하 직선 이동부를 구비한 제1 루프를 포함하며,
    상기 모듈 이송유닛은 전후로 배치된 제2 주동휠 및 제2 종동휠과, 상기 제2 주동휠을 회전 구동시키는 제2 모터와, 상기 제2 주동휠과 상기 제2 종동휠에 걸쳐져 설치되되 상기 제1 가이드 하우징 또는 상기 제2 가이드 하우징에 결합된 전후 직선 이동부를 구비한 제2 루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폐기물 수거차량.
KR1020210165348A 2021-11-26 2021-11-26 재활용 폐기물 수거차량 KR1025889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5348A KR102588908B1 (ko) 2021-11-26 2021-11-26 재활용 폐기물 수거차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5348A KR102588908B1 (ko) 2021-11-26 2021-11-26 재활용 폐기물 수거차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8025A KR20230078025A (ko) 2023-06-02
KR102588908B1 true KR102588908B1 (ko) 2023-10-13

Family

ID=86755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5348A KR102588908B1 (ko) 2021-11-26 2021-11-26 재활용 폐기물 수거차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890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49794B2 (ja) 1998-10-01 2006-03-01 極東開発工業株式会社 分別収集荷箱
KR101933855B1 (ko) 2018-08-28 2018-12-31 김태일 재활용 쓰레기 수거차량용 적재장치
KR102240431B1 (ko) 2020-02-07 2021-04-15 차동민 적재함 도어의 개폐가 편리한 재활용품 수거차량
KR102276383B1 (ko) 2020-01-09 2021-07-12 대경특장주식회사 음식물 수거차량용 리프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35228B2 (ja) * 1995-08-22 1999-08-16 富士車輌株式会社 塵芥分別収集車
KR100895510B1 (ko) 2008-08-07 2009-04-30 대경특장주식회사 폐기물 수거차량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49794B2 (ja) 1998-10-01 2006-03-01 極東開発工業株式会社 分別収集荷箱
KR101933855B1 (ko) 2018-08-28 2018-12-31 김태일 재활용 쓰레기 수거차량용 적재장치
KR102276383B1 (ko) 2020-01-09 2021-07-12 대경특장주식회사 음식물 수거차량용 리프터
KR102240431B1 (ko) 2020-02-07 2021-04-15 차동민 적재함 도어의 개폐가 편리한 재활용품 수거차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8025A (ko) 2023-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125161A (ko) 탑차
KR20150129434A (ko) 중량물 상,하차용 화물차의 리프트장치
KR20130023036A (ko) 덮개 수단이 구비된 차량용 적재함
KR102314132B1 (ko) 차량 적재함의 격벽 구조
US3051335A (en) Trailer elevator
KR102588908B1 (ko) 재활용 폐기물 수거차량
KR20210031219A (ko) 트럭용 윙바디
US6382731B1 (en) Load hauling vehicle with sidewall raising and lowering mechanism
EP2683628A2 (en) Linearly extendable collection mechanism for refuse hauling vehicles
KR100961711B1 (ko) 팔레트 출하 시스템
US6012891A (en) Parts handling apparatus
KR20190141948A (ko) 차량용 화물 이송장치
US6071057A (en) Container body for recyclable refuse collection vehicle
US2702721A (en) Container for transporting and dumping devices
KR102044089B1 (ko) 일반트럭 탑재용 덤프 적재함 모듈
US2824659A (en) Lift gate for dump truck
JP3247312B2 (ja) 分別ゴミ収集車におけるゴミ投入装置
KR102541581B1 (ko) 루프 개폐가 이루어지는 화물 운송용 윙바디 적재함
CN216971371U (zh) 一种分体式卸车平台
KR100229269B1 (ko) 화물차용 적재함의 적재물 승하강 장치
JPH10236663A (ja) 渡り板装置
JP3247314B2 (ja) 分別ゴミ収集車におけるコンテナ構造
JPS59206232A (ja) 貨物運搬用荷台構造
SU1239067A1 (ru) Внутренн емкость дл штучных грузов к почтовым контейнерам
JP3232182B2 (ja) 反転投入装置を備えたゴミ回収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