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5161A - 탑차 - Google Patents
탑차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125161A KR20200125161A KR1020190049015A KR20190049015A KR20200125161A KR 20200125161 A KR20200125161 A KR 20200125161A KR 1020190049015 A KR1020190049015 A KR 1020190049015A KR 20190049015 A KR20190049015 A KR 20190049015A KR 20200125161 A KR20200125161 A KR 2020012516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nel
- opening
- closing
- telescopic
- fixed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1174 ascend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32258 transpor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446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BQCADISMDOOEFD-UHFFFAOYSA-N Silver Chemical compound [Ag] BQCADISMDOOEF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378 air conditio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57 refrig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09 silv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32 silv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 B60P1/26—Means for controlling movement of tailboards or sideboard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10—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2—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parallel up-and-down movement of load supporting or containing eleme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2—Platforms; Open load compartments
- B62D33/023—Sideboard or tailgate structure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6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5/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 F16H25/18—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for conveying or interconverting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motions
- F16H25/20—Screw mechanism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5/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 F16H25/18—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for conveying or interconverting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motions
- F16H25/20—Screw mechanisms
- F16H25/2018—Screw mechanisms with both screw and nut being driven, i.e. screw and nut are both rotat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5—Haulage vehicles, trailing truck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16—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for trucks or trai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탑차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화물의 적재 공간이 마련된 트럭 차체의 상기 적재 공간의 상부에 상하 방향으로 승강되면서 상기 적재 공간의 상하 높이를 변경시키는 루프 커버 패널, 상기 루프 커버 패널과 연동되어 승강되면서 상기 적재 공간의 측면 부위를 1차 개폐하는 좌우 개폐부 및 상기 루프 커버 패널과 연동되어 승강되면서 상기 적재 공간의 전면 또는 후면 부위를 1차 개폐하는 전후 개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좌우 개폐부 및 상기 전후 개폐부는, 상기 루프 커버 패널과 연동되어 상승된 상태에서 상기 적재 공간의 측면 부위 및 전면 또는 후면 부위의 2차 개폐가 가능한 이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탑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화물의 적재 및 하적이 용이하도록 적재 공간의 측면 및 후면을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는 탑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물차는 화물을 적재 및 운송하는 차량의 일종으로서, 화물의 적재 공간이 루프 패널 또는 사이드 커버 패널에 의하여 차폐되는 탑차와, 화물의 적재 공간이 개방되어 있는 트럭으로 분류된다.
탑차로는, 후방의 양문 개폐형 도어 또는 측면의 싱글 개폐형 도어 부분을 제외하고는 상술한 루프 패널 또는 사이드 커버 패널에 의하여 차폐하고, 택배 화물 또는 소품 등의 화물을 운송하기 위한 다용도 탑차와, 적재 공간을 냉동 공조하는 냉동 탑차, 이삿짐이나 비교적 대형 화물을 운송하기 위하여 회동 가능하게 구비된 윙 커버를 구비한 윙 탑차 등을 들 수 있다.
탑차는 화물의 적재 공간이 외부와 차폐됨으로써 화물을 안전하게 보호하는 장점을 가지나, 화물의 탑재 경로 및 하적 경로가 상술한 도어로 한정되어 있는 한편, 적재 공간의 바닥면과 루프 패널의 천정면 사이의 높이가 고정되어 있어, 상하로 큰 높이를 가진 화물(예를 들면, 냉장고 또는 이벤트 플라워 등)의 적재에 제한이 있는 단점을 가진다.
다양한 높이의 화물을 적재하기 위하여 적재 공간의 상하 높이를 증가시킬 경우, 높이가 제한된 주차장 또는 도로 진입이 불가(다만, 1톤 이하 트럭 중에서도 화물칸 높이까지 포함하여 2m가 되지 않는 차량은 제외)한 문제점이 있다. 가령 지하주차장의 경우 진입 가능한 차량이 2 내지 2.3m로 제한되어 있다.
또한, 적재 공간의 상하 높이를 증가시킬 경우, 주행 중 공기저항이 차지하는 비중에 의하여 연비가 저하되는 문제점으로 이어진다. 이는, 화물을 하적한 이후이더라도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문제점이다.
한편, 탑차의 경우 측면의 사이드 도어를 별도로 설치하지 않은 경우이거나 윙 탑차가 아닌 경우, 후면의 도어를 제외하고는 하적할 수 있는 방법이 없어 화물의 하적 순서를 고려하여 화물을 적재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최근, 탑차는 화물의 적절한 보호를 위하여 택배업 종사자가 많이 활용하고 있는 종류의 차량인데, 상술한 화물의 하적 순서를 고려하여 화물을 적재하여야 할 경우에는 비교적 많은 시간을 할애하여야 하는 문제점으로 이어진다.
본 발명은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화물 적재 공간의 측면 부위와 후면 부위를 동시에 개폐할 수 있는 탑차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화물 적재 공간의 측면 부위와 후면 부위를 전기적인 에너지를 이용하여 일정 구간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는 탑차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화물 적재 공간의 상하 높이를 변경시킬 수 있는 탑차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화물 적재 공간으로 빗물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는 탑차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기존의 화물 차량에 손쉽게 탈장착 가능한 탑차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탑차의 일 실시예는, 화물의 적재 공간이 마련된 트럭 차체의 상기 적재 공간의 상부에 상하 방향으로 승강되면서 상기 적재 공간의 상하 높이를 변경시키는 루프 커버 패널, 상기 루프 커버 패널과 연동되어 승강되면서 상기 적재 공간의 측면 부위를 1차 개폐하는 좌우 개폐부 및 상기 루프 커버 패널과 연동되어 승강되면서 상기 적재 공간의 전면 또는 후면 부위를 1차 개폐하는 전후 개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좌우 개폐부 및 상기 전후 개폐부는, 상기 루프 커버 패널과 연동되어 상승된 상태에서 상기 적재 공간의 측면 부위 및 전면 또는 후면 부위의 2차 개폐가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루프 커버 패널, 상기 좌우 개폐부 및 상기 전후 개폐부를 승강시키는 승강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 모듈은, 상기 적재 공간의 바닥면 좌측단 및 우측단에 전후 방향으로 길게 가이드레일 홈이 형성된 한 쌍의 베이스 레일부, 상기 루프 커버 패널과의 연결을 매개하는 연결 프레임의 좌측단 및 우측단에 전후 방향으로 길게 가이드레일 홈이 형성된 한 쌍의 승강 레일부, 상기 한 쌍의 베이스 레일부 중 좌측의 좌측 베이스레일부와 상기 한 쌍의 승강 레일부 중 좌측의 좌측 승강레일부를 상호 연결하면서 시저 운동하는 좌측 시저 리프터, 상기 한 쌍의 베이스 레일부 중 우측의 우측 베이스레일부와 상기 한 쌍의 승강 레일부 중 우측의 우측 승강레일부를 상호 연결하면서 시저 운동하는 우측 시저 리프터 및 상기 좌측 시저 리프터 및 상기 우측 시저 리프터에 시저 운동의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좌측 시저 리프터 및 상기 우측 시저 리프터의 전방 하부 링크 및 전방 상부 링크는 상기 한 쌍의 승강 레일부의 전단부에 힌지 고정되고, 상기 좌측 시저 리프터 및 상기 우측 시저 리프터의 후방 하부 링크 및 후방 상부 링크는 상기 한 쌍의 승강 레일부의 가이드레일 홈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삽입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연결 프레임에 고정된 구동 모터, 상기 구동 모터의 회전축에 축 연결되어 회전 구동되고, 수나사산이 외주면 일부에 형성된 스크류 축봉, 상기 스크류 축봉을 감싸도록 구비되고, 상기 수나사산에 치합되는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스크류 축봉을 따라 이동되는 무빙 너트 및 상기 무빙 너트와 결합되고, 일단은 상기 좌측 시저 리프터의 전방 상부 링크 및 후방 상부 링크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우측 시저 리프터의 전방 상부 링크 및 후방 상부 링크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된 시저 구동 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좌우 개폐부는, 상기 적재 공간의 좌측면을 개폐하는 좌측 개폐부와, 상기 적재 공간의 우측면을 개폐하는 우측 개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좌우 개폐부는, 상기 루프 커버 패널의 승강에 연동하여 상기 루프 커버 패널의 내측에서 감김 및 풀림되는 셔터 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셔터 조립체는, 상기 루프 커버 패널의 전단 내측 및 후단 내측에 수평되게 결합된 셔터 샤프트, 상기 셔터 샤프트의 외측에 평행되게 이격되도록 상기 루프 커버 패널의 전단 내측 및 후단 내측에 수평되게 결합된 가이드 샤프트 및 상기 셔터 샤프트에 감김되거나 상기 셔터 샤프트로부터 풀리도록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 샤프트의 외측면의 가이드를 받도록 구비된 셔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셔터 샤프트는, 상기 셔터부를 감김 방향으로 소정의 권회력을 형성하면서 감김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후 개폐부는, 상기 적재 공간의 전면을 개폐하는 전방 개폐부와, 상기 적재 공간의 후면을 개폐하는 후방 개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후 개폐부는, 상기 루프 커버 패널의 승강에 연동하여 중첩되거나 펼쳐지는 다수의 개폐 패널로 구비된 텔레스코픽 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텔레스코픽 조립체는, 상기 루프 커버 패널에 대하여 고정된 고정 텔레스코픽 패널(이하, '고정 패널'이라 함), 상기 고정 패널에 대하여 중첩 가능하게 구비되되, 상기 고정 패널의 하방으로 무빙 가능하게 구비된 이동 텔레스코픽 패널(이하, '이동 패널'이라 함) 및 상기 고정 패널과 상기 이동 패널 사이에 중첩되게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중첩 텔레스코픽 패널(이하, '중첩 패널'이라 함)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패널, 이동 패널 및 중첩 패널에는, 상호 간 간섭되게 대향 방향으로 돌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간섭 블록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텔레스코픽 조립체는, 상기 루프 커버 패널의 좌측 내면 및 우측 내면에 대하여 수평되게 힌지 고정된 텔레스코픽 샤프트 및 상기 텔레스코픽 샤프트에 감김 및 풀림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이동 패널과 연결된 개폐 와이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텔레스코픽 샤프트는, 상기 개폐 와이어를 감김 방향으로 소정의 권회력을 형성하면서 감김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텔레스코픽 조립체는, 상기 이동 패널의 하단에 구비되고, 상기 개폐 와이어가 고정되며, 상기 고정 패널 및 상기 중첩 패널의 하단을 상측으로 동시에 지지하는 지지 브라켓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텔레스코픽 조립체는, 상기 루프 커버 패널에 대하여 고정된 고정 텔레스코픽 패널(이하, '고정 패널'이라 함)과, 상기 고정 패널에 대하여 중첩 가능하게 구비되되, 상기 고정 패널의 하방으로 무빙 가능하게 구비된 이동 텔레스코픽 패널(이하, '이동 패널'이라 함) 및 상기 고정 패널과 상기 이동 패널 사이에 중첩되게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중첩 텔레스코픽 패널(이하, '중첩 패널'이라 함)로 구비된 텔레스코픽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텔레스코픽 패널은, 상기 루프 커버 패널이 상승한 경우로서 상대적으로 상부에 위치된 패널이 상대적으로 하부에 위치된 패널보다 상기 적재 공간 내부로 더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단은 상기 루프 커버 패널과 연결되고, 하단은 상기 적재 공간의 바닥면에 지지되며, 상기 좌우 개폐부 및 상기 전후 개폐부의 승강을 가이드함과 동시에 상하 방향으로 길이가 신축되도록 구비된 텔레스코픽 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텔레스코픽 가이드부는, 상기 루프 커버 패널에 대하여 고정된 고정 텔레스코픽 가이드 프레임(이하, '고정 가이드 프레임'이라 함), 상기 고정 가이드 프레임에 대하여 중첩 가능하게 구비되되, 상기 고정 가이드 프레임의 하방으로 무빙 가능하게 구비된 이동 텔레스코픽 가이드 프레임(이하, '이동 가이드 프레임'이라 함) 및 상기 고정 가이드 프레임과 상기 이동 가이드 프레임 사이에 중첩되게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중첩 텔레스코픽 가이드 프레임(이하, '중첩 가이드 프레임'이라 함)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가이드 프레임, 이동 가이드 프레임 및 중첩 가이드 프레임에는, 상호 간 간섭되게 대향 방향으로 돌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간섭 블록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텔레스코픽 가이드부는, 상기 고정 가이드 프레임의 내측에 상기 중첩 가이드 프레임 및 상기 이동 가이드 프레임이 내부로 삽입 가능하게 중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텔레스코픽 가이드부는, 상기 셔터 조립체의 셔터부의 단부가 삽입되는 셔터 가이드홈 또는 상기 텔레스코픽 조립체의 고정 패널, 중첩 패널 및 이동 패널의 단부가 삽입되는 패널 가이드홈이 내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탑차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다양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첫째, 화물의 적재 공간의 후면 부위는 물론, 전면 부위와 측면 부위를 모두 동시에 개폐할 수 있으므로, 자율주행 무인 화물 시스템의 적용이 용이한 효과를 가진다.
둘째, 전기적으로 구동되는 구동부를 이용하여 화물의 적재 공간의 측면 부위와 전면 부위 또는 후면 부위를 일정 구간 자동으로 개폐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셋째, 화물의 적재 공간의 상하 높이를 변경시킴으로써 화물의 다양한 종류를 적재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넷째, 화물의 적재 공간으로의 빗물 등의 이물질 유입이 방지됨으로써 적재된 화물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다섯째, 기존의 트럭에 손쉽게 설치 가능한 효과를 가진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탑차의 적재 공간 개폐 전후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a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 및 도 4는 도 1a 및 도 1b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도 1a 및 도 1b 상태의 승강 모듈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7 및 도 8은 도 1a 및 도 1b 상태의 좌우 개폐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 및 도 10은 도 1a 및 도 1b 상태의 좌우 개폐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11 및 도 12는 도 1a 및 도 1b 상태의 텔레스코픽 가이드부 및 전후 개폐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1 및 도 12의 단면도이며,
도 14는 도 11의 평면도이고.
도 11 및 도 12는 도 1a 및 도 1b 상태의 전후 개폐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3은 도 11 및 도 12의 단면도이고,
도 14는 도 11 및 도 12의 평면도 및 부분 확대도이며,
도 15a 및 도 15b는 텔레스코픽 가이드부에 따른 좌우 개폐부 및 전후 개폐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a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 및 도 4는 도 1a 및 도 1b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도 1a 및 도 1b 상태의 승강 모듈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7 및 도 8은 도 1a 및 도 1b 상태의 좌우 개폐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 및 도 10은 도 1a 및 도 1b 상태의 좌우 개폐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11 및 도 12는 도 1a 및 도 1b 상태의 텔레스코픽 가이드부 및 전후 개폐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1 및 도 12의 단면도이며,
도 14는 도 11의 평면도이고.
도 11 및 도 12는 도 1a 및 도 1b 상태의 전후 개폐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3은 도 11 및 도 12의 단면도이고,
도 14는 도 11 및 도 12의 평면도 및 부분 확대도이며,
도 15a 및 도 15b는 텔레스코픽 가이드부에 따른 좌우 개폐부 및 전후 개폐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탑차의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탑차의 적재 공간 개폐 전후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a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 및 도 4는 도 1a 및 도 1b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탑차는, 도 1a 내지 도 4에 참조된 바와 같이, 일반 트럭(1)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일반 트럭(1)이라 함은 차체의 후방부에 화물의 적재 공간(9)이 마련된 차량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또한, 여기서의 화물의 적재 공간(9)은, 그 형태를 불문하고, 화물이 안착 또는 적재될 수 있는 공간이 있는 차체의 부위라면 모두 해당되는 개념이다.
일반 트럭(1)의 좌측부 및 우측부에는 좌측 사이드 패널 및 우측 사이드 패널(3)이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일반 트럭(2)의 후면부에는 리어 패널(5)이 회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통상, 적재 공간(9)이라 함은, 좌측 사이드 패널 및 우측 사이드 패널(3)과 리어 패널(5)이 형성하는 공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탑차는, 화물의 적재 공간(9) 상부를 커버하도록 구비된 루프 커버 패널(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루프 커버 패널(7)은, 화물의 적재 공간(9) 상부를 커버함으로써, 적재 공간(9) 내부로 우천 등에 따른 빗물 또는 외부의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루프 커버 패널(7)은 후술하는 좌우 개폐부(50,60) 및 전후 개폐부(30,40)와 함께 화물의 적재 공간(9)을 외부로부터 완전히 차단함으로써 내부의 화물을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루프 커버 패널(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화물의 적재 공간(9)의 상부에 상하 방향으로 승강되면서 적재 공간(9)의 상하 높이를 변경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루프 커버 패널(7)이 고정되도록 적용된 차량과 비교하면 다양한 높이의 화물의 적재가 가능함은 물론, 화물이 하적되어 적재 공간(9)이 비어 있는 경우에는 적재 공간(9)의 높이를 낮추어 차량 주행 시 공기의 저항을 최소화함으로써 연비를 절감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탑차는, 도 1a 내지 도 4에 참조된 바와 같이, 루프 커버 패널(7)과 연동되어 승강되면서 적재 공간(9)의 측면 부위를 1차 개폐하는 좌우 개폐부(50,60)와, 루프 커버 패널(7)과 연동되어 승강되면서 적재 공간(9)의 전면 또는 후면 부위를 1차 개폐하는 전후 개폐부(30,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좌우 개폐부(50,60) 및 전후 개폐부(30,40)는, 루프 커버 패널(7)과 연동하여 상승된 상태에서 적재 공간(9)의 측면 부위 및 전면 또는 후면 부위의 2차 개폐가 가능할 수 있다.
1차 개폐라 함은, 루프 커버 패널(7)의 승강과 연동하는 동작으로 좌우 개폐부(50,60)와 전후 개폐부(30,40)가 승강되면서 개폐하는 것으로 정의되는 반면, 2차 개폐라 함은 루프 커버 패널(7)의 승강과는 무관하게 사용자의 외력이 제공되어 1차 개폐된 부위로부터 추가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따라서, 루프 커버 패널(7)과 연동하여 일정 구간 후술하는 구동부(70)에 의하여 자동 개폐되고, 나머지 구간은 사용자에 의하여 능동적으로 개폐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탑차는, 도 1a 내지 도 4에 참조된 바와 같이, 루프 커버 패널(7), 좌우 개폐부(50,60) 및 전후 개폐부(30,40)를 승강시키는 승강 모듈(도면부호 미표기)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좌우 개폐부(50,60) 및 전후 개폐부(30,40)는, 미도시의 연결 프레임을 매개로 루프 커버 패널(7)과 연결되고, 승강 모듈에 의하여 루프 커버 패널(7)이 상하 방향으로 승강될 때 함께 승강되는 구조를 가진다.
보다 상세하게는, 승강 모듈은, 도 1a 내지 도 4에 참조된 바와 같이, 적재 공간(9)의 바닥면 좌측단 및 우측단에 전후 방향으로 길게 가이드레일 홈(도면부호 미표기)이 형성된 한 쌍의 베이스 레일부(12a,22a)와, 루프 커버 패널(7)과의 연결을 매개하는 연결 프레임의 좌측단 및 우측단에 전후 방향으로 길게 가이드레일 홈(도면부호 미표기)이 형성된 한 쌍의 승강 레일부(12b,22b)와, 한 쌍의 베이스 레일부(12a,22a) 중 좌측의 좌측 베이스레일부(12a)와 한 쌍의 승강 레일부(12b,22b) 중 좌측의 좌측 승강레일부(12b)를 상호 연결하면서 시저 운동하는 좌측 시저 리프터(10)와, 한 쌍의 베이스 레일부(12a,22a) 중 우측의 우측 베이스레일부(22a)와 한 쌍의 승강 레일부(12b,22b) 중 우측의 우측 승강레일부(22b)를 상호 연결하면서 시저 운동하는 우측 시저 리프터(20)와, 좌측 시저 리프터(10) 및 우측 시저 리프터(20)에 시저 운동의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7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시저(Scissor) 운동이라 함은, 가운데의 교차 힌지점(15,25)에 힌지 고정된 적어도 둘 이상의 시저 링크(13,23)가 교차 각도가 변경되도록 이동되는 운동을 말하며, 통상적으로 시저 운동의 효과로서, 2개의 시저 링크(13,23)의 동일 방향 일단 및 타단의 거리가 변경되는 기능적인 효과를 창출할 수 있다.
한 쌍의 베이스 레일부(12a,22a)는 적재 공간(9)의 바닥면에 기 설치된 후술하는 좌측베이스 레일 브라켓(11) 및 우측베이스 레일 브라켓(21)을 매개로 견고하게 설치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도 1a 및 도 1b 상태의 승강 모듈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좌측 시저 리프터(10) 및 우측 시저 리프터(20)는, 도 5 및 도 6에 참조된 바와 같이, 적재 공간(9)의 바닥면 좌측단에는 한 쌍의 베이스 레일부(12a,22a) 중 좌측 베이스레일부(12a)의 결합을 매개하는 좌측베이스 레일 브라켓(11)이 구비되고, 적재 공간(9)의 바닥면 우측단에는 한 쌍의 베이스 레일부(12a,22a) 중 우측 베이스레일부(22a)의 결합을 매개하는 우측베이스 레일 브라켓(21)이 구비된다.
그리고, 각각 좌측베이스 레일 브라켓(11)과 우측베이스 레일 브라켓(21)의 상면에 상술한 바와 같은 좌측 베이스레일부(12a)와 우측 베이스레일부(22a)가 안착 결합된다.
한편, 좌측 시저 리프터(10) 및 우측 시저 리프터(20)는, 도 5 및 도 6에 참조된 바와 같이, 적재 공간(9)의 상측(보다 상세하게는, 루프 커버 패널(7)의 내측) 중 좌측단에는 한 쌍의 승강 레일부(12b,22b) 중 좌측 승강레일부(12b)의 결합을 매개하는 좌측승강 레일 브라켓(미도시)이 구비되고, 적재 공간(9)의 상측 중 우측단에는 한 쌍의 승강 레일부(12b,22b) 중 우측 승강레일부(22b)의 결합을 매개하는 우측승강 레일 브라켓(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좌측베이스 레일 브라켓(11)과 좌측승강 레일 브라켓 사이에는 좌측 시저 리프터(10)의 좌측 시저 링크(13)가 결합되고, 우측베이스 레일 브라켓(21)과 우측승강 레일 브라켓 사이에는 우측 시저 리프터(20)의 우측 시저 링크(23)가 결합될 수 있다.
좌측 시저 링크(13)는, 도 5 및 도 6에 참조된 바와 같이, 상호 교차되게 구비된 한 쌍의 시저 링크(13)가 교차점에서 교차 힌지(15)에 의하여 고정되고, 한 쌍의 시저 링크(13)에 인접되는 한 쌍의 시저 링크(13,23)는 연결 힌지(14)에 의하여 상호 연결되며, 좌측 시저 링크(13) 중 전방 하부 링크 및 후방 하부 링크는 좌측 베이스레일부(12a)의 가이드레일 홈에 삽입 결합되되, 전방 하부 링크가 좌측 베이스레일부(12a)의 전단부에 힌지(16) 고정되고, 후방 하부 링크(도면부호 17 참조)가 좌측 베이스레일부(12a)의 가이드레일 홈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삽입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좌측 시저 링크(13) 중 전방 상부 링크 및 후방 상부 링크는 좌측 승강레일부(12b)의 가이드레일 홈에 삽입 결합되되, 전방 상부 링크가 좌측 승강레일부(12b)의 전단부에 힌지(19) 고정되고, 후방 상부 링크가 좌측 승강레일부(12b)의 가이드레일 홈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삽입 결합될 수 있다.
우측 시저 링크(23) 또한, 도 5 및 도 6에 참조된 바와 같이, 상호 교차되게 구비된 한 쌍의 시저 링크(23)가 교차점에서 교차 힌지(25)에 의하여 고정되고, 한 쌍의 시저 링크(23)에 인접되는 한 쌍의 시저 링크(23)는 연결 힌지(24)에 의하여 상호 연결되며, 우측 시저 링크(23) 중 전방 하부 링크 및 후방 하부 링크는 우측 베이스레일부(22a)의 가이드레일 홈에 삽입 결합되되, 전방 하부 링크가 우측 베이스레일부(22a)의 전단부에 힌지 고정되고, 후방 하부 링크가 우측 베이스 레일부(12a,22a)의 가이드레일 홈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삽입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우측 시저 링크(23) 중 전방 상부 링크 및 후방 상부 링크는 우측 승강레일부(22b)의 가이드레일 홈에 삽입 결합되되, 전방 상부 링크가 우측 승강레일부(22b)의 전단부에 힌지 고정되고, 후방 상부 링크(도면부호 27 참조)가 우측 승강레일부(22b)의 가이드레일 홈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삽입 결합될 수 있다.
즉, 좌측 시저 리프터(10) 및 우측 시저 리프터(20)의 전방 하부 링크 및 전방 상부 링크는 한 쌍의 승강 레일부(12b,22b)의 전단부에 힌지(16,19,26,29) 고정됨과 아울러, 좌측 시저 리프터(10) 및 우측 시저 리프터(20)의 후방 하부 링크(17,27) 및 후방 상부 링크(78')는 한 쌍의 승강 레일부(12b,22b)의 가이드레일 홈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삽입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좌측 시저 리프터(10)와 우측 시저 리프터(20)는, 외부로부터 소정의 외력이 시저 링크(13,23) 중 어느 하나에 전달되면 교차 힌지(15,25)를 중심으로 한 쌍의 시저 링크(13,23)의 교차 각도가 변경됨으로써 상부 링크 또는 하부 링크 사이의 길이가 변경되어 루프 커버 패널(7)이 형성하는 적재 공간(9)의 높이가 변경될 수 있다.
여기서, 좌측 시저 리프터(10) 및 우측 시저 리프터(20)의 전방 하부 링크(16,26) 및 전방 상부 링크(19,29)의 한 쌍의 승강 레일부(12b,22b)의 전단부에 대한 힌지 고정 부위는 가능한 한 적재 공간(9)의 측면 중 전단에 가깝거나 후단에 가까운 위치에 위치되도록 설계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좌우 개폐부(50,60)에 의하여 적재 공간(9)의 측면 부위가 개방될 때 좌측 시저 리프터(10) 및 우측 시저 리프터(20)에 의한 적재 또는 하적 경로의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좌측 승강레일부(12b) 및 우측 승강레일부(22b)의 전단에는 좌측 시저 리프터(10) 및 우측 시저 리프터(20)의 회동을 제한하기 위한 회동 제한 블록(18,28)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좌측 시저 리프터(10)의 시저 링크(13)의 전방 상단의 힌지(19) 및 우측 시저 리프터(20)의 시저 링크(23)의 전방 상단의 힌지(29)는, 각각 좌측 승강레일부(12b) 및 회동 제한 블록(18)을 관통하도록 설치되고, 우측 승강레일부(22b) 및 회동 제한 블록(28)을 관통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한편, 구동부(70)는, 연결 프레임에 고정된 구동 모터(71)와, 구동 모터(71)의 회전축(72)에 축 연결되어 회전 구동되고, 수나사산이 외주면 일부에 형성된 스크류 축봉(73)과, 스크류 축봉(73)을 감싸도록 구비되고, 수나사산에 치합되는 암나사산이 형성된 축홀(76)이 형성되어 스크류 축봉(73)을 따라 이동되는 무빙 너트(75)와, 무빙 너트(75)와 결합되고 일단은 좌측 시저 리프터(10)의 전방 상부 링크(13) 및 후방 상부 링크(23) 중 어느 하나에 연결(도면부호 78' 참조)되고 타단은 우측 시저 리프터(20)의 전방 상부 링크 및 후방 상부 링크 중 어느 하나에 연결(도면부호 78' 참조)된 시저 구동 바(78)를 포함할 수 있다. 시저 구동 바(78)는 무빙 너트(75)에 형성된 좌우 관통홀(77)을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연결 프레임은 루프 커버 패널(7)의 내측면에 고정되고, 상술한 바와 같이, 구동부(70)의 연결을 매개하는 역할을 한다.
연결 프레임에 구동부(70)의 구성 중 구동 모터(71)가 모터 고정 블록(79)을 매개로 연결 프레임 또는 루프 커버 패널(7)에 고정되고, 스크류 축봉(73)이 적어도 하나의 축봉 고정 블록(74)을 매개로 연결 프레임 또는 루프 커버 패널(7)에 축회전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구동 모터(71)가 회전 구동되면 회전축(72)에 연결된 스크류 축봉(73)이 제자리 축회전되고, 스크류 축봉(73)을 감싸도록 개재된 무빙 너트(75)가 스크류 축봉(73)의 회전 방향에 따라 일측 또는 타측으로 축방향 무빙된다.
무빙 너트(75)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시저 구동 바(78)가 관통되게 구비되는 바, 무빙 너트(75)의 무빙 시 시저 구동 바(78)도 함께 무빙되면서, 좌측 시저 리프터(10)의 전방 상부 링크 및 후방 상부 링크 중 어느 하나 또는 우측 시저 리프터(20)의 전방 상부 링크 및 후방 상부 링크 중 어느 하나를 무빙시키면서 좌측 시저 리프터(10) 및 우측 시저 리프터(20)를 동시에 시저 운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좌측 시저 리프터(10)와 우측 시저 리프터(20)가 시저 운동하게 되면, 각 시저 링크(13,23)의 하단과 상단 사이가 변화되면서 결국 시저 구동 바(78)의 높낮이가 변경되고, 구동부(70)와 연결된 연결 프레임을 매개로 루프 커버 패널(7)의 높낮이가 변경되면서, 적재 공간(9)의 상하 공간이 변경되는 것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1a 및 도 1b 상태의 좌우 개폐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 및 도 10은 도 1a 및 도 1b 상태의 좌우 개폐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동부(70)에 의하여 승강 구동되는 좌우 개폐부(50,60)는, 적재 공간(9)의 좌측면을 개폐하는 좌측 개폐부(50)와, 적재 공간(9)의 우측면을 개폐하는 우측 개폐부(6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좌우 개폐부(50,60)는, 도 9 및 도 10에 참조된 바와 같이, 루프 커버 패널(7)의 승강에 연동하여 루프 커버 패널(7)의 내측에서 감김 및 풀림되는 셔터 조립체(도면부호 미표기)를 포함할 수 있다.
셔터 조립체는, 도 9 및 도 10에 참조된 바와 같이, 루프 커버 패널(7)의 전단 내측 및 후단 내측에 수평되게 결합된 셔터 샤프트(62)와, 셔터 샤프트(62)의 외측에 평행되게 이격되도록 루프 커버 패널(7)의 전단 내측 및 후단 내측에 수평되게 결합(도 7의 도면부호 61' 및 61" 참조)된 가이드 샤프트(61)와, 셔터 샤프트(62)에 감김되거나 셔터 샤프트(62)로부터 풀리도록 구비되고, 가이드 샤프트(61)의 외측면의 가이드를 받도록 구비된 셔터부(63)를 포함할 수 있다.
셔터부(63)는,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폭이 좁은 다수의 셔터 패널(도면부호 미표기)이 상하로 각각 단부에서 힌지 회동되도록 힌지봉 체결된 것으로서, 가이드 샤프트(61)의 안내를 받아 셔터 샤프트(62) 측으로 권회 방향이 변경되고, 셔터 샤프트(62)의 외주면에 유연하게 감김 또는 풀릴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셔터 샤프트(62)는, 셔터부(63)를 감김 방향으로 소정의 권회력을 형성하면서 감김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셔터 샤프트(62)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셔터부(63)의 감김 방향으로 소정의 탄성부재에 의하여 자체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되, 적어도 셔터부(63)의 중량을 이기는 방향으로 자체 권회력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셔터 샤프트(62)에 셔터부(63)가 감김되는 경우 사용자가 과도한 외력을 가하지 않고서도 자연스럽게 감김 동작이 이루어져 적재 공간(9)의 측면 부위의 개방이 용이함은 물론, 셔터 샤프트(62)로부터 셔터부(63)가 풀리는 경우 셔터부(63)의 중량에 의하여 급작스럽게 적재 공간(9)의 측면 부위가 폐쇄되어 사용자가 셔터부(63)에 의하여 상해를 입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술한 탄성부재에 의한 셔터 샤프트(62)의 자체 권회력은 적어도 사용자가 적재 공간(9)의 측면 부위를 폐쇄할 때 셔터부(63)를 하방으로 잡아당기는 소정의 외력을 제공하여야만 셔터부(63)가 하방 이동되는 정도의 자체 권회력을 가지도록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셔터 샤프트(62)의 전단 및 후단과 가이드 샤프트(61)의 전단 및 후단이 각각 루프 커버 패널(7)의 내측 전단 및 후단에 고정되는 바, 도 7 및 도 9에 참조된 바와 같이, 구동부(70)가 작동하기 전으로서 루프 커버 패널(7)이 상승하기 전에는, 셔터부(63)는 셔터 샤프트(62)에 감김된 상태에서 적재 공간(9)의 측면 부위를 폐쇄한 상태를 유지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적재 공간(9)의 측면을 개방하고자 할 경우에는, 셔터부(63)의 하단부를 잡고 밀어올려 셔터 샤프트(62)에 감김시킴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그리고, 도 8 및 도 10에 참조된 바와 같이, 구동부(70)가 작동되면 루프 커버 패널(7)이 상승하게 되고, 동시에 셔터부(63)가 셔터 샤프트(62)에 감김된 상태에서 상승되면서 자동으로 적재 공간(9)의 측면 부위를 개방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적재 공간(9)의 측면 부위를 폐쇄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셔터부(63)에 소정의 외력을 제공하여(즉, 셔터부(63)의 하단부를 잡고 하방으로 잡아당겨) 셔터 샤프트(62)로부터 셔터부(63)를 풀어줌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는 도 1a 및 도 1b 상태의 전후 개폐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1 및 도 12의 단면도이다.
전후 개폐부(30,40)는, 도 2에 참조된 바와 같이, 적재 공간(9)의 전면을 개폐하는 전방 개폐부(30)와, 적재 공간(9)의 후면을 개폐하는 후방 개폐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전방 개폐부(30)는, 적재 공간(9)의 전면을 개폐하는 것으로서, 통상 차체 중 사용자 또는 승객이 탑승하는 차실을 형성하는 부위이므로 반드시 전방 개폐부(30)가 구비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즉, 일반 트럭(1)의 경우 적재 공간(9)의 전방부에는 차실과 구획되는 차실 후방 패널이 존재할 것이므로, 반드시 전방 개폐부(30)를 구비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며, 후방 개폐부(40)만 구비하여도 무방하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탑차의 경우 무인 자율주행 차량을 배제하지 않는 점에서 전방 개폐부(30)도 함께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전후 개폐부(30,40)는, 도 11 및 도 12에 참조된 바와 같이, 루프 커버 패널(7)의 승강에 연동하여 중첩되거나 펼쳐지는 다수의 개폐 패널로 구비된 텔레스코픽 조립체(도면부호 미표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텔레스코픽(telescopic)'이라 함은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적어도 일부분이 겹치도록 구비되어 일단과 타단의 길이가 신장 또는 신축되도록 구비된 일체의 구성품을 말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텔레스코픽 조립체는, 도 11 및 도 12에 참조된 바와 같이, 루프 커버 패널(7)에 대하여 고정된 고정 텔레스코픽 패널(31)(이하, '고정 패널(31)'이라 한다)과, 고정 패널(31)에 대하여 중첩 가능하게 구비되되, 고정 패널(31)의 하방으로 무빙 가능하게 구비된 이동 텔레스코픽 패널(36)(이하, '이동 패널(36)'이라 한다)과, 고정 패널(31)과 이동 패널(36) 사이에 중첩되게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중첩 텔레스코픽 패널(32~35)(이하, '중첩 패널(32~35)'이라 한다)을 포함할 수 있다.
즉, 고정 패널(31)은 루프 커버 패널(7)에 대하여 고정 설치됨으로써, 루프 커버 패널(7)이 구동부(70)에 의하여 상하 방향으로 승강될 때 고정 패널(31) 또한 연동하여 승강되고, 이동 패널(36)은 기준이 되는 고정 패널(31)에 대하여 하방으로 무빙 가능하게 구비됨으로써 루프 커버 패널(7)과 연동하여 승강되거나 루프 커버 패널(7)과는 무관하게 독립적으로 고정 패널(31)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승강될 수 있다. 다만, 이동 패널(36)은, 고정 패널(31)보다 상부로 승강되지 않도록 제한적으로 상하 승강됨이 바람직하다. 고정 패널(31)과 이동 패널(36) 사이에는 중첩 패널(32~35)이 일부 또는 전부가 중첩되도록 구비됨으로써, 고정 패널(31)과 이동 패널(36) 사이를 상호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고정 패널(31), 이동 패널(36) 및 중첩 패널(32~35)에는, 도 13에 참조된 바와 같이, 상호 간 간섭되게 대향 방향으로 돌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간섭 블록(31'~36")이 구비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고정 패널(31)의 하단부에는 이에 인접하는 중첩 패널(도 13의 도면부호 32 참조)을 향하여 돌출되게 제1하단 간섭블록(31')이 구비되고, 중첩 패널(32)의 상단부에는 제1하단 간섭블록(31')과 간섭되어 중첩 패널(32)이 고정 패널(31)에 대하여 하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상단 간섭블록(32")이 구비됨과 아울러, 중첩 패널(32)의 하단부에는 인접하는 중첩 패널(도 13의 도면부호 33)을 향하여 돌출되게 제2하단 간섭블록(32')이 구비되며, 중첩 패널(33)의 상단부에는 제2하단 간섭블록(32')과 간섭되어 중첩 패널(33)이 상술한 중첩 패널(32)에 대하여 하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3상단 간섭블록(33")이 구비됨과 아울러, 중첩 패널(33)의 하단부에는 인접하는 중첩 패널(도 13의 도면부호 34)을 향하여 돌출되게 제3하단 간섭블록(33')이 구비되고, 중첩 패널(34)의 상단부에는 제3하단 간섭블록(33')과 간섭되어 중첩 패널(34)이 상술한 중첩 패널(33)에 대하여 하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4상단 간섭블록(34")이 구비됨과 아울러, 중첩 패널(34)의 하단부에는 인접하는 중첩 패널(도 13의 도면부호 35)을 향하여 돌출되게 제4하단 간섭블록(34')이 구비되고, 중첩 패널(35)의 상단부에는 제4하단 간섭블록(34')과 간섭되어 중첩 패널(35)이 상술한 중첩 패널(34)에 대하여 하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5상단 간섭블록(35")이 구비됨과 아울러, 중첩 패널(35)의 하단부에는 인접하는 이동 패널(36)을 향하여 돌출되게 제5하단 간섭블록(35')이 구비될 수 있다. 이동 패널(36)의 상단부에도 중첩 패널(35)의 하단부에 형성된 제5하단 간섭블록(35')과 간섭되는 제6상단 간섭블록(36")이 형성됨과 아울러, 이동 패널(36)의 하단부에도 제조상의 공통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제6하단 간섭블록(36')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텔레스코픽 조립체는, 이동 패널(36)의 하단에 구비되고, 후술하는 개폐 와이어(510)가 고정되며, 고정 패널(31) 및 중첩 패널(32~35) 전부의 하단을 상측으로 동시에 지지하는 지지 브라켓(3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 브라켓(37)은, 이동 패널(36)의 하단에 구비됨과 아울러 루프 커버 패널(7)과 연동되는 후술하는 개폐 와이어(510)의 감김 또는 풀림 동작에 연동하여 승강됨으로써 고정 패널(31), 중첩 패널(32~35) 및 이동 패널(36)을 동시에 승강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텔레스코픽 조립체는, 도 11 내지 도 13에 참조된 바와 같이, 루프 커버 패널(7)의 좌측 내면 및 우측 내면에 대하여 수평되게 힌지 고정된 텔레스코픽 샤프트(500)와, 텔레스코픽 샤프트(500)에 감김 및 풀림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이동 패널(36)과 연결된 개폐 와이어(5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텔레스코픽 샤프트(500)는, 상술한 셔터 조립체의 셔터 샤프트(62)와 유사하게 외부로부터 외력이 제공하지 않더라도, 적어도 개폐 와이어(510)를 감김 방향으로 소정의 권회력을 형성하면서 감김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텔레스코픽 샤프트(500)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개폐 와이어(510)의 감김 방향으로 소정의 탄성부재에 의하여 자체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되, 적어도 고정 패널(31), 이동 패널(36) 및 중첩 패널(32~35)을 포함하는 모든 텔레스코픽 패널(31~36)의 중량을 이기는 방향으로 자체 권회력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텔레스코픽 샤프트(500)에 개폐 와이어(510)가 감김되는 경우 사용자가 과도한 외력을 가하지 않고서도 자연스럽게 감김 동작이 이루어져 적재 공간(9)의 전면 부위 또는 후면 부위의 개방이 용이함은 물론, 텔레스코픽 패널(31~36)의 중량에 의하여 급작스럽게 적재 공간(9)의 전면 부위 또는 후면 부위가 폐쇄되어 사용자가 텔레스코픽 패널(31~36)에 의하여 상해를 입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도 마찬가지로, 상술한 탄성부재에 의한 텔레스코픽 샤프트(500)의 자체 권회력은 적어도 사용자가 적재 공간(9)의 전면 부위 또는 후면 부위를 폐쇄할 때 텔레스코픽 패널(31~36)을 하방으로 잡아당기는 소정의 외력을 제공하여야만 텔레스코픽 패널(31~36)이 하방 이동되는 정도의 자체 권회력을 가지도록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텔레스코픽 샤프트(500)의 좌측단 및 우측단이 각각 루프 커버 패널(7)의 좌측 내면 및 우측 내면에 고정되는 바, 도 11에 참조된 바와 같이, 구동부(70)가 작동하기 전으로서 루프 커버 패널(7)이 상승하기 전에는, 텔레스코픽 패널(31~36)은 텔레스코픽 샤프트(500)에 감김된 개폐 와이어(510)에 의하여 고정된 상태로서, 적재 공간(9)의 전면 부위 또는 후면 부위를 폐쇄한 상태를 유지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적재 공간(9)의 전면 부위 또는 후면 부위를 개방하고자 할 경우에는, 사용자가 텔레스코픽 패널(특히, 내측에 위치된 이동 패널(36))의 하단부를 잡고 밀어올려 개폐 와이어(510)를 텔레스코픽 샤프트(500)에 감김시킴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패널(고정 패널(31), 이동 패널(36) 및 중첩 패널(32~35))은 모두 상술한 간섭 블록(31'~36")의 상호 간 간섭에 의하여 함께 상승함으로써 적재 공간(9)의 전면 부위 또는 후면 부위가 용이하게 개방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 12에 참조된 바와 같이, 구동부(70)가 작동되면 루프 커버 패널(7)이 상승하게 되고, 동시에 텔레스코픽 샤프트(500)에 개폐 와이어(510)에 감김되기 시작하면서 고정 패널(31)과, 이동 패널(36) 및 중첩 패널(32~35)을 동시에 상승시키면서 자동으로 적재 공간(9)의 전면 부위 또는 후면 부위를 개방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적재 공간(9)의 전면 부위 또는 후면 부위를 폐쇄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텔레스코픽 패널(31~36) 중 이동 패널(36)에 소정의 외력을 제공하여(즉, 이동 패널(36)의 하단부를 잡고 하방으로 잡아당겨) 텔레스코픽 샤프트(500)로부터 개폐 와이어(510)를 풀어주는 동작으로 실현할 수 있다. 이때, 고정 패널(31), 이동 패널(36) 및 중첩 패널(32~35)에 상호 간 간섭되게 형성된 상술한 간섭 블록들(31'~36")에 의하여 상호 이탈이 방지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순차적으로 이동 패널(36) 및 중첩 패널(32~35)이 하방으로 이동되어 적재 공간(9)의 전면 부위 또는 후면 부위를 폐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탑차에 있어서, 텔레스코픽 패널(31~36) 중 상대적으로 상부에 위치된 고정 패널(31)은, 상대적으로 하부에 위치된 중첩 패널(32~35) 및 이동 패널(36)보다 적재 공간(9) 내부로 더 가깝게 위치되고, 간섭 블록들(31'~36")에 의하여 인접하는 패널 간 일부가 오버랩(또는 중첩)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외부 우천 시 루프 커버 패널(7)의 외측을 타고 우수가 적재 공간(9)의 내부로 스며들지 않고 하부의 텔레스코픽 패널(31~36)을 통해 자연스럽게 흘러내리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14는 도 11 및 도 12의 평면도 및 부분 확대도이고, 도 15a 및 도 15b는 텔레스코픽 가이드부에 따른 좌우 개폐부 및 전후 개폐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탑차의 일 실시예는, 도 14 내지 도 15b에 참조된 바와 같이, 상단은 루프 커버 패널(7)과 연결되고, 하단은 적재 공간(9)의 바닥면에 지지되며, 좌우 개폐부(50,60) 및 전후 개폐부(30,40)의 승강을 가이드함과 동시에 상하 방향으로 길이가 신축되도록 구비된 텔레스코픽 가이드부(100~400)(이하, '텔레 가이드부(100)'라 약칭함)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텔레 가이드부(100)는, 도 7에 참조된 바와 같이, 적재 공간(9)의 바닥면 중 모서리 부위에 고정된 베이스 브라켓(110,310) 및 고정 폴(120,320)을 매개로 적재 공간(9)의 상측으로 연장되게 설치될 수 있다.
고정 폴(120,320)은 하부의 하단 마운팅 브라켓(121,321)을 매개로 베이스 브라켓(110,310)에 고정됨과 아울러 상부의 상단 마운팅 브라켓(122,322)을 매개로 텔레 가이드부(100)의 하단 브라켓(130,330)과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텔레 가이드부(100)는, 상부의 상단 브라켓(150,350)을 매개로 연결 프레임 또는 루프 커버 패널(7)에 결합될 수 있다.
텔레 가이드부(100)의 하단 브라켓(130,330)은, 후술하는 이동 텔레스코픽 가이드 프레임의 하단과 고정되고, 텔레 가이드부(100)의 상단 브라켓(150,350)은, 후술하는 고정 텔레스코픽 가이드 프레임(146)의 상단과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텔레 가이드부(100)는, 도 2에 참조된 바와 같이, 적재 공간(9)의 전방 좌측의 전방 좌측 텔레 가이드부(100)와, 적재 공간(9)의 전방 우측의 전방 우측 텔레 가이드부(200)와, 적재 공간(9)의 후방 좌측의 후방 좌측 텔레 가이드부(300) 및 적재 공간(9)의 후방 우측의 후방 우측 텔레 가이드부(400)로 구성될 수 있다.
전방 좌측 텔레 가이드(100)는 전방 개폐부(30)의 좌측단과 좌측 개폐부(50)의 전단의 개폐 동작을 가이드하고, 전방 우측 텔레 가이드(200)는 전방 개폐부(30)의 우측단과 우측 개폐부(60)의 전단의 개폐 동작을 가이드하며, 후방 좌측 텔레 가이드(300)는 후방 개폐부(40)의 좌측단과 좌측 개폐부(50)의 후단의 개폐 동작을 가이드하고, 후방 우측 텔레 가이드(400)는 후방 개폐부(40)의 우측단과 우측 개폐부(60)의 후단의 개폐 동작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전방 좌측 텔레 가이드부(100), 전방 우측 텔레 가이드부(200), 후방 좌측 텔레 가이드부(300) 및 후방 우측 텔레 가이드부(400)는 모두 동일한 구성 및 결합 관계를 가지므로, 이하에서는, 도 14 내지 도 15b에 참조된 바와 같이, 전방 좌측 텔레 가이드부(100)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텔레 가이드부(100)는, 도 14 내지 도 15b에 참조된 바와 같이, 루프 커버 패널(7)에 대하여 고정된 고정 텔레스코픽 가이드 프레임(146)(이하, '고정 가이드 프레임(146)'이라 약칭함)과, 고정 가이드 프레임(146)에 대하여 중첩 가능하게 구비되되, 고정 가이드 프레임(146)의 하방으로 무빙 가능하게 구비된 이동 텔레스코픽 가이드 프레임(141)(이하, '이동 가이드 프레임(141)'이라 약칭함) 및 고정 가이드 프레임(146)과 이동 가이드 프레임(141) 사이에 중첩되게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중첩 텔레스코픽 가이드 프레임(142~145)(이하, '중첩 가이드 프레임(142~145)'이라 약칭함)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술한 텔레스코픽 패널(31~36)과 같이 상호 간 간섭이 이루어지면서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고정 가이드 프레임(146), 이동 가이드 프레임(141) 중첩 가이드 프레임(142~145)에는, 상호 간 간섭되게 대향 방향으로 돌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간섭 블록(도면부호 미표기)이 구비될 수 있다. 도 14에서는 간섭 블록이 후술하는 셔터 가이드홈(160) 또는 패널 가이드홈(170)이 형성된 부위에 상호 간섭이 이루어지도록 구비된 것으로 도시한 실시예를 개시하고 있으나, 반드시 그 형성 위치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상호 간 간섭이 이루어지는 한도에서 여하한 위치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텔레 가이드부(100)는, 루프 커버 패널(7)이 구동부(70)에 의하여 상승된 경우로서 상대적으로 상부에 위치된 고정 가이드 프레임(146)의 내측에 중첩 가이드 프레임(142~145) 및 이동 가이드 프레임(141)이 내부로 삽입 가능하게 중첩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텔레스코픽 패널(31~36)과 같이, 외부 우천 시에도 우수가 텔레 가이드부(100)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는 바,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텔레 가이드부(100)는, 도 14에 참조된 바와 같이, 셔터 조립체의 셔터부(63)의 단부가 삽입되는 셔터 가이드홈(160) 또는 텔레스코픽 조립체의 고정 패널(31), 중첩 패널(32~35) 및 이동 패널(36)의 단부가 삽입되는 패널 가이드홈(170)이 내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텔레 가이드부(100)의 셔터 가이드홈(160) 또는 패널 가이드홈(170)이 형성됨으로써, 외부의 이물질이 적재 공간(9) 내부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구동부(70)의 작동에 따른 셔터 조립체 및 텔레스코픽 조립체의 승강을 자연스럽게 가이드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탑차의 일 실시예의 작동 과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a 및 도 1b에 참조된 바와 같이, 승강 모듈의 구성 중 좌측 시저 리프터(10) 및 우측 시저 리프터(20)를 구동부(70)를 이용하여 승강 구동시키면, 좌측 시저 리프터(10)와 우측 시저 리프터(20)가 시저 운동하면서 루프 커버 패널(7)을 상부로 상승시킨다.
이때, 루프 커버 패널(7)에 연결된 좌우 개폐부(50,60) 및 전후 개폐부(30,40)가 연동하여 상승되면서 적재 공간(9)의 측면 부위 및 전면 부위 또는 후면 부위를 개방시킬 수 있다.
여기서, 좌우 개폐부(50,60) 및 전후 개폐부(30,40)는, 적재 공간(9)의 모서리 부위에 각각 구비된 텔레 가이드부(100)의 가이드를 받으면서 상승됨에 따라 안정적으로 승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처럼, 루프 커버 패널(7)의 상승에 연동하여 좌우 개폐부(50,60) 및 전후 개폐부(30,40)가 상승하여 적재 공간(9)이 1차 개방된 후에는, 개방된 다양한 부위를 통해 화물의 적재 또는 하적 작업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
아울러, 적재 공간(9)에 대한 화물의 적재 또는 하적 작업이 완료된 후에는, 좌우 개폐부(50,60) 및 전후 개폐부(30,40)를 각각 텔레 가이드부(100)의 가이드를 받도록 2차 개폐시킴으로써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구동부(70)는 원격 또는 탑차의 차체 주변에 설치된 미도시의 다양한 근접 센서 또는 작동 센서 등을 통하여 자동으로 작동되도록 함으로써, 최근 연구 개발되는 자율주행차량 또는 자율주행 화물 이송 시스템에 매우 적합한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무인으로 화물을 이송하도록 구비된 자율주행 화물 대차가 화물을 적재 공간(9)에 적재하기 위하여 근접할 경우 구동부(70)가 자동으로 구동되어 좌우 개폐부(50,60) 및 전후 개폐부(30,40)를 상승시켜 해당 적재 경로 및 하적 경로에 해당하는 부위를 개방하고, 자율주행 화물 대차의 화물 적재 작업이 완료되어 이격되면 구동부(70)가 자동으로 구동되어 좌우 개폐부(50,60) 및 전후 개폐부(30,40)를 하강시켜 해당 부위를 폐쇄시키도록 구동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탑차는, 화물의 적재 공간(9)의 상하 높이를 손쉽게 변경함으로써 기존 고정형 차량에서 접근 불가능하였던 지하 주차장 구간 등을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음은 물론, 연비를 절감할 수 있고, 측면 부위 및 전면 부위나 후면 부위의 일정 구간을 구동부(70)를 통하여 자동 개폐하도록 구비됨으로써 사용자의 사용상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탑차의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반드시 상술한 일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에서의 실시가 가능함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진다고 할 것이다.
11: 트럭
3: 좌측 사이드 패널, 우측 사이드 패널
5: 리어 패널 7: 루프 커버 패널
9: 적재 공간 10: 좌측 시저 리프터
11: 좌측베이스 레일 브라켓 12a: 좌측 베이스레일부
13: 좌측 시저 링크 14: 연결 힌지
15: 교차 힌지 16: 힌지
17: 후방 링크 18: 회동 제한 블록
19: 힌지 20: 우측 시저 리프터
30: 전방 개폐부 31: 고정 텔레스코픽 패널
32~35: 중첩 텔레스코픽 패널 36: 이동 텔레스코픽 패널
40: 후방 개폐부 50: 좌측 개폐부
60: 우측 개폐부 61: 가이드 샤프트
62: 셔터 샤프트 63: 셔터부
70: 구동부 71: 구동 모터
72: 회전축 73: 스크류 축봉
74: 축봉 고정 블록 75: 무빙 너트
76: 축홀 77: 좌우 관통홀
78: 시저 구동 바 79: 모터 고정 블록
100: 텔레 가이드부 141: 이동 텔레스코픽 가이드 프레임
142~145: 중첩 텔레스코픽 가이드 프레임
146: 고정 텔레스코픽 가이드 프레임
500: 텔레스코픽 샤프트 510: 개폐 와이어
5: 리어 패널 7: 루프 커버 패널
9: 적재 공간 10: 좌측 시저 리프터
11: 좌측베이스 레일 브라켓 12a: 좌측 베이스레일부
13: 좌측 시저 링크 14: 연결 힌지
15: 교차 힌지 16: 힌지
17: 후방 링크 18: 회동 제한 블록
19: 힌지 20: 우측 시저 리프터
30: 전방 개폐부 31: 고정 텔레스코픽 패널
32~35: 중첩 텔레스코픽 패널 36: 이동 텔레스코픽 패널
40: 후방 개폐부 50: 좌측 개폐부
60: 우측 개폐부 61: 가이드 샤프트
62: 셔터 샤프트 63: 셔터부
70: 구동부 71: 구동 모터
72: 회전축 73: 스크류 축봉
74: 축봉 고정 블록 75: 무빙 너트
76: 축홀 77: 좌우 관통홀
78: 시저 구동 바 79: 모터 고정 블록
100: 텔레 가이드부 141: 이동 텔레스코픽 가이드 프레임
142~145: 중첩 텔레스코픽 가이드 프레임
146: 고정 텔레스코픽 가이드 프레임
500: 텔레스코픽 샤프트 510: 개폐 와이어
Claims (18)
- 화물의 적재 공간이 마련된 트럭 차체의 상기 적재 공간의 상부에 상하 방향으로 승강되면서 상기 적재 공간의 상하 높이를 변경시키는 루프 커버 패널;
상기 루프 커버 패널과 연동되어 승강되면서 상기 적재 공간의 측면 부위를 1차 개폐하는 좌우 개폐부; 및
상기 루프 커버 패널과 연동되어 승강되면서 상기 적재 공간의 전면 또는 후면 부위를 1차 개폐하는 전후 개폐부; 를 포함하고,
상기 좌우 개폐부 및 상기 전후 개폐부는, 상기 루프 커버 패널과 연동되어 상승된 상태에서 상기 적재 공간의 측면 부위 및 전면 또는 후면 부위의 2차 개폐가 가능한, 탑차.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루프 커버 패널, 상기 좌우 개폐부 및 상기 전후 개폐부를 승강시키는 승강 모듈; 을 더 포함하는, 탑차.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승강 모듈은,
상기 적재 공간의 바닥면 좌측단 및 우측단에 전후 방향으로 길게 가이드레일 홈이 형성된 한 쌍의 베이스 레일부;
상기 루프 커버 패널과의 연결을 매개하는 연결 프레임의 좌측단 및 우측단에 전후 방향으로 길게 가이드레일 홈이 형성된 한 쌍의 승강 레일부;
상기 한 쌍의 베이스 레일부 중 좌측의 좌측 베이스레일부와 상기 한 쌍의 승강 레일부 중 좌측의 좌측 승강레일부를 상호 연결하면서 시저 운동하는 좌측 시저 리프터;
상기 한 쌍의 베이스 레일부 중 우측의 우측 베이스레일부와 상기 한 쌍의 승강 레일부 중 우측의 우측 승강레일부를 상호 연결하면서 시저 운동하는 우측 시저 리프터; 및
상기 좌측 시저 리프터 및 상기 우측 시저 리프터에 시저 운동의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를 포함하는, 탑차.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좌측 시저 리프터 및 상기 우측 시저 리프터의 전방 하부 링크 및 전방 상부 링크는 상기 한 쌍의 승강 레일부의 전단부에 힌지 고정되고,
상기 좌측 시저 리프터 및 상기 우측 시저 리프터의 후방 하부 링크 및 후방 상부 링크는 상기 한 쌍의 승강 레일부의 가이드레일 홈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삽입 결합된, 탑차.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연결 프레임에 고정된 구동 모터;
상기 구동 모터의 회전축에 축 연결되어 회전 구동되고, 수나사산이 외주면 일부에 형성된 스크류 축봉;
상기 스크류 축봉을 감싸도록 구비되고, 상기 수나사산에 치합되는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스크류 축봉을 따라 이동되는 무빙 너트; 및
상기 무빙 너트와 결합되고, 일단은 상기 좌측 시저 리프터의 전방 상부 링크 및 후방 상부 링크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우측 시저 리프터의 전방 상부 링크 및 후방 상부 링크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된 시저 구동 바; 를 포함하는, 탑차.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좌우 개폐부는, 상기 적재 공간의 좌측면을 개폐하는 좌측 개폐부와, 상기 적재 공간의 우측면을 개폐하는 우측 개폐부, 를 포함하고,
상기 좌우 개폐부는, 상기 루프 커버 패널의 승강에 연동하여 상기 루프 커버 패널의 내측에서 감김 및 풀림되는 셔터 조립체를 포함하는, 탑차. -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셔터 조립체는,
상기 루프 커버 패널의 전단 내측 및 후단 내측에 수평되게 결합된 셔터 샤프트;
상기 셔터 샤프트의 외측에 평행되게 이격되도록 상기 루프 커버 패널의 전단 내측 및 후단 내측에 수평되게 결합된 가이드 샤프트; 및
상기 셔터 샤프트에 감김되거나 상기 셔터 샤프트로부터 풀리도록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 샤프트의 외측면의 가이드를 받도록 구비된 셔터부; 를 포함하는, 탑차. -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셔터 샤프트는, 상기 셔터부를 감김 방향으로 소정의 권회력을 형성하면서 감김시키도록 구비된, 탑차.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후 개폐부는, 상기 적재 공간의 전면을 개폐하는 전방 개폐부와, 상기 적재 공간의 후면을 개폐하는 후방 개폐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전후 개폐부는, 상기 루프 커버 패널의 승강에 연동하여 중첩되거나 펼쳐지는 다수의 개폐 패널로 구비된 텔레스코픽 조립체; 를 포함하는, 탑차.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텔레스코픽 조립체는,
상기 루프 커버 패널에 대하여 고정된 고정 텔레스코픽 패널(이하, '고정 패널'이라 함);
상기 고정 패널에 대하여 중첩 가능하게 구비되되, 상기 고정 패널의 하방으로 무빙 가능하게 구비된 이동 텔레스코픽 패널(이하, '이동 패널'이라 함); 및
상기 고정 패널과 상기 이동 패널 사이에 중첩되게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중첩 텔레스코픽 패널(이하, '중첩 패널'이라 함); 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패널, 이동 패널 및 중첩 패널에는, 상호 간 간섭되게 대향 방향으로 돌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간섭 블록이 구비된, 탑차. -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텔레스코픽 조립체는,
상기 루프 커버 패널의 좌측 내면 및 우측 내면에 대하여 수평되게 힌지 고정된 텔레스코픽 샤프트; 및
상기 텔레스코픽 샤프트에 감김 및 풀림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이동 패널과 연결된 개폐 와이어; 를 더 포함하는, 탑차. -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텔레스코픽 샤프트는, 상기 개폐 와이어를 감김 방향으로 소정의 권회력을 형성하면서 감김시키도록 구비된, 탑차. -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텔레스코픽 조립체는,
상기 이동 패널의 하단에 구비되고, 상기 개폐 와이어가 고정되며, 상기 고정 패널 및 상기 중첩 패널의 하단을 상측으로 동시에 지지하는 지지 브라켓; 을 더 포함하는, 탑차.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텔레스코픽 조립체는,
상기 루프 커버 패널에 대하여 고정된 고정 텔레스코픽 패널(이하, '고정 패널'이라 함)과, 상기 고정 패널에 대하여 중첩 가능하게 구비되되, 상기 고정 패널의 하방으로 무빙 가능하게 구비된 이동 텔레스코픽 패널(이하, '이동 패널'이라 함) 및 상기 고정 패널과 상기 이동 패널 사이에 중첩되게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중첩 텔레스코픽 패널(이하, '중첩 패널'이라 함)로 구비된 텔레스코픽 패널; 을 포함하고,
상기 텔레스코픽 패널은, 상기 루프 커버 패널이 상승한 경우로서 상대적으로 상부에 위치된 패널이 상대적으로 하부에 위치된 패널보다 상기 적재 공간 내부로 더 가깝게 위치된, 탑차. - 청구항 7 또는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단은 상기 루프 커버 패널과 연결되고, 하단은 상기 적재 공간의 바닥면에 지지되며, 상기 좌우 개폐부 및 상기 전후 개폐부의 승강을 가이드함과 동시에 상하 방향으로 길이가 신축되도록 구비된 텔레스코픽 가이드부; 를 더 포함하는, 탑차. -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텔레스코픽 가이드부는,
상기 루프 커버 패널에 대하여 고정된 고정 텔레스코픽 가이드 프레임(이하, '고정 가이드 프레임'이라 함);
상기 고정 가이드 프레임에 대하여 중첩 가능하게 구비되되, 상기 고정 가이드 프레임의 하방으로 무빙 가능하게 구비된 이동 텔레스코픽 가이드 프레임(이하, '이동 가이드 프레임'이라 함); 및
상기 고정 가이드 프레임과 상기 이동 가이드 프레임 사이에 중첩되게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중첩 텔레스코픽 가이드 프레임(이하, '중첩 가이드 프레임'이라 함); 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가이드 프레임, 이동 가이드 프레임 및 중첩 가이드 프레임에는, 상호 간 간섭되게 대향 방향으로 돌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간섭 블록이 구비된, 탑차. -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텔레스코픽 가이드부는,
상기 고정 가이드 프레임의 내측에 상기 중첩 가이드 프레임 및 상기 이동 가이드 프레임이 내부로 삽입 가능하게 중첩되는, 탑차. -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텔레스코픽 가이드부는,
상기 셔터 조립체의 셔터부의 단부가 삽입되는 셔터 가이드홈 또는 상기 텔레스코픽 조립체의 고정 패널, 중첩 패널 및 이동 패널의 단부가 삽입되는 패널 가이드홈이 내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된, 탑차.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49015A KR20200125161A (ko) | 2019-04-26 | 2019-04-26 | 탑차 |
PCT/KR2019/005698 WO2020218665A1 (ko) | 2019-04-26 | 2019-05-13 | 탑차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49015A KR20200125161A (ko) | 2019-04-26 | 2019-04-26 | 탑차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25161A true KR20200125161A (ko) | 2020-11-04 |
Family
ID=72941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49015A KR20200125161A (ko) | 2019-04-26 | 2019-04-26 | 탑차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20200125161A (ko) |
WO (1) | WO2020218665A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34984B1 (ko) * | 2021-05-31 | 2021-12-03 | 손인호 | 적재함의 높낮이가 조절되는 화물차 |
KR102366511B1 (ko) * | 2021-07-01 | 2022-02-24 | 주식회사 세종특장 | 윙바디 적재함의 승강식 윙도어 연동형 방수장치 |
KR20220100114A (ko) | 2021-01-06 | 2022-07-15 |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 보관 및 이동을 위해 차량에 적재된 배터리의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 |
KR20230104441A (ko) * | 2021-12-31 | 2023-07-10 | 서진산업 주식회사 | 높이조절이 용이한 탑차 전용 적재함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61022B1 (ko) | 2010-02-19 | 2011-09-02 | 이만우 | 높이 조절장치가 구비된 탑차의 적재함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11105U (ko) * | 1997-08-30 | 1999-03-25 | 정몽규 | 화물차용 적재함 개폐장치 |
KR100876498B1 (ko) * | 2007-07-18 | 2008-12-31 | 유덕자 | 영상광고 차량용 리프트장치 |
JP2010533613A (ja) * | 2007-07-19 | 2010-10-28 | 丁三郎 | 車両用多機能キャノピー |
KR20140122912A (ko) * | 2013-04-11 | 2014-10-21 | 박길수 | 화물차량의 적재함 장치 |
KR101765031B1 (ko) * | 2017-03-20 | 2017-08-04 | 주식회사 아이엠아이 | 화물차량의 적재함 자동덮개 |
-
2019
- 2019-04-26 KR KR1020190049015A patent/KR20200125161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9-05-13 WO PCT/KR2019/005698 patent/WO2020218665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61022B1 (ko) | 2010-02-19 | 2011-09-02 | 이만우 | 높이 조절장치가 구비된 탑차의 적재함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100114A (ko) | 2021-01-06 | 2022-07-15 |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 보관 및 이동을 위해 차량에 적재된 배터리의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 |
KR102334984B1 (ko) * | 2021-05-31 | 2021-12-03 | 손인호 | 적재함의 높낮이가 조절되는 화물차 |
KR102366511B1 (ko) * | 2021-07-01 | 2022-02-24 | 주식회사 세종특장 | 윙바디 적재함의 승강식 윙도어 연동형 방수장치 |
KR20230104441A (ko) * | 2021-12-31 | 2023-07-10 | 서진산업 주식회사 | 높이조절이 용이한 탑차 전용 적재함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20218665A1 (ko) | 2020-10-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200125161A (ko) | 탑차 | |
RU2500553C2 (ru) | Погрузочно-разгруз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 |
RU2730284C2 (ru) | Конструкция багажного отсека для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промышленного назначения, в частности для грузового автомобиля | |
CZ279252B6 (cs) | Přenosný kontejner | |
JP2014521544A (ja) | ルーフボックス、ルーフボックスを備えた自動車の屋根およびルーフボックスを備えた自動車 | |
JP2006505460A (ja) | 折り畳み式フラットラック | |
EP3284624B1 (en) | Support beam | |
CN108944635B (zh) | 一种车辆运输车、卷帘门厢体及其控制方法 | |
KR101992065B1 (ko) | 탑차의 측면 도어 자동 오픈 및 폐쇄장치 | |
KR102291004B1 (ko) | 적재함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 |
KR101754199B1 (ko) | 접이식 컨테이너 개폐장치 | |
KR101451388B1 (ko) | 화물차용 상·하차 리프트 장치 | |
KR102329784B1 (ko) | 다양한 형태로 적재함이 개폐되는 구조를 갖는 윙바디 트레일러 | |
JP3550020B2 (ja) | コンテナ搬送車の箱型荷台に備わる左右開閉扉に設けた連動式複数段プラットフォーム防護壁 | |
KR101771431B1 (ko) | 화물차 적재함의 자동덮개장치 | |
KR101798568B1 (ko) | 자동차 주차용 리프트 | |
KR102677007B1 (ko) | 화물운송용 적재함의 리어도어 개폐구조 | |
KR100846224B1 (ko) | 시설물 점검용 차량 | |
KR200483239Y1 (ko) | 수직형 리프트 게이트 | |
JP3749701B2 (ja) | 自動車 | |
KR200439152Y1 (ko) | 사다리차 겸용 탑차 | |
KR102541581B1 (ko) | 루프 개폐가 이루어지는 화물 운송용 윙바디 적재함 | |
KR102593228B1 (ko) | 드론 스테이션 | |
KR102071637B1 (ko) | 건설중장비용 가변형 조종실 | |
KR101946962B1 (ko) | 자바라 타입의 블라인드가 구비된 특장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